KR20190109379A - 암 치료를 위한 레오바이러스 및 믹소마폭스 바이러스의 병용 - Google Patents

암 치료를 위한 레오바이러스 및 믹소마폭스 바이러스의 병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9379A
KR20190109379A KR1020197008628A KR20197008628A KR20190109379A KR 20190109379 A KR20190109379 A KR 20190109379A KR 1020197008628 A KR1020197008628 A KR 1020197008628A KR 20197008628 A KR20197008628 A KR 20197008628A KR 20190109379 A KR20190109379 A KR 20190109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us
cancer
myxomapox
leovirus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8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복
Original Assignee
바이로큐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로큐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이로큐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109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3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14Blood; Artificial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28Bone marrow; Haematopoietic stem cells; Mesenchymal stem cells of any origin, e.g. adipose-derived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6Viruses; Subviral particles; Bacterioph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6Viruses; Subviral particles; Bacteriophages
    • A61K35/765Reovirus; Rotavi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ir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 치료를 위한 레오바이러스 및 믹소마폭스 바이러스의 치료적 병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암 치료를 위한 레오바이러스 및 믹소마폭스 바이러스의 병용
본 발명은 암 치료를 위한 레오바이러스 및 믹소마폭스 바이러스의 치료적 병용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8년 03월 16일에 출원된 미국특허출원 제62/643,904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해당 출원의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출원에 원용된다.
암은 일반적으로 세포가 과도한 속도로 분열하고 기능이 비정상화 되는 질환, 악성 종양 및 신생물(neoplasm)로 정의된다. 표준 치료법은 영향을 받은 암 조직을 제거하는 수술, 화학요법 및 방사선을 포함한다. 특정 암은 이러한 화학요법, 방사선요법 및 기타 치료법에 반응하지 않거나 내성을 갖게 된다. 일부 인간 종양은 통상적인 화학요법/방사선요법에 민감성을 보이지만, 다양한 고형 종양(예컨대, 뇌종양, 유방종양, 난소종양 및 기타 종양) 및 혈액 종양은 통상적인 치료요법에 대해 난치성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백혈병은 혈액 세포, 일반적으로 백혈구(루코사이트)의 비정상적인 증식(증식에 의한 생산)에 특징이 있는 혈액 또는 골수의 예시적인 암이다. 만성 골수성 백혈병(CML)은 골수에서의 현저한 골수 세포의 증가 및 조절되지 않은 성장 그리고 혈액에서 이들 세포의 축적에 의해 특징 지어지는 백혈병의 한 형태이다. 또한, 다발성 골수종(MM)은 아주 심한 난치성 암이며, 말단 분화된 B 세포(즉, 형질 세포)에 영향을 미치는 클론성 B-세포 신생물이다. 다발성 골수종에서, 과도한 암성 형질 세포의 클러스터는 골수종이라 불리는 골수에서의 종양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종양의 존재를 다발성 골수종이라고 한다. 다발성 골수종 환자의 종양은 약 3년간 생존한다. 유전학 연구는 다발성 골수종 종양 형성(tumorigenesis)이 종양유전자의 과활성화 및 다양한 종양 억제 유전자의 불활성화와 관련된 단계적 악성 형질전환을 통해 일어남을 밝혔다. 다양한 약물 치료에도 불구하고, 암 환자(CML 또는 MM)는 종종 빠르게 약물 내성화 되고, 장기간 약물 치료로 인한 심각한 부작용을 겪는다.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바이러스는 정상적인 대응물(counterpart)은 보존하면서 특히 인간 암세포를 감염시키는 살아있는 복제-능숙 바이러스이다. 1920년대에 자연적으로 향종양성 바이러스를 발견한 이래로, 다양한 복제 바이러스가 인간 또는 동물 항암 치료법에 대한 전임상 또는 임상 적용에 있어서 다양한 안전성의 정도 및 효능을 나타내었다. 세포 종양유전자, 예컨대 Ras 및 c-Myc은 종양용해성(oncolytic) 바이러스 친화성(tropism) 결정을 위한 중요한 숙주 유전자로 알려져 있다. 중요하게, 세포 종양 억제 유전자가 종양용해성 바이러스 친화성을 결정하는데 또한 중요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Kim M et al., Oncogene. 29:3990-3996, 2010). 발암(carcinogenesis)은 종양유전자 이상의 축적뿐만 아니라 종양 억제 유전자 이상의 축적과 관련된 다단계 과정이다. 따라서, 종양용해성 바이러스는 그들의 종양용해성 특이성 및 효능의 결정을 위해, 종종 부인과 악성 종양에서 조절되지 않는, 비정상적인 종양유전자 및 세포 종양 억제인자 신호를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것이 흥미롭다. 종양유전자와 달리, 많은 종양 억제 유전자, 예컨대 p53, ATM 및 RB는 게놈 충실도/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M et al., Oncogene. 29:3990-3996, 2010). 따라서 종양 억제 유전자 이상은 숙주 게놈 무결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유전적 결함의 축적으로 인해 자연적인 바이러스 종양친화성을 유발하여 손상되지 않은 항바이러스 네트워크를 파괴할 가능성이 있다.
1970년대에 천연두가 근절된 이래로, 복제 백시니아 바이러스 및 기타 폭스바이러스 균주의 종양용해성 성질이 확인되었다. 지난 20년의 분자 연구 동안, 폭스바이러스의 종양용해성 친화성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세포 종양유전자 및 종양 억제 유전자의 관여가 현재 상당히 잘 정립되어 있다. 현재, 북미, 유럽 및 여러 아시아 국가에서 백시니아 바이러스 균주의 변형된 버전을 사용하여 임상 시험이 진행 중에 있다. 희귀한 백시니아 바이러스 합병증은 면역저하된 개인을 포함하여 많은 인구 규모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백시니아 바이러스의 약독화된 버전의 안전성 측면은 이미 수행된 많은 시험을 통해 현재 상당히 확립되어 왔다(Jacobs, B.L. et al, Antiviral Res. 84, 1-13, 2009; Nalca, A., Zumbrun, E.E., Drug Des Devel Ther. 4:71-79, 2010).
본 발명자들은 레오바이러스 및 믹소마폭스 바이러스의 병용이 위암, 폐암 및 흑색종 치료에 현저한 시너지 효과를 발휘함을 확인하고,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a) 레오바이러스 및 믹소마폭스 바이러스의 조합물; 또는 (b) (a)로 처리된 생물학적 샘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a) 레오바이러스 및 믹소마폭스 바이러스의 조합물; 또는 (b) (a)로 처리된 생물학적 샘플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의 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a) 레오바이러스 및 믹소마폭스 바이러스의 조합물; 또는 (b) (a)로 처리된 생물학적 샘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치료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 및 조성물에 대한 지시 라벨을 포함하는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a) 레오바이러스 및 믹소마폭스 바이러스의 조합물; 또는 (b) (a)로 처리된 생물학적 샘플의 치료적 유효량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의 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개시는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a) 레오바이러스 및 믹소마폭스 바이러스의 조합물; 또는 (b) (a)로 처리된 생물학적 샘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치료 용도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개시는 또한 (a) 레오바이러스 및 믹소마폭스 바이러스의 조합물, 또는 (b) (a)로 처리된 생물학적 샘플;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약학적 조성물은 주사가능한 투여 형태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 형태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키트 및 조성물에 대한 지시 라벨이 개시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레오바이러스는 야생형 레오바이러스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레오바이러스는 암 표적화를 위한 치료적 유전자를 발현하거나 약독화된 레오바이러스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믹소마폭스 바이러스는 야생형 믹소마폭스 바이러스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믹소마폭스 바이러스는 암 표적화를 위한 치료적 유전자를 발현하거나 약독화된 믹소마폭스 바이러스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레오바이러스는 1X10 4 내지 1X10 7 PFU 포함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믹소마폭스 바이러스는 1X10 4 내지 1X10 7 PFU 포함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레오바이러스 및 믹소마폭스 바이러스 조합물에서의 레오바이러스와 믹소마폭스 바이러스 역가비는 1:1 내지 100:1 (레오바이러스 : 믹소마폭스 바이러스)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종양 억제인자가 결함된 암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조혈계 악성 종양, 폐암, 간암, 유방암, 대장암, 췌장암, 뇌암, 부인암 또는 위암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흑색종, 림프종, 골수종, 골수형성이상증후군(MDS), 적혈구증가증과 같은 골수증식성 질환, 및 백혈병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혈액학적 악성 종양일 수 있다. 암세포는 악성 세포 또는 양성 세포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종양용해성 바이러스 내성 암을 포함하는 난치성 암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생물학적 샘플은 엑스 비보(ex vivo) 생물학적 샘플에 대해 레오바이러스 및 믹소마폭스 바이러스 조합물의 유효량을 적용하여 복수개의 암세포를 사멸시키고자 제조된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생물학적 샘플은 골수 샘플 또는 혈액 샘플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암에 대해 우수한 치료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폐암 세포(A549)에서 레오바이러스 및 믹소마폭스 바이러스의 상승적인 종양용해성 효과를 인 비트로 상에서 보여주는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REO: 레오바이러스; MYXV: 믹소마폭스 바이러스.
도 2는 위암에서 레오바이러스 및 믹소마폭스 바이러스의 상승적인 종양용해성 효과를 인 비트로 상에서 보여주는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MOCK: 음성 대조군; REO: 레오바이러스; MYXV: 믹소마폭스 바이러스.
도 3은 레오바이러스 및 믹소마폭스 바이러스의 병용에 따른 암 치료에 대한 상승적 효과 및 안전성을 인 비보 상에서 보여주는 도면을 도시한 것으로, 도 3A는 레오바이러스 및 믹소마폭스 바이러스 병용에 따른 상승적인 흑색종 성장 억제 효과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B는 레오바이러스 및 믹소마폭스 바이러스 병용 투여의 안전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마우스 전신에 어떠한 독성 징후도 나타나지 않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Vehicle: 음성 대조군; REO: 레오바이러스; MYXV: 믹소마폭스 바이러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레오바이러스 및 믹소마폭스 바이러스의 병용이 폐암, 위암, 흑색종 및 인 비보상의 암 동물 모델을 포함해 인간 암에 대한 종양용해성 잠재력을 두드러지게 향상시킨다는 것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더욱이, 레오바이러스 및 믹소마폭스 바이러스는 인간에게는 비병원성이고, 다양한 암에 대하여 종양용해성 잠재력을 발휘하므로,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a) 레오바이러스 및 믹소마폭스 바이러스의 조합물; 또는 (b) (a)로 처리된 생물학적 샘플의 치료적 유효량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의 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개시는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a) 레오바이러스 및 믹소마폭스 바이러스의 조합물; 또는 (b) (a)로 처리된 생물학적 샘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치료 용도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개시는 또한 (a) 레오바이러스 및 믹소마폭스 바이러스의 조합물, 또는 (b) (a)로 처리된 생물학적 샘플;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약학적 조성물은 주사가능한 투여 형태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 형태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키트 및 조성물에 대한 지시 라벨이 개시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레오바이러스는 야생형 레오바이러스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레오바이러스는 암 표적화를 위한 치료적 유전자를 발현하거나 약독화된 레오바이러스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믹소마폭스 바이러스는 야생형 믹소마폭스 바이러스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믹소마폭스 바이러스는 암 표적화를 위한 치료적 유전자를 발현하거나 약독화된 믹소마폭스 바이러스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레오바이러스는 1X10 4 내지 1X10 7 PFU 포함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믹소마폭스 바이러스는 1X10 4 내지 1X10 7 PFU 포함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레오바이러스 및 믹소마폭스 바이러스 조합물에서의 레오바이러스와 믹소마폭스 바이러스 역가비는 1:1 내지 100:1 (레오바이러스 : 믹소마폭스 바이러스)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종양 억제인자가 결함된 암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조혈계 악성 종양, 폐암, 간암, 유방암, 대장암, 췌장암, 뇌암, 부인암 또는 위암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흑색종, 림프종, 골수종, 골수형성이상증후군(MDS), 적혈구증가증과 같은 골수증식성 질환, 및 백혈병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혈액학적 악성 종양일 수 있다. 암세포는 악성 세포 또는 양성 세포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종양용해성 바이러스 내성 암을 포함하는 난치성 암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생물학적 샘플은 엑스 비보(ex vivo) 생물학적 샘플에 대해 레오바이러스 및 믹소마폭스 바이러스 조합물의 유효량을 적용하여 복수개의 암세포를 사멸시키고자 제조된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생물학적 샘플은 골수 샘플 또는 혈액 샘플이다.
일 실시예에서, 천연형 레오바이러스는 활성화된 Ras 종양유전자-의존성 종양 세포와 접촉할 때 종양용해성이다. 활성화된 종양 유전자-관련 암세포의 이러한 종양용해(oncolysis)는 이중 가닥 RNA-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아제(PKR) 인산화의 Ras 경로-매개 장애에 관여하는 메카니즘을 통해 진행되며, 이는 결과적으로 번역 개시 인자 eIF-2.알파.를 인산화시킬 수 없게 되고, 이에 의해 레오바이러스의 유전자 전사체(transcript)의 번역에 대한 허용 조건이 생겨난다. 레오바이러스는 또한 myc-과발현 림프구 악성종양에서 종양용해성 잠재력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레오바이러스(레오바이러스과(Reoviridae))는 10개의 분절로 나누어지고 2개의 동심 정20면체 단백질 캡시드에 의해 둘러싸인 이중 가닥 RNA(dsRNA) 게놈을 갖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비외피형(non-enveloped) 바이러스 과를 포함한다. 다양한 친화성의 감염성 포유류 레오바이러스 비리온(virion)은 직경이 약 85 ㎚인 입자로 발생한다. 비리온 외부 캡시드는 별개의 탄수화물-결합 및 비리온-앵커링(virion-anchoring) 도메인을 통해 숙주 세포 표면에 바이러스 부착을 매개하는 시그마-1(sigma1, 50 kDa) 중에 여러 뚜렷이 구별되는 단백질 종을 포함한다. 시그마 1은 바이시스트로닉(bicistronic) 레오바이러스의 S1 유전자의 산물이며, 이는 또한 뚜렷이 구별되지만 중복된 리딩 프레임을 사용하여 시그마 1로 명명된 비구조적 단백질을 암호화한다. 델타 1이 없는 레오바이러스 입자는 비전염성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레오바이러스의 S1 유전자는 레오바이러스의 발병기전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다른 주요 레오바이러스 외부 캡시드 단백질인 시그마 3(레오바이러스의 S4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됨)및 시그마 111(레오바이러스의 M2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됨)은 손상되지 않은 레오바이러스 비리온에서 시그마 1과 함께 존재하나, 특정 단백질 분해 조건에 비리온을 노출시킨 후 시그마 1은 지속되지만 시그마 3은 소실되고 두 개의 정의된 mu1 절단 산물이 남아있는 중간 또는 감염성 서브비리온 입자(infectious subvirion particle, ISVP)로 알려진 변형된 구조가 생성된다. 따라서 ISVP는 레오바이러스의 숙주 세포 감염 후(세포 표면 결합 및 내재화를 통해), 또는 맞닥뜨릴 수 있는 천연 장용성 경로를 통해 또는 인공적 수단에 의해 후기 엔도솜 또는 리소좀 내에서 세포내 발견되는 것과 같은 단백질 분해 환경에 손상되지 않은 레오바이러스 비리온의 노출로 인해 생길 수 있다. 감염된 숙주 세포의 세포질에 접근하고자 엔도솜 (또는 리소좀) 막의 ISVP 침투 후에, 시그마 1 및 mu1 단백질은 손실되어 코어 입자로서 알려진 레오바이러스-유래 입자를 생성하는데, 이는 바이러스의 mRNA 내용물을 전사할 수 있으나, 비리온 및 ISVP와는 달리 더 이상 감염성이 없다.
처음에 인간 호흡기 및 위장관에서 명백하게 무해한 감염성 병원체로서 확인된, 인간 레오바이러스는 특정 유형의 형질전환된 세포에 감염시 이의 두드러진 세포파괴 활성에 대해 오랫동안 인정받아 오고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레오바이러스"는 종양용해성 약제로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특성을 갖는 야생형 레오바이러스 또는 약독화된 레오바이러스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약독화된 레오바이러스는 야생형 레오바이러스의 S1 유전자가 결핍된 레오바이러스의 게놈에 의해 검출 가능한 레오바이러스 시그마 1 캡시드 단백질이 결핍된 감염성의 복제 가능한 레오바이러스 비리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약독화된 레오바이러스는 검출 가능한 레오바이러스 시그마 1 캡시드 단백질이 결핍된 돌연변이화된 레오바이러스가 표적 종양 세포를 생산적으로 감염시키는 능력을 예기치 않게 유지하면서 비악성 세포에 대한 세포변성 효과(cytopathic effect)를 바람직하게 피하는 놀라운 관찰에서 유래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 이전에, 시그마 1이 결핍된 레오바이러스의 입자는 비감염성인 것으로 이해되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추가적으로 그리고 특정 구현예에서, 현재 개시된 약독화된 레오바이러스는 돌연변이화된 레오바이러스의 S4 유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레오바이러스 야생형 S4 유전자는 숙주 세포의 레오바이러스의 복제 감염 동안 비리온 프로세싱에 관여하는 레오바이러스 캡시드 시그마 3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약독화된 레오바이러스는 야생형 S4 유전자 서열에 비해 레오바이러스의 시그마 3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게놈 서열에서 하나 또는 복수개의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돌연변이화된 레오바이러스 S4 유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약독화된 레오바이러스는 검출 가능한 시그마 1 캡시드 단백질이 결핍되어 있지만 예기치 않게 감염성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시그마 1이 바이러스의 복제 감염의 초기 단계에서 세포 표면 시알산 잔기를 통해 세포에 레오바이러스의 결합 및 부착과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검출 가능한 시그마 1이 결핍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본 명세서에 기술된 약독화된 레오바이러스는 숙주 세포 진입 및 세포용해성 바이러스의 복제가 가능하다. 또한, 약독화된 레오바이러스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비약독화된 레오바이러스에 의해 비악성 세포에 대해 보이는 세포변성 효과의 수준에 비해, 비악성 세포에 대해 하나 이상의 세포변성 효과의 감소된(즉, 통계적 유의성이 감소된) 수준을 유도하는 놀라운 특성을 보인다.
약독화된 레오바이러스는 레오바이러스과의 구성원을 의미하는 임의의 레오바이러스로부터 유래될 수 있고, 다양한 친화성을 갖는 레오바이러스를 포함하며, 이는 다양한 공급원으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포유동물 레오바이러스가 바람직하고, 특정 추가의 구현예에서, 인간 레오바이러스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약독화된 레오바이러스의 유래를 위한 출발점으로서 특히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를 기반으로 하여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임의의 특정 레오바이러스가 이러한 목적을 위해 바람직할 수 있는 상황을 인식할 것이다. 특정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약독화된 레오바이러스는 인간 레오바이러스, 예를 들어, 인간 타입 3(디어링), 타입 1(랭), 타입 2(존스) 또는 타입 3(애브니) 레오바이러스로부터 유래될 수 있는 반면, 특정 다른 구현예(예를 들어, 인간 질환과 관련성을 갖는 동물 모델에서 사용하기 위한 또는 수의학 관련의 적용을 위한)에서는 약독화된 레오바이러스가 비인간 영장류(예컨대, 침팬지, 고릴라, 마카크, 원숭이 등), 설치류(예컨대, 마우스, 랫트, 게르빌루스쥐, 햄스터, 래빗, 기니아 피그 등), 개, 고양이, 일반 가축(예컨대, 소, 말, 돼지, 염소) 등을 포함한, 다른 포유 동물 종의 세포에 대한 친화성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레오바이러스로부터 유래 될 수 있으며, 또는 대안적으로, 뚜렷이 구별되는 친화성을 갖는 레오바이러스(예컨대, 조류 레오바이러스)가 사용될 수 있다.
약독화된 레오바이러스는 분자 생물학적 접근법에 의한 시그마 1-결핍 및/또는 시그마 1-결함 돌연변이체의 생성 및 동정을 포함하고(그리고 특정 구현예에서,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시그마 3-결핍 및/또는 시그마 3-결함 돌연변이체의 생성 및 동정 또한 포함함), 또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시그마 1-결핍 및/또는 시그마 1-결함 돌연변이체 및/또는 시그마 3 돌연변이체의 분리, 및/또는 화학적, 물리적 및/또는 유전적 기술(예컨대, 생산적으로 감염된 숙주 세포에서의 레오바이러스 유전자의 선택적 재조합)에 의한 그러한 시그마 1(및/또는 시그마 3) 돌연변이체의 인공적 유도를 포함하는 다른 방법론에 따라 유래될 수 있다.
약독화된 레오바이러스는 야생형 레오바이러스 S1 유전자가 결핍되고 결과적으로 검출 가능한 레오바이러스 시그마 1 캡시드 단백질이 결핍된 감염성의 복제 가능한 레오바이러스 비리온(즉, 바이러스의 게놈, 코어 단백질 및 단백질 외피를 포함하는 바이러스 입자)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약독화된 레오바이러스는 야생형 레오 바이러스 S4 유전자가 결핍되고 돌연변이화된 레오바이러스 시그마 3 캡시드 단백질을 발현한다. 관련 기술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감염성의 복제 가능한 레오바이러스는 적절한 조건하에 충분한 시간 동안 적합한 숙주 세포에 도입시 숙주 세포에 결합하여 내재화 될 수 있는 하나이며, 그 뒤에 숙주 세포로부터 방출될 시 바이러스의 복제 주기를 영속시키고자 다른 숙주 세포를 생산적으로 감염시킬 수 있는 완전한 자손 레오바이러스의 어셈블리를 허용하는 방식으로 레오바이러스의 게놈의 복제 및 레오바이러스 구조 단백질의 생합성을 지시한다.
암 치료를 위한 약독화된 레오바이러스는 예를 들어, 미국출원공개 US2009/0214479호 및 US2009/0104162호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들 각각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용어 "믹소마폭스 바이러스"는 인간 또는 래빗이 아닌 동물 종에 병원성이 없는 믹소마 바이러스 균주를 의미한다. 특정 동물 폭스바이러스는 특정 동물 종에만 영향을 미친다(Kim M., 2015). 즉, 상기 바이러스는 자연에서 인간 또는 비친화성의 동물에 질환을 유발하지 않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믹소마폭스 바이러스는 암 표적화를 위한 치료적 유전자, 예컨대 면역 자극 유전자, 인터페론 관련 유전자, 아폽토시스 관련 유전자를 보유하는 야생형 믹소마폭스 바이러스의 균주 또는 조작된 믹소마폭스 바이러스의 균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믹소마폭스 바이러스는 당업계에 알려진 표준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믹소마폭스 바이러스는 높은 생물 안전도(BSL)를 요구하지 않는 과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고, 각각의 바이러스는 바이러스의 게놈 복제가 민감성 세포의 세포질 영역에서 전체적으로 일어남을 보여주는 고유의 자손 생산 주기를 가지며, 조합된 바이러스의 치료법에 의한 암 파괴 동안 숙주 인간 게놈으로부터의 새로운 하이브리드 바이러스 생성을 방지한다. 결과적으로, 제조 및 약물 개발이 실현 가능하다.
"생물학적 샘플"은 개체, 세포주, 조직 배양물 또는 기타 세포의 공급원에서 수득한 임의의 생물학적 샘플, 예컨대, 성체 줄기 세포(지방 유래 줄기 세포, 골수 줄기 세포) 또는 제대혈 줄기 세포를 대상으로 한다. 포유동물로부터 조직 생검 및 체액을 수득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있다. 예를 들어, 지방-유래 줄기 세포는 종양용해성 바이러스로 전처리되어 암 환자에 투여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생물학적 샘플은 엑스 비보(ex vivo) 생물학적 샘플에 대해 레오바이러스 및 믹소마폭스 바이러스 조합물의 유효량을 적용하여 복수개의 암세포를 사멸시키고자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생물학적 샘플은 골수 샘플 또는 혈액 샘플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종양용해성 잠재력"은 세포를 성장 또는 분열시킬 수 없도록 하는 것 이외에도, 용해 또는 아폽토시스 또는 세포 사멸의 다른 기전에 의한 세포 사멸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개체" 또는 "환자"는 인간을 포함하는, 동물계의 임의의 개별 구성원을 의미한다. 포유동물의 예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포유동물 부류의 임의의 구성원을 포함한다: 인간, 비인간 영장류, 예컨대, 침팬지 및 다른 유인원 및 원숭이 종; 농장용 가축, 예컨대, 소, 말, 양, 염소, 돼지; 애완용 가축 예컨대, 래빗, 개, 고양이.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 방법 및 조성물의 일부 구현예에서, 포유동물은 인간 또는 비인간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치료하다" 또는 "치료하는"은 임상 결과를 포함하는, 유익하거나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한 접근법을 의미한다. 유익하거나 바람직한 임상 결과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하나 이상의 증상 또는 상태의 경감 또는 개선, 질환의 정도의 감소, 질환 상태의 안정화, 질환 발생의 예방, 질환의 확산 예방, 질환 진행의 지연 또는 감속, 질환 발병의 지연 또는 감속, 질환 상태의 개선 또는 완화, 및 차도(부분적인지 또는 전체적인지), 검출 가능 또는 검출 불가능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치료하는"은 치료가 없을 때에 예상했던 보다 환자의 생존을 연장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치료하는"은 질환의 진행을 억제하고, 질환의 진행을 일시적으로 감속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지만, 이것은 질환의 진행을 영구적으로 중지시키는 것을 수반할 수도 있다. 숙련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특정 질환 상태를 개선하는 동안 치료가 치료에 의해 영향을 미친 임의의 이익보다 더 큰 역효과를 치료된 환자에게 초래한다면 결과는 유익하지 않거나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는 치료학적 유효한 양(유효량)의 레오바이러스 및 믹소마폭스 바이러스("2가지 바이러스의 조합물")를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2가지 바이러스의 조합물은 표준 투여 방법을 사용하여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2가지 바이러스의 조합물은 질환 부위에 투여된다. 대안으로, 2가지 바이러스의 조합물은 전신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2가지 바이러스의 조합물은 종양 내로(intratumorally) 또는 바이러스-담체 세포, 예컨대, 자가 종양 또는 사이토킨-활성화된 자가 정상 혈액 세포의 사용에 의해 투여된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2가지 바이러스의 조합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표준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는 정맥내, 복강내, 피하, 근육내, 상피, 비강, 폐내, 척추강내, 직장 및 국소 투여 방식을 포함한다. 비경구 투여는 선택된 기간 동안 연속 주입에 의한 것일 수 있다.
환자에게 투여되는 경우, 바이러스 조합물의 "유효량" 또는 "치료학적 유효량"은 임의의 의학 치료 또는 예방에 적용할 수 있는 합리적인 이익/위험 비율로 암을 경감, 개선(improve), 완화, 개선(ameliorate), 안정화, 확산 예방, 진행 감속 또는 지연, 또는 치유하기 위한 투여량으로 충분한 기간 동안 요구되는 양이다. 유효 투여량 수준은 질환의 중증도, 활성제의 활성도,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및 성별, 활성제에 대한 민감성,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본 개시의 조성물의 배설 속도, 치료 기간, 본 개시의 조성물과 동시에 또는 조합하여 사용되는 약물, 바이러스 조합의 약력학적 특성, 2가지 바이러스 조합물의 독성 및 적정 농도, 및 의학 분야에서 알려진 기타 인자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약학적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공지된 다른 항암제 또는 항암 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성분과 조합하여 투여될 수 있다. 위의 모든 요소를 고려하여, 부작용 유발 없이 최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최소량으로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는 상기 인자들을 기반으로 하여 투여할 2가지 바이러스(레오바이러스 및 믹소마폭스 바이러스)의 조합물의 적절한 양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2가지 바이러스의 조합물은 환자의 임상 반응에 따라, 필요에 따라 조정할 수 있는 적절한 양으로 초기에 투여될 수 있다. 2가지 바이러스 조합물의 유효량은 경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안전하게 투여될 수 있는 2가지 바이러스 조합물의 최대량, 및 원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2가지 바이러스 조합물의 최소량에 의해 결정된다.
질환 부위에서 2가지 바이러스 조합물의 주사를 통해 달성되는 것과 같이 2가지 바이러스의 단일 조합물을 전신적으로 투여할 때 동일한 임상 효과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상당히 많은 양의 2가지 바이러스 조합물의 투여가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적절한 투여량 수준은 원하는 결과를 달성할 수 있는 최소량이어야 한다. 투여되는 2가지 바이러스 조합물의 농도는 투여되는 2가지 바이러스 조합물의 특정 균주(들)의 독성 및 표적화되는 세포의 성질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약 10 9 플라크 형성 단위("pfu") 미만의 투여량이 인간 환자에게 투여된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약 10 2 내지 약 10 12 pfu, 약 10 2 내지 약 10 9 pfu, 약 10 3 내지 약 10 8 pfu, 또는 약 10 4 내지 약 10 7 pfu가 조합된 투여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되는 2가지 바이러스 조합물에서의 레오바이러스와 믹소마폭스 바이러스 역가비는 1:1 내지 10000:1 (레오바이러스 : 믹소마폭스 바이러스), 보다 바람직하게 1:1 내지 100:1 (레오바이러스 : 믹소마폭스 바이러스)일 수 있다. 이 때 역가비는 특정 균주(들)의 독성 및 표적화되는 세포의 성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바이러스 조합물의 치료적 유효량은 최초 치료 요법의 효과에 따라 반복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투여는 모든 반응을 모니터링하는 동안 정기적으로 제공된다. 투여 스케쥴 및 선택된 경로에 따라, 상기에 표시된 것 보다 더 낮거나 더 높은 투여량이 제공될 수 있음은 숙련자에 의해 인식될 것이다.
2가지 바이러스의 조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화학요법, 방사선요법, 면역요법 또는 기타 항-바이러스 요법을 포함한 다른 요법과 조합하여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가지 바이러스의 조합물은 일차 종양의 수술적 제거 이전 또는 이후에, 또는 방사선요법 또는 통상적인 화학요법 약물의 투여와 같은 치료 이전, 동시 또는 이후에 투여될 수 있다.
투여를 돕고자, 2가지 바이러스의 조합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성분으로서 제제화될 수 있다.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농도의 염, 완충제, 방부제 및 다양한 양립될 수 있는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음이 이해된다. 모든 형태의 전달을 위한, 2가지 바이러스의 조합물은 생리 식염수에 제제화될 수 있다. 약학적 조성물은 다른 치료제, 예컨대, 항암제를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화학 요법제를 포함한다.
화학 요법제는,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환자의 암세포 또는 신생 세포에 대해 종양용해성 효과를 나타내며, 바이러스 조합물의 사멸 효과를 억제 또는 감소시키지 않는 임의의 약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학 요법제는 제한 없이, 안트라사이클린, 알킬화제, 알킬 설포네이트, 아지리딘, 에틸렌이민, 메틸아민(methyhnelamine), 질소 머스타드, 니트로소우레아, 항생제, 항대사제, 엽산 유사체, 퓨린 유사체, 피리미딘 유사체, 효소, 포도필로톡신, 백금-함유 약제 또는 사이토카인일 수 있다. 화학 요법제는 암성(cancerous) 또는 신생물성(neoplastic)인 특정 세포 유형에 대해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진 하나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 요법제, 예컨대 티오테파, 시스플라틴-기반 화합물 및 시클로포스파미드는 조혈계 악성종양의 치료에 효과적이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희석제의 비율 및 동일성은 선택된 투여 경로, 바이러스 조합물과의 양립성 및 표준 약학적 관행에 의해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약학적 조성물은 2가지 바이러스 조합물의 생물학적 특성을 현저하게 손상시키지 않을 성분과 함께 제제화될 것이다.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량의 활성 물질(레오바이러스 및 믹소마폭스 바이러스)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비히클과 함께 혼합물로 조합되어서, 환자에게 투여하기에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조성물의 알려진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비히클은 예를 들어, 레밍턴의 약학적 과학(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USA 1985)에 기술되어 있다. 이를 기반으로, 조성물은 비록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비히클 또는 희석제와 연계되어 2가지 바이러스 조합물의 용액을 포함하며, 생리적 유체와 함께 적합한 pH 및 등-삼투압(iso-osmotic)을 갖는 완충 용액에 함유된다.
약학적 조성물은 당업계의 숙련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선택된 투여 경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약학적 조성물은 예를 들어, 비활성 희석제 또는 동화될 수 있는 담체와 함께 경구 투여될 수 있거나, 경질 또는 연질 쉘(shell) 젤라틴 캡슐에 봉입될 수 있거나, 또는 정제로 압축될 수 있다. 경구 치료적 투여의 경우, 바이러스의 조합물은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고, 정제, 버컬정(buccal tablet), 트로키제, 캡슐제, 엘릭서제, 현탁제, 시럽제, 웨이퍼 등의 섭취 가능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2가지 바이러스 조합물의 용액은 생리적으로 적합한 완충액에서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인 저장 및 사용 조건에서, 이러한 제제에는 미생물의 성장을 방지하기 위한 방부제가 함유되어 있으나, 바이러스의 조합물을 비활성화하지 않을 것이다. 당업계의 숙련자는 적합한 제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알 것이다. 적합한 제제의 선택 및 제조를 위한 통상적인 절차 및 성분은 예를 들어, 레밍턴의 약학적 과학 및 미국 약전에 기술되어 있다: 국가의약품집 (USP 24 NF19) (1999).
일부 구현예에서, 약학적 조성물은 질환 부위, 예컨대 종양 부위에 직접적으로 주사(피하, 정맥내, 근육내 등)하거나, 또는 경구 투여에 의해, 또는 대안으로 경피 투여에 의해 투여된다.
주사 가능한 용도를 위한 적합한 약학적 조성물의 형태는 멸균 수용액 또는 분산액 및 멸균 주사액 또는 분산액의 즉석 제조용 멸균 분말을 포함하며, 여기서 용어 멸균은 투여되는 바이러스의 조합물 자체로 확장하지 않는다. 모든 경우, 형태는 멸균되어야 하며, 용이한 주사가능성(syringability)이 존재하는 범위까지 유동적이어야 한다.
사용되는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치료되는 특정 상태, 상태의 중증도, 나이, 신체 상태, 크기 및 무게, 치료 기간, 동시 치료법의 종류 (있는 경우), 특정 투여 경로 및 보건 종사자의 지식과 전문적 지식 내에 있는 기타 유사한 인자들을 포함하는 개별 환자 파라미터에 따라 달라진다. 이러한 인자들은 당업계의 숙련자에게 알려져 있고, 최소한의 일상적인 실험으로 해결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약학적 조성물은 치료적 유효량의 활성제(들)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2가지 바이러스의 조합물은 종양용해성 바이러스 내성 암을 포함하는 암으로부터의 세포에 대해 효과적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암" 또는 "암세포"는 비정상적인 성장을 보이는 세포를 의미하며, 세포 증식 조절의 현저한 상실 또는 불멸화된 세포를 특징으로 한다. 용어 "암"은 전이성 암 뿐만 아니라 비전이성 암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치료 가능한 예시적인 암 및/또는 암세포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흑색종, 림프종, 골수종, 및 백혈병과 같은 조혈계 악성 종양, 폐암, 소세포 폐암, 유방암, 대장암, 췌장암, 뇌암, 난소암 및 위암을 가진 환자로부터 유래된 세포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이러스의 조합물에 의해 치료된 암세포는 혈액학적 악성 종양을 가진 환자로부터 유래된다. 혈액학적 악성 종양은 흑색종, 백혈병, 림프종, 또는 골수종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세포는 CML 및 MM 중 하나를 가진 환자로부터의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난치성 암 및/또는 "난치성 암"으로부터의 암세포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난치성 암"은 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치료에 내성을 가지게 된 암을 의미한다.
조혈 줄기 세포 및 암세포를 포함하는 생물학적 샘플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생검 및 흡인을 포함하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표준 절차를 통해 환자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일단 본 발명의 바이러스의 조합물로 처리되면, 처리된 조혈모세포(hematopoietic stem cell)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알려진 기술을 사용하여 환자에게 반환되거나 투여될 수 있다.
본 바이러스의 조합물이 기능장애성 세포의 p53, ATM 및 Rb 종양 억제 유전자를 가지고 결함 있는 인터페론 반응을 가진 암성 세포를 사멸시키는바, 바이러스의 조합물은 정상적인 인간 또는 동물 조직 세포를 손상시키지 않고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사멸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은 활성제의 생물학적 활성 또는 특성을 파괴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독성이 없는 부형제, 예컨대 담체 또는 희석제, 즉, 물질이 바람직하지 않은 생물학적 효과를 유발하지 않거나 그것이 함유되어 있는 조성물의 임의의 성분과 유해한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지 않으면서 개체에게 투여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약학적 조성물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담체, 안정화제, 희석제, 붕해제, 현탄제, 증점제, 결합제, 항균제, 항균 방부제, 항산화제, 및/또는 완충제와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다른 화학적 성분, 즉, 부형제를 갖는 활성제(들)로서의 2가지 바이러스의 조합물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담체"는 세포 또는 조직 내로 활성제(들)의 혼입을 용이하게 하는 상대적으로 독성이 없는 화학적 화합물 또는 약제를 의미한다. 용어 "희석제"는 전달 이전에 관심있는 활성제(들)를 희석하는데 사용되는 화학적 화합물을 의미한다. 또한, 희석제는 보다 안정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활성제(들)를 안정화 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완충제는 외부 약제의 영향 및 조성물 성분의 평형 이동으로부터, 일단 확립된 약학적 조성물의 원하는 pH를 유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주사 가능한 투여 형태이다. 비경구 주사의 경우, 적절한 제제는 멸균, 수성 또는 비수성 용액, 예를 들어, 생리적으로 양립될 수 있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 형태이다. 경구 투여의 경우, 본 명세서에 기술된 활성제(들)는 활성제(들)를 당업계에 잘 알려진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와 조합하여 용이하게 제제화될 수 있다. 이러한 담체는 치료되는 환자에 의한 경구 섭취를 위해, 본 명세서에 기술된 활성제를 정제, 분말, 환제, 당의정,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엘릭서제, 슬러리, 현탁제 등으로 제제화될 수 있게 한다.
용어 "단위 투여 형태(unit dosage form)"는 단일 투여량으로서 적합한 물리적으로 분리된 단위를 의미하며, 각각의 단위는 투여 요법 전체에 걸쳐서 사용된 하나 이상의 적합한 약학적 부형제와 관련하여, 원하는 치료 효과, 예를 들어, 암 치료를 초래하도록 소정량의 활성 성분을 함유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약학적 조성물은 정확한 투여량의 단일 투여에 적합한 단위 투여 형태일 수 있다. 단위 투여 형태에서, 제제는 적절한 양의 하나 이상의 활성제를 함유하는 단위 투여량으로 나누어진다. 단위 투여량은 별개의 양의 제제를 함유하는 패키지의 형태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는 패키징된 정제 또는 캡슐, 및 바이알 또는 앰플 내의 분말이다. 수성 현탁액 조성물은 단회 투여용 재밀폐가 가능하지 않은 용기에 패키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다회 투여용 재밀폐가 가능한 용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조성물에 방부제를 포함시키는 것이 전형적이다. 단지 한 예로서, 비경구 주사용 제제는 단위 투여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앰플 또는 다회 투여용 용기가 포함된다.
전술한 범위는 개별 치료 요법에 관한 변수의 수가 많고, 이러한 권장된 값으로부터 상당한 편차가 드물지 않은 것이 아니므로 단지 암시적일 뿐이다. 이러한 투여량은 변수의 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사용된 활성제(들)의 활성도, 치료된 질환 또는 상태, 투여 방식, 개별 개체의 요구사항, 치료되는 질환 또는 상태의 중증도 및 의사의 판단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멸균 유리 또는 폴리올레핀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용기는 비(non)-DEHP(비스(2-에틸헥실) 프탈레이트 (디-2-에틸헥실 프탈레이트, 디에틸헥실 프탈레이트, DEHP; 디옥틸 프탈레이트, DOP) 또는 비-PVP(폴리비닐피롤리돈)이다.
키트는 적합한 용기, 예컨대, 박스, 개별 병, 백 또는 앰플을 포함한다. 현탁 조성물은 단회 투여용 재밀폐가 가능하지 않은 용기 또는 다회 투여용 재밀폐가 가능한 용기로 포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병용 투여" 또는 그 밖의 유사한 것은 단일 환자에게 두 바이러스 (활성제)의 투여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약제가 동일하거나 상이한 투여 경로에 의해 또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시간에 투여되는 치료 요법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활성제(들)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예방적 및/또는 치료적 처치를 위해 투여될 수 있다. 치료적 적용에 있어서, 조성물은 질환 또는 상태의 증상을 치유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저지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이미 질환 또는 상태로부터 고통 받고 있는 환자에 투여된다. 이 용도를 위한 유효량은 질환 또는 상태의 중증도 및 경과, 이전의 치료, 환자의 건강 상태, 체중, 활성제에 대한 반응성 및 치료 의사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일상적인 실험 (투여량 증가 임상 시험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음)에 의해 이러한 치료적 유효량을 결정하는 것은 당업계의 기술 범위 내에서 상당히 고려된다.
예방적 적용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활성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암에 민감성이거나 암의 위험이 있는 환자에게 투여된다. 이러한 양은 "예방적 유효량 또는 투여량"으로 정의된다. 또한, 이 용도에 있어서, 정확한 양은 환자의 건강 상태, 체중 등에 의해 결정된다. 일상적인 실험 (예컨대, 투여량 증가 임상 시험)에 의해 이러한 예방적 유효량을 결정하는 것은 당업계의 기술 범위 내에서 상당히 고려된다. 환자에게 사용될 때, 이 용도를 위한 유효량은 질환, 장애 또는 상태의 중증도 및 경과, 이전의 치료, 환자의 건강 상태 및 활성제에 대한 반응성 및 치료 의사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환자의 상태가 개선되지 않는 경우, 의사의 재량에 따라, 본 명세서에 기술된 활성제의 투여는 만성적으로, 즉, 환자의 질환 또는 상태의 증상을 개선시키거나 그렇지 않으면 조절 또는 제한하고자 환자의 삶의 지속기간 전체를 포함하여 연장된 기간 동안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양에 상응할 주어진 약제의 양은 인자, 예컨대, 특정 활성제, 질환 상태 및 그 중증도, 치료를 필요로 하는 개체 또는 숙주의 신원 (예컨대, 나이, 체중, 성별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컨대, 투여되는 특정 약제, 투여 경로, 치료되는 상태 및 치료되는 개체 또는 숙주를 포함하여, 경우를 둘러싼 특정 환경에 따라 당업계에 알려진 방식으로 일상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실시예]
실시예 1. 폐암에서 레오바이러스 및 믹소마폭스 바이러스 복제의 상승적인 종양용해성 효과
A549 세포를 야생형 레오바이러스 (1.0×10 4 PFU) 또는 믹소마폭스 바이러스 (1.0×10 4 PFU) 또는 두 바이러스 (REO: 1.0×10 4 PFU, MYXV: 1.0×10 4)의 조합으로 감염시켰다. 바이러스 감염 후 7-10일에 세포 콜로니를 고정하고 크리스탈 바이올렛 용액으로 염색하였다. 콜로니를 고전력 스캐너를 사용하여 사진촬영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A549 암 세포주에 대한, 레오바이러스 단독 처리 또는 믹소마폭스 바이러스 단독 처리에 비해, 레오바이러스 및 믹소마폭스 바이러스의 병용 처리의 경우에, 흑색 점으로 나타나는 생존 암 세포수가 상당히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O: 레오바이러스; MYXV: 믹소마폭스 바이러스.
실시예 2. 위암에서 레오바이러스 및 믹소마폭스 바이러스 복제의 상승적인 종양용해성 효과
SNU668 세포와 MKN28 세포를 야생형 레오바이러스 (0-10 MOI) 또는 믹소마폭스 바이러스 (0-10 MOI) 또는 두 바이러스 (REO: MYXV= 1:1 MOI)의 조합으로 감염시켰다. 바이러스 감염 후 5일째에 세포 콜로니를 고정하고 크리스탈 바이올렛 용액으로 염색하였다. 콜로니를 고전력 스캐너를 사용하여 사진촬영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오바이러스 및 믹소마폭스 바이러스의 병용 처리 (10 MOI)의 경우에, 레오바이러스 단독 처리 또는 믹소마폭스 바이러스 단독 처리에 비해, 레오바이러스 및 믹소마폭스 바이러스의 병용 처리의 경우에, 흑색 점으로 나타나는 생존 위암 세포수가 상당히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O: 레오바이러스; MYXV: 믹소마폭스 바이러스.
실시예 3. 인 비보 상 종양 성장에 대한 레오바이러스 및 믹소마폭스 바이러스 복제의 상승적인 종양용해성 효과
같은 연령 (5주령)의 암컷 C57BL/6 마우스를 B16F10 (흑색종 세포주) 동종이식 모델 연구에 사용하였다. 16-20 g의 C57BL/6 마우스의 우측 옆구리에 B167F10 설취류 흑색종 세포 현탁액과 Matrigel을 1:1 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 150ml (마우스 당 1 x 10 5 개 세포)를 동시에 접종하였다. 종양 부피 평균이 대략 100-120mm 3에 도달하였을 때, 해당 마우스를 처리 그룹으로 무작위 할당하였다. 야행형 레오바이러스 (1.0x10 6 PFU/injection), 야생형 믹소마폭스 바이러스(1.0x10 4 PFU/injection) 또는 이들의 조합(REO:1.0X10 6 PFU, MYXV:1.0X10 4 PFU /injection) 또는 PBS vehicle 대조군을 화살표에 표시된 바와 같이 종양으로 투여하였다. 종양부피( V) 는 캘리퍼를 사용해 주2회 측정한 값을 식 V=(length) x (width) 2 x 0.5 를 이용해 계산해냈다. 에러 바(Error bars)는 mean ± s.e.m. (n ≥≥ 5 per 처치 그룹)를 나타냄. P values: two-tailed unpaired Student's t-test, p<0.0001 (vehicle vs. combination). 종양 부피(A), 마우스 체중 (B) 및 생존율 (C) 은 종양이 약 1,000-2,000 mm 3에 도달할 때 까지 정기적으로 측정하였다. 생존 결핍은 사멸 또는 종양 크기 > 2,000 mm 3로 정의된다. P 값은 로그 랭크 테스트를 사용해 계산한다. P=0.0002
도 3A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레오바이러스 및 믹소마폭스 바이러스 병용이 레오바이러스 단독 또는 믹소마폭스 바이러스 단독 처리에 비해 B16F10 흑색종의 종양 성장 억제에 탁월한 효과가 있었다. 또한, 도 3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vehicle-처리 마우스와 마찬가지로, 레오바이러스 및 믹소마폭스 바이러스 처리한 경우에도, 마우스의 체중, 전체 외관 또는 행동 등 마우스 전신에서 독성 징후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발명에 따른 레오바이러스 및 믹소마폭스 바이러스는 다양한 암의 치료용 조성물 등으로 유용하게 이용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20)

  1.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a) 레오바이러스 및 믹소마폭스 바이러스의 조합물; 또는 (b) (a)로 처리된 생물학적 샘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오바이러스는 야생형 레오바이러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오바이러스는 암 표적화를 위한 치료적 유전자를 발현하거나 약독화된 레오바이러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믹소마폭스 바이러스는 야생형 믹소마폭스 바이러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믹소마폭스 바이러스는 암 표적화를 위해 치료적 유전자를 발현하거나 약독화된 믹소마폭스 바이러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오바이러스는 1X10 4 내지 1X10 7 PFU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믹소마폭스 바이러스는 1X10 4 내지 1X10 7 PFU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오바이러스 및 믹소마폭스 바이러스 조합물에서의 레오바이러스와 믹소마폭스 바이러스 역가비는 1:1 내지 100:1 (레오바이러스 : 믹소마폭스 바이러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학적 샘플은 엑스 비보(ex vivo) 생물학적 샘플에 대해 (a) 레오바이러스, (b) 믹소마폭스 바이러스, (c) (a) 및 (b)의 조합물의 유효량을 적용하여 복수개의 암세포를 사멸시키고자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학적 샘플은 골수 샘플, 지방 유래 줄기세포 샘플 또는 혈액 샘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종양 억제인자 결함 기능을 유지하는 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폐암 또는 위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흑색종, 림프종, 골수종, 골수형성이상증후군(MDS), 적혈구증가증, 골수증식성 질환, 및 백혈병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혈액학적 악성 종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악성 세포 및/또는 양성 세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종양용해성 바이러스 내성 암을 포함하는 난치성 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주사가능한 투여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8.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a) 레오바이러스 및 믹소마폭스 바이러스의 조합물; 또는 (b) (a)로 처리된 생물학적 샘플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의 암을 치료하는 방법.
  19.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a) 레오바이러스 및 믹소마폭스 바이러스의 조합물; 또는 (b) (a)로 처리된 생물학적 샘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치료 용도.
  20. 제1항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 및 조성물에 대한 지시 라벨을 포함하는 키트.
KR1020197008628A 2018-03-16 2019-03-18 암 치료를 위한 레오바이러스 및 믹소마폭스 바이러스의 병용 KR201901093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43904P 2018-03-16 2018-03-16
US62/643,904 2018-03-16
PCT/KR2019/003091 WO2019177438A1 (ko) 2018-03-16 2019-03-18 암 치료를 위한 레오바이러스 및 믹소마폭스 바이러스의 병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379A true KR20190109379A (ko) 2019-09-25

Family

ID=67908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8628A KR20190109379A (ko) 2018-03-16 2019-03-18 암 치료를 위한 레오바이러스 및 믹소마폭스 바이러스의 병용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109379A (ko)
WO (1) WO201917743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03358A1 (ko) * 2021-03-23 2022-09-29 바이로큐어 주식회사 약독화된 레오바이러스 기반의 백신 조성물 및 이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541951A (en) * 2003-03-07 2008-03-28 Robarts Res Inst Use of myxoma virus for the therapeutic treatment of cancer and chronic viral infection
WO2009143468A1 (en) * 2008-05-22 2009-11-26 Uti Limited Partnership Tumor suppressor-based susceptibility of hyperproliferative cells to oncolytic viral therapy
KR20140148339A (ko) * 2013-06-21 2014-12-3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리오바이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신생 억제용 조성물
US11285194B2 (en) * 2014-10-24 2022-03-29 Calidi Biotherapeutics, Inc. Combination immunotherapy approach for treatment of canc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03358A1 (ko) * 2021-03-23 2022-09-29 바이로큐어 주식회사 약독화된 레오바이러스 기반의 백신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77438A1 (ko) 2019-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91884B2 (ja) 新形成の治療用レオウイルス
KR101116858B1 (ko) 암 및 만성적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점액종바이러스의 용도
RU2461630C2 (ru) Применение комбинации вируса миксомы и рапамицина для терапевтического лечения
US10406185B2 (en) Cancer therapy with a parvovirus combined with a BCL-2 inhibitor
JP2010533718A (ja) 腫瘍溶解性ウイルス治療に付随する副作用の処置もしくは改善用医薬の製造における化学治療剤の使用
ZA200203041B (en) Viruses for the treatment of cellular proliferative disorders.
KR20190109379A (ko) 암 치료를 위한 레오바이러스 및 믹소마폭스 바이러스의 병용
KR102093623B1 (ko) 암 치료를 위한 다람쥐폭스 바이러스 및 믹소마폭스 바이러스의 병용
US20230172941A1 (en) Prophylaxis and treatment of pathogenic coronavirus infections
Burton Novel Oncolytic Virotherapies for Cancer
CN117210409A (zh) 一种药物组合及其应用
ZA200506461B (en) Use of myxoma virus for the therapeutic treatment of cancer and chronic viral infection
Syed The Combination of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s and Oncolytic Viruses for the treatment of High-grade Gliom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