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9154A - 생리대 케이스 - Google Patents
생리대 케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09154A KR20190109154A KR1020180031163A KR20180031163A KR20190109154A KR 20190109154 A KR20190109154 A KR 20190109154A KR 1020180031163 A KR1020180031163 A KR 1020180031163A KR 20180031163 A KR20180031163 A KR 20180031163A KR 20190109154 A KR20190109154 A KR 2019010915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body
- case
- corner
- height adjustment
- sanitary napk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3—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 A61F13/5513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before us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7/00—Portable flexible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2013/55195—Packaging for dispensing and dispo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리대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 케이스는, 상면과 하면 및 4개의 측면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2종류 이상의 생리대가 각각의 공간에 수납 가능하도록 분할격벽에 의해 내부가 복수의 독립적인 수납공간으로 분할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4개의 측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되, 상기 각각의 수납공간에 수납된 생리대를 외부로 꺼낼 수 있는 크기로 개방되는 복수의 개방부와, 상기 복수의 개방부가 각각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에 접착되되, 상기 개방부에 인접하여 위치에 접착되는 복수의 커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스 본체의 내부가 격벽에 의해 복수의 수납공간으로 분할됨으로 인하여 다양한 용량의 생리대를 동시에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스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된 개방부를 통해 생리대를 손쉽게 인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스 본체의 내부가 격벽에 의해 복수의 수납공간으로 분할됨으로 인하여 다양한 용량의 생리대를 동시에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스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된 개방부를 통해 생리대를 손쉽게 인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생리대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케이스 본체의 내부가 격벽에 의해 복수의 수납공간으로 분할됨으로 인하여 다양한 용량의 생리대를 동시에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스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된 개방부를 통해 생리대를 손쉽게 인출할 수 있는 생리대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리대는 여성에게 꼭 필요한 제품으로 생리량에 따라 용량별로 소형, 중형, 대형 등으로 구분되어 제작되며, 이러한 생리대는 용량별로 생리대 케이스에 수납되어 판매되고 있는데, 상기 생리대 케이스는 일반적으로 폴리백 재질로 제작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생리대 케이스는 각각 용량별로 제작되어 판매되고 있는 실정인데, 여성 사용자는 생리기간에 핸드백에 적어도 2가지(예:소형과 중형) 이상의 생리대를 가지고 다니게 된다.
이에 따라, 생리기간에는 생리대 케이스에 의해 핸드백 내부의 공간이 협소해져 필요한 만큼 몇개씩 주머니와 같은 보관백에 넣어 휴대하는데, 이러한 보관백은 보통 천과 같은 재질로 제작되어 보관하기도 불편하고, 특히 보관하는 동안 외부에서 먼지 등이 들어가서 생리대를 오염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사무실에서 근무 중 생리대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 여성 사용자는 핸드백을 열고 본인이 원하는 용량의 생리대 케이스를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는데, 경우에 따라 생리대 케이스를 찾는 행동을 비밀스럽고 수치스러워 하는 여성 사용자가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107194호(발명의 명칭:생리대용 보관케이스, 공개일자:2008년 12월 10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스 본체의 내부가 격벽에 의해 복수의 수납공간으로 분할됨으로 인하여 다양한 용량의 생리대를 동시에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스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된 개방부를 통해 생리대를 손쉽게 인출할 수 있는 생리대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 본체 외부에는 케이스 본체를 상하로 접을 수 있도록 높이조절기구가 구비되어 수납공간에 생리대가 얼마 남지 않았을 경우, 케이스 본체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여성 사용자로 하여금 핸드백 내부에 최소한의 부피로 수납할 수 있는 생리대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높이조절기구에 의해 케이스 본체의 높이가 줄어드는 경우, 인출하기 위한 생리대가 수납공간 내에서 항상 일정한 위치로 이동되므로 생리대의 사용 갯수에 따라 수납공간의 일측 구석에 생리대가 끼워져 인출이 번거롭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생리대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기구와 별개로 케이스 본체의 외부를 압박하는 압박밴드가 구비되어 케이스가 측면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케이스 본체의 부피를 최소한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생리대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 케이스는, 상면과 하면 및 4개의 측면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2종류 이상의 생리대가 각각의 공간에 수납 가능하도록 분할격벽에 의해 내부가 복수의 독립적인 수납공간으로 분할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4개의 측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되, 상기 각각의 수납공간에 수납된 생리대를 외부로 꺼낼 수 있는 크기로 개방되는 복수의 개방부와, 상기 복수의 개방부가 각각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에 접착되되, 상기 개방부에 인접하여 위치에 접착되는 복수의 커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에는, 상기 케이스 본체 상면의 4개 모서리 중 제1모서리와 이 제1모서리의 하측에 위치한 상기 케이스 본체 하면의 제1모서리에 걸쳐 상하로 설치되되, 상하로 높이가 조절가능한 제1높이조절기구와, 상기 케이스 본체 상면의 4개 모서리 중 상기 제1모서리와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제2모서리와 이 제2모서리의 하측에 위치한 상기 케이스 본체 하면의 제2모서리에 걸쳐 상하로 설치되되, 상하로 높이가 조절가능한 제2높이조절기구와, 상기 케이스 본체 상면에서 상기 제1높이조절기구와 제2높이조절기구의 상단을 상호 연결시키는 제1연결바아와, 상기 케이스 본체 하면에서 상기 제1높이조절기구와 제2높이조절기구의 하단을 상호 연결시키는 제2연결바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면과 하면 외부에는, 상기 케이스 본체 상면의 4개 모서리 중 상기 제1,2높이조절기구가 설치된 모서리를 제외한 나머지 2개의 모서리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인 제3모서리와 이 제3모서리의 하측에 위치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제3모서리에 걸쳐 상하로 설치되되, 상하로 높이가 조절가능한 제3높이조절기구와, 상기 케이스 본체 상면의 4개 모서리 중 상기 제3모서리와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제4모서리와 이 제4모서리의 하측에 위치한 상기 케이스 본체 하면의 제4모서리에 걸쳐 상하로 설치되되, 상하로 높이가 조절가능한 제2높이조절기구와, 상기 케이스 본체 상면에서 상기 제3높이조절기구와 제4높이조절기구의 상단을 상호 연결시키는 제3연결바아와, 상기 케이스 본체 하면에서 상기 제3높이조절기구와 제4높이조절기구의 하단을 상호 연결시키는 제4연결바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연결바아와 상기 제3연결바아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부에서 서로 교차되고, 상기 제2연결바아와 상기 제4연결바아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하부에서 서로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연결바아에는 상기 제1연결바와 교차되는 지점에 상기 제1연결바아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제1결합홈이 더 포함되고, 상기 제4연결바아에는 상기 제2연결바아와 교차되는 지점에 상기 제2연결바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제2결합홈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높이조절기구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면 모서리에 고정되는 상부 고정브라켓과, 상기 상부 고정브라켓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 본체의 측면에 대하여 하향 연장형성되는 연장부재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하면 모서리에 고정되는 하부 고정브라켓과, 상기 하부 고정브라켓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 본체의 측면에 대하여 상향 연장형성되되, 상기 연장부재가 끼워지는 이동공간이 형성된 끼움부재와, 상기 연장부재를 상하로 관통하여 상기 이동공간의 바닥면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끼움부재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케이스 본체를 압착할 수 있도록 하는 볼트부재가 각각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양측면에 각각 돌출형성되며, 관통공이 형성되는 한 쌍의 날개부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면, 하면 및 양측면을 감싸되, 상기 제1 내지 제4연결바아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압박밴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스 본체의 내부가 격벽에 의해 복수의 수납공간으로 분할됨으로 인하여 다양한 용량의 생리대를 동시에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스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된 개방부를 통해 생리대를 손쉽게 인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 본체 외부에는 케이스 본체를 상하로 접을 수 있도록 높이조절기구가 구비되어 수납공간에 생리대가 얼마 남지 않았을 경우, 케이스 본체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여성 사용자로 하여금 핸드백 내부에 최소한의 부피로 수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높이조절기구에 의해 케이스 본체의 높이가 줄어드는 경우, 인출하기 위한 생리대가 수납공간 내에서 항상 일정한 위치로 이동되므로 생리대의 사용 갯수에 따라 수납공간의 일측 구석에 생리대가 끼워져 인출이 번거롭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기구와 별개로 케이스 본체의 외부를 압박하는 압박밴드가 구비되어 케이스가 측면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케이스 본체의 부피를 최소한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따른 생리대 케이스의 일부가 절개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생리대 케이스에서 생리대가 인출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생리대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생리대 케이스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생리대 케이스의 케이스 본체가 접어진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생리대 케이스의 높이조절기구를 이용하여 케이스가 접어지는 모습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생리대 케이스에서 생리대가 인출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생리대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생리대 케이스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생리대 케이스의 케이스 본체가 접어진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생리대 케이스의 높이조절기구를 이용하여 케이스가 접어지는 모습을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따른 생리대 케이스의 일부가 절개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생리대 케이스에서 생리대가 인출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생리대 케이스는, 케이스 본체(100), 개방부(120) 및 커버(130)가 포함된다.
먼저, 케이스 본체(1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케이스 본체(10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과 하면 및 4개의 측면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된다.
상기와 같은 케이스 본체(100)의 내부에는 생리대(10)가 보관될 수 있도록 수납공간(102)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케이스 본체(100)의 내부에는 분할격벽(101)이 형성되어 복수의 수납공간(102)으로 구획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분할격벽(101)이 1개가 형성되어 수납공간(102)이 2개로 분할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지만, 당업자라면 분할격벽(101)이 2개 이상 형성되어 케이스 본체(100)의 내부가 3개 이상의 수납공간(102)으로 구획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복수의 수납공간(102)은 독립적인 수납공간이며, 예컨대, 1개의 수납공간(102)에는 소형 생리대가 수납되고, 또 다른 1개의 수납공간(102)에는 중형 생리대가 수납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개방부(12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개방부(120)는 케이스 본체(100)의 4개 측면 중 어느 하나에 면에 형성되되, 상기 각각의 수납공간(102)에 수납되어 있는 생리대(10)를 외부로 꺼낼 수 있는 크기로 개방되는 복수의 통공이다.
상기와 같은 개방부(120)는 수납공간(102)과 동일한 개수로 구비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수납공간(102)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생리대(10)의 종류가 혼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방부(120)는 후술할 커버(13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커버(13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커버(130)는 상술한 복수의 개방부(120)를 개폐하는 부재로서, 이러한 커버(130)는 개방부(120)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된다.
상기 커버(130)는 복수의 개방부(120)가 각각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외부에 접착되되, 개방부(120)를 밀폐할 수 있는 충분한 크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커버(130)는 케이스 본체(100)의 외부에서 개방부(120)와 인접한 위치에 접착 및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2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생리대 케이스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생리대 케이스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생리대 케이스의 케이스 본체가 접어진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생리대 케이스의 높이조절기구를 이용하여 케이스가 접어지는 모습을 보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상술한 제1실시예의 케이스 본체(100), 개방부(120) 및 커버(130)를 모두 포함하므로 케이스 본체(100), 개방부(120) 및 커버(13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생리대 케이스에 제1 내지 제4높이조절기구(201, 202, 203, 204)와, 제1 내지 제4연결바아(301, 302, 303, 304), 날개부(140) 및 압박밴드(15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제1 내지 제4높이조절기구(201, 202, 203, 204)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높이조절기구(201, 202, 203, 204)는 모두 동일한 구성을 갖는 부재로서, 이러한 높이조절기구(200)들은 직사각형상을 갖는 케이스 본체(100)의 상면과 하면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된다.
예컨대,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4개의 모서리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를 제1모서리(111), 이 제1모서리(111)와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모서리를 제2모서리(112), 제1모서리(111)와 제2모서리(112)를 제외한 2개의 모서리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를 제3모서리(113), 이 제3모서리(113)와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모서리를 제4모서리(114)라고 한다.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하면도 케이스 본체(100)의 상면과 동일한 패턴으로 제1 내지 제4모서리가 배치되는데, 예컨대, 케이스 본체(100)의 상면에 정의된 각 모서리의 하측에 위치한 케이스 본체(100) 하면의 모서리는 케이스 본체(100) 상면의 제1 내지 제4모서리(114)와 동일한 명칭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제1모서리(111)에는 제1높이조절기구(201)가, 제2모서리(112)에는 제2높이조절기구(202)가, 제3모서리(113)에는 제3높이조절기구(203)가, 제4모서리(114)에는 제4높이조절기구(204)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높이조절기구(200)들은 도 4와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고정브라켓(210), 연장부재(220), 하부 고정브라켓(230), 끼움부재(240) 및 볼트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고정브라켓(210)은 케이스 본체(100)의 상면 모서리에 고정되는 부재이며, 연장부재(220)는 상부 고정브라켓(210)에 일체로 연결되며, 케이스 본체(100)의 측면에 대하여 하향 연장형성되는 부재이다.
또한, 상기 하부 고정브라켓(230)은 케이스 본체(100)의 하면 모서리에 고정되는 부재이며, 끼움부재(240)는 하부 고정브라켓(230)에 일체로 연결되며, 케이스 본체(100)의 측면에 대하여 상향 연장형성되는 부재이다.
상기와 끼움부재(240)에는 연장부재(220)의 하부가 끼워져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공간(241)이 형성된다.
상기 볼트부재(250)는 연장부재(220)를 상하로 관통하여 이동공간(241)의 바닥면에 나사결합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볼트부재(250)의 회전에 의해 끼움부재(240)가 상하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은 볼트부재(250)는 연장부재(220)의 상측에 돌출된 머리부(251)가 좌우로 회전되면, 이러한 볼트부재(250)의 회전에 의해 끼움부재(240)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는데, 볼트부재(250)의 외주면의 나사산은 하측에만 형성되고, 상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민무늬로 제작되어 볼트부재(250)가 연장부재(220)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볼트부재(250)에 의해 끼움부재(240)가 상하로 이동되면, 후술할 연결바아(300)들에 의해 케이스 본체(100)의 외주면이 눌리게 되어 케이스 본체(10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케이스 본체(100)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면 케이스 본체(100)가 접어지면서 부피가 작아지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제1 내지 제4연결바아(301, 302, 303, 304)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연결바아(301, 302, 303, 304)는 상술한 높이조절기구(200)를 상호 연결하여 높이조절기구(200)가 승하강되는 패턴에 의해 동시에 승하강되면서 케이스 본체(100)의 상면과 하면을 가압하는 부재로서,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바아(300)들 중 제1연결바아(301)는 케이스 본체(100)의 상면에서 제1높이조절기구(201)와 제2높이조절기구(202)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고, 제2연결바아(302)는 케이스 본체(100)의 하면에서 제1높이조절기구(201)와 제2높이조절기구(202)의 하단을 서로 연결한다.
또한, 상기 제3연결바아(303)는 케이스 본체(100)의 상면에서 제3높이조절기구(203)와 제4높이조절기구(204)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고, 제4연결바아(304)는 케이스 본체(100)의 하면에서 제3높이조절기구(203)와 제4높이조절기구(204)의 하단을 서로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케이스 본체(100)의 상면에서 높이조절기구(200)들을 서로 연결하는 제1연결바아(301)와 제3연결바아(30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00)의 상면에서 X자 형상으로 교차되는데, 제1연결바아(301)의 상측에 제3연결바아(303)가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제1연결바아(301)의 상측에 제3연결바아(303)가 배치되는 경우, 제3연결바아(303)에는 휘어짐 응력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제3연결바아(303)에는 제1연결바아(301)와 교차되는 지점에 제1연결바아(301)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제1결합홈(20)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4연결바아(304)에는 제2연결바아(302)와 교차되는 지점에 제2연결바아(302)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제2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제1결합홈(305)과 제2결합홈에는 자석(미도시)이 구비되고, 제1연결바아(301)와 제2연결바아(302)에는 금속재질의 금속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자력에 의해 제1연결바아(301)와 제3연결바아(303), 제2연결바아(302)와 제4연결바아(304)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어도 좋을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연결바아(300)들의 연결 및 교차지점의 외부는 후술할 압박밴드(150)에 의해 가압되어 연결바아(300)들이 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날개부(140)와 압박밴드(15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날개부(140)는 케이스 본체(100)의 양측면에 각각 돌출형성되며, 관통공(141)이 형성되는 부재인데, 이러한 관통공(141)에는 압박밴드(150)가 관통한다.
상기 압박밴드(150)는 관통공(141)을 관통하여 케이스 본체(100)의 상면, 하면 및 양측면을 감싸는 고무재질의 부재로서, 상술한 연결바아(300)들의 연결 및 교차지점의 외부를 압박한다.
이에 따라, 상기 압박밴드(150)는 연결바아(300)들의 연결 및 교차지점을 압박하여 케이스 본체(100)를 4개의 면에 걸쳐 압박하여 케이스 본체(100)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연결바아(300)를 압박하여 높이조절기구(200)에 의한 연결바아(300)의 케이스 본체(100) 상면과 하면의 압박시 압박밴드(150)에 의해 적은 힘으로도 효율적인 압박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생리대 케이스의 높이조절기구에 의해 케이스 본체의 부피를 줄이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수납공간(102)에는 2가지 종류(예:소형, 중형)의 생리대가 수납된 상태이며, 제품 구입시에는 수납공간(102)의 내부가 생리대(10)에 의해 빈틈이 없는 상태이다.
사용자는 필요에 의해 원하는 종류의 생리대(10)를 사용하며, 각 수납공간(102)에 보관된 생리대(10)가 절반 이상 사용한 경우로 가정하여 케이스 본체(100)의 부피를 줄이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케이스 본체(100)의 외부를 손으로 가볍게 눌러보아 수납공간(102)의 내부에 비어있는 공간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비어있는 공간이 감지되는 경우 4개의 높이조절기구(201, 202, 203, 204)를 이용하여 케이스 본체(100)의 부피를 조절한다.
이때, 사용자는 개방부(120)를 덮고 있는 커버(130)를 약간만 떼어내어 개방부(120)에서 외부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후, 사용자는 볼트부재(250)의 머리부를 일측(예: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끼움부재(240)를 상승시키는데, 제1 내지 제4높이조절기구(201, 202, 203, 204)를 모두 조절하여 케이스 본체(100)의 부피가 최대한 줄어들게 한다.
상기와 같이 볼트부재(250)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높이조절기구(200)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바아(300)도 상하방향으로 동시에 이동되면서 케이스 본체(100)의 상면과 하면을 압박한다.
상기와 같이 케이스 본체(100)의 상면과 하면을 압박하는 과정에서 케이스 본체(100)의 양측면으로 가압력이 전달되어 양측면에 주름이 잡히거나 양옆으로 불룩하게 변형이 발생될 수 있는데, 압박밴드(150)가 이러한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양측면을 압박한다.
또한, 상기 압박밴드(150)는 연결바아(300)의 외부를 계속해서 압박하여 연결바아(300)의 하강시 손쉽게 하강되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높이조절기구(200)와 압박밴드(150)에 의해 케이스 본체(100)의 상하의 높이 및 부피가 줄어듦으로 인하여 수납공간(102)에 보관 중인 생리대(10)가 분할격벽(101) 측으로 강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생리대(10)가 인출이 용이한 위치로 이동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생리대(10)가 수납공간(102)의 구석에 위치하여 인출이 불편한 문제점을 완벽하게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생리대
100-케이스본체 101-분할격벽
102-수납공간
110-모서리 111-제1모서리
112-제2모서리 113-제3모서리
114-제4모서리
120-개방부 130-커버
140-날개부 141-관통공
150-압박밴드
200-높이조절기구 201-제1높이조절기구
202-제2높이조절기구 203-제3높이조절기구
204-제4높이조절기구
210-상부 고정브라켓 220-연장부재
230-하부 고정브라켓 240-끼움부재
241-이동공간 250-볼트부재
251-머리부
300-연결바아 301-제1연결바아
302-제2연결바아 303-제3연결바아
304-제4연결바아 305-제1결합홈
100-케이스본체 101-분할격벽
102-수납공간
110-모서리 111-제1모서리
112-제2모서리 113-제3모서리
114-제4모서리
120-개방부 130-커버
140-날개부 141-관통공
150-압박밴드
200-높이조절기구 201-제1높이조절기구
202-제2높이조절기구 203-제3높이조절기구
204-제4높이조절기구
210-상부 고정브라켓 220-연장부재
230-하부 고정브라켓 240-끼움부재
241-이동공간 250-볼트부재
251-머리부
300-연결바아 301-제1연결바아
302-제2연결바아 303-제3연결바아
304-제4연결바아 305-제1결합홈
Claims (7)
- 상면과 하면 및 4개의 측면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2종류 이상의 생리대가 각각의 공간에 수납 가능하도록 분할격벽에 의해 내부가 복수의 독립적인 수납공간으로 분할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4개의 측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되, 상기 각각의 수납공간에 수납된 생리대를 외부로 꺼낼 수 있는 크기로 개방되는 복수의 개방부와,
상기 복수의 개방부가 각각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에 접착되되, 상기 개방부에 인접하여 위치에 접착되는 복수의 커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케이스.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에는,
상기 케이스 본체 상면의 4개 모서리 중 제1모서리와 이 제1모서리의 하측에 위치한 상기 케이스 본체 하면의 제1모서리에 걸쳐 상하로 설치되되, 상하로 높이가 조절가능한 제1높이조절기구와,
상기 케이스 본체 상면의 4개 모서리 중 상기 제1모서리와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제2모서리와 이 제2모서리의 하측에 위치한 상기 케이스 본체 하면의 제2모서리에 걸쳐 상하로 설치되되, 상하로 높이가 조절가능한 제2높이조절기구와,
상기 케이스 본체 상면에서 상기 제1높이조절기구와 제2높이조절기구의 상단을 상호 연결시키는 제1연결바아와,
상기 케이스 본체 하면에서 상기 제1높이조절기구와 제2높이조절기구의 하단을 상호 연결시키는 제2연결바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케이스.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면과 하면 외부에는,
상기 케이스 본체 상면의 4개 모서리 중 상기 제1,2높이조절기구가 설치된 모서리를 제외한 나머지 2개의 모서리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인 제3모서리와 이 제3모서리의 하측에 위치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제3모서리에 걸쳐 상하로 설치되되, 상하로 높이가 조절가능한 제3높이조절기구와,
상기 케이스 본체 상면의 4개 모서리 중 상기 제3모서리와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제4모서리와 이 제4모서리의 하측에 위치한 상기 케이스 본체 하면의 제4모서리에 걸쳐 상하로 설치되되, 상하로 높이가 조절가능한 제2높이조절기구와,
상기 케이스 본체 상면에서 상기 제3높이조절기구와 제4높이조절기구의 상단을 상호 연결시키는 제3연결바아와,
상기 케이스 본체 하면에서 상기 제3높이조절기구와 제4높이조절기구의 하단을 상호 연결시키는 제4연결바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케이스.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바아와 상기 제3연결바아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부에서 서로 교차되고,
상기 제2연결바아와 상기 제4연결바아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하부에서 서로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케이스.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3연결바아에는 상기 제1연결바와 교차되는 지점에 상기 제1연결바아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제1결합홈이 더 포함되고,
상기 제4연결바아에는 상기 제2연결바아와 교차되는 지점에 상기 제2연결바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제2결합홈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케이스.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높이조절기구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면 모서리에 고정되는 상부 고정브라켓과,
상기 케이스 본체의 하면 모서리에 고정되는 하부 고정브라켓과,
상기 하부 고정브라켓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 본체의 측면에 대하여 상향 연장형성되되, 볼트체결홈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끼움부재와,
상기 상부 고정브라켓을 관통하여 상기 볼트체결홈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끼움부재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케이스 본체를 압착할 수 있도록 하는 볼트부재가 각각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케이스.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양측면에 각각 돌출형성되며, 관통공이 형성되는 한 쌍의 날개부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면, 하면 및 양측면을 감싸되, 상기 제1 내지 제4연결바아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압박밴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케이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1163A KR102088977B1 (ko) | 2018-03-16 | 2018-03-16 | 생리대 케이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1163A KR102088977B1 (ko) | 2018-03-16 | 2018-03-16 | 생리대 케이스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28130A Division KR102143960B1 (ko) | 2020-03-06 | 2020-03-06 | 생리대 인출이 용이한 생리대케이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9154A true KR20190109154A (ko) | 2019-09-25 |
KR102088977B1 KR102088977B1 (ko) | 2020-03-16 |
Family
ID=68068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31163A KR102088977B1 (ko) | 2018-03-16 | 2018-03-16 | 생리대 케이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88977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93207A (ko) * | 2001-06-07 | 2002-12-16 | 오치돈 | 밀폐수단이 구비된 티슈박스 |
US6601705B2 (en) * | 2001-12-07 | 2003-08-05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Package containing a window and performance characteristic indicator |
KR20080107194A (ko) * | 2007-06-05 | 2008-12-10 | 위경록 | 생리대용 보관케이스 |
KR20150097020A (ko) * | 2014-02-17 | 2015-08-26 | 주식회사크라운제과 | 스틱 과자 상품 인출 창 구조를 갖는 포장 박스 |
-
2018
- 2018-03-16 KR KR1020180031163A patent/KR10208897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93207A (ko) * | 2001-06-07 | 2002-12-16 | 오치돈 | 밀폐수단이 구비된 티슈박스 |
US6601705B2 (en) * | 2001-12-07 | 2003-08-05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Package containing a window and performance characteristic indicator |
KR20080107194A (ko) * | 2007-06-05 | 2008-12-10 | 위경록 | 생리대용 보관케이스 |
KR20150097020A (ko) * | 2014-02-17 | 2015-08-26 | 주식회사크라운제과 | 스틱 과자 상품 인출 창 구조를 갖는 포장 박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88977B1 (ko) | 2020-03-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043481B1 (en) | Shock absorber for cosmetic compact | |
KR101481545B1 (ko) | 화장료 배출판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 |
EP3397125B1 (en) | Pillow | |
KR20190109154A (ko) | 생리대 케이스 | |
KR102143960B1 (ko) | 생리대 인출이 용이한 생리대케이스 | |
KR20180029781A (ko) | 물티슈 용기용 인출브라켓 | |
EP2865608A1 (en) | Flexible container with dispensing opening | |
WO2012001529A2 (en) | Bed sheet with pockets | |
KR102510586B1 (ko) | 화장품 용기 | |
JP2004298257A (ja) | コンパクト容器 | |
KR102465370B1 (ko) | 생리컵 보관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생리컵 조립체 | |
KR101675155B1 (ko) | 식판 보관함 | |
CA2878093A1 (en) |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moist pads in a packaging container for dispensing to the end user | |
JPH10167353A (ja) | 底上げ式収納ケース | |
CA3031743C (en) | Hydration bladder including liquid movement-reducing features | |
CN213832863U (zh) | 一种钛钉、钛板多层组合包装 | |
KR101537283B1 (ko) | 인출구가 구비된 포장상자 | |
KR200412592Y1 (ko) | 화장솜 케이스 | |
CN219468309U (zh) | 一种防尘托盘 | |
CN208710086U (zh) | 一种盒盖推拉式钉盒 | |
JPH0742316Y2 (ja) | 小魚の加工及び販売用容器 | |
CN210794198U (zh) | 高密封性食品包装容器 | |
KR102214453B1 (ko) | 제품을 포장하기 위한 케이스 | |
KR20230140914A (ko) | 튜브 용기 | |
JP3026913B2 (ja) | 包装箱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