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7020A - 스틱 과자 상품 인출 창 구조를 갖는 포장 박스 - Google Patents

스틱 과자 상품 인출 창 구조를 갖는 포장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7020A
KR20150097020A KR1020140018030A KR20140018030A KR20150097020A KR 20150097020 A KR20150097020 A KR 20150097020A KR 1020140018030 A KR1020140018030 A KR 1020140018030A KR 20140018030 A KR20140018030 A KR 20140018030A KR 20150097020 A KR20150097020 A KR 20150097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plate
stick
wing
box
packag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8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4009B1 (ko
Inventor
장완수
윤석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크라운제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크라운제과 filed Critical 주식회사크라운제과
Priority to KR1020140018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4009B1/ko
Publication of KR20150097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7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4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4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0Break-in flaps, or members adapted to be torn-off, to provide pouring op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박스 내에 적재된 스틱 과자 상품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박스는, 상 하부에 날개와 뚜껑을 갖고 내부에 수직 격벽을 구비하여 복수의 수납부를 형성하며, 상기 수납부 하부에 일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슬라이드 판과, 상기 슬라이드 판 일측과 외부가 관통되도록 스틱과자 상품 인출 창이 몸체와 일체형으로 조립 형성된 과자 포장박스를 구성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스틱 과자를 꺼내는 과정에서 부스러지지 않고 빼내는 동시에 최하단에서부터 순서대로 차례로 꺼낼 수 있도록 하는 효과와, 또한, 과자 포장지를 조립시 하나의 몸체로 각 구성부가 이루어져 조립이 간단한 스틱 과자 상품 인출 창 구조를 갖는 포장 박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틱 과자 상품 인출 창 구조를 갖는 포장 박스{Display and drawing slot structure of the packingbox for stick Cake goods}
본 발명은 포장박스 내에 적재 포장된 스틱 과자 상품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박스 내부를 수직으로 복수의 수납부를 형성하고 수납부 하단 바닥부에는 슬라이드 판과 상품 인출 창을 형성하여 상자 내부 적재 포장된 스틱 과자를 하나씩 간단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한 스틱 과자 상품 인출 창 구조를 갖는 포장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자 포장은 과자상품이 개별포장되어 이를 정해진 함량 또는 다수의 개수를 함께 포장하게 되는데 이의 포장은 합성수지 필름지로 이루어진 봉지 포장과 종이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박스 포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캔디, 작은 크기의 과자 등은 봉지 포장이 적합하고, 상품이 쿠크다스와 같이 스틱형태의 포장은 박스 형태로 포장이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와 같이 스틱 과자의 상품은 포장상자가 일정한 형상의 틀을 유지해야 유통과정에서 과자가 파손되지 않게 된다. 이렇게 박스에 포장되는 스틱 과자는 많은 양으로 포장되므로 포장된 과자 박스를 뜯어 과자 박스 내의 과자를 꺼낼 때 처음에는 양이 많아 위에서부터 꺼내게 됨으로 불편함이 없으나 포장박스의 중간부터는 손을 넣어 꺼낼 때 박스 입구와 입구 양측에 형성된 뚜껑 등으로부터 방해를 받기 때문에 많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불편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이 분야의 선행 기술을 살펴 보면, 등록실용신안 공보 제0376366호(등록일자 2005년03월08일)의 포장 박스의 스틱상품 디스플레이 인출구 장치(선행기술이라 함)는, 스틱 타입의 상품 전장을 박스 전폭에 맞추어 포장하도록 제조된 포장용 캐비닛 타입 포장박스(11)와;
포장박스(11)의 전폭 내에 상품(21)의 전장이 걸치도록 제조된 스틱타입 상품(21)과; 캐비닛 타입 포장박스(11)의 일면 저부에 절단 점선으로 설치하여 뜯어 낼 수 있게 설치 한 도어(13)와;
도어(13)를 절단점선을 따라 뜯어내어 포장된 상품을 박스 외부에서 볼 수 있게 하고 동시에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상품을 손으로 집어 박스 밖으로 꺼낼 수 있게 하는 디스플레이 창(14)과;
디스플레이 창 좌우에 상품의 자유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15)를; 포함한 구성이 개시되었다.
상기 선행기술은 스틱형태의 커피믹스를 포장하는 포장박스의 하단부 일면에 디스플레이 창을 형성하고 이의 디스플레이 창은 스틱형태의 상품 길이보다 작게 형성하여 스틱형태의 상품 양측단이 디스플레이 창 양측에 걸리도록 함으로 상품이 디스플레이 창을 통하여 무작위로 쏟아져 외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1에 도시된 선행기술의 포장박스 구조에 스틱과자를 수납하여 한개씩 인출시 발생되는 문제점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포장박스에 단순히 디스플레이 창만 형성한 경우의 선행기술은 박스 내부에 적재된 상품을 꺼낼 수 있도록 한 직사각형 디스플레이 창이 형성된 것으로 상부에서 상품을 꺼내는 것보다 편리성은 있으나, 스틱 과자를 포장할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창을 통하여 꺼내는 과정에서 스틱 과자가 무질서하게 적층 수납된 상태이므로 하나를 당기면 다수 개가 한번에 인출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적층되어 있는 스틱 과자를 꺼낼 때 적층된 맨 아래층에서부터 순차적으로 꺼내지 못하고 디스플레이 창과 근접 위치에 있는 상품만을 빼내게 됨으로 결국 적층된 과자속에서 손에 잡히는 데로 무작위로 꺼내게 됨으로 이 과정에서 스틱과자의 경우 부스러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공보 제037636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포장박스 내부를 수직으로 복수의 수납부를 형성하고 하단부에 슬라이드 판과 상품 인출 창을 형성하여 상자 내부에 적재된 스틱 과자를 최하단부터 순서대로 하나씩 간단 용이하게 뽑아낼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며,
또한, 과자포장 박스를 조립시 오려붙이거나 잘라 조립하지 않고 일체의 몸체로 연결되도록 조립하여 제작이 간단 용이한 스틱 과자 상품 인출 창 구조를 갖는 포장 박스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포장박스는, 상 하부에 날개와 뚜껑을 갖고 내부에 수직 격벽을 구비하여 복수의 수납부를 형성하며, 상기 수납부 하부에 일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슬라이드 판과, 상기 슬라이드 판 일측과 외부가 관통되도록 스틱 과자 상품 인출 창이 몸체와 일체형으로 조립 형성된 과자 포장박스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품 인출 창과 연결 되도록 설치된 슬라이드 판은 제1 경사면과 제2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 내부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된 격벽은 저면에 경사홈부가 형성되어 슬라이드 판의 제1 경사면 및 제2 경사면과 접촉 대응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 판은 양측에 제1 보강리브와 제2 보강리브를 일체로 형성하고 전면에는 제2 경사면에서 연장된 절곡 지지편이 형성되어 포장박스로 조립시 슬라이드판 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장박스의 몸체는 상부뚜껑 양측에 상부 제1 날개와 상부 제2 날개가 형성되고 하부뚜껑 양측에는 하부 제1 날개와 하부 제2 날개로 구성하되 하부 제1 날개와 하부 제2 날개는 각각 수직리브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슬라이드 판 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제1 날개와 하부 제2 날개는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수직리브에 더연장 되도록 바닥접지면이 형성되어 슬라이드 판 저면을 면 접촉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 내부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격벽은 일측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격벽 지지편이 형성되어 격벽을 몸체 전면부 내측에 접착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틱 과자 상품 인출 창은 상부에 인출 제어편을 형성하여 제품이 1개씩 인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틱 과자 상품 인출 창은 입 형상, 동물 입, 마귀 입, 귀신 입 등의 형상을 갖는 케릭터 형상으로 할 수 있으며, 입형상 상부에 이빨이 돌출된 형태의 인출제어편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포장박스 몸체와 상 하부 뚜껑, 날개, 보강 리브 등 각 구성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절곡과 조립하여 포장 박스를 형성함으로 포장박스 제조가 용이하도록 하며, 특히 인출 창측 내부에 형성되는 상품 슬라이드 판 이 경사부로 이루어져 적재된 스틱 과자 상품을 저부에서 하나씩 간단 용이하게 당겨 뽑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포장박스 내부를 수직으로 복수의 수납부를 형성하고 하단부에 경사면을 갖는 슬라이드 판과 상품 인출 창을 형성하여 상자 내부에 적재 포장된 스틱 과자를 세로 방향에서 하나씩 간단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함으로 스틱 과자를 꺼내는 과정에서 부스러지지 않고 빼내는 동시에 최하단에서부터 순서대로 차례로 꺼낼 수 있도록 하는 효과와, 또한, 과자 포장지를 조립시 하나의 몸체로 각 구성부가 이루어져 조립이 간단한 스틱 과자 상품 인출 창 구조를 갖는 포장 박스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스틱형 커피믹서 포장박스를 나타낸 사시도 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스틱 과자를 포장할 수 있도록 한 포장 박스 사시도 이며,
도3은 상기 도2의 종단면도 이며,
도4는 상기 도2의 포장박스 횡단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슬라이드 판 측 구성부를 발취한 단면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과자 포장상자 전개도 이며,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로서 슬라이드 판지지 구성부를 나타낸 일부 발취 단면도이며,
도8은 상기 도7에 따른 포장박스 몸체 전개도이며,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슬라이드 판지지 구성부를 나타낸 일부 발취 단면도이며,
도10은 상기 도9에 따른 포장박스 몸체 전개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과자 포장상자 저면에 받침 다리를 형성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12는 상기 도11에 다른 포장박스 몸체 전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의 스틱 과자를 포장할 수 있도록 한 포장 박스 사시도 이며,도3은 상기 도2의 종단면도 이고, 도4는 상기 도2의 포장박스 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스틱 과자 포장박스(1)는 통상의 종이 또는 합성수지 재질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스틱 과자 포장 박스(1) 몸체(2)는 직육면체로 지루어지고, 몸체(2) 상 하부에 날개와 상 하부뚜껑을 형성하여 통상의 상자 뚜껑과 같이 닫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부 뚜껑(3)의 좌 우측에는 상부 제1 날개(4)와 상부 제2 날개(5)를 형성하여 상부 뚜껑(3)을 닫을 때 좌 우측에 구비된 상부 제1 날개(4)와 상부 제2 날개(5)를 절곡한 후 상부 뚜껑 절곡편(3')을 몸체(2) 입구에 끼워 상부 뚜껑(3) 닫을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 뚜껑(6) 역시 좌 우측의 하부 제1 날개(7)와 하부 제2 날개(8)를 절곡한 후 하부 뚜껑 절곡편(6')을 절곡시켜 몸체(2)의 저면에서 상부로 끼우면 하부뚜껑(6)을 닫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부 뚜껑(3)과 하부 뚜껑(6)을 닫으면 직사각형 기둥의 직육면체 포장박스가 형성된다.
상기 포장박스(1) 내부 중앙에는 수직으로 격벽(10)이 설치되어 복수의 수납부(20)를 형성한다.
상기 수납부(20)의 하부에는 일측으로 경사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슬라이드 판(11)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판(11)은 일측부가 외부와 관통되도록 하여 상품 인출 창(9)을 형성한다.
상기 상품 인출 창(9)은 슬라이드 판(11)의 경사면 하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품 인출 창(9)은 도2와 같이 입 형상으로 하되 상부 중앙에 이빨 형상을 하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스틱 과자 상품(30)을 뽑아낼 때 2개가 한번에 빠지지 않고 하나씩 인출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스틱 과자 상품 인출 창은 상부에 인출 제어편(9')을 형성하여 제품이 1개씩 인출되도록 한다.
상기 스틱 과자 상품 인출 창은 입 형상, 동물 입, 마귀 입, 귀신 입 등의 형상을 갖는 케릭터 형상으로 할 수 있으며, 입 형상 상부에 이빨이 돌출된 형태의 인출제어편(9')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틱 과자 상품 인출 창(9)의 형상은 포장박스 제조시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조된다.
상기 슬라이드 판(11)에 형성되는 경사부는 제1 경사면(12)과 제2 경사면(13)으로 이루어지며 제1 경사면(12)은 안쪽에 위치하며 제2 경사면(13)은 상품 인출 창(9)측에 위치하며 제1 경사면(12) 보다 경사각이 더 하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한다.
상기 슬라이드 판(11)과 제1 경사면(12) 및 제2 경사면(13)은 일체로 형성되며 제1 경사면(12)과 제2 경사면(13) 사이는 절곡 선이 형성되어 자연스럽게 절곡된다.
또한 본 발명의 포장 박스 몸체(2) 내부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된 격벽(10)은 저면에 경사홈부(10b)가 형성되어 슬라이드 판(11)의 제1 경사면(12)과 제2 경사면(13)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면 격벽(10)의 저면 경사홈부(10b)는 슬라이드 판(11)의 1 경사면(12)과 제2 경사면(13)에 접촉 대응되어 슬라이드 판(11)을 상부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슬라이드 판 측 구성부를 발취한 단면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과자 포장상자 전개도 이다.
본 발명의 포장박스(1)는 제조시 먼저 원단에 도 6과 같은 전개도를 도안한 후 이를 절개 및 절단하여 점선을 따라 절곡하여 조립하도록 한다.
상기 도6과 같이 형성된 전개도를 점선을 따라 절곡한 후 서로 만나는 부분에만 접착제를 이용하여 붙이면 간단 용이하게 과자 포장 박스를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포장박스 내에 적재된 스틱형상의 과자 상품이 슬라이딩 되어 간단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드 판(11)은 복수의 수납부(20) 하부의 격벽(10) 저면에 위치하고 저부의 하부뚜껑(6)과는 소정의 거리로 이격된 상태이므로 슬라이드 판과 하부뚜껑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 판 하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부 복수의 수납부(20)에 스틱 형상의 과자를 수납하면 슬라이드 판(11)이 과자의 하중에 의해 처지는 현상이 발생됨으로 본 발명에서는 이를 방지 하기 위해 포장박스 몸체(2)의 배면부(2b)가 하단으로 더 연장되도록 하여 연결부(14), 슬라이드 판(11), 절곡지지편(17)이 형성되도록 하되 슬라이드 판(11) 제1 경사면(12) 양측으로 제1 보강리브(15)와 제2 보강리브(16)를 형성한다.
상기 제1 보강리브(15)와 제2 보강리브(16) 및 절곡 지지편(17)은 포장박스(1)를 조립시 슬라이드 판(11) 양측 저면과 저부 전면에 위치하여 슬라이드 판(11)을 지지하는 역할을 함으로 슬라이드 판(11)에 스틱 과자 상품(30)의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처지지 않고 경사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포장박스(1) 몸체(2) 내부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격벽(10)은 일측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격벽 지지편(10a)이 형성되어 격벽(10)을 몸체(2) 전면부(2a) 내측 벽에 접착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격벽(10)을 견고히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로서 슬라이드 판 지지구성부를 나타낸 일부 발취 단면도이고, 도8은 상기 도7에 따른 포장박스 몸체 전개도로서, 본 발명의 포장 박스의 슬라이드 판(11) 구조를 다른 실시 예로 한 것이다.
즉, 도8의 전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포장 박스(1)의 몸체(2) 좌측부(2b)와 우측부(2c) 하단에 형성된 하부 제1 날개(7)와 하부 제2 날개(8) 단부가 더 연장되도록 각각 수직리브(7')(8')를 형성하여 조립시 하부 제1 날개(7)와 하부 제2 날개(8)는 하부뚜껑(6)과 같이 수평방향으로 절곡되고 각각의 수직리브(7')(8')는 하부 제1날개(7)와 하부 제2날개(8) 단부에서 절곡되어 슬라이드 판(11) 저면과 수 직선상에 접촉되어 슬라이드 판(11)을 저부에서 기둥과 같이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슬라이드 판 지지구성부를 나타낸 일부 발취 단면도이며, 도10은 상기 도9에 따른 포장박스 몸체 전개도로서, 상기 도7, 도8과 동일한 구성으로서 수직리브(7')(8')에 바닥접지면(7a)(8a)이 더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즉, 포장 박스(1)의 몸체(2) 좌측부(2b)와 우측부(2c) 하단에 형성된 하부 제1 날개(7)와 하부 제2 날개(8)에 더 연장되도록 각각 수직리브(7')(8')를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수직리브(7')(8')에 더 연장되도록 바닥접지면(7a)(8a)을 각각 형성하여 조립하였을 때 수직리브(7')(8')는 슬라이드 판(11) 저면을 수직선상 지지하고 바닥접지면(7a)(8a)은 수직 리브(7')(8')에서 절곡되어 슬라이드 판(11) 저면에 접착고정되어 슬라이드 판(11)과 수직 리브를 고정토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포장박스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 인출 창(9)과 격벽(10)을 제외한 모든 점선은 포장박스(1)를 조립시 절곡하기 위한 선으로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점선으로 표기된 절곡선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과자 포장상자 저면에 받침 다리를 형성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12는 상기 도11에 다른 포장박스 몸체 전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롤 설명되는 도11 및 12의 포장박스(1)는, 상부에 상부 제1날개(4)와 상부 제2날개(5)를 양측에 구비한 상부뚜껑(3)을 형성한다.
또한 포장박스(1)의 하부에는 하부 제1날개(7)와 하부 제2날개(8)을 양측에 구비한 하부 날개(6)를 형성한다.
상기 포장박스(1)의 몸체(2) 내부에는 수직 격벽(10)을 구비하여 포장박스로 조립하였을 때 복수의 수납부(20)를 형성하되, 상기 복수의 수납부(20)는 하부에 일측으로 경사지도록 슬라이드 판(11)을 형성하여 수납부에 수납 적재된 스틱 과자 상품이 상품 인출창(9)으로 하나씩 인출되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드 판(11) 일측과 외부가 관통되도록 형성된 상품 인출 창(9)은 수납부에 적재된 스틱과자 상품이 상품 인출창(9)를 통하여 1개씩 인출되도록 상품인출 창 상부 중앙에 인출 제어편(9')을 형성하여 이출되는 상품이 한번에 2개씩 인출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장박스 저면에 다수의 받침 다리(40)를 형성하기 위해 하부 제1날개(7)와 연결부(14) 사이와 하부 제1날개(7)와 하부뚜껑(6)이 만나는 부분에 절결선(41)을 형성하고, 하부 제2날개(8)와 하부뚜껑(6) 사이와 하부 제2 날개(8)와 간격유지부(10c) 사이에 절결선(41)을 형성하여 전개도를 접어 포장박스(1)로 조립하였을 때 저면 모서리 4곳에 받침다리(40)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스틱 형태의 과자인 쿠키다스 상품과 같은 형태의 과자를 본 발명의 포장박스(1)의 수납부에 적층시켜 포장하여 유통시키면 유통과정에서 발생되는 흔들림과 운반자의 취급 부주의에 의해 약간의 충격이 발생되더라도 과자가 파손되지않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소비자는 본 발명의 포장박스에 포장된 과자를 구입한 후에는 전면 하단에 형성된 상품 인출 창(9)에 붙어있는 절취선부분의 몸체를 떼어내면 상품 인출 창(9)이 형성되어 하단부에 위치한 스틱 과자 상품(30) 일측 단부가 노출되며, 슬라이드 판(11)이 제1 경사면(12)과 제2 경사면(13)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제2 경사면(13)이 제1 경사면(12) 보다 더 아래로 기울기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제2 경사면(13)에 위치한 스틱 과자 상품의 일측 단부는 공중에 떠있는 상태가 됨으로 소비자가 손으로 잡아 당기기 용이하도록 적재된다.
따라서 소비자는 스틱과자 제품을 하단부에서부터 차례로 간단 용이하게 뽑아 먹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과자포장 박스를 조립시 오려붙이거나 잘라 조립하지 않고 일체의 몸체로 연결되도록 전개도를 형성하여 절곡선을 따라 조립하게 됨으로 포장박스의 조립이 간단 용이하도록 한 스틱 과자 상품 인출 창 구조를 갖는 포장 박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포장박스 2:몸체
3:상부뚜껑 4:상부 제1 날개
5:상부 제2 날개 6:하부뚜껑
7:하부 제1 날개 8:하부 제2 날개
9:제품 인출창 10:격벽
11:슬라이드판 12:제1 경사면
13:제2 경사면 14:연결부
15:제1 보강리브 16:제2 보강리브
17:절곡편 20: 수납부
30:스틱 과자 제품 40:받침다리
41:절결선

Claims (8)

  1. 포장박스(1)는,
    상 하부에 날개와 뚜껑을 갖고 내부에 수직 격벽(10)을 구비하여 복수의 수납부(20)를 형성하며, 상기 수납부(20) 하부에 일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슬라이드 판(11)과, 상기 슬라이드 판(11) 일측과 외부가 관통되도록 스틱 과자 상품 인출 창(9)이 몸체(2)와 일체형으로 조립 형성된 과자 포장박스를 특징으로 하는 스틱 과자 상품 인출 창 구조를 갖는 포장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인출 창(9)과 연결 되도록 설치된 슬라이드 판(11)은 제1 경사면(12)과 제2 경사면(1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 과자 상품 인출 창 구조를 갖는 포장 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내부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된 격벽(10)은 저면에 경사홈부(10b)가 형성되어 슬라이드 판(11)의 제1 경사면(12) 및 제2 경사면(13)과 접촉 대응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 과자 상품 인출 창 구조를 갖는 포장 박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판은 양측에 제1 보강리브(15)와 제2 보강리브(16)를 일체로 형성하고 전면에는 제2 경사면(13)에서 연장된 절곡 지지편(17)이 형성되어 포장박스로 조립시 슬라이드 판(11) 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 과자 상품 인출 창 구조를 갖는 포장 박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박스의 몸체는 상부뚜껑(3) 양측에 상부 제1 날개(4)와 상부 제2 날개(5)가 형성되고 하부뚜껑(6) 양측에는 하부 제1 날개(7)와 하부 제2 날개(8)로 구성하되 하부 제1 날개(7)와 하부 제2 날개(8)는 각각 수직 리브(7')(8')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슬라이드 판(11) 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 과자 상품 인출 창 구조를 갖는 포장 박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제1 날개와 하부 제2 날개는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수직 리브(7')(8')에 더 연장 되도록 바닥접지면(7a)(8a)이 형성되어 슬라이드 판(11) 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 과자 상품 인출 창 구조를 갖는 포장 박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내부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격벽(10)은 일측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격벽 지지편(10a)이 형성되어 격벽(10)을 몸체(2) 전면부(2a) 내측에 접착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 과자 상품 인출 창 구조를 갖는 포장 박스.
  8. 포장박스(1)는, 상부에 상부 제1날개(4)와 상부 제2날개(5)를 양측에 구비한 상부뚜껑(3)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하부 제1날개(7)와 하부 제2날개(8)을 양측에 구비한 하부 날개(6)를 형성하며, 상기 포장박스(1)의 몸체(2) 내부에는 수직 격벽(10)을 구비하여 복수의 수납부(20)를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수납부(20)는 하부에 일측으로 경사지도록 슬라이드 판(11)을 형성하며, 상기 슬라이드 판(11) 일측과 외부가 관통되도록 인출 제어편(9')을 갖는 스틱 과자 상품 인출 창(9)이 몸체(2)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제1날개(7)의 양측과 하부 제2날개(8)의 양측에 절결선(41)을 형성하여 포장박스(1)로 조립하였을 때 저면 모서리 4곳에 받침다리(40)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 과자 상품 인출 창 구조를 갖는 포장 박스.
KR1020140018030A 2014-02-17 2014-02-17 스틱 과자 상품 인출 창 구조를 갖는 포장 박스 KR101554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030A KR101554009B1 (ko) 2014-02-17 2014-02-17 스틱 과자 상품 인출 창 구조를 갖는 포장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030A KR101554009B1 (ko) 2014-02-17 2014-02-17 스틱 과자 상품 인출 창 구조를 갖는 포장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7020A true KR20150097020A (ko) 2015-08-26
KR101554009B1 KR101554009B1 (ko) 2015-09-17

Family

ID=54059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8030A KR101554009B1 (ko) 2014-02-17 2014-02-17 스틱 과자 상품 인출 창 구조를 갖는 포장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40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9154A (ko) * 2018-03-16 2019-09-25 주식회사 엠뷰글로벌 생리대 케이스
WO2020017735A1 (ko) * 2018-07-16 2020-01-23 씨제이제일제당 (주) 포장상자와 물품 디스펜서
KR20200032673A (ko) * 2020-03-06 2020-03-26 김동욱 생리대 인출이 용이한 생리대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676B1 (ko) 2020-02-19 2020-06-16 씨제이제일제당(주) 포장 박스를 접는 시스템
KR102134337B1 (ko) 2020-02-19 2020-07-15 씨제이제일제당(주) 포장 박스로부터 물품을 인출하는 인출 시스템
KR102119679B1 (ko) 2020-02-19 2020-06-08 씨제이제일제당(주) 물품으로부터 포장 필름을 제거하는 시스템
KR102158643B1 (ko) 2020-02-19 2020-09-22 씨제이제일제당(주) 포장 박스를 뒤집는 반전 시스템
KR102137935B1 (ko) 2020-02-19 2020-07-27 씨제이제일제당(주) 포장 박스로부터 물품을 인출하는 인출 시스템
KR102156351B1 (ko) 2020-02-19 2020-09-15 씨제이제일제당(주) 포장 박스로부터 인출되는 물품을 정렬하는 정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27045B2 (ja) * 1999-04-14 2005-12-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収納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9154A (ko) * 2018-03-16 2019-09-25 주식회사 엠뷰글로벌 생리대 케이스
WO2020017735A1 (ko) * 2018-07-16 2020-01-23 씨제이제일제당 (주) 포장상자와 물품 디스펜서
KR20200032673A (ko) * 2020-03-06 2020-03-26 김동욱 생리대 인출이 용이한 생리대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4009B1 (ko) 2015-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4009B1 (ko) 스틱 과자 상품 인출 창 구조를 갖는 포장 박스
US10737874B2 (en) Multi-piece dispenser for use with a consumable product
US10167107B2 (en) Container or set of containers
US1840439A (en) Package for displaying and dispensing merchandise
US2774470A (en) Dispensing carton for pills or other small articles
US2638210A (en) Display box for decorated easter eggs
KR101504901B1 (ko) 제품 인출이 용이하도록 제품 받침대가 형성된 포장박스
TWI526370B (zh) 人造指甲展示包裝結構
JP3196778U (ja) スティック状包装品用トレー
US1989806A (en) Packet dispensing device
DE102019134856B3 (de) Kartonverpackung für Flüssigkeiten
US720345A (en) Display-package.
US20020148849A1 (en) Gravity feed product dispenser
US2725978A (en) Display container
US3899118A (en) Self-dispensing dispenser
US2210251A (en) Holder for confections
US3338392A (en) Combination shipping and display box
US9580232B1 (en) Food dispensing caddy
JP6415733B2 (ja) 作り付けハンガーを有するストリップパックのための展示可能な外装容器
KR200357055Y1 (ko) 과자상자용 진열 및 판매 랙
AU2015200454B2 (en) Multi-piece dispenser for use with a consumable product
RU64866U1 (ru) Упаковка для табачных изделий
IT201800006940A1 (it) Scatola per il trasporto di una torta componibile
KR20140039901A (ko) 손잡이가 형성된 피자박스
KR20110011426U (ko) 쿠키 포장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