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9140A - 고실 내 약물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실 내 약물 공급 방법 - Google Patents

고실 내 약물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실 내 약물 공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9140A
KR20190109140A KR1020180031124A KR20180031124A KR20190109140A KR 20190109140 A KR20190109140 A KR 20190109140A KR 1020180031124 A KR1020180031124 A KR 1020180031124A KR 20180031124 A KR20180031124 A KR 20180031124A KR 20190109140 A KR20190109140 A KR 20190109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canopy
container
tympanic
tub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8944B1 (ko
Inventor
김소영
Original Assignee
의료법인 성광의료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료법인 성광의료재단 filed Critical 의료법인 성광의료재단
Priority to KR1020180031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944B1/ko
Publication of KR20190109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A61M31/002Devices for releasing a drug at a continuous and controlled rate for a prolonged period of ti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61M2039/0261Means for anchoring port to the body, or ports having a special shape or being made of a specific material to allow easy implantation/integration i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62Ea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syc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면이 곡면 형상을 가지며, 약물을 저장할 수 있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기 일면에 연결되며, 상기 약물을 정원창(round window)으로 이송할 수 있는 튜브부와, 상기 튜브부의 단부에 결합되며, 달팽이관에 안착되어 정원창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캐노피부를 구비하는, 고실 내 약물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실 내 약물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실 내 약물 공급 방법{Intratympanic drug delivery device and intratympanic drug delivery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고실 내 약물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실 내 약물 공급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고실 내에 반복적으로 용이하게 약물을 공급할 수 있는 고실 내 약물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실 내 약물 공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난청 인구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이러한 난청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만성적인 소음으로 인해 내이(inner ear)가 손상되는 것이다. 산업이 고도화됨에 따라, 현대인은 차량, 비행기, TV, 라디오, 청소기 등과 같이 소음을 배출하는 환경에 노출되기 쉽다. 이와 같이 소음에 장기간 반복적으로 노출되게 되면 청각기관, 특히 내이(inner ear)가 손상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또 다른 원인으로는, 노인인구의 증가를 꼽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노화로 인해 다른 신체기관과 마찬가지로 청각기관 또한 노쇠해진다. 따라서, 평균 수명이 길어져 노인인구가 증가하게 되면서 자연히 난청 환자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난청 환자의 치료를 위해 다양한 치료법들이 개발되어 왔는데, 그 중 보청기 착용과 인공 와우 이식술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보청기 착용의 경우, 청력을 더욱 손실시키거나 청력 손실정도가 70~90dB인 고도 난청 환자 또는 90dB 이상인 심도 난청 환자에게는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인공 와우 이식술의 경우 정원창(round window)을 천공하여 달팽이관(와우) 내로 전극을 삽입하기 때문에 이러한 삽입 과정에서 청력 손실 등의 위험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의 치료법들 외에 달팽이관 내에 약물을 주입하는 약물 치료법이 각광받고 있는데, 이때 정원창으로 약물을 공급하기 위해 고막을 천공하는 과정이 수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약물을 주입할 때마다 고막을 천공하는 작업을 반복하는 경우, 마취 시술이 선행되어야 하므로 상당히 번거로울 뿐 아니라, 고막을 천공하는 과정에서 환자에게 트라우마(trauma)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고막에 마이크로윅(microwick)을 관통시켜 약물을 공급하게 되면, 이 마이크로윅을 통하여 감염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실 내에 반복적으로 용이하게 약물을 공급할 수 있는 고실 내 약물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실 내 약물 공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면이 곡면 형상을 가지며, 약물을 저장할 수 있는 용기, 상기 용기의 상기 일면에 연결되며, 상기 약물을 정원창(round window)으로 이송할 수 있는 튜브부 및 상기 튜브부의 단부에 결합되며, 달팽이관에 안착되어 정원창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캐노피부를 구비하는, 고실 내 약물 공급 장치가 제공된다.
외이(outer ear) 측에 배치되며 상기 용기 내에 약물을 주입하는 주입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주입부는 깔때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캐노피부는 상기 튜브부가 고실 내에 삽입될 시 정원창을 덮도록 펼쳐질 수 있다.
상기 캐노피부는 상기 튜브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펼쳐질 수 있다.
상기 캐노피부의 달팽이관에 안착된 가장자리에 접착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일면이 곡면 형상을 갖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기 일면에 연결된 튜브부와, 상기 튜브부의 단부에 결합된 캐노피부를 구비하는 고실 내 약물 공급 장치를 외이도(outerear canal) 내부로 삽입하는 단계, 고막의 천공된 홀에 상기 튜브부를 통과시켜 상기 용기의 상기 일면을 상기 고막에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상기 용기 내에 저장된 약물을 상기 튜브부를 통해 정원창(round window)으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고막에 접촉시키는 단계는, 상기 튜브부가 고실 내에 삽입될 시 상기 캐노피부가 달팽이관에 안착되어 정원창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펼쳐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실 내 약물 공급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정원창으로 이송하는 단계는, 외이(outer ear) 측에 배치된 주입부를 통해 상기 용기 내로 약물을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막에 접촉시키는 단계는, 상기 튜브부 내에 삽입된 카테터를 이용하여 상기 고막을 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막에 접촉시키는 단계는, 상기 카테터를 이동시켜 상기 튜브부의 상기 단부를 상기 정원창 측으로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원창 측으로 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고막을 천공하는 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주입부는 깔때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정원창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펼쳐지는 단계는, 상기 캐노피부는 상기 튜브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펼쳐지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캐노피부의 달팽이관에 안착된 가장자리에 접착부재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실 내에 약물을 투여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청각기관의 손상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매 회 고막을 천공하지 않고도 고실 내에 반복적으로 약물을 공급할 수 있으며, 고막 천공 시 환자가 겪을 수 있는 트라우마(trauma)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감염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실 내 약물 공급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고실 내 약물 공급 장치를 이용하여 약물을 공급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1의 고실 내 약물 공급 장치를 귀 내에 설치하여 고실 내에 약물을 공급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실 내 약물 공급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고실 내 약물 공급 장치를 이용하여 약물을 공급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실 내 약물 공급 장치(1)는 용기(100), 튜브부(200) 및 캐노피부(300)를 구비한다.
용기(100)는 고막 내면에 안착되는 부재로, 귀 내에 설치 시 고막 측에 위치하게 되는 제1 면(S1) 및 제1 면(S1)의 반대면인 제2 면(S2)을 갖는다. 이때 제1 면(S1)은 고막 내면과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용기(100) 내에는 약물(D)이 저장될 수 있는데, 이러한 약물(D)은 스테로이드, 젠타마이신 등일 수 있으며, 그 외 돌발성 난청, 메니에르 환자 등에게 투여할 수 있는 약물이 용기(100)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용기(100)는 귀 내 삽입이 용이하도록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약물(D)에 대한 내화학성을 가지며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형성될 필요가 있다.
용기(100)의 제1 면(S1)에는 튜브부(200)가 연결된다. 튜브부(200)는 용기(100)에 저장된 약물(D)을 고실 내 타겟(target) 위치로 이송하는 부재로, 튜브부(200)의 길이방향으로 이송된 약물(D)은 튜브부(200)의 단부에 위치한 개방된 팁(200t)을 통해 상기 타겟(target) 위치를 향해 배출된다.
상기 타겟 위치는 정원창(round ear)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튜브부(200)는 대략 고막으로부터 정원창까지의 거리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게 된다.
물론 상기 타겟 위치는 정원창 외의 다른 청각기관일 수 있으며, 상기 타겟 위치가 어디인지에 따라 튜브부(200)의 길이가 달라지게 된다. 아울러, 상기 타겟 위치로의 약물 투여량 및 투여속도가 얼마인지에 따라 튜브부(200)의 폭 또한 달라지게 된다.
튜브부(200)의 팁(200t) 측에는 캐노피부(300)가 결합된다. 캐노피부(300)는 귀 내 설치 시 정원창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며, 이때 캐노피부(300)가 정원창 주위의 달팽이관에 안착되어 고실 내 약물 공급 장치(1)를 지지하게 된다. 이로써 튜브부(200)의 팁(200t)을 통해 배출된 약물(D)이 정원창에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캐노피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 있다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질 수 있다. 즉, 캐노피부(300)가 고실 내에 삽입되는 중간에는 삽입 작업이 용이하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 있게 되며, 이후 튜브부(200)의 팁(200t)이 달팽이관 쪽에 도달하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노피부(300)가 펼쳐지면서 달팽이관에 안착되게 된다.
이때 캐노피부(300)가 접혀 있다 펼쳐지는 과정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캐노피부(300)가 일시적으로 접혀 있는 상태에 있다가 고실 내에 삽입된 이후 기구적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접힘이 해제되어 펼쳐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캐노피부(300)는 튜브부(200)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펼쳐질 수 있으며, 이로써 둥근 형상을 갖는 정원창의 주변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캐노피부(300)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캐노피부(300)의 가장자리에 접착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는, 예컨대 접착테이프일 수도 있고, 또는 접착제가 도포된 것일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캐노피부(300)는 접혀 있다 펼쳐지는 형태일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별도의 공기 주입 등을 통해 캐노피부(300)의 부피가 팽창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캐노피부(300)의 중심에서 가장자리까지 연장된 리브(rib)가 캐노피부(300)에 구비되어, 우산과 같이 캐노피부(300)의 접힘 및 펼침 동작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환자마다 고막으로부터 정원창까지의 거리가 상이하므로, 캐노피부(300)가 펼쳐지는 정도를 조절하여 캐노피부(300)를 달팽이관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캐노피부(300)의 펼침 단계를 여러 단계로 세분화하거나, 캐노피부(300)에 주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방식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고실 내 약물 공급 장치(1)를 귀 내에 설치하는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1의 고실 내 약물 공급 장치를 귀 내에 설치하여 고실 내에 약물을 공급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먼저 용기(100), 튜브부(200) 및 캐노피부(300)를 구비한 고실 내 약물 공급 장치를 외이도(9) 내부로 삽입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때 용기(100)의 크기 및 형상은 외이도(9) 내부로 삽입 가능하도록 적절한 크기 및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용기(100)의 재질 또한 삽입의 용이성을 위해 유연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막(10)에 형성된 홀(H)에 튜브부(200)를 통과시키게 된다. 따라서, 튜브부(200)가 고막(10)을 관통하여 고실(10C)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고막(10)을 천공하는 작업이 수반되어야 한다. 이러한 고막(10) 천공 작업은 환자를 마취한 후 수행하게 되는 고난도 작업이므로, 그 작업 횟수를 최대한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 튜브부(200)에 카테터(CA)를 삽입하여 고막(10) 천공 작업에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튜브부(200) 내에 삽입된 카테터(CA)를 가압하여 고막(10)에 홀(H)을 형성한다. 이러한 천공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카테터(CA)의 팁(CAt)은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단계에서는 카테터(CA)와 튜브부(200)가 함께 천공된 홀(H)을 통과하게 되며, 이때 튜브부(200)가 고막(10)의 홀(H)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튜브부(200) 단부에 결합된 캐노피부(300)가 접히거나 오므라진 상태에 있게 된다.
물론, 상기와 같이 카테터(CA)를 이용하는 것 외에도 다양한 방식에 의해 고막(10)이 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카테터(CA)를 이용하는 대신에, 고실 내 약물 공급 장치를 귀 내에 설치하기 전에 미리 고막(10)을 천공해 둘 수도 있다.
이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부(200)에 카테터(CA)를 삽입한 상태에서 카테터(CA)를 정원창(RW)을 향해 이동시키는 한편, 용기(100)의 일면을 고막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거친다. 이 단계에서 튜브부(200)가 카테터(CA)와 함께 이동함에 따라 튜브부(200)의 단부는 정원창(RW) 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때 고실 내 약물 공급 장치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서 용기(100)가 고막(10)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용기(100)의 고막(10)을 향하는 제1 면은 곡면 형상을 갖게 된다. 또한,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용기(100)가 고막(10)으로부터 일탈하지 않도록, 용기(100)를 외이도(9)의 저면에 접촉시켜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튜브부(200)를 통과시키는 홀(H)을 고막(10)의 하부 측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단계에서 튜브부(200)의 팁(tip)이 정원창(RW)에 도달할 시 튜브부(200)의 단부에 결합된 캐노피부(300)가 정원창(RW)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펼쳐지면서 달팽이관에 안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캐노피부(300)가 달팽이관에 안착함으로써 캐노피부(300) 또한 고실 내 약물 공급 장치의 안정적인 지지를 돕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캐노피부(300)가 둥근 형상을 갖는 정원창의 주변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캐노피부(300)는 튜브부(200)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펼쳐질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안착 효과를 높이기 위해, 캐노피부(300)의 가장자리에는 접착테이프 부착이나 접착제 도포 등의 방식으로 접착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캐노피부(300)가 접혀 있다 펼쳐지는 과정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캐노피부(300)는 튜브부(200)에 비교적 약하게 결합되어 있다가, 고막(10)의 천공된 홀(H)을 통과한 이후 그 결합이 해제되면서 펼쳐지거나 팽창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결합 해제의 방식은 홀(H) 통과 시의 진동 등에 의해 결합력이 약화된 것일 수도 있고, 우산에서와 같이 캐노피부(300) 또는 튜브부(200)에 구비된 버튼 등이 눌려져 결합이 해제된 것일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캐노피부(300) 또는 튜브부(200)에 마이크로 센서가 구비되어, 정원창(RW)에 근접할 시 캐노피부(300)가 펼쳐지거나 팽창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케 하는 것일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캐노피부(300)를 달팽이관에 안착시킨 이후, 카테터(CA)는 외이도(9) 외측으로 인출되어 제거될 수 있다.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0)에 주입부(90)를 연결하여 용기(100) 내에 약물을 주입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즉, 용기(100)의 외이(OE)를 향하는 제2 면에 주입부(90)를 연결하여 용기(100) 내에 약물을 주입할 수 있다. 따라서, 주입부(90)는 용기(100)로부터 외이(OE)의 외측까지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주입부(90)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일 실시예로 주입부(90)는 외부에 대하여 개방된 깔때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주입부(90)의 외이(OE) 측 단부는 주입부(90)의 중이(ME) 측 단부보다 폭이 넓어, 약물통(DT) 내의 약물을 용기(100)까지 용이하게 유입시킬 수 있다.
한편, 주입부(90)가 도 5에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로 주입부(90)는 주사기일 수 있다. 이 경우 주입부(90)의 바늘을 용기(100)의 상기 제2면에 찔러 넣어 약물을 용기(100) 내에 주입할 수도 있다.
그러나, 주입부(90)를 이용한 약물 주입 단계는 어디까지나 예시일 뿐이며, 고실 내 약물 공급 장치를 삽입할 때부터 용기(100) 내에 장기간 투여 가능한 양의 약물이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0) 내에 저장된 약물을 튜브부(200)를 통해 정원창(RW)으로 이송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때 가급적 짧은 유동 경로를 통해 신속히 내이(IE)로 약물을 투여할 수 있도록, 튜브부(200)는 정원창(RW)의 위치에 대응하여 용기(10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약물을 정원창(RW) 측으로 쉽게 이송하기 위해, 튜브부(200)는 고실(10C) 내에서 중력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용기(100) 내에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용기(100)의 내부 공간을 축소시키는 등으로 튜브부(200)를 통한 약물의 유동을 촉진할 수도 있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고실 내 약물 공급 장치를 귀 내에 장기간 거치해 두면, 필요한 약물 투여 시기마다 주입부(90) 등을 이용하여 용기(100)에 약물을 주입하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추가적인 고막 천공 없이도 내이(IE)에 반복적으로 약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실 내 약물 공급 장치를 이용하여 고실 내에 약물을 공급하는 경우, 인공 와우 이식술과 같이 정원창을 천공할 때 발생하는 청력 손실 등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실 내 약물 공급 장치를 환자의 귀 내에 설치한 상태에서 용기 내에 약물을 주입함으로써, 매 회 고막을 천공하지 않고도 환자의 정원창에 반복적으로 약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로써 고막 천공 횟수 자체를 줄여 고막 천공 시 환자가 겪을 수 있는 트라우마(trauma)를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고막을 천공하여 마이크로윅(microwick)을 통해 정원창에 약물을 이송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감염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고실 내 약물 공급 장치
9: 외이도(ourterear canal)
10: 고막
10C: 고실
20: 달팽이관
OE: 외이(outer ear)
ME: 중이(middle ear)
IE: 내이(inner ear)
RW: 정원창(round window)
H: 홀
100: 용기
200: 튜브부
200t: 튜브부 팁(tip)
300: 캐노피부
D: 약물
DT: 약물통

Claims (13)

  1. 일면이 곡면 형상을 가지며, 약물을 저장할 수 있는 용기;
    상기 용기의 상기 일면에 연결되며, 상기 약물을 정원창(round window)으로 이송할 수 있는 튜브부; 및
    상기 튜브부의 단부에 결합되며, 달팽이관에 안착되어 정원창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캐노피부;를 구비하는, 고실 내 약물 공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외이(outer ear) 측에 배치되며 상기 용기 내에 약물을 주입하는 주입부;를 더 구비하는, 고실 내 약물 공급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는 깔때기 형상을 갖는, 고실 내 약물 공급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노피부는 상기 튜브부가 고실 내에 삽입될 시 정원창을 덮도록 펼쳐지는, 고실 내 약물 공급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캐노피부는 상기 튜브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펼쳐지는, 고실 내 약물 공급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노피부의 달팽이관에 안착된 가장자리에 접착부재가 결합된, 고실 내 약물 공급 장치.
  7. 일면이 곡면 형상을 갖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기 일면에 연결된 튜브부와, 상기 튜브부의 단부에 결합된 캐노피부를 구비하는 고실 내 약물 공급 장치를 외이도(outerear canal) 내부로 삽입하는 단계;
    고막의 천공된 홀에 상기 튜브부를 통과시켜 상기 용기의 상기 일면을 상기 고막에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상기 용기 내에 저장된 약물을 상기 튜브부를 통해 정원창(round window)으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고막에 접촉시키는 단계는, 상기 튜브부가 고실 내에 삽입될 시 상기 캐노피부가 달팽이관에 안착되어 정원창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펼쳐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실 내 약물 공급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원창으로 이송하는 단계는,
    외이(outer ear) 측에 배치된 주입부를 통해 상기 용기 내로 약물을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실 내 약물 공급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막에 접촉시키는 단계는,
    상기 튜브부 내에 삽입된 카테터를 이용하여 상기 고막을 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실 내 약물 공급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막에 접촉시키는 단계는,
    상기 카테터를 이동시켜 상기 튜브부의 상기 단부를 상기 정원창 측으로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원창 측으로 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고막을 천공하는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고실 내 약물 공급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는 깔때기 형상을 갖는, 고실 내 약물 공급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원창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펼쳐지는 단계는,
    상기 캐노피부는 상기 튜브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펼쳐지는 단계인, 고실 내 약물 공급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캐노피부의 달팽이관에 안착된 가장자리에 접착부재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실 내 약물 공급 방법.
KR1020180031124A 2018-03-16 2018-03-16 고실 내 약물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실 내 약물 공급 방법 KR102198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124A KR102198944B1 (ko) 2018-03-16 2018-03-16 고실 내 약물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실 내 약물 공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124A KR102198944B1 (ko) 2018-03-16 2018-03-16 고실 내 약물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실 내 약물 공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140A true KR20190109140A (ko) 2019-09-25
KR102198944B1 KR102198944B1 (ko) 2021-01-05

Family

ID=68068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124A KR102198944B1 (ko) 2018-03-16 2018-03-16 고실 내 약물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실 내 약물 공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94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65002A1 (en) * 2006-09-07 2008-03-13 Neurosystec Corporation Catheter for Localized Drug Delivery and/or Electrical Stimulation
US20160220797A1 (en) * 2001-10-24 2016-08-04 Med-El Elektromedizinische Geraete Gmbh Implantable Fluid Delivery Apparatus and Implantable Electrod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20797A1 (en) * 2001-10-24 2016-08-04 Med-El Elektromedizinische Geraete Gmbh Implantable Fluid Delivery Apparatus and Implantable Electrode
US20080065002A1 (en) * 2006-09-07 2008-03-13 Neurosystec Corporation Catheter for Localized Drug Delivery and/or Electrical Stimu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8944B1 (ko) 202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86528B (zh) 内耳给药装置
JP4398728B2 (ja) 埋込み式流体配送装置と埋込み式電極
US7117870B2 (en) Lacrimal insert having reservoir with controlled release of medica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2136750B1 (en) System for the simultaneous bilateral treatment of target tissues within the ears
DK2736467T3 (en) PERSONALIZABLE SYSTEM FOR ANTIFICATION OF THE DRUM MAGNET
US20220110795A1 (en) Inner ear plug
AU2005269599A1 (en) Implantable device having reservoir with controlled release of medica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7500141A (ja) カテーテル挿入部位プラグ
US20230201457A1 (en) Mass transport inside mammals
US11129972B2 (en) Paranasal sinus fluid access implantation tools, assemblies, kits and methods
CN110613888B (zh) 耳塞式鼓室给药装置
US9445941B2 (en) Bioresorbable drug eluting intravitreal implant system and method
KR20190109140A (ko) 고실 내 약물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실 내 약물 공급 방법
KR102121497B1 (ko) 고실 내 전류 인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실 내 전류 인가 방법
US10792189B2 (en) Loading tool for ventilation tube inserter device
CN111542288A (zh) 用于将治疗物质输送和递送至中耳的系统、设备和方法
US11890438B1 (en) Therapeutic substance delivery
CN118079212A (zh) 耳导管
KR102241531B1 (ko) 고막 주사용 팁
KR102097073B1 (ko) 고막 주사용 팁
JPH08117341A (ja) フローガイドカテーテル
SA111330051B1 (ar) قسطرة لحقن الأدوية من خلال قناة استاكيو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