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8168A - 무선전력 전송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전력 전송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8168A
KR20190108168A KR1020197025946A KR20197025946A KR20190108168A KR 20190108168 A KR20190108168 A KR 20190108168A KR 1020197025946 A KR1020197025946 A KR 1020197025946A KR 20197025946 A KR20197025946 A KR 20197025946A KR 20190108168 A KR20190108168 A KR 20190108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power
power
transmitter
packet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5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6177B1 (ko
Inventor
박용철
육경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108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4Negotiation of communication capabilities
    • H02J5/005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003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4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data link layer [OSI layer 2], e.g. HDL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3Terminal profi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전력 전송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명세서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와 제1 가용 전력 지표에 관한 협상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통신/컨트롤 유닛, 및 상기 제1 가용 전력 지표에 따라 1차 코일에 자기 커플링(magnetic coupling)을 생성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력 변환부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개시한다.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주변 환경/상황에 따라 자신이 원하는 시점에 가용 전력 지표를 동적으로 적절하게 조절하고, 통신과 인증을 주도적으로 개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무선전력 전송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무선전력 전송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전력 전송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은 전원 소스와 전자 기기 사이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는 기술이다. 일 예로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의 무선 단말기를 단지 무선 충전 패드 상에 올려놓는 것만으로 무선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유선 충전 커넥터를 이용하는 유선 충전 환경에 비해 보다 뛰어난 이동성과 편의성 그리고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은 무선 단말기의 무선 충전 이외에도, 전기 자동차, 블루투스 이어폰이나 3D 안경 등 각종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가전기기, 가구, 지중시설물, 건물, 의료기기, 로봇, 레저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기존의 유선 전력 전송 환경을 대체할 것으로 주목받고 있다.
무선전력 전송방식을 비접촉(contactless) 전력 전송방식 또는 무접점(no point of contact) 전력 전송방식, 무선충전(wireless charging) 방식이라 하기도 한다.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은, 무선전력 전송방식으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와,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로부터 무선으로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수신하여 배터리셀등 수전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은 자기 커플링(magnetic coupling)을 통해 전력을 전달하는 방식,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를 통해 전력을 전달하는 방식,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를 통해 전력을 전달하는 방식, 초음파를 통해 전력을 전달하는 방식 등 다양하다. 자기 커플링에 기반한 방식은 다시 자기 유도(magnetic induction) 방식과 자기 공진(magnetic resonance) 방식으로 분류된다. 자기유도 방식은 전송 측의 코일과 수신 측의 코일 간의 전자기결합에 따라 전송 측 코일 배터리셀에서 발생시킨 자기장로 인해 수신 측 코일에 유도되는 전류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자기공진 방식은 자기장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자기유도 방식과 유사하다. 하지만, 자기공진 방식은 전송 측의 코일과 수신 측의 코일에 특정 공진 주파수가 인가될 때 공진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전송 측과 수신 측 양단에 자기장이 집중되는 현상에 의해 에너지가 전달되는 측면에서 자기유도와는 차이가 있다.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수신장치간 통신 프로토콜에 있어서 통신을 개시 또는 주도하는 전송자(sender) 또는 마스터가 수신장치인 경우,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요청에 대한 응답만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충전 영역(또는 자기장 영역) 내에 이물질을 검출하거나 충전 환경이 변경되어도 원하는 타이밍에 주도적으로 전력 레벨을 조절할 수 없고, 인증(authentication)을 수행할 수 없다.
따라서,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상황에 따라 마스터/전송자로서의 지위와 권한 획득을 가능하도록 하여 현재 주변 상황/환경을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전력 관리와 인증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무선전력 전송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무선전력 전송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무선전력 전송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와 제1 가용 전력 지표에 관한 협상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통신/컨트롤 유닛, 및 상기 제1 가용 전력 지표에 따라 1차 코일에 자기 커플링(magnetic coupling)을 생성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력 변환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컨트롤 유닛은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의해 수신된 전력을 나타내는 수신전력패킷을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에 의한 통신을 요청하는 비트 패턴 응답을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에 의한 통신을 수신할 준비가 되었음을 나타내는 응답 신호를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로 제2 가용 전력 지표에 관한 패킷을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제1 가용 전력 지표와 제2 가용 전력 지표는 보장 전력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1 가용 전력 지표와 제2 가용 전력 지표는 타겟 전력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제2 가용 전력 지표에 관한 패킷은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성능 패킷(capability packet)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비트 패턴 응답은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소정의 패킷을 전송할 수 있는 권한 획득을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요청함을 지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비트 패턴 응답은 ACK 응답, 상기 NAK 응답, 상기 요청이 유효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ND 응답을 위한 비트 패턴과는 다른 패턴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무선전력 전송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무선전력 수신장치와 제1 가용 전력 지표에 관한 협상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가용 전력 지표에 따라 1차 코일에 자기 커플링(magnetic coupling)을 생성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의해 수신된 전력을 나타내는 수신전력패킷을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에 의한 통신을 요청하는 비트 패턴 응답을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에 의한 통신을 수신할 준비가 되었음을 나타내는 응답 신호를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로 제2 가용 전력 지표에 관한 패킷을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와 제1 가용 전력 지표에 관한 협상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통신/컨트롤 유닛, 및 상기 제1 가용 전력 지표에 따라 1차 코일에 생성되는 자기 커플링(magnetic coupling)을 통해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전력 픽업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컨트롤 유닛은 상기 수신된 무선전력에 관한 수신전력패킷을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에 의한 통신을 요청하는 비트 패턴 응답을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에 의한 통신을 수신할 준비가 되었음을 나타내는 응답 신호를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로 전송하고, 제2 가용 전력 지표에 관한 패킷을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무선전력 수신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무선전력 전송장치와 제1 가용 전력 지표에 관한 협상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가용 전력 지표에 따라 1차 코일에 생성된 자기 커플링(magnetic coupling)을 통해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무선 전력을 나타내는 수신전력패킷을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에 의한 통신을 요청하는 비트 패턴 응답을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에 의한 통신을 수신할 준비가 되었음을 나타내는 응답 신호를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제2 가용 전력 지표에 관한 패킷을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주변 환경/상황에 따라 자신이 원하는 시점에 가용 전력 지표를 동적으로 적절하게 조절하고, 통신과 인증을 주도적으로 개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시스템(10)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시스템(10)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이 도입되는 다양한 전자 기기들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무선 전력 전송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 천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제어 컨트롤 방법을 나타낸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나타낸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 패턴의 구조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쉐어드 모드에서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12는 일례에 따른 가용 전력 지표를 나타낸다.
도 13은 일례에 따른 협상 페이즈에서 각 가용 전력 지표가 설정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4는 다른 예에 따른 협상 페이즈에서 각 가용 전력 지표가 설정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5는 일 예에 따른 전력 전송 페이즈에서 각 가용 전력 지표를 기반으로 전력 제어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6은 다른 예에 따른 전력 전송 페이즈에서 각 가용 전력 지표를 기반으로 전력 제어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RFR의 전송 절차에 관한 프로토콜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RFA 패킷 구조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용 전력 지표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성능 패킷의 구조이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타겟 전력 패킷의 구조이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응답 패킷의 구조이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응답 패킷의 구조이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전송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가용 전력 지표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흐름도이다.
도 2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전송을 실행하는 ATX(또는 ATD) 단계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24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전송을 실행하는 ATX(또는 ATD) 단계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2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전송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가용 전력 지표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흐름도이다.
도 26은 GR 패킷의 일 예이다.
도 27은 RA 패킷의 일 예이다.
도 28은 ACK 패킷의 일 예이다.
도 29는 SOD/EOD 패킷의 일 예이다.
도 30은 일 실시예에 따른 ADT 데이터 전송 절차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무선 전력" 이라는 용어는, 물리적인 전자기 전도체들의 사용없이 무선전력 전송기(wireless power transmitter)로부터 무선전력 수신장치(wireless power receiver)로 전달되는 전기장, 자기장, 전자기장 등과 관련된 임의의 형태의 에너지를 의미하도록 사용된다. 무선전력은 무선 전력 신호(wireless power signal)이라고 불릴 수도 있으며, 1차 코일과 2차 코일에 의해 둘러싸이는(enclosed) 진동하는 자속(oscillating magnetic flux)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전화기, 코드리스 전화기, iPod, MP3 플레이어, 헤드셋 등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들을 무선으로 충전하기 위해 시스템에서의 전력 변환이 여기에 설명된다. 일반적으로, 무선 전력 전송의 기본적인 원리는, 예를 들어, 자기 커플링(magnetic coupling)을 통해 전력을 전달하는 방식,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를 통해 전력을 전달하는 방식,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를 통해 전력을 전달하는 방식, 초음파를 통해 전력을 전달하는 방식을 모두 포함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시스템(10)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시스템(10)은 무선 전력 전송 장치(wireless power transmitter, 100)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wireless power receiver, 200)를 포함한다.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는 외부의 전원 소스(S)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는 발생된 자기장을 이용하여 전류를 발생시켜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받는다.
또한, 무선 전력 시스템(10)에서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는 무선 전력 전송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간의 통신은 무선 전력 전송에 이용되는 자기장을 이용하는 인-밴드 통신(in-band communication)이나 별도의 통신 캐리어를 이용하는 아웃-밴드 통신(out-band communication)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고정형의 예로는 실내의 천장이나 벽면 또는 테이블 등의 가구에 임베디드(embedded)되는 형태, 실외의 주차장, 버스 정류장이나 지하철역 등에 임플란트 형식으로 설치되는 형태나 차량이나 기차 등의 운송 수단에 설치되는 형태 등이 있다. 이동형인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는 이동 가능한 무게나 크기의 이동형 장치나 노트북 컴퓨터의 덮개 등과 같이 다른 장치의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는 배터리를 구비하는 각종 전자 기기 및 전원 케이블 대신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각종 가전 기기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의 대표적인 예로는, 이동 단말기(portable terminal), 휴대 전화기(cellular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 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edia Player), 와이브로 단말기(Wibro terminal), 태블릿(tablet), 패블릿(pablet), 노트북(notebook), 디지털 카메라, 네비게이션 단말기, 텔레비전, 전기차량(EV: Electronic Vehicle) 등이 있다.
무선 전력 시스템(100)에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는 하나 또는 복수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가 일대일로 전력을 주고 받는 것으로 표현되고 있으나, 도 2와 같이 하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가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1, 200-2,..., 200-M)로 전력을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자기 공진 방식으로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가 동시 전송 방식이나 시분할 전송 방식을 응용하여 동시에 여러 대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1, 200-2,...,200-M)로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에 바로 전력을 전달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나,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 사이에 무선전력 전송 거리를 증대시키기 위한 릴레이(relay) 또는 중계기(repeater)와 같은 별도의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로부터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로 전력이 전달되고,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가 다시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로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무선전력 수신기, 전력 수신기, 수신기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무선전력 전송기, 전력 전송기, 전송기는 무선 전력 수신 전송 장치(100)를 지칭한다.
도 3은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이 도입되는 다양한 전자 기기들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에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송신 및 수신하는 전력 양에 따라 전자 기기들을 분류하여 도시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 시계(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및 스마트 링(Smart ring)과 같은 웨어러블 기기들 및 이어폰, 리모콘, 스마트폰, PDA,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전자 기기들(또는 포터블 전자 기기들)에는 소전력(약 5W이하 또는 약 20W 이하) 무선 충전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노트북, 로봇 청소기, TV, 음향 기기, 청소기, 모니터와 같은 중/소형 가전 기기들에는 중전력(약 50W이하 또는 약 200W)이하) 무선 충전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믹서기, 전자 레인지, 전기 밥솥과 같은 주방용 가전 기기, 휠체어, 전기 킥보드, 전기 자전거, 전기 자동차 등의 개인용 이동 기기들(또는, 전자 기기/이동 수단들)은 대전력(약 2kW 이하 또는 22kW이하) 무선 충전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또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기기들/이동 수단들은 후술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전자 기기들/이동 수단들은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여 충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력 무선 충전 방식이 적용되는 모바일 기기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이는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 방법은 상술한 다양한 전자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수신장치들은 매우 편리한 사용자 경험과 인터페이스(UX/UI)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스마트 무선충전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스마트 무선충전 서비스는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의 UX/UI에 기초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스마트폰의 프로세서와 무선충전 수신장치간의 인터페이스는 무선전력 전송장치와 수신장치간의 "드롭 앤 플레이(drop and play)" 양방향 통신을 허용한다.
일례로서, 사용자는 호텔에서 스마트 무선 충전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다. 사용자가 호텔 방으로 입장하고 방안의 무선충전기 위에 스마트폰을 올려놓으면, 무선충전기는 스마트폰으로 무선전력을 전송하고, 스마트폰은 무선전력을 수신한다. 이 과정에서, 무선충전기는 스마트 무선 충전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 스마트폰이 무선충전기 상에 위치됨을 감지하거나, 무선전력의 수신을 감지하거나, 또는 스마트폰이 무선충전기로부터 스마트 무선 충전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면, 스마트폰은 사용자에게 부가적 특징으로의 동의(opt-in)를 문의하는 상태로 진입한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은 알람음을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는 방식으로 스크린상에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메시지의 일례는 "Welcome to ### hotel. Select “Yes” to activate smart charging functions : Yes | No Thanks."와 같은 문구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Yes 또는 No Thanks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다음 절차를 수행한다. 만약 Yes가 선택되면 스마트폰은 무선충전기에 해당 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스마트폰과 무선충전기는 스마트 충전 기능을 함께 수행한다.
스마트 무선 충전 서비스는 또한 WiFi 자격(wifi credentials) 자동 입력(auto-filled)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충전기는 WiFi 자격을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스마트폰은 적절한 앱을 실행하여 무선충전기로부터 수신된 WiFi 자격을 자동적으로 입력한다.
스마트 무선 충전 서비스는 또한 호텔 프로모션을 제공하는 호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원격 체크인/체크아웃 및 컨택 정보들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는 차량 내에서 스마트 무선 충전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고 스마트폰을 무선충전기 위에 올려놓으면, 무선충전기는 스마트폰에 무선전력을 전송하고, 스마트폰은 무선전력을 수신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무선 충전기는 스마트 무선 충전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 스마트폰이 무선충전기 상에 위치됨을 감지하거나, 무선전력의 수신을 감지하거나, 또는 스마트폰이 무선충전기로부터 스마트 무선 충전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면, 스마트폰은 사용자에게 신분(identity)를 확인을 문의하는 상태로 진입한다.
이 상태에서, 스마트폰은 WiFi 및/또는 블루투스를 통해 자동적으로 자동차와 연결된다. 스마트폰은 알람음을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는 방식으로 스크린상에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메시지의 일례는 "Welcome to your car. Select “Yes” to synch device with in-car controls : Yes | No Thanks."와 같은 문구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Yes 또는 No Thanks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다음 절차를 수행한다. 만약 Yes가 선택되면 스마트폰은 무선충전기에 해당 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스마트폰과 무선충전기는 차량내 어플리케이션/디스플레이 소프트웨어를 구동함으로서, 차량 내 스마트 제어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음악을 즐길 수 있고, 정규적인 맵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차량 내 어플리케이션/디스플레이 소프트웨어는 통행자들을 위한 동기화 접근을 제공하는 성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사용자는 스마트 무선 충전을 댁내에서 경험할 수 있다. 사용자가 방으로 들어가서 방안의 무선충전기 위에 스마트폰을 올려놓으면, 무선충전기는 스마트폰으로 무선전력을 전송하고, 스마트폰은 무선전력을 수신한다. 이 과정에서, 무선충전기는 스마트 무선 충전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 스마트폰이 무선충전기 상에 위치됨을 감지하거나, 무선전력의 수신을 감지하거나, 또는 스마트폰이 무선충전기로부터 스마트 무선 충전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면, 스마트폰은 사용자에게 부가적 특징으로의 동의(opt-in)를 문의하는 상태로 진입한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은 알람음을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는 방식으로 스크린상에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메시지의 일례는 "Hi xxx, Would you like to activate night mode and secure the building?: Yes | No Thanks."와 같은 문구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Yes 또는 No Thanks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다음 절차를 수행한다. 만약 Yes가 선택되면 스마트폰은 무선충전기에 해당 정보를 전송한다. 스마트폰과 무선 충전기는 적어도 사용자의 패턴을 인지하고 사용자에게 문과 창문을 잠그거나 불을 끄거나, 알람을 설정하도록 권유할 수 있다.
무선전력 전송에 관한 표준(standard)은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AFA(air fuel alliance), PMA(power matters alliance)을 포함한다.
WPC 표준은 기본 전력 프로파일(baseline power profile: BPP)과 확장 전력 프로파일(extended power profile: EPP)을 정의한다. BPP는 5W의 전력 전송을 지원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와 수신장치에 관한 것이고, EPP는 5W보다 크고 30W보다 작은 범위의 전력 전송을 지원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와 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서로 다른 전력레벨(power level)을 사용하는 다양한 무선전력 전송장치와 수신장치들이 각 표준별로 커버되고, 서로 다른 전력 클래스(power class) 또는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WPC는 무선전력 전송장치와 수신장치를 전력 클래스(power class :PC) -1, PC0, PC1, PC2로 분류하고, 각 PC에 대한 표준문서를 제공한다. PC-1 표준은 5W 미만의 보장전력(guaranteed power)을 제공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와 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PC-1의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 시계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를 포함한다.
PC0 표준은 5W의 보장전력을 제공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와 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PC0 표준은 보장전력이 30W까지인 EPP를 포함한다. 인-밴드(in-band :IB) 통신이 PC0의 필수적인(mandatory) 통신 프로토콜이나, 옵션의 백업 채널로 사용되는 아웃-오브-밴드(out-of-band : OBB) 통신도 사용될 수 있다.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OOB의 지원 여부를 구성 패킷(configuration packe)내의 OOB 플래그를 설정함으로써 식별할 수 있다. OOB를 지원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상기 구성 패킷에 대한 응답으로서, OOB 핸드오버를 위한 비트패턴(bit-pattern)을 전송함으로써 OOB 핸드오버 페이즈(handover phase)로 진입할 수 있다. 상기 구성 패킷에 대한 응답은 NAK, ND 또는 새롭게 정의되는 8비트의 패턴일 수 있다. PC0의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을 포함한다.
PC1 표준은 30W~150W의 보장전력을 제공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와 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OOB는 PC1을 위한 필수적인 통신 채널이며, IB는 OOB로의 초기화 및 링크 수립(link establishment)로서 사용된다.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구성 패킷에 대한 응답으로서, OOB 핸드오버를 위한 비트패턴을 OOB 핸드오버 페이즈로 진입할 수 있다. PC1의 어플리케이션은 랩탑이나 전동 공구(power tool)을 포함한다.
PC2 표준은 200W~2kW의 보장전력을 제공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와 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어플리케이션은 주방가전을 포함한다.
이렇듯 전력 레벨에 따라 PC가 구별될 수 있으며, 동일한 PC간 호환성(compatibility)을 지원할지 여부는 선택 또는 필수 사항일 수 있다. 여기서 동일한 PC간 호환성은, 동일한 PC 간에는 전력 송수신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PC x인 무선 전력 전송장치가 동일한 PC x를 갖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충전이 가능한 경우, 동일한 PC간 호환성이 유지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서로 다른 PC간의 호환성 역시 지원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다른 PC간 호환성은, 서로 다른 PC 간에도 전력 송수신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PC x인 무선 전력 전송장치가 PC y를 갖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충전이 가능한 경우, 서로 다른 PC간 호환성이 유지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PC간 호환성의 지원은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및 인프라 구축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 다만, PC간 호환성 유지에는 기술적으로 아래와 같은 여러 문제점이 존재한다.
동일한 PC간 호환성의 경우, 예를 들어, 연속적으로 전력이 전송되는 경우에만 안정적으로 충전이 가능한 랩-탑 충전(lap-top charging) 방식의 무선 전력 수신장치는, 동일한 PC의 무선 전력 송신장치라 하더라도, 불연속적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전동 툴 방식의 무선 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받는 데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PC간 호환성의 경우, 예를 들어, 최소 보장 전력이 200W인 무선 전력 송신장치는 최대 보장 전력이 5W인 무선 전력 수신장치로 전력을 송신하는 경우, 과전압으로 인해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파손될 위험이 있다. 그 결과, PC는 호환성을 대표/지시하는 지표/기준으로 삼기 어렵다.
이하에서는 호환성을 대표/지시하는 지표/기준으로 '프로필(profile)'을 새롭게 정의하기로 한다. 즉, 동일한 '프로필'을 갖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간에는 호환성이 유지되어 안정적인 전력 송수신이 가능하며, 서로 다른 '프로필'을 갖는 무선 전력 송수신장치간에는 전력 송수신이 불가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프로필은 전력 클래스와 무관하게(또는 독립적으로) 호환 가능 여부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필은 크게 i) 모바일, ii) 전동 툴, iii) 주방 및 iv) 웨어러블 이렇게 4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모바일' 프로필의 경우, PC는 PC0 및/또는 PC1, 통신 프로토콜/방식은 IB 및 OOB, 동작 주파수는 87~205kHz로 정의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의 예시로는 스마트폰, 랩-탑 등이 존재할 수 있다.
'전동 툴' 프로필의 경우, PC는 PC1, 통신 프로토콜/방식은 IB, 동작 주파수는 87~145kHz로 정의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의 예시로는 전동 툴 등이 존재할 수 있다.
'주방' 프로필의 경우, PC는 PC2, 통신 프로토콜/방식은 NFC-기반, 동작 주파수는 100kHz 미만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의 예시로는 주방/가전 기기 등이 존재할 수 있다.
'웨어러블' 프로필의 경우, PC는 PC-1, 통신 프로토콜/방식은 IB, 동작 주파수는 87~205kHz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의 예시로는 사용자 몸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기기 등이 존재할 수 있다.
동일한 프로필간에는 호환성 유지는 필수 사항일 수 있으며, 다른 프로필간의 호환성 유지는 선택 사항일 수 있다.
상술한 프로필(모바일 프로필, 전동 툴 프로필, 주방 프로필 및 웨어러블 프로필)들은 제1 내지 제n 프로필로 일반화되어 표현될 수 있으며, WPC 규격 및 실시예에 따라 새로운 프로필이 추가/대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필이 정의되는 경우, 무선 전력 전송장치가 자신과 동일한 프로필의 무선 전력 수신장치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전력 송신을 수행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전력 송신이 가능하다. 또한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부담이 줄어들고, 호환이 불가능한 무선 전력 수신장치로의 전력 송신을 시도하지 않게 되므로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파손 위험이 줄어든다는 효과가 발생한다.
'모바일' 프로필 내의 PC1은 PC0를 기반으로 OOB와 같은 선택적 확장을 차용함으로써 정의될 수 있으며, '전동 툴' 프로필의 경우, PC1 '모바일' 프로필이 단순히 변경된 버전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현재까지는 동일한 프로필간의 호환성 유지를 목적으로 정의되었으나, 추후에는 서로 다른 프로필간의 호환성 유지 방향으로 기술이 발전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장치 또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자신의 프로필을 상대방에게 알려줄 수 있다.
AFA 표준은 무선 전력 전송장치를 PTU(power transmitting unit)이라 칭하고, 무선 전력 수신장치를 PRU(power receiving unit)이라 칭하며, PTU는 표 1과 같이 다수의 클래스로 분류되고, PRU는 표 2와 같이 다수의 카테고리로 분류된다.
PTX_IN_MAX 최소 카테고리 지원 요구사항 지원되는 최대 기기 개수를 위한 최소값
Class 1 2W 1x 카테고리 1 1x 카테고리 1
Class 2 10W 1x 카테고리 3 2x 카테고리 2
Class 3 16W 1x 카테고리 4 2x 카테고리 3
Class 4 33W 1x 카테고리 5 3x 카테고리 3
Class 5 50W 1x 카테고리 6 4x 카테고리 3
Class 6 70W 1x 카테고리 7 5x 카테고리 3
PRU PRX_OUT_MAX' 예시 어플리케이션
Category 1 TBD 블루투스 헤드셋
Category 2 3.5W 피쳐폰
Category 3 6.5W 스마트폰
Category 4 13W 태블릿, 패플릿
Category 5 25W 작은 폼팩터 랩탑
Category 6 37.5W 일반 랩탑
Category 7 50W 가전
표 1에서와 같이, 클래스 n PTU의 최대 출력 전력 성능(capability)은 해당 클래스의 PTX_IN_MAX 값보다 크거나 같다. PRU는 해당 카테고리에서 명세된(specified) 전력보다 더 큰 전력을 끌어당길(draw) 수는 없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10)은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모바일 기기(Mobile Device)(450) 및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400)을 포함한다.
베이스 스테이션(400)은 유도 전력 또는 공진 전력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power transmitter, 100) 및 시스템 유닛(405)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유도 전력 또는 공진 전력을 전송하고,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1차 코일(primary coil(s))을 통해 자기장을 생성함으로써 전기 에너지를 전력 신호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 유닛(power conversion unit, 110) 및 적절한 레벨로 전력을 전달하도록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와의 통신 및 전력 전달을 컨트롤하는 통신/컨트롤 유닛(communications & control unit, 120)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유닛(405)은 입력 전력 프로비저닝(provisioning), 복수의 무선전력 전송장치들의 컨트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와 같은 베이스 스테이션(100)의 기타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1차 코일은 교류 전력(또는 전압 또는 전류)을 이용하여 전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1차 코일은 전력 변환 유닛(110)에서 출력되는 특정 주파수의 교류전력(또는 전압 또는 전류)을 인가받고, 이에 따라 특정 주파수의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자기장은 비방사형 또는 방사형으로 발생할 수 있는데,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는 이를 수신하여 전류를 생성하게 된다. 다시 말해 1차 코일은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것이다.
자기 유도 방식에서, 1차 코일과 2차 코일은 임의의 적합한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며, 예컨대, 페라이트 또는 비정질 금속과 같은 고투자율의 형성물의 주위에 감긴 동선일 수 있다. 1차 코일은 1차 코어(primary core), 1차 와인딩(primary winding), 1차 루프 안테나(primary loop antenna) 등으로 불릴 수도 있다. 한편, 2차 코일은 2차 코어(secondary core), 2차 와인딩(secondary winding), 2차 루프 안테나(secondary loop antenna), 픽업 안테나(pickup antenna) 등으로 불릴 수도 있다.
자기 공진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1차 코일과 2차 코일은 각각 1차 공진 안테나와 2차 공진 안테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공진 안테나는 코일과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공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공진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는 코일의 인덕턴스와 캐패시터의 캐패시턴스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서, 코일은 루프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루프의 내부에는 코어가 배치될 수 있다. 코어는 페라이트 코어(ferrite core)와 같은 물리적인 코어나 공심 코어(air core)를 포함할 수 있다.
1차 공진 안테나와 2차 공진 안테나 간의 에너지 전송은 자기장의 공진 현상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공진 현상이란 하나의 공진 안테나에서 공진 주파수에 해당하는 근접장이 발생할 때 주위에 다른 공진 안테나가 위치하는 경우, 양 공진 안테나가 서로 커플링되어 공진 안테나 사이에서 높은 효율의 에너지 전달이 일어나는 현상을 의미한다. 1차 공진 안테나와 2차 공진 안테나 안테나 사이에서 공진 주파수에 해당하는 자기장이 발생하면, 1차 공진 안테나와 2차 공진 안테나가 서로 공진하는 현상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일반적인 경우 1차 공진 안테나에서 발생한 자기장이 자유공간으로 방사되는 경우에 비해 보다 높은 효율로 2차 공진 안테나를 향해 자기장이 집속되며, 따라서 1차 공진 안테나로부터 2차 공진 안테나에 높은 효율로 에너지가 전달될 수 있다. 자기 유도 방식은 자기 공진 방식과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으나 이때에는 자기장의 주파수가 공진 주파수일 필요가 없다. 대신 자기 유도 방식에서는 1차 코일과 2차 코일을 구성하는 루프 간의 정합이 필요하며 루프 간의 간격이 매우 근접해야 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무선 전력 전송장치(1100)는 통신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안테나는 자기장 통신 이외의 통신 캐리어를 이용하여 통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안테나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LE, 직비(ZigBee), NFC 등의 통신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통신/컨트롤 유닛(120)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컨트롤 유닛(120)은 IB 통신 모듈 또는 OOB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B 통신 모듈은 특정 주파수를 중심 주파수로 하는 자기파를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컨트롤 유닛(120)은 자기파에 정보를 실어 1차 코일을 통해 송신하거나 또는 정보가 담긴 자기파를 1차 코일을 통해 수신함으로써 인-밴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이진 위상 편이(BPSK: binary phase shift keying) 또는 진폭 편이(ASK: amplitude shift keying) 등의 변조 방식과 맨체스터(Manchester) 코딩 또는 넌 제로 복귀 레벨(NZR-L: non-return-to-zero level) 코딩 등의 코딩 방식을 이용하여 자기파에 정보를 담거나 정보가 담긴 자기파를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IB 통신을 이용하면 통신/컨트롤 유닛(120)은 수 kbps의 데이터 전송율로 수 미터에 이르는 거리까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OOB 통신 모듈은 통신 안테나를 통해 아웃-밴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컨트롤 유닛(120)은 근거리 통신 모듈로 제공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의 예로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LE, 직비(ZigBee), NFC 등의 통신 모듈이 있다.
통신/컨트롤 유닛(120)은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컨트롤 유닛(120)은 각종 정보의 연산 및 처리를 수행하고, 무선 전력전송 장치(10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컨트롤 유닛(120)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컴퓨터나 이와 유사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으로 통신/컨트롤 유닛(120)은 전기적인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회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하드웨어적인 통신/컨트롤 유닛(120)을 구동시키는 프로그램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통신/컨트롤 유닛(120)은 동작 포인트(operating point)를 컨트롤함으로써 송신 전력을 컨트롤할 수 있다. 컨트롤하는 동작 포인트는 주파수(또는 위상), 듀티 사이클(duty cycle), 듀티 비(duty ratio) 및 전압 진폭의 조합에 해당될 수 있다. 통신/컨트롤 유닛(120)은 주파수(또는 위상), 듀티 사이클, 듀티비 및 전압 진폭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송신 전력을 컨트롤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일정한 전력을 공급하고,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가 공진 주파수를 컨트롤함으로써 수신 전력을 컨트롤할 수도 있다.
모바일 기기(450)는 2차 코일(Secondary Coil)을 통해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power receiver, 200)와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에서 수신된 전력을 전력을 전달받아 저장하고 기기에 공급하는 부하(load, 455)를 포함한다.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는 전력 픽업 유닛(power pick-up unit, 210) 및 통신/컨트롤 유닛(communications & control unit, 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픽업 유닛(210)은 2차 코일을 통해 무선 전력을 수신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전력 픽업 유닛(210)은 2차 코일을 통해 얻어지는 교류 신호를 정류하여 직류 신호로 변환한다. 통신/컨트롤 유닛(220)은 무선 전력의 송신과 수신(전력 전달 및 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2차 코일은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에서 전송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2차 코일은 1차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주파수가 공진 주파수인 경우에는 1차 코일과 2차 코일 간에 자기 공진 현상이 발생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통신/컨트롤 유닛(220)은 통신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안테나는 자기장 통신 이외의 통신 캐리어를 이용하여 통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안테나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LE, 직비(ZigBee), NFC 등의 통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컨트롤 유닛(220)은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컨트롤 유닛(220)은 IB 통신 모듈 또는 OOB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B 통신 모듈은 특정 주파수를 중심 주파수로 하는 자기파를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컨트롤 유닛(220)은 자기파에 정보를 실어 2차 코일을 통해 송신하거나 또는 정보가 담긴 자기파를 2차 코일을 통해 수신함으로써 IB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이진 위상 편이(BPSK: binary phase shift keying) 또는 진폭 편이(ASK: amplitude shift keying) 등의 변조 방식과 맨체스터(Manchester) 코딩 또는 넌 제로 복귀 레벨(NZR-L: non-return-to-zero level) 코딩 등의 코딩 방식을 이용하여 자기파에 정보를 담거나 정보가 담긴 자기파를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IB 통신을 이용하면 통신/컨트롤 유닛(220)은 수 kbps의 데이터 전송율로 수 미터에 이르는 거리까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OOB 모듈은 통신 안테나를 통해 아웃-밴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컨트롤 유닛(220)은 근거리 통신 모듈로 제공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의 예로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LE, 직비(ZigBee), NFC 등의 통신 모듈이 있다.
통신/컨트롤 유닛(220)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컨트롤 유닛(220)은 각종 정보의 연산 및 처리를 수행하고, 무선 전력수신 장치(20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컨트롤 유닛(220)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컴퓨터나 이와 유사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으로 통신/컨트롤 유닛(220)은 전기적인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회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하드웨어적인 통신/컨트롤 유닛(220)을 구동시키는 프로그램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부하(455)는 배터리일 수 있다. 배터리는 전력 픽업 유닛(210)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기기(450)에 배터리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배터리는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의 외부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에는 전자 기기의 다양한 동작을 구동하는 구동 수단이 배터리 대신 포함될 수도 있다.
모바일 기기(450)는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되어 있고, 베이스 스테이션(400)은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넓은 의미에서는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는 모바일 기기(450)와 동일시될 수 있고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베이스 스테이션(400)와 동일시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코일 또는 코일부는 코일 및 코일과 근접한 적어도 하나의 소자를 포함하여 코일 어셈블리, 코일 셀 또는 셀로서 지칭할 수도 있다.
도 5는 무선 전력 전송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 천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수신기로의 파워 전송은 크게 선택 단계(selection phase, 510), 핑 단계(ping phase, 520), 식별 및 구성 단계(identification and configuration phase, 530), 협상 단계(negotiation phase, 540), 보정 단계(calibration phase, 550), 전력 전송 단계(power transfer phase, 560) 단계 및 재협상 단계(renegotiation phase, 570)로 구분될 수 있다.
선택 단계(510)는 파워 전송을 시작하거나 파워 전송을 유지하는 동안 특정 오류 또는 특정 이벤트가 감지되면, 천이되는 단계-예를 들면, 도면 부호 S502, S504, S508, S510 및 S512를 포함함-일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오류 및 특정 이벤트는 이하의 설명을 통해 명확해질 것이다. 또한, 선택 단계(510)에서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인터페이스 표면에 물체가 존재하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만약,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인터페이스 표면에 물체가 놓여진 것이 감지되면, 핑 단계(520)로 천이할 수 있다. 선택 단계(510)에서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매우 짧은 펄스의 아날로그 핑(Analog Ping) 신호를 전송하며, 송신 코일 또는 1차 코일(Primary Coil)의 전류 변화에 기반하여 인터페이스 표면의 활성 영역(Active Area)에 물체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선택 단계(510)에서 물체가 감지되는 경우,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무선전력 공진 회로(예를 들어 전력전송 코일 및/또는 공진 캐패시터)의 품질 인자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선택단계(510)에서 물체가 감지되면, 충전 영역에 이물질과 함께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놓였는지 판단하기 위하여 품질 인자를 측정할 수 있다. 무선전력 전송장치에 구비되는 코일은 환경 변화에 의해 인덕턴스 및/또는 코일 내 직렬저항 성분이 감소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품질 인자 값이 감소하게 된다. 측정된 품질 인자 값을 이용하여 이물질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충전 영역에 이물질이 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미리 측정된 기준 품질 인자 값을 무선전력 수신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협상 단계(S540)에서 수신된 기준 품질 인자 값과 측정된 품질 인자 값을 비교하여 이물질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기준 품질 인자 값이 낮은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경우-일 예로,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타입, 용도 및 특성 등에 따라 특정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낮은 기준 품질 인자 값을 가질 수 있음-,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에 측정되는 품질 인자 값과 기준 품질 인자 값 사이의 큰 차이가 없어 이물질 존재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판단 요소를 더 고려하거나,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이물질 존재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선택 단계(510)에서 물체가 감지되면, 충전 영역에 이물질과 함께 가 배치되었는지 판단하기 위하여 특정 주파수 영역 내(ex 동작 주파수 영역) 품질 인자 값을 측정할 수 있다.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코일은 환경 변화에 의해 인덕턴스 및/또는 코일 내 직렬 저항 성분이 감소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코일의 공진 주파수가 변경(시프트)될 수 있다. 즉, 동작 주파수 대역 내 최대 품질 인자 값이 측정되는 주파수인 품질 인자 피크(peak) 주파수가 이동될 수 있다.
단계(520)에서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물체가 감지되면, 수신기를 활성화(Wake up)시키고, 감지된 물체가 무선 전력 수신기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디지털 핑(Digital Ping)을 전송한다. 핑 단계(520)에서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디지털 핑에 대한 응답 시그널-예를 들면, 신호 세기 패킷-을 수신기로부터 수신하지 못하면, 다시 선택 단계(510)로 천이할 수 있다. 또한, 핑 단계(520)에서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수신기로부터 파워 전송이 완료되었음을 지시하는 신호-즉, 충전 완료 패킷-을 수신하면, 선택 단계(510)로 천이할 수도 있다.
핑 단계(520)가 완료되면,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수신기를 식별하고 수신기 구성 및 상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식별 및 구성 단계(530)로 천이할 수 있다.
식별 및 구성 단계(530)에서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원하지 않은 패킷이 수신되거나(unexpected packet), 미리 정의된 시간 동안 원하는 패킷이 수신되지 않거나(time out), 패킷 전송 오류가 있거나(transmission error), 파워 전송 계약이 설정되지 않으면(no power transfer contract) 선택 단계(510)로 천이할 수 있다.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식별 및 구성 단계(530)에서 수시된 구성 패킷(Configuration packet)의 협상 필드(Negotiation Field) 값에 기반하여 협상 단계(540)로의 진입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협상이 필요하면,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협상 단계(540)로 진입하여 소정 FOD 검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반면, 확인 결과, 협상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곧바로 전력 전송 단계(560)로 진입할 수도 있다.
협상 단계(540)에서,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기준 품질 인자 값이 포함된 FOD(Foreign Object Detection) 상태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기준 피크 주파수 값이 포함된 FOD 상태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기준 품질 인자 값 및 기준 피크 주파수 값이 포함된 상태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기준 품질 인자 값에 기반하여 FO 검출을 위한 품질 계수 임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기준 피크 주파수 값에 기반하여 FO 검출을 위한 피크 주파수 임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결정된 FO 검출을 위한 품질 계수 임계치 및 현재 측정된 품질 인자 값(핑 단계 이전에 측정된 품질인자 값)을 이용하여 충전 영역에 FO가 존재하는지를 검출할 수 있으며, FO 검출 결과에 따라 전력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FO가 검출된 경우, 전력 전송이 중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결정된 FO 검출을 위한 피크 주파수 임계치 및 현재 측정된 피크 주파수 값(핑 단계 이전에 측정된 피크 주파수 값)을 이용하여 충전 영역에 FO가 존재하는지를 검출할 수 있으며, FO 검출 결과에 따라 전력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FO가 검출된 경우, 전력 전송이 중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FO가 검출된 경우,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선택 단계(510)로 회귀할 수 있다. 반면, FO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보정 단계(550)를 거쳐 전력 전송 단계(560)로 진입할 수도 있다. 상세하게,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FO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보정 단계(550)에서 수신단에 수신된 전력의 세기를 결정하고, 송신단에서 전송한 전력의 세기를 결정하기 위해 수신단과 송신단에서의 전력 손실을 측정할 수 있다. 즉,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보정 단계(550)에서 송신단의 송신 파워와 수신단의 수신 파워 사이의 차이에 기반하여 전력 손실을 예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예측된 전력 손실을 반영하여 FOD 검출을 위한 임계치를 보정할 수도 있다.
전력 전송 단계(560)에서,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원하지 않은 패킷이 수신되거나(unexpected packet), 미리 정의된 시간 동안 원하는 패킷이 수신되지 않거나(time out), 기 설정된 파워 전송 계약에 대한 위반이 발생되거나(power transfer contract violation), 충전이 완료된 경우, 선택 단계(510)로 천이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전송 단계(560)에서,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상태 변화 등에 따라 파워 전송 계약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는 경우, 재협상 단계(570)로 천이할 수 있다. 이때, 재협상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전력 전송 단계(560)로 회귀할 수 있다.
상기한 파워 전송 계약은 무선전력 전송장치와 수신기의 상태 및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전력 전송장치 상태 정보는 최대 전송 가능한 파워량에 대한 정보, 최대 수용 가능한 수신기 개수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기 상태 정보는 요구 전력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제어 컨트롤 방법을 나타낸다.
도 6에서 전력 전송 단계(560)에서, 무선전력 전송장치(100) 및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는 전력 송수신과 함께 통신을 병행함으로써 전달되는 전력의 양을 컨트롤할 수 있다.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특정 컨트롤 포인트에서 동작한다. 컨트롤 포인트는 전력 전달이 수행될 때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출력단(output)에서 제공되는 전압 및 전류의 조합(combination)을 나타낸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원하는 컨트롤 포인트(desired Control Point)- 원하는 출력 전류/전압, 모바일 기기의 특정 위치의 온도 등을 선택하고, 추가로 현재 동작하고 있는 실제 컨트롤 포인트(actual control point)를 결정한다.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원하는 컨트롤 포인트와 실제 컨트롤 포인트를 사용하여, 컨트롤 에러 값(control error value)을 산출하고, 이를 컨트롤 에러 패킷으로서 무선전력 전송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수신한 컨트롤 에러 패킷을 사용하여 새로운 동작 포인트- 진폭, 주파수 및 듀티 사이클-를 설정/컨트롤하여 전력 전달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 에러 패킷은 전략 전달 단계에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전송/수신되며, 실시예로서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전류를 저감하려는 경우 컨트롤 에러 값을 음수로, 전류를 증가시키려는 경우 컨트롤 에러 값을 양수로 설정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도 모드에서는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컨트롤 에러 패킷을 무선전력 전송장치로 송신함으로써 전력 전달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할 공진 모드에서는 유도 모드에서와는 다른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공진 모드에서는 하나의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복수의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동시에 서빙할 수 있어야 한다. 다만 상술한 유도 모드와 같이 전력 전달을 컨트롤하는 경우, 전달되는 전력이 하나의 무선전력 수신장치와의 통신에 의해 컨트롤되므로 추가적인 무선전력 수신장치들에 대한 전력 전달은 컨트롤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진 모드에서는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기본 전력을 공통적으로 전달하고,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자체의 공진 주파수를 컨트롤함으로써 수신하는 전력량을 컨트롤하는 방법을 사용하고자 한다. 다만, 이러한 공진 모드의 동작에서도 도 6에서 설명한 방법이 완전히 배제되는 것은 아니며, 추가적인 송신 전력의 제어를 도 6의 방법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는 자기 공진 방식 또는 쉐어드 모드(shared mode)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 속할 수 있다. 쉐어드 모드는 무선전력 전송장치와 무선전력 수신장치간에 1대다 통신 및 충전을 수행하는 모드를 지칭할 수 있다. 쉐어드 모드는 자기 유도 방식 또는 공진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전송 장치(700)는 코일 어셈블리를 덮는 커버(720), 전력 송신기(power transmitting unit, 740)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어답터(730),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전력 송신기(740) 또는 전력 전달 진행 및 다른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7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인터페이스(750)는 옵셔널하게 포함되거나, 무선 전력 전송 장치(700)의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750)로서 포함될 수도 있다.
전력 송신기(740)는 코일 어셈블리(760), 임피던스 매칭 회로(770), 인버터(780), 통신 유닛(790) 또는 컨트롤 유닛(71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 어셈블리(760)는 자기장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1차 코일을 포함하며, 코일 셀로 지칭될 수도 있다.
임피던스 매칭 회로(770)는 인버터와 1차 코일(들) 간의 임피던스 매칭을 제공할 수 있다. 임피던스 매칭 회로(770)는 1차 코일 전류를 부스팅(boost)하는 적합한(suitable) 주파수에서 공진(resonance)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중-코일(multi-coil) 전력 송신기(740)에서 임피던스 매칭 회로는 인버터에서 1차 코일들의 서브세트로 신호를 라우팅하는 멀티플렉스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임피던스 매칭 회로는 탱크 회로(tank circuit)로 지칭될 수도 있다.
임피던스 매칭 회로(770)는 캐패시터, 인덕터 및 이들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임피던스의 매칭은 코일 어셈블리(760)를 통해 전송되는 무선전력의 반사파를 검출하고, 검출된 반사파에 기초하여 스위칭 소자를 스위칭하여 캐패시터나 인덕터의 연결 상태를 조정하거나 캐패시터의 캐패시턴스를 조정하거나 인덕터의 인덕턴스를 조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임피던스 매칭 회로(770)는 생략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본 명세서는 임피던스 매칭 회로(770)가 생략된 무선전력 전송장치(700)의 실시예도 포함한다.
인버터(780)는 DC 인풋을 AC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인버터(780)는 가변(adjustable) 주파수의 펄스 웨이브 및 듀티 사이클을 생성하도록 하프-브리지 또는 풀-브리지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인버터는 입력 전압 레벨을 조정하도록 복수의 스테이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유닛(790)은 전력 수신기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전력 수신기는 전력 송신기에 대한 요청 및 정보를 통신하기 위해 로드(load) 변조를 수행한다. 따라서 전력 송신기(740)는 통신 유닛(790)을 사용하여 전력 수신기가 전송하는 데이터를 복조하기 위해 1차 코일의 전류 및/또는 전압의 진폭 및/또는 위상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송신기(740)는 통신 유닛(790)을 통해 FSK(Frequency Shift Keying) 방식 등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출력 전력을 컨트롤할 수도 있다.
컨트롤 유닛(710)은 전력 송신기(740)의 통신 및 전력 전달을 컨트롤할 수 있다. 컨트롤 유닛(710)은 상술한 동작 포인트를 조정하여 전력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동작 포인트는, 예를 들면, 동작 주파수, 듀티 사이클 및 입력 전압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통신 유닛(790) 및 컨트롤 유닛(710)은 별개의 유닛/소자/칩셋으로 구비되거나, 하나의 유닛/소자/칩셋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나타낸다. 이는 자기 공진 방식 또는 쉐어드 모드(shared mode)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 속할 수 있다.
도 8에서, 무선전력 수신 장치(800)는 전력 전달 진행 및 다른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820),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 수신기(power receiving unit, 830), 로드 회로(load circuit, 840) 또는 코일 어셈블리를 받치며 커버하는 베이스(8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인터페이스(820)는 옵셔널하게 포함되거나, 전력 수신 장비의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82)로서 포함될 수도 있다.
전력 수신기(830)는 전력 컨버터(860), 임피던스 매칭 회로(870), 코일 어셈블리(880), 통신 유닛(890) 또는 컨트롤 유닛(81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컨버터(860)는 2차 코일로부터 수신하는 AC 전력을 로드 회로에 적합한 전압 및 전류로 전환(convert)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전력 컨버터(860)는 정류기(rect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정류기는 수신된 무선 전력을 정류하여 교류에서 직류로 변환할 수 있다. 정류기는 다이오드나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고, 캐패시터와 저항을 이용하여 이를 평활할 수 있다. 정류기로는 브릿지 회로 등으로 구현되는 전파 정류기, 반파 정류기, 전압 체배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추가로, 전력 컨버터는 전력 수신기의 반사(reflected) 임피던스를 적용(adapt)할 수도 있다.
임피던스 매칭 회로(870)는 전력 컨버터(860) 및 로드 회로(870)의 조합과 2차 코일 간의 임피던스 매칭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임피던스 매칭 회로는 전력 전달을 강화할 수 있는 100kHz 근방의 공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임피던스 매칭 회로(870)는 캐패시터, 인덕터 및 이들의 조합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임피던스의 정합은 수신되는 무선 전력의 전압값이나 전류값, 전력값, 주파수값 등에 기초하여 임피던스 매칭 회로(870)를 구성하는 회로의 스위칭 소자를 제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임피던스 매칭 회로(870)는 생략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본 명세서는 임피던스 매칭 회로(870)가 생략된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실시예도 포함한다.
코일 어셈블리(880)는 적어도 하나의 2차 코일을 포함하며, 옵셔널하게는 자기장으로부터 수신기의 금속 부분을 쉴딩(shield)하는 엘러먼트(element)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유닛(890)은 전력 송신기로 요청(request) 및 다른 정보를 통신하기 위해 로드 변조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력 수신기(830)는 반사 임피던스를 변경하도록 저항 또는 커패시터를 스위칭할 수도 있다.
컨트롤 유닛(810)은 수신 전력을 컨트롤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컨트롤 유닛(810)은 전력 수신기(830)의 실제 동작 포인트와 원하는 동작 포인트의 차이를 결정/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 유닛(810)은 전력 송신기의 반사 임피던스의 조정 및/또는 전력 송신기의 동작 포인트 조정 요청을 수행함으로써 실제 동작 포인트와 원하는 동작 포인트의 차이를 조정/저감할 수 있다. 이 차이를 최소화하는 경우 최적의 전력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유닛(890) 및 컨트롤 유닛(810)은 별개의 소자/칩셋으로 구비되거나, 하나의 소자/칩셋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이는 쉐어드 모드(shared mode)에서의 통신 프레임 구조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쉐어드 모드에서는, 서로 다른 형태의 프레임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쉐어드 모드에서는, (A)와 같은 복수의 슬롯을 가지는 슬롯 프레임(slotted frame) 및 (B)와 같은 특정 형태가 없는 자유 형식 프레임(free format frame)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슬롯 프레임은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로부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에게 짧은 데이터 패킷들의 전송을 위한 프레임이고, 자유 형식 프레임은 복수의 슬롯들을 구비하지 않아, 긴 데이터 패킷들의 전송이 가능한 프레임일 수 있다.
한편, 슬롯 프레임 및 자유 형식 프레임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명칭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롯 프레임은, 채널 프레임으로, 자유 형식 프레임은, 메시지 프레임 등으로 변경되어 명명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슬롯 프레임은, 슬롯의 시작을 나타내는 싱크 패턴, 측정 슬롯, 9개의 슬롯들 및 상기 9개의 슬롯들 각각에 앞서, 동일한 시간 간격을 갖는 추가적인 싱크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추가적인 싱크 패턴은, 앞서 설명한 프레임의 시작을 나타내는 싱크 패턴과 다른 싱크 패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가적인 싱크 패턴은, 프레임의 시작을 나타내지 않고, 인접한 슬롯들(즉, 싱크 패턴의 양 옆에 위치한 연속하는 두 개의 슬롯들)과 관련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9개의 슬롯들 중 연속하는 두 개의 슬롯들 사이에는, 각각 싱크 패턴이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싱크 패턴은, 상기 연속하는 두 개의 슬롯들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9개의 슬롯들 및 상기 9개의 슬롯들 각각에 앞서 제공되는 싱크 패턴들은, 각각 동일한 시간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9개의 슬롯들은 50ms의 시간 간격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9개의 싱크 패턴들도 50ms의 시간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한편, (B)와 같은 자유 형식 프레임은, 프레임의 시작을 나타내는 싱크 패턴 및 측정 슬롯 이외에, 구체적인 형태을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자유 형식 프레임은, 상기 슬롯 프레임과 다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와 무선 전력 수신장치 간에 긴 데이터 패킷들(예를 들어, 추가 소유자 정보 패킷들)의 통신을 수행하거나, 복수의 코일로 구성된 무선 전력 전송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코일 중 어느 하나의 코일을 선택하는 역할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프레임에 포함된 싱크 패턴(sync pattern)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 패턴의 구조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싱크 패턴은 프리앰블(preamble), 시작 비트(start bit), 응답 필드(Resonse field), 타입 필드(type field), 정보 필드(info field) 및 패리티 비트(parity bit)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시작 비트가 ZERO로 도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리앰블은 연속되는 비트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모두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프리앰블은 싱크 패턴의 시간 길이를 맞추기 위한 비트들일 수 있다.
프리앰블을 구성하는 비트들의 개수는 싱크 패턴의 길이가 50ms에 가장 가깝도록, 그러나, 50ms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동작 주파수에 종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주파수가 100kHz인 경우, 싱크 패턴은 2개의 프리앰블 비트들로 구성되고, 동작 주파수가 105kHz인 경우, 싱크 패턴은, 3개의 프리앰블 비트들로 구성될 수 있다.
시작 비트는 프리앰블 다음에 따라오는 비트로 제로(ZERO)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로(ZERO)는 싱크 패턴의 종류를 나타내는 비트일 수 있다. 여기에서, 싱크 패턴의 종류는, 프레임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 싱크(frame sync)와 슬롯의 정보를 포함하는 슬롯 싱크(slot sync)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싱크 패턴은, 연속하는 프레임들 사이에 위치하며, 프레임의 시작을 나타내는 프레임 싱크이거나,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의 슬롯 중 연속하는 슬롯들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연속하는 슬롯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슬롯 싱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로가 0인 경우, 해당 슬롯이 슬롯과 슬롯 사이에 위치한, 슬롯 싱크임을 의미하고, 1인 경우, 해당 싱크 패턴이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에 위치한 프레임 싱크임을 의미할 수 있다.
패리티 비트는 싱크 패턴의 마지막 비트로, 싱크 패턴의 데이터 필드들(즉, 응답 필드, 타입 필드, 정보 필드)를 구성하는 비트들의 개수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패리티 비트는 싱크 패턴의 데이터 필드들을 구성하는 비트의 개수가 짝수인 경우, 1, 그 밖의 경우(즉, 홀수인 경우), 0이 될 수 있다.
응답(Response) 필드는 싱크 패턴 이전의 슬롯 내에서, 무선 전력 수신장치와의 통신에 대한,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응답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답 필드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와 통신의 수행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00'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응답 필드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와의 통신에 통신 에러(communication error)가 감지된 경우, '01'을 가질 수 있다. 통신 에러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하나의 슬롯에 접근을 시도하여,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무선 전력 수신장치 간의 충돌이 발생한 경우일 수 있다.
또한, 응답 필드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정확하게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응답필드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가 데이터 패킷을 거부(deni)한 경우, "10"(10-not acknowledge, NAK), 무선 전력 전송장치가 상기 데이터 패킷을 확인(confirm)한 경우, "11"(11-acknowledge, ACK)이 될 수 있다.
타입 필드는 싱크 패턴의 종류를 나타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타입 필드는 싱크 패턴이 프레임의 첫번째 싱크 패턴인 경우(즉, 프레임의 첫번째 싱크 패턴으로, 측정 슬롯 이전에 위치한 경우), 프레임 싱크임을 나타내는 ‘1’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타입 필드는 슬롯 프레임에서, 싱크 패턴이 프렘임의 첫번째 싱크 패턴이 아닌 경우, 슬롯 싱크임을 나타내는 '0'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정보 필드는 타입 필드가 나타내는 싱크 패턴의 종류에 따라 그 값의 의미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입 필드가 1인 경우(즉, 프레임 싱크를 나타내는 경우), 정보 필드의 의미는 프레임의 종류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정보 필드는 현재 프레임이 슬롯 프레임(slotted frame)인지 또는 자유 형식 프레임(free-format frame)인지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필드가 '00'인 경우, 슬롯 프레임을, 정보 필드가 '01'인 경우, 자유 형식 프레임을 나타낼 수 있다.
이와 달리, 타입 필드가 0인 경우(즉, 슬롯 싱크인 경우), 정보 필드는 싱크 패턴의 뒤에 위치한 다음 슬롯(next slot)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보 필드는 다음 슬롯이 특정(specific) 무선 전력 수신장치에 할당된(allocated) 슬롯인 경우, '00', 특정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일시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잠겨 있는 슬롯인 경우, '01', 또는 임의의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자유롭게 사용 가능한 슬롯인 경우, '10'을 가질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쉐어드 모드에서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11을 참조하면, 쉐어드 모드로 동작하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는, 선택 상태(Selection Phase) (1100), 도입 상태(Introduction Phase)(1110), 설정 상태(Configuration Phase) (1120), 교섭 상태(Negotiation Phase)(1130) 및 전력 전송 상태(Power Transfer Phase) (1140)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우선,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장치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무선 전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무선 전력 신호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 수신장치를 감지하는 과정을 아날로그 핑(Analog ping)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한 무선 전력 수신장치는 선택 상태(1100)에 진입할 수 있다. 선택 상태(1100)에 진입한 무선 전력 수신장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무선 전력 신호 상에 FSK신호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다.
즉, 무선 전력 수신장치는 FSK 신호의 존재 여부에 따라 익스클루시브 모드 또는 쉐어드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전력 수신장치는 무선 전력 신호에 FSK 신호가 포함되어 있으면, 쉐어드 모드로 동작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익스클루시브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쉐어드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는 도입 상태(1110)에 진입할 수 있다. 도입 상태(1110)에서, 무선 전력 수신장치는, 설정 상태, 교섭 상태 및 전력 전송 상태에서, 제어 정보 패킷(CI, Control Information packet)을 전송하기 위하여, 무선 전력 전송장치에게 제어 정보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정보 패킷은, 헤더(Header) 및 제어와 관련된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정보 패킷은, 헤더가 0X53일 수 있다.
도입 상태(1110)에서,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제어정보(control information: CI)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자유슬롯(free slot)을 요청하는 시도를 다음의 구성, 협상, 전력 전송 단계에 걸쳐 수행한다. 이때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자유슬롯을 선택하고 최초 CI 패킷을 전송한다. 만약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해당 CI 패킷에 ACK으로 응답하면,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구성 단계로 진입한다. 만약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NACK으로 응답하면, 다른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구성 및 협상 단계를 통해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이 경우,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자유슬롯의 요구를 재시도한다.
만약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CI 패킷에 대한 응답으로 ACK을 수신하면,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최초 프레임 싱크까지 나머지 슬롯 싱크들을 카운팅함으로써 프레임 내의 개인 슬롯(private slot)의 위치를 결정한다. 모든 후속 슬롯 기반 프레임들에서,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해당 슬롯을 통해 CI 패킷을 전송한다.
만약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무선전력 수신장치에게 구성 단계로 진행함을 허락하면,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배타적 사용을 위한 잠금 슬롯(locked slot) 시리즈를 제공한다. 이는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충돌없이 구성 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확실시 해준다.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2개의 식별 데이터 패킷들(IDHI와 IDLO)와 같은 데이터 패킷의 시퀀스들을 잠금 슬롯을 사용하여 전송한다. 본 단계를 완료하면,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협상 단계로 진입한다. 협상 단계에서,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무선전력 수신장치에게 배타적 사용을 위한 잠금 슬롯을 계속 제공한다. 이는 이는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충돌없이 협상 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확실시 해준다.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해당 잠금 슬롯을 사용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협상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며, 이는 사적 데이터 패킷들과 섞일 수도 있다. 결국 해당 시퀀스는 특정 요청 (specific request (SRQ)) 패킷과 함께 종료된다. 해당 시퀀스를 완료하면,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전력 전송 단계로 진입하고,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잠금 슬롯의 제공을 중단한다.
전력 전송 상태에서,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할당된 슬롯을 사용하여 CI 패킷의 전송을 수행하며, 전력을 수신한다.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레귤레이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레귤레이터 회로는 통신/컨트롤 유닛에 포함될 수 있다.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레귤레이터 회로를 통해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반사 임피던스를 자가-조절(self-regulate)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외부 부하에 의해 요구되는 양의 파워를 전송하기 위해 반사되는 임피던스를 조정할 수 있다. 이는 과도한 전력의 수신과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쉐어드 모드에서,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수신되는 CI 패킷에 대한 응답으로서 전력을 조정하는 것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동작 모드에 따라), 이 경우에는 과전압 상태를 막기 위한 제어가 필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상황에 따라 마스터/전송자로서의 지위와 권한을 가지고 전력 관리와 인증에 관한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하여 개시된다.
1. 가용 전력 지표의 정의와 활용(definition and usage of power indicator)
도 12는 일례에 따른 가용 전력 지표를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가용 전력 지표(available power indicator)는 전력 전송 페이즈에서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출력으로서 제공 가능한 또는 전송 가능한 전력을 의미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잠재 전력(potential power: PP), 보장 전력(guaranteed power: GP), 타겟 전력(target power; TP)를 포함할 수 있다.
잠재 전력은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전력전송 페이즈(power transfer phase) 동안 만들 수 있는(make available) 기준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출력전력 또는 출력전력의 양을 의미할 수 있다. 잠재 전력은 디자인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보장 전력은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전력전송 페이즈 동안에 어느 때이든 가능성을 보장하는(ensure) 기준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출력전력 또는 출력전력의 양을 의미할 수 있다. 보장 전력은 전력전송 페이즈 이전에 협상(negotiated)되나, 전력전송 페이즈 동안에는 고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보장 전력은 적어도 5W일 수 있다.
타겟 전력은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전력전송 페이즈 동안에 제공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출력전력 또는 출력전력의 양을 의미할 수 있다. 타겟 전력은 동적이며 전력전송 페이즈 동안에 바뀔 수 있다. 지원되는 타겟 전력은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동작하는 조건에 의존할 수 있다.
도 13은 일례에 따른 협상 페이즈에서 각 가용 전력 지표가 설정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잠재 전력과 보장 전력의 중간에 충분한 마진(margin)을 둔다(reserve).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전력전송 페이즈 동안에 예상되는 동작 조건(expected operation conditions)에 대한 보장 전력을 협상한다. 예를 들어,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디자인과 판매 시장(market)에 따라,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잠재 전력의 50% 수준에서 보장 전력을 협상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보장 전력의 협상은 도 4의 통신/컨트롤 유닛(120) 또는 도 7의 컨트롤 유닛(7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협상된 보장 전력을 초기 타겟 전력으로 설정할 수 있다. 타겟 전력은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전력전송 페이스 동안에 끌어당기는 실제 전력(무선전력 전송장치가 현재 충전 중인 주변 조건에서 지원하는)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 있다. 한편, 초기 타겟 전력은 도 14와 같이 다른 방법에 의해서도 설정될 수 있다. 초기 타겟 전력의 설정은 도 4의 통신/컨트롤 유닛(120) 또는 도 7의 컨트롤 유닛(7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4는 다른 예에 따른 협상 페이즈에서 각 가용 전력 지표가 설정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잠재 전력을 초기 타겟 전력으로 설정할 수 있다. 타겟 전력은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실제 조건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 있다. 초기 타겟 전력의 설정은 도 4의 통신/컨트롤 유닛(120) 또는 도 7의 컨트롤 유닛(7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전력전송 페이즈에서, 무선전력 전송장치와 수신장치는 가용 전력 지표를 기반으로 전력 제어를 수행하거나, 필요에 따라 가용 전력 지표를 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전력 제어 또는 가용 전력 지표의 조정은 도 4의 통신/컨트롤 유닛(120) 또는 도 7의 컨트롤 유닛(7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서,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보장 전력을 넘는 수준의 제어 권한을 인수할 수 있다. 조건이 허락된다면,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기존의 제어 오류(control error)에 따른 전력 수준에 적응하고(adapt), 타겟 전력을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수신 전력(received power)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통신을 위한 요청(request for communication: RFC)을 보고하여 타켓 전력을 조정할 수 있다. RFC는 재협상 요청(request for renegotiation: RFR), 부가 전송 요청(request for auxiliary transport: RFA) 또는 어텐션(attention)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으며, 용어가 다르더라도 가용 전력 지표에 관련된 기능 또는 무선전력 전송장치에 의해 개시되는(PTx-initiated) 통신과 관련된 기능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변질된(deteriorated) 주위의 충전 조건에 기반하여, 타겟 전력을 감소시키기 원할 수 있다. 또는,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향상된 주의의 충전 조건에 기반하여, 타겟 전력을 증가시키기 원할 수 있다. 이러한 재협상 페이즈 동안에,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타켓 전력을 인지(acknowledge)하고 필요시 동작 모드를 조정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만약 전력 전송 페이스 동안에 조건이 바뀌면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그에 따른 타겟 전력에 적응할 수 있다. 만약 타겟 전력이 변경되면,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에게 긴급(alert)를 보낼 수 있다. 이것은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대해서는 선택적 기능이지만, 무선전력 전송장치에 대해서는 필수적 기능일 수 있다. 또한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에 협상 페이즈 동안에 긴급(alert)을 적용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만약, 실제 전력이 타겟 전력보다 더 크면,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실제 전력 전달을 줄이거나 제한할 수 있다.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실제 전력 전달을 경고 또는 긴급없이 급작스럽게 낮출 수 없다. 긴급을 전송하는 동작은 도 4의 통신/컨트롤 유닛(120) 또는 도 7의 통신 유닛(79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수신전력(received power: RP) 패킷(RP packet: RPP)에 대한 응답으로서 보장 전력을 유지할 수 없을 때, ‘NAK’을 보고할 수 있다. 이것은 예외적인 경우로서, 예를 들어 매우 안 좋은 커플링 환경이거나 고온의 상태, 또는 이물질이 삽입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NAK 보고는 도 4의 통신/컨트롤 유닛(120) 또는 도 7의 통신 유닛(79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전력전송종료(end power transfer: EPT) 패킷을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값은 0x08일 수 있다. EPT 패킷의 전송은 도 4의 통신/컨트롤 유닛(220) 또는 도 8의 통신 유닛(89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재시작(restarting) 전에 이물질 감지를 수행하기 위해 전력 전송을 다시 시작한다.
또 다른 예로서,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보장 전력을 취급할 수 있다. 부하(load)는 보장 전력에서 정류 전압(rectified voltage)이 충분히 높도록 구비될 수 있다. 만약 요구되는 전력이 보장 전력보다 크거나 같고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양(positive)의 제어 오류를 무시한다면,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전력 전송을 계속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EPT 패킷(0x08)은 불필요하다.
도 15는 일 예에 따른 전력 전송 페이즈에서 각 가용 전력 지표를 기반으로 전력 제어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전력 전송 페이즈와 재협상 페이즈 동안에 현재의 주변 충전 조건에 따라 타겟 전력을 변경(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즉, 재협상 페이즈를 통해 타겟 전력이 변경될 수 있으며, 재협상 페이즈 동안에는 이전(previous) 전력 수준으로 전력 전송이 계속된다. 이러한 타겟 전력의 변경은 도 4의 통신/컨트롤 유닛(120) 또는 도 7의 컨트롤 유닛(7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6은 다른 예에 따른 전력 전송 페이즈에서 각 가용 전력 지표를 기반으로 전력 제어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전력 전송 중에 현재의 주변 충전 조건에 따라 가용 전력 지표(i.e. 타겟 전력)을 변경(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무선전력 전송장치에 의해 개시된 통신에 기반하여, 무선전력 전송장치와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가용 전력 지표를 변경하는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용 전력 지표의 변경은,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RP 또는 CE 패킷에 대한 응답으로 “통신을 위한 요청(request for communication: RFC)”를 무선전력 수신장치로 전송하여 기존에 협상된 제1 가용 전력 지표의 변경을 위한 알림(alert)을 수행하는 단계,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이러한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통신을 수신할 준비가 되었음을 나타내는 응답 신호를 무선전력 전송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무선전력 수신장치로 제2 가용 전력 지표에 관한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 및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상기 제2 가용 전력 지표에 따라 동작 모드를 조정하며 무선전력 전송장치로 ACK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준비가 되었음을 나타내는 응답 신호는 폴(poll) 또는 ACK 패킷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용 전력 지표는 잠재 전력, 보장 전력, 타겟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제2 가용 전력 지표가 보장 전력일 경우,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한 뒤 보장 전력에 관한 패킷을 무선전력 수신장치로 전송하고,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상기 보장 전력에 따라 동작 모드를 조정할 수 있다. 보장 전력에 관한 패킷은 도 19와 같이 보장 전력값을 지시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성능(capability) 패킷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2 가용 전력 지표가 타겟 전력일 경우,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한 뒤 타겟 전력에 관한 패킷을 무선전력 수신장치로 전송하고,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상기 타겟 전력에 따라 동작 모드를 조정할 수 있다. 타겟 전력에 관한 패킷은 도 19 또는 도 20과 같이 타겟 전력값을 지시하는 패킷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RFC는 재협상 요청(RFR)과 관련될 수 있는 바,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용 전력 지표의 변경은 상기 제1 실시예에서 RFC를 수신한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ACK을 전송한 후 재협상 페이즈로 진입하여 상기 가용 전력 지표에 따른 전력 계약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FC, 타겟 전력 패킷의 전송 및 응답 신호의 수신은 도 4의 통신/컨트롤 유닛(120) 또는 도 7의 통신 유닛(79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응답 신호 전송은 도 4의 통신/컨트롤 유닛(220) 또는 도 8의 통신 유닛(89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타겟 전력에 따른 동작 모드의 조정은 도 4의 통신/컨트롤 유닛(220) 또는 도 8의 컨트롤 유닛(8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2. 가용 전력 지표와 관련되어 사용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신호 또는 패킷들
(1) 비트 패턴 응답(bit pattern response)
가용 전력 지표와 관련하여,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로 비트 패턴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비트 패턴 응답은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무선전력 전송장치로 어떠한 통신 패킷(예를 들어 RP 패킷)을 전송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서 전송되는 것이다. 비트 패턴 응답의 생성과 전송은 도 4의 통신/컨트롤 유닛(120) 또는 도 7의 통신 유닛(79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비트 패턴 응답은 ACK, NAK, ND 및 RFR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R은 8비트로서 그 값이 “00110011”b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나머지 비트 패턴 응답 또한 ACK(‘111111’b), NAK(‘0000000’b), ND(‘01010101’b)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서로 다른 비트 패턴 응답들 간에는 비트 패턴이 명확히 구별됨을 알 수 있다.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타겟 전력을 갱신하기 위해 무선전력 수신장치에게 비트 패턴 응답 RFR을 전송하여 재협상 페이즈로 진입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타겟 전력을 갱신하는 것은, 현재 주변의 충전 조건을 반영하여 요구 전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RFR의 전송 절차와 관련된 프로토콜은 도 17과 같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RFR의 전송 절차에 관한 프로토콜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재협상 페이즈로 진입하도록 요청하기 위해 RPP(1700) 이후에 비트 패턴 응답인 RFR(1705)을 전송한다. RFR의 전송은 도 4의 통신/컨트롤 유닛(120) 또는 도 7의 통신 유닛(79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재협상(1710, RNG) 패킷을 무선전력 전송장치로 전송하고,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로 ACK(1715)을 전송한다. 재협상 패킷의 전송은 도 4의 통신/컨트롤 유닛(220) 또는 도 8의 통신 유닛(89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응답은 RPP에 대해서 가능할 뿐만 아니라, CE 패킷에 대한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새로운 응답을 정의함으로서 RFR에 대해 기존의 ‘NAK’이 재사용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비트 패턴 응답은 ACK, NAK, ND 및 RFC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C는 8비트로서 그 값이 “00110011”b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나머지 비트 패턴 응답 또한 ACK(‘111111’b), NAK(‘0000000’b), ND(‘01010101’b)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서로 다른 비트 패턴 응답들 간에는 비트 패턴이 명확히 구별됨을 알 수 있다. 즉, 비트 패턴 응답들은 반복적 비트 패턴(repetitive bit pattern)으로 정의되므로, 빠른 인지(quick recognition), 반복적이고 단순한 구현(redundancy and simple implementation)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의해 수신된 4비트가 미리 정의된 비트 패턴들 중 하나와 정확히 일치할 경우,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첫 4비트를 수신한 후에(또는 그 시점에) 그 비트 패턴 응답의 의미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다.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처음 일부의 비트를 놓칠 수 있지만 패턴을 인식할 수 있고, 뒤집힌 비트(flipping bit)를 정정할(correct) 수 있다.
RFC의 전송 절차는,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통신할 사항이 필요하면 RP 패킷이나 CE 패킷에 대한 응답으로서 긴급(alert)을 무선전력 수신장치에게 보내고,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청취할 수 있는 조건이면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ACK을 전송하며,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실제 지원되는 타겟 전력에 관한 정보로 응답하고,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새로운 타겟 전력의 새로운 상황으로 적응한 뒤 ACK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메시지와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응답 및 동작은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메시지에 따라 정의된다. 예를 들어 타겟 전력에 관한 정보의 경우,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그 동작 모드를 조정한 뒤 ACK을 전송한다.
또 다른 예로서, 비트 패턴 응답은 ACK, NAK, ND 및 RFA(request for auxiliary transport)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A는 8비트로서 그 값이 “00110011”b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나머지 비트 패턴 응답 또한 ACK(‘111111’b), NAK(‘0000000’b), ND(‘01010101’b)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경우 서로 다른 비트 패턴 응답들 간에는 비트 패턴이 명확히 구별됨을 알 수 있다.
RFA의 전송 절차는,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통신할 사항이 필요하면 RP 패킷에 대한 응답으로서 긴급(alert)을 무선전력 수신장치에게 보내고,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청취할 수 있는 조건이면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ACK을 전송하며,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실제 지원되는 타겟 전력에 관한 정보로 응답하고,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새로운 타겟 전력의 새로운 상황으로 적응한 뒤 ACK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레가시(legacy) Qi 무선전력 수신장치와 호환성을 위해,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모드 0에서 RP 패킷에 대한 응답으로서만 RFA를 전송할 수 있다.
(2)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RFA 패킷
RFA는 비트 패턴 응답이 아닌, 도 18과 같이 RFA를 위한 헤더에 의해 지시되는 RFA 패킷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요청(request) 필드가 ‘11111111’b로 설정되면 RFA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요청을 지시하고, 요청 필드가 ‘00000000’b로 설정되면 RFA는 부가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요청을 지시한다. 여기서, 부가 전송(auxiliary transport)은 데이터 전송(data transport)과 부가 데이터 전송(auxiliary data transport)을 포함한다. 데이터 전송을 위한 헤더는 데이터 패킷의 타입을 지시한다. 부가 데이터 전송을 위한 헤더는 해당 패킷이 상위계층 응용에 의해 해석될 수 있는 부가 데이터임을 지시한다.
(3)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성능(capability) 패킷
가용 전력 지표는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성능 패킷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가용 전력 지표의 전송 또는 성능 패킷의 전송은 도 4의 통신/컨트롤 유닛(120) 또는 도 7의 통신 유닛(79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용 전력 지표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성능 패킷의 구조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성능 패킷은, 3바이트로서 첫번째 바이트(B0)는 전력 클래스, (타겟) 보장 전력값(guaranteed power value)을 포함하고, 두번째 바이트(B1)는 예비(reserved), 잠재 전력값(potential power value)을 포함하며, 예비(reserved), WPID, Not Res Sens를 포함한다.
협상 페이즈에서, (타겟) 보장 전력값은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전력전송 페이즈 동안에 어느 때이든 가능성을 보장하는(ensure) 기준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출력전력 또는 출력전력의 양을 나타낼 수 있다.
재협상 페이즈에서, (타겟) 보장 전력값은 현재 주변 조건하에서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재협상을 원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출력전력 또는 출력전력의 양을 의미할 수 있다.
(4)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타겟 전력 패킷
타겟 전력값은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타겟 전력 패킷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타겟 전력 패킷의 전송은 도 4의 통신/컨트롤 유닛(120) 또는 도 7의 통신 유닛(79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타겟 전력 패킷의 구조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타겟 전력 패킷은 1바이트로서, 그 일부는 예비(reserved) 비트이고 나머지 일부는 타겟 전력 값을 지시하는 필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예비 비트는 2비트, 타겟 전력 값을 지시하는 필드는 6비트일 수 있다. 타겟 전력값은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전력전송 페이즈 동안에 제공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출력전력 또는 출력전력의 양을 의미할 수 있다. 타겟 전력값은 동적이며 전력전송 페이즈 동안에 바뀔 수 있다. 지원되는 타겟 전력은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동작하는 조건에 의존할 수 있다.
(5) 일반 요청 패킷(general request packet: GRP)과 특정 요청 패킷(specific request packet: SRP)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현재 가용한 보장 전력(또는 타겟 전력)의 값을 얻기 위해 일반 요청 패킷 또는 특정 요청 패킷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 또는 특정 요청 패킷의 생성 및 전송은 도 4의 통신/컨트롤 유닛(220) 또는 도 8의 통신 유닛(89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서,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일반 요청 패킷을 이용하여,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성능 패킷을 읽을 수 있다. 여기서, 타겟 전력 값은 성능 패킷에 포함된 보장 전력 값과 같을 수 있다. 또는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지원되는 타겟 전력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일반 요청 패킷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특정 요청 패킷을 이용하여,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타겟 전력 값(또는 보장 전력 값)을 읽을 수 있다. 특정 요청 패킷은 예/아니오의 답변을 얻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가용 전력 지표와 관련하여서는 타겟 전력이 급작스럽게 감소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요청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6)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응답 패킷(response packet)
가용 전력 지표와 관련하여,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응답 패킷이 사용될 수 있다.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응답 패킷의 생성 및 전송은 도 4의 통신/컨트롤 유닛(220) 또는 도 8의 통신 유닛(89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응답 패킷의 구조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응답 패킷은 1바이트로서, 전체 8비트가 복수의 응답을 지시하는 응답 필드일 수 있다.
일례로서, 응답 필드가 ‘11111111’b로 설정되면 응답 패킷은 ACK을 지시하고, 응답 필드가 ‘00000000’b로 설정되면 응답 패킷은 NAK을 지시하며, 응답 필드가 ‘01010101’b로 설정되면 응답 패킷은 ND를 지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응답 필드가 ‘11111111’b로 설정되면 응답 패킷은 ACK을 지시하고, 응답 필드가 ‘00000000’b로 설정되면 응답 패킷은 NAK을 지시하며, 응답 필드가 ‘01010101’b로 설정되면 응답 패킷은 ND를 지시하고, 응답 필드가 ‘00110011’b로 설정되면 응답 패킷은 RFA를 지시할 수 있다.
(6)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응답 패킷(response packet)
가용 전력 지표와 관련하여,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응답 패킷이 사용될 수 있다.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응답 패킷의 생성 및 전송은 도 4의 통신/컨트롤 유닛(120) 또는 도 7의 통신 유닛(79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응답 패킷의 구조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응답 패킷은 1바이트로서, 전체 8비트가 복수의 응답을 지시하는 응답 필드일 수 있다. 이는 도 21의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응답 패킷과 동일한 구조이다.
일례로서, 응답 필드가 ‘11111111’b로 설정되면 응답 패킷은 ACK을 지시하고, 응답 필드가 ‘00000000’b로 설정되면 응답 패킷은 NAK을 지시하며, 응답 필드가 ‘01010101’b로 설정되면 응답 패킷은 ND를 지시하고, 응답 필드가 ‘00110011’b로 설정되면 응답 패킷은 RFA를 지시할 수 있다.
3. 가용 전력 지표와 관련하여 무선전력 전송장치에 의해 개시되는(PTx-initiated) 통신 방법
무선전력 전송장치에 의해 개시되는 통신은 인증(authentication)과 전력 관리(power management) 기능에서 사용될 수 있다. 무선전력 전송장치에 의해 개시되는 인증에 있어서,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자신에게 요구되는 타이밍에 요청 메시지의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함으로써 개시자로서 인증을 시작할 필요가 있다.
무선전력 전송장치에 의해 개시되는 전력 관리에 있어서,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자신에게 요구되는 타이밍에 충전 환경에 의존적으로 전력 레벨을 재협상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무선전력 전송장치에 의해 개시되는 통신은 무선전력 수신장치로부터 주의(attention)을 요청하는 수단을 제공하여야 한다. 즉,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무선전력 수신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할 때, 전술된 비트 패턴 응답(i.e. RFR, RFC, RFA)이 사용될 수 있다. 비트 패턴 응답을 통해 무선전력 전송장치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기회(opportunity)가 주어진다. 다만, 이 경우에도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요청을 허용(allowing)/비허용(disallowing)함으로서 여전히 통신의 통제를 유지할 수 있다.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데이터를 전송하려면, 그에 맞는 프로토콜 또한 정의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무선전력 전송장치에 의해 개시되는 통신에서,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부가 전송(auxiliary transport) 또는 부가 데이터 전송(auxiliary data transport)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전송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가용 전력 지표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흐름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부가 전송 프로토콜은 크게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부가 전송(auxiliary transport)을 요청하는 단계(단계 S2300과 S2305)와, 그리고 부가 전송 요청에 의해 부가 전송을 실행하는 단계(단계 S2310과 S2315)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부가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에 있어서,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RP 패킷(RPP)를 무선전력 전송장치로 전송한다(S2300). RP 패킷의 생성 및 전송은 도 4의 통신/컨트롤 유닛(220) 또는 도 8의 통신 유닛(89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RFA를 무선전력 수신장치로 전송한다(S2305). RFA의 생성 및 전송은 도 4의 통신/컨트롤 유닛(120) 또는 도 7의 통신 유닛(79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RFA는 비트 패턴 응답일 수도 있고, RFA 패킷일 수도 있다.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RFA를 전송하는 목적은 무선전력 전송장치에 의해 개시되는 통신을 이용하여 무선전력 수신장치로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함일 수 있다. 이때,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는 가용 전력 지표에 관한 패킷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용 전력 지표에 관한 패킷은 타겟 전력, 보장 전력, 잠재 전력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이 경우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RFA를 전송하는 목적은 가용 전력 지표의 변경(예를 들어 보장 전력의 증가 또는 감소)을 위해 재협상을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부가 전송을 실행하는 단계에 있어서, RFA를 수신한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RFA에 대한 응답 패킷을 무선전력 전송장치로 전송한다(S2310). RFA에 대한 응답 패킷의 생성 및 전송은 도 4의 통신/컨트롤 유닛(220) 또는 도 8의 통신 유닛(89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서, RFA에 대한 응답 패킷은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요청을 인지했음을 지시하는 ACK 패킷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RFA에 대한 응답 패킷은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청취할 상태임을 나타낼 수 있다.
이후,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가용 전력 지표에 관한 패킷을 무선전력 수신장치로 전송한다(S2315). 가용 전력 지표에 관한 패킷의 생성 및 전송은 도 4의 통신/컨트롤 유닛(120) 또는 도 7의 통신 유닛(79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전송을 실행하는 ATX(또는 ATD) 단계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24a를 참조하면, 부가 전송을 실행하는 ATX(또는 ATD) 단계(S2400)는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부가 전송을 실행하는 단계(ATX_PRx, S2405)와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부가 전송을 실행하는 단계(ATX_PTx, S2410) 이렇게 2단계가 쌍을 이룰 수 있다. ATX_PRx에서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부가 데이터 또는 부가 데이터 패킷, 또는 응답(ACK/NAK/RFA) 패킷이 전송된다.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부가 데이터 또는 부가 데이터 패킷, 또는 응답(ACK/NAK/RFA) 패킷의 생성 및 전송은 도 4의 통신/컨트롤 유닛(220) 또는 도 8의 통신 유닛(89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ATX_PTx에서는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부가 데이터 또는 부가 데이터 패킷, 또는 응답(ACK/NAK/RFA) 패킷, 또는 비트 패턴 응답이 전송된다. ATX는 ADT(auxiliary data transport) 또는 ADC(auxiliary data control transport)라 불릴 수 있다.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부가 데이터 또는 부가 데이터 패킷, 또는 응답(ACK/NAK/RFA) 패킷, 또는 비트 패턴 응답의 생성 및 전송은 도 4의 통신/컨트롤 유닛(120) 또는 도 7의 통신 유닛(79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4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전송을 실행하는 ATX(또는 ATD) 단계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24b를 참조하면, 부가 전송을 실행하는 ATX(또는 ATD) 단계(S2420)는 무선전력 전송장치(또는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부가 전송을 실행하는 단계(S2525)와 무선전력 수신장치(또는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ACK/NAK 또는 비트 패턴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S2530) 이렇게 2단계가 쌍을 이룰 수 있다. ADT 패킷의 헤더는 헤더 A 또는 헤더 B를 지시할 수 있다. ADT는 CE 값이 0이거나 0에 가까운 경우 예를 들어 500ms의 주기로 전송될 수 있다. 또는 CE 값이 일정 값 이상인 경우, ADT의 전송은 생략될 수 있다. 단일 ADT(ADT 데이터 쌍)이 2개의 인접한 CE 패킷 사이에서 전송될 수 있다.
도 2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전송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가용 전력 지표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흐름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CE 패킷과 RP 패킷을 무선전력 전송장치로 전송한다(S2500). CE 패킷과 RP 패킷의 생성 및 전송은 도 4의 통신/컨트롤 유닛(220) 또는 도 8의 통신 유닛(89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비트 패턴 응답 RFC를 무선전력 수신장치로 전송한다(S2505). 이로써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주의를 끌고(get attention), 무선전력 전송장치에 의한 통신 개시를 요청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가용 전력 지표의 변경을 목적으로 비트 패턴 응답 RFC를 전송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재협상 페이즈에서 가용 전력 지표의 변경 절차를 수행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RFC는 RFA, RFR, ATN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한편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RFC에 대한 응답 패킷(GR(general request) 패킷)을 무선전력 전송장치로 전송하여(S2510), 무선전력 전송장치에 의한 통신 개시의 이유를 질의한다. 이를 폴(poll)이라고도 한다. RFC에 대한 응답 패킷의 생성 및 전송은 도 4의 통신/컨트롤 유닛(220) 또는 도 8의 통신 유닛(89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서, 응답 패킷으로서 GR 패킷이 사용될 수 있으며, GR 패킷은 예를 들어 도 26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GR 패킷은 요청 필드(request field)를 포함한다.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어텐션(attention)의 이유(reason for attention: RA)를 지시하는 요청 필드를 포함하는 GR 패킷을 무선전력 전송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어텐션 요청의 이유를 폴링한다. 요청 필드는 RA 패킷의 헤더가 될 수도 있다.
다시 도 25를 참조하면,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가용 전력 지표의 변경을 이유로, 무선전력 수신장치에게 재협상이 필요함을 알린다(S2515). 단계 S2515을 위해 별도의 RA 패킷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RA 패킷은 도 27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RA 패킷은 1바이트로서 어텐션 요청에 관한 이유를 지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b0=1일 경우 재협상을 지시하고, b1=1일 경우 ADT 데이터 스트림(예를 들어 인증) 전송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b2에서 b7은 예비 비트일 수 있다. RA는 요청의 이유(reason for request: RR)라 불릴 수도 있다. RA 패킷의 생성 및 전송은 도 4의 통신/컨트롤 유닛(120) 또는 도 7의 통신 유닛(79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도 25를 참조하면,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재협상 요청을 받아들일지 여부를 판단한 뒤, 승낙의 표시로 도 28과 같은 ACK 패킷을 전송하고(S2520), 진행 중인 전력 전송에 대한 CE 패킷을 무선전력 전송장치로 전송한다(S2525). ACK/NAK 패킷은 1바이트 정보로서, 그 값이 ‘11111111’b를 지시하면 ACK(RA 패킷 또는 ADT 데이터 패킷을 이상없이 수신하였음)을 나타내고, 그 값이 ‘00000000’b를 지시하면 NAK(RA 패킷 또는 ADT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데 오류가 발생하였음)을 나타낸다.
이후,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재협상 패킷을 무선전력 전송장치로 전송한다(S2530).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이에 대해 ACK으로 응답하고(S2535),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필요한 패킷을 수신하기 위해 무선전력 전송장치로 특정 요청(specific request) 패킷을 전송한다(S2540). 이후 무선전력 전송장치와 수신장치는 재협상 페이즈로 진입하여 필요한 패킷들을 교환한 뒤 가용 전력 지표를 변경한다.
한편, 무선전력 전송장치에 의해 개시되는 통신은,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무선전력 전송장치에게 보낼 데이터 스트림이 있는지를 질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스트림 시작(start of data stream: SOD) 또는 스트림 종료(end of data stream: EOD)를 포함하는 ADT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DT 데이터 스트림의 시작단(start)에 데이터 스트림의 시작(SOD) 패킷이 부가(add)될 수 있다.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끝단(end)에 EOD 패킷이 부가될 수 있다. SOD/EOD 패킷의 구조는 예를 들어 도 29와 같을 수 있다. SOD 또는 EOD를 포함하는 ADT 데이터 패킷의 생성 및 전송은 도 4의 통신/컨트롤 유닛(220) 또는 도 8의 통신 유닛(89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0은 일 실시예에 따른 ADT 데이터 전송 절차를 도시한 것이다. 이는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ADT 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무선전력 전송장치로 ADT 데이터를 전송하는 절차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전력 전송 페이즈에서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CE 패킷을 무선전력 전송장치에게 전송하고, 뒤이어서 SOD를 무선전력 전송장치로 전송하며(S3000),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이를 성공적으로 수신하면 그 응답으로서 비트 패턴 응답인 ACK을 전송한다(S3005).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마스터 역할을 수행한다.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제0 ADT 데이터 패킷(ADT_PRx(0))을 성공적으로 전송한 후(S3010) ACK을 수신한다(S3015). ADT 데이터 패킷이 전송되는 과정은 전력 전송 페이스에 속할 수 있고, 이 경우 ADT 데이터 패킷의 중간에 또는 주기적으로 CE 패킷이 무선전력 수신장치에서 무선전력 전송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제1 ADT 데이터 패킷(ADT_PRx(1))의 수신에는 실패하여(S3020), NAK을 무선전력 수신장치로 전송한다(S3025). 이후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제1 ADT 데이터 패킷(ADT_PRx(1))을 재전송한다(S3030). 이러한 ADT 패킷 전송 시퀀스를 반복한 뒤,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마지막으로 남은 제5 ADT 데이터 패킷(ADT_PRx(5))을 성공적으로 전송한 후 ACK을 수신한다. 이에 대해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EOD를 성공적으로 전송하고(S3035) ACK을 수신함으로써 ADT 데이터의 전송절차를 종료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방법 및 장치, 또는 수신 장치 및 방법은 모든 구성요소 또는 단계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므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방법, 또는 수신 장치 및 방법은 상술한 구성요소 또는 단계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 상술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방법, 또는 수신 장치 및 방법의 실시예들은 서로 조합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또 상술한 각 구성요소 또는 단계들은 반드시 설명한 순서대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나중에 설명된 단계가 먼저 설명된 단계에 앞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서로 별개로 또는 조합되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무선전력 전송장치에 있어서,
    무선전력 수신장치와 제1 가용 전력 지표에 관한 협상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통신/컨트롤 유닛; 및
    상기 제1 가용 전력 지표에 따라 1차 코일에 자기 커플링(magnetic coupling)을 생성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력 변환부를 포함하되,
    상기 통신/컨트롤 유닛은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의해 수신된 전력을 나타내는 수신전력패킷을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에 의한 통신을 요청하는 비트 패턴 응답을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에 의한 통신을 수신할 준비가 되었음을 나타내는 응답 신호를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로 제2 가용 전력 지표에 관한 패킷을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용 전력 지표와 제2 가용 전력 지표는 보장 전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용 전력 지표와 제2 가용 전력 지표는 타겟 전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제2 가용 전력 지표에 관한 패킷은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성능 패킷(capability packet)을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패턴 응답은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소정의 패킷을 전송할 수 있는 권한 획득을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요청함을 지시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패턴 응답은 ACK 응답, 상기 NAK 응답, 상기 요청이 유효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ND 응답을 위한 비트 패턴과는 다른 패턴으로 정의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7. 무선전력 전송방법에 있어서,
    무선전력 수신장치와 제1 가용 전력 지표에 관한 협상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가용 전력 지표에 따라 1차 코일에 자기 커플링(magnetic coupling)을 생성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의해 수신된 전력을 나타내는 수신전력패킷을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에 의한 통신을 요청하는 비트 패턴 응답을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에 의한 통신을 수신할 준비가 되었음을 나타내는 응답 신호를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로 제2 가용 전력 지표에 관한 패킷을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용 전력 지표와 제2 가용 전력 지표는 보장 전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전송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용 전력 지표와 제2 가용 전력 지표는 타겟 전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전송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제2 가용 전력 지표에 관한 패킷은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성능 패킷(capability packet)을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패턴 응답은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소정의 패킷을 전송할 수 있는 권한 획득을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요청함을 지시하는, 무선전력 전송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패턴 응답은 ACK 응답, 상기 NAK 응답, 상기 요청이 유효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ND 응답을 위한 비트 패턴과는 다른 패턴으로 정의되는, 무선전력 전송방법.
  13.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있어서,
    무선전력 전송장치와 제1 가용 전력 지표에 관한 협상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통신/컨트롤 유닛; 및
    상기 제1 가용 전력 지표에 따라 1차 코일에 생성되는 자기 커플링(magnetic coupling)을 통해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전력 픽업부를 포함하되,
    상기 통신/컨트롤 유닛은 상기 수신된 무선전력에 관한 수신전력패킷을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에 의한 통신을 요청하는 비트 패턴 응답을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에 의한 통신을 수신할 준비가 되었음을 나타내는 응답 신호를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로 전송하고, 제2 가용 전력 지표에 관한 패킷을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용 전력 지표와 제2 가용 전력 지표는 보장 전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용 전력 지표와 제2 가용 전력 지표는 타겟 전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제2 가용 전력 지표에 관한 패킷은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성능 패킷(capability packet)을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17. 무선전력 수신방법에 있어서,
    무선전력 전송장치와 제1 가용 전력 지표에 관한 협상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가용 전력 지표에 따라 1차 코일에 생성된 자기 커플링(magnetic coupling)을 통해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무선 전력을 나타내는 수신전력패킷을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에 의한 통신을 요청하는 비트 패턴 응답을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에 의한 통신을 수신할 준비가 되었음을 나타내는 응답 신호를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제2 가용 전력 지표에 관한 패킷을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용 전력 지표와 제2 가용 전력 지표는 보장 전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용 전력 지표와 제2 가용 전력 지표는 타겟 전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제2 가용 전력 지표에 관한 패킷은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성능 패킷(capability packet)을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방법.
KR1020197025946A 2017-08-24 2018-08-24 무선전력 전송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2461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49931P 2017-08-24 2017-08-24
US62/549,931 2017-08-24
US201762550623P 2017-08-26 2017-08-26
US62/550,623 2017-08-26
KR20180034709 2018-03-26
KR1020180034709 2018-03-26
KR1020180068029 2018-06-14
KR20180068029 2018-06-14
PCT/KR2018/009773 WO2019039898A1 (ko) 2017-08-24 2018-08-24 무선전력 전송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168A true KR20190108168A (ko) 2019-09-23
KR102246177B1 KR102246177B1 (ko) 2021-04-29

Family

ID=65439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5946A KR102246177B1 (ko) 2017-08-24 2018-08-24 무선전력 전송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1223242B2 (ko)
EP (3) EP4221094A1 (ko)
JP (3) JP6949985B2 (ko)
KR (1) KR102246177B1 (ko)
CN (2) CN110476362B (ko)
WO (1) WO201903989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1398A1 (ko) * 2021-04-30 2022-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23277671A1 (ko) * 2021-07-02 2023-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프로파일 간 호환성 확보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177B1 (ko) 2017-08-24 2021-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전력 전송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CN118100474A (zh) * 2018-04-16 2024-05-28 Lg电子株式会社 无线功率传输系统中的数据传送的方法和无线功率接收机
WO2020085614A1 (ko) * 2018-10-23 2020-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0197267A1 (ko) 2019-03-25 2020-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력 보정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CN111835097B (zh) 2019-04-22 2022-02-1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无线充电系统、无线充电设备及无线受电设备
WO2020222528A1 (ko) 2019-04-29 2020-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전력 수신장치,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전력 전송방법
WO2021167341A1 (ko) * 2020-02-17 2021-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전력 수신장치,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데이터 전송 스트림을 이용한 무선전력 수신장치와 무선전력 전송장치 사이의 메시지 전송/수신 방법
KR20210105205A (ko) 2020-02-18 2021-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의 동작방법
KR20210105204A (ko) 2020-02-18 2021-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EP4220895A4 (en) 2021-01-29 2024-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THEREOF
CN113696751B (zh) * 2021-08-17 2023-07-18 广西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基于线圈的具有身份识别的无人机充电系统及方法
TW202315275A (zh) * 2021-09-28 2023-04-01 美商奇異電器公司 無線電力系統中的功率協商
FR3133716A1 (fr) * 2022-03-16 2023-09-22 Stmicroelectronics (Rousset) Sas Procédé de communic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7637A (ko) * 2013-08-07 2015-02-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송신장치
WO2015119458A1 (en) * 2014-02-07 2015-08-13 Lg Electronics Inc. Wireless power transfer and receive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873B1 (ko) * 2006-01-04 2012-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에서 IPv6를 지원하기 장치 및 방법
US8497658B2 (en) 2009-01-22 2013-07-30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power control for wireless charging of devices
US9094054B2 (en) 2009-11-30 2015-07-28 Broadcom Corporation IC controlled wireless power operation and applications thereof including control channel communication configuration
JP5459392B2 (ja) 2010-04-13 2014-04-02 富士通株式会社 電力供給システム、送電器、および受電器
KR101779344B1 (ko) * 2011-02-07 2017-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무선 전력 전송 및 수신 제어 방법
JP5703823B2 (ja) 2011-02-21 2015-04-22 ソニー株式会社 送電装置、送電方法および電力伝送システム
CN108462260B (zh) * 2011-03-31 2022-01-28 索尼公司 检测器、电力传送器和接收器、电力供给系统
JP5071574B1 (ja) * 2011-07-05 2012-11-14 ソニー株式会社 検知装置、受電装置、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及び検知方法
KR20130006326A (ko) 2011-07-07 2013-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및 충전 시스템, 무선 전력 전송 및 충전 시스템의 통신 및 전력 제어 방법
US20130058379A1 (en) * 2011-09-05 2013-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KR101338732B1 (ko) 2011-11-10 2013-1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송신장치, 무선전력 수신장치, 무선전력 전송 방법, 무선전력 수신 방법, 정보 전송 방법 및 정보 수신 방법
KR101882754B1 (ko) * 2012-06-20 2018-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 송신기에서 전력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전력 송신기
KR101788603B1 (ko) * 2013-12-01 2017-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방법,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KR101792140B1 (ko) * 2014-02-07 2017-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방법, 무선 전력 전송장치, 무선 전력 수신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CN106165250B (zh) * 2014-04-11 2019-06-25 Lg电子株式会社 无线电力发送器以及无线电力发送方法
JP2015231252A (ja) * 2014-06-03 2015-12-21 ローム株式会社 ワイヤレス送電装置、ワイヤレス受電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ワイヤレス給電システム、ワイヤレス給電方法
KR101711538B1 (ko) * 2014-07-24 201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방법,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AU2015302418B2 (en) * 2014-08-12 2020-08-20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power transfer
US10103553B2 (en) * 2014-10-22 2018-10-16 Lg Electronics Inc.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receiver
JP6671919B2 (ja) * 2015-10-23 2020-03-25 キヤノン株式会社 送電装置、送電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450027B2 (ja) * 2015-11-05 2019-01-09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車両用無線電力送信機及び受信機
KR102246177B1 (ko) * 2017-08-24 2021-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전력 전송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US10862351B2 (en) 2018-03-26 2020-12-0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7637A (ko) * 2013-08-07 2015-02-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송신장치
WO2015119458A1 (en) * 2014-02-07 2015-08-13 Lg Electronics Inc. Wireless power transfer and receive method, apparatus and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1398A1 (ko) * 2021-04-30 2022-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23277671A1 (ko) * 2021-07-02 2023-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프로파일 간 호환성 확보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17080A1 (en) 2021-12-01
EP3582466B1 (en) 2021-07-28
US20220123604A1 (en) 2022-04-21
US11670966B2 (en) 2023-06-06
EP4221094A1 (en) 2023-08-02
EP3582466A4 (en) 2020-02-26
JP2021168594A (ja) 2021-10-21
US20210143687A1 (en) 2021-05-13
US20230261522A1 (en) 2023-08-17
CN114584633B (zh) 2023-06-20
KR102246177B1 (ko) 2021-04-29
JP7193586B2 (ja) 2022-12-20
EP3582466A1 (en) 2019-12-18
WO2019039898A1 (ko) 2019-02-28
CN110476362B (zh) 2022-04-22
EP3917080B1 (en) 2023-06-28
CN114584633A (zh) 2022-06-03
US11223242B2 (en) 2022-01-11
CN110476362A (zh) 2019-11-19
JP6949985B2 (ja) 2021-10-13
JP2023022297A (ja) 2023-02-14
JP2020516215A (ja)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6177B1 (ko) 무선전력 전송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US1173614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heterogeneous communication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KR20190122214A (ko) 무선전력 전송시스템에서 데이터 스트림의 전송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US116163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KR20190138631A (ko) 무선전력 전송시스템에서 인증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622769B1 (ko) 무선전력 수신장치,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전력 전송방법
US1146962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wo-channel communication in a wireless power transfer
KR20220032580A (ko) 무선전력 수신장치,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전력 보정 방법
US2023013496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harging status information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KR20230015917A (ko) 무선전력 전송장치, 무선전력 전송장치에 의한 무선전력 전송방법,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의한 무선전력 수신방법
KR20230010644A (ko)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의한 통신 방법
KR20230002439A (ko)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무선전력 전송장치
KR20220161293A (ko)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전력 전송방법
EP4181352A1 (en) Wireless power receiver,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between wireless power receiver and wireless power transmitter
EP4109793A1 (en)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messages between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using data transmission stream
KR20220152221A (ko) 무선전력 전송장치,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이들의 인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