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7537A - 적층형 마이크로 구조체 및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 어플리케이터 - Google Patents

적층형 마이크로 구조체 및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 어플리케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7537A
KR20190107537A KR1020180028907A KR20180028907A KR20190107537A KR 20190107537 A KR20190107537 A KR 20190107537A KR 1020180028907 A KR1020180028907 A KR 1020180028907A KR 20180028907 A KR20180028907 A KR 20180028907A KR 20190107537 A KR20190107537 A KR 20190107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ted
substrate
stacked
housing
micro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0277B1 (ko
Inventor
정형일
라샤얀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28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277B1/ko
Publication of KR20190107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23Drug applicators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46Solid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61Methods for using micronee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내 물질 전달을 위한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일 측면에 복수개의 마이크로 니들이 형성되는 기판 및 상기 마이크로 니들과 대향하는 대향면에 형성되는 적층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개의 기판 중 어느 하나의 기판에 형성된 적층 지지체는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기판을 지지하는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적층형 마이크로 구조체 및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 어플리케이터 {Multilayer microstructure and Applicator for the same}
본 발명은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 및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 어플리케이터에 관한 것이다.
질병의 치료를 위한 수많은 약물 및 치료제 등이 개발 되었지만 약물을 신체 내로 전달함에 있어서, 생물학적 장벽(biological barrier, 예를 들어, 피부, 구강점막 및 뇌-혈관 장벽 등) 통과 문제 및 약물 전달의 효율 문제는 여전히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 남아 있다.
약물은 일반적으로 정제제형 또는 캡슐제형으로 경구투여 되지만, 수많은 약물들이 위장관에서 소화 또는 흡수되거나 간의 기전에 의하여 소실되는 등의 이유로 상기와 같은 투여 방법만으로는 유효하게 전달될 수 없다. 게다가, 몇몇 약물들은 장의 점막을 통과하여 유효하게 확산될 수 없다. 또한, 예를 들어 특정 간격으로 약물을 복용해야 하거나, 약을 복용할 수 없는 중환자의 경우 환자의 순응도 역시 문제가 된다.
약물전달에 있어서 또 다른 일반적인 기술은 종래의 주사바늘(needle)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경구 투여에 비하여 효과적인 반면에, 주사부위에서의 통증 수반 및 피부의 국부적 손상, 출혈 및 주사부위에서의 질병 감염 등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니들(microneedle)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마이크로 구조체들이 개발 되었다. 현재까지 개발된 마이크로 니들은 주로 생체 내 약물 전달, 채혈, 체내 분석물질 검출 등에 사용되어 왔다. 마이크로 니들은 기존의 니들과 달리 무통증의 피부 관통과 무외상을 특징으로 하며, 무통증 피부 관통은 최소 침예성을 위한 상단부(top) 직경이 중요하다. 또한, 마이크로 니들은 피부 중 가장 강력한 장애물인 10-20 ㎛의 각질층(stratum corneum)을 관통하여야 하므로, 충분한 물리적 경도를 가질 것이 요구된다. 또한, 모세혈관까지 도달함으로써 약물 전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적정 길이도 고려되어야 한다.
한편, 마이크로니들을 피부 내로 투입하는 데 있어서, 다수의 마이크로니들을 포함하는 패치 형태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다. 패치를 이용하여 마이크로니들을 피부 내로 투입하는 것은 결국 패치에 형성된 점착성 물질에 의해 패치가 피부에 부착되는 것이다. 이 경우, 점착성 물질에 의한 알러지 반응이 발생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 니들이 체내에 흡수될 때까지 장시간 대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탄성력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니들을 체내에 삽입시키는 어플리케이터가 고려될 수 있다. 이 경우 체내에 마이크로 니들을 삽입시켜 흡수 대기 시간을 감소시키는 효과는 있지만, 1회 적용 후 마이크로 니들 또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를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니들이 배열된 복수개의 층으로 적층되어 연속적인 피부 적용이 가능한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복수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를 순차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는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 어플리케이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체내 물질 전달을 위한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로서, 일 측면에 복수개의 마이크로 니들이 형성되는 기판; 및 상기 마이크로 니들과 대향하는 대향면에 형성되는 적층 지지체; 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개의 기판 중 어느 하나의 기판에 형성된 적층 지지체는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기판을 지지하는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가 제공된다.
이 때, 상기 적층 지지체는 상기 기판의 대향면 양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적층 지지체는 상기 기판의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개의 기판은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과 이웃하는 제 2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판의 대향면에 형성되는 상기 적층 지지체는, 상기 제 2 기판의 일 측면에 배열된 복수개의 상기 마이크로 니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적층 지지체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적층 지지체 각각은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적층 지지체의 높이는 적어도 상기 마이크로 니들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판은 상기 마이크로 니들이 형성된 면을 향하여 돌출되며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를 피부에 적용시키기 위한 어플리케이터로서, 하부측이 개방되고 상부면에 관통홀이 형성되되, 내부에 상기 마이크로 니들과 상기 적층 지지체가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기판이 각각 한 개의 층을 형성하도록 적층되는 적층 하우징; 및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적층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를 하부측으로 가압시키는 슈팅부재;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터가 제공된다.
이 때, 상기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는, 상기 마이크로 니들이 상기 적층 하우징의 개방된 하부측을 향해 배치되도록, 상기 적층 하우징의 상하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적층 하우징은 내측면에 지지턱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슬릿면을 포함하는 슬릿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릿부는 상기 슬릿면에 형성되되 상기 적층 하우징의 개방된 하부측 개구로부터 상기 적층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슈팅부재에 의해 상기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와 상기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를 지지하는 지지턱이 하부측으로 가압되고, 상기 복수개의 슬릿면은 외측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의 적층된 복수개의 층 중 가장 하부측에 위치한 층이 상기 적층 하우징의 개방된 하부측으로 슈팅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슬릿면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피부에 삽입되어 체내로 물질 전달이 가능한 마이크로구조체를 복수개의 층으로 구성하여 마이크로구조체의 연속적인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마이크로구조체를 피부에 적용함에 있어서, 복수개의 층으로 구성된 마이크로구조체를 순차적으로 한 층씩 적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의 결합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의 변형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 어플리케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 어플리케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의 작동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의 적층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의 적층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 어플리케이터의 작동도이다.
도 11은 도 2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마이크로 구조체(1)는 기판(122), 기판(122) 상에 형성되는 마이크로 니들(126) 및 기판(122) 상에 형성되는 적층 지지체(124)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마이크로 니들(126)이 기판(122)의 일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기판(122)의 일면 상에 어레이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마이크로 니들(126)은 체내에 전달하고자 하는 물질이 코팅되거나 내부에 해당 물질을 구비할 수 있다. 마이크로 니들(126)은 생분해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피부에 삽입된 후 체내에서 용해되면서 체내 물질 전달이 수행될 수 있다.
적층 지지체(124)는 마이크로 니들(126)이 형성된 기판(122) 면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22) 일면의 양측 테두리에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마이크로 니들(126)이 형성된 복수개의 기판(122)이 적층될 때 각 기판(122)의 마이크로 니들(126)이 형성된 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적층 지지체(124)는 마이크로 니들(126)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도 1에 도시된 복수개의 기판(122) 중 상부측에 위치한 기판을 제 1 기판으로 제 1 기판의 하부측에 이웃하는 기판을 제 2 기판으로 지칭한다. 제 1 기판의 일면에는 마이크로 니들(126)이 형성되고, 제 2 기판의 이면에 형성되는 적층 지지체(12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 1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마이크로 니들(126)은 제 2 기판의 이면에 형성되는 적층 지지체(124)의 사이에 수용될 수 있다. 제 2 기판의 적층 지지체(124)는 제 2 기판의 이면의 양 측 테두리에 형성되어, 제 1 기판의 마이크로 니들(126)이 수용되는 공간(123)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기판(122)은 적층 지지체(124)에 의해 지지되면서 적층될 수 있다. 적층 지지체(124)는 최 상부에 위치한 기판(122)에 작용하는 가압력을 하부측에 위치한 기판(122)에 전달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 지지체(124)는 반드시 기판(122)의 이면 상의 양 측 테두리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도 3과 같이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1')는 각 기판(122)의 이면 상에 적층 지지체(124')가 형성되어 상부측에 위치한 이웃하는 기판(122)을 지지할 수 있다.
적층 지지체(124')는 기판(122)의 이면에 형성되어, 이웃하여 적층되는 다른 기판(122)의 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 때, 적층 지지체(124')는 다른 기판(122)의 일면에 형성되는 마이크로 니들(126)이 위치한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적층 지지체(124')는 단면이 원형인 기둥 형태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마이크로 니들(126)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기판(122) 적층시 마이크로 니들(126)이 보호받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기판(122a)은 마이크로 니들(126a)이 형성된 면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라운드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1의 실시 예는 도 2의 실시 예와 같이, 라운드진 형태의 기판(122a)이 서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겨우, 사람의 피부가 평면이 아닌 곡면의 형태를 가지므로, 라운드진 형태의 기판(122a)에 마이크로 니들(126a)을 형성하여 사람의 피부에 보다 더 잘 침투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10)를 설명한다.
어플리케이터(10)는 복수개의 층을 이루는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1)를 각 층별로 피부에 적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10)는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1), 하우징부(210), 하우징부(210) 내부에 구비되는 가압부(220) 및 슈팅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1)는 전술한 바와 같으며, 다만, 복수개의 적층된 기판(122)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적층 하우징(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기판(122)이 적층되는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1)가 적층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적층 하우징(110)의 상부면에는 슈팅부재(232) 관통홀(113)이 형성될 수 있다. 슈팅부재(232) 관통홀(113)을 통해 슈팅부재(232)의 단부가 적층 하우징(110)의 내부로 연장되고,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1)의 최 상부층을 가압시킬 수 있다.
이 때, 적층 하우징(11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사각형인 직육면체 하우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원통형의 하우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판(122)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기판(122)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하우징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적층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된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1)를 한 개 층씩 적용시키기 위해 적층 하우징(110) 내측면에 형성되는 지지턱(1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 하우징(110) 내측면에는 지지턱(112)이 형성되며, 지지턱(112)은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되어 적층된 기판(122) 중 최 하부를 지지할 수 있으며, 두 개의 지지턱(112)이 형성되는 경우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지지턱(112)은 최 하부에 배치된 기판(122)을 배출한 후 최 하부 기판(122)의 바로 위에 적층된 기판(122)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턱(112)은 마이크로 니들(126)이 형성된 기판(122)의 일면의 가장자리를 지지할 수 있다.
적층 하우징(110)은 상부측으로는 슈팅부재(232) 관통홀(113)이 형성되고 하부측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적층 하우징(110)의 내측면에서 개방된 하부 단부측에는 슬릿(115)이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 하우징(110)의 각 측면은 서로 연결되어 모서리를 이루며, 모서리의 하부측에 슬릿(115)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슬릿(115)이 형성됨으로써, 지지턱(112)에 의해 지지되어 적층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된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1)가 상부측으로부터의 가압력이 작용하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115)에 의해 분리된 적층 하우징(110)의 각 측면들이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1)의 최 하부층이 적층 하우징(110)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10)는 하우징부(210) 및 하우징부(210) 내부에 구비되는 슈팅부(230)와 가압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하우징부(2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하우징(212)과 제 2 하우징(2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하우징(212)은 양측이 개방된 원통형의 하우징으로서, 내부에 제 2 하우징(214) 및 적층 하우징(110)이 구비될 수 있다. 적층 하우징(110)은 제 2 하우징(214)의 하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212)의 상부측에는 상부 덮개부재(216)가 결합되고, 하부측에는 하부 덮개부재(218)가 결합될 수 있다. 하부 덮개부재(218)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 1 하우징(212) 내부의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1)가 하부측으로 슈팅될 수 있다.
제 2 하우징(214)은 하부측이 개방되고, 하부측으로는 내부에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1)를 구비하는 적층 하우징(110)이 배치될 수 있다. 제 2 하우징(214)의 내부에는 슈팅부(230)와 가압부(220)가 구비될 수 있다. 제 2 하우징(214)의 상부측에는 개구(217)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개구(217)의 형상은 가압부재(226)가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하우징(214)의 외측면에는 트리거홈(215)이 형성될 수 있다. 트리거홈(215)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슈팅부(2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탄성부재(234), 제 2 탄성부재(236) 및 제 3 탄성부재(238)를 포함하고, 제 2 하우징(214)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슈팅부재(232)를 포함할 수 있다.
슈팅부재(232)는 제 2 하우징(214)의 내부에 구비되며, 제 2 하우징(214)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트리거홈(215)에 수용되는 트리거부재(233)를 포함할 수 있다. 트리거부재(233)는 슈팅부재(232)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트리거부재(233)를 중심으로 슈팅부재(232)의 상부측은 제 2 탄성부재(236)가 삽입 결합되고, 하부측은 제 3 탄성부재(238)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슈팅부재(232)의 하단부는 적층 하우징(110)에 형성된 슈팅부재(232) 관통홀(113)에 삽입되도록 결합되어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1)의 최 상부층 기판(122)을 가압시킬 수 있다.
슈팅부재(232)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트리거부재(233)에는 제 1 탄성부재(234)가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 탄성부재(234)는 제 2 탄성부재(236) 또는 제 3 탄성부재(238)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제 1 탄성부재(234) 내측에 제 2 탄성부재(236)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 탄성부재(234)는 하단부가 트리거부재(233)에 의해 지지되며, 상단부는 가압부(220)의 플랜지(22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로써, 가압부재(226)가 하부측으로 가압되면, 하부측으로 이동되는 플랜지(224)와 트리거홈(215)에 의해 지지되는 트리거부재(233) 의해 제 1 탄성부재(234)가 수축할 수 있다. 제 1 탄성부재(234)는 슈팅부재(232)를 하부측으로 슈팅시키는 탄성력을 보존할 수 있다.
제 2 탄성부재(236)는 제 1 탄성부재(234)의 내측에 위치하며, 하부측으로는 슈팅부재(232)에 의해 지지되고, 상부측으로는 가압부재(22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 2 탄성부재(236)는 슈팅부재(232)와 가압부재(226) 사이에 배치되어, 가압부재(226)의 하부측 이동에 따라 수축되고 슈팅부재(232)를 하부측으로 슈팅시키는 탄성력을 보존할 수 있다.
제 3 탄성부재(238)는 슈팅부재(232)의 하부측에 위치하며, 슈팅부재(232)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적층 하우징(110)의 상부면에 형성된 슈팅부재(232) 관통홀(113)에 슈팅부재(232)가 관통 형성되고, 슈팅부재(23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 3 탄성부재(238)는 적층 하우징(110)의 상부면에 의해 지지되어, 탄성력을 보존할 수 있다. 제 3 탄성부재(238)는 슈팅부재(232)가 슈팅된 후, 슈팅부재(232)를 제자리로 복귀시킬 수 있다.
가압부(220)는 누름부재(222), 가압부재(226), 누름부재(222)와 가압부재(226) 사이에 형성되는 플랜지(224)를 포함할 수 있다.
누름부재(222)는 제 1 하우징(212)의 상부측에 결합되는 상부 덮개부재(216)에 형성되는 누름부재 관통홀(219)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마이크로구조체를 슈팅시키기 위해 누름부재(222)를 누르면, 누름부재 관통홀(219)에 삽입된 누름부재(222)가 하부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누름부재(222)의 하부측에는 플랜지(224)가 연결될 수 있다. 플랜지(224)는 상부측으로 누름부재(222)와 연결되고 하부측으로 가압부재(226)와 연결될 수 있다. 누름부재(222)와 플랜지(224)는 제 1 하우징(212) 내부에 구비되되 제 2 하우징(214)의 상부측에 배치되며, 특히 플랜지(224)가 제 2 하우징(214)의 상부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플랜지(224)는 제 1 하우징(212)의 내경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제 1 하우징(212) 내부에서 제 1 하우징(21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제 2 하우징(214)에 형성되는 가압부재(226) 관통홀 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제 2 하우징(214)의 상부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가압부재(226)는 플랜지(224)의 하부측에 배치되며, 가압부재(226)의 형상은 제 2 하우징(214)의 가압부재(226) 관통홀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누름부재(222)나 플랜지(224)와 달리 제 2 하우징(214)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가압부재(226)의 외측면에는 경사홈(223)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홈(223)에는 슈팅부재(232)의 트리거부재(233)가 수용될 수 있다. 가압부재(226) 내부에 형성된 중공에는 슈팅부재(232)가 배치될 수 있다. 슈팅부재(232)의 상단부는 가압부재(226) 내부 중공부에 배치되고, 슈팅부재(232)의 외측면에 형성된 트리거부재(233)는 경사홈(223)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슈팅부재(232) 상단부와 가압부재(226) 내부면 사이에는 제 2 탄성부재(236)가 배치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10)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6a와 도 7a를 참조하면, 누름부재(222)는 상부 덮개부재(216)에 형성된 누름부재 관통홀(219)에 삽입되며, 탄성부재는 압축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 때, 슈팅부재(232)의 트리거부재(233)는 가압부재(226)의 외측면에 형성된 경사홈(223)과 제 2 하우징(214)의 외측면에 형성된 트리거홈(215)에 수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적층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된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1)는 가압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후, 누름부재(222)를 가압하면 도 6b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재(222)와 누름부재(222)의 하부측으로 연결된 가압부재(226)가 하부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누름부재(222)와 가압부재(226) 사이에 위치한 플랜지(224)도 하부측으로 이동하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224)와 트리거부재(233) 사이에 위치한 제 1 탄성 스프링이 압축될 수 있다.
이 때, 트리거부재(233)는 가압부재(226)가 하부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가압부재(226)의 경사홈(223)의 상부측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이후 도 7을 기준으로 볼 때, 경사홈(223)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트리거부재(233)는 제 2 하우징(214)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트리거홈(215)에 수용되며, 트리거부재(233)가 좌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트리거홈(215)에 삽입된 채로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트리거부재(233)는 전술한 바와 같이 'ㄱ'자 형의 수평홈과 수직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좌측으로 이동하는 트리거부재(233)는 수평홈을 따라 이동하며, 이후 수직홈을 따라 슈팅될 수 있다.
즉, 트리거부재(233)가 경사홈(223)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면, 제 1 탄성부재(234)와 제 2 탄성부재(236)는 압축되며, 트리거부재(233)가 경사홈(223)의 좌단부까지 이동한다. 제 1 탄성부재(234)와 제 2 탄성부재(236)는 탄성력을 보존한다.
이후 트리거부재(233)가 경사홈(223)의 좌단부까지 이동하여 트리거홈(215)의 수평 홈의 좌측 단부까지 이동하면, 제 1 탄성부재(234)와 제 2 탄성부재(236)를 지지하는 트리거부재(233)가 더 이상 트리거홈(215)에 의해 지지되지 못하므로 수직 홈을 따라 하부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트리거부재(233)의 하부측 이동에 따라 슈팅부재(232)가 하부측으로 슈팅되며, 이 때 작용하는 힘은 제 1 탄성부재(234)와 제 2 탄성부재(236)에 보존된 탄성력이다. 슈팅부재(232)는 적층 하우징(110)의 슈팅부재(232) 관통홀(113)을 따라 하부측으로 이동하여 복수개의 기판(122) 중 최 상부측에 위치한 기판(122)을 하부측으로 가압하고, 최 하부측에 위치한 기판(122)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제 3 탄성부재(238)는 슈팅부재(232)의 하부측 이동에 따라 적층 하우징(110)에 지지되어 압축되며,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1)에 대한 가압이 완료된 후 다시 슈팅부재(232)를 원상 복귀 시기키 위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에 따라 슈팅부재(232)가 하부측으로 이동하여, 적층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된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1)의 최 상부측 기판을 하부측으로 가압시킬 수 있다. 이 때, 적층 지지체(124)에 의해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1)의 최 하부측 기판으로 압력이 전달될 수 있다. 최 하부측 기판과 접촉되어 지지하는 지지턱(112)은 하부측으로의 압력을 받으며, 슬릿(115)이 형성된 외측면이 벌어지면서 최 하부측 기판이 더 이상 지지턱(112)에 의해 지지될 수 없다. 이로써, 최 하부측 기판이 피부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해 기술분야의 평균적인 기술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적층형 마이크로 구조체 122: 기판
124: 적층 지지체 126: 마이크로 니들
10: 어플리케이터 110: 적층 하우징
210: 하우징부 220: 가압부
230: 슈팅부

Claims (12)

  1. 체내 물질 전달을 위한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로서,
    일 측면에 복수개의 마이크로 니들이 형성되는 기판; 및
    상기 마이크로 니들과 대향하는 대향면에 형성되는 적층 지지체; 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개의 기판 중 어느 하나의 기판에 형성된 적층 지지체는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기판을 지지하는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지지체는 상기 기판의 대향면 양측 단부에 형성되는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지지체는 상기 기판의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기판은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과 이웃하는 제 2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판의 대향면에 형성되는 상기 적층 지지체는, 상기 제 2 기판의 일 측면에 배열된 복수개의 상기 마이크로 니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지지체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적층 지지체 각각은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지지체의 높이는 적어도 상기 마이크로 니들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마이크로 니들이 형성된 면을 향하여 돌출되며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되는 적층형마이크로구조체.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를 피부에 적용시키기 위한 어플리케이터로서,
    하부측이 개방되고 상부면에 관통홀이 형성되되, 내부에 상기 마이크로 니들과 상기 적층 지지체가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기판이 각각 한 개의 층을 형성하도록 적층되는 적층 하우징; 및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적층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를 하부측으로 가압시키는 슈팅부재;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는, 상기 마이크로 니들이 상기 적층 하우징의 개방된 하부측을 향해 배치되도록, 상기 적층 하우징의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는 어플리케이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하우징은 내측면에 지지턱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슬릿면을 포함하는 슬릿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릿부는 상기 슬릿면에 형성되되 상기 적층 하우징의 개방된 하부측 개구로부터 상기 적층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슬릿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슈팅부재에 의해 상기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와 상기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를 지지하는 지지턱이 하부측으로 가압되고,
    상기 복수개의 슬릿면은 외측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의 적층된 복수개의 층 중 가장 하부측에 위치한 층이 상기 적층 하우징의 개방된 하부측으로 배출되는 어플리케이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면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어플리케이터.
KR1020180028907A 2018-03-12 2018-03-12 적층형 마이크로 구조체 및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 어플리케이터 KR102230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907A KR102230277B1 (ko) 2018-03-12 2018-03-12 적층형 마이크로 구조체 및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 어플리케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907A KR102230277B1 (ko) 2018-03-12 2018-03-12 적층형 마이크로 구조체 및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 어플리케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537A true KR20190107537A (ko) 2019-09-20
KR102230277B1 KR102230277B1 (ko) 2021-03-19

Family

ID=68067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907A KR102230277B1 (ko) 2018-03-12 2018-03-12 적층형 마이크로 구조체 및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 어플리케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2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715A (ko) * 2019-10-31 2021-05-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층형 슈팅 디바이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5128A (ja) * 2007-08-15 2009-03-05 Toppan Printing Co Ltd 針状体、針状体の製造方法、針状体製造装置
WO2015136639A1 (ja) * 2014-03-12 2015-09-17 株式会社バイオセレンタック 真皮内目的物質留置用マイクロニードル製剤投与部材及びマイクロニードル製剤迅速投与器具
WO2017213169A1 (ja) * 2016-06-07 2017-12-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マイクロニードルアレ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5128A (ja) * 2007-08-15 2009-03-05 Toppan Printing Co Ltd 針状体、針状体の製造方法、針状体製造装置
WO2015136639A1 (ja) * 2014-03-12 2015-09-17 株式会社バイオセレンタック 真皮内目的物質留置用マイクロニードル製剤投与部材及びマイクロニードル製剤迅速投与器具
WO2017213169A1 (ja) * 2016-06-07 2017-12-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マイクロニードルアレ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715A (ko) * 2019-10-31 2021-05-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층형 슈팅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277B1 (ko) 2021-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39317T3 (es) Aplicadores de microproyección de impacto múltiple
RU2674083C2 (ru) Аппликаторы с микровыступами
US10525243B2 (en) Microneedle unit and microneedle assembly
JP6034290B2 (ja) 経皮投薬装置
US8617126B2 (en) Painless injector
ES2650188T3 (es) Dispositivo y kit de aplicación de parches
RU2569029C2 (ru) Аппликаторы для микроигл
TWI617332B (zh) Microneedle applicator
CN105073180B (zh) 包括计数器组件的微针施用装置
ES2238333T3 (es) Aparato de tratamiento dermico para la administracion prolongada de farmacos por via transdermica.
US20090198189A1 (en) Device for applying a microneedle array
NL2007461C2 (en) System for transporting fluid across or into a biological barrier, device and capsule as part of the system.
KR102271338B1 (ko)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
US20160325082A1 (en) Microneedle unit
CN101432040A (zh) 具有雕刻的微突出物的微突出物阵列用于高的药物负载
BR112020007566A2 (pt) aplicador para aplicar uma matriz de microagulhas à pele
KR102186163B1 (ko) 다기능 마이크로구조체 패치
WO2016155671A1 (zh) 可吞咽式装置
KR20180075267A (ko)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
JP2022516513A (ja) 嚥下可能薬物送達デバイスを使用する腸管の管腔への送達のための治療剤調製物
KR102230277B1 (ko) 적층형 마이크로 구조체 및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 어플리케이터
KR20200024513A (ko) 슈팅 마이크로 구조체 모듈 및 이의 어플리케이터
JP2019115718A (ja) マイクロニードルパッチの保護離型シート
WO2019117510A1 (ko) 고밀도 마이크로 니들
KR102215571B1 (ko) 마이크로 구조체 슈팅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