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7513A - 사원증 케이스 - Google Patents

사원증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7513A
KR20190107513A KR1020180028855A KR20180028855A KR20190107513A KR 20190107513 A KR20190107513 A KR 20190107513A KR 1020180028855 A KR1020180028855 A KR 1020180028855A KR 20180028855 A KR20180028855 A KR 20180028855A KR 20190107513 A KR20190107513 A KR 20190107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ployee
holder
card
employee card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2235B1 (ko
Inventor
양지호
Original Assignee
양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지호 filed Critical 양지호
Priority to KR1020180028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2235B1/ko
Publication of KR20190107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7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in the form of a badge to be worn by a pers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1Enclosures enveloping completely the lab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2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for labels being formed by a combination of interchangeable elements, e.g. price lab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원증을 수납하여 가슴부위에 패용하거나, 목에 걸어 휴대하는 사원증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사원증을 케이스에 수납하고 나면 사원증이 사원증 케이스의 역할은 물론이고 사원증이 사원증 케이스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사원증을 꺼내고자 할 경우에는 한 손으로 사원증을 손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원증(10)의 삽입부를 갖는 수납 본체(20)와, 상기 수납 본체(20)의 상부에 자성체(34)가 내장되게 구비된 홀더 착탈부(30)와, 상기 홀더 착탈부(30)에 착탈 가능하도록 영구자석(41)이 내장된 홀더(40)와, 상기 홀더(40)에 고정되어 수납 본체(20)를 패용하는 걸이부재(50)로 구성하여 상기 홀더(40)가 홀더 착탈부(30)에 원 터치방식으로 착탈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원증 케이스{Employee ID card case}
본 발명은 사원증을 수납하여 가슴부위에 패용하거나, 목에 걸어 휴대하는 사원증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사원증을 케이스에 수납하고 나면 사원증이 사원증 케이스의 역할은 물론이고 사원증이 사원증 케이스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사원증을 꺼내고자 할 경우에는 한 손으로 사원증을 손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사원증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찰의 종류로는 사원증, 신분증, 출입증, ID 카드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표찰은 케이스 내에 수납되어 목에 걸거나, 가슴부위에 패용하는 형태로 휴대하고 있으나, 이하에서는 사원증을 일 예의 표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사원증 케이스는 사원증이 수납되는 수납 본체와, 상기 수납 본체의 상부에 고정되는 목줄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사원증(카드) 케이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상태 사시도로써, 사원증 케이스는 수납 본체(100)를 구성하는 상면부(110) 및 정면부(120) 그리고 목줄(130) 및 와인딩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면부(110)에 사원증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홀(111)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위에는 목줄(130)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케이스 홈(112)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목줄(130)은 수납 본체(100) 내부에서 완전히 감겨져 있어 목줄(130)의 일부가 케이스 홈(112) 위로 노출되어 있다가 사용자가 손가락을 케이스 홈(112)에 집어넣고, 잡아당기면 목줄(130)이 도 2와 같이 수납 본체(100) 밖으로 노출되므로 목에 걸 수 있게 된다.
상기 수납 본체를 구성하는 정면부(120)는 제1 영역(121)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1 영역(121)의 재질은 수납 본체에 삽입된 사원증이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사원증 케이스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목줄(130)이 와인딩부(140)에 의해 감겨져 도 2와 같이 수납 본체(100)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가 사원증 케이스를 목에 걸기 위해 케이스 홈(112)에 손가락을 집어넣고 목줄(130)을 수납 본체(100)의 외부로 임계값 이상 잡아당기면 수납 본체(100)의 내부에 감겨져 있던 목줄(130)이 풀리면서 도 1과 같이 빠져나오는데, 목줄(130)로부터 외력을 제거하면 목줄(130)이 도 1과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납 본체(100)로부터 목줄(130)을 인출하여 목에 걸어 사용하는 사원증 케이스의 내부에는 삽입홈(111)을 통해 사원증(150)을 수납하여 휴대하였다가 건물의 내부로 들어가고자 할 경우에는 출입구에 설치된 출입통제장치(도시는 생략함)에 사원증(150)을 갖다대어 사원증(150)에 입력된 개인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7-0135012(2017.12.08.공개)
(특허문헌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81061(2012.09.07.등록)
(특허문헌 0003)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20-0460002(2012.04.17.등록)
(특허문헌 000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50450(2010.04.02.등록)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사원증 케이스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근래에는 일면에 사원증의 기능을 부여하고 다른 일면에는 신용카드(교통카드겸용)의 기능을 부여한 새로운 타입의 사원증(150)을 수납 본체(100)의 내부에 수납하고 사원증 케이스의 목줄(130)은 와인딩부(140)에 의해 수납 본체(100)의 내부에 권취되어 있어 사원증(150)을 출입통제장치 또는 교통카드인식기(버스, 지하철 등)에 갖다 대기 위해서는 수납 본체(100)를 길게 잡아당겨 목줄(130)의 길이를 최대화하였다가 사원증(150)을 출입통제장치 또는 교통카드인식기에 갖다댄 후에는 수납 본체(100)로부터 외력을 제거하여 목줄(130)이 와인딩부(140)에 의해 수납 본체(100)의 내부에 수납되도록 하여야만 되었으므로 사원증 또는 신용카드를 인식시키는데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둘째, 수납 본체(100)의 내부에 와인딩부(140)가 구비되어야만 하므로 수납 본체(100)의 두께가 두꺼워져 투박하였음은 물론 무게가 무거워 사원증 케이스를 목에 걸어 휴대하는데 불편하였다.
셋째, 신용카드를 결재하기 위해서는 수납 본체(100)로부터 신용카드를 겸하는 사원증(150)을 인출하여야 되는데, 반드시 한 손으로 수납 본체(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상면부(110)의 중앙에 형성된 케이스 홈(1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사원증(150)을 파지한 다음 상부로 잡아당겨 사원증(150)을 인출하였다가 결재를 마치고 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손으로 수납 본체(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사원증(150)을 케이스 홈(112)에 수납하여야 되었으므로 사원증(150)의 인출 및 삽입에 많은 불편함이 수반되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사원증이 수납되는 수납 본체와 걸이부재가 고정된 홀더를 원 터치(one touch) 방식에 의해 착탈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원증을 출입통제장치 또는 교통카드인식기에 터치하여 인식시킬 때 홀더로부터 수납 본체를 신속하게 분리하였다가 인식을 완료한 다음 수납 본체를 걸이부재의 일단에 고정된 홀더에 갖다 대기만 하면 이들의 결합이 자동으로 완료되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납 본체의 무게를 최소화하여 사원증 케이스의 휴대성을 향상시킴은 물론이고 수납 본체에 수납된 사원증의 양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광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납 본체에 수납된 사원증을 한 손으로 인출하거나,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원증 케이스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사원증의 삽입부를 갖는 수납 본체와, 상기 수납 본체의 상부에 자성체가 내장되게 구비된 홀더 착탈부와, 상기 홀더 착탈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영구자석이 내장된 홀더와, 상기 홀더에 고정되어 수납 본체를 패용하는 걸이부재로 구성하여 상기 홀더가 홀더 착탈부에 원 터치방식으로 착탈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원증 케이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수납 본체에 수납된 사원증을 출입통제장치 또는 교통카드인식기에 터치하기 위해 홀더 착탈부를 누르면 걸이부재에 고정된 홀더에서 수납 본체가 분리되므로 수납 본체에 수납된 사원증을 편리하게 인식시킬 수 있게 되고, 사원증의 인식을 마치고 나면 수납 본체에 형성된 통공을 홀더 측에 위치시키기만 하면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수납 본체가 홀더에 결합되므로 사원증 또는 신용카드의 사용이 편리해지게 된다.
둘째, 걸이부재에 고정된 홀더로부터 수납 본체를 분리하여 출입통제장치 또는 교통카드인식기에 인식시키도록 되어 있어 수납 본체의 내부에 종래와 같은 와인딩부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원증 케이스가 심플해짐은 물론이고 그 무게가 가벼워 휴대성이 용이해지게 된다.
셋째, 신용카드의 결재를 위해 수납 본체로부터 사원증을 인출할 때, 사원증이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한 손으로 사원증을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사원증의 하부를 상측으로 밀면 사원증이 홀더 착탈부의 하부에 형성된 라운딩부를 따라 빠져나오게 되므로 사원증의 인출이 편리해지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사원증(카드) 케이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원증 케이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 - A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슬라이더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사원증 케이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조립상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 - A선 단면도로써, 본 발명의 사원증 케이스는, 사원증(10)의 삽입부를 갖는 수납 본체(20)와, 상기 수납 본체(20)의 상부에 자성체(34)가 내장되게 구비된 홀더 착탈부(30)와, 상기 홀더 착탈부(30)에 착탈 가능하도록 영구자석(41)이 내장되고 캡(42)으로 폐쇄된 홀더(40)와, 상기 홀더(40)에 고정되어 수납 본체(20)를 패용하는 걸이부재(50)로 구성되어 상기 홀더(40)가 홀더 착탈부(30)에 원 터치방식으로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납 본체(20)는, 상기 홀더 착탈부(30)의 하부에 라운딩부(21)를 갖으며, 일면에 사원증(10)의 전체 높이보다 낮은 크기의 개구부(22)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개구부(22)의 상부에 사원증(10)의 삽입이 가능한 폭의 확장부(23)를 형성하고 상기 확장부(23)의 하부에는 사원증(10)의 양측 가장자리를 수용하는 레일(24)을 형성하며, 상기 확장부(23)의 상부에는 레일(24)에 삽입된 사원증(10)의 상부가 비스듬하게 얹혀지는 경사면(25)을 형성하여 상기 확장부(23)를 통해 레일(24)에 사원증(10)을 삽입하면 사원증(10)의 상부가 경사면(25)에 비스듬히 얹혀지면서 사원증(10)이 개구부(22)를 완전히 폐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경사면(25)의 하부에 형성되어 레일(24)에 수납되어 개구부(22)를 폐쇄하는 사원증(10)의 상부가 비스듬히 얹혀지는 하부 돌기(26)와, 상기 하부 돌기(26)의 상부에 위치되게 경사면(25)에 형성된 상부 돌기(27)를 더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부주의로 확장부(23)에 근접한 사원증(10)의 상면에 마찰력이 작용하더라도 사원증(10)이 상부 돌기(27)에 걸려 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레일(24)의 내면에 사원증(10)의 표면 또는 이면에 접속되는 돌기(28)가 Z축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돌기(28)를 레일(24)의 입구에 근접되게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사원증(10)의 인출 측에서 돌기(28)가 사원증(10)을 지지함으로써, 보다 안정적 수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구부(22)의 하변 중앙에 사원증(10)의 저면 일부가 노출되도록 반구형상의 요입홈(29)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요입홈(29)의 형상을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게 됨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이에 따라, 손가락이 건조하거나, 장갑을 낀 상태에서도 손톱이나, 볼펜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수납 본체(20)로부터 사원증(10)을 손쉽게 인출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수납 본체(20)에 형성되는 사원증(10)의 삽입부를 필요에 따라 수납 본체(20)의 상부에 형성하지 않고 측면에 형성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홀더 착탈부(30)는, 상기 수납 본체(20)의 상부 중앙에 통공(31)이 형성되고 일 측이 개구된 공간부(32)와, 상기 공간부(32)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경사진 홀더 이탈편(33a) 및 버튼(33b)이 형성된 슬라이더(33)와, 상기 슬라이더(33)의 홀더 부착부위[통공(31)과 일치되는 지점]에 매입 고정된 자성체(34)와, 상기 공간부(32) 및 슬라이더(33) 사이에 설치되어 슬라이더(33)를 수납 본체(20)의 외부로 편의하는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35)와, 상기 자성체(34) 고정부위의 일 측에 위치되게 슬라이더(33)에 고정되며 홀더(40)의 요홈(43)에 걸려 홀더(40)를 파지하는 한 쌍의 탄성 지지편(36a)이 슬라이더(33)와 이격되게 위치하는 클리퍼(36)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33)의 일 측에 버튼(33b)을 별도로 형성하여 삽입 고정할 수 있는데, 이는 버튼(33b)의 재질을 실리콘 또는 금속으로 하여 제품의 고급화를 추구하거나, 또는 사원증(10)을 발급하는 회사의 이미지를 상징하는 색상으로 하여 차별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공간부(32)와 통하여지게 수납 본체(20)의 상부 중앙에 형성된 통공(31)의 양측으로는 하향 돌출편(37a)(37b)이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더(33)에는 하향 돌출편(37a)(37b)과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절개부(33c)(33d)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향 돌출편(37b)과 절개부(33d)의 사이에는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35)가 끼워져 있다.
상기 홀더 착탈부(30)의 자성체를 영구자석으로 적용하면 홀더 착탈부(30)에 홀더(40)를 결합할 때 이들의 결합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홀더(40)에 고정되는 걸이부재(50)를 사용용도에 따라 목줄 또는 클립이나 집게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사원증(10)이 수납되는 수납 본체(20)를 불투명재질의 합성수지로 하여도 무방하나, 투명재질의 합성수지로 성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수납 본체(20)에 수납된 사원증(10)의 전면은 개구부(22)를 통해 외부로 표출되도록 하고, 신용카드기능을 갖도록 마그네트가 형성된 면은 보호되도록 수납 본체(20)의 이면에 위치시키더라도 투명부위를 통해 외부로 표출되도록 함으로써, 광고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나타낸 도 3에서는 홀더(40)에 고정되는 걸이부재(50)가 목줄인 타입의 사원증 케이스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수납 본체(20)에 형성된 개구부(22)의 상부에 위치하는 확장부(23)를 통해 사원증(10)의 하단을 레일(24)에 끼워 하부로 밀어 넣으면 사원증(10)의 양 측면 가장자리가 레일(24)에 안정적으로 안내되어 삽입된다.
이와 같이 사원증(10)이 수납되어 개구부(22)를 폐쇄하고 나면 사원증(10)의 인출 측 끝부분이 하부 돌기(26)의 상면에 얹혀짐과 동시에 사원증(10)의 인출 측 상단은 상부 돌기(27)의 저면에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며, 사원증(10)의 표면 또는 이면은 확장부(23)와 근접되게 레일(24)에 형성된 돌기(28)가 긴밀하게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사원증(10)을 수납 본체(20)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휴대하더라도 사원증(10)이 수납 본체(20)에서 임의로 빠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원증(10)을 수납 본체(20)에 수납한 상태에서 걸이부재(50)인 목줄을 목에 걸어 휴대하는데, 이때에는 홀더(40)에 내장된 영구자석(41)이 슬라이더(33)에 매립된 자성체(34)에 부착되고, 홀더(40)의 요홈(43)에는 슬라이더(33)에 고정된 클리퍼(36)의 탄성 지지편(36a)이 걸려 있어 수납 본체(20)는 홀더(40)에 지지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사원증(10)을 출입통제장치 또는 교통카드인식기(버스, 지하철 등)에 터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걸이부재(50)인 목줄의 일단에 고정된 홀더(40)로부터 수납 본체(20)를 분리시켜야 된다.
이를 위해 한 손으로 수납 본체(20)를 파지함과 동시에 외부로 노출된 버튼(33b)을 누르면 슬라이더(33)가 하향 돌출편(37b)과 절개부(33d)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35)를 압축시키면서 공간부(32)의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더(33)가 공간부(32)의 내부로 이동하여 통공(31)의 양측으로 형성된 하향 돌출편(37a)(37b)이 절개부(33c)(33d)를 통과할 때 슬라이더(33)에 형성된 홀더 이탈편(33a)이 홀더(40)의 저면을 들어올리게 되므로 영구자석(41)이 내장된 홀더(40)가 자성체(34)에서 분리됨과 동시에 탄성 지지편(36a)이 벌어지게 되므로 홀더(40)가 클리퍼(36)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이에 따라, 홀더(40)에서 수납 본체(20)가 분리되고, 버튼(33b)에서 외력을 제거하면 슬라이더(33)는 탄성부재(35)의 복원력에 의해 초기 상태로 환원된다.
이와 같이 한 손에 파지된 수납 본체(20)가 홀더(40)에서 분리되고 나면 이를 출입통제장치 또는 교통카드인식기(버스, 지하철 등)에 터치함에 따라 인증 또는 결재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홀더(40)에서 분리된 사원증(10)을 이용하여 인증 또는 결재를 하고 나면 수납 본체(20)를 홀더(40)에 다시 결합하여야 되는데, 본 발명은 홀더(40)에 영구자석(41)이 내장되어 있고 통공(31)과 일치되는 지점의 슬라이더(33)에는 자성체(34)가 매입되어 있어 수납 본체(20)의 상부 중앙에 형성된 통공(31)을 홀더(40)에 근접되게 위치시키기만 하면 영구자석(41)의 자력에 의해 통공(31)으로 홀더(40)가 자동으로 삽입된다.
이와 같이 통공(31)으로 홀더(40)가 자동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더(33)에 매입된 자성체(34)에 부착될 때 한 쌍의 탄성 지지편(36a)은 홀더(40)에 의해 외측으로 확장되었다가 홀더(40)가 탄성 지지편(36a)을 지나 슬라이더(33)에 매입된 자성체(34)에 부착되고 나면 확장되었던 탄성 지지편(36a)은 자체 복원력에 의해 최초 상태로 환원되면서 요홈(43)에 걸리게 되므로 수납 본체(20)와 걸이부재(50)인 목줄의 연결이 완료된다.
상기 걸이부재(50)가 목줄 대신 클립 또는 집게인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이루어짐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한편, 사원증(10)과 기능을 겸하는 신용카드의 결재를 위해서는 수납 본체(20)에서 사원증(10)을 꺼내야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한 손으로 수납 본체(20)를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사원증(10)의 하부를 상측으로 밀어주기만 하면 사원증(10)의 인출이 가능해진다.
즉, 수납 본체(20)로부터 사원증(10)을 인출하기 위해 사원증(10)의 하부를 엄지손가락으로 눌러 인출 측으로 밀면 사원증(10)의 상부에 외력이 작용되지 않아 사원증(10)의 인출 측 상단이 상부 돌기(27)를 타고 넘어가 라운딩부(21)를 따라 사원증(10)이 수납 본체(20)로부터 인출되므로 사원증과 기능을 겸하는 신용카드의 결재가 가능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손가락이 건조하거나, 겨울철 등에 장갑을 낀 상태에서도 수납 본체(20)로부터 수납된 사원증(10)을 손쉽게 꺼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는, 개구부(22)의 하변 중앙에 사원증(10)의 저면 일부가 노출되도록 반구형상의 요입홈(29)이 형성되어 있어 손톱이나, 볼펜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수납 본체(20)에 수납된 사원증(10)을 인출 측으로 밀면 전술한 바와 같은 작용에 의해 수납 본체(20)에서 사원증(10)이 인출되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사원증 20 : 수납 본체
21 : 라운딩부 22 : 개구부
23 : 확장부 24 : 레일
25 : 경사면 26 : 하부 돌기
27 : 상부 돌기 28 : 돌기
29 : 요입홈 30 : 홀더 착탈부
31 : 통공 32 : 공간부
33 : 슬라이더 33a : 홀더 이탈편
34 : 자성체 35 : 탄성부재
36 : 클리퍼 36a : 탄성 지지편
40 : 홀더 41 : 영구자석
43 : 요홈 50 : 걸이부재

Claims (8)

  1. 사원증(10)의 삽입부를 갖는 수납 본체(20)와, 상기 수납 본체(20)의 상부에 자성체(34)가 내장되게 구비된 홀더 착탈부(30)와, 상기 홀더 착탈부(30)에 착탈 가능하도록 영구자석(41)이 내장된 홀더(40)와, 상기 홀더(40)에 고정되어 수납 본체(20)를 패용하는 걸이부재(50)로 구성하여 상기 홀더(40)가 홀더 착탈부(30)에 원 터치방식으로 착탈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원증 케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 본체(20)는,
    상기 홀더 착탈부(30)의 하부에 라운딩부(21)를 갖으며, 일면에 사원증(10)의 전체 높이보다 낮은 크기의 개구부(22)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개구부(22)의 상부에 사원증(10)의 삽입이 가능한 폭의 확장부(23)를 형성하고 상기 확장부(23)의 하부에는 사원증(10)의 양측 가장자리를 수용하는 레일(24)을 형성하며, 상기 확장부(23)의 상부에는 레일(24)에 삽입된 사원증(10)의 상부가 비스듬하게 얹혀지는 경사면(25)을 형성하여 상기 확장부(23)를 통해 레일(24)에 사원증(10)을 삽입하면 사원증(10)의 상부가 경사면(25)에 비스듬히 얹혀지면서 사원증(10)이 개구부(22)를 완전히 폐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원증 케이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25)의 하부에 형성되어 레일(24)에 수납되어 개구부(22)를 폐쇄하는 사원증(10)의 상부가 비스듬히 얹혀지는 하부 돌기(26)와, 상기 하부 돌기(26)의 상부에 위치되게 경사면(25)에 형성되어 확장부(23)에 근접한 사원증(10)의 상면에 마찰력이 작용되었을 때 사원증(10)의 인출을 억제하는 상부 돌기(27)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원증 케이스.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레일(24)의 내면에 사원증(10)의 표면 또는 이면에 접속되는 돌기(28)를 Z축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원증 케이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 착탈부(30)는,
    상기 수납 본체(20)의 상부 중앙에 통공(31)이 형성되고 일 측이 개구된 공간부(32)와, 상기 공간부(32)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경사진 홀더 이탈편(33a) 및 버튼(33b)이 형성된 슬라이더(33)와, 상기 슬라이더(33)의 홀더 부착부위에 매입 고정된 자성체(34)와, 상기 공간부(32) 및 슬라이더(33) 사이에 설치되어 슬라이더(33)를 수납 본체(20)의 외부로 편의하는 탄성부재(35)와, 상기 자성체(34) 고정부위의 일 측에 위치되게 슬라이더(33)에 고정되며 홀더(40)의 요홈(43)에 걸려 홀더(40)를 파지하는 한 쌍의 탄성지지편(36a)을 갖는 클리퍼(3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원증 케이스.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홀더 착탈부(30)의 자성체가 영구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원증 케이스.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50)가 목줄, 클립, 집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원증 케이스.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 본체(20)가 투명재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원증 케이스.
KR1020180028855A 2018-03-12 2018-03-12 사원증 케이스 KR102032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855A KR102032235B1 (ko) 2018-03-12 2018-03-12 사원증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855A KR102032235B1 (ko) 2018-03-12 2018-03-12 사원증 케이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804A Division KR102080298B1 (ko) 2019-09-26 2019-09-26 사원증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513A true KR20190107513A (ko) 2019-09-20
KR102032235B1 KR102032235B1 (ko) 2019-10-16

Family

ID=68067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855A KR102032235B1 (ko) 2018-03-12 2018-03-12 사원증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223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5662A (ja) * 1997-09-22 1999-04-09 Kokuyo Co Ltd 名札類のホルダー
JP3163601U (ja) * 2010-08-10 2010-10-21 裕文 中澤 カードホルダ
JP3185344U (ja) * 2013-03-15 2013-08-15 正雄 林 磁力式ワッペン・アクセサリー・名札
KR101402311B1 (ko) * 2013-01-11 2014-06-02 박환기 꽂이 명찰 부착구
KR20160004007A (ko) * 2014-07-02 2016-01-12 (주)상일씨앤씨 표찰 케이스용 안전 끈 및 이를 갖는 표찰 케이스
KR20170135012A (ko) * 2016-05-30 2017-12-08 (주)상일씨앤씨 표찰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3601B2 (ja) * 1991-08-20 2001-05-08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3185344B2 (ja) 1992-04-21 2001-07-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核磁気共鳴装置用体腔内プローブ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5662A (ja) * 1997-09-22 1999-04-09 Kokuyo Co Ltd 名札類のホルダー
JP3163601U (ja) * 2010-08-10 2010-10-21 裕文 中澤 カードホルダ
KR101402311B1 (ko) * 2013-01-11 2014-06-02 박환기 꽂이 명찰 부착구
JP3185344U (ja) * 2013-03-15 2013-08-15 正雄 林 磁力式ワッペン・アクセサリー・名札
KR20160004007A (ko) * 2014-07-02 2016-01-12 (주)상일씨앤씨 표찰 케이스용 안전 끈 및 이를 갖는 표찰 케이스
KR20170135012A (ko) * 2016-05-30 2017-12-08 (주)상일씨앤씨 표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2235B1 (ko) 2019-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0298B1 (ko) 사원증 케이스
US20240041175A1 (en) Smartphone Combo Wallet Sleeve with Clip and Pop-Up Stand, with Magnetic Key Fob and Attachment Disk
KR102032235B1 (ko) 사원증 케이스
KR20100011646U (ko) Id 카드 홀더
KR101099081B1 (ko) 가발 케이스
KR200465236Y1 (ko) 카드 수납 파우치를 구비한 휴대폰 스킨
JP3184032U (ja) Idカードホルダー
KR102025187B1 (ko)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
KR101056399B1 (ko) 표찰케이스
GB2312188A (en) A wrist-mounted retractable writing or other instrument
KR200495316Y1 (ko) 휴대 전자기기 경사 거치 기능을 갖는 카드포켓 및 이를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KR200482539Y1 (ko) 덮개형 카드 지갑이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KR20190001795U (ko) 카드 인출 수단을 구비한 카드 지갑
KR20140004979U (ko)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200478448Y1 (ko) 덮개형 카드 수납 케이스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KR20130003872U (ko) 명함 인출이 용이한 기능성 명함케이스
KR200231463Y1 (ko) 화장 및 손톱소제용구 보관함
JP2008307230A (ja) 付勢巻取り式携帯補助具
JP3179414U (ja) 情報記憶カード
JP3183261U (ja) リール式カードホルダ
KR20130001440U (ko) 지갑을 고정할 수 있는 가방
KR200173500Y1 (ko) 탄성을 이용한 휴대용 백 개폐장치
CN207373969U (zh) 一种名片盒
JP3052529U (ja) 携帯電話の収納ケース
KR890003781Y1 (ko) 전철 정액권용 보관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