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7164A - 관 부재 - Google Patents

관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7164A
KR20190107164A KR1020197026104A KR20197026104A KR20190107164A KR 20190107164 A KR20190107164 A KR 20190107164A KR 1020197026104 A KR1020197026104 A KR 1020197026104A KR 20197026104 A KR20197026104 A KR 20197026104A KR 20190107164 A KR20190107164 A KR 20190107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window
main body
holding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6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2982B1 (ko
Inventor
히로유키 기타가와
유 사이토
Original Assignee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07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22Pipe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g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2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detection of dynamic effects of the flow
    • G01F1/28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detection of dynamic effects of the flow by drag-force, e.g. vane type or impact flowmeter

Abstract

(과제) 관 부재를 유체 배관 부재로부터 떼어내지 않고 관상 창 부재를 떼어낼 수 있도록 한 관 부재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당해 관 부재 (100) 는, 유체 배관 부재 사이에 끼워 넣어져 유체 배관의 일부를 구성한다. 당해 관 부재 (100) 는 관 부재 본체 (102) 와, 관상 창 부재 (104) 와, 유지 부재 (106) 를 구비한다. 관상 창 부재 (104) 는 투명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 그 내측의 유로 (112) 와 날개 부재 (108) 가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해진다. 또 관상 창 부재 (104) 는, 유지 부재 (106) 에 의해 관 부재 본체 (102) 에 끼워 넣어진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유지 부재 (106) 를 유지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변위시켜 해방 위치로 함으로써, 유지 부재 (106) 가 관상 창 부재 (104) 로부터 떨어져 관상 창 부재 (104) 에 대한 유지가 해제된다. 이로써 관상 창 부재 (104) 는 관 부재 본체 (102) 로부터 측방 개구부 (130) 를 통해서 떼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관 부재
본 발명은 유체 배관 부재 사이에 끼워 넣어져 유체 배관의 일부를 구성하는 관 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 배관 내의 유체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게 된 관 부재에 관한 것이다.
유체 배관 내의 유체의 흐름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투명 재료로 구성된 부분으로부터 유로 내부를 시인할 수 있도록 한 관 부재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유량 센서는, 투명한 튜브와, 그 양단에 나사 결합된 피팅과, 튜브 내에 장착된 터빈 유닛을 구비하고, 튜브 내를 유체가 흘렀을 때에 터빈 유닛이 유량에 따라 회전 방향 및 축 방향으로 변위되고, 이 터빈의 변위량을 판독함으로써 유체의 흐름 및 그 유량을 계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8-9025호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유량 센서에 있어서는, 사용을 계속하던 중에 투명한 튜브 내를 지나는 유체나 그것에 포함되는 고형물에 의해 튜브의 내주면이 서서히 오염되어 가 유로 내부의 시인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투명한 튜브를 꺼내 그 내부를 세정하거나 새 튜브로 교환하거나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서술한 유량 센서와 같은 종래의 관 부재에 있어서는, 관상 창 부재가 되는 투명한 튜브를 떼어내기 위해서는 관 부재 자체를 유체 배관 부재로부터 떼어내고, 또한 관 부재를 분해할 필요가 있었다. 이와 같은 작업은 매우 번잡하고 시간이 걸리는 작업이다.
그래서 본 발명은, 관 부재를 유체 배관 부재로부터 떼어내지 않고 관상 창 부재를 떼어낼 수 있도록 한 관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유체 배관 부재 사이에 끼워 넣어져 유체 배관의 일부를 구성하는 관 부재로서,
제 1 통로를 획정하는 관 부재 본체로서, 그 제 1 통로의 길이 축선에 대해 측방으로부터 그 제 1 통로에 연통하도록 개구된 측방 개구부를 갖는 관 부재 본체와,
그 측방 개구부를 통해서 그 관 부재 본체에 끼워 넣어지는 관상 창 부재로서, 그 관 부재 본체에 끼워 넣어졌을 때에 그 제 1 통로와 연통하여 당해 관 부재의 유로를 구성하는 제 2 통로를 가짐과 함께, 적어도 일부가 투명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 그 적어도 일부를 통해서 그 유로 내가 시인 가능해지도록 된 관상 창 부재와,
그 관 부재 본체에 장착되는 유지 부재로서, 그 관상 창 부재와 걸어맞춰져 그 관상 창 부재를 그 관 부재 본체에 끼워 넣어진 위치에 유지하는 유지 위치와, 그 관상 창 부재로부터 떨어져 그 관상 창 부재에 대한 유지를 해제하고 그 관상 창 부재가 그 관 부재 본체로부터 그 측방 개구부를 통해서 떼어낼 수 있게 되는 해방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된 유지 부재를 구비하는 관 부재를 제공한다.
당해 관 부재에 있어서는, 관상 창 부재를 관 부재 본체의 측방 개구부를 통해서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관상 창 부재를 떼어냄에 있어서 관 부재 자체를 유체 배관 부재로부터 떼어낼 필요가 없다.
바람직하게는,
그 유지 부재가, 그 유지 위치와 그 해방 위치 사이에서 그 길이 축선의 방향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그 관 부재 본체에 장착되고,
그 관상 창 부재가, 그 유지 부재가 그 해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그 관 부재 본체에 끼워 넣어져 있는 끼워 넣음 위치와, 그 끼워 넣음 위치로부터 그 길이 축선의 방향에서 변위되어 그 제 1 통로와 그 제 2 통로의 연통이 해제되는 연통 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고,
그 관상 창 부재는, 그 연통 해제 위치에 있어서 그 관 부재 본체로부터 그 측방 개구부를 통해서 떼어낼 수 있게 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그 관 부재 본체가, 통상의 전방 부분 및 후방 부분과, 그 전방 부분과 그 후방 부분 사이의 중간 부분을 갖고, 그 측방 개구부가 그 중간 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그 관상 창 부재가, 그 끼워 넣음 위치에 있어서 그 관 부재 본체와 그 길이 축선의 방향에서 정합되어 그 전방 부분과 밀봉 걸어맞춰지게 되고,
그 유지 부재가, 제 3 통로를 갖는 통상의 부재가 되고, 그 유지 위치에 있어서 그 관상 창 부재와 그 후방 부분에 밀봉 걸어맞춰져, 그 제 3 통로가 그 제 1 통로 및 그 제 2 통로와 함께 당해 관 부재의 그 유로를 구성하게 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그 유지 부재가, 그 관상 창 부재가 그 관 부재 본체로부터 떼어내어진 상태에 있어서, 그 관 부재 본체로부터 그 측방 개구부를 통해서 떼어낼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유지 부재의 세정이나 교환이 용이해진다.
바람직하게는,
그 유지 부재가, 그 유지 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형상부를 갖고, 그 관 부재 본체가 그 돌출 형상부를 받아들이는 수용 오목부를 가지고 있고,
그 유지 부재는, 그 유지 위치에 있을 때에 그 관 부재 본체에 대해 그 길이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해지고, 그 돌출 형상부가 그 수용 오목부에 대해 그 길이 축선의 방향에서 정합되는 정합 회전 위치에 있을 때에는 그 돌출 형상부가 그 수용 오목부에 받아들여지면서 그 해방 위치까지 변위 가능해지고, 그 정합 회전 위치에 없을 때에는 그 돌출 형상부가 그 관 부재 본체와 간섭하여 그 해방 위치까지 변위될 수 없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유지 부재를 정합 회전 위치로부터 어긋나게 해 둠으로써, 유지 부재가 잘못해서 유지 위치에서 해방 위치로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그 돌출 형상부가, 그 관 부재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는 걸림 외연부를 갖고, 그 관 부재 본체의 외주면과 그 외주면에 면하는 그 걸림 외연부의 내측면 중 일방에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타방에 걸림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 그 유지 부재가 그 유지 위치에 있어서 그 정합 회전 위치로부터 회전되어 걸림 회전 위치가 되었을 때에, 그 걸림 돌기와 그 걸림 오목부가 걸어맞춰져 그 유지 부재의 회전이 억제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기의 구성 대신에,
그 돌출 형상부가, 그 관상 창 부재와 슬라이딩 걸어맞춰지는 슬라이딩 걸어맞춤면에 걸림 돌기를 갖고,
그 관상 창 부재가, 그 걸림 돌기를 받아들이는 걸림 오목부를 가지고 있고,
그 유지 부재가 그 유지 위치에 있어서 그 정합 회전 위치로부터 회전되어 걸림 회전 위치가 되었을 때에, 그 걸림 돌기와 그 걸림 오목부가 걸어맞춰져 그 유지 부재의 회전이 억제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그 유지 부재의 그 슬라이딩 걸어맞춤면에 그 길이 축선의 방향에서의 가요성을 갖는 가요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걸림 돌기가 그 가요부에 형성되어 있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유지 부재가 걸림 회전 위치로부터 정합 회전 위치를 향하여 잘못해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 부재가 해방 위치로 잘못해서 변위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 부재 본체가 그 측방 개구부의 측부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그 길이 축선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면을 갖고, 그 관상 창 부재가 그 관상 창 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부를 가지고 있고,
그 관상 창 부재를 그 측방 개구부로부터 그 제 1 통로 내에 삽입하여 그 연통 해제 위치로 했을 때에 그 가이드부가 그 가이드면에 맞닿아 그 관상 창 부재가 그 관 부재 본체에 대해 그 길이 축선의 방향에서 정합된 위치가 되고, 그 관상 창 부재를 그 연통 해제 위치에서 그 끼워 넣음 위치로 변위시킬 때에, 그 가이드부가 그 가이드면 상을 슬라이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관상 창 부재를 관 부재 본체에 장착할 때의 위치 맞춤이 용이해진다.
바람직하게는, 그 관상 창 부재의 그 제 2 통로 내에 배치되고 그 유로 내를 흐르는 유체에 의해 변위되는 흐름 표시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그 흐름 표시 부재가, 그 관상 창 부재에 그 길이 축선에 대한 둘레 방향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날개 부재가 되고, 그 관상 창 부재와 함께 그 관 부재 본체로부터 떼어내어지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흐름 표시 부재를 가짐으로써, 당해 관 부재의 유로 내에 있어서의 유체의 흐름의 유무를 용이하게 시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날개 부재도 함께 떼어내어지기 때문에, 날개 부재의 세정이나 교환도 용이해진다.
바람직하게는, 그 관상 창 부재가, 그 관 부재 본체에 끼워 넣어졌을 때에 외부에 노출되는 창 외주면과, 그 창 외주면의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창 내주면을 갖고, 그 제 2 통로의 내부가 그 창 외주면과 그 창 내주면을 통해서 시인 가능하게 되어 있고, 그 창 외주면은, 그 창 외주면의 곡률 중심이 그 창 내주면의 곡률 중심과 그 창 외주면 사이의 위치가 되도록 형상지어져 있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그 창 외주면과 그 창 내주면의 횡단면이, 각각 원호상이도록 할 수 있다.
창 외주면과 창 내주면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관상 창 부재 내에 배치된 날개 부재가 보다 크게 확대되어 보이게 되기 때문에, 날개 부재의 회전을 더욱 용이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그 측방 개구부가, 그 제 1 통로의 직경 방향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측방 개구부를 갖고, 그 관상 창 부재는 제 1 및 제 2 측방 개구부 중 어느 것을 통해서라도 그 관 부재 본체에 장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측방 개구부가 1 개뿐이면, 당해 관 부재를 유체 배관 부재 사이에 장착했을 때에 측방 개구부가 벽측 등을 향하여 관상 창 부재의 장착ㆍ분리가 곤란해지는 경우가 일어날 수 있다. 측방 개구부를 반경 방향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2 개 형성함으로써, 그와 같은 상태가 될 가능성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관 부재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 부재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관 부재의 부품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관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관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5 는 도 3 의 Ⅴ-Ⅴ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4 의 Ⅵ-Ⅵ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1 의 관 부재에 있어서의 관상 창 부재의 장착ㆍ분리 조작을 나타내는 제 1 도이고, 유지 부재가 정합 회전 위치가 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도 1 의 관 부재에 있어서의 관상 창 부재의 장착ㆍ분리 조작을 나타내는 제 2 도이고, 유지 부재가 해방 위치가 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도 1 의 관 부재에 있어서의 관상 창 부재의 장착ㆍ분리 조작을 나타내는 제 3 도이고, 관상 창 부재가 연통 해제 위치가 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은 도 1 의 관 부재에 있어서의 관상 창 부재의 장착ㆍ분리 조작을 나타내는 제 4 도이고, 관상 창 부재가 관 부재 본체로부터 떼어내어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도 1 의 관 부재에 있어서의 관상 창 부재의 장착ㆍ분리 조작을 나타내는 제 5 도이고, 유지 부재가 관 부재 본체로부터 빼내어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는 도 1 의 관 부재에 있어서의 관상 창 부재의 장착ㆍ분리 조작을 나타내는 제 6 도이고, 유지 부재가 관 부재 본체로부터 떼어내어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은 흐름 시인용 부재의 단면도이고, 관 부재 본체로부터 떼어내어져, 날개 부재가 제 2 위치로 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는 도 13 의 흐름 시인용 부재로서, 날개 부재가 관상 창 부재로부터 떼어내어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는 도 10 의 XV-XV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 부재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7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9 는 도 18 의 관 부재에 있어서의, 관상 창 부재와 날개 부재와 유지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 은 도 19 의 관상 창 부재와 날개 부재와 유지 부재의 상이한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 은 도 18 의 관 부재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22 는 도 18 의 관 부재에 있어서의 관 부재 본체의 횡단면도이다.
도 23 은 도 18 의 관 부재에 있어서의 날개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24 는 도 23 의 날개 부재의 전면도 (前面圖) 이다.
도 25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 부재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26 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7 은 도 26 의 관 부재에 있어서의, 관상 창 부재와 날개 부재와 유지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8 은 도 27 의 관상 창 부재와 날개 부재와 유지 부재의 상이한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9 는 도 26 의 관 부재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30 은 도 26 의 관 부재에 있어서의 관 부재 본체의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 부재 (100) 는, 도 1 내지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단에 유체 배관 부재 (도시 생략) 가 각각 연결되는 관 부재 본체 (102) 와, 관 부재 본체 (102) 에 장착된 관상 창 부재 (104) 및 유지 부재 (106) 와, 관상 창 부재 (104) 에 장착된 날개 부재 (108) 를 구비한다. 당해 관 부재 (100) 는, 유체 배관 부재 사이에 끼워 넣어져 유체 배관의 일부를 구성한다. 관상 창 부재 (104) 는 전체가 투명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관상 창 부재 (104) 와 날개 부재 (108) 로 흐름 시인용 부재 (110) 를 구성하고 있다. 관상 창 부재 (104) 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날개 부재 (108) 는, 투명한 관상 창 부재 (104) 를 통해서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되어 있다. 날개 부재 (108) 는 당해 관 부재 (100) 의 유로 (112) 내의 유체의 흐름에 의해 회전되도록 되어 있고, 날개 부재 (108) 의 회전을 투명한 관상 창 부재 (104) 를 통해서 시인함으로써, 유로 (112) 내의 유체의 흐름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관 부재 본체 (102) 는, 통상의 전방 부분 (114) 과, 통상의 후방 부분 (116) 과, 그들 사이의 중간 부분 (118) 으로 이루어진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 부재 본체 (102) 는 전방 부분 (114) 의 전방 개구 (120) 에서부터 후방 부분 (116) 의 후방 개구 (122) 까지 연장되는 제 1 통로 (124) 를 획정하고 있다. 전방 부분 (114) 과 후방 부분 (116) 에는 각각 유체 배관 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암나사부 (126) 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 부분 (118) 은 전방 부분 (114) 과 후방 부분 (116) 을 연결하는 2 개의 지주부 (128) 를 가지고 있고, 이들 지주부 (128) 사이에 제 1 통로 (124) 의 직경 방향에서 대향하는 제 1 측방 개구부 (130) 와 제 2 측방 개구부 (132)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측방 개구부 (130, 132) 는 제 1 통로 (124) 의 길이 축선 (L) 에 대해 측방으로부터 그 제 1 통로 (124) 에 연통하도록 개구되어 있다. 후방 부분 (116) 과 중간 부분 (118) 은 일체의 부재로서 구성되고, 전방 부분 (114) 은, 후방 부분 (116) 및 중간 부분 (118) 과는 별체의 부재가 되어 중간 부분 (118) 에 대해 길이 축선 (L) 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전방 부분 (114) 과 후방 부분 (116) 중 일방의 암나사부 (126) 에 유체 배관 부재가 이미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타방의 암나사부 (126) 에 유체 배관 부재를 고정시킬 때에, 그 타방을 다음에 장착하는 유체 배관 부재에 대해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배관 유로 부재를 회전시키지 않고, 그 타방의 암나사부 (126) 를 그 배관 유로 부재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사용자가 날개 부재 (108) 를 관상 창 부재 (104) 를 통해서 시인할 때에 지주부 (128) 가 시인의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가 되도록 중간 부분 (118) 의 회전 방향 위치를 변경할 수도 있게 된다.
관상 창 부재 (104) 는, 통상의 둘레벽부 (134) 를 갖고,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내측에 제 2 통로 (136) 를 획정하고 있다. 또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벽부 (134) 의 전단부 (138) 에는, 제 2 통로 (136) 를 직경 방향으로 횡단하도록 연장되는 축 지지부 (140) 가 형성되고, 축 지지부 (140) 의 중심 부근부터는 길이 축선 (L) 의 방향에서 후방 (도면에서 볼 때 좌방) 을 향하여 연장되는 회전축 (142) 이 형성되어 있다. 관상 창 부재 (104) 는, 조립 상태에 있어서 관 부재 본체 (102) 에 끼워 넣어져 있고, 그 둘레벽부 (134) 의 전단부 (138) 가 관 부재 본체 (102) 의 전방 부분 (114) 의 내측에 삽입되어 관 부재 본체 (102) 와 길이 축선 (L) 의 방향에서 정합된 위치로 되어 있다. 또 전단부 (138) 는 전방 부분 (114) 의 내주면 (114a) 에 밀봉 걸어맞춰져 있어, 관상 창 부재 (104) 의 제 2 통로 (136) 가 관 부재 본체 (102) 의 전방 부분 (114) 에 있어서 제 1 통로 (124) 와 연통한 상태로 되어 있다.
날개 부재 (108) 는, 길이 축선 (L) 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부 (144) 와, 이 본체부 (144) 의 외주면 (144a) 상에 나선상으로 형성된 2 장의 날개 (146) 를 갖는다. 당해 날개 부재 (108) 에 있어서의 본체부 (144) 는 관상 창 부재 (104) 의 회전축 (142) 을 유지하는 통상의 축 유지부 (144) 를 구성하고 있다. 축 유지부 (본체부) (144) 는 관상 창 부재 (104) 의 회전축 (142) 을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고 있다. 이로써 날개 부재 (108) 는, 회전 중심 축선 (C) 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축 (142) 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조립 상태에 있어서는,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개 부재 (108) 는 그 전체가 관상 창 부재 (104) 의 제 2 통로 (136) 내에 위치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유지 부재 (106) 는, 통상의 둘레벽부 (148) 를 갖고,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내측에 제 3 통로 (150) 를 획정하고 있다. 또, 둘레벽부 (148) 의 전단면 (148a) 에는, 제 3 통로 (150) 를 직경 방향으로 횡단하도록 연장되는 날개 지지부 (152) 가 형성되어 있고, 이 날개 지지부 (152) 에 의해 날개 부재 (108) 의 후단부 (154) 를 후방으로부터 지지하고 있다. 유지 부재 (106) 는, 조립 상태에 있어서, 그 후단부 (156) 가 관 부재 본체 (102) 의 후방 부분 (116) 내에 삽입되어 관 부재 본체 (102) 와 길이 축선 (L) 의 방향에서 정합된 위치가 된다. 후단부 (156) 는 관 부재 본체 (102) 의 후방 부분 (116) 의 내주면 (116a) 과 밀봉 걸어맞춰지고, 또 전단부 (158) 는 관상 창 부재 (104) 의 후단부 (160) 와 밀봉 걸어맞춰져 있다. 이로써 유지 부재 (106) 의 제 3 통로 (150) 는, 제 1 통로 (124) 및 제 2 통로 (136) 와 연통하여, 이들 제 1 통로 (124) 및 제 2 통로 (136) 와 함께 당해 관 부재 (100) 의 유로 (112) 를 구성하고 있다. 유지 부재 (106) 는 또한,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벽부 (148) 의 외주면 (148b) 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2 개의 돌출 형상부 (162) 를 갖고, 이 돌출 형상부 (162) 는 관 부재 본체 (102) 의 외주면 (102a) 을 따라 연장되는 걸림 외연부 (164) 를 갖는다. 걸림 외연부 (164) 에는 그 내측면까지 관통하는 관통공 (걸림 오목부) (166) 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공 (166) 이 조립 상태에 있어서 관 부재 본체 (102) 의 외주면 (102a) 상에 압입된 볼 (걸림 돌기) (168) 의 일부를 받아들여, 관 부재 본체 (102) 에 대한 유지 부재 (106) 의 회전 방향에서의 위치가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유지 부재 (106)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관 부재 본체 (102) 에 대해 길이 축선 (L) 의 방향 및 길이 축선 (L) 의 둘레로의 회전 방향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도 1,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 외연부 (164) 의 관통공 (166) 이 볼 (168) 을 걸어 고정시키고 있는 걸림 회전 위치에 있을 때에는, 관통공 (166) 과 볼 (168) 의 걸어맞춤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의 회전이 억제됨과 함께, 돌출 형상부 (162) 가 관 부재 본체 (102) 에 간섭함으로써 관상 창 부재 (104) 를 관 부재 본체 (102) 에 끼워 넣어진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 위치로부터 길이 축선 (L) 의 방향에서 후방을 향하여 변위시킬 수가 없게 되어 있다. 또한, 걸림 오목부로서의 관통공 (166) 과 걸림 돌기로서의 볼 (168) 은, 반대의 배치로 해도 되고, 관통공 (166) 과 볼 (168) 이외의 구성에 의해 서로 걸어맞추는 기구를 이루도록 해도 된다.
당해 관 부재 (100) 는, 관 부재 본체 (102) 에 유체 배관 부재가 연결 고정되어 유체 배관에 끼워 넣어져 있는 상태에서, 관상 창 부재 (104) 를 장착 및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관상 창 부재 (104) 를 떼어낼 때의 순서는 이하와 같다.
먼저, 도 4 의 조립 상태에 있어서 서로 걸어맞춰져 있는 유지 부재 (106) 의 관통공 (166) 과 관 부재 본체 (102) 의 볼 (168) 의 걸어맞춤을 해제할 수 있을 정도의 회전 방향에서의 힘을 유지 부재 (106) 에 가함으로써 그 걸어맞춤을 해제하고, 유지 부재 (106) 를 도 4 의 걸림 회전 위치에서부터 도 7 의 정합 회전 위치까지 회전시킨다. 이 정합 회전 위치에 있어서는, 유지 부재 (106) 의 돌출 형상부 (162) 가 관 부재 본체 (102) 의 후방 부분 (116) 에 형성된 수용 오목부 (170) 와 길이 축선 (L) 의 방향에서 정합되어 있다. 다음으로 유지 부재 (106) 를 도 7 의 유지 위치에서부터 길이 축선 (L) 의 방향에서 후방으로 변위시켜 도 8 의 해방 위치로 한다. 유지 부재 (106) 는 해방 위치에 있어서 관상 창 부재 (104) 로부터 떨어진 위치가 되어, 유지 부재 (106) 의 관상 창 부재 (104) 에 대한 유지는 해제된다. 또한, 정합 회전 위치에 있어서는 유지 부재 (106) 를 유지 위치에서 해방 위치로 변위시키는 과정에 있어서 유지 부재 (106) 의 돌출 형상부 (162) 가 관 부재 본체 (102) 의 수용 오목부 (170) 내에 받아들여짐으로써, 유지 부재 (106) 는 해방 위치까지 변위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으로, 정합 회전 위치에 없는 상태에 있어서 유지 부재 (106) 를 유지 위치로부터 해방 위치를 향하여 후방으로 변위시키려고 해도, 유지 부재 (106) 의 돌출 형상부 (162) 가 관 부재 본체 (102) 의 후방 부분 (116) 과 간섭하기 때문에, 유지 부재 (106) 는 해방 위치까지 변위될 수 없다. 다음으로 관상 창 부재 (104) 를 관 부재 본체 (102) 에 끼워 넣어져 있는 도 8 의 끼워 넣음 위치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당겨 관 부재 본체 (102) 의 전방 부분 (114) 으로부터 빼내어, 도 9 의 연통 해제 위치로 한다. 이 연통 해제 위치에 있어서는, 관상 창 부재 (104) 와 관 부재 본체 (102) 의 전방 부분 (114) 의 밀봉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제 1 통로 (124) 와 제 2 통로 (136) 의 연통도 해제된다. 연통 해제 위치가 된 관상 창 부재 (104) 를 관 부재 본체 (102) 의 제 1 측방 개구부 (130) (도 1 내지 도 3) 를 통해서 꺼냄으로써, 관상 창 부재 (104) 는 그 안에 장착되어 있는 날개 부재 (108) 와 함께 관 부재 본체 (102) 로부터 떼어내어진다 (도 10). 이와 같이 당해 관 부재 (100) 에 있어서는, 관상 창 부재 (104) 를 떼어낼 때에 관 부재 본체 (102) 를 유체 배관 부재로부터 떼어낼 필요가 없다.
떼어낸 관상 창 부재 (104) 를 장착할 때에는 상기 서술한 분리의 순서를 반대로 실시한다. 관상 창 부재 (104) 는 제 1 측방 개구부 (130) 와 제 2 측방 개구부 (132) 의 어느 것을 통해서라도 관 부재 본체 (102) 내에 삽입하여 끼워 넣을 수 있다. 도 2 로부터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관 부재 본체 (102) 의 제 1 및 제 2 측방 개구부 (130, 132) 의 측부 가장자리가 되는 지주부 (128) 에는 길이 축선 (L) 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면 (172) 이 형성되어 있고, 또 관상 창 부재 (104) 에는 외주면 (104b) 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부 (174) 가 형성되어 있다. 관상 창 부재 (104) 를 제 1 및 제 2 측방 개구부 (130, 132) 의 어느 것을 통해서 관 부재 본체 (102) 에 삽입하면, 관상 창 부재 (104) 의 가이드부 (174) 가 관 부재 본체 (102) 의 가이드면 (172) 에 맞닿아, 관상 창 부재 (104) 가 관 부재 본체 (102) 에 대해 길이 축선 (L) 의 방향에서 정합된 위치가 되어 서로 동축상이 된다. 이들 가이드면 (172) 과 가이드부 (174) 로부터, 관상 창 부재 (104) 가, 삽입할 때에 통과한 측방 개구부 (130, 132) 와는 반대측의 측방 개구부 (130, 132) 로부터 빠져 버리는 경우가 없어지고, 또 관상 창 부재 (104) 와 관 부재 본체 (102) 의 위치 맞춤도 용이해진다. 또한 관상 창 부재 (104) 를 도 9 의 연통 해제 위치에서 도 8 의 끼워 넣음 위치로 변위시킬 때에는, 가이드부 (174) 가 가이드면 (172) 상을 슬라이딩하여 관상 창 부재 (104) 가 적절한 위치로 안내되게도 된다.
당해 관 부재 (100) 에 있어서는, 관상 창 부재 (104) 가 관 부재 본체 (102) 로부터 떼어내어진 상태 (도 10) 에 있어서,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 부재 (106) 를 전방 (도면에서 볼 때 우측) 으로 변위시켜 관 부재 본체 (102) 의 후방 부분 (116) 으로부터 빼내고, 또한 측방 개구부 (130, 132) 를 통해서 관 부재 본체 (102) 로부터 떼어낼 수도 있게 되어 있다 (도 12).
관 부재 본체 (102) 로부터 떼어내어졌을 때의 관상 창 부재 (104) 에는, 그 내측에 날개 부재 (108) 가 장착되어 있다.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상 창 부재 (104) 의 회전축 (142) 의 후단부 (176) 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제 1 걸림부 (178) 가 형성되어 있다. 또 회전축 (142) 의 제 1 걸림부 (178) 가 형성되어 있는 후단부 (176) 는, 슬릿 (180) 에 의해 2 개로 분할되어 있어, 직경 방향에서의 가요성을 갖도록 되어 있다. 날개 부재 (108) 의 축 유지부 (144) 에는 그 내주면 (144b) 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제 2 걸림부 (182)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날개 부재 (108) 는, 축 유지부 (144) 에 의해 회전축 (142) 을 유지함으로써 관상 창 부재 (104) 에 대해 회전 중심 축선 (C) 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는데, 동시에 회전축 (142) 에 대해 회전 중심 축선 (C) 을 따라 변위 가능하게도 되어 있다. 날개 부재 (108) 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전단부 (184) 가 관상 창 부재 (104) 의 축 지지부 (140) 에 맞닿는 제 1 위치에서부터,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걸림부 (178) 와 제 2 걸림부 (182) 가 걸어맞춰지는 제 2 위치까지는 거의 저항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날개 부재 (108) 는 제 2 위치까지는 특별히 힘을 가하지 않아도 변위되지만 그 이상은 날개 부재 (108) 의 자중 (自重) 정도의 힘으로는 변위되지 않게 되어 있기 때문에, 관상 창 부재 (104) 로부터 저절로 빠져서 낙하되어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날개 부재 (108) 는, 제 2 위치에 있어서 그 후단부 (154) 가 관상 창 부재 (104) 의 후단면 (104a) 으로부터 돌출된 상태가 된다. 제 2 위치에 있는 날개 부재 (108) 의 돌출되어 있는 후단부 (154) 를 잡아 더욱 후방으로 당기면, 회전축 (142) 의 제 1 걸림부 (178) 가 축 유지부 (144) 의 제 2 걸림부 (182) 에 의해 직경 방향 내측으로 눌리고, 이로써 회전축 (142) 의 2 개로 분할된 후단부 (176) 가 직경 방향 내측으로 휘어져 제 1 걸림부 (178) 와 제 2 걸림부 (182) 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즉, 제 1 걸림부 (178) 와 제 2 걸림부 (182) 에 의해 스냅 피트가 구성되어 있고, 어느 정도 이상의 힘으로 날개 부재 (108) 를 잡아당김으로써 스냅 피트가 빠져 날개 부재 (108) 를 제 2 위치로부터 더욱 후방으로 변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날개 부재 (108) 는 이와 같이 하여 단지 잡아당기는 것만으로 제 2 위치를 넘어 후방으로 변위되어,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상 창 부재 (104) 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날개 부재 (108) 를 이와 같이 하여 떼어냄으로써, 관상 창 부재 (104) 의 내주면 (104c) 의 세정을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날개 부재 (108) 를 관상 창 부재 (104) 에 장착할 때에는, 축 유지부 (144) 내에 회전축 (142) 이 삽입되도록 하여 날개 부재 (108) 를 관상 창 부재 (104) 안으로 밀어넣고, 날개 부재 (108) 의 제 2 걸림부 (182) 에서 회전축 (142) 의 제 1 걸림부 (178) 를 직경 방향 내측으로 휘어지게 하여 제 2 걸림부 (182) 가 제 1 걸림부 (178) 를 타고 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날개 부재 (108) 는 장착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관상 창 부재 (104) 를 관 부재 본체 (102) 에 대해 장착 및 분리를 할 때에는, 유지 부재 (106) 는 도 9 및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방 위치로 되어 있다. 이 해방 위치에 있어서, 유지 부재 (106) 의 날개 지지부 (152) 는,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측방 개구부 (130) 와 제 2 측방 개구부 (132) 로 향하는 방향 (도면에서 볼 때 좌우 방향) 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날개 부재 (108) 는 조립 상태에 있어서는 날개 지지부 (152) 에 의해 지지되어 제 1 위치에 유지되고 있지만, 날개 지지부 (152) 에 의한 지지가 없으면 제 2 위치까지는 자유롭게 변위된다. 관상 창 부재 (104) 의 장착이나 분리의 과정에서 날개 부재 (108) 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를 향하여 변위되어 버리면, 날개 부재 (108) 의 후단부 (154) 가 유지 부재 (106) 에 걸려 버릴 우려가 있다. 당해 관 부재 (100) 에 있어서는, 날개 지지부 (152) 가 제 1 및 제 2 측방 개구부 (130, 132) 로 향하는 방향, 즉 관상 창 부재 (104) 를 제 1 및 제 2 측방 개구부 (130, 132) 를 통해서 장착 및 분리를 할 때의 관상 창 부재 (104) 의 이동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 및 분리의 과정에 있어서 날개 부재 (108) 가 날개 지지부 (152) 에 계속해서 지지되게 된다. 이로써, 날개 부재 (108) 가 제 2 위치측으로 변위되어 유지 부재 (106) 의 내측에 걸리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 부재 (200) 는,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로 날개 부재 (208) 와 그것을 유지하는 구조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 부재 (100) 와는 상이하다. 당해 관 부재 (200) 의 흐름 시인용 부재 (210) 에 있어서는, 관상 창 부재 (204) 에 그 둘레벽부 (234) 에 고정되어 있는 축 유지부 (244) 가 형성되고, 날개 부재 (208) 의 본체부 (242) 가 회전축 (242) 을 구성하고 있다. 관상 창 부재 (204) 의 축 유지부 (244) 는, 그 내주면 (244b) 에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제 1 걸림부 (278) 를 갖는다. 또, 날개 부재 (208) 의 회전축 (본체부) (242) 은 전단부 (284) 에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제 2 걸림부 (282) 를 갖는다. 도시한 조립 상태에 있어서는, 회전축 (242) 의 전단부 (284) 의 단차부 (288) 가 축 유지부 (244) 의 후단면 (290) 에 맞닿거나 또는 근접하고, 또 회전축 (242) 의 후단면 (292) 이 유지 부재 (206) 의 날개 지지부 (252) 에 의해 지지된다. 이로써 날개 부재 (208) 는 회전 중심 축선 (C) 의 방향에서의 위치가 유지된다. 회전축 (242) 의 후단면 (292) 은 원뿔상이 되고, 또 날개 지지부 (252) 에는 회전축 (242) 의 원뿔상의 후단면 (292) 에 맞춘 원뿔상의 오목부 (294) 가 형성되어 있어, 그 오목부 (294) 에서 회전축 (242) 의 후단면 (292) 의 직경 방향 위치를 고정시켜, 회전 중심 축선 (C) 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고 있다. 관상 창 부재 (204) 를 관 부재 본체 (202) 로부터 떼어낸 상태에 있어서는, 날개 부재 (208) 는, 도 16 의 제 1 위치에서부터 그 제 2 걸림부 (282) 가 축 유지부 (244) 의 제 1 걸림부 (278) 에 맞닿는 제 2 위치까지는 자유롭게 변위 가능해진다. 제 2 위치에 있어서 날개 부재 (208) 의 관상 창 부재 (204) 의 후단면 (204a) 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을 잡아 당김으로써, 제 1 걸림부 (278) 와 제 2 걸림부 (282) 에 의한 스냅 피트가 해제되어, 날개 부재 (208) 를 관상 창 부재 (204) 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당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관상 창 부재 (204) 에 회전축이 없기 때문에, 날개 부재 (208) 를 떼어낸 후의 관상 창 부재 (204) 의 내부는 넓게 빈 상태가 되어, 관상 창 부재 (204) 의 내주면 (204c) 을 세정하는 것이 보다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 부재 (300) 는,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 부재 본체 (302) 의 외주면 (302a) 상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C 자 형상의 로크 부재 (396) 를 구비하고 있다. 이 로크 부재 (396) 를 유지 부재 (306) 가 유지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관 부재 본체 (302) 에 장착함으로써, 유지 부재 (306) 의 돌출 형상부 (362) 가 로크 부재 (396) 에 간섭하여 유지 부재 (306) 는 유지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변위될 수 없게 된다. 즉, 로크 부재 (396) 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유지 부재 (306) 는 해방 위치까지 변위될 수 없고, 따라서, 잘못해서 유로의 연통이 해제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이와 같은 로크 부재 (396) 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지 부재 (306) 가 둘레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 부재 (400) 는, 특히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 부재 (200) 에 가까운 구성을 갖지만, 도 18 ∼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부재의 형상이 각각 상이하다.
도 19 및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상 창 부재 (404) 의 외주면 (404b) 에는 평평한 유지면 (404d) 이 형성되어 있고, 관 부재 본체 (402) 에 끼워 넣어졌을 때에 이 유지면 (404d) 이 관 부재 본체 (402) 의 지주부 (428) (도 18) 에 대해 면 접촉하여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 둘레벽부 (434) 의 외주면 (404b) 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부 (474) 는, 외주면 (404b) 상을 길이 축선 (L) 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이 되고, 관 부재 본체 (402) 의 가이드면 (472) 에 대해 보다 넓은 면에서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함으로써, 관 부재 본체 (402) 에 대해 관상 창 부재 (404) 를 보다 안정된 상태로 장착할 수 있게 된다.
관상 창 부재 (404) 는, 도 20 및 도 21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둘레벽부 (434) 에서부터 제 2 통로 (436) 의 중앙까지 신장되는 축 유지부 (444) 를 가지고 있다. 이 축 유지부 (444) 는, 도 16 에 나타내는 제 2 실시형태의 축 유지부 (244) 와는 달리, 캔틸레버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캔틸레버 구조로 함으로써, 관상 창 부재 (404) 의 내주면 (404c) 의 청소가 보다 용이해짐과 함께, 유로 (412) 를 흐르는 유체의 저항이 보다 작아진다.
또 관상 창 부재 (404) 는, 도 2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 부재 본체 (402) 에 끼워 넣어졌을 때에 외부에 노출되는 창 외주면 (405a) 과, 창 외주면 (405a) 의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여 제 2 통로 (436) 를 획정하고 있는 창 내주면 (405b) 을 갖고, 제 2 통로 (436) 내에 배치된 날개 부재 (408) 는, 이들 창 외주면 (405a) 과 창 내주면 (405b) 을 통해서 시인 가능해진다. 또, 도 2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창 내주면 (405b) 은 횡단면이 원형의 내주면 (404c) 의 일부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관상 창 부재 (404) 에 있어서는, 횡단면이 원호상인 창 외주면 (405a) 이, 그 곡률 중심 (P1) 이 창 내주면 (405b) 의 곡률 중심 (P2) 과 창 외주면 (405a) 사이의 위치가 되도록 형상지어져 있다. 따라서, 둘레벽부 (434) 의 직경 방향에서의 벽 두께는, 창 외주면 (405a) 의 중앙부에서 가장 두껍고, 끝으로 향함에 따라 점차 얇아지는 형상이 된다. 또한 도 22 에 있어서는 창 외주면 (405a) 의 원호를 통과하는 가상원 (V) 을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창 외주면 (405a) 과 창 내주면 (405b) 에 의해 렌즈가 구성되고, 제 2 통로 (436) 내의 날개 부재 (408) 는, 외부로부터 봤을 때에 상기 실시형태의 것에 비해 보다 확대되어 보이게 된다. 이로써 날개 부재 (408) 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또한, 창 외주면 (405a) 과 창 내주면 (405b) 은 횡단면이 반드시 원형 또는 원호일 필요는 없고, 비원호상의 면으로 해도 된다.
날개 부재 (408) 는, 관상 창 부재 (404) 의 축 유지부 (444) 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는 회전축을 구성하고 있는 본체부 (442) 와, 이 본체부 (442) 의 외주면 (442a) 상에 배치된 제 1 날개 (446a) 및 제 2 날개 (446b) 와, 이들 제 1 및 제 2 날개 (446a, 446b) 사이에 있어서 외주면 (442a) 상에 배치된 제 1 유체 저항부 (447a) 및 제 2 유체 저항부 (447b) 를 구비한다. 날개 부재 (408) 의 회전축 (본체부) (442) 은 전단부 (484) 에 후방에 면한 단차부 (488) 를 갖는다. 도 21 의 조립 상태에 있어서는, 회전축 (442) 의 단차부 (488) 가 축 유지부 (444) 의 걸림부 (478) 에 맞닿거나 또는 근접하고, 또 회전축 (442) 의 후단면 (492) 이 유지 부재 (406) 의 날개 지지부 (452) 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회전 중심 축선 (C) 의 방향에서의 위치가 유지되고 있다. 관상 창 부재 (404) 를 관 부재 본체 (402) 로부터 떼어낸 상태에 있어서는, 날개 부재 (408) 는 그 회전축 (442) 의 후단면 (492) 측을 잡고 당김으로써 관상 창 부재 (404) 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또는, 관상 창 부재 (404) 의 축 유지부 (444) 로부터 전방으로 튀어나와 있는 회전축 (442) 의 전단부 (484) 를 손이나 가는 봉상의 부재 등으로 누름으로써, 날개 부재 (408) 를 관상 창 부재 (404) 로부터 떼어내도록 할 수도 있다.
날개 부재 (408) 의 제 1 및 제 2 유체 저항부 (447a, 447b) 는,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중심 축선 (C) 을 포함하는 1 개의 평면 (F) 을 따라 본체부 (442) 의 외주면 (442a) 으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도 24 에서 볼 때 각각 상방과 하방으로) 돌출되고, 또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1 개의 평면 (F) 을 따라 회전 중심 축선 (C) 의 방향 (도 23 에서 볼 때 좌우 방향) 으로 연장된 평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날개 (446a, 446b) 는, 그 1 개의 평면 (F) 에 대해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고, 본체부 (442) 의 외주면 (442a) 으로부터 그 1 개의 평면 (F) 에 대해 대략 수직인 방향 (도 24 에서 볼 때 좌우 방향) 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날개 (446a) 는, 그 1 개의 평면 (F) 을 수직 방향에서 볼 때 (즉 도 23 의 방향에서 볼 때) 회전 중심 축선 (C) 에 대해 비스듬히 직선적으로 연장된 평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날개 (446a) 에는 회전 중심 축선 (C) 에 대해 경사진 면이 형성되게 되고, 유체가 길이 축선 (L) 의 방향 (즉, 회전 중심 축선 (C) 의 방향) 에서 흘렀을 때에, 날개 부재 (408) 에는 유체에 의해 회전 방향으로의 힘이 발생하게 된다. 제 2 날개 (446b) 도 제 1 날개 (446a) 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날개 부재 (408) 는, 유로 (412) 내를 유체가 흘렀을 때에 제 1 및 제 2 날개 (446a, 446b) 가 유체로부터 받는 회전 방향으로의 힘에 의해 회전 중심 축선 (C) 의 둘레로 회전한다. 한편으로 제 1 및 제 2 유체 저항부 (447a, 447b)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회전 중심 축선 (C) 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 회전 중심 축선 (C) 에 대해 경사진 면을 구성하지 않기 때문에, 날개 부재 (408) 가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제 1 및 제 2 유체 저항부 (447a, 447b) 에는 유체에 의한 회전 방향으로의 힘은 작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날개 부재 (408) 가 회전하고 있을 때에는, 제 1 및 제 2 유체 저항부 (447a, 447b) 는 유체로부터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저항력을 받는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유체 저항부 (447a, 447b) 는, 제 1 및 제 2 날개 (446a, 446b) 가 유체로부터 받는 회전 방향으로의 힘의 일부를 상쇄하게 되고, 날개 부재 (408) 가 전체적으로 유체로부터 받는 회전 방향으로의 합력을 작게 하여, 날개 부재 (408) 의 회전 속도의 상승을 억제하도록 기능한다. 또한, 유체 저항은 물체와 유체 사이의 상대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에, 흐르는 유체의 유속이 빨라져 날개 부재 (408) 의 회전 속도가 빨라질수록, 제 1 및 제 2 유체 저항부 (447a, 447b) 가 유체로부터 받는 저항력은 커진다. 즉, 제 1 및 제 2 유체 저항부 (447a, 447b) 에 의한 회전 속도 억제의 효과는, 날개 부재 (408) 의 회전 속도가 빨라질수록 커진다. 또한, 제 1 및 제 2 유체 저항부 (447a, 447b) 의 형상은, 반드시 평면 형상일 필요는 없어,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원기둥이나 각기둥과 같은 형상으로 해도 되고, 그와 같은 기둥상의 것을 회전 중심 축선 (C) 의 방향에서 복수 나열한 것으로 해도 된다. 또, 회전축 (442) 의 일방의 측에만 유체 저항부를 갖도록 해도 된다.
당해 날개 부재 (408) 는, 적색의 제 1 수지 재료와 황색의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수지 성형된 2 색 성형 부재로 되어 있다. 당해 날개 부재 (408) 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 (도시 생략) 은, 도 24 에 나타내는 1 개의 평면 (F) 으로 분할되는 바와 같은 2 개의 형 (型) 에 의해 구성된다. 즉, 성형된 날개 부재 (408) 는, 그 1 개의 평면 (F) 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서 금형으로부터 빠지게 된다. 여기에서, 당해 날개 부재 (408) 는, 특히 제 1 및 제 2 날개 (446a, 446b) 그리고 제 1 및 제 2 유체 저항부 (447a, 447b) 가 금형의 발출 방향 (도 24 에서 볼 때 좌우 방향) 에서 걸림이 없는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금형으로부터의 이형을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당해 날개 부재 (408) 는, 제 1 수지 재료를 제 1 날개 (446a) 에 대응하는 측의 형으로부터 주입하고, 제 2 수지 재료를 제 2 날개 (446b) 에 대응하는 측의 형으로부터 주입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성형된 날개 부재 (408) 는, 그 1 개의 평면 (F) 을 경계로 하여, 도 24 에서 볼 때 좌측이 적색의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우측이 황색의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다. 즉 당해 날개 부재 (408) 는, 절반이 적색이고 다른 절반이 황색인 2 색의 부재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날개 부재 (408) 가 상이한 2 개의 색을 가짐으로써, 날개 부재 (408) 의 회전을 색의 변화에 의해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적색과 황색의 2 색으로 되어 있지만, 다른 색의 조합으로 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2 색 성형을 실시하기 위한 금형은 1 개의 평면 (F) 으로 분할되는 금형으로 할 수 있어, 금형의 형 분할을 간이화할 수 있기 때문에, 금형 제작이 비교적 용이해진다.
날개 부재 (408) 의 제 1 및 제 2 유체 저항부 (447a, 447b)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주로 날개 부재 (408) 의 회전 속도의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지만, 날개 부재 (408) 가 장착된 관상 창 부재 (404) 를 관 부재 본체 (402) 에 끼워 넣을 때의 날개 부재 (408) 의 자세를 유지하는 역할도 동시에 담당하고 있다. 즉, 관상 창 부재 (404) 가 떼어내어져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날개 부재 (408) 의 회전축 (442) 은 관상 창 부재 (404) 의 축 유지부 (444) 에 의한 캔틸레버의 상태가 되기 때문에, 날개 부재 (408) 는 관상 창 부재 (404) 에 대해 용이하게 기울어져 버리는데, 제 1 및 제 2 날개 (446a, 446b) 사이에 제 1 및 제 2 유체 저항부 (447a, 447b) 가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이들 부분이 관상 창 부재 (404) 의 내주면 (404c) 과 걸어맞춰져, 날개 부재 (408) 의 기울어짐이 억제되게 된다. 특히 당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날개 부재 (408)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2 색 성형 부재로 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날개 (446a, 446b) 가 도 24 에서 볼 때 좌우로만 연장되어 있고 상방 및 하방으로는 연장되지 않는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유체 저항부 (447a, 447b) 가 없는 경우에는, 날개 부재 (408) 는 그 상방 및 하방으로 크게 기울어지는 것이 되고 만다. 그와 같이 날개 부재 (408) 가 크게 기울어진 경우에는, 관상 창 부재 (404) 를 관 부재 본체 (402) 에 끼워 넣을 때에 회전축 (442) 의 후단면 (492) 이 날개 지지부 (452) 의 오목부 (494) (도 21) 에 끼워맞춰지지 않게 된다. 이에 대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하여 제 1 및 제 2 유체 저항부 (447a, 447b) 에 의해 관상 창 부재 (404) 에 대한 날개 부재 (408) 의 기울어짐이 소정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함으로써, 날개 부재 (408) 의 회전축 (442) 의 후단면 (492) 이 유지 부재 (406) 의 원뿔상의 오목부 (494) 에 적절히 끼여 유지되게 된다. 즉, 제 1 및 제 2 유체 저항부 (447a, 447b) 에 의해 날개 부재 (408) 의 기울어짐을 억제함으로써, 날개 부재 (408) 가 장착된 상태의 관상 창 부재 (404) 의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지 부재 (406) 에 있어서는, 돌출 형상부 (462) 의 관상 창 부재 (404) 에 면하는 측의 면은 관상 창 부재 (404) 의 후단면 (404a) 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걸어맞춤면 (462a) 으로 되어 있고, 이 슬라이딩 걸어맞춤면 (462a) 에 길이 축선 (L) 의 방향에서의 가요성을 갖게 된 가요부 (463)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요부 (463) 에는 걸림 돌기 (466) 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 돌기 (466) 는, 조립 상태에 있어서, 관상 창 부재 (404) 의 후단면 (404a) 에 형성된 걸림 오목부 (498) 에 받아들여져, 관상 창 부재 (404) 에 대한 유지 부재 (406) 의 회전 방향에서의 위치가 유지되도록 한다. 유지 부재 (406) 는,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 돌기 (466) 가 걸림 오목부 (498) 에 걸려 있는 걸림 회전 위치에 있을 때에는, 걸림 돌기 (466) 와 걸림 오목부 (498) 의 걸어맞춤에 의해 둘레 방향에서의 회전이 억제된다. 유지 부재 (406) 가 관 부재 본체 (402) 및 관상 창 부재 (404) 에 대해 걸림 회전 위치로부터 회전되었을 때에는, 걸림 돌기 (466) 는, 걸림 오목부 (498) 로부터 빠져, 관상 창 부재 (404) 의 후단면 (404a) 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는 주위 오목부 (499) 내를 이동한다. 걸림 돌기 (466) 는 주위 오목부 (499) 내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관상 창 부재 (404) 에는 접촉하지 않는다. 또, 돌출 형상부 (462) 의 후측의 면에는 경사면 (462b) 이 형성되어 있어, 유지 부재 (406) 를 정합 회전 위치에서 걸림 회전 위치로 회전시킬 때에 돌출 형상부 (462) 가 관 부재 본체 (402) 의 수용 오목부 (470) 의 모서리에 잘 걸리지 않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 부재 (500) 는,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 부재 (400) 에 대해, 날개 부재 (508) 의 유지 형태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날개 부재 (508) 의 회전축 (542) 의 전단면 (591) 과 후단면 (592) 이 각각 테이퍼드 형상이 되고, 또 관상 창 부재 (504) 의 축 유지부 (544) 가 캡상이 되고, 또한 유지 부재 (506) 의 날개 지지부 (552) 에 원뿔상의 오목부 (594) 가 형성되어 있다. 날개 부재 (508) 의 전단면 (591) 의 테이퍼각은 관상 창 부재 (504) 의 축 유지부 (544) 의 테이퍼각보다 예각으로 되어 있고, 또 날개 부재 (508) 의 후단면 (592) 의 테이퍼각도 유지 부재 (506) 의 원뿔상의 오목부 (594) 의 테이퍼각보다 예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날개 부재 (508) 의 전단면 (591) 및 후단면 (592) 은, 각각 축 유지부 (544) 와 원뿔상의 오목부 (594) 에 대해 기본적으로는 그들의 선단부에서 접촉하게 된다. 이로써, 날개 부재 (508) 의 회전축 (542) 과 축 유지부 (544) 및 날개 지지부 (552) 의 접촉 면적이 작아져, 회전시의 마찰 저항이 저감된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 부재 (600) 는, 도 26 내지 도 3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히 제 4 및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 부재 (400, 500) 와 유사한 구성을 갖지만, 관 부재 (400, 500) 에 대해 이하의 점에서 상이하다.
당해 관 부재 (600) 에 있어서의 관상 창 부재 (604) 에는, 창 외주면 (605a) 과 가이드부 (674) 사이에 파지부 (675) 가 형성되어 있다.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관상 창 부재 (404) 를 관 부재 본체 (402) 로부터 꺼낼 때에는 관상 창 부재 (404) 를 후측으로부터 밀어내도록 하는데, 관 부재 (400) 가 좁은 장소에 장착되어 있거나 한 경우에는 관상 창 부재 (404) 의 후측까지 손가락이 닿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해 당해 관 부재 (600) 에 있어서의 관상 창 부재 (604) 에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파지부 (675)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러한 상황에 있어서도 파지부 (675) 를 파지하여 관상 창 부재 (604) 를 잡아당김으로써 관상 창 부재 (604) 를 관 부재 본체 (602) 로부터 용이하게 꺼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 부재 (606) 의 걸림 돌기 (666) 는 삼각형으로 되어 있다. 또, 유지 부재 (606) 의 돌출 형상부 (662) 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더욱 길게 연장되어 있어, 유지 부재 (606) 의 조작이 하기 쉽게 되어 있다.
도 2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개 부재 (608) 의 제 1 및 제 2 유체 저항부 (647a, 647b) 는, 길이 축선 (L) 의 방향에서 보다 길어지고, 또 보다 장방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및 제 2 유체 저항부 (647a, 647b) 의 면적이 크게 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날개 (646a, 646b) 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면적이 크게 되어 있다. 이로써 관상 창 부재 (604) 의 외측에서 봤을 때의 날개 부재 (608) 의 특히 회전 중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유로 (612) 를 흐르는 유체로부터 받는 저항이 커져, 보다 작은 유량에 대해서도 날개 부재 (608) 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날개 부재 (608) 의 후단면 (692) 근처에 홈 (693) 이 형성되어 있다. 날개 부재 (608) 를 관상 창 부재 (604) 로부터 떼어낼 때에 이 홈 (693) 에 손가락을 걺으로써, 날개 부재 (608) 의 분리를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날개 부재 (608) 의 회전축 (642) 을 유지하기 위한 관상 창 부재 (604) 의 축 유지부 (644) 의 구조는, 도 25 에 나타내는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 부재 (500) 의 것과 유사하지만, 축 유지부 (644) 의 지지 단면 (645) 이 길이 축선 (L) 에 대해 대략 수직인 평면으로 되어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이로써, 날개 부재 (608) 의 테이퍼드 형상으로 된 전단면 (691) 이 지지 단면 (645) 에 대해 항상 점 접촉하게 되어, 날개 부재 (608) 가 회전할 때의 전단면 (691) 과 지지 단면 (645) 사이의 마찰 저항이 커지지 않게 하고 있다.
도 3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상 창 부재 (604) 의 도면에서 볼 때 좌측의 창 외주면 (605a) 은, 원호상 부분 (605a-1) 과 거기에서부터 유지면 (604d) 까지 똑바로 연장되는 직선상부 (605a-2) 로 이루어져 있으며, 창 외주면 (605a) 에서부터 유지면 (604d) 에 이를 때까지 패임부가 없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관상 창 부재 (604) 를 관 부재 본체 (602) 에 장착할 때에, 관상 창 부재 (604) 가 관 부재 본체 (602) 의 지주부 (628) 에 걸리지 않고 매끄럽게 관 부재 본체 (602) 내에 삽입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을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관상 창 부재는 그 전체를 투명 재료에 의해 구성할 필요는 없으며, 관 부재 본체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유로 내의 날개 부재를 시인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면 일부만을 투명 재료에 의해 구성하도록 해도 되고, 투명 재료는 날개 부재를 시인할 수 있는 한 착색된 것이어도 되고 젖빛 유리상의 완전하게는 투명하지 않은 것이어도 된다. 또, 유로 내의 유체의 흐름을 표시하기 위한 흐름 표시 부재로서 날개 부재가 아니라, 예를 들어 유체에 밀려 흐름 방향에서 변위되는 유체 저항체와 같은 다른 부재를 사용해도 된다. 또 대상이 되는 유체가 눈에 보이는 고형물이나 기포 등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것들을 관찰함으로써 유체의 흐름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날개 부재와 같은 흐름 표시 부재를 구비할 필요는 없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날개 부재의 회전에 의해 유체의 흐름의 유무를 확인하도록 하고 있지만, 날개 부재의 회전 속도로부터 유체의 유량을 계측하는 유량 센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서는, 유지 부재가 잘못해서 유지 위치에서 해방 위치로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유지 부재의 걸림 외연부에 나사를 통과시키고, 그 나사를 관 부재 본체에 나사 고정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 때, 유지 부재를 걸림 회전 위치로 하고 나서 나사로 고정시키도록 해도 되고, 정합 회전 위치에 있어서 나사로 고정시키도록 해도 된다.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은 서로 자유롭게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1 내지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날개 부재의 날개를 제 4 내지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날개 부재의 제 1 및 제 2 날개와 같은 형상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제 1 내지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날개 부재를 2 색 성형 부재로 해도 되고, 제 1 및 제 2 유체 저항부도 갖도록 해도 된다. 또는,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지 부재의 회전 억제를 위한 구조를, 제 4 내지 제 6 실시형태와 같이 유지 부재의 걸림 돌기와 관상 창 부재의 걸림 오목부와 같은 구조로 해도 되고, 반대로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의 구성을 제 4 내지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 채용해도 된다.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다른 구성 부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서로 자유롭게 조합할 수 있다.
관 부재 (100) ; 관 부재 본체 (102) ; 외주면 (102a) ; 관상 창 부재 (104) ; 후단면 (104a) ; 외주면 (104b) ; 내주면 (104c) ; 유지 부재 (106) ; 날개 부재 (108) ; 흐름 시인용 부재 (110) ; 유로 (112) ; 전방 부분 (114) ; 내주면 (114a) ; 후방 부분 (116) ; 내주면 (116a) ; 중간 부분 (118) ; 전방 개구 (120) ; 후방 개구 (122) ; 제 1 통로 (124) ; 암나사부 (126) ; 지주부 (128) ; 제 1 측방 개구부 (130) ; 제 2 측방 개구부 (132) ; (관상 창 부재 (104) 의) 둘레벽부 (134) ; 제 2 통로 (136) ; 전단부 (138) ; 축 지지부 (140) ; 회전축 (142) ; 축 유지부 (본체부) (144) ; 외주면 (144a) ; 내주면 (144b) ; 날개 (146) ; (유지 부재 (106) 의) 둘레벽부 (148) ; 전단면 (148a) ; 외주면 (148b) ; 제 3 통로 (150) ; 날개 지지부 (152) ; (날개 부재 (108) 의) 후단부 (154) ; (유지 부재 (106) 의) 후단부 (156) ; (유지 부재 (106) 의) 전단부 (158) ; (관상 창 부재 (104) 의) 후단부 (160) ; 돌출 형상부 (162) ; 걸림 외연부 (164) ; 관통공 (166) ; 볼 (168) ; 수용 오목부 (170) ; 가이드면 (172) ; 가이드부 (174) ; (회전축 (142) 의) 후단부 (176) ; 제 1 걸림부 (178) ; 슬릿 (180) ; 제 2 걸림부 (182) ; (날개 부재 (108) 의) 전단부 (184) ;
관 부재 (200) ; 관 부재 본체 (202) ; 관상 창 부재 (204) ; 후단면 (204a) ; 내주면 (204c) ; 유지 부재 (206) ; 날개 부재 (208) ; 흐름 시인용 부재 (210) ; 둘레벽부 (234) ; 회전축 (본체부) (242) ; 축 유지부 (244) ; 내주면 (244b) ; 날개 지지부 (252) ; 제 1 걸림부 (278) ; 제 2 걸림부 (282) ; 전단부 (284) ; 단차부 (288) ; (축 유지부 (244) 의) 후단면 (290) ; (회전축 (242) 의) 후단면 (292) ; 원뿔상의 오목부 (294) ;
관 부재 (300) ; 관 부재 본체 (302) ; 외주면 (302a) ; 유지 부재 (306) ; 돌출 형상부 (362) ; 로크 부재 (396) ;
관 부재 (400) ; 관 부재 본체 (402) ; 관상 창 부재 (404) ; 후단면 (404a) ; 외주면 (404b) ; 내주면 (404c) ; 유지면 (404d) ; 창 외주면 (405a) ; 창 내주면 (405b) ; 유지 부재 (406) ; 날개 부재 (408) ; 유로 (412) ; 지주부 (428) ; 둘레벽부 (434) ; 제 2 통로 (436) ; 전단부 (438) ; 회전축 (본체부) (442) ; 외주면 (442a) ; 축 유지부 (444) ; 제 1 날개 (446a) ; 제 2 날개 (446b) ; 제 1 유체 저항부 (447a) ; 제 2 유체 저항부 (447b) ; 날개 지지부 (452) ; 후단부 (460) ; 돌출 형상부 (462) ; 슬라이딩 걸어맞춤면 (462a) ; 경사면 (462b) ; 가요부 (463) ; 걸림 돌기 (466) ; 수용 오목부 (470) ; 가이드면 (472) ; 가이드부 (474) ; 걸림부 (478) ; 전단부 (484) ; 단차부 (488) ; 후단면 (492) ; 오목부 (494) ; 걸림 오목부 (498) ; 주위 오목부 (499) ;
관 부재 (500) ; 관상 창 부재 (504) ; 유지 부재 (506) ; 날개 부재 (508) ; 회전축 (542) ; 축 유지부 (544) ; 날개 지지부 (552) ; 전단면 (591) ; 후단면 (592) ; 원뿔상의 오목부 (594) ;
관 부재 (600) ; 관 부재 본체 (602) ; 관상 창 부재 (604) ; 유지면 (604d) ; 창 외주면 (605a) ; 원호상 부분 (605a-1) ; 직선상부 (605a-2) ; 유지 부재 (606) ; 날개 부재 (608) ; 유로 (612) ; 지주부 (628) ; 회전축 (642) ; 축 유지부 (644) ; 지지 단면 (645) ; 제 1 날개 (646a) ; 제 2 날개 (646b) ; 제 1 유체 저항부 (647a) ; 제 2 유체 저항부 (647b) ; 돌출 형상부 (662) ; 걸림 돌기 (666) ; 가이드부 (674) ; 파지부 (675) ; 전단면 (691) ; 후단면 (692) ; 홈 (693) ;
길이 축선 (L) ; 회전 중심 축선 (C) ; 곡률 중심 (P1) ; 곡률 중심 (P2) ; 가상원 (V) ; 1 개의 평면 (F) ;

Claims (14)

  1. 유체 배관 부재 사이에 끼워 넣어져 유체 배관의 일부를 구성하는 관 부재로서,
    제 1 통로를 획정하는 관 부재 본체로서, 상기 제 1 통로의 길이 축선에 대해 측방으로부터 상기 제 1 통로에 연통하도록 개구된 측방 개구부를 갖는 관 부재 본체와,
    상기 측방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관 부재 본체에 끼워 넣어지는 관상 창 부재로서, 상기 관 부재 본체에 끼워 넣어졌을 때에 상기 제 1 통로와 연통하여 상기 관 부재의 유로를 구성하는 제 2 통로를 가짐과 함께, 적어도 일부가 투명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 상기 적어도 일부를 통해서 상기 유로 내가 시인 가능해지도록 된 관상 창 부재와,
    상기 관 부재 본체에 장착되는 유지 부재로서, 상기 관상 창 부재와 걸어맞춰져 상기 관상 창 부재를 상기 관 부재 본체에 끼워 넣어진 위치에 유지하는 유지 위치와, 상기 관상 창 부재로부터 떨어져 상기 관상 창 부재에 대한 유지를 해제하고 상기 관상 창 부재가 상기 관 부재 본체로부터 상기 측방 개구부를 통해서 떼어낼 수 있게 되는 해방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된 유지 부재를 구비하는, 관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가, 상기 유지 위치와 상기 해방 위치 사이에서 상기 길이 축선의 방향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관 부재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관상 창 부재가, 상기 유지 부재가 상기 해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관 부재 본체에 끼워 넣어져 있는 끼워 넣음 위치와, 상기 끼워 넣음 위치로부터 상기 길이 축선의 방향에서 변위되어 상기 제 1 통로와 상기 제 2 통로의 연통이 해제되는 연통 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관상 창 부재는, 상기 연통 해제 위치에 있어서 상기 관 부재 본체로부터 상기 측방 개구부를 통해서 떼어낼 수 있게 된, 관 부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 부재 본체가, 통상의 전방 부분 및 후방 부분과, 상기 전방 부분과 상기 후방 부분 사이의 중간 부분을 갖고, 상기 측방 개구부가 상기 중간 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상 창 부재가, 상기 끼워 넣음 위치에 있어서 상기 관 부재 본체와 상기 길이 축선의 방향에서 정합되어 상기 전방 부분과 밀봉 걸어맞춰지게 되고,
    상기 유지 부재가, 제 3 통로를 갖는 통상의 부재가 되고, 상기 유지 위치에 있어서 상기 관상 창 부재와 상기 후방 부분에 밀봉 걸어맞춰져, 상기 제 3 통로가 상기 제 1 통로 및 상기 제 2 통로와 함께 상기 관 부재의 상기 유로를 구성하게 된, 관 부재.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가, 상기 관상 창 부재가 상기 관 부재 본체로부터 떼어내어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관 부재 본체로부터 상기 측방 개구부를 통해서 떼어낼 수 있게 된, 관 부재.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가, 상기 유지 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형상부를 갖고, 상기 관 부재 본체가 상기 돌출 형상부를 받아들이는 수용 오목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유지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관 부재 본체에 대해 상기 길이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해지고, 상기 돌출 형상부가 상기 수용 오목부에 대해 상기 길이 축선의 방향에서 정합되는 정합 회전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돌출 형상부가 상기 수용 오목부에 받아들여지면서 상기 해방 위치까지 변위 가능해지고, 상기 정합 회전 위치에 없을 때에는 상기 돌출 형상부가 상기 관 부재 본체와 간섭하여 상기 해방 위치까지 변위될 수 없게 된, 관 부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형상부가, 상기 관 부재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는 걸림 외연부를 갖고, 상기 관 부재 본체의 외주면과 상기 외주면에 면하는 상기 걸림 외연부의 내측면 중 일방에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타방에 걸림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유지 부재가 상기 유지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정합 회전 위치로부터 회전되어 걸림 회전 위치가 되었을 때에, 상기 걸림 돌기와 상기 걸림 오목부가 걸어맞춰져 상기 유지 부재의 회전이 억제되게 된, 관 부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형상부가, 상기 관상 창 부재와 슬라이딩 걸어맞춰지는 슬라이딩 걸어맞춤면에 걸림 돌기를 갖고,
    상기 관상 창 부재가, 상기 걸림 돌기를 받아들이는 걸림 오목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유지 부재가 상기 유지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정합 회전 위치로부터 회전되어 걸림 회전 위치가 되었을 때에, 상기 걸림 돌기와 상기 걸림 오목부가 걸어맞춰져 상기 유지 부재의 회전이 억제되게 된, 관 부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의 상기 슬라이딩 걸어맞춤면에 상기 길이 축선의 방향에서의 가요성을 갖는 가요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가요부에 형성되어 있는, 관 부재.
  9. 제 2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 부재 본체가 상기 측방 개구부의 측부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길이 축선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면을 갖고, 상기 관상 창 부재가 상기 관상 창 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관상 창 부재를 상기 측방 개구부로부터 상기 제 1 통로 내에 삽입하여 상기 연통 해제 위치로 했을 때에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가이드면에 맞닿아 상기 관상 창 부재가 상기 관 부재 본체에 대해 상기 길이 축선의 방향에서 정합된 위치가 되고, 상기 관상 창 부재를 상기 연통 해제 위치에서 상기 끼워 넣음 위치로 변위시킬 때에,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가이드면 상을 슬라이딩하게 된, 관 부재.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상 창 부재의 상기 제 2 통로 내에 배치되고 상기 유로 내를 흐르는 유체에 의해 변위되는 흐름 표시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관 부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 표시 부재가, 상기 관상 창 부재에 상기 길이 축선에 대한 둘레 방향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날개 부재가 되고, 상기 관상 창 부재와 함께 상기 관 부재 본체로부터 떼어내어지게 된, 관 부재.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상 창 부재가, 상기 관 부재 본체에 끼워 넣어졌을 때에 외부에 노출되는 창 외주면과, 상기 창 외주면의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창 내주면을 갖고, 상기 제 2 통로의 내부가 상기 창 외주면과 상기 창 내주면을 통해서 시인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창 외주면은, 상기 창 외주면의 곡률 중심이 상기 창 내주면의 곡률 중심과 상기 창 외주면 사이의 위치가 되도록 형상지어져 있는, 관 부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창 외주면과 상기 창 내주면의 횡단면이, 각각 원호상인, 관 부재.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개구부가, 상기 제 1 통로의 직경 방향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측방 개구부를 갖고, 상기 관상 창 부재는 제 1 및 제 2 측방 개구부 중 어느 것을 통해서라도 상기 관 부재 본체에 장착 가능하게 된, 관 부재.
KR1020197026104A 2017-02-15 2018-01-31 관 부재 KR1021129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25606 2017-02-15
JPJP-P-2017-025606 2017-02-15
JP2017121405 2017-06-21
JPJP-P-2017-121405 2017-06-21
PCT/JP2018/003167 WO2018150874A1 (ja) 2017-02-15 2018-01-31 管部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164A true KR20190107164A (ko) 2019-09-18
KR102112982B1 KR102112982B1 (ko) 2020-05-20

Family

ID=63169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6104A KR102112982B1 (ko) 2017-02-15 2018-01-31 관 부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417496B1 (ko)
KR (1) KR102112982B1 (ko)
CN (1) CN110312917B (ko)
TW (1) TWI658230B (ko)
WO (1) WO2018150874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60739A (en) * 1955-12-02 1962-10-30 Fischer & Porter Co Flowmeter construction
JPS589025A (ja) 1981-04-16 1983-01-19 グレン・ブランド 流量計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81202A (en) * 1920-03-13 1924-01-15 Dennie E Hildreth Gauge
US3691835A (en) * 1971-01-20 1972-09-19 Fischer & Porter Co Variable-area flowmeter with removable metering tube
JPS5336134Y2 (ko) * 1972-01-09 1978-09-04
JPH0222646Y2 (ko) * 1985-01-09 1990-06-19
CN2356321Y (zh) * 1998-12-30 1999-12-29 西安交通大学 分流分相式两相流体流量计
JP4634251B2 (ja) * 2005-08-09 2011-02-16 株式会社小池メディカル 指示計及びガス流体の供給装置
JP5047300B2 (ja) * 2007-09-27 2012-10-10 日東工器株式会社 管継手及び雌型管継手部材
CN201765071U (zh) * 2010-07-15 2011-03-16 郁建龙 单流束无磁热能表
EP2579008A1 (fr) * 2011-10-06 2013-04-10 Itron France Compteur de fluide, en particulier d'eau
JP5570494B2 (ja) * 2011-11-16 2014-08-13 日東工器株式会社 緊急離脱用管継手
ES2588510T3 (es) * 2012-04-11 2016-11-03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Soporte de cartucho e inyector tipo pluma
CN103471665B (zh) * 2012-06-07 2016-09-21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液体流量超声波在线检测装置与检测方法
JP6047361B2 (ja) * 2012-10-01 2016-12-21 株式会社タブチ 管継手
CN203178001U (zh) * 2013-04-23 2013-09-04 山东精精仪表有限公司 超声波热能表
CN203427169U (zh) * 2013-08-08 2014-02-12 天津宏兴盛源机械制造有限公司 免拆洗可视搅拌器
JP6247126B2 (ja) * 2014-03-20 2017-12-13 コスモ工機株式会社 管接続構造
JP6234881B2 (ja) * 2014-05-26 2017-11-2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パイプ継手
CN104807511B (zh) * 2015-03-23 2018-09-28 广东新大禹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管道流量计
CN105299439B (zh) * 2015-09-16 2018-06-19 浙江大学 可拆卸低温流体可视化视窗、装置和容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60739A (en) * 1955-12-02 1962-10-30 Fischer & Porter Co Flowmeter construction
JPS589025A (ja) 1981-04-16 1983-01-19 グレン・ブランド 流量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2982B1 (ko) 2020-05-20
JP6417496B1 (ja) 2018-11-07
TW201835481A (zh) 2018-10-01
CN110312917B (zh) 2021-02-26
CN110312917A (zh) 2019-10-08
JPWO2018150874A1 (ja) 2019-02-21
TWI658230B (zh) 2019-05-01
WO2018150874A1 (ja) 2018-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47149A1 (en) Endoscope head
US11464400B2 (en) Endoscope mountable visualization device quick-connect/release handle attachment mechanism
US9259553B2 (en) Stylet handle attachment device
KR20190021237A (ko) 안내 렌즈 삽입기
KR20190021236A (ko) 안내 렌즈 삽입기
KR20190107164A (ko) 관 부재
US7396179B2 (en) Writing instrument including a valve feeder device
BR102012027931B1 (pt) mecanismo de travamento articulado para um dispositivo de deslocamento de fluido e método de montagem de um dispositivo de deslocamento de fluido
JP6986459B2 (ja) 管部材
JP6626042B2 (ja) 羽根部材並びに羽根部材を備える流れ視認部材及び管部材
CN103976776B (zh) 一次性安全手术刀
CA3046534C (en) Suction mirror having a central wall
EP2150222B1 (fr) Dispositif pour le traitement du larmoiement de l'oeil
JP6510856B2 (ja) 止水栓装置
CN108602076A (zh) 用于淋浴系统的喷头
SE534071C2 (sv) Införingsanordningsmedel
JP5334177B2 (ja) 水栓
FR3059554A1 (fr) Tuyau a gaz respiratoire pour un appareil medical
JP7275749B2 (ja) 水栓装置
JP6449704B2 (ja) 止水栓装置
CN204092115U (zh) 一次性安全手术刀
EP2128502A2 (en) Stopcock for laboratory glassware
WO2019019168A1 (zh) 具有活动封槽密封件的留置针
PT1660798E (pt) Válvulas para recipientes para beber.
KR20050077253A (ko) 낚싯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