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7125A - 2 척의 보트 연결을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2 척의 보트 연결을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7125A
KR20190107125A KR1020197024886A KR20197024886A KR20190107125A KR 20190107125 A KR20190107125 A KR 20190107125A KR 1020197024886 A KR1020197024886 A KR 1020197024886A KR 20197024886 A KR20197024886 A KR 20197024886A KR 20190107125 A KR20190107125 A KR 20190107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vessel
floating
docking structure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4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5732B1 (ko
Inventor
크리스토프 콜마드
실비 데샹
메티유 부쉬에조
Original Assignee
사이뼁 소시에떼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이뼁 소시에떼아노님 filed Critical 사이뼁 소시에떼아노님
Publication of KR20190107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2Magnetic moor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63B27/25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for fluidised bulk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02Floating docks
    • B63C1/06Arrangements of pumping or filling equipment for raising or lowering d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16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15B15/1423Component parts; 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021/003Mooring or anchor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21/006Suction cups, or the like, e.g. for mooring, or for towing or p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2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angular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70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705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utput members or actuators
    • F15B2211/7051Linear output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1/00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 F25J1/02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requiring the use of refrigeration, e.g. of helium or hydrogen ; Details and kind of the refrigeration system used; Integration with other units or processes; Controlling aspects of the process
    • F25J1/0243Start-up or control of the process; Details of the apparatus used; Details of the refrigerant compression system used
    • F25J1/0257Construction and layout of liquefaction equipments, e.g. valves, machines
    • F25J1/0275Construction and layout of liquefaction equipments, e.g. valves, machines adapted for special use of the liquefaction unit, e.g. portable or transportable devices
    • F25J1/0277Offshore use, e.g. during shipping
    • F25J1/0278Unit being stationary, e.g. on floating barge or fixed plat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90/00Other 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F25J2200/00 - F25J2280/00
    • F25J2290/60Details about pipelines, i.e. network, for feed or product distrib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Wind Motors (AREA)
  • Earth Drilling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제 1 배 또는 부유식 지지부 및 제 2 배(10, 11)인, 2척의 선박을 함께 신속히 원격으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에 관련되며, 상기 장치는 제 2 선박(11)의 선체의 측면(11a) 및/또는 용골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는데 적합하거나 또는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플로팅 및 도킹 구조(3); 및 제 1 선박(1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연속하여 배치된 적어도 2 개의 액추에이터(2, 21, 22, 23, 24), 각각의 액추에이터의 상기 액추에이터 실린더(2a)는 제 1 패스너 및 피벗 힌지 장치(2c1)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선박(10)의 선체 측면(10a)에 고정되며, 제 2 패스너 및 피벗 힌지 장치(2c2)를 통해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3)에 바람직하게는 해제 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되는데 적합하도록 되어 있거나 고정되어 있는 각각의 액추에이터의 로드(2b) 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2 척의 보트 연결을 위한 장치
본 발명은 바다에서 2 척의 선박을 함께 도킹하기 위한 장치로서, 본원에서 "커플링 장치"로 지칭된다. 이 도킹 장치는 2 척의 선박을 제어된 거리에서 통상적으로 약 30 미터로 서로 측면으로 이격 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그것의 나란히 있는 세로의 위치를 보존하면서, 특히 2 척의 선박 사이의 환적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본원에서 "선박"이라는 용어는 부유식 생산 저장 및 하적(FPSO) 유닛, 액화 천연 가스를 생산, 저장 및 하역하기 위한 부유식 액화 천연 가스 (FLNG) 유닛, 또는 부유식 저장 및 재가스화(regassification) 유닛 (FSRU)과 같은 운송 배 및 해저와 계류된 부유 지지부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유형의 장치는 특히 천연 가스 (FLNG)를 메탄 탱커(methane tanker) 또는 "LNG 운반선"과 같은 제 2 배에 신축성의 또는 단단한 파이프를 통하여 액화 또는 재가스화 하기 위한 부유식 설비를 포함하는 유형의 제 1 배 또는 부유식 지지부를 가능하게 하는데 적용된다.
마주 치는 어려움은 하역 시에 허용할 수 있는 환경의 한계이며, 특히 배 간의 충돌 위험없이 바다에서의 2척의 선박 간에 이러한 환적 작업을 종종 어렵게 만드는 팽창, 바람 및/또는 해류(current) 상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2 척의 선박 사이의 공간을 제어하고 안정시킴으로써 2 척의 선박 사이의 하역 작업의 안전성을 증가시키는 것이며; 특히 FLNG 또는 FSRU 유형의 부유식 설비와 LNG 운반선 유형의 배 사이의 하역 작업을 보다 안전하게 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
- 거친 날씨 상태에 처했을 때 FLNG 유형의 부유식 설비에서 생산 중단을 방지하는 것은 여전히 작업을 계속하기 위해 생산품을 하역하는 것이 필요하며;
- 하역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표준 시스템을 사용하여 기상 조건이 가능하지 않은 지역에서 FLNG 유형의 부유식 설비가 개발되게 할 수 있다.
도킹 또는 계류를 위한 종래의 시스템은 2 척의 선박 사이의 간격을 동적으로 제어할 수 없고 2 척의 선박 간에 수직 이동의 잠재적 큰 차이를 처리할 수 없는 실린더/펜더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나쁜 팽창 상황이 발생했을 때 바다에서 허용될 수 없는, 다른 것과의 위치가 정해지는 2척의 배가 요구된다.
반대로, 안전하고 신속한 시스템은 부두에 대한 배의 도킹 또는 계류, 특히 공급자 카보텍 (Cavotec)에 의해 개발된 공기 흡입 컵 또는 자기 흡입 컵을 사용하는 시스템이며, 특히 WO 2009/041833 및 WO 2009/054739에 기술된 바와 같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선박이 서로 접촉할 경우 악천후 시에 매우 커질 수 있는 선박 간의 힘 문제를 처리하지 않으며, 제어된 최소 간격을 2척의 배 사이에 설정할 수 없다.
마지막으로, WO 2014/073973는 2 척의 선박 사이에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시하며, 상기 시스템은 계류 선(24)에 의해 계류중인 제 1 부유식 지지부(1)로부터 이동 가능한 밸러스트 케이슨(ballasted caisson)(2)을 포함하는 커플링 장치 (도 3)를 포함하며, 제 2 배(3)에 대하여 및 아래에 가압 되도록 한다. 제 2 배(3)에 대한 케이슨(2)의 위치 결정은 바다 바닥에 고정되고 윈치(winch)(23)를 사용하여 구동되는 계류 선(24)을 인장함으로써 수행된다. 이 시스템은 설치에 시간이 오래 걸리며, 선박 길이가 100m에서 300m 인 선박에서 적어도 100미터(m) 이상의 간격을 유지해야 하는 유연성이 부족하다.
보다 정확하게는, 본 발명의 목적은 배치가 보다 쉽고 빠르며, 2 척의 선박의 평행한 길이 방향 위치를 수십 미터의 거리, 특히 25m~50m의 범위에 있는 제어된 가변적 거리에서 측면으로 이격 된 상태로 나란히 유지하면서 보존할 수 있게 하는 기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2 척의 선박, 특히 제 1 배 또는 부유식 지지부로 구성된 제 1 선박 및 제 2 배로 구성된 제 2 선박을 함께 원격으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 플로팅 및 도킹 구조가 제어된 방식으로 집어넣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해 밸러스트 및 디-밸러스트(de-ballasted) 되는데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플로트(float)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로팅 및 도킹 구조, 및 제 2 선박의 선체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데 적합하거나 또는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도킹 요소를 포함하며;
- 제 1 선박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연속하여 배치된 적어도 2 개의 액추에이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 개의 액추에이터, 각각의 액추에이터의 상기 액추에이터 실린더의 하나의 단부는 상기 제 1 선박에 고정되고, 바람직하게는 제 1 패스너(fastener) 및 피벗(pivot) 힌지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선박의 선체 측면에 고정되고, 각각의 액추에이터의 로드(rod) 단부는 제 2 패스너 및 피벗 힌지 장치를 통해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에 바람직하게는 해제 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되는데 적합하도록 되어 있거나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일시적으로 제 2 선박에 고정되고, 예인선, 호이스트 수단, 또는 호오저(hawsers)와 같은 도킹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제 1 선박의 부속 장치 또는 보조 장치이다.
상기 장치는 특히 FLNG의 측면 상에 설치하기에 적합하며 다른 선박, 전형적으로 메탄 탱커 (LNG 운반선), 또는 비제한적으로 환적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2척의 선박의 선체에 고정하기 위해 유압으로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평균 거리에서 2 척의 선박 사이의 간격을 제어 및 안정화 가능한 동시에 다음과 같은 것 또한 가능하게 한다:
- 2척의 선박 사이에서 전달되는 팽창, 바람 및 해류의 평균 힘의 일부를 흡수하고, 또한
- 2척의 선박이 환경 스트레스에 따라 독립적으로 움직이도록 허용하고 간단한 계류 시스템과 같이 여섯 가지 운동 자유도 (흔들림 - 상승 - 들썩거림 - 롤 - 피칭 - 요)를 부분적으로 보전하게 한다.
상기 장치가 제 2 선박에 부착되면, 일반적으로 4 m 까지의 상당한 양의 팽창으로 확장될 수 있는 해상 상태에서 수동적으로 또는 액추에이터의 적절한 유압 제어에 의해 일정한 평균 거리에서 2척의 선박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팽창은 상기 선박의 롤, 피칭, 또는 요 운동을 방지없이, 주로 앞쪽으로부터 0° 또는 1/4로부터 45°에서 온다.
상기 플로트는 a)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체에 부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 2 선박을 부착하기 전에 상기 액추에이터를 물 밖으로 유지시키는 것, 및 b)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의 부착 요소를 제 2 선박에 부착할 때 밸러스팅에 의해 상기 플로트가 보다 깊게 잠길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에 적합하다.
액추에이터의 슬라이딩 스트로크로 인해, 및 2척의 선박과의 피벗 힌지 연결 때문에, 상기 장치에 의해 흡수된 힘이 평균화 되고 힘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힘이기 때문에 2척의 선박이 서로 상대적으로 동적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한적이지만 가변적인 간격으로 2척의 선박을 함께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팽창이 강해지더라도 25m에서 50m의 범위에 걸쳐서, 약 4m의 팽창이 일반적으로 허용된다.
특히, 수축된 위치에 있고 상기 제 2 패스너 및 힌지 장치를 통해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에 고정된 상기 액추에이터는 제 1 선박의 선체, 및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가 상기 제 2 선박에 고정되지 않고 상기 도킹 플로트가 디-밸러스트 될 때의 물의 밖에 대한,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또는 수직에 가까운 위치에서 함께 위치되기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는 이러한 방식으로 안전하게 집어넣게 될 수 있으며, 특히 폭풍우 동안 또는 2 개의 환적 사이에서, 수축 위치에 있는 액추에이터와 함께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어셈블리는 상기 제 1 및 제 2 패스너 및 피벗 힌지 장치에 의해 가능해진 회전 피벗을 고려할 때, 상기 액추에이터를 후퇴시키고 상기 플로트를 디-밸러스트 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제 1 선박의 선체에 대해 위치되기에 적합하다.
디-밸러스트 된 상기 도킹 플로트와 함께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에 수축 및 고정될 때,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어셈블리를, 예를 들어 스트랩을 조임으로써, 정지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종래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상기 제 1 선박의 선체에 대해 정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액추에이터의 단부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패스너 및 피벗 힌지 장치는 각각 상기 액추에이터의 길이 방향 축에 수직인 수평한 제 1 축에 대해 상기 액츄에이터의 적어도 제 1 피벗 운동, 및 상기 액추에이터의 길이 방향 축에 수직이고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의 길이 방향 축을 포함하는 수직면에 위치된 제 2 축에 대해 상기 액추에이터의 제 2 피벗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각각의 액추에이터의 두 단부에 있는 2 개의 패스너 및 힌지 장치는 조합하여 각각의 액추에이터가 피벗 운동시 자유도가 2 가지가 되도록 할 수 있으며, 다음을 포함한다:
a) 상기 2 척의 선박 사이의 수직 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운동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에 고정된 채로 제 1 선박의 측면에 대해 및/또는 위에 피벗팅 됨으로써 적재되게 하는 수평한 제 1 피벗 축에 대한 상기 액추에이터의 제 1 피벗 운동; 및
b) 2 척의 선박 중 하나의 길이 방향으로 2 척의 선박 사이의 상대 운동을 허용하는 수직 평면에서의 제 2 피벗 축에 대한 상기 액추에이터의 제 2 피벗 운동.
또한, 다양한 액추에이터의 상이한 길이 방향 슬라이딩 운동은 2 척의 선박이 서로에 대해 각을 이루며 운동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각각의 액추에이터의 단부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패스너 및 피벗 힌지 장치는 액추에이터의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제 3 피벗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 특히, 각각의 상기 액추에이터의 로드가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에 고정될 때, 상기 액추에이터는 물의 외부에서 유지되는 동안 15도 미만의 각도로 수평면에 대해 경사진 액추에이터 로드와 함께 또는 수평으로 바다 표면 위에 배치되고, 상기 액추에이터의 실린더는 바람직하게 동일한 높이에서 상기 제 1 선박의 선체의 측면에 고정된다.
액추에이터를 물 외부에 위치하게 하는 것은 액추에이터 상의 팽창 및 해류의 영향을 제한할 수 있으므로 바다로 인한 액추에이터의 간섭 힘을 방지하고 마지막으로 부식의 영향을 피할 수 있다.
더욱 특히,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에 고정되어 있을 때, 이것들은 제 1 선박의 측면에 접선인 수직면에 수직인 수직면에 대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및/또는 30° 미만, 바람직하게는 15° 미만의 각도에서 경사져서 배치된다.
다양한 액추에이터를 동일한 높이에 수평으로 위치시키는 것은 액추에이터 상에 대한 간섭 힘을 또한 피하게 할 수 있다.
더욱 특히, 상기 액추에이터는 바람직하게는 하프-스트로크에서 초기 커플링 연장 위치로 설정된 로드를 갖는 이중-작용 유압 액추에이터이며, 2 척의 선박 사이의 원하는 간격을 재정립하기 위해, 특히 액추에이터 로드의 초기 연장을 재설정 하기 위해, 상기 초기 커플링 연장 위치로부터 임의의 이탈 방식으로 조정 및/또는 자동적으로 제어되는 유압 회로를 갖는다.
수동 모드 또는 제어 모드, 특히 소프트웨어 제어 하에서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어느 모드에서든지, 액추에이터의 유압 회로는 스프링과 같이 2 척의 선박 사이의 공간을 유지하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각각의 액추에이터의 초기 연장 위치가 피스톤의 두 면에 대한 압력 차에 의해 유지되는 한, 액추에이터의 강성에 따라 힘을 제한하기 위해서 작용한다.
액추에이터의 응답은 선형일 수 있으며, 즉 로드의 연장 위치와 독립적인 응답이고, 또는 응답이 비선형일 수도 있다, 즉 선박이 멀어 지거나 서로를 향하여 움직이는 것이 많을수록 액추에이터 내의 힘이 커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100m 내지 300m의 길이를 갖는 상기 제 1 및 제 2 배 또는 부유식 지지부에 대해, 그리고 15m 내지 50m의 범위에서 제 1 선박 및 제 2 선박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길이가 5m 내지 20m 범위의 스트로크를 갖는 10m 내지 30m 범위인 길이를 갖는 액추에이터가 사용된다. 더욱 특히, 150m 내지 300m의 길이를 갖는 상기 제 1 및 제 2 배 또는 부유식 지지부에 대해, 그리고 25m 내지 40m 범위의 제 1 선박 및 제 2 선박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30m 내지 35m의 범위에서, 길이가 10m 내지 24m이고 스트로크가 5m 내지 10m인 액추에이터가 사용된다.
액추에이터의 수는 액츄에이터의 힘에 의존한다. 더욱 특히, 상기 액추에이터는 150 미터 톤(T)에서 750 T 범위, 바람직하게는 250 T 내지 500 T 범위의 힘을 전달한다. 따라서, 250T 내지 500T 범위의 힘을 갖는 3 개 또는 4 개의 액츄에이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액추에이터의 로드는 5m 내지 10m의 스트로크 이상으로 이동하는데 적합하며, 특히 150m 내지 300m인 길이를 갖는 2 척의 선박을 계류하기에 적합하다.
더욱 특히,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는 상기 플로트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밸러스트 되고 상기 부착 요소가 수중인 동안에 제 2 선박에 부착하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부착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 요소는 상기 도킹 플로트를 밸러스트 시키고 이어서 상기 도킹 플로트를 부분적으로 디-밸러스트 시킴으로써 상기 제 2 선박의 바닥에 향하여 및/또는 대해 가압하여 상기 제 2 선박의 바닥 아래에 위치되도록 하는 적합한 배치 및/또는 형상을 제공한다.
더욱 특히, 수중에 적합한 상기 부착 요소는 상기 플로트가 디-밸러스트 되고 상기 액추에이터가 제 1 선박에 대해 안전하게 위치될 때, 상기 부착 요소가 물 밖에 있도록 하는 높이에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 상에 위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2 선박에 부착하는 것 이외에 및/또는 대안으로서, 상기 부착 요소는 제 2 배의 측면에 대해 가압하기 위한 호우저 및 펜더 실린더를 사용하는 종래의 계류 수단, 또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흡입 컵 또는 자기 컵 또는 제 2 선박의 측면 및/또는 바닥에 대해 가압하기 위한 공기 흡입 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특히, 상기 부착 요소는 제 2 선박의 선체 하부 아래에서 좌우로 연장되고 제 2 선박의 선체의 밑바닥에 대해 지지하기에 적합한 자기 또는 공기 흡입 컵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포크(fork)를 형성하는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의 일부분에 의해 구성되거나 지지된다.
이 포크를 선박 아래로 가압하는 수직 힘은 상기 플로트를 디-밸러스트 함으로서 얻어진다. 흡입 컵의 고정 작용은 제 2 선박이 커플링 장치에 대해 미끄러지지 않도록 보장하는 역할을 한다.
더욱 특히, 본 발명의 장치는 타워를 형성하는 트러스 어셈블리 내에 함께 어셈블리 된 빔(beam) 및/또는 튜브로 구성되는 단일의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수중에서 밸러스트 되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플로트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의 관형 구조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조에 통합되거나 지지되는 실린더 및/또는 직사각형 케이슨의 형태이다.
이 실시 예는 상기 플로트를 밸러스트함에 의한 수직 위치에서 구조의 안정성 측면에서 그리고 상기 도킹을 수행하기 위한 그것의 방향 측면에서 제 2 배 또는 부유식 지지부에 대해 도킹 장치를 두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더욱 특히,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는 상기 제 2 선박의 선체 하측으로부터 높이, 바람직하게는 해수면 아래에서 적어도 50m, 또는 실제로 상기 선체 아래에서 적어도 50m, 적어도 상기 제 2 선박의 갑판 위까지, 바람직하게는 60m 내지 100m의 높이(H1)에 걸쳐 연장한다.
더욱 특히,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는 상기 제 2 선박의 길이의 적어도 1/4의 길이에 걸쳐 제 2 선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보다 특히,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는 길이 150m 내지 300m 인 선박에 대해 40m 내지 100m 범위의 길이(L1)에 걸쳐 제 2 선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커플링 장치를 사용하여 원격으로 나란히 결합 된 2 척의 선박의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더욱 특히, 본 발명의 장치는 기체를 액화 또는 재가스화 하기 위한 설비를 포함하는 유형의 부유식 지지부인 제 1 선박, 및 메탄 탱커 유형의 제 2 선박 사이의 커플링을 제공하며, 나란히 배치된 상기 제 1 및 제 2 선박 사이에서 물 밖으로 연장되는 신축성 파이프 용 홈통을 지지하는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 장치를 구현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다음의 단계들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상기 액추에이터는 수축 위치에 있고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는 상기 제 2 패스너 및 힌지 장치를 통해 상기 액추에이터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디-밸러스트 된 플로트를 가지며, 상기 액추에이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 1 선박의 선체에 대해 및/또는 위로 물 밖으로 가압 되며, 상기 플로트(들)은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를 제 2 선박에 고정하기 위한 적절한 깊이에 담그기 위해 밸러스트 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를 상기 제 2 선박에 대해 고정하기 위해 함께 피벗 되고 배치된다;
b) 상기 액추에이터는 매개 연장부의 초기 커플링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는 상기 제 2 패스너 및 힌지 장치를 통해 상기 액추에이터에 고정되고 상기 부착 요소(들)를 통해 상기 제 2 선박에 고정되며, 상기 밸러스트 된 상기 플로트 상태에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연장 시에 작동되고 및/또는 상기 액추에이터 및 상기 2 척의 선박은 상기 초기 위치로 유지되거나, 그것들이 이탈할 경우 제어된 상기 2 척의 선박 사이의 거리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가 자동으로 제어되고;
c) 상기 액추에이터는 매개 연장부의 초기 커플링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는 상기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 2 선박에 고정되고, 상기 플로트가 밸러스트 된 상태에서,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가 상기 제 2 선박으로부터 분리된 다음, 상기 액추에이터는 수축되고, 상기 플로트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피봇되고 상기 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선박의 선체에 대해 및/또는 위에 상기 물의 외부로 가압 되도록 하기 위해 디-밸러스트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례가 되고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진 다음의 설명을 읽으면 더 잘 나타난다.
본원에 기재되어 있음.
- 도 1a 및 도 1b는 FLNG 형의 제 1 선박과 LNGC 형의 제 2 선박 사이에 고정된 (도 1a), 및 또한 제 2 선박이 없는 (도 1b), 커플링 위치에서의 본 발명의 장치(1)의 제 1 바람직한 실시 예의 도면이다;
- 도 2a 및 도 2b는 FLNG 형의 제 1 선박의 선체에 대해 고정된 적재 위치에 있는 (도 2a), 및 2 척의 선박 사이의 커플링 위치에 있는 (도 2b), 본 발명의 장치(1)의 제 2 실시 예의 도면이다;
-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커플링 장치의 제 1, 제 2, 및 제 3 실시 예 (도 3a, 3b 및 3c)에서의 플로팅 및 도킹 구조(3)를 도시한다;
- 도 4는 FLNG 형의 제 1 선박(10)에 연결하기 위한 (2c1), 및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3)의 타워의 관형 요소(31)에 연결하기 위한 (2c2), 2 개의 패스너 및 피벗 힌지 장치를 갖는 액추에이터(2, 21-24)의 상세도이다.
도 1a, 도 1b, 도 2a, 도 2b, 및 도 3a 내지 도 3c에서,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3)는 상기 타워의 적어도 4 개의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그리고 상부 플랫폼(3c)을 지지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수직 튜브(31)를 함께 어셈블리함으로써 만들어진 타워를 형성하는 개방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타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엑추에이터(21-24)에 의해 제 1 선박(10)에 연결된다. 각각의 수직 튜브(31)는 가장 인접한 다른 2 개의 가까운 튜브(31) 각각에, a) 타워의 축에 수직인 제 1 수평 접합 빔 또는 튜브(32a)에 의해, 및 b) V형 무늬 또는 대각선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제 2 접합 빔 또는 튜브(32b)에 의해 어셈블리되며, 상기 2 개의 수직 튜브(31) 사이에서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상부 면 상에서, 상기 타워는 예를 들어 도 3c에 도시 된 바와 같이 통로(40)를 통해 제 1 선박(10)로부터, 접근할 수 있는 기술적 개입 승무원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플랫폼(3c)을 지지한다.
상기 타워에는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를 제 2 선박(11)의 선체에 부착하기 위한 상기 부착 요소를 형성하는 계류 시스템(3b, 3b1, 3b2)이 장착된다. 상기 부착 요소 또는 계류 시스템은 흡입 컵 또는 자기 패스너(3b)를 갖는 플레이트의 시스템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a의 제 1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부착 요소는 상기 선박을 향하는 타워의 면으로부터 제 2 선박을 향해 타워 외부로 수평으로 전방으로 연장하는 포크(33)를 구성하는 외팔보처럼 튀어나온 2 쌍의 수평 관형 요소(33b)의 상부면 상에 배치된 흡인 컵 또는 자기 패스너와 결합된 4 개의 상기 플레이트(3b)를 포함한다. 이들 수평 관형 요소(33b)는 제 2 선박의 선체(11b)의 폭을 덮는 길이(L3)를 걸쳐 수평 방향으로 뻗어 있고 단지 지지부일 수 있거나 및/또는 자기 흡입 컵(3b)과 같은 자기 패스너일 수 있는 4 개의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포크(33)를 형성하는 경사진 하부 관형 요소(33a)에 의해 지지된다. 도 3a에서, 이 플레이트들(3b)은 선체의 양측 (측면(11a) 및 용골(11b) 사이의 접합 영역) 상의 밑바닥(11c), 또는 양측 상의 반대 방향으로 체계적으로 경사진 2 쌍의 플레이트(3b)에 대해 지지하도록 경사진다. 이 예에서, 폭(L3)은 최대 메탄 탱커를 나타내는 약 50m이며, 30m 폭의 메탄 탱커를 수용 가능하게 한다. 상기 포크의 오프셋 된 길이 방향 단부는 밸러스트 및/또는 디-밸러스트 되기에 적합한 수직 실린더(3a1)의 형태인 플로트(3a)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타워의 다른 하부 관형 부분(3a2)은 밸러스트 및/또는 디-밸러스트 되기에 적합한 실린더의 형태인 플로트를 구성한다.
도 3a에 도시된 플로팅 및 도킹 구조(3)는 높이 H1=89.5m, 2척 선박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 L1=60m, 및 길이 150m 내지 300m 인 2 척의 선박을 함께 계류하기 위한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폭 L2=20m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의 타워를 형성하는 트러스 어셈블리로 함께 어셈블리된 관형 요소로 구성된 개방 구조이다.
도 3b의 제 2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도킹 요소는 짧은 길이 L3=15m에 걸쳐 수평으로 전방으로 연장되는 포크(33)를 형성하는 한 쌍의 외팔보처럼 튀어나온 수평의 관형 요소(33b)를 포함한다. 도 3b의 타워의 바닥 부분에서, 바닥 단부로부터 약 H2=20m의 위치에서, 타워는 2m 내지 3m 범위의 직경을 갖는 실린더(3a3 및 3a4)의 형태인 플로트(3a)를 지지 또는 통합하고 각각 3a4에 대해 길이 L2=20m 및 3a3에 대해 L1=60m이고, 실린더는 89.5m의 동일한 높이(H1)를 갖는 직육면체의 가장자리에서 수직 튜브(31)를 함께 연결하는 직사각형 벨트를 형성하도록 수평으로 배열된다.
도 3c에서, 제 3 실시 예에서, 플로팅 구조(3)는 직육면체 형상의 4 개의 부력 케이슨(3a'1-3a'4)을 포함하는 타워 지지 플로트(3a)를 포함하며, 그 중 2 개(3a'3 및 3a'4)는 상기 타워의 바닥 부분에 있고, 2 개(3a'1 및 3a'2)는 포크(33)의 전방 단부 아래에 있다. 포크(33)는 삼각형으로 배열된 3 개의 플레이트(3b)를 지지하며, 하나의 플레이트는 타워의 옆에 있고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2 개의 플레이트는 포크의 2 개의 브랜치의 단부들 옆에 있다. 타워의 원통형 부재(31, 32a-32b, 33a-33b) 및 이 4 개의 케이슨(3a'1-3a'4) 사이의 추력의 분포는 4 개의 케이슨(3a'1-3a'4)에 대해 1700 미터 톤의 힘과 비교하여 원통형 부재에 대한 2600 미터 톤의 힘이다. 도 3c에서, 플로팅 구조(3) 및 포크(33)의 치수는 L1=40m, L2=20m, 및 L3=55m이다.
도 2a-2b 및 도 3b에서, 지지 플레이트 또는 자기 흡입 컵(3b)은 타워의 외부면 상에 3 개의 수직 플레이트(3b2) 및 제 2 선박(11)의 측면(11a) 및 바닥(11b)에 대해 각각 가압 된 포크(33)의 단부에서 상부 면 상에 2 개의 수평 플레이트(3b1)를 포함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이 실시 예에서, 제 2 선박을 향하는 면 상에서, 타워는 다음을 지지한다:
- 타워의 상부 부분에서 제 2 선박의 측면에 대해 가압하여 고정하기에 적합한 삼각형의 수직 상부 플레이트(3b2)가 배치된, 타워의 상부 부분 내의 3 개의 자기 또는 공기 흡입 컵 또는 플레이트; 및
- 상기 포크에 의해 지지되고 제 2 선박의 선체의 하측에 지지 및 고정하기에 적합한 수평 바닥 플레이트(3b1)을 형성하는 2 개의 자기 또는 공기 흡입 컵 또는 플레이트.
세 가지 실시 예 모두에서, 외팔보처럼 튀어나온 관형 요소(33b)는 타워와 이들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접합 관형 요소(33a)에 의해 지지되며, 포크(33)는 제 2 선박(11)의 선체(11b-11c)의 하측에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1a-도 1b, 도 2a-도 2b, 및 도 3b에 도시 된 커플링 장치(1)는 3 개의 액추에이터(21, 22 및 23), 도 3a의 2 개의 액추에이터(21-22), 및 도 3c의 4 개의 액추에이터(21-24)를 갖는다. 액추에이터(21-24)는 단일 챔버 또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액추에이터이며 이중-작용 형이다. 다양한 액추에이터는 제 1 선박(10) 및 타워(3)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연속적으로 이격 되어있다. 하나의 단부에서, 각각의 액추에이터는 플로팅 구조(3)의 타워의 물 위의 높은 부분에 고정되고, 다른 단부에서는 제 1 선박(10)의 선체(10a)의 물 위의 높은 부분에 체결 또는 고정되어 배치된 위치에서 물(12)의 표면 위로 연장할 수 있다.
더 정확히, 각각 액추에이터마다, 액추에이터 실린더(2a)의 후부 단부 플레이트는 힌지 장치(2c1)를 통해 제 1 선박(10)의 선체(10a)에 체결되고, 액츄에이터 로드(2b)의 단부는 장치가 뜨게 하고 어셈블리의 수직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플로팅 및 도킹 구조(3)의 상부에서 힌지 장치(2c2)를 통해 고정된다.
도 4에 도시된 패스너 및 힌지 장치(2c1 및 2c2)는 2 개의 수직 피벗 축에 대한 피벗 운동시 2 개의 자유도를 제공하며, 상기 피벗 축은 상기 액츄에이터의 길이 방향 축에 수직인 수평의 제 1 피벗 축에 대해 상기 액추에이터의 제 1 피벗팅을 허용하는 시스템, 즉 2c1에 대한 X1X1' 및 2c2에 대한 X2X2', 및 제 2 피벗 축에 대한 상기 액추에이터의 제 2 피벗팅, 즉 2c1에 대한 Y1Y1' 및 2c2에 대한 Y2Y2'를 포함하며, 이는 액추에이터의 길이 방향 축을 포함하는 수직 평면에 위치한 액추에이터의 길이 방향 축에 수직이다.
각각의 패스너 및 힌지 장치(2c1 및 2c2)는 중간의 독립적인 연결 파트(2e1, 2e2)를 각각 포함하며, 다음을 각각 포함한다.
- 2c1에 대한 액추에이터 실린더(2a)의 단부에 고정된 제 1 패스너 플레이트(2d1), 및 2c2에 대한 액추에이터 로드(2b)의 단부에 고정된 제 2 패스너 플레이트(2d2)와 함께 협력하는 제 1 클레비스(clevis)(2e'1, 2e'2)를 형성하는 2 개의 브랜치를 포함하는 제 1 부분; 및
- 2c1에 대해 선박(10)에 고정된 제 2 클레비스(2f1)를 형성하는 2 개의 브랜치, 및 각각 2c2에 대한 구조물(3)의 튜브(31)에 고정된 제 3의 클레비스(2f2)와 함께 협력하는 제 3 패스너 플레이트(2e"1, 2e"2)를 형성하는 제 2 부분.
각각의 패스너 및 힌지 장치(2c1, 2c2)에 대해, 제 1 피벗 축(X1X1' 및 X2X2')은 제 1 클레비스(2e'1, 2e'2)의 2 개의 브랜치 내의 오리피스 및 제 1 클레비스의 2개의 브랜치 사이에 각각 배치된 제 1 또는 제 2 패스너 플레이트(2d1 또는 2d2) 내의 오리피스를 관통하여, 상기 제 1 또는 제 2 패스너 플레이트(2d1, 2d2)는 상기 중간의 독립적인 연결 파트(2e1, 2e2)에 대해 수평인 제 1 축(X1X1' 또는 X2X2')을 중심으로 피벗팅에 적합하게 된다.
- 상기 제 2 축(Y1Y1', Y2Y2')은 상기 제 3 패스너 플레이트가 상기 중간의 독립적인 연결 파트(2e1, 2e2)에 대해 제 2 축(Y1Y1', Y2Y2')을 중심으로 피벗팅 하기에 적합한 방식으로 제 2 클레비스(2f1) 또는 각각 제 3 클레비스(2f2)의 2 개의 브랜치 내에서 오리피스를 통과하고, 제 2 및 제 3 클레비스의 2 개의 브랜치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제 3 패스너 플레이트(2e"1, 2e"2) 내의 오리피스를 통과한다.
바람직하게는, 액추에이터 로드(2a)는 또한 액추에이터 실린더(2b)에서 자체 축을 중심으로 선회하기에 적합하여, 액추에이터는 2 개의 장치(2c1 및 2c2)에 연결된 회전 고리를 형성하고 액추에이터의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제 3 피벗 운동을 허용한다.
대안적으로, 볼 조인트 형태의 피벗 패스너 및 힌지 장치가 사용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피벗 패스너 및 힌지 장치에 사용되는 볼 조인트는 전형적으로 구형 하우징에 내장된 볼을 갖는 기계적 요소이며, 따라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슬라이딩 시에만 축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커플링 장치(1)는 전형적으로 제 1 선박의 옆면 또는 측면(10a)에 고정된 일단(2c1)을 각각 갖는, 수축 위치에 있는 동안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FLNG 형의 제 1 선박(10)에 고정된다.
커플링 장치(1)가 특히 폭풍에 사용되지 않을 때, 안전 위치 또는 적재 위치에 놓이게 되는데 있어서, 액추에이터(2, 21-24)는 제 1 선박의 선체에 대하여 그 단부(2c1) 위에서 위로 접혀 지도록 수축되고 위치되며, 액추에이터를 추종할 수 있도록 상기 플로팅(들)(3a)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디-밸러스트 함으로써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3)를 높은 위치에 놓고, 최대로 수축된 액추에이터가 상기 제 2 패스너 및 힌지 장치(2c2)를 통해 상기 액추에이터에 고정된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3)와 함께 실질적으로 수직인 위치에 있을 때까지 그것들의 피벗을 허용하고, 도 1a, 도 1b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선박의 선체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물 밖에 있는 동안, 액추에이터 및 플로팅 구조(3)의 어셈블리가 가압 된다. 다음의 연속 단계가 수행됨으로써 일반적으로 LNGC (LNG 운반체)인, 제 2 용기에 플로팅 및 도킹 구조(3)가 부착된다:
- 도 1a, 도 1b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선박의 선체에 대해 물의 적어도 일부가 가압 된 액추에이터(2, 21-24)의 세트 및 플로팅 구조(3)와 함께,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3)를 적절한 깊이에 담그기 위해 상기 플로트(들)은 밸러스트 되고, 동시에 상기 액추에이터는 유압 작동에 의해 물(12)의 표면 위의 경사진 위치, 바람직하게는 수평에 대해 15 ° 미만의 각도로 경사진 위치에 피벗 되고 배치된다;
- 그 후에, 제 1 선박 및 제 2 선박에 체결된 커플링 장치를 포함하는 어셈블리는 제 2 선박 쪽으로 이동되거나, 바람직하게는 제 1 선박이 일반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경우 이동되고, 그것은 끌어당김에 의해 제 1 선박 및 이에 체결된 상기 커플링 장치의 근접 내로 이동되는 제 2 선박이며; 그 다음
- 일단 제 2 선박에 향하면, 플로트(3a1-3a4, 3a'1-3a'4)는 선체와 마주하는 플레이트(3b), 특히 제 2 선박(11)의 선체(11b, 11c) 아래의 포크(33)의 상부 면 상의 바닥 플레이트(3b, 3b1) 하부에서 밸러스트 되며; 그 다음
- 플로트(3a1-3a4, 3a'1-3a'4)는 바닥 플레이트(3b, 3b1)가 상승하고 제 2 선박(11)의 선체(11a)의 바닥에 대해 가압 및/또는 향하도록 다시 디-밸러스트 되고;
- 상기 플레이트는 제 2 선박의 선체에 대해, 특히 그것들이 포함하는 자기 패스너 흡입 컵(3b, 3b1-3b2)을 사용함으로써 체결되도록 작동된다.
도 3a 및 도 3b에서, 커플링 장치(1)는 중앙 액추에이터(22) 및 중앙 액추에이터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되는데 적합한 2 개의 액추에이터(21 및 23)를 포함하는, 3 개의 액추에이터(21-23)를 갖는다. 따라서, 액추에이터가 배치되고 플로팅 구조(3)에 체결될 때, 중앙 액추에이터(22)는 제 1 선박(10)의 측면(10)에 접하는 수직면에 수직인 수직면에 놓이며, 액추에이터(21 및 23)는 제 1 선박(10)의 측면에 접선인 수직면에 수직인 수직면에 대해 30° 미만의 각도로 기울어진 수직면에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도 3c에서, 4 개의 액추에이터(21-24)는 플로팅 구조(3)에 배치되어 고정될 때 각각 V-자형을 형성하는 2 쌍의 액추에이터(21-22 및 23-24)로 배열된다. 액추에이터(24)의 팁(2c2) 및 커플링 장치 상의 액추에이터(21)의 대응 팁 사이의 거리는 약 80m이다. 액추에이터(24)의 팁(2c1) 및 제 1 선박 측면 상의 액추에이터(21)의 대응 팁 사이의 거리는 L0=140m이다. 각각의 쌍(24-23 및 22-21) 내의 2 개의 액추에이터의 간격 L4=60m이 서로 근접한 플로팅 구조(3) 상의 체결 부(2c2)의 간격보다 제 1 선박의 선체에 대한 체결 부(2c1) 옆에 더 크다. 다양한 액추에이터(21-24)는 제 1 선박의 측면에 접선인 수직면에 수직인 수직면에 대해 30도 미만의 각도로 경사진 수직면에 배치된다.
모든 실시 예에서, 액추에이터는 또한 15도 미만의 각도로 수평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그 상부 부분에서,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3)는 유리하게는 상기 제 1 및 제 2 선박 사이에서 물 밖으로 뻗어 나오는 신축성 파이프를 나란히 지지하기 위하여 홈통을 지지할 수도 있다.
각각 250 미터 톤(T)의 등급을 갖는 4 개의 액추에이터(21-24)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액추에이터 로드는 5m 내지 10m의 스트로크에 걸쳐 움직이기 위해, 특히 150m 내지 300m 길이인 2 척의 선박을 함께 도킹 시키기에 적합하다.
보다 특히, 10m 내지 15m 범위의 액추에이터 길이를 갖는 5 m의 액추에이터 스트로크는 선박이 30m 내지 34m 만큼 이격 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실제로 10m의 스트로크가 40m 내지 44m의 선박 사이의 간격을 위해 22m 내지 24m 범위의 액추에이터 길이를 이끌어 낼 수 있다.
일단 커플링 장치(1)가 제 2 선박(11)에 부착되면, 이는 수동적으로 또는 적절한 유압 제어에 의해, 기상 환경에도 불구하고 2 척의 선박을 일정한 평균 거리로 이격 시킬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선박과 함께 상기 액추에이터에 고정된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를 결합할 때 매개 연장 위치에 초기에 배치된 상기 액추에이터, 및 밸러스트 되는 상기 플로트와 함께, 상기 액추에이터의 연장은 작동 및/또는 자동으로 제어되어, 상기 액추에이터 및 2 척의 선박은 초기 위치에 있거나 초기 위치를 향해 복귀하며, 2 척의 선박 사이의 거리는 분리되어 움직이는 경우 제어된다.
상기 액추에이터의 긴 스트로크 때문에, 2척의 선박은 서로 상대적으로 약간 동적으로 상호 작용한다. 장치에 의해 부여된 힘은 평균화 되고 힘에 영향을 주지 않는 힘이다. 이 특징 때문에, 팽창이 강할 때 조차도 함께 선박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약 4m의 팽창이 일반적으로 견뎌 내질 수 있다).
장치 내의 배 및 힘의 위치를 최적화하기 위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세 가지 방법으로 제어될 수 있다:
- 선형 수동 제어: 액추에이터는 실린더 내의 로드의 위치에 관계없이 선형 응답의 스프링처럼 동작한다;
- 비선형 수동 제어: 액추에이터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실린더 내의 각각 로드의 위치에 의존하는 강성을 갖는 스프링처럼 동작한다; 및
- 비선형 능동 제어: 액추에이터의 강성은 소프트웨어의 제어 하에 순간적으로 적용되어 2 척 선박의 상대 위치를 분석한다. 상기 액추에이터(21, 22, 23)가 결합 목적을 위해 초기에 매개 연장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3)가 상기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 2 선박에 고정되고, 상기 플로트가 밸러스트 된 상태에서,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3)가 상기 제 2 배로부터 분리되어, 그 다음 상기 액추에이터는 수축되고 상기 플로트(3a)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제 1 선박의 선체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물의 밖에 있는 동안에 어셈블리를 가압하기 위해 디-밸러스트 된다.
1: 장치
2: 액추에이터
3: 플로팅 및 도킹 구조
10: 제 1 선박
11: 제 2 선박

Claims (15)

  1. 특히 제 1 배 또는 부유식 지지부(10)로 구성된 제 1 선박 및 제 2 배(11)로 구성된 제 2 선박인, 2척의 선박을 함께 원격으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1)에 있어서,
    - 플로팅 및 도킹 구조가 제어된 방식으로 집어넣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해 밸러스트 및 디-밸러스트 되는데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도킹 플로트(3a, 3a1-3a4, 3a', 3a'1-3a'4), 및 제 2 선박(11)의 선체(11a, 11b)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데 적합하거나 또는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도킹 요소(3b)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로팅 및 도킹 구조(3); 및
    - 제 1 선박(1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연속하여 배치된, 적어도 2 개의 액추에이터(2, 21-24),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 개의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각각의 액추에이터의 상기 액추에이터 실린더(2a)의 하나의 단부는 상기 제 1 선박에 고정되고, 제 1 패스너 및 피벗 힌지 장치(2c1)를 사용하여,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선박(10)의 선체 측면(10a)에 고정되며,
    각각의 액추에이터의 로드(2b) 단부는, 제 2 패스너 및 피벗 힌지 장치(2c2)를 통해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3)에, 바람직하게 해제 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되는데 적합하도록 되어 있거나 고정되어 있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수축된 위치에 있고 상기 제 2 패스너 및 힌지 장치(2c2)를 통해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에 고정된 상기 액추에이터가 제 1 선박(10)의 선체(10a)에 대해, 수직으로 또는 수직에 가까운 위치에서 함께 위치되고,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3)가 상기 제 2 선박에 고정되지 않고 상기 도킹 플로트가 디-밸러스트 될 때 물의 밖에서 위치되기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액추에이터(2, 21-24)의 단부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패스너 및 피벗 힌지 장치(2c1, 2c2)는 각각 상기 액추에이터의 길이 방향 축에 수직인 수평한 제 1 축(X1X1', X2X2')에 대해 상기 액츄에이터의 적어도 제 1 피벗 운동, 및 상기 액추에이터의 길이 방향 축에 수직이고 상기 액추에이터의 길이 방향 축을 포함하는 수직면에 위치된 제 2 축(Y1Y1', Y2Y2')에 대해 상기 액추에이터의 제 2 피벗 운동을 가능하게 하고,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액추에이터(2, 21-24)의 단부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패스너 및 피벗 힌지 장치(2c1, 2c2)는 또한 액추에이터의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제 3 피벗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액추에이터(2, 21-24)의 로드(2b)가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3)에 고정될 때, 상기 액추에이터는 물의 외부에서 유지되는 동안 15도 미만의 각도로 수평면에 대해 경사진 액추에이터 로드와 함께 또는 수평으로 바다(12) 표면 위에 배치되고, 상기 액추에이터의 실린더는 바람직하게 동일한 높이에서 상기 제 1 선박의 선체의 측면(10a)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2, 21-24)가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3)에 고정되어 있을 때, 그것들은 제 1 선박의 측면에 접선인 수직면에 수직인 수직면에 대해 30도 미만의 각도에 경사지거나 및/또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바람직하게 하프-스트로크에서, 초기 커플링 연장 위치로 설정된 로드(2b)를 갖는 이중-작용 유압 액추에이터이며, 2 척의 선박 사이의 원하는 간격을 재정립하기 위해, 특히 액추에이터 로드의 초기 연장을 재설정 하기 위해, 정정된 상기 초기 커플링 연장 위치로부터 임의의 이탈 방식으로 조정 및/또는 자동적으로 제어되는 유압 회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는 상기 플로트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밸러스트 되고 상기 부착 요소가 수중에 있는 동안에 제 2 선박에 부착하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부착 요소(3b1)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 요소는 상기 도킹 플로트를 밸러스트 시키고 이어서 상기 도킹 플로트를 부분적으로 디-밸러스트 시킴으로써 상기 제 2 선박의 바닥(11b)에 향하여 및/또는 대해 가압하여 상기 제 2 선박의 바닥(11b) 아래에 위치되도록 하는 적합한 배치 및/또는 형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수중에 적합한 상기 부착 요소는 상기 플로트가 디-밸러스트 되고 상기 액추에이터가 제 1 선박에 대해 안전하게 위치될 때, 상기 부착 요소가 물 밖에 있도록 하는 높이에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선박에 부착하기 위한 플로팅 및 도킹 구조의 부착 요소는 자기 컵 또는 제 2 선박의 측면 및/또는 바닥에 대해 가압하기 위해 적합한 공기 흡입 컵(3b, 3b1, 3b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요소(3b)가 제 2 선박의 선체 바닥(11b) 아래에서 좌우로 연장되고 제 2 선박의 선체의 밑바닥(11c)에 대해 지지하기에 적합한 자기 또는 공기 흡입 컵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포크(33)를 형성하는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3)의 일부분에 의해 구성되거나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타워를 형성하는 트러스 어셈블리 내에 함께 어셈블리된 빔 및/또는 튜브(31, 32a-32b, 33a-33b)로 구성되는 단일의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3)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수중에서 밸러스트 되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플로트(3a)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의 관형 구조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에 의해 통합되거나 지지되는 실린더 및/또는 직사각형 케이슨(3a1-3a4, 3a'1-3a'4)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는
    a) 상기 제 2 선박의 선체 하측으로부터 적어도 상기 제 2 선박의 갑판 위까지의 높이, 바람직하게는 60m 내지 100m 범위에 있는 높이에 걸쳐 연장하고;
    b) 상기 제 2 선박의 길이의 적어도 1/4의 길이(L1)에 걸쳐 제 2 선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커플링 장치를 사용하여 원격으로 함께 결합된 2 척 선박의 어셈블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장치(1)는 기체를 액화 또는 재가스화 하기 위한 설비를 포함하는 유형의 부유식 지지부인 제 1 선박(10), 및 메탄 탱커 유형의 제 2 선박(11) 사이의 커플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척 선박의 어셈블리.
  15.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커플링 장치를 구현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액추에이터(2, 21-24)는 수축 위치에 있고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3)는 상기 제 2 패스너 및 힌지 장치(2c2)를 통해 상기 액추에이터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디-밸러스트 된 플로트(3a)를 가지며, 상기 액추에이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 1 선박의 선체에 대해 및/또는 위로 물 밖으로 가압 되며, 상기 플로트(들)은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를 제 2 선박에 고정하기 위한 적절한 깊이에 담그기 위해 밸러스트 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를 상기 제 2 선박에 대해 고정하기 위해 함께 피벗 되고 배치되며;
    b) 상기 액추에이터는 매개 연장부의 초기 커플링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는 상기 제 2 패스너 및 힌지 장치(2c2)를 통해 상기 액추에이터에 고정되고 상기 부착 요소(들)(3b)를 통해 상기 제 2 선박에 고정되며, 밸러스트 된 상기 플로트 상태에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연장 시에 작동되고 및/또는 상기 액추에이터 및 상기 2 척의 선박은 상기 초기 위치로 유지되거나, 그것들이 이탈할 경우 제어된 상기 2 척의 선박 사이의 거리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가 자동으로 제어되고;
    c) 상기 액추에이터는 매개 연장부의 초기 커플링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는 상기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 2 선박에 고정되고, 상기 플로트가 밸러스트 된 상태에서, 상기 플로팅 및 도킹 구조가 상기 제 2 선박으로부터 분리된 다음, 상기 액추에이터는 수축되고, 상기 플로트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피봇되고 상기 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선박의 선체에 대해 및/또는 위에 상기 물의 외부로 가압 되도록 하기 위해 디-밸러스트 되는 단계들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97024886A 2017-02-27 2018-02-09 2 척의 보트 연결을 위한 장치 KR1022057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751558A FR3063277B1 (fr) 2017-02-27 2017-02-27 Dispositif d'accouplement de deux bateaux
FR1751558 2017-02-27
PCT/FR2018/050325 WO2018154212A1 (fr) 2017-02-27 2018-02-09 Dispositif d'accouplement de deux bateaux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125A true KR20190107125A (ko) 2019-09-18
KR102205732B1 KR102205732B1 (ko) 2021-01-21

Family

ID=58739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4886A KR102205732B1 (ko) 2017-02-27 2018-02-09 2 척의 보트 연결을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994812B2 (ko)
EP (1) EP3585679A1 (ko)
JP (1) JP6887591B2 (ko)
KR (1) KR102205732B1 (ko)
CN (1) CN110352159B (ko)
AU (1) AU2018225326B2 (ko)
BR (1) BR112019016434B1 (ko)
FR (1) FR3063277B1 (ko)
SG (1) SG11201906254VA (ko)
WO (1) WO201815421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793B1 (ko) * 2021-01-29 2022-07-14 주식회사 지엔에스엔지니어링 대공표지판 설치 및 운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09623B (zh) * 2020-08-27 2022-07-15 上海交通大学 一种用于船舶停泊的主动捕获式对接系统
CN113911388B (zh) * 2021-09-15 2024-05-17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西安飞机设计研究所 一种孔用传力组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6060A (en) * 1970-06-26 1973-07-17 Weser Ag Connecting of conduit terminals on traveling marine vessels
US3841501A (en) * 1971-11-18 1974-10-15 Ihc Holland Nv Ship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EP1705112A1 (en) * 2005-03-22 2006-09-27 Single Buoy Moorings Inc. Enhanced side-by-side mooring construction
WO2008015971A1 (fr) * 2006-07-31 2008-02-07 Nobuyoshi Morimoto Procédé et dispositif pour amarrer un corps flottant à un autr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57985A (en) * 1964-01-17 1966-06-28 Sea Link Inc Connecting linkage for watercraft
WO2000041927A1 (en) * 1999-01-15 2000-07-20 Kvaerner Process (Australia) Pty. Ltd. Docking arrangement
WO2003026952A1 (en) * 2001-09-24 2003-04-03 Bluewater Energy Services B.V. Offshore fluid transfer system
FR2831514B1 (fr) * 2001-10-30 2004-03-12 Eurodim Sa Systeme de transport d'un fluide entre un navire de transport et un poste de stockage tel qu'un navire de stockage
GB2399329B (en) * 2003-03-13 2005-02-02 Bluewater Energy Services Bv Mooring apparatus
WO2009041833A1 (en) 2007-09-26 2009-04-02 Cavotec Msl Holdings Limited Vessel mooring method and related means
JP5291113B2 (ja) 2007-10-24 2013-09-18 カボテック ムーアマスター リミティド 自動ドッキング及び係留システム
NO336575B1 (no) 2012-11-07 2015-09-28 Sevan Marine Asa Anordning og framgangsmåte for sammenkopling av et tankskip og en flytende laste- eller losseterminal
KR20150006170A (ko) * 2013-07-08 2015-01-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해상용 선박 도킹 장치
KR101560281B1 (ko) * 2013-10-22 2015-10-14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lng 저장 터미널
FR3012411B1 (fr) * 2013-10-31 2016-08-05 Gaztransport Et Technigaz Systeme pour le transfert de fluide entre un navire et une installation, telle qu'un navire cli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6060A (en) * 1970-06-26 1973-07-17 Weser Ag Connecting of conduit terminals on traveling marine vessels
US3841501A (en) * 1971-11-18 1974-10-15 Ihc Holland Nv Ship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EP1705112A1 (en) * 2005-03-22 2006-09-27 Single Buoy Moorings Inc. Enhanced side-by-side mooring construction
WO2008015971A1 (fr) * 2006-07-31 2008-02-07 Nobuyoshi Morimoto Procédé et dispositif pour amarrer un corps flottant à un aut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793B1 (ko) * 2021-01-29 2022-07-14 주식회사 지엔에스엔지니어링 대공표지판 설치 및 운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9016434B1 (pt) 2023-11-21
AU2018225326A1 (en) 2019-08-01
CN110352159A (zh) 2019-10-18
FR3063277B1 (fr) 2019-04-05
JP2020508918A (ja) 2020-03-26
KR102205732B1 (ko) 2021-01-21
FR3063277A1 (fr) 2018-08-31
JP6887591B2 (ja) 2021-06-16
US20190382083A1 (en) 2019-12-19
BR112019016434A2 (pt) 2020-04-07
CN110352159B (zh) 2021-07-30
US10994812B2 (en) 2021-05-04
SG11201906254VA (en) 2019-08-27
WO2018154212A1 (fr) 2018-08-30
AU2018225326B2 (en) 2020-07-30
EP3585679A1 (fr) 2020-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4561A (en) Automated all-weather cargo transfer system
US7886676B2 (en) Marine lifting apparatus
DK2558358T3 (en) Marine lifting device
KR102397555B1 (ko) 선박과 해양 설비 사이에서 적재물을 고정 및 이송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05732B1 (ko) 2 척의 보트 연결을 위한 장치
CN110099845B (zh) 自推进自升式船舶
US6688248B2 (en) Submersible catamaran
US20230043092A1 (en) Feeder vessel
US4465012A (en) Floating device for transshipment of cargo
KR100846152B1 (ko) 트랜스포터 이동용 램프를 구비한 선체블럭 이송장치 및이를 이용한 선체블럭 이송방법
WO2013006041A1 (en) Shear leg crane and transportation vessel
US813646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motion of a floating vessel
US7426897B2 (en) Mooring apparatus
GB2399320A (en) Semi-submersible jetty for transferring LNG from a production vessel to a transport vessel
US20220268259A1 (en) System for Offshore Power Generation
WO2003057556A1 (en) Multifunctional catamaran shape vessel
EP1400442A1 (en) Mooring apparatus
US4150636A (en) Deep water berthing system for very large cargo carriers
KR101112127B1 (ko) 안티모션 파운데이션
KR101524214B1 (ko) 하역 위치의 제어가 용이한 부유식 해상구조물
KR20120011570A (ko) 선박의 건조 방법
NO159006B (no) Fremgangsmaate og anordning til heving eller dokksetting av halvt nedsenkbare rigger.
KR101566522B1 (ko) 대형 블록 탑재 방법
KR20170022232A (ko) 통합 해상 크레인 이동 방법
KR20110053741A (ko) 안티모션 파운데이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