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6521A - 열전소자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모터 냉각시스템 - Google Patents

열전소자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모터 냉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6521A
KR20190106521A KR1020180028127A KR20180028127A KR20190106521A KR 20190106521 A KR20190106521 A KR 20190106521A KR 1020180028127 A KR1020180028127 A KR 1020180028127A KR 20180028127 A KR20180028127 A KR 20180028127A KR 20190106521 A KR20190106521 A KR 20190106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cooling module
temperature
electric vehicle
cov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2810B1 (ko
Inventor
김현수
진현규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28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810B1/ko
Publication of KR20190106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6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air cooling
    • H01L35/00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5Devices for sensing temperature, or actuated thereb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 H02P29/60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temperature of the motor or of the driv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전소자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모터 냉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기자동차를 구동하는 모터의 곡면 형상에 대응하여 간단히 설치되며 시시각각 순간적으로 변하는 모터의 온도에 즉각 반응하여 모터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서로에 대하여 이격을 두고 대면하는 한 쌍의 커버 플레이트, 상기 커버 플레이트 간 이격 공간에 다수 설치되어 모터 내부로 냉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열전소자로 이루어지는 모터 냉각모듈, 모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온도센서가 측정한 모터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열전소자가 상기 모터 쪽 접촉면으로 냉기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전소자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모터 냉각시스템{MOTOR COOLING SYSTEM USING THERMOELECTRIC DEVICES}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모터 냉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자동차를 구동하는 모터의 곡면 형상에 대응하여 간단히 설치되며 시시각각 순간적으로 변하는 모터의 온도에 즉각 반응하여 모터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열전소자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모터 냉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는 구동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부터 얻는 자동차이다. 화석 연료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배기가스가 전혀 없으며, 소음이 아주 작은 장점이 있다.
이러한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의 무거운 중량, 충전에 걸리는 시간 등의 문제 때문에 실용화하지 못하다가 공해 문제, 탄소 배출과 같은 각종 규제에 의해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한편, 전기자동차의 동력원으로 사용되는 전기 자동차용 모터는 통상적인 산업용 모터와는 달리 급속한 발열 상태(급발진, 급가속, 긴 오르막길 등)가 발생 되었을 때 충분히 냉각시켜줄 수 있는 냉각 기능을 반드시 보유해야 한다.
이와 같은 냉각 기능 중에 현재는 수냉식의 냉각 기능이 지배적이며, 부가적으로 모터의 내부를 오일로 추가 냉각시키는 방법까지 도입되고 있다.
현재, 전기자동차용 모터를 냉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아래의 3가지 방안이 적용되거나 적용을 준비 중에 있다.
첫째, 전기 자동차용 모터를 냉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예컨대 케이스(case)에 냉각 홀을 가공하는 제1 방안을 들 수 있다.
상기 제1 방안은 케이스의 캐스팅(casting) 시 코어(core)를 삽입하여 케이스에 냉각 홀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 주로 스테이터(stator)가 키(key) 박음 또는 압입 구조인 경우 활용된다.
하지만, 상기 제1 방안의 경우, 케이스의 캐스팅 시 불량률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케이스에 불필요한 소재가 많아지며, 스테이터와 케이스 간의 키 박음에 어려움이 있고, 또한 불량률 역시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무엇보다도, 상기 제1 방안의 경우, 냉각 범위가 작아 모터의 냉각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전기 자동차용 모터를 냉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예컨대 케이스의 외부에 별도의 냉각 기구를 부착하는 제2 방안을 들 수 있다.
상기 제2 방안은 케이스의 외벽에 별도의 물탱크를 두어 케이스를 냉각시키는 것인데, 보편적으로 케이스의 살 두께가 두꺼워 냉각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케이스의 살 두께를 줄이는 방안을 예상할 수도 있지만, 자동차의 특성상, 케이스의 외측을 균일하게 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상기 제2 방안 역시 효율적이지 못하다.
셋째, 전기 자동차용 모터를 냉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예컨대 오일(oil)을 사용하는 제3 방안을 들 수 있다. 상기 제3 방안은 모터의 하단부에 오일을 채워 넣고 오일 쿨러(oil cooler)와 오일 펌프(oil pump)를 적용하여 모터와 로터 샤프트(rotor shaft)의 내측을 통해 오일을 분사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이처럼 오일을 사용하여 모터의 냉각 기능을 구현하는 경우, 오일 쿨러, 오일 펌프 등과 같은 추가 부품이 많아 제조비용과 단가가 높아지며, 특히 전기 자동차의 구성 방식에 따라 적용이 불가할 수도 있다.
예컨대, 모터 중심축을 관통하는 모터 구조에서는 상기 제3 방안과 같은 오일 냉각 방식이 적용되기 힘들다.
한편, 전기 자동차는 현재 한번 충전으로 대략 150km를 주행할 수 있는 수준이나 빠른 미래에 일반 자동차를 대신하여 한번 충전으로 500~600km 이상의 주행과 극한 조건의 운전 상태를 필요로 하게 될 것인데, 그것을 만족시키기 위해 모터의 냉각 성능 향상은 배터리의 소형화와 함께 전기 자동차의 중요한 개발 과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모터에 대해 간단히 설치 가능하면서도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선된 형태의 전기자동차 모터용 냉각모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998-075208호(1998.11.16.)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자동차를 구동하는 모터의 곡면 형상에 대응하여 간단히 설치되며 시시각각 순간적으로 변하는 모터의 온도에 즉각 반응하여 모터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열전소자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모터 냉각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전기자동차의 모터 냉각모듈은, 모터를 구동수단으로 구비하는 전기자동차에서 모터에 설치되어 모터를 냉각할 수 있도록 한 냉각모듈로서, 서로에 대하여 이격을 두고 대면하는 한 쌍의 커버 플레이트; 상기 커버 플레이트 간 이격 공간에 다수 설치되어 모터 내부로 냉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열전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열전도성 세라믹을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횡방향에 비해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다수의 단위 플레이트들이 이격된 틈새를 두고 모터의 둘레방향에 대응하는 횡방향을 따라 열을 지어 배치되고, 상기 단위 플레이트 간 이격된 틈새를 충진하는 형태로 신축 가능한 연질의 신축연결부재가 단위 플레이트 간을 연결하도록 하여 상기 커버 플레이트가 모터의 형태에 대응하여 곡면 형상으로 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다수의 단위 플레이트들이 이격된 틈새를 두고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열을 지어 격자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단위 플레이트 간 이격된 틈새를 충진하는 형태로 신축 가능한 연질의 신축연결부재가 단위 플레이트 간을 연결하도록 하여 상기 커버 플레이트가 모터의 형태에 대응하여 곡면 형상으로 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축연결부재는 열전도성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전도성 고분자 물질에는 인성 향상을 위한 열전도성 탄소섬유와, 열전도성 향상을 위한 10μm 이하 입경의 구리 분말이 균일하게 분산된 형태로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 냉각모듈은 모터의 하우징 외표면에 상기 커버 플레이트가 밀접하게 접합된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 냉각모듈은 모터의 고정자 표면에 상기 커버 플레이트가 밀접하게 접합된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전기자동차의 모터 냉각시스템은, 전술된 모터 냉각모듈; 상기 모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가 측정한 모터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열전소자가 상기 모터 쪽 접촉면으로 냉기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 상기 제어기의 제어를 받으면서 상기 열전소자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열전소자는 상기 모터의 온도가 일정 온도 미만일 경우에는 모터 쪽 접촉면과 그 반대면의 온도차에 의하여 발전하도록 제어되며, 상기 열전소자의 발전으로 생성된 전기에너지는 상기 배터리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열전소자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모터 냉각시스템은 전기자동차를 구동하는 모터의 곡면 형상에 대응하여 간단히 설치되며 시시각각 순간적으로 변하는 모터의 온도에 즉각 반응하여 모터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자동차의 모터 냉각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터 냉각시스템에서 모터 냉각모듈이 곡면 형상으로 휘어진 상태에서 설치되는 모습을 보인 참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터 냉각시스템에서 모터 냉각모듈이 모터의 하우징 외표면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터 냉각시스템에서 모터 냉각모듈이 모터의 고정자 표면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터 냉각시스템에서 모터 냉각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터 냉각시스템의 모터 냉각모듈에서 신축연결부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터 냉각시스템의 모터 냉각모듈에서 신축연결부재의 작용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변형 실시예에 의한 모터 냉각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전기자동차의 모터 냉각시스템에 대해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자동차의 모터 냉각시스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터 냉각시스템은, 모터를 냉각하기 위하여 열전소자에 의한 냉기를 제공하는 모터 냉각모듈, 모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온도센서가 측정한 모터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인 경우에 모터 냉각모듈이 모터 쪽 접촉면으로 냉기를 제공하도록 제어하고 반대로 모터의 온도가 일정 온도 미만일 경우에는 모터 쪽 접촉면과 그 반대면의 온도차에 의하여 발전하도록 하여 이때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배터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터 냉각시스템에서 상기 모터 냉각모듈의 경우 냉기를 제공하는 열전소자에 의해 시시각각 순간적으로 변하는 모터의 온도에 즉각 반응하면서 모터의 온도를 일정 범위 내로 유지할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제어되며, 그 형태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모터의 형상에 대응하여 휘어지도록 구성되어 모터에 밀접하게 접합된 상태가 됨으로써 냉기를 제공하고 열은 방출하는 열교환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아래에서는 상기 모터 냉각모듈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터 냉각시스템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터 냉각시스템에서 모터 냉각모듈이 곡면 형상으로 휘어진 상태에서 설치되는 모습을 보인 참조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터 냉각시스템에서 모터 냉각모듈이 모터의 하우징 외표면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터 냉각시스템에서 모터 냉각모듈이 모터의 고정자 표면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터 냉각시스템에서 모터 냉각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터 냉각시스템의 모터 냉각모듈에서 신축연결부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터 냉각시스템의 모터 냉각모듈에서 신축연결부재의 작용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터 냉각모듈(100)은 다수의 열전소자(110)와, 한 쌍의 커버 플레이트(120)와, 신축연결부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열전소자(110)는 이격을 두고 대면하는 한 쌍의 커버 플레이트(120) 간 이격 공간에 설치되어 모터(M)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인 경우 모터(M) 내부로 냉기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열전소자(110)는 공지된 것처럼 전기적으로 직렬, 열적으로 병렬 연결된 무수히 많은 n 및 p 형 반도체 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류가 인가되었을 시 각 반도체 내 전자의 흐름 방향에 의해 소자의 한쪽 끝은 냉각이 되고, 반대쪽 끝은 가열이 되는 펠티어 효과(Peltier effect)를 이용한 것으로, 전류의 흐름방향에 따라 모터(M) 쪽에 열기 및 냉기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모터(M)를 냉각하기 위하여 냉기를 제공하도록 전류의 흐름방향을 설정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 상기 열전소자(110)는 모터(M)의 온도가 일정 온도 미만일 경우에 모터(M) 쪽 접촉면과 그 반대면의 온도차에 의하여 발전하도록 제어기에 의해 제어된다. 즉, 모터(M)가 제 성능을 발휘하는데 문제가 없는 온도 범위에서는 상대적으로 모터(M) 쪽의 높은 온도와 모터(M) 반대쪽의 낮은 온도의 온도 차에 의하여 열전소자(110)가 발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열전소자(110)의 발전으로 생성된 전기에너지는 배터리에 저장된다. 이로써 전기자동차의 에너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120)는 열전소자(110)를 보호하는 커버 역할을 하면서 열전소자(110)와 모터(M) 간 열전달의 매개로서의 역할을 한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120)는 부식 등의 영향이 적으면서도 열전도는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열전도성 세라믹을 소재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120)는 도 2,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신축연결부재(130)와 조합되어 모터(M)의 하우징(11) 외표면이나 모터(M)의 회전축(12) 및 회전자(14)의 외측으로 설치된 고정자(13) 표면에 대응하여 곡면 형태로 휘어져 접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 플레이트(120)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횡방향에 비해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다수의 단위 플레이트들이 이격된 틈새를 두고 횡방향(모터의 둘레방향)을 따라 열을 지어 배치되며, 이들 단위 플레이트들은 신축연결부재(130)에 의해 연결된다.
한편, 상기 커버 플레이트(120)는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다수의 단위 플레이트들이 이격된 틈새를 두고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열을 지어 격자형으로 배치되고 이들 단위 플레이트들을 신축연결부재(130)가 연결하는 변형된 형태로도 구성 가능하다. 양자 중 전자의 경우가 상대적으로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하는데 장점이 있다면 후자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복잡한 구성을 갖기는 하지만 모터(M)에 대한 설치방향을 정밀하게 설정하지 않아도 되며, 모터(M)의 하우징(11)과 고정자(13)가 정형화된 원통형이 아닌 불규칙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신축연결부재(130)는 분할된 형태로 배치된 단위 플레이트 간 이격된 틈새를 충진하는 형태로 단위 플레이트 간을 연결하는 동시에 단위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커버 플레이트(120)가 모터(M)의 형태에 대응하여 곡면 형상으로 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신축연결부재(130)는 커버 플레이트(120) 수준의 열전도성까지는 아니더라도 커버 플레이트(120)의 열전도 효율을 방해하지 않는 수준의 열전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열전도성 고분자 물질에 더하여 도 6의 확대도에 도시된 것처럼 열전도성 향상을 위한 10μm 이하 입경의 구리 분말(131a)이 균일하게 분산된 형태로 첨가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열전도성 고분자 물질에는 열전도성 탄소섬유(132)가 포함되도록 하여 상기 열전도성 고분자 물질의 열전도성을 약화시키지 않으면서도 인성이 향상되도록 하여 신축 동작에 따른 끊어짐을 방지하도록 한다. 단, 상기 첨가물들은 열전도성 고분자 물질과 전극 사이의 전기적 쇼트를 방지하기 위해, 고분자 물질 표면에는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처럼 커버 플레이트(120)가 분할되어 격자형으로 배치된 단위 플레이트 간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그 이격 부위의 결합을 신축 가능하면서도 열전도성과 인성을 갖는 신축연결부재(130)가 담당하게 되면 도 7과 같이 모터 쪽에 접촉하는 커버 플레이트(120)에 비하여 그 반대쪽에 위치하는 커버 플레이트(120)가 신축연결부재(130)의 도움을 받아 더 넓은 면적 둘레방향으로 확대되면서(모터의 둘레방향으로 폭이 확대되면서) 모터 냉각모듈(100) 전체적으로 모터 하우징(11) 외표면 또는 고정자(13) 표면에 대응하는 곡면 형태로 변형된다. 이로써, 모터 냉각모듈(100) 전체가 모터에 보다 밀접하게 접촉되어 열전소자(110)의 냉기를 모터(M) 내부에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반면, 모터(M) 내부에서 발생된 열기는 외부로 원활하게 방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00 : 모터 냉각모듈 110 : 열전소자
120 : 커버 플레이트 130 : 신축연결부재

Claims (9)

  1. 모터를 구동수단으로 구비하는 전기자동차에서 모터에 설치되어 모터를 냉각할 수 있도록 한 냉각모듈로서,
    서로에 대하여 이격을 두고 대면하는 한 쌍의 커버 플레이트;
    상기 커버 플레이트 간 이격 공간에 다수 설치되어 모터 내부로 냉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열전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모터 냉각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열전도성 세라믹을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모터 냉각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횡방향에 비해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다수의 단위 플레이트들이 이격된 틈새를 두고 모터의 둘레방향에 대응하는 횡방향을 따라 열을 지어 배치되고,
    상기 단위 플레이트 간 이격된 틈새를 충진하는 형태로 신축 가능한 연질의 신축연결부재가 단위 플레이트 간을 연결하도록 하여 상기 커버 플레이트가 모터의 형태에 대응하여 곡면 형상으로 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모터 냉각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다수의 단위 플레이트들이 이격된 틈새를 두고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열을 지어 격자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단위 플레이트 간 이격된 틈새를 충진하는 형태로 신축 가능한 연질의 신축연결부재가 단위 플레이트 간을 연결하도록 하여 상기 커버 플레이트가 모터의 형태에 대응하여 곡면 형상으로 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모터 냉각모듈.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연결부재는 열전도성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전도성 고분자 물질에는 인성 향상을 위한 열전도성 탄소섬유와, 열전도성 향상을 위한 10μm 이하 입경의 구리 분말이 균일하게 분산된 형태로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모터 냉각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냉각모듈은 모터의 하우징 외표면에 상기 커버 플레이트가 밀접하게 접합된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모터 냉각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냉각모듈은 모터의 고정자 표면에 상기 커버 플레이트가 밀접하게 접합된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모터 냉각모듈.
  8.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모터 냉각모듈;
    상기 모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가 측정한 모터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열전소자가 상기 모터 쪽 접촉면으로 냉기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
    상기 제어기의 제어를 받으면서 상기 열전소자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모터 냉각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는 상기 모터의 온도가 일정 온도 미만일 경우에는 모터 쪽 접촉면과 그 반대면의 온도차에 의하여 발전하도록 제어되며, 상기 열전소자의 발전으로 생성된 전기에너지는 상기 배터리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모터 냉각시스템.
KR1020180028127A 2018-03-09 2018-03-09 열전소자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모터 냉각시스템 KR102042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127A KR102042810B1 (ko) 2018-03-09 2018-03-09 열전소자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모터 냉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127A KR102042810B1 (ko) 2018-03-09 2018-03-09 열전소자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모터 냉각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521A true KR20190106521A (ko) 2019-09-18
KR102042810B1 KR102042810B1 (ko) 2019-11-08

Family

ID=68070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127A KR102042810B1 (ko) 2018-03-09 2018-03-09 열전소자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모터 냉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8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7497B1 (ko) * 2021-09-27 2022-02-25 주식회사 도모코리아 냉각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휠 허브 모터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3647A (ko) 2022-04-05 2023-10-13 주식회사 큐로 전기 자동차용 온도 제어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5208A (ko) 1997-03-29 1998-11-16 김영귀 전기자동차 구동계 오버히트 방지장치
JP2010532577A (ja) * 2007-06-29 2010-10-07 レアード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流体管からの電力抽出または放熱に適した統合熱電モジュールを備える可撓性組立体
JP2011091243A (ja) * 2009-10-23 2011-05-06 Osaka Univ 熱電変換モジュール及び熱電変換モジュール作製方法
JP2011223696A (ja) * 2010-04-06 2011-11-04 Toyota Motor Corp 電動機の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5208A (ko) 1997-03-29 1998-11-16 김영귀 전기자동차 구동계 오버히트 방지장치
JP2010532577A (ja) * 2007-06-29 2010-10-07 レアード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流体管からの電力抽出または放熱に適した統合熱電モジュールを備える可撓性組立体
JP2011091243A (ja) * 2009-10-23 2011-05-06 Osaka Univ 熱電変換モジュール及び熱電変換モジュール作製方法
JP2011223696A (ja) * 2010-04-06 2011-11-04 Toyota Motor Corp 電動機の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7497B1 (ko) * 2021-09-27 2022-02-25 주식회사 도모코리아 냉각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휠 허브 모터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2810B1 (ko) 2019-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7581B2 (en) Battery pack for a vehicle
KR101428383B1 (ko) 친환경 차량의 배터리모듈 간접 냉각장치
EP1641067B1 (en) System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a secondary battery module
TWI624102B (zh) 電池組溫度控制、供電系統
US8042993B2 (en) Air-cooled power electronics service algorithm
JP4325721B2 (ja) 温度調節機構
KR20140144330A (ko) 친환경 차량의 배터리모듈 간접 냉각 및 가열 장치
JP2010518796A (ja) 熱電発電機を搭載した車両
KR101764598B1 (ko) 냉각수 히터
KR102042810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모터 냉각시스템
JP2014120474A (ja) 電気エネルギー貯蔵装置
JP2012190760A (ja) 電池モジュール
KR102248103B1 (ko) 열전 소자를 적용한 차량 파워 모듈
KR20110118615A (ko) 내부 연소엔진의 배기가스 냉각기
KR20110131885A (ko) 차량용 시트 공조 장치
KR20160116387A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수냉식 배터리 냉각시스템
JP2010015958A (ja) 蓄電モジュールおよびこの製造方法
JP2009289610A (ja) 温度調節機構
FR3063137B1 (fr) Echangeur thermique et dispositif de regulation thermique d’au moins un element de stockage d’energie electrique
KR101138526B1 (ko) 폐열을 이용하는 열전발전시스템을 구비한 자동차
KR20190026455A (ko) 보일러용 열전 발전장치
KR101749057B1 (ko) 차량 배기 가스를 이용한 열전 발전 장치
JP5301604B2 (ja) 車両用駆動電源装置
Rajadurai et al. Battery thermal management in electrical vehicle
CN115668683A (zh) 包括帕尔帖器件的二次电池充电/放电系统及使用该系统的二次电池充电/放电的温度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