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6238A - 팬 - Google Pa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6238A
KR20190106238A KR1020180027426A KR20180027426A KR20190106238A KR 20190106238 A KR20190106238 A KR 20190106238A KR 1020180027426 A KR1020180027426 A KR 1020180027426A KR 20180027426 A KR20180027426 A KR 20180027426A KR 20190106238 A KR20190106238 A KR 20190106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blade
wire
unit
electrod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1422B1 (ko
Inventor
유임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7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422B1/ko
Publication of KR20190106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8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703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specially for fans, e.g. fan 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팬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팬은 허브와, 상기 허브에서 연장되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에는, 서로 이격되는 다수의 제1와이어 전극이 구비되는 제1전극부; 및 상기 다수의 제1와이어 전극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다수의 제2와이어 전극이 구비되는 제2전극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팬{Fan}
본 발명은 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팬은 동력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동하고, 상기 팬이 회동함으로써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선행문헌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24895호에는 팬에 관한 내용이 개시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팬이 회동하는 과정에서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팬에 부착되어 공기의 저항이 증가되고, 이로 인해 동력원으로 전달되는 동력의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블레이드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팬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팬은, 블레이드의 외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블레이드에 다수의 전극부를 설치하고, 다수의 전극부에 서로 다른 교류 전원을 인가하여 다수의 전극부 사이에서 발생되는 전기력으로 블레이드의 외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밀어내는 척력을 발생시켜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고, 청결한 상태로 팬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전극부에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조절하여 블레이드의 외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팬의 유지 보수가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블레이드의 외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블레이드에 이물질이 부착되어 발생되는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여 팬을 회동시키는 모터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의 A-A부분을 절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에 전원이 인가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단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팬을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A-A부분을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에 전원이 인가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팬(1)은 모터 등의 구동장치(2)에 의해 회전하는 허브(100)와, 허브(100)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블레이드(1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팬(1)은 축류팬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1)은 상기 구동장치(2)의 회전축(3)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3)을 통해 회동할 수 있다.
상기 허브(100)는 원통 또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허브(100)는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부(101)와,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부(102)와, 원통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외주면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110)는 상기 외주면부(103)에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허브(100)의 전면 또는 전방이라 함은, 공기가 불어오는 방향, 즉 흡입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허브(100)의 후면 또는 후방이라 함은,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허브(100)에는 상기 회전축(3)이 삽입되기 위한 축 삽입부(10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 삽입부(105)는 상기 후면부(10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110)는 회전 방향의 전단을 형성하는 리딩 에지(leading edge, 116), 회전 방향의 후단을 형성하는 트레일링 에지(trailing dege, 117), 외측 끝단을 형성하는 팁(tip, 118)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1)은 회전 시 공기를 밀어내는 블레이드(110)의 일면을 형성하는 정압면(113)과, 상기 정압면(113)의 반대면을 형성하는 부압면(114)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리딩 에지(116)는 "블레이드 전단"이라 칭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일링 에지(117)는 "블레이드 후단"이라 칭할 수 있다. 상기 팁(118)은 "블레이드 측단"이라 칭할 수 있다.
상기 팬(1)이 회전되면, 블레이드(110)의 정압면(113)과 부압면(114) 사이에 압력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압력차에 의해 축 방향으로의 기류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팬(1)에는, 상기 팬(1)의 표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본 발명에 따른 팬(1)은, 제1전극부(130)와 제2전극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부(130)와 상기 제2전극부(140)는 상기 허브(100)와 상기 블레이드(110)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허브(100)와 상기 블레이드(110)에 제공되는 제1전극부(130)와 제2전극부(140)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블레이드(110)에 제1전극부(130)와 제2전극부(140)가 제공되고, 상기 허브(100)에 제1전극부(130)와 제2전극부(140)에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110)에 제공되는 제1전극부(130)와 제2전극부(140)는 상기 허브(100)에 제공되는 제1전극부(130)와 제2전극부(14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전극부(130)와 제2전극부(140)가 서로 연결되어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110)에 제공되는 제1전극부(130)와 제2전극부(140)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전극부(130)와 상기 제2전극부(140)는 상기 블레이드(110)의 정압면(113) 또는 부압면(114)에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전극부(130)와 상기 제2전극부(140)는 상기 블레이드(110)의 정압면(113)과 부압면(114)의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전극부(130)와 상기 제2전극부(140)는 상기 블레이드(110)의 정압면(113)과 부압면(114)의 사이에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전극부(130)와 상기 제2전극부(140)는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전극부(130)와 상기 제2전극부(140)는 상기 블레이드 본체(111)에 의해 절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 본체(111)는 상기 제1전극부(130)와 상기 제2전극부(140)를 서로 절연하는 절연체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 본체(111)는 상기 제1전극부(130)와 상기 제2전극부(140)에 전원이 인가될 때, 상기 제1전극부(130)와 상기 제2전극부(140)의 사이에서 분극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 유전체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부(130)는 상기 블레이드 전단(116) 및 상기 블레이드 후단(117)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전극부(130)는 상기 허브(100)로부터 상기 블레이드 측단(118)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전극부(140)는 상기 블레이드 전단(116) 및 상기 블레이드 후단(117) 중 나머지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전극부(140)는 상기 허브(100)로부터 상기 블레이드 측단(118)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허브(100)에 제공되는 제1전극부(130)는 상기 블레이드(110)에 제공되는 제1전극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허브(100)에 제공되는 제2전극부(140)는 상기 블레이드(110)에 제공되는 제2전극부(14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허브(100)에 제공되는 제1전극부(130)와 상기 제2전극부(140)에 전원을 인가할 경우, 다수의 블레이드(110)에 제공되는 제1전극부(130)와 제2전극부(140)에 동시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블레이드(1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블레이드(110)는 블레이드 본체(11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 본체(111)는 전극부(130, 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부(130, 140)는 다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전극부(130, 140)는 제1전극부(130)와 제2전극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전극부(130, 140)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극부(130, 140)는 도전 물질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전 물질에는 구리, 인듐, 카본 페이스트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전 물질은 투명 전극을 구성할 수 있는 물질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블레이드 본체(111)는 절연체로 제공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블레이드 본체(111)는 상기 제1전극부(130)와 상기 제2전극부(140)에 전원이 인가될 때, 상기 제1전극부(130)와 상기 제2전극부(140)의 사이에서 분극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 유전체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본체(111)가 상기 제1전극부(130)와 상기 제2전극부(140)를 서로 절연하면서, 상기 제1전극부(130)와 상기 제2전극부(140)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전기력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 본체(111)는 상기 제1전극부(130)와 상기 제2전극부(140)를 절연하는 "절연부"라 칭할 수도 있다.
상기 전극부(130, 140)의 제1전극부(130)는 제1전극부 본체(131), 제1전원 인가부(132), 제1와이어(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부 본체(131)는 상기 블레이드 본체(111)의 일측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전극부 본체(131)는 상기 블레이드 전단(116)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 인가부(132)와 상기 제1와이어(133)는 상기 제1전극부 본체(13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부(130)는 상기 제1전원 인가부(132)를 통해 전원부(19)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을 수 있다. 상기 제1와이어(133)는 다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와이어(133)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제1와이어(133)는 상기 제1전극부 본체(131)로부터 상기 블레이드 후단(117)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서로 이웃하는 제1와이어(133)의 사이에는 후술할 제2와이어(143)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전극부(130)는 상기 블레이드 전단(116)에서 상기 블레이드 후단(117)을 향해 빗이 배치되는 머리빗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와이어(133)는 "제1와이어 전극"이라 칭할 수 있다.
상기 전극부(130, 140)의 제2전극부(140)는 제2전극부 본체(141), 제2전원 인가부(142), 제2와이어(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전극부 본체(141)는 상기 블레이드 본체(111)의 타측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전극부 본체(141)는 상기 블레이드 후단(117)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원 인가부(142)와 상기 제2와이어(143)는 상기 제2전극부 본체(14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전극부(140)는 상기 제2전원 인가부(142)를 통해 전원부(19)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을 수 있다. 상기 제2와이어(143)는 다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와이어(143)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제2와이어(143)는 상기 제2전극부 본체(141)로부터 상기 블레이드 전단(116)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서로 이웃하는 제2와이어(143)의 사이에는 상기 제1와이어(133)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전극부(140)는 상기 블레이드 후단(117)에서 상기 블레이드 전단(116)을 향해 빗이 배치되는 머리빗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와이어(143)는 "제2와이어 전극"이라 칭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와이어(133)와 제2와이어(143)는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교번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와이어(133)와 제2와이어(143)는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반복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와이어(133)와 제2와이어(143)의 사이 간격이 좁을수록 제1와이어(133)와 제2와이어(143)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전기력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 본체(111)에 부착된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와이어(133)와 상기 제2와이어(143)의 폭과 상기 제1와이어(133)와 상기 제2와이어(143)의 간격의 비는 1:1 에서 1:10 수준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부(130) 및 제2전극부(140)는 전원부(19)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전극부(130)의 제1전원 인가부(132)는 상기 허브(100)에 제공되는 제1전극부(13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전극부(140)의 제2전원 인가부(142)가 상기 전원부(19)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허브(100)에 제공되는 제1전극부(130) 및 제2전극부(140)는 상기 전원부(19)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부(19)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전원부(19)는 상기 제1전극부(130) 및 제2전극부(140)에 서로 다른 교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블레이드(110)에 부착된 이물질이 분리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110)는 회동하여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110)가 회동하는 중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은 상기 블레이드 본체(111)에 마찰력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본체(111)에 다수의 이물질이 부착되는 경우, 상기 전원부(19)는 상기 제1전극부(130) 및 제2전극부(140)에 서로 다른 교류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블레이드 본체(111)로부터 다수의 이물질이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전극부(130)와 제2전극부(140)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블레이드 본체(111)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는 것을 "탈진 모드"라 칭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9)는 상기 제1전극부(130)와 상기 제2전극부(140)에 인가되는 교류 전원의 파형, 주파수, 전압을 제어하여 상기 집진판(110)으로부터 이물질을 밀어내는 척력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류 전원의 파형은 Sine 파형, Square 파형, Pule 파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전극부(130)와 상기 제2전극부(140)에는 서로 다른 파형의 교류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부(130)에 인가된 교류 전원은 다수의 제1와이어(133)로 전달되며, 상기 제2전극부(140)에 인가된 교류 전원은 다수의 제2와이어(143)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1와이어(133)와 상기 제2와이어(143)에 서로 다른 파형의 교류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블레이드 본체(111)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은 상기 제1와이어(133)와 상기 제2와이어(143)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전기력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 본체(111)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1와이어(133)와 상기 제2와이어(143)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전기력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 본체(111)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상기 블레이드 본체(111)의 표면으로부터 밀어내는 척력이 발생되어 이물질이 상기 블레이드 본체(11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본체(111)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은 자중에 의해 중력 방향으로 낙하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블레이드(110)의 탈진 모드를 통해 상기 블레이드 본체(111)에 부착된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는 블레이드 본체(111)의 정압면(113)에 이물 제거부(210)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물 제거부(210)는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물 제거부(210)는 상기 제1전극부와 상기 제2전극부를 서로 절연하기 위한 절연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부와 상기 제2전극부의 구성은 제1실시예의 제1전극부(130)와 제2전극부(14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는 제1전극부에 포함되는 다수의 제1와이어(233)와, 제2전극부에 포함되는 다수의 제2와이어(243)가 도시되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절연부(22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절연부(220)는 상기 블레이드 본체(111)와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220)는 이물질이 부착되는 부착면을 형성하는 제1절연필름(221)과, 상기 정압면(113)에 고정되는 제2절연필름(2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필름(221)과 상기 제2절연필름(222)은 상기 제1전극부와 상기 제2전극부를 커버하여 서로를 절연시킬 수 있다. 상기 절연부(220)는 절연체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절연부(220)는 상기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에 전원이 인가되어 다수의 제1와이어(233)와 다수의 제2와이어(243) 사이에서 전기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유전체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220)는 상기 제1와이어(233)와 상기 제2와이어(243)의 사이에 개입되는 연결필름(2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필름(223)은 상기 제1절연필름(221)과 상기 제2절연필름(222)의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제1절연필름(221)과 상기 제2절연필름(222)을 연결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절연필름(221)과 상기 제2절연필름(222)은 절연체로 제공되고, 상기 연결필름(223)은 유전체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절연부(220)는 회동하는 팬(1)의 내구성을 고려하여, 적어도 50um 이상의 두께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물 제거부(210)는 상기 블레이드 본체(111)를 커버하며, 이물질이 실질적으로 부착되는 부착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물 제거부(210)에 이물질이 부착되면, 상기 제1전극부와 상기 제2전극부에 서로 다른 파형의 교류 전원을 인가하여 부착된 이물질을 분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310)는 블레이드 본체(111)의 정압면(113)에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부와 상기 제2전극부의 구성은 제1실시 예의 제1전극부(130) 및 제2전극부(14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도 7에는 제1전극부에 포함되는 다수의 제1와이어(333)와 제2전극부에 포함되는 다수의 제2와이어(343)가 도시되었다.
상기 제1와이어(333)를 포함하는 제1전극부와 상기 제2와이어(343)를 포함하는 제2전극부는 상기 블레이드 본체(111)의 정압면(113)에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와이어(333)와 상기 제2와이어(343)는 상기 블레이드 본체(111)의 부압면(114)에도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310)는 상기 제1와이어(333)와 상기 제2와이어(343)를 절연하기 위한 절연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220)는 상기 제1전극부와 상기 제2전극부에 전원이 인가될 때, 상기 제1전극부와 상기 제2전극부 사이에서 전기력이 발생될 수 있는 유전체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20)는 상기 제1와이어(333)와 상기 제2와이어(343)의 사이를 절연하는 연결부(323)와, 이물질이 부착되는 부착면을 형성하는 절연필름(3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필름(321)은 상기 블레이드 본체(111)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필름(321)은 상기 제1와이어(333)를 포함한 제1전극부와 상기 제2와이어(343)를 포함한 제2전극부를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블레이드 본체(11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23)는 상기 제1와이어(333)와 상기 제2와이어(343)의 사이에 개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323)는 상기 절연필름(321)과 정압면(113)의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를 연결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410)는 블레이드 본체(111)의 정압면(113)에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가 삽입되는 전극 장착홈(49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부와 상기 제2전극부의 구성은 제1실시 예의 제1전극부(130) 및 제2전극부(14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도 8에는 제1전극부에 포함되는 다수의 제1와이어(433)와 제2전극부에 포함되는 다수의 제2와이어(443)가 도시되었다.
상기 제1와이어(433)를 포함하는 제1전극부와 상기 제2와이어(443)를 포함하는 제2전극부는 상기 전극 장착홈(49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극 장착홈(490)은 상기 블레이드 본체(111)의 정압면(113)이 부압면(114)을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부가 삽입되는 전극 장착홈(490)과 상기 제2전극부가 삽입되는 전극 장착홈(490)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전극 장착홈(490)은 상기 제1전극부와 상기 제2전극부 각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와이어(433)와 상기 제2와이어(443)는 서로 이웃하는 전극 장착홈(490)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서로 이웃하는 전극 장착홈(490)은 서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와이어(433)와 상기 제2와이어(443)는 서로 절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 본체(111)는 상기 제1와이어(433)와 상기 제2와이어(443)의 사이에서 전기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유전체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410)는 상기 제1와이어(433)를 포함한 제1전극부와, 상기 제2와이어(443)를 포함한 제2전극부와, 상기 블레이드 본체(111)의 정압면(113)을 커버하는 절연부(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420)는 이물질이 부착되는 부착면을 형성하여, 이물질이 상기 블레이드 본체(111)에 직접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부(420)는 상기 정압면(113)으로 노출되는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의 일부가 서로 전기적으로 쇼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 팬 100: 허브
110: 블레이드 130, 230: 제1전극부
140, 240: 제2전극부 210: 이물 제거부
220: 절연부

Claims (14)

  1. 허브와, 상기 허브에서 연장되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에는,
    서로 이격되는 다수의 제1와이어 전극이 구비되는 제1전극부; 및
    상기 다수의 제1와이어 전극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다수의 제2와이어 전극이 구비되는 제2전극부가 포함되는 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부에는, 제1전극부 본체와, 상기 제1전극부 본체에서 연장되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제1전원 인가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2전극부에는, 제2전극부 본체와, 상기 제1전극부 본체에서 연장되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제2전원 인가부가 포함되고,
    상기 다수의 제1와이어 전극은 상기 제1전극부 본체에서 분기되어 연장되고, 상기 다수의 제2와이어 전극은 상기 제2전극부 본체에서 분기되어 연장되는 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부 본체는, 블레이드 전단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전극부 본체는, 블레이드 후단 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와이어 전극은, 상기 제1전극부 본체에서 상기 블레이드 후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와이어 전극은, 상기 제2전극부 본체에서 상기 블레이드 전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부 본체와 상기 제2전극부 본체는, 상기 허브로부터 블레이드 측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부와 상기 제2전극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블레이드는, 절연체로 형성되는 팬.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부와 상기 제2전극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외면에 제공되며,
    상기 블레이드의 외면에는, 상기 제1전극부와 상기 제2전극부를 커버하는 절연부가 제공되는 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에는,
    상기 제1전극부와 상기 제2전극부를 커버하는 절연필름; 및
    상기 절연필름과 상기 블레이드의 외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절연필름과 상기 블레이드의 외면을 연결하고, 상기 제1전극부와 상기 제2전극부를 서로 절연시키는 연결필름이 포함되는 팬.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부와 상기 제2전극부를 상기 블레이드의 외면에 고정하기 위한 절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에는,
    상기 제1전극부와 상기 제2전극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이물질이 부착되는 부착면을 형성하는 제1절연필름;
    상기 제1전극부와 상기 제2전극부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외면에 고정되는 제2절연필름; 및
    상기 제1절연필름과 상기 제2절연필름의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를 연결하고, 상기 제1전극부의 제1와이어 전극과 상기 제2전극부의 제2와이어 전극의 사이에 개입되는 연결필름이 포함되는 팬.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에는, 정압면으로부터 부압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되는 전극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전극부와 상기 제2전극부는, 상기 전극 장착부에 삽입되는 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외면과, 상기 전극 장착부에 삽입된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를 커버하는 절연부를 더 포함하는 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부와 상기 제2전극부는, 서로 절연된 상태에서 상기 허브에 더 제공되며,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에 제공되는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는, 상기 허브에 제공되는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에 연결되는 팬.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부와 상기 제2전극부에는, 서로 다른 교류 전원을 인가되며,
    상기 제1전극부에 포함된 다수의 제1와이어 전극과, 상기 제2전극부에 포함된 다수의 제2와이어 전극 사이에서 발생되는 전기력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에 부착된 이물질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부에 인가되는 교류 전원과, 상기 제2전극부에 인가되는 교류 전원은, 파형, 주파수, 전압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부와 상기 제2전극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팬.
KR1020180027426A 2018-03-08 2018-03-08 KR102521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426A KR102521422B1 (ko) 2018-03-08 2018-03-08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426A KR102521422B1 (ko) 2018-03-08 2018-03-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238A true KR20190106238A (ko) 2019-09-18
KR102521422B1 KR102521422B1 (ko) 2023-04-14

Family

ID=68070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426A KR102521422B1 (ko) 2018-03-08 2018-03-08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142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6155A (ko) * 1995-09-30 1997-04-28 배순훈 선풍기의 온풍 발생장치
JP2012255432A (ja) * 2011-05-13 2012-12-27 Toshiba Corp 電圧印加装置、回転機器および電圧印加方法
KR20140115963A (ko) * 2013-03-21 2014-10-01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기류 발생 장치 및 풍력 발전 시스템
CN104863876A (zh) * 2015-06-09 2015-08-26 苏州云远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防静电吸附灰尘风扇
CN206448990U (zh) * 2017-02-08 2017-08-29 舟山市奔大机电有限公司 一种电子扇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6155A (ko) * 1995-09-30 1997-04-28 배순훈 선풍기의 온풍 발생장치
JP2012255432A (ja) * 2011-05-13 2012-12-27 Toshiba Corp 電圧印加装置、回転機器および電圧印加方法
KR20140115963A (ko) * 2013-03-21 2014-10-01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기류 발생 장치 및 풍력 발전 시스템
CN104863876A (zh) * 2015-06-09 2015-08-26 苏州云远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防静电吸附灰尘风扇
CN206448990U (zh) * 2017-02-08 2017-08-29 舟山市奔大机电有限公司 一种电子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1422B1 (ko) 2023-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9317B2 (en) Grounding brush system for mitigating electrical current on rotating shafts
EP2522859B1 (en) Voltage application device and rotation apparatus
JP5201338B2 (ja) イオナイザ
JP4608630B2 (ja) イオン発生器及び除電器
US7339777B2 (en) Grounding system for a rotating shaft
CN102814234A (zh) 静电除尘器
WO2007032190A1 (ja) 微細電極体並びにこれを用いたイオン発生器及び除電器
KR102521422B1 (ko)
CA2412303A1 (en) Electrical current collector cleaning and cooling for high voltage rotating machines
JPH0348182Y2 (ko)
KR102535510B1 (ko) 전기 집진기용 집진부 구조
KR100378867B1 (ko) 정전 발전형 고전압 발생장치
KR102062681B1 (ko) 미세먼지 집진용 고전압 정전기 발생장치
JP5125626B2 (ja) 電気集じん機
JP2017019644A (ja) シート送り機構
JP4002948B2 (ja) イオン生成装置
US20040168277A1 (en) Cleaning rings for insulator driven by wind
AU2014317744A1 (en) Synchronous electric machines
JPS5849094B2 (ja) 真空雰囲気内で作動する回転電極への高周波大電力の供給装置
JPS5855312A (ja) オゾン発生器
US8508907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llecting electrostatic charge from the atmosphere
KR20220141999A (ko) 전기 집진기용 집진부 구조
JP4537128B2 (ja) コロナモータ
JP5049060B2 (ja) イオン発生方法及びイオン発生装置並びにこのイオン発生方法を用いた除電方法及び除電装置
JP7156917B2 (ja) 静電誘導型変換器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