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5926A - 농업차량의 주행장치 - Google Patents

농업차량의 주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5926A
KR20190105926A KR1020180026691A KR20180026691A KR20190105926A KR 20190105926 A KR20190105926 A KR 20190105926A KR 1020180026691 A KR1020180026691 A KR 1020180026691A KR 20180026691 A KR20180026691 A KR 20180026691A KR 20190105926 A KR20190105926 A KR 20190105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oller
caterpillar
tension
suppor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원
나건영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6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5926A/ko
Publication of KR20190105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9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4Arrangement, location, or adaptation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0Bogies;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2Arrangement, location, or adaptation of driving spro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농업차량의 주행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에 따른 농업차량의 주행장치는, 차대(車臺)측과 결합된 프레임에 롤러가 설치되고, 롤러는 캐터필러의 내면과 접촉하여 캐터필러를 지지한다. 이때, 롤러의 중앙부측이 프레임의 길이 방향 중심선 상에 위치되므로, 차대의 하중이 프레임을 통하여 롤러에 전달되었을 때, 롤러의 전부분에 균일한 하중이 작용한다. 이로 인해, 롤러를 포함한 주위 부품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텐션롤러가 프레임의 길이 방향 중심선 상에 위치되므로, 텐션롤러에 하중이 작용하였을 때, 텐션롤러의 전부분에 균일한 하중이 작용한다. 이로 인해, 텐션롤러(241)를 포함한 주위 부품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텐션롤러를 포함하는 텐션부의 일측이 프레임에 직접 설치되므로, 텐션부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이 필요 없다. 이로 인해,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Description

농업차량의 주행장치 {RUNNING DEVICE OF AGRICULTURAL VEHICLE}
본 발명은 캐터필러(Caterpillar)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캐터필러가 텐션을 가지도록 지지하는 텐션부를 지지부 및 텐션부가 설치되는 프레임의 길이 방향 중심선 상에 설치한 농업차량의 주행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업기계란 농업을 수행하는 기계로서, 농작물을 생산하는데 직접 관여하는 기계와 생산된 농작물을 가공처리하는데 관여하는 기계로 대별된다.
농작물의 생산의 관여하는 기계인 농업차량에는 다양한 작업기를 연결하여 견인력으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트랙터(Tractor) 및 농토를 주행하면서 농작물의 줄기를 예취(刈取)한 다음 탈곡 및 선별하는 콤바인(Combine) 등이 있다.
종래의 농업차량의 주행장치에 대하여, 콤바인을 예를 들어,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종래의 농업차량의 주행장치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캐터필러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농업차량은 주행을 담당하며 차대(車臺)(50)를 지지하는 주행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주행장치는 차대(50)의 일측면측 및 타측면측에 각각 연결되는 프레임(11), 프레임(11)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며 폐루프를 이루는 캐터필러(Caterpillar)(15), 캐터필러(15)의 내측 일단부에 위치되어 캐터필러(11)의 내면과 접촉하며 변속장치측과 연결된 구동스프로킷(Driving Sprocket)(17) 및 캐터필러(15)의 내측 타단부에 위치되어 캐터필러(15)의 내면과 접촉하며 캐터필러(15)에 소정의 텐션이 작용하도록 지지하는 텐션롤러(19)를 구비한다. 이때, 텐션롤러(19)는 프레임(11)에 지지되어 프레임(1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동하게 설치된다.
폐루프를 이루는 캐터필러(15)의 하측 부위는 지면과 접촉된다. 그리고, 프레임(11)에는 캐터필러(15)의 내면과 접촉하여 캐터필러(15)를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20)가 설치된다.
그리하여, 캐터필러(15)가 적정 텐션을 가지도록 텐션롤러(19)의 위치를 조절한 후,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변속장치를 통하여 구동스프로킷(17)으로 전달하면, 구동스프로킷(17)의 회전에 의하여 캐터필러(15)가 폐루프를 이루면서 회전한다. 그러면, 캐터필러(15)의 회전에 의하여 농업차량이 주행한다.
캐터필러(15)는 소정 폭을 가진다. 그러므로, 캐터필러(15)를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하여, 캐터필러(15)의 하측 부위를 지지하는 롤러(21)(23) 및 캐터필러(15)의 상측 부위를 지지하는 롤러(25)는 대략 캐터필러(15)의 폭 만큼 이격되어 상호 대향하는 한쌍의 휠(21a, 21b)(23a, 23b)(25a, 25b)을 구비한다.
롤러(21)는 일단부가 프레임(11)에 결합된 지지축(31a)의 타측 부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프레임(11)의 하측 부위를 지지한다. 그리고, 롤러(23)는 브라켓(33)의 양단부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브라켓(33)의 중앙부측은 일단부가 프레임(11)에 결합된 지지축(31b)의 타측 부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프레임(11)의 하측 부위를 지지한다. 그리고, 롤러(25)는 일단부가 프레임(11)에 결합된 지지축(31c)의 타측 부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프레임(11)이 상측 부위를 지지한다.
그리고, 텐션롤러(19)는 브라켓(3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브라켓(35)은 프레임(11)의 일측면에 형성된 연장프레임(13)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농업차량은, 프레임(11)을 기준으로, 롤러(21)(23)(25) 및 텐션롤러(19)가 외팔보 형태를 이룬다. 그러면, 차대(50)에서 롤러(21)(23)에 작용하는 하중 및 캐터필러(15)에서 텐션롤러(19)와 롤러(25)에 작용하는 하중이, 프레임(11)을 기준으로, 편심되게 작용하므로, 지지축(33a)(33b)(33c)과 브라켓(33)(35)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손상될 수 있고, 프레임(11)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손상될 수 있다.
그리고, 텐션롤러(19)를 프레임(11)에 설치하기 위하여, 프레임(11)에 별도의 연장프레임(13)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모든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농업차량의 주행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캐터필러(Caterpillar)를 지지하는 롤러 및 캐터필러가 텐션을 가지도록 지지하는 텐션롤러를 롤러 및 텐션롤러가 설치되는 프레임의 길이 방향 중심선 상에 설치하여, 하중에 의하여 부품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농업차량의 주행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텐션롤러를 포함하는 텐션부를 프레임에 직접 설치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농업차량의 주행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차량의 주행장치는, 차대(車臺)의 일측면측 및 타측면측에 각각 설치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각각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며, 폐루프를 이루는 캐터필러(Caterpillar); 상기 캐터필러의 내측 일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캐터필러의 내면과 접촉하며, 회전하면서 상기 캐터필러를 회전시키는 구동스프로킷(Driving Sprocket); 상기 캐터필러의 내측 타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캐터필러의 내면과 접촉하는 텐션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스프로킷과 작용하여 상기 캐터필러가 텐션을 가지도록 지지하는 텐션부; 및 상기 캐터필러의 내면과 접촉하는 상호 대향하는 한쌍의 휠을 가지면서 상기 캐터필러를 지지하는 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한쌍의 상기 휠 중, 어느 하나의 휠 및 다른 하나의 휠은 상기 프레임의 일측면측 및 타측면측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농업차량의 주행장치는, 차대(車臺)측과 결합된 프레임에 롤러가 설치되고, 롤러는 캐터필러의 내면과 접촉하여 캐터필러를 지지한다. 이때, 롤러의 중앙부측이 프레임의 길이 방향 중심선 상에 위치되므로, 차대의 하중이 프레임을 통하여 롤러에 전달되었을 때, 롤러의 전부분에 균일한 하중이 작용한다. 이로 인해, 롤러를 포함한 주위 부품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텐션롤러가 프레임의 길이 방향 중심선 상에 위치되므로, 텐션롤러에 하중이 작용하였을 때, 텐션롤러의 전부분에 균일한 하중이 작용한다. 이로 인해, 텐션롤러를 포함한 주위 부품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텐션롤러를 포함하는 텐션부의 일측이 프레임에 직접 설치되므로, 텐션부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이 필요 없다. 이로 인해,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 1a는 종래의 농업차량의 주행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캐터필러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차량의 개략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주행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캐터필러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1롤러측의 확대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제2롤러측의 확대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제3롤러측의 확대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4에 도시된 텐션부의 확대 분해 사시도.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또는 제3항목"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설치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라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형성된다, 결합된다, 설치된다"라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가 별도로 마련되어 형성되거나, 결합되거나, 설치된 것 뿐만 아니라,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가 하나의 몸체인 일체로 된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차량의 주행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농업차량에는 농업을 직접 수행하는 트랙터(Tractor) 및 콤바인(Combine) 등이 있다. 이하에서는, 콤바인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차량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차량은 차대(車臺)(11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대(110)를 포함한 구성 요소들의 방향 및 면을 지칭함에 있어서, 농업차량이 전진하는 방향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하고, 후진하는 방향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한다.
차대(110)의 전방측에는 농작물의 줄기 등을 절단하기 위한 예취(刈取)장치(120)가 설치될 수 있고, 차대(110)와 예취장치(120) 사이에는 절단된 농작물을 차대(110)의 내부로 연속적으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등으로 마련된 운반장치(130)가 설치될 수 있다.
차대(110)의 내부에는 운반장치(130)를 통하여 운반된 농작물을 탈곡하기 위한 탈곡장치(140), 탈곡장치(140)에서 탈곡되어 생성된 곡립(穀粒)을 선별하는 선별장치 및 상기 선별장치에서 선별된 곡립을 저장하는 곡물탱크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차대(110)에는 동력을 발생하는 엔진 등과 같은 동력장치(150), 동력장치(150)에서 발생된 동력을 필요한 형태로 변환하여 피동력장치로 전달하는 변속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차대에는 작업자가 농업차량을 운전하기 위한 운전부(160)가 설치될 수 있다. 운전부(160)의 후방측에 상기 곡물탱크가 위치된다.
차대(110)의 하측에는 차대(110)를 주행시키기 위한 주행장치(200)가 설치될 수 있다. 주행장치(200)는 상기 변속장치를 매개로 동력장치(150)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받아 주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장치(200)는 부품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주행장치(200)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주행장치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캐터필러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장치(200)는 차대(110)의 좌측면측 및 우측면측에 각각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프레임(210), 캐터필러(Caterpillar)(220), 구동스프로킷(Driving Sprocket)(230), 텐션부(240) 및 지지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210)은 소정 길이를 가지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차대(11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210)은 차대(1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농업차량의 주행방향과 평행을 이룰 수 있다.
캐터필러(220)는 프레임(210)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폐루프를 이룰 수 있으며, 대략 트랙 형상을 이루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캐터필러(220)는 강판제(鋼板製)의 판을 체인 형태로 연결하여 형성하거나, 합성수지와 금속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구동스프로킷(230)은 캐터필러(220)의 내측 전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구동스프로킷(230)은 상기 동력장치(150)와 인접한 캐터필러(220)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캐터필러(220)의 내주면과 접촉할 수 있으며, 상기 변속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그러면, 구동스프로킷(230)의 회전에 의하여 캐터필러(220)가 회전하면서 주행하므로, 차대(110)가 이동한다.
구동스프로킷(230)의 회전에 의하여 캐터필러(220)가 회전하기 위해서는, 캐터필러(220)가 소정의 텐션을 구비하여야 한다.
텐션부(240)는 캐터필러(220)의 내측 후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캐터필러(220)의 내면과 접촉할 수 있으며, 구동스프로킷(230)과 작용하여 캐터필러(220)가 소정의 텐션을 가지도록 지지할 수 있다. 텐션부(240)는 프레임(210)에 설치되어 지지될 수 있으며, 캐터필러(220)의 내면과 접촉하는 텐션롤러(241)를 포함할 수 있다. 텐션부(24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지지부(250)는 프레임(210)에 설치되어 지지될 수 있으며, 캐터필러(220)가 대략 트랙 형상을 유지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250)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1롤러측의 확대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제2롤러측의 확대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제3롤러측의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지지부(250)는 롤러(251), 제1브라켓(261) 및 제2브라켓(265)을 포함할 수 있가. 그리고, 롤러(251)는 캐터필러(220)의 내면과 접촉할 수 있으며, 캐터필러(220)의 하측 부위를 지지하는 제1롤러(252)와 제2롤러(254) 및 캐터필러(220)의 상측 부위를 지지하는 제3롤러(256)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롤러(252) 및 제1롤러(252)의 설치 구조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롤러(252)는 상호 대향하는 한쌍으로 마련되어 캐터필러(220)의 내면과 접촉하는 휠(252a) 및 휠(252a)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축(25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롤러(252)는 자신의 가운데 부위인 연결축(252b)이 제1브라켓(26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제1브라켓(261)에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제1브라켓(261)의 상측 부위는 프레임(110)의 하면측에 결합된다. 그러면, 제1롤러(252)가 제1브라켓(261)을 매개로 프레임(210)에 결합되었을 때, 제1롤러(252)의 휠(252a) 중, 어느 하나의 휠(252a)은 프레임(210)의 길이 방향 좌측에 위치되고, 다른 하나의 휠(252a)은 프레임(210)의 길이 방향 우측에 위치된다. 즉, 프레임(210)의 길이 방향 중심선 상에 제1롤러(252)의 폭 방향 중심이 위치되어, 한쌍의 휠(252a)은 프레임(210)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는 형태를 이룬다.
그러면, 차대(110)의 하중이 프레임(210)을 통하여 제1롤러(252)에 전달되었을 때, 제1롤러(252)의 전부분에 균일한 하중이 작용하므로, 제1롤러(252)와 제1롤러(252)가 설치된 제1브라켓(261) 및 제1브라켓(261)이 설치된 프레임(210)이 손상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다음에는, 제2롤러(254) 및 제2롤러(254)의 설치 구조에 대하여 도 4, 도 5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롤러(254)는 상호 대향하는 한쌍으로 마련되어 캐터필러(220)의 내면과 접촉하는 휠(254a) 및 휠(254a)들을 상호 연결하는 중공체(中空體)의 연결축(254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롤러(254)의 구성은 제1롤러(252)의 구성과 유사할 수 있다.
제2롤러(254)는 자신의 가운데 부위인 연결축(254b)이 제2브라켓(26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제2브라켓(265)의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브라켓(265)의 중앙 상측 부위는 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러면, 제2롤러(254)가 제2브라켓(265)을 매개로 프레임(210)에 결합되었을 때, 제2롤러(254)의 휠(254a) 중, 어느 하나는 프레임(210)의 길이 방향 좌측에 위치되고, 다른 하나는 프레임(210)의 길이 방향 우측에 위치되어, 프레임(210)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는 형태를 이룬다. 즉, 프레임(210)의 길이 방향 중심선 상에 제2롤러(254)의 폭 방향 중심이 위치된 형태가 된다.
그러면, 차대(110)의 하중이 프레임(210)을 통하여 제2롤러(254)에 전달되었을 때, 제2롤러(254)의 전부분에 균일한 하중이 작용하므로, 제2롤러(254)와 제2롤러(254)가 설치된 제2브라켓(265) 및 제2브라켓(265)이 설치된 프레임(210)이 손상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제2브라켓(265)은 상면 중앙부측이 프레임(2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제2브라켓(265)은 프레임(210)에 결합된 부위를 기준으로 시소 형태로 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캐터필러(220)가 요철(凹凸) 형태의 지면을 통과함에 따라, 캐터필러(220)가 지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되어도, 제2브라켓(265)이 시소 형태로 운동하면서 캐터필러(220)를 지지하므로, 프레임(210)은 상대적으로 덜 하강하거나, 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차대(110)의 상하 진동이 상대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다음에는, 제3롤러(256) 및 제3롤러(256)의 설치 구조에 대하여 도 4, 도 5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롤러(256)는 상호 대향하는 한쌍으로 마련되어 캐터필러(220)의 내면과 접촉하는 휠(256a) 및 휠(256a)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축(256b)을 포함할 수 있다. 제3롤러(256)의 구성은 제1롤러(252)의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그리고, 제3롤러(256)는 프레임(210)의 일측에 형성된 연장프레임(2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3롤러(256)의 휠(256a)중, 어느 하나의 휠(256a) 및 다른 하나의 휠(256a)은 프레임(210)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그러면, 차대(110)의 하중을 포함한 캐터필러(220)의 하중이 제3롤러(256)에 작용하였을 때, 제3롤러(256)의 전부분에 균일한 하중이 작용하므로, 제3롤러(256) 및 프레임(210)이 손상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제3롤러(256)도 제1롤러(252) 및 제2롤러(254)와 같이 브라켓을 매개로 프레임(21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롤러(252)가 제1브라켓(261)을 매개로 프레임(210)에 설치된 형태 또는 제2롤러(254)가 제2브라켓(265)를 매개로 프레임(210)에 설치된 형태와 같이 제3롤러(256)로 프레임(210)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차량의 주행장치는, 차대(110)측과 결합된 프레임(210)에 롤러(251)가 설치되고, 롤러(251)는 캐터필러(220)의 내면과 접촉하여 캐터필러(220)를 지지한다. 이때, 롤러(251)의 폭 방향 중앙부측이 프레임(210)의 길이 방향 중심선 상에 위치된다. 그러면, 차대(110)의 하중 및 캐터필러(220)의 하중이 프레임(210)을 통하여 롤러(251)에 전달되었을 때, 롤러(251)의 전부분에 균일한 하중이 작용하므로, 롤러(251)를 포함한 주위 부품들이 손상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텐션부(240)에 대하여 도 4, 도 5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텐션부의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부(240)는 텐션롤러(241), 제3브라켓(243) 및 지지수단(245)을 포함할 수 있다.
텐션롤러(24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캐터필러(220)의 내측 후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캐터필러(220)의 내면과 접촉할 수 있다. 그리하여, 텐션롤러(241)는 구동스프로킷(230)과 작용하여 캐터필러(220)가 소정의 텐션을 가지도록 지지할 수 있다.
제3브라켓(243)의 전방측 부위는 프레임(21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고, 후방측 부위는 프레임(2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텐션롤러(24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3브라켓(243)이 삽입되는 프레임(210)의 부위는 중공체(中空體)로 형성될 수 있고, 텐션롤러(241)가 지지되는 제3브라켓(243)의 부위는 상호 대향하는 한쌍의 아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텐션롤러(241)의 반경 방향은 프레임(210)의 길이 방향 중심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면, 차대(110)의 하중을 포함한 캐터필러(220)의 복원력이 텐션롤러(241)에 전달되었을 때, 텐션롤러(241)의 전부분에 균일한 하중이 작용하므로, 텐션롤러(241), 제브라켓(243) 및 프레임(210)이 손상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캐터필러(220)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캐터필러(220)를 신장(伸長)시키는 방향으로 텐션롤러(241)를 이동시킬 수 있어야 한다. 캐터필러(220)를 신장시키기 위하여, 제3브라켓(243)은 프레임(210)을 출입하는 형태로 직선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제3브라켓(243)은 프레임(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3브라켓(243)이 프레임(2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캐터필러(220)가 소정의 텐션을 가질 수 있다.
지지수단(245)은 제3브라켓(243)을 지지하여 제3브라켓(243)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프레임(210)의 후방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3브라켓(243)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지지수단(245)은 제1지지편(245a), 제2지지편(245b) 및 조절부재(245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편(245a)은 프레임(210)에 설치될 수 있고, 제2프레임(245b)은 제3브라켓(243)에 설치되어 제1지지편(245a)과 대향할 수 있다. 그리고, 조절부재(245c)는 전단부측은 제1지지편(245a)에 지지되고 후단부측은 제2지지편(245b)에 지지되어, 제1지지편(245a)에 대하여 제2지지편(245b)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제1지지편(245a)과 제2지지편(245b)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조절부재(245c)에 대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조절부재(245c)는 볼트(245ca)와 너트(245cb)를 포함할 수 있다.
볼트(245ca)는 전단부측은 제1지지편(245a)을 관통할 수 있고, 후단부측은 제2지지편(245b)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볼트(245ca)는 제1지지편(245a)과 제2지지편(245b)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너트(245cb)는 한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1지지편(245a)을 사이에 두고 볼트(245ca)에 체결되어, 볼트(245ca)가 제1지지편(245a)에 대하여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캐터필러(220)가 소정의 텐션을 가지도록 제3브라켓(243)을 프레임(210)의 후방 외측으로 돌출시키면, 볼트(245ca)에 의하여 제1지지편(245a)과 제2지지편(245b) 사이의 거리가 조절된다. 그후, 너트(245cb)를 볼트(245ca)에 체결하면, 볼트(245ca)가 제1지지편(245a)에 대하여 유동하지 않으므로, 제3브라켓(243)이 프레임(210)의 후방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장치(200)는, 텐션롤러(241)가 프레임(210)의 길이 방향 중심선 상에 위치된다. 이로 인해, 텐션롤러(241)에 하중이 작용하였을 때, 텐션롤러(241)의 전부분에 균일한 하중이 작용하므로, 텐션롤러(241)를 포함한 주위 부품들이 손상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그리고, 텐션부(240)의 제3브라켓(243)이 프레임(210)에 직접 설치되므로, 텐션부(240)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이 필요 없다. 이로 인해,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제3브라켓(243)의 전방측 부위를 중공체(中空體)로 형성하여, 제3브라켓(243)의 전방측 부위 내부에 프레임(210)의 후단부측을 삽입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0: 주행장치
210: 프레임
220: 캐터필러
230: 구동스프로킷
240: 텐션부
250: 지지부

Claims (10)

  1. 차대(車臺)(110)의 일측면측 및 타측면측에 각각 설치된 프레임(210);
    상기 프레임(210)을 각각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며, 폐루프를 이루는 캐터필러(Caterpillar)(220);
    상기 캐터필러(220)의 내측 일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캐터필러(220)의 내면과 접촉하며, 회전하면서 상기 캐터필러(220)를 회전시키는 구동스프로킷(Driving Sprocket)(230);
    상기 캐터필러(220)의 내측 타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캐터필러(220)의 내면과 접촉하는 텐션롤러(241)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스프로킷(230)과 작용하여 상기 캐터필러(220)가 텐션을 가지도록 지지하는 텐션부(240); 및
    상기 캐터필러(220)의 내면과 접촉하는 상호 대향하는 한쌍의 휠(252a)(254a)(256a)을 가지면서 상기 캐터필러(220)를 지지하는 롤러(251)를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210)에 설치된 지지부(250)를 포함하고,
    한쌍의 상기 휠(252a)(254a)(256a) 중, 어느 하나의 휠 및 다른 하나의 휠은 상기 프레임(210)의 일측면측 및 타측면측에 각각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차량의 주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롤러(241)는 상기 프레임(210)의 길이 방향 중심선 상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차량의 주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251)는,
    상기 캐터필러(220)의 하측 부위를 각각 지지하는 제1롤러(252)와 제2롤러(254); 및
    상기 캐터필러(220)의 상측 부위를 지지하는 제3롤러(256)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250)는,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에 상기 제1롤러(252)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210)에 결합되는 제1브라켓(261); 및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에 상기 제2롤러(254)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앙부측이 상기 프레임(2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브라켓(26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차량의 주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롤러(256)는 상기 프레임(210)의 일측에 형성된 연장프레임(2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차량의 주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240)는 일측 부위가 상기 프레임(210)의 단부측에 지지되어 상기 프레임(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차량의 주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240)의 일측 부위가 상기 프레임(210)의 단부측 내부에 삽입되거나, 상기 프레임(210)의 단부측이 상기 텐션부(240)의 일측 부위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차량의 주행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240)는,
    일측은 상기 프레임(210)에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프레임(2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텐션롤러(24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210)을 출입하는 형태로 직선운동가능하게 설치된 제3브라켓(243);
    상기 제3브라켓(243)과 상기 프레임(210)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3브라켓(243)의 유동을 방지하는 지지수단(24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차량의 주행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245)은 상기 프레임(2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제3브라켓(243)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차량의 주행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245)은,
    상기 프레임(210)에 설치된 제1지지편(245a);
    상기 제3브라켓(243)에 설치된 제2지지편(245b); 및
    일측은 상기 제1지지편(245a)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제2지지편(245b)에 지지되어, 상기 제1지지편(245a)에 대하여 상기 제2지지편(245b)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1지지편(245a)과 상기 제2지지편(245b)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조절부재(245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차량의 주행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245c)는,
    일측은 상기 제1지지편(245a)을 관통하고, 타측은 상기 제2지지편(245b)에 지지되어, 상기 제1지지편(245a)과 상기 제2지지편(245b)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볼트(245ca); 및
    상기 제1지지편(245a)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245ca)에 체결되어, 상기 볼트(245ca)가 상기 제1지지편(245a)에 대하여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너트(245c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차량의 주행장치.
KR1020180026691A 2018-03-07 2018-03-07 농업차량의 주행장치 KR201901059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691A KR20190105926A (ko) 2018-03-07 2018-03-07 농업차량의 주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691A KR20190105926A (ko) 2018-03-07 2018-03-07 농업차량의 주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926A true KR20190105926A (ko) 2019-09-18

Family

ID=68070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691A KR20190105926A (ko) 2018-03-07 2018-03-07 농업차량의 주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592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1209B2 (en) Working vehicle
US8636326B2 (en) Crawler travel unit
EP2873593B1 (en) A support structure
EP3371038B1 (en) Tracked vehicle with articulating frame
CN205769666U (zh) 非公路车辆和用于非公路车辆的基于轴向的变速器系统
JP2018100081A (ja) クローラ走行装置
US5505274A (en) Suspension structure for a continuous track machine
JP5006854B2 (ja) 作業機
KR20190105926A (ko) 농업차량의 주행장치
JP6785688B2 (ja) 作業車
US10919586B2 (en) Vehicle shipping position to application position conversion
JP2020055429A (ja) 作業機
CN207565560U (zh) 一种车辆底盘
US2651378A (en) High-clearance crawler tractor
US11554822B2 (en) Endless track system suspension
US20130264785A1 (en) Narrow articulated vehicle
JP7327209B2 (ja) 作業機械の下部走行体
US11618515B2 (en) Suspension system for a track-driven work vehicle with tandem rear idler/roller
RU2432293C1 (ru) Колесная модификация гусеничного трактора
KR20200105377A (ko) 농업차량
US1309578A (en) Traction-engine
US1194738A (en) Benjamin holt
JP3981764B2 (ja) クローラ型農作業機
JP2010083159A (ja) クローラ走行装置
JPS5921951Y2 (ja) 農用作業車等における作業機動力伝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