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4789A - 청각 추출물 및 모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청각 추출물 및 모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4789A
KR20190104789A KR1020180025326A KR20180025326A KR20190104789A KR 20190104789 A KR20190104789 A KR 20190104789A KR 1020180025326 A KR1020180025326 A KR 1020180025326A KR 20180025326 A KR20180025326 A KR 20180025326A KR 20190104789 A KR20190104789 A KR 20190104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ntimicrobial composition
quince
antimicrobial
audi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2985B1 (ko
Inventor
김승영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투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투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투바이오
Priority to KR1020180025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985B1/ko
Publication of KR20190104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3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34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hawthorn, plum, cherry, peach, apricot or almon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4635Anti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472Compound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btained from animals or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0Preserving against microb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yc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청각 추출물과 모과 추출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은 유익 미생물의 생장은 억제하지 않으면서 병원성 미생물의 생장을 저해할 수 있다.

Description

청각 추출물 및 모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Antimicrobial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Codium Fragile and Extract of Quince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청각 추출물 및 모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항생제란 통상적으로 항미생물제를 총칭하는 것으로, 특히 세균에 대한 항균작용을 하는 물질, 상세하게는 세균이 세포벽이나 단백질 등을 합성하는 시스템을 저해시킴으로써 뛰어난 항균작용을 하는 물질 또는 이러한 물질로부터 제조된 것을 의미한다. 가장 대표적인 항생제로는 영국인 의사 알렉산더 플레밍이 1928년에 제조한 페니실린이 있으며, 페니실린 이후에 개발된 대표적인 항생제로는 페니실린보다 효과가 탁월한 것으로 인정되는 메티실린(methicillin)이 있다. 메티실린은 페니실린의 화학구조를 일부 변경하여 제조한 것이다.
그러나 항생제 내성 세균이 등장함에 따라 기존의 항생제를 뛰어넘는 새로운 항균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항생제 내성 세균이란 특정 항생제에 내성을 보여 약효가 듣지 않는 세균을 말한다. 예를 들어, 페니실린의 약효가 전혀 듣지 않는 페니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이 있다. MRSA는 페니실린이나 메티실린의 항생제에도 내성을 나타낼 수 있는 독특한 유전자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MRSA는 건강한 사람에게는 감염이 되지 않고, 주로 면역력이 약한 환자나 수술을 마친 환자에게 감염되어 패혈증이나 폐렴을 일으켜 사망케 하는 것으로 보고 되어 있다.
따라서 최근 각종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새로운 항균제를 개발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식물 추출물로부터 얻어진 항균제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합성 항균제에 비해 독성이 적어 인체에 안전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52744는 갈파래 추출물이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에 항균 활성이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청각 추출물 및 모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유해 미생물의 생장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52744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유익한 미생물의 생장은 저해하지 않고, 병원성 미생물에 대해서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식물 유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청각 추출물 및 모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을 제공한다.
청각(Codium fragile)은 녹조식물군 청각과의 해조로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중국, 일본은 물론 필리핀과 하와이 등지에서는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당분과 단백질, 섬유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육상식물보다 다종다량의 무기질을 함유하고 있어 칼슘, 칼륨 및 철분 함량이 풍부하다.
모과(quince)는 모과나무(Chaenomeles sinensis Koehne)의 열매를 말하며, 탄닌(tannin) 성분이 있어 떫은맛이 나고, 소화효소의 분비를 촉진하여 소화기능을 개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청각 추출물 또는 모과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청각과 모과를 세척, 건조 및 분쇄한 후,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의 조건으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청각 추출물 또는 모과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증류수, n-헥산, 1,3-부틸렌글리콜,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아세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증류수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추출물은 상술한 용매 추출법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물은 살균 및 분무건조 과정을 거쳐서 분말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70 내지 90℃의 온도에서 10 내지 40분 동안 살균한 후, 분무건조기를 이용하여 분말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항균 조성물은 청각 추출물과 모과 추출물을 1:10 내지 10:1의 질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청각 추출물과 모과 추출물을 1:1, 2:1 또는 1:2의 질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항균 조성물은 청각 추출물과 모과 추출물을 각각 제조한 후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거나, 또는 처음부터 청각과 모과를 혼합하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한 후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항균 조성물'은 항미생물제를 총칭하는 의미인 항생제와 같은 의미일 수 있고, 항균제, 살균제, 방부, 보존제 또는 제균제와 같은 의미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하기에 언급한 미생물의 발육과 생활 기능을 저지 또는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항균 효과가 필요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성분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항균 조성물은 항생제 민감성 미생물(antibiotic sensitive bacteria) 및 항생제 내성 미생물(antibiotic resistant bacteria)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항생제 민감성 미생물은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일 수 있으며, 항생제 내성 미생물은 메티실린 내성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메티실린 내성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이라고도 불리우며, 페니실린이나 메티실린 등의 거의 모든 항생제에 강한 내성을 지닌 세균을 말한다. 병원 감염의 주범이 되며 항생제를 많이 사용하는 대형 병원에서 발견되는데, 호흡기 계통과 수술 환자의 환부에 침투하여 고열, 오한, 폐렴 및 혈압 저하 등의 심각한 증상을 유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상기 항균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병원성 미생물의 감염 우려가 높은 대상의 감염 가능성을 낮추기 위하여 식품 및 음료 등에 첨가되거나, 또는 식품 및 음료의 원료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포함하는 식품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식품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 예컨대, 천연 탄수화물 및 다양한 향미제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사용되는 식품에 보존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첨가될 수 있으며, 상기 항균 조성물은 천연성분으로 인체에 유해하지 않으므로 식품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그 사용 목적 및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된 추가적인 여타의 첨가물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물 등 다른 유효성분이나 색소, 계면활성제, 방부제 등의 첨가물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그 사용 목적 및 용도에 따라 분말화, 과립화, 정제화 또는 액상화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제품화를 위하여 포장을 위해 통상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에 대한 항균 조성물의 사용량은 사용목적과 적용형태, 적용부위, 적용대상물품 등에 따라 적절히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0.01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항균 조성물의 함량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천연성분으로 인체에 유해하지 아니하므로, 그 제품의 특성상 적용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경우라면 다양한 양으로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 추출물과 모과 추출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유익 미생물의 생장은 억제하지 않으면서 병원성 미생물의 생장을 저해할 수 있다.
도 1은 항생제 내성 병원성 미생물에 대하여 청각 추출물, 모과 추출물 및 청각 추출물과 모과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실험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2는 항생제 민감성 병원성 미생물에 대하여 청각 추출물, 모과 추출물 및 청각 추출물과 모과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실험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3은 장내 유익균에 대하여 청각 추출물과 모과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실험한 결과를 보여준다.
이하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청각 추출물 및 모과 추출물 제조
추출탱크에 건조한 청각 10 ㎏을 투입한 후 50% 주정을 청각 무게의 8배 내지 15배 무게로 첨가하여 70℃에서 4 내지 10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50% 주정을 청각 무게의 6배 내지 10배 무게로 추가로 첨가하여 70℃에서 2 내지 8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이 완료된 후 주정 추출물을 회수하고, 1.0 ㎛ 필터(레인보우, 대한민국)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여과한 뒤 진공농축으로 추출물을 농축하였다. 청각 추출물의 농축액을 80 내지 85℃에서 30분 동안 살균하고, 분무 건조기(spray dryer, 미현 엔지니어링, 대한민국)를 이용하여 inlet 170℃, outlet 85℃ 및 10 내지 100% SD(spray dried, 고형분 10 내지 100%) 조건에서 건조시켰다. 청각 주정추출 분말을 회수한 후 성상, 이물, 수분, 일반세균 및 대장균 존재 유무를 검사하여 안전한 것을 확인하였다.
주정 대신 청각 무게의 8배 내지 15배 무게로 정제수를 첨가하여 120℃에서 6 내지 12시간 동안 추출한 후, 다시 6배 내지 10배 무게의 정제수를 추가로 첨가하여 120℃에서 6 내지 12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열수 추출물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여과, 농축 및 건조하여 청각 열수추출 분말을 회수하였다.
상기 청각 추출물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모과 10 ㎏으로 모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하에서는 청각 추출물과 모과 추출물의 혼합물을 '복합 추출물'로 기재한다.
실험예 1: 청각 추출물, 모과 추출물 및 복합 추출물의 항균 활성
1-1. 실험대상 균주와 배양 배지
실험에 사용한 미생물은 항생제 내성 균주 은행(CultureCollection of Antimicrobial Resistant Microbes, CCARM; 서울여자대학교 제1과학관, 대한민국)에서 항생제 감수성 미생물(methicillin-sensitive Staphylococcus aureus , MSSA)을 분양받거나, ATCC(Ameriacan Type CultureCollection, VA, 미국) 또는 KCTC(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생물자원센터; 정읍, 대한민국)에서 구입하였다. 미생물 배양 배지는 Mueller Hinton broth(MHB; Sigma-Aldrich, 미국)를 이용하였다.
실험에 이용한 미생물을 하기 표 1에 기재하였으며, MRSA는 메티실린 내성 균주(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를 의미한다.
균 주 명
병원성
미생물
Staphylococcus aureus CCARM 0205 (MRSA)
S. aureus CCARM 3634 (MRSA)
S. aureus CCARM 3640 (MRSA)
S. aureus ATCC 0204
S. aureus ATCC 33591
S. aureus ATCC MSSA 0027
장내 유익
미생물
Lactobacillus delbrueckil subsp. bulgaricus
Lactobacillus rhamnosus KCTC 3237
Lactobacillus reuteri KCTC 3594
1-2.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복합 추출물의 항균 활성
상기 표 1에 기재된 미생물 중에서 병원성 미생물들을 하룻밤 동안 액체배지에서 배양하고, 0.5 McFarland standard로 탁도를 조절하여 1.5Х106 CFU/㎖로 맞춘 후 0.8% 한천을 포함하는 TSB(tryptic soy broth)에 넣어 TSA 플레이트(1.5% 한천)에 부어 주었다. 이후 배지가 굳으면 청각 추출물, 모과 추출물 또는 복합 추출물(청각:모과=1:1, 1:2 또는 2:1)이 처리된 직경 8 ㎜ 페이퍼 디스크를 배지 위에 올려 37℃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형성된 생장 저지환(clear zone)의 직경 크기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 및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항생제 내성 균주인 S. aureus CCARM 0205에 대하여 청각 추출물은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고, 복합 추출물 또한 항균 활성이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S. aureus CCARM 3634 및 S. aureus CCARM 3640 균주에 대하여 청각 추출물과 모과 추출물이 2:1 비율로 혼합된 복합 추출물을 처리하는 경우 항균 활성이 가장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1-3. 장내 유익균에 대한 항균 활성
상기 실험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청각 추출물과 모과 추출물을 2:1로 혼합한 복합 추출물(5, 10 및 20 ㎎/㎖)의 장내 유익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확인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합 추출물이 장내 유익균에 항균 활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이 병원성 미생물에 대해서만 항균 활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청각 추출물 및 모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각 추출물은 증류수, n-헥산, 1,3-부틸렌글리콜,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아세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과 추출물은 증류수, n-헥산, 1,3-부틸렌글리콜,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아세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조성물은 항생제 내성 미생물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인 항균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항생제 내성 미생물은 메티실린 내성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인 것인 항균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조성물은 청각 추출물과 모과 추출물을 1:10 내지 10:1의 질량비로 포함하는 것인 항균 조성물.
  7. 제1항의 항균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1020180025326A 2018-03-02 2018-03-02 청각 추출물 및 모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572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326A KR102572985B1 (ko) 2018-03-02 2018-03-02 청각 추출물 및 모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326A KR102572985B1 (ko) 2018-03-02 2018-03-02 청각 추출물 및 모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789A true KR20190104789A (ko) 2019-09-11
KR102572985B1 KR102572985B1 (ko) 2023-09-01

Family

ID=67949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326A KR102572985B1 (ko) 2018-03-02 2018-03-02 청각 추출물 및 모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9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2807A1 (ja) * 2021-02-12 2022-08-18 一丸ファルコス株式会社 口腔ケア用組成物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4263A (ko) * 1988-09-03 1990-04-12 정보영 항균작용이 증강된 모과엑기스를 배합한 과자류의 제조방법
KR20010025251A (ko) * 2000-11-18 2001-04-06 송재철 항균력을 갖는 모과엑기스의 제조방법
JP2005213269A (ja) * 2005-04-01 2005-08-11 Lotte Co Ltd 喉炎症起因菌(溶血性連鎖球菌)に対する抗菌活性と本菌種の産生する溶血毒に対する阻害活性とを有する口腔用組成物及び飲食品
KR100852744B1 (ko) 2007-01-24 2008-08-18 에이엠바이오 (주) 갈파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JP2013087101A (ja) * 2011-10-20 2013-05-13 Hiroshima Univ カリン等抽出物を有効成分とする非エンベロープウイルスに対する抗ウイルス剤
KR101768613B1 (ko) * 2016-12-27 2017-08-17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청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4263A (ko) * 1988-09-03 1990-04-12 정보영 항균작용이 증강된 모과엑기스를 배합한 과자류의 제조방법
KR20010025251A (ko) * 2000-11-18 2001-04-06 송재철 항균력을 갖는 모과엑기스의 제조방법
JP2005213269A (ja) * 2005-04-01 2005-08-11 Lotte Co Ltd 喉炎症起因菌(溶血性連鎖球菌)に対する抗菌活性と本菌種の産生する溶血毒に対する阻害活性とを有する口腔用組成物及び飲食品
KR100852744B1 (ko) 2007-01-24 2008-08-18 에이엠바이오 (주) 갈파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JP2013087101A (ja) * 2011-10-20 2013-05-13 Hiroshima Univ カリン等抽出物を有効成分とする非エンベロープウイルスに対する抗ウイルス剤
KR101768613B1 (ko) * 2016-12-27 2017-08-17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청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학술대회발표집. 2016.10*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2807A1 (ja) * 2021-02-12 2022-08-18 一丸ファルコス株式会社 口腔ケア用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2985B1 (ko) 2023-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4876B1 (ko) 브로콜리를 유산균으로 발효한 항염 및 항헬리코박터의 효과가 있는 기능성 발효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68613B1 (ko) 청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Chaleshtori et al. Antibacterial effects of the methanolic extract of Glycine Max (Soybean)
KR102178350B1 (ko) 항균 활성을 갖는 바실러스 사펜시스 균주 및 이의 항균 용도
KR102572985B1 (ko) 청각 추출물 및 모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Aditya et al. Antagonistic effects of phenolic extracts of Chokeberry pomace on E. coli O157: H7 but not on probiotic and normal bacterial flora
KR101216729B1 (ko) 소나무로부터 항균 활성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진 물질을 생산하는 방법
KR20190092038A (ko) 자귀나무 수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KR101959729B1 (ko) 항균 활성을 갖는 바실러스 퍼밀러스 균주 및 이의 항균 용도
Pop et al. Comparative antibacterial activity of different plant extracts in relation to their bioactive molecules, as determined by LC-MS analysis.
Retnam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of a medicinal plant Hybanthus enneaspermus (Linn.) F. Muell.
Dadook et al. Antimicrobial effect of Cyperus rotundus on multiple drug 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strains
KR102633602B1 (ko) 백두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102633600B1 (ko) 목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102663083B1 (ko) 누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Kumar Evaluation of antimicrobial efficacy of extracts from the bark of a semi arid plant Albizia lebbeck (L.) Benth
KR102633601B1 (ko) 대산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20190063025A (ko) 물티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물티슈
KR101867271B1 (ko)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생리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리대
Kumar et al. Antimicrobial and antibiofilm activities of methanol leaf extract of Citrus maxima against clinical isolates of multidrug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KR20020090740A (ko)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의 생육 및 우레아제 활성을 억제하는유카 추출물
KR20200090011A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mgt-02에 의한 항균활성 생물전환 아위느타리버섯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Ibrahim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Balanites aegyptiaca and Phyllanthus reticulates Leaves
Mohammed Efficacy and antibacterial potentials of Camilla sinensis L. against cariogenic, periodontopathic bacteria and Helicobacter pylori isolated from diabetic patients.
KR20180003844A (ko) 높은 항균활성이 부여된 생물전환 느릅나무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