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4309A - 안용 렌즈, 그 설계 방법, 그 제조 방법, 및 안용 렌즈 세트 - Google Patents

안용 렌즈, 그 설계 방법, 그 제조 방법, 및 안용 렌즈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4309A
KR20190104309A KR1020197007872A KR20197007872A KR20190104309A KR 20190104309 A KR20190104309 A KR 20190104309A KR 1020197007872 A KR1020197007872 A KR 1020197007872A KR 20197007872 A KR20197007872 A KR 20197007872A KR 20190104309 A KR20190104309 A KR 20190104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center
lens
ophthalmic lens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7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6965B1 (ko
Inventor
아키라 시모죠우
가즈오 나카자와
Original Assignee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04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1Contact lenses for the eyes bifocal; multifocal
    • G02C7/044Annular configuration, e.g. pupil tuned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1Contact lenses for the eyes bifocal; multifocal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6Contact lenses having an iris pattern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13Intraocular lenses having special lens configurations, e.g. multipart lense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pseudo-accommodative lenses, lenses having aberration corrections, diffractive lenses, lenses for variably absorb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lenses having variable focus
    • A61F2/1616Pseudo-accommodative, e.g. multifocal or enabling monovision
    • A61F2/1618Multifocal le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근용 도수를 구비한 근용부와, 원용 도수를 구비한 원용부를 갖고, 근용부 또는 원용부가 중앙에 배치되고, 중앙에 배치되지 않은 것이 그 외측 가장자리에 환상으로 배치된 광학부를 구비한 안용 렌즈로서, 광학부의 중앙에 배치된 근용부 또는 원용부에 있어서, 중앙으로부터 주변을 향하는 X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도수를 강하게 한 후에 약하게 한 부분 A 를 갖고 또한 X 방향과는 정반대의 방향으로서 중앙으로부터 주변을 향하는 X'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도 도수를 강하게 한 후에 약하게 한 부분 A' 를 갖는 안용 렌즈 및 그 관련 기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안용 렌즈, 그 설계 방법, 그 제조 방법, 및 안용 렌즈 세트
본 발명은 안용 (眼用) 렌즈, 그 설계 방법, 그 제조 방법, 및 안용 렌즈 세트에 관한 것이다.
안용 렌즈로는, 예를 들어 콘택트 렌즈나 안내 렌즈 등이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안용 렌즈로는 안경 렌즈는 제외한다). 예를 들어 콘택트 렌즈에는, 1 장의 렌즈로 근방 거리를 보기 위한 근용 (近用) 도수와 원방 거리를 보기 위한 원용 (遠用) 도수를 확보하는 멀티포컬 콘택트 렌즈 (다초점 렌즈) 가 존재한다. 이 다초점 렌즈의 구성으로는, 예를 들어 렌즈의 중앙에 근용 도수를 구비한 근용부를 배치하고, 그 외측 가장자리에 대해, 원용 도수를 구비한 원용부를 환상으로 배치하는 구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의 [도 1] [도 2]). 그 반대로, 렌즈의 중앙에 원용 도수를 구비한 원용부를 배치하고, 그 외측 가장자리에 대해, 근용 도수를 구비한 근용부를 환상으로 배치하는 구성도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의 [도 12]).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6-505011호 WO2006/129707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를 설명하기 전에, 광학부에 대해 설명을 추가한다. 또한, 이후에 있어서는 멀티포컬 콘택트 렌즈 (다초점 렌즈. 간단히 렌즈라고도 칭한다.) 로서 렌즈의 중앙에 근용 도수를 구비한 근용부를 배치하고, 그 외측 가장자리에 대해, 원용 도수를 구비한 원용부를 환상으로 배치하는 다초점 렌즈를 어디까지나 일례로서 예시한다.
먼저, 종래의 다초점 렌즈를 평면에서 본 개략도 (렌즈의 전면 (볼록한 면) 을 위로 하여 렌즈를 수평대에 재치 (載置) 했을 때에 광축 방향에 있어서 상하의 상 방향에서 하 방향을 보았을 때의 상면도. 평면에서 볼 때에 대해서는 이후 동일.) 가 도 1 이다. 또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렌즈 상의 거리를 평면시 거리라고 칭한다. 부호 1 은 근용부, 부호 2 는 원용부, 부호 3 은 광학부, 부호 4 는 주변부, 부호 5 는 멀티포컬 콘택트 렌즈를 가리킨다. 이후, 부호는 생략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즈의 광학 중심 O 를 동심으로 하여 중앙에 근용부, 그 외측 가장자리에 환상의 원용부를 배치한다. 본 예에서는 광학 중심 O 를 기하 중심과 일치시킨다. 이렇게 하여 근용부 및 원용부를 갖는 광학부가 구성된다. 그리고 광학부의 더욱 외측 가장자리에 환상의 주변부를 갖는다. 주변부는 렌즈를 각막 상에 재치했을 때에 눈꺼풀 안쪽으로 비집고 들어가기 쉬운 플랜지 형상을 갖는 것이 통상이다. 요컨대 광학부와 주변부에 의해 본 예의 렌즈는 구성된다. 단, 광학부와 주변부는 각각이 상기의 기능을 발휘하기위해 구별되어 있는 것으로서, 광학부와 주변부 사이에 단차 (段差) 등과 같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명확한 경계가 있는 것은 아니다.
본래라면, X-X' 방향 (즉 직경 방향) 의 단 (端) F 로부터 단 F' 까지 보았을 때의 도수를 플롯했을 때에, 근용부 (N-N' 의 영역) 라면 근용 도수가 확보되고, 원용부 (F-N 의 영역 및 N'-F' 의 영역) 라면 원용 도수가 확보되는 것이 당연하다.
그런데 실제의 렌즈라면 반드시 그러한 도수 플롯으로 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을 나타내는 것이 도 2 이다. 도 2 는, 종래의 멀티포컬 콘택트 렌즈의 광학부를 X-X' 방향의 단 F 로부터 단 F' 까지 보았을 때의 도수를 플롯한 도면이다. 가로축은, 렌즈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X-X' 에 있어서의 광학 중심 O 로부터의 거리를 나타낸다. 세로축은, 렌즈의 도수 (단위 : 디옵터 [D]) 를 나타내고, 상방을 향하면 도수가 증가하고, 하방을 향하면 도수가 감소한다. 여기서 말하는 도수란 렌즈의 양면의 형상 (곡률) 의 차에 의해 초래되는 도수를 말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제의 렌즈라면, 광학 중심 O 로부터 주변을 향하는 방향 (X 방향. 이후, 방향에 대해 특별한 기재가 없는 경우에는 이 방향이라고 한다.) 에서 도수 변화를 보았을 때에, 처음에는 완만하게 도수가 감소하고, 그 후에 급격하게 도수가 감소하고, 다시 도수의 감소가 완만해져, 최종적으로는 원용 도수에 이른다.
여기서 예시한 멀티포컬 콘택트 렌즈 (다초점 렌즈) 라는 일례라면 도수가 변화되는 부분을 구비할 필요가 있다. 이 사정을 감안하면, X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도수의 감소 모습은 도 2 (혹은 특허문헌 1 의 [도 1] [도 2]) 와 같이 될 수 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종래의 렌즈에 있어서는, 도수가 변화되는 부분을 천이부나 중간부 (특허문헌 2 의 [도 12] 의 부호 104) 로서 위치시키고 있는 것도 있다. 그렇게 되면, 도 2 의 사선 부분 (즉 도수를 감소시키기 시작한 부분) 에 있어서 어떻게 해도 근용 도수를 확보할 수 없다. 요컨대, 본래라면 근방에서 보아야 하는 부분에 있어서 충분히 근방에서 볼 수 없다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 방향 및 X'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도 2 보다 도수를 감소시키는 위치를 광학 중심 O 로부터 멀리 떨어뜨리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미리 설정한 근용부 (N-N' 의 영역) 에 있어서 근용 도수를 확보할 수 있다.
다만, 상기의 수법을 채용하면,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번에는 근용부의 외측 가장자리에 배치하는 원용부가 좁아져 버린다. 또, 결국 도 3 의 사선 부분 (즉 도수를 감소시키기 시작한 부분) 에 있어서 어떻게 해도 근용 도수를 확보할 수 없다.
멀티포컬 콘택트 렌즈의 광학부에 있어서는, 동공에 대해 양호한 밸런스로 원용부와 근용부를 배치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원용부와 근용부의 넓이의 밸런스를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은, 멀티포컬 콘택트 렌즈에만 관계되는 것이 아니고, 그 밖의 콘택트 렌즈, 혹은 안내 렌즈를 포함한 안용 렌즈에 대해서도 중요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광학부의 중앙에 근용부가 배치된 경우, 근용부에 있어서 근용 도수를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근용부와 그 외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원용부의 밸런스를 양호하게 유지하고, 광학부의 중앙에 원용부가 배치된 경우, 원용부에 있어서 원용 도수를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원용부와 그 외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근용부의 밸런스를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를 더하였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마리는, 도 2 의 사선 부분을 없애는 것이라고 본 발명자들은 생각하였다. 도 2 의 사선 부분이 생기는 이유는, X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도수의 감소를 근용부 내에서 이미 개시해야 하는 것에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근용부 내에서 도수의 감소를 개시하기 전에 도수를 근용 도수보다 증가시켜 두면, 도 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근용부 내에서 도수의 감소를 개시했다고 해도 근용부의 단 N 에서 근용 도수를 확보 가능하게 하는 수법을 지견하였다. 또한, 본 예와 같이 중앙에 근용부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근용 도수를 강하게 하고 (보다 가까운 곳이 보이는 방향 즉 플러스 방향으로 강하게 한다. 예 : 5.00D → 5.10D) 그 후에 원용 도수로 도수를 감소시키면 되고, 반대로, 중앙에 원용부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도 9(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용 도수를 강하게 하고 (보다 먼 곳이 보이는 방향 즉 마이너스 방향으로 강하게 한다. 예 : 0.00D → -0.10D) 그 후에 근용 도수로 도수를 증가시키면 된다.
이상의 지견을 얻은 결과, 이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구성을 채용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바람직한 각 양태는 적절히 조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근방 거리를 보기 위한 근용 도수를 구비한 근용부와, 근방 거리보다 먼 거리를 보기 위한 원용 도수를 구비한 원용부를 갖고, 상기 근용부 또는 상기 원용부가 중앙에 배치되고, 중앙에 배치되지 않은 것이 그 외측 가장자리에 환상으로 배치된 광학부를 구비한 안용 렌즈로서,
상기 광학부의 중앙에 배치된 상기 근용부 또는 상기 원용부에 있어서, 중앙으로부터 주변을 향하는 X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도수를 강하게 한 후에 약하게 한 부분 A 를 갖고 또한 X 방향과는 정반대의 방향으로서 중앙으로부터 주변을 향하는 X'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도 도수를 강하게 한 후에 약하게 한 부분 A' 를 갖는, 안용 렌즈이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제 1 양태에 기재된 발명으로서,
상기 광학부에 있어서는 상기 근용부가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부분 A 및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는 상기 근용 도수보다 근용으로 도수를 강하게 한 후에 원용 도수에 이를 때까지 도수를 약하게 한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는, 제 2 양태에 기재된 발명으로서,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 도수가 극대가 되는 지점은 1 개 지점뿐이고, 또한,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도 도수가 극대가 되는 지점은 1 개 지점뿐이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는, 제 2 또는 제 3 양태에 기재된 발명으로서,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 도수가 극대가 되는 지점과,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 도수가 극대가 되는 지점 사이의 평면시 거리는 1.0 ∼ 2.8 ㎜ 이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는, 제 2 ∼ 제 4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기재된 발명으로서,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의 도수의 극대값과 상기 근용 도수의 차는 0.05 ∼ 0.25D 이고, 또한,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의 도수의 극대값과 상기 근용 도수의 차도 0.05 ∼ 0.25D 이다.
본 발명의 제 6 양태는, 제 1 양태에 기재된 발명으로서,
상기 광학부에 있어서는 상기 원용부가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부분 A 및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는 상기 원용 도수보다 원용으로 도수를 강하게 한 후에 근용 도수에 이를 때까지 도수를 약하게 한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 7 양태는, 제 6 양태에 기재된 발명으로서,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 도수가 극소가 되는 지점은 1 개 지점뿐이고, 또한,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도 도수가 극소가 되는 지점은 1 개 지점뿐이다.
본 발명의 제 8 양태는, 제 6 또는 제 7 양태에 기재된 발명으로서,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 도수가 극소가 되는 지점과,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 도수가 극소가 되는 지점 사이의 평면시 거리는 1.0 ∼ 2.8 ㎜ 이다.
본 발명의 제 9 양태는, 제 6 ∼ 제 8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기재된 발명으로서,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의 도수의 극소값과 상기 원용 도수의 차는 0.05 ∼ 0.25D 이고, 또한,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의 도수의 극소값과 상기 원용 도수의 차도 0.05 ∼ 0.25D 이다.
본 발명의 제 10 양태는, 제 1 ∼ 제 9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기재된 발명으로서,
상기 안용 렌즈는 콘택트 렌즈 (소프트 콘택트 렌즈 또는 하드 콘택트 렌즈. 바람직하게는 소프트 콘택트 렌즈.) 이다.
본 발명의 제 11 양태는, 제 1 ∼ 제 9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기재된 발명으로서,
상기 안용 렌즈는 안내 렌즈이다.
본 발명의 제 12 양태는,
근방 거리를 보기 위한 근용 도수를 구비한 근용부와, 근방 거리보다 먼 거리를 보기 위한 원용 도수를 구비한 원용부를 갖고, 상기 근용부 또는 상기 원용부가 중앙에 배치되고, 중앙에 배치되지 않은 것이 그 외측 가장자리에 환상으로 배치된 광학부를 구비한 안용 렌즈의 설계 방법으로서,
상기 광학부의 중앙에 배치된 상기 근용부 또는 상기 원용부에 있어서, 중앙으로부터 주변을 향하는 X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도수를 강하게 한 후에 약하게 한 부분 A 를 갖고 또한 X 방향과는 정반대의 방향으로서 중앙으로부터 주변을 향하는 X'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도 도수를 강하게 한 후에 약하게 한 부분 A' 를 갖도록 안용 렌즈를 설계하는, 안용 렌즈의 설계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 13 양태는, 제 12 양태에 기재된 발명으로서,
상기 광학부에 있어서는 상기 근용부를 중앙에 배치하고,
상기 부분 A 및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는 상기 근용 도수보다 근용으로 도수를 강하게 한 후에 원용 도수에 이를 때까지 도수를 약하게 하도록 안용 렌즈를 설계한다.
본 발명의 제 14 양태는, 제 13 양태에 기재된 발명으로서,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 도수가 극대가 되는 지점은 1 개 지점뿐으로 하고, 또한,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도 도수가 극대가 되는 지점은 1 개 지점뿐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5 양태는, 제 13 또는 제 14 양태에 기재된 발명으로서,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 도수가 극대가 되는 지점과,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 도수가 극대가 되는 지점 사이의 평면시 거리를 1.0 ∼ 2.8 ㎜ 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6 양태는, 제 13 ∼ 제 15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기재된 발명으로서,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의 도수의 극대값과 상기 근용 도수의 차를 0.05 ∼ 0.25D 로 하고, 또한,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의 도수의 극대값과 상기 근용 도수의 차도 0.05 ∼ 0.25D 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7 양태는, 제 12 양태에 기재된 발명으로서,
상기 광학부에 있어서는 상기 원용부를 중앙에 배치하고,
상기 부분 A 및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는 상기 원용 도수보다 원용으로 도수를 강하게 한 후에 근용 도수에 이를 때까지 도수를 약하게 하도록 안용 렌즈를 설계한다.
본 발명의 제 18 양태는, 제 17 양태에 기재된 발명으로서,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 도수가 극소가 되는 지점을 1 개 지점뿐으로 하고, 또한,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도 도수가 극소가 되는 지점을 1 개 지점뿐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9 양태는, 제 17 또는 제 18 양태에 기재된 발명으로서,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 도수가 극소가 되는 지점과,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 도수가 극소가 되는 지점 사이의 평면시 거리를 1.0 ∼ 2.8 ㎜ 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0 양태는, 제 17 ∼ 제 19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기재된 발명으로서,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의 도수의 극소값과 상기 원용 도수의 차를 0.05 ∼ 0.25D 로 하고, 또한,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의 도수의 극소값과 상기 원용 도수의 차도 0.05 ∼ 0.25D 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1 양태는, 제 12 ∼ 제 20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기재된 발명으로서,
상기 안용 렌즈는 콘택트 렌즈 (소프트 콘택트 렌즈 또는 하드 콘택트 렌즈. 바람직하게는 소프트 콘택트 렌즈.) 이다.
본 발명의 제 22 양태는, 제 12 ∼ 제 20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기재된 발명으로서,
상기 안용 렌즈는 안내 렌즈이다.
본 발명의 제 23 양태는, 제 12 ∼ 제 22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기재된 안용 렌즈의 설계 방법에 의해 안용 렌즈를 설계하는 설계 공정과,
설계된 안용 렌즈를 가공 장치에 의해 제조하는 가공 공정을 갖는, 안용 렌즈의 제조 방법이다.
또, 상기의 안용 렌즈를 복수 구비하는 안용 렌즈 세트의 양태를 들면 이하와 같다. 또한, 이하의 양태에 대해, 앞서 예시한 바람직한 양태를 적절히 조합한 것도 본 발명의 양태이다.
본 발명의 제 24 양태는,
근방 거리를 보기 위한 근용 도수를 구비한 근용부와, 근방 거리보다 먼 거리를 보기 위한 원용 도수를 구비한 원용부를 갖고, 상기 근용부 또는 상기 원용부가 중앙에 배치되고, 중앙에 배치되지 않은 것이 그 외측 가장자리에 환상으로 배치된 광학부를 구비한 안용 렌즈를 복수 구비하는 안용 렌즈 세트로서,
상기 광학부의 중앙에 배치된 상기 근용부 또는 상기 원용부에 있어서, 중앙으로부터 주변을 향하는 X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도수를 강하게 한 후에 약하게 한 부분 A 를 갖고 또한 X 방향과는 정반대의 방향으로서 중앙으로부터 주변을 향하는 X'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도 도수를 강하게 한 후에 약하게 한 부분 A' 를 갖는 안용 렌즈를 복수 구비하는, 안용 렌즈 세트이다.
또, 상기의 양태에 조합 가능한 다른 양태를 열거하면 이하와 같다.
본 발명의 제 25 양태는, 상기의 각 양태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에 있어서는 상기 근용부가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부분 A 및 상기 부분 A' 란, 근용부 내에 있어서 도수가 증가한 후에 근용 도수 이하로 감소한 (바람직하게는 도수가 계속해서 감소한) 후, 원용 도수에 이를 때까지 도수가 감소하는 (바람직하게는 도수가 계속해서 감소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제 26 양태는, 제 25 양태에 있어서,
도수 플롯에서 보았을 때에 위로 볼록한 부분이 2 개 지점 (즉 오목한 부분이 1 개 지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7 양태는, 제 25 또는 제 26 양태에 있어서,
상기의 평면시 거리는 1.0 ∼ 2.8 ㎜ 인 것이 바람직하고, 하한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 더욱 바람직하게는 1.4 ㎜, 매우 바람직하게는 1.6 ㎜ 이고, 상한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2.6 ㎜, 더욱 바람직하게는 2.4 ㎜ 이다.
본 발명의 제 28 양태는, 제 25 ∼ 제 27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부분 A 에 있어서의 도수의 극대값과 근용 도수의 차는 0.05 ∼ 0.25D 이고, 또한, 부분 A' 에 있어서의 도수의 극대값과 근용 도수의 차도 0.05 ∼ 0.25D 인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하한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D, 더욱 바람직하게는 0.12D, 매우 바람직하게는 0.15D 이고, 상한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D 이다.
본 발명의 제 29 양태는, 제 25 ∼ 제 28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렌즈에 대해 직선 X-X' 를 광학 중심 O 를 중심으로 0 에서 180°까지 회전시켰을 때에, 부분 A 및 부분 A' 에 있어서 근용 도수보다 근용으로 도수를 강하게 한 후에 원용 도수에 이를 때까지 도수를 약하게 한 형상을 갖는 부분이 광학부의 50 면적%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면적%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0 면적%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30 양태는, 상기의 각 양태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에 있어서는 상기 원용부가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부분 A 및 상기 부분 A' 란, 원용부 내에 있어서 도수가 감소한 후에 원용 도수 이상으로 증가한 (바람직하게는 계속 증가한) 후, 근용 도수에 이를 때까지 도수가 증가하는 (바람직하게는 도수가 계속 증가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제 31 양태는, 제 30 양태에 있어서,
도수 플롯에서 보았을 때에 오목한 부분이 2 개 지점 (즉 위로 볼록한 부분이 1 개 지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32 양태는, 제 30 또는 제 31 양태에 있어서,
상기의 평면시 거리는 1.0 ∼ 2.8 ㎜ 인 것이 바람직하고, 하한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 더욱 바람직하게는 1.4 ㎜, 매우 바람직하게는 1.6 ㎜ 이고, 상한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2.6 ㎜, 더욱 바람직하게는 2.4 ㎜ 이다.
본 발명의 제 33 양태는, 제 30 ∼ 제 32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부분 A 에 있어서의 도수의 극소값과 원용 도수의 차는 0.05 ∼ 0.25D 이고, 또한, 부분 A' 에 있어서의 도수의 극소값과 원용 도수의 차도 0.05 ∼ 0.25D 인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하한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D, 더욱 바람직하게는 0.12D, 매우 바람직하게는 0.15D 이고, 상한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D 이다.
본 발명의 제 34 양태는, 제 30 ∼ 제 33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렌즈에 대해 직선 X-X' 를 광학 중심 O 를 중심으로 0 에서 180°까지 회전시켰을 때에, 부분 A 및 부분 A' 에 있어서 원용 도수보다 원용으로 도수를 강하게 한 후에 근용 도수에 이를 때까지 도수를 약하게 한 형상을 갖는 부분이 광학부의 50 면적%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면적%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0 면적%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35 양태는, 상기의 각 양태에 있어서,
상기 안용 렌즈는 안내 렌즈이고,
상기 안용 렌즈는, 상기 광학부를 갖는 렌즈 본체와, 상기 렌즈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부는, 예를 들어, 렌즈 본체로부터 아암상으로 연장되는 2 개의 지지부이다.
본 발명의 제 36 양태는,
근방 거리를 보기 위한 근용 도수를 구비한 근용부와, 근방 거리보다 먼 거리를 보기 위한 원용 도수를 구비한 원용부를 갖고, 상기 근용부 또는 상기 원용부가 중앙에 배치되고, 중앙에 배치되지 않은 것이 그 외측 가장자리에 환상으로 배치된 광학부를 구비한 안용 렌즈로서,
상기 광학부의 중앙에 배치된 상기 근용부 또는 상기 원용부에 있어서, 중앙으로부터 주변을 향하는 X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도수를 강하게 한 후에 약하게 한 부분 A 를 갖고 또한 X 방향과는 정반대의 방향으로서 중앙으로부터 주변을 향하는 X'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는 도수의 변곡점이 존재하는, 안용 렌즈 또는 그 설계 방법,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학부의 중앙에 근용부가 배치된 경우, 근용부에 있어서 근용 도수를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근용부와 그 외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원용부의 밸런스를 양호하게 유지하고, 광학부의 중앙에 원용부가 배치된 경우, 원용부에 있어서 원용 도수를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원용부와 그 외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근용부의 밸런스를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 은, 종래의 다초점 렌즈를 평면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2 는, 종래의 멀티포컬 콘택트 렌즈의 광학부를 X-X' 방향의 단 F 로부터 단 F' 까지 보았을 때의 도수를 플롯한 도면이다.
도 3 은, X 방향 및 X'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도 2 보다 도수를 감소시키는 위치를 광학 중심 O 로부터 멀리 떨어뜨린 도면이다.
도 4(a) 는, 본 실시형태의 멀티포컬 콘택트 렌즈의 광학부를 X-X' 방향의 단 F 로부터 단 F' 까지 보았을 때의 도수를 플롯한 도면이고, 도 4(b) 는 도 4(a) 에 있어서의 근용부의 확대도이다.
도 5 는, 본 실시형태의 멀티포컬 콘택트 렌즈에 있어서의 다른 패턴의 도수 플롯도이다.
도 6 은, 본 실시형태의 멀티포컬 콘택트 렌즈에 있어서의 다른 패턴의 도수 플롯도이다.
도 7 은, 본 실시형태의 멀티포컬 콘택트 렌즈에 있어서의 다른 패턴의 도수 플롯도이다.
도 8 은, 다초점 렌즈 (중앙에 원용부, 그 외측 가장자리에 근용부를 배치한 것) 를 평면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9(a) 는, 다른 실시형태의 멀티포컬 콘택트 렌즈의 광학부를 X-X' 방향의 단 N 으로부터 단 N' 까지 보았을 때의 도수를 플롯한 도면이고, 도 9(b) 는 도 9(a) 에 있어서의 원용부의 확대도이다.
도 10 은, 실시예 1 의 렌즈의 광학부를 X-X' 방향의 단 F 로부터 단 F' 까지 보았을 때의 도수의 플롯이다.
도 11 은, 비교예 1 의 렌즈의 광학부를 X-X' 방향의 단 F 로부터 단 F' 까지 보았을 때의 도수의 플롯이다.
도 12 는, 실시예 2 의 렌즈의 광학부를 X-X' 방향의 단 F 로부터 단 F' 까지 보았을 때의 도수의 플롯이다.
도 13 은, 비교예 2 의 렌즈의 광학부를 X-X' 방향의 단 F 로부터 단 F' 까지 보았을 때의 도수의 플롯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다음의 순서로 설명을 실시한다.
1. 콘택트 렌즈
1-1. 멀티포컬 콘택트 렌즈 (다초점 렌즈)
1-1-1. 근용부를 중앙에 배치
1-1-2. 원용부를 중앙에 배치
1-2. 그 밖의 콘택트 렌즈
2. 콘택트 렌즈의 설계 방법 (제조 방법)
3. 안내 렌즈 (IOL) 및 그 설계 방법 (제조 방법)
4. 안용 렌즈 세트
5. 변형예
또한, 이하에 기재가 없는 구성에 대해서는, 공지된 구성을 적절히 채용해도 상관없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는 소정의 값 이상 또한 소정의 값 이하를 가리킨다.
또, 본 명세서에서 취급하는 안용 렌즈 (콘택트 렌즈, 또는 안내 렌즈에 있어서의 렌즈 본체) 는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면을 갖는다. 그 안용 렌즈를 장용자 (裝用者) 가 장착했을 때에 망막측에 위치하는 쪽을 「후면」이라고 하고, 그 반대인 물체측에 위치하는 쪽을 「전면」이라고 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도수란 파워 (단위는 [D]) 를 가리킨다.
또, 조금 전에도 서술한 바이지만, 중앙에 근용부가 배치되는 경우, 「근용 도수를 강하게」란, 보다 가까운 곳이 보이는 방향 즉 플러스 방향으로 강하게 하는 것을 가리키고, 도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가리킨다 (예 : 5.00D → 5.10D). 반대로 「근용 도수를 약하게」란, 가까운 곳이 잘 보이지 않게 되는 방향 즉 플러스 방향으로 보아 약하게 하는 것을 가리키고, 도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가리킨다 (예 : 5.10D → 5.00D).
그 한편, 중앙에 원용부가 배치되는 경우, 「원용 도수를 강하게」란, 보다 먼 곳이 보이는 방향 즉 마이너스 방향으로 강하게 하는 것을 가리키고, 도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가리킨다 (예 : 0.00D → -0.10D). 반대로 「원용 도수를 약하게」란, 먼 곳이 잘 보이지 않게 되는 방향 즉 플러스 방향으로 보아 약하게 하는 것을 가리키고, 도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가리킨다 (예 : -0.10D → 0.00D).
요컨대, 중앙에 근용부가 배치될지 원용부가 배치될지 미정인 단계에서의 「도수를 강하게」란, 근용 도수 또는 원용 도수를 강하게 하는 것을 의미하고, 「도수를 약하게」란 근용 도수 또는 원용 도수를 약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1. 콘택트 렌즈>
1-1. 멀티포컬 콘택트 렌즈 (다초점 렌즈)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멀티포컬 콘택트 렌즈 (다초점 렌즈. 이후, 간단히 렌즈라고도 칭한다.) 를 주로 예시한다.
1-1-1. 근용부를 중앙에 배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렌즈는, 앞서 설명한 종래의 렌즈와 마찬가지로, 광학 성능에 주로 기여하는 대략 원 형상의 광학부와, 그 광학부의 둘레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환상의 주변부를 구비한다. 조금 전에 서술한 바와 같이 주변부는 렌즈를 각막 상에 재치했을 때에 눈꺼풀 안쪽으로 비집고 들어가기 쉬운 플랜지 형상을 갖는 것이 통상이다. 그리고 광학부는, 근방 거리를 보기 위한 근용 도수를 구비한 근용부와, 근방 거리보다 먼 거리 (무한원 (無限遠) 포함한다) 를 보기 위한 원용 도수를 구비한 원용부를 갖는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근용부가 중앙에 배치되고, 원용부가 그 외측 가장자리에 환상으로 배치된 예를 든다. 또한, 평면에서 볼 때의 구성으로는 앞서 예시한 도 1 과 동일하다. 본 예에 있어서도 광학 중심 O 를 렌즈의 기하 중심과 일치시킨 예를 들지만, 본 발명은 그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후 동일).
본 실시형태의 렌즈가 종래의 것과 주로 상이한 것은 도수의 플롯이다. 이하, 상세히 서술한다.
본 실시형태의 멀티포컬 콘택트 렌즈의 광학부를 X-X' 방향의 단 F 로부터 단 F' 까지 보았을 때의 도수를 플롯한 도 4(a) 및 근용부의 확대도인 도 4(b) 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 와 마찬가지로, 가로축은, 렌즈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X-X' 에 있어서의 광학 중심 O 로부터의 거리를 나타낸다. 세로축은, 렌즈의 도수 (단위 : 디옵터 [D]) 를 나타낸다.
조금 전에도 서술한 바와 같이, 근용부가 중앙에 배치되고, 원용부가 그 외측 가장자리에 환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 관계상, 광학 중심 O 쪽이 원용부보다 도수가 높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렌즈의 처방으로는, 통상, 원용 도수 S 와 가입 (加入) 도수 ADD (그리고 난시 교정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난시 도수 C) 의 값이 주어지지만, 근용 도수란 (S + ADD) 의 값이다 (각 도수의 단위는 [D], 이후 동일). 근용부 N-N' 에 있어서 광학 중심 O 의 근방에 있어서 도수를 근용 도수의 값으로 한다. 또한, 엄밀하게 광학 중심 O 의 위치에 있어서 근용 도수의 값 (즉 광학 중심 O 에 있어서의 도수 = 근용 도수) 으로 하는 한편으로, 광학 중심 O 가 기하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경우, 기하 중심에 있어서는 근용 도수의 값으로부터 약간 벗어나도 상관없다.
단, 도 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렌즈는, 부분 A 및 부분 A' 에 있어서는 근용 도수보다 근용으로 도수를 강하게 한 후에 원용 도수에 이를 때까지 도수를 약하게 한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말하는 부분 A 및 부분 A' 란, 근용부 내에 있어서 예를 들어 부분 A 라면 도수가 증가한 후에 근용 도수 이하로 감소한 (바람직하게는 도수가 계속해서 감소한) 후, 원용 도수에 이를 때까지 도수가 감소하는 (바람직하게는 도수가 계속해서 감소하는) 부분을 가리킨다. 도 4 에서 말하면, 부분 A 및 부분 A' 는, 근용부 (중앙) 에 존재하면서도 그 주변인 원용부에도 걸쳐 존재하는 부분이다.
또한, 부분 A 에 있어서 도수가 극대가 되는 지점은 1 개 지점뿐이고, 또한, 부분 A' 에 있어서도 도수가 극대가 되는 지점은 1 개 지점뿐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도수 플롯에서 보았을 때에 위로 볼록한 부분이 2 개 지점 (즉 오목한 부분이 1 개 지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규정에 의해, 도수 플롯에서 보았을 때에 다수의 작은 볼록한 부분을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다수의 작은 볼록한 부분을 형성해도, 도 2 에 나타내는 사선 부분을 충분히 메우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그 때문에, 부분 A 나 부분 A' 에 있어서 도수가 극대가 되는 지점을 도수 플롯 상에서 1 개 지점 크게 형성하는 것보다 더 좋은 것은 없다. 다만, 그것은 필수가 아니라, 예를 들어 2, 3 개 지점의 극대가 되는 지점을 형성해도 상관없다.
또, 부분 A 에 있어서 도수가 극대가 되는 지점과, 부분 A' 에 있어서 도수가 극대가 되는 지점 사이의 평면시 거리 L 은, 1.0 ∼ 2.8 ㎜ 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한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 더욱 바람직하게는 1.4 ㎜, 매우 바람직하게는 1.6 ㎜ 이고, 상한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2.6 ㎜, 더욱 바람직하게는 2.4 ㎜ 이다. 이 규정에 의해, 도수의 증가 후 감소시키는 위치를 확실하게 적절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 그것은 필수가 아니라, 렌즈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평면시 거리 L 을 설정해도 상관없다.
또, 부분 A 에 있어서의 도수의 극대값과 근용 도수의 차는 0.05 ∼ 0.25D 이고, 또한, 부분 A' 에 있어서의 도수의 극대값과 근용 도수의 차도 0.05 ∼ 0.25D 인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하한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D, 더욱 바람직하게는 0.12D, 매우 바람직하게는 0.15D 이고, 상한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D 이다. 이 규정에 의해, 도 2 에 나타내는 사선 부분을 충분히 또한 확실하게 메우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만, 그것은 필수가 아니라, 상황에 따라 상기의 차를 적절히 설정해도 상관없고, 부분 A 와 부분 A' 에서 상기의 도수 차가 상이해도 물론 상관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중앙에 배치되는 것 (여기서는 근용부) 에 있어서의 도수의 증감의 거동에 큰 특징이 있다. 이 특징 덕분에 외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것 (여기서는 원용부) 을 충분히 넓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외측 가장자리의 원용부의 도수 플롯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앞서 나타낸 도 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도수 플롯, 즉 처음에는 완만하게 도수가 감소하고, 그 후에 급격하게 도수가 감소하고, 다시 도수의 감소가 완만해져, 최종적으로는 원용 도수에 도달한 후에도 도수가 계속해서 감소한다는 도수 플롯을 가져도 상관없다.
그 한편으로,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음에는 완만하게 도수가 감소하고, 그 후에 약간 급하게 도수가 감소하고, 최종적으로는 원용 도수에 도달한 후에도 도수가 계속해서 감소한다는 도수 플롯을 가져도 상관없다.
또,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음에는 완만하게 도수가 감소하고, 그 후에 급격하게 도수가 감소하고, 다시 도수의 감소가 완만해져, 최종적으로는 원용 도수에 도달한 후에는 도수 변화가 없어진다는 도수 플롯을 가져도 상관없다.
또,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음에는 완만하게 도수가 감소하고, 그 후에 약간 급하게 도수가 감소한 후에 급격하게 도수가 감소하고, 최종적으로는 원용 도수에 도달한 후에도 도수가 계속해서 감소한다는 도수 플롯을 가져도 상관없다.
추가로 말하면, 중앙의 근용부, 둘레 가장자리의 원용부에 추가하여, 그 더욱 둘레 가장자리에 환상의 근용부를 형성하는 경우도 본 발명은 배제하지 않는다. 또, 이후에 상세히 서술하지만 중앙에 원용부를 형성하고, 둘레 가장자리에 근용부, 그 더욱 둘레 가장자리에 환상의 원용부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동일하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는 도수 플롯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근용부를 규정했지만, 도수 플롯 대신에 전면의 형상 (곡률) 으로 근용부를 규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왜냐하면, 종래의 렌즈라면, 각막과 접하는 쪽의 면 (후면) 은 각막의 형상을 모방한 면 (예를 들어 구면이나 토릭면) 에 준하는 형상으로 해야 한다. 그렇게 되면, 도수의 조정을 눈꺼풀측의 면 (전면) 의 형상에 따라 실시해야 한다. 그 결과, 도수 플롯의 특징이 렌즈의 전면의 형상 (곡률) 에 따라 나타내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이하와 같은 표현이 된다. 「근방 거리를 보기 위한 근용 도수를 구비한 근용부와, 근방 거리보다 먼 거리를 보기 위한 원용 도수를 구비한 원용부를 갖고, 근용부가 중앙에 배치되고, 원용부가 그 외측 가장자리에 환상으로 배치된 광학부를 구비한 안용 렌즈로서,
근용부에 있어서, 중앙으로부터 주변을 향하는 X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곡률 반경을 감소시킨 후에 증가시킨 부분 A 를 갖고 또한 X 방향과는 정반대의 방향으로서 중앙으로부터 주변을 향하는 X'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도 곡률 반경을 감소시킨 후에 증가시킨 부분 A' 를 갖는, 안용 렌즈.
바람직하게는,
부분 A 에 있어서 곡률 반경이 극소가 되는 지점은 1 개 지점뿐이고, 또한, 부분 A' 에 있어서도 곡률 반경이 극소가 되는 지점은 1 개 지점뿐이다.
바람직하게는,
부분 A 에 있어서 곡률 반경이 극소가 되는 지점과, 부분 A' 에 있어서 곡률 반경이 극소가 되는 지점 사이의 평면시 거리는 1.0 ∼ 2.8 ㎜ 이다.
바람직하게는,
부분 A 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의 극소값과 광학 중심의 곡률 반경의 차의 바람직한 값은, 중앙의 도수 (파워) 에 의하는 바가 크지만, 일례로는 0.01 ∼ 0.13 ㎜, 바람직하게는 0.03 ∼ 0.11 ㎜ 이고, 부분 A' 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의 극소값과 근용 도수의 차도 일례로는 0.01 ∼ 0.13 ㎜, 바람직하게는 0.03 ∼ 0.11 ㎜ 이다. 그 때의 설정은, 광학 중심의 파워를 -3.00D, 베이스 커브 8.5 ㎜, 굴절률 1.45, 중심 두께 0.10 ㎜ 로 하고 있다.」
덧붙여서 도수로 규정했을 경우의 적합예를, 곡률 반경을 사용한 경우에 대해, 적절히 도수를 곡률 반경으로 변환한 후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렌즈는, 부분 A 및 부분 A' 에 있어서는 근용 도수보다 근용으로 도수를 강하게 한 후에 원용 도수에 이를 때까지 도수를 약하게 한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렌즈에 대해 직선 X-X' 를 광학 중심 O 를 중심으로 0 에서 180°까지 회전시켰을 때에, 그 형상을 갖는 부분이 광학부 전체 (설명의 편의상, 간단히 광학부라고도 칭한다.) 의 50 면적%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면적%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0 면적%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면적%」란,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광학부의 면적에 대해, 동일하게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광학 중심에서 보아, 렌즈에 대해 직선 X-X' 를 광학 중심 O 를 중심으로 0 에서 180°까지 회전시켰을 때에 상기의 형상을 갖는 부분 (예를 들어 광학 중심 O 와 광학부의 최외측 가장자리의 원호로 둘러싸이는 부채꼴의 2 개 지점의 부분 (0°∼ 180°에 있는 부분 A, 180°∼ 360°에 있는 부분 A')) 의 면적의 합계의 백분율을 의미한다.
또, 렌즈에 있어서의 광학부와 주변부 사이에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경계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렌즈의 도수를 측정하는 장치 (파워 미터) 를 사용함으로써 판별 가능하다.
1-1-2. 원용부를 중앙에 배치
상기의 예와는 반대로, 원용부가 중앙에 배치되고, 근용부가 그 외측 가장자리에 환상으로 배치된 경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사상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평면에서 볼 때의 구성으로는 앞서 예시한 도 4 에 있어서의 근용부와 원용부의 위치를 역전시킨 것이 된다. 그것을 나타낸 것이 도 8 이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의 부분 A 및 부분 A' 란, 원용부 내에 있어서 예를 들어 부분 A 라면 도수가 감소한 후에 원용 도수 이상으로 증가한 (바람직하게는 계속해서 증가한) 후, 근용 도수에 이를 때까지 도수가 증가하는 (바람직하게는 도수가 계속 증가하는) 부분인 것을 가리킨다. 도 9 에서 말하면, 부분 A 및 부분 A' 는, 원용부 (중앙) 에 존재하면서도 그 주변인 근용부에도 걸쳐 존재하는 부분이다.
본 예의 멀티포컬 콘택트 렌즈의 광학부를 X-X' 방향의 단 N 으로부터 단 N' 까지 보았을 때의 도수를 플롯한 도 9(a) 및 원용부의 확대도인 도 9(b) 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예에 있어서는, 원용부가 중앙에 배치되고, 근용부가 그 외측 가장자리에 환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 관계상, 광학 중심 O 쪽이 근용부보다 도수가 낮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렌즈의 처방으로는, 통상, 원용 도수 S 와 가입 도수 ADD (그리고 난시 교정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난시 도수 C) 의 값이 주어진다. 또한, 엄밀하게 광학 중심 O 의 위치에 있어서 원용 도수의 값 (즉 광학 중심 O 에 있어서의 도수 = 원용 도수 S) 으로 하는 한편으로, 광학 중심 O 가 기하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경우, 기하 중심에 있어서는 원용 도수의 값으로부터 약간 벗어나도 상관없다.
단, 도 9(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예의 렌즈는, 부분 A 및 부분 A' 에 있어서는 원용 도수보다 원용으로 도수를 강하게 한 (보다 먼 곳이 보이는 방향 즉 마이너스 방향으로 강하게 한다.) 후에 근용 도수에 이를 때까지 도수를 약하게 한 (먼 곳이 보이지 않는 방향 즉 마이너스 방향으로 보아 약하게 한다.) 형상을 갖는다.
또한, 부분 A 에 있어서 도수가 극소가 되는 지점은 1 개 지점뿐이고, 또한, 부분 A' 에 있어서도 도수가 극소가 되는 지점은 1 개 지점뿐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도수 플롯에서 보았을 때에 오목한 부분이 2 개 지점 (위로 볼록한 부분이 1 개 지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규정에 의해, 도수 플롯에서 보았을 때에 다수의 작은 오목한 부분을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다수의 작은 오목한 부분을 형성해도, 원용 도수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도 있다. 그 때문에, 부분 A 나 부분 A' 에 있어서 도수가 극소가 되는 지점을 도수 플롯 상에서 1 개 지점 크게 형성하는 것보다 더 좋은 것은 없다. 다만, 그것은 필수가 아니라, 예를 들어 2, 3 개 지점의 극소가 되는 지점을 형성해도 상관없다.
또, 부분 A 에 있어서 도수가 극소가 되는 지점과, 부분 A' 에 있어서 도수가 극소가 되는 지점 사이의 평면시 거리 L 은 1.0 ∼ 2.8 ㎜ 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한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 더욱 바람직하게는 1.4 ㎜, 매우 바람직하게는 1.6 ㎜ 이고, 상한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2.6 ㎜, 더욱 바람직하게는 2.4 ㎜ 이다. 이 규정에 의해, 도수의 증가 후 감소시키는 위치를 확실하게 적절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만, 그것은 필수가 아니라, 렌즈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평면시 거리 L 을 설정해도 상관없다.
또, 부분 A 에 있어서의 도수의 극소값과 원용 도수의 차는 0.05 ∼ 0.25D 이고, 또한, 부분 A' 에 있어서의 도수의 극소값과 원용 도수의 차도 0.05 ∼ 0.25D 인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하한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D, 더욱 바람직하게는 0.12D, 매우 바람직하게는 0.15D 이고, 상한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D 이다. 이 규정에 의해, 도 2 에 나타내는 사선 부분을 충분히 또한 확실하게 메우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만, 그것은 필수가 아니라, 상황에 따라 상기의 차를 적절히 설정해도 상관없고, 부분 A 와 부분 A' 에서 상기의 도수 차가 상이해도 물론 상관없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도, 중앙에 배치되는 것 (여기서는 원용부) 에 있어서의 도수의 증감의 거동에 큰 특징이 있다. 이 특징 덕분에 외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것 (여기서는 근용부) 을 충분히 넓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외측 가장자리의 근용부의 도수 플롯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앞서 나타낸 도 5 ∼ 7 의 도수 플롯을 상하 역전시킨 형상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본 예의 렌즈는, 부분 A 및 부분 A' 에 있어서는 원용 도수보다 원용으로 도수를 강하게 한 후에 근용 도수에 이를 때까지 도수를 약하게 한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렌즈에 대해 직선 X-X' 를 광학 중심 O 를 중심으로 0 에서 180°까지 회전시켰을 때에, 그 형상을 갖는 부분이 광학부의 50 면적%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면적%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0 면적%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도수 플롯 대신에 전면의 형상 (곡률) 으로 원용부를 규정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조금 전에 중앙에 근용부를 배치하는 경우에서 서술한 것과 원리는 동일하고, 근용부와 원용부를 바꿔 넣고, 극대를 극소로 치환하여, 「(곡률 반경을) 감소시킨 후에 증가」를 「(곡률 반경을) 증가시킨 후에 감소」라고 치환하면 된다.
1-2. 그 밖의 콘택트 렌즈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멀티포컬 콘택트 렌즈를 예시했지만, 그 이외의 콘택트 렌즈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바이포컬 콘택트 렌즈에 있어서는, 중앙에 근용부를 배치하는 경우, 외측 가장자리의 원용부와의 경계 근방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중앙으로부터 주변을 향하는 X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근용 도수보다 근용으로 도수를 강하게 한 후에 원용 도수에 이를 때까지 도수를 약하게 한 부분 A 를 갖고 또한 X 방향과는 정반대의 방향으로서 중앙으로부터 주변을 향하는 X'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도 근용 도수보다 근용으로 도수를 강하게 한 후에 원용 도수에 이를 때까지 도수를 약하게 한 부분 A' 를 갖는 구성을 구비시킨다. 이로써, 근용부에 있어서 근용 도수를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근용부와 그 외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원용부의 밸런스를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적합예 등에 대해서는 <1-1-1.근용부를 중앙에 배치> 의 항목에서 서술한 내용과 중복되기 때문에 생략한다.
또한, 원용부를 중앙에 배치하고 외측 가장자리에 근용부를 배치한 경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밖의 내용은, <1-1-2. 원용부를 중앙에 배치> 의 항목에서 서술한 내용과 중복되기 때문에 생략한다.
또, 멀티포컬 토릭 콘택트 렌즈에 있어서도, 토릭 형상이라고 해서 상기와 같은 도수의 거동은 지장을 받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앞서 설명한 부분 A 및 A' 를 구비하는 본 실시형태의 렌즈는, 소프트 콘택트 렌즈여도 하드 콘택트 렌즈여도 적용 가능하지만, 각막 상에서의 배치가 거의 바뀌지 않는 소프트 콘택트 렌즈라면, 충분한 광학 성능 및 장용자에 대한 고객 만족을 제공하는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이상의 결과, 본 실시형태의 각 예에 의하면, 광학부의 중앙에 근용부가 배치된 경우, 근용부에 있어서 근용 도수를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근용부와 그 외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원용부의 밸런스를 양호하게 유지하고, 광학부의 중앙에 원용부가 배치된 경우, 원용부에 있어서 원용 도수를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원용부와 그 외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근용부의 밸런스를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2. 콘택트 렌즈의 설계 방법 (제조 방법)>
상기의 내용은, 콘택트 렌즈의 설계 방법이나 제조 방법에 있어서도 충분히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계 방법에 대해서는 이하의 구성이 된다.
「근방 거리를 보기 위한 근용 도수를 구비한 근용부와, 근방 거리보다 먼 거리를 보기 위한 원용 도수를 구비한 원용부를 갖고, 상기 근용부 또는 상기 원용부가 중앙에 배치되고, 중앙에 배치되지 않은 것이 그 외측 가장자리에 환상으로 배치된 광학부를 구비한 안용 렌즈의 설계 방법으로서,
상기 광학부의 중앙에 배치된 상기 근용부 또는 상기 원용부에 있어서, 중앙으로부터 주변을 향하는 X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도수를 강하게 한 후에 약하게 한 부분 A 를 갖고 또한 X 방향과는 정반대의 방향으로서 중앙으로부터 주변을 향하는 X'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도 도수를 강하게 한 후에 약하게 한 부분 A' 를 갖도록 안용 렌즈를 설계하는, 안용 렌즈의 설계 방법.」
또한, 구체적인 설계 수법에 관해서는 공지된 렌즈의 설계 방법이나 설계 장치로 설계를 실시하면 충분하다. 또, <1. 콘택트 렌즈> 에서 서술한 경우 분류 (중앙에 근용부를 배치하는 경우와 원용부를 배치하는 경우) 및 각 적합예는 본 항목에 적용 가능하여, <1. 콘택트 렌즈> 의 기재와 중복되기 때문에, 여기서는 기재를 생략한다.
또, 제조 방법에 관해서는, 상기의 안용 렌즈의 설계 방법 (경우에 따라서는 각 적합예를 적절히 조합한다) 에 의해 안용 렌즈를 설계하는 설계 공정과, 설계된 안용 렌즈를 가공 장치에 의해 제조하는 가공 공정을 갖는다. 또한, 구체적인 가공 수법에 관해서는 이것도 공지된 렌즈의 가공 장치를 사용하여 가공을 실시하면 충분하다.
<3. 안내 렌즈 (IOL) 및 그 설계 방법 (제조 방법)>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안내 렌즈 (IOL) 및 그 설계 방법 (제조 방법) 에 있어서도 충분히 적용 가능하다. 안내 렌즈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수정체낭 내에 배치하는 형식 (인 더 백) 의 안내 렌즈나, 낭 외에 배치하는 형식 (아웃 더 백) 의 안내 렌즈나, 봉착형의 안내 렌즈 등등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안내 렌즈에 적용하는 경우, 적어도 광학부가 있으면 된다. 또한, <1-1. 멀티포컬 콘택트 렌즈 (다초점 렌즈)> 에서 서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광학 성능에 주로 기여하는 광학부의 둘레 가장자리에 환상의 주변부를 형성해도 상관없지만, 여기서 예시하는 본 예의 안내 렌즈는, 광학부와, 수정체낭 내에서 광학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로 구성된다. 비교적 많은 케이스로는, 안내 렌즈가, 상기의 광학부와, 광학부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경우이다. 지지부에 대해서는 공지된 안내 렌즈의 지지부의 형상을 채용하면 되는데, 예를 들어 광학부로부터 아암상으로 연장되는 2 개의 지지부를 광학부에 형성하고, 이것을 안내 렌즈로 해도 상관없다.
또한, 안내 렌즈의 설계 방법 (제조 방법) 에 대해서는, 광학부의 설계는 <2. 콘택트 렌즈의 설계 방법 (제조 방법)> 에서 서술한 것과 동일하므로 기재를 생략한다. 구체적인 설계 (제조) 수법에 관해서는 공지된 안내 렌즈의 설계 방법 (가공 장치) 으로 설계를 실시하면 충분하다. 또, <1. 콘택트 렌즈> 에서 서술한 경우 분류 (중앙에 근용부를 배치하는 경우와 원용부를 배치하는 경우) 및 각 적합예는 본 항목에 적용 가능하여, <1. 콘택트 렌즈> 의 기재와 중복되기 때문에, 여기서는 기재를 생략한다.
<4. 안용 렌즈 세트>
상기의 내용은, 본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콘택트 렌즈를 복수 구비하는 콘택트 렌즈 세트나, 마찬가지로 본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안내 렌즈를 복수 구비하는 안내 렌즈 세트에 있어서도 충분히 적용 가능하다. 이들 렌즈 세트를 총칭하여 「안용 렌즈 세트」라고 칭한다.
적어도 콘택트 렌즈를 제품으로서 판매할 때에는, 1 장의 콘택트 렌즈를 판매할 뿐만 아니라, 다종 다양한 도수 (파워) 나 베이스 커브를 갖는 복수의 콘택트 렌즈를 한 묶음으로 하고 (예 : 동일한 베이스 커브를 갖는 한편으로 도수가 상이한 복수의 콘택트 렌즈) 1 상품명으로 하여 빈번히 판매되고 있다.
그래서, 앞서 상세히 서술한 본 실시형태의 콘택트 렌즈 (또는 안내 렌즈 등) 와 같은 도수의 거동을 나타내는 것을 복수 갖춘 안용 렌즈 세트에 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반영되어 있다.
관점을 바꾸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안용 렌즈 세트를 구성하는 모든 안용 렌즈 세트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도수의 거동을 나타낸다. 이것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상기의 도수의 거동을 나타내는 안용 렌즈가 1 장 제작되었다고 해도, 우연히 제작된 이 안용 렌즈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안용 렌즈 세트에서는, 구성으로서 완전히 상이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의 안용 렌즈를 복수 구비하는 안용 렌즈 세트의 구성은 이하와 같다. 또한, 이하의 구성에 대해, 앞서 예시한 적합예를 적절히 조합해도 된다.
「근방 거리를 보기 위한 근용 도수를 구비한 근용부와, 근방 거리보다 먼 거리를 보기 위한 원용 도수를 구비한 원용부를 갖고, 상기 근용부 또는 상기 원용부가 중앙에 배치되고, 중앙에 배치되지 않은 것이 그 외측 가장자리에 환상으로 배치된 광학부를 구비한 안용 렌즈를 복수 구비하는 안용 렌즈 세트로서,
상기 광학부의 중앙에 배치된 상기 근용부 또는 상기 원용부에 있어서, 중앙으로부터 주변을 향하는 X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도수를 강하게 한 후에 약하게 한 부분 A 를 갖고 또한 X 방향과는 정반대의 방향으로서 중앙으로부터 주변을 향하는 X'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도 도수를 강하게 한 후에 약하게 한 부분 A' 를 갖는 안용 렌즈를 복수 구비하는, 안용 렌즈 세트.」
<5. 변형예>
본 발명은 상기의 각 예에 한정되는 경우는 없고, 상기의 각 예 및 적합예를 적절히 조합해도 물론 상관없다. 또, 앞서 예시한 실시형태라면, X 방향으로도 X' 방향으로도, 도수를 강하게 한 후에 약하게 한 부분을 갖지만, 일방에만 그 부분을 가져도 본 발명의 효과를 조금이라도 발휘하는 것이 기대된다. 이 내용을 규정하면 이하와 같이 된다.
「근방 거리를 보기 위한 근용 도수를 구비한 근용부와, 근방 거리보다 먼 거리를 보기 위한 원용 도수를 구비한 원용부를 갖고, 상기 근용부 또는 상기 원용부가 중앙에 배치되고, 중앙에 배치되지 않은 것이 그 외측 가장자리에 환상으로 배치된 광학부를 구비한 안용 렌즈로서,
상기 광학부의 중앙에 배치된 상기 근용부 또는 상기 원용부에 있어서, 중앙으로부터 주변을 향하는 X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도수를 강하게 한 후에 약하게 한 부분 A 를 갖고 또한 X 방향과는 정반대의 방향으로서 중앙으로부터 주변을 향하는 X'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는 도수의 변곡점이 존재하는, 안용 렌즈 또는 그 설계 방법, 제조 방법.」
덧붙여서 여기서 X' 방향에서 도수의 변곡점을 존재시키고 있는 이유로는, X' 방향에서 도수를 강하게 한 후에 약하게 하는 것까지는 아니더라도 그것에 가까운 형상이 있는 쪽이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그것에 가까운 형상을 규정한 것이 "도수의 변곡점이 존재" 라는 표현이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물론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관련된 멀티포컬 콘택트 렌즈인 상태의 소프트 콘택트 렌즈 (이후, 간단히 렌즈라고 칭한다.) 와 종래 기술에 관련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반영시키고 있지 않은) 렌즈를 준비하고, 50 대 남성을 피검자로 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 때의 본 발명에 관련된 렌즈를 실시예 1, 종래 기술에 관련된 렌즈를 비교예 1 로 하였다.
또, 상기 시험과는 별도로, 60 대 남성을 피검자로 하고, 상기의 각 렌즈를 사용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 때의 본 발명에 관련된 렌즈를 실시예 2, 종래 기술에 관련된 렌즈를 비교예 2 로 하였다.
(실시예 1, 비교예 1)
먼저, 50 대 남성의 완전 교정값을 설정하였다. 또한 완전 교정값이란 피검자에게 있어서 가장 물건이 보이기 쉬운 조건을 의미한다. 이하, 오른쪽 눈 (VD) 및 왼쪽 눈 (VS) 에 있어서의 완전 교정값을 나타낸다.
VD = 1.5 × S + 0.50D (정점간 거리를 고려한 유효 가입 도수 + 1.20D)
VS = 1.5 × S + 0.50D (정점간 거리를 고려한 유효 가입 도수 + 1.20D)
상기의 각 식의 의미는, 구면 도수 S 를 0.50D 로 함으로써 시력 1.5 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 정점간 거리를 고려한 유효 가입 도수 + 1.20D 란, 안경 렌즈에 있어서 정점간 거리 12 ㎜ 였을 경우를 콘택트 렌즈의 경우에 대응시킨 경우의 보정량을 나타낸다.
또, 실시예 1, 비교예 1 의 렌즈의 처방은 이하와 같다.
R : BC 8.7 ㎜/P + 0.50D/ADD + 1.50 (광학부에 있어서, 중앙에 근용부를 배치하고, 그 둘레 가장자리에 원용부를 배치하는 렌즈)
L : BC 8.7 ㎜/P + 0.50D/ADD + 1.50 (광학부에 있어서, 중앙에 근용부를 배치하고, 그 둘레 가장자리에 원용부를 배치하는 렌즈)
또한, 실시예 1 의 렌즈의 광학부를 X-X' 방향의 단 F 로부터 단 F' 까지 보았을 때의 도수를 플롯한 것이 도 10 이다. 또, 실시예 1 의 렌즈에 있어서는, 렌즈에 대해 직선 X-X' 를 광학 중심 O 를 중심으로 0 에서 180°까지 회전시켰을 때에, 광학부 (전체) 가 그 형상을 갖도록 하였다.
마찬가지로, 비교예 1 의 렌즈의 광학부를 X-X' 방향의 단 F 로부터 단 F' 까지 보았을 때의 도수를 플롯한 것이 도 11 이다.
이하,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에 있어서는 원방에서 볼 때, 근방에서 볼 때 모두 피검자를 만족시킬 수 있었다. 그 한편, 비교예 1 에 있어서는 근방에서 볼 때에 있어서 피검자를 만족시킬 수 없었다. 이것은, 근용부가 좁아지고 또한 근용 도수가 부족한 것, 바꾸어 말하면 원용 도수를 확보하기 위해 원용부를 지나치게 넓게 확보한 것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2, 비교예 2)
먼저, 60 대 남성의 완전 교정값을 설정하였다. 또한 완전 교정값이란 피검자에게 있어서 가장 물건이 보이기 쉬운 조건을 의미한다. 이하, 오른쪽 눈 (VD) 및 왼쪽 눈 (VS) 에 있어서의 완전 교정값을 나타낸다.
VD = 1.5 × S - 1.25D (정점간 거리를 고려한 유효 가입 도수 + 1.80D)
VS = 1.5 × S - 1.25D (정점간 거리를 고려한 유효 가입 도수 + 1.80D)
또, 실시예 2, 비교예 2 의 렌즈의 처방은 이하와 같다.
R : BC 8.7 ㎜/P - 1.25D/ADD + 2.00 (광학부에 있어서, 중앙에 근용부를 배치하고, 그 둘레 가장자리에 원용부를 배치하는 렌즈)
L : BC 8.7 ㎜/P - 1.25D/ADD + 2.00 (광학부에 있어서, 중앙에 근용부를 배치하고, 그 둘레 가장자리에 원용부를 배치하는 렌즈)
또한, 실시예 2 의 렌즈의 광학부를 X-X' 방향의 단 F 로부터 단 F' 까지 보았을 때의 도수를 플롯한 것이 도 12 이다. 또, 실시예 2 의 렌즈에 있어서는, 렌즈에 대해 직선 X-X' 를 광학 중심 O 를 중심으로 0 에서 180°까지 회전시켰을 때에, 광학부 (전체) 가 그 형상을 갖도록 하였다.
마찬가지로, 비교예 2 의 렌즈의 광학부를 X-X' 방향의 단 F 로부터 단 F' 까지 보았을 때의 도수를 플롯한 것이 도 13 이다.
이하, 그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2 에 있어서는 원방에서 볼 때, 근방에서 볼 때 모두 피검자를 만족시킬 수 있었다. 그 한편, 비교예 2 에 있어서는 역시 근용에서 볼 때에 있어서 피검자를 만족시킬 수 없었다. 이것은, 비교예 1 과 마찬가지로 근용부가 좁아지고 또한 근용 도수가 부족한 것, 바꾸어 말하면 원용 도수를 확보하기 위해 원용부를 지나치게 넓게 확보한 것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정리)
이상의 결과, 각 실시예에 의하면, 광학부의 중앙에 근용부가 배치된 경우, 근용부에 있어서 근용 도수를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근용부와 그 외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원용부의 밸런스를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광학부의 중앙에 원용부가 배치된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충분히 기대할 수 있다.
1 : 근용부
2 : 원용부
3 : 광학부
4 : 주변부
5 : 멀티포컬 콘택트 렌즈

Claims (24)

  1. 근방 거리를 보기 위한 근용 도수를 구비한 근용부와, 근방 거리보다 먼 거리를 보기 위한 원용 도수를 구비한 원용부를 갖고, 상기 근용부 또는 상기 원용부가 중앙에 배치되고, 중앙에 배치되지 않은 것이 그 외측 가장자리에 환상으로 배치된 광학부를 구비한 안용 렌즈로서,
    상기 광학부의 중앙에 배치된 상기 근용부 또는 상기 원용부에 있어서, 중앙으로부터 주변을 향하는 X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도수를 강하게 한 후에 약하게 한 부분 A 를 갖고 또한 X 방향과는 정반대의 방향으로서 중앙으로부터 주변을 향하는 X'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도 도수를 강하게 한 후에 약하게 한 부분 A' 를 갖는, 안용 렌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에 있어서는 상기 근용부가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부분 A 및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는 상기 근용 도수보다 근용으로 도수를 강하게 한 후에 원용 도수에 이를 때까지 도수를 약하게 한 형상을 갖는, 안용 렌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 도수가 극대가 되는 지점은 1 개 지점뿐이고, 또한,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도 도수가 극대가 되는 지점은 1 개 지점뿐인, 안용 렌즈.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 도수가 극대가 되는 지점과,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 도수가 극대가 되는 지점 사이의 평면시 거리는 1.0 ∼ 2.8 ㎜ 인, 안용 렌즈.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의 도수의 극대값과 상기 근용 도수의 차는 0.05 ∼ 0.25D 이고, 또한,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의 도수의 극대값과 상기 근용 도수의 차도 0.05 ∼ 0.25D 인, 안용 렌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에 있어서는 상기 원용부가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부분 A 및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는 상기 원용 도수보다 원용으로 도수를 강하게 한 후에 근용 도수에 이를 때까지 도수를 약하게 한 형상을 갖는, 안용 렌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 도수가 극소가 되는 지점은 1 개 지점뿐이고, 또한,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도 도수가 극소가 되는 지점은 1 개 지점뿐인, 안용 렌즈.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 도수가 극소가 되는 지점과,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 도수가 극소가 되는 지점 사이의 평면시 거리는 1.0 ∼ 2.8 ㎜ 인, 안용 렌즈.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의 도수의 극소값과 상기 원용 도수의 차는 0.05 ∼ 0.25D 이고, 또한,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의 도수의 극소값과 상기 원용 도수의 차도 0.05 ∼ 0.25D 인, 안용 렌즈.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용 렌즈는 콘택트 렌즈인, 안용 렌즈.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용 렌즈는 안내 렌즈인, 안용 렌즈.
  12. 근방 거리를 보기 위한 근용 도수를 구비한 근용부와, 근방 거리보다 먼 거리를 보기 위한 원용 도수를 구비한 원용부를 갖고, 상기 근용부 또는 상기 원용부가 중앙에 배치되고, 중앙에 배치되지 않은 것이 그 외측 가장자리에 환상으로 배치된 광학부를 구비한 안용 렌즈의 설계 방법으로서,
    상기 광학부의 중앙에 배치된 상기 근용부 또는 상기 원용부에 있어서, 중앙으로부터 주변을 향하는 X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도수를 강하게 한 후에 약하게 한 부분 A 를 갖고 또한 X 방향과는 정반대의 방향으로서 중앙으로부터 주변을 향하는 X'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도 도수를 강하게 한 후에 약하게 한 부분 A' 를 갖도록 안용 렌즈를 설계하는, 안용 렌즈의 설계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에 있어서는 상기 근용부를 중앙에 배치하고,
    상기 부분 A 및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는 상기 근용 도수보다 근용으로 도수를 강하게 한 후에 원용 도수에 이를 때까지 도수를 약하게 하도록 안용 렌즈를 설계하는, 안용 렌즈의 설계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 도수가 극대가 되는 지점은 1 개 지점뿐으로 하고, 또한,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도 도수가 극대가 되는 지점은 1 개 지점뿐으로 하는, 안용 렌즈의 설계 방법.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 도수가 극대가 되는 지점과,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 도수가 극대가 되는 지점 사이의 평면시 거리를 1.0 ∼ 2.8 ㎜ 로 하는, 안용 렌즈의 설계 방법.
  16.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의 도수의 극대값과 상기 근용 도수의 차를 0.05 ∼ 0.25D 로 하고, 또한,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의 도수의 극대값과 상기 근용 도수의 차도 0.05 ∼ 0.25D 로 하는, 안용 렌즈의 설계 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에 있어서는 상기 원용부를 중앙에 배치하고,
    상기 부분 A 및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는 상기 원용 도수보다 원용으로 도수를 강하게 한 후에 근용 도수에 이를 때까지 도수를 약하게 하도록 안용 렌즈를 설계하는, 안용 렌즈의 설계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 도수가 극소가 되는 지점을 1 개 지점뿐으로 하고, 또한,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도 도수가 극소가 되는 지점을 1 개 지점뿐으로 하는, 안용 렌즈의 설계 방법.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 도수가 극소가 되는 지점과,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 도수가 극소가 되는 지점 사이의 평면시 거리를 1.0 ∼ 2.8 ㎜ 로 하는, 안용 렌즈의 설계 방법.
  20. 제 17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의 도수의 극소값과 상기 원용 도수의 차를 0.05 ∼ 0.25D 로 하고, 또한, 상기 부분 A' 에 있어서의 도수의 극소값과 상기 원용 도수의 차도 0.05 ∼ 0.25D 로 하는, 안용 렌즈의 설계 방법.
  21. 제 12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용 렌즈는 콘택트 렌즈인, 안용 렌즈의 설계 방법.
  22. 제 12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용 렌즈는 안내 렌즈인, 안용 렌즈의 설계 방법.
  23. 제 12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안용 렌즈의 설계 방법에 의해 안용 렌즈를 설계하는 설계 공정과,
    설계된 안용 렌즈를 가공 장치에 의해 제조하는 가공 공정을 갖는, 안용 렌즈의 제조 방법.
  24. 근방 거리를 보기 위한 근용 도수를 구비한 근용부와, 근방 거리보다 먼 거리를 보기 위한 원용 도수를 구비한 원용부를 갖고, 상기 근용부 또는 상기 원용부가 중앙에 배치되고, 중앙에 배치되지 않은 것이 그 외측 가장자리에 환상으로 배치된 광학부를 구비한 안용 렌즈를 복수 구비하는 안용 렌즈 세트로서,
    상기 광학부의 중앙에 배치된 상기 근용부 또는 상기 원용부에 있어서, 중앙으로부터 주변을 향하는 X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도수를 강하게 한 후에 약하게 한 부분 A 를 갖고 또한 X 방향과는 정반대의 방향으로서 중앙으로부터 주변을 향하는 X'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도 도수를 강하게 한 후에 약하게 한 부분 A' 를 갖는 안용 렌즈를 복수 구비하는, 안용 렌즈 세트.
KR1020197007872A 2017-01-24 2017-02-02 안용 렌즈, 그 설계 방법, 그 제조 방법, 및 안용 렌즈 세트 KR1026469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09956 2017-01-24
JP2017009956A JP6188974B1 (ja) 2017-01-24 2017-01-24 眼用レンズ、その設計方法、その製造方法、および眼用レンズセット
PCT/JP2017/003758 WO2018138931A1 (ja) 2017-01-24 2017-02-02 眼用レンズ、その設計方法、その製造方法、および眼用レンズセ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309A true KR20190104309A (ko) 2019-09-09
KR102646965B1 KR102646965B1 (ko) 2024-03-12

Family

ID=59720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7872A KR102646965B1 (ko) 2017-01-24 2017-02-02 안용 렌즈, 그 설계 방법, 그 제조 방법, 및 안용 렌즈 세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09132B2 (ko)
EP (1) EP3575858A4 (ko)
JP (1) JP6188974B1 (ko)
KR (1) KR102646965B1 (ko)
CN (1) CN109791308B (ko)
WO (1) WO20181389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59866B1 (ja) * 2018-10-11 2019-08-14 Hoya株式会社 眼用レンズ、その設計方法、その製造方法、および眼用レンズセット
WO2020179332A1 (ja) * 2019-03-06 2020-09-10 株式会社ニデック 眼内レンズとその製造方法
EP3958045A1 (en) * 2020-08-18 2022-02-23 Hoya Corporation Ophthalmic lens
JP2023122708A (ja) * 2022-02-24 2023-09-05 Hoya株式会社 眼用レンズ、その設計方法、その製造方法、および眼用レンズセッ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5011A (ja) 2002-10-31 2006-02-09 ジョンソン・アンド・ジョンソン・ビジョン・ケア・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多焦点眼用レンズの設計方法
WO2006129707A1 (ja) 2005-06-03 2006-12-07 Hoya Healthcare Corporation 眼用レンズ
JP2012093522A (ja) * 2010-10-26 2012-05-17 Hoya Corp 累進多焦点コンタクトレンズ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1629B2 (ja) * 1991-12-28 2001-05-28 株式会社メニコン マルチフォーカル眼用レンズおよびその製作方法
WO2008078804A1 (ja) * 2006-12-27 2008-07-03 Hoya Corporation 多焦点眼用レンズ
EP2321690B1 (en) * 2008-08-11 2020-05-27 Alcon Inc. A lens design and method for preventing or slowing the progression of myopia
TWI588560B (zh) * 2012-04-05 2017-06-21 布萊恩荷登視覺協會 用於屈光不正之鏡片、裝置、方法及系統
JP5525114B1 (ja) * 2013-02-19 2014-06-18 株式会社メニコン 老視用コンタクトレンズセ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5011A (ja) 2002-10-31 2006-02-09 ジョンソン・アンド・ジョンソン・ビジョン・ケア・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多焦点眼用レンズの設計方法
WO2006129707A1 (ja) 2005-06-03 2006-12-07 Hoya Healthcare Corporation 眼用レンズ
JP2012093522A (ja) * 2010-10-26 2012-05-17 Hoya Corp 累進多焦点コンタクトレン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88974B1 (ja) 2017-08-30
JP2018120040A (ja) 2018-08-02
US11409132B2 (en) 2022-08-09
US20200004045A1 (en) 2020-01-02
WO2018138931A1 (ja) 2018-08-02
EP3575858A4 (en) 2020-09-09
CN109791308A (zh) 2019-05-21
KR102646965B1 (ko) 2024-03-12
CN109791308B (zh) 2021-02-12
EP3575858A1 (en)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02382B2 (en) Asymmetric lens design and method for preventing and/or slowing myopia progression
US8444267B2 (en) Ophthalmic lens, systems and methods with angular varying phase delay
KR101627476B1 (ko) 안경 렌즈 요소
AU706891B2 (en) Improved diffractive multifocal ophthalmic lens
JP2018525199A (ja) 明視域が広げられ、軸上色収差が補正された3焦点眼内レンズ
KR20110040983A (ko) 근시를 예방하거나 또는 근시 진행을 늦추는 렌즈 디자인 및 방법
KR20190104309A (ko) 안용 렌즈, 그 설계 방법, 그 제조 방법, 및 안용 렌즈 세트
KR20150015046A (ko) 광학적으로 조절되는 주변 부분을 갖는 렌즈 및 상기 렌즈의 설계 및 제조 방법
US10765510B2 (en) High definition and extended depth of field intraocular lens
EP2335112A1 (en) Toric ophthalmic lenses having selected spherical aberration characteristics
US10649234B2 (en) Ophthalmic apparatus with corrective meridians having extended tolerance band
US9417463B2 (en) Lens design and method for minimizing visual acuity variation experienced by myopia progressors
KR102616950B1 (ko) 안용 렌즈, 그 설계 방법, 그 제조 방법, 및 안용 렌즈 세트
US20230010847A1 (en) High definition and extended depth of field intraocular lens
CN110618540B (zh) 旋转稳定化的非截短接触镜片
US20190231518A1 (en) High definition and extended depth of field intraocular lens
US20220249223A1 (en) High definition and extended depth of field intraocular l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