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4195A - 치환된 3-디알킬아미노메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및 이를 제조 및 사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치환된 3-디알킬아미노메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및 이를 제조 및 사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4195A
KR20190104195A KR1020197023140A KR20197023140A KR20190104195A KR 20190104195 A KR20190104195 A KR 20190104195A KR 1020197023140 A KR1020197023140 A KR 1020197023140A KR 20197023140 A KR20197023140 A KR 20197023140A KR 20190104195 A KR20190104195 A KR 20190104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
ent
dimethylamino
benzamide
hydr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3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3671B1 (ko
Inventor
브렛 에이. 텅
샤리프 바우미
로렌스 씨. 쿠오
스캇 엘. 닥스
Original Assignee
메비아스 디스커버리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비아스 디스커버리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메비아스 디스커버리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04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2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211/00 - C07D219/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61K31/4523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8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nausea, cinetosis or vertigo; Antiem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0Lax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3/00Anaesth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4Centrally acting analgesics, e.g. opi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3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use or depend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one carbocyclic ring
    • C07D209/04Indoles; Hydrogenated indoles
    • C07D209/06Preparation of indole from coal-tar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1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1/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1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1/3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1/40Oxygen atoms
    • C07D211/44Oxygen atoms attached in position 4
    • C07D211/52Oxygen atoms attached in position 4 having an aryl radical as the second substituent in position 4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9/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Addiction (AREA)
  • Psychiatry (AREA)
  • Immun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Hydrogenated Pyridine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의 치환된 3-디알킬아미노메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이는 특정의 구현예에서,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통증을 치료하고/하거나 예방하는데 유용하다.

Description

치환된 3-디알킬아미노메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및 이를 제조 및 사용하는 방법
관련 출원의 교차 참조
본 출원은 2017년 1월 17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원 제62/447,197호, 및 2017년 12월 18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원 제62/599,834호에 대한 35 U.S.C. § 119(e) 하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러한 출원 모두는 이의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통증은 불쾌한 감각 및 감정 경험으로서 정의된다. 그러나, 통증은 유익하고 유용할 수 있다. 통각수용기성 통증(nociceptive pain)은 흔히 부상(예컨대, 조직 손상)의 지표이며, 이러한 통증은 전형적으로 사람을 포함하는 동물에서 회피 또는 보호적 거동을 유발한다. 그러나, 염증, 세포 및 신경 손상 및, 손상 또는 질환으로부터 생성되는 다른 과정은 만성 병리학적 통증의 상태를 야기할 수 있다. 통각과민증은 유해한 자극에 대해 향상된 감수성(sensitivity)이 존재하며, 따라서 통증의 자각이 과장되는 상태이다. 무해자극통은 일반적으로 무해한 자극이 고통스럽게 되는 상태이다. 통각과민증 및/또는 무해자극통증으로 나타나는 지속적이거나 만성인 통증은 치료에 대한 과제(challenging)로 남아있다. 만성 통증은 암, 심장 질환, 및 조합된 당뇨병의 1년 비용보다, 매년 6,000억 달러가 넘는 건강보호 지출에 기여한다. 신경병증 통증은 집단의 약 6 내지 10%에 영향을 미치며, 감소된 삶의 질 및 모든 다른 만성 통증 장애를 초과하는 사회경제적 부담과 관련되어 있다. 많은 환자는 기존의 치료제에 반응하지 않거나, 이들의 통증을 불량하게 관리하거나(즉, 부적절한 완화), 부적절간 기간 동안 완화를 경험한다.
통증을 치료하기 위한 아편유사제(opioid)는 의약에서 잘 인식되고 일반적으로 사용된 치료요법이다. 천연 공급원으로부터의 뮤 아편유사제(Mu opioid)는 이질 및 통증의 완화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목적을 위해 수천년 동안 사람에 의해 사용되어 왔다. 아편 알칼로이드는 1800년대까지 단리되지 않았으며, 합성 아편유사제인,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전구체 또는 새로이 설계된 분자의 구조적 변경은 훨씬 후에 단리되었다. 뮤 아편유사제 수용체(MOR)의 효능제는 사람에서 급성의, 심각한 통증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표준 진통제이다. 또한, 암에 의해 유발된 통증과 같은, 만성 통증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비-아편유사제의 무력함은 흔히 급성 적용을 능가하는 아편유사제 치료 기간을 연장시키는 것 외에 다른 선택사항을 거의 남기지 않는다.
불행히도, 아편유사제 및 아편유사제-유도된 통각과민증에 대한 과내증(tachyphylaxis) 및 내성은 흔히 치료요법의 과정 동안 생성된다. 이러한 환자에서, 통증 완화의 허용되는 수준을 제공하기 위해 증가하는 보다 높은 용량의 아편유사제가 필요하며, 따라서, 이렇게 함으로써, 환자는 추가의 부작용 및 안전성 문제의 보다 높은 위험에 처하게 되며, 이는 호흡 억제, 변비, 오심 및 구토를 포함한다. 만성 통증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연장된 아편유사제 치료요법은 환자가 아편유사제에 대한 의존증을 진행하여, 치료의 중지시 아편유사제 중단으로 고통을 받으며, 일부 환자는 이러한 의약의 남용에 빠지게 하기 더 쉬워질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통증의 치료를 위한 유의적인 임상 과제를 나타낸다.
G-단백질 커플링된 수용체는 7개의 막관통 도메인(transmembrane domain), 세포외 N-말단, 세포내 루프 및 세포내 C-말단을 함유하는 막-결합된 단백질이다. GPCR 계열은 사람 게놈내 최대 부류의 세포 표면 수용체(약 800개의 상이한 구성원), 및 모든 시판되는 약물의 거의 1/3을 차지하는 GPCR를 조절하는 작은 분자로 구성된다.
역사적으로, 개념적 관점에서, GPCR은 스위치(switch)(오프/온)로서 거동하는 것으로 고려되었으며, 그 결과 효능제 결합은 G-단백질 커플링을 보충하기 위한 구조적 변화를 유도함으로써, cAMP와 같은 제2 메신저(second-messenger)를 생산하여 세포 기능[예컨대, 분극화(뉴우런), 수축성(근세포), 전사, 해독 등]을 변경시킨다. 길항제는 효능제 접근을 차단함으로써 GPCR 활성화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며, 이는 또한 특이적인 GPCR에 따라 치료학적으로 유용하다.
리간드 결합시, GPCR은 상술한 바와 같이 G-단백질과 상호작용할 뿐 아니라, 아레스틴 계열의 세포질성 단백질을 보충한다. 아레스틴 보충은 G-단백질 수용체 키나제(GRK)의 계열에 의한 포스포릴화의 결과로서 발생한다. β-아레스틴 경로의 하나의 명백한 역활은 신호전달을 끄는 것(turn off)이고, 이는 가능하게는 연장된 구성적 신호전달의 유해한 효과를 피하기 위한 점진적인 '브레이크(brake)'로서 작용한다. β-아레스틴은 수개의 방법으로 신호 종결을 달성한다: (1) G-단백질 비커플링화(uncoupling)는 탈감각(신호전달의 상실)을 유발하고; (2) 제2 전령인자(들)의 분해는 신호전달을 낮추거나/끄며; (3) 수용체는 세포 막에서 노출/존재하지 않으므로 수용체 내재화는 효능제 결합 및 신호전달을 불가능하게 한다. 또한, β-아레스틴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다른 신호전달 양식(예컨대, MAP 키나제)이 존재한다.
따라서, G-단백질 또는 β-아레스틴 경로(그러나 둘 다는 아님)를 활성화시킴으로써 "편향된"(즉, "신호전달 경로-선택적인") 방식으로 거동할 수 있는 GPCR 리간드는 효능을 보유하지만 부작용을 피하는 새로운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한 기회를 제공한다. β 아레스틴 경로는 전통적인 뮤 아편유사제 약물에 의해 유발된 많은 부작용에 관여한다. 따라서, G-단백질 경로를 활성화하는 것에 대해 편향성인 뮤 아편유사제 효능제를 개발하기 위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더욱이, 통증을 치료하고/하거나 통각과민증 및 무해자극통증을 감소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새로운 화합물 및/또는 조성물에 대해 당해 분야에서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화합물 및/또는 조성물은 통증 완화를 제공하지만, 유의적인(또는 전혀) 호흡 억제, 변비, 및/또는 내성을 유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충족되지 않은 필요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발명의 간단한 요약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정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적어도 하나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대상체에서 통증을 치료하고/하거나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방법은 대상체에게 치료학적 유효량의 적어도 하나의 본 발명의 화합물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투여함을 포함한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 용매화물, 거울상이성체, 부분입체이성체 및/또는 토우토머(tautomer)이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L은 -(CZ1Z2)-, -(CZ1Z2-CZ1Z2)-, 및 -(CZ1Z2-CZ1Z2-CZ1Z2)-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R2는 수소, C1-C6 알킬, 및 치환된 C1-C6 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3은 수소, 메틸 및 에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R4는 메틸 및 에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5는 메틸 및 에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R6은 H 및 C1-C6 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Z1 및 Z2의 각각의 발생은 수소, 플루오로, 및 메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X는 S, O, 및 N-R7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의 각각의 발생은 수소,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요오도, 시아노, 니트로, 하이드록실, C1-C6 알콕시, C1-C6 알킬, 치환된 C1-C6 알킬, C2-C6 알케닐, 치환된 C2-C6 알케닐, 알키닐, 치환된 C2-C6 알키닐, 페닐, 치환된 페닐, -COOR7, 및 카복스아미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L-R1은 조합하여 H, C1-C6 알킬, 또는 치환된 C1-C6 알킬을 형성하고; p의 각각의 발생은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R7의 각각의 발생은 수소 및 C1-C6 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R2 및 R3은 H이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R4 및 R5는 메틸이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R6은 H 및 메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L은 메틸렌(-CH2-), 1,2-에틸렌(-CH2-CH2-), 및 1,3-프로필렌(-CH2-CH2-CH2-)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R1은 페닐, 티에닐, 푸라닐, 3-피리디닐, 치환된 페닐, 치환된 티에닐, 치환된 푸라닐, 및 치환된 3-피리디닐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R2 및 R3은 H이고, R4 및 R5는 메틸이며, R6은 H 및 메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L은 메틸렌(-CH2-), 1,2-에틸렌(-CH2-CH2-), 및 1,3-프로필렌(-CH2-CH2-CH2-)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1은 페닐, 티에닐, 푸라닐, 3-피리디닐, 치환된 페닐, 치환된 티에닐, 치환된 푸라닐, 및 치환된 3-피리디닐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R6 및 -CH2NR4R5 그룹은 syn 상대적인 입체화학을 갖는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화합물은:
Figure pct00004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화합물은: 3-(-(2-클로로-4-플루오로-벤질)-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6); (+)-Ent-A-syn-3-(1-(2-클로로-4-플루오로벤질)-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 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A-syn-(6)]; (-)-Ent-B-syn-3-(1-(2-클로로-4-플루오로벤질)-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 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B-syn-(6)]; (+)-Ent-A-안티-3-[1-(2-클로로-4-플루오로벤질)-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A-안티-(6)]; (-)-Ent-B-안티-3-[1-(2-클로로-4-플루오로벤질)-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B-안티-(6)];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티오펜-3-일메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11); (+)-Ent-A-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티오펜-3-일)메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A-syn-(11)]; (-)-Ent-B-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티오펜-3-일)메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B-syn-(11)]; (+)-Ent-A-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티오펜-3-일)메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A-안티-(11)]; (-)-Ent-B-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티오펜-3-일)메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B-안티-(11)]; 3-{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3-[(3S,4R)-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29a); 3-[(3R,4S)-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29b); (+)-Ent-A-안티-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B-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9); (+)-Ent-A-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페닐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45a); (-)-Ent-B-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페닐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45b); (+)-Ent-A-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페닐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A-안티-(9)]; (-)-Ent-B-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페닐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B-안티-(9)]; 3-(1-(2-클로로-4-플루오로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13); 3-((3S,4R)-1-(2-클로로-4-플루오로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32a); 3-((3R,4S)-1-(2-클로로-4-플루오로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32b); (+)-Ent-A-안티-3-[1-[2-(2-클로로-4-플루오로페닐)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A-안티-(13)]; (-)-Ent-B-안티-3-[1-[2-(2-클로로-4-플루오로페닐)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B-안티-(13)];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메톡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17); (+)-Ent-A-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메톡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A-syn-(17)]; (-)-Ent-B-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메톡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B-syn-(17)]; (+)-Ent-A-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메톡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A-안티-(17)]; (-)-Ent-B-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메톡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B-안티-(17)];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하이드록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18); (+)-Ent-A-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4-하이드록시페닐)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38a); (-)-Ent-B-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4-하이드록시페닐)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38b); (+)-Ent-A-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4-하이드록시페닐)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A-안티-(18)]; (-)-Ent-B-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4-하이드록시페닐)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B-안티-(18)];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티오펜-3-일)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15); 3-(3S,4R)-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티오펜-3-일)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41a); 3-((3R,4S)-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티오펜-3-일)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41b); (+)-Ent-A-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티오펜-3-일)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A-안티-(15)]; (-)-Ent-B-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티오펜-3-일)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B-안티-(15)];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3-페닐-프로필)-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20); (+)-Ent-A-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3-페닐프로필)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44a); (-)-Ent-B-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3-페닐프로필)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44b); (+)-Ent-A-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3-페닐프로필)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A-안티-(20)]; (-)-Ent-B-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3-페닐프로필)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B-안티-(20)]; 3-{1-[3-(2-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프로필]-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23); 3-((3S,4R)-1-(3-(2-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프로필)-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23a); 3-((3R,4S)-1-(3-(2-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프로필)-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23b); (+)-Ent-A-안티-3-[1-[3-(2-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프로필]-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A-안티-(23)]; (-)-Ent-B-안티-3-[1-(3-(2-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프로필)-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B-안티-(23)]; 3-{3-[(디메틸아미노)메틸]-1-[3-(5-플루오로피리딘-3-일)프로필]-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3-[(3S,4R)-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26a); 3-[(3R,4S)-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26b); (+)-Ent-A-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1-[3-(5-플루오로피리딘-3-일)프로필]-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B-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1-[3-(5-플루오로피리딘-3-일)프로필]-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3-[1-(사이클로프로필메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35); (+)-Ent-A-syn-3-[1-(사이클로프로필메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A-syn-(35)]; (-)-Ent-B-syn-3-[1-(사이클로프로필메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B-syn-(35)]; (+)-Ent-A-안티-3-[1-(사이클로프로필메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A-안티-(35)]; (-)-Ent-B-안티-3-[1-(사이클로프로필메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B-안티-(35)];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21); Rac-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rac-syn- 21); Rac-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rac-안티- 21); (+)-Ent-A-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A-syn-21); (-)-Ent-B-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B-syn-21); (+)-Ent-A-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A-안티- 21); (-)-Ent-B-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B-안티- 21); 또는 이의 염, 용매화물, 거울상이성체, 입체이성체 및/또는 토우토머, 및 이의 임의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이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은 MOR 효능제이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은 대상체내 사이클릭 아데노신 모노포스페이트(cAMP) 수준을 감소시킨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은 β-아레스틴의 보충(recruitment), 이에 대한 결합, 또는 이와의 연합을 유의적으로 유도하지 않는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은 과내증(tachyphylaxis), 호흡 억제, 변비, 오심, 구토, 회피(withdrawal), 의존증, 및 탐닉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부작용을 유의적으로 유발하지 않는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통증은 만성 통증, 신경병성 통증, 통각수용기성 통증, 통각과민증, 및/또는 무해자극통증을 포함한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포유동물이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포유동물은 사람이다.
본 발명을 설명할 목적으로, 본 발명의 특정의 구현예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구현예의 정밀한 배열 및 수단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모르핀 및 예증적인 화합물(23a)에 대한 통각수용기성 통각상실증 시험(랫트 꼬리 회피반사(rat tail flick), 76℃, N=8)으로부터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나타낸 오차 바아(error bar) = 평균의 표준 오차.
도 2는 모르핀 및 예증적인 화합물(41a)에 대한 통각수용기성 통각상실증 시험(랫트 꼬리 회피반사, 76℃, N=8)으로부터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모르핀 및 예증적인 화합물(23a)에 대한 진정작용(랫트 가속화 로타로드(rat accelerating RotaRod), N=8)을 평가하는 시험으로부터의 결과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p<0.05.
도 4는 모르핀 및 예증적인 화합물(41a)에 대한 진정작용(랫트 가속화 로타로드, N=8)을 평가하는 시험으로부터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p<0.05.
도 5는 모르핀 및 예증적인 화합물(23a)에 대한 위장 운동능 시험(랫트 목탄 통과율, N=5)으로부터의 결과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p<0.05.
도 6은 모르핀 및 예증적인 화합물(41a)에 대한 위장 운동능 시험(랫트 목탄 통과율, N=5)으로부터의 결과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p<0.05.
도 7은 O2 분압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모르핀 및 예증적인 화합물(23a)에 대한 호흡 억제 시험(랫트, N=5)으로부터의 결과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p<0.05.
도 8은 O2 분압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모르핀 및 예증적인 화합물(41a)에 대한 호흡 억제 시험(랫트, N=5)으로부터의 결과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p<0.05.
도 9는 각각의 구획내에서 평균 시간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모르핀(5 mg/kg SC) 및 예증적인 화합물(23a)(16.6 mg/kg SC)에 대한 조건적으로 위치시킨 선호도 시험(conditional placed preference test)(랫트, N=그룹당 6 내지 7 마리)으로부터의 결과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p<0.05.
도 10은 각각의 구획(compartment)내에서 평균 시간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모르핀(5 mg/kg SC) 및 예증적인 화합물(41a)(18.2 mg/kg SC)에 대한 조건적으로 위치시킨 선호도 시험(랫트, N=그룹당 6 내지 7 마리)으로부터의 결과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p<0.05.
도 11은 3급-부틸(3R,4S)-4-(3-시아노페닐)-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의 (R)-O-아세틸-만델산 부가염인 화합물 (4b) Ent-B-syn: {(3R,4S)-[1-3급-부톡시카보닐-4-(3-시아노페닐)-4-하이드록시-피페리딘-3-일]메틸-디메틸암모늄}-(R)-2-아세톡시-2-페닐아세테이트의 X-선 구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하나의 양태에서,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통증을 치료하고/하거나 예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 및 이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포유동물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포유동물은 개 또는 고양이이다. 여전히 다른 구현예에서, 포유동물은 사람이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뮤 아편유사제 수용체(MOR)에 결합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뮤 아편유사제 수용체를 활성화시키고/시키거나 이의 효능제로서 작용한다. 여전히 다른 구현예에서, MOR에 대한 결합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세포내 반응, 예컨대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G-단백질 신호전달(G-protein signaling) 및 β-아레스틴 신호전달로서 나타나는 특정의 제2 전령 신호전달을 유도한다. 여전히 다른 구현예에서, MOR에 대한 결합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사이클릭 아데노신 모노포스페이트(cAMP) 수준을 감소시킨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MOR에 대한 결합시, 본 발명의 화합물은 MOR을 활성화시키거나 이의 효능제로서 작용하며, G-단백질 신호전달과 같은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세포내 반응을 유도하고 cAMP에 있어서의 감소를 생산한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제2 전령 신호전달(secondary messenger signaling), 예컨대,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β-아레스틴의 보충, 이에 대한 결합, 및/또는 이와의 연합을 유의적으로 유도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대략 1 마이크로몰(EC50 >1 μM)보다 더 높은 β-아레스틴에 대한 반-최대 유효 농도(EC50) 값을 가지고/가지거나 본원에 기술된 검정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DAMGO(H-Tyr-D-Ala-Gly-NMe-Phe-Gly-OH; 서열 번호: 1)로 공지된 합성 아편유사제 펩타이드에 의해 생산된 최대 반응의 20% 이하의 β-아레스틴 활성을 나타낸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세포내 반응, 예를 들면, G-단백질 보충과 같은 세포내 반응 및 예를 들면, Gi로서 공지된 단백질에 대한 결합을 유도하고, cAMP 수준을 감소시키며, β-아레스틴의 보충, 이에 대한 결합 및/또는 이와의 연합을 유의적으로 유도하지 않는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세포내 반응, 예를 들면, G-단백질 보충, 및 예컨대, Gi로 공지된 단백질에 대한 결합을 유도하고, cAMP에 있어서의 감소를 생산하며, β-아레스틴의 보충, 이에 대한 결합 및/또는 이와의 연합을 유의적으로 유도하지 않는다. 여전히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G-단백질 편향된(즉, 신호전달 경로-선택적인) 효능제이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대상체에서 통증으로부터의 경감, 및/또는 통증의 완화를 제공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편향된(즉, 신호전달 경로-선택적인) 방식으로 MOR에 결합하여, 보충을 최소로 하거나 보충하지 않으면서 cAMP 수준, β-아레스틴과의 연합 및/또는 상호작용을 감소시킨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호흡 억제, 예를 들면, 모르핀 및 다른 잘 공지되고 광범위하게 사용된 아편유사제 및 마약에 의해 유발된 호흡 억제를 생성하지 않고 통증을 감소시킨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변비, 예를 들면, 모르핀 및 다른 잘 공지되고 광범위하게 사용된 아편유사제 및 마약에 의해 유발된 변비없이 통증을 감소시킨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오심, 예를 들면, 모르핀 및 다른 잘 공지되고 광범위하게 사용된 아편유사제 및 마약에 의해 유발된 오심을 생성하지 않고 통증을 감소시킨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유의적인(또는 전혀) 내성, 예를 들면, 모르핀 및 다른 잘 공지되고 광범위하게 사용된 아편유사제 및 마약에 의해 유발된 내성을 생성하지 않고 통증을 감소시킨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유의적인(또는 전혀) 과내증, 예를 들면, 모르핀 및 다른 잘 공지되고 광범위하게 사용된 아편유사제 및 마약에 의해 유발된 과내증을 생성하지 않고 통증을 감소시킨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구토, 예를 들면, 모르핀 및 다른 잘 공지되고 광범위하게 사용된 아편유사제 및 마약에 의해 유발된 구토를 생성하지 않고 통증을 감소시킨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약물 중단과 관련된 부작용, 예를 들면, 모르핀 및 다른 잘 공지되고 광범위하게 사용된 아편유사제 및 마약에 의해 유발된 부작용을 생성하지 않고 통증을 감소시킨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의존성, 예를 들면, 모르핀 및 다른 잘 공지되고 광범위하게 사용된 아편유사제 및 마약에 의해 유발된 의존성을 생산하지 않고 통증을 감소시킨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다음의 현상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하지 않고 통증을 감소시킨다: 오심, 구토, 회피, 호흡 억제, 졸림, 내성, 과내증, 의존증 및/또는 탐닉.
본 발명은 통증 경감을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통증은 만성 통증을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통증은 신경병증성 통증을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통증은 통각수용기성 통증을 포함한다. 여전히 다른 구현예에서, 통증은 통각과민증을 포함한다. 여전히 다른 구현예에서, 통증은 무해자극통증을 포함한다.
β-아레스틴 경로를 이해하는 오늘날 이전에는, 7-막관통(7-TM) 수용체에 대한 결합의 최적화를 추구하는 많은 GPCR 리간드가 개발되어 왔으며, 놀랍지 않게도, 현재 G-단백질 및 β-아레스틴 경로 둘 다에 관여하는, 많은 광범위하게 사용된 치료제가 무차별적으로 개발되었다. 예를 들면, 전통적인 원형 MOR 효능제인, 모르핀은 G-단백질 신호전달을 통해 통각상실증을 생산한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는 수용체 내부화 및 민감소실을 생성하는 β-아레스틴 구동된 효과에 의해 치료학적으로 "오프셋(offset)"되며, 이는 진통 효과를 유지하기 위한 용량 증가를 필요하도록 하는 내성을 야기한다. 또한, β-아레스틴 구동된 신호전달은 추가의 온-표적 부작용(on-target adverse effect), 예를 들면, 변비 및 호흡 억제의 생성을 초래한다.
β-아레스틴-2를 결여하는 마우스는 야생형과 비교하여, 매우 적은 내성을 지닌 향상되고 연장된 통각상실증 뿐만 아니라, 약화된 호흡 억제 및 급성 변비를 나타낸다. 이러한 발견은 G-단백질 신호전달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지만, β-아레스틴-매개된 효과를 결여한 효능제가 전통적인 부작용 프로파일없이 모르핀-유사 통각상실증을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세포-기반 검정에서 단지 약간의 β-아레스틴 보충(14% Emax)과 함께 G-단백질 신호전달(EC50 = 8 nM, Emax = 83% 대 모르핀)에 대해 선택적인, 편향된 MOR 효능제인, 올리세리딘 또는 N-[(3-메톡시 티오펜-2-일)메틸]-2-[(9R)-9-피리딘-2-일-6-옥사스피로[4.5]데칸-9-일]에탄아민은 건강한 자원자에서 감소된 온-표적 부작용(on-target adverse effect)(예를 들면, 오심, 및 호흡 구동에 있어서의 감소)을 나타내었으며 건막류절제술 후 환자에서 보다 높은 수준의 통각상실증을 생성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GPCR 신호전달에 대한 편향된 리간드의 힘을 입증하며, 이는 부작용을 제거하면서 목적한 치료학적 이점을 유지/향상시킨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G-단백질 또는 β-아레스틴을 활성화시키는 화합물의 능력은 제공된 경로에 대한 온/오프 스위치가 아니라 연속 기능이다. 이를 포획하기 위하여, 각각의 화합물을 β-아레스틴 보충 및 G-단백질 신호전달과 연결된 세포 검정에서 활성에 대해 측정한다. 이러한 2개의 측정(EC50 및 도달된 최대 반응, Emax) 사이의 활성을 비교함으로써 상대적인 활성(RA) 값을 측정한다.
Figure pct00005
MOR의 경우에, β-아레스틴의 활성을 감소시키면서 G-단백질 경로의 고 활성화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의 경우에, 이는 보다 낮은 RA 값을 의미한다.
정의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각각의 다음 용어는 본 단락에서 이와 관련된 의미를 갖는다.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원에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원에 사용된 명명법 및 동물 약리학, 조제학, 분리 과학, 및 유기 화학에서의 실험 과정은 당해 분야에 잘 공지되고 일반적으로 사용된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관사 단수("a" 및 "an")는 관사의 문법적 대상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즉, 적어도 하나)를 지칭한다. 예로서, "요소"는 하나의 요소 또는 하나 이상의 요소를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약"은 당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되며 이것이 사용된 내용에서 약간의 정도로 변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양, 일시적 기간 등과 같은 측정가능한 값을 지칭하는 경우, 용어 "약"은 규정된 값의 ±20% 또는 ±10%,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심지어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및 여전히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의 변화를 포함하며, 이러한 변화는 개시된 방법을 수행하는데 적절하다.
일 양태에서, 대상체와 관련하여 용어 "동시-투여된" 및 "동시-투여"는 대상체에게 본원에 고려된 임의의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할 수도 있는 화합물 및/또는 다른 의학적 상태를 치료하는데 유용하지만 자체적으로 본원에 고려된 임의의 질환 또는 장애를 유발시키거나 촉진할 수 있는 화합물과 함께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투여함을 지칭한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동시-투여된 화합물은 별도로, 또는 단일의 치료학적 시도의 일부로서 임의의 종류의 조합으로 투여된다. 동시-투여된 화합물은 다양한 고체, 겔, 및 액체 제형 하에서 고체 및 액체의 혼합물로서, 및 용액으로서의 임의의 종류의 조합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질환"은 대상체의 건강 상태이며 여기서 대상체는 항상성을 유지할 수 없고, 질환이 개선되지 않는 경우 대상체의 건강은 지속적으로 악화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대상체에서 "장애"는 대상체가 항상성을 유지할 수 없지만, 대상체의 건강 상태가 장애의 부재하에 있을 수 있는 것보다 거의 유리하지 않은 건강 상태이다.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는 경우, 장애는 대상체의 건강 상태에서 추가의 하락을 필수적으로 유발하지는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ED50"은 제형을 투여받은 대상체에서 최대 효과의 50%를 생성하는 제형의 유효 용량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화합물의 "유효량", "치료학적 유효량" 또는 "약제학적 유효량"은 화합물이 투여된 대상체에게 유리한 효과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화합물의 양이다.
용어가 본원에 사용된 경우로서 "설명 자료"는 키트(kit) 내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 및/또는 화합물의 유용성을 알리는데 사용될 수 있는 공보, 기록물, 도해, 또는 표시의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한다. 키트의 설명 자료는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화합물 및/또는 조성물을 함유하거나 화합물 및/또는 조성물을 함유하는 용기와 함께 선적되는 용기에 부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설명 자료는 수령인이 설명 자료 및 화합물을 협력하여 사용하는 의도로 용기와 별도로 선적할 수 있다. 설명 자료의 전달은 예를 들면, 공보의 물리적 전달에 의해 또는 키트의 유용성을 전달하는 표현의 다른 매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는 전자 전송에 의해, 예를 들면, 컴퓨터에 의해, 예를 들면, 전자 메일, 또는 웹사이트로부터의 다운로드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조성물"은 본 발명내에서 유용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의 혼합물을 지칭한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대상체에 대한 화합물의 투여를 촉진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은 담체 또는 희석제와 같은 물질을 지칭하며, 이는 본 발명내에서 유용한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또는 특성을 폐지하지 않으며, 비교적 무독성인데, 즉, 물질은 대상체에게 바람직하지 않은 생물학적 효과를 유발하거나 조성물이 함유하는 이의 임의의 구성성분과 유해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하지 않고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대상체내에서 또는 대상체에게 본 발명내에 유용한 화합물을 운반하거나 통과시키는 데에 관여함으로써 이의 의도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물질, 조성물 또는 담체, 예를 들면, 액체 또는 고체 충전제, 안정화제, 분산제, 현탁화제, 희석제, 부형제, 증점제, 용매 또는 캡슐화 물질(encapsulating material)을 의미한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작제물은 신체의 하나의 기관, 또는 부위로부터 신체의 다른 기관, 또는 부위로 운반되거나 수송된다. 각각의 담체는 본 발명내에서 유용하고 대상체에게 유해하지 않은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형의 다른 성분과 상용성(compatible)인 의미에서 "허용되어야"만 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서 작용할 수 있는 물질의 일부 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락토즈, 글루코즈 및 슈크로즈와 같은 당; 옥수수 전분 및 감자 전분과 같은 전분; 나트륨 카복시메틸 셀룰로즈, 에틸 셀룰로즈 및 셀룰로즈 아세테이트와 같은 셀룰로즈 및 이의 유도체; 분말화된 트라가칸트; 맥아; 젤라틴; 활석; 코코아 버터 및 좌제 왁스와 같은 부형제; 오일, 예를 들면, 땅콩 오일, 면화씨 오일, 잇꽃 오일, 참깨 오일, 올리브 오일, 옥수수 오일 및 대두 오일; 글리콜, 예를 들면,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올, 예를 들면, 글리세린, 소르비톨, 만니톨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스테르, 예를 들면, 에틸 올레이트 및 에틸 라우레이트; 한천; 완충제, 예를 들면, 수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알루미늄; 계면 활성제; 알긴산; 발열물이 없는 물; 등장성 염수; 링커액(Ringer's solution); 에틸 알코올; 인산염 완충액; 및 약제학적 제형에 사용된 다른 비-독성의 상용성 물질.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또한 본 발명내에서 유용한 화합물의 활성과 혼화성이고 대상체에게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임의의 및 모든 코팅, 항세균제 및 항진균제, 및 흡수 지연제 등을 포함한다. 보충의 활성 화합물을 또한 조성물 내로 혼입시킬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본 발명내에서 유용한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된 약제학적 조성물 속에 포함될 수 있는 다른 추가의 성분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문헌: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Genaro, Ed., Mack Publishing Co., 1985, Easton, PA)에 기술되어 있고, 이는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언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무-독성 산 및 염기, 예를 들면, 무기산, 무기 염기, 유기산, 무기 염기, 용매화물, 수화물, 및 이의 클라트레이트(clathrate)로부터 제조된 투여된 화합물의 염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예방하다", "예방하는" 또는 "예방"은 제제 또는 화합물의 투여가 개시되는 시기에 질환 또는 상태와 관련된 증상으로 진행되지 않은 대상체에서 이러한 증상의 발생을 피하거나 지연시킴을 의미한다. 질환, 상태 및 장애는 본원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특이적으로 결합한" 또는 "특이적으로 결합하는"은 제1 분자가 제2 분자(예컨대, 특수 수용체 또는 효소)에 우선적으로 결합하지만, 제2 분자에만 필수적으로 결합하지는 않음을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대상체"는 비-사람 포유동물 또는 새일 수 있다. 비-사람 포유동물은 예를 들면, 가축 및 애완동물, 예를 들면, 양, 소, 돼지, 개, 고양이 및 쥐 포유동물을 포함한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사람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치료하다", "치료하는" 또는 "치료"는 제제 또는 화합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함으로써 대상체가 경험하는 질환 또는 상태의 증상의 빈도 또는 중증도를 감소시킴을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알킬"은 자체적으로 또는 다른 치환체 의미의 일부로서, 달리 기술하지 않는 한, 나타낸 탄소 원자의 수를 갖는(즉, C1-C10은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의미한다) 직쇄 또는 측쇄 탄화수소를 의미하며 직쇄, 측쇄, 또는 사이클릭 치환체 그룹을 포함한다. 예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3급-부틸, 펜틸, 네오펜틸, 헥실, 및 사이클로프로필메틸을 포함한다. (C1-C6)알킬, 예를 들면,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에틸, 메틸,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n-펜틸, n-헥실 및 사이클로프로필메틸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알킬렌"은 자체적으로 또는 다른 치환체의 일부로서 달리 기술하지 않는 한, 나타낸 탄소 원자의 수를 갖는(즉, C1-C10은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의미한다) 직쇄 또는 측쇄 탄화수소 그룹을 의미하며 직쇄, 측쇄, 또는 사이클릭 치환체 그룹을 포함하고, 여기서 그룹은 2개의 개방 원자가(open valency)를 갖는다. 예는 메틸렌, 1,2-에틸렌, 1,1-에틸렌, 1,1-프로필렌, 1,2-프로필렌 및 1,3-프로필렌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사이클로알킬"은 자체적으로 또는 다른 치환체의 일부로서, 달리 기술하지 않는 한, 나타낸 탄소 원자의 수를 갖는(즉, C3-C6은 3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로 이루어진 환 그룹을 포함하는 사이클릭 그룹을 의미한다) 사이클릭 쇄 탄화수소를 의미하며 직쇄, 측쇄, 또는 사이클릭 치환체 그룹을 포함한다. 예는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사이클로헵틸, 및 사이클로옥틸을 포함한다. (C3-C6)사이클로알킬, 예를 들면,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및 사이클로헥실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알케닐"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용어와 함께, 달리 기술하지 않는 한, 기술된 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안정한 일-불포화되거나 이-불포화된 직쇄 또는 측쇄 탄화수소 그룹을 의미한다. 예는 비닐, 프로페닐(또는 알릴), 크로틸, 이소펜테닐, 부타디에닐, 1,3-펜타디에닐, 1,4-펜타디에닐, 및 보다 높은 동족체 및 이성체를 포함한다. 알켄을 나타내는 작용성 그룹은 -CH2-CH=CH2로 예시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알키닐"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용어와 함께, 달리 기술하지 않는 한, 기술된 수의 탄소 원자를 갖는, 3개의 탄소-탄소 결합을 지닌 안정한 직쇄 또는 측쇄 탄화수소 그룹을 의미한다. 비-제한적 예는 에티닐 및 프로피닐, 및 보다 높은 동족체 및 이성체를 포함한다. 용어 "프로파르길성"은 -CH2-C≡CH로 예시된 그룹을 지칭한다. 용어 "호모프로파르길성"은 -CH2CH2-C≡CH로 예시된 그룹을 지칭한다. 용어 "치환된 프로파르길성"은 -CR2-C≡CR로 예시된 그룹을 지칭하며, 여기서 R의 각각의 발생은 독립적으로 H, 알킬, 치환된 알킬, 알케닐 또는 치환된 알케닐이고, 단 적어도 하나의 R 그룹은 수소가 아니다. 용어 "치환된 호모프로파르길성"은 -CR2CR2-C≡CR로 예시된 그룹을 지칭하고, 여기서 R의 각각의 발생은 독립적으로 H, 알킬, 치환된 알킬, 알케닐 또는 치환된 알케닐이며, 단 적어도 하나의 R 그룹은 수소가 아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치환된 알킬", "치환된 사이클로알킬", "치환된 알케닐" 또는 "치환된 알키닐"은 바람직하게는 할로겐, -OH, 알콕시, -NH2, 트리플루오로메틸, -N(CH3)2, 및 -C(=O)OH로부터 선택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할로겐, 알콕시 및 -OH로부터 선택된 1 또는 2개의 치환체를 함유하는, 할로겐, 알콕시, 테트라하이드로-2-H-피라닐, -NH2, -N(CH3)2, (1-메틸-이미다졸-2-일), 피리딘-2-일, 피리딘-3-일, 피리딘-4-일, -C(=O)OH, 트리플루오로메틸, -C≡N, C(=O)O(C1-C4)알킬, -C(=O)NH2, -C(=O)NH(C1-C4)알킬, -C(=O)N((C1-C4)알킬)2, -SO2NH2, -C(=NH)NH2, 및 -NO2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 2 또는 3개의 치환체로 치환된,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알킬, 사이클로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을 의미한다. 치환된 알킬의 예는 2,2-디플루오로프로필, 2-카복시사이클로펜틸 및 3-클로로프로필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치환된 알킬은 하이드록시 그룹으로 치환되지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용어와 함께 사용된 용어 "알콕시"는 달리 기술하지 않는 한, 산소 원자를 통해 분자의 나머지에 연결된,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지정된 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그룹, 예를 들면, 메톡시, 에톡시, 1-프로폭시, 2-프로폭시(이소프로폭시) 및 보다 높은 동족체 및 이성체를 포함한다. (C1-C3)알콕시, 예를 들면,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에톡시 및 메톡시가 바람직하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치환체의 일부로서 용어 "할로" 또는 "할로겐"은 달리 기술하지 않는 한,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 원자, 바람직하게는 불소, 염소, 또는 브롬, 보다 바람직하게는, 불소 또는 염소를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자체로 또는 다른 용어와 함께 용어 "헤테로알킬"은 달리 기술하지 않는 한, 기술된 수의 탄소 원자 및 O, N, 및 S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개 또는 2개의 헤테로 원자로 이루어진 안정한 직쇄 또는 측쇄 알킬 그룹을 의미하며, 여기서 질소 및 황 원자는 임의로 산화될 수 있고 질소 헤테로원자는 임의로 4급화될 수 있다. 헤테로원자(들)은 헤테로알킬 그룹의 나머지와 이들이 부착된 단편 사이를 포함하는, 헤테로알킬 그룹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헤테로알킬 그룹내 가장 먼 탄소 원자에 부착할 수 있다. 예는: -O-CH2-CH2-CH3, -CH2-CH2-CH2-OH, -CH2-CH2-NH-CH3, -CH2-S-CH2-CH3, 및 -CH2CH2-S(=O)-CH3를 포함한다. 2개 이하의 헤테로원자는 예를 들면, -CH2-NH-OCH3, 또는 -CH2-CH2-S-S-CH3와 같이 연속적일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자체로 또는 다른 용어와 함께 "헤테로알케닐"은 달리 기술하지 않는 한, 기술된 수의 탄소 원자 및 O, N, 및 S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개 또는 2개의 헤테로원자로 이루어진 안정한 직쇄 또는 측쇄 일불포화되거나 이불포화된 탄화수소 그룹을 의미하며, 여기서 질소 및 황 원자는 임의로 산화될 수 있고 질소 헤테로원자는 임의로 4급화될 수 있다. 2개 이하의 헤테로원자는 연속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예는 -CH=CH-O-CH3, -CH=CH-CH2-OH, -CH2-CH=N-OCH3, -CH=CH-N(CH3)-CH3, 및 -CH2-CH=CH-CH2-SH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방향족"은 하나 이상의 다중불포화된 환을 지니고 방향족 특성을 갖는, 즉, (4n+2) 비국소화된 π(파이) 전자를 갖는 카보사이클 또는 헤테로사이클을 지칭하고, 여기서 n은 정수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용어와 함께 사용된, 용어 "아릴"은 달리 기술하지 않는 한, 하나 이상의 환(전형적으로, 1개, 2개 또는 3개의 환)을 함유하는 카보사이클릭 방향족 시스템을 의미하며 여기서 이러한 환은 비페닐(biphenyl)과 같이, 펜던트 방식(pendent manner)으로 함께 부착될 수 있거나, 나프탈렌과 같이 융합될 수 있다. 예는 페닐, 안트라실, 및 나프틸을 포함한다. 페닐 및 나프틸이 바람직하고, 페닐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아릴-(C1-C3)알킬"은 1 내지 3개의 탄소 알킬렌 쇄가 아릴 그룹에 부착된 작용성 그룹, 예컨대, -CH2CH2-페닐 또는 -CH2-페닐(벤질)을 의미한다. 아릴-CH2- 및 아릴-CH(CH3)-이 바람직하다. 용어 "치환된 아릴-(C1-C3)알킬"은 아릴-(C1-C3)알킬 작용성 그룹을 의미하며 여기서 아릴 그룹은 치환된다. 치환된 아릴(CH2)-이 바람직하다. 유사하게는, 용어 "헤테로아릴-(C1-C3)알킬"은 1 내지 3개의 탄소 알킬렌 쇄가 헤테로 아릴 그룹에 부착된 작용성 그룹, 예컨대, -CH2CH2-피리딜을 의미한다. 헤테로아릴-(CH2)-가 바람직하다. 용어 "치환된 헤테로아릴-(C1-C3)알킬"은 헤테로아릴-(C1-C3)알킬 작용성 그룹을 의미하며 여기서 헤테로아릴 그룹은 치환된다. 치환된 헤테로아릴-(CH2)-가 바람직하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헤테로사이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릭"은 자체로 또는 다른 치환체의 일부로서, 달리 기술하지 않는 한, 탄소 원자 및 N, O, 및 S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원자로 이루어진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안정한, 모노- 또는 멀티-사이클릭 헤테로사이클릭 환 시스템을 의미하며, 여기서 질소 및 황 헤테로원자는 임의로 산화될 수 있고, 질소 원자는 임의로 4급화될 수 있다. 헤테로사이클릭 시스템은 달리 기술하지 않는 한, 안정한 구조를 제공하는 임의의 헤테로원자 또는 탄소 원자에 부착될 수 있다. 헤테로사이클은 천연적으로 방향족 또는 비-방향족일 수 있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헤테로사이클은 헤테로아릴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방향족"은 방향족 특징을 갖는 헤테로사이클을 지칭한다. 폴리사이클릭 헤테로아릴은 부분 포화된 하나 이상의 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는 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 및 2,3-디하이드로벤조푸릴을 포함한다.
비-방향족 헤테로사이클의 예는 모노사이클릭 그룹, 예를 들면, 아지리딘, 옥시란, 티이란, 아제티딘, 옥세탄, 티에탄, 피롤리딘, 피롤린, 이미다졸린, 피라졸리딘, 디옥솔란, 설폴란, 2,3-디하이드로푸란, 2,5-디하이드로푸란, 테트라하이드로푸란, 티오판, 피페리딘, 1,2,3,6-테트라하이드로피리딘, 1,4-디하이드로피리딘, 피페라진, 모르폴린, 티오모르폴린, 피란, 2,3-디하이드로피란, 테트라하이드로피란, 1,4-디옥산, 1,3-디옥산, 호모피페라진, 호모피페리딘, 1,3-디옥세판, 4,7-디하이드로-1,3-디옥세핀 및 헥사메틸렌옥사이드를 포함한다.
헤테로아릴 그룹의 예는 피리딜, 피라지닐, 피리미디닐(예를 들면,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2- 및 4-피리미디닐), 피리다지닐, 티에닐, 푸릴, 피롤릴, 이미다졸릴, 티아졸릴, 옥사졸릴, 피라졸릴, 이소티아졸릴, 1,2,3-트리아졸릴, 1,2,4-트리아졸릴, 1,3,4-트리아졸릴, 테트라졸릴, 1,2,3-티아디아졸릴, 1,2,3-옥사디아졸릴, 1,3,4-티아디아졸릴 및 1,3,4-옥사디아졸릴을 포함한다.
폴리사이클릭 헤테로사이클의 예는 인돌릴(예를 들면,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3-, 4-, 5-, 6- 및 7-인돌릴), 인돌리닐, 퀴놀릴, 테트라하이드로퀴놀릴, 이소퀴놀릴(예를 들면,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1- 및 5-이소퀴놀릴), 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릴, 신놀리닐, 퀴녹살리닐(예를 들면,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2- 및 5-퀴녹살리닐), 퀴나졸리닐, 프탈라지닐, 1,8-나프티리디닐, 1,4-벤조디옥사닐, 쿠마린, 디하이드로쿠마린, 1,5-나프티리디닐, 벤조푸릴(예를 들면,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3-, 4-, 5-, 6- 및 7-벤조푸릴), 2,3-디하이드로벤조푸릴, 1,2-벤즈이속사졸릴, 벤조티에닐(예를 들면,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3-, 4-, 5-, 6-, 및 7-벤조티에닐), 벤족사졸릴, 벤조티아졸릴(예를 들면,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2-벤조티아졸릴 및 5-벤조티아졸릴), 푸리닐, 벤즈이미다졸릴, 벤즈트리아졸릴, 티옥산티닐, 카르바졸릴, 카르볼리닐, 아크리디닐, 피롤리지디닐, 및 퀴놀리지디닐을 포함한다.
헤테로사이클릴 및 헤테로아릴 모이어티(moiety)의 전술한 목록은 대표적이고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치환된"은 원자 또는 원자의 그룹이 다른 그룹에 부착된 치환체로서 수소를 대체함을 의미한다.
아릴, 아릴-(C1-C3)알킬 및 헤테로사이클릴 그룹의 경우, 이러한 그룹의 환에 적용된 바와 같은 용어 "치환된"은 임의의 수준의 치환, 즉, 모노-, 디-, 트리-, 테트라-, 또는 펜타-치환을 지칭하며, 여기서 이러한 치환은 허용된다. 치환체는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치환은 임의의 화학적으로 접근가능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치환체는 1 내지 4개 사이의 수에서 변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치환체는 1과 3 사이의 수에서 변한다. 여전히 다른 구현예에서, 치환체는 1과 2 사이의 수에서 변한다. 여전히 다른 구현예에서, 치환체는 C1-6 알킬, -OH, C1-6 알콕시, 할로, 아미노, 아세트아미도 및 니트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치환체가 알킬 또는 알콕시 그룹인 경우, 탄소 쇄는 측쇄, 직쇄 또는 사이클릭일 수 있으며, 직쇄가 바람직하다.
다음의 약어가 본원에 사용된다: β-아레스틴, 베타-아레스틴-2(단백질); C, 탄소: cAMP, 사이클릭 아데노신 모노포스페이트; DCM(또는 CH2Cl2), 메틸렌 클로라이드(디클로로메탄); DIPEA,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EC50, 반-최대(50%) 유효 농도; EMAX, 최대 반응; ESI, 전자분무 이온화; EtOAc, 에틸 아세테이트; GPCRs, G-단백질 커플링된 수용체; HCl, 염화수소산; K2CO3, 탄산칼륨; KOH, 수산화칼륨; MeCN(또는 CH3CN), 아세토니트릴; MHz, 메가헤르츠(megahertz); MOR, 뮤 아편유사제 수용체; MS, 질량 분광분석법; NH4Cl, 염화암모늄; NH4OH, 수산화암모늄(용액); n-BuLi, n-부틸리튬; nc, 계산되지 않음; nd, 행하지 않음(수행하지 않음); NMR, 핵 자기 공명; PE, 석유 에테르; RA, 상대 활성; TEA, 트리메틸아민.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가 범위 양식으로 나타날 수 있다. 범위 양식의 기술은 단지 편의성 및 간결성의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영역에서 융통성없는 제한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함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범위의 기술은 모든 가능한 하위-범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범위내 개개 수치 및, 적절한 경우, 범위내 수치의 부분 정수를 구체적으로 개시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1 내지 6의 범위의 기술은 1 내지 3, 1 내지 4, 1 내지 5, 2 내지 4, 2 내지 6, 3 내지 6 등과 같은 구체적으로 개시된 하위-범위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1, 2, 2.7, 3, 4, 5, 5.3, 및 6의 범위내 개개의 수도 갖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이는 범위의 폭과 관련없이 적용된다.
화합물 및 조성물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 용매화물, 라세메이트, 거울상이성체, 라세믹 부분입체이성체, 단일 부분입체이성체, 및/또는 호변이성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한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6
여기서:
L은 -(CZ1Z2)-, -(CZ1Z2-CZ1Z2)-, 및
-(CZ1Z2-CZ1Z2-CZ1Z2)-(예를 들면,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CH2-, -CH2-CH2-, -CHZ2-CH2-, -CH2-CHZ2-, -CHZ2-CHZ2-, -CZ1Z2-CH2-, -CH2-CZ1Z2-, -CZ1Z2-CHZ-, -CHZ2-CZ1Z2-, -CZ1Z2-CZ1Z2-, -CH2-CH2-CH2, -CHZ2-CH2-CH2, -CH2-CHZ2-CH2, -CH2-CH2-CHZ2-, -CZ1Z2-CH2-CH2, -CH2-CZ1Z2-CH2, 및/또는 -CH2-CH2-CZ1Z2)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1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R2는 수소, C1-C6 알킬, 및 치환된 C1-C6 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3은 수소, 메틸 및 에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R4는 메틸 및 에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5는 메틸 및 에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R6은 H 및 C1-C6 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Z1 및 Z2의 각각의 발생은 수소, 플루오로 및 메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X는 S, O, 및 N-R7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의 각각의 발생은 수소,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요오도, 시아노, 니트로, 하이드록실, C1-C6 알콕시, C1-C6 알킬, 치환된 C1-C6 알킬, C2-C6 알케닐, 치환된 C2-C6 알케닐, 알키닐, 치환된 C2-C6 알키닐, 페닐, 치환된 페닐, -COOR7 및 카복스아미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L-R1은 결합하여 H, C1-C6 알킬, 또는 치환된 C1-C6 알킬(예를 들면,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사이클로프로필메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p의 각각의 발생은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R7의 각각의 발생은 수소 및 C1-C6 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R2 및 R3은 수소이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R4 및 R5는 메틸이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R6은 수소 및 메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R6은 수소이다. 여전히 다른 구현예에서, R6은 메틸이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L은 메틸렌(-CH2-) 및 1,2-에틸렌(-CH2-CH2-)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L은 메틸렌(-CH2-)이다. 여전히 다른 구현예에서, L은 1,2-에틸렌(-CH2-CH2-)이다. 여전히 다른 구현예에서, L은 1,3-프로필렌(-CH2-CH2-CH2-)이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R1은 페닐, 티에닐, 푸라닐, 3-피리디닐, 치환된 페닐, 치환된 티에닐, 치환된 푸라닐, 및 치환된 3-피리디닐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R2 및 R3은 수소이고, R4 및 R5는 메틸이며, R6은 수소 또는 메틸이고, L은 메틸렌(-CH2-), 에틸렌(-CH2-CH2-), 또는 1,3-프로필렌(-CH2-CH2-CH2-)이며, R1은 페닐, 티에닐, 푸라닐, 3-피리디닐, 치환된 페닐, 치환된 티에닐, 치환된 푸라닐, 또는 치환된 3-피리디닐이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R2 R3은 수소이고, R4 및 R5는 메틸이며, R6은 수소 또는 메틸이고, L은 에틸렌(-CH2-CH2-)이며, R1은 페닐, 티에닐, 푸라닐, 3-피리디닐, 치환된 페닐, 치환된 티에닐, 치환된 푸라닐, 또는 치환된 3-피리디닐이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R2 및 R3은 수소이고, R4 및 R5는 메틸이며, R6은 수소이고, L은 1,2-에틸렌(-CH2-CH2-)이며, R1은 페닐, 티에닐, 푸라닐, 3-피리디닐, 치환된 페닐, 치환된 티에닐, 치환된 푸라닐, 또는 치환된 3-피리디닐이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R2 및 R3은 수소이고, R4 및 R5는 메틸이며, R6은 수소 또는 메틸이고, L은 1,3-프로필렌(-CH2-CH2-CH2-)이며, R1은 페닐, 티에닐, 푸라닐, 3-피리디닐, 치환된 페닐, 치환된 티에닐, 치환된 푸라닐, 또는 치환된 3-피리디닐이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R2 및 R3은 수소이고, R4 및 R5는 메틸이며 R6은 수소이고, L은 1,3-프로필렌(-CH2-CH2-CH2-)이며, R1은 페닐, 티에닐, 푸라닐, 3-피리디닐, 치환된 페닐, 치환된 티에닐, 치환된 푸라닐, 또는 치환된 3-피리디닐이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치환된 페닐의 각각의 발생은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C1-C6 할로알콕시,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요오도, 시아노, 니트로, -N(R')(R'), -OR', -COOH, -COO(C1-C6 알킬), 및 카복스아미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독립적으로 치환되며, 여기서 R'의 각각의 발생은 독립적으로 H 또는 C1-C6 알킬이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치환된 페닐의 각각의 발생은 2-클로로-4-플루오로-페닐, 4-하이드록시-페닐, 및 4-메톡시-페닐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치환된 3-피리디닐의 각각의 발생은 5-할로-3-피리디닐이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티에닐 치환체는 2-티에닐이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치환된 알킬, 알케닐 및/또는 알키닐의 각각의 발생은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C1-C6 할로알콕시, 할로, -OR', 페닐 (따라서, 비-제한적 예로, 임의 치환된 페닐-(C1-C3 알킬), 예를 들면,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벤질 또는 치환된 벤질을 생성한다) 및 -N(R')(R')(여기서 R'의 각각의 발생은 독립적으로 H 또는 C1-C6 알킬이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치환체로 독립적으로 치환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적어도 2개의 입체 중심(피페리디닐 환의 3- 및 4- 위치)를 지니고, 각각의 입체중심은 독립적으로 (R) 또는 (S) 배위(configuration)로 존재할 수 있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4개의 부분입체이성체의 혼합물로서 존재한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2개의 부분입체이성체의 혼합물로서 존재한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2개의 부분입체이성체는 서로 거울상이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2개의 부분입체이성체의 라세미 혼합물(racemic mixture)로서 존재한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순수한 부분입체이성체로서 존재한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O-R6 그룹 및 -CH2-NR4R5 그룹은 피페리디닐 환의 동일한 면(본원에서 syn 배위로 공지됨)에 위치한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O-R6 그룹 및 -CH2-NR4R5 그룹은 피페리디닐 환의 반대 면(anti 배위로 공지됨)에 위치한다. 본 개시내용에서, 달리 기술하지 않는 한, 용어 syn anti는 본 발명의 화합물내 -O-R6 그룹과 -CH2-NR4R5 그룹 사이의 관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모든 부분입체이성체, 라세미체, 단일 부분입체이성체, 및 모든 가능한 이의 혼합물이 본원에서 고려된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화합물은
Figure pct00009
, 또는 이의 염 또는 용매화물이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화합물은
Figure pct00010
, 또는 이의 염 또는 용매화물이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화합물은
Figure pct00011
, 또는 이의 염 또는 용매화물이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화합물은
Figure pct00012
, 또는 이의 염 또는 용매화물이다.
달리 기술하지 않는 한, 각각의 부분입체이성체적으로 순수한 화합물은 Ent로 인용된다. 서로 거울상인 2개의 부분입체이성체적으로 순수한 화합물이 존재하는 경우, 이들은 Ent-A Ent-B로 기술되며, 여기서 용어 Ent-A Ent-B는 임의의 절대 입체화학을 내포함을 의미하지 않는다. 유사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본원에 나타낸 특정의 구조는 절대 입체화학을 내포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화합물 구조내 키랄 중심(chiral center)의 상대 배위를 나타낸다.
비-제한적 예에서, Ent-A-syn-(I) 및 Ent-B-syn-(I)인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다음의 구조의 쌍으로 기술됨으로써, Ent-A-syn-(I)은 이러한 구조들 중 하나에 상응하고, Ent-B-syn-(I)은 다른 것에 상응한다:
Figure pct00013
50:50의 Ent-A-syn-(I) 및 Ent-B-syn-(I)의 혼합물은 rac-syn으로 나타낸다.
비-제한적 예에서, Ent-A-안티(anti)-(I) 및 Ent-B-안티-(I)인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다음의 구조의 쌍으로 기술됨으로써, Ent-A-안티-(I)은 이러한 구조 중 하나에 상응하고, Ent-B-안티-(I)은 다른 것에 상응한다:
Figure pct00014
50:50의 Ent-A-ant-(I) 및 Ent-B-안티-(I)의 화합물은 rac-안티로 나타낸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는 본 발명의 우회전성 화합물을 기술하며, 용어 "(-)"는 본 발명의 좌회전성의 화합물을 기술한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다음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이다:
3-(-(2-클로로-4-플루오로-벤질)-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6)
Figure pct00015
(+)-Ent-A-syn-3-(1-(2-클로로-4-플루오로벤질)-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A-syn-(6)];
(-)-Ent-B-syn-3-(1-(2-클로로-4-플루오로벤질)-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B-syn-(6)];
(+)-Ent-A-안티-3-[1-(2-클로로-4-플루오로벤질)-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A-안티-(6)];
(-)-Ent-B-안티-3-[1-(2-클로로-4-플루오로벤질)-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B-안티-(6)];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티오펜-3-일메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11)
Figure pct00016
(+)-Ent-A-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티오펜-3-일)메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A-syn-(11)];
(-)-Ent-B-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티오펜-3-일)메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B-syn-(11)];
(+)-Ent-A-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티오펜-3-일)메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A-안티-(11)];
(-)-Ent-B-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티오펜-3-일)메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B-안티-(11)];
3-{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Figure pct00017
3-[(3S,4R)-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29a);
3-[(3R,4S)-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29b);
(+)-Ent-A-안티-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B-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9)
Figure pct00018
(+)-Ent-A-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페닐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45a);
(-)-Ent-B-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페닐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45b);
(+)-Ent-A-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페닐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A-안티-(9)];
(-)-Ent-B-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페닐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B-안티-(9)];
3-(1-(2-클로로-4-플루오로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13)
Figure pct00019
3-((3S,4R)-1-(2-클로로-4-플루오로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32a);
3-((3R,4S)-1-(2-클로로-4-플루오로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32b);
(+)-Ent-A-안티-3-[1-[2-(2-클로로-4-플루오로페닐)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A-안티-(13)];
(-)-Ent-B-안티-3-[1-[2-(2-클로로-4-플루오로페닐)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B-안티-(13)];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메톡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Figure pct00020
(+)-Ent-A-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메톡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A-syn-(17)];
(-)-Ent-B-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메톡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B-syn-(17)];
(+)-Ent-A-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메톡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A-안티-(17)];
(-)-Ent-B-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메톡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B-안티-(17)];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하이드록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Figure pct00021
(+)-Ent-A-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4-하이드록시페닐)에틸] 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38a);
(-)-Ent-B-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4-하이드록시페닐)에틸] 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38b);
(+)-Ent-A-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4-하이드록시페닐)에틸 ]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A-안티-(18)];
(-)-Ent-B-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4-하이드록시페닐)에틸] 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B-안티-(18)];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티오펜-3-일)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15)
Figure pct00022
3-(3S,4R)-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티오펜-3-일)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41a);
3-((3R,4S)-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티오펜-3-일)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41b);
(+)-Ent-A-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티오펜-3-일)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A-안티-(15)];
(-)-Ent-B-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티오펜-3-일)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B-안티-(15)];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3-페닐-프로필)-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20)
Figure pct00023
(+)-Ent-A-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3-페닐프로필)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44a);
(-)-Ent-B-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3-페닐프로필)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44b);
(+)-Ent-A-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3-페닐프로필)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A-안티-(20)];
(-)-Ent-B-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3-페닐프로필)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B-안티-(20)];
3-{1-[3-(2-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프로필]-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23)
Figure pct00024
3-((3S,4R)-1-(3-(2-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프로필)-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23a);
3-((3R,4S)-1-(3-(2-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프로필)-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23b);
(+)-Ent-A-안티-3-[1-[3-(2-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프로필]-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A-안티-(23)];
(-)-Ent-B-안티-3-[1-(3-(2-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프로필)-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B-안티-(23)];
3-{3-[(디메틸아미노)메틸]-1-[3-(5-플루오로피리딘-3-일)프로필]-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Figure pct00025
3-[(3S,4R)-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26a);
3-[(3R,4S)-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26b);
(+)-Ent-A-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1-[3-(5-플루오로피리딘-3-일)프로필]-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B-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1-[3-(5-플루오로피리딘-3-일)프로필]-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3-[1-(사이클로프로필메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Figure pct00026
(35);
(+)-Ent-A-syn-3-[1-(사이클로프로필메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A-syn-(35)];
(-)-Ent-B-syn-3-[1-(사이클로프로필메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B-syn-(35)];
(+)-Ent-A-안티-3-[1-(사이클로프로필메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A-안티-(35)];
(-)-Ent-B-안티-3-[1-(사이클로프로필메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B-안티-(35)];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Figure pct00027
(21);
Rac-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rac-syn- 21);
Rac-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rac-안티- 21);
(+)-Ent-A-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A-syn-21);
(-)-Ent-B-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B-syn-21);
(+)-Ent-A-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A-안티- 21);
(-)-Ent-B-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B-안티- 21); 또는 이의 염, 용매화물, 거울상이성체, 부분입체이성체 및/또는 호변이성체, 및 이의 임의의 혼합물.
특정의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은 광학적으로 활성이거나 라세미 형태(racemic form)로 존재한다.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은 본원에 기술된 치료학적으로 유용한 특성을 지닌 라세미, 광학 활성인, 레지오이성체(regioisomeric) 및 입체이성체 형태, 또는 이의 조합을 포함한다. 광학 활성인 형태의 제조는 라세미 형태를 재결정 기술로 분해, 광학 활성인 출발 물질로부터의 합성, 키랄 합성, 또는 키랄 정지상을 사용하는 크로마토그래피 분리에 의해, 비-제한적 예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달성된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이성체의 혼합물은 본원에 기술된 치료학적 화합물로서 이용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키랄 중심을 함유한다. 이러한 화합물은 입체선택적 합성, 거울상이성체선택적 합성 및/또는 거울상이성체 및/또는 부분입체이성체의 혼합물의 분리를 포함하는 임의의 수단에 의해 제조된다. 화합물 및 이의 이성체의 분해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화학 공정, 효소 공정, 분별 결정, 증류, 및 크로마토그래피를 포함하는 임의의 수단으로 달성된다. 키랄 중심(들)을 함유하는 제공된 화합물의 모든 가능한 입체화학적 배위가 고려된다. 특히 거울상이성체 또는 부분입체이성체(들)이 농축된 모든 가능한 혼합물이 고려된다. 모든 순수한 개개 거울상이성체 또는 부분입체이성체가 고려된다.
본원에 기술된 방법 및 제형은 본 발명의 임의의 화합물의 구조를 갖는 N-산화물(적절한 경우), 결정성 형태(또한 다형체로 공지됨), 용매화물, 무정형 상, 및/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뿐만 아니라 동일한 유형의 활성을 갖는 이러한 화합물의 대사산물 및 활성 대사산물도 포함한다. 용매화물은 물, 에테르(예컨대,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메틸 3급-부틸 에테르) 또는 알코올(예컨대, 에탄올) 용매화물, 아세테이트 등을 포함한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용매, 예를 들면, 물, 및 에탄올과 함께 용매화된 형태로 존재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은 용매화되지 않은 형태로 존재한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호변이성체로서 존재할 수 있다. "호변이성체화"는 결합 순서내 변화, 흔히 단일 결합과 인접한 이중 결합의 교환에 의해 동반된 양성자의 이동을 포함하는 이성체화의 형태이다. 호변이성체화가 가능한 경우(예컨대, 용액 속에서), 호변이성체의 화학적 평형이 도달될 수 있다. 호변이성체화의 하나의 잘 공지된 예는 케톤과 이의 상응하는 에놀 사이에 있다. 헤테로사이클은 피롤리디논 및 하이드록시피롤의 상호전환과 같은 호변이성체를 형성할 수 있다. 모든 호변이성체는 본원에 나타낸 화합물의 영역내에 포함된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은 전구약물(prodrug)로서 제조된다. "전구약물"은 생체내(in vivo)에서 모 약물로 전환된 제제를 지칭한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생체내 투여시, 전구약물은 화합물의 생물학적으로, 약제학적으로 또는 치료학적으로 활성인 형태로 화학적으로 전환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전구약물은 하나 이상의 단계 또는 공정에 의해 화합물의 생물학적으로, 약제학적으로 또는 치료학적으로 활성인 형태로 효소적으로 대사된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현장에서,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화합물의 방향족 환 부분 상의 부위는 다양한 대사 반응에 대해 민감하다. 방향족 환 구조 상의 적절한 치환체의 혼입은 이러한 대사 경로를 감소시키거나, 최소화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대사 반응에 대한 방향족 환의 민감성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기에 적절한 치환체는 단지 예로서, 중수소, 할로겐, 또는 알킬 그룹이다.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은 또한 동위원소적으로 표지된 화합물을 포함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원자는 동일한 원자수를 가지지만, 천연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된 원자 질량 또는 질량수와는 상이한 원자 질량 또는 질량수를 갖는 원자에 의해 대체된다.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내 혼입에 적합한 동위원소의 예는 2H, 3H, 11C, 13C, 14C, 36Cl, 18F, 123I, 125I, 13N, 15N, 15O, 17O, 18O, 32P, 및 35S를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동위원소적으로 표지된 화합물은 약물 및/또는 기질 조직 분포 연구에 유용하다. 다른 구현예에서, 보다 무거운 동위원소, 예컨대, 중수소에 의한 치환은 보다 큰 대사 안전성을 제공한다(예를 들면, 생체내 반감기를 증가시키거나 투여량 요건을 감소시킨다). 여전히 다른 구현예에서, 양자 방출 동위원소, 예를 들면, 11C, 18F, 15O 및 13N을 사용한 치환은 기질 수용체 점유를 시험하기 위한 양전자 방출 토포그래피(Positron Emission Topography: PET) 연구에 유용하다. 동위원소적으로 표지된 화합물은 달리 사용된 표지되지 않은 시약 대신에 적절한 동위원소적으로 표지된 시약을 사용한 임의의 적합한 방법 또는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은 발색단 또는 형광성 모이어티, 생물발광성 표지, 또는 화학발광성 표지의 사용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른 수단에 의해 표지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특정의 구현예에서 산 또는 염기를 형성할 수 있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산 부가 염을 고려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염기 부가염을 고려한다. 여전히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을 고려한다. 여전히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기 부가 염을 고려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독성이 아니거나 달리는 생물학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는 염기 또는 산의 염을 지칭한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 염은 무기산으로부터 또는 유기산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무기산의 예는 염화수소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산, 질산, 카본산, 황산(황산염 및 황산수소염 포함), 및 인산(인화수소 및 인화이수소를 포함)을 포함한다. 적절한 유기 산은 지방족, 지환족, 방향족, 아르지방족(araliphatic), 헤테로사이클릭, 카복실 및 설폰 부류의 유기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이의 예는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석신산, 글리콜산, 글루콘산, 락트산, 말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아스코르브산, 글루쿠론산, 말레산, 말론산, 사카린, 푸마르산, 피루브산,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벤조산, 안트라닐산, 4-하이드록시벤조산, 페닐아세트산, 만델산, 엠본(팜)산,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벤젠설폰산, 판토텐산,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2-하이드록시에탄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설파닐산, 사이클로헥실아미노설폰산, 스테아르산, 알긴산, β-하이드록시부티르산, 살리실산, 갈락타르산 및 갈락투론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기 부가염은 예를 들면,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및 전이 금속 염, 예를 들면, 칼슘, 마그네슘, 칼륨, 나트륨, 리튬 및 구리, 철 및 아연 염을 포함하는 금속 염을 포함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기 부가염은 또한 염기성 아민, 예를 들면,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클로로프로카인, 콜린, 디에탄올아민, 에틸렌디아민, 메글루민(N-메틸글루카민) 및 프로카인으로부터 제조된 유기 염을 포함한다. 이러한 염 모두는 예를 들면, 적절한 산 또는 염기를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상응하는 화합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 및 상이한 치환체를 갖는 다른 관련 화합물은 본원에 기술된 기술 및 물질을 사용하여 및 예를 들면, 문헌: Fieser & Fieser's Reagents for Organic Synthesis, Volumes 1-17 (John Wiley and Sons, 1991); Rodd's Chemistry of Carbon Compounds, Volumes 1-5 및 Supplementals (Elsevier Science Publishers, 1989); Organic Reactions, Volumes 1-40(John Wiley and Sons, 1991), Larock's Comprehensive Organic Transformations(VCH Publishers Inc., 1989), March, Advanced Organic Chemistry 4th Ed., (Wiley 1992); Carey & Sundberg, Advanced Organic Chemistry 4th Ed., Vols. A and B(Plenum 2000, 2001), 및 Green & Wuts,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3rd Ed., (Wiley 1999)(이들 모두는 이러한 기재내용을 위해 참고로 포함된다)에 기술된 바와 같이 합성된다.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은 본원에 제공된 바와 같은 식에서 발견된 다양한 모이어티의 도입을 위해, 적절한 시약 및 조건을 사용하여 변형시킨다.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은 시판 공급원으로부터 이용가능한 화합물로부터 출발하는 임의의 적합한 과정을 사용하여 합성하거나, 본원에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하이드록실, 아미노, 이미노, 티오 또는 카복시 그룹과 같은 반응성 작용 그룹은 반응에서 이들의 원치않는 참여를 피하기 위하여 보호된다. 보호 그룹은 반응성 모이어티 중 일부 또는 모두를 차단하고 보호 그룹이 제거될 때까지 화학 반응에서의 참여로부터 이러한 그룹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각각의 보호 그룹은 상이한 수단으로 제거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이질적인 반응 조건 하에서 분열되는 보호 그룹은 차별적인 제거의 요건을 충족시킨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보호 그룹은 산, 염기, 환원 조건(예를 들면, 가수소분해와 같은), 및/또는 산화 조건에 의해 제거된다. 그룹, 예를 들면, 트리틸, 디메톡시트리틸, 아세탈 및 t-부틸디메틸실릴은 산 불안정성이며 가수소분해에 의해 제거가능한, Cbz 그룹, 및 염기 불안정성인 Fmoc 그룹으로 보호된 아미노 그룹의 존재하에서 카복시 및 하이드록시 반응성 모이어티를 보호하는데 사용된다. 카복실산 및 하이드록시 반응성 모이어티는 산 불안정성 그룹, 예를 들면, t-부틸 카바메이트, 또는 산 및 염기 둘 다에 안정하지만 가수분해로 제거할 수 있는 카바메이트로 차단된 아민의 존재하에서, 산 불안정성 그룹, 예를 들면,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메틸, 에틸, 및 아세틸로 차단된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카복실산 및 하이드록시 반응성 모이어티는 가수분해적으로 제거가능한 보호 그룹, 예를 들면, 벤질 그룹으로 차단되는 반면, 산과 수소결합할 수 있는 아민 그룹은 염기 불안정성 그룹, 예를 들면, Fmoc로 차단된다. 카복실산 반응성 모이어티는 본원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알킬 에스테로로의 전환을 포함하는, 단순한 에스테르 화합물로의 전환에 의해 보호되거나, 산화적으로 제거가능한 보호 그룹, 예를 들면, 2,4-디메톡시벤질로 차단되는 반면, 동시-존재하는 아미노 그룹은 플루오라이드 불안정한 실릴 카바메이트로 차단된다.
알릴 차단 그룹은 산-보호 그룹이 안정하고 금속 또는 pi-산 촉매에 의해 후속적으로 제거되므로 산- 및 염기-보호 그룹의 존재하에서 유용하다. 예를 들면, 알릴-차단된 카복실산은 산 불안정성 t-부틸 카바메이트 또는 염기-불안정성 아세테이트 아민 보호 그룹의 존재하에서 팔라듐-촉매된 반응으로 탈보호된다. 여전히 다른 형태의 보호 그룹은 화합물 또는 중간체가 부착된 수지이다. 잔기가 수지에 부착되어 있는 한, 이러한 작용 그룹은 차단되어 반응하지 않는다. 일단 수지로부터 방출되면, 작용 그룹은 반응에 이용가능하다.
전형적으로 차단/보호 그룹은 다음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Figure pct00028
다른 보호 그룹, 및 보호 그룹의 생성 및 이들의 제거에 적용가능한 기술의 상세한 설명은 문헌: Greene & Wuts,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3rd Ed., John Wiley & Sons, New York, NY, 1999, 및 Kocienski, Protective Groups, Thieme Verlag, New York, NY, 1994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는 이러한 개시내용을 위한 참고로 본원에 포함된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다음의 일반적인 반응식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도면, 반응식, 및/또는 설명에서 제공된 화합물 명칭 및/또는 도면은 적절하게는, 문제의 화합물의 다양한 치환체의 상대적이거나 절대적인 입체화학을 제공함에 주목하여야 한다. 사용된 경우, 화합물의 절대 입체화학은 달리 기술하지 않는 한, 본원에 제공된 바와 같은 화합물 명칭 및/또는 이의 구조를 통해 나타낸다. 이렇게 주목된 경우, 화합물의 화학 구조는 상대적인 입체화학 만을 나타내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화학적 화합물의 절대 입체화학을 제공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N-보호된 피페리딘-4-온(A)은 2급 아민 및 포름알데하이드(만니쉬(Mannich) 조건 하에서)와 반응하거나, 디알킬메틸렌임모늄 클로라이드, 예를 들면,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디메틸메틸렌임모늄 클로라이드와 반응하여, N-보호된 3-(디알킬아미노)메틸-피페리딘-4-온(B)을 제공한다. 별도로, 요오도아릴니트릴, 예를 들면,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3-요오도벤조니트릴은 마그네슘 금속 또는 알킬리튬 종(species), 예를 들면,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n-부틸리튬과, 불활성 용매, 예를 들면,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디에틸에테르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속에서, 무수 조건 및 불활성 대기 하에 반응하여 상응하는 3-시아노페닐-마그네슘 브로마이드 또는 3-시아노-페닐-리튬(C)을 각각 생산한다. 저온, 예를 들면,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78℃에서, N-보호된 3-(디알킬아미노)메틸-피페리딘-4-온(B)을 3-시아노-페닐-리튬(C)에 가하여 N-보호된-4-(3-시아노페닐)-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D)을 생산한다. 적절한 조건 하에서, syn-디알킬아미노-알코올 생성물(D- syn ) 대 안티-디알킬아미노-알코올 생성물(D- anti )의 부분입체이성체성 농축이 달성될 수 있다. N-보호 그룹의 제거, 예를 들면, 산- 또는 염기-가수분해, 또는 수소화 각각을 통한 3급-부틸옥시카보닐(N-BOC) 또는 벤질(N-Bn)의 분열은 4-(3-시아노페닐)-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E)을 제공한다. 피페리딘 N-H의 N-알킬화는 적합한 아민 염기의 존재하에서, 벤질- 또는 펜에틸-할라이드와 반응시켜, 상응하는 N-벤질- 또는 N-펜에틸-4-(3-시아노페닐)-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F)을 수득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4-(3-시아노페닐)-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E)은 환원제, 예를 들면, 나트륨 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의 존재하에서 벤즈알데하이드 또는 아릴-아세트알데하이드와 반응시킴으로써 환원적 알킬화를 통해 N-알킬화될 수 있다. 하이드록사이드와의 반응을 통한 것과 같은, N-벤질- 또는 N-펜에틸-4-(3-시아노페닐)-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F)의 염기 가수분해는 니트릴 기능성을 카복스아미드로 전환시켜 3-(1-벤질 또는 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G)를 생산한다. 강산, 예를 들면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염산과의 반응은 상응하는 산 부가염, 예를 들면,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3-(1-벤질 또는 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Ga)(반응식 1)를 생성한다.
[반응식 1]
(내포되지 않은 절대 입체화학).
Figure pct00029
특정의 구현예에서, 라세믹 syn-아미노-알코올 및 안티-아미노-알코올 부분입체이성체성 생성물, 예를 들면, rac - syn -(D) 및 rac-안티 -(D)를 형성시키고 분리 방법, 예를 들면,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키랄 산-부가 염의 결정화,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정제를 사용하여 정제함으로써 순수한 라세믹 부분입체이성체 rac - syn -(D)를 수득한다(반응식 2).
특정의 구현예에서, 라세믹 syn-아미노-알코올 및 안티-아미노-알코올 부분입체이성체성 생성물, 예를 들어, rac - syn -(D) 및 rac-안티 -(D)를 형성시키고 분리 방법, 예를 들면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키랄 산-부가 염( ent -A-안티-(D) 및 ent -B-안티-(D))의 결정화,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분해를 사용하여 정제함으로써 순수한 라세믹 부분입체이성체 rac-안티- (D)를 수득한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라세믹 부분입체이성체성 생성물, 예를 들면, rac -(G)를 수득하고 분리 방법, 예를 들면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결정화,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키랄산-부가 염의 분해로 정제함으로써 순수한 단일 부분입체이성체 ent-A - syn -(G) 또는 ent-B - syn -(G)를 수득한다(반응식 3).
[반응식 2]
(내포되지 않은 절대 입체화학)
Figure pct00030
[반응식 3]
(내포되지 않은 절대 입체화학)
Figure pct00031
투여/투여량/제형
본 발명은 또한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사용 방법을 포함한다. 이러한 약제학적 조성물은 임의로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제제와 함께, 활성 성분(이는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일 수 있음)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나타낸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부가, 보완, 또는 상승 효과를 생성하는 추가의 화합물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투여 요법은 유효량을 구성하는 것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치료학적 제형은 대상체에게 본원에 고려된 질환 또는 장애의 시작 전 또는 후에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수 개의 분할된 투여량 뿐만 아니라 시차적인 투여량(staggered dosage)은 매일 또는 연속적으로 투여될 수 있거나, 용량은 연속 주입될 수 있거나, 거환 주사(bolus injection)일 수 있다. 또한, 치료학적 제형의 투여량은 치료학적 또는 예방학적 상황의 요구로 나타난 바와 같이 비례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환자,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사람에 대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는 본원에 고려된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투여량에서 및 기간 동안 공지된 과정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치료학적 효과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치료학적 화합물의 유효량은 인자, 예를 들면, 환자에서 질환 또는 장애의 상태;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체중; 및 본원에 고려된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치료학적 화합물의 능력에 따라 변할 수 있다. 투여량 요법은 최적의 치료학적 반응을 제공하기 위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 개로 분할된 용량은 매일 투여될 수 있거나 용량은 치료 상황의 요건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비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치료학적 화합물에 대한 유효 용량 범위의 비-제한적 예는 약 1 내지 5,000 mg/kg의 체중/일이다. 당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관련 요인을 연구하여 과도한 실험없이 치료학적 화합물의 유효량에 관한 결정을 내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 속의 활성 성분의 실제 투여량 수준은 환자에 대한 독성없이, 특수한 환자, 조성물, 및 투여 방식에 대한 목적한 치료학적 반응을 달성하기에 효과적인 활성 성분의 양을 수득하도록 변할 수 있다.
특히, 선택된 투여량 수준은 사용된 특수한 화합물의 활성, 투여 시간, 화합물의 배출 속도, 치료 기간, 화합물과 함께 사용된 다른 약물, 화합물 또는 물질, 치료되는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상태, 일반적인 건장 및 사전의 의학적 병력 및 의학 분야에 공지된 유사 인자를 또한 포함하는 다양한 인자에 의존한다.
의사, 예컨대, 당해 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의사 또는 수의사는 요구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유효량을 용이하게 결정하여 처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치의 또는 수의사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사용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출발 용량을 요구되는 것보다 더 낮은 수준에서 출발하여 목적한 치료학적 효과를 달성하고, 목적한 효과가 달성될 때까지 투여량을 서서히 증가시킬 수 있다.
특수한 구현예에서, 투여 및 투여량 균일성의 용이성을 위한 용량 단위형으로 화합물을 제형화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량 단위형은 치료될 환자에 대한 통합된 투여량으로서 적합한 물리적으로 별개의 단위를 지칭하며; 각각의 단위는 계산된 예정된 양의 치료학적 화합물을 함유함으로써 요구되는 약제학적 비히클과 함께 목적한 치료학적 효과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투여량 단위형은 (a) 치료학적 화합물의 독특한 특징 및 달성될 특수한 치료학적 효과, 및 (b) 본원에 고려된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를 위한 이러한 치료학적 화합물을 화합/제형화하는 당해 분야에서 고유한 제한에 의해서 및 이에 직접 의존함으로써 결정된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또는 담체를 사용하여 제형화된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치료학적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담체는 예를 들면, 물, 에탄올, 폴리올(예를 들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이의 적합한 혼합물, 및 식물성 오일을 함유하는 용매 또는 분산 매질일 수 있다. 적절한 유동성은 예를 들면, 레시틴과 같은 코팅을 사용함으로써, 분산액의 경우 필요한 입자 크기를 유지함으로써 및 계면활성제를 사용함으로써 유지시킬 수 있다. 미생물의 작용의 방지는 다양한 항세균제 및 항진균제, 예를 들면,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아스코르브산, 티메로살 등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많은 경우에, 등장성 제제, 예를 들면, 당, 염화나트륨, 또는 다가알코올, 예를 들면, 만니톨 및 소르비톨을 조성물 속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사가능한 조성물의 연장된 흡수는 조성물 속에 흡수를 지연시키는 제제, 예를 들면, 알루미늄 모노스테아레이트 또는 젤라틴을 포함시킴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일당 1회 내지 5회 이상 범위의 투여량으로 환자에게 투여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환자에게 매일 1회, 2일마다, 3일마다 내지 주당 1회, 및 2주당 1회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투여량의 범위로 환자에게 투여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조합 조성물의 투여 빈도는 많은 인자, 예를 들면,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연령, 치료될 질환 또는 장애, 성별, 전반적인 건강, 및 다른 인자에 따라 개인별로 다양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임의의 특수한 투여량 요법 및 정밀한 투여량에 한정되는 것으로 고려되지 않아야 하며 임의의 환자에게 투여될 조성물은 환자에 대한 모든 다른 인자를 고려하여 주치의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약 1 ㎍ 내지 약 10,000 mg, 약 20 ㎍ 내지 약 9,500 mg, 약 40 ㎍ 내지 약 9,000 mg, 약 75 ㎍ 내지 약 8,500 mg, 약 150 ㎍ 내지 약 7,500 mg, 약 200 ㎍ 내지 약 7,000 mg, 약 350 ㎍ 내지 약 6,000 mg, 약 500 ㎍ 내지 약 5,000 mg, 약 750 ㎍ 내지 약 4,000 mg, 약 1 mg 내지 약 3,000 mg, 약 10 mg 내지 약 2,500 mg, 약 20 mg 내지 약 2,000 mg, 약 25 mg 내지 약 1,500 mg, 약 30 mg 내지 약 1,000 mg, 약 40 mg 내지 약 900 mg, 약 50 mg 내지 약 800 mg, 약 60 mg 내지 약 750 mg, 약 70 mg 내지 약 600 mg, 약 80 mg 내지 약 500 mg, 및 이들 사이의 임의의 및 모든 전체적인 또는 부분적인 증분(increment)의 범위일 수 있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의 투여량은 약 1 mg 내지 약 2,500 mg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 속에 사용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용량은 약 10,000 mg 미만, 또는 약 8,000 mg 미만, 또는 약 6,000 mg 미만, 또는 약 5,000 mg 미만, 또는 약 3,000 mg 미만, 또는 약 2,000 mg 미만, 또는 약 1,000 mg 미만, 또는 약 500 mg 미만, 또는 약 200 mg 미만, 또는 약 50 mg 미만이다. 유사하게, 다른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2 화합물의 용량은 약 1,000 mg 미만, 또는 약 800 mg 미만, 또는 약 600 mg 미만, 또는 약 500 mg 미만, 또는 약 400 mg 미만, 또는 약 300 mg 미만, 또는 약 200 mg 미만, 또는 약 100 mg 미만, 또는 약 50 mg 미만, 또는 약 40 mg 미만, 또는 약 30 mg 미만, 또는 약 25 mg 미만, 또는 약 20 mg 미만, 또는 약 15 mg 미만, 또는 약 10 mg 미만, 또는 약 5 mg 미만, 또는 약 2 mg 미만, 또는 약 1 mg 미만, 또는 약 0.5 mg 미만, 및 이의 임의의 및 모든 전체적인 또는 부분적인 증분이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치료학적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단독으로 또는 제2의 약제학적 제제와 함께 유지하는 용기; 및 본원에 고려된 질환 또는 장애의 하나 이상의 증상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하여 화합물을 사용하기 위한 설명서를 포함하는 패키지화된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형은 통상의 부형제, 즉, 경구, 비경구, 비강, 정맥내, 피하, 장, 또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적합한 투여 방식에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유기 또는 무기 담체 물질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약제학적 제제는 멸균될 수 있으며 바람직한 경우 보조제, 예컨대, 윤활제, 방부제, 안정화제, 습윤제, 유화제, 삼투압 완충제에 영향을 미치는 염, 착색제, 풍미제 및/또는 방향족 물질 등과 혼합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바람직한 경우 다른 활성제, 예컨대, 다른 진통제와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임의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경구, 비강, 직장, 질내, 비경구, 볼내(buccal), 설하 또는 국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은 임의의 적합한 경로, 예를 들면, 경구 또는 비경구, 예를 들면, 경피, 경점막(예컨대, 설하, 혀, (경)볼, (경)요도, 질(예컨대, 경질로(tranvaginally) 및 질주위로), 비강(내) 및 (경)직장), 방광내, 폐내, 십이지장내, 위내, 척추강내, 피하, 근육내, 피내, 동맥내, 정맥내, 기관지내, 흡임, 및 국소 투여에 의한 투여용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적합한 조성물 및 용량형은 예를 들면, 정제, 캅셀제, 카플렛(caplet), 필제(pill), 겔 캡, 트로키제, 분산제, 현탁제, 액제, 시럽제, 과립제, 비드(bead), 경피 패치, 겔제, 산제, 펠렛제, 마그마(magma), 로젠지제, 크림제, 페이스트제, 플래스터(plaster), 로션제, 디스크, 좌제, 비강 또는 경구 투여용 액체 스프레이, 흡입을 위한 무수 분말 또는 에어로졸화된 제형, 방광내 투여용 조성물 및 제형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유용할 수 있는 제형 및 조성물은 본원에 기술된 특수한 제형 및 조성물에 제한되지 않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경구 투여
경구 적용을 위하여, 정제, 당의정제, 액제, 점적제, 좌제, 또는 캅셀제, 카플렛제 및 겔캡(gelcap)이 특히 적합하다. 경구용으로 의도된 조성물은 당해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조성물은 정제의 제조에 적합한 불활성의, 무-독성 약제학적 부형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형제는 예를 들면, 락토즈와 같은 불활성 희석제; 옥수수전분과 같은 과립화제 및 붕해제; 전분과 같은 결합제; 및 스테아르산마그네슘과 같은 윤활제를 포함한다. 정제는 코팅되지 않을 수 있거나 단아함을 위한 또는 활성 성분의 방출을 지연시키기 위한 공지된 기술에 의해 코팅할 수 있다. 경구용 제형은 또한 경질 젤라틴 캅셀로서 나타날 수 있으며 여기서 활성 성분은 불활성 희석제와 혼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해,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예를 들면, 결합제(예컨대, 폴리비닐피롤리돈,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즈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즈); 충전제(예컨대, 옥수수전분, 락토즈, 미세결정성 셀룰로즈 또는 인산칼슘); 윤활제(예컨대, 스테아르산마그네슘, 활석, 또는 실리카); 붕해제(예컨대, 나트륨 전분 글리콜레이트); 또는 습윤제(예컨대,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를 사용하여 통상의 수단으로 제조된 정제 또는 캅셀제의 형태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정제는 적합한 방법 및 코팅 물질, 예를 들면, Colorcon(펜실베이니아주 웨스트 포인스 소재)로부터 이용가능한 OPADRYTM 필름 코팅 시스템(예컨대, OPADRYTM OY 형, OYC 형, 유기 장 OY-P 형, 수성 장 OY-A 형, OY-PM 형 및 OPADRYTM White, 32K18400)을 사용하여 코팅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액체 제제는 액제, 시럽제 또는 현탁제의 형태일 수 있다. 액체 제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 예컨대, 현탁화제(예컨대, 소르비톨 시럽, 메틸 셀룰로즈 또는 수소화된 식용 지방); 유화제(예컨대, 레시신 또는 아카시아); 비-수성 비히클(예컨대, 아몬드 오일, 오일성 에스테르 또는 에틸 알코올); 및 방부제(예컨대, 메틸 또는 프로필 p-하이드록시 벤조에이트 또는 소르브산)을 사용하여 통상의 수단으로 제조할 수 있다.
과립화 기술은 활성 성분의 출발하는 분말 또는 다른 입자화 물질을 변형시키기 위해 약제 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분말은 전형적으로 결합 물질과 혼합되어 "과립화"로 지칭된 보다 큰 영구적인 자유-유동 응집체 또는 과립제로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매-사용 "습윤" 과립화 공정은 일반적으로 분말을 결합제 물질과 조합하여 습윤 과립화된 덩어리를 형성시키는 조건 하에서 물 또는 유기 용매로 습윤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며, 습윤 과립화된 덩어리로부터 용매는 이후에 증발되어야 한다.
용융 과립화는 일반적으로 실온에서 고체 또는 반-고체인(즉, 비교적 낮은 연화점 또는 융점 범위를 갖는) 물질을 사용하여 필수적으로 첨가된 물 또는 다른 액체 용매의 부재하에서, 분말화된 또는 다른 물질의 과립화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융점 범위내 온도로 가열시키는 경우, 저 용융 고체는 액화되어 결합제 또는 과립화 매질로서 작용한다. 액화된 고체는 이와 접촉하는 분말화된 물질의 표면 위에서 자체적으로 확산되며, 냉각시 초기 물질이 함께 결합된 고체 과립화된 덩어리를 형성한다. 수득되는 용융 과립화는 이후에 경구 용량형을 타정기에 제공하거나 경구 용량형을 제조하기 위해 캡슐화될 수 있다. 용융 과립화는 고체 분산액 또는 고체 용액을 형성시킴으로써 활성(즉, 약물)의 용해 속도 및 생이용능(bioavailability)을 증진시킨다.
미국 특허 제5,169,645호는 증진된 유동 특성을 갖는 직접 압축가능한 왁스-함유 과립제를 개시하고 있다. 과립은 왁스가 특정의 유동 증진 첨가제와 용융물 속에서 혼합된 후 혼합물을 냉각 및 과립화하는 경우 수득된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왁스 자체 만이 왁스(들) 및 첨가제(들)의 용융 조합물에서 용융하고, 다른 경우에는 왁스(들) 및 첨가제(들) 용융물 둘 다가 용융된다.
본 발명은 또한 하나 이상의 본 발명의 화합물의 지연된 방출을 제공하는 층, 및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를 위한 의약의 즉시 방출을 제공하는 추가의 층을 포함하는 다중-층 정제를 포함한다. 왁스/pH-민감성 중합체 혼합물을 사용하여, 위 불용성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으며 여기서 활성 성분을 인트래핑(entrapping)하여, 이의 지연된 방출을 보증한다.
비경구 투여
비경구 투여를 위해, 본 발명의 화합물은 주사 또는 주입용으로, 예를 들면, 정맥내, 근육내 또는 피하 주사 또는 주입용으로, 또는 거환 용량(bolus dose) 및/또는 연속 주입으로의 투여용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임의로 다른 제형화제, 예를 들면, 현탁화제, 안정화제 및/또는 분산제를 함유하는, 오일성 또는 수성 비히클 속의 현탁제, 액제 또는 유제를 사용할 수 있다.
추가의 투여형
본 발명의 추가의 투여형은 미국 특허 제6,340,475호; 제6,488,962호; 제6,451,808호; 제5,972,389호; 제5,582,837호; 및 제5,007,790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투여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투여형은 또한 미국 특허원 제20030147952호; 제20030104062호; 제20030104053호; 제20030044466호; 제20030039688호; 및 제20020051820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투여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투여형은 PCT 출원 제WO 03/35041호; 제WO 03/35040호; 제WO 03/35029호; 제WO 03/35177호; 제WO 03/35039호; 제WO 02/96404호; 제WO 02/32416호; 제WO 01/97783호; 제WO 01/56544호; 제WO 01/32217호; 제WO 98/55107호; 제WO 98/11879호; 제WO 97/47285호; 제WO 93/18755호; 및 제WO 90/11757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투여형을 포함한다.
조절된 방출 제형 및 약물 전달 시스템
특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제형은 단기간의, 신속한 오프-셋(rapid-offset) 뿐만 아니라, 조절된, 예를 들면, 서방출, 지연된 방출 및 박동성 방출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용어 서방출은 연장된 기간에 걸쳐 약물의 점진적인 방출을 제공하며,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연장된 기간에 걸쳐 약물의 실질적으로 일정한 혈액 수준을 생성하는 약물 제형을 지칭하기 위한 이의 통상의 의미로 사용된다. 기간은 1개월 이상만큼 길 수 있으며 거환형으로 투여된 제제의 동일한 양보다 더 긴 방출일 수 있다.
서방출의 경우, 화합물은 이러한 화합물에게 서방출 특성을 제공하는 적합한 중합체 또는 소수성 물질과 함께 제형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은 예를 들면, 주사에 의한, 미세입자의 형태로 또는 이식에 의한 와이퍼(wafer) 또는 디스크(disc)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환자에게 단독으로 또는 다른 약제와 함께, 서방출 제형으로 투여된다.
용어 지연된 방출은 본원에서 약물 투여 후 일부 지연 후 약물의 초기 방출을 제공하고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약 10분 내지 약 12시간까지의 지연을 포함하는 약물 제형을 지칭하는 이의 통상의 의미로 사용된다.
용어 박동성 방출은 본원에서 약물 투여 후 약물의 펄스화된 혈장 프로파일을 생산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약물의 방출을 제공하는 약물 제형을 지칭하기 위한 이의 통상의 의미로 사용된다.
용어 즉시 방출은 약물 투여 직후 약물의 방출을 제공하는 약물 제형을 지칭하는 이의 통상의 의미로 사용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단기간은 약물 투여 후 약 8 시간, 약 7 시간, 약 6 시간, 약 5 시간, 약 4 시간, 약 3 시간, 약 2 시간, 약 1 시간, 약 40 분, 약 20 분, 또는 약 10 분 및 이의 임의의 또는 모든 전체 또는 부분적인 증분까지 및 이를 포함하는 임의의 기간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신속한 오프셋(rapid-offset)은 약물 투여 후 약 8 시간, 약 7 시간, 약 6 시간, 약 5 시간, 약 4 시간, 약 3 시간, 약 2 시간, 약 1 시간, 약 40 분, 약 20 분, 또는 약 10 분, 및 이의 임의의 및 모든 전체적인 또는 부분적인 증분 까지 및 이를 포함하는 임의의 기간을 지칭한다.
복용량
본 발명의 화합물의 치료학작 유효량 또는 복용량은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체중, 환자의 현재 의학 상태 및 치료되는 환자에서 본원에서 고려된 질환 도는 장애의 진행에 의존한다. 기술자는 이러한 및 다른 인자에 의존하여 적절한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적합한 용량은 1일당 약 0.01 mg 내지 1일당 약 5,000 mg, 1일당 약 0.1 mg 내지 약 1,000 mg, 예를 들면, 약 1 mg 내지 약 500 mg, 예를 들면, 약 5 mg 내지 약 250 mg의 범위일 수 있다. 투여량은 단일 투여량 또는 다중 투여량, 예를 들면, 1일당 1 내지 4회 이상, 단일 투여량 또는 다중 투여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다중 투여량이 사용되는 경우, 각각의 투여량의 양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일당 1 mg의 용량이 용량 사이에 약 12-시간 간격으로 2회의 0.5 mg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1일당 투여된 화합물의 양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매일, 격일, 2일마다, 3일마다, 4일마다, 또는 5일마다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격일 투여를 사용하는 경우, 1일당 5 mg 투여량을 월요일에 시작하여 제1의 후속적인 1일당 5 mg 투여량을 수요일에 투여하고, 제2의 후속적인 1일당 5 mg을 금요일에 투여하는 등일 수 있다.
환자의 상태가 개선되는 경우에, 의사의 재량으로 본 발명의 억제제의 투여는 임의로 연속적으로 제공하며; 대안적으로, 투여되는 약물의 용량은 일시적으로 감소하거나 특정의 기간 동안(즉 "약물 휴일") 동안 일시적으로 중지한다. 약물 휴일의 길이는 임의로 2일 내지 1년 사이에서, 예를 들면, 단지, 2일, 3일, 4일, 5일, 6일, 7일, 10일, 12일, 15일, 20일, 28일, 35일, 50일, 70일, 100일, 120일, 150일, 180일, 200일, 250일, 280일, 300일, 320일, 350일, 또는 365일로 변한다. 약물 휴일 동안 투여량 감소는 10% 내지 100%, 예를 들면, 단지 예로서,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100%를 포함한다.
일단 환자의 상태의 개선이 발생하면, 유지 투여량을 필요에 따라 투여한다. 후속적으로, 투여량 또는 투여 빈도, 또는 둘 다는 바이러스 로드(viral load)의 함수로서, 개선된 질환이 유지되는 수준으로 감소된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환자는 증상 및/또는 감염의 임의의 재발시 장기간 기준으로 간혈적인 치료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은 단위 투여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용어 "단위 투여형"은 치료를 받는 환자의 일원화된 투여형으로서 적합한 물리적으로 별개의 단위를 지칭하며, 각각의 단위는 임의로 적합한 약제학적 담체와 함께, 목적한 치료학적 효과를 생성하도록 계산된 예정된 양의 활성 물질을 함유한다. 단위 투여형은 단일 1일 용량 또는 다중 1일 용량들 중 하나(예컨대, 1일당 약 1 내지 4회 이상)일 수 있다. 다중 1일 용량이 사용된 경우, 단위 투여형은 각각의 용량에 대해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치료학적 요법의 독성 및 치료 효능은 세포 배양물 또는 실험 동물내에서 임의로 측정되며, 예를 들면, LD50(집단의 50%에 대해 치사인 용량) 및 ED50(집단의 50%에서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용량)의 측정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독성 및 치료학적 효과 사이의 용량 비는 치료학적 지수이며, 이는 LD50 ED50 사이의 비로서 나타낸다. 세포 배양 검정 및 동물 연구로부터 수득된 데이타는 사람에서 사용하기 위한 투여량 범위를 제형화하는데 임의로 사용된다. 이러한 화합물의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최소의 독성으로 ED50을 포함하는 순환하는 농도의 범위내에 있다. 투여량은 사용된 투여형 및 이용된 투여 경로에 따라 이러한 범위내에서 임의로 변한다.
당해 분야의 숙련가는 본원에 기술된 통상의 실험, 특수 과정에 대한 다수의 등가물, 구현예, 청구범위 및 실시예를 사용하여 인식하거나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등가물은 본 발명의 영역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되며 이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포함된다. 예를 들면, 반응 조건, 예를 들면,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반응 시간, 반응 크기/용적, 및 실험 시약, 예를 들면, 용매, 촉매, 압력, 대기 조건, 예컨대, 질소 대기, 및 환원제/산화제에 있어서의 변형은, 당해 분야에 인식된 대체제, 및 단지 통상의 실험의 사용과 함께 본 출원의 영역내에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원에 제공된 값 및 범위, 이러한 값 및 범위에 포함된 모든 값 및 범위는 본 발명의 영역내에 포함됨을 의미함이 이해되어야 한다. 더욱이, 이러한 범위내에 속한 모든 값뿐만 아니라, 값의 범위의 상한치 또는 하한치는 본 출원에 의해 또한 고려된다.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양태를 추가로 나타낸다. 그러나, 이들은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원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교시 또는 개시내용의 제한하지 않는다.
실험 실시예
본 발명을 이제 다음의 실시예를 참고로 기술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단지 예증의 목적으로 제공되며 본 발명은 어떠한 방식으로도 이러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본원에 제공된 교시의 결과로서 명백해지는 임의의 및 모든 변화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추가의 설명없이, 당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앞서의 설명 및 다음의 예증적 실시예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조 및 이용하고 청구된 방법을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다음의 작업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를 나타내며, 본 개시내용의 나머지를 어떠한 방식으로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물질 및 방법
통각상실증(꼬리 회피 반사(Tail Flick)), 랫트:
설치류에서, 방사열에 대한 꼬리 회피 반사는 잠재적으로 유용한 진통제를 검출하기 위한 모델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검정은 모르핀-유사 진통제(활성)와 비-아편유사제 또는 말초 작용성 소염제(불활성) 사이를 구별하는데 유용하다.
절차상, 집중적인 방사열(focused radiant heat)에 의해 유도된 꼬리 회피반사 반응을 유발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초)을 체중이 110 ± 20 g인 8마리의 스프라그-다울리(Sprague-Dawley: SD) 수컷 랫트(rat)의 그룹에서 통증 역치(pain threshold)로서 측정한다. 시험 물질의 투여 후 15 및 30분의 꼬리 회피 반사 반응을 유발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의 50% 이상(≥50)까지의 연장은 가능한 진통 활성을 나타낸다. 또한, 일원(one-way) ANOVA에 이은 둔네트 시험(Dunnett's test)을 비히클 대조군과 치료 그룹 사이에서의 비교를 위해 적용한다. 참고: D'Amour & Smith, 1941, J. Pharmacol. Exp. Ther. 72:74-79.
운동(자발적인 활성), 랫트:
체중이 200 ± 20 g인 10마리의 스프라그-다울리 랫트의 그룹을 사용한다. 시험 화합물(3, 10 및 100 mg/kg)을 비히클(TBD) 속에 용해하고 정맥내 투여한다. 선택될 전-처리 시간에, 동물을 개별적으로 격리실 속의 운동성 활동량 체임버(locomotor activity chamber)(Coulbourn Instruments, USA)에 25℃에서 둔다. 투여 후 60분에 걸쳐 10분 기간 마다, 적외선 격자의 차단으로 측정된 개별 운동성을 계수한다(거리 이동, 시간 소비 이동 및 수직 서기(vertical rearing)). 각각의 처리 그룹에 대한 평균 ± SEM을 이후에 계산하고 둔네트 시험(Dunnett's test)을 비히클과 처리된 그룹 사이에서 비교를 위해 적용한다. 차이는 p<0.05에서 유의적인 것으로 고려된다. 참고: Yamanuchi, et al., 1987, Arzneim.-Forsch./Drug Res. 37(II):157-164.
위장 운동능, 랫트:
시험 물질(양성 대조군은 모르핀이다)을 시험 전 20 내지 24시간 동안 물에 자유로이 접근하도록 하면서 절식시킨, 체중이 200 ± 20 g인 5마리의 위스타 랫트(Wistar rat)의 그룹에 피하 투여하였다. 피하 투여 후 30분째에, 동물에게 10% 검 아라빅(gum arabic) 용액(2 ml/동물 경구) 중 5% 목탄의 현탁액을 제공하고 15분 후 희생시켰다. 장을 제거하고, 위의 길이(cm)(GL) 뿐만 아니라 유문으로부터 목탄 기둥의 개시부까지 목탄 운동 정도(cm)(CP)를 측정하였다.
장 통과율(IT)을 IT = (CP/GL) x 100%로 계산하였다. 비히클 대조군 그룹에 대해 장 통과율(IT)의 30% 이상(30) 증가 또는 감소를 유의적인 것으로 고려하였다. 비히클 대조군 그룹과 비교하여 시험 화합물로 처리한 동물내 값을 또한 일원 ANOVA에 이은 둔네트 시험(Dunnett's test)으로 분석하였다. 차이는 P<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것으로 고려한다. 참고: Omosu, et al., 1988, Arzneim.-Forsch./Drug Res. 38(II):1309-1317.
호흡(RR, TV, pH, pCO 2 , pO 2 ), 랫트:
체중이 250 ± 20 g인 스프라그 다울리(SD) 유래된 수컷 랫트를 사용한다. 동물을 총 경동맥(common carotid artery: CCA)에 캐뉼러를 삽입하고 사용 전 16시간 동안 절식시킨다. 시험 물질을 체중이 250 ± 20 g인 5마리의 스프라그 다울리 유래된 수컷 랫트의 그룹에 복강내 투여한다. 호흡 속도(RR), 일 호흡량(TV) 및 분당 호흡량(minute volume: MV)을 기본선(-5 내지 0분) 동안 및 투여후(PO, 50 내지 60분; IV 및 IP, 20 내지 30분) 30초마다 측정한다. 시험 물질 PO 투여 후 65분째(IV 및 IP, 35분)에, 0.3 mL의 혈액 샘플을 경동맥을 통해 수집하고 즉시(20초 미만) 혈액 가스 분석기(Osmetech, USA)의 카세트내로 주사하여 이의 pH, pCO2 및 pO2를 측정하였다. 각각의 그룹에서 처리 후 호흡속도, 호흡량, 분당 호흡량, pH, pCO2 pO2의 평균 ± S.E.M. 값을 계산하고 일-원 ANOVA에 이은 둔네트 시험을 비히클 대조군 그룹과 처리된 그룹 사이의 비교를 위해 적용한다. 차이는 p<0.05에서 유의적인 것으로 고려한다.
조건화된 장소 선호도(자발적 활성), 랫트:
조건화된 장소 선호도 패러다임은 약물의 가치(rewarding) 및 혐오 효과(aversive effect)를 연구하는데 사용된 표중 전임상 거동 모델이다. 다수의 상이한 설계 및 장치가 당해 모델에서 사용되지만, 이러한 업무의 기본 특성은 약물 처리를 사용한 특수한 환경의 연합에 이은, 약물의 부재(즉, 약물의 비히클)하에서 상이한 환경의 연합을 포함한다. 이러한 설계의 일반적인 변화는 상이한 특성(예컨대, 백색 대 흑색 벽, 소나무 대 옥수수 침구(bedding), 수평 격자 대 교차-격자 바닥재)을 지닌 3개 구획 체임버(chamber)로 이루어진다. 중앙 구획은 특별한 특징이 없으며 약물과 쌍을 이루지 않고, 구획들 사이의 문은 개방되어 동물이 이들 사이를 자유로이 통과하도록 한다. 훈련 동안, 동물(대표적으로 랫트 또는 마우스)에게 잠재적으로 가치 또는 혐오 특성을 지닌 약물의 주사를 제공한 후, 수분 동안 외부 체임버 중 하나에 둔다. 다음날, 랫트에게 약물 비히클을 주사한 후 반대쪽 구획내에 둔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매일 세션(session)은 약물과 비히클 사이에서 각각 2 또는 3일 동안 교호한다. 이후에, 시험 세션을 수행하며, 이는 동물을 중심 구획에 둔 후, 외부 구획 둘 다에 대한 문을 개방하여, 동물이 세션 동안 외부 구획 각각에서 보내는 시간을 기록한다. 조건화된 장소 선호도(CPP)는 동물이 약물-쌍의 구획 대 비히클-쌍의 구획에서 유의적으로 보다 많은 시간을 보낸 경우 발견된다. 한편, 동물이 비히클-쌍을 이룬 구획 대 약물 쌍을 이룬 구획 내에서 유의적으로 보다 많은 시간을 보낸 경우, 이는 조건화된 위치 혐오(CPA)로 고려한다. 전형적으로, 코카인과 같은, 약물 남용은 CPP를 생산하며, 염화리튬과 같은 부작용을 유발하는 약물은 CPA를 생산한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임의의 선호도를 평가하는 경우 3일의 적응일이 존재한다. 이후에, 약물 또는 염수에 대한 구획 지정은 임의의 기존 선호도를 기반으로 한다. 약물 지정은 항상 바람직하지 않은 면에 대한 것이다. 일단 훈련이 개시되면, 약물 및 염수 일 수를 지정된 구획에서 기간 동안 가둔 동물로 교호시킨다((41a)의 경우 60분; 모르핀의 경우 45분). 구획 둘 다가 접근가능하고 얼마나 많은 시간을 각각의 구획에서 소비하는지를 컴퓨터로 계산하는 경우 시험일까지 8일의 훈련을 수행한다. 참고: Bardo et al., 1995, Neurosci. & Biobehav. Rev. 19(1):39-51.
실시예 1: G-단백질 검정
G-단백질 신호전달을 제2 전령 cAMP 조정을 통해 측정하였다. cAMP 조정의 검출은 PathHunter 사람 OPRM1(μ, MOR) 아레스틴 CHO-K1 세포주에서 Dynamic2 cAMP 키트(제조원: Cisbio)를 사용하여 달성하였다. 화학발광 신호의 EMAX 값을 DAMGO에 대해 모두 표준화하며, 이는 100%로 정의된다.
실시예 2: β-아레스틴 검정
DISCOVERX PATHHUNTER® β-아레스틴 검정을 사용하여 β-아레스틴-2 활성을 측정한다. 기술은 리포터(reporter)로서 β-갈락토시다제(β-Gal)를 사용한 효소 단편 보완성(Enzyme Fragment Complementation: EFC)을 기반으로 한다. 효소는 세포내에서 융합 단백질로서 나타낸 2개의 불활성인 상보성 부위(효소 수용체의 경우 EA, 및 효소 공여체의 경우 ED)로 분열된다. EA는 β-아레스틴-2에 융합되고, ED는 목적한 GPCR의 C-말단에 융합된다. 리간드가 결합되고 GPCR이 활성화되는 경우, β-아레스틴-2는 수용체에 보충되어 ED/EA 보충을 생성하고, β-Gal 활성을 회복하며, 이는 화학발광성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이러한 검정을 위하여, PathHunter 사람 OPRM1(μ, MOR) 아레스틴 CHO-K1 세포주를 사용하였다. 화학발광성 신호의 EMAX 값을 모두 DAMGO로 표준화하였으며, 이는 100%로 정의된다.
[반응식 4]
(내포되지 않는 절대 입체화학)
Figure pct00032
실시예 3: 3-[1-(2-클로로-4-플루오로-벤질)-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6)(참고: 반응식 4)
(a) 3급(tert)-부틸 3-((디메틸아미노)메틸)-4-옥소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 ( 2 )
오븐 건조된 환저 플라스크에 1-3급-부틸옥시-카보닐-피페리드-4-온(1)(1.50 g, 7.57 mmol), 디메틸-메틸렌임모늄 클로라이드(1.05 g, 11.3 mmol)를 충전하고 아르곤으로 퍼지(purge)하였다. 아세토니트릴(25 mL)을 가하고, 수득되는 현탁액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고, 이 동안에 모든 고체가 용해되었다. 수성 수산화암모늄(NH4OH 25% (w/v), 10 mL) 및 염수 용액(10 mL)을 가하였다. 수득되는 현탁액을 EtOAc(3 x 30 mL)로 추출하고; 유기 추출물을 합하고 고체 무수 Na2SO4 위에서 건조시켰다. 여과 후, 휘발물을 회전 증발을 통해 제거하여 조(crude) 3급-부틸 3-((디메틸아미노)메틸)-4-옥소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를 담황색의 혼탁 오일로서 수득하였으며, 이를 정제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ESI-MS (m/z): 257 [M+H]+.
(b) 3급-부틸-4-(3-시아노페닐)-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 4 )
오븐 건조된 환저 플라스크에 3-요오도벤조니트릴(3)(2.08 g, 9.07 mmol)을 충전시키고 아르곤으로 퍼지하였다. 무수 THF(27 mL)를 가하고 수득되는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냉각 후, n-BuLi(2.3 M, 4.40 mL, 9.67 mmol)의 용액을 적가하고, 이때 혼합물은 짙은 오렌지색 및 점성으로 되었다. THF(3 mL) 중 3급-부틸 3-((디메틸아미노)메틸)-4-옥소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1.55 g, 6.05 mmol)의 용액을 적가하였다(반응 혼합물의 색상은 오렌지색으로부터 갈색으로 변하였다). 수득되는 혼합물을 -78℃에서 10분 동안 교반하고 포화된 NH4Cl(50 mL) 및 NH4OH (25%, 5 mL) 용액의 교반된 혼합물에 부었다. 수득되는 현탁액을 EtOAc(3 x 30 mL)로 추출하고, 합산 유기 추출물을 고체 무수 Na2SO4 위에서 건조시켰다. 여과 후, 휘발물을 회전 증발을 통해 제거하고, 잔사를 H2O/MeCN(70:30)로부터 H2O/MeCN(40:60)까지의 구배 용출을 사용하여 역상 섬광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함으로써 3급-부틸-4-(3-시아노페닐)-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4)(1.49 g(80% 순도), 1로부터 2개 단계에서 55% 수율)를 부분입체이성체(9:1)의 혼합물로서 수득하였다. 400 MHz 1H-NMR (CDCl3, ppm): δ 7.86 (s, 1H), 7.71 (d, J=7.9 Hz, 1H), 7.55 (ddd, J=7.6, 7,6 1.3 Hz, 1H), 7.46 (dd, J=7.8, 7.8 Hz, 1H), 4.10-3.84 (m, 2H), 3.56-3.41 (m, 1H), 3.33-3.20 (m, 1H), 2.34 (dd, J=14.4, 4.1 Hz, 1H), 2.25 (d, J=14.2 Hz, 1H), 2.10 (s, 6H), 2.04-1.96 (m, 1H), 1.77-1.66 (m, 1H), 1.62-1.54 (m, 1H), 1.50 (s, 9H). ESI-MS (m/z): 360 [M+H]+.
(c) 3-(1-(2-클로로-4-플루오로벤질)-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 5 )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12 ml, 14.6 mmol)을 CH2Cl2(10 mL) 중 3급-부틸-4-(3-시아노페닐)-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4)(440 mg (80% 순도), 0.97 mmol)의 용액에 가하고 수득되는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휘발물을 제거하고 잔사를 MeCN(10 mL) 속에 용해하였다. 당해 용액에, DIPEA(0.67 mL, 3.88 mmol)를 가한 후 2-클로로-4-플루오로벤질 브로마이드(239 mg, 1.07 mmol)를 가하고, 수득되는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염수 용액(10 mL) 및 NH4OH 용액(25%, 2 mL)을 가하고 수득되는 현탁액을 EtOAc(3 x 1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무수 고체 Na2SO4 위에서 건조시켰다. 여과 후, 휘발물을 회전 증발을 통해 제거하고, 잔사를 H2O/MeCN(60:40)로부터 H2O/MeCN(40:60)까지의 구배 용출을 사용하여 역상 섬광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함으로써 3-(1-(2-클로로-4-플루오로벤질)-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5)(253 mg, 65% 수율)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400 MHz 1H NMR (CDCl3, ppm): δ 7.90 (s, 1H), 7.78 (d, J=7.9 Hz, 1H), 7.55-7.43 (m, 3H), 7.13 (dd, J=8.5, 2.6 Hz, 1H), 6.99 (ddd, J=8.3, 8.3, 2.6 Hz, 1H), 3.73 (s, 2H), 2.91 (t, J=11.2 Hz, 1H), 2.81-2.72 (m, 2H), 2.72-2.64 (m, 1H), 2.33 (dd, J=14.0, 4.5 Hz, 1H), 2.24-2.18 (m, 1H), 2.15 (dd, J=14.4, 1.6 Hz, 1H), 2.08 (s, 6H), 1.99-1.88 (m, 1H), 1.63 (dt, J=13.8, 2.6 Hz, 1H). ESI-MS (m/z): 402 [M+H]+.
(d) 3-(1-(2-클로로-4-플루오로벤질)-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6 )
오븐 건조된 환저 플라스크에 3-(1-(2-클로로-4-플루오로벤질)-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5)(100 mg, 0.25 mmol) 및 분쇄된 KOH(41 mg, 0.75 mmol)를 충전하고, 아르곤으로 퍼지하였다. tBuOH(2 mL)를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3시간 동안 80℃에서 가열하였다. 냉각 후, 염수 용액(1 mL)을 가하고 수득되는 현탁액을 EtOAc(3 x 2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고체 무수 Na2SO4 위에서 건조시켰다. 여과 후, 휘발물을 회전 증발을 통해 제거하고, 잔사를 H2O/MeCN(80:20)으로부터 H2O/MeCN(40:60) 까지의 구배 용출을 사용하여 역상 섬광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함으로써 3-(1-(2-클로로-4-플루오로벤질)-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6)(81 mg, 80% 수율)를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300 MHz 1H NMR (CDCl3, ppm): δ 8.03 (s, 1H), 7.79-7.67 (m, 2H), 7.52 (dd, J=8.5, 6.4 Hz, 1H), 7.44 (dd, J=7.7, 7.7 Hz, 1H), 7.12 (dd, J=8.6, 2.6 Hz, 1H), 6.99 (ddd, J=8.3, 8,3, 2.6 Hz, 1H), 6.21 (brs, 1H), 5.74 (brs, 1H), 3.74-3.60 (AB 콰르텟(quartet), 2H), 2.89 (dd, J=11.2, 11.2 Hz, 1H), 2.79-2.56 (m, 3H), 2.35 (dd, J=13.9, 4.5 Hz, 1H), 2.30-2.18 (m, 1H), 2.07 (s, 6H), 2.05-1.92 (m, 2H), 1.69-1.60 (m, 1H), (부분입체이성체의 혼합물). ESI-MS (m/z): 420 [M+H]+.
(e) 3-(1-(2-클로로-4-플루오로벤질)-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6a )
디에틸 에테르(70 μL, 0.14 mmol) 중 2M HCl의 용액을 디에틸 에테르/MeOH(10 mL/0.5 mL) 중 3-(1-(2-클로로-4-플루오로벤질)-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6)(60 mg, 0.14 mmol)의 용액에 가하였다.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하면, 이 동안에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고체를 여과하고, 디에틸 에테르(5 mL)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서 P2O5 속에서 65℃로 24시간 동안 건조시켜 3-(1-(2-클로로-4-플루오로벤질)-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6a)(41 mg, 63% 수율)를 수득하였다. 300 MHz 1H NMR (CD3OD, ppm): δ 8.08 (s, 1H), 7.98 (dd, J=8.7, 5.9 Hz, 1H), 7.85 (d, J=7.7 Hz, 1H), 7.76 (d, J=7.7 Hz, 1H), 7.61-7.53 (m, 1H), 7.47 (dd, J=8.7, 2.6 Hz, 1H), 7.30 (ddd, J=8.3, 8.3, 2.6 Hz, 1H), 4.66 (s, 2H), 3.97-3.87 (m, 1H), 3.67-3.52 (m, 3H), 3.18-3.02 (m, 2H), 2.85-2.67 (m, 5H), 2.49 (s, 3H), 2.02-1.92 (m, 1H). ESI-MS (m/z): 420 [M+H]+.
실시예 4:
Ent-A-syn-( 3-(1-(2-클로로-4-플루오로벤질)-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 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A-syn-( 6)); 및
Ent-B-syn 3-(1-(2-클로로-4-플루오로벤질)-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 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B-syn- (6))
개개 입체이성체로의 분리:
상기 수득된 3-(1-(2-클로로-4-플루오로벤질)-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6) 부분입체이성체의 혼합물을(Daicel Chiralpak® AS 250 mm x 10 mm) 컬럼 및 이동 상으로서 Hex/IPA(7:3)을 Shimadzu LC-20AP: Rt 입체이성체 A = 11.3 min, Rt 입체이성체 B = 3 mL/min이 유동 속도에서 16.2분에서 사용하여 분리하였다.
실시예 5: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9), 및 상응하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9a)
(a)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펜에틸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 8 )
Figure pct00033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0.64 ml, 8.34 mmol)을 CH2Cl2(5 mL) 중 3급-부틸-4-(3-시아노페닐)-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4) (250 mg (80% 순도), 0.56 mmol)의 용액에 가하고, 수득되는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휘발물을 제거하고 잔사를 CH2Cl2/TEA(5 mL/0.2 mL) 용액 속에 용해하였다. 아세트산(64 μ, 1.11 mmol), 2-페닐아세트알데하이드(0.19 mL, 1.67 mmol) 및 NaBH(OAc)3(590 mg, 2.78 mmol)를 가하고, 수득되는 현탁액을 주위 온도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에, 염수 용액(5 mL) 및 NH4OH 용액(25%, 1 mL)을 가하고 현탁액을 EtOAc(3 x 1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고체 무수 Na2SO4 위에서 건조시켰다. 여과한 후, 휘발물을 회전 증발을 통해 제거하고, 잔사를 H2O/MeCN(90:10)으로부터 H2O/MeCN(50:50) 까지의 구배 용출을 사용하는 역상 섬광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펜에틸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8)(166 mg, 82% 수율)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300 MHz 1H-NMR (CDCl3, ppm): δ 7.93 (s, 1H), 7.77 (d, J=7.8 Hz, 1H), 7.54 (d, J=7.6 Hz, 1H), 7.45 (dd, J=7.7, 7.7 Hz, 1H), 7.35-7.27 (m, 2H), 7.25-7.17 (m, 3H), 2.92-2.67 (m, 8H), 2.58 (ddd, J=11.8, 11.8, 2.8 Hz, 1H), 2.35 (dd, J=14.4, 4.8 Hz, 1H), 2.23-2.15 (m, 1H), 2.08 (s, 6H), 1.98-1.87 (m, 1H), 1.67-1.62 (m, 1H). ESI-MS (m/z): 364 [M+H]+.
(b)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9 )
Figure pct00034
오븐 건조된 환저 플라스크에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펜에틸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8)(100 mg, 0.28 mmol), 분쇄된 KOH(45mg, 0.81 mmol)를 충전시키고 아르곤으로 퍼지하였다. tBuOH(2 mL)를 가하고 현탁액을 80℃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냉각한 후, 염수(1 mL)를 가하고, 수득되는 현탁액을 EtOAc(3 x 2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고체 무수 Na2SO4 위에서 건조시켰다. 여과한 후, 휘발물을 제거하여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9)(92 mg, 88% 수율)를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300 MHz 1H NMR (CDCl3, ppm): δ 8.04 (s, 1H), 7.77-7.69 (m, J=7.1 Hz, 2H), 7.48-7.41 (m, 1H), 7.35-7.27 (m, 2H), 7.26-7.17 (m, 3H), 6.23 (s, 1H), 5.68 (s, 1H), 2.95-2.69 (m, 8H), 2.61 (ddd, J=12.0, 12.0, 2.9 Hz, 1H), 2.38 (dd, J=13.9, 4.7 Hz, 1H), 2.32-2.23 (m, 1H), 2.13 (dd, J=14.0, 1.5 Hz, 1H), 2.08 (s, 6H), 1.72-1.65 (m, 1H). ESI-MS (m/z): 382 [M+H]+.
(c)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9a )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9)(80 mg, 0.21 mmol)를 디에틸 에테르/MeOH(10 mL/0.5 mL) 중 2M HCl(디에틸 에테르 중)로 화합물(6a)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9a)(61 mg, 70 % 수율)를 수득하였다. 300 MHz 1H NMR (CD3OD, ppm): δ 8.05 (s, 1H), 7.83 (d, J=7.8 Hz, 1H), 7.74 (d, J=7.9 Hz, 1H), 7.54 (dd, J=7.8, 7.8 Hz, 1H), 7.39-7.22 (m, 5H), 3.60-3.50 (m, 1H), 3.45-3.36 (m, 1H), 3.27-2.98 (m, 6H), 2.84-2.70 (m, 1H), 2.67-2.54 (m, 1H), 2.54-2.22 (m, 8H), 1.90 (ddd, J=14.9, 2.6, 2.6 Hz, 1H). ESI-MS (m/z): 382 [M+H]+.
실시예 6: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티오펜-3-일메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11), 및 상응하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11a)
(a)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티오펜-3-일메틸)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 10 )
Figure pct00035
3급-부틸-4-(3-시아노페닐)-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4)(250 mg (80% 순도), 0.56 mmol)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 처리한 후, 티오펜-3-카복스알데하이드와 화합물(8)에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반응시킴으로써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티오펜-3-일메틸)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10)(160 mg, 81% 수율)을 수득하였다. 300 MHz 1H NMR (CDCl3, ppm): δ 7.90 (s, 1H), 7.76 (d, J=7.8 Hz, 1H), 7.56-7.50 (m, 1H), 7.48-7.41 (m, 1H), 7.29 (dd, J=4.9, 3.0 Hz, 1H), 7.17-7.13 (m, 1H), 7.10 (dd, J=4.9, 1.0 Hz, 1H), 3.63 (s, 2H), 2.81-2.67 (m, 3H), 2.52 (ddd, J=11.8, 11.8, 2.9 Hz, 1H), 2.31 (dd, J=14.1, 4.5 Hz, 1H), 2.21-2.13 (m, 1H), 2.07 (s, 6H), 1.95-1.84 (m, 1H), 1.61 (ddd, J=13.7, 2.6, 2.6 Hz, 1H). ESI-MS (m/z): 356 [M+H]+.
(b)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티오펜-3-일메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 11 )
Figure pct00036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티오펜-3-일메틸)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10)(150 mg, 0.42 mmol)을 KOH(70 mg, 1.27 mmol)로 화합물(9)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티오펜-3-일메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11)(142 mg, 90% 수율)를 수득하였다. 300 MHz 1H NMR (CDCl3, ppm): δ 8.02 (s, 1H), 7.72 (dd, J=7.7, 1.6 Hz, 2H), 7.44 (dd, J=7.7, 7.7 Hz, 1H), 7.30 (dd, J=4.9, 3.0 Hz, 1H), 7.17 (d, J=2.1 Hz, 1H), 7.11 (d, J=4.9 Hz, 1H), 6.25 (s, 1H), 5.73 (s, 1H), 3.65 (s, 2H), 2.81-2.70 (m, 3H), 2.54 (ddd, J=11.9, 11.9, 2.8 Hz, 1H), 2.35 (dd, J=13.9, 4.6 Hz, 1H), 2.30-2.19 (m, 1H), 2.14-2.07 (m, 1H), 2.06 (s, 6H), 1.97 (dd, J=12.5, 4.6 Hz, 2H), 1.69-1.59 (m, 2H). ESI-MS (m/z): 374 [M+H]+.
(c)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티오펜-3-일메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11a )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티오펜-3-일메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11)(120 mg, 0.35 mmol)를 디에틸 에테르/MeOH(10 mL/0.5 mL) 중 2M HCl(디에틸 에테르 중)로 화합물(6a)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티오펜-3-일메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11a)(55 mg, 38% 수율)를 수득하였다. 300 MHz 1H NMR (CD3OD, ppm): δ 8.08 (s, 1H), 7.90-7.81 (m, 2H), 7.77 (d, J=7.9 Hz, 1H), 7.65-7.54 (m, 2H), 7.44 (d, J=4.9 Hz, 1H), 4.60-4.42 (AB quartet, 2H), 3.87-3.75 (m, 1H), 3.48-3.37 (m, 3H), 3.18-2.97 (m, 2H), 2.84-2.70 (m, 2H), 2.64 (s, 6H), 2.02-1.92 (m, 1H). ESI-MS (m/z): 374 [M+H]+.
실시예 7: 3-(1-(2-클로로-4-플루오로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 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13), 및 상응하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 (13a)
(a) 3-(1-(2-클로로-4-플루오로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 12 )
Figure pct00037
3급-부틸-4-(3-시아노페닐)-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4)(180 mg, 0.50 mmol)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 처리한 후, 2-(2-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세트알데하이드와 화합물(8)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반응시킴으로써 3-(1-(2-클로로-4-플루오로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12)(125 mg, 60% 수율)을 수득하였다. 300 MHz 1H NMR (CDCl3, ppm): δ 7.95-7.89 (m, 1H), 7.81-7.73 (m, 1H), 7.54 (dd, J=7.6, 1.4, 1.4 Hz, 1H), 7.45 (dd, J=7.6, 7.6 Hz, 1H), 7.23 (dd, J=8.6, 6.2 Hz, 1H), 7.11 (dd, J=8.6, 2.6 Hz, 1H), 6.93 (ddd, J=8.2, 8.2, 2.6 Hz, 1H), 3.01-2.91 (m, 3H), 2.91-2.75 (m, 3H), 2.73-2.51 (m, 3H), 2.35 (dd, J=14.5, 4.9 Hz, 1H), 2.23-2.13 (m, 2H), 2.09 (s, 6H), 1.98-1.83 (m, 1H), 1.66 (dt, J=13.8, 2.7 Hz, 1H). ESI-MS (m/z): 416, 418 [M+H]+.
(b) 3-(1-(2-클로로-4-플루오로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13 )
Figure pct00038
3-(1-(2-클로로-4-플루오로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12)(120 mg, 0.29 mmol)을 KOH로 화합물(9)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3-(1-(2-클로로-4-플루오로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13)(110 mg, 88% 수율)를 수득하였다. 300 MHz 1H NMR (CDCl3, ppm): δ 8.07-8.02 (m, 1H), 7.78-7.68 (m, 2H), 7.45 (dd, J=7.7, 7.7 Hz, 1H), 7.24 (dd, J=8.4, 6.2 Hz, 1H), 7.11 (dd, J=8.6, 2.6 Hz, 1H), 6.93 (ddd, J=8.3, 8.3, 2.6 Hz, 1H), 6.22 (br s, 1H), 5.80 (br s, 1H), 3.02-2.93 (m, 2H), 2.93-2.78 (m, 3H), 2.76-2.57 (m, 3H), 2.38 (dd, J=13.9, 4.6 Hz, 1H), 2.32-2.21 (m, 1H), 2.14 (dd, J=14.2, 2.0 Hz, 1H), 2.14-1.95 (m, 2H), 2.08 (s, 6H), 1.74-1.63 (m, 1H). ESI-MS (m/z): 434, 436 [M+H]+.
(c) 3-(1-(2-클로로-4-플루오로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13a )
3-(1-(2-클로로-4-플루오로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13)(110 mg, 0.25 mmol)를 디에틸 에테르/MeOH(15 mL/0.5 mL) 중 2M HCl(디에틸 에테르 중)로 화합물(6a)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3-(1-(2-클로로-4-플루오로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13a)(98 mg, 82% 수율)를 수득하였다. 300 MHz 1H-NMR (CD3OD, ppm): δ 8.10-8.04 (m, 1H), 7.87-7.81 (m, 1H), 7.79-7.72 (m, 1H), 7.56 (dd, J=7.7, 7.7 Hz, 1H), 7.47 (dd, J=8.6, 6.0 Hz, 1H), 7.28 (dd, J=8.6, 2.6 Hz, 1H), 7.10 (ddd, J=8.4, 8.4, 2.6 Hz, 1H), 3.68-3.51 (m, 1H), 3.50-3.36 (m, 1H), 3.35-3.04 (m, 6H), 2.97 (dd, J=13.6, 9.2 Hz, 1H), 2.79-2.65 (m, 1H), 2.65-2.44 (m, 2H), 2.55 (s, 6H), 1.98-1.86 (m, 1H). ESI-MS (m/z): 434, 436 [M+H]+.
실시예 8: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티오펜-3-일)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15), 및 상응하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15a)
(a)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티오펜-3-일)에틸)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 14 )
Figure pct00039
3급-부틸-4-(3-시아노페닐)-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4)(260 mg, 0.72 mmol)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 처리한 후, 2-(티오펜-3-일)아세트알데하이드와 화합물(8)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반응시킴으로써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티오펜-3-일)에틸)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14)(55 mg, 21% 수율)을 수득하였다. 300 MHz 1H NMR (CDCl3, ppm): δ 7.96-7.91 (m, 1H), 7.81-7.73 (m, 1H), 7.54 (ddd, J=7.6, 1.4, 1.4 Hz, 1H), 7.45 (dd, J=7.6, 7.6 Hz, 1H), 7.28 (dd, J=4.9, 3.0 Hz, 1H), 7.07-7.02 (m, 1H), 7.00 (dd, J=4.9, 1.3 Hz, 1H), 3.10-2.49 (m, 8H), 2.36 (dd, J=14.2, 4.4 Hz, 1H), 2.21-2.03 (m, 3H), 2.09 (s, 6H), 1.73-1.62 (1H). ESI-MS (m/z): 370 [M+H]+.
(b)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티오펜-3-일)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15 )
Figure pct00040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티오펜-3-일)에틸)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14)(50 mg, 0.14 mmol)을 KOH로 화합물(9)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티오펜-3-일)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15)(46 mg, 88% 수율)를 수득하였다. 300 MHz 1H NMR (CDCl3, ppm): δ 8.11-8.05 (m, 1H), 7.83-7.69 (m, 2H), 7.46 (dd, J=7.7, 7.7 Hz, 1H), 7.29 (dd, J=4.9, 3.0 Hz, 1H), 7.11-7.03 (m, 1H), 7.00 (dd, J=4.9, 1.3 Hz, 1H), 6.29 (s, 1H), 5.62 (s, 1H), 3.11-2.82 (m, 7H), 2.81-2.69 (m, 1H), 2.55-2.45 (m, 1H), 2.40 (dd, J=14.2, 4.6 Hz, 1H), 2.30-1.92 (m, 4H), 2.09 (s, 6H), 1.76-1.67 (m, 1H). ESI-MS (m/z): 388 [M+H]+.
(c)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티오펜-3-일)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 15a )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티오펜-3-일)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15)(46 mg, 0.12 mmol)를 디에틸 에테르/MeOH (10 mL/0.5 mL) 중 2M HCl(디에틸 에테르 중)로 화합물(9)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티오펜-3-일)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15a)를 에테르(47 mg, 93% 수율)로 세척 후 수득하였다. 300 MHz 1H NMR (CD3OD, ppm) δ 8.10-8.04 (m, 1H), 8.87-7.81 (m, 1H), 7.79-7.71 (m, 1H), 7.55 (dd, J=7.8, 7.8 Hz, 1H), 7.42 (dd, J=4.9, 2.9 Hz, 1H), 7.29-7.25 (m, 1H), 7.10 (dd, J=4.9, 1.3 Hz, 1H), 3.75-3.64 (m, 1H), 3.52-3.42 (m, 1H), 3.40-3.29 (m, 2H), 3.28-3.13 (m, 4H), 2.87 (dd, J=13.4, 9.4 Hz,1H ) 2.80-2.67 (m, 1H), 2.63-2.49 (m, 1H), 2.49-2.38 (m, 1H), 2.46 (s, 6H), 1.96-1.85 (m, 1H). ESI-MS (m/z): 388 [M+H]+.
실시예 9: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메톡시펜에틸) 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17), 및 상응하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 (17a)
(a)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메톡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 16 )
Figure pct00041
3급-부틸-4-(3-시아노페닐)-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4)(260 mg, 0.72 mmol)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 처리한 후, 2-(4-메톡시페닐)아세트알데하이드와 화합물(8)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메톡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16)(180 mg, 63% 수율)을 수득하였다. 300 MHz 1H NMR (CDCl3, ppm): δ 7.96-7.91 (m, 1H), 7.81-7.73 (m, 1H), 7.55 (ddd, J=7.6, 1.4, 1.4 Hz, 1H), 7.46 (dd, J=7.6, 7.6 Hz, 1H), 7.20-7.11 (m, 2H), 6.89-6.79 (m, 2H), 3.80 (s, 3H), 2.96-2.77 (m, 5H), 2.77-2.53 (m, 3H), 2.35 (dd, J=14.0, 4.4 Hz, 1H), 2.30-2.17 (m, 1H), 2.17 (dd, J=14.0, 1.9 Hz, 1H), 2.09 (s, 6H), 2.13-1.89 (m, 2H), 1.67 (dt, J=13.8, 2.7 Hz, 1H). ESI-MS (m/z): 394 [M+H]+.
(b)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메톡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 17 )
Figure pct00042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메톡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16)(175 mg, 0.45 mmol)을 KOH로 화합물(6)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메톡시 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17)(182 mg, 99% 수율)를 수득하였다. 300 MHz 1H NMR (CDCl3, ppm): δ 8.08-8.02 (m, 1H), 7.78-7.68 (m, 2H), 7.44 (dd, J=7.7, 7.7 Hz, 1H), 7.20-7.10 (m, 2H), 6.91-6.80 (m, 2H), 6.22 (br s, 1H), 5.82 (br s, 1H), 3.79 (s, 3H), 2.93-2.75 (m, 5H), 2.75-2.53 (m, 3H), 2.38 (dd, J=13.9, 4.6 Hz, 1H), 2.30-2.20 (m, 1H), 2.13 (dd, J=14.0, 1.7 Hz, 1H), 2.13-1.93 (m, 2H), 2.08 (s, 6H), 1.74-1.63 (m, 1H). ESI-MS (m/z): 412 [M+H]+.
(c)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메톡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17a )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메톡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17)(182 mg, 0.44 mmol)를 디에틸 에테르/MeOH(15 mL/0.5 mL) 중 2M HCl(디에틸 에테르 중)로 화합물(6a)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메톡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17a)(165 mg, 83 % 수율)를 수득하였다. 300 MHz 1H NMR (CD3OD, ppm): δ 8.12-8.03 (m, 1H), 7.90-7.82 (m, 1H), 7.80-7.72 (m, 1H), 7.57 (dd, J=7.7, 7.7 Hz, 1H), 7.34-7.20 (m, 2H), 6.98-6.88 (m, 2H), 3.81 (s, 3H), 3.74-3.60 (m, 1H), 3.56-3.43 (m, 1H), 3.39-3.02 (m, 6H), 2.89-2.76 (m, 1H), 2.76-2.62 (m, 1H), 2.62-2.29 (m, 2H), 2.42 (s, 6H), 2.00-1.87 (m, 1H). ESI-MS (m/z): 412 [M+H]+.
실시예 10: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하이드록시펜에틸) 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18), 및 상응하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18a)
(a)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하이드록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18 )
Figure pct00043
CH2Cl2(7 mL) 중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메톡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17)(125 mg, 0.30 mmol)의 용액을 아르곤으로 퍼지하고 0℃로 냉각시켰다. CH2Cl2 중 1M BBr3(3.00 mL, 3.00 mmol) 용액을 가하고 수득되는 용액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시간 후에, MeOH(10 mL)를 적가하고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휘발물을 회전 증발을 통해 제거하고 잔사를 CH2Cl2로부터 CH2Cl2/MeOH(10:90)까지의 용출제를 사용하는 섬광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하이드록시 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18)를 무색 발포체(110 mg, 91%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300 MHz 1H NMR (CD3OD, ppm): δ 8.16-8.03 (m, 1H), 7.90-7.82 (m, 1H), 7.80-7.72 (m, 1H), 7.57 (dd, J=7.7, 7.7 Hz, 1H), 7.34-7.20 (m, 2H), 6.98-6.88 (m, 2H), 3.81 (s, 3H), 3.74-3.60 (m, 1H), 3.56-3.43 (m, 1H), 3.39-3.02 (m, 7H), 2.89-2.76 (m, 1H), 2.76-2.62 (m, 1H), 2.62-2.29 (m, 3H), 2.42 (s, 6H), 2.00-1.87 (m, 1H). ESI-MS (m/z): 412 [M+H]+.
(b)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하이드록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18a )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하이드록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18)(105 mg, 0.26 mmol)를 디에틸 에테르/MeOH(10 mL/5 mL) 중 2M HCl(디에틸 에테르 중)로 화합물(6a)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하이드록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18a)(70 mg, 61% 수율)를 수득하였다. 300 MHz 1H NMR (CD3OD, ppm): δ 8.14-8.07 (m, 1H), 7.91-7.83 (m, 1H), 7.82-7.75 (m, 1H), 7.59 (dd, J=7.7, 7.7 Hz, 1H), 7.22-7.14 (m, 2H), 6.82-6.73 (m, 2H), 4.10-3.97 (m, 1H), 3.76-3.64 (m, 1H), 3.57-3.37 (m, 5H), 3.24-3.03 (m, 4H), 2.86-2.68 (m, 2H), 2.76 (s, 3H), 2.58 (s, 3H), 2.07-1.95 (m, 1H). ESI-MS (m/z): 412 [M+H]+. ESI-MS (m/z): 412 [M+H]+.
실시예 11: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3-페닐-프로필)-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20), 및 상응하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20a)
(a)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3-페닐프로필)피페리딘-4-일) 벤조니트릴( 19 )
Figure pct00044
3급-부틸-4-(3-시아노페닐)-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4)(200 mg, 0.56 mmol)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 처리한 후, 3-페닐프로파날과 화합물(8)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반응시킴으로써 3-(3-((디메틸 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3-페닐프로필)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 (19)(138 mg, 66% 수율)을 수득하였다. 300 MHz 1H NMR (CD3OD, ppm): δ 7.93 (s, 1H), 7.80-7.72 (m, 1H), 7.58-7.51 (m, 1H), 7.45 (dd, J=7.7, 7.7 Hz, 1H), 7.34-7.26 (m, 2H), 7.24-7.16 (m, 3H), 3.00-2.40 (m, 8H), 2.34 (dd, J=14.2, 4.5 Hz, 1H), 2.20-2.11 (m, 2H), 2.08 (s, 6H), 2.03-1.77 (m, 3H), 1.70-1.57 (m, 1H). ESI-MS (m/z): 378 [M+H]+.
(b)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3-페닐-프로필)-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20 )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3-페닐프로필)피페리딘-4-일) 벤조니트릴(19)(135 mg, 0.36 mmol)을 KOH로 화합물(6)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3-페닐-프로필)-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20)(141 mg, 100% 수율)를 수득하였다. 300 MHz 1H NMR (CD3OD, ppm): δ 8.07-8.03 (m, 1H), 7.79-7.69 (m, 2H), 7.44 (dd, J=7.7, 7.7 Hz, 1H), 7.33-7.27 (m, 2H), 7.25-7.16 (m, 3H), 6.22 (s, 1H), 5.64 (s, 1H), 2.93-2.76 (m, 3H), 2.69 (t, J=7.7 Hz, 2H), 2.65-2.48 (m, 3H), 2.45-2.31 (m, 2H), 2.20-1.89 (m, 5H), 2.07 (s, 6H), 1.75-1.62 (m, 1H). ESI-MS (m/z): 396 [M+H]+.
(c)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3-페닐-프로필)-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20a )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3-페닐-프로필)-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20)(135 mg, 0.34 mmol)를 디에틸 에테르/MeOH(15 mL/0.5 mL) 중 2M HCl(디에틸 에테르 중)로 화합물(6a)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3-페닐-프로필)-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20a)(132 mg, 90% 수율)를 생산하였다. 300 MHz 1H NMR (CD3OD, ppm): δ 8.06-8.00 (m, 1H), 7.86-7.77 (m, 1H), 7.74-7.68 (m, 1H), 7.53 (dd, J=7.8, 7.8 Hz, 1H), 7.35-7.15 (m, 5H), 3.62-3.50 (m, 1H), 3.44-3.35 (m, 1H), 3.25-3.16 (m, 1H), 3.16-2.99 (m, 3H), 2.76 (t, J=7.6 Hz, 2H), 2.71-2.55 (m, 2H), 2.55-2.39 (m, 1H), 2.31 (s, 6H), 2.27-2.05 (m, 3H), 1.94-1.82 (m, 1H). ESI-MS (m/z): 396 [M+H]+.
실시예 12: Rac-syn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rac-syn- 21), 및 상응하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 rac-syn- 21a)
[반응식 5]
(내포되지 않는 절대 입체화학)
Figure pct00045
(a) Rac-syn-3급-부틸-4-(3-시아노페닐)-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 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 rac-syn-4 )
오븐 건조된 환저 플라스크에 3-요오도벤조니트릴(3)(5.00 g, 21.85 mmol)을 충전시키고 아르곤으로 퍼지하였다. THF(60 mL)를 가하고, 수득되는 용액을 -78℃로 냉각하였다. n-BuLi(9.28 mL, 23.21 mmol)의 2.3M 용액을 적가하였다(1.7-2.2 mL/min). 이후에, THF(40 mL) 중 3급-부틸-3-((디메틸아미노)메틸)-4-옥소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3.50 g, 13.65 mmol)의 용액을 적가(2.2-2.5 mL/min)하였다. 수득되는 혼합물을 -78℃에서 10분 동안 교반하고 포화된 NH4Cl(30 mL) 및 NH4OH(25%, 10 mL)의 교반 혼합물에 부었다. 수득되는 현탁액을 EtOAc(3x3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Na2SO4 위에서 건조시켰다. 휘발물을 제거하고, 잔사를 CH2Cl2/디에틸 에테르(99:1)로부터 CH2Cl2/디에틸 에테르(20:80) 까지의 구배를 사용한 섬광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rac-syn-3급-부틸-4-(3-시아노페닐)-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rac-syn- 4)(2.22 g, 45% 수율)를 거울상이성체의 혼합물로서 수득하였다. ESI-MS (m/z): 360 [M+H]+.
(b) Rac-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rac-syn- 21 )
순수한(neat)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801 μL, 10.43 mmol)을 rac-syn-3급-부틸-4-(3-시아노페닐)-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rac-syn- 4)(250 mg, 0.70 mmol)에 가하고,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에 휘발물을 제거하였다. 잔사를 3급-부탄올(7 mL) 속에 용해하고, KOH(383 mg, 6.95 mmol)를 가하였다. 현탁액을 8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CH2CH2/CHCl3(1/1)(6x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Na2SO4 위에서 건조시켰다. 휘발물을 제거하고, 잔사를 CH2Cl2/메탄올(9:1)로부터 CH2Cl2/메탄올(1:9)까지의 구배 용출을 사용한 섬광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rac-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rac-syn- 21)(87 mg, 45% 수율)를 수득하였다. ESI-MS (m/z): 278 [M+H]+.
(c) Rac-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rac-syn- 21a )
Figure pct00046
(내포되지 않는 절대 입체화학)
Rac-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rac-syn- 21)(86 mg, 0.31 mmol)을 디에틸 에테르/메탄올(10 mL/0.5 mL) 중 2M HCl(디에틸 에테르 중)로 화합물 7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rac-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rac-syn- 21a)(85 mg, 87% 수율)를 생산하였다. 400 MHz 1H NMR (D2O, ppm) 8.01-7.97 (m, 1H), 7.89-7.84 (m, 1H), 7.84-7.79 (m, 1H), 7.67 (dd, J=7.8 Hz, 1H), 3.69 (dd, J = 12.8, 4.3 Hz, 1H), 3.55-3.41 (m, 3H), 3.12 (dd, J=14.2, 8.8 Hz, 1H), 2.86 (dd, J=14.2, 1.9 Hz, 1H), 2.80-2.66 (m, 4H), 2.66-2.46 (m, 4H), 2.15-2.01 (m, 1H). ESI-MS (m/z): 278 [M+H]+.
실시예 13: rac-syn-3급- 부틸-4-(3-시아노페닐)-3-((디메틸 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4)의 키랄 분해
[반응식 6]
Figure pct00047
(a) 3급-부틸(3S,4R)-4-(3-시아노페닐)-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 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 4a )
Rac-syn-3급-부틸-4-(3-시아노페닐)-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 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rac-syn- 4)(4.93 g, 13.71 mmol)를 더운 MeCN(75 mL) 속에 용해하였다. 고체 (S)-O-아세틸-만델산을 가하였다. 고체를 용해한 후, 용액을 냉각시키고 온도조절장치가 장착된 욕(bath) 속에서 +3℃에서 60 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로 수집하고, 소량의 냉 MeCN으로 세척하였다. 분취량을 키랄 검정을 위해 취하였다(이는 2 mL의 CH2Cl2에 용해시키고, 용액은 포화된 NaHCO3 용액(2 mL)으로 세척하였다; 검정은 93% ee를 나타낸다). 물질을 20 mL의 MeCN 속에 환류하에 용해시키고 냉장고 속에 14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로 수집하고, 소량의 냉 MeCN(분취량의 키랄 검정은 97+% ee를 나타낸다)으로 세척하여 {(3S,4R)-[1-3급-부톡시카보닐-4-(3-시아노페닐)-4-하이드록시-피페리딘-3-일]메틸-디메틸암모늄}-(S)-2-아세톡시-2-페닐아세테이트(3급-부틸 (3S,4R)-4-(3-시아노페닐)-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의 (S)-O-아세틸-만델산 첨가 염)를 수득하였다.
이러한 고체를 120 mL의 CH2Cl2 속에 용해하고, 60 mL의 포화된 NaHCO3 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수성 상을 30 mL의 CH2Cl2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물을 MgSO4 위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며, 휘발물을 증발시켜 3급-부틸(3S,4R)-4-(3-시아노페닐)-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4a)(1.35 g, 27% 수율)를 백색 분말로 수득하였다. 300 MHz 1H NMR (CDCl3, ppm) 7.89-7.83 (m, 1H), 7.75-7.67 (m, 1H), 7.55 (ddd, J=7.7, 1.4, 1.4 Hz, 1H), 7.46 (dd, J=7.7, 7.7 Hz, 1H), 4.15-3.83 (m, 2H), 3.47 (t, J=12,2 Hz, 1H), 3.28 (t, J=12,1 Hz, 1H), 2.34 (dd, J=14.3, 4.1 Hz, 1H), 2.25 (dd, J=14.3, 1.7 Hz, 1H), 2.09 (s, 6H), 2.05-1.94 (m, 1H), 1.80-1.64 (m, 1H), 1.63-1.53 (m,1H), 1.49 (s, 9H). ESI-MS (m/z): 360 [M+H]+.
3급-부틸 (3S,4R)-4-(3-시아노페닐)-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의 절대 입체화학을 하기 거울상이성체의 절대 입체화학적 측정으로부터 추론하였다.
(b) 3급-부틸(3R,4S)-4-(3-시아노페닐)-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 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 4b )
Rac-syn-3급-부틸-4-(3-시아노페닐)-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rac-syn- 4)(1.42 g, 3.95 mmol)를 (R)-O-아세틸만델산 (767 mg, 3.95 mmol)으로 화합물 4a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3R,4S)-[1-3급-부톡시카보닐-4-(3-시아노페닐)-4-하이드록시-피페리딘-3-일]메틸-디메틸암모늄}-(R)-2-아세톡시-2-페닐아세테이트(3급-부틸 (3R,4S)-4-(3-시아노페닐)-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의 (R)-O-아세틸-만델산 첨가 염)를 수득하고, 이를 화합물 4a에 대해 기술된 바와 같이 염기로 처리하여 3급-부틸 (3R,4S)-4-(3-시아노페닐)-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4b)(320 mg, 23% 수율)를 수득하였다. 300 MHz 1H NMR (CDCl3, ppm) 7.89-7.84 (m, 1H), 7.75-7.68 (m, 1H), 7.55 (ddd, J=7.7, 1.4, 1.4 Hz, 1H), 7.46 (dd, J=7.7, 7.7 Hz, 1H), 4.14-3.85 (m, 2H), 3.48 (t, J=12.2 Hz, 1H), 3.28 (t, J=12.1 Hz, 1H), 2.34 (dd, J=14.3, 4.1 Hz, 1H), 2.25 (dd, J=14.3, 1.7 Hz, 1H), 2.09 (s, 6H), 2.05-1.95 (m, 1H), 1.80-1.64 (m, 1H), 1.63-1.53 (m,1H), 1.50 (s, 9H). ESI-MS (m/z): 360 [M+H]+.
결정성 {(3R,4S)-[1-3급-부톡시카보닐-4-(3-시아노페닐)-4-하이드록시-피페리딘-3-일]메틸-디메틸암모늄}-(R)-2-아세톡시-2-페닐아세테이트를 X-선 회절 패턴 측정 및 분석에 적용시켰으며, 이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3R, 4S)인 절대 입체화학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중간체로부터 유래된 생성물은 절대 입체화학을 보유하는 것으로 추론되었다(라세미화는 관찰되지 않음).
실시예 14: 3-(1-(3-(2-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프로필)-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23), 및 상응하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24)
[반응식 7]
Figure pct00048
(a) 3-(1-(3-(2-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프로필)-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 22 )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28 mL, 16.69 mmol)을 CH2Cl2(10 mL) 중 3급-부틸-4-(3-시아노페닐)-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4)(400 mg, 1.11 mmol)의 용액에 가하고, 수득되는 혼합물을 1시간 동안 주위 온도에서 교반하였다. 휘발물을 제거하고, 잔사를 CH2Cl2(10 mL) 속에 용해하였다. TEA(930 μL, 6.68 mmol)를 가하고, 혼합물을 5분 동안 교반하였다. 아세트산(127 μl, 2.23 mmol), 3-(2-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프로파날(415 mg, 2.23 mmol), 및 NaBH(OAc)3 (943 mg, 4.45 mmol)를 가하고, 수득되는 현탁액을 주위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포화된 NaHCO3 용액(30 mL)을 가하고, 현탁액을 CH2Cl2(2x2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물(30 mL)로 세척하고 Na2SO4 위에서 건조시켰다. 휘발물을 제거하고, 잔사를 CH2Cl2/메탄올(99:1)로부터 CH2Cl2/ 메탄올(1:1)까지의 구배 용출을 사용하는 섬광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3-(1-(3-(2-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프로필)-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22)(478 mg, 65% 수율)을 수득하였다. 300 MHz 1H NMR (CDCl3, ppm) 7.92 (s, 1H), 7.75 (d, J=7.7 Hz, 1H), 7.57-7.51 (m, 1H), 7.45 (dd, J=7.7, 7.7 Hz, 1H), 7.21 (dd, J=8.6, 6.2 Hz, 1H), 7.10 (dd, J=8.6, 2.6 Hz, 1H), 6.92 (ddd, J=8.2, 8.2, 2.6 Hz, 1H), 2.87-2.62 (m, 5H), 2.58-2.41 (m, 3H), 2.34 (dd, J=14.2, 4.6 Hz, 1H), 2.22-2.12 (m, 2H), 2.09 (s, 6H), 1.95-1.79 (m, 3H), 1.70-1.59 (m, 1H), 1.34-1.16 (m, 1H). ESI-MS (m/z): 430, 432 [M+H]+.
(b) 3-(1-(3-(2-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프로필)-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23 )
분쇄된 KOH(278 mg, 5.05 mmol)을 3급-부탄올(10 mL) 중 rac-syn-3-(1-(3-(2-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프로필)-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22)(310 mg. 0.72 mmol)의 용액에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80℃에서 가열하였다. 염수(5 mL)를 가하고, 수득되는 현탁액을 EtOAc(3x6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Na2SO4 위에서 건조시키고 휘발물을 제거하여 rac-syn-3-(1-(3-(2-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프로필)-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23)(283 mg, 88% 수율)를 수득하였다. ESI-MS (m/z): 448, 450 [M+H]+.
(c) 3-(1-(3-(2-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프로필)-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24 )
Figure pct00049
3-(1-(3-(2-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프로필)-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23)(12 mg, 0.027 mmol)를 디에틸 에테르/메탄올 (10 mL/0.5 mL) 중 2M HCl(디에틸 에테르 중)로 화합물 7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3-(1-(3-(2-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프로필)-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24)(12 mg, 99% 수율)를 수득하였다. 300 MHz 1H NMR (CD3OD, ppm) 8.05-7.99 (m, 1H), 7.79 (dd, J=7.8 Hz , 1H), 7.70 (d, J=7.8 Hz, 1H), 7.50 (dd, J=7.8, 7.8 Hz, 1H), 7.38 (dd, J=8.7, 6.3 Hz, 1H), 7.22 (dd, J=8.7, 2.5 Hz, 1H), 7.05 (ddd, J=8.3, 8.3, 2.5 Hz, 1H), 3.35-3.23 (m, 1H, overlapped with MeOD), 3.20-3.05 (m, 1H), 2.95-2.80 (m, 5H), 2.77-2.68 (m, 1H), 2.64-2.50 (m, 1H), 2.46-2.38 (m, 1H), 2.30 (td, J=13.7, 4.5 Hz, 1H), 2.20 (s, 6H), 2.10-1.93 (m, 3H), 1.84-1.74 (m, 1H). ESI-MS (m/z): 448, 450 [M+H]+.
실시예 15: 3-(( 3S,4R )-1-(3-(2-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프로필)-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23a), 및 상응하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 (24a)
Figure pct00050
(a) 3-((3S,4R)-1-(3-(2-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프로필)-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 22a )
3급-부틸(3S,4R)-4-(3-시아노페닐)-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 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4a)(850 mg. 2.36 mmol)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 처리한 후, 3-(2-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프로파날(706 mg, 3.28 mmol)을 화합물 23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3-((3S,4R)--(1-(3-(2-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프로필)-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 (22a)(750 mg, 74% 수율)을 수득하였다. ESI-MS (m/z): 430, 432 [M+H]+.
(b) 3-((3S,4R)-1-(3-(2-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프로필)-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 23a )
3-((3S,4R)-1-(3-(2-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프로필)-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22a)(750 mg, 1.74 mmol)을 KOH(673 mg, 12.21 mmol)로 화합물 23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3-((3S,4R)-1-(3-(2-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프로필)-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23a)(700 mg, 90% 수율)를 수득하였다. ESI-MS (m/z): 448, 450 [M+H]+.
(c) 3-((3S,4R)-1-(3-(2-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프로필)-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24a )
3-((3S,4R)-1-(3-(2-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프로필)-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23a)(700 mg, 1.56 mmol)를 디에틸 에테르/메탄올(20 mL/1 mL) 중 2M HCl(디에틸 에테르 중)로 화합물 7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3-((3S,4R)-1-(3-(2-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프로필)-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24a)를 생산하였다. 300 MHz 1H NMR (CD3OD, ppm) 8.08-8.03 (m, 1H), 7.86-7.79 (m, 1H), 7.77-7.68 (m, 1H), 7.54 (dd, J=7.8, 7.8 Hz, 1H), 7.43 (dd, J=8.6, 6.1 Hz, 1H), 7.23 (dd, J=8.6, 2.6 Hz, 1H), 7.07 (ddd, J=8.4, 8.4, 2.6 Hz, 1H), 3.72-3.59 (m, 1H), 3.51-3.37 (m, 1H), 3.35-3.05 (m, 4H), 2.94-2.80 (m, 3H), 2.80-2.68 (m, 1H), 2.63-2.35 (m, 2H), 2.44 (s, 6H), 2.24-2.06 (m, 2H), 1.96-1.83 (m, 1H). ESI-MS (m/z): 448, 450 [M+H]+.
Figure pct00051
(0.44, 메탄올).
실시예 16: 3-(( 3R,4S )-1-(3-(2-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프로필)-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23b), 및 상응하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24b)
Figure pct00052
(a) 3-((3R,4S)-1-(3-(2-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프로필)-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23b )
Rac-syn-3-(1-(3-(2-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프로필)-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23)를 (Daicel Chiralpak® ID 250 mm x 30 mm) 컬럼 및 Shimadzu LC-8A 상에서 이동 상으로서 Hex/IPA(9:1) + 0.1% NH2CH2CH2OH를 사용하는 키랄 정지상 크로마토그래피 상에서 개개 부분입체이성체로 분리하였다: 40 mL/min의 유동 속도에서 Rt 입체이성체 (+) (23a) = 27 min, Rt 입체이성체 (-) (23b) = 32 min.
(b) 3-((3R,4S)-1-(3-(2-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프로필)-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24b )
3-((3R,4S)-1-(3-(2-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프로필)-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23b)(150 mg, 0.33 mmol)를 디에틸 에테르 중/메탄올(10 mL/0.5 mL) 중 2M HCl(디에틸 에테르 중)로 화합물 7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3-((3R,4S)-1-(3-(2-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프로필)-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24b)(112 mg, 69% 수율)를 수득하였다. 400 Hz 1H NMR (CD3OD, ppm) 8.08-8.03 (m, 1H), 7.86-7.81 (m, 1H), 7.77-7.70 (m, 1H), 7.55 (dd, J=7.8, 7.8 Hz, 1H), 7.46-7.39 (m, 1H), 7.24 (dd, J=8.7, 2.5 Hz, 1H), 7.07 (ddd, J=8.3, 8.3, 2.5 Hz, 1H), 3.80-3.58 (m, 1H), 3.57-3.39 (m, 1H), 3.38-3.07 (m, 4H), 3.00-2.83 (m, 3H), 2.83-2.67 (m, 1H), 2.67-2.30 (m, 2H), 2.49 (s, 6H), 2.25-2.06 (m, 2H), 1.99-1.86 (m, 1H). ESI-MS (m/z): 448, 450 [M+H]+.
Figure pct00053
(1.04, 아세톤). 절대 입체화학은 상기 거울상이성체(실시예 15)로부터 추론된다.
실시예 17: 3-[( 3S,4R )-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26a), 및 상응하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27a)
[반응식 8]
Figure pct00054
(a) 3-((3S,4R)-3-((디메틸아미노)메틸)-1-(3-(5-플루오로피리딘-3-일)프로필)-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 25a )
3급-부틸(3S,4R)-4-(3-시아노페닐)-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4a)(260 mg. 0.72 mmol)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 처리한 후, 3-(5-플루오로피리딘-3-일)프로파날(133 mg, 0.87 mmol)과 화합물 23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33-((3S,4R)-3-((디메틸아미노메틸)-1-(3-(5-플루오로피리딘-3-일)프로필)-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25a) (220 mg, 77% 수율)을 수득하였다. ESI-MS (m/z): 397 [M+H]+.
(b) 3-[(3S,4R)-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26a )
3-((3S,4R)-3-((디메틸아미노메틸)-1-(3-(5-플루오로피리딘-3-일)프로필)-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25a)(215 mg, 0.54 mmol)을 KOH(209 mg, 3.80 mmol)로 화합물 23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3-[(3S,4R)-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26a)(205 mg, 910% 수율)를 수득하였다. ESI-MS (m/z): 415 [M+H]+.
(c) 3-[(3S,4R)-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27a )
Figure pct00055
3-[(3S,4R)-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26a)(200 mg, 0.48 mmol)를 디에틸 에테르 중/메탄올(10 mL/3 mL) 중 2M HCl(디에틸 에테르 중)로 화합물 7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3-[(3S,4R)-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27a)(17 mg, 78% 수율)를 수득하였다. 300 MHz 1H NMR (CD3OD, ppm) 8.39-8.32 (m, 2H), 8.08-8.02 (m, 1H), 7.86-7.79 (m, 1H), 7.77-7.69 (m, 1H), 7.69-7.62 (m, 1H), 7.54 (dd, J=7.8, 7.8 Hz, 1H), 3.72-3.56 (m, 1H), 3.49-3.36 (m, 1H), 3.26-3.00 (m, 4H), 2.94-2.80 (m, 3H), 2.80-2.66 (m, 1H), 2.62-2.34 (m, 2H), 2.47 (s, 6H), 2.26-2.09 (m, 2H), 1.99-1.84 (m, 1H). ESI-MS (m/z): 415[M+H]+.
Figure pct00056
(0.42, 메탄올).
실시예 18: 3-[( 3R,4S )-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26b), 및 상응하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 (27b)
(a) 3-((3R,4S)-3-((디메틸아미노)메틸)-1-(3-(5-플루오로피리딘-3-일)프로필)-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 ( 25b )
3급-부틸 (3R,4S)-4-(3-시아노페닐)-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4b)(260 mg. 0.72 mmol)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 처리한 후, 3-(5-플루오로피리딘-3-일)프로파날(133 mg, 0.87 mmol)과 화합물 23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반응시킴으로써 3-((3R,4S)-3-((디메틸아미노)메틸)-1-(3-(5-플루오로피리딘-3-일)프로필)-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25b)(215 mg, 75% 수율)을 수득하였다. ESI-MS (m/z): 397 [M+H]+.
(b) 3-[(3R,4S)-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26b )
3-((3R,4S)-3-((디메틸아미노)메틸)-1-(3-(5-플루오로피리딘-3-일)프로필)-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25b)(210 mg, 0.53 mmol)을 KOH(204 mg, 3.70 mmol)로 화합물 23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3-[(3R,4S)-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26b)(205 mg, 93% 수율)를 수득하였다. ESI-MS (m/z): 415 [M+H]+.
(c) 3-[(3R,4S)-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27b )
Figure pct00057
3-[(3R,4S)-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26b)(200 mg, 0.48 mmol)를 디에틸 에테르/메탄올 (10 mL/3 mL) 중 2M HCl(디에틸 에테르 중)로 화합물 7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3-[(3R,4S)-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27b)(170 mg, 78% 수율)를 수득하였다. 300 MHz 1H NMR (CD3OD, ppm) 8.39-8.29 (m, 2H), 8.09-8.01 (m, 1H), 7.86-7.79 (m, 1H), 7.77-7.69 (m, 1H), 7.69-7.62 (m, 1H), 7.54 (dd, J=7.8, 7.8 Hz, 1H), 3.66-3.51 (m, 1H), 3.42-3.25 (m, 1H), 3.23-2.96 (m, 4H), 2.92-2.76 (m, 3H), 2.76-2.60 (m, 1H), 2.60-2.28 (m, 2H), 2.42 (s, 6H), 2.25-2.06 (m, 2H), 1.95-1.82 (m, 1H). ESI-MS (m/z): 415[M+H]+.
Figure pct00058
메탄올).
실시예 19: 3-[( 3S,4R )-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29a), 및 상응하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 (30a)
[반응식 9]
Figure pct00059
(a) 3-((3S,4R)-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 28a )
3급-부틸(3S,4R)-4-(3-시아노페닐)-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4a)(290 mg. 0,78 mmol)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 처리한 후, 5-플루오로니코틴알데하이드(130μ, 1.17 mmol)로 화합물 23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3-((3S,4R)-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28a)(225 mg, 78% 수율)을 수득하였다. ESI-MS (m/z): 369 [M+H]+.
(b) 3-[(3S,4R)-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29a )
3-((3S,4R)-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28a)(225 mg, 0.61 mmol)을 KOH(336 mg, 6.11 mmol)로 화합물 23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3-[(3S,4R)-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29a)(185 mg, 78% 수율)를 수득하였다. ESI-MS (m/z): 387 [M+H]+.
(c) 3-[(3S,4R)-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0a )
Figure pct00060
(유추된 절대 입체화학)
3-[(3S,4R)-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29a)(180 mg, 0.47 mmol)를 디에틸 에테르/메탄올 (20 mL/1.5 mL) 중 2M HCl(디에틸 에테르 중)로 화합물 7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3-[(3S,4R)-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30a)(165 mg, 84% 수율)를 수득하였다. 300 MHz 1H NMR (CD3OD, ppm) 8.49 (s, 1H), 8.45 (d, J = 2.7 Hz, 1H), 8.10-8.03 (m, 1H), 7.88-7.72 (m, 3H),, 7.53 (dd, J=7.8, 7.8 Hz, 1H), 3.90 (s, 2H), 3.16-2.96 (m, 2H), 2.96-2.86 (m, 1H), 2.85-2.50 (m, 4H), 2.60 (s, 6H), 2.49-2.32 (m, 1H), 1.88-1.72 (m, 1H). ESI-MS (m/z): 387 [M+H]+.
Figure pct00061
(0.55, 메탄올).
실시예 20: 3-[( 3R,4S )-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29b), 및 상응하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30b)
Figure pct00062
(a) 3-((3R,4S)-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 28b )
3급-부틸 (3R,4S)-4-(3-시아노페닐)-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4b)(280 mg. 0.78 mmol)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 처리한 후, 5-플루오로니코틴알데하이드(130μ, 1.17 mmol)와 화합물 23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반응시킴으로써 3-((3R,4S)-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28b)(218 mg, 76% 수율)을 수득하였다. ESI-MS (m/z): 369 [M+H]+.
(b) 3-[(3R,4S)-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29b )
3-((3R,4S)-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28b)(215 mg, 0.58 mmol)을 KOH(322 mg, 5,84 mmol)로 화합물 23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3-[(3R,4S)-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29b)(180 mg, 80% 수율)를 수득하였다. ESI-MS (m/z): 387 [M+H]+.
(c) 3-[(3R,4S)-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0b )
3-[(3R,4S)-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29b)(170 mg, 0.44 mmol)를 디에틸 에테르/메탄올(25 mL/1.5 mL) 중 2M HCl(디에틸 에테르 중)로 화합물 7 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3-[(3R,4S)-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30b)(156 mg, 84% 수율)를 수득하였다. 300 MHz 1H NMR (CD3OD, ppm) 8.48-8.43 (m, 1H), 8.40 (d, J = 2.7 Hz, 1H), 8.10-8.03 (m, 1H), 7.83-7.70 (m, 3H), 7.51 (dd, J=7.8, 7.8 Hz, 1H), 3.77 (s, 2H), 2.99 (dd, J=10.7, 2.7 Hz, 1H), 2.89-2.73 (m, 2H), 2.64 (td, J = 11.7, 2.7 Hz, 1H), 2.55 (t, J=10.7 Hz, 1H), 2.51-2.38 (m, 2H), 2.43 (s, 6H), 2.32 (ddd, J=14.0, 12.2, 4.6 Hz, 1H), 1.80-1.68 (m, 1H). ESI-MS (m/z): 387 [M+H]+.
Figure pct00063
= -18.6(0.54, 메탄올).
실시예 21: Rac-syn- 3-(1-(2-클로로-4-플루오로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32), 및 상응하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33)
[반응식 10]
Figure pct00064
(a) Rac-syn-3-(1-(2-클로로-4-플루오로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 31 )
Rac-syn-3급-부틸 4-(3-시아노페닐)-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 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4)(180 mg, 0.50 mmol)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 처리한 다음, 2-(2-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세트알데하이드(121 mg, 0.70 mmol)와 화합물 23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반응시킴으로써 rac-syn-3-(1-(2-클로로-4-플루오로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 (31)(125 mg, 60% 수율)을 수득하였다. ESI-MS (m/z): 416, 418 [M+H]+.
(b) Rac-syn-3-(1-(2-클로로-4-플루오로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32 )
Rac-syn-3-(1-(2-클로로-4-플루오로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31)(120 mg, 0.29 mmol)을 KOH(111 mg, 2.02 mmol)로 화합물 23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rac-syn-3-(1-(2-클로로-4-플루오로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32)(110 mg, 88% 수율)를 수득하였다. ESI-MS (m/z): 434, 436 [M+H]+.
(c) Rac-syn-3-(1-(2-클로로-4-플루오로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하이드로클로라이드( 33 )
Figure pct00065
Rac-syn-3-(1-(2-클로로-4-플루오로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32)(110 mg, 0.25 mmol)를 디에틸 에테르/메탄올 (16 mL/0.5 mL) 중 2M HCl (디에틸 에테르 중)로 화합물 7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rac-syn-3-(1-(2-클로로-4-플루오로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33)(98 mg, 82% 수율)를 수득하였다. 300 MHz 1H NMR (CD3OD, ppm) 8.10-8.04 (m, 1H), 7.87-7.81 (m, 1H), 7.79-7.72 (m, 1H), 7.56 (dd, J=7.7, 7.7 Hz, 1H), 7.47 (dd, J=8.6, 6.0 Hz, 1H), 7.28 (dd, J=8.6, 2.6 Hz, 1H), 7.10 (ddd, J=8.4, 8.4, 2.6 Hz, 1H), 3.68-3.51 (m, 1H), 3.50-3.36 (m, 1H), 3.35-3.04 (m, 6H), 2.97 (dd, J=13.6, 9.2 Hz, 1H), 2.79-2.65 (m, 1H), 2.65-2.44 (m, 2H), 2.55 (s, 6H), 1.98-1.86 (m, 1H). ESI-MS (m/z): 434, 436 [M+H]+.
실시예 22: 3-(( 3S,4R )-1-(2-클로로-4-플루오로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32a), 및 상응하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33a)
Figure pct00066
(a) 3-((3S,4R)-1-(2-클로로-4-플루오로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 31a )
3급-부틸(3S,4R)-4-(3-시아노페닐)-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4a)(150 mg. 0.42 mmol)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 처리한 다음, 2-(2-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세트알데하이드(156 mg, 0.90 mmol)와 화합물 23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반응시켜 3-((3S,4R)-1-(2-클로로-4-플루오로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31a)(110 mg, 63% 수율)을 수득하였다. ESI-MS (m/z): 416,418 [M+H]+.
(b) 3-((3S,4R)-1-(2-클로로-4-플루오로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32a )
3-((3S,4R)-1-(2-클로로-4-플루오로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31a)(105 mg, 0.25 mmol)을 KOH(97 mg, 1.77 mmol)로 화합물 23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3-((3S,4R)-1-(2-클로로-4-플루오로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32a)(74 mg, 68% 수율)를 수득하였다. ESI-MS (m/z): 434, 436 [M+H]+.
(c) 3-((3S,4R)-1-(2-클로로-4-플루오로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3a )
3-((3S,4R)-1-(2-클로로-4-플루오로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32a)(72 mg, 0.17 mmol)를 디에틸 에테르/메탄올 (10 mL/0.5 mL) 중 2M HCl(디에틸 에테르 중)로 화합물 7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3-((3S,4R)-1-(2-클로로-4-플루오로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33a)(65 mg, 77% 수율)를 수득하였다. 400 MHz 1H NMR (CD3OD, ppm) 8.10-8.05 (m, 1H), 7.86-7.82 (m, 1H), 7.78-7.76 (m, 1H), 7.56 (dd, J=7.8, 7.8 Hz, 1H), 7.47 (dd, J=8.6, 6.0 Hz, 1H), 7.27 (dd, J=8.6, 2.6 Hz, 1H), 7.10 (ddd, J=8.3, 8.3, 2.6 Hz, 1H), 3.69-3.55 (m, 1H), 3.48-3.36 (m, 1H), 3.29-3.03 (m, 7H), 3.03-2.89 (m, 1H), 2.81-2.67 (m, 1H), 2.64-2.42 (m, 1H), 2.54 (6H, s), 1.97-1.85 (m, 1H). ESI-MS (m/z): 434, 436 [M+H]+.
Figure pct00067
(0.56, 메탄올).
실시예 23: 3-(( 3R,4S )-1-(2-클로로-4-플루오로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32b), 및 상응하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33b)
Figure pct00068
(a) 3-((3R,4S)-1-(2-클로로-4-플루오로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 31b )
3급-부틸(3R,4S)-4-(3-시아노페닐)-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4b)(150 mg. 0.42 mmol)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 처리한 다음, 2-(2-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세트알데하이드(144 mg, 0.83 mmol)와 화합물 23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3-((3R,4S)-1-(2-클로로-4-플루오로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 (31b)(102 mg, 59% 수율)을 수득하였다. ESI-MS (m/z): 416,418 [M+H]+.
(b) 3-((3R,4S)-1-(2-클로로-4-플루오로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32b )
3-((3R,4S)-1-(2-클로로-4-플루오로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31b)(100 mg, 0.24 mmol)을 KOH(93 mg, 1.69 mmol)로 화합물 23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3-((3R,4S)-1-(2-클로로-4-플루오로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32b)(66 mg, 63% 수율)를 수득하였다. ESI-MS (m/z): 434, 436 [M+H]+.
(c) 3-((3R,4S)-1-(2-클로로-4-플루오로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3b )
3-((3R,4S)-1-(2-클로로-4-플루오로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32b)(66 mg, 0.15 mmol)를 디에틸 에테르/메탄올 (10 mL/0.5 mL) 중 2M HCl(디에틸 에테르 중)로 화합물 7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3-((3R,4S)-1-(2-클로로-4-플루오로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33b)(62 mg, 87% 수율)를 수득하였다. 400 MHz 1H NMR (CD3OD, ppm) 8.10-8.05 (m, 1H), 7.84 (d, J=7.8 Hz, 1H), 7.76 (d, J = 7.8 Hz, 1H), 7.55 (dd, J=7.8, 7.8 Hz, 1H), 7.47 (dd, J=8.7, 6.0 Hz, 1H), 7.27 (dd, J=8.3, 2.6 Hz, 1H), 7.10 (ddd, J=8.3, 8.3, 2.6 Hz, 1H), 3.68-3.53 (m, 1H), 3.48-3.35 (m, 1H), 3.29-3.03 (m, 7H), 3.02-2.89 (m, 1H), 2.79-2.66 (m, 1H), 2.64-2.42 (m, 1H), 2.54 (6H, s), 1.97-1.85 (m, 1H). ESI-MS (m/z): 434, 436 [M+H]+.
Figure pct00069
(0.54, 메탄올).
실시예 24: 3-(1-(사이클로프로필메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 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35), 및 상응하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36)
[반응식 11]
Figure pct00070
(a) 3-(1-(사이클로프로필메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 34 )
3급-부틸 4-(3-시아노페닐)-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4)(220 mg. 0.61 mmol)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 처리한 다음, 사이클로프로판카브알데하이드(129 mg, 1.84 mmol)로 화합물 23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반응시킴으로써 3-(1-(사이클로프로필메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34)(84 mg, 44% 수율)을 수득하였다. ESI-MS (m/z): 314 [M+H]+.
(b) 3-(1-(사이클로프로필메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35 )
3-(1-(사이클로프로필메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34)(80 mg, 0.26 mmol)을 KOH(98 mg, 1,79 mmol)로 화합물 23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3-(1-(사이클로프로필메틸)-3-((디메틸 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35)(60 mg, 71% 수율)를 수득하였다. ESI-MS (m/z): 332 [M+H]+.
(c) 3-(1-(사이클로프로필메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6 )
3-(1-(사이클로프로필메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35)(50 mg, 0.15 mmol)를 디에틸 에테르/메탄올(25 mL/1.0 mL) 중 2M HCl(디에틸 에테르 중)로 화합물 7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3-(1-(사이클로프로필메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36)(40 mg, 72% 수율)를 수득하였다. 300 MHz 1H NMR (CD3OD, ppm) 8.10-8.03 (m, 1H), 7.87-7.81 (m, 1H), 7.79-7.71 (m, 1H), 7.55 (dd, J=7.7, 7.7 Hz, 1H), 3.85-3.73 (m, 1H), 3.68-3.56 (m, 1H), 3.42-3.22 (m, 2H), 3.19-3.05 (m, 2H), 2.85-2.66 (m, 2H), 2.65-2.49 (m, 1H), 2.48-2.19 (m, 1H), 2.35 (s, 6H), 2.00-1.90 (m, 1H), 1.30-1.19 (m, 1H), 0.85-0.77 (m, 2H), 0.55-0.46 (m, 2H). ESI-MS (m/z): 332 [M+H]+.
실시예 25:
(+)-Ent-A-syn-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하이드록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38a), 및 상응하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39a);
(-)-Ent-B-syn-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하이드록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38b), 및 상응하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39b)
[반응식 12]
(내포되지 않은 절대 입체화학)
Figure pct00071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메톡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10e)를 Daicel Chiralpak® ID(250 mm x 30 mm) 컬럼 및 Shimadzu LC-8A 위에서 이동 상으로서 Hex/IPA (4:1) + 0.1% NH2CH2CH2OH를 사용하여 키랄 정지 상 크로마토그래피 상에서 입체이성체로 분리하였다: 40 mL/min 유동 속도에서 Rt 입체이성체 (+) (37a) = 35 min, Rt 입체이성체 (-) (37b) = 40 min.
(+) - Ent-A-syn-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하이드록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39a)
(a) (+)-Ent-A-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하이드록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38a )
BBr3 용액(CH2Cl2중 1.0 M)(3.64 mL, 3.64 mmol)을 CH2Cl2(8 mL) 중 (+)-Ent-A-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메톡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37a)(150 mg, 0.36 mmol)의 용액에 0℃ 온도에서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메탄올(10 mL)을 가하고 수득되는 현탁액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휘발물을 제거하고, 잔사를 CH2Cl2/메탄올(99:1)로부터 CH2Cl2/메탄올(9:1)까지의 구배 용출을 사용한 섬광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Ent-A-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하이드록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38a)(125 mg, 86% 수율)를 수득하였다. ESI-MS (m/z): 398 [M+H]+.
(b) (+)-Ent-A-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하이드록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 39a )
(+)-Ent-A-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하이드록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38a)(125 mg, 0.31 mmol)를 디에틸 에테르/메탄올 (3 mL/2 mL) 중 2M HCl(디에틸 에테르 중)로 화합물 7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Ent-A-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하이드록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39a)(136 mg, 100% 수율)를 수득하였다. 400 MHz 1H NMR (CD3OD, ppm) 8.14-8.09 (m, 1H), 7.89-7.84 (m, 1H), 7.82-7.75 (m, 1H), 7.59 (dd, J=7.7, 7.7 Hz, 1H), 7.22-7.14 (m, 2H), 6.82-6.73 (m, 2H), 4.10-4.02 (m, 1H), 3.74-3.65 (m, 1H), 3.56-3.38 (m, 4H), 3.26-3.08 (m, 4H), 2.84-2.72 (m, 2H), 2.76 (s, 3H), 2.59 (s, 3H), 2.05-1.96 (m, 1H). ESI-MS (m/z): 398 [M+H]+.
Figure pct00072
메탄올).
(-)-Ent-B-syn-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하이드록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39b)
(a) (-)-Ent-B-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하이드록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 38b )
(-)-Ent-B-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메톡시펜에틸) 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37b)(160 mg, 0.39 mmol)를 BBr3 용액(CH2Cl2 중 1.0 M)로 화합물 38a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Ent-B-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하이드록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38b)(135 mg, 87% 수율)를 수득하였다. ESI-MS (m/z): 398 [M+H]+.
(b) (-)-Ent-B-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하이드록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9b )
(-)-Ent-B-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하이드록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38b)(125 mg, 0.31 mmol)를 디에틸 에테르/메탄올 (3 mL/2 mL) 중 2M HCl(디에틸 에테르 중)로 화합물 7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Ent-B-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하이드록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39b)(128 mg, 94% 수율)를 수득하였다. 400 MHz 1H-NMR (CD3OD, ppm) 8.13-8.09 (m, 1H), 7.89-7.84 (m, 1H), 7.82-7.75 (m, 1H), 7.59 (dd, J=7.7, 7.7 Hz, 1H), 7.22-7.14 (m, 2H), 6.81-6.74 (m, 2H), 4.10-4.02 (m, 1H), 3.74-3.65 (m, 1H), 3.56-3.38 (m, 4H), 3.26-3.08 (m, 4H), 2.84-2.72 (m, 2H), 2.76 (s, 3H), 2.59 (s, 3H), 2.05-1.96 (m, 1H). ESI-MS (m/z): 398 [M+H]+.
Figure pct00073
메탄올).
실시예 26: 3-(( 3S,4R )-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티오펜-3-일)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41a), 및 상응하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42a)
[반응식 13]
Figure pct00074
(a) 3-((3S,4R)-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티오펜-3-일)에틸)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 40a )
3급-부틸(3S,4R)-4-(3-시아노페닐)-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4a)(500 mg, 1.39 mmol)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 처리한 다음, 2-(티오펜-3-일)아세트알데하이드(877 mg, 6.95 mmol)로 화합물 23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3-((3S,4R)-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티오펜-3-일)에틸)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40a)(420 mg, 82% 수율)을 수득하였다. 300 MHz 1H NMR (CDCl3, ppm) 7.96-7.91 (m, 1H), 7.80-7.74 (m, 1H), 7.54 (ddd, J=7.6, 1.4, 1.4 Hz, 1H), 7.46(dd, J=7.6, 7.6 Hz, 1H), 7.27 (dd, J=4.9, 2.9 Hz, 1H), 7.03 (dd, J=2.9, 1.4 Hz, 1H), 7.00 (dd, J=4.9, 1.4 Hz, 1H), 3.00-2.68 (m, 7H), 2.67-2.47 (m, 1H), 2.36 (dd, J=14.2, 4.4 Hz, 1H), 2.26-2.11 (m, 2H), 2.09 (s, 6H), 2.02-1.80 (m, 1H), 1.73-1.62 (m, 1H). ESI-MS (m/z): 370 [M+H]+.
(b) 3-((3S,4R)-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티오펜-3-일)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 41a )
3-((3S,4R)-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티오펜-3-일)에틸)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40a)(550 mg, 1.49 mmol)을 KOH(574 mg, 10,24 mmol)로 화합물 23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3-((3S,4R)-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티오펜-3-일)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41a) (470 mg, 82% 수율)를 수득하였다. 400 MHz 1H NMR (CDCl3, ppm) 8.06-8.01 (m, 1H), 7.77-7.68 (m, 2H), 7.45 (dd, J=7.7, 7.7 Hz, 1H), 7.27 (dd, J=4.9, 2.9 Hz, 1H), 7.03 (dd, J=2.9, 1.3Hz, 1H), 7.00 (dd, J=4.9, 1.3 Hz, 1H), 6.18 (br s, 1H), 5.70 (br s, 1H), 2.95-2.70 (m, 7H), 2.64-2.54 (m, 1H), 2.38 (dd, J=14.0, 4.6 Hz, 1H), 2.30-2.21 (m, 1H), 2.13 (dd, J=14.0, 1.7 Hz, 1H), 2.08 (s, 6H), 2.08-1.97 (m, 1H), 1.69 (dt, J=13.8, 2.6 Hz, 1H). ESI-MS (m/z): 388 [M+H]+.
(c) 3-((3S,4R)-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티오펜-3-일)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42a )
Figure pct00075
3-((3S,4R)-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티오펜-3-일)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41a)(447 mg, 1.15 mmol)를 디에틸 에테르/메탄올(25 mL/2 mL) 중 2M HCl(디에틸 에테르 중)로 화합물 7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3-((3S,4R)-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티오펜-3-일)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42a)(460 mg, 94% 수율)를 수득하였다. 400 MHz 1H NMR (CD3OD, ppm) 8.06-8.02 (m, 1H), 7.84-7.79 (m, 1H), 7.75-7.69 (m, 1H), 7.53 (dd, J=7.8, 7.8 Hz, 1H), 7.41 (dd, J=4.9, 2.9 Hz, 1H), 7.26-7.22 (m, 1H), 7.08 (dd, J=4.9, 1.3 Hz, 1H), 3.55-3.44 (m, 1H), 3.40-3.29 (m, 1H), 3.28-3.17 (m, 2H), 3.17-2.96 (m, 4H), 2.79-2.67 (m, 1H), 2.61-2.50 (m, 1H), 2.49-2.23 (m, 2H), 2.36 (s, 6H), 1.92-1.84 (m, 1H). ESI-MS (m/z): 388 [M+H]+.
Figure pct00076
메탄올).
실시예 27: 3-(( 3R,4S )-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티오펜-3-일)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41b), 및 상응하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42b)
(a) 3-((3R,4S)-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티오펜-3-일)에틸)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 40b )
3급-부틸 (3R,4S)-4-(3-시아노페닐)-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 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4b)(260 mg, 0.72 mmol)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 처리한 다음, 2-(티오펜-3-일)아세트알데하이드(365 mg, 2.89 mmol)와 화합물 23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반응시킴으로써 3-((3R,4S)-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티오펜-3-일)에틸)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40b)(175 mg, 66% 수율)을 수득하였다. 400 MHz 1H NMR (CDCl3, ppm) 7.96-7.91 (m, 1H), 7.80-7.74 (m, 1H), 7.54 (ddd, J=7.6, 1.4, 1.4 Hz, 1H), 7.46 (dd, J=7.6, 7.6 Hz, 1H), 7.27 (dd, J=4.9, 2.9 Hz, 1H), 7.04-7.02 (m, 1H), 7.00 (dd, J=4.9, 1.4 Hz, 1H), 3.00-2.68 (m, 7H), 2.67-2.50 (m, 1H), 2.36 (dd, J=14.2, 4.4 Hz, 1H), 2.24-2.12 (m, 2H), 2.09 (s, 6H), 2.02-1.80 (m, 1H), 1.66 (dt, J=13.8, 2.6 Hz, 1H). ESI-MS (m/z): 370 [M+H]+.
(b) 3-((3R,4S)-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티오펜-3-일)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41b )
3-((3R,4S)-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티오펜-3-일)에틸)피페리딘-4-일)벤조니트릴(40b)(170 mg, 0.46 mmol)을 KOH(177 mg, 3.22 mmol)로 화합물 23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3-((3R,4S)-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티오펜-3-일)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41b) (140 mg, 79% 수율)를 수득하였다. 400 MHz 1H NMR (CDCl3, ppm) 8.06-8.01 (m, 1H), 7.77-7.70 (m, 2H), 7.45 (dd, J=7.7, 7.7 Hz, 1H), 7.27 (dd, J=4.9, 2.9 Hz, 1H), 7.05-7.03 (m, 1H), 7.00 (dd, J=4.9, 1.3 Hz, 1H), 6.16 (br s, 1H), 5.56 (br s, 1H), 2.98-2.73 (m, 7H), 2.68-2.57 (m, 1H), 2.39 (dd, J=14.0, 4.6 Hz, 1H), 2.34-2.25 (m, 1H), 2.14 (dd, J=14.0, 1.7 Hz, 1H), 2.08 (s, 6H), 2.08-1.97 (m, 1H), 1.69 (dt, J=13.8, 2.6 Hz, 1H). ESI-MS (m/z): 388 [M+H]+.
Figure pct00077
-17.9 (1.27, 아세톤).
(c) 3-((3R,4S)-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티오펜-3-일)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42b )
Figure pct00078
3-((3R,4S)-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티오펜-3-일)에틸) 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41b)(123 mg, 0.32 mmol)를 디에틸 에테르/메탄올(12 mL/0.5 mL) 중 2M HCl(디에틸 에테르 중)로 화합물 7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3-((3R,4S)-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티오펜-3-일)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42b)(115 mg, 86% 수율)를 생산하였다. 300 MHz 1H NMR (CD3OD, ppm) 8.06-8.02 (m, 1H), 7.84-7.79 (m, 1H), 7.75-7.69 (m, 1H), 7.53 (dd, J=7.8, 7.8 Hz, 1H), 7.41 (dd, J=4.9, 2.9 Hz, 1H), 7.26-7.21 (m, 1H), 7.08 (dd, J=4.9, 1.3 Hz, 1H), 3.55-3.41 (m, 1H), 3.38-3.27 (m, 1H), 3.25-3.16 (m, 2H), 3.16-3.05 (m, 3H), 3.05-2.93 (m, 1H), 2.79-2.65 (m, 1H), 2.60-2.48 (m, 1H), 2.49-2.21 (m, 2H), 2.33 (s, 6H), 1.93-1.81 (m, 1H). ESI-MS (m/z): 388 [M+H]+.
실시예 28:
(-)-Ent-B-syn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3-페닐-프로필)-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43a), 및 상응하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44a); 및
(+)-Ent-A-syn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3-페닐-프로필)-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43b), 및 상응하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44b)
[반응식 14]
(내포되지 않은 절대 입체화학).
Figure pct00079
Rac-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3-페닐-프로필)-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rac-syn- 20)를 (Daicel Chiralpak® IC 250 mm x 10 mm) 컬럼 및 Shimadzu LC-8A 상에서 이동 상으로서 Hex/IPA(3:1) + 0.1% NH2CH2CH2OH를 사용하는 키랄 정지 상 크로마토그래피 상에서 입체이성체로 분리하였다: 3 mL/min 유동 속도에서 Rt 입체이성체(-) (43a) = 45 min, Rt 입체이성체(+) (43b) = 49 min.
(-) - Ent-B-syn-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3-페닐-프로필)-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44a)
(-)-Ent-B-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3-페닐-프로필)-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43a)(120 mg, 0.30 mmol)를 디에틸 에테르(20 mL) 중 2M HCl(디에틸 에테르 중)로 화합물 7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Ent-B-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3-페닐-프로필)-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44a) (114 mg, 87% 수율)를 생산하였다. 300 MHz 1H NMR (CD3OD, ppm) 8.06-8.00 (m, 1H), 7.85-7.77 (m, 1H), 7.74-7.66 (m, 1H), 7.53 (dd, J=7.8, 7.8 Hz, 1H), 7.36-7.17 (m, 5H), 3.61-3.46 (m, 1H), 3.43-2.95 (m, 5H), 2.82-2.37 (m, 5H), 2.36-2.02 (m, 3H), 2.30 (s, 6H), 1.95-1.82 (m, 1H). ESI-MS (m/z): 396 [M+H]+.
Figure pct00080
아세톤).
(+) - Ent-A-syn-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3-페닐-프로필)-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44b)
(+)-Ent-A-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3-페닐-프로필)-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43b)(120 mg, 0.30 mmol)를 디에틸 에테르(20 mL) 중 2M HCl(디에틸 에테르 중)로 화합물 7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Ent-A-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3-페닐-프로필)-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44b)(117 mg, 89% 수율)를 생산하였다. 300 MHz 1H NMR (CD3OD, ppm) 8.05-8.01 (m, 1H), 7.84-7.79 (m, 1H), 7.74-7.68 (m, 1H), 7.52 (dd, J=7.8, 7.8 Hz, 1H), 7.34-7.25 (m, 4H), 7.24-7.18 (m, 1H), 3.62-3.48 (m, 1H), 3.44-3.34 (m, 1H), 3.25-2.97 (m, 4H), 2.79-2.52 (m, 4H), 2.52-2.38 (m, 1H), 2.38-2.05 (m, 3H), 2.30 (s, 6H), 1.93-1.83 (m, 1H). ESI-MS (m/z): 396 [M+H]+.
Figure pct00081
아세톤).
실시예 29:
(-)-Ent-B-syn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45a), 및 상응하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46a); 및
(+)-Ent-A-syn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45b), 및 상응하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46b)
[반응식 15]
(내포되지 않는 절대 입체화학).
Figure pct00082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rac-syn- 9)를 (Daicel Chiralpak® ID 250 mm x 30 mm) 컬럼 및 Shimadzu LC-8A 상에서 이동 상으로서 Hex/IPA (85:15) + 0.1% NH2CH2CH2OH를 사용하여 키랄 정지 상 크로마토그래피 위에서 입체이성체로 분리하였다: 15 mL/min 유동 속도에서 Rt 입체이성체(+) (46b) = 37 min, Rt 입체이성체(-) (46a) = 43 min.
(-)-Ent-B-syn-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46a)
(-)-Ent-B-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45a)(45 mg, 0.12 mmol)를 디에틸 에테르/메탄올(20 mL/0.5 mL) 중 2M HCl(디에틸 에테르 중)로 화합물 7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Ent-B-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46a)(42 mg, 85% 수율)를 생산하였다. 300 MHz 1H NMR (CD3OD, ppm) 8.10-8.03 (m, 1H), 7.87-7.81 (m, 1H), 7.79-7.71 (m, 1H), 7.56 (dd, J=7.7, 7.7 Hz, 1H), 7.40-7.22 (m, 5H), 3.83-3.62 (m, 1H), 3.60-3.43 (m, 1H), 3.40-3.07 (m, 6H), 2.98-2.82 (m, 1H), 2.82-2.66 (m, 1H), 2.65-2.33 (m, 2H), 2.48 (s, 6H), 2.00-1.97 (m, 1H). ESI-MS (m/z): 382 [M+H]+.
(+)-Ent-A-syn-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46b)
(+)-Ent-A-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45b)(35 mg, 0.09 mmol)를 디에틸 에테르/메탄올(20 mL/0.5 mL) 중 2M HCl(디에틸 에테르 중)로 화합물 7에 대해 기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Ent-A-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46b)(34 mg, 89% 수율)를 생산하였다. 300 MHz 1H NMR (CD3OD, ppm) 8.10-8.03 (m, 1H), 7.87-7.81 (m, 1H), 7.79-7.71 (m, 1H), 7.56 (dd, J=7.7, 7.7 Hz, 1H), 7.40-7.22 (m, 5H), 3.83-3.62 (m, 1H), 3.60-3.43 (m, 1H), 3.40-3.07 (m, 6H), 2.98-2.82 (m, 1H), 2.82-2.66 (m, 1H), 2.65-2.33 (m, 2H), 2.48 (s, 6H), 2.00-1.97 (m, 1H). ESI-MS (m/z): 382 [M+H]+.
Figure pct00083
아세톤).
실시예 30: 본 발명의 선택된 화합물의 편향 인자
Figure pct00084
Figure pct00085
nc = 계산되지 않음
실시예 31: 생체내 연구
생체내 랫트 통증 모델 실험을 대조군 약물로서 모르핀, 또는 본 발명의 특정의 예시적인 화합물의 피하(SC) 투여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수행된 실험은 다음을 포함하였다:
(a) 랫트 꼬리 회피반사 통각수용기성 통증 모델에서 모르핀의 ED80에 도달하는 화합물에 요구되는 용량;
(b) RotaRod 가속화;
(c) 위장 운동능;
(d) 호흡 억제(30분에서 O2의 분압); 및
(e) 조건화된 장소 선호도.
선택된 결과는 본원에 나타낸다.
랫트 꼬리 회피반사 통각수용기성 통증 모델에서 모르핀에 대한 ED80은 1 mg/kg의 모르핀의 용량에서 도달하였다. 유사한 ED80은 (23a)의 경우 4.5 mg/kg의 용량에서(도 1) 및 (41a)의 경우 5 mg/kg의 용량에서(도 2) 본 발명의 예증적인 화합물에 대해 달성되었다. 따라서, 모든 다음의 연구를 1 mg/kg의 모르핀, 4.5 mg/kg의 (23a), 및 5 mg/kg의 (41a)의 활성과 비교하였다.
가속화된 RotaRod 실험에서, 모르핀은 1 mg/kg에서 진정작용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5 mg/kg에서 유의적으로 진정되었다(도 3 및 4). (23a)는 4.5 mg/kg 또는 18 mg/kg에서 진정작용을 나타내지 않았다(도 3). (41a)는 5 mg/kg 또는 20 mg/kg에서 진정 작용을 나타내지 않았다(도 4).
위장 운동능 실험에서, 랫트는 1 mg/kg에서 모르핀을 투여한 경우 비히클에 비해 통과율에 있어서 작은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5 mg/kg에서 모르핀을 투여한 경우 비히클에 비해 통과율에 있어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도 5 및 6). 동물은 (23a)를 4.5 mg/kg에서 투여한 경우 비히클에 비해 통과율에 있어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지 않았고, (23a)를 18 mg/kg에서 투여한 경우 비히클에 비해 통과율에 있어 약간의 감소를 나타내었다(도 5). 동물은 (41a)를 5 mg/kg 또는 20 mg/kg에서 투여하는 경우 비히클에 비해 통과율에 있어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지 않았다(도 6).
호흡 억제 시험에서, O2의 분압을 30분에 측정하였다. 비히클은 이러한 조건 하에서 96 mm Hg의 O2 분압을 나타내었다(도 7 및 8). 1 mg/kg의 용량에서 모르핀은 비히클과 동일한 O2 분압을 나타내었으며, 5 mg/kg의 용량에서 모르핀은 74 mm Hg의 O2 분압을 나타내었다(도 7 및 8). 4.5 mg/kg 또는 18 mg/kg의 용량에서 (23a)는 비히클과 동일한 O2 분압을 나타내었다(도 7). 5 mg/kg 또는 20 mg/kg의 용량에서 (41a)는 비히클과 동일한 O2 분압을 나타내었다(도 8).
조건화된 장소 선호도 시험에서, 동물은 5 mg/kg의 모르핀을 투여하는 경우, 염수 체임버보다 모르핀 체임버에 대해 유의적인 선호도를 나타내었다(도 9 및 10). 대조적으로, 18 mg/kg(23a)을 투여한 동물은 염수 체임버보다 (23a) 체임버에 대해 선호도를 나타내지 않았다(도 9). 유사하게, 20 mg/kg(41a)에서 투여된 동물은 염수 체임버보다 (41a) 체임버에 대해 선호도를 나타내지 않았다(도 10).
본원에 인용된 각각의 및 모든 특허, 특허원, 및 공보의 개시내용은 이의 전문이 참고로 본원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구체적인 구현예를 참고로 개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및 변화가 본 발명의 실제 취지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당해 분야의 기술자에 의해 연구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첨부된 청구범위는 이러한 모든 구현예 및 등가의 변화를 포함하도록 해석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SEQUENCE LISTING <110> MEBIAS DISCOVERY, INC. <120> SUBSTITUTED 3-DIALKYLAMINOMETHYL-PIPERIDIN-4-YL-BENZAMID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130> IPA190884-CN <150> US 62/447,197 <151> 2017-01-17 <150> US 62/599,834 <151> 2017-12-18 <160> 1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hemically synthesized <220> <221> MOD_RES <222> (2)..(2) <223> D-Ala <220> <221> MOD_RES <222> (4)..(4) <223> Tyr methylated on alpha-NH2 and amidated with -NHCH2CH2OH on C-terminus <400> 1 Tyr Xaa Gly Xaa 1

Claims (20)

  1.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 용매화물, 거울상이성체, 부분입체이성체 및/또는 토우토머(tautomer), 및 이의 임의의 혼합물:
    [화학식 I]
    Figure pct00086

    상기 식에서,
    L은 -(CZ1Z2)-, -(CZ1Z2-CZ1Z2)-, 및 -(CZ1Z2-CZ1Z2-CZ1Z2)-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1
    Figure pct00087
    Figure pct00088
    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R2는 수소, C1-C6 알킬, 및 치환된 C1-C6 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3은 수소, 메틸 및 에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R4는 메틸 및 에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5는 메틸 및 에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R6은 H 및 C1-C6 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Z1 및 Z2의 각각의 발생은 수소, 플루오로, 및 메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X는 S, O, 및 N-R7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의 각각의 발생은 수소,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요오도, 시아노, 니트로, 하이드록실, C1-C6 알콕시, C1-C6 알킬, 치환된 C1-C6 알킬, C2-C6 알케닐, 치환된 C2-C6 알케닐, 알키닐, 치환된 C2-C6 알키닐, 페닐, 치환된 페닐, -COOR7, 및 카복스아미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L-R1은 조합하여 H, C1-C6 알킬, 또는 치환된 C1-C6 알킬을 형성하고;
    p의 각각의 발생은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R7의 각각의 발생은 수소 및 C1-C6 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R2 및 R3이 H인 화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R4 및 R5가 메틸인 화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R6이 H 및 메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5. 제1항에 있어서, L이 메틸렌(-CH2-), 1,2-에틸렌(-CH2-CH2-), 및 1,3-프로필렌(-CH2-CH2-CH2-)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6. 제1항에 있어서, R1이 페닐, 티에닐, 푸라닐, 3-피리디닐, 치환된 페닐, 치환된 티에닐, 치환된 푸라닐, 및 치환된 3-피리디닐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7. 제1항에 있어서, R2 및 R3이 H이고, R4 및 R5가 메틸이며, R6이 H 및 메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L이 메틸렌(-CH2-), 1,2-에틸렌(-CH2-CH2-), 및 1,3-프로필렌(-CH2-CH2-CH2-)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1이 페닐, 티에닐, 푸라닐, 3-피리디닐, 치환된 페닐, 치환된 티에닐, 치환된 푸라닐, 및 치환된 3-피리디닐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8. 제1항에 있어서, -R6 및 -CH2NR4R5 그룹이 syn 상대적인 입체화학을 갖는 화합물.
  9. 제8항에 있어서,
    Figure pct00089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10. 제1항에 있어서,
    3-(-(2-클로로-4-플루오로-벤질)-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6);
    (+)-Ent-A-syn-3-(1-(2-클로로-4-플루오로벤질)-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 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A-syn-(6)];
    (-)-Ent-B-syn-3-(1-(2-클로로-4-플루오로벤질)-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 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B-syn-(6)];
    (+)-Ent-A-안티-3-[1-(2-클로로-4-플루오로벤질)-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A-안티-(6)];
    (-)-Ent-B-안티-3-[1-(2-클로로-4-플루오로벤질)-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B-안티-(6)];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티오펜-3-일메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11);
    (+)-Ent-A-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티오펜-3-일)메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A-syn-(11)];
    (-)-Ent-B-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티오펜-3-일)메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B-syn-(11)];
    (+)-Ent-A-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티오펜-3-일)메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A-안티-(11)];
    (-)-Ent-B-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티오펜-3-일)메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B-안티-(11)];
    3-{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3-[(3S,4R)-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29a);
    3-[(3R,4S)-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29b);
    (+)-Ent-A-안티-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B-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9);
    (+)-Ent-A-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페닐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45a);
    (-)-Ent-B-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페닐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45b);
    (+)-Ent-A-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페닐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A-안티-(9)];
    (-)-Ent-B-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페닐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B-안티-(9)];
    3-(1-(2-클로로-4-플루오로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13);
    3-((3S,4R)-1-(2-클로로-4-플루오로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32a);
    3-((3R,4S)-1-(2-클로로-4-플루오로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32b);
    (+)-Ent-A-안티-3-[1-[2-(2-클로로-4-플루오로페닐)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A-안티-(13)];
    (-)-Ent-B-안티-3-[1-[2-(2-클로로-4-플루오로페닐)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B-안티-(13)];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메톡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17);
    (+)-Ent-A-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메톡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A-syn-(17)];
    (-)-Ent-B-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메톡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B-syn-(17)];
    (+)-Ent-A-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메톡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A-안티-(17)];
    (-)-Ent-B-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메톡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B-안티-(17)];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하이드록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18);
    (+)-Ent-A-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4-하이드록시페닐)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38a);
    (-)-Ent-B-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4-하이드록시페닐)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38b);
    (+)-Ent-A-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4-하이드록시페닐)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A-안티-(18)];
    (-)-Ent-B-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4-하이드록시페닐)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B-안티-(18)];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티오펜-3-일)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15);
    3-(3S,4R)-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티오펜-3-일)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41a);
    3-((3R,4S)-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티오펜-3-일)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41b);
    (+)-Ent-A-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티오펜-3-일)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A-안티-(15)];
    (-)-Ent-B-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티오펜-3-일)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B-안티-(15)];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3-페닐-프로필)-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20);
    (+)-Ent-A-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3-페닐프로필)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44a);
    (-)-Ent-B-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3-페닐프로필)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44b);
    (+)-Ent-A-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3-페닐프로필)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A-안티-(20)];
    (-)-Ent-B-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3-페닐프로필)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B-안티-(20)];
    3-{1-[3-(2-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프로필]-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23);
    3-((3S,4R)-1-(3-(2-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프로필)-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23a);
    3-((3R,4S)-1-(3-(2-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프로필)-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23b);
    (+)-Ent-A-안티-3-[1-[3-(2-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프로필]-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A-안티-(23)];
    (-)-Ent-B-안티-3-[1-(3-(2-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프로필)-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B-안티-(23)];
    3-{3-[(디메틸아미노)메틸]-1-[3-(5-플루오로피리딘-3-일)프로필]-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3-[(3S,4R)-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26a);
    3-[(3R,4S)-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26b);
    (+)-Ent-A-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1-[3-(5-플루오로피리딘-3-일)프로필]-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B-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1-[3-(5-플루오로피리딘-3-일)프로필]-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3-[1-(사이클로프로필메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35);
    (+)-Ent-A-syn-3-[1-(사이클로프로필메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A-syn-(35)];
    (-)-Ent-B-syn-3-[1-(사이클로프로필메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B-syn-(35)];
    (+)-Ent-A-안티-3-[1-(사이클로프로필메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A-안티-(35)];
    (-)-Ent-B-안티-3-[1-(사이클로프로필메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B-안티-(35)];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21);
    Rac-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rac-syn- 21);
    Rac-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rac-안티- 21);
    (+)-Ent-A-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A-syn-21);
    (-)-Ent-B-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B-syn-21);
    (+)-Ent-A-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A-안티- 21);
    (-)-Ent-B-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B-안티- 21);
    또는 이의 염, 용매화물, 거울상이성체, 부분입체이성체 및/또는 토우토머, 및 이의 임의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화합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 및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2. 대상체에서 통증을 치료하고/하거나 예방하는 방법으로서, 이러한 방법이 치료학적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 및/또는 제11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함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이:
    3-(-(2-클로로-4-플루오로-벤질)-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6);
    (+)-Ent-A-syn-3-(1-(2-클로로-4-플루오로벤질)-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 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A-syn-(6)];
    (-)-Ent-B-syn-3-(1-(2-클로로-4-플루오로벤질)-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 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B-syn-(6)];
    (+)-Ent-A-안티-3-[1-(2-클로로-4-플루오로벤질)-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A-안티-(6)];
    (-)-Ent-B-안티-3-[1-(2-클로로-4-플루오로벤질)-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B-안티-(6)];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티오펜-3-일메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11);
    (+)-Ent-A-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티오펜-3-일)메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A-syn-(11)];
    (-)-Ent-B-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티오펜-3-일)메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B-syn-(11)];
    (+)-Ent-A-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티오펜-3-일)메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A-안티-(11)];
    (-)-Ent-B-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티오펜-3-일)메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B-안티-(11)];
    3-{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3-[(3S,4R)-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29a);
    3-[(3R,4S)-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29b);
    (+)-Ent-A-안티-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B-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9);
    (+)-Ent-A-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페닐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45a);
    (-)-Ent-B-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페닐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45b);
    (+)-Ent-A-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페닐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A-안티-(9)];
    (-)-Ent-B-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페닐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B-안티-(9)];
    3-(1-(2-클로로-4-플루오로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13);
    3-((3S,4R)-1-(2-클로로-4-플루오로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32a);
    3-((3R,4S)-1-(2-클로로-4-플루오로펜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32b);
    (+)-Ent-A-안티-3-[1-[2-(2-클로로-4-플루오로페닐)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A-안티-(13)];
    (-)-Ent-B-안티-3-[1-[2-(2-클로로-4-플루오로페닐)에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B-안티-(13)];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메톡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17);
    (+)-Ent-A-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메톡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A-syn-(17)];
    (-)-Ent-B-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메톡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B-syn-(17)];
    (+)-Ent-A-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메톡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A-안티-(17)];
    (-)-Ent-B-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메톡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B-안티-(17)];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4-하이드록시펜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18);
    (+)-Ent-A-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4-하이드록시페닐)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38a);
    (-)-Ent-B-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4-하이드록시페닐)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38b);
    (+)-Ent-A-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4-하이드록시페닐)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A-안티-(18)];
    (-)-Ent-B-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4-하이드록시페닐)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B-안티-(18)];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티오펜-3-일)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15);
    3-(3S,4R)-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티오펜-3-일)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41a);
    3-((3R,4S)-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티오펜-3-일)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41b);
    (+)-Ent-A-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티오펜-3-일)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A-안티-(15)];
    (-)-Ent-B-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2-(티오펜-3-일)에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B-안티-(15)];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3-페닐-프로필)-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20);
    (+)-Ent-A-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3-페닐프로필)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44a);
    (-)-Ent-B-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3-페닐프로필)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44b);
    (+)-Ent-A-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3-페닐프로필)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A-안티-(20)];
    (-)-Ent-B-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1-(3-페닐프로필)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B-안티-(20)];
    3-{1-[3-(2-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프로필]-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23);
    3-((3S,4R)-1-(3-(2-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프로필)-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23a);
    3-((3R,4S)-1-(3-(2-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프로필)-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23b);
    (+)-Ent-A-안티-3-[1-[3-(2-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프로필]-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A-안티-(23)];
    (-)-Ent-B-안티-3-[1-(3-(2-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프로필)-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B-안티-(23)];
    3-{3-[(디메틸아미노)메틸]-1-[3-(5-플루오로피리딘-3-일)프로필]-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3-[(3S,4R)-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26a);
    3-[(3R,4S)-3-디메틸아미노메틸-1-(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26b);
    (+)-Ent-A-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1-[3-(5-플루오로피리딘-3-일)프로필]-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B-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1-[3-(5-플루오로피리딘-3-일)프로필]-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3-[1-(사이클로프로필메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35);
    (+)-Ent-A-syn-3-[1-(사이클로프로필메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A-syn-(35)];
    (-)-Ent-B-syn-3-[1-(사이클로프로필메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Ent-B-syn-(35)];
    (+)-Ent-A-안티-3-[1-(사이클로프로필메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A-안티-(35)];
    (-)-Ent-B-안티-3-[1-(사이클로프로필메틸)-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B-안티-(35)];
    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21);
    Rac-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rac-syn- 21);
    Rac-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rac-안티- 21);
    (+)-Ent-A-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A-syn-21);
    (-)-Ent-B-syn-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B-syn-21);
    (+)-Ent-A-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A-안티- 21);
    (-)-Ent-B-안티-3-(3-((디메틸아미노)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Ent-B-안티- 21);
    또는 이의 염, 용매화물, 거울상이성체, 부분입체이성체 및/또는 토우토머, 및 이의 임의의 혼합물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이 MOR 효능제인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이 대상체내 사이클릭 아데노신 모노포스페이트(cAMP) 수준을 감소시키는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이 β-아레스틴에 대한 보충, 결합, 또는 이와의 연합을 유의적으로 유도하지 않는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이 과내증(tachyphylaxis), 호흡 억제, 변비, 오심, 구토, 회피(withdrawal), 의존증, 및 탐닉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부작용을 유의적으로 유발하지 않는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통증이 만성 통증, 신경병성 통증, 통각수용기성 통증, 통각과민증, 및/또는 무해자극통증을 포함하는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대상체가 포유동물인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포유동물이 사람인 방법.
KR1020197023140A 2017-01-17 2018-01-17 치환된 3-디알킬아미노메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및 이를 제조 및 사용하는 방법 KR1026036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47197P 2017-01-17 2017-01-17
US62/447,197 2017-01-17
US201762599834P 2017-12-18 2017-12-18
US62/599,834 2017-12-18
PCT/US2018/014090 WO2018136546A1 (en) 2017-01-17 2018-01-17 Substituted 3-dialkylaminomethyl-piperidin-4-yl-benzamid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195A true KR20190104195A (ko) 2019-09-06
KR102603671B1 KR102603671B1 (ko) 2023-11-17

Family

ID=62909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3140A KR102603671B1 (ko) 2017-01-17 2018-01-17 치환된 3-디알킬아미노메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및 이를 제조 및 사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3) US10836728B2 (ko)
EP (1) EP3570838B1 (ko)
JP (1) JP7149961B2 (ko)
KR (1) KR102603671B1 (ko)
CN (2) CN116751156A (ko)
AU (1) AU2018211057B2 (ko)
CA (1) CA3050515A1 (ko)
SG (1) SG11201906430RA (ko)
WO (1) WO20181365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52946A1 (en) 2018-02-05 2019-08-08 Alkermes, Inc.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pai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04453A1 (en) * 2003-04-14 2004-10-14 Pfizer Inc 4-Phenyl-piperidine compounds and their use as modulators of opioid receptors
CN105646332A (zh) * 2014-11-09 2016-06-08 复旦大学 氨基甲基哌啶类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药物用途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2345A (en) 1987-08-19 1993-04-13 Shionogi & Co., Ltd. Carbamoylpyrrolidone derivatives and drugs for senile dementia
SE9802208D0 (sv) 1998-06-22 1998-06-22 Astra Pharma Inc Novel compounds
HN1999000149A (es) 1998-09-09 2000-01-12 Pfizer Prod Inc Derivados de 4,4-biarilpiperidina
GB9912411D0 (en) 1999-05-28 1999-07-28 Pfizer Ltd Compounds useful in therapy
GB0030305D0 (en) 2000-12-13 2001-01-24 Lilly Co Eli Compounds
DE10112198A1 (de) * 2001-03-14 2002-09-19 Gruenenthal Gmbh Substituierte Dimethyl-[1-(1-phenyl-cyclohexyl)-piperidin-3-ylmethyl]-amine
AU2003211951A1 (en) 2002-02-14 2003-09-04 Ono Pharmaceutical Co., Ltd. N-carbamoyl nitrogen-containing fused ring compounds and drugs containing these compounds as the active ingredient
US7960398B2 (en) 2002-04-19 2011-06-14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Regulation of TNF-alpha
US7381721B2 (en) * 2003-03-17 2008-06-03 Adolor Corporation Substituted piperidine compounds
US7244866B2 (en) 2004-05-14 2007-07-17 Janssen Pharmaceutical N.V. Carboxamido opioid compounds
JP2012511514A (ja) * 2008-12-10 2012-05-24 メルク・カナダ・インコーポレイテツド レニン阻害剤としての3,4−置換ピペリジン誘導体
CN105849096B (zh) 2013-12-20 2019-11-29 埃斯蒂文制药股份有限公司 具有抗疼痛的多重模式活性的哌啶衍生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04453A1 (en) * 2003-04-14 2004-10-14 Pfizer Inc 4-Phenyl-piperidine compounds and their use as modulators of opioid receptors
CN105646332A (zh) * 2014-11-09 2016-06-08 复旦大学 氨基甲基哌啶类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药物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392571B (zh) 2023-07-04
KR102603671B1 (ko) 2023-11-17
WO2018136546A1 (en) 2018-07-26
CN110392571A (zh) 2019-10-29
AU2018211057A1 (en) 2019-08-08
AU2018211057B2 (en) 2021-12-23
CA3050515A1 (en) 2018-07-26
SG11201906430RA (en) 2019-08-27
US10836728B2 (en) 2020-11-17
US20240043387A1 (en) 2024-02-08
CN116751156A (zh) 2023-09-15
US11319290B2 (en) 2022-05-03
US20210101868A1 (en) 2021-04-08
EP3570838A4 (en) 2021-01-27
US20190337901A1 (en) 2019-11-07
JP7149961B2 (ja) 2022-10-07
JP2020504187A (ja) 2020-02-06
EP3570838A1 (en) 2019-11-27
EP3570838B1 (en) 202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63361B2 (en) Cyclopropyl-amide compounds as dual LSD1/HDAC inhibitors
CN103180326B (zh) 杂环化合物及其用途
EP2498599B1 (en) Analgesic that binds filamin a
KR102204804B1 (ko) 디히드로피라졸 gpr40 조절제
CN110248939A (zh) 作为rho-激酶抑制剂的酪氨酸酰胺衍生物
KR101738866B1 (ko) 안드로겐 수용체 길항제, 항암제로서 사이클릭 n,n&#39;-다이아릴티오우레아 및 n,n&#39;-다이아릴우레아,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TW200815351A (en) Novel compounds
CN111032034A (zh) 螺环化合物及其制造和使用方法
AU2016306558A1 (en) Fumagillol heterocyclic compound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JP6898933B2 (ja) 治療用化合物
CN114728170B (zh) 对核受体具有活性的化合物
KR102281550B1 (ko) 아미노피리딘 유도체 및 이의 선택적 alk-2 억제제로서의 용도
CN114163444B (zh) 一种用于雄激素受体蛋白靶向降解的嵌合体化合物、其制备方法及其在医药上的应用
KR20100052507A (ko) mGlu5 길항제로서의 신규 헤테로 고리 화합물
CN105308037A (zh) 三唑化合物及其作为γ分泌酶调节剂的用途
US20240043387A1 (en) Substituted 3-dialkylaminomethyl-piperidin-4-yl-benzamid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JP2010529100A (ja) アデノシンa3受容体リガンドとしてのトリアゾロ[1,5−a]キノリン
WO2012075232A1 (en) Opioid receptor ligands and methods of using and making the same
WO2001025199A1 (fr) Composes d&#39;uree, procede de production et d&#39;utilisation de ces derniers
AU2017321791A1 (en) Substituted urea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EP3369736A1 (en) Morphinan derivative and medical usag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