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4156A - 특히 대장내시경을 위한, 내시경 가이드, 및 그러한 가이드를 포함하는 내시경 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특히 대장내시경을 위한, 내시경 가이드, 및 그러한 가이드를 포함하는 내시경 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4156A
KR20190104156A KR1020197020475A KR20197020475A KR20190104156A KR 20190104156 A KR20190104156 A KR 20190104156A KR 1020197020475 A KR1020197020475 A KR 1020197020475A KR 20197020475 A KR20197020475 A KR 20197020475A KR 20190104156 A KR20190104156 A KR 20190104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oscope
magnetic field
magnetic
ferromagnetic material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0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3779B1 (ko
Inventor
알레싼드로 토찌
알베르토 브루니
카를로 브루니
Original Assignee
엔도스타트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IT102017000002679A external-priority patent/IT201700002679A1/it
Priority claimed from IT102017000002740A external-priority patent/IT201700002740A1/it
Application filed by 엔도스타트 에스.알.엘. filed Critical 엔도스타트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190104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7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 A61B1/00158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using magnetic fi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082Ballo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7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 A61B1/00154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using guiding arrangements for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1Guiding arrangements therefo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1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rectum, e.g. proctoscopes, sigmoidoscopes, colon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27Magnetic means; Magnetic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008Guide wires having a ballo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125Device for locking a guide wire in a fix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atheter or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5/09041Mechanisms for insertion of guide wi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ndoscop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시경 가이드, 특히 신축성 내시경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내시경, 특히 대장내시경 및 내시경 검사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 관형 안내 요소(2) 및 앵커링 헤드(3)를 포함하는 카테터 또는 내시경을 위한 내시경 가이드(1, 10), 상기 관형 안내 요소(2)는 길이 방향 공동(7)을 포함하고, 상기 앵커링 헤드(3)에는 적어도 자성 또는 강자성 물질(5, 6)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4, 8)가 제공되고, 상기 용기는 상기 길이 방향 공동(7)과 연통하며, 상기 내시경 가이드(1)는 상기 용기(4, 8)를 채우거나/비우도록 구성된 상기 길이 방향 공동(7)에서 이동 가능한 자성 물질(5, 6)을 더 포함함; - 2 센티미터 내지 10 센티미터 까지의 거리에서, 가로지르는 견인 방향에 대해, 벌룬을 함유한 상기 자성 또는 강자성 물질(5, 6) 상에 5 뉴튼 보다 더 큰 유지 힘을 가하도록 구성된 수동으로 조종할 수 있는 자기장 소스;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특히 대장내시경을 위한, 내시경 가이드, 및 그러한 가이드를 포함하는 내시경 용 시스템
본 발명은 카테터 또는 내시경, 특히 신축성 내시경 용 내시경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기구의 예로는 대장내시경, 소장내시경, 위내시경, 십이지장경, 내시경 초음파 등이 있다.
내시경 가이드 (또는 전문 용어의 "가이드와이어")는 사실 가이드로써, 특히 카테터를 위하여, 현장에서 위치를 잡거나 작용하기 위해 사용되며, 그것은 일반적으로 그 위에 슬라이딩 하여 장착되며; 이를 위해 카테터에는 가이드 자체가 조립된 상태로 배치되는 작동 채널이 제공된다.
선행 기술에서, 이들이 의도된 용도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내시경 가이드가 공지되어있다.
내시경 가이드의 한 유형은 상기 가이드가 제 위치에 유지되고 카테터 또는 내시경의 작동을 위한 지지대 역할을 하는 앵커링(anchoring) 헤드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이 목적을 위해, 가이드에는 일단 기관의 내강(lumen)내로 도입되고 위치 결정된 팽창 가능한 벌룬(ballon)이 제공되며, 이 벌룬은 내강의 벽과 간섭할 때까지 공기로 팽창되어 제자리에 고정된다.
팽창식 앵커링 헤드를 갖는 이 가이드가 사용 되긴하지만,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실제로, 이들 가이드는 배치 시 "수동적"인데, 즉, 이들은 의료 조작자에 의해 수동으로 위치되어야 하고 그들이 원하는 지점에 정확하게 위치할 때만 제자리에 고정될 수 있다: 실제로, 그들의 위치의 작은 적응이 필요한 경우에, 벌룬을 수축시키고, 헤드를 다시 위치시키고 새로운 고정 장치와 함께 제자리에 진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수술에는 시간이 필요하며, 환자에게 추가적인 불편함을 초래한다.
이러한 해결책 중 일부의 또 다른 한계는 가이드 헤드가 있는 내강이 폐쇄된다는 사실과 관련이 있다: 팽창식 벌룬의 경우, 특히 폐쇄가 완료되고 금속 케이지의 경우 폐쇄가 부분적이지만, 케이지의 부분 사이의 작은 통로 영역만이 이용 가능하도록 남아있다.
또한, 가이드가 도입되는 기관의 해부학적 구조로 인해 대장내시경의 경우와 같이, 이러한 앵커링 헤드는 특정 내시경 분야에서 사용되기가 어렵다. 대장에서, 예를 들어, 내강 직경은 고려된 부분과 관련하여 2-3 cm에서 최대 6-8 cm 범위일 수 있으며 병리학적 상태 또는 해부학적 이상의 유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것은 매우 방대한 벌룬에 대한 필요성을 내포한다.
또한, 벌룬을 통한 앵커링은 벌룬 및 기관 점막의 표면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을 통해 얻어진다. 이것은 보다 안정된 고정을 얻기 위해 상기 장의 벽의 압력을 증가시켜, 벌룬을 더 확장시킬 필요가 있음을 내포한다. 그러나, 이 수술은 장의 과도한 확장을 초래하여, 통증을 유발하거나 조직을 찢을 위험이 있다. 더욱이, 때로는 나이가 지긋하거나 특정 병리학적 상태에 있는 장이 벌룬 확장에 저항하지 못하는 정도까지 확장되고 이완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벌룬의 팽창은 위험 할뿐만 아니라 효과가 없다.
그러나, 상기 가이드가 대장내시경 및 일반 내시경에서도 작동할 수 있게 보장하도록 흔들림 없고 안정된 앵커링을 얻는 것이 필수적이다.
상기 대장내시경 기술은 대장의 종점에 대장내시경을 도입하기 위해 특별한 주의를 요하며, 상기 대장은 꼬인 패턴 이외에도 대장내시경 팁의 진행을 방해하는 루프가 형성되고 대장의 벽을 펴는 이완된 벽을 갖기 때문에, 따라서 통증이 유발되고 장을 찢을 위험이 있다: 이 경우, 의사는 가능한 많은 경로를 수정하고 종점으로 대장내시경을 도입하여 진행할 수 있도록 적절한 방법으로 기구를 조작해야 한다.
대장내시경 및 표준 카테터 사이의 주요 차이점은 질량이라고 또한 고려되어야 한다. 카테터 또는 내시경의 질량이 증가하면, 더 높은 강성을 가진 가이드가 요구된다. 상기 가이드의 강성은 주로 2 가지 요인에서 비롯된다: 만들어진 재료 및 견인력이 가해지는 힘이며; 견인력이 클수록, 카테터 질량이 커진다. 견인력이 더 커지기 위해서, 가능한 확고한 앵커링 획득이 필요하다.
내시경 검사에서 현재 사용되는 가이드는 특히 단단한 재료로 만들 수 없으며, 단단한 팁으로 장을 손상시킬 수 있다.
팽창 가능한 벌룬으로 앵커링하는 경우, 상기 조작 중에 가이드의 외측 단부 상에 견인력이 가해지면, 가이드 및 벌룬의 견인뿐만 아니라 벌룬이 고정되어 있는 장 점막 및 전체 장과 인대의 벌룬이 고정된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은 내장 인대의 견인 및 점막 손상으로 인한 통증의 발병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도구를 사용하면, 고정이 효과적이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팽창식 벌룬을 갖는 가이드에서, 가이드의 외측 단부는 벌룬 내부의 가스의 압력을 조절하는 취입기에 연결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하며; 이것은 가이드의 외측 단부가 자유롭지 않고, 취입기에 의해 맞물려 있음을 의미한다.
비록, 원칙적으로, 이 앵커링 영역을 변경한다고 생각할지라도, 필요한 유지보수 이외에, 장비의 일정한 비용 및 부가적인 방해물을 갖는 취입기의 필수 존재에 관한 제한이 남아 있다. 사용 도중 통기 압력의 지속적 제어가 요구된다.
이러한 솔루션의 또 다른 한계는 모든 내시경 실에서 취입기를 항상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과 관련 있다.
선행 기술의 공지된 해결책에 대한 공통적인 한계는 사용중인 내시경을 가이드로부터 제거하고 가이드를 제 위치에 유지하면서 다른 내시경으로 교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며; 이는 가이드 와이어를 따라 보통 추출 및 그에 따른 교체를 방해할 수 있는 제어 장치가 있다는 사실 때문이다.
이러한 해결책의 또 다른 한계는 앵커링 또는 위치 지정 헤드의 치수가 쉽게 도입되고 조정될 수 있도록 가능한 한 작게 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적절하다는 사실과 관련된다.
그 다음, 특히 내시경이 대장내시경으로 구성되는 경우, 조작자가 병변 (예를 들어 종양, 용종 등)을 찾는 것과 관련된 다른 제한 사항이 고려되어야한다. 예를 들어 대장내시경 중에 내시경 검사자가 확인된 병변이 대장의 어느 부분에 있는지를 의사에게 알리는 것과 같이 실제로 위치를 찾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예를 들어, 용종이 S 자 모양 또는 횡행 대장에 있을 때, 내시경 검사 담당자가 용종이 하향의 대장에 있다고 말하는 일이 발생될 수 있다.
대장 내에서 전체 위치 오류를 유발하는 거의 없는 참조 지점 때문에 이것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기술적 문제점들 중 하나 이상을 해결하는 카테터 또는 내시경 용 내시경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대장내시경에 사용하기 위한 견고하고 덜 충격적인 앵커링을 보장할 수 있는 내시경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이드 자체에 상당한 견인력을 가하는 내시경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규모의 대장내시경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내시경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불필요한 작동/작동 해제 조작을 피하기 위해,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앵커링 헤드의 적어도 작은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내시경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이드를 장기에 제자리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면서 내시경을 교체할 수 있는 내시경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교적 신속하게 작동될 수 있는 내시경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교적 경제적이며 구현이 간단한 내시경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작동의 경우에도 비교적 안전한 내시경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히 본 발명이 대장내시경에 사용될 때, 가능한 병변 (예를 들어, 종양, 용종 등)을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내시경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된 과제 및 목적 중 하나 이상 및 이후에 명백해질 수 있는 다른 것들은 관형 안내 요소 및 앵커링 헤드를 포함하는 내시경 가이드, 특히 대장내시경 용 가이드를 포함하는 내시경 시스템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관형 안내 요소는 길이 방향 공동을 포함하고, 상기 앵커링 헤드는 적어도 자성 또는 강자성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는 상기 길이 방향 공동과 연통하며, 상기 내시경 가이드는 상기 용기를 채움/비움을 위해 상기 길이 방향 공동에서 이동 가능한 자성 또는 강자성 물질을 더 포함한다.
상기 자성 또는 강자성 물질은 자기화 가능한 물질, 즉 외부 자기장의 존재에 반응하는 물질을 포함한다. 자성 또는 강자성 물질은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자기장 소스와 협력하는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가이드를 포함하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정의된, 바람직하게 대장내시경 용 내시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자기장 소스는 바람직하게 수동으로 조작 가능한 장치, 즉 이동이나 보조 장치 또한 없는 장치와 연관되어 있다. 특정 실시 예에서, 수동으로 조작 가능한 장치는 자기장 소스가 작업 위치와 안전 또는 정지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핸드피스(handpiece)이고, 이는:
작동 위치에서, 자기장 소스는 핸드피스의 작동 단부에 가깝고,
안전 또는 정지 위치에서, 자기장 소스는 핸드피스의 작동 단부로부터 떨어져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가이드를 포함하는 키트, 설정 양에서의 강자성 유체의 용기, 선택적으로 카테터, 선택적으로 자기장 소스를 포함하는 핸드피스, 선택적으로 강자성 유체를 도입하기 위해 본 발명의 내시경 가이드에 연결 가능한 주사기와 관련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진단 대장내시경 검사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환자의 대장 내로 대장내시경을 도입하기 위한 방법에 더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약술된 내시경 시스템, 내시경 가이드, 내시경 키트 및 대장내시경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텍스트는 본 명세서의 필수 부분을 형성한다.
추가의 특징들 및 이점들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그러나 비독점적인 실시 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본원에 기재되어 있음.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의 제 1 실시 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제 1 작동 조건에서 도 1의 상기 가이드를 포함하는 내시경 시스템의 제 1 실시 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제 2 작동 조건에서 도 2의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시스템의 제 2 실시 예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은 이제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설명될 것이다.
상기 내시경 가이드는 도 1 내지 도 3의 제 1 실시 예에서 참조 부호 1로 표시되고, 제 2 실시 예는 참조 부호 10으로 표시되고 도 4에서 도시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가이드(1, 10)는 관형 안내 요소(2) 및 앵커링 헤드(3)를 포함한다.
앵커링 헤드(3)는 관형 안내 요소(2)의 종단 단부, 특히 말단 단부에 또는 그 부근에 배치될 수 있는 반면, 관형 안내 요소(2)의 다른 단부, 즉 기부 단부에는 제어 장치가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관형 안내 요소(2)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형 안내 요소(2)는 적어도 하나의 길이 방향 공동(7)을 가지며, 앵커링 헤드(3)에는 자성 또는 강자성 물질(5, 6)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용기(4, 8)가 제공된다.
관형 안내 요소(2)는 바람직하게는 단일-내강 (즉, 내부에 단일의 길이 방향 공동(7)을 수용함)이지만, 일부 변형 예에서는, 공기, 유체 또는 내시경 액세서리의 통로를 위한 추가 공동 (예를 들어, 이중-내강의 경우 2 개의 공동)이 있으며; 이 경우, 각 추가 내강을 한정하는 외장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며, 외장은 앵커링 헤드(3)를 넘어서 종결될 수도 있다.
용기(4, 8)는 관형 안내 요소(2)의 길이 방향 공동(7)과 연통 상태로 배치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용기(4, 8) 및 관형 안내 요소(2)의 상호 배치는 도시된 바와 같으며, 즉 용기(4, 8)는 용기(4, 8)를 통과하여 자유로운 안내 단부(21)와 함께 그로부터 돌출하는 관형 안내 요소(2)의 종단 단부(말단 단부) 부근에 배치된다.
자유로운 안내 단부(21)의 길이는 수 밀리미터 내지 수 센티미터 사이의 범위이고; 두 번째 경우에는, 가이드가 장의 벽쪽으로 밀리면 점막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부드럽고 신축성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 실시 예에서, 용기(4, 8)는 관형 안내 요소(2) 주위로 주변에 연장되어 적어도 일정한 축 방향 길이만큼 그것을 완전히 둘러싸도록 한다.
다른 실시 예 (도시되지 않음)에서, 용기(4, 8)는 대신에 용기(4, 8) 내로 개방되는 관형 안내 요소(2)의 말단 단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용기(4, 8)의 형상은 다양하며, 예를 들어 꽃잎과 같은 방사형 섹터 또는 세그먼트로 세분화된다.
본 발명의 내시경 가이드(1, 10)는 용기(4, 8)를 채움/비움을 위해 상기 길이 방향 공동(7) 내에서 이동 가능한 자성 또는 강자성 물질(5, 6)을 더 포함한다.
"자성 또는 강자성 물질"이란 강자성체 또는 상자성체의 재료와 같은 자기장에 반응하는 모든 물질을 의미하며; 이 물질은 고체, 액체 또는 분말일 수 있으며, 용기(4, 8)를 채움/비움을 위해 길이 방향 공동(7) 내부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 충분하다. 자성 또는 강자성 물질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용기(4, 8)로 간단히 복귀하는 것은 수축된 상태 - 실질적으로 관형 안내 요소(2)의 몸체에 부착된 상태 - 로부터 관형 안내 요소(2)의 몸체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팽창된 상태, 및 그 반대로 전환되도록, 바람직하게는 탄성적으로, 수동으로 팽창 및 수축 가능하며; 자성 또는 강자성 물질에 의한 용기(4, 8)의 채움 또는 비움은 수축된 상태와 팽창된 상태 및 그 반대 사이의 전환을 결정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자성 또는 강자성 물질(5)을 이제 설명하기 위해, 신축성 있는 길쭉한 몸체를 정의하기 위해 서로 연결된 복수의 자기화 가능한 몸체(51)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신축성의 길쭉한 몸체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을 형성한다.
다른 실시 예 (도시되지 않음)에서, 자기화 가능한 몸체는 대신에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기(4, 8) 내부로 연장되는 공통의 나사산 상에서 슬라이딩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자기화 가능한 몸체(51)는 예를 들어 철, 강철 등으로 만들어진 작은 금속 구이며; 각각의 구는 샤프트 또는 나사산에 의해 전후의 것으로 연결되므로, 각각의 구는 다른 구들에 대해 어느 정도의 회전을 수행하기 자유롭다: 따라서, 구의 반경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 안내 요소(2)의 공동 내로 미끄러질 수 있고, 따라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4)에 수용될 수 있는 체인이 얻어진다.
이를 위해, 자기화 가능한 몸체(51)는 관형 안내 몸체(2)의 길이 방향 공동(7)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치수를 가지므로, 그 내부에서 (관형 몸체를 변형시키지 않고) 자유로이 슬라이딩하여, 따라서 수축된 상태와 팽창된 상태 사이, 및 그 반대 경우 사이의 전환을 결정한다.
다른 실시 예 (도시되지 않음)에서, 구 대신에, 전술된 것과 유사하게, 관절 방식으로 연결된 작은 실린더가 제공된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이한 형상 및/또는 치수를 갖는 요소가 나란히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자기화 가능한 요소들의 형상은 요구 사항에 따라 변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체인은 예를 들어 타원형 링크 등을 갖는 링과 같은 전통적인 유형이다.
이 실시 예에서, 용기(4)는 금속 (예를 들어, 니티놀(Nitinol)) 또는 플라스틱의 메쉬 백(mesh bag)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메쉬 링크의 크기는, 용기(4)가 가득 차게되면 (도 2 내지 도 3), 체인이 탈출하는 것에서 방지되고 용기(4)에 수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체인의 통과를 방지하도록 선택되어야한다.
신축성 요소의 전체 길이는, 용기(4)가 가득 찬 상태에서도, 체인 자체 또는 그 연결부 (도시되지 않음)가 가이드 와이어의 측면 (단부(21)와 함께 제공되는 것의 반대쪽)으로부터 돌출하고 예를 들어, 적어도 체인에 작용하는 수동 또는 자동 제어가 제공된 제어 장치를 갖는 종단이며; 이것은 용기(4)를 비우기 위해 체인 상에 작용할 수 있음을 보장한다.
따라서, 용기(4)를 채우거나 비우는 작업이 특히 쉽고 빠르게 된 것을 얻으며; 동시에, 용기(4) 내에 수용되는 자성 물질의 질량은 비교적 크고, 도시된 바와 같이, 내강을 완전히 폐쇄시키지 않고 대장의 벽을 신장시키지 않는 것, 통증의 발생 및 천공 위험의 증가를 초래하는 것과 같은 팽창된 상태에서, 용기(4)가 최대 치수로 선택되더라도, 확고한 앵커링에 기여한다.
메쉬 용기(4)를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이점은 증폭되고, 이후, 용기(4)의 최대 치수가 장기 내강의 벽과 완전하게 접촉하도록 주변부를 가져오는 것과 같은 경우에도, 상기 체인의 몸체들 사이의 메쉬 및 잔여 간극의 존재는 체액이 자유롭게 통과하는 비록 작은 영역이긴 하지만 특정 영역을 남겨 둔다.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자성 또는 강자성 물질(6)은 액체(61) 및 상기 액체(61)에 분산된 복수의 자기화 가능한 몸체(62)를 포함하며; 액체(61)는 자기화 가능한 입자, 통상적으로 철 입자를 공동(7) 내로 그리고 용기(8) 내로/로부터 운반하기 위한 이송 액체 기능만을 바람직하게 갖는다.
어떤 실시 예에서, 상기 액체는 수성 부유액이다.
어떤 실시 예에서, 자기화 가능한 몸체(62)는 액체에 분산되고 10 마이크론 내지 500 마이크론 범위의 치수를 갖는 철 입자이다.
어떤 실시 예에서, 자성 또는 강자성 물질은 생체적합성 "자성유체"이며, 바람직하게는 입자 응집을 방지하기 위한 나노 입자 및 유화제를 포함한다.
용기(8)에 관해서, 이 실시 예에서는 팽창 가능한 벌룬의 형상으로 액체(61)의 통과에 대해 밀폐된 백(bag)을 포함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구성한다. 팽창 가능한 벌룬의 예는 내시경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예를 들어 나일론 벌룬 또는 폴리에테르-폴리아미드 블록 공중합체 또는 이의 폴리아미드와의 화합물의 벌룬이다. 이러한 공중합체 및 이의 폴리아미드와의 화합물은 공지되어 있고 특허 공보 WO 2007/132485 A1에 상세히 기술되어있다.
또한 이 경우에 상기 용기를 신속하게 채울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액체 상의 펌프 또는 플런저 (예를 들어 적절한 크기의 취입기)를 사용하여, 채널(7)을 통해 용기(8) 내로 그것을 가져오거나 용기로부터 그것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삽입되는 기관의 내강을 완전히 차단하지 않고 벽을 연장시키지 않도록 최대 치수에 도달시킴으로써 용기(8)의 채움 정도를 조심스럽게 조정 가능하다. 상기 채움의 정도는 내시경 카메라가 전송한 이미지를 통해 시각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 실시 예에서, 용기(8)가 액체(61) (즉, 자기화 가능한 몸체(62))로 채워질 때, 액체가 용기(8)로부터 몸체(2)로 역방향으로 흐를 수 없도록, 이를 방지하기 위해 조정된, 관형 안내 요소(2) 및 용기(8) 사이에 선택적으로 밸브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용기(8)를 채우기 위해, 용기(8)에 도달하는, 관형 안내 요소(2) 내로 자기화 가능한 몸체(62)와 함께 액체(61)를 주입하는 취입기 또는 더 일반적으로 플런저가 사용된다. 이를 위해, 제어 장치는 적어도 상기 취입기 또는 플런저에 커플링하기 위한 어댑터가 제공된다.
어느 실시 예에서, 메쉬 용기(4) 및 벌룬 용기(8)는 모두 탄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용기(4, 8)에 삽입된 자성 또는 강자성 재료의 양은 조정될 수 있으며, 한번 채워진 용기(4, 8)의 치수를 결정할뿐만 아니라, 또한 용기가 삽입되는 기관의 벽에 대해 용기가 유지되는 힘을 조절하여, 궁극적으로, 앵커링 힘을 조정할 수 있다. 특히, 가능한 가장 작은 부피에 대해 최대 질량으로 벌룬을 채울 수 있도록 분말의 농도가 최대화 되어야한다.
본 발명의 내시경 시스템은 전술된 바와 같은 내시경 가이드 및 자성 또는 강자성 물질(5, 6)에 가로지르는 견인 방향에 대해, 2 센티미터에서 10 센티미터까지의 거리에 5 뉴튼 보다 큰 유지 힘을 가하도록 구성된 자기장 소스를 포함한다.
"가로지르는 견인 방향에 대해 자성 또는 강자성 물질(5, 6) 상에 유지 힘을 가하는" 이라는 표현은, 자기장의 힘의 선에 의해 결정되는, 자석 및 강자성 사이의 최대 인력의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견인력에 대해 자성 또는 강자성 물질에 대한 유지 힘을 의미한다.
이 시점에서,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진단의 대장내시경 검사가 어떻게 수행되는지 설명하는 것이 유용하다.
대장내시경은 팁(약 15cm 길이), 몸체(약 130cm 길이) 및 조작기로 특징 지어지는 신축성 내시경이다. 상기 팁은 움직일 수 있으며 카메라, 조명 및 작동 채널의 오리피스가 내부에 수용된다. 상기 팁은 조작기의 노브(knob)를 움직여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어떤 모델에서는 특정 내시경 조종을 수행하도록 선택될 수 있는 신축성을 가지고 있다. 이미지 전송용 케이블, 전원 공급 장치 및 팁을 노브에 연결하기 위한 타이 로드는 몸체 안에 수용된다.
상기 조작기는 팁을 향하게하는 노브뿐만 아니라 작동 채널의 외부 오리피스 및 공기의 흡입 또는 분출, 및 이미지 또는 비디오의 레코딩을 위한 제어로 특징된다.
진단의 대장내시경의 목적은 대장의 전체 점막 표면을 검사하여 그 병리학적 변화를 확인하는 것이고 이는 추가 진단 또는 치료적 개입을 요구할 수 있다. 카메라 및 조명이 제공된 대장내시경의 팁은 맹장이라는 대장의 마지막 부분에 도달하는 것이 필수 적이다. 실제로, 기구가 맹장에 도달하지 못하면, 의사는 검토되지 않은 관에 병리학적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말할 수 없다.
상기 대장은 느슨한 벽을 갖는 중공 관-형상의 움직일 수 있는 기관이다. 동맥과 같은, 다른 중공 관 기관과는 달리, 직경이 더 크고, 벽이 몇 센티미터 연장될 수 있으며 때로는 일부 구역의 장이 복부 공동 내에 30cm까지 동원될 수 있다.
이러한 해부학적 특징은 10-30cm 보다 큰 신장을 위한 카테터 또는 가이드의 삽입을 방지한다. 실제로, 항문을 통해 직장으로 삽입된 카테터는 내강의 큰 직경 및 장의 만곡 때문에 자체적으로 굴러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혈관 분야에서 시행되는 것과는 달리, 짧은 길이를 제외하고는 대장 카테터 삽입술을 시행하기가 어렵다. 방사선 검사가 있어도, 카테터 또는 가이드에는 적절한 팁 이동성이나 적절한 리프트가 없다. 내시경 또는 카테터 리프트는 기구 몸체에서 팁으로 추진력을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다. 내시경의 강성이 클수록, 리프트가 커진다. 그러나 너무 단단한 내시경은 대장의 비뚤어진 경로를 따라 쉽게 조종될 수 없다.
대장 내시경은 적절한 신축성 및 적절한 리프트 사이에서 타협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대장내시경이 과도하게 구부러져 있으면 리프트가 점차 감소한다. 예를 들어, 대장내시경 검사 중에 대장내시경이 루프를 형성하면, 더 이상 체내에서 팁으로 추력을 전달할 수 없으므로 내시경 검사자가 장비와 그 카메라를 더 멀리 전진시킬 수 없다. 이러한 경우, 내시경 검사자가 장비를 수동으로 밀면, 결과적으로 장의 벽에 힘이 가해져, 전진시킬 수 없는 팁과 함께 고통과 외상의 위험이 유발된다.
전술된 바에 비추어, 본 발명의 내시경 가이드(1, 10)는 대장내시경을 도입하기 위한 맹장까지의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며, 이는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대장내시경을 도입하는 방법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a) 조작 및 제어 조작기에 연결되는, 환자의 대장 내로 도입되도록 구성된 말단 단부 및 기부 단부를 갖는 대장내시경을 제공하는 단계;
b)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시스템을 제공하는 단계;
c) 폐색 점에 도달할 때까지, 즉 대장내시경이 더 이상 진행될 수없는 지점까지 환자의 항문을 통해 대장내시경의 말단 단부를 도입하는 단계;
d) 내시경 가이드(1, 10)를 대장내시경의 말단부를 지나 주어진 거리까지 전진시키되, 상기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4-10cm 인 단계;
e) 내시경 가이드(1, 10)의 용기(4, 8) 내로 자성 또는 강자성 물질(5, 6)를 도입하여 용기(4, 8)가 팽창된 상태에 도달하게하는 단계;
f) 자성 또는 강자성 물질(5, 6)을 갖는 팽창된 용기(4, 8)가 존재하는 복부의 영역에서 상기 자기장 소스를 통해 외부 자기장을 적용하여, 5 뉴튼 보다 큰, 9 뉴튼 보다 큰, 또는 약 10 뉴튼인 가로지르는 견인 방향에 대한, 자성 또는 강자성 물질(5, 6) 상에 유지 힘으로 대장의 벽 상의 앵커링 점에 대해, 용기(4, 8)를 끌어당길 수 있도록 하는 단계;
g) 내시경 가이드(1, 10)의 기부 단부 상에 적어도 5 뉴튼의 견인력을 가함으로써 내시경 가이드(1, 10)를 연장시키는 단계;
h) 대장내시경을 용기(4, 8)의 앵커링 점으로 전진시키는 단계;
i) 선택적으로, 자성 또는 강자성 물질(5, 6)의 용기(4, 8)를 비우는 단계;
l) 맹장의 앵커링 점에 도달 할 때까지 단계 d) 내지 i)를 반복.
특히, 상기 물질이 강자성 입자의 수성 부유액으로 구성되고, 점도가 높고 (고농도 및 무거운 입자의 사용) 및 응고를 형성하고 정착하여 가이드 채널을 폐색하는 경향이 있으면, 내시경 가이드가 자성 또는 강자성 물질(5, 6)의 신속하고 용이한 슬라이딩을 허용하기에 충분히 넓은 내강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내시경 가이드(1, 10)의 관형 안내 몸체(2)는 대장내시경의 작동 채널의 직경에 따라 일반적으로 2.8 및 3.8mm 인, 그것의 사용에 따라 2 내지 3.5mm의 직경을 바람직하게 갖는다. 따라서, 관형 안내 몸체(2)의 내강의 내부 직경은 1mm 와 3mm 사이가 될 것이다.
단계 d)에서의 내시경 가이드(1, 10)는 대장내시경의 내강 내부 또는 대장내시경과 평행한 별도의 외부 채널에서 미끄러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대장내시경 전에 도입되어야 한다. 내시경 가이드(1, 10)에 대해 이 개별 채널을 사용하는 이점은 내시경 내강을 자유롭게 유지하여, 용종 또는 이와 유사한 형성을 절단 및 제거하기 위한 봉합 니들 또는 장치와 같은, 그 안에 다른 기구를 도입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대장내시경의 내강은 내시경 가이드(1, 10)의 도입에 사용되며, 그것은 가능한 한 병변에 대한 진단 검사 및 필요한 경우 더 용이하게 수술을 하기 위해, 최대 도입의 위치에 도달한 후에 수축되어야 한다.
내시경 가이드(1, 10)를 위한 별도의 채널이 사용될 때 조차도, 이는 내시경 가이드(1, 10)가 도입 중에 가이드에 인접하여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여전히 대장내시경 용 가이드로서 작용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는 강자성 물질(6)로서 강자성 유체의 사용을 제공한다. 이러한 강자성 유체는 바람직하게는 철 분말, 자철석 또는 마그헤마이트(maghemite)의 수성 부유액이며, 즉 산화철을 기초로 한다. 어느 실시 예에서, 응집을 방지하기 위해 계면 활성제로 코팅된 나노 입자의 형태로 산화철의 부유액인 소위 "자성 유체(ferrofluid)"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강자성 물질의 수성 부유액은 일반적으로 30% 내지 70% vol/vol, 바람직하게는 약 50% vol/vol의 상기 산화철의 수중 부유액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산화철은 1 마이크론 내지 500 마이크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마이크론 내지 200 마이크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 마이크론 내지 50 마이크론,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마이크론 내지 20 마이크론인 입자 크기를 가진다. 상기 강자성 입자의 입자 크기는 다음과 같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 전자 현미경으로 직접 관찰;
- Fraunhofer 계산 이론을 사용하는 LALLS (Low Angle Laser Light Scattering) 기술을 갖는 레이저 입자측정 분석기 (Malvern Mastersizer 3000)를 사용하여, 수성 부유액 상에 레이저 광 산란 방법으로 측정.
팽창된 용기(4, 8)는 대장의 내강을 폐쇄하지 않는 체적을 가지며, 이는 3 내지 7 cm의 신장 범위에 따른다. 따라서, 팽창된 용기(4, 8)의 체적, 특히 팽창된 벌룬(8)의 체적은 15 내지 200 mL,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mL이다. 이 체적은 내부에 도입된 강자성 유체(6)의 체적에 상응한다.
단계 g)에서 내시경 가이드(1, 10)의 적절한 견인을 허용하기 위해 5 뉴튼 보다 커야하는 가로지르는 견인 방향에 대해, 대장 벽에 대한 용기(4, 8)의 유지 힘은 적용된 자기장에 의존하며, 자기장은 자기장 소스가 강자성 물질(6)로 채워진 용기(4, 8)로부터 위치되는 거리에 의존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거리는 대부분의 대장 부분에서 2 내지 5츠이다. 그러나, 비만 환자의 경우, 이 거리가 더 크다 (예를 들어 10cm까지). 자기장 소스는 장비의 사용 유형 및 환자 유형에 따라 선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50 내지 80 mm의 직경 및 30 내지 60 mm의 두께인 자화 N45 (즉, 자석에 저장될 수 있는 부피 당 최대 자기 에너지가 45 메가-가우스-에르스텟(Mega-Gauss-Oersted) 인 자석)를 갖는 영구 원형 자석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과 동등한 자기장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영구 자석을 사용하는 경우, 소결 네오디뮴, 소결 페라이트, 플라스토네오디뮴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자기장 적용의 단계 f)는 이러한 자기장을 점진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실제로, 필요한 자기장이 매우 신속하게 적용되면, 이것은 용기(6)의 갑작스러운 변위를 유발하여, 환자의 장의 갑작스럽고 고통스러운 신장을 유발할 수 있다. 자기장의 점진적인 적용은 두 가지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f1) 자기장 소스의 거리 및/또는 자기장의 강도를 점진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적용된 자기장을 증가시키는 단계, 또는
f2) 이미 자기장이 적용된 용기(4, 8)에 강자성 물질(6)의 부분 표본을 점진적으로 도입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단계 e)에서 강자성 유체(6)의 도입은 특수 펌프에 의해 또는 단지 취입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15 내지 200 mL,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mL의 체적을 가질 것이다. 유사하게, 용기(4, 8)는 단계 h)에서 비워질 수 있다.
내시경 가이드(1, 10)를 견인하는 단계 g)는 가이드를 인장 시켜서 내시경의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장 루프의 곡률을 감소시키는 목적을 가지며, 또한 이 경우에도 비교적 단단한 내시경의 도입을 촉진한다.
대신에, 본 발명의 내시경 가이드(1, 10)의 관형 요소(2)의 전체 길이에 관해서는, 작동 중에 카테터를 다른 카테터, 예를 들어 다른 유형의 카테터로 대체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관형 요소(2)는 2.5 내지 4 미터의 길이를 갖는다.
이제는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가이드를 포함하는 내시경 시스템의 특정 실시 예를 살펴보면, 첨부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내시경 가이드(1, 10)와 자성 핸드피스(9)를 포함한다.
자성 핸드피스(9)는 환자의 신체 외부에 위치하도록 설계되고, 조작자에 의해 조작되어, 분석 중에, 환자의 체내의 내시경 가이드(1, 10)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자성 핸드 피스(9)는 캡슐, 내시경, 가이드 와이어 등과 같은 다양한 내시경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그 자체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단부에는 자성 또는 자화 가능한 부분이 제공되어야한다.
어떤 실시 예에서, 자성 핸드피스(9)는 자기장 소스(91), 핸들 부(92) 및 작동 단부(90)를 포함한다.
작동 단부(90)는 사용 중에 내시경 검사가 수행되는 영역 부근 (예를 들어, 대장내시경 검사 용 복부 등)에서, 환자의 신체에 근접하거나 직접 접촉하는 핸드피스(9)의 부분으로 구성된다.
특정 실시 예에서, 자기장 소스(91)는 작동 위치 및 안전 또는 정지 위치 사이에서 핸드피스(9)의 작동 단부(90)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 작동 위치에서, 자기장 소스(91)는 작동 단부(90)에 가깝다.
- 안전 위치 또는 정지 위치에서, 자기장 소스(91)는 작동 단부(90)로부터 떨어져 있다.
자기장 소스(91)는 자기장을 생성하고 후자는 내시경의 협력 자성 또는 강자성 물질로부터의 거리의 함수로서 상이한 강도로 작용하기 때문에, 특히 내시경 가이드(1, 10)에서, 자기장 소스(91)를 작동 위치로 가져오는 것은 내시경 (및/또는 그 구성 요소) 및/또는 내시경의 가이드 와이어를 앵커링, 이동 및/또는 배향에 필수적인 자성 또는 강자성 물질(5, 6) 상의 자기장의 상당한 효과를 갖는다.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자성 핸드피스(9)는 일 측면 상에 또는 작동 단부(90)에서 끝나는 하우징 케이싱(96)을 포함하며; 반대측에서, 케이싱(96)은 취급 부분(91)에 연결되어, 조작자가 핸드피스(9)를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자성 핸드피스(9)는 핸드피스(9)에 연결된 지지 구조체를 가지지 않고, 이는 조작자에 의해 공간에서 자유롭게 파지되고 이동된다.
하우징 케이싱(96)은 첨부된 도면의 예에서와 같이 적어도 작동 위치, 바람직하게는 안전 또는 정지 위치에 자기장 소스(91)를 내부에 수용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정지 위치에서 자기장 소스(91)는 취급 부분(92)에 또는 취급 부분(92) 내에 수용됨으로서; 작동 및 정지 위치에 대응하는, 케이싱(96) 내의 2 개의 제한 위치 사이에서만 움직이는 자기장 소스(91)가 도시된 상황에 대하여, 2 개의 제한 위치 사이, 정지 및 작동, 사이에서 자기장 소스(91)의 더 큰 이동 스트로크가 있다.
다른 실시 예 (도시되지 않음)에서, 자기장 소스(91)는 작동 상태에서 핸드피스(9)의 일 측면에, 그리고 정지 상태에서 반대측에 수용된다. 이를 위해, 케이싱(96)에 연결되는 반대쪽의 취급(92)의 일 측면 상에 위치되는, 추가적인 하우징 케이싱이 제공된다: 자기장 소스(91)는 (케이싱(96) 내에 수용된) 작동 위치로부터 (추가 케이싱 내에 수용되는) 안전 및 정지로 이동하고, 그 반대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취급 부분(92)으로 통과한다.
케이싱(96) 및 가능하다면 추가 케이싱 (제공되는 경우)은 취급 부분(92)과 일체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자기장 소스(91)의 변위를 결정하는 수단에 관해서는, 일 실시 예에서, 작업 위치는 불안정한 평형 위치, 즉 자기장 소스(91)가 제어력의 작용 하에서만 유지되는 위치인 것을 주의해야 한다. 이는 본 발명의 핸드 피스(9)에 추가적인 본질 안전 인자를 도입한다: 제어력의 작용이 중단되면, 자기장 소스(91)는 더 이상 작용 위치에 남아 있지 않아서, 가능한 단점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핸드 피스(9)는 자기장 소스(91)를 작동 위치로부터 안전 또는 정지 위치로 가져오도록 설계된 복귀 수단(95) 및/또는 자기장 소스(91)에 대한 제어력으로 작용하는 푸셔 요소(94)를 포함하며 정지 또는 안전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반대의 방식으로 복귀 수단(95)으로 이동시킨다.
푸셔 요소(94)는 조작자에 의해, 예를 들어 조작자가 핸드 피스(9)를 보유하고 있을 때, 예를 들어 엄지 손가락으로 작동시키는 버튼의 형태와 같은 특수 제어 수단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되도록 구성된다.
소스(91)에 대한 제어력의 작용이 중단되면,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탄성 복귀 수단(95) 및 복귀 스프링을 포함하는 복귀 수단(95)에 의해 안전 위치 또는 정지 위치로 복귀한다.
지금까지 설명된 것에 대한 변형이 가능한 것을 유의해야 하며, 예를 들어 복귀 수단(95)이 엘라스토머(elastomers)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자기장 소스(91)의 복귀 작용을 가하는 상당한 크기의 국부 자기장 때문에 자기장 소스(91)가 정지 또는 안전 위치로 복귀되는 자성 복귀 수단으로 될 수 있으며, 그러나 내시경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내시경 시스템 또는 그 부품을 제어하도록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핸드피스의 변형 예에서, 자기장 소스(91)의 변위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자기장 소스(91)의 주어진 위치에서 조정 및 유지를 허용하는 나사 시스템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실행된다. 실제로, 자기장 소스(91)는 케이싱(96) 상에 배열된 나사 구멍에 결합된 스크류 요소에 고정되어, 스크류 요소를 나사 결합 또는 풀림함으로써, 자기장 소스의 하강 또는 상승이 획득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자기장 소스(91)는 도면에 도시되고 전술된 바와 같이 영구 자석이다. 이 경우, 자기장 소스(91)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은 자기장 소스가 정지 또는 안전 위치에 있을 때에도 남아있다; 이러한 조건에서 핸드피스(9)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기장 소스(91)가 안전 또는 정지 위치에 있을 때 활성화되는 자기장의 차폐 요소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자기장의 차폐 요소는 요구 사항에 따라 다양한 공지된 방식으로 구현될 수있다.
제 1 예에서, 자기장의 차폐 요소는 강자성 차폐 요소를 포함하는데, 이는 자기장 소스(91)가 안전 위치에 있을 때, 그에 의해 생성되고 작동 단부(90)를 향하는 자기장이 0 또는 0에 가깝거나 무관하도록, 자기장 힘 선을 편향시킨다.
다른 예에서, 자기장의 차폐 요소는 전술된 것과 유사한 효과를 얻기 위해, 자기장 소스(91)의 것에 더해지는 국부 자기장을 생성하는 전류가 생성되는 전도성 차폐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2 가지 유형의 차폐 요소는 서로 결합되어, 강자성 차폐 요소 및 전도성 차폐 모두 존재한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 예에서, 자기장 소스(91)는 전자석으로 구성되거나 전자석을 포함한다.
이 경우, 전자석은 자기장의 생성을 위해 전기적으로 전력이 공급되기 때문에, 자기장 소스(91)가 정지 상태 또는 안전 상태에있을 때, 전자석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거나 적어도 전류가 작업 조건에서 전원 공급 장치보다 적어질 때에 충분하다.
특정 실시 예 (도시되지 않음)에서, 자기장 소스(91)가 전자석이거나 전자석을 포함할 때, 작동 상태에서 정지 상태 또는 안전 상태로의 전이는 작동 단부(90)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그로부터 원격 위치로의 이동을 요구하지 않는다. 그러한 실시 예에서, 전자기장 소스(91)는 고정되고 핸드피스(9)의 작동 단부(90) 근처에 배치되고 특별한 스위치, 예를 들어 핸드 피스(9) 상의 인체 공학적 위치 또는 릴리스 버튼 상에 배치된 압력 스위치에 작용함으로써 활성화 (작동 상태) 될 수 있거나 또는 비활성화 (정지 또는 안전 상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핸드 피스(9)의 다른 선택적인 특징으로 돌아 가면, 하우징 케이싱(96)은 작동 단부(90)에 있는 단부 벽(97)에 의해 폐쇄되며; 이것은 자기장 소스(91)가 환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및/또는 각각의 사용의 끝에서 케이싱(96) 내부의 살균을 요구한다. 이를 위해, 벽(97)은 케이싱(96)과 예를 들어 벽(97)의 스커트 벽(93)과 밀봉 결합되거나 일체로 결합된다.
특정 실시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자기장 소스(91)와 용기(4, 8) 사이의 거리를 탐지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한다. 실제로, 용기(4, 8) 또는 내시경 가이드(1, 10)의 팁은 예를 들어 RFID 타입의 수동 센서를 포함하는 반면, 자기장 소스(91)는 수동 센서의 거리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거리 센서와 관련된다. 이 장치는 가청 경보 장치 및/또는 자기장 소스의 전진을 차단하는 시스템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장치는 용기(4, 8) 상에 가해지는 과도한 인력과 (이 힘은 공지된 바와 같이, 자석과 당겨진 몸체 사이의 거리에 반비례함), 결과적으로 환자 장기의 벽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시스템을 구현한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핸드 피스(9)의 사용은 본 발명의 내시경 가이드의 올바른 사용을 위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실제로, 자기장 소스는 수동 또는 자동 제어 방식으로 환자가 위에 있거나 환자가 위에서 움직일 수있는 침대 위에 고정된 플레이트 또는 다른 장비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구적인 또는 전자기의, 자기장 소스는 움직일 수 있는 암(arm)에 연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관절 암은 수동으로 조종하거나 전동 액추에이터를 통해 또는 사전 선택된 작동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조종 작동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가이드(1, 10), 설정 양에서의 강자성 유체의 용기, 선택적으로 카테터, 선택적으로 전술된 자기장 소스를 포함하는 핸드피스, 선택적으로 강자성 유체를 도입하도록 본 발명의 내시경 가이드에 연결될 수 있는 취입기를 포함하는, 내시경 키트와 관련한다.
본 발명의 키트의 특정 실시 예에서, 상기 취입기는 상기 전술된 강자성 유체(6)의 부유액을 15 내지 200 mL,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mL 범위의 체적으로 바람직하게 미리 적재된다.
실제로, 대장의 병변의 진단 분석 또는 외과적 제거가 신속하고 완전하게 수행되도록 하는, 내시경 가이드, 특히 대장내시경을 위한 내시경 가이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의도된 과제 및 목적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왜냐하면 가이드를 견인함으로써 맹장의 최대 지점까지 대장내시경을 삽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견인은 본 발명의 가이드와 함께 얻을 수 있는 강한 앵커링에 의해 허용되며, 이는 차례로 벌룬(8) 내로 도입될 수 있는 상당량의 강자성 물질 및 핸드피스 또는 다른 자성 또는 전자기장의 다른 소스를 통한 외측으로부터 적용가능한 높은 자기장의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내시경 가이드(1, 10)는 앵커링 헤드 (용기(4, 8))가 잠금 위치에있을 때에도 앵커링 헤드 (용기(4, 8))의 적어도 작은 변위를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 실제로, 작업자는 앵커링 헤드를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외부 자기장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자는 안정적인 고정을 보장하기 위해 도입되는 기관의 내강의 한정된 영역에서만 지지를 필요로 하는 내시경 가이드를 가지므로, 전체 내강을 폐색할 필요가 없다.
마지막으로 중요한 것은, 내시경 가이드 및 이러한 가이드를 포함하는 시스템은 상대적으로 비용이 적게 들고 구현이 간단할뿐만 아니라 비교적 신속하게 작동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가이드와 시스템은 검사 중에 오작동이 발생하더라도 비교적 안전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점은, 예를 들어 대장내시경의 경우에 병변을 보다 정확하게 위치시킬 가능성에 관한 것이다: 실제로, 대장의 병변이 있는 지점을 환자의 복부에 (지형적으로)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실제로, 사용 시에, 외부 핸드피스는 앵커링 헤드에 가장 가까운 복부 표면의 지점에서 가이드의 헤드에 자성적으로 후킹되어, 복부 표면에 대해 병변이 위치하는 곳을 강조하는데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특정 실시 예만이 설명되었고, 당업자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 서 특정 응용에 대한 조정에 필요한 모든 수정을 할 수 있음이 명백하다.
실제로, 사용된 재료와 크기 및 형상은 특정 용도와 호환 가능한 조건하에, 기술의 요건 및 진행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1: 내시경 가이드
2: 관형 안내 요소
3: 앵커링 헤드
4: 용기
5, 6: 강자성 물질
7: 길이 방향 공동

Claims (21)

  1. - 관형 안내 요소(2) 및 앵커링 헤드(3)를 포함하는 내시경 가이드(1, 10), 상기 관형 안내 요소(2)는 길이 방향 공동(7)을 포함하고, 상기 앵커링 헤드(3)에는 적어도 자성 또는 강자성 물질(5, 6)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4, 8)가 제공되고, 상기 용기는 상기 길이 방향 공동(7)과 연통하며, 상기 내시경 가이드(1, 10)는 상기 용기(4, 8)를 채우거나/비우도록 구성된 상기 길이 방향 공동(7)에서 이동 가능한 자성 또는 강자성 물질(5,6)를 더 포함함;
    - 2 센티미터 내지 10 센티미터 까지의 거리에서, 가로지르는 견인 방향에 대해, 5 뉴튼 보다 더 큰 상기 자성 또는 강자성 물질(5, 6) 상에 유지 힘을 가하도록 구성된 자기장 소스;
    를 포함하는,
    내시경, 특히 대장내시경을 위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소스는 9 뉴튼(N) 보다 더 큰, 바람직하게는 약 10 뉴튼(N) 보다 더 큰 자성 또는 강자성 물질(5, 6) 상에 유지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내시경 가이드(1, 10)의 용기(4, 8)는 관형 안내 요소(2)의 본체에 실질적으로 부착된 수축된 상태로부터 관형 안내 요소(2)의 몸체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팽창된 상태, 및 그 반대의 상태로 전환하도록 팽창 가능하고 수축 가능한,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또는 강자성 물질(5)은 서로 연결되어 신축성의 길쭉한 몸체를 정의하는 복수의 자기화 가능한 몸체(51)를 포함하는,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의 길쭉한 몸체는 체인을 정의하는,
    시스템.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자기화 가능한 몸체(51)는 관형 안내 몸체(2)의 길이 방향 공동(7)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치수를 가져서, 용기(4, 8)로부터 수용 또는 제거되도록 자유롭게 미끄러지며 수축된 상태 및 팽창된 상태 사이의 통로를 결정하고 그 반대의 경우도 결정하는,
    시스템.
  7. 제 4 항 내지 제 6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4)는 메쉬 백인,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3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또는 강자성 물질(6)은 액체(61) 및 상기 액체에 분산된 복수의 자기화 가능한 몸체(62)를 포함하는,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자성 또는 강자성 물질(6)은 철 분말, 자철석 또는 마그헤마이트 또는 자성유체의 수성 부유액인,
    시스템.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자성 또는 강자성 물질(6)은 물에서의 산화철의 30% 내지 70% vol/vol, 또는 약 50% vol/vol의 부유액인,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철은 1 미크론 내지 500 미크론, 또는 10 미크론 내지 500 미크론, 또는 1 미크론 내지 200 미크론, 또는 1 미크론 내지 50 미크론, 또는 1 미크론 내지 20 미크론의 입자 크기를 가지는,
    시스템.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8)는 상기 액체(61)의 통로에 대한 백 또는 내시경 벌룬인,
    시스템.
  13. 제 8 항 내지 제 12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8)는 그 내부에 함유된 자성 또는 강자성 물질(6)의 체적에 실질적으로 대응하여, 팽창 시, 그 체적이 15 내지 200 mL, 또는 20 내지 40 mL가 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안내 몸체(2)는 단일-내강이며 상기 관형 안내 몸체(2)의 직경은 2 내지 3.5 mm 인,
    시스템.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소스는 직경이 50 내지 80 mm이고 두께가 30 내지 60 mm인 N45 자화를 갖는 영구 원반 자석에 의해 생성된 동등한 자기장을 생성시키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소스는 소결 네오디뮴, 소결 페라이트 또는 플라스토네오디뮴의 영구 자석이거나, 전자석인,
    시스템.
  17. 제 1 항 내지 제 14 항의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내시경 가이드(1, 10).
  18. 제 17 항에 따른 내시경 가이드(1, 10), 설정 양에서의 강자성 유체(6)의 용기, 선택적으로 카테터, 선택적으로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따른 자기장 소스를 포함하는 핸드피스, 선택적으로 상기 강자성 유체(6)를 내시경 가이드(1, 10) 내에 도입하도록 구성된 상기 내시경 가이드(1, 10)에 연결 가능한 취입기를 포함하는,
    내시경 키트.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취입기는 상기 강자성 유체(6)의 부유액을 15 내지 200 mL, 또는 20 내지 40 mL 범위의 체적으로 미리 적재된,
    키트.
  20. 환자의 대장 내로 대장내시경을 도입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a) 조작 및 제어 조작기에 연결되는, 환자의 대장 내로 도입되도록 구성된 말단 단부, 및 기부 단부를 갖는 대장내시경을 제공하는 단계;
    b)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6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의된 내시경 시스템을 제공하는 단계;
    c) 폐색 점에 도달할 때까지, 즉 대장내시경이 더 이상 진행될 수 없는 지점까지 환자의 항문을 통해 대장내시경의 말단 단부를 도입하는 단계;
    d) 내시경 가이드(1, 10)를 대장내시경의 말단부를 지나 주어진 거리까지 전진시키되, 상기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4-10cm 인 단계;
    e) 내시경 가이드(1, 10)의 용기(4, 8) 내로 자성 또는 강자성 물질(5, 6)를 도입하여, 용기(4, 8)가 팽창된 상태에 도달하게하는 단계;
    f) 자성 또는 강자성 물질(5, 6)을 갖는 팽창된 용기(4, 8)가 존재하는 복부의 영역에서 상기 자기장 소스를 통해 외부 자기장을 적용하여, 5 뉴튼 보다 큰, 9 뉴튼 보다 큰, 또는 약 10 뉴튼인 가로지르는 견인 방향에 대한, 자성 또는 강자성 물질(5, 6) 상에 유지 힘으로 대장의 벽 상의 앵커링 점에 대해, 용기(4, 8)를 끌어당길 수 있도록 하는 단계;
    g) 내시경 가이드(1, 10)의 기부 단부 상에 견인력을 가함으로써 내시경 가이드(1, 10)를 견인시키는 단계;
    h) 대장내시경을 용기(4, 8)의 앵커링 점으로 전진시키는 단계;
    i) 선택적으로, 자성 또는 강자성 물질(5, 6)의 용기(4, 8)를 비우는 단계; 및
    l) 맹장의 앵커링 점에 도달할 때까지 단계 d) 내지 i)를 반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외부 자기장을 적용하는 단계 f)는,
    f1) 자기장 소스의 거리 및/또는 자기장의 강도를 점진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적용된 자기장을 증가시키는 단계, 또는
    f2) 이미 자기장이 적용된 용기(4, 8)에 강자성 물질(5, 6)의 부분 표본을 점진적으로 도입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점진적으로 자기장을 적용함으로써 수행되는,
    방법.
KR1020197020475A 2017-01-12 2018-01-11 특히 대장내시경을 위한, 내시경 가이드, 및 그러한 가이드를 포함하는 내시경 용 시스템 KR1025037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17000002740 2017-01-12
IT102017000002679A IT201700002679A1 (it) 2017-01-12 2017-01-12 Guida endoscopica per cateteri o endoscopi e sistema per endoscopia comprendente detta guida.
IT102017000002679 2017-01-12
IT102017000002740A IT201700002740A1 (it) 2017-01-12 2017-01-12 Manipolo magnetico per endoscopia e sistema per endoscopia comprendente detto manipolo.
PCT/IB2018/050164 WO2018130956A1 (en) 2017-01-12 2018-01-11 Endoscopic guide, in particular for colonoscopy, and system for endoscopy comprising such a gui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156A true KR20190104156A (ko) 2019-09-06
KR102503779B1 KR102503779B1 (ko) 2023-02-24

Family

ID=61094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0475A KR102503779B1 (ko) 2017-01-12 2018-01-11 특히 대장내시경을 위한, 내시경 가이드, 및 그러한 가이드를 포함하는 내시경 용 시스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349817B2 (ko)
EP (2) EP3399901B1 (ko)
JP (1) JP7018211B2 (ko)
KR (1) KR102503779B1 (ko)
CN (1) CN110121288B (ko)
AU (1) AU2018208034B2 (ko)
BR (1) BR112019014344A2 (ko)
CA (1) CA3047333A1 (ko)
ES (1) ES2837805T3 (ko)
RU (1) RU2768574C2 (ko)
WO (1) WO20181309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78189B2 (en) 2017-01-12 2022-03-22 Endostart S.r.l. Endoscopic guide including anchoring head that accommodates a magnetic or ferromagnetic agent
US20190321601A1 (en) * 2018-03-30 2019-10-24 Jaywant P. Parmar Electromagnetic Motion and Tracking Seldinger Technique Access System: Introducing the EMMT STA System
CN109846449B (zh) * 2019-02-28 2022-02-18 深圳市宝安区松岗人民医院 多功能消化内镜治疗装置
US11986358B2 (en) 2019-03-27 2024-05-21 Gyrus Acmi, Inc. Surgical protection system
CN111644982B (zh) * 2020-06-02 2021-12-03 江苏奕达研磨材料有限公司 一种铁制品的抛光砂纸摆动拉拔式去铁粉刺装置
CN115025372B (zh) * 2021-03-03 2023-07-25 郝畅 一种麻醉科专用漂浮导管
IT202200007448A1 (it) * 2022-04-14 2023-10-14 Endostart S R L Guida endoscopica in particolare per colonscopia e sistema per endoscopia comprendente detta guida
IT202200007475A1 (it) 2022-04-14 2023-10-14 Endostart S R L Manipolo magnetico per una guida endoscopica in particolare per colonscopia e sistema per endoscopia comprendente detto manipol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07794A2 (en) * 2000-07-24 2002-01-31 Stereotaxis, Inc. Magnetically navigated pacing leads, and methods for delivering medical devices
US20070265551A1 (en) * 2006-04-28 2007-11-15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delivering a catheter to a target in the brain of a patient and guide wire for a microcatheter for insertion in the brain of a patient
US20100105984A1 (en) * 2008-10-21 2010-04-29 Reuben Brewer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a Medical Instrument with Magnetic Force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1260A (en) * 1989-09-22 1997-10-28 Olympus Optical Co., Ltd. Guiding apparatus for guiding an insertable body within an inspected object
JPH0889583A (ja) * 1994-09-28 1996-04-09 Fuji Syst Kk 医療用カテーテルの誘導方法
US7066924B1 (en) * 1997-11-12 2006-06-27 Stereotaxis, In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navigating medical devices in body lumens by a guide wire with a magnetic tip
WO1999040957A1 (en) * 1998-02-17 1999-08-19 Stereotaxis, In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navigating medical devices in body lumens
JP2000000310A (ja) * 1998-06-15 2000-01-07 Toshiba Corp インターベンション治療システム
US20050154259A1 (en) * 2004-01-14 2005-07-14 Demarco Thomas J. Magnetically guided colonoscope
CN101437553A (zh) 2006-05-12 2009-05-20 因瓦泰克有限公司 由弹性体材料制成的血管成形术医疗器械
US20070270629A1 (en) * 2006-05-19 2007-11-22 Charles Filipi J System and techniques for magnetic manipulation of internal organs during minimally invasive surgery
US7956604B2 (en) * 2008-07-09 2011-06-07 Infineon Technologies, Ag Integrated sensor and magnetic field concentrator devices
US8532743B2 (en) * 2010-08-05 2013-09-10 St. Jude Medical, Atrial Fibrillation Division, Inc. Movable magnet for magnetically guided catheter
RU2578381C1 (ru) * 2015-04-06 2016-03-27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Московской области "Московский областно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кли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им. М.Ф. Владимирского" (ГБУЗ МО МОНИКИ им. М.Ф. Владимирского) Эндоскопический диагностический зонд
CN104840178A (zh) * 2015-06-03 2015-08-19 上海英诺伟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多用途输尿管镜球囊导丝及其使用方法
EP3612110A1 (en) * 2017-04-21 2020-02-26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Lithotripsy angioplasty device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07794A2 (en) * 2000-07-24 2002-01-31 Stereotaxis, Inc. Magnetically navigated pacing leads, and methods for delivering medical devices
US20070265551A1 (en) * 2006-04-28 2007-11-15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delivering a catheter to a target in the brain of a patient and guide wire for a microcatheter for insertion in the brain of a patient
US20100105984A1 (en) * 2008-10-21 2010-04-29 Reuben Brewer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a Medical Instrument with Magnetic Force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837805T3 (es) 2021-07-01
RU2019120263A3 (ko) 2021-05-14
EP3399901B1 (en) 2020-10-07
EP3788947A1 (en) 2021-03-10
AU2018208034B2 (en) 2022-10-20
CA3047333A1 (en) 2018-07-19
US10349817B2 (en) 2019-07-16
EP3399901A1 (en) 2018-11-14
RU2019120263A (ru) 2020-12-28
AU2018208034A1 (en) 2019-06-20
US20190000306A1 (en) 2019-01-03
CN110121288B (zh) 2023-02-17
BR112019014344A2 (pt) 2020-02-27
WO2018130956A8 (en) 2019-06-13
CN110121288A (zh) 2019-08-13
JP7018211B2 (ja) 2022-02-10
KR102503779B1 (ko) 2023-02-24
JP2020505087A (ja) 2020-02-20
WO2018130956A1 (en) 2018-07-19
RU2768574C2 (ru) 2022-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3779B1 (ko) 특히 대장내시경을 위한, 내시경 가이드, 및 그러한 가이드를 포함하는 내시경 용 시스템
US201501337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abilizing, straightening, expanding and/or flattening the side wall of a body lumen and/or body cavity so as to provide increased visualization of the same and/or increased access to the same, and/or for stabilizing instruments relative to the same
JP2012509104A (ja) 診断カプセル、送達/回収システム、キット、及び、方法
US20110172491A1 (en) Detachable balloon catheter
US20050038318A1 (en) Gastrointestinal tool over guidewire
CN107155301A (zh) 可连接导管
WO2007097393A1 (ja) カプセル内視鏡システム
US20100121144A1 (en) Endoscope Accessory
US11278189B2 (en) Endoscopic guide including anchoring head that accommodates a magnetic or ferromagnetic agent
JP2008067725A (ja) 内視鏡の外部鉗子チャンネル装置
JP2005501683A (ja) タンポナーデ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EA031811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влечения веществ из полой структуры
US9737197B2 (en) Medical scope attachment device and system
WO2023023360A1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placing a guidewire for a jejunostomy tube
JP4505360B2 (ja) 磁性体留置具の探知及び把持装置
US20220096094A1 (en) Expandable guide devices, systems, and methods
IT201700002679A1 (it) Guida endoscopica per cateteri o endoscopi e sistema per endoscopia comprendente detta guida.
WO2023199143A1 (en) Endoscopic guide, in particular for colonoscopes, and endoscopy system comprising said guide
JP2010012178A (ja) 内視鏡用磁気アンカー誘導装置
JPH01115338A (ja) バルーンを利用した内視鏡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