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4033A - 고정 조립체의 정밀한 위치 결정 및 삽입을 위한 고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고정 조립체의 정밀한 위치 결정 및 삽입을 위한 고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4033A
KR20190104033A KR1020197019601A KR20197019601A KR20190104033A KR 20190104033 A KR20190104033 A KR 20190104033A KR 1020197019601 A KR1020197019601 A KR 1020197019601A KR 20197019601 A KR20197019601 A KR 20197019601A KR 20190104033 A KR20190104033 A KR 20190104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finger
axis
defining
moun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9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0472B1 (ko
Inventor
보아즈 하라리
Original Assignee
펨셀렉트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펨셀렉트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펨셀렉트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04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0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0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42/00Surgical gloves; Finger-stall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Devices for handling or treatment thereof
    • A61B42/20Finger-stall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2Needle or suture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3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 A61B2017/0043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connectable to a f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805Treatment of femal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09Instruments for applying suture 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27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having anchoring barbs or pins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anchor body
    • A61B2017/0437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having anchoring barbs or pins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anchor body the barbs being resilient or spring-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46Means for attaching and blocking the suture in the suture anchor
    • A61B2017/0448Additional elements on or within the anch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46Means for attaching and blocking the suture in the suture anchor
    • A61B2017/0459Multiple holes in the anchor through which the suture extends and locking the suture when tension is appli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3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 A61B2017/3405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using mechanical guid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61B2090/033Abutting means, stops, e.g. abutting on tissue or skin
    • A61B2090/034Abutting means, stops, e.g. abutting on tissue or skin abutting on parts of the device itsel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 Prosthese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Endoscop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고정 장치는 손가락 장착 축선 및 상기 손가락 장착 축선에 대해 각을 이룬 작업 채널 축선을 규정하는 손가락-장착 가능 작업 채널 규정 조립체로서, 상기 손가락 장착 축선에 대해 그리고 상기 작업 채널 축선에 대해 각을 이룬 통공 평면에 일반적으로 놓이는 통공을 규정하는, 손가락-장착 가능 작업 채널 규정 조립체; 상기 통공 평면과 교차하도록 상기 통공에 대해 상기 작업 채널 축선을 따라 제한된 축방향 변위를 위해 배열된 고정 삽입 조립체; 및 적어도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부착된 가요성의 세장형 부분을 포함하는 고정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사전-고정 작동 배향 및 고정 작동 배향을 갖는다.

Description

고정 조립체의 정밀한 위치 결정 및 삽입을 위한 고정 장치 및 방법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2015 년 6월 10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조직 복구 장치 및 방법이고 공개된 PCT 특허 출원 제 WO 2015/189843호로 공개된 PCT 특허 출원 제 PCT/IL2015/050585호, 2015년 3월 25일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골반저 절차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인 미국 공개 특허 출원 제 2015/0320442호, 및 2014년 6월 17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골반저 복구용 시스템 및 방법인 미국 공개 특허 출원 제 2014/0324072호가 인용되며, 이들의 개시는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유형의 고정 장치가 다양한 용도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개선된 고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손가락 장착 축선과 상기 손가락 장착 축선에 대해 각을 이룬 작업 채널 축선을 규정하는 손가락-장착 가능 작업 채널 규정 조립체로서, 상기 손가락 장착 축선에 대해 그리고 일반적으로 상기 작업 채널 축선에 대해 각을 이룬 통공 평면에 놓이는 통공을 형성하는, 손가락-장착 가능 작업 채널 규정 조립체, 상기 통공에 인접한 상기 통공 평면과 교차하도록 상기 통공에 대해 상기 작업 채널 축선을 따른 제한된 축방향 변위를 위해 배열된 고정 삽입 조립체, 및 적어도 고정 부분 및 상기 고정 부분에 부착되는 가요성의 세장형 부분을 포함하는 고정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부분은 사전-고정되는 작동 배향 및 고정 작동 배향을 갖는, 고정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손가락 장착 축선과 상기 손가락 장착 축선에 대해 각을 이룬 작업 채널 축선을 규정하는 손가락-장착 가능 작업 채널 규정 조립체로서, 상기 손가락 장착 축선에 대해 그리고 상기 작업 채널 축선에 대해 일반적으로 놓이는 통공을 규정하는 손가락-장착 가능 작업 채널 규정 조립체, 상기 통공에 인접한 상기 통공 평면과 교차하도록 상기 통공에 대해 상기 작업 채널 축선을 따른 축방향 변위를 위해 배열된 고정 삽입 조립체, 및 적어도 고정 부분 및 상기 고정 부분에 부착되는 가요성의 세장형 부분을 포함하는 고정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부분은 사전-고정 작동 배향 및 고정 작동 배향을 갖는, 고정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손가락 장착 축선과 상기 손가락 장착 축선에 대해 각을 이룬 작업 채널 축선을 규정하는 손가락-장착 가능 작업 채널 규정 조립체로서, 상기 손가락 장착 축선에 대해 그리고 상기 작업 채널 축선에 대해 각을 이룬 통공 평면에서 일반적으로 놓여 있는 통공을 규정하는 손가락-장착 가능 작업 채널 규정 조립체, 통공에 인접한 통공 평면과 교차하도록 상기 통공에 대해 상기 작업 채널 축선을 따른 축방향 변위를 위해 배열된 고정 삽입 조립체, 및, 적어도 고정 부분 및 상기 고정 부분에 부착된 가요성의 세장형 부분을 포함하고, 사전-고정 작동 배향 및 고정 작동 배향을 갖는 고정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분은 사전-고정 작업 배향에 있는 동안 고정 삽입 조립체에 의해 상기 통공 평면을 가로질러 상기 작업 채널 축선을 따라 변위 가능한, 고정 장치가 추가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손가락 장착 축선과 상기 손가락 장착 축선에 대해 각을 이룬 작업 채널 축선을 규정하는 손가락-장착 가능 작업 채널 규정 조립체로서, 상기 손가락 장착 축선에 대해 그리고 상기 작업 채널 축선에 대해 각을 이룬 통공 평면에 일반적으로 놓이는 통공을 규정하고, 상기 손가락 장착 축선은 손가락 장착 축선 평면에 놓이고 상기 작업 채널 축선은 손가락 장착 축선 평면에 대해 평행한 작업 채널 축선 평면에 놓이고, 상기 통공 평면은 상기 상호 평행한 손가락 장착 축선 평면 및 상기 작업 채널 축선 평면에 대해 직교하는, 손가락-장착 가능 작업 채널 규정 조립체, 상기 통공 평면과 교차하도록 상기 통공에 대해 상기 작업 채널 축선을 따른 축방향 변위를 위해 배열되는 고정 삽입 조립체, 및 적어도 고정 부분 및 상기 고정 부분에 부착되는 가요성의 세장형 부분을 포함하는 고정 조립체를 포함하는 고정 장치가 추가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손가락 장착 축선과 작업 채널 축선을 규정하는 손가락-장착 가능 작업 채널 규정 조립체로서, 상기 작업 채널 축선에 대해 각을 이룬 통공 평면에 일반적으로 놓이는 통공을 규정하는, 손가락-장착 가능 작업 채널 규정 조립체, 상기 통공 평면과 교차하도록 상기 통공에 대해 상기 작업 채널 축선을 따른 축방향 변위를 위해 배열된 고정 삽입 조립체, 및 적어도 고정 부분 및 상기 고정 부분에 부착된 가요성의 세장형 부분을 포함하는 고정 조립체를 포함하는, 고정 장치가 추가로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손가락 장착 축선 및 작업 채널 축선을 규정하는 손가락-장착 가능 작업 채널 규정 조립체로서, 일반적으로 상기 작업 채널 축선에 대해 각을 이룬 배향으로 놓이는 손가락 고정 로케이션 맞물림 부분을 규정하는, 손가락-장착 가능 작업 채널 규정 조립체, 상기 맞물림 부분에 인접한 고정 로케이션과 맞물리도록 상기 맞물림 부분에 대해 상기 작업 채널 축선을 따른 축방향 변위를 위해 배열된 고정 삽입 조립체, 및 적어도 고정 부분 및 상기 고정 부분에 부착된 가요성의 세장형 부분을 포함하는 고정 조립체를 포함하는, 고정 장치가 추가로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가락 장착 축선은 손가락 장착 축선 평면에 놓이고, 상기 작업 채널 축선은 손가락 장착 축선 평면에 평행한 작업 채널 축선 평면에 놓이고 상기 통공 평면은 상기 상호 평행한 손가락 장착 축선 평면 및 상기 작업 채널 축선 평면에 대해 직교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손가락-장착 가능 작업 채널 규정 조립체는 오른손 또는 왼손에 특정되도록 구성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손가락-장착 가능 작업 채널 규정 조립체는 손가락 장착 요소, 세장형의 작업 채널 규정 요소, 및 상기 세장형 작업 채널 규정 요소 상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삽입 및 정지 규정 요소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가락-장착 가능 작업 채널 규정 조립체는 단일 조각의 부분적으로 가요성의 플라스틱 재료로서 형성되고 단부 벽 및 하부 벽에 연결된 두 개의 측벽을 규정하며 작업자의 손가락의 아래쪽이 고정 부위와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작업 채널 규정 조립체는 세장형의 작업 채널 규정 요소의 고정식 장착을 위해 전방 및 후방 관통 고정식 장착 채널을 규정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작업 채널 축선은 손가락 축선에 대해 7도만큼 각을 이룬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작업 채널 축선은 통공 평면에 대해 40도만큼 각을 이룬다.
바람직하게는, 삽입 및 정지 규정 요소는 이를 통한 고정 삽입 조립체의 변위의 축방향 범위를 제한하는 정밀 정지부로서 기능하는 에지를 규정하는 중공(hollow) 깔때기형 부분과 연통하는 대체로 원통형 중공부를 포함하는 중공 요소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고정 삽입 조립체는 세장형 튜브의 단부에서 고정되게 장착된, 버튼 및 세장형 튜브를 포함하는 내부 튜브 및 버튼 조립체가 위에 장착되는 제 1 및 제 2 하우징 부분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고정 장치는 제 1 및 제 2 하우징 부분 상에 장착된 외부 튜브 및 리테이너 조립체를 또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튜브 및 리테이너 조립체는 세장형 튜브의 단부상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유지 디스크 및 버튼과 유지 디스크 사이의 세장형 튜브 위에 장착된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고정 장치는 버튼과의 선택적인 보호 맞물림을 위해 제 1 및 제 2 하우징 부분 상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 버튼 보호 요소를 또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버튼은 횡단 슬릿 및 이를 통해 연장되는 축방향 보어의 대향 측면 상에 배열된 한 쌍의 유지 리세스가 형성되는 맞물림 표면을 갖도록 구성되고 횡단 슬릿에서 맞물림 평면에 통공을 규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고정 조립체를 고정 기판 내로 위치시키고 삽입하기 위해 고정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이 제공되며,이 방법은 사용자의 손가락을 손가락-장착 가능 작업 채널 규정 조립체에 삽입하여, 손가락의 말단 지골이 고정 기판과 맞물리도록 배열되는 단계, 및 상기 고정 삽입 조립체를 상기 손가락-장착 가능 작업 조립체에 삽입하여 그 안에 상기 고정 조립체가 사전 적재되어, 상기 사용자의 상기 손가락의 배향이 상기 고정 조립체와 상기 고정 기판의 고정 맞물림의 위치를 정밀하게 규정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조립체를 고정 기판에 삽입하는 범위(extent)는 고정 삽입 조립체와 손가락-장착 가능 작업 채널 규정 조립체 사이의 결합에 의해 정밀하게 제한된다.
본 발명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 충분히 이해되고 인정될 것이다.
도 1a, 도 1b, 도 1c, 도 1d, 및 도 1e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고정 장치의 부분을 형성하는, 우측 손가락 장착 가능 작업 채널 한정 조립체의 단순화된 조립 사시도 및 분해도, 평면도 및 저면도 및 도 1c의 선 E-E를 따라 취한 단순화된 단면도이고;
도 2a, 도 2b, 도 2c, 도 2d, 및 도 2e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의 고정 장치의 부분을 형성하는, 좌측 손가락-장착 가능 작업 채널 규정 조립체의 단순화된 조립 사시도 및 분해도, 평면도, 및 저면도 그리고 도 2c의 선 E-E를 따라 취한 단순화된 단면도이고;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고정 장치의 부분을 형성하는 고정 삽입 조립체의 단순화된 조립 사시도, 단순화된 분해도, 및 저면도이고 도 3c의 선 D-D를 따라 취한 단순화된 단면도이고;
도 4a 및 4b는 도 3a 내지 도 3d의 고정 삽입 조립체의 제 1 및 제 2 하우징 부분의 단순화된 내부도이고;
도 5a, 도 5b, 도 5c, 및 도 5d는 각각 도 3a 내지 도 3d, 도 5d의 고정 삽입 조립체의 내부 튜브 및 버튼 조립체 형성 파트의 단순화된 조립도, 단순화된 단부도, 단순화된 측면도, 및 도 5c의 선 D-D를 따라 취한 단순화된 단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도 3a 내지 도 3d의 고정 삽입 조립체의 외부 튜브 및 리테이너 조립체 형성 파트의 단순화된 조립 사시도 및 분해도이고;
도 7a, 도 7b, 및 도 7c는 각각 도 3a 내지 도 3d의 고정 삽입 조립체의 버튼 보호 요소 형성 파트의 단순화된 내부도 및 단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화살표 B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취한 도면이고, 도 7C는 도 7b의 선 C-C를 따라 취한 도면이고;
도 8a, 8b, 8c, 및 8d는 각각 비-압축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고정 장치의 부분을 형성하는, 고정 조립체의 단순화된 조립 사시도, 분해도 및 평면도이고 도 8c의 선 D-D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a 내지 도 8d의 고정 조립체의 관통 요소 형성 부분의 단순화된 도면이고;
도 10a, 도 10b, 도 10c, 및 도 10d는 각각 비-압축 상태에서 도 8a 내지 도 8d의 고정 조립체의 고정 요소를 형성하는 파트의 단순화된 사시도, 단순화된 평면도, 단순화된 사시도, 및 단순화된 측면도이고, 도 10c는 도 10b의 선 C-C를 따라 취한 도면이고;
도 11a, 도 11b, 도 11c, 및 도 11d는 각각 압축된 상태에서 도 10a 내지 도 10d의 고정 요소의 단순화된 사시도, 단순화된 평면도, 단순화된 단면도, 및 단순회된 측면도이고, 도 11c는 도 11b의 선 C-C를 따라 취한 도면이고;
도 12a, 도 12b, 도 12c, 및 도 12d는 각각 비-압축 상태에서, 도 8a 내지 도 11d의 고정 조립체의 단순화된 사시도, 분해도, 및 측면도 그리고 도 12c의 선 D-D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12e, 도 12f, 도 12g, 및 도 12h는 각각 압축 상태에서 도 8a 내지 도 12d의 고정 조립체의 단순화된 조립 사시도, 분해도, 및 측면도 및 도 12g의 선 H-H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13a, 도 13b 및 도 13c는 각각 도 8a 내지 도 12d의 고정 조립체의 조립시 하나의 스테이지의 단순화된 사시도, 측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13c는 도 13b의 선 C-C를 따라 취한 도면이고;
도 14a, 도 14b, 및 도 14c는 도 8a 내지 도 12d의 고정 조립체의 조립시 추가 스테이지의 각각의 단순화된 사시도, 측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14c는 도 14b의 선 C-C를 따라 취한 도면이고;
도 15a, 도 15b, 및 도 15c는 도 8a 내지 도 12d의 고정 조립체의 조립시 추가 스테이지의 단순화된 각각의 사시도, 측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15c는 도 15b의 선 C-C를 따라 취한 도면이고;
도 16a, 도 16b, 도 16c, 도 16d, 도 16e, 및 도 16f는 도 3a 내지 도 7의 고정 삽입 조립체의 조립시 스테이지들의 단순화된 도면이고;
도 17a, 도 17b, 도 17c, 도 17d, 도 17e, 및 도 17f는 도 3a 내지 도 7c의 고정 삽입 조립체 내로 도 8a 내지 도 12d의 고정 조립체의 삽입시 스테이지의 단순화된 도면이고;
도 18a, 도 18b, 도 18c, 도 18d, 도 18e, 도 18f, 도 18g, 도 18h, 도 18i 및 도 18j는 도 1a 내지 도 17f의 고정 장치의 작동시 스테이지의 단순화된 도면들이다.
지금부터,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의 고정 장치의 부분을 형성하는 우측 손가락-장착 가능 작업 채널 규정 조립체의 단순화된 조립 사시도 및 분해도, 평면도 및 저면도 및 도 1c의 선 E-E를 따라 취한 단순화된 단면도인 도 1a, 도 1b, 도 1c, 도 1d, 및 도 1e를 참조한다.
도 1a 내지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서 도면 번호 100으로 표시된 우측 손가락-장착 가능 작업 채널 규정 조립체는 바람직하게는 손가락 장착 요소(110), 제 1 단부에 바람직하게는 고정식으로 장착된 상기 손가락 장착 요소(110) 상의 세장형 작업 채널 규정 요소(120), 및 제 2 단부에서 세장형 작업 채널 규정 요소(120) 상에 바람직하게 고정식으로 장착되는 삽입 및 정지 규정 요소(13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조작자의 우측 검지 손가락을 제거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 손가락 장착 요소(110)는 바람직하게는 손가락 축선(140)을 따라 연장되는 폴리 카보네이트와 같은 단일 조각의 부분적으로 가요성인 플라스틱 재료로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단부 벽(144) 및 하부 벽(146)에 연결되고, 손가락 장착 요소(110)에 완전히 삽입될 때 조작자의 손가락의 아래쪽이 잠재적인 고정 부위에 노출 및 맞물리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개구(148)를 규정하는 두 개의 측벽(142)을 규정한다. 개구(148)는 일반적으로 통공 평면(149)에 놓인다.
또한, 손가락 장착 요소(110)는 제 1 측벽(142)에 축선(154)을 따라 세장형 작업 채널 규정 요소(120)를 고정 장착하기 위한 각각의 전방 및 후방 관통 고정된 장착 채널(150 및 152)을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선(154)은 바람직하게는 손가락 축선(140)에 대해 7도 및 통공 평면(149)에 대해 40도만큼 각을 이룬다.
특히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특정 특징은 손가락 장착 축선(140)이 손가락 장착 축선 평면(153)에 놓이고, 작업 채널 축선(154)이 상기 손가락 장착 축선 평면(153)에 평행한 작업 채널 축선 평면(155)에 놓여 있다는 것이고 통공 평면(149)은 상호 평행한 손가락 장착 축선 평면(153) 및 작업 채널 축선 평면(155)에 직교한다.
세장형 작업 채널 규정 요소(120)는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중공 튜브이고,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2.6 mm의 내경을 가지며, 적절한 접착제에 의해 채널(150 및 152)에서 손가락 장착 요소(110)에 고정된다. 세장형 작업 채널 규정 요소(120)의 제 1 단부(156)는 채널(150)을 따라 중간인 로케이션(158)에 고정식으로 안착된다.
삽입 및 정지 규정 요소(130)는 바람직하게는 적절한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는 세장형 작업 채널 규정 요소(120)의 제 2 단부(164)를 수용하는 대체로 원통형 인 중공부(162)를 포함하는 중공 요소이다. 일반적으로 원통형 중공부(162)는 바람직하게는 고정 삽입 조립체의 변위의 축방향 범위를 제한하는 정밀한 정지부로 작용하는 에지(168)를 규정하는 중공 깔때기형 부분(166)과 연통한다.
지금부터,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의 고정 장치의 부분을 형성하는, 좌측 손가락-장착 가능 작업 채널 규정 조립체의 단순화된 조립 사시도 및 분해도, 평면도, 및 저면도 및 도 2c의 선 E-E를 따라 취한 단순화된 단면도인, 도 2a, 도 2b, 도 2c, 도 2d 및, 도 2e를 참조한다.
도 2a 내지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서 도면 번호 200으로 표시된 좌측 손가락-장착 가능 작업 채널 규정 조립체는 바람직하게는 손가락 장착 요소(210), 바람직하게는 제 1 단부에서 손가락 장착 요소(210) 상으로 고정식으로 장착된 세장형 작업 채널 규정 요소(220) 및 바람직하게는 제 2 단부에서 세장형 작업 채널 규정 요소(220)에 고정식으로 장착되는 삽입 및 정지 규정 요소(230)를 포함한다.
조작자의 왼손 검지 손가락을 제거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 손가락 장착 요소(210)는 바람직하게는 폴리 카보네이트와 같은 부분적으로 가요성인 플라스틱 재료의 단일 조각으로 형성되어 손가락 축선(240)을 따라 연장되고 바람직하게는 단부 벽(244) 및 하부 벽(246)에서 연결되고, 손가락 장착 요소(210)에 완전히 삽입될 때 조작자의 손가락의 아래쪽이 잠재적인 고정 부위에 노출 및 맞물림되도록 구성되는 개구(248)를 규정하는 두 개의 측벽(242)을 규정한다. 개구(248)는 일반적으로 통공 평면(249)에 놓인다.
또한, 손가락 장착 요소(210)는 제 1 측벽(242)에 축선(254)을 따라 세장형 작업 채널 규정 요소(220)를 고정되게 장착하기 위한 각각의 전방 및 후방 관통 고정된 장착 채널(250 및 252)을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선(254)은 바람직하게는 손가락 축선(240)에 대해 7도 및 통공 평면(249)에 대해 40도 만큼 각을 이룬다.
특히,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정 특징은 손가락 장착 축선(240)이 손가락 장착 축선 평면(253)에 놓이고 작업 채널 축선(254)이 손가락 장착 축선 평면(253)에 대해 상호 평행한 작업 채널 축선 평면(255)에 놓여 있다는 것이고 통공 평면(249)은 평행한 손가락 장착 축선 평면(253) 및 작업 채널 축선 평면(255)에 직교한다.
세장형 작업 채널 규정 요소(220)는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2.6 mm의 내경을 가지며 적합한 접착제에 의해 채널(250 및 252)에서 손가락 장착 요소(210)에 고정되는 세장형 중공 튜브이다. 세장형 작업 채널 규정 요소(220)의 제 1 단부(256)는 채널(250)을 따라 중간의 로케이션(258)에 고정식으로 안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삽입 및 정지 규정 요소(230)는 바람직하게는 적절한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는 세장형 작업 채널 규정 요소(220)의 제 2 단부(264)를 수용하는 대체로 원통형인 중공부(262)를 포함하는 중공 요소이다. 일반적으로 원통형 중공부(262)는 고정 삽입 조립체의 축방향 범위를 제한하는 정밀한 정지부로 작용하는 에지(268)를 형성하는 중공 깔때기형 부분(266)과 바람직하게 연통한다.
지금부터,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의 고정 장치의 부분을 형성하는 고정 삽입 조립체(300)의 단순화된 조립 사시도, 단순화된 분해도 및 저면도 및 단순화된 단면도인,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를 참조한다.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삽입 조립체(300)는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하우징 부분(310, 320)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 부분(310, 320)상에는 버튼(332) 및 나사 결합 및 접착제에 의해 세장형 튜브(334)의 단부(336)에서 버튼에 고정식으로 장착되는 세장형 튜브(334)를 포함하는 버튼 조립체(330)가 장착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하우징 부분(310 및 320) 상에 장착되고, 내부 튜브 및 버튼 조립체(330)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것은 외부 튜브 및 유지 조립체(340)이고 상기 외부 튜브 및 유지 조립체는 세장형 튜브(346)의 단부(344)에 고정식으로 장착된 유지 디스크(342)를 포함한다. 코일 스프링(350)은 버튼(332)과 유지 디스크(342) 사이의 세장형 튜브(334) 상에 장착된다. 버튼 보호 요소(360)는 버튼(332)과의 선택 가능한 보호 맞물림을 위해 제 1 및 제 2 하우징 부분(310 및 320) 상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다.
지금부터, 각각 도 3a 내지 도 3d의 고정 삽입 조립체(300)의 제 1 및 제 2 하우징 부분(310 및 320)의 단순화된 내부도인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하우징 부분(310, 320) 모두는 특히 버튼(332)을 함께 수용하고 축선(410)을 따라 제한된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는 각각의 소켓(402, 404)을 규정하는 다중 구조적 내부 리브(400)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하우징 부분(310, 320)의 리브(400)는 또한 버튼 유지 디스크(342)를 함께 수용하고 축선(410)을 따라 그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지 않는 각각의 대향 소켓(412 및 414)을 규정한다. 제 1 및 제 2 하우징 부분(310, 320)의 리브(400)는 또한 세장형 튜브(346)를 수용하기 위한 각각의 대향하는 절단부(416 및 418) 및 버튼(332)을 수용하기 위한 각각의 대향하는 절단부(420 및 422)를 규정한다. 제 1 및 제 2 하우징 부분(310, 320)은 함께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피벗 장착 소켓(430, 432)을 또한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하우징 부분(310 및 320)은 제 1 및 제 2 하우징 부분(310 및 320)을 연결하기 위해 채용되는 나사(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하기 위한 각각의 나사 소켓 및 채널(444 및 446)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 1 및 제 2 하우징 부분(310 및 320)은 스냅 끼워 맞춤(snap-fit) 기구에 의한 것과 같은 다른 방법으로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하우징 부분(310 및 320)은 함께 전방을 향하는 단부 표면(448)을 형성한다(도 3a).
지금부터, 각각 도 3a 내지 도 3d의 고정 삽입 조립체(300)의 부분을 형성하고 버튼(332) 및 세장형 튜브(334)를 포함하는 내부 튜브 및 버튼 조립체(330)의 단순화된 조립도, 단순화된 단부도, 단순화된 측면도, 및 단순화된 단면도인 도 5a, 도 5b, 도 5c, 및 도 5d를 참조한다.
버튼(332)은 그 대향 측면 상에 한 쌍의 축방향 변위 안내 돌출부(502)를 갖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요소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한 쌍의 축방향 변위 안내 돌출부는 절개부(420, 422)와의 활주식 맞물림을 위해 구성된다. 버튼(332)의 후방 대면 표면(504)은 바람직하게는 횡단 슬릿(508)의 마주하는 측부 상에 배열된 한 쌍의 유지 리세스(506)가 형성된다. 버튼(332)은 버튼을 통해 연장하고 횡단 슬릿(508)에서 표면(504)에 통공(512)을 규정하는 축방향 보어(510)가 형성된다. 세장형 튜브(334)는 바람직하게는 1 mm의 내경 및 2 mm의 외경을 갖는다.
지금부터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용접에 의해 세장형 튜브(346)의 단부(344) 상에 고정식으로 장착되는 유지 디스크(342)를 포함하는 외측 튜브 및 리테이너 조립체(340)의 간략화된 조립도 및 단순화된 분해도인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한다.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튜브(346)는 세장형 튜브(334)와 간극 맞춤을 규정하기 위해 2 mm를 약간 초과하는 내경 및 2.5 mm의 외경을 갖는다.
지금부터, 각각 도 3a 내지 도 3d의 고정 삽입 조립체(300)의 부분을 형성하는 버튼 보호 요소(360)의 단순화된 사시도, 단순화된 내부도, 및 단순화된 단면도인, 도 7a, 도 7b, 및 도 7c를 참조한다.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보호 요소(360)는 바람직하게 피벗 장착 소켓(430 및 432) 중 대응하는 하나와 맞물리는 피벗 장착 돌출부(704)로 각각 형성되는 주요부(700) 및 한 쌍의 레그(702)를 갖는 아치를 형성한다. 주요부(700)의 하부면(706)은 바람직하게는 버튼(332)의 대응하는 유지 리세스(506)와 피벗 가능하게 제거 가능하게 맞물리기 위한 한 쌍의 맞물림 돌출부(712 및 714)를 형성한다.
지금부터, 비-압축 상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고정 장치의 부분을 형성하는, 고정 조립체(800)의 각각의 단순화된 조립 사시도, 분해도, 및 평면도 및 도 8c의 선 D-D 를 따라 취한 단면도인, 도 8a, 도 8b, 도 8c, 및 도 8d를 참조한다.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조립체(800)는 봉합사와 같은 가요성의 세장형 요소(820)에 결합되는 관통 요소(810) 및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작동 배향, 즉 사전-고정 작동 배향을 규정하는 비-압축 상태 및 고정 작동 배향을 규정하는 압축 상태를 갖는 고정 요소(830)를 포함한다.
지금부터, 관통 요소(810)의 단순화된 도면인 도 9를 참조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니티놀로 형성된 관통 요소(810)는 예리한 전방부(842), 목부(844), 및 후방 맞물림부(846)를 포함한다. 후방 맞물림부(846)는 바람직하게는 단부 에지 표면(849)을 갖는 한 쌍의 가요성 유지 손가락(848)과, 가요성 연장 요소(820)와의 나사 맞물림을 위한 복수의 통공(850)을 포함한다. 목부(844)에 인접하게 그리고 전방에 바람직하게는 관통요소(810)는 한 쌍의 최전방의 테이퍼진 에지 표면(852) 및 후방으로 한 쌍의 횡단 에지 표면(856)에서 종료하고, 후방으로 추가 쌍의 횡단 에지 표면(858)에서 종료하고, 후방으로 각각의 가요성 유지 손가락(848)의 내측에 놓이는 추가 쌍의 축방향 에지 표면(860)에서 종료하는 한 쌍의 중간의 테이퍼진 에지 표면(853)을 포함하는 복수의 한 쌍의 맞물림 측부 에지 표면을 규정한다.
지금부터 비-압축 상태에서 각각 도 8a 내지 도 8d의 고정 조립체의 부분을 형성하는 고정 요소(830)의 단순화된 사시도, 단순화된 평면도, 단순화된 단면도, 및 단순한된 측면도인, 도 10a, 도 10b, 도 10c, 및 도 10d 및 압축 상태에서 각각 고정 요소(830)의 단순화된 사시도, 단순화된 평면도, 단순화된 단면도, 및 단순화된 측면도인, 도 11a, 도 11b, 도 11c, 및 도 11d를 참조한다.
도 10a 내지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니티놀로 형성된 고정 요소(830)는, 특히 압축된 상태에 있을 때 일반적으로 중공 원통 요소이다. 고정 요소(830)는 바람직하게는 전방에 정상적으로 외측으로 연장되지만 내측으로 압축 상태로 압착될 수 있는 한 쌍의 상호 방위각으로 대향되게 배열된 후방 개방 플랩(904)이 제공되는 후방 링 부분(902)을 포함한다. 각각의 플랩은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플랩 받침대(908) 각각을 규정하는 후방 대면 에지 표면(906)을 규정한다. 플랩(904)은 바람직하게는 고정 요소(830)를 규정하는 대체로 중공 원통형 요소 내의 플랩 윤곽 커트에 의해 규정된다.
고정 요소(830)의 전방부에 인접한 플랩(904)에 대해 방위각으로 직각으로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상호 방위각으로 대향되게 배치된 유지 통공(910)이 형성되고, 각각은 후방을 향한 에지 표면(912)을 가지며, 한 쌍의 상호 방위각으로 대향되게 배치된 유지 통공은 관통 요소(810)의 가요성 유지 손가락(848)과 맞물리기 위해 배열된다. 통공들(910)의 각각의 전방에, 바람직하게는 절개부(920)가 형성된다. 절개부(920)는 관통 요소(810)의 최전방의 테이퍼진 에지 표면(852) 및 횡단 에지 표면(854)을 수용하기 위한 전향면(forward facing surface)(922)을 갖는다.
지금부터, 비-압축 상태에서 도 8a 내지 도 11d의 고정 조립체(800)의 각각의 단순화된 조립 사시도, 분해도, 및 측면도 및 도 12c에서 선 D-D를 따라 취한 단면도인, 도 12a, 도 12b, 도 12c, 및 도 12d를 참조한다. 도 8a내지 도 8d를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고정 조립체(800)는 봉합사와 같은 가요성의 세장형 요소(820) 및 고정 요소(830)에 결합되는 관통 요소(810)를 포함한다.
도 12a 내지 도 12d뿐만 아니라, 도 8a 내지 도 8d에 비-압축 상태로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조립체(800)의 가요성의 세장형 요소(820)는 관통 요소(810)의 통공(850)을 통해 나사 결합되고, 고정 요소(830)는 관통 요소(810)에 스냅 끼워 맞춤된다. 전향 에지 표면(922)와의 관통 요소(810)의 횡단 표면(854)의 맞물림에 의해 단부 에지 표면(849)이 고정 요소(830)의 통공(910)의 대응하는 대향 통공 에지 표면(912)이 맞물리도록, 고정 요소(830)의 통공(910)과 관통 요소(810)의 가요성 유지 손가락(848)의 맞물림에 의해 고정 요소(830)는 관통 요소(810)와 맞물려 유지된다.
도 12a 내지도 12d에 도시된 비-압축 상태에 있을 때, 고정 요소(830)의 후방 개방 플랩(flap)(90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연장된다. 관통 요소(810)와의 맞물림에 의해 효과적으로 접혀지는 가요성의 세장형 요소(820)는 관통 요소(810) 및 고정 요소(830)로부터 고정 요소(830)의 후방 링 부분(902)을 통해 두개의 필라멘트로서 후방으로 연장한다.
지금부터, 압축 상태에서 도 8a 내지 도 12d의 고정 조립체(800)의 각각의 단순화된 조립 사시도, 분해도, 및 측면도, 및 도 12g의 선 H-H를 따라 취한 단면도인, 도 12e, 도 12f, 도 12g 및 도 12h를 참조한다. 도 12e 내지 도 12h를 도 12a 내지 도 12d에 비교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 삽입 조립체(300)의 세장형 튜브(346)의 전방 단부에서 유지될 때와 같이 압축 상태에 있을 때, 고정 요소(830)의 후방 개방 플랩(904)은 일반적으로 원통형 배향을 이의 후방 링 부분(902)을 포함하는 고정 요소(830)의 나머지와 함께 일반적으로 원통형 배향으로 내측으로 강제된다.
지금부터 도 8a 및 도 12d의 고정 조립체의 조립을 도시하는 도 13a 내지 도 15c를 참조한다. 도 13a, 도 13b, 및 도 13c는 관통 요소(810) 내의 통공(850)을 통한 가요성의 세장형 요소(820)의 나사 결합을 도시한다. 도 14a, 도 14b, 및 도 14c는 가요성의 세장형 요소(820)의 두 필라멘트 위로 활주하는 고정 요소(830)를 도시한다. 도 15a, 도 15b, 및 도 15c는 관통 요소(810)에 완전하게 맞물리고 잠금된 고정 요소(830)를 도시한다.
지금부터, 도 3a 내지 도 7c의 고정 삽입 조립체의 조립시 스테이지의 단순화된 도면인, 도 16a, 도 16b, 도 16c, 도 16d, 도 16e, 및 도 16f를 도시한다.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350)은 버튼(332)에 인접한 내부 튜브 및 버튼 조립체(330)의 세장형 튜브(334) 위에 장착된다.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6a의 조립체는 외부 튜브 및 리테이너 조립체(340) 내로 삽입된다. 도 16c 및 도 1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6b의 조립체는 제 1 하우징 부분(310)과 맞물려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버튼(332)은 소켓(402)에 삽입되고 버튼 유지 디스크(342)는 소켓(412) 내에 삽입된다.
도 16e는 버튼(332)과의 선택 가능한 보호 맞물림을 위한 제 1 하우징 부분(310)의 피벗 장착 소켓(430 및 432) 상에 버튼 보호 요소(360)의 피벗식 장착을 도시한다. 도 16f는 최종 조립 단계로서의 제 1 및 제 2 하우징 부분(310 및 320)의 연결 단계를 도시한다.
지금부터, 도 3a 내지 도 7c의 고정 삽입 조립체(300) 내로 도 8a 내지 도 12d의 고정 조립체(800)의 삽입시 스테이지의 간략한 예시인, 도 17a, 도 17b, 도 17c, 도 17d, 도 17e, 및 도 17f를 참조한다.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조립체(800)는 삽입 준비된 고정 삽입 조립체(300)의 전방에 배열된다. 도 17b는 고정 조립체(800)의 가요성의 세장형 요소(820)의 두 개의 필라멘트를 고정 삽입 조립체(300)의 대체로 동축의 연장 튜브(334 및 346)으로의 초기 나사 결합을 보여준다. 도 17c는 고정 삽입 조립체(300) 내로 거의 완전히 삽입된 고정 조립체(800)를 도시한다.
그 후, 고정 요소(830)는 수작업으로 또는 다른 방법으로 그 압축 상태로 압착된다. 도 17d는 고정 요소(830)가 세장형 튜브(346)의 내부 표면과의 맞물림으로 인해 압축 상태로 유지되도록 고정 삽입 조립체(300)에 완전히 삽입된 고정 조립체(800)를 도시한다. 또한, 고정 조립체(800)의 가요성의 세장형 요소(820)의 두 개의 필라멘트의 자유 단부가 버튼(332)의 횡단 슬릿(508)에서 표면(504)의 통공(512)을 통해 곧게 연장되는 것이 도시된다.
지금부터 버튼(332)의 횡단 슬릿(508)을 따라 연장하도록 고정 조립체(800)의 가요성의 세장형 요소(820)의 두 개의 필라멘트의 벤딩을 보여주는 도 17e를 참조한다. 도 17f는 최종 조립 단계를 예시하는데, 이 단계에서, 버튼 보호 요소(360)는 제 1 및 제 2 하우징 부분(310 및 320)에 대해 그리고 가요성의 세장형 요소(820)의 2 개의 필라멘트에 대해 피벗 가능하게 회전하여 버튼(332)과 선택 가능한 보호 결합을 이룬다.
지금부터, 좌측 검지 손가락과 함께 이용하기 위한 도 1a 내지 도 17f의 고정 장치의 작동시 스테이지의 단순화된 예시인, 도 18a, 도 18b, 도 18c, 도 18d, 도 18e, 도 18f, 도 18g, 도 18h, 도 18i, 및 도 18j를 참조한다.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좌측 검지 손가락은 손가락-장착 가능 작업 채널 규정 조립체(200)에 삽입되고 일반적으로 그 손가락 장착 축선(240)을 따라 연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손가락 장착 축선(240)은 손가락 장착 축선 평면(253)에 놓이고, 작업 채널 축선(254)은 손가락 장착 축선 평면(253)에 평행한 작업 채널 축선 평면(255)에 놓여 있다. 사용자의 좌측 검지 손가락의 말단 지골은 통공 평면(249)에 놓이고 상호 평행한 손가락 장착 축선 평면(253) 및 작업 채널 축선 평면(255)에 직교하는 개구(248)를 통해 연장한다.
도 18b는 도면 번호 1000으로 표시한 고정 기판의 일부분과 맞물림한 사용자의 좌측 검지 손가락의 말단 지골을 도시한다. 검지 손가락은 고정 기판(1000)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맞물릴 수 있음을 인정한다. 고정 기판(1000)은 임의의 적합한 고정 기판일 수 있다. 하나의 예로 여기서 도면 부호 1004에 의해 표시되는 좌측 색인 손가락의 말단 지골과 접착하는, 질벽 뒤에 있고 여기서 도면 부호 1002로 표시된, 엉치가시인대이다.
도 18c는 작업 채널 축선(254)과 축방향으로 정렬되고 손가락-장착 가능 작업 채널 규정 조립체(200)의 작업 채널 규정 요소(220)에 막 삽입될 고정 삽입 조립체(300)를 도시한다. 고정 삽입 조립체(300)는 바람직하게는 도 17f에 도시된 작업 배향에 있으며, 여기서 고정 조립체(800)는 도 17a 내지 도 17f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내부에 사전에 적재된다.
도 18d 및 도 18e는 작업 채널 축선(254)을 따라 조립체(200)를 규정하는 손가락-장착 가능 작업 채널의 작업 채널 규정 요소(220) 내로 완전히 삽입된 고정 삽입 조립체(300)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정 특징은 작업 채널 규정 요소(220) 내로의 고정 삽입 조립체의 삽입 범위 및 이에 따른 관통 요소(810)가 이 스테이지에서 통공 평면(249)을 넘어 연장되는 범위가 삽입 및 정지 규정 요소(230)의 에지(268)와의 제 1 및 제 2 하우징 부분(310 및 320)의 전방 단부 표면(448)의 결합에 의해 제한된다. 바람직하게는, 관통 요소(810)의 에지(842)의 팁이 통공 평면(249)을 지나서 작업 채널 축선(254)을 따라 연장되는 범위는 10 내지 20mm 사이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7mm 사이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5.5 mm이다.
도 18d 및 도 18e는 상기 고정 기판(1000)이 관통되어 그 안에 삽입된 고정 조립체(800) 및 고정 삽입 조립체(300)의 최전방 부분을 도시한다. 고정 요소(830)는 내부 튜브 및 버튼 조립체(330)의 세장형 튜브(346) 내에 부분적으로 위치하기 때문에 압축 상태로 유지된다.
도 18f 및 도 18g는 버튼 보호 요소(360)가 도 17e에 도시된 배향으로 회전 한 후에 버튼(332)을 누르는 것을 도시한다. 버튼(332)의 가압은 고정 조립체(800)가 코일 스프링(350)에 의해 작업 채널 축선(254)을 따라, 바람직하게는 5 mm의 거리만큼 더 변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변위는 고정 요소(830)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장형 튜브(346)의 전방에 그리고 고정 기판(1000)의 전방에 위치하고 그 비-압축 상태를 취하게 한다. 이러한 작동 배향에서, 플랩 받침대(908)를 규정하는 플랩(904)의 후방을 향한 에지 표면(906)은 고정 기판(1000)의 전방에 놓이고 그 표면(1006)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도 18h 및 도 18i는 플랩(904)의 후방을 향한 에지 표면(906)이 고정 기판(1000)의 표면(1006)과 결합하고 이로부터 고정 조립체가 결합 해제되도록 허용하지 않아서, 가요성의 세장형 요소(820)를 고정 기판(1000) 상에 고정시키도록 하는, 작업 채널 축선(254)을 따른 고정 삽입 조립체(300)의 수축을 도시한다.
도 18j는 고정 요소(830)에 의해 고정 기판(1000) 상에 고정된 가요성의 세장형 요소(820)를 남겨둔, 손가락-장착 가능 작업 채널 규정 조립체(200) 및 고정 조립체(800)로부터 고정 삽입 조립체(300)의 결합 해제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 특별히 도시되고 설명된 것에 제한되지 않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오히려, 본 발명의 범위는 선행 기술에 없는 여기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 및 그 변형의 조합 및 부조합 모두를 포함한다.

Claims (21)

  1. 고정 장치로서,
    손가락 장착 축선 및 상기 손가락 장착 축선에 대해 각을 이룬 작업 채널 축선을 규정하는 손가락-장착 가능 작업 채널 규정 조립체로서, 상기 손가락 장착 축선에 대해 그리고 상기 작업 채널 축선에 대해 각을 이룬 통공 평면에 일반적으로 놓이는 통공을 규정하는, 손가락-장착 가능 작업 채널 규정 조립체;
    상기 통공 평면과 교차하도록 상기 통공에 대해 상기 작업 채널 축선을 따라 제한된 축방향 변위를 위해 배열된, 고정 삽입 조립체; 및
    적어도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부착된 가요성의 세장형 부분을 포함하는 고정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사전-고정 작동 배향 및 고정 작동 배향을 갖는, 고정 장치.
  2. 고정 장치로서,
    손가락 장착 축선 및 상기 손가락 장착 축선에 대해 각을 이룬 작업 채널 축선을 규정하는 손가락-장착 가능 작업 채널 규정 조립체로서, 상기 손가락 장착 축선에 대해 그리고 상기 작업 채널 축선에 대해 각을 이룬 통공 평면에 일반적으로 놓이는 통공을 규정하는, 손가락-장착 가능 작업 채널 규정 조립체;
    상기 통공에 인접한 상기 통공 평면과 교차하도록 상기 통공에 대해 상기 작업 채널 축선을 따른 축방향 변위를 위해 배열된, 고정 삽입 조립체; 및
    적어도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부착된 가요성의 세장형 부분을 포함하는 고정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사전-고정 작동 배향 및 고정 작동 배향을 갖는, 고정 장치.
  3. 고정 장치로서,
    손가락 장착 축선 및 상기 손가락 장착 축선에 대해 각을 이룬 작업 채널 축선을 규정하는 손가락-장착 가능 작업 채널 규정 조립체로서, 상기 손가락 장착 축선에 대해 그리고 상기 작업 채널 축선에 대해 각을 이룬 통공 평면에 일반적으로 놓이는 통공을 규정하는, 손가락-장착 가능 작업 채널 규정 조립체;
    상기 통공에 인접하여 상기 통공 평면과 교차하도록 상기 통공에 대해 상기 작업 채널 축선을 따른 축방향 변위를 위해 배열된, 고정 삽입 조립체; 및
    적어도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부착된 가요성의 세장형 부분을 포함하고 사전-고정 작동 배향 및 고정 작동 배향을 갖는 고정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사전-고정 작동 배향에 있는 동안 상기 고정 삽입 조립체에 의해 상기 통공 평면을 가로질러 상기 작업 채널 축선을 따라 변위 가능한, 고정 장치.
  4. 고정 장치로서,
    손가락 장착 축선 및 상기 손가락 장착 축선에 대해 각을 이룬 작업 채널 축선을 규정하는 손가락-장착 가능 작업 채널 규정 조립체로서, 상기 손가락 장착 축선에 대해 그리고 상기 작업 채널 축선에 대해 각을 이룬 통공 평면에 일반적으로 놓이는 통공을 규정하고, 상기 손가락 장착 축선은 손가락 장착 축선 평면에 놓이고, 상기 작업 채널 축선은 상기 손가락 장착 축선 평면에 평행한 작업 채널 축선 평면에 놓이고 상기 통공 평면은 상기 상호 평행한 손가락 장착 축선 평면 및 상기 작업 채널 축선 평면에 대해 직교하는, 손가락-장착 가능 작업 채널 규정 조립체;
    상기 통공 평면과 교차하도록 상기 통공에 대해 상기 작업 채널 축선을 따른 축방향 변위를 위해 배열된, 고정 삽입 조립체; 및
    적어도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부착된 가요성의 세장형 부분을 포함하는 고정 조립체를 포함하는, 고정 장치.
  5. 고정 장치로서,
    손가락 장착 축선과 작업 채널 축선을 규정하는 손가락-장착 가능 작업 채널 규정 조립체로서, 상기 작업 채널 축선에 대하여 각을 이룬 통공 평면에 일반적으로 놓이는 통공을 규정하는, 손가락-장착 가능 작업 채널 규정 조립체;
    상기 통공 평면과 교차하도록 상기 통공에 대해 상기 작업 채널 축선을 따른 축방향 변위를 위해 배열된, 고정 삽입 조립체; 및
    적어도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부착된 가요성의 세장형 부분을 포함하는 고정 조립체를 포함하는, 고정 장치.
  6. 고정 장치로서,
    손가락 장착 축선 및 작업 채널 축선을 규정하는 손가락-장착 가능 작업 채널 규정 조립체로서, 상기 작업 채널 축선에 대하여 각을 이룬 배향으로 일반적으로 놓이는 손가락 고정 로케이션 맞물림 부분을 규정하는, 손가락-장착 가능 작업 채널 규정 조립체;
    상기 맞물림 부분에 인접한 상기 고정 로케이션과 맞물리도록 상기 맞물림 부분에 대해 상기 작업 채널 축선을 따른 축방향 변위를 위해 배열된, 고정 삽입 조립체; 및
    적어도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부착된 가요성의 세장형 부분을 포함하는 고정 조립체를 포함하는, 고정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5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장착 축선은 손가락 장착 축선 평면에 놓이고, 상기 작업 채널 축선은 상기 손가락 장착 축선 평면에 평행한 작업 채널 축선 평면에 놓이며,
    상기 통공 평면은 상기 상호 평행한 손가락 장착 축선 평면 및 상기 작업 채널 축선 평면에 직교하는, 고정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장착 가능 작업 채널 규정 조립체는 오른손 또는 왼손 특정이 되도록 구성된, 고정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장착 가능 작업 채널 규정 조립체는 손가락 장착 요소, 세장형 작업 채널 규정 요소, 및 삽입 및 정지 규정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 및 정지 규정 요소는 상기 세장형 작업 채널 규정 요소 상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고정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장착 가능 작업 채널 규정 조립체는 단일 조각의 부분적으로 가요성의 플라스틱 재료로서 형성되고 단부 벽 및 하부 벽에 연결된 두 개의 측벽을 규정하고, 조작자의 손가락의 밑면이 고정 부위와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된, 고정 장치.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채널 규정 조립체는 상기 세장형 작업 채널 규정 요소를 고정되게 장착하기 위한 전방 및 후방 관통 고정된 장착 채널을 규정하는, 고정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채널 축선은 상기 손가락 축선에 대해 7도만큼 각을 이룬, 고정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채널 축선은 상기 통공 평면에 대해 40도만큼 각을 이룬, 고정 장치.
  14.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및 정지 규정 요소는 에지를 규정하는 중공 깔때기형 부분과 연통하고 이를 통하여 상기 고정 삽입 조립체의 변위의 축방향 범위를 규정하는 정밀한 정지부로서 기능하는 일반적인 원통의 중공부를 포함하는 중공 요소인, 고정 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삽입 조립체는 세장형 튜브의 단부에서 고정되게 장착된, 버튼 및 세장형 튜브를 포함하는 내부 튜브 및 버튼 조립체가 위에 장착되는 제 1 및 제 2 하우징 부분을 포함하는, 고정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 부분 상에 장착된 외부 튜브 및 리테이너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고정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튜브 및 리테이너 조립체는 세장형 튜브의 단부 상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유지 디스크 및 상기 버튼과 상기 유지 디스크 사이에서 상기 세장형 튜브 위에 장착된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고정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과의 선택적인 보호 맞물림을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 부분 상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 버튼 보호 요소를 더 포함하는, 고정 장치.
  19. 제 15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횡단 슬릿 및 이를 통해 연장되는 축방향 보어의 대향 측면 상에 배열된 한 쌍의 유지 리세스가 형성되는 맞물림 표면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횡단 슬릿에서 상기 맞물림 표면에 통공을 규정하는, 고정 장치.
  20. 고정 조립체를 고정 기판에 위치 결정시키고 삽입하기 위해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정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손가락을 상기 손가락-장착 가능 작업 채널 규정 조립체에 삽입하여 상기 손가락의 말단 지골을 상기 고정 기판과 맞물리도록 배열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 삽입 조립체를 상기 손가락-장착 가능 작업 조립체에 삽입하여 그 안에 상기 고정 조립체가 사전 적재되어, 상기 사용자의 상기 손가락의 배향이 상기 고정 조립체와 상기 고정 기판의 고정 맞물림의 위치를 정밀하게 규정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조립체의 상기 고정 기판으로의 삽입 범위는 상기 고정 삽입 조립체와 상기 손가락-장착 가능 작업 채널 규정 조립체 사이의 맞물림에 의해 정밀하게 제한되는, 방법.
KR1020197019601A 2016-12-15 2016-12-15 고정 조립체의 정밀한 위치 결정 및 삽입을 위한 고정 장치 및 방법 KR1026604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L2016/051338 WO2018109755A1 (en) 2016-12-15 2016-12-15 Anchoring device and method for accurate positioning and insertion of an anchor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033A true KR20190104033A (ko) 2019-09-05
KR102660472B1 KR102660472B1 (ko) 2024-04-25

Family

ID=62558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9601A KR102660472B1 (ko) 2016-12-15 2016-12-15 고정 조립체의 정밀한 위치 결정 및 삽입을 위한 고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10128136A1 (ko)
EP (1) EP3554389B1 (ko)
JP (1) JP6890661B2 (ko)
KR (1) KR102660472B1 (ko)
CN (1) CN110267603B (ko)
AU (1) AU2016432188B2 (ko)
CA (1) CA3046184A1 (ko)
IL (3) IL302508B1 (ko)
WO (1) WO20181097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98664B2 (en) 2014-05-07 2018-10-16 Pop Medical Solutions Ltd. System and method for pelvic floor procedures
WO2021011687A1 (en) * 2019-07-16 2021-01-21 University Of Miami Device for arterial puncture assistance
WO2021150732A1 (en) * 2020-01-21 2021-07-29 University Of Miami Device for percutaneous puncture assistance
US11666361B1 (en) 2022-02-24 2023-06-06 Rambam Medtech Ltd. Device and method for phalanx fracture reduc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92985A1 (en) * 2009-10-19 2011-04-21 Coloplast A/S Finger guided suture fixation system
EP2870921A1 (en) * 2013-11-08 2015-05-13 Coloplast A/S A system for surgical suture fixation
US20150320442A1 (en) * 2014-05-07 2015-11-12 Pop Medical Solutions Ltd. System and method for pelvic floor procedures
WO2015189843A1 (en) * 2014-06-10 2015-12-17 Pop Medical Solutions Ltd. Tissue repair device and method
US20160235461A1 (en) * 2016-01-07 2016-08-18 Michael H. Sumko Surgical Guide Apparatus and Method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84241B2 (en) * 1996-09-13 2006-01-10 Tendon Technology, Ltd. Apparatus and methods for tendon or ligament repair
US20010041914A1 (en) * 1999-11-22 2001-11-15 Frazier Andrew G.C. Tissue patch deployment catheter
US6932834B2 (en) * 2002-06-27 2005-08-23 Ethicon, Inc. Suture anchor
US8157815B2 (en) * 2005-05-20 2012-04-17 Neotract, Inc. Integrated handle assembly for anchor delivery system
US20070239208A1 (en) * 2006-04-05 2007-10-11 Crawford Bruce S Surgical implantation device and method
DK201070270A (en) * 2009-10-19 2011-04-20 Coloplast As Finger guided suture fixation system
US9241722B2 (en) * 2012-10-08 2016-01-26 Warsaw Orthopedic, Inc. Surgical pin guide and methods of us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92985A1 (en) * 2009-10-19 2011-04-21 Coloplast A/S Finger guided suture fixation system
EP2870921A1 (en) * 2013-11-08 2015-05-13 Coloplast A/S A system for surgical suture fixation
US20150320442A1 (en) * 2014-05-07 2015-11-12 Pop Medical Solutions Ltd. System and method for pelvic floor procedures
WO2015189843A1 (en) * 2014-06-10 2015-12-17 Pop Medical Solutions Ltd. Tissue repair device and method
US20160235461A1 (en) * 2016-01-07 2016-08-18 Michael H. Sumko Surgical Guide Apparatus and Method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296605A (en) 2022-11-01
US20210128136A1 (en) 2021-05-06
EP3554389A1 (en) 2019-10-23
IL302508A (en) 2023-07-01
CN110267603A (zh) 2019-09-20
JP6890661B2 (ja) 2021-06-18
IL266946B2 (en) 2023-02-01
IL296605B1 (en) 2023-07-01
WO2018109755A1 (en) 2018-06-21
JP2020501654A (ja) 2020-01-23
EP3554389A4 (en) 2020-07-29
CA3046184A1 (en) 2018-06-21
IL302508B1 (en) 2024-05-01
CN110267603B (zh) 2023-09-01
IL266946A (en) 2019-07-31
AU2016432188A1 (en) 2019-07-18
IL296605B2 (en) 2023-11-01
IL266946B (en) 2022-10-01
KR102660472B1 (ko) 2024-04-25
EP3554389B1 (en) 2024-02-21
AU2016432188B2 (en) 2023-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04033A (ko) 고정 조립체의 정밀한 위치 결정 및 삽입을 위한 고정 장치 및 방법
CA2641714C (en) Transbuccal plate holding cannula
US7338494B2 (en) Spring-loaded awl
US20150025315A1 (en) Treatment instrument insertion auxiliary and treatment instrument insertion method
US6286742B1 (en) Nail driving tool
EP1386587A3 (en) Surgical instrument with rotary cutting member and quick release coupling arrangement
US20120271119A1 (en) Auto-locking surgical retractor assembly
US9724108B2 (en) Sleeve clamp
CN108601607A (zh) 具有用于多次使用的导向切割设备的微创切口器械
EP3517059A1 (en) Adaptor for use with a driver, a drill, and a cannula for drilling into bone
US11510686B2 (en) Retrograde drilling device
US11452538B2 (en) Surgical device including a cannula having a combination track
AU2003293821A1 (en) Optical biopsy instrument
US10595879B1 (en) Blade for osteotome
JP2020523119A (ja) 格納式ブレードまたはフック付き軟組織切断機器
US11969186B2 (en) Modular, assembled surgical instrument
TW201823596A (zh) 用於錨定組件之精確定位及插入的錨定裝置和方法
KR101226804B1 (ko) 수술도구용 홀더
JP5186246B2 (ja) 内視鏡用ディスポーザブル処置具の操作部
JPH02297331A (ja) 硬性内視鏡装置
US20190223890A1 (en) Adaptor and drill for use with a driver and a cannula for drilling into b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