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3742A - 분리형 차축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분리형 차축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3742A
KR20190103742A KR1020180024530A KR20180024530A KR20190103742A KR 20190103742 A KR20190103742 A KR 20190103742A KR 1020180024530 A KR1020180024530 A KR 1020180024530A KR 20180024530 A KR20180024530 A KR 20180024530A KR 20190103742 A KR20190103742 A KR 20190103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uckle
axle
differential gear
yoke body
gea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하
Original Assignee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4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3742A/ko
Publication of KR20190103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7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main drive shafting, e.g. cardan shaft
    • B60K17/24Arrangements of mountings for shaf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1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differential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02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computing target steering angles for front or rea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18Steering knuckles; King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차축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그 내부에 엔진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차동기어축이 구비되는 액슬 하우징과, 차동기어축과 더블조인트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구동축이 그 내부에 구비되는 너클과, 너클과 액슬 하우징을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킹핀을 포함하는 분리형 차축 어셈블리로서, 액슬 하우징은 차동기어축을 보호하는 액슬 바디와, 너클에 연결되는 요크 바디로 분리되어 구비되고, 요크 바디에는 너클의 조향각을 검출하는 검출센서가 구비되는 분리형 차축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분리형 차축 어셈블리{Separate type axle assembly}
본 발명은 분리형 차축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너클에 연결되는 액슬 하우징을 액슬 바디와 요크 바디로 분리하여 구성한 분리형 차축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형 작업 차량은 크게 차체(body shell)와 새시로 구분되며, 이중 새시를 세분화하면, 동력발생수단인 엔진과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바퀴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 차량의 진행방향을 조정하는 조향장치 및 차량의 진행중 노면으로부터 바퀴를 통해 받게 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현가장치로 구분된다.
한편, 국내 등록특허 제10-1795539호(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한다)에서 제안된 승용형 작업기의 주행 변속 장치에서도 개시된 바와 같이, 조향장치는 차량의 운전석에 마련된 스티어링휠과 이에 연결된 피니언 샤프트 및 피니언 샤프트와 교축되도록 배치되는 기어박스로 구성된다.
또한, 현가장치는 차축을 차체 또는 프레임에 연결하는 장치로서, 일체 차축식, 독립 현가식, 전자제어식, 공기 스프링식 등이 있다.
한편, 동력전달장치는 동력 전달방식에 따라 전륜 구동과 후륜 구동으로 구분되며, 동력전달 흐름을 살펴보면 엔진 -> 클러치 -> 변속기 -> 구동 차축 어셈블리 -> 바퀴 순으로 전달된다.
여기서, 클러치는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 구비되어 동력전달장치로 전달되는 엔진의 동력을 단속하는 장치이다. 즉, 엔진을 구동할 때 엔진을 무부하 상태로 하기 위함과 변속기의 기어를 변속할 때 엔진의 회전력을 일시 차단하기 위해서 필요한 장치이다.
변속기는 엔진과 구동 차축 어셈블리 사이에 구비되어 엔진의 동력을 차량의 주행 상태에 맞도록 그 회전력과 속도를 바꾸어서 구동 차축 어셈블리로 전달하는 장치이다.
한편, 구동 차축 어셈블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동기어축(20), 액슬 하우징(10), 요크(11), 조향 너클(30), 허브 조립체(40) 및 조인트(60), 바퀴 구동축(50)으로 구성된다.
차동기어축(20)은 엔진에서 발생한 구동력을 바퀴에 전달하는 역할과 노면에서 받은 상/하, 좌/우 및 전/후 방향의 힘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액슬 하우징(10)은 종감속 기어(ring & pinon)와 차동기어 캐리어(differential gear carrier), 차동구동축(50)을 감싸고 있는 주철로 된 구조물로서, 기어장치들이 들어 있는 부분의 형식에 따라 빌드업(build up), 스플릿(split), 밴조(banjo) 형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빌드업 형은 액슬 하우징의 중간 부분에 기어장치들을 압입한 형식으로 내부가 복잡하고 가공도 비교적 어렵다. 스플릿 형은 액슬 하우징을 중앙부 측에서 좌우로 분할한 구조이다. 밴조 형은 액슬 하우징 어셈블리의 중간 부분을 둥글게 하여 차동기어 캐리어를 액슬 하우징 어셈블리로부터 떼어낼 수 있게 한 구조로 종감속 기어를 조정하는데 다루기 쉽고 대량 생산에 알맞는 구조이다.
한편, 요크(11)는 차량의 스티어링이나 엔진의 동력을 전달하는 추진축 등과 같이 회전되는 주축에 대하여 종동축이 동일 선상에 있지 않고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되거나 또는 동일 선상으로 배치되는 경우 주축의 동력을 종동축에 원활히 전달하고자 하는 경우 주로 이용된다. 이러한 요크(11)는 대부분 주철을 용해한 주물성형 방식에 의해 제작된다.
그리고 조향 너클(30)은 오랜 시간 동안 차량에 사용되어온 부품으로, 자동차 및 상업적 소형, 중형 및 대형 트럭에 사용되는 축 조립체를 포함하는 구성 부품이다.
이러한 조향 너클(30)은 요크(11)와 킹핀(70)을 통해 연결되어 허브 조립체(40)의 허브나 스핀들을 위한 장착부를 제공함과 동시에 차량의 조향장치를 구성하는 부품 중 하나인 타이로드와 연결되어 조향장치와 연동되게 작동된다.
또, 허브 조립체(40)는 복열 유닛 베어링 구조를 갖는 것으로, 허브, 브레이크 디스크, 휠베어링 및 스핀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허브는 허브 볼트가 체결되는데, 허브 볼트에 의해 차량의 바깥쪽으로 브레이크 디스크 및 휠이 결합되고, 차량의 안쪽으로 휠베어링과 스핀들 및 바퀴 구동축이 결합된다.
한편, 조인트(60)는 회전축의 각도가 서로 다른 회전축에 회전동력(토크)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동력전달각도가 작은 추진축의 경우에는 후크 조인트, 플렉시블 조인트 등이 사용되고, 동력전달 각도가 큰 전륜구동 차량의 구동축에는 등속 조인트가 사용된다.
이러한 등속 조인트는 구동축과 피동축의 교차각이 큰 경우에도 등속으로 원활하게 동력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독립 현가 방식의 전륜구동 차량의 액슬축에 주로 사용되며, 샤프트를 중심으로 엔진측(인보드측)은 트라이포드 타입 조인트로 이루어지고, 샤프트를 중심으로 타이어측(아웃보드측)은 볼타입 조인트로 이루어진다.
한편, 바퀴 구동축(50)은 조인트(60)에서 전달된 구동력을 허브 조립체(4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 구동 차축 어셈블리는 도 1에서와 같이, 액슬 하우징(10)의 양단부에 요크(1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액슬 하우징(10) 또는 요크(11) 중 어느 한쪽의 부위만 고장나거나 파손되어도 요크(11)를 포함한 액슬 하우징(10) 전체를 차축 어셈블리로부터 분리하여 정비하거나 또는 액슬 하우징(10)을 교체해야 하므로, 정비작업이 불편하고 번거롭게 이루어질 뿐 아니라 높은 수리비용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요크(11)가 일체로 형성된 액슬 하우징(10)은 그 전체 길이가 길어져 대형화되고, 이로 인해 액슬 하우징(10)을 제조하기 위한 주물 역시도 대형화되므로 해당 주물을 제조할 수 있는 곳이 매우 제한적이며, 고가일 뿐 아니라 주물 제작된 액슬 하우징(10)의 가공에 있어서도 특수한 가공장비가 필요하고 그로 인해 가공비가 매우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승용형 작업 차량의 차폭에 따라 적용되는 차동기어축(20)의 길이가 가변되는데, 종래의 요크 일체형 액슬 하우징(10)으로는 가변되는 차동기어축(20)을 수용할 수 없어 호환 적용이 불가하므로 액슬 하우징(10)을 차량의 차폭에 따라 제각각 제작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요크(11)를 관통한 차동기어축(20)와 액슬 하우징(10) 사이에는 실링재가 구비될 수 있는데, 실링재가 구비된 차동기어축(20)과 액슬 하우징(10) 사이의 공간은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실링재가 쉽게 오염될 수 있어, 습전과 같은 작업 환경에서는 작업 차량을 매우 제한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79553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차축 어셈블리에 구성되는 액슬 하우징을 차동장치가 구비되는 액슬 바디와 너클에 연결되는 요크 바디로 분리하여 구성함으로써 액슬 하우징의 정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분리형 차축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슬 하우징의 요크 바디와 너클을 연결하는 킹핀 지지부싱을 너클과 같이 회전되도록 구비하고, 킹핀 지지부싱의 회전각도를 검출하여 허브 즉 바퀴의 회전각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한 분리형 차축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차축 어셈블리는, 그 내부에 엔진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차동기어축이 구비되는 액슬 하우징과, 차동기어축과 더블조인트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구동축이 그 내부에 구비되는 너클과, 너클과 액슬 하우징을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킹핀을 포함하는 분리형 차축 어셈블리로서, 액슬 하우징은 차동기어축을 보호하는 액슬 바디와, 너클에 연결되는 요크 바디로 분리되어 구비되고, 요크 바디에는 너클의 조향각을 검출하는 검출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너클과 요크 바디에는 킹핀을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는 연결아암이 돌출 형성되고, 양 연결아암에는 킹핀이 결합되는 킹핀 지지부싱이 결합되되, 킹핀 지지부싱은 너클의 연결아암에 고정되어 너클과 같이 회전되면서 이의 회전각이 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게다가, 킹핀 지지부싱은 너클과 요크 바디의 연결아암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결합축과, 결합축에 구비되어 너클의 연결아암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고, 결합축에는 이의 회전시 검출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센싱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액슬 바디와 차동기어축 사이에는 메탈부싱이 구비되고, 요크 바디와 차동기어축 사이에는 실링을 위한 오일씰이 구비되며, 요크 바디에는 외부 이물질이 오일씰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플랜지가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리형 차축 어셈블리에 따르면, 차축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액슬 하우징을 차동장치가 구비되는 액슬 바디와 너클에 연결되는 요크 바디로 분리하여 구성함으로써 액슬 하우징의 고장이나 파손시는 액슬 바디와 요크 바디를 분리한 상태에서 고장나거나 파손된 부품만 분리시켜 정비하거나 교체하면 되므로 액슬 하우징의 정비성이 향상되고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액슬 하우징을 이루는 액슬 바디와 요크 바디가 별개로 제작되어 조립됨으로써 액슬 하우징을 저가의 비용으로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고, 제작후 가공작업 역시도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액슬 하우징의 요크 바디와 너클을 연결하는 킹핀 지지부싱을 너클과 같이 회전되도록 구비하고, 너클과 같이 회전되는 킹핀 지지부싱의 회전각도를 검출하여 허브 즉 바퀴의 회전각도를 간편하게 검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액슬 바디와 요크 바디의 연결부위에는 오일씰이 구비되고, 요크 바디에는 이의 축방향과 직교되게 돌출되는 차단플랜지가 구비되어, 오일씰의 외부 노출을 차단하고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오일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액슬 하우징이 액슬 바디와 요크 바디의 조립으로 형성됨으로써 승용형 작업 차량의 차폭에 따라 적용되는 차동기어축의 길이가 가변될 때, 이에 맞게 액슬 하우징(10)을 간편하게 맞춤 제작할 수 있으므로 호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축 어셈블리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차축 어셈블리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차축 어셈블리의 결합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요크 바디와 액슬 바디의 분리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차축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축 어셈블리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차동기어축(110)과, 차동기어축(110)을 그 내부에 수용하여 보호하는 액슬 하우징(100)과, 차동기어축(110)과 더블조인트(400)로서 연결되어 허브 조립체를 회전시키는 구동축(520)과, 구동축(520)을 그 내부에 수용하여 보호하는 한편 액슬 하우징(100)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너클(500)과, 너클(500)과 액슬 하우징(100)을 연결하는 킹핀 지지부싱(600)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액슬 하우징(100)('차축 하우징'이라도 하나, 이하에서는 "액슬 하우징"이라 한다)이 도 5에서와 같이, 액슬 바디(200)와 요크 바디(300)로 분리되어 구비된다.
액슬 바디(200)는 그 내부에 차동기어축(110)이 구비되어 보호되고, 요크 바디(300)는 그 일단부는 액슬 바디(200)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너클(500)에 연결되어 구비된다.
한편, 액슬 바디(200) 내에 구비되는 차동기어축(110)은 엔진에서 연료를 연소시켜 발생된 동력에 의해 회전되고, 이 회전 동력은 너클(500) 내에 구비되는 구동축(520)으로 전달되어 허브 조립체를 회전시키며, 허브 조립체에 의해 바퀴는 감속 회전되어 차량을 주행시키게 된다.
이러한 차동기어축(110)과 액슬 바디(200) 사이에는 메탈부싱(210)이 구비되어, 회전되는 차동기어축(110)과 액슬 바디(200) 간의 마찰을 방지하여 차동기어축(110)의 원활한 회전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요크 바디(300)는 그 일단부가 액슬 바디(200)에 면접촉된 상태로 볼팅되어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너클(500)을 향하는 연결아암(310)이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아암(310)은 요크 바디(300)의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고, 그 단부에는 후술될 킹핀 지지부싱(600)이 삽입되는 연결홈(311)이 형성된다.
또한, 요크 바디(300)에는 전술한 액슬 바디(200) 내에 구비되는 차동기어축(110)의 선단부가 관통되어 돌출되게 구비되고, 차동기어축(110)과 요크 바디(300) 사이에는 실링을 위한 오일씰(330)이 개재되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차동기어축(110)이 돌출되는 요크 바디(300)의 단부 즉 너클(500)과 마주하는 면의 중앙부에는 외부 이물질이 오일씰(330)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플랜지(320)가 형성된다.
이러한 차단플랜지(320)는 연결아암(310)이 있는 요크 바디(300)의 타단부 중앙부에서 축 중심을 향해 돌출되게 구비된다. 즉, 차단플랜지(320)는 요크 바디(300)의 중앙부에서 축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돌출된 차단플랜지(320)의 내주면은 차동기어축(110)의 외측면에 최대한 근접하게 형성되어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최대한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요크 바디(300)의 외측면에는 도 4에서와 같이, 검출센서(700)가 고정되게 설치되는 장착부(340)가 구비된다. 이러한 장착부(340)는 요크 바디(300)의 외측면에서 연결아암(310)의 연결홈(311) 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이 장착부(340)에 검출센서(700)가 삽입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비된 검출센서(700)는 킹핀 지지부싱(600)의 회전각을 검출할 수 있고, 킹핀 지지부싱(600)의 회전각을 통해 너클(500)의 조향각도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요크 바디(300)의 연결아암(310)에 대응한 너클(500)에는 요크 바디(300)의 연결아암(310)보다 넓은 직경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된 연결아암(510)이 구비되고, 이 연결아암(510)의 단부에는 연결공(511)이 형성된다.
따라서, 너클(500)의 연결아암(510)은 요크 바디(300)의 연결아암(310) 외측에 구비되어, 너클(500)의 연결아암(510)에 형성된 연결공(511)이 요크 바디(300)의 연결아암(310)에 형성된 연결홈(311)에 일치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일치된 연결공(511)과 연결홈(311)에는 킹핀(640)을 지지하는 킹핀 지지부싱(600)이 삽입되어 구비되고, 킹핀 지지부싱(600)에는 킹핀(640)이 축방향으로 관통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킹핀 지지부싱(600)은 너클(500)의 연결아암(510) 외측면에 안착되어 구비되는 고정플레이트(610)와, 고정플레이트(610)의 일면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어 너클(500)의 연결공(511)을 관통하면서 요크 바디(300)의 연결홈(311)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축(620)을 포함한다.
따라서, 킹핀(640)은 킹핀 지지부싱(600)의 고정플레이트(610)와 결합축(620)의 중심을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결합되지만, 킹핀 지지부싱(600)의 결합축(620)이 킹핀(640)의 역할을 대신할 수도 있다.
한편, 고정플레이트(610)는 삼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각 코너부위에는 고정구멍이 천공되며, 이 고정구멍에 볼트나 스크류 등의 나사가 관통되어 너클(500)의 연결아암(510)에 체결됨으로써 고정플레이트(610)는 너클(500)에 결합 고정된다.
그리고, 결합축(620)은 고정플레이트(610)로부터 그 직경이 점차 축소되는 형태로 다단 형태로 돌출되는데, 고정플레이트(610)와 근접한 제일 큰 직경의 1단층은 너클(500)의 연결아암(510)에 형성된 연결공(511)에 삽입된 관통부(621)로 형성되고, 다음 2단층은 요크 바디(300)의 연결홈(311)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부분으로서 그 외주면과 연결홈(311) 사이에는 베어링(630)이 개재되어 구비되는 지지부(622)로 형성되며, 고정플레이트(610)와 제일 먼 원거리의 제일 작은 직경의 3단층은 요크 바디(300)의 연결홈(311) 내에 위치되어 검출센서(700)에 의해 센싱되는 센싱부(623)로 형성된다.
이러한 센싱부(623)는 결합축(620)의 하단부 외주면을 면삭 가공한 평탄부로 형성되고, 평탄부의 센싱부(623)는 요크 바디(300)의 장착부(340)에 삽입되어 구비된 검출센서(700)에 의해 센싱되게 구비된다.
따라서, 스티어링휠 즉 운전대를 회전시키면, 이의 회전력이 스티어링 샤프트와 조향기어 등을 통해 너클(500)로 전달되어 너클(500)을 회전시켜 조향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너클(500)은 고정된 요크 바디(300)와 결합된 킹핀 지지부싱(600)의 중심을 축으로 회전되고, 너클(500)의 회전시는 너클(500)에 고정된 킹핀 지지부싱(600)의 결합축(620)이 너클(500)과 같이 회전되며, 결합축(620)의 회전시 검출센서(700)가 회전되는 센싱부(623)의 회전각을 감지함으로써 너클(500)의 조향각도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검출센서(700)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갖는 광센서로서, 발광부에서 조사된 광이 센싱부(623)에서 반사되어 수광부로 수광되는 광의 각도를 통해 킹핀 지지부싱(600)의 회전각도를 검출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요크 바디(300)에서 너클(500)이 회전되면, 너클(500)에 구비된 구동축(520) 역시도 요크 바디(300)의 차동기어축(110)에서 회전되는데, 이는 구동축(520)과 차동기어축(110)을 연결하는 더블조인트(400)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더블조인트(400)는 요크 바디(300)의 차동기어축(110)과 너클(500)의 구동축(520)이 결합됨에 있어 더블요크의 십자형 베어링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기에, 차동기어축(110)과 구동축(520)은 직선이 아닌 각도에서도 차동기어축(110)의 회전력이 구동축(52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너클(500)의 구동축(520)은 요크 바디(300)의 차동기어축(110)과 일정한 각도를 이룬 상태에서도 회전이 가능하다.
이는, 너클(500)의 구동축(520)이 일정한 각도를 이룬 상태 즉, 조향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도 구동축(520)은 회전이 가능하기에, 차량은 방향을 전환시킨 상태에서도 동력전달이 가능하다.
이러한, 더블조인트(400)는 더블요크와, 더블요크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십자형 베어링을 포함하여, 일반적으로 알려진 유니버셜 조인트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차축 어셈블리는, 차량의 주행 중에 운전대를 회전시키면, 운전대의 회전력이 스티어링 샤프트와 조향기어 등을 통해 너클(500)로 전달되어 너클(500)을 회전시킴으로써 바퀴의 조향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너클(500)은 고정된 요크 바디(300)와 결합된 킹핀 지지부싱(600)의 중심을 축으로 회전되고, 너클(500)의 회전시는 너클(500)에 고정된 킹핀 지지부싱(600)이 너클(500)과 같이 회전되면서 킹핀 지지부싱(600)의 결합축(620)이 요크 바디(300)의 연결홈(311) 내에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요크 바디(300)의 장착부(340)에 삽입되어 연결홈(311)으로 관통되게 구비된 검출센서(700)가 연결홈(311) 내에서 회전되는 결합축(620)의 센싱부(623)를 감지하여 센싱부(623)의 회전각을 검출하게 되고, 이에 의해 너클(500)의 조향각도를 검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요크 바디(300)에서 너클(500)이 회전되면, 너클(500)에 구비된 구동축(520)은 요크 바디(300)의 차동기어축(110)에 결합된 더블조인트(400)를 매개로 회전되고, 더블조인트(400)에 의해 구동축(520)이 차동기어축(110)에서 직선이 아닌 회전된 각도에서도 차동기어축(110)의 회전력은 구동축(520)으로 전달되며, 이의 회전력은 너클(500)에 연결된 허브 조립체(미도시)를 통해 바퀴로 전달되어 바퀴를 감속 회전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동 중에 액슬 하우징(100)에 고장이 발생하거나 파손이 발생한 경우에는 액슬 바디(200)와 요크 바디(300)를 분리한 상태에서 고장 또는 파손된 해당 부품만을 분리하여 정비하거나 교체하게 됨으로써 유지보수에 따른 정비성이 향상되고, 정비 비용이나 부품의 교체 비용 역시도 절감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액슬 바디(200)와 요크 바디(300)가 별도로 제작되어 조립됨으로써 기존 일체형 액슬 하우징의 제작시보다 액슬 하우징(100)을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고, 이의 제작 비용도 절감된다.
게다가, 액슬 바디(200)와 요크 바디(300)를 분리형으로 구비함에 따라 요크 바디(300)의 장착부(340) 성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장착부(340)에 검출센서(700)를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으므로 너클(500)과 같이 회전되는 킹핀 지지부싱(600)의 회전각을 통해 너클(500)의 조향각도를 간단하게 검출할 수 있으며, 차동기어축(110)이 관통되는 요크 바디(300)에는 차동기어축(110)으로 돌출되는 차단플랜지(320)가 형성되어, 요크 바디(300) 내부로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최대한 차단함으로써 그 내부에 구비된 오일씰(330)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액슬 하우징(100)이 액슬 바디(200)와 요크 바디(300)의 조립으로 형성됨으로써 작업 차량의 차폭에 따라 적용되는 차동기어축(110)의 길이가 가변될 때, 이에 맞게 액슬 하우징(100)을 간편하게 맞춤 제작할 수 있어 액슬 하우징(100)의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액슬 하우징 110 : 차동기어축
200 : 액슬 바디 210 : 메탈부싱
300 : 요크 바디 310 : 연결아암
311 : 연결홈 320 : 차단플랜지
330 : 오일씰 340 : 장착부
400 : 더블조인트 500 : 너클
510 : 연결아암 511 : 연결공
520 : 구동축 600 : 킹핀 지지부싱
610 : 고정플레이트 620 : 결합축
621 : 관통부 622 : 지지부
623 : 센싱부 630 : 베어링
640 : 킹핀 700 : 검출센서

Claims (4)

  1. 그 내부에 엔진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차동기어축이 구비되는 액슬 하우징과, 차동기어축과 더블조인트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구동축이 그 내부에 구비되는 너클과, 너클과 액슬 하우징을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킹핀을 포함하는 분리형 차축 어셈블리로서,
    액슬 하우징은 차동기어축을 보호하는 액슬 바디와, 너클에 연결되는 요크 바디로 분리되어 구비되고,
    요크 바디에는 너클의 조향각을 검출하는 검출센서가 구비되는 분리형 차축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너클과 요크 바디에는 킹핀을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는 연결아암이 돌출 형성되고, 양 연결아암에는 킹핀이 결합되는 킹핀 지지부싱이 결합되되,
    킹핀 지지부싱은 너클의 연결아암에 고정되어 너클과 같이 회전되면서 이의 회전각이 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분리형 차축 어셈블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킹핀 지지부싱은 너클과 요크 바디의 연결아암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결합축과, 결합축에 구비되어 너클의 연결아암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고,
    결합축에는 이의 회전시 검출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센싱부가 구비되는 분리형 차축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액슬 바디와 차동기어축 사이에는 메탈부싱이 구비되고, 요크 바디와 차동기어축 사이에는 실링을 위한 오일씰이 구비되며, 요크 바디에는 외부 이물질이 오일씰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플랜지가 돌출되게 구비되는 분리형 차축 어셈블리.
KR1020180024530A 2018-02-28 2018-02-28 분리형 차축 어셈블리 KR201901037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530A KR20190103742A (ko) 2018-02-28 2018-02-28 분리형 차축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530A KR20190103742A (ko) 2018-02-28 2018-02-28 분리형 차축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742A true KR20190103742A (ko) 2019-09-05

Family

ID=67949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530A KR20190103742A (ko) 2018-02-28 2018-02-28 분리형 차축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374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189B1 (ko) * 2020-10-29 2021-02-24 대동기어(주) 전방 차축 어셈블리
CN112975271A (zh) * 2021-03-11 2021-06-18 中国重汽集团济南动力有限公司 一种中后桥间传动轴、主传动轴及中间传动轴的生产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539B1 (ko) 2010-09-03 2017-11-08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승용형 작업기의 주행 변속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539B1 (ko) 2010-09-03 2017-11-08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승용형 작업기의 주행 변속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189B1 (ko) * 2020-10-29 2021-02-24 대동기어(주) 전방 차축 어셈블리
CN112975271A (zh) * 2021-03-11 2021-06-18 中国重汽集团济南动力有限公司 一种中后桥间传动轴、主传动轴及中间传动轴的生产方法
CN112975271B (zh) * 2021-03-11 2022-08-12 中国重汽集团济南动力有限公司 一种中后桥间传动轴、主传动轴及中间传动轴的生产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21529B1 (en) Wheel end assembly having a seal interface with a tone ring
KR100373168B1 (ko) 일체형휠단부시스템
US7451857B2 (en) Seat mount structure for saddle ride type vehicle
US10792967B2 (en) In-wheel motor drive device
US10792994B2 (en) In-wheel motor drive device an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in-wheel motor drive device and wheel
CN110481315B (zh) 与车轮轮毂装置一体的等速万向节组件
KR101342666B1 (ko) 상용차에 적용되는 조향 구동차축 어셈블리
KR101189975B1 (ko) 모터 구동 차량
US10704602B2 (en) Brake rotor and tone ring assembly
KR101938553B1 (ko) 차량의 휠 구조
US5941335A (en) Integral wheel end assembly
JP4730078B2 (ja) インホイールモータ
KR20190103742A (ko) 분리형 차축 어셈블리
EP1221393B1 (en) Structure and method for supporting electromagnetic coupling
US6079512A (en) Motor vehicle wheel end assembly
US6336537B1 (en) Wheel end with bi-directional overrunning clutch
JP2020159436A (ja) 駆動力伝達装置
CN109572412B (zh) 用于转向驱动桥总成的轮边结构和转向驱动桥总成
KR100846058B1 (ko) 등속 조인트용 센서링 일체형 클램핑 밴드
KR102218189B1 (ko) 전방 차축 어셈블리
JP2008081089A (ja) インホイール型モータ内蔵センサ付き車輪用軸受装置
US6318535B1 (en) Arrangement for transferring braking torques in motor vehicles
US4089383A (en) Power driven centerline steering safety axle wheel assembly with disc brake
CN213199457U (zh) 车辆及其传动组件、传动连接结构
JP2005153557A (ja) 自動車のモータ駆動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