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3701A - 핀펫 구조를 갖는 폴리실리콘 기반의 1t 디램 셀 소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핀펫 구조를 갖는 폴리실리콘 기반의 1t 디램 셀 소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3701A
KR20190103701A KR1020180024449A KR20180024449A KR20190103701A KR 20190103701 A KR20190103701 A KR 20190103701A KR 1020180024449 A KR1020180024449 A KR 1020180024449A KR 20180024449 A KR20180024449 A KR 20180024449A KR 20190103701 A KR20190103701 A KR 20190103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layer
gate
forming
layer
sil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1306B1 (ko
Inventor
조성재
신형순
Original Assignee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24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306B1/ko
Priority to US16/127,442 priority patent/US10714479B2/en
Publication of KR20190103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5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having a channel with a horizontal current flow in a vertical sidewall of a semiconductor body, e.g. FinFET, MuGF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11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 H01L21/0212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 H01L21/02164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the material being a silicon oxide, e.g. SiO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21Materials
    • H01L21/02524Group 14 semiconducting materials
    • H01L21/02532Silicon, silicon germanium, german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87Structure
    • H01L21/0259Microstructure
    • H01L21/02595Microstructure polycrystalli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612Formation types
    • H01L21/02617Deposition types
    • H01L21/0262Reduction or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e.g. CV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6Bombardment with radiation
    • H01L21/263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 H01L21/265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producing ion implantation
    • H01L21/26506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producing ion implantation in group IV semiconductors
    • H01L21/26513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producing ion implantation in group IV semiconductors of electrically active spec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 H01L21/308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using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 H01L21/3213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 H01L27/10826
    • H01L27/10879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4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crystalline structure, e.g. polycrystalline, cubic or particular orientation of crystalline pla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603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 H01L29/0642Isolation within the component, i.e. internal isolation
    • H01L29/0649Dielectric regions, e.g. SiO2 regions, air ga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8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with 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an electrode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and such electrode being part of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comprises three or more electrodes
    • H01L29/0843Source or drain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 H01L29/0847Source or drain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1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1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78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with a gate at the side of the channel
    • H01L29/66795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with a gate at the side of the channel with a horizontal current flow in a vertical sidewall of a semiconductor body, e.g. FinFET, MuGF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42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means for exerting mechanical stress on the crystal lattice of the channel region, e.g. using a flexible substrate
    • H01L29/7843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means for exerting mechanical stress on the crystal lattice of the channel region, e.g. using a flexible substrate the means being an applied insulating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42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means for exerting mechanical stress on the crystal lattice of the channel region, e.g. using a flexible substrate
    • H01L29/784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means for exerting mechanical stress on the crystal lattice of the channel region, e.g. using a flexible substrate the means being located in the source/drain region, e.g. SiGe source and drai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B12/02Manufacture or treatment for one transistor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05Making the transistor
    • H10B12/056Making the transistor the transistor being a FinFE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20DRAM devices comprising floating-body transistors, e.g. floating-body cel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36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the transistor being a FinF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티브 핀의 상부층에 결정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반도체층(예컨대, 폴리실리콘층)을 의도적으로 형성하여 종래 셀 바디에 축적되는 정공들을 물리적으로 포획함으로써, retention time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핀펫 구조로 게이트 장악력을 높여 동작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이미 핀펫 구조가 적용되고 있는 CPU 내 기능성 블록들과 일괄 공정으로 진행 가능한 핀펫 구조를 갖는 폴리실리콘 기반의 1T 디램 셀 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핀펫 구조를 갖는 폴리실리콘 기반의 1T 디램 셀 소자 및 그 제조방법{ONE-TRANSISTOR DRAM CELL DEVICE BASED ON POLYCRYSTALLINE SILICON WITH FinFET STRUCTUR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소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패시터 없이 폴리실리콘을 기반으로 하는 하나의 핀펫(FinFET) 구조를 갖는 1T 디램 셀 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인 디램(DRAM)은 현재 낸드 플래시 메모리와 더불어 반도체 메모리 분야의 대표적인 메모리 소자로, 한국을 포함한 반도체 선도 국가들 간에 기술 경쟁이 매우 치열한 분야이다.
종래의 DRAM은 하나의 트랜지스터와 하나의 커패시터, 즉 1T1C 구조를 갖는다. 커패시터의 존재로부터 야기되는 복잡한 공정으로 인해 CPU와 동시에 집적하지 못하고 stand-alone type으로 제작, 공급되어야 한다는 점, 동일한 초미세 반도체 공정을 기반을 두면서도 플래시 메모리 소자에 비해 용량의 증가 속도가 더디고 3차원 적층이 어렵다는 점 등이 1T1C 구조의 DRAM이 갖는 기술적 한계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이에, 커패시터 없앤 1T 구조의 DRAM들이 제안되었지만 종래의 1T1C 구조 DRAM 대비 retention time이 상당히 짧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 제10-2017-0055031호의 경우는 게이트 장악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터널링 전계효과 트랜지스터(TFET)를 이용함에 따라 일반 MOSFET 소자로 구성되는 기능성 블록(functional block)들과 일괄 공정의 가능성을 떨어뜨리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1T 디램 셀 소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디램 셀의 채널영역 상부에 폴리실리콘 영역을 의도적으로 형성하여 셀 바디에 축적되는 정공들을 물리적으로 포획하여 저장함으로써, retention time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핀펫 구조로 게이트 장악력을 높여 동작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이미 핀펫 구조가 적용되고 있는 CPU 내 기능성 블록들과 일괄 공정으로 구현할 수 있는 폴리실리콘 기반의 1T 디램 셀 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1T 디램 셀 소자는 블로킹 절연막; 상기 블로킹 절연막 상에 돌출된 핀(fin) 형상의 제 1 반도체층; 상기 제 1 반도층에 채널 영역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상기 채널 영역과 반대 타입의 도전형으로 형성된 소스/드레인 영역; 상기 채널 영역 상에 상기 핀 형상을 따라 형성된 제 2 반도체층; 및 상기 블로킹 절연막 상에서 상기 핀 형상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채널 영역과 상기 제 2 반도체층을 감싸며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과 게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반도체층은 상기 제 1 반도체층과 동일한 반도체 물질층이나 상기 제 1 반도체층보다 결정성이 낮은 것을 본 발명에 의한 1T 디램 셀 소자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도체 물질층은 실리콘계 물질층인 것을 본 발명에 의한 1T 디램 셀 소자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로킹 절연막은 실리콘 기판상에 형성된 실리콘 산화막 또는 SOI(Silicon-On-Insulator) 기판의 매몰 산화막(BOX)이고, 상기 채널 영역은 상기 게이트에 쓰기 전압 인가시 상기 드레인 영역으로 밴드 대 밴드 터널링(band-to-band tunneling)이일어나도록 불순물이 도핑되고(예컨대, 드레인 영역이 n형일 경우 p형으로 도핑), 상기 제 2 반도체층은 입계(grain boundary)로 정공을 포획하는 정공 포획층인 것을 본 발명에 의한 1T 디램 셀 소자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반도체층은 단결정 실리콘이고, 상기 제 2 반도체층은 폴리 실리콘인 것을 본 발명에 의한 1T 디램 셀 소자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1T 디램 셀 소자의 제조방법은 실리콘 기판상에 화학기상증착 또는 열산화 방식으로 실리콘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실리콘 산화막 상에 화학기상증착 방식을 통해 폴리 실리콘을 증착 후 고온 공정으로 결정질 실리콘으로 만들어 제 1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반도체층 상에 화학기상증착 방식을 통해 폴리 실리콘을 한 번 더 증착하여 제 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반도체층 상에 식각 마스크를 형성한 후 상기 제 2 반도체층 및 상기 제 1 반도체층을 순차 식각하여 액티브 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액티브 핀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게이트 물질을 증착하고 식각하여 상기 액티브 핀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액티브 핀을 감싸는 게이트를 형성하고, 이온주입하여 상기 게이트를 가운데 두고 드러난 상기 제 1 반도체층의 양측에 소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SOI(Silicon-On-Insulator) 기판의 단결정 실리콘층을 제 1 반도체층으로 하고, 상기 제 1 반도체층 상에 화학기상증착 방식을 통해 폴리 실리콘을 증착하여 제 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반도체층 상에 식각 마스크를 형성한 후 상기 제 2 반도체층 및 상기 제 1 반도체층을 순차 식각하여 액티브 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액티브 핀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게이트 물질을 증착하고 식각하여 상기 액티브 핀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액티브 핀을 감싸는 게이트를 형성하고, 이온주입하여 상기 게이트를 가운데 두고 드러난 상기 제 1 반도체층의 양측에 소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본 발명에 의한 1T 디램 셀 소자 제조방법의 다른 특징이라 한다.
SOI(Silicon-On-Insulator) 기판의 단결정 실리콘층을 제 1 반도체층으로 하고, 상기 제 1 반도체층의 상부에 이온 주입하여 저결정성의 제 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반도체층 상에 식각 마스크를 형성한 후 상기 제 2 반도체층 및 상기 제 1 반도체층을 순차 식각하여 액티브 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액티브 핀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게이트 물질을 증착하고 식각하여 상기 액티브 핀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액티브 핀을 감싸는 게이트를 형성하고, 이온주입하여 상기 게이트를 가운데 두고 드러난 상기 제 1 반도체층의 양측에 소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본 발명에 의한 1T 디램 셀 소자 제조방법의 다른 특징이라 한다.
상기 이온 주입은 Ar, C, Si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 이온이나 p형 도펀트를 주입하는 것을 본 발명에 의한 1T 디램 셀 소자 제조방법의 다른 특징이라 한다.
본 발명은 액티브 핀의 상부층에 결정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반도체층(예컨대, 폴리실리콘층)을 의도적으로 형성하여 종래 셀 바디에 축적되는 정공들을 물리적으로 포획함으로써, retention time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핀펫 구조로 게이트 장악력을 높여 동작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이미 핀펫 구조가 적용되고 있는 CPU 내 기능성 블록들과 일괄 공정으로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1T 디램 셀 소자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로, 전자는 게이트 방향으로 절단한 면을, 후자는 채널 방향으로 절단한 면을 각각 보여준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1T 디램 셀 소자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블로킹 절연막(20); 상기 블로킹 절연막 상에 돌출된 핀(fin) 형상의 제 1 반도체층(30); 상기 제 1 반도층에 채널 영역(31)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상기 채널 영역과 반대 타입의 도전형으로 형성된 소스(32)/드레인 영역(34); 상기 채널 영역 상에 상기 핀 형상을 따라 형성된 제 2 반도체층(40); 및 상기 블로킹 절연막(20) 상에서 상기 핀 형상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채널 영역(31)과 상기 제 2 반도체층(40)을 감싸며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50)과 게이트(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반도체층(30) 및 상기 제 2 반도체층(40)은 셀 소자가 만들어지는 액티브 핀을 형성하되, 상기 제 1 반도체층(30)에만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반도체층(40)은 채널의 정공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정공 포획층일 수 있다.
상기 정공 포획층은 상기 제 2 반도체층(40)의 입계(grain boundary)로 정공을 포획하여 저장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블로킹 절연막(20)은 셀 바디, 즉 상기 제 1 반도체층(30)을 외부와 절연시키는 것으로, 절연체이면 기판을 대신하며 유리나 가요성 물질층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도 1과 같이, 벌크 실리콘 기판(10) 상에 형성된 실리콘 산화막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블로킹 절연막(20)은 SOI(Silicon-On-Insulator) 기판의 매몰 산화막(BOX)일 수 있다.
상기 채널 영역(31)은 상기 게이트(60)에 쓰기 전압(예컨대, VGS < 0) 인가시 상기 드레인 영역(34)으로 밴드 대 밴드 터널링(band-to-band tunneling)이 일어나도록 불순물이 도핑(예컨대, 드레인 영역이 n형일 경우 p형으로 도핑)되고, 상기 제 2 반도체층(4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입계(grain boundary)로 정공을 포획하는 정공 포획층일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제 2 반도체층(40)은 상기 제 1 반도체층(30)의 채널 영역(31)에 있는 정공들을 물리적으로 다수 포획하여 retention time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 반도체층(40)은 상기 제 1 반도체층(30)과 다른 반도체 물질층으로 이종접합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동일한 반도체 물질층으로, 어떤 경우든지 상기 제 1 반도체층보다 결정성이 낮은 것으로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 1 반도층(30)의 채널 영역(31)에서 캐리어(전자 또는 정공)의 이동도를 높여 저전력 구동이 가능함은 물론 제 2 반도체층(40)의 입계(grain boundary)에 더욱 많은 정공을 포획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제 1 반도체층(30)은 결정질 실리콘(예컨대, 단결정 실리콘)으로, 상기 제 2 반도체층(40)은 저결정성 실리콘(예컨대, 폴리 실리콘)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다음은 도 1 및 도 2의 구조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1T 디램 셀 소자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실리콘 기판(10)상에 화학기상증착(CVD) 또는 열산화 방식으로 실리콘 산화막(20)을 형성한다.
이어, 상기 실리콘 산화막(20) 상에 화학기상증착 방식을 통해 저결정성 실리콘계 물질(예컨대, 폴리 실리콘)을 증착 후 고온 공정(700~900℃)으로 결정질 실리콘으로 만들어 제 1 반도체층(30)을 형성한다.
이후, 상기 제 1 반도체층(30) 상에 화학기상증착 방식을 통해 저결정성 실리콘계 물질(예컨대, 폴리 실리콘)을 한 번 더 증착하여 제 2 반도체층(40)을 형성하고, 이어 상기 제 2 반도체층(40) 상에 식각 마스크를 형성한 후 상기 제 2 반도체층 및 상기 제 1 반도체층을 순차 식각하여 액티브 핀을 형성한다.
다음, 상기 액티브 핀 상에 게이트 절연막(50)을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게이트 물질을 증착하고 식각하여,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액티브 핀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액티브 핀을 감싸는 게이트(60)를 형성하고, 이온주입하여 상기 게이트(60)를 가운데 두고 드러난 상기 제 1 반도체층(30)의 양측에 소스(32)/드레인 영역(34)을 형성한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실리콘 기판(10) 대신 SOI(Silicon-On-Insulator) 기판을 사용할 경우에는, SOI 기판의 단결정 실리콘층을 상기 제 1 반도체층(30)으로 하고, 상기 제 1 반도체층 상에 화학기상증착 방식을 통해 폴리 실리콘을 증착하여 제 2 반도체층(40)을 형성하고, 이후 단계들은 상기 예와 동일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리콘 산화막(20) 대신 SOI 기판의 매몰 산화막(BOX)을 사용할 수 있어, 공정 단계를 줄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상기 SOI 기판을 사용할 때, 상기 제 2 반도체층(40)을 폴리 실리콘으로 별도 형성해주는 단계 대신에 SOI 기판의 단결정 실리콘층인 제 1 반도체층(30)의 상부에 이온 주입하여 저결정성의 제 2 반도체층(40)을 형성하는 단계로 진행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이온 주입은 Ar, C, Si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 이온이나 p형 도펀트를 주입하여 n형 도전형을 갖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도 1 및 도 2의 실시 예에 따른 1T 디램 셀 소자의 동작 방법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쓰기 동작>
실리콘 기판(10)에 인가한 바디 전압 VB = 0, 소스 영역(32)에 인가한 소스 전압 VS = 0, 게이트와 소스 간 전압 VGS < 0, 드레인과 소스 간 전압 VDS > 0으로 각각 인가하여 p-type 채널 영역(31)의 valence band 전자들을 드레인 영역(34)으로 밴드 대 밴드 터널링(band-to-band tunneling)하게 된다.
이때, p-type 채널 영역에는 자유 정공들이 형성되는데, 측벽(sidewall)에 존재하는 게이트(60)에 가해진 음의 전압에 의해 효과적으로 채널 영역(31)의 플로팅 바디에 갇히게 되며, 그 중 일부는 상부에 존재하는 게이트(60)의 음의 전압에 의해 제 2 반도체층(40)인 폴리 실리콘 영역으로 유입되어 입계(grain boundary)에 포획하여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폴리 실리콘의 입계는 정공 포획층을 형성하게 되어, 정공들이 상기 정공 포획층에 포획되는 정도에 따라, 0 또는 1 상태(state)로 쓰여 지게 된다.
<읽기 동작>
VB = 0, VS = 0, VGS > Vth(MOSFET의 문턱 전압), VDS > 0의 전압을 인가하여 드레인 전류의 높낮이로 메모리 소자의 0, 1 상태를 판별하게 된다.
이때, VDS가 과도하게 높으면 impact ionization으로 인해 추가적인 전자, 정공쌍이 발생하며, VGS가 과도하게 높으면 폴리 실리콘 영역에 포획되어 있는 정공들이 빠져나가 정확한 메모리 상태 판별이 어렵게 되므로 적절히 작은 크기의 VDS 및 VGS를 가해야 한다.
<지우기 동작>
VB = 0, VS = 0, VGS > 0, VDS > 0의 전압을 인가하여 재결합하지 않고 남아 있는 정공들 및 폴리 실리콘 영역 내에 포획되어 있는 정공들을 소스 영역으로 drift 시켜 제거한다. 다른 방법으로, VS < 0, VG > 0, VD < 0을 인가하여 표동에 의한 정공의 유출을 소스 및 드레인 양 접합에서 모두 이루어지게 하여 지우기 속도(erase speed)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쓰기 동작을 제외한, 읽기 및 지우기 동작에서 VG는 양의 값으로 정하여 폴리 실리콘 영역으로의 정공의 원치 않는 포획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쓰기 동작은 폴리 실리콘 영역이 반드시 관여할 수 있게 하면서도 읽기 동작은 하부에 존재하는 채널 영역에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S/D 접합 영역을 폴리 실리콘 하부에 형성하도록 도핑하고 접합하기 위해, 도 2와 같은 구조를 가지도록 식각함이 바람직하다.
10: 실리콘 기판
20: 블로킹 절연막(실리콘 산화막, 매몰 산화막)
30: 제 1 반도체층(단결정 실리콘)
31: 채널 영역
32: 소스 영역
34: 드레인 영역
40: 제 2 반도체층(폴리 실리콘)
50: 게이트 절연막
60: 게이트

Claims (9)

  1. 블로킹 절연막;
    상기 블로킹 절연막 상에 돌출된 핀(fin) 형상의 제 1 반도체층;
    상기 제 1 반도층에 채널 영역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상기 채널 영역과 반대 타입의 도전형으로 형성된 소스/드레인 영역;
    상기 채널 영역 상에 상기 핀 형상을 따라 형성된 제 2 반도체층; 및
    상기 블로킹 절연막 상에서 상기 핀 형상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채널 영역과 상기 제 2 반도체층을 감싸며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과 게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T 디램 셀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도체층은 상기 제 1 반도체층과 동일한 반도체 물질층이나 상기 제 1 반도체층보다 결정성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1T 디램 셀 소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물질층은 실리콘계 물질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T 디램 셀 소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킹 절연막은 실리콘 기판상에 형성된 실리콘 산화막 또는 SOI(Silicon-On-Insulator) 기판의 매몰 산화막(BOX)이고,
    상기 채널 영역은 상기 게이트에 쓰기 전압 인가시 상기 드레인 영역으로 밴드 대 밴드 터널링(band-to-band tunneling)이 일어나도록 불순물이 도핑되고,
    상기 제 2 반도체층은 입계(grain boundary)로 정공을 포획하는 정공 포획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T 디램 셀 소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도체층은 단결정 실리콘이고,
    상기 제 2 반도체층은 폴리 실리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T 디램 셀 소자.
  6. 실리콘 기판상에 화학기상증착 또는 열산화 방식으로 실리콘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실리콘 산화막 상에 화학기상증착 방식을 통해 폴리 실리콘을 증착 후 고온 공정으로 결정질 실리콘으로 만들어 제 1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반도체층 상에 화학기상증착 방식을 통해 폴리 실리콘을 한 번 더 증착하여 제 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반도체층 상에 식각 마스크를 형성한 후 상기 제 2 반도체층 및 상기 제 1 반도체층을 순차 식각하여 액티브 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액티브 핀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게이트 물질을 증착하고 식각하여 상기 액티브 핀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액티브 핀을 감싸는 게이트를 형성하고, 이온주입하여 상기 게이트를 가운데 두고 드러난 상기 제 1 반도체층의 양측에 소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1T 디램 셀 소자의 제조방법.
  7. SOI(Silicon-On-Insulator) 기판의 단결정 실리콘층을 제 1 반도체층으로 하고, 상기 제 1 반도체층 상에 화학기상증착 방식을 통해 폴리 실리콘을 증착하여 제 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반도체층 상에 식각 마스크를 형성한 후 상기 제 2 반도체층 및 상기 제 1 반도체층을 순차 식각하여 액티브 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액티브 핀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게이트 물질을 증착하고 식각하여 상기 액티브 핀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액티브 핀을 감싸는 게이트를 형성하고, 이온주입하여 상기 게이트를 가운데 두고 드러난 상기 제 1 반도체층의 양측에 소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1T 디램 셀 소자의 제조방법.
  8. SOI(Silicon-On-Insulator) 기판의 단결정 실리콘층을 제 1 반도체층으로 하고, 상기 제 1 반도체층의 상부에 이온 주입하여 저결정성의 제 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반도체층 상에 식각 마스크를 형성한 후 상기 제 2 반도체층 및 상기 제 1 반도체층을 순차 식각하여 액티브 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액티브 핀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게이트 물질을 증착하고 식각하여 상기 액티브 핀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액티브 핀을 감싸는 게이트를 형성하고, 이온주입하여 상기 게이트를 가운데 두고 드러난 상기 제 1 반도체층의 양측에 소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1T 디램 셀 소자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주입은 Ar, C, Si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 이온이나 p형 도펀트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1T 디램 셀 소자의 제조방법.
KR1020180024449A 2018-02-28 2018-02-28 핀펫 구조를 갖는 폴리실리콘 기반의 1t 디램 셀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051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449A KR102051306B1 (ko) 2018-02-28 2018-02-28 핀펫 구조를 갖는 폴리실리콘 기반의 1t 디램 셀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16/127,442 US10714479B2 (en) 2018-02-28 2018-09-11 One-transistor dram cell device based on polycrystalline silicon with FinFET structur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449A KR102051306B1 (ko) 2018-02-28 2018-02-28 핀펫 구조를 갖는 폴리실리콘 기반의 1t 디램 셀 소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701A true KR20190103701A (ko) 2019-09-05
KR102051306B1 KR102051306B1 (ko) 2019-12-03

Family

ID=67686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449A KR102051306B1 (ko) 2018-02-28 2018-02-28 핀펫 구조를 갖는 폴리실리콘 기반의 1t 디램 셀 소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714479B2 (ko)
KR (1) KR1020513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782B1 (ko) * 2019-10-24 2021-04-02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리콘게르마늄 쉘 채널을 갖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반도체 소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2431A (ko) * 2007-03-07 2008-09-11 한국과학기술원 비휘발성 디램 소자와 그 제조방법 및 그 구동방법.
KR20090011886A (ko) * 2007-07-27 2009-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커패시터리스 디램 및 그의 제조 및 동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221B1 (ko) 2015-11-10 2019-10-16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터널링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1t 디램 셀 소자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메모리 어레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2431A (ko) * 2007-03-07 2008-09-11 한국과학기술원 비휘발성 디램 소자와 그 제조방법 및 그 구동방법.
KR20090011886A (ko) * 2007-07-27 2009-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커패시터리스 디램 및 그의 제조 및 동작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782B1 (ko) * 2019-10-24 2021-04-02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리콘게르마늄 쉘 채널을 갖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반도체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1306B1 (ko) 2019-12-03
US20190267381A1 (en) 2019-08-29
US10714479B2 (en) 2020-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78045B2 (en) Integrated circuit devices including FinFET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USRE40532E1 (en) Non-volatile memory cell and fabrication method
US9755055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7619276B2 (en) FinFET flash memory device with an extended floating back gate
KR101317108B1 (ko) 플로팅 바디를 갖는 메모리 셀에 관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14177045A1 (zh) 一种半浮栅器件及其制造方法
US9343371B1 (en) Fabricating fin structures with doped middle portions
CN104103640B (zh) 一种u形沟道的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CN108231594B (zh) 一种FinFET器件的制作方法
US8288231B1 (en) Method of fabricating a recessed channel access transistor device
KR102051306B1 (ko) 핀펫 구조를 갖는 폴리실리콘 기반의 1t 디램 셀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55031A (ko) 터널링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1t 디램 셀 소자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메모리 어레이
US1016407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mory device
CN111477625B (zh) 一种基于缺陷俘获材料的半浮栅存储器及其制备方法
KR102051304B1 (ko) 폴리실리콘 기반의 1t 디램 셀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13355B1 (ko) 모스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CN112490290A (zh) 半导体器件及制造方法
CN104638018A (zh) 一种半浮栅器件及其制备方法
KR101835611B1 (ko) 밴드 오프셋을 이용한 다중 비트 커패시터리스 디램 및 그 제조 방법
CN111477626B (zh) 一种半浮栅存储器及其制备方法
CN111540739B (zh) 一种基于双隧穿晶体管的半浮栅存储器及其制备方法
US6458664B2 (en) Method for fabricating a field-effect transistor having an anti-punch-through implantation region
CN116936618A (zh) 半导体器件及其制备方法、应用方法
KR100458595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TW202335288A (zh) 半導體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