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3143A - 발성 장애 치료 기구 - Google Patents
발성 장애 치료 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03143A KR20190103143A KR1020197012344A KR20197012344A KR20190103143A KR 20190103143 A KR20190103143 A KR 20190103143A KR 1020197012344 A KR1020197012344 A KR 1020197012344A KR 20197012344 A KR20197012344 A KR 20197012344A KR 20190103143 A KR20190103143 A KR 2019010314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ont piece
- thyroid cartilage
- bent
- piece
- treatment apparatu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0—Epiglottis; Larynxes; Tracheae combined with larynxes or for use therewi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56—Cartilage endoprosthe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21—Accessories
- A61F2/30749—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21—Accessories
- A61F2002/30754—Implants for interposition between two natural articular surfa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08—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편이 구부러진 발성 장애 치료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절개된 갑상 연골의 절개 단면에서 앞면에 걸쳐서 배치되는 전면편(1a)과 상기 갑상 연골의 뒷면에 배치되는 후면편(1b)을 구비하고, 서로 대향하는 상기 갑상 연골의 절단된 단부의 각각에 감합시키는 복수의 협지부(1,1)와 복수의 협지부(1,1)들을 연결하는 가교부(2)를 포함하며, 전면편(1a)은 그 기단과 선단 사이의 중간부에서 구부러져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발성 장애 치료 기구에 관한 것이다.
성문이 지나치게 닫혀 성대가 진동하지 않는 등의 경련성 발성 장애를 개선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1에 표시된 발성 장애 치료 기구가 제안되었다. 특허 문헌1에 개시된 발성 장애 치료 기구는, 절개한 갑상 연골(이른바 결후) 양측의 절개단을 협지하는 2개의 티탄제 협지부와, 상기 2개의 협지부를 가교하고, 절개한 갑상 연골의 절개 간격을 유지하는 티탄제 가교부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협지부는, 절개된 갑상 연골의 앞면측에 배치되는 전면편(front surface piece)과, 갑상 연골의 뒷면측에 배치되는 후면편(rear surface piece)을 구비한다.
이 치료 기구를 사용할 때는, 갑상 연골의 정중을 절개하고, 집게로 갑상 연골의 절개단을 확장하며, 서로 대향하는 확장된 절개단에 협지부를 감합시켜 집게를 뺀다. 그러면, 확장된 절개단이 닫히는 방향으로 탄성 복귀하기 때문에, 치료 기구가 절개단 사이에 단단히 고정된다.
또한, 봉합사를 전면편의 가교부에 가까운 위치에 치료 기구의 파지 등을 목적으로 형성된 홀을 통과시켜 치료 기구와 갑상 연골을 봉합한다. 이에 따라, 설치된 치료 기구의 절개단에 있어서의 어긋남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한다. 상기에 의하여, 확장시킨 갑상 연골 사이에 치료 기구를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갑상 연골은, 목의 정면측을 향하여 가늘어지면서 돌출한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갑상 연골의 돌출 각도는, 남녀, 인종 등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특허 문헌1에 기재된 발성 장애 치료 기구를 갑상 연골에 배치시킨 경우, 특허 문헌1의 도3과 같이 꼭 알맞게 장착되지 않고, 특히, 전면편의 중앙 부근으로부터 선단측이 갑상 연골에서 들떠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갑상 연골에 어울리기 쉬운 전면편을 가지는 발성 장애 치료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발성 장애 치료 기구는, 절개된 갑상 연골의 절개 단면에서 앞면에 걸쳐서 배치되는 전면편과 상기 갑상 연골의 뒷면에 배치되는 후면편을 구비하고, 서로 대향하는 상기 갑상 연골의 절단된 단부의 각각에 감합시키는 복수의 협지부와, 복수의 상기 협지부들을 연결하는 가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편은, 그 기단(基端)과 선단(先端)의 중간부에서 후면편측으로 구부러져 있다.
본 발명은, 전면편의 기단과 선단의 중간부에 절곡 부분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갑상 연골의 형상에 따라 치료 기구를 배치시키기 쉽다.
본 발명의 상기 전면편의 절곡 각도는, 10도 이상 50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절곡 각도가 10도 이상 50도 이하이면, 절곡 부분에서 용이하게 미조절할 수 있고, 또한, 미조절의 폭이 가급적으로 억제된다.
또한, 절곡 각도란, 구부러진 부분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인접하는 평판 사이에 이루어지는 각도를 말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전면편의 갑상 연골의 앞면에 배치되는 부분의 두께 치수가 0.05mm이상 0.6mm이하로 설정되고, 상기 전면편의 절곡 각도가 변경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전면편의 갑상 연골의 앞면에 배치되는 부분의 두께가 0.05mm이상 0.6mm이하이면, 이 부분의 절곡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성 장애 치료 기구의 상기 전면편은, 매끈하게 구부러져 있을 수도 있다.
전면편이 매끈하게 구부러져 있으면, 갑상 연골로 장착할 때에 외관적(外觀的) 또는 지각적(知覺的)인 위화감을 억제하여 적응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성 장애 치료 기구의 상기 전면편은, 각부(角部)를 형성하도록 구부러져 있을 수도 있다.
전면편이 각부를 형성하도록 구부러져 있으면, 전면편의 절곡 각도를 파악하기 쉽게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전면편에 이 전면편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편이 상기 홀과 겹쳐지지 않는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구부러져 있을 수도 있다.
전면편에 형성된 홀과 절곡의 중심이 떨어져 있으므로, 절곡에 의한 응력(?力)이 홀의 주변으로 집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홀은, 하나의 상기 전면편에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전면편이 상기 홀과 홀 사이를 중심으로 하여 구부러져 있을 수도 있다.
전면편에 형성된 홀들 사이에 절곡의 중심이 오도록 함으로써, 절곡에 의한 응력이 홀의 주변으로 집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가교부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상기 협지부의 상기 전면편은, 상기 기단과 선단의 중간에서 구부러진 위치 보다도 기단부측에서 상기 후면편측으로 더 구부러져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발성 장애 치료 기구는, 갑상 연골에 어울리기 쉬운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 표시한 발성 장애 치료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 표시한 발성 장애 치료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 표시한 발성 장애 치료 기구를 갑상 연골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발성 장애 치료 기구의 다른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 표시한 발성 장애 치료 기구의 변형 예를 갑상 연골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 표시한 발성 장애 치료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 표시한 발성 장애 치료 기구를 갑상 연골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발성 장애 치료 기구의 다른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 표시한 발성 장애 치료 기구의 변형 예를 갑상 연골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발성 장애 치료 기구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발성 장애 치료 기구(이하 “치료 기구”라고 함)(X)는, 전면편(1a)과 후면편(1b)을 구비하고, 절개된 도3에 도시한 갑상 연골(11)의 서로 대향하는 절개 단면(12a,12a)의 각각에 감합시키는 복수의(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대일세트의) 협지부(1,1)와, 복수의 협지부(1,1)를 연결하는 가교부(2)를 포함하고 있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편(1a)은, 평면도에서 대략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면편(1a)의 길이 방향(m)의 기단측은, 구부러져 도3에 도시한 갑상 연골(11)의 절개 단면(12a)에 당접(?接)되는 단면부(1c)를 형성하고 있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편(1a)의 단면부1c 보다도 선단측은, 도3에 도시한 갑상 연골(11)의 앞면(11a)에 당접되는 표면 당접부(1d)를 형성하고 있다.
전면편(1a)의 표면 당접부(1d)에는, 길이 방향(m)으로 간격을 두고 홀(3)이 복수개(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3,3)들은, 봉합사(미도시, 이하 동일)를 삽입 통과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고, 봉합침을 삽입 통과할 수 있도록 1.0mm~2.0mm 직경의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표면 당접부(1d)의 선단측과 기단측의 중간부는, 홀(3,3) 사이의 대략 중앙으로서 홀(3,3)의 배열 방향으로 교차하는(본 실시 형태에서는 대략 직교한다) 가상선(L)을 중심으로 만곡하도록 후면편(1b)측으로 구부러져 있다. 또한, 절곡은, 만곡의 대략 중앙부로 되는 가상선(L)에 있어서, 홀(3)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서 이루어져 있다.
표면 당접부(1d)의 절곡은, 전면편(1a)을 제작할 때 사전에 형성된 것일수 있고, 시술 직전에 지그 등 기타 수단에 의해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표면 당접부(1d)의 절곡 각도는, 10도 이상 50도 이하로 설정될 수 있고, 25도 이상 45도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30도 이상 45도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전면편의 표면 당접부(1d)의 두께 치수는 0.05mm이상 0.6mm이하로 설정되어 있고, 단면부(1c)는, 표면 당접부(1d) 보다도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절곡 각도란, 구부러진 부분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인접하는 평판 사이에 이루어지는 각도를 말한다.
후면편(1b)은, 전면편(1a)의 단면부(1c)에서 도3에 도시한 갑상 연골(11)의 뒷면(11b)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구부러진 부분이다.
전면편(1a)과 후면편(1b)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협지부(1)를 구성하고 있다.
협지부(1)에 있어서, 표면 당접부(1d)의 길이는, 갑상 연골(11)을 협지하는데 충분해야 하며, 갑상 연골(11)의 형태에 어울리는 정도의 길이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8mm~12mm 정도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면편(1b)은, 갑상 연골(11)의 절개단(단부)(12)의 가장자리에서 갑상 연골(11)의 아래에 있는 연부 조직(40)의 가장자리와 접촉하는 정도의 길이로 되어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1.5mm~3.5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협지부(1)는, 전면편(1a)이 갑상 연골(11)의 앞면(11a)측 및 절개 단면(12a)에 배치되고, 후면편(1b)이 갑상 연골(11)의 뒷면(11b)측에 배치되므로, 서로 대향하는 갑상 연골(11)의 절개단(단부)(12,12)의 각각에 감합될 수 있도록, 대략 좌우 대칭으로 한쌍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협지부(1,1)는, 가교부(2)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가교부(2)는, 협지부(1)를 연결하는 부분이고, 단면부(1c)의 연장 방향 중간부에서 협지부(1)를 연결하고 있다. 가교부(2)의 길이(d), 즉, 두 협지부(1,1)의 간격(D)은, 확장시킨 갑상 연골(11)의 절개단(12,12) 사이의 거리에 해당하고, 발성 장애로 앓고 있는 환자의 증상, 환자의 체형, 발성 상태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2~6mm의 범위로 설정된다.
또한, 가교부(2)의 두께는, 전면편(1a)의 표면 당접부(1d)의 두께 보다도 두껍고, 단면부(1c)의 두께와 동등하게 형성되어 있다.
협지부(1) 및 가교부(2)는, 모두 티탄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티탄 금속은, 순금속으로서의 티탄에 한정되지 않고, 생물체용 금속 재료로서 인공 뼈, 인공 관절, 인공 치근에도 이용되고 있는 티탄 합금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티탄 금속으로서는, 발암성 및 알레르기의 원인이 지적되고 있는 Ni을 포함하지 않고, 생물체 적합성이 양호한 티탄 합금으로서 알려져 있는 Ti-6AI-4V등을 사용할 수 있다. 티탄 또는 티탄 합금은, 마모 및 용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N 및 C의 이온 주입에 의해 표면 개질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 당접부(1d)와 후면편(1b) 사이의 간격(단면부(1c)의 연장 치수)(t)은, 갑상 연골(11)의 두께 치수 보다도 약간 큰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2~4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간격(t)이 도3에 도시한 갑상 연골(11)의 두께 치수 보다도 작으면, 갑상 연골(11)을 죄어, 협지부(1)가 갑상 연골(11)을 장기간 지속적으로 압박하게 되며, 갑상 연골(11)의 마모 및 손상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표면 당접부(1d)와 후면편(1b) 사이의 간격(t)이 갑상 연골(11)의 두께 치수에 비하여 지나치게 크면, 실질적으로 갑상 연골(11)을 협지하기 어렵고, 갑상 연골(11)에 대하여 협지부(1)의 상대적인 위치가 어긋(슬라이드)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치료 기구(X)를 사용하여 발성에 적합한 갑상 연골(11)을 형성하는 방법(발성 장애의 치료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치료 기구(X)를 사용하여 발성에 적합한 갑상 연골(11)을 형성하려면, 발성에 적합한 간격을 측정하는 간격 측정 공정, 치료 기구(X)를 배치하는 배치 공정, 및 협지부(1,1)를 끼워 넣는 감합 공정을 구비하는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격 측정 공정에서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갑상 연골(11)을 정중부에서 절개하고, 절개된 상기 갑상 연골(11)의 절개단(12,12) 사이를 확장하여, 발성에 적합한 간격을 측정한다. 배치 공정에서는, 상기 측정한 간격 보다도 약간 크게 상기 절개단(12,12) 사이를 확장하고, 절개단(12,12) 사이에, 치료 기구(X)의 후면편(1b,1b)이 상기 갑상 연골(11)의 뒷면(11b)에 어울리고 또한 치료 기구(X)의 표면 당접부(1d,1d)의 구부러진 부분을 경계로 하는 선단측 및/또는 기단측이 상기 갑상 연골(11)의 앞면(11a)에 어울리도록, 치료 기구(X)를 배치한다. 감합 공정에서는, 확장시켜 놓은 절개단(12,12)을 개방하여, 절개단(12,12)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절개단(12,12)에 의하여 좌우의 협지부(1,1)를 끼워 넣는다.
이 방법에 있어서,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절개단(12,12)에 의하여 좌우의 협지부(1,1)를 끼워 넣은 후, 전면편(1a)에 형성된 홀(3)에 봉합사를 통과시켜, 전면편(1a)과 갑상 연골(11)의 절개단(12)을 봉합사에 의해 고정하는 봉합 공정을 더 구비하는 방법을 적용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방법에 있어서,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사전에 환자의 갑상 연골(11)의 형상을 측정하는 형상 측정 공정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배치 공정 및 상기 감합 공정에 있어서, 측정된 갑상 연골(11)의 형상에 맞게 성형된 치료 기구(X)를 사용하도록 하면 보다 더 바람직하다.
환자의 갑상 연골(11)의 형상의 측정은, 멀티슬라이스헬리컬CT법 또는 MRI법 등에 의해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우선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갑상 연골(11)의 정중부를 절개하고, 환자에게 발성을 독촉하면서, 발성이 좋아지는 절개단(12,12) 사이의 간격을 측정한다(간격 측정 공정).
확장하는 간격이 결정되면, 그 간격에 맞는 가교부(2)의 길이(d)를 구비하는 치료 기구(X)를 선택하고, 전면편(1a)이 갑상 연골(11)의 앞면(11a) 및 절개 단면(12a)에 접하고, 후면편(1b)이 갑상 연골(11)의 뒷면(11b)에 접하도록, 협지부(1)를 절개단(12,12) 사이에 배치시킨다(배치 공정).
또한, 확장시켜 놓은 절개단(12,12) 사이를 개방하고, 절개단(12,12)이 원래의 닫힌 상태로 회복하려는 복귀력을 이용하여 치료 기구(X)를 절개단(12,12) 사이에 끼워 넣고, 측정된 간격으로 갑상 연골(11)을 고정한다(감합 공정). 여기서, 협지부(1)가 갑상 연골(11)을 협지하여 치료 기구(X)가 설치될 수 있도록, 후면편(1b)의 선단은, 갑상 연골(11)과 그 아래의 연부 조직(40) 사이에 삽입한다. 본 발명의 치료 기구(X)에서는, 후면편(1b)이 티탄제 박판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갑상 연골(11)과 연부 조직(40) 사이에 후면편(1b)의 선단부를 비교적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료 기구(X)는, 사전에 갑상 연골(11)의 형상에 어울리기 쉽도록 전면편(1a)의 표면 당접부(1d)가 그 길이 방향(m)의 중간부에서 구부러져 있기 때문에, 갑상 연골(11)의 절개단(12)의 형상에 적응하면서 감합한다.
표면 당접부(1d)가 갑상 연골(11)의 앞면(11a)에 어울리기 어려운 경우, 치료 기구(X)를 절개단(12,12) 사이에 배치하기 전에, 또는 배치한 치료 기구(X)를 일단 절개단(12,12)에서 제거하고, 표면 당접부(1d)의 절곡을 갑상 연골(11)의 형상과 일치하도록 미조절할 수 있다(조절 공정). 이때, 표면 당접부(1d)는 사전에 구부러져 있기 때문에, 구부러진 부분에서의 절곡 각도의 조절이 용이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발성이 양호하게 되는 갑상 연골(11)의 절개단(12,12) 사이의 간격을 치료 기구(X)로 유지하도록 치료 기구(X)를 감합시키고, 기타 조직을 원래로 회복시켜 피부를 봉합하여 닫는다. 상기에 의하여, 치료 기구(X)를 사용한 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갑상 연골(11)의 형성(발성 장애의 치료)이 완료된다.
또한, 치료 기구(X)를 절개단(12,12) 사이에 고정함에 있어서는, 치료 기구(X)의 고정을 보다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실을 표면 당접부(1d)의 기단측의 홀(3)을 통과시켜, 협지부(1)와 갑상 연골(11)을 봉합 고정하(봉합 공정을 거치다)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표면 당접부(1d)의 길이 방향(m)의 선단측의 홀(3)에도 실을 관통시켜 갑상 연골(11)에 봉합한다. 이러한 봉합 작업은, 치료 기구(X)의 협지부(1)를 갑상 연골(11)의 절개단(12,12) 사이에 감합시켜 임시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진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치료 기구(X)는, 갑상 연골(11)의 형상에 어울리기 쉽도록 사전에 구부러져 있기 때문에, 시술 후에 지각적 또는 외관적인 위화감이 생기기 어렵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표면 당접부(1d)는, 10도 이상으로 구부러져 있기 때문에, 구부러진 부분이 구부러지기 쉬워져, 갑상 연골(11)에 보다 확실하게 어울리도록, 구부러진 부분에서 절곡 각도를 미조절하기 쉬운 효과가 있다.
또한, 치료 기구(X)는, 시술 후, 갑상 연골이 진동함에 따라 갑상 연골에 고정된 협지편이 요동한다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표면 당접부(1d)가 홀(3)과 겹치는 부분를 중심으로 하여 구부러져 있으면, 홀(3)에 의해 판폭이 작아진 부분에서 응력이 집중되기 때문에, 구부러진 부분에서 파열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치료 기구(X)는, 홀(3,3) 사이의 판폭이 충분한 부분에서 구부러져 있기 때문에, 홀(3)의 주변에 있어서의 파열을 회피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표면 당접부(1d)는, 50도 이상으로 구부러져 있으면, 사람의 갑상 연골(11)의 만곡 각도 보다도 지나치게 커져, 절곡이 완만해지는 방향으로 회복시키지 않으면 않될 수 있다. 이 절곡 회복은, 표면 당접부(1d)의 강성을 저하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하지만, 치료 기구(X)의 표면 당접부(1d)의 절곡 각도는 50도 이하이기 때문에, 절곡 회복을 억제하여 표면 당접부(1d)의 강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절곡 각도가 25도 이상이면, 구부러지기 쉬운 것을 보다 살리기 쉬워질뿐만 아니라, 작은 조절 폭으로 완료된다.
또한, 절곡 각도가 30도인 경우, 여성의 갑상 연골(11)의 각도에 대략 가까워지고, 절곡 각도가 45도인 경우, 남성의 갑상 연골(11)의 각도에 대략 가까워진다. 따라서, 절곡 각도가 30도 이상 45도 미만이면, 여성과 남성의 구별 없이 치료 기구(X)를 선택한 기초에서, 구부러지기 쉬운 것을 살려 아주 약간 미조절하면 갑상 연골(11)에 설치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또한, 전면편(1a)의 갑상 연골(11)의 앞면(11a)에 배치되는 부분의 두께 치수가 0.05mm이상 0.6mm이하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강성이 있는 티탄제 전면편(1a)을 사전에 구부러진 부분에서 사람이 족집게 등 지그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구부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면편(1a)은, 만곡하도록 구부러져 있기 때문에, 갑상 연골(11)에 적응하기 쉽고 외관적으로 눈에 띄기 어려울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면편(1a)에 홀(3)이 2개 형성된 치료 기구(X)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홀(3)의 수량은 2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치료 기구(X)의 파지 또는 치료 기구(X)의 고정이 가능하다면, 홀(3)은 복수개일 수 있고, 또는 없을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료 기구(X)의 전면편(1a)은, 잘라 내거나 또는 주조 등에 의해 성형할 때에 구부러진 것일 수도 있고, 지그 등 기타 수단에 의해 성형된 후에 구부러진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료 기구(X)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1에 도시한 가상선(L)에서의 위치(p) 외에, 전면편(1a)의 한층 더 기단부(e)측에 있어서도 후면편(1b)측으로 구부러져 있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전면편(1a)을 그 기단부(e) 또는 그 근처 및 기단부(e)와 선단부(s) 사이의 중간부(p)에서 구부러지게 함으로서, 보다 더 갑상 연골(11)에 어울리기 쉬워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기단부(e) 또는 그 근처와 중간부(p) 사이의 두 곳에서 단계적으로 구부리는 경우, 각 부분에 있어서 절곡 각도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치료 기구(X)의 절곡에 의한 부하를 줄여 치료 기구(X)의 재질이 구비하는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임시로 전면편(1a)의 기단부(e)측의 이어지는 부분만을 구부린 경우, 기단측(e) 근처의 홀(3) 보다도 선단측 부분이 갑상 연골(11)의 앞면(11a)에서 들떠버린다. 이 상태에서 치료 기구(X)를 갑상 연골(11)의 절개단(12)에 설치하면, 기단부(e)측의 홀(3)을 지점으로 하여 전면편(1a)이 진동할 수 있고, 금속 피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변형예와 같이, 전면편(1a)의 기단부(e) 또는 그 근처와 가상선(L)에서의 위치(p) 사이의 두 곳에서 전면편을 구부려 놓음으로서, 전면편의 금속 피로를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치료 기구(X)의 전면편(1a)은, 매끈하게 만곡하도록 구부러져 있지만, 전면편(1a)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부를 형성하도록, 즉, 복수의 평판이 각도를 이루도록 구부러지고, 절곡의 중심에서 네모질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이라면, 치료 기구(X)의 전면편(1a)의 절곡 각도를 파악하기 쉽게 된다.
X
치료 기구 (발성 장애 치료 기구)
1 협지부
1a 전면편
1b 후면편
1c 단면부
2 가교부
11 갑상 연골
11a 앞면
11b 뒷면
12 절개단 (절단된 단부)
1 협지부
1a 전면편
1b 후면편
1c 단면부
2 가교부
11 갑상 연골
11a 앞면
11b 뒷면
12 절개단 (절단된 단부)
Claims (8)
- 발성 장애 치료 기구에 있어서,
절개된 갑상 연골의 절개 단면에서 앞면에 걸쳐서 배치되는 전면편과 상기 갑상 연골의 뒷면에 배치되는 후면편을 구비하고, 서로 대향하는 상기 갑상 연골의 절개된 단부의 각각에 감합시키는 복수의 협지부와 복수의 상기 협지부들을 연결하는 가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편은, 그 기단과 선단 사이의 중간부에서 후면편측으로 구부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성 장애 치료 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편의 절곡 각도는, 10도 이상 50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성 장애 치료 기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편의 갑상 연골의 앞면에 배치되는 부분의 두께 치수가 0.05mm이상 0.6mm이하로 설정되고, 상기 전면편의 절곡 각도가 변경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성 장애 치료 기구.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편은, 매끈하게 구부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성 장애 치료 기구.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편은, 각부를 형성하도록 구부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성 장애 치료 기구.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편에 이 전면편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편이 상기 홀과 겹치지 않는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구부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성 장애 치료 기구.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하나의 상기 전면편에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전면편이 상기 홀과 홀 사이를 중심으로 하여 구부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성 장애 치료 기구.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부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상기 협지부의 상기 전면편은, 상기 기단과 선단 사이의 중간에서 구부러진 위치 보다도 기단부측에서 상기 후면편측으로 더 구부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성 장애 치료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6257375 | 2016-12-29 | ||
JPJP-P-2016-257375 | 2016-12-29 | ||
JPJP-P-2017-160944 | 2017-08-24 | ||
JP2017160944 | 2017-08-24 | ||
PCT/JP2017/047358 WO2018124301A2 (ja) | 2016-12-29 | 2017-12-28 | 発声障害治療具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3143A true KR20190103143A (ko) | 2019-09-04 |
KR102304879B1 KR102304879B1 (ko) | 2021-09-24 |
Family
ID=62709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12344A KR102304879B1 (ko) | 2016-12-29 | 2017-12-28 | 발성 장애 치료 기구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1) | US11523908B2 (ko) |
EP (1) | EP3563779B1 (ko) |
JP (2) | JP6434198B2 (ko) |
KR (1) | KR102304879B1 (ko) |
CN (1) | CN110234282A (ko) |
DK (1) | DK3563779T3 (ko) |
ES (1) | ES2932258T3 (ko) |
FI (1) | FI3563779T3 (ko) |
WO (1) | WO2018124301A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458012B2 (en) * | 2018-06-07 | 2022-10-04 |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 Scaffold for nasal tissue engineering |
JP7178524B1 (ja) | 2022-05-16 | 2022-11-25 | 医療法人顕夢会 | 発声障害治療具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00330A (ja) | 2003-06-11 | 2005-01-06 | Nobuhiko Isshiki | 発声障害治療具 |
CN2933336Y (zh) * | 2006-07-24 | 2007-08-15 | 北京吉马飞科技发展有限公司 | 声带内移钛夹 |
WO2015111340A1 (ja) * | 2014-01-27 | 2015-07-30 | 学校法人東邦大学 | 発声障害治療具 |
WO2016002924A1 (ja) * | 2014-07-04 | 2016-01-07 | 国立大学法人 熊本大学 | 甲状軟骨形成術2型に用いるチタン製スペーサー及びそのキット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130905A (en) | 1977-06-03 | 1978-12-26 | Mercandino Eduardo C C | Artificial malleus columella for the human ear |
US5860977A (en) | 1997-01-02 | 1999-01-19 | Saint Francis Medical Technologies, Llc | Spine distraction implant and method |
US8080014B2 (en) * | 2004-12-15 | 2011-12-20 |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 System and method for hyoidplasty |
US7997266B2 (en) * | 2004-10-04 | 2011-08-16 |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 System and method for airway manipulation |
US9265489B2 (en) * | 2005-04-04 | 2016-02-23 |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 Swallow expansion device |
US8192463B2 (en) * | 2007-05-24 | 2012-06-05 | Mcloughlin Joseph | Surgical retractor and related methods |
WO2010111140A2 (en) | 2009-03-25 | 2010-09-30 | University Of Iowa Research Foundation | Methods and devices for arytenoid repositioning |
MX2018001713A (es) | 2015-08-10 | 2018-11-22 | Nobelpharma Co Ltd | Herramienta de tratamiento del trastorno de voz y equipo de tratamiento del trastorno de voz. |
JP2017118920A (ja) * | 2015-12-28 | 2017-07-06 | ノーベルファーマ株式会社 | 発声障害治療具の成形治具 |
CN110831524B (zh) * | 2017-06-14 | 2023-05-16 | 耐贝医药株式会社 | 发声障碍治疗工具的成型夹具及发声障碍治疗工具的前面片的折弯方法 |
-
2016
- 2016-12-29 US US16/475,318 patent/US11523908B2/en active Active
-
2017
- 2017-12-28 CN CN201780067852.4A patent/CN110234282A/zh active Pending
- 2017-12-28 KR KR1020197012344A patent/KR10230487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12-28 JP JP2018547495A patent/JP6434198B2/ja active Active
- 2017-12-28 FI FIEP17885926.0T patent/FI3563779T3/fi active
- 2017-12-28 WO PCT/JP2017/047358 patent/WO2018124301A2/ja unknown
- 2017-12-28 ES ES17885926T patent/ES2932258T3/es active Active
- 2017-12-28 DK DK17885926.0T patent/DK3563779T3/da active
- 2017-12-28 EP EP17885926.0A patent/EP3563779B1/en active Active
-
2018
- 2018-11-07 JP JP2018209812A patent/JP2019055205A/ja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00330A (ja) | 2003-06-11 | 2005-01-06 | Nobuhiko Isshiki | 発声障害治療具 |
CN2933336Y (zh) * | 2006-07-24 | 2007-08-15 | 北京吉马飞科技发展有限公司 | 声带内移钛夹 |
WO2015111340A1 (ja) * | 2014-01-27 | 2015-07-30 | 学校法人東邦大学 | 発声障害治療具 |
WO2016002924A1 (ja) * | 2014-07-04 | 2016-01-07 | 国立大学法人 熊本大学 | 甲状軟骨形成術2型に用いるチタン製スペーサー及びそのキッ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6434198B2 (ja) | 2018-12-05 |
FI3563779T3 (fi) | 2023-01-13 |
EP3563779B1 (en) | 2022-11-16 |
ES2932258T3 (es) | 2023-01-17 |
WO2018124301A2 (ja) | 2018-07-05 |
KR102304879B1 (ko) | 2021-09-24 |
JP2019055205A (ja) | 2019-04-11 |
US20190328531A1 (en) | 2019-10-31 |
US11523908B2 (en) | 2022-12-13 |
JPWO2018124301A1 (ja) | 2018-12-27 |
WO2018124301A3 (ja) | 2018-08-16 |
EP3563779A4 (en) | 2020-09-09 |
CN110234282A (zh) | 2019-09-13 |
DK3563779T3 (da) | 2022-12-19 |
EP3563779A2 (en) | 2019-11-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861357B2 (en) | Staples for generating and applying compression within a body | |
US6080157A (en) | Device to stabilize the lamina | |
CN108697432B (zh) | 发声障碍治疗用具及发声障碍治疗组 | |
JP2015089503A (ja) | 巻き爪矯正具 | |
KR20190103143A (ko) | 발성 장애 치료 기구 | |
JP4153372B2 (ja) | 発声障害治療具 | |
US11857237B2 (en) | Forceps for internal fixation | |
JP5579913B1 (ja) | 変形爪矯正具 | |
JP2021151524A (ja) | 治療器具 | |
TWI720036B (zh) | 發聲障礙治療用具及發聲障礙治療組 | |
WO2005067830A1 (ja) | 爪の矯正具 | |
KR102530809B1 (ko) | 비중격 교정 장치 | |
KR200415100Y1 (ko) | 안면 교정구. | |
RU2488361C1 (ru) | Пластина для коррекции воронкообразной деформации грудной клетки | |
JP5066712B2 (ja) | 手術用クリップ | |
JP2013220178A (ja) | 手術用器具 | |
KR20200050229A (ko) | 휜다리 교정 구조물 | |
JP2004358165A (ja) | ステンレス製外科用針及びそ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