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3038A - 커넥터 및 그의 커넥터 하우징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그의 커넥터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3038A
KR20190103038A KR1020190021973A KR20190021973A KR20190103038A KR 20190103038 A KR20190103038 A KR 20190103038A KR 1020190021973 A KR1020190021973 A KR 1020190021973A KR 20190021973 A KR20190021973 A KR 20190021973A KR 20190103038 A KR20190103038 A KR 20190103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onnector
conductive terminal
clamping
moun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킨 수
홍보 창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03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0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04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Landscapes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커넥터 및 그의 커넥터 하우징이 개시된다. 커넥터는: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단자 및 절연 하우징을 포함한다. 각각의 도전성 단자는: 기저부; 및 적어도 한 쌍의 제1 클램핑부들을 포함하며, 적어도 한 쌍의 제1 클램핑부들은 기저부 상에 형성되며, 적어도 한 쌍의 제1 클램핑부들에 삽입된 와이어를 클램핑하여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절연 하우징은 본체부를 포함하고, 본체부는: 적어도 2개의 격벽들 ― 장착 홈은 2개의 격벽들 사이에 형성되고, 도전성 단자를 수용하도록 구성됨 ― ; 및 장착 홈의 일단에서의 2개의 격벽들 중 적어도 하나의 격벽 상에 형성되고, 그와 함께 형성된 격벽에 대향하는 2개의 격벽들 중 다른 격벽을 향해 돌출되고, 그리고 와이어가 장착 홈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의 절연층에 대해 강성이 되도록 구성된 제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그의 커넥터 하우징{Connector and connector housing of the same}
본 출원은 2018년 2월 26일에 중국의 국가 지식산권국에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820272005.3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의 전체 개시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원에 통합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커넥터 및 그의 커넥터 하우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와이어를 전자 디바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적응된 커넥터 및 그의 커넥터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관련 분야에서, 와이어는 일반적으로 커넥터에 의해 전기 디바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커넥터는 도전성 단자(conductive terminal) 및 절연 하우징(insulation housing)을 포함하고, 와이어는 도전성 단자와 절연 하우징 사이에 전기적 연결을 달성하기 위해 그들 사이에 삽입된다. 관련 분야에서, 예컨대, 와이어가 도전성 단자 및 절연 하우징에 삽입될 때, 절연 하우징의 제한부(limit portion)는 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이어서 변형은 해제되고, 제한부는 보유하고, 동시에, 도전성 단자는 와이어의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와이어의 절연층을 관통한다. 그러나, 제한부가 탄성 변형을 갖게 하기 위해, 제한부는 탄성 구조를 갖도록 요구된다. 이러한 탄성 구조는 하우징의 강도를 감소시키고, 따라서 와이어는 와이어의 삽입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의 힘 하에서 하우징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된다.
결과적으로, 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커넥터 및 그의 커넥터 하우징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개시내용에 의해 해결되는 기술적 문제는, 커넥터 및 그의 커넥터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며, 커넥터 하우징에 의해, 와이어는 절연 하우징에 견고하게 보유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양상에 따라, 커넥터가 제공되고, 커넥터는,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단자(conductive terminal) ―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단자 각각은: 기저부(base portion); 및 적어도 한 쌍의 제1 클램핑부들(clamping portions)를 포함하며, 적어도 한 쌍의 제1 클램핑부들은, 기저부 상에 형성되며, 적어도 한 쌍의 제1 클램핑부들에 삽입된 와이어를 클램핑하여 연결하도록 구성됨 ― ; 및
본체부(body portion)를 포함하는 절연 하우징(insulation housing)을 포함하고,
본체부는:
적어도 2개의 격벽들(partition walls) ― 장착 홈(mounting groove)은 2개의 격벽들 사이에 형성되고, 도전성 단자를 수용하도록 구성됨 ― , 및
장착 홈의 일단에서의 2개의 격벽들 중 적어도 하나의 격벽 상에 형성되고, 2개의 격벽들 중 다른 격벽을 향해 돌출되는 제한부를 포함하고,
제한부는, 와이어가 장착 홈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의 절연층에 대해 강성(rigid)이 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장착 홈의 단부에는 제1 삽입 슬롯(insertion slot)이 제공되고, 제1 삽입 슬롯의 바닥은 제1 클램핑부의 바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flush)이고, 제한부는 제1 삽입 슬롯의 2개의 대향하는 측벽들 상에 형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제한부는 와이어의 축 방향으로 제1 삽입 슬롯을 통해 연장된다.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제한부는, 장착 홈의 측벽이 위치된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경사진 안내면(inclined guide surface) 및 제한면(limit surface)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장착 홈의 측벽은, 절연 하우징에서 도전성 단자를 보유하기 위해 제1 클램핑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수용 홈(accommodating groove)으로 형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기저부는 2개의 대향하는 제1 에지들 및 2개의 대향하는 제2 에지들을 포함하고, 도전성 단자는, 기저부가 위치된 평면에 수직인 기저부의 제1 에지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쌍들의 제1 클램핑부들을 각각 포함한다. 도전성 단자는, 기저부의 제2 에지로부터 제1 클램핑부의 연장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지고, 이어서 제2 에지에 평행하는 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비스듬히(obliquely)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클램핑부들을 더 포함한다. 절연 하우징은, 제1 삽입 슬롯이 위치된 일단에 대향하는 장착 홈의 타단에 배치된 제2 삽입 슬롯을 더 포함한다. 제2 클램핑부들 사이의 공간은 제2 삽입 슬롯과 연통되고, 도전성 단자와 정합되도록 구성된 정합(mating) 도전성 단자는 제2 삽입 슬롯에 삽입되어, 제2 클램핑부에 의해 클램핑된다.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한 쌍의 제2 클램핑부들의 단부들에는 정합 도전성 단자를 견고하게 클램핑하기 위해 서로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들(protrusions)이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절연 하우징의 본체부에는 와이어의 삽입 방향으로 잠금부(lock portion)가 제공되고, 잠금부는 정합 도전성 단자를 잠그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기저부는 2개의 대향하는 제1 에지들 및 2개의 대향하는 제2 에지들을 포함하고, 도전성 단자는, 기저부가 위치된 평면에 수직인 기저부의 제1 에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쌍들의 제1 클램핑부들을 각각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제1 클램핑부의 중간에, 와이어-클램핑 홈(wire-clamping groove)가 제공되고, 와이어-클램핑 홈은 와이어-클램핑 홈에 삽입된 와이어를 클램핑한다.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제1 클램핑부에는 와이어-클램핑 홈의 상위단(upper end)의 와이어-관통부(wire-penetrating portion)가 제공된다. 와이어가 도전성 단자에 삽입될 때, 와이어-관통부는 와이어의 도전체를 노출시키기 위해 와이어의 절연층을 관통하여, 와이어의 도전체가 도전성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한 쌍의 제1 클램핑부의 양측들 중 적어도 일측에는, 도전성 단자가 절연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로 연장되는 정지부(stop)가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상에 따라, 절연층을 갖는 와이어를 보유하도록 적응된 커넥터 하우징이 제공되고, 커넥터 하우징은: 적어도 2개의 격벽들을 포함하는 본체부 ― 장착 홈은 2개의 격벽들 사이에 형성되고, 도전성 단자를 수용하도록 구성됨 ― ; 및 장착 홈의 일단에서 2개의 격벽들 중 적어도 하나의 격벽 상에 형성되고, 2개의 격벽들 중 다른 격벽을 향해 돌출되는 제한부를 포함한다. 제한부는, 장착 홈으로부터 와이어의 제거를 저지하기 위해 와이어의 절연층에 대해 강성이 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제한부는, 장착 홈의 측벽이 위치된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경사진 안내면 및 제한면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목적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취해질 때 본 개시내용의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며, 본 개시내용의 포괄적인 이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상기 및 다른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내용의 상세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함으로써 더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의 또 다른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커넥터의 추가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커넥터의 도전성 단자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커넥터의 절연 하우징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절연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절연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절연 하우징의 배면도이다.
본 개시내용의 기술적 해결책은,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취해진 다음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이후에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들을 나타낸다.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이후의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설명은 본 개시내용의 일반적인 발명 개념을 설명하도록 의도되고,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게다가,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의 목적을 위해, 많은 특정 세부사항들은 개시된 실시예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이 또한 이들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자명할 것이다. 다른 사례들에서, 도면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잘 알려진 구조들 및 디바이스들은 개략적으로 예시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반적인 기술 개념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단자 및 절연 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도전성 단자는 기저부 및 적어도 한 쌍의 제1 클램핑부들을 포함하며, 적어도 한 쌍의 제1 클램핑부들은, 기저부 상에 형성되며, 적어도 한 쌍의 제1 클램핑부들에 삽입된 와이어를 클램핑하여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절연 하우징은 본체부를 포함하고, 본체부는 적어도 2개의 격벽들 ― 장착 홈은 2개의 격벽들 사이에 형성되고, 도전성 단자를 수용하도록 구성됨 ― , 및 장착 홈의 일단에서의 2개의 격벽들 중 적어도 하나의 격벽 상에 형성되고, 2개의 격벽들 중 다른 격벽을 향해 돌출되는 제한부를 포함하고, 제한부는, 와이어가 장착 홈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의 절연층에 대해 강성이 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예시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커넥터의 또 다른 예시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커넥터의 추가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단자(10) 및 절연 하우징(20)을 포함하는 커넥터(100)가 제공된다.
도 4는 도 1의 커넥터의 도전성 단자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각각의 도전성 단자(10)는 단일 도전성 시트, 예컨대, 구리 시트로만 형성된다. 즉, 도전성 단자(10)가 접히지 않은 경우에, 이것은 한 장의 도전성 시트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도전성 단자(10)는 기저부(11) 및 2개의 쌍들의 제1 클램핑부들(12)을 포함한다. 기저부(11)는 2개의 대향하는 제1 에지들(111) 및 제1 에지들(111)에 수직인 2개의 대향하는 제2 에지들(112)을 포함한다. 각각의 쌍의 제1 클램핑부들(12)은, 그 안에 삽입된 와이어를 클램핑하여 연결하기 위해, 기저부(11)가 위치된 평면에 수직인 기저부(11)의 제1 에지들(111)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1 클램핑부(12)의 중간에, 와이어-클램핑 홈(121)이 형성되며, 와이어-클램핑 홈(121)은 와이어-클램핑 홈(121)에 삽입된 와이어를 클램핑한다. 또한, 제1 클램핑부(12)에는 와이어-클램핑 홈(121)의 상위단에 와이어-관통부(122)가 제공된다. 와이어가 도전성 단자(10)에 삽입되는 동안, 와이어-관통부(122)는 와이어의 도전체를 노출시키기 위해 와이어의 절연층을 관통하고, 도전체가 와이어-클램핑 홈(121)에 추가로 삽입될 때, 도전체가 도전성 단자(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와이어는 도전성 단자(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한 쌍의 제1 클램핑부(12)의 양측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도전성 단자(10)가 절연 하우징(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부 연장되는 정지부(123)가 제공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클램핑부(12)의 양측들에는 각각 정지부들(123)이 제공된다.
도 5는 도 1의 커넥터의 절연 하우징의 예시적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절연 하우징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절연 하우징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절연 하우징의 배면도이다.
도 5-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하우징(20)은 적어도 2개의 격벽들(22)을 포함하는 본체부(21)를 포함한다. 장착 홈(23)은 2개의 격벽들(22) 사이에 형성되고, 도전성 단자(10)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제한부(26)는 장착 홈(23)의 일단에서 2개의 격벽들(22) 중 적어도 하나의 격벽 상에 형성되고, 2개의 격벽들 중 다른 격벽을 향해 돌출된다. 제한부는 와이어의 절연층에 대해 강성이 되도록 구성되어, 와이어는, 와이어가 와이어의 삽입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당겨질 때, 장착 홈(23)에 삽입된 와이어가 장착 홈(23)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한부(26)를 통과하고 장착 홈(23)에 진입하는 동안, 방사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제한부들(26)은 장착 홈(23)의 일단에서 둘 모두의 격벽들(22) 상에 각각 형성되고, 이로써 와이어가 와이어의 삽입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당겨질 때, 장착 홈(23)에 삽입된 와이어가 장착 홈(23)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신뢰할 수 있게 방지한다.
도 5-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장착 홈(23)은 제한부(26)가 형성된 그의 일단에 제1 삽입 슬롯(24)를 갖게 형성되고, 제한부(26)는 제1 삽입 슬롯(24)의 2개의 대향하는 측벽들에 형성된다. 도전성 단자(10)가 장착 홈(23)에 장착될 때, 제1 삽입 슬롯(24)의 바닥은 도전성 단자(10)의 제1 클램핑부(12)의 바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flush)이다.
도 5-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한부(26)는, 제한부(26)가 와이어의 절연층에 대해 강성을 나타내도록, 와이어의 축 방향으로 제1 삽입 슬롯(24)을 통해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제한부(26)는, 제한부(26)가 와이어의 절연층에 대해 강성을 나타내는 충분한 넓은 단면을 갖는다. 이러한 어레인지먼트를 사용하여, 와이어가 장착 홈(23) 또는 제1 삽입 슬롯(24)에 삽입될 때, 제한부(26)는 변형되지 않고, 대신에 와이어의 절연층은 장착 홈(23) 또는 제1 삽입 슬롯(24)에 완전히 진입되도록 변형되고, 따라서, 와이어에 대한 제한부의 제한 효과를 향상시킨다. 따라서, 와이어는, 그의 삽입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당겨질 때, 절연 하우징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5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한부(26)는, 장착 홈(23)의 측벽이 위치된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한면(262) 및 경사진 안내면(261)을 포함한다. 와이어가 장착 홈(23) 또는 제1 삽입 슬롯(24)에 삽입될 때, 안내면(261)은 장착 홈(23)의 측벽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와이어를 안내하고; 삽입력이 증가함에 따라, 와이어의 절연층은 와이어가 제1 삽입 슬롯(24)에 진입할 때까지 변형되고; 이후에, 와이어의 절연층은 변형으로부터 회복되고, 이때에 와이어가 제1 삽입 슬롯(24)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한면(262)이 와이어를 차단한다.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장착 홈(23)의 측벽에는 제1 클램핑부들(12)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수용 홈들(25)이 각각 제공된다. 제1 클램핑부(12)가 수용 홈(25)에 수용됨으로써, 도전성 단자(10)가 절연 하우징(20)에 보유된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수용 홈(receiving groove)은, 정지부(123)가 제공된 제1 클램핑부(12)를 수용하는 절연 하우징(20)의 수용 홈(25)의 단부에 형성되고, 절연 하우징(20)에 도전성 단자(10)를 견고하게 보유하기 위해 도전성 단자(10)의 정지부(123)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전성 단자(10)는, 기저부(11)의 제2 에지(112)로부터 제1 클램핑부(12)의 연장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지고, 이어서 제2 에지(112)에 평행하는 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클램핑부들(13)을 더 포함한다. 도 5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절연 하우징(20)은, 제1 삽입 슬롯(24)이 위치된 단부에 대향하는 장착 홈(23)의 타단에 배치된 제2 삽입 슬롯(27)을 더 포함한다. 도전성 단자(10)가 절연 하우징(20)에 장착되면, 제2 클램핑부들(13) 사이의 공간은 제2 삽입 슬롯(27)과 연통된다. 도전성 단자(10)와 정합되도록 구성된 정합 도전성 단자는, 도전성 단자(10)가 정합 도전성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2 삽입 슬롯(27)에 삽입되어, 제2 클램핑부(13)에 의해 클램핑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한 쌍의 제2 클램핑부들(13)의 단부들에는, 정합 도전성 단자를 견고하게 클램핑하기 위해 서로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들(131)이 제공된다.
도 5-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절연 하우징(20)의 본체부(21)에는 와이어의 삽입 방향으로 잠금부(28)를 제공되고, 잠금부(28)는 도전성 단자(10)와 맞물리는 정합 도전성 단자를 잠그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절연 하우징(20)을 사용하여, 와이어는 절연 하우징 내에 견고하게 보유될 수 있고, 와이어는, 그의 삽입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당겨질 때, 절연 하우징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이 방지된다.
위의 실시예들이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된다는 것이 당업자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하고, 당업자들에 의해 위의 실시예들에 대해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고,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구조들은, 구성 및 원리가 충돌하지 않고서, 서로 자유롭게 결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도면들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예시하도록 의도되며,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반적인 개념의 일부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들은, 본 개시내용의 원리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남 없이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해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본 개시내용의 범위는 청구항들 및 그들의 등가물들에 정의된다.
"포함하는" 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다른 엘리먼트들 또는 단계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단수 형태의 용어는 복수의 엘리먼트들 또는 단계들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청구항들에서의 임의의 참조 번호들은 본 개시내용에 대한 제한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14)

  1.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단자(conductive terminal)(10) ―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단자(10) 각각은: 기저부(base portion)(11); 및 적어도 한 쌍의 제1 클램핑부들(clamping portions)(12)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제1 클램핑부들(12)은, 상기 기저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제1 클램핑부들(12)에 삽입된 와이어를 클램핑하여 연결하도록 구성됨 ― ; 및
    본체부(body portion)(21)를 포함하는 절연 하우징(insulation housing)(20)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21)는:
    적어도 2개의 격벽들(partition walls)(22) ― 장착 홈(mounting groove)(23)은 2개의 격벽들(22)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도전성 단자(10)를 수용하도록 구성됨 ― , 및
    상기 장착 홈(23)의 일단에서의 상기 2개의 격벽들(22) 중 적어도 하나의 격벽 상에 형성되고, 상기 2개의 격벽들(22) 중 다른 격벽을 향해 돌출되는 제한부(limit portion)(26)를 포함하고,
    상기 제한부(26)는, 상기 와이어가 상기 장착 홈(23)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와이어의 절연층에 대해 강성(rigid)이 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10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홈(23)의 단부에는 제1 삽입 슬롯(insertion slot)(24)이 제공되고, 상기 제1 삽입 슬롯(24)의 바닥은 상기 제1 클램핑부(12)의 바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flush)이고, 상기 제한부(26)는 상기 제1 삽입 슬롯(24)의 2개의 대향하는 측벽들 상에 형성되는,
    커넥터(100).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26)는 상기 와이어의 축 방향으로 상기 제1 삽입 슬롯(24)을 통해 연장되는,
    커넥터(100).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26)는, 상기 장착 홈(23)의 측벽이 위치된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경사진 안내면(inclined guide surface)(261) 및 제한면(limit surface)(262)을 포함하는,
    커넥터(100).
  5.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홈(23)의 측벽은, 상기 절연 하우징(20)에서 상기 도전성 단자(10)를 보유하기 위해 상기 제1 클램핑부(12)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수용 홈(accommodating groove)(25)으로 형성되는,
    커넥터(100).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11)는 2개의 대향하는 제1 에지들(111) 및 2개의 대향하는 제2 에지들(112)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단자(10)는, 상기 기저부(11)가 위치된 평면에 수직인 상기 기저부(11)의 상기 제1 에지(111)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쌍들의 제1 클램핑부들(12)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단자(10)는, 상기 기저부(11)의 상기 제2 에지(112)로부터 상기 제1 클램핑부(11)의 연장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지고, 이어서 상기 제2 에지(112)에 평행하는 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비스듬히(obliquely)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클램핑부들(1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절연 하우징(20)은, 상기 제1 삽입 슬롯(24)이 위치된 일단에 대향하는 상기 장착 홈(23)의 타단에 배치된 제2 삽입 슬롯(27)을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2 클램핑부들(13) 사이의 공간은 상기 제2 삽입 슬롯(27)과 연통되고, 상기 도전성 단자(10)와 정합되도록 구성된 정합(mating) 도전성 단자는 상기 제2 삽입 슬롯(27)에 삽입되어, 상기 제2 클램핑부(13)에 의해 클램핑되는,
    커넥터(100).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 클램핑부들(13)의 단부들에는 상기 정합 도전성 단자를 견고하게 클램핑하기 위해 서로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들(protrusions)(131)이 제공되는,
    커넥터(100).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하우징(20)의 본체부(21)에는 상기 와이어의 삽입 방향으로 잠금부(lock portion)(28)가 제공되고, 상기 잠금부(28)는 상기 정합 도전성 단자를 잠그도록 구성되는,
    커넥터(100).
  9.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11)는 2개의 대향하는 제1 에지들(111) 및 2개의 대향하는 제2 에지들(112)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단자(10)는, 상기 기저부(11)가 위치된 평면에 수직인 상기 기저부(11)의 상기 제1 에지(111)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쌍들의 제1 클램핑부들(12)을 각각 포함하는,
    커넥터(100).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핑부(12)의 중간에, 와이어-클램핑 홈(wire-clamping groove)(121)이 제공되고, 상기 와이어-클램핑 홈(121)은 상기 와이어-클램핑 홈(121)에 삽입된 상기 와이어를 클램핑하는,
    커넥터(100).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핑부(12)에는 상기 와이어-클램핑 홈(121)의 상위단의 와이어-관통부(wire-penetrating portion)(122)가 제공되고, 그리고
    상기 와이어가 상기 도전성 단자(10)에 삽입될 때, 상기 와이어-관통부(122)는 상기 와이어의 도전체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와이어의 상기 절연층을 관통하여, 상기 와이어의 도전체가 상기 도전성 단자(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100).
  12. 제9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제1 클램핑부(12)의 양측들 중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도전성 단자(10)가 상기 절연 하우징(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로 연장되는 정지부(stop)(123)가 제공되는,
    커넥터(100).
  13. 절연층을 갖는 와이어를 보유하도록 적응된 커넥터 하우징(20)으로서,
    적어도 2개의 격벽들(22)을 포함하는 본체부(21) ― 장착 홈(23)은 2개의 격벽들(22) 사이에 형성되고, 도전성 단자(10)를 수용하도록 구성됨 ― , 및
    상기 장착 홈(23)의 일단에서 상기 2개의 격벽들(22) 중 적어도 하나의 격벽 상에 형성되고, 상기 2개의 격벽들(22) 중 다른 격벽(22)을 향해 돌출되는 제한부(26)를 포함하고,
    상기 제한부(26)는, 상기 장착 홈(23)으로부터 상기 와이어의 제거를 저지하기 위해 상기 와이어의 상기 절연층에 대해 강성이 되도록 구성되는,
    절연층을 갖는 와이어를 보유하도록 적응된 커넥터 하우징(20).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26)는, 상기 장착 홈(23)의 측벽이 위치된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경사진 안내면(261) 및 제한면(262)을 포함하는,
    절연층을 갖는 와이어를 보유하도록 적응된 커넥터 하우징(20).
KR1020190021973A 2018-02-26 2019-02-25 커넥터 및 그의 커넥터 하우징 KR201901030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20272005.3 2018-02-26
CN201820272005.3U CN208226137U (zh) 2018-02-26 2018-02-26 连接器及其连接器壳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038A true KR20190103038A (ko) 2019-09-04

Family

ID=64530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973A KR20190103038A (ko) 2018-02-26 2019-02-25 커넥터 및 그의 커넥터 하우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362264B2 (ko)
KR (1) KR20190103038A (ko)
CN (1) CN208226137U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1189A (en) * 1977-06-01 1978-07-18 Amp Incorporated Discrete wire interconnections for connector blocks
JP2003217700A (ja) * 2002-01-24 2003-07-31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圧接端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374288B2 (ja) * 2004-04-19 2009-12-02 ケル株式会社 電線圧接型コネクタ
JP2015232932A (ja) * 2014-06-09 2015-12-2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ソケット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8226137U (zh) 2018-12-11
JP7362264B2 (ja) 2023-10-17
JP2019149372A (ja) 2019-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0191B1 (en) Plug and connector assembly
US7520760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blade terminals
US10170857B2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US9608353B1 (en) Conductive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11121509B2 (en) Electrical connector
US7090543B2 (en) Wire harness connector
CN113497397B (zh) 一种连接器
CN113451808A (zh) 电连接装置及端子
TWM544135U (zh) 銅排連接器及端子組件
US9312650B1 (en) Plug connector, receptacle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8851928B2 (en) Electrical connector
US9882303B1 (en)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y
US11843192B2 (en) High voltage contact system
US6821164B2 (en)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a tab-receiving insulated spring sleeve and a dual contact with pairs of spaced apart contact members and tails
KR20190103038A (ko) 커넥터 및 그의 커넥터 하우징
TWI801957B (zh) 電連接器
CN211456145U (zh) 连接器组件
CN110867689A (zh) 具有导光管的高速插座电连接器组件
TW202130050A (zh) 電連接器
CN217589697U (zh) 连接器及连接器组件
US20230170650A1 (en) Connector assembly
CN215343264U (zh) 一种电性连接件及可自由拼装的柔性发热地毯
CN214797808U (zh) 电连接器
CN218731986U (zh) 一种连接器
CN212908215U (zh) 电极接插装置和电气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