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2888A - 동축 반사형 회절 검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동축 반사형 회절 검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2888A
KR20190102888A KR1020180023928A KR20180023928A KR20190102888A KR 20190102888 A KR20190102888 A KR 20190102888A KR 1020180023928 A KR1020180023928 A KR 1020180023928A KR 20180023928 A KR20180023928 A KR 20180023928A KR 20190102888 A KR20190102888 A KR 20190102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light
mask pattern
angle
wave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3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0936B1 (ko
Inventor
최용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반도체
Priority to KR1020180023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936B1/ko
Publication of KR20190102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01N21/4788Diffra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255Details, e.g. use of specially adapted sources, lighting or optical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006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for splitting or combining different wavelength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021/1765Method using an image detector and processing of image sign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축 반사형 회절광을 이용하여 마스크 등의 마스크 패턴의 회절 이미지 검사를 신뢰도 높게 수행할 수 있는 동축 반사형 회전검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마스크 패턴에 설정된 각도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분배하는 스플리터;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어 반사된 빛의 이미지를 상기 스플리터로 통해 촬상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마스크 패턴에 조사되는 상기 광원의 각도를 조절하는 광원 각도 조절부; 및 상기 광원의 조사 각도를 조절하여 마스크 패턴에 조사되는 빛이 보강간섭을 일으키는 지점에서의 상기 광원이 상기 마스크 패턴의 수선에 대하여 이루는 입사각도(θ)와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의 파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마스크 패턴의 피치값(P)을 연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동축 반사형 회절광을 이용하여 마스크 등의 반도체 패턴의 회절 이미지 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이미지를 신뢰도 높게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동축 반사형 회절 검사 장치 및 방법{APPARTUS AND METHOD FOR INSFECTING DIFFRACTION OF COAXIAL REFLECTION TYPE}
본 발명은 동축 반사형 회전검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축 반사형 회절광을 이용하여 마스크 등의 마스크 패턴의 회절 이미지 검사를 신뢰도 높게 수행할 수 있는 동축 반사형 회전검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회절격자는 슬릿이 같은 간격으로 무수히 많이 배열되어 있는 일종의 다중슬릿이다. 이 슬릿들을 통과하는 빛들이 서로 일정한 위상 차이를 하고 있어 보강간섭이나 소멸간섭이 극단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1785년 미국의 리텐하우스(D. Rittenhouse)에 의해 별의 스펙트럼을 분석하기 위하여 고안되었다. 그리고 얼마 후에 프라운호퍼(J. von Fraunhofer)에 의해 다시 발견되었으며 광학의 발전과 더불어 계속 발전하여 투과형뿐만 아니라 반사형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현재는 빛의 파장을 분석하기 위한 장치로서의 회절 검사 장치는 적외선 영역까지 포함하고, 분광기(spectrometer)의 핵심적인 소자가 되어 있다.
회절 검사 장치에 있어서 검사는 브라이트 필드(bright field)와 다크필드(dark field)로 구분된다. 브라이트 필드의 경우에는 결상 이미지를 통해 마스크 패턴을 분석한다. 다크필드의 경우에는 한계 해상도 이상의 돌출 이물 검사를 진행한다. 그러나, 브라이트 필드의 경우에는 최대해상도를 찾기 위해서는 회절 검사 장치를 조정하여 최적조건을 구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 소요가 많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크필드(dark field)의 경우에는 돌출 또는 이물질을 찾아내기 위한 과정이므로 평면에 대한 검사만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18465호 "반도체 패키지 검사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동축 반사형 회절광을 이용하여 마스크 등의 마스크 패턴의 회절 이미지 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이미지를 신뢰도 높게 검출할 수 있는 동축 반사형 회전검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동축 반사형 회전검사 장치는, 마스크 패턴에 설정된 각도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분배하는 스플리터;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어 반사된 빛의 이미지를 상기 스플리터로 통해 촬상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마스크 패턴에 조사되는 상기 광원의 각도를 조절하는 광원 각도 조절부; 및 상기 광원의 조사 각도를 조절하여 마스크 패턴에 조사되는 빛이 보강간섭을 일으키는 지점에서의 상기 광원이 상기 마스크 패턴의 수선에 대하여 이루는 입사각도(θ)와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의 파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마스크 패턴의 피치값을 연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광원은, 방사되는 빛의 파장을 조절 가능한 파장을 가변시킬 수 있는 가변 파장 램프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산부는, 상기 광원이 상기 마스크 패턴의 수선에 대하여 이루는 입사각도(θ)와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의 파장 정보를 이용하여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상기 반사된 빛의 이미지에 의해 측정된 패턴의 피치값(P)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수학식에서 m은 자연수를 나타내며, P는 반사된 빛의 이미지에 의해 측정된 마스크 패턴의 피치값을 나타내고, θ는 광원이 상기 마스크 패턴의 수선에 대하여 이루는 입사각도를 나타내며, λ는 상기 광원에서 방사되는 빛의 파장을 나타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동축 반사형 회전검사 방법은, 광원의 각도 및 광원에 의해 방사되는 빛의 파장을 조정하여 마스크 패턴에 보강간섭을 발생시키는 단계; 이미지 센서는 최대의 보강간섭이 발생하는 지점을 추적하는 단계; 최대의 보강간섭이 발생하였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최대의 보강간섭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최대의 보강간섭이 발생한 지점에서의 광원이 상기 마스크 패턴의 수선에 대하여 이루는 입사각도(θ) 및 광원에 의해 방사되는 빛의 파장(λ)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광원이 상기 마스크 패턴의 수선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θ)와 광원으로부터 광원의 파장(λ)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마스크 패턴의 피치(pitch)값(P)을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광원이 상기 마스크 패턴의 수선에 대하여 이루는 입사각도(θ)와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의 파장 정보를 이용하여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상기 반사된 빛의 이미지에 의해 측정된 패턴의 피치값(P)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동축 반사형 회절 검사 방법.
Figure pat00002
상기 수학식에서 m은 자연수를 나타내며, P는 반사된 빛의 이미지에 의해 측정된 패턴의 피치값을 나타내고, θ는 광원이 상기 마스크 패턴의 수선에 대하여 이루는 입사각도를 나타내며, λ는 상기 광원의 파장을 나타냄.
본 발명의 동축 반사형 회절 검사 장치 및 방법은 동축 반사형 회절광을 이용하여 마스크 등의 반도체 패턴의 회절 이미지 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이미지를 신뢰도 높게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마스크 패턴에 대하여 동축 반사형 회절검사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동축 반사형 회절검사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동축 반사형 회절검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패턴에 대하여 동축 반사형 회절검사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동축 반사형 회절검사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동축 반사형 회전검사 장치는 광원(100), 스플리터(200), 이미지 센서(300) 및 광원 조절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원(100)은 마스크의 패턴(110)에 일정하게 설정된 각도로 상기 방사되는 빛을 조사한다.
광원(100)은 빛의 파장을 가변시켜 조사시킬 수 있다. 광원(100)은 방사되는 빛의 파장을 조절 가능한 파장을 가변시킬 수 있는 가변 파장 램프를 사용할 수 있다. 광원(100)은 다수개의 광원이 밀집하여 형성된 형태로 구성하여 다수 종류의 파장의 빛을 방사시킬 수 있다.
스플리터(200)는 광원(100)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분배하고 상기 마스크 패턴에 결상된 이미지를 분배하여 이미지 센서(300)로 보낸다.
스플리터(200)에서 분배된 빛은 마스크 패턴(110)에 반사되면서 동시에 회절이 발생한다.
이미지 센서(300)는 광원(100)으로부터 조사되어 마스크 패턴(110)에 의해 반사된 이미지를 상기 스플리터(200)로부터 받아 촬상한다. 이미지 센서(300)는 광원(100)과 스플리터(200)에 동기되어 함께 움직이면서 마스크 패턴(110)에 생선된 회절에 의해 발생한 이미지를 촬상한다.
광원 각도 조절부(400)는 광원(100)이 상기 마스크 패턴에 조사되는 각도를 조절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플리터(200)와 이미지 센서(300)는 광원 각도 조절부(400)와 동기되어 움직인다.
연산부(500)는 광원 각도 조절부에 의해 조절되는 광원(100)의 조사 각도에 대한 정보, 특히, 상기 광원이 상기 마스크 패턴의 수선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θ)를 상기 광원 각도 조절부(400)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광원(100)으로부터 광원의 파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마스크 패턴의 피치(pitch)값(P)을 연산한다.
연산부(500)는 보강간섭을 발생되는 경우의 인접광과의 거리를 구하는 다음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구한다. 수힉식 1은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3
상기 수학식에서 m은 자연수를 나타내며, P는 반사된 빛의 이미지에 의해 측정된 마스크 패턴의 피치값(pitch, 간격)을 나타내고, θ는 광원이 상기 마스크 패턴의 수선에 대하여 이루는 입사각도를 나타내며, λ는 상기 광원의 파장을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1에서 마스크 패턴의 피치값(P)으로 정리하면 다음의 수학식 2를 얻을 수 있다. 수학식 2는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4
연산부(500)는 마스크 패턴의 피치값(P)을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동축 반사형 회절검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S202단계에서 광원(100)의 각도 또는 광원(100)에 의해 방사되는 빛의 파장을 조정하여 마스크 패턴(110)에 보강간섭을 발생시킨다.
S204단계에서 이미지 센서(300)는 최대의 보강간섭이 발생하는 파장 및 광원(100)의 입사각도를 추적한다.
S206단계에서 최대의 보강간섭이 발생하였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206단계에서 최대의 보강간섭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최대의 보강간섭이 발생한 지점에서의 광원(100)의 각도 정보 및 광원(100)에 의해 방사되는 빛의 파장 정보를 수신한다(S208단계).
S210단계에서 수신된 상기 광원이 상기 마스크 패턴의 수선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θ)와 광원(100)으로부터 광원의 파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마스크 패턴의 피치(pitch)값(P)을 연산한다.
연산부(500)는 마스크 패턴의 피치값(P)을 전술한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예컨대, 자연수인 m은 1이고, θ는 60도의 사입사이고, 광원(100)의 파장이 193nm인 경우 대략 111nm의 마스크 패턴의 피치가 측정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광원 110 : 마스크 패턴
200 : 스플리터 300 : 이미지 센서
400 : 각도 조절부 500 : 연산부

Claims (5)

  1. 마스크 패턴에 설정된 각도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분배하는 스플리터;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어 반사된 빛의 이미지를 상기 스플리터로 통해 촬상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마스크 패턴에 조사되는 상기 광원의 각도를 조절하는 광원 각도 조절부; 및
    상기 광원의 조사 각도를 조절하여 마스크 패턴에 조사되는 빛이 보강간섭을 일으키는 지점에서의 상기 광원이 상기 마스크 패턴의 수선에 대하여 이루는 입사각도(θ)와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의 파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마스크 패턴의 피치값(P)을 연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동축 반사형 회절 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방사되는 빛의 파장을 조절 가능한 파장을 가변시킬 수 있는 가변 파장 램프를 사용하는 것인 동축 반사형 회절 검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광원이 상기 마스크 패턴의 수선에 대하여 이루는 입사각도(θ)와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의 파장 정보를 이용하여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상기 반사된 빛의 이미지에 의해 측정된 패턴의 피치값(P)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동축 반사형 회절 검사 장치.
    Figure pat00005

    상기 수학식에서 m은 자연수를 나타내며, P는 반사된 빛의 이미지에 의해 측정된 마스크 패턴의 피치값을 나타내고, θ는 광원이 상기 마스크 패턴의 수선에 대하여 이루는 입사각도를 나타내며, λ는 상기 광원에서 방사되는 빛의 파장을 나타냄
  4. 광원의 각도 및 광원에 의해 방사되는 빛의 파장을 조정하여 마스크 패턴에 보강간섭을 발생시키는 단계;
    이미지 센서는 최대의 보강간섭이 발생하는 지점을 추적하는 단계;
    최대의 보강간섭이 발생하였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최대의 보강간섭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최대의 보강간섭이 발생한 지점에서의 광원이 상기 마스크 패턴의 수선에 대하여 이루는 입사각도(θ) 및 광원에 의해 방사되는 빛의 파장(λ)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광원이 상기 마스크 패턴의 수선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θ)와 광원으로부터 광원의 파장(λ)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마스크 패턴의 피치(pitch)값(P)을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광원이 상기 마스크 패턴의 수선에 대하여 이루는 입사각도(θ)와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의 파장 정보를 이용하여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상기 반사된 빛의 이미지에 의해 측정된 패턴의 피치값(P)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Figure pat00006

    상기 수학식에서 m은 자연수를 나타내며, P는 반사된 빛의 이미지에 의해 측정된 패턴의 피치값을 나타내고, θ는 광원이 상기 마스크 패턴의 수선에 대하여 이루는 입사각도를 나타내며, λ는 상기 광원의 파장을 나타냄
KR1020180023928A 2018-02-27 2018-02-27 동축 반사형 회절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2110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928A KR102110936B1 (ko) 2018-02-27 2018-02-27 동축 반사형 회절 검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928A KR102110936B1 (ko) 2018-02-27 2018-02-27 동축 반사형 회절 검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888A true KR20190102888A (ko) 2019-09-04
KR102110936B1 KR102110936B1 (ko) 2020-05-14

Family

ID=67950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3928A KR102110936B1 (ko) 2018-02-27 2018-02-27 동축 반사형 회절 검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93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5330B1 (ko) * 1987-05-30 1990-07-27 주식회사금성사 무기질 원소의 농도 측정방법
KR20030032433A (ko) * 2001-10-18 2003-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박막 검사 방법 및 그 장치
JP2007240323A (ja) * 2006-03-08 2007-09-20 Toppan Printing Co Ltd 周期性パターンの欠陥検査方法及び欠陥検査装置
KR20130091660A (ko) * 2010-04-23 2013-08-19 브이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배향 처리 방법 및 배향 처리 장치
KR20140018465A (ko) 2012-07-30 2014-02-13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검사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5330B1 (ko) * 1987-05-30 1990-07-27 주식회사금성사 무기질 원소의 농도 측정방법
KR20030032433A (ko) * 2001-10-18 2003-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박막 검사 방법 및 그 장치
JP2007240323A (ja) * 2006-03-08 2007-09-20 Toppan Printing Co Ltd 周期性パターンの欠陥検査方法及び欠陥検査装置
KR20130091660A (ko) * 2010-04-23 2013-08-19 브이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배향 처리 방법 및 배향 처리 장치
KR20140018465A (ko) 2012-07-30 2014-02-13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검사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0936B1 (ko) 2020-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08053B (zh) 在度量衡系統中度量衡資料之前向饋送
US10062157B2 (en) Compressive sensing for metrology
CN105593973B (zh) 用于确定聚焦的方法及设备
TWI649628B (zh) 用於半導體目標之量測的微分方法及裝置
JP5199539B2 (ja) 焦点ずれ検出のためのマルチスペクトル技術
US10067072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peckle suppression in laser dark-field systems
JP5390075B2 (ja) X線を用いるオーバレイ計測
JP3654630B2 (ja) 半導体製造での微細構造表面の製造プロセスを光学的にコントロール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2006028978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ed critical dimension scatterometry
JP2018517932A (ja) 焦点感応オーバーレイターゲットを使用する焦点決定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20508568A5 (ko)
US11085754B2 (en) Enhancing metrology target information content
WO2020135540A1 (zh) 一种量子产率的测试方法
US9036895B2 (en) Method of inspecting wafer
US10648793B2 (en) Library expans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etrology
MX2014005207A (es) Dispositivo y metodo para la medicion tridimensional simultanea de superficies con varias longitudes de onda.
KR20200071563A (ko) Hsi 기반 검사 장치
KR101533588B1 (ko) 발광 소자 불량 검출 장치 및 방법
JP2007155379A (ja) 三次元形状計測装置および三次元形状計測方法
JP3971943B2 (ja) 光学的検査方法及び光学的検査システム
KR20190102888A (ko) 동축 반사형 회절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1664470B1 (ko) 빔 스플리터의 후면 반사를 이용한 다중 광경로 레이저 광학계
US10962951B2 (en) Process and metrology control, process indicators and root cause analysis tools based on landscape information
US10190868B2 (en) Metrology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employing automatic transitioning between utilizing a library and utilizing regression for measurement processing
US11713959B2 (en) Overlay metrology using spectroscopic ph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