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2428A - 플러그형 전선과 결합 가능한 나사형 전극 - Google Patents

플러그형 전선과 결합 가능한 나사형 전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2428A
KR20190102428A KR1020180022792A KR20180022792A KR20190102428A KR 20190102428 A KR20190102428 A KR 20190102428A KR 1020180022792 A KR1020180022792 A KR 1020180022792A KR 20180022792 A KR20180022792 A KR 20180022792A KR 20190102428 A KR20190102428 A KR 20190102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atient
wire
plu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2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5265B1 (ko
Inventor
이승훈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to KR1020180022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265B1/ko
Priority to PCT/KR2019/001990 priority patent/WO2019164223A1/ko
Priority to US15/733,546 priority patent/US20200390356A1/en
Publication of KR20190102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1Arrangements of electrodes with cords, cables or leads, e.g. single leads or patient cord assemblies
    • A61B5/273Connection of cords, cables or leads to electrodes
    • A61B5/047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91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293Invas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95Trepans or craniotomes, i.e. specially adapted for drilling thin bones such as the sku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1Arrangements of electrodes with cords, cables or leads, e.g. single leads or patient cord 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6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or implanted in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68Br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6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or implanted in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78B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26Head electrodes
    • A61N1/0529Electrodes for brain stim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09Special features of electrodes classified in A61B5/24, A61B5/25, A61B5/283, A61B5/291, A61B5/296, A61B5/05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2Manufacturing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sensors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125Manufacturing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sensors for in-vivo measur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e of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6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Details of structural supports for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22Arrangements of medical sensors with cables or leads; Connectors or couplings specifically adapted for medical sensors
    • A61B2562/225Connectors or couplings
    • A61B2562/227Sensors with electrical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4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 H01B7/048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for implantation into a human or animal body, e.g. pacemaker le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euro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ardiology (AREA)
  • Psychology (AREA)
  • Dentistr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형 전선과 결합 가능한 나사형 전극은. 환자의 두개골(skull)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나사선을 갖는 제 1 파트 및 제 1 파트와 연결된 소정의 길이의 제 2 파트를 포함하고, 제 1 파트의 전부 또는 일부에는 나사선이 마련되어 있으며, 제 2 파트에는 플러그형 전선이 연결될 수 있는 홈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Description

플러그형 전선과 결합 가능한 나사형 전극{THE SCREW TYPE ELECTRODE WHICH IS CONNECTED TO A PLUG TYPE WIRE}
본 발명은 플러그형 전선과 결합 가능한 나사형 전극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뇌 자극 또는 뇌파 측정 등을 위하여 환자의 뇌에 삽입될 수 있는 나사형 전극에 관한 것이다.
뇌파 검사(electroencephalography: EEG)는 뇌의 전기적 현상을 파악하여 뇌의 기능성 여부를 조사하는 검사법이다. 뇌에서의 전기적 현상은 매우 미소하고 복잡하므로, 정확하고 정밀한 뇌파를 측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뇌파의 기록은 두피 상에서 뇌파를 측정하여, 뇌파계 등에 의하여 증폭시킨 후 증폭된 신호를 해석하는 과정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뇌파 검사는 뇌전증 등의 뇌 질환에 대한 진단, 분류 및 치료 결과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국소적, 기질적 뇌 병변 존재 유무, 신경질환, 의식 장애 등과 같은 진단 시에도 유용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뇌에 전극을 직접 삽입하여 환자의 뇌를 자극함으로써 질환 등을 치료하는 뇌 자극술도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뇌파 검사, 뇌 자극술에 있어서는 신호의 정밀한 인가 및 추출이 핵심적이기 때문에 환자의 뇌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다양한 기법이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환자의 뇌에 대한 전극 삽입 또는 추출 과정에서 환자가 느낄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전극 삽입 또는 추출을 위한 시술 과정을 종래 대비 보다 단순히 하여 환자의 뇌 질환 진단, 치료 등의 효과를 더욱 배가시킬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76382호 (2011.10.18 등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형 전선과 결합 가능한 나사형 전극을 이용하여 수면 유도 하에서 간단한 시술을 통하여 환자의 두개골에 전극을 삽입하고, 삽입된 전극을 이용하여 뇌파 신호 측정, 뇌 자극 신호의 획득 등을 용이하게 달성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플러그형 전선과 결합 가능한 나사형 전극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형 전선과 결합 가능한 나사형 전극은. 환자의 두개골(skull)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나사선을 갖는 제 1 파트 및 제 1 파트와 연결된 소정의 길이의 제 2 파트를 포함하고, 제 1 파트의 전부 또는 일부에는 나사선이 마련되어 있으며, 제 2 파트에는 플러그형 전선이 연결될 수 있는 홈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 1 파트의 전부 또는 일부는 환자의 두개골에 삽입되어 환자의 뇌 표면에서의 신호를 검출하거나 환자의 뇌 자극을 위한 신호를 인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2 파트에 마련된 홈은 삼각 이상의 다각 형태의 홈이고, 전극을 환자의 두개골로 삽입하기 위하여 별도로 마련된 삽입 도구(예컨대, 스크루 드라이버)가 진입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 1 파트 및 제 2 파트의 외벽에는 소정 단위의 눈금이 표기되어 있을 수 있다.
플러그형 전선의 일 말단은 제 2 파트의 홈과 상응하는 다각 형상을 가지며, 일 말단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는 전선의 일 말단이 제 2 파트의 홈과 연결될 때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형 전선과 결합 가능한 나사형 전극을 이용하면, 드릴과 같은 중장비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수면 유도 하에서 사용자에 의한 간단한 시술(예컨대, 스크루 드라이버를 이용한 삽입 등)을 통하여 환자의 두개골로 전극을 종래 대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최소 침습을 통하여 환자의 두개골에 전극을 삽입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술과정을 보다 단축시킬 수 있고, 환자의 고통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삽입된 전극과 고정식으로 연결된 신호선을 이용하여 환자의 뇌파 신호를 측정하거나, 환자에게 뇌 자극 신호를 정밀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두개골로 삽입된 전극과 플러그형 전선은 이격됨이 없이 고정적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전극에 전선을 감는 방식과 대비하여 신호의 노이즈 발생을 최소화(예컨대,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뇌 삽입 전극 및 전선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의 (a) 측면도, (b) 사시도 및 (c) 전선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의 (a) 측면도, (b)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극에 표기된 눈금 등을 나타낸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자"는 의료 전문가로서 임상의 등을 지칭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뇌 삽입 전극 및 전선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의 (a) 측면도, (b) 사시도 및 (c) 전선을 나타낸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의 (a) 측면도, (b)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극에 표기된 눈금 등을 나타낸다.
도 1에서와 같이, 종래의 뇌 자극 또는 뇌파 측정을 위한 전극(10)은 전극(10)의 둘레에 신호선인 전선(20)을 감아서 사용하는 형태이다. 다시 말해서, 도 1에서와 같이 환자(1)의 두개골로 삽입될 나사 형상의 전극(10)일 수 있고, 이러한 전극(10)의 지주에는 전선(20)이 감기기 위한 굴곡진 형상(12)이 미리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전극(10)에 마련된 굴곡진 형상(12)에 단순히 전선(20)을 감아서 컴퓨팅 장치(30) 등을 통한 뇌파 측정 등에 사용하므로, 전극(10)과 전선(20) 간의 간극이 발생되어 신호의 잡음(noise)가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다시 말해서, 전극(10)과 전선(20)이 완전히 결합되지 못하거나, 전극(10)과 전선(20)이 결합되더라도 시술, 진단 등의 과정에서의 환자의 움직임 등에 따라 전극(10)과 전선(20) 간에 간극이 발생되어 뇌를 향하여 신호가 부정확하게 인가되거나 뇌로부터 수신될 신호에 잡음이 포함되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형 전선과 결합 가능한 나사형 전극을 이용하면 전술한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형 전선(200)과 결합 가능한 나사형 전극(100)은 환자의 뇌의 두피(예컨대, 도2의 b1 영역)를 뚫고 들어가서 두개골(예컨대, 도2의 b2 영역) 상에, 그 바로 아래 경막에 최대한 가깝게 삽입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100)은 환자의 대뇌(예컨대, 도2의 b3 영역) 바로 위까지 진입하여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100)의 제 1 파트 및 제 2 파트는 다양한 길이 값을 가지도록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 연령, 선천적 신체 구조 등에 따라 환자의 두피 두께(d1), 두개골의 두께(d2) 등이 각각 상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환자에 대하여 미리 획득된 영상(ex. CT, MRI 등)을 통하여 해당 환자의 두피 두께 등을 확인하고, 그에 맞는 전극(100)을 선택하여 시술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환자에 대한 영상에 기초하여 환자에게 전극을 삽입해야 하는 깊이 등을 미리 파악하고 숙지할 수 있다. 이러한 사전 파악된 깊이값 만큼 전극을 삽입함으로써, 불필요한 시술 시간 낭비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100)의 제 1 파트 및 제 2 파트는 다양한 길이 값을 가지도록 미리 제조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형 전선(200)과 결합 가능한 나사형 전극(100)은. 환자의 두개골(skull)(1)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나사선을 갖는 제 1 파트(110) 및 제 1 파트(110)와 연결된 소정의 길이의 제 2 파트(120)를 포함하고, 제 1 파트(110)의 전부 또는 일부에는 나사선이 마련되어 있으며, 제 2 파트(120)에는 플러그형 전선이 연결될 수 있는 홈(130)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제 1 파트(110)에는 나사선이 마련된 부분(l1)과 나사선이 마련되지 않은 매끈한 부분(l2)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사선이 마련된 부분(l1)의 길이값(l1)은 9.6 내지 13 밀리미터(mm)의 범위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1 파트(110)의 길이값(l2)은 13 내지 21 밀리미터의 범위값을 가질 수 있다. 전극(100)의 전체 길이값(l3)은 22.8 내지 30.8 밀리미터의 범위값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범위값은 설명을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해당 수치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범위값은 전극(100)의 사용 목적(예컨대, 진단 부위, 시술 목적 등)에 따라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개별 환자에 따라서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다양한 크기의 전극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 1 파트(1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환자의 두개골에 삽입되어 환자의 뇌 표면에서의 신호를 검출하거나 환자의 뇌 자극을 위한 신호를 인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환자의 뇌로부터 신호를 검출하거나 뇌를 향하여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로드가 전극(100)내에 추가적으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로드는 전선(200)의 일 단부로부터 전극(100)의 말단을 향하여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로드는 전선(200)으로부터 전극(100)의 말단에 가까워질수록 두꺼워지는 형상(예컨대, 단면이 사다리꼴인 원 기둥 형상 등)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전자기적 영향이 최소화된 이러한 로드를 통하여 환자의 뇌에 대한 신호 송수신이 종래 대비 보다 정밀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파트(120)에는 플러그형 전선이 연결될 수 있는 홈(130)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이러한 홈은 삼각 이상의 다각 형태의 홈일 수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제 2 파트(120)에는 전선의 일 말단이 결합될 수 있는 홈(130)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환자의 두개골로 전극을 삽입한 후, 전극에 마련된 홈(130)에 전선(200)의 일 말단을 삽입함으로써 전극(100)과 전선(200)을 손쉽게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전극(100)과 전선(200)의 연결(결합)은 시술, 진단 등의 과정에서 환자가 움직이거나, 전극(100)이나 전선(200)이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더라도 움직이지 않고, 최초 설치 위치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이다.
또한, 제 2 파트(120)의 홈에는 전선(200)의 고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hole)(131)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의 (b)에서와 같이 이러한 홀(131)은 제 2 파트(120)의 상단부 측 내벽 1면 또는 그 이상의 면에 1열로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홀(131)은 제 2 파트(120)의 내벽 전체 면을 둘러 2열 이상으로 마련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홀(131)의 개수 및 배치 열이 증가됨에 따라 전선(200)과 전극(100)의 결합 상태는 점점 더 굳건해질 수 있다. 이와 상응하게 전선(200)의 일 말단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220)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3의 (c)에서는 전선(200)의 일 말단(210)이 사각 기둥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전선(200)의 일 말단(210)은 ㄱ자 등과 같이 구부려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전선(200)의 일 말단(210)의 플러그 형상은 사각 기둥, ㄱ자 형상의 구부러진 형태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환자의 시술, 진단 또는 치료 자세, 환자에게 삽입될 전극의 삽입 위치 등에 따라 사각 기둥의 형태 또는 ㄱ자 형태의 플러그 모양의 말단을 갖는 전선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극(100)을 환자의 두개골로 삽입하기 위하여 별도로 마련된 삽입 도구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기계적 중장비인 드릴 이외에 스크루 드라이버 등과 같은 간단한 삽입 도구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환자의 두개골로 전극(100)을 손쉽게 삽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100)의 제 1 파트(110)에는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나사선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전극(100)을 환자의 두개골로 비교적 손쉽게 삽입할 수 있다. 이러한 삽입 도구는 제 2 파트(120)에 마련된 다각 형태의 홈과 상응하는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서와 같이 제 2 파트(120)에 사각형의 홈이 마련되어 있다면, 사용자는 사각 렌치, 사각 스크루 드라이버 등을 이용하여 손쉽게 전극(100)을 환자에게 식립(insertion)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러그형 전선(200)의 일 말단(210)은 제 2 파트(120)의 홈(130)과 상응하는 다각 형상을 가지며, 일 말단(2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220)가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선(200)의 일 말단(210)은 제 2 파트(120)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제 2 파트(120)의 홈(13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도 3에서와 같이, 제 2 파트(120)의 홈(130)이 사각 형태라면, 전선(200)의 일 말단(210)도 사각 형태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220)는 전선(200)의 일 말단(210)이 제 2 파트(120)의 홈(130)과 연결될 때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220)는 접촉 시 움직일 수 있는 볼 베어링, 철(凸) 형상처럼 구부러진 탄성부재 등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전선(200)의 일 말단(210)이 제 2 파트(120)의 홈(130)과 연결될 때 돌출부(220)가 움직이고, 이에 따라 돌출부(220)와 홀(131)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선(200)의 일 말단(210)에는 홀(131)과 결합된 돌출부(220)의 탈착을 위한 손잡이(230)가 추가적으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230)를 누름으로써 사용자는 돌출부(220)와 홀(131) 간에 간극을 생성하여 홀(131)로부터 돌출부(220)가 수월하게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도 3과는 또 다른 형태의 전극(100)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나사선을 갖는 제 1 파트(110)와 연결된 제 2 파트(120)는 원 기둥 등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제 2 파트(120)에는 전선의 일 말단(210)과의 결합을 위한 홈(130)이 마련되어 있으며, 제 2 파트(120)의 홀(131)과 결합된 돌출부(220)의 탈착을 돕기 위한 손잡이(133)가 추가적으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손잡이(133)가 사용자에 의하여 눌려짐에 따라 홀(131)로부터 돌출부(220)가 밀어내어 지고, 이에 따라 돌출부(220)는 홀(131)로부터 수월하게 이탈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133)는 도 3의 (b)에서도 마찬가지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파트(110) 및 제 2 파트(120)의 외벽에는 소정 단위의 눈금이 표기되어 있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파트(110) 및 제 2 파트(120)의 외벽에는 소정 단위의 눈금이 연속적으로 표기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1 밀리미터(mm), 0.1 인치(inch) 또는 0.001 피트(feet) 등과 같은 단위로 눈금이 연속적으로 표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눈금은 5 단위만큼 구분되어 표기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와 같이 5 단위만큼에 해당될 때 다른 눈금들과 구분될 더 긴 눈금이 표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5단위만큼 이격되어 표기된 더 긴 눈금은 다른 눈금들에 비하여 더 굵거나 다른 컬러로 표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른 눈금들의 굵기가 0.5 밀리미터를 갖는 경우, 더 긴 눈금은 1.5 밀리미터일 수 있다. 또한, 다른 눈금들이 검정색으로 표기되어 있을 때, 더 긴 눈금은 적색, 청색 등과 같은 별개의 컬러로 표기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삽입된 깊이를 나타내는 깊이값의 문자(예컨대, 숫자 등)가 눈금과 함께 표기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환자의 두개골로 전극(100)을 삽입할 때, 삽입된 정도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파트(110) 및 제 2 파트(120)의 외벽에는 상이한 컬러가 코팅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와 같이, 환자의 두개골에 전극(100)이 삽입된 깊이값 정도를 직관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컬러가 깊이값에 따라 외벽에 상이하게 코팅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전극(100)의 외벽 상의 가시적인 컬러를 보면서 환자의 두개골로 전극(100)을 삽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삽입된 정도를 직관적으로 예측(추정)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경막이나 뇌를 찔러 생길 수 있는 불필요한 합병증의 발생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시술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뇌파 측정 등에 있어서 두피와 두개골이라는 장애물이 있으므로, 뇌파 측정 시 이러한 장애 요건을 극복하고 정확하고 정밀하게 뇌파 측정 등을 수행하기 위한 방안은 반드시 요구된다. 뇌전증 수술 중 현재 시행되고 있는 경막하 전극(subdural grid: SDG) 삽입술(insertion)은 개두술을 동반하고, 그에 따른 출혈, 감염 등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침습적 뇌파 검사가 필요한 모든 환자에 대하여서 본 발명의 전극 삽입술이 경막하 전극 삽입술(SDG insertion)을 대체할 수 있는 것은 아니겠지만, 경막하 전극 삽입술 보다 덜 침습적으로 삽입하여 뇌파 측정, 뇌 자극 등으로 환자에 대한 임상적 정보를 획득하거나 질병을 치료할 수 있다면 이는 임상적으로도 의미가 클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형 전선과 결합 가능한 나사형 전극을 이용하면, 종래의 두피 뇌파검사(scalp EEG)보다 공간 분해능(spatial resolution)이 양호해질 수 있고, 또한 SDG 삽입술 보다 최소의 침습으로 환자에 대한 시술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기존의 scalp EEG, SDG 삽입술 보다 시술 시간이 대폭 단축되고, 환자에 대한 위해성이 축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면 유도 하에서 사용자에 의한 간단한 시술(예컨대, 스크루 드라이버 등을 이용한 삽입)을 통하여 환자의 두개골로 전극을 종래 대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특히 두피에 대한 대대적인 절개(incision) 없이도 전극을 두개골 내에 고정시킬 수 있고, 플러그 형태의 전선을 전극에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시술, 진단, 치료 과정에서의 전극의 탈부착이 매우 용이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최소 침습을 통하여 환자의 두개골에 전극을 삽입함으로써 정밀하게 뇌파를 획득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시술과정을 보다 단축시킬 수 있으며, 환자의 고통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삽입된 전극(100)과 고정식으로 연결된 신호선(200)을 이용하여 환자의 뇌파 신호를 측정하거나, 환자에게 뇌 자극 신호를 정밀하게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환자의 두개골로 삽입된 전극과 플러그형 전선은 이격됨이 없이 고정적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전극에 전선을 감는 방식과 대비하여 신호의 노이즈 발생을 최소화(예컨대,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삽입 및 사용 방법과 관련하여서는 전술한 장치(예컨대, 전극)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방법과 관련하여, 전술한 장치에 대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였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환자의 두상부
10: 종래의 나사형 전극
11: 종래의 나사형 전극의 회전력 제공부
12: 종래의 나사형 전극의 굴곡 부위
20: 종래의 전선(wire)
30: 컴퓨팅 장치
100: 플러그형 전선과 결합 가능한 나사형 전극
200: 플러그형 전선
110: 제 1 파트
120: 제 2 파트
130: 홈
131: 홀
210: 플러그형 전선의 말단부
220: 돌출부
133, 230: 손잡이

Claims (6)

  1. 플러그형 전선과 결합 가능한 나사형 전극으로서,
    환자의 두개골(skull)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나사선을 갖는 제 1 파트; 및
    상기 제 1 파트와 연결된 소정의 길이의 제 2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파트의 전부 또는 일부에는 상기 나사선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파트에는 플러그형 전선이 연결될 수 있는 홈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전선과 결합 가능한 나사형 전극.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트의 전부 또는 일부는 상기 환자의 두개골에 삽입되어 환자의 뇌 표면에서의 신호를 검출하거나 환자의 뇌 자극을 위한 신호를 인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전선과 결합 가능한 나사형 전극.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파트에 마련된 홈은 삼각 이상의 다각 형태의 홈이고,
    상기 전극을 상기 환자의 두개골로 삽입하기 위하여 별도로 마련된 삽입 도구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인 플러그형 전선과 결합 가능한 나사형 전극.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트 및 제 2 파트의 외벽에는 소정 단위의 눈금이 표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전선과 결합 가능한 나사형 전극.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형 전선의 일 말단은 상기 제 2 파트의 홈과 상응하는 다각 형상을 가지며,
    상기 일 말단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전선과 결합 가능한 나사형 전극.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는 상기 전선의 일 말단이 상기 제 2 파트의 홈과 연결될 때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전선과 결합 가능한 나사형 전극.
KR1020180022792A 2018-02-26 2018-02-26 플러그형 전선과 결합 가능한 나사형 전극 KR102035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792A KR102035265B1 (ko) 2018-02-26 2018-02-26 플러그형 전선과 결합 가능한 나사형 전극
PCT/KR2019/001990 WO2019164223A1 (ko) 2018-02-26 2019-02-19 플러그형 전선과 결합 가능한 나사형 전극
US15/733,546 US20200390356A1 (en) 2018-02-26 2019-02-19 Screw-type electrode couplable with plug-type wi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792A KR102035265B1 (ko) 2018-02-26 2018-02-26 플러그형 전선과 결합 가능한 나사형 전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428A true KR20190102428A (ko) 2019-09-04
KR102035265B1 KR102035265B1 (ko) 2019-10-22

Family

ID=67687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2792A KR102035265B1 (ko) 2018-02-26 2018-02-26 플러그형 전선과 결합 가능한 나사형 전극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390356A1 (ko)
KR (1) KR102035265B1 (ko)
WO (1) WO2019164223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4106A (ja) * 2005-06-01 2006-12-14 Nippon Medical School 双極刺激電極
KR20070106007A (ko) * 2005-02-24 2007-10-31 로우메딕 아게 뇌 파라미터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KR101076382B1 (ko) 2009-03-11 2011-11-07 광주과학기술원 대뇌피질 자극용 경막외 전극장치
KR20150024239A (ko) * 2013-08-26 2015-03-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삽입 장치
KR101645852B1 (ko) * 2015-02-05 2016-08-0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나사형 전극 및 나사형 전극을 이용한 뇌파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676577B1 (ko) * 2015-08-17 2016-11-1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뇌피질 뇌파와 뇌혈류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9241B1 (en) * 1998-04-30 2001-11-20 Medtronic, Inc. Techniques for positioning therapy delivery elements within a spinal cord or a brain
DE19928449C1 (de) * 1999-06-23 2001-03-08 Geot Ges Fuer Elektro Oseto Th Knochenschraube mit Vorrichtung zur Elektrostimulation
US7302298B2 (en) * 2002-11-27 2007-11-27 Northstar Neuroscience, Inc Methods and systems employing intracranial electrodes for neurostimulation and/or electroencephalography
WO2005000090A2 (en) * 2003-05-30 2005-01-06 Medi-Screw, Inc. Medical implant systems
JP2007325652A (ja) * 2006-06-06 2007-12-20 Univ Nihon 脳深部刺激装置
US8231620B2 (en) * 2009-02-10 2012-07-31 Tyco Healthcare Group Lp Extension cutting blade
US20110112436A1 (en) * 2009-11-06 2011-05-12 SpineSmith Partners, LP Distraction pins for fluid aspiration
GB2528271A (en) * 2014-07-15 2016-01-20 Voltrics Ltd An electrical connecto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6007A (ko) * 2005-02-24 2007-10-31 로우메딕 아게 뇌 파라미터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JP2006334106A (ja) * 2005-06-01 2006-12-14 Nippon Medical School 双極刺激電極
KR101076382B1 (ko) 2009-03-11 2011-11-07 광주과학기술원 대뇌피질 자극용 경막외 전극장치
KR20150024239A (ko) * 2013-08-26 2015-03-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삽입 장치
KR20150024236A (ko) * 2013-08-26 2015-03-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삽입 장치
KR101645852B1 (ko) * 2015-02-05 2016-08-0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나사형 전극 및 나사형 전극을 이용한 뇌파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676577B1 (ko) * 2015-08-17 2016-11-1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뇌피질 뇌파와 뇌혈류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90356A1 (en) 2020-12-17
KR102035265B1 (ko) 2019-10-22
WO2019164223A1 (ko) 2019-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chmidt et al. An initial transient-state and reliable measures of corticospinal excitability in TMS studies
US20200077950A1 (en) System and methods for performing percutaneous pedicle integrity assessments
EP1675508B1 (en) System for performing dynamic pedicle integrity assessments
EP1450681B1 (en) System for performing percutaneous pedicle integrity assessments
Stolk et al. Online and offline tools for head movement compensation in MEG
Carrubba et al. Evidence of a nonlinear human magnetic sense
Cuffin et al. Experimental tests of EEG source localization accuracy in spherical head models
US20200146573A1 (en) Systems and Methods of Electrode Switching for Neurophysiological Sensing and Stimulation
Kambara et al. Presurgical language mapping using event-related high-gamma activity: The Detroit procedure
AU2002353954A1 (en) System and methods for performing percutaneous pedicle integrity assessments
Hine et al. Does long-term unilateral deafness change auditory evoked potential asymmetries?
CN107735021B (zh) 在没有受试者参与的情况下快速映射语言功能和运动功能
Bowyer et al. Presurgical functional mapping with magnetoencephalography
Tang et al. Dual temporal encoding mechanisms in human auditory cortex: Evidence from MEG and EEG
KR102035265B1 (ko) 플러그형 전선과 결합 가능한 나사형 전극
Spooner et al. Retrospective comparison of motor and somatosensory MEG mapping—Considerations for better clinical applications
Szelényi et al. Experimental study of the course of threshold current, voltage and electrode impedance during stepwise stimulation from the skin surface to the human cortex
DE10233071B4 (de) Verfahren, Mobiltelefon und System zur Messung, zur Analyse und zur drahtlosen Übertragung von Herzpotentialen
Levin et al. High-resolution EEG
US2022000798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nitized devices placed at the bedside for temporary recording of intracranial eeg
Zvyagintsev et al. An automatic procedure for the analysis of electric and magnetic mismatch negativity based on anatomical brain mapping
Hartwig et al. A compatible electrocutaneous display for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lication
Dundon Characterization of Modulation and Coherence in Sensorimotor Rhythms Using Different Electroencephalographic Signal Derivations
CN112969428A (zh) 用于从受试者体内获取记录的装置、系统和方法
Ghosh Study of Stimulation Effects on Different Bands of EEG 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