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5852B1 - 나사형 전극 및 나사형 전극을 이용한 뇌파 측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나사형 전극 및 나사형 전극을 이용한 뇌파 측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5852B1
KR101645852B1 KR1020150018100A KR20150018100A KR101645852B1 KR 101645852 B1 KR101645852 B1 KR 101645852B1 KR 1020150018100 A KR1020150018100 A KR 1020150018100A KR 20150018100 A KR20150018100 A KR 20150018100A KR 101645852 B1 KR101645852 B1 KR 101645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brain
user
skull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8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표
김인영
이경민
이제연
최호석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18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8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91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047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6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or implanted in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68Bra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eurolog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나사형 전극 및 나사형 전극을 이용한 뇌파 측정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전극 장치는 두개골의 뇌피질 뇌파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자의 두개골에 삽입되는 몸체 영역; 및 상기 몸체 영역을 통해 흐르는 뇌피질 뇌파를 외부로 전달하는 머리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나사형 전극 및 나사형 전극을 이용한 뇌파 측정 장치 및 방법{SCREW SHAPED ELECTROD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BRAIN SIGNAL USING SCREW SHAPED ELECTRODE}
본 발명은 뇌파 측정용 전극, 및 전극을 이용한 뇌파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뇌피질 뇌파를 측정하는 전극 및 전극을 이용하여 뇌피질 뇌파를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뇌피질 뇌파(ECoG: electrocorticogram) 측정 기술은 임상에서 간질 등 뇌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 계획을 수립하거나 뇌기능을 검사하는데 사용되고 있는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구체적으로, 뇌피질 뇌파(ECoG) 측정 기술은 두개골(skull) 아래에 위치한 대뇌피질(cortex)에 흐르는 전기적 신호를 측정하는 기술이다. 이때, 뇌피질 뇌파는 뇌전도로 알려진 두피뇌파(EEG: electroencephalogram)에 비해 뇌파의 시간해상도와 공간해상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종래의 뇌피질 뇌파 측정 장치는 전극을 삽입할 부위의 두개골을 들어낸 후, 두개골의 아래에 패치 형태의 전극을 삽입하여 뇌피질 뇌파를 측정한다. 따라서, 뇌 전체에서 뇌피질 뇌파를 측정하기 위해선 두개골 전체를 들어내야 한다. 그러나, 두개골 전체를 들어내는 경우, 사용자의 생명이 위험하므로, 뇌 전체의 뇌피질 뇌파를 측정할 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두개골을 들어내지 않고 뇌피질 뇌파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두개골에 삽입되며, 끝부분이 대뇌피질 위에 위치한 경막에 접촉하여 사용자의 뇌피질 뇌파가 흐를 수 있는 전극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나사선 형상으로 구성되는 전극 장치를 사용자의 두개골에 삽입하여 전극의 끝을 대뇌피질 위에 위치한 경막에 접촉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뇌피질 뇌파를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장치는 뇌피질 뇌파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자의 두개골에 삽입되는 몸체 영역; 및 상기 몸체 영역을 통해 흐르는 뇌피질 뇌파를 외부로 전달하는 머리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장치의 몸체 영역은 나사선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장치의 몸체 영역은 상기 몸체 영역의 끝부분이 사용자의 대뇌피질의 상단에 존재하는 경막과 접촉하도록 상기 두개골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장치의 머리 영역은 상기 머리 영역이 사용자의 신체 및 이물질과 접촉하지 않도록 보호하는 보호 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장치의 머리 영역은 상기 몸체 영역을 통해 흐르는 뇌피질 뇌파를 뇌파 측정 장치로 전달하는 뇌파 전달 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장치의 몸체 영역은 상기 전극 장치가 삽입되는 두개골의 구멍에서 뇌척수액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출 방지 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파 측정 장치는 사용자의 두개골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대뇌피질의 상단에 존재하는 경막과 접촉한 전극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대뇌피질에 흐르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및 상기 전기적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뇌피질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파 측정 장치의 전극 장치는 두개골의 뇌피질 뇌파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자의 두개골에 삽입되는 몸체 영역; 및 상기 몸체 영역을 통해 흐르는 뇌피질 뇌파를 상기 신호 수신부로 전달하는 머리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파 측정 장치에서 전극 장치의 몸체 영역은, 나사선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파 측정 방법은 사용자의 두개골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대뇌피질의 상단에 존재하는 경막과 접촉한 전극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대뇌피질에 흐르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적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뇌피질 뇌파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파 측정 방법의 상기 전극 장치는 두개골의 뇌피질 뇌파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자의 두개골에 삽입되는 몸체 영역; 및 상기 몸체 영역을 통해 흐르는 뇌피질 뇌파를 외부로 전달하는 머리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파 측정 방법에서 전극 장치의 몸체 영역은, 나사선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나사선 형상으로 구성되는 전극 장치를 사용자의 두개골에 삽입하여 전극의 끝을 대뇌피질 위에 위치한 경막에 접촉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뇌피질 뇌파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종래의 패치형 전극에 비하여 절재해야 하는 두개골의 크기 및 두개골의 내부에 삽입되는 전극의 크기가 작으므로, 뇌의 모든 부위에 전극 장치를 삽입하여 뇌 전체의 뇌피질 뇌파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파 측정 장치 및 전극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장치가 사용자의 두개골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장치에 결합되는 보호 장치의 일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장치에 결합되는 유출 방지 장치의 일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장치가 사용자의 두개골에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장치, 뇌파 전달 장치 및 보호 장치의 일례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장치가 삽입되는 위치의 일례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파 측정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파 측정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파 측정 방법은 전극 장치와 연결된 뇌파 측정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파 측정 장치 및 전극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110)의 두개골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전극 장치(100)는 끝부분이 사용자(110)의 대뇌피질의 상단에 존재하는 경막과 접촉하도록 두개골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110)의 대뇌피질에 흐르는 전기적 신호는 경막을 통하여 전극 장치(100)로 흐를 수 있다.
그리고, 뇌파 측정 장치(120)는 전극 장치(10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전기적 신호에 따라 사용자(110)의 뇌피질 뇌파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전극 장치(100)가 사용자(110)의 두개골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뇌파 측정 장치(120)는 사용자(110)의 두개골에 삽입된 복수의 전극 장치(100)들로부터 수신한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110)의 뇌 전체의 뇌피질 뇌파를 측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골의 뇌피질 뇌파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자의 두개골에 삽입되는 몸체 영역(210); 및 몸체 영역(210)을 통해 흐르는 뇌피질 뇌파를 외부로 전달하는 머리 영역(2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몸체 영역(210)는 사용자의 두개골에 삽입된 몸체 영역(210)이 사용자의 두개골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 영역(2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선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 영역(210)에 구성된 나사선 형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선형 홈일 수도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선형 돌출일 수도 있다. 그리고, 몸체 영역(210)의 길이는 사용자(110)의 두개골의 두께를 초과하는 길이일 수 있다.
또한, 몸체 영역(210)에서 사용자(110)의 대뇌피질의 상단에 존재하는 경막과 접촉하는 끝부분(211)은 사용자(110)의 뇌피질 뇌파가 흐를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일정 이상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끝부분(211)의 넓이는 종래의 국소부위 뇌피질 뇌파 전극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110)의 뇌피질 뇌파는 사용자(110)의 대뇌피질에 흐르는 전기적 신호일 수 있다.
그리고, 머리 영역(220)은 머리 영역(220)이 사용자의 신체 및 이물질과 접촉하지 않도록 보호하는 보호 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머리 영역(220)은 몸체 영역(210)보다 지름이 작은 영역(221)을 포함하고, 지름이 작은 영역(221)의 위에 영역(221)보다 지름이 큰 영역(222)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 장치는 머리 영역(220)과 연결되기 위하여 전극 장치(100) 쪽으로 돌출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보호 장치에서 돌출되는 구성은 영역(221)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영역(221)에 삽입된 구성은 영역(222)에 의하여 전극 장치(100)의 상부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보호 장치는 영역(221)에 삽입될 수 있는 구성을 이용하여 머리 영역(220)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 장치(100)는 티타늄과 같은 전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기, 및 전기적 신호는 저항이 낮고 전도도가 높은 도체로 흐르며, 도체 중에서도 곡률반경이 큰 곳 보다 작은 표면에 전하가 더 많이 집중되어 표면 전위를 평형상태로 맞출 수 있다. 대뇌피질에 인접한 두개골 또는 다른 물질들은 저항이 높고 전도도가 낮으며 전류의 누수가 거의 없으므로, 대뇌피질에서 흐르는 전기적 신호는 전극 장치(100)로 흐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장치가 사용자의 두개골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의 머리에서 뇌가 위치한 곳의 단면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의 두피(scalp)(310), 두개골(skull)(320), 경막(dura mater)(330) 및 대뇌피질(cortex)(34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머리에 부착하여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종래의 뇌파 측정 장치는 두피(310)에 전극을 접촉하고, 피부(310)에 흐르는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두피뇌파(EEG)를 측정한다. 그러나, 피부(310)에 흐르는 전기적 신호는 대뇌피질(340)에서 흐르는 전기적 신호가 두개골(320)과 피부(310)를 통과하면서 변질된 신호일 수 있다. 따라서, 피부(310)에 흐르는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측정한 두피뇌파(EEG)는 대뇌피질(340)에서 흐르는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측정한 뇌피질 뇌파(ECoG)에 비하여 시간 해상도와 공간 해상도가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전극 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골(320)에 삽입되어 경막(330)에 접촉하고, 경막(330)을 통하여 대뇌피질에 흐르는 전기적 신호가 전극 장치(100)를 통해 흐르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전극 장치(100)에서 두개골(320) 외부에 돌출된 머리 영역(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장치(100)를 통해 흐르는 뇌피질 뇌파를 뇌파 측정 장치(120)로 전달하는 뇌파 전달 장치(300)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뇌피질(340)에 흐르는 전기적 신호는 경막(330)을 통하여 전극 장치(100)의 몸체 영역(210)으로 흐를 수 있다. 이때, 대뇌피질(340)에 흐르는 전기적 신호는 사용자의 뇌피질 뇌파일 수 있다.
그리고, 몸체 영역(210)을 통해 흐르는 전기적 신호는 머리 영역(220)을 통하여 뇌파 전달 장치(300)로 흐를 수 있다. 이때, 뇌파 전달 장치(300)는 뇌파 측정 장치(120)와 연결되어 머리 영역(220)에서 흘러온 전기적 신호를 뇌파 측정 장치(12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장치에 결합되는 보호 장치의 일례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장치(100)에 결합되는 보호 장치(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장치(100)가 사용자의 손이나 머리카락과 같은 사용자의 신체 및 이물질과 접촉하지 않도록 상부가 막힌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보호 장치(400)에서 하부에 형성된 홀(410)은 전극 장치(100)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홀 일 수 있다. 그리고, 홀(410)의 깊이는 전극 장치(100)의 머리 영역(220)의 높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보호 장치(400)는 측면에 전극 장치(10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가 삽입되는 홀(42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장치가 나사인 경우, 홀(420)의 내부에는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 장치는 홀(420)을 통하여 머리 영역(220)의 영역(221)에 근접할 수 있다. 그리고, 영역(221)에 근접한 고정 장치는 보호 장치(400)를 벗기려는 힘이 가해질 경우, 영역(222)와 접촉함으로써, 보호 장치(400)가 벗겨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장치에 결합되는 유출 방지 장치의 일례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장치(100)는 사용자의 두개골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전극 장치(100)과 두개골에 형성된 구멍 사이의 틈을 통하여 사용자의 뇌척수액이 유출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전극 장치(100)에 두개골의 구멍에서 뇌척수액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출 방지 장치(50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유출 방지 장치(500)는 실리콘이나 고무와 같이 탄성력을 가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유출 방지 장치(500)는 전극 장치(100)가 삽입되는 홀(5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홀(510)의 지름은 전극 장치(100)의 몸체 영역(210)의 지름보다 작을 수 있다. 유출 방지 장치(500)의 재질은 탄성력을 가지므로, 홀(510)의 지름이 몸체 영역(210)의 지름보다 작아도 늘어나면서 전극 장치(100)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홀(510)의 지름이 몸체 영역(210)의 지름보다 작으므로, 유출 방지 장치(500)는 뇌척수액이 흐를 공간이 없이 재질의 탄성력에 의하여 전극 장치(100)에 밀착 결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장치가 사용자의 두개골에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계(610)에서 의사 또는 수술 장치는 사용자의 머리에서 전극 장치(100)가 삽입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620)에서 의사 또는 수술 장치는 단계(610)에서 결정한 위치에 구멍(621)을 뚫을 수 있다.
단계(630)에서 의사 또는 수술 장치는 단계(620)에서 뚫은 구멍(621)에 전극 장치(100)을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의사 또는 수술 장치는 전극 장치(100)의 끝이 경막을 찢지 않으면서 경막에 접촉하도록 전극 장치(100)가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단계(640)에서 의사 또는 수술 장치는 단계(630)에서 삽입한 전극 장치(100)에 유출 방지 장치(500)를 연결하여 구멍(621)에서 뇌척수액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계(640)에서 의사 또는 수술 장치는 단계(630)에서 삽입한 전극 장치(100)에 보호 장치(400)을 연결하여 전극 장치(100)가 사용자의 신체 및 이물질과 접촉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이때, 의사 또는 수술 장치는 단계(6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장치(400)의 측면에 고정 나사(651)를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고정 나사(651)는 전극 장치(100)의 머리 영역과 접촉하거나, 머리 영역에 근접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보호 장치(400)를 벗기려는 힘이 가해질 경우, 고정 나사(651)는 머리 영역의 영역(222)와 접촉함으로써, 보호 장치(400)가 벗겨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뇌피질 뇌파를 측정하는 경우, 의사 또는 수술 장치는 단계(630)에서 삽입한 전극 장치(100)에 뇌파 전달 장치(30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구체적으로, 대뇌피질에 흐르는 전기적 신호는 경막을 통하여 전극 장치(100)로 흐를 수 있다. 그리고, 전극 장치(100)와 연결된 뇌파 전달 장치(300)는 전극 장치(100)을 통해 흐르는 전기적 신호를 뇌파 측정 장치(12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장치, 뇌파 전달 장치 및 보호 장치의 일례이다.
도 7의 케이스 1(Case 1)은 몸체 영역에 나사선형 돌출이 형성된 전극 장치(100)의 일례이다. 또한, 도 7의 케이스 2(Case 2)는 케이스 1의 전극 장치(100)에 뇌파 전달 장치(300)이 연결된 일례이다.
그리고, 도 7의 케이스 3(Case 3)은 케이스 1의 전극 장치(100)에 보호 장치(400)이 연결된 일례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장치가 삽입되는 위치의 일례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장치(100)는 종래의 패치형 전극에 비하여 절재해야 하는 두개골의 크기 및 두개골의 내부에 삽입되는 전극의 크기가 작으므로, 전극 장치(100)가 삽입되는 위치의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시각적 자극에 대한 뇌파를 측정할 경우, 전극 장치(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뇌의 영역(81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두개골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사지 움직임을 관장하는 뇌파를 측정할 경우, 전극 장치(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뇌의 영역(82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두개골에 삽입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전극 장치(100)는 뇌의 모든 부위에 삽입될 수 있으므로, 뇌 전체의 뇌피질 뇌파를 측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파 측정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파 측정 장치(120)는 신호 수신부(910) 및 뇌파 측정부(920)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수신부(910)는 전극 장치(100)로부터 사용자의 대뇌피질에 흐르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뇌파 측정부(920)는 신호 수신부(910)가 수신한 전기적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뇌피질 뇌파를 측정할 수 있다. 신호 수신부(910)가 복수의 전극 장치(100)들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뇌파 측정부(920)는 신호 수신부(910)가 수신한 복수의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110)의 뇌 전체의 뇌피질 뇌파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파 측정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단계(1010)에서 신호 수신부(910)는 전극 장치(100)로부터 사용자의 대뇌피질에 흐르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1020)에서 뇌파 측정부(920)는 단계(1010)에서 수신한 전기적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뇌피질 뇌파를 측정할 수 있다. 단계(1010)에서 복수의 전극 장치(100)들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뇌파 측정부(920)는 단계(1010)에서 수신한 복수의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110)의 뇌 전체의 뇌피질 뇌파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나사선 형상으로 구성되는 전극 장치를 사용자의 두개골에 삽입하여 전극의 끝을 대뇌피질 위에 위치한 경막에 접촉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뇌피질 뇌파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패치형 전극에 비하여 절재해야 하는 두개골의 크기 및 두개골의 내부에 삽입되는 전극의 크기가 작으므로, 뇌의 모든 부위에 삽입하여 뇌 전체의 뇌피질 뇌파를 측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전극 장치
120: 뇌파 측정 장치
210: 몸체 영역
220: 머리 영역
300: 뇌파 전달 장치
400: 보호 장치

Claims (12)

  1. 전극 장치에 있어서,
    두개골의 뇌피질 뇌파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자의 두개골에 삽입되는 몸체 영역; 및 상기 몸체 영역을 통해 흐르는 뇌피질 뇌파를 외부로 전달하는 머리 영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머리 영역은,
    상기 몸체 영역보다 지름이 작은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보다 지름이 크며 상기 제1 영역의 외부 방향에 위치한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머리 영역이 사용자의 신체 및 이물질과 접촉하지 않도록 보호하는 보호 장치가 연결되고,
    상기 보호 장치는,
    측면에 상기 전극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가 삽입되는 홀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홀을 통하여 상기 제1 영역에 삽입되고, 상기 보호 장치를 벗기려는 힘이 가해질 경우, 상기 보호 장치와 함께 상기 머리 영역의 외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영역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보호 장치가 벗겨지지 않도록 하고,
    사용자의 뇌피질 뇌파를 측정하는 경우, 상기 보호 장치가 상기 머리 영역에서 분리되고, 상기 보호 장치를 대신하여 상기 몸체 영역을 통해 흐르는 뇌피질 뇌파를 뇌파 측정 장치로 전달하는 뇌파 전달 장치가 상기 머리 영역에 연결되는 전극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영역은, 나사선 형상으로 구성되는 전극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영역은,
    상기 몸체 영역의 끝부분이 사용자의 대뇌피질의 상단에 존재하는 경막과 접촉하도록 상기 두개골에 삽입되는 전극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영역은,
    상기 전극 장치가 삽입되는 두개골의 구멍에서 뇌척수액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출 방지 장치가 연결되는 전극 장치.
  7. 사용자의 두개골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대뇌피질의 상단에 존재하는 경막과 접촉한 전극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대뇌피질에 흐르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및
    상기 전기적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뇌피질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 측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장치는
    두개골의 뇌피질 뇌파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자의 두개골에 삽입되는 몸체 영역; 및 상기 몸체 영역을 통해 흐르는 뇌피질 뇌파를 외부로 전달하는 머리 영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머리 영역은,
    상기 몸체 영역보다 지름이 작은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보다 지름이 크며 상기 제1 영역의 외부 방향에 위치한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머리 영역이 사용자의 신체 및 이물질과 접촉하지 않도록 보호하는 보호 장치가 연결되고,
    상기 보호 장치는,
    측면에 상기 전극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가 삽입되는 홀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홀을 통하여 상기 제1 영역에 삽입되고, 상기 보호 장치를 벗기려는 힘이 가해질 경우, 상기 보호 장치와 함께 상기 머리 영역의 외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영역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보호 장치가 벗겨지지 않도록 하고,
    사용자의 뇌피질 뇌파를 측정하는 경우, 상기 보호 장치가 상기 머리 영역에서 분리되고, 상기 보호 장치를 대신하여 상기 몸체 영역을 통해 흐르는 뇌피질 뇌파를 뇌파 측정 장치로 전달하는 뇌파 전달 장치가 상기 머리 영역에 연결되는 뇌파 측정 장치.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영역은, 나사선 형상으로 구성되는 뇌파 측정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50018100A 2015-02-05 2015-02-05 나사형 전극 및 나사형 전극을 이용한 뇌파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645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100A KR101645852B1 (ko) 2015-02-05 2015-02-05 나사형 전극 및 나사형 전극을 이용한 뇌파 측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100A KR101645852B1 (ko) 2015-02-05 2015-02-05 나사형 전극 및 나사형 전극을 이용한 뇌파 측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5852B1 true KR101645852B1 (ko) 2016-08-04

Family

ID=56709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8100A KR101645852B1 (ko) 2015-02-05 2015-02-05 나사형 전극 및 나사형 전극을 이용한 뇌파 측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585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0692B1 (ko) 2017-10-23 2019-04-1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채널 이식형 신경 신호 측정 시스템을 위한 신경 신호 검색 및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WO2019164223A1 (ko) * 2018-02-26 2019-08-29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플러그형 전선과 결합 가능한 나사형 전극
WO2022256385A1 (en) * 2021-06-01 2022-12-08 EPIC Neuro, Inc. Subcutaneous transcranial cortical electrotherapy stimulation method and device
US11738203B2 (en) 2014-10-01 2023-08-29 EPIC Neuro,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cranial current loop brain stimul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927A (ko) * 2001-06-27 2003-01-06 (주)티앤티테크 뇌파 측정용 전극
KR20070106007A (ko) * 2005-02-24 2007-10-31 로우메딕 아게 뇌 파라미터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KR20100031715A (ko) * 2007-07-04 2010-03-24 고쿠리츠다이가쿠호진 히로시마다이가쿠 경두개 전기 자극 장치
WO2010038393A1 (ja) * 2008-09-30 2010-04-08 国立大学法人奈良先端科学技術大学院大学 脳内情報計測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927A (ko) * 2001-06-27 2003-01-06 (주)티앤티테크 뇌파 측정용 전극
KR20070106007A (ko) * 2005-02-24 2007-10-31 로우메딕 아게 뇌 파라미터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KR20100031715A (ko) * 2007-07-04 2010-03-24 고쿠리츠다이가쿠호진 히로시마다이가쿠 경두개 전기 자극 장치
WO2010038393A1 (ja) * 2008-09-30 2010-04-08 国立大学法人奈良先端科学技術大学院大学 脳内情報計測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38203B2 (en) 2014-10-01 2023-08-29 EPIC Neuro,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cranial current loop brain stimulation
KR101970692B1 (ko) 2017-10-23 2019-04-1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채널 이식형 신경 신호 측정 시스템을 위한 신경 신호 검색 및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WO2019164223A1 (ko) * 2018-02-26 2019-08-29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플러그형 전선과 결합 가능한 나사형 전극
KR20190102428A (ko) * 2018-02-26 2019-09-04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플러그형 전선과 결합 가능한 나사형 전극
KR102035265B1 (ko) * 2018-02-26 2019-10-22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플러그형 전선과 결합 가능한 나사형 전극
WO2022256385A1 (en) * 2021-06-01 2022-12-08 EPIC Neuro, Inc. Subcutaneous transcranial cortical electrotherapy stimulation method and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3215B2 (en) Generic ear device with electrodes
KR101645852B1 (ko) 나사형 전극 및 나사형 전극을 이용한 뇌파 측정 장치 및 방법
CA2868845C (en) Intracranial sensing & monitoring device with macro and micro electrodes
US20170332964A1 (en) Headset for bio-signals acquisition
CN104382594B (zh) 脑电电极帽
JPS61249436A (ja) 脳波キヤツプ
US20180333066A1 (en) Apparatus for measuring electroencephalogram,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and preventing dementia
KR101569362B1 (ko) 뇌파 측정 및 두뇌 자극 시스템
KR101704704B1 (ko) 내장형 eeg 전극용 무선 송신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eeg 검출 시스템
Van de Berg et al. The vestibular implant: hearing preservation during intralabyrinthine electrode insertion—a case report
KR20190056287A (ko) 시각 자극 기반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정보 처리 방법
KR101935666B1 (ko) 착탈식 침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다채널 무선 수술중 신경계 감시 시스템
JP6743040B2 (ja) 生体信号を取得するためのヘッドセット
Terracciano et al. Pattern-reversal visual evoked potential on smart glasses
EP2229977B1 (en) Electrode for continuously stimulating facial nerve root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electromyograms of facial muscles using the electrode thereof
CN203914915U (zh) 一种颅内皮层电极
KR101745423B1 (ko) 다채널 뇌파 측정 장치
ES2777800T3 (es) Dispositivo de electroestimulación efectivo en la identificación de la ubicación muscular y en la mejora de la respuesta terapéutica
Legatt Intraoperative neurophysiologic monitoring: Some technical considerations
Stechison Neurophysiologic monitoring during cranial base surgery
US20130225964A1 (en) Electrode for intraoperative nerve stimulation
KR20200097111A (ko) 헤드셋 방식의 무선 뇌파 측정 장치
KR101778268B1 (ko) 의료용 전극 조립체
CN211131064U (zh) 一种带有刺激电流调节开关的手持式柔性无线神经刺激器
Rampp et al. Viability of intraoperative auditory steady state responses during intracranial surg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