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7111A - 헤드셋 방식의 무선 뇌파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헤드셋 방식의 무선 뇌파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7111A
KR20200097111A KR1020190014453A KR20190014453A KR20200097111A KR 20200097111 A KR20200097111 A KR 20200097111A KR 1020190014453 A KR1020190014453 A KR 1020190014453A KR 20190014453 A KR20190014453 A KR 20190014453A KR 20200097111 A KR20200097111 A KR 20200097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module
eeg
measurement device
wireless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4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혁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Priority to KR1020190014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7111A/ko
Publication of KR20200097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1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B5/047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51Means for maintaining electrode contact with the body
    • A61B5/256Wearable electrodes, e.g. having strap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7Electroencephalography [EEG] using evoked respo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7Electroencephalography [EEG] using evoked responses
    • A61B5/383Somatosensory stimuli, e.g. electric stim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3Head-worn items, e.g. helmets, masks, headphones or 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셋 방식의 무선 뇌파 측정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 방식의 무선 뇌파 측정 장치는, 외부에 위치한 서버와 무선으로 연결되며 측정된 뇌파에 대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외측을 감싸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로부터 가지(branch)형태로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에 위치하며 두피에서 발생되는 전위차를 측정하는 전극모듈,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와 전극모듈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전극모듈이 두피에 밀착되도록 상하좌우로 회동하여 조절되는 조절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따르면, 무선 뇌파 측정 장치는 두부 전체를 덮는 방식이 아닌 헤드셋 형식으로 형성되어 두부를 가압하여 뇌파를 측정하며, 하나의 연결부재 당 1개의 전극모듈이 연결되어 서로간의 독립성을 유지시켜서 상호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Description

헤드셋 방식의 무선 뇌파 측정 장치{Headset type Wireless Brain Wave Meas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헤드셋 방식의 무선 뇌파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발생된 자극 신호에 따른 뇌파를 측정하고 분석하여 치매를 진단하는 헤드셋 방식의 무선 뇌파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뇌파(EEG;Electroencephalogram)는 뇌신경 사이에 신호가 전달될 때 생기는 전기의 흐름을 말한다. 뇌파의 측정 방법은 뇌파를 측정하는 위치에 따라서 scalp EEG(두피 뇌전도) 와 intracranial EEG(두개 내의 뇌전도)로 나뉜다.
먼저 scalp EEG는 두피 뇌파 측정법으로 두개골의 외부, 즉 두피에 전극을 부착하여 전위차를 측정하는 방식이고, intracranial EEG는 대개강 내 뇌파 측정법으로 두개골을 열어 내부의 대뇌 피질 부분에 전극을 부착하여 전위차를 측정하는 방식이다.
뇌에서 발생하는 전기적인 신호는 상당수 소멸하기 때문에 강한 시그널을 받기 위해서는 intracranial EEG 방식을 사용해야 하나, 두개골을 절개해야 한다는 리스크가 있기 때문에 scalp EEG 방식으로 뇌파를 측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scalp EEG 방식에 따라 뇌파를 측정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머리 위로 덮어 쓸 수 있는 뇌파 측정용 캡이 개발되었다.
도 1은 종래의 뇌파 측정용 캡에 대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뇌파 측정용 캡은 턱걸이 끈(21)을 가지는 연성 캡(20)을 마련한 후, 상기 캡(20)의 요처에 다수의 전극을 미리 고정시켜 놓은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캡(20)은 전극과 전극을 신축성 있는 패턴으로 서로 연결된 구조로 구성되어 전극들이 서로 영향을 주게 된다. 즉, 인체 구조상 모든 사람들의 두상이 다 다르게 때문에 한쪽 전극이 닿으면 다른 한쪽은 간섭되어 닿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신축성 있는 패턴 구조물로 전극을 지지하게 되므로 두피에 가하는 압력이 작아서 접촉성 노이즈가 발생하게 되어 실 사용에서는 전도성 젤을 사용하여 접촉면 사이를 채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리고, 두부 전체를 감싸는 구조라서 머리카락이 많을 경우, 머리카락의 볼륨이 패턴부를 띄우게 되어 전극과 두피의 접점을 더욱 멀게 하므로 접촉성 노이즈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6964 호(2017.11.13.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외부에서 발생된 자극 신호에 따른 뇌파를 측정하고 분석하여 치매를 진단하는 헤드셋 방식의 무선 뇌파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헤드셋 방식으로 착탈이 가능한 무선 뇌파 측정 장치에 있어서, 외부에 위치한 서버와 무선으로 연결되며 측정된 뇌파에 대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가지(branch)형태로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에 위치하며 두피에서 발생되는 전위차를 측정하는 전극모듈,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와 전극모듈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전극모듈이 두피에 밀착되도록 상하좌우로 회동하여 조절되는 조절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다수의 채널을 구성하도록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전극모듈의 개수와 1:1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연질의 고정축이 외피에 감싸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에 연결된 전극모듈이 국제적 표준 방식에 따른 위치점에 도달할 수 있도록 벤딩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재는, 직육면체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되 상측이 일정한 각도로 휘어진 형태를 가지며 내측에는 돌기가 형성된 본체, 원형의 판재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에 결합공이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배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돌기에 고정되는 한쌍의 결착부를 포함하는 회동부,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내측에 위치한 결합공에 억지 끼워맞춤으로 결합되는 커넥트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트는, 상기 전극모듈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극모듈에서 측정된 자발뇌파, 유발뇌파 및 전기자극유도뇌파에 대한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파라미터를 외부의 서버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극모듈에 소량을 전류를 제공하고 측정된 임피던스 또는 뇌파 값이 정상치를 기준으로 60%이하일 경우, led 또는 경고음을 발생하거나 외부서버에 전달하여 모니터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뇌파 측정 장치는 두부 전체를 덮는 방식이 아닌 헤드셋 형식으로 두부를 가압하여 뇌파를 측정하며, 하나의 연결부재 당 1개의 전극모듈이 연결되어 서로간의 독립성을 유지시켜서 상호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무선 뇌파 측정 장치는 전극모듈이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자유도를 부여하여, 뇌파를 측정하는 사용자에 따라 서로 두상을 가지고 있어도 각도를 조절이 가능하므로 전극모듈이 두피에 밀착되게 하고, 어떠한 두상에 접촉하더라도 연결부재와 수직을 유지하게 하여 접촉 저항을 최소화 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뇌파 측정 장치는 다수의 연결부재가 서로 대칭 구조를 이루며 탄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탄성에 의해 전극모듈이 두피에 압력을 가할 수 있으므로 접촉 저항을 줄이는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종래의 뇌파 측정용 캡에 대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뇌파 측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연결부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극모듈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조절부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10-20EEG 전극배열에 따른 위치점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뇌파 측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뇌파 측정 장치(100)는 제어부(110), 연결부재(120), 전극모듈(130) 및 조절부재(140)를 포함한다.
먼저, 제어부(110)는 외부에 위치한 서버 또는 출력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전극모듈(130)에서 측정된 뇌파에 대한 데이터를 전달한다. 제어부(110)는 전극모듈(130)에서 발생된 전류 혹은 전압에 의해 변화되는 뇌파를 측정한다. 측정된 뇌파는 자발뇌파, 유발뇌파 및 전기자극유도뇌파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전극모듈(130)에 소량을 전류를 제공하고 임피던스값 또는 놔파값을 측정하여 피검자의 두피에 전극모듈(130)이 접촉된 상태인지 판단한다. 부연하자면, 피검자가 무선 뇌파 측정 장치(100)를 머리에 장착 완료하면, 제어부(110)는 소량의 전류를 제공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제공한 전류에 따른 임피던스 또는 뇌파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획득한다. 그 다음, 제어부(110)는 획득한 측정값이 정상적으로 제공한 전류량에 따라 측정된 값을 기준으로 60%이하일 경우, led 또는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외부의 서버에 전달한다. 따라서, 피검자 또는 의료진는 제어부(110)에서 제공하는 led 또는 경고음을 인지하거나 모니터 상에 출력된 결과를 이용하여 전극모듈(130)이 두피에 밀착되었는지 판단한다.
연결부재(120)는 제어부(110)와 연결되며 가지(branch)형태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연결부재(120)는 제어부(11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복수개 형성된다.
전극모듈(130)은 연결부재(120)의 끝단부에 위치하여 피검자의 두피에 밀착된다. 전극모듈(130)은 다수의 돌기로 구성되어 피검자의 머리카락을 뚫고 두피에 밀착된 상태에서 두피에서 발생되는 전위차를 측정한다.
조절부재(140)는 연결부재(120)와 전극모듈(130)을 상호 연결하며, 전극모듈(130)의 위치가 상하좌우로 회동하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이용하여 연결부재(120)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연결부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복수의 연결부재 중에서 두상의 중심에 위치하는 연결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120)는 외피(122)에 의해 감싸져 있으며 외력에 의해 잘 구부러지거나 펴지는 연질의 금속부재 혹은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가압축(121)을 포함한다. 가압축(121)은 무선 뇌파 측정 장치(100)를 피검자의 머리에 착용할 때, 두피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가압축(120)의 일단에는 결속부(123)를 포함하고, 결속부(123)는 후술되는 조절부재(14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된다.
부연하자면, 결속부(123)는 원기둥형태로 형성되며, 상면의 내측에는 제1결합홈(123-1)을 포함한다. 따라서 결속부(123)는 외피(132)가 감싸진 금속부재(131)가 제1결합홈(123-1)에 일부를 내삽한 상태에서 결합된다. 그리고, 결속부(123)는 하측에 외주면을 따라 결착홈(133-2)을 형성하고, 결착홈(133-2)는 조절부재(140)의 내측에 형성된 결착돌부(141-3)에 안착된다.
연결부재(120)는 제어부(110)로부터 가지(branch)형태로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이며, 연결부재(120)의 일단에 연결되는 전극모듈(130)이 피검자의 두피에 분산된 위치점에 도달되도록 가압축(131)을 벤딩한다. 그 다음, 연결부재(120)의 결속부(123)와 연결된 조절부재(140)를 좌우로 회동시켜 전극모듈(130)을 두피에 밀착되게 한다.
한편, 연결부재(120)는 전극모듈(130)과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10-20EEG 전극배열"에 따라 대략 21개의 채널을 구성하도록 복수개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이용하여 전극모듈(130)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극모듈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모듈(130)은 돌기형 전극(131)과, 돌기형 전극(131)의 전후면을 감싸는 커버부(132)와, 그리고 커버부(132)를 조절부재(140)에 고정하는 고정부(133)을 포함한다.
돌기형 전극(131)은 뇌파 신호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일측면에 다수의 돌기를 형성한다. 돌기는 두피에 밀착되어 전극이 잘 움직이지 않게 하고, 표면적을 증가시켜 접촉저항을 낮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돌기형 전극(131)은 제어부(110)로부터 수신된 동작신호에 따라 전압 또는 전류의 형태로 뇌를 자극하고, 두피에서 발생된 전위차를 측정한다. 돌기형 전극(131)은 기준 전극, 측정 전극 및 접지 전극 역할을 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뇌파 측정 장치(100)는 돌기형 전극(131)이 하는 역할을 기준 전극, 측정 전극 및 접지 전극으로 구분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제어부(110)를 통해 역할이 선택되어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커버부(132)는 돌기형 전극(131)의 전후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전면 커버부(132-1)는 돌기형 전극(131)에 형성된 돌기가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내측에 다수개의 관통공(132-2)을 포함한다.
또한, 후면 커버부(132-3)는 고정부(133)의 일단에 내삽될 수 있도록 제2결합홈(132-4)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고정부(133)는 후면 커버부(132-3)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이 외측으로 돌출된다.
한편, 전면 커버부(132-1)와 후면 커버부(132-3)는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일측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나사결합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이용하여 조절부재(140)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5는 도 1에 도시된 조절부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재(140)는 본체(141), 회동부(142) 및 커넥트(133)을 포함한다.
본체(141)는 직육면체 또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하되 상측이 일정한 각도로 휘어진 형태를 가진다. 본체(141)의 상면에는 연결부재(120)의 결속부(123)가 내삽될 수 있도록 제1통공(141-1)이 형성되고, 본체(141)의 측면에는 전극모듈(130)이 안착되는 회동부(142)가 내삽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제2통공(141-2)이 형성된다.
또한, 본체(141)는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통공(151)으로부터 하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결착돌부(141-3)를 형성한다. 결착돌부(141-3)는 결속부(123)의 결착홈(123-2)과 결합되는 것으로, 결착돌부(141-3)는 결속부(123)가 본체(141)로부터 탈리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본체(141)를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본체(141)는 내측에는 결착돌부(141-3)의 하측에 위치하며 제2통공(141-2)을 통해 삽입하는 회동부(142)를 고정할 수 있도록 결합돌기(141-4)를 더 포함한다.
회동부(142)는 원형의 판재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에 통공(142-2)이 형성된 플레이트(142-1)와, 플레이트의 배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결합돌기(141-4)에 고정되는 한쌍의 결착부(142-3)를 포함한다.
플레이트(142-1)는 내측에 사각형상의 통공(142-2)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커넥트(143)와 억지끼워 맞춤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결착부(142-3)는 본체(141)의 내측에 형성될 결합돌기(141-4)가 내삽되어 고정되도록 측면통공(142-4)이 형성된다. 이때, 측면통공(142-4)과 결합돌기(141-4)는 헐거운 맞춤으로 결합되어 회동부(142)가 본체(141)로부터 탈리되지 않도록 하되, 회동부(142)가 상하 회동되게 한다.
커넥트(143)는 회동부(142)에 고정된 상태에서 전극모듈(130)의 고정부(143)와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뇌파 측정 장치(100)는 헤드셋 형태로 형성되어 피검자의 두상에 얹혀진 상태에서 뇌파를 측정한다.
뇌파를 측정하는 방법은 복수개의 전극모듈을 10-20EEG 전극배열에 따른 위치점마다 위치시킨 다음, 제어부(110)는 위치점 전부 또는 일부에 위치하는 전극모듈에 전류 또는 전압을 제공하여 두피에서 발생된 전위차를 측정한다.
도 6은 10-20EEG 전극배열에 따른 위치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점은 "10-20EEG 전극배열"에 따라 머리를 코/외후두융기/좌우의 귀와 같이 네 개의 표준점을 기준으로 나눈 다음, 10%/20%/20%/20%/20%/10% 위치에 따라 설정된다.
10-20EEG 전극배열에 따라, 전극은 (Fp1, Fz, Fp2), (F7, F3, Fz, F4, F8), (T3, C3, Cz, C4, T4), (T5, P3, Pz, P4, T6), (O1, Oz, O2)으로 구성되는 21 채널(channel)을 사용한다. 만일 더 많은 채널이 필요하다면, 이 전극 사이 사이를 다시 20%씩 나눠서 배치하고, 더 적은 채널이 필요하면 필요한 채널만 사용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뇌파 측정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중심으로 전극모듈(120)이 연결 고정된 대략 21개의 연결부재(120)가 결합되어 헤드셋 방식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무선 뇌파 측정 장치(100)는 복수개의 연결부재(120)가 가지 형태로 뻗어나간 형태를 가지므로, 각각의 연결부재(120)의 일단에 위치한 전극모듈(130)이 각각의 위치점에 도달하게 한다.
이때, 피검자마다 두상의 크기 및 형태가 상이하므로, 피검자는 연결부재(120)를 구부리거나 펴서 전극모듈(130)이 위치점에 다다를 수 있도록 조절한다. 그리고, 전극모듈(130)은 조절부재(140)에 의해 좌우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므로 필요에 따라 원하는 방향으로 회동시켜 돌기형 전극(131)이 두피에 밀착되게 한다.
그 다음, 제어부(110)는 전부 또는 일부의 전극모듈(130)에서 측정된 전위차에 따른 뇌파 신호를 수집하고, 수집된 신호를 증폭시켜 측정된 결과를 외부의 서버 또는 출력장치에 전달한다.
이때 측정되는 뇌파는 자발뇌파, 유발뇌파 및 전기자극유도뇌파를 포함하며, 3개의 카테고리에서 추출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인지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인력을 이용하여 치매를 진단한다.
부연하자면, 자발뇌파는 흔히 알고 있는 델타, 쎄타, 알파, 베타 등의 주파수 대역별로 나누고 이를 여러 가지 공식의 조합(combination)으로 분석된다.
유발뇌파 (ERP)는 일정한 소리, 영상 등을 피검자에게 제시하고 일정한 시간 후에 나오는 뇌파를 측정 분석된다.
그리고, 전기자극유도뇌파는 전기자극을 가하면 인지력 상태에 따라서 변화되는 뇌파를 측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인지력 과제를 피검자에게 제시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동안 두뇌에 전기 자극을 가해서 과제를 해결하는 동안의 인지력 변화에 대한 뇌파 변화를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에 따라 치매를 진단한다.
그 다음, 제어부(110)는 치매를 진단한 결과 혹은 raw EEG data를 무선으로 PC나 스마트기기, 혹은 서버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뇌파 측정 장치는 두부 전체를 덮는 방식이 아닌 헤드셋 형식으로 형성되되, 연결부재가 branch 형태로 구성되어 두부를 가압하고, 하나의 연결부재 당 1개의 전극모듈이 연결되어 서로간의 독립성을 유지시켜서 상호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뇌파 측정 장치는 전극모듈이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자유도를 부여하여, 뇌파를 측정하는 사용자에 따라 서로 두상을 가지고 있어도 각도를 조절이 가능하므로 전극모듈이 두피에 밀착되게 하고, 어떠한 두상에 접촉하더라도 연결부재와 수직을 유지하게 하여 접촉 저항을 최소화 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뇌파 측정 장치는 다수의 연결부재가 서로 대칭 구조를 이루며 탄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탄성에 의해 전극모듈이 두피에 압력을 가할 수 있으므로 접촉 저항을 줄이는 효과를 지닌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무선 뇌파 측정 장치
110 : 제어부
120 : 연결부재 121 : 가압축
122 : 외피 123 : 결속부
123-1 : 제1결합홈 123-2 : 결착홈
130 : 전극모듈 131 : 돌기형 전극
132 : 커버부 132-1 : 전면 커버부
132-2 : 관통공 132-3 : 후면 커버부
132-4 : 제2결합홈 133 : 고정부
140 : 조절부재 141 : 본체
141-1 : 제1통공 141-2 : 제2통공
141-3 : 결착돌부 141-4 : 결합돌기
142 : 회동부 142-1 : 플레이트
142-2 : 통공 142-3 : 결착부
142-4 : 측면통공
143 : 커넥트

Claims (7)

  1. 헤드셋 방식으로 착탈이 가능한 무선 뇌파 측정 장치에 있어서,
    외부에 위치한 서버와 무선으로 연결되며 측정된 뇌파에 대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가지(branch)형태로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에 위치하며 두피에서 발생되는 전위차를 측정하는 전극모듈,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와 전극모듈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전극모듈이 두피에 밀착되도록 상하좌우로 회동하여 조절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무선 뇌파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다수의 채널을 구성하도록 복수개로 형성되는 무선 뇌파 측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전극모듈의 개수와 1:1 대응되도록 형성하는 무선 뇌파 측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연질의 고정축이 외피에 감싸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에 연결된 전극모듈이 국제적 표준 방식에 따른 위치점에 도달할 수 있도록 벤딩되는 무선 뇌파 측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직육면체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되 상측이 일정한 각도로 휘어진 형태를 가지며 내측에는 돌기가 형성된 본체,
    원형의 판재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에 결합공이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배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돌기에 고정되는 한쌍의 결착부를 포함하는 회동부,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내측에 위치한 결합공에 억지 끼워맞춤으로 결합되는 커넥트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트는,
    상기 전극모듈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무선 뇌파 측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극모듈에서 측정된 자발뇌파, 유발뇌파 및 전기자극유도뇌파에 대한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파라미터를 외부의 서버에 전달하는 무선 뇌파 측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극모듈에 소량을 전류를 제공하고 측정된 임피던스 또는 뇌파 값이 정상치를 기준으로 60%이하일 경우, led 또는 경고음을 발생하거나 외부서버에 전달하여 모니터를 통해 출력하는 무선 뇌파 측정 장치.
KR1020190014453A 2019-02-07 2019-02-07 헤드셋 방식의 무선 뇌파 측정 장치 KR202000971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453A KR20200097111A (ko) 2019-02-07 2019-02-07 헤드셋 방식의 무선 뇌파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453A KR20200097111A (ko) 2019-02-07 2019-02-07 헤드셋 방식의 무선 뇌파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111A true KR20200097111A (ko) 2020-08-18

Family

ID=72291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4453A KR20200097111A (ko) 2019-02-07 2019-02-07 헤드셋 방식의 무선 뇌파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71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1506A1 (ko) * 2020-12-18 2022-06-23 (주)메그노시스 두뇌 임피던스 측정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1506A1 (ko) * 2020-12-18 2022-06-23 (주)메그노시스 두뇌 임피던스 측정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3215B2 (en) Generic ear device with electrodes
EP3373802B1 (en) Eeg headsets with precise and consistent electrode positioning
CN102497809B (zh) 电极固定装置
US20180333066A1 (en) Apparatus for measuring electroencephalogram,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and preventing dementia
US20140249385A1 (en) Headband, headgear, and electroencephalographic apparatus
US20200054414A1 (en) Adjustable headpiece with anatomical marke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211049350U (zh) 自适应神经康复训练头戴设备
KR20200097111A (ko) 헤드셋 방식의 무선 뇌파 측정 장치
EP2229977B1 (en) Electrode for continuously stimulating facial nerve root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electromyograms of facial muscles using the electrode thereof
KR101645852B1 (ko) 나사형 전극 및 나사형 전극을 이용한 뇌파 측정 장치 및 방법
JP2018503481A (ja) 生体信号を取得するためのヘッドセット
KR101745423B1 (ko) 다채널 뇌파 측정 장치
KR20180119280A (ko) 뉴로피드백을 기반으로 하는 원격제어 및 자동화 두뇌훈련 시스템
US2022007153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biometric information
US20220143390A1 (en) Stimulation system including a multi-electrode ear shell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112384143A (zh) 便携式脑电图机
KR20210076523A (ko) 뇌파 측정 헤드캡
CN219645735U (zh) 一种一体式经颅磁刺激脑电监测帽
US2024018046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biometric information
CN114916939B (zh) 穿戴式脑认知检测和调控无线闭环设备及方法
CN219578878U (zh) 一种儿童听觉诱发电位用耳头罩
CN216365054U (zh) 头戴康复训练设备
CN213696872U (zh) 一种改良的可调节多导睡眠监测头套
TWM454825U (zh) 耳戴式腦電檢測裝置
WO202210861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biometric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