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1136A -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01136A KR20190101136A KR1020180021119A KR20180021119A KR20190101136A KR 20190101136 A KR20190101136 A KR 20190101136A KR 1020180021119 A KR1020180021119 A KR 1020180021119A KR 20180021119 A KR20180021119 A KR 20180021119A KR 20190101136 A KR20190101136 A KR 2019010113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low
- lightweight
- hollow lightweight
- concrete
- deck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9000003562 lightweight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2918 Fraxinus excelsior Nutrition 0.000 claims 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2956 ash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12774 insula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21 internal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2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hollow fill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5—Light-weight girders, e.g. with precas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가 적용된 평면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가 적용된 측면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가 적용된 정면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도시한 도면
300 : 축 부재
Claims (9)
- 건축물의 층간을 구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데크플레이트(100)와 결합되어 콘크리트의 사용량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에 있어서, 상기 중공 경량재는
건축물의 수직기둥과 서로 직각으로 결합되어 층간을 구성하는 데크플레이트(100)와,
상기 데크플레이트(100)의 내부에 삽입고정되는 중공 경량부재(200) 및
상기 중공 경량부재(200)의 중심축과 결합되어 중공 경량부재(200)가 회전되어지는 축 부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플레이트(100)는
지면과 수평으로 구성되는 기초판(110)과,
상기 기초판(110)의 상측단부에는 기초판(110)의 폭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구성되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하현부재(120)와,
상기 복수개의 하현부재(120)의 상측단부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상현부재(140)와,
상기 하현부재(120)와 상현부재(130)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중공 경량부재(200)가 안착되어지기 위한 지지부재(130)와,
상기 하현부재(120)와 상현부재(140)를 서로 연결하며 트러스구조로 구성되어지는 래티스 부재(lattice, 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경량부재(200)는 상측단부에 구성되어지는 제1 경량부재(210)와,
하측단부에 구성되어지는 제3 경량부재(230)와,
상기 제1 경량부재(210)와 제3 경량부재(230)의 사이에 구성되어 축 부재(300)를 중심으로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어지는 제2 경량부재(220)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제1,2,3 경량부재(210, 220, 230)은 축 부재(300)와 결합되어지도록 중심부분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지는 관통공(211, 221, 231)이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
- 건축물의 층간을 구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데크플레이트(100)와 결합되어 콘크리트의 사용량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에 있어서, 상기 중공 경량재는
건축물의 수직기둥과 서로 직각으로 결합되어 층간을 구성하는 데크플레이트(100)와,
상기 데크플레이트(100)의 내부에 삽입고정되는 중공 경량부재(200) 및
상기 중공 경량부재(200)의 중심축과 결합되어 중공 경량부재(200)가 회전되어지는 축 부재(300)를 포함하며,
상기 축 부재(300)는
상하로 분리되어 중공 경량부재(200)의 관통공(211, 221, 231)에 결합되어지는 하부 축 부재(310) 및 상부 축 부재(320)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하부 축 부재(310)의 소정의 위치에는 축 부재(300)를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어지는 회전부재(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축부재(310)는
데크플레이트(100)의 기초판(110)에 안착되어지는 지지부(311)와,
상기 지지부(311)의 상측단부에는 상측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어지는 수직축(312)과,
상기 수직축(312)의 소정의 위치에는 수직축(312)의 외경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며 수직축(312)의 지름을 가로지르는 지지핀(313)과,
상기 지지핀(313)의 상측단부에 안착되어지는 탄성재질의 탄성부재(314)와,
상기 수직축(312)의 소정의 위치에는 외경을 따라 구성된 나사산(315)으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330)는
중공 경량부재(200)의 제2 경량부재(220)와 결합되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어지는 회전키(311)와,
중공 경량부재(200)의 제3 경량부재(230)가 안착되어지기 위한 안착판(332)과,
하부 축 부재(310)의 외경에 구성된 나사산(315)과 결합되어지는 나사결합부(3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330)는 하부 축 부재(310)의 지지핀(313)과 탄성부재(314)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구성하며,
상기 중공 경량부재(200)가 하측방향으로 가압되어지면, 탄성부재(314)가 압축되어지며, 이에 대응하여 회전부재(330)의 회전키(331)가 나사산(315)의 형상에 따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어지며,
상기 회전키(331)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2 경량부재(220)가 함께 회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공방법은
건축물의 층간을 구성하기 위하여 수직기둥의 소정의 위치에는 지면과 수평되어 기초판을 설치하는 단계(S100),
설치되어진 기초판의 상측단부에는 데크플레이트(100)를 설치하는 단계(S200),
기초판에 설치된 데크플레이트(100)의 내부에는 중공 경량부재(200)가 설치되어지는 단계(S300),
상기 데크플레이트(100)와 중공 경량부재(200)의 상측단부에는 상부 철근이 서로 교차되어 배근되어지는 단계(S400),
상부 철근이 배근되어진 데크플레이트(100)의 내부로 현장콘크리트(C)를 타설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를 이용한 시공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플레이트(100)의 내부에 중공 경량부재(200)가 설치되어질 시에, 상기 중공 경량부재(200)의 제2 경량부재(220)가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어지며, 상기 제2 경량부재(220)의 회전으로 인해 형성되는 중공 경량부재(200)의 홈에 데크플레이트(100)의 지지부재(130)가 안착되어지도록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를 이용한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1119A KR102068116B1 (ko) | 2018-02-22 | 2018-02-22 |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1119A KR102068116B1 (ko) | 2018-02-22 | 2018-02-22 |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3452A Division KR102102433B1 (ko) | 2020-01-10 | 2020-01-10 |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형 스마트 중공 경량재를 이용한 시공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1136A true KR20190101136A (ko) | 2019-08-30 |
KR102068116B1 KR102068116B1 (ko) | 2020-01-20 |
Family
ID=67776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21119A Active KR102068116B1 (ko) | 2018-02-22 | 2018-02-22 |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68116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20571A (ja) * | 2004-02-04 | 2005-08-18 | Kurimoto Ltd | 二方向コンクリートボイドスラブ |
JP2009167604A (ja) * | 2008-01-11 | 2009-07-30 | Trade Jun:Kk | 中空スラブ用中空部型枠埋込材 |
KR101601630B1 (ko) | 2015-08-04 | 2016-03-09 | (주)덕신하우징 | 경량체가 구비된 중공형 단열데크플레이트 |
KR20160045913A (ko) * | 2013-09-18 | 2016-04-27 |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 보강층을 위한 스페이서, 콘크리트 구성요소를 위한 보강 시스템 및 보강 시스템의 제조를 위한 방법 |
KR101621770B1 (ko) | 2016-01-15 | 2016-05-17 | 주식회사 반석티브이에스 | 철근일체형 데크플레이트용 중공경량체 모듈 |
KR20160142072A (ko) * | 2015-06-02 | 2016-12-12 | 이기장 | 부상방지장치가 필요 없는 중공 슬래브형 데크플레이트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
-
2018
- 2018-02-22 KR KR1020180021119A patent/KR102068116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20571A (ja) * | 2004-02-04 | 2005-08-18 | Kurimoto Ltd | 二方向コンクリートボイドスラブ |
JP2009167604A (ja) * | 2008-01-11 | 2009-07-30 | Trade Jun:Kk | 中空スラブ用中空部型枠埋込材 |
KR20160045913A (ko) * | 2013-09-18 | 2016-04-27 |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 보강층을 위한 스페이서, 콘크리트 구성요소를 위한 보강 시스템 및 보강 시스템의 제조를 위한 방법 |
KR20160142072A (ko) * | 2015-06-02 | 2016-12-12 | 이기장 | 부상방지장치가 필요 없는 중공 슬래브형 데크플레이트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
KR101601630B1 (ko) | 2015-08-04 | 2016-03-09 | (주)덕신하우징 | 경량체가 구비된 중공형 단열데크플레이트 |
KR101621770B1 (ko) | 2016-01-15 | 2016-05-17 | 주식회사 반석티브이에스 | 철근일체형 데크플레이트용 중공경량체 모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68116B1 (ko) | 2020-01-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523201B2 (en) | Construction components having embedded internal support structures to provide enhanced structural reinforcement for, and improved ease in construction of, walls comprising same | |
US9194125B1 (en) | Construction component having embedded internal support structures to provide enhanced structural reinforcement and improved ease of construction therewith | |
JP2019509415A (ja) | 積み重ね式の構造用鋼壁トラスを用いた多層階建物構築方法 | |
CN109505368B (zh) | 用于装配式建筑的墙板连接节点 | |
KR102453791B1 (ko) | 보강 돌출부 및 연결 플레이트를 이용한 피씨 더블월 | |
CN110512784B (zh) | 一种装配式轻质楼板及其施工方法 | |
JP5865567B2 (ja) | 連結用スラブ及びその構築方法 | |
US20180044918A1 (en) | Pre-fabricated structures and methods | |
KR102068116B1 (ko) |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 | |
KR102120426B1 (ko) | 조립식 더블 월 pc | |
JP5869717B1 (ja) | 既存コンクリート構造物補強構造 | |
JP2986751B2 (ja) | 建物の耐震性能強化方法及び耐震ブロック | |
KR20200007057A (ko) |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형 스마트 중공 경량재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20200075599A (ko) | 피씨 더블월을 이용한 건축물의 복수층 시공방법 | |
US20180044916A1 (en) | Pre-fabricated structures and methods | |
JP2016169535A (ja) | 柱梁接合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 |
KR100680761B1 (ko) | 공동 주택 유로폼 지지용 턴버클 | |
JP7182383B2 (ja) | 建物の基礎の施工方法 | |
WO2020235569A1 (en) | Connection of concrete-filled steel tube column and reinforced concrete slab | |
KR100386925B1 (ko) | 건축물 옹벽의 커튼월 설치구조 | |
JP2017002687A (ja) | 組積ユニット及び組積方法 | |
JPH11107293A (ja) | 建物の基礎構造、その基礎施工方法及び基礎用ブロック | |
KR101697361B1 (ko) | 조립식 기둥과 보 및 슬라브의 연결구조 | |
JP2020012330A (ja) | 建物基礎用ブロック | |
KR100525599B1 (ko) | 건축물 조적식 벽체 미장 몰탈 보강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16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110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1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1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