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0998A - 관장용 비데기구가 형성된 환자용 침대 - Google Patents

관장용 비데기구가 형성된 환자용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0998A
KR20190100998A KR1020180020837A KR20180020837A KR20190100998A KR 20190100998 A KR20190100998 A KR 20190100998A KR 1020180020837 A KR1020180020837 A KR 1020180020837A KR 20180020837 A KR20180020837 A KR 20180020837A KR 20190100998 A KR20190100998 A KR 20190100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toilet
pair
closing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0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0715B1 (ko
Inventor
장재호
박대진
최용운
Original Assignee
장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재호 filed Critical 장재호
Priority to KR1020180020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0715B1/ko
Publication of KR20190100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0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47Beds for special sanitary purposes, e.g. for giving enemas, irrigations, flush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6Enemata; Irrigators combined with bid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Abstract

본 발명은 용변구(215)에 변기(100)를 승강하는 승강수단(30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승강수단(300)은 상기 변기(100)에 결합된 내부공간(331)이 형성된 상부받침대(310) 속으로 하부받침틀(330)에 형성된 하부받침대(320)가 끼워지도록 되어 있고, 상기 하부받침대(320) 상부에 형성된 모터(321)에 의하여 상기 상부받침대(310)는 개구부 일측에 형성된 상부받침대승강기어(313)와 연동되어 상하로 작동이 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장용 비데기구가 형성된 환자용 침대이다.

Description

관장용 비데기구가 형성된 환자용 침대{Patient bed with automatic bidet appratus for enema}
본 발명은 관장용 비데기구가 형성된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비데의 기능이 변비 환자에게 관장이 되는 효과를 가진 관장용 비데기구가 형성된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로서 등록특허 10-1077845호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 1은 비데가 설치된 양변기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데의 상세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비데는 급수관로(1)로 공급되는 세정수(일반적으로 수돗물을 의미함)의 압력을 조절하는 수압조절기(3), 수압조절기(3)에서 나오는 세정수를 정수하는 정수기(5), 정수기(5)를 통하여 공급된 세정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7), 및 수압조절기(3), 정수기(5), 분사노즐(7)이 결합되며 통상의 양변기에 고정되는 고정부(9)를 포함한다. 고정부(9)는 양변기에 고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변을 볼 때 변기(도시생략)의 일부를 덮는 보조커버(11), 또는 변기를 덮는 커버(13)와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수압조절기(3)는 급수관로(1)를 통하여 유입되는 세정수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의 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수압 조절레버(15)를 이용하여 세정수가 공급되는 관로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여 수압의 세기를 조절하는 등록특허 제426635호에 개시된 것이 적용될 수 있다.
정수기(5)는 수압조절기(3)를 통하여 전달되는 세정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관로(도시생략)로 연결되며, 유입된 세정수를 정수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정수기(5)는 수돗물을 직접 사용하며 이를 정수하여 양질의 세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분사노즐(7)은 통상적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수압에 따라 분사위치 설정을 위한 세정수 및 관장을 위한 세정수가 구분되어 분사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관장용 노즐(200)은 세정수를 공급하는 급수관로(도 2의 2)에 연결되며 내부에 관로를 갖는 케이싱 부재(210)와, 케이싱 부재(210)의 하부쪽 관로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세정수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정수에 선회류를 형성하는 선회류 형성부재(220)와, 선회류 형성부재(220)의 상부에 위치하는 케이싱 부재(210)의 관로에 설치되어 유동하는 세정수에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 발생부재(230), 및 케이싱부재(210)의 상부쪽 관로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세정수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분사량 조절부재(240)로 구성된다.
케이싱 부재(210)는 세정수가 공급되는 급수관로(2)에 연결되는 연결관로(213)와, 결관로(213)와 연통되어 중앙을 따라 형성된 유동관로(211)와, 유동관로(211)의 하단에 용접 접합되어 하단을 봉하는 덮개(212)로 구성된다. 이때, 케이싱 부재(210)는 연결관로(213)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유동관로(211)가 형성된다.
선회류 형성부재(220)는 덮개(212)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로펠러로서, 유동관로(211)의 중심선으로 설치되는 회전축(221)과, 회전축(221) 둘레를 따라 등간도로 설치된 다수의 날개(222)로 구성된다. 이러한 선회류 형성부재(220)는 덮개(212)가 유동관로(211)의 하단에 용접 접합되고, 선회류 형성부재(220)는 케이싱 부재(210)의 측방향의 연결관로(213)를 통해 공급되는 세정수에 의해 다수의 날개(222)가 회전하면서 세정수에 선회류를 형성하면서 유동관로(211) 쪽으로 유동시킨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관장용 노즐(200)은 선회류 형성부재(220)를 통해 외부로 분사되는 세정수가 바깥쪽으로 튀지 않고 선회류를 형성하면서 분사될 수 있다.
또한, 선회류 형성부재(220)의 회전축(221)에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멍(221a)이 그 중심선을 따라 형성된다.
기포 발생부재(230)는 선회류 형성부재(220)의 상부에 위치하는 유동관로에 억지끼움방식으로 고정되어 선회류를 형성하면서 유동하는 세정수에 기포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유동관로에 억지끼움방식으로 고정되는 제1, 제2 원통형 케이스(231, 233)와, 제1 원통형 케이스(231)에 억지끼움방식으로 고정되어 유동하는 세정수가 충돌하면서 기포가 발생되도록 하는 기포 발생부(232)로 구성된다. 여기서, 기포 발생부(232)는 세정수가 충돌하여 거품 및 기포를 효율적으로 발생시키는 다수의 돌기를 갖는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관장용 노즐(200)은 기포 발생부재(230)를 통해 거품과 기포 등을 일으켜 외부로 분사되는 세정수를 최대한 부드러운 상태로 배출할 수 있다.
분사량 조절부재(240)는 상부 유동관로의 내경에 밀착 고정되어 케이싱부재(210)의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갖는 고무 노즐(241)과, 고무 노즐(241)의 선단에 고무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며 중앙을 따라 세정수가 분사되는 분사틈새가 형성되어 분사되는 분사량에 따라 분사틈새의 개방각이 조절되어 세정수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분사량 조절부(242)로 구성된다. 여기서, 분사틈새는 분사량 조절부(242)의 중앙(직경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절개된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관장용 노즐(200)은 간단한 구조의 분사량 조절부재(240)를 통해 공급되는 세정수의 공급량에 따라 분사되는 세정수의 분사량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다음은 수압을 조절하는 종래 기술로서 공개특허 제10-2013-0059726호에 기재된 것으로, 비데기 내로 급수되는 세척수의 수압을 감지한 후 그 수압에 따라 상기 세정노즐 및 비데노즐로 공급되는 수량을 조절하여 토출 수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압조절부(300)가 구비된다.
상기 수압조절부(300)는 급수 유로(100)를 따라 급수되는 세척수에 의하여 회전하는 임펠러(311)와, 상기 임펠러(311)의 회전축(312)에 설치된 자성을 갖는 마그네트(313)와, 상기 마그네트(313)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펄스를 감지하는 홀센서(314)로 이루어진 플로우 미터(310)를 포함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플로우 미터(310)의 홀센서(314)와 연결되며 상기 홀센서(314)에서 전송되는 출력 파형의 개수를 산정하여 수량을 제어하는 제어부(320)와, 상기 제어부(320)와 연결되어 제어부(320)의 설정된 기준값을 벗어나는 경우 개폐량을 조절하여 세척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수량조절밸브(33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기재된 실시예는 급수량을 조절하는 일반적 구성이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노즐에 관한 기술은 변비 등의 관장할 수 있는 기술에는 좋으나, 환자가 침대에 누워 있을 경우에는 별도의 보조원이 필요하게 되고, 거동이 불편한 환자일 경우에는 침대 자체에서 대소변을 해결해야 하나 이를 해결해 줄 수 있는 구조는 아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우수한 관장용 노즐의 기술을 적용하되, 환자가 침대에 누워 있을 경우에는 별도의 보조원이 필요없이 혼자서도 작동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게 되고, 거동이 불편한 환자일 경우에는 침대 자체에서 대소변을 해결할 수 있도록 침대에 개구를 형성하고, 여기에 비데용 관장 노즐을 형성하여 환자가 침대에서도 대소변을 가릴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용변구(215)가 형성된 매트(216)의 하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양측 수평 브라켓(112a, 112b)에 결합되는 한 쌍의 개폐문(200a, 200b)은 측단면으로 보아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개폐문의 중앙을 중심으로 개폐시 상호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개폐문(200a, 200b)는 2개로 분리하되 양측이 접합되는 개구부밀폐면을 중심으로 경사지도록 양측부에서 경사면(214a, 214b)을 구비하고, 상기 개폐문(200a, 200b)의 일측하단 모서리에 형성된 회전힌지점에는 한 쌍의 회전모터(210a, 210b)와 연결되는 한 쌍의 작동축(211a, 211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수평 브라켓(112a, 112b)과 한 쌍의 개폐문(200a, 200b)을 힌지결합하기 위해 상기 한 쌍의 작동축(211a, 211b)에 의하여 한 쪽면만이 구동되는 한 쌍의 경첩(114a, 114b)을 형성하고, 상기 용변구(215)에는 변기(100)를 승강하는 승강수단(30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승강수단(300)은 상기 변기(100)에 결합된 내부공간(331)이 형성된 상부받침대(310) 속으로 하부받침틀(330)에 형성된 하부받침대(320)가 끼워지도록 되어 있고, 상기 하부받침대(320) 상부에 형성된 모터(321)에 의하여 상기 상부받침대(310)는 개구부 일측에 형성된 상부받침대승강기어(313)와 연동되어 상하로 작동이 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장용 비데기구가 형성된 환자용 침대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변기(100)의 내부에는 관장용비데기구(1000)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변기(100)의 테두리에 수압조절기레버(215)를 끼워 설치할 수 있는 레버손잡이안내홈(120)이 장공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일측에 레버손잡이(15a)의 보관홈(120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장용 비데기구가 형성된 환자용 침대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압조절기레버(215) 대신에 수압 조절기(3)에 전자수압조절밸브(12a)가 형성되어 이를 수압조절무전기구(2a)에 의하여 수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장용 비데기구가 형성된 환자용 침대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용변구(215)가 형성된 매트(216)의 하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양측 수평 브라켓(112a, 112b)에 결합되는 한 쌍의 개폐문(200a, 200b)은 측단면으로 보아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개폐문의 중앙을 중심으로 개폐시 상호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개폐문(200a, 200b)는 2개로 분리하되 양측이 접합되는 개구부밀폐면을 중심으로 경사지도록 양측부에서 경사면(214a, 214b)을 구비하고, 상기 개폐문(200a, 200b)의 일측하단 모서리에 형성된 회전힌지점에는 한 쌍의 회전모터(210a, 210b)와 연결되는 한 쌍의 작동축(211a, 211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수평 브라켓(112a, 112b)과 한 쌍의 개폐문(200a, 200b)을 힌지결합하기 위해 상기 한 쌍의 작동축(211a, 211b)에 의하여 한 쪽면만이 구동되는 한 쌍의 경첩(114a, 114b)을 형성하고, 상기 용변구(215)에는 변기(100)를 승강하는 승강수단(30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승강수단(400)은 실린더(440)와 실린더로드(450)의 유압 작동에 의하여 제1커버(410)와 제2커버(420)와 제3커버(430)의 승하강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제3커버(430)에 결합된 변기(100)가 승하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장용 비데기구가 형성된 환자용 침대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환자가 침대에 누워 있을 경우에는 별도의 보조원이 필요없이 혼자서도 작동할 수 있고, 거동이 불편한 환자일 경우에도 침대 자체에서 대소변을 해결할 수 있도록 침대에 개구를 형성하고, 여기에 비데용 관장 노즐을 형성하여 침대 자체 내에서 대소변을 가리고, 이의 마무리까지 할 수 있는 비데 및 관장기능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기존의 비데가 설치된 양변기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데의 상세도이고,
도 3은 종래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관장용 노즐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관장용 노즐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기포 발생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종래 다른 발명에 따른 비데기용 수압 자동조절장치의 수압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종래 다른 발명에 따른 급수 유로 및 플로우 미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비데에 적용되는 세정수 공급장치의 수동식 수압조절밸브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비데에 적용되는 세정수 공급장치의 전자식 수압조절밸브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수동식 수압조절밸브를 장착한 환자용 용변구의 승강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전자식 수압조절밸브를 장착한 환자용 용변구의 승강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침대 개폐구에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자동개폐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의 승강수단의 개폐문 고정상태에 대한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의 승강수단의 개폐문 개폐상태에 대한 측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의 승강수단에 의하여 용변구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에 대한 측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승강수단에 의하여 용변구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에 대한 개략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의자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 환자용 용변구의 승강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병기된 도면부호에 따라 부여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비데에 적용되는 세정수 공급장치의 수동식 수압조절밸브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비데에 적용되는 세정수 공급장치의 전자식 수압조절밸브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관장용 비데기구(1000)는 급수관로(1)로 공급되는 세정수(일반적으로 수돗물을 의미함)의 압력을 조절하는 수압조절기(3), 수압조절기(3)에서 나오는 세정수를 정수하는 정수기(5), 길이조절버클(4)과 부착수단(6), 정수기(5)를 통하여 공급된 세정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7), 및 수압조절기(3), 정수기(5), 분사노즐(7)이 함께 결합되며 통상의 양변기에 고정된다.
상기 수압조절기(3)는 급수관로(1)를 통하여 유입되는 세정수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여기서는 수압 조절레버(15)를 이용하여 세정수가 공급되는 관로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여 수압의 세기를 조절하는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수압 조절레버(15)의 상부에는 환자가 편하게 잡을 수 있는 레버손잡이(15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정수기(5)는 수압조절기(3)를 통하여 전달되는 세정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관로(도시생략)로 연결되며, 유입된 세정수를 정수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정수기(5)는 수돗물을 직접 사용하며 이를 정수하여 양질의 세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정수기와 분사노즐(7) 사이에는 길이조절버클(4)과 부착수단(6)이 형성되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양변기에 부착고정되어 설치되어진다.
상기 분사노즐(7)은 통상적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수압에 따라 분사위치 설정을 위한 세정수 및 관장을 위한 세정수가 구분되어 분사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장용 비데기구(1000)는 급수관로(1)로 공급되는 세정수(일반적으로 수돗물을 의미함)의 압력을 조절하는 수압조절기(3), 수압조절기(3)에서 나오는 세정수를 정수하는 정수기(5), 길이조절버클(4)과 부착수단(6), 정수기(5)를 통하여 공급된 세정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7), 및 수압조절기(3), 정수기(5), 분사노즐(7)이 함께 결합되며 통상의 양변기에 고정된다.
여기서, 도 8에 도시된 발명과 차이점은 수압 조절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수압조절기(3)는 급수관로(1)를 통하여 유입되는 세정수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여기서는 상기 수압 조절기(3)에 전자수압조절밸브(12a)가 형성되어 이를 수압조절무전기구(2a)에 의하여 수압을 조절한다.
상기 수압조절무전기구(2a)는 손가락으로 눌러 수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누름버튼(21a)이나, 손가락으로 회전시켜 수압을 조절하는 회전조절부(22a)가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정수기(5)는 수압조절기(3)를 통하여 전달되는 세정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관로(도시생략)로 연결되며, 유입된 세정수를 정수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정수기(5)는 수돗물을 직접 사용하며 이를 정수하여 양질의 세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정수기와 분사노즐(7) 사이에는 길이조절버클(4)과 부착수단(6)이 형성되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양변기에 부착고정되어 설치되어진다.
상기 분사노즐(7)은 통상적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수압에 따라 분사위치 설정을 위한 세정수 및 관장을 위한 세정수가 구분되어 분사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다음은 변기를 승강하는 승강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수동식 수압조절밸브를 장착한 환자용 용변구의 승강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전자식 수압조절밸브를 장착한 환자용 용변구의 승강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변기(100)의 내부에는 관장용비데기구(1000)가 내장되어 있고, 변기(100)의 테두리에 수압조절기레버(15)를 끼워 설치할 수 있는 레버손잡이안내홈(120)이 장공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일측에 레버손잡이(15a)의 보관홈(120a)이 형성되어 이를 보관하고 있으면서, 환자가 사용시에 빼내어 레버에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1은 수압 조절기(3)에 전자수압조절밸브(12a)가 형성되어 이를 수압조절무전기구(2a)에 의하여 수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점에 있어서 양자 상이하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변기(100)를 침대 아래에 위치하고 침대의 용변구(215)의 아래 및 속으로 이동하기 위한 승강수단(300)은 침대의 하부에서 상기 변기(100)에 결합된 내부공간(331)이 형성된 상부받침대(310) 속으로 하부받침틀(330)에 형성된 하부받침대(320)가 끼워지도록 되어 있고, 상기 하부받침대(320) 상부에 형성된 모터(321)에 연계된 감속기어(322)에 의하여 상기 상부받침대(310)는 개구부 일측에 형성된 상부받침대승강기어(313)와 연동되어 상하로 작동이 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작동에 의하여 변기(100)를 용변구(215) 공간 속으로 밀어 넣거나 용변구마개(200)를 밑에서 받쳐 평상시 침대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미설명 부호 331은 이동바퀴이고, 332는 흡착판이 형성된 하부받침틀고정구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침대에 형성된 자동개폐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자동개폐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10)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리(11), 침대프레임(12), 매트(216), 승강수단(30), 자동개폐장치(200)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침대프레임(12)은 다리(11)가 설치되는 격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에는 등받이부, 변기설치부위 등이 형성된다.
상기 매트(216)는 침대프레임(12)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환자의 힙과 대응되는 영역에 용변구(215)가 형성되는데, 이 용변구는 환자의 배변 시 간섭을 받지 않도록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형태는 원형,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변구(215) 위치의 매트(216)는 하부에 자동개폐장치(200)의 구성요소인 수평브라켓(112a,112b)이 설치된다.
상기 개폐문의 구조는 침대의 매트(216)와 용변구(215)의 사이즈에 따라 그 형상이 다르게 창안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를 구체화시켜 설명한다.
상기 용변구마개 자동개폐수단(200)은 상기 용변기(215)의 크기에 맞춰 형성되는 한 쌍의 개폐문(200a, 200b)과 상기 매트(16)의 하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수평 브라켓(112a, 112b)과 한 쌍의 작동축(211a, 211b), 한 쌍의 회전모터(210a, 210b)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문(200a, 200b)는 2개로 분리하여 양측이 접합되는 개구부밀폐면을 중앙의 수직선을 중심으로 경사지도록 양측부로 경사면(214a, 214b)을 형성하며, 상기 매트(16)에 설치된 수평브라켓(112a, 112b)과 경첩(114a, 114b)과 작동축(211a, 211b)을 통해 연결 형성된다.
상기 개폐문(200a, 200b)은 상기 매트(216)의 두께와 동일하게 제작되며, 이에 따른 상기 개폐문(200a, 200b)의 양측부에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개폐문(200a, 200b)을 개폐시에 상기 작동축(211a, 211b)을 중심으로 하부로 회동시에 상호 모서리의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이때, 양측 개폐문의 상부 공간이 다소 생겨 침대상부에 부분적인 홈이 있을 수 있으나, 상기 개폐문의 하부가 넓을 경우에는 하부에서 승강되는 변기(100)의 플렌지에 의하여 받침대로서의 안정감을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개폐문(200a, 200b)의 좌측에 있는 개폐문의 사이즈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두께(a)가 상기 매트(216)의 두께와 동일하게 제작되며, 그 하단 폭(b)은 상기 두께의 2~3배가 되고, 그 상단 폭(c)은 상기 폭(b) 보다는 다소 작게 되되, 일측의 개구부밀폐면에 상부에서 벌어지는 경사면(214a, 214b)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개폐문(200a, 200b)을 개폐시에 좌측하단 모서리에 형성된 회전힌지점(200aa)을 중심으로 우측상단모서리에 형성된 개폐문막음면(200ab)이 회전외곽점이 되어 작동축(211a, 211b)을 중심으로 하부로 회동시에 상호 모서리의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수평 브라켓(112a, 112b)은 상기 경첩(114a, 114b)과 작동축(211a, 211b)을 통해 상기 개폐문(200a, 200b)과 연결하는 기능과 함께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작동축(211a, 211b)은 상기 한 쌍의 수평 브라켓(112a, 112b)에 설치되고, 일단에 한 쌍의 회전모터(210a, 210b)와 연결된다.
상기 한 쌍의 회전모터(210a, 210b)는 상기 개폐문(200a, 200b)을 여닫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장치로써, 상기 한 쌍의 수평 브라켓(112a,112b)에 연결된다.
상기 용변구마개 자동개폐수단(200)의 구동방법을 살펴보면, 상기 한 쌍의 회전모터(210a, 210b)에서 발생한 동력이 한 쌍의 수평 브라켓(112a, 112b)을 통하여 개폐문(200a, 200b)으로 전달되면서 개폐된다. 이때 상기 개폐문(200a, 200b)은 경첩(114a, 114b)을 구비하고 있어, 안정적으로 다수의 횟수의 여닫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자동개폐장치(200)과 변기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300)은 상술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변기를 용변구 측으로 승강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매트(216)에 형성된 용변구(215)를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다음은 본 발명의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의 승강수단의 개폐문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의 승강수단의 개폐문 고정상태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의 승강수단의 개폐문 개폐상태에 대한 측단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의 승강수단에 의하여 용변구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상기 용변구마개 자동개폐수단(200)은 상기 용변구(215)의 크기에 맞춰 형성되는 한 쌍의 개폐문(200a, 200b)과 상기 매트(216)의 하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수평 브라켓(112a, 112b)과 한 쌍의 작동축(211a, 211b), 한 쌍의 회전모터(210a, 210b)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문(200a, 200b)는 중앙을 중심으로 경사지도록 하부에 경사면(214a, 214b)을 형성하며, 상기 매트(216)에 설치된 수평브라켓(112a, 112b)과 경첩(114a, 114b)과 작동축(211a, 211b)을 통해 연결 형성된다.
상기 개폐문(200a, 200b)은 상기 매트(216)의 두께와 동일하게 제작되며, 이에 따른 상기 개폐문(200a, 200b)의 하부 일측에 경사면(214a, 214b)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개폐문(200a, 200b)을 개폐시에 상기 작동축(211a, 211b)을 중심으로 하부로 회동시에 상호 모서리의 간섭 또는 개폐문 상호 회전과 변기 하강 타이밍의 차이에 의하여 하부에서 승하강되는 변기(100)의 플렌지(101)와의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이하, 도 14~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용변구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4는 침대 아래에 용변구가 그대로 개폐문을 받쳐 일상생활을 하고 있는 상태이다.
도 15는 이와 같이 변기(100)가 하강하면, 상기 자동개폐장치(200)을 작동시키도록 하는데, 상기 양측 개폐문(200a,200b)을 상기 회전모터(210a, 210b))에 의하여 좌우로 180도로 개폐하게 된다.
도 16은, 이와 같이 상기 양측 개폐문(200a,200b)이 분리 개폐되면, 상기 변기(100)를 침대 아래에 위치하고 침대의 용변구(215)의 아래 및 속으로 이동하기 위한 승강수단(300)은 침대의 하부에서 상기 변기(100)에 결합된 내부공간(331)이 형성된 상부받침대(310) 속으로 하부받침틀(330)에 형성된 하부받침대(320)가 끼워지도록 되어 있고, 상기 하부받침대(320) 상부에 형성된 모터(321)에 연계된 감속기어(322)에 의하여 상기 상부받침대(310)는 개구부 일측에 형성된 상부받침대승강기어(313)와 연동되어 상부로 올라가 용변구(215)에 끼워져 환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관장용 비데기구(1000)를 작동하게 되면, 여기에 적용되는 분사노즐(7)에 의하여 작동되는 선회류 및 기포를 갖는 세정수는 분사량 조절부재(240)를 통해 사용자의 항문 등에 분사된다. 그런데, 처음 초기에는 케이싱 부재(210)의 내부로 공급되는 세정수의 공급량이 적고, 그로 인해 분사량 조절부재(240)의 분사량 조절부(242)에 낮은 수압이 작용함에 따라 분사량 조절부(242)의 분사틈새의 개방각이 작아 비교적 가는 형태로 세정수가 분사되어 항문 주위에 부딪친다. 그러면, 사용자가 그 위치(예를 들면, 항문의 정중앙)를 느낌으로 정확하게 맞출 수가 있다.
그러다가 사용자가 본인의 신체를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 수압조절레버(15)를 이동시켜 급수관로(1)를 통하여 공급되는 세정수가 통과하는 관로를 더욱 많이 열어 수압을 증가시키면, 분사량 조절부(242)의 분사틈새의 개방각이 점점 커져 굵은 물줄기의 세정수가 분사됨과 더불어, 항문관이 늘어나면서 항문주위에 물방울이 거의 묻지 않으면서 선회류에 의해 빠른 속도로 항문 내강(직장) 내로 유입되어 관장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화장지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전혀 불쾌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분사되는 세정수가 공기방울 형상의 기포 등을 갖기 때문에 거의 통증 없이 관장이 가능하다.
환자가 이를 사용이 끝난 상태에서 다시 역순으로 상기 양측 개폐문(200a,200b)을 상기 회전모터(210a, 210b))에 의하여 좌우로 180도로 회전시켜 상기 용변구(215)를 밀폐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변기와 상기 양측 개폐문(200a,200b)이 닫히게 되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변기가 상승하여 용변구(215)를 닫고 있는 양측 개폐문(200a, 200b)을 받쳐주게 되어 환자는 평상시의 침대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승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승강수단에 의하여 용변구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에 대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승강수단에 의하여 용변구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의 변기(100)와 승강수단(400)의 결합은 통상의 방법으로 볼트와 너트 등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승강수단(400)은 실린더(440)와 실린더로드(450)의 유압 작동에 의하여 제1커버(410)와 제2커버(420)와 제3커버(430)의 승하강함으로써, 제3커버(430)에 결합된 변기(100)가 승하강하게 되는 구조이다.
이하, 중복되는 구조의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승강수단을 의자에 적용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의자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 환자용 용변구의 승강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의자(2000)의 좌판에 용변구(215)를 형성하고, 상기 용변구(215)에 승강수단(300)에 의하여 변기(100)를 끼워 환자가 용변을 누게 된다.
이후 작동상태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이상에서 이 발명의 관장용 노즐 및 이를 이용한 비데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이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이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이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환자용 침대
11: 다리
12: 프레임
12a: 메인 프레임
12b: 서브 프레임
215: 용변구
216: 매트
300: 승강수단
100: 변기
112a,112b: 수평 브라켓
200: 자동개폐장치
200a,200b: 개폐문
210a,210b: 회전모터
211a,211b: 작동축
214a,214b: 경사면

Claims (4)

  1. 용변구(215)가 형성된 매트(216)의 하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양측 수평 브라켓(112a, 112b)에 결합되는 한 쌍의 개폐문(200a, 200b)은 측단면으로 보아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개폐문의 중앙을 중심으로 개폐시 상호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개폐문(200a, 200b)는 2개로 분리하되 양측이 접합되는 개구부밀폐면을 중심으로 경사지도록 양측부에서 경사면(214a, 214b)을 구비하고, 상기 개폐문(200a, 200b)의 일측하단 모서리에 형성된 회전힌지점에는 한 쌍의 회전모터(210a, 210b)와 연결되는 한 쌍의 작동축(211a, 211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수평 브라켓(112a, 112b)과 한 쌍의 개폐문(200a, 200b)을 힌지결합하기 위해 상기 한 쌍의 작동축(211a, 211b)에 의하여 한 쪽면만이 구동되는 한 쌍의 경첩(114a, 114b)을 형성하고, 상기 용변구(215)에는 변기(100)를 승강하는 승강수단(30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승강수단(300)은 상기 변기(100)에 결합된 내부공간(331)이 형성된 상부받침대(310) 속으로 하부받침틀(330)에 형성된 하부받침대(320)가 끼워지도록 되어 있고, 상기 하부받침대(320) 상부에 형성된 모터(321)에 의하여 상기 상부받침대(310)는 개구부 일측에 형성된 상부받침대승강기어(313)와 연동되어 상하로 작동이 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장용 비데기구가 형성된 환자용 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100)의 내부에는 관장용비데기구(1000)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변기(100)의 테두리에 수압조절기레버(215)를 끼워 설치할 수 있는 레버손잡이안내홈(120)이 장공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일측에 레버손잡이(15a)의 보관홈(120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장용 비데기구가 형성된 환자용 침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압조절기레버(215) 대신에 수압 조절기(3)에 전자수압조절밸브(12a)가 형성되어 이를 수압조절무전기구(2a)에 의하여 수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장용 비데기구가 형성된 환자용 침대
  4. 용변구(215)가 형성된 매트(216)의 하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양측 수평 브라켓(112a, 112b)에 결합되는 한 쌍의 개폐문(200a, 200b)은 측단면으로 보아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개폐문의 중앙을 중심으로 개폐시 상호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개폐문(200a, 200b)는 2개로 분리하되 양측이 접합되는 개구부밀폐면을 중심으로 경사지도록 양측부에서 경사면(214a, 214b)을 구비하고, 상기 개폐문(200a, 200b)의 일측하단 모서리에 형성된 회전힌지점에는 한 쌍의 회전모터(210a, 210b)와 연결되는 한 쌍의 작동축(211a, 211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수평 브라켓(112a, 112b)과 한 쌍의 개폐문(200a, 200b)을 힌지결합하기 위해 상기 한 쌍의 작동축(211a, 211b)에 의하여 한 쪽면만이 구동되는 한 쌍의 경첩(114a, 114b)을 형성하고, 상기 용변구(215)에는 변기(100)를 승강하는 승강수단(30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승강수단(400)은 실린더(440)와 실린더로드(450)의 유압 작동에 의하여 제1커버(410)와 제2커버(420)와 제3커버(430)의 승하강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제3커버(430)에 결합된 변기(100)가 승하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장용 비데기구가 형성된 환자용 침대
KR1020180020837A 2018-02-22 2018-02-22 관장용 비데기구가 형성된 환자용 침대 KR102430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837A KR102430715B1 (ko) 2018-02-22 2018-02-22 관장용 비데기구가 형성된 환자용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837A KR102430715B1 (ko) 2018-02-22 2018-02-22 관장용 비데기구가 형성된 환자용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998A true KR20190100998A (ko) 2019-08-30
KR102430715B1 KR102430715B1 (ko) 2022-08-16

Family

ID=67776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0837A KR102430715B1 (ko) 2018-02-22 2018-02-22 관장용 비데기구가 형성된 환자용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07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41935A (zh) * 2021-11-13 2022-02-15 庄艳青 一种骨科护理清洗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954Y1 (ko) * 2001-07-31 2001-11-22 재 호 장 환자용 침대
KR20060000227A (ko) * 2004-06-28 2006-01-06 주식회사 해피베드 환자용 침대의 좌변기 승강 개폐구조
KR20080029590A (ko) * 2006-09-29 2008-04-03 (주)리파인드 환자용 침대
KR20080103879A (ko) * 2007-05-25 2008-11-28 박신택 기능성 환자용 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954Y1 (ko) * 2001-07-31 2001-11-22 재 호 장 환자용 침대
KR20060000227A (ko) * 2004-06-28 2006-01-06 주식회사 해피베드 환자용 침대의 좌변기 승강 개폐구조
KR20080029590A (ko) * 2006-09-29 2008-04-03 (주)리파인드 환자용 침대
KR20080103879A (ko) * 2007-05-25 2008-11-28 박신택 기능성 환자용 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41935A (zh) * 2021-11-13 2022-02-15 庄艳青 一种骨科护理清洗装置
CN114041935B (zh) * 2021-11-13 2023-04-14 庄艳青 一种骨科护理清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0715B1 (ko) 202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47871A1 (en) Line pressure-driven, tankless, siphonic toilet
US11739519B2 (en) Toilet with efficient water flow path
US20100257662A1 (en) Automatic toilet cleaning device
US5630234A (en) Bidet assembly
KR20190100998A (ko) 관장용 비데기구가 형성된 환자용 침대
CN106592721B (zh) 一种脉冲式喷洗装置及使用其的坐便器
KR20190100999A (ko) 관장용 비데기구가 형성된 변기 승강기구
KR101294831B1 (ko) 다기능 샤워기
US20090276948A1 (en) Bidet toilet seat apparatus and system for its use
KR100970874B1 (ko) 비데의 관장용 노즐
KR101985189B1 (ko) 진공 흡입식 좌변기
KR100730692B1 (ko) 비데용 복합 밸브 조립체
KR20110039877A (ko) 관장용 노즐 및 이를 이용한 비데
KR200466063Y1 (ko) 비데용 유량조절밸브
JP4622065B2 (ja) 人体局部洗浄装置
JP2905044B2 (ja) 洗浄用ノズ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衛生洗浄装置
CN220706570U (zh) 一种基于多个控键的滚轮式流量阀及其洁身器
CN219109291U (zh) 一种冲洗组件集成在座圈内部的冲洗盖板
JP2006218452A (ja) 湯水散出ノズル、湯水散出装置、湯水散出室及び建物
CN209849112U (zh) 一种能产生空心倒圆锥水形的喷嘴及智能马桶喷枪
KR200360148Y1 (ko) 편심 요동형 노즐을 갖는 비데
KR20220029283A (ko) 비데용 밸브
KR200351110Y1 (ko) 비데용 삼방 유량조절장치
JP2003278229A (ja) 人体局部洗浄装置
JP2024514333A (ja) ビ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