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0148Y1 - 편심 요동형 노즐을 갖는 비데 - Google Patents

편심 요동형 노즐을 갖는 비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0148Y1
KR200360148Y1 KR20-2004-0015311U KR20040015311U KR200360148Y1 KR 200360148 Y1 KR200360148 Y1 KR 200360148Y1 KR 20040015311 U KR20040015311 U KR 20040015311U KR 200360148 Y1 KR200360148 Y1 KR 2003601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housing
guide
clean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53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실
Original Assignee
박근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근실 filed Critical 박근실
Priority to KR20-2004-00153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01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01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01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08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comprising a wobbling or nutating element, i.e. rotating about an axis describing a cone during spray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Abstract

본 고안은 비데에 관한 것으로, 이중관 형태이고 외주면 일부에는 안내돌기가 돌출된 노즐하우징과; 노즐하우징의 내관에 삽입되고 길이 일부에는 치면이 형성되며 단부에는 세정수분사구를 갖는 노즐팁이 마련된 세정노즐과; 세정노즐이 중앙을 관통하는 형태로 배치되고 노즐하우징의 외관과 연통된 노즐세척수분사구를 가진 하우징팁과; 노즐하우징의 외주면에 고정된 노즐구동모터와 연결되고 그 외주면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치면에 치합되는 노즐워엄기어와; 변좌의 후방 하면에 고정되고 편심축을 갖는 회전모터와; 편심축과 연결되고 노즐하우징의 후단 외주면에 고정된 회전판가이드와; 안내돌기가 끼워지고 변좌의 후방에 볼죠인트 형태로 고정된 원통형상의 안내가이드와; 노즐하우징의 후단면을 관통하여 그 내,외관에 각각 연결되고 세정노즐의 인출입상태에 따라 각기 개폐제어되는 전자개폐밸브를 갖는 신축성의 노즐용호스 및 하우징용호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편심 요동형 노즐을 갖는 비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세척반경이 넓고 집중 세정이 가능하며 세정노즐 자체를 세척할 수 있어 매우 청결하고 위생적이며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내구성 및 수명이 반영구적이다.

Description

편심 요동형 노즐을 갖는 비데{BIDET EQUIPPED A OFF CENTER SHAKING TYPE NOZZLE}
본 고안은 비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의 요동형 세정노즐을 통해 항문 주변에 잔류하는 이물질들을 사용자의 체형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더욱 개량된 편심 요동형 노즐을 갖는 비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비데(BIDET)는 세정변좌를 일컫는 말로서 호텔, 여관 등의 숙박업소는 물론 일반 가정내 배변설비인 좌변기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기구로서 용변후 적정압의 물로 항문 및 그 주변을 세척함으로써 휴지를 사용하지 않고도 뒷처리를 할 수 있는 위생설비이다.
본 출원인은 상기 비데가 최근까지 발전되는 과정에서 유발되었던 많은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일환으로 다년간의 연구끝에 얻어진 새로운 형태의 비데, 예컨대 "편심 회전형 노즐을 갖는 비데"를 2003. 06. 19자로 출원번호 10-2003-39672로 특허출원한 바 있고, 또한 이를 실용신안으로도 이중출원한 후 기술평가를 청구하여 등록유지결정을 받은 바 있다(등록실용 제327322호, 2003.09.08; 기술평가청구번호 20-2003-9008226, 2003.09.29).
그런데,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였거나 등록유지결정을 받았던 상기 비데(이하 "본 출원인의 선행기술"이라 함)는 구조적으로 상당히 복잡하고, 그에 따라 제조비용이 급증하는 단점이 있어 이를 더욱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되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출원인의 선행기술이 갖는 제반 단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일거에 해소코자 창안된 것으로, 본 출원인의 선행기술상 단점이었던 구조적 복잡성과 제조비용의 상승을 효과있게 해결하여 설치가 용이하면서 그 기능면에 있어서도 본 출원인의 선행기술이 갖는 그것보다 더욱 발전된 형태의 기능을 갖는 편심 요동형 노즐을 갖는 비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한 목적은, 이중관 형태이고 외주면 일부에는 안내돌기가 돌출된 노즐하우징과; 노즐하우징의 내관에 삽입되고 길이 일부에는 치면이 형성되며 단부에는 세정수분사구를 갖는 노즐팁이 마련된 세정노즐과; 세정노즐이 중앙을 관통하는 형태로 배치되고 노즐하우징의 외관과 연통된 노즐세척수분사구를 가진 하우징팁과; 노즐하우징의 외주면에 고정된 노즐구동모터와 연결되고 그 외주면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치면에 치합되는 노즐워엄기어와; 변좌의 후방 하면에 고정되고 편심축을 갖는 회전모터와; 편심축과 연결되고 노즐하우징의 후단 외주면에 고정된 회전판가이드와; 안내돌기가 끼워지고 변좌의 후방에 볼죠인트 형태로 고정된 원통형상의 안내가이드와; 노즐하우징의 후단면을 관통하여 그 내,외관에 각각 연결되고 세정노즐의 인출입상태에 따라 각기 개폐제어되는 전자개폐밸브를 갖는 신축성의 노즐용호스 및 하우징용호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편심 요동형 노즐을 갖는 비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비데용 노즐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비데용 노즐의 작동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비데용 노즐의 일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비데용 노즐의 일부 절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노즐하우징 110....캡
120....하우징용호스 130....하우징팁
132....노즐세척수분사구 140....안내돌기
150....하우징워엄기어 160....회전모터
164....회전판가이드 170....편심축
200....세정노즐 210....노즐팁
212....세정수분사구 250....노즐워엄기어
300....안내가이드 330....안내홈
340....고정축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비데용 노즐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비데용 노즐의 작동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비데용 노즐의 일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비데용 노즐의 일부 절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의 도시와 같이, 노즐하우징(100)이 구비되고, 상기 노즐하우징(100)의 내부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유동가능한 세정노즐(200)이 삽설된다.
상기 노즐하우징(100)은 이중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세정노즐(200)은 이중관중 도 3에 도시된 내관(IN)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하우징(100)의 후단은 캡(110)에 의해 밀폐되고, 이 캡(110)을 관통하여 상기 노즐하우징(100)의 이중관중 외관(OUT)과 연결되는 하우징용호스(120)가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용호스(120)는 신축가능하게 형성되는데 예컨대, 주름관 형태가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노즐하우징(100)의 전후진동작을 가능하게 하여 준다.
또한, 상기 하우징용호스(120)의 길이 일부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솔레노이드밸브와 같은 형태의 전자개폐밸브가 구비되며, 이 전자개폐밸브는 특정한 제어신호 이를테면 세정노즐(200)이 노즐하우징(100)으로 인입됨과 동시에 설정된 시간동안 개방된 후 폐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개폐밸브의 작동시점은 본 출원인의 선행기술에 나타내었던 바와 같은 리미트스위치 형태가 될 수도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버튼조작을 멈추는 수간을 디텍트하여 동작하게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제어구성은 공지의 것이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상기 노즐하우징(100)의 선단에는 하우징팁(130)이 고정되며, 상기 세정노즐(200)은 이 하우징팁(13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인출입가능하게 배설된다.
상기 하우징팁(130)의 선단면에는 그 테두리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노즐세척수분사구(132)가 형성된다.
상기 노즐세척수분사구(132)는 상기 노즐하우징(100)의 이중관중 외관(도 3의 'OUT'), 즉 상기 하우징용호스(120)가 연결된 관로상의 선단면에 형성되는 것과 같은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용호스(120)로부터 공급된 노즐세척수(NW)는 상기 노즐세척수분사구(132)를 통해 세정노즐(200)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분사되게 된다.
또한, 상기 노즐하우징(100)의 길이 일부 외주면에는 그 직경방향으로 대칭되는 형태의 안내돌기(140) 한쌍이 돌출형성된다.
상기 안내돌기(140)는 후술할 안내가이드(300)에 구속되어 상기 노즐하우징(100)의 요동을 원활하게 유도하게 된다.
안내가이드(300)는 비데의 변좌 후방 하면 부근에 고정되는 것으로 주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중공된 내면 양측에는 그 직경방향으로 요입된 한쌍의 안내홈(330)이 그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안내홈(330)은 상술한 안내돌기(140)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이 안내돌기(140)가 끼워지는 형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가이드(300)의 길이 중앙 외주면 일부에는 구형상의 고정축(340)이 돌출형성되는데 이 고정축(340)은 상술한 변좌의 후방 하면에 볼죠인트 형태로 고정됨으로써 상기 안내가이드(300)가 사방으로 자유롭게 유동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그리고, 상기 노즐하우징(100)의 후단부에 인접한 외주면 일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치면이 형성되고, 이 치면에는 하우징워엄기어(150)가 치합되며, 상기 하우징워엄기어(150)는 하우징구동모터(미도시)의 회전축상에 고정된다.
하우징구동모터는 상기 안내가이드(300)의 외주면 일부에 일체로 고정되어 함께 유동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하우징구동모터와 하우징워엄기어(150)를 구비하지 않은 형태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우징워엄기어(150)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는 후술할 회전모터(160)도 안내가이드(300)에 고정될 필요가 없으며 변좌의 후방측 적당한 부위에 고정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노즐하우징(100) 자체를 전후진시켜 세정수(TW)의 분사위치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코자 한 것으로 이를테면 성인과 어린아이는 그 체형이 급격히 차이가 나므로 성인과 어린이가 번갈아 사용하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하우징(100)의 후단부에는 회전판가이드(164)가 그 외주면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회전판가이드(164)에는 회전판(162)이 연결되는데 이 회전판(162)에는 편심축(170)이 고정되며, 아울러 상기 회전판(162)은 회전모터(160)의 회전축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모터(160)는 상술한 안내가이드(30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회전모터(160)는 상기 안내가이드(300)에 직접 고정되는 것이 아니고 연결부재와 같은 것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로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가이드(164)는 상기 편심축(170)에 의해 편심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세정노즐(200)은 그 선단에 노즐팁(210)이 마련되고, 상기 노즐팁(210)의 상면에는 다수의 세정수분사구(212)가 천공형성된다.
이때, 상기 세정수분사구(212)는 도 4의 예시와 같이, 서로 간격(T)을 갖고 분사되도록 하되 그 중앙을 기준으로 약간 바깥쪽으로 치우쳐 분사되는 형태를 갖추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세정수분사구(212)는 그 두께 방향으로 점점 지름이 커지는 역원추형상을 갖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세정노즐(200)의 인출입을 위해 그 상단 외주면에는 상술한 노즐하우징(100)에서와 같은 치면이 일정길이 형성되고, 이 치면에는 노즐워엄기어(250)가 치합된다.
상기 노즐워엄기어(250)는 도시되지 않는 노즐구동모터의 회전축상에 고정되며, 이때 상기 노즐구동모터는 노즐하우징(100)의 하우징팁(130)에 인접한 그 외주면에 고정되어 노즐하우징(100)과 함께 유동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나아가, 상기 노즐구동모터는 스텝모터와 같은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세정노즐(200)의 스트로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신속한 행정(인출입)이 가능케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세정노즐(200)의 후단면에는 도 3의 도시와 같은 신축성부재로된 노즐용호스(220)가 연결되는데 이 노즐용호스(220)는 도 1에서와 같이 캡(110)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세정수(TW)를 공급할 수 있는 공급원과 연결되며, 또한 그 길이 일부에는 상술한 하우징용호스(120)에서와 같은 형태의 전자개폐밸브(미도시)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동관계는 다음과 같다.
본 출원인의 선행기술을 포함한 대부분의 비데가 갖는 작동관계는 유사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동작은 생략하기로 하고 본 고안의 구성을 통한 노즐하우징(100) 및 세정노즐(200)의 동작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고안 비데는 사용자의 착좌상태 불량에 따른 변의 비산에 의한 세정노즐(200) 자체의 외주면에 이물이 묻어 있는 경우도 말끔히 세척하는 기능을 구현하고 있으며, 이는 본 출원인의 선행기술에도 나타나 있으나 그 동작방식이 본 고안에서 더욱 개량되었음을 전제로 한다.
용변을 본 사용자는 항문세척을 위해 조작패널상의 스위치를 누르면서 항문세정을 준비하게 된다.
스위칭 동작에 의해 노즐구동모터(미도시)가 구동되며, 이에 따라 노즐워엄기어(250)가 회전되고 이와 치합되어 있던 세정노즐(200) 상의 치면이 연동되면서 세정노즐(200)이 인출(신장)되게 된다.
이때, 상기 세정노즐(200)은 정해진 스트로크만큼 신속하게 인출되게 되며, 그 인출되는 시간에 대응되게 설정된 전자개폐밸브 개방신호에 의해 노즐용호스(220)의 전자개폐밸브가 개방되면서 고압의 세정수(TW)가 세정노즐(200)내부로 공급되게 된다.
공급된 세정수(TW)는 노즐팁(210)의 세정수분사구(212)를 통해 항문 주변으로 고압 분사되게 된다.
이와 동시에, 회전모터(160)가 구동되게 되고, 이에 연결된 회전판(162)이 회전되며, 이 회전판(162)상에 일체로 고정된 편심축(170)이 그와 연결된 회전판가이드(164)를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가이드(164)는 노즐하우징(100)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노즐하우징(100)은 비교적 유동이 자유로운 안내가이드(300)에 구속되어 있으므로 상기 노즐하우징(100)이 유동(거의 요동에 가까움)되게 된다.
즉, 회전되는 편심축(170)의 위치에 따라 노즐하우징(100)은 고정축(340)을 중심으로 좌우 요동되게 되며, 또한 안내홈(330)을 따라 회전판(162)의 직경만큼 전후방향으로 유동되게 된다.
따라서, 이미 인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세정수(TW)를 고압 분사하고 있던 세정노즐(200), 특히 노즐팁(210)을 노즐하우징(100)의 운동과 동일하게 유지시키게 되고 결국 세정수(TW)는 항문 주변 주름 사이를 넓은 면적에 걸쳐 골고루 세척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본 출원인의 선행기술에서와 동일하거나 세정수(TW)의 분사각도의 조절에 의해 넓은 부위를 집중적으로 요동세척하므로 더 나은 세척기능을 갖게 된다.
아울러, 이때 필요한 경우 조작패널상에 구비된 +,- 스위치를 조작하여 하우징워엄기어(150)를 정역회전시킴으로써 노즐하우징(100) 자체를 약간 전후진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세정수(TW)의 분사위치를 더욱 정밀하게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세정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는 조작버튼을 오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노즐워엄기어(250)는 역회전되면서 인출되었던 세정노즐(200)을 인입시키게 된다.
동시에, 전자개폐밸브가 폐쇄되면서 노즐용호스(220)를 통한 세정수(TW)의 공급은 중단되고, 회전모터(160)의 구동도 정지되며, 반면에 하우징용호스(120)에 부설된 전자개폐밸브는 개방된다.
따라서, 하우징용호스(120)를 통해 노즐세척수(NW)가 하우징팁(130)의 노즐세척수분사구(132)를 통해 고압분사되게 되어 인입되는 세정노즐(200)의 외주면을 강하게 세척하게 된다.
즉, 사용자의 배변시 비산되거나 기타의 이유로 세정노즐(200)의 외주면에 부착되었던 이물들을 말끔하게 세척함으로써 비데 사용상의 위생을 더욱 청결하게 자동관리할 수 있게 된다.
노즐세척수(NW)의 분사시간은 상술하였듯이 타이머와 같은 수단을 통해 임의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항문 주변의 세정효과는 현격히 향상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실제로 노즐팁이 직접 편심회전되지는 않지만 요동되는 노즐하우징에 의해 편심요동되는 효과를 가지므로 그 세척반경이 넓어지고 집중 분사가 가능하여 세척효율이 현저히 증대된다.
둘째, 노즐세척수의 공급을 통해 세정노즐 자체를 그 인입시 자동 세척할 수 있어 매우 위생적이다.
세째, 기어방식의 노즐 인출입 구조를 갖춤으로써 수명이 반영구적이다.
네째, 노즐의 출입길이의 조절이 용이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관계없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섯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 및 설치가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다.

Claims (2)

  1. 이중관 형태이고 외주면 일부에는 안내돌기가 돌출된 노즐하우징과;
    노즐하우징의 내관에 삽입되고 길이 일부에는 치면이 형성되며 단부에는 세정수분사구를 갖는 노즐팁이 마련된 세정노즐과;
    세정노즐이 중앙을 관통하는 형태로 배치되고 노즐하우징의 외관과 연통된 노즐세척수분사구를 가진 하우징팁과;
    노즐하우징의 외주면에 고정된 노즐구동모터와 연결되고 그 외주면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치면에 치합되는 노즐워엄기어와;
    변좌의 후방 하면에 고정되고 편심축을 갖는 회전모터와;
    편심축과 연결되고 노즐하우징의 후단 외주면에 고정된 회전판가이드와;
    안내돌기가 끼워지고 변좌의 후방에 볼죠인트 형태로 고정된 원통형상의 안내가이드와;
    노즐하우징의 후단면을 관통하여 그 내,외관에 각각 연결되고 세정노즐의 인출입상태에 따라 각기 개폐제어되는 전자개폐밸브를 갖는 신축성의 노즐용호스 및 하우징용호스를 포함하는 편심 요동형 노즐을 갖는 비데.
  2. 이중관 형태이고 외주면 일부에는 안내돌기 및 치면이 형성된 노즐하우징과;
    노즐하우징의 내관에 삽입되고 길이 일부에는 상기 치면과 유사한 형태의 치면이 형성되며 단부에는 세정수분사구를 갖는 노즐팁이 마련된 세정노즐과;
    세정노즐이 중앙을 관통하는 형태로 배치되고 노즐하우징의 외관과 연통된 노즐세척수분사구를 가진 하우징팁과;
    노즐하우징의 외주면에 고정된 노즐구동모터와 연결되고 그 외주면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세정노즐의 치면에 치합되는 노즐워엄기어와;
    안내돌기가 끼워지고 변좌의 후방에 볼죠인트 형태로 고정된 원통형상의 안내가이드와;
    지지대를 통해 안내가이드에 지지고정된 편심축을 갖는 회전모터와;
    편심축과 연결되고 노즐하우징의 후단 외주면에 고정된 회전판가이드와;
    안내가이드의 외주면에 고정된 하우징구동모터와 연결되며 노즐하우징을 관통하여 그에 형성된 치면과 치합되는 하우징워엄기어와;
    노즐하우징의 후단면을 관통하여 그 내,외관에 각각 연결되고 세정노즐의 인출입상태에 따라 각기 개폐제어되는 전자개폐밸브를 갖는 신축성의 노즐용호스 및 하우징용호스를 포함하는 편심 요동형 노즐을 갖는 비데.
KR20-2004-0015311U 2004-06-02 2004-06-02 편심 요동형 노즐을 갖는 비데 KR2003601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311U KR200360148Y1 (ko) 2004-06-02 2004-06-02 편심 요동형 노즐을 갖는 비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311U KR200360148Y1 (ko) 2004-06-02 2004-06-02 편심 요동형 노즐을 갖는 비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0148Y1 true KR200360148Y1 (ko) 2004-08-26

Family

ID=49349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5311U KR200360148Y1 (ko) 2004-06-02 2004-06-02 편심 요동형 노즐을 갖는 비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01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1342A1 (ko) * 2009-03-04 2010-09-10 마이크로뱅크(주) 이온수 비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1342A1 (ko) * 2009-03-04 2010-09-10 마이크로뱅크(주) 이온수 비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8573B2 (en) Showerhead
JP5095781B2 (ja) 浣腸機能を有するビデ用の噴射ノズルの構造
JP3576131B2 (ja) ビデ
EP3696334A1 (en) Sanitary fixture
CN108350689A (zh) 坐浴盆阀装置
WO2024046502A1 (zh) 宠物喷水沐浴梳及其水路控制方法
KR200360148Y1 (ko) 편심 요동형 노즐을 갖는 비데
KR200335795Y1 (ko) 비데의 노즐 구조
CN2924206Y (zh) 360°任意旋转出水的混水阀
WO2020253425A1 (zh) 一种清洁水嘴及喷杆自洁组件
CN210097989U (zh) 花洒
KR102430715B1 (ko) 관장용 비데기구가 형성된 환자용 침대
CN216238828U (zh) 一种洁身器把手止位结构
KR200316309Y1 (ko) 비데용 세정수의 수로 및 유량조절밸브
KR200361181Y1 (ko) 비데용 노즐
JP5093030B2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KR20050121626A (ko) 비데용 노즐
CN216379826U (zh) 一种座便器
CN216616116U (zh) 用于智能马桶的旋转阀芯式脉冲阀
CN209899228U (zh) 一种多功能洁身器
CN201048887Y (zh) 妇洗器放水接头
KR100320234B1 (ko) 원터치 개폐식 비데 샤워기
KR200327322Y1 (ko) 편심 회전형 노즐을 갖는 비데
KR0132758Y1 (ko) 비데의 노즐 세척장치
KR20030063264A (ko) 편심 회전형 노즐을 갖는 비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