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0756A - 외부인 침입 방지 및 화재 시 대피를 위한 도어락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외부인 침입 방지 및 화재 시 대피를 위한 도어락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0756A
KR20190100756A KR1020180020707A KR20180020707A KR20190100756A KR 20190100756 A KR20190100756 A KR 20190100756A KR 1020180020707 A KR1020180020707 A KR 1020180020707A KR 20180020707 A KR20180020707 A KR 20180020707A KR 20190100756 A KR20190100756 A KR 20190100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ire
microcomputer
reader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0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규식
홍주영
이현수
이은주
정시우
우보석
오유빈
김태완
나현준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20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0756A/ko
Publication of KR20190100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07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C9/00015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18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인 침입 방지 및 화재 시 대피를 위한 도어락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에 화재감지용 센서를 장착하여 화재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도어락의 잠금을 해제하여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고 도어에 적외선감지센서 및 충격감지센서를 설치 및 가동시켜 RFID, NFC를 포함하는 고유식별코드가 등록된 카드 또는 스마트기기를 리더기에 갖다대었을 때 사전에 등록된 카드 또는 스마트기기와 일치하지 않거나 강제로 도어를 개방하고자 할 경우 도어 전방에 설치된 영상촬영장치를 통해 외부 피사체를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기기로 전송하여 부재 시 사용자가 외부인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외부인 침입 방지 및 화재 시 대피를 위한 도어락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외부인 침입 방지 및 화재 시 대피를 위한 도어락 제어시스템{Door lock Control System for Prevention of External Intrusion and Evacuation in Fire}
본 발명은 외부인 침입 방지 및 화재 시 대피를 위한 도어락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에 화재감지용 센서를 장착하여 화재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도어락의 잠금을 해제하여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고 도어에 적외선감지센서 및 충격감지센서를 설치 및 가동시켜 RFID, NFC를 포함하는 고유식별코드가 등록된 카드 또는 스마트기기를 리더기에 갖다대었을 때 사전에 등록된 카드 또는 스마트기기와 일치하지 않거나 강제로 도어를 개방하고자 할 경우 도어 전방에 설치된 영상촬영장치를 통해 외부 피사체를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기기로 전송하여 부재 시 사용자가 외부인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외부인 침입 방지 및 화재 시 대피를 위한 도어락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락 시스템은 건물의 현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승인된 카드를 가져다 접촉시켜 등록된 정보와 일치할 경우에 도어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면서 개방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종래의 도어락 시스템은 사용자가 부재 시 방문자가 내부로 들어올 경우 등록된 비밀번호를 알려주어야 하며, 이후 사용자가 재차 비밀번호를 변경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 부재 시에 어떤 방문자가 방문한 상황인지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도어락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67342호(2013.5.23.공고)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도어락의 RFID 칩에 가족의 휴대폰 번호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휴대폰이 도어락에 접근하면 새로운 비밀번호를 랜덤하게 생성하여 RFID 칩에 저장하고, RFID 칩에 저장된 복수의 휴대폰 번호 및 비밀번호를 리드한 다음, 리드된 복수의 휴대폰 번호에 사용자의 휴대폰 번호가 포함되어 있는 지 체크하여 사용자의 휴대폰 번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만 새로운 비밀번호를 사용자의 휴대폰 화면에 표시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선행기술문헌과 같이 종래의 도어락 시스템은 등록된 휴대폰을 분실한 경우 해당 휴대폰을 습득한 외부인이 손쉽게 침입할 수 있어 보안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보다 보안적인 면을 강화하고, 화재 발생 시에 신속한 대피를 할 수 있도록 화재 감지 시 도어락의 잠금을 자동해제할 수 있는 새로운 도어락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고려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도어락의 보안을 강화시키고 화재감지 시 신속하게 도어락의 잠금을 자동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락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외부인 침입 방지 및 화재 시 대피를 위한 도어락 제어시스템은 도어의 외측방향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카드 또는 스마트기기에 내장된 NFC, RFID를 포함하는 고유식별정보를 전송받아 판독하는 리더기; 도어의 내측방향에 설치되고, 화재에 의해 발생하는 불꽃 및 연기를 감지하기 위한 불꽃감지센서, 연기감지센서, 및 화재에 의해 발생하는 온도상승을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하는 화재감지부; 도어락 및 리더기와 연동되어 리더기에 의해 읽어드린 정보를 승인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승인여부에 따라 도어의 개폐여부를 결정하고, 화재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값이 기 설정된 표준값을 벗어나는 부적합한 값이 감지될 경우 화재가 발생되었다고 판단하고 도어락을 자동개방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제1 마이컴; 도어의 전방에 위치한 피사체를 감지하는 적외선센서와, 도어에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를 포함하는 피사체 및 충격감지부; 제1 마이컴과 연동되고, 피사체 및 충격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값을 전송받아 기 설정된 표준값을 벗어나는 부적합한 값이 감지될 경우 도어의 전방에 부착된 영상촬영장치를 동작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제2 마이컴; 도어의 외부에 부착되어, 리더기로부터 수신된 정보가 등록된 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작동되어 외부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정보를 제2 마이컴으로 송신하는 영상촬영장치; 및 영상촬영장치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무선통신으로 전송받아 외부인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구성요소와 더불어, RFID, NFC 태그가 내장된 카드 또는 스마트기기를 소정 거리를 두고 리더기에 위치시키면, 리더기에서는 카드 또는 스마트기기에 내장된 정보를 입력받아 제1 마이컴에 입력된 정보를 제2 마이컴에 출력시켜 제1 마이컴과 제2 마이컴을 연동시킨 다음, 카드 또는 스마트기기로부터 입력된 정보가 리더기에 등록된 정보와 일치할 경우, 도어락을 잠금해제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구성요소와 더불어, RFID, NFC 태그가 내장된 카드 또는 스마트기기가 리더기에 의해 승인되지 않을 경우 적외선센서 및 충격감지센서를 작동시켜 강제로 도어를 개방하는 것을 감지하고 제2 마이컴에 연결된 영상촬영장치를 작동시켜 외부 피사체를 촬영을 한 후 영상촬영장치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기기로 전송하여 외부인의 방문 여부 및 인상착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마이컴은 도어의 내측방향에 화재감지를 위한 불꽃감지센서, 온도감지센서, 연기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세 가지 센서의 표준값을 각각 설정하여 각 센서들이 기 설정된 표준값을 모두 벗어난 경우에 한하여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도어락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마이컴에는 도어에 설치된 적외센선서가 일정 시간 동안 작동을 정지하게 되는 딜레이타임이 프로그램화되어 있으며, 딜레이타임이 가동되어 적외선센서가 정지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경과 후 재가동되면서 도어락이 잠금상태로 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에 화재감지용 센서를 장착하여 화재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도어락의 잠금을 해제하여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고 도어에 적외선감지센서 및 충격감지센서를 설치 및 가동시켜 RFID, NFC를 포함하는 고유식별코드가 등록된 카드 또는 스마트기기를 리더기에 갖다대었을 때 사전에 등록된 카드 또는 스마트기기와 일치하지 않거나 강제로 도어를 개방하고자 할 경우 도어 전방에 설치된 영상촬영장치를 통해 외부 피사체를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기기로 전송하여 부재 시 사용자가 외부인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인 침입 방지 및 화재 시 대피를 위한 도어락 제어시스템의 구성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인 침입 방지 및 화재 시 대피를 위한 도어락 제어시스템의 실제 제작된 시제품 사진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2는 도어의 외측방향을 촬영한 사진이며, 도 3은 도어의 내측방향을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인 침입 방지 및 화재 시 대피를 위한 도어락 제어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인 침입 방지 및 화재 시 대피를 위한 도어락 제어시스템의 실제 제작된 시제품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인 침입 방지 및 화재 시 대피를 위한 도어락 제어시스템(100)은 외부인의 침입을 방지하고 화재 발생 시 도어락을 자동으로 개방시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인 침입 방지 및 화재 시 대피를 위한 도어락 제어시스템(100)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리더기(10), 저장부(미도시), 화재감지부(14), 제1 마이컴(22), 피사체 및 충격감지부(24), 제2 마이컴(30), 무선통신모듈(32), 영상촬영장치(34), 및 스마트기기(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리더기(10)는 도어의 외측방향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카드 또는 스마트기기에 내장된 NFC, RFID를 포함하는 고유식별정보를 전송받아 판독한다.
리더기(10)는 제1 마이컴(22)과 연동되어 동작되고, 제1 마이컴(22)에 사전에 등록된 RFID, NFC를 포함하는 고유식별정보와 일치하는 카드 또는 스마트기기를 위치시켰을 때 도어락(D)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한다.
화재감지부(14)는 도어의 내측방향에 설치되고, 제1 마이컴(22)과 연동되며, 화재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각종 센서들이 탑재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화재감지부(14)는 화재에 의해 발생하는 불꽃을 감지하는 불꽃감지센서(16), 화재에 의해 발생하는 메탄, 부탄, LPG, 프로판, 스모크 등의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센서(18), 및 화재에 의해 온도상승을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도어에 화재 감지가 가능한 불꽃감지센서(16), 연기감지센서(18), 온도감지센서(20)를 탑재함으로써 온도, 연기, 불꽃이 감지되면 화재가 발생되었다고 판단하고 자동으로 도어락(D)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1 마이컴(22)은 도어의 내측방향에 설치되고, 도어락(D) 및 리더기(10)과 연동되고, 리더기(10)에 의해 읽어드린 정보를 승인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승인여부에 따라 도어의 개폐여부를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마이컴(22)는 리더기(10)로부터 RFID, NFC를 포함하는 고유식별정보를 수신하여 등록된 고유식별정보와 리더기(10)에 위치시킨 정보가 일치할 경우 도어락(D)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도록 한다.
또한, 제1 마이컴(22)은 화재감지부(14)에 의해 감지된 값이 설정된 표준값을 벗어나는 부적합한 값이 감지될 경우 화재가 발생되었다고 판단하고 도어락(D)의 잠금상태를 자동으로 해제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마이컴(22)은 도어의 내측에 설치된 불꽃감지센서(16), 연기감지센서(18), 온도감지센서(20)의 표준값을 각각 설정하였다가 각 센서들이 설정된 표준값을 모두 벗어난 경우에 한하여 도어락(D)의 잠금을 해제시키도록 한다.
즉, 제1 마이컴(22)은 집 내부에서 화재 발생으로 인한 연기 및 불꽃이 감지되고 그와 더불어 내부 온도값이 상승할 경우에만 도어락(D)의 잠금을 해제시키도록 한다.
상술한 조건은 연기감지센서(18)에 의해 담배 연기만으로 화재가 감지되었다고 오판되어 도어가 개방될 수 있는 점에 대비하여 화재 발생 시에만 도어락(D)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화재 감지 시 세 가지 센서 값이 설정된 값에 모두 충족할 경우에만 도어락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제1 마이컴(22)은 아두이노가 이용될 수 있다. 아두이노는 오픈 소스를 기반으로 한 단일 보드 마이크로컨트롤러로서 본 발명에서는 센서로부터 감지된 값을 수신하여 도어락의 잠금 및 잠금해제를 제어하는 제어용 기판으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피사체 및 충격감지부(24)는 도어의 손잡이 내부에 설치되고, 도어의 전방에 위치한 피사체를 감지하는 적외선센서(26)와, 도어의 손잡이 내부에 설치되고, 도어에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 그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28)를 포함한다.
제2 마이컴(30)은 등록되지 않은 카드 또는 스마트기기를 리더기(10)에 갖다대거나, 리더기(10)를 통한 승인없이 도어의 손잡이를 잡아서 흔드는 경우에는 외부인이 방문하였거나 외부인에 의한 침입발생의 우려가 있다고 판단하고 도어의 외측방향에 위치한 영상촬영장치(34)를 동작시키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적외선센서(26)와 충격감지센서(28)에 의해 감지된 값을 전송받아 설정된 표준값을 벗어나는 부적합한 값이 감지될 경우 도어의 전방에 부착된 영상촬영장치(34)를 동작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또한, 제2 마이컴(30)은 승인된 카드 또는 스마트기기를 리더기(10)에 가져다 댈 경우 도어에 설치된 적외센선서(26)가 일정시간 동안 작동을 정지하도록 하는 딜레이타임이 프로그램화되어 있으며, 딜레이 타임이 가동되어 적외선센서(26)가 정지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경과 후에(예컨대, 10초 후) 재가동되면서 도어락이 잠금상태로 된다.
예컨대, 제2 마이컴(30)은 라스베리파이가 이용될 수 있다. 라스베리파이(Raspberry Pi)는 단일 칩 시스템으로서, 입력장치와 출력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싱글 보드 컴퓨터로 이용되며, 저렴하고 그래픽 성능이 뛰어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무선통신모듈(32)는 제1 마이컴(22) 및 제2 마이컴(30)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도록 한다. 여기서, 무선통신모듈(32)은 블루투스, Wifi, 3G, 4G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상호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여기서, 무선통신 방식을 특정한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영상촬영장치(36)는 도어의 외측방향에 장착되어, 제2 마이컴(30)과 연동하여 동작되어 등록되지 않은 정보를 리더기(10)에 위치시킬 경우 동작되어 피사체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정보를 제2 마이컴(30)으로 송신한다.
촬영된 영상정보는 사용자의 스마트기기의 SNS, 메일로 전송되거나, 사용자 스마트기기의 도어락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스마트기기(36)는 영상촬영장치(34)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무선통신으로 수신하여 피사체의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외부인이 리더기에 미등록된 카드 또는 스마트기기를 갖다대거나 강제로 도어를 개방시키고자 할 경우 영상촬영장치(34)에 의해 촬영된 사진을 사용자의 스마트기기(36)로 전송하여 부재 시에도 사용자가 자신의 집 또는 사무실 앞에 방문한 사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인 침입 방지 및 화재 시 대피를 위한 도어락 제어시스템의 작동방식을 설명한다.
먼저, RFID 카드 또는 NFC 태그가 내장된 스마트기기를 소정 거리를 두고 리더기(10)에 위치시키면, 리더기(10)에서는 카드 또는 스마트기기에 내장된 정보를 입력받아, 무선통신모듈(32)를 통해 제1 마이컴(22)에 입력된 정보를 제2 마이컴(30)에 출력시켜 제1 마이컴(22)과 제2 마이컴(30)을 연동시킨다. 그 다음, 카드 또는 스마트기기로부터 입력된 정보가 리더기(10)에 등록된 정보와 일치할 경우, 도어락(D)을 잠금 해제시킨다. 이때, 제2 마이컴(30)에는 도어에 설치된 적외센선서(26)가 일정시간 동안 작동을 정지하도록 하는 딜레이타임이 프로그램화되어 있으며, 딜레이 타임이 가동되어 적외선센서(26)가 정지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경과 후에(예컨대, 10초 후) 재가동되면서 도어락이 잠금상태로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를 열고 내부로 진입하는 동안에는 적외선센서(26), 충격감지센서(28), 및 영상촬영장치(34)가 일정시간 동안 중지되어 있어 영상을 촬영하거나 사용자의 스마트기기로 영상정보가 전송되지 않는다.
만약, 카드 또는 스마트기기로부터 입력된 정보가 리더기(10)에 등록된 정보와 일치하지 않고, 강제로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도어에 일정 충격이 가해질 경우, 적외선센서(26) 및 충격감지센서(28)가 가동되어 제2 마이컴(30)에 연결된 영상촬영장치(34)를 작동된다. 이때, 도어 전방에 위치한 영상촬영장치(34)는 외부 피사체를 촬영을 한 후 저장되고, 영상촬영장치(34)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파일형태로 사용자의 스마트기기(36)로 전송되며, 사용자는 스마트기기(36)를 통해 전송된 파일을 확인하여 부재 시에도 외부인의 방문 여부 및 인상착의를 파악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리더기 12 : 저장부
14 : 화재감지부 16 : 불꽃감지센서
18 : 연기감지센서 20 : 온도감지센서
22 : 제1 마이컴 24 : 피사체 및 충격감지부
26 : 적외선센서 28 : 충격감지센서
30 : 제2 마이컴 32 : 무선통신모듈
34 : 영상촬영장치 36 : 스마트기기
100 : 외부인 침입 방지 및 화재 시 대피를 위한 도어락 제어시스템

Claims (5)

  1. 도어의 외측방향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카드 또는 스마트기기에 내장된 NFC, RFID를 포함하는 고유식별정보를 전송받아 판독하는 리더기;
    도어의 내측방향에 설치되고, 화재에 의해 발생하는 불꽃 및 연기를 감지하기 위한 불꽃감지센서, 연기감지센서, 및 화재에 의해 발생하는 온도상승을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하는 화재감지부;
    도어락 및 리더기와 연동되어 리더기에 의해 읽어드린 정보를 승인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승인여부에 따라 도어의 개폐여부를 결정하고, 화재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값이 기 설정된 표준값을 벗어나는 부적합한 값이 감지될 경우 화재가 발생되었다고 판단하고 도어락을 자동개방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제1 마이컴;
    도어의 전방에 위치한 피사체를 감지하는 적외선센서와, 도어에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를 포함하는 피사체 및 충격감지부;
    제1 마이컴과 연동되고, 피사체 및 충격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값을 전송받아 기 설정된 표준값을 벗어나는 부적합한 값이 감지될 경우 도어의 전방에 부착된 영상촬영장치를 동작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제2 마이컴;
    도어의 외부에 부착되어, 리더기로부터 수신된 정보가 등록된 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작동되어 외부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정보를 제2 마이컴으로 송신하는 영상촬영장치; 및
    영상촬영장치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무선통신으로 전송받아 외부인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기기
    를 포함하는 외부인 침입 방지 및 화재 시 대피를 위한 도어락 제어시스템.
  2. 도어의 외측방향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카드 또는 스마트기기에 내장된 NFC, RFID를 포함하는 고유식별정보를 전송받아 판독하는 리더기;
    도어의 내측방향에 설치되고, 화재에 의해 발생하는 불꽃 및 연기를 감지하기 위한 불꽃감지센서, 연기감지센서, 및 화재에 의해 발생하는 온도상승을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하는 화재감지부;
    도어락 및 리더기와 연동되어 리더기에 의해 읽어드린 정보를 승인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승인여부에 따라 도어의 개폐여부를 결정하고, 화재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값이 기 설정된 표준값을 벗어나는 부적합한 값이 감지될 경우 화재가 발생되었다고 판단하고 도어락을 자동개방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제1 마이컴;
    도어의 전방에 위치한 피사체를 감지하는 적외선센서와, 도어에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를 포함하는 피사체 및 충격감지부;
    제1 마이컴과 연동되고, 피사체 및 충격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값을 전송받아 기 설정된 표준값을 벗어나는 부적합한 값이 감지될 경우 도어의 전방에 부착된 영상촬영장치를 동작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제2 마이컴;
    도어의 외부에 부착되어, 리더기로부터 수신된 정보가 등록된 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작동되어 외부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정보를 제2 마이컴으로 송신하는 영상촬영장치; 및
    영상촬영장치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무선통신으로 전송받아 외부인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기기
    를 포함하고,
    RFID, NFC 태그가 내장된 카드 또는 스마트기기를 소정 거리를 두고 리더기에 위치시키면, 리더기에서는 카드 또는 스마트기기에 내장된 정보를 입력받아 제1 마이컴에 입력된 정보를 제2 마이컴에 출력시켜 제1 마이컴과 제2 마이컴을 연동시킨 다음, 카드 또는 스마트기기로부터 입력된 정보가 리더기에 등록된 정보와 일치할 경우, 도어락을 잠금해제시키는 것
    을 더 포함하는 외부인 침입 방지 및 화재 시 대피를 위한 도어락 제어시스템.
  3. 도어의 외측방향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카드 또는 스마트기기에 내장된 NFC, RFID를 포함하는 고유식별정보를 전송받아 판독하는 리더기;
    도어의 내측방향에 설치되고, 화재에 의해 발생하는 불꽃 및 연기를 감지하기 위한 불꽃감지센서, 연기감지센서, 및 화재에 의해 발생하는 온도상승을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하는 화재감지부;
    도어락 및 리더기와 연동되어 리더기에 의해 읽어드린 정보를 승인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승인여부에 따라 도어의 개폐여부를 결정하고, 화재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값이 기 설정된 표준값을 벗어나는 부적합한 값이 감지될 경우 화재가 발생되었다고 판단하고 도어락을 자동개방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제1 마이컴;
    도어의 전방에 위치한 피사체를 감지하는 적외선센서와, 도어에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를 포함하는 피사체 및 충격감지부;
    제1 마이컴과 연동되고, 피사체 및 충격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값을 전송받아 기 설정된 표준값을 벗어나는 부적합한 값이 감지될 경우 도어의 전방에 부착된 영상촬영장치를 동작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제2 마이컴;
    도어의 외부에 부착되어, 리더기로부터 수신된 정보가 등록된 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작동되어 외부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정보를 제2 마이컴으로 송신하는 영상촬영장치; 및
    영상촬영장치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무선통신으로 전송받아 외부인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기기
    를 포함하고,
    RFID, NFC 태그가 내장된 카드 또는 스마트기기가 리더기에 의해 승인되지 않을 경우 적외선센서 및 충격감지센서를 작동시켜 강제로 도어를 개방하는 것을 감지하고 제2 마이컴에 연결된 영상촬영장치를 작동시켜 외부 피사체를 촬영을 한 후 영상촬영장치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기기로 전송하여 외부인의 방문 여부 및 인상착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외부인 침입 방지 및 화재 시 대피를 위한 도어락 제어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제1 마이컴은
    도어의 내측방향에 화재감지를 위한 불꽃감지센서, 온도감지센서, 연기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세 가지 센서의 표준값을 각각 설정하여 각 센서들이 기 설정된 표준값을 모두 벗어난 경우에 한하여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도어락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도록 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외부인 침입 방지 및 화재 시 대피를 위한 도어락 제어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제2 마이컴에는 도어에 설치된 적외센선서가 일정 시간 동안 작동을 정지하게 되는 딜레이타임이 프로그램화되어 있으며, 딜레이타임이 가동되어 적외선센서가 정지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경과 후 재가동되면서 도어락이 잠금상태로 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외부인 침입 방지 및 화재 시 대피를 위한 도어락 제어시스템.




KR1020180020707A 2018-02-21 2018-02-21 외부인 침입 방지 및 화재 시 대피를 위한 도어락 제어시스템 KR201901007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707A KR20190100756A (ko) 2018-02-21 2018-02-21 외부인 침입 방지 및 화재 시 대피를 위한 도어락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707A KR20190100756A (ko) 2018-02-21 2018-02-21 외부인 침입 방지 및 화재 시 대피를 위한 도어락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756A true KR20190100756A (ko) 2019-08-29

Family

ID=67775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0707A KR20190100756A (ko) 2018-02-21 2018-02-21 외부인 침입 방지 및 화재 시 대피를 위한 도어락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07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427B1 (ko) * 2023-12-01 2024-04-01 박재효 스마트 도어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427B1 (ko) * 2023-12-01 2024-04-01 박재효 스마트 도어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09386B2 (ja) 制御可能なデータ転送能力を有する金庫
KR101872847B1 (ko) 출입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76104B1 (ko) 비밀번호 도어락을 구비한 보안시스템
KR101570463B1 (ko)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되는 도어락
JP5122155B2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
KR102328402B1 (ko) 스마트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TWM527479U (zh) 智能化門禁系統
Manjunatha et al. Home security system and door access control based on face recognition
WO2014157770A1 (ko) 디지탈 도어락과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KR100516969B1 (ko) 디지털 도어락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WO2005031672A1 (ja) セキュリティ管理装置、セキュリティ管理方法、セキュリティ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190100756A (ko) 외부인 침입 방지 및 화재 시 대피를 위한 도어락 제어시스템
KR101025830B1 (ko) 지문인식 방범시스템
KR20200060094A (ko) 출입문 보안 관리시스템
KR20100009883U (ko) 원격 출입 보안시스템이 적용된 도어록
KR101907108B1 (ko) 스마트 도어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4863611B2 (ja) ホーム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ホームコントロール方法およびホームコントローラ用プログラム
KR102343233B1 (ko) 도어락
JP5796337B2 (ja) 入退出管理システム
KR20200044223A (ko) Iot기반 스마트 도어락을 이용한 안심 서비스시스템
TWI599991B (zh) Intelligent access control system
JP5411776B2 (ja) 出入管理システム
KR101063751B1 (ko) 생체인식 기반 출입자 확인, 정보 전송 시스템
JP7061503B2 (ja) 管理システム
KR20170073109A (ko)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