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0491A - 차량용 제어 패널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제어 패널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0491A
KR20190100491A KR1020180014007A KR20180014007A KR20190100491A KR 20190100491 A KR20190100491 A KR 20190100491A KR 1020180014007 A KR1020180014007 A KR 1020180014007A KR 20180014007 A KR20180014007 A KR 20180014007A KR 20190100491 A KR20190100491 A KR 20190100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menu
control
lift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0135B1 (ko
Inventor
이우용
Original Assignee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4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0135B1/ko
Publication of KR20190100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0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2Control of vehicle driving stability
    • B60W30/025Control of vehicle driving stability related to comfort of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55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with safety arrangements
    • G05D1/006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with safety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automatic pilot to manual pilot and vice vers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제어 패널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용 제어 패널의 전면에 설치되어, 기능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하는 이미지, 정보, 메뉴, 및 버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제1 터치스크린부;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의 일 측에 형성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승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승강 버튼을 포함하는 승강 버튼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승강 버튼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 승강 버튼을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부; 및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에 표시되는 메뉴에 따라 상기 승강 버튼부의 해당 승강 버튼을 승강 제어하고, 상승시킨 승강 버튼에 대하여 사용자의 터치, 누름, 및 스크롤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제어 패널 및 그 제어 방법{VEHICLE CONTROL PANEL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제어 패널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율 주행 차량에 대응하여 차량용 제어 패널의 자동 제어를 가능하게 하면서 동시에 수동 제어도 가능하게 함으로써, 안전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제어 패널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기본적인 주행 기능 이외에도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공조 제어, 시트 제어, 조명 제어 등의 사용자 편의를 위한 부가적인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차량에는 메뉴 화면 또는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될 수 있으며, 하드 키(hard key) 방식, 터치스크린 방식, 또는 제스처 인식 방식 등의 다양한 입력 방식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메뉴의 선택을 입력 받거나 선택된 메뉴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다만 상기 하드 키 방식은 다수의 하드 키를 구비하는 방식인 경우 물리적으로 넓은 공간이 필요하며, 소수의 하드 키를 구비하는 방식인 경우 원하는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의 조작 부하(즉, 조작 횟수)가 늘어날 수 있다(도 1 참조). 도 1은 종래의 하드 키 방식 차량용 제어 패널(또는 차량용 공조 제어 패널)의 부착 위치와 형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또한 터치스크린 방식은 운전자가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대시 보드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를 보면서 일일이 원하는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터치해야 하기 때문에 하드 키 방식에 비해 안전 운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하지만 자율 주행 차량에 대한 개발이 진행됨에 따라,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차량용 제어 패널의 자동 제어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 다양한 정보를 출력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터치스크린 방식이 증가할 것은 자명하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 방식은 안전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61941호(2016.06.01. 공개, 차량의 제어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자율 주행 차량에 대응하여 차량용 제어 패널의 자동 제어를 가능하게 하면서 동시에 수동 제어도 가능하게 함으로써, 안전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제어 패널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제어 패널은, 차량용 제어 패널의 전면에 설치되어, 기능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하는 이미지, 정보, 메뉴, 및 버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제1 터치스크린부;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의 일 측에 형성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승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승강 버튼을 포함하는 승강 버튼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승강 버튼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 승강 버튼을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부; 및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에 표시되는 메뉴에 따라 상기 승강 버튼부의 해당 승강 버튼을 승강 제어하고, 상승시킨 승강 버튼에 대하여 사용자의 터치, 누름, 및 스크롤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승강 버튼부를 구성하는 각 승강 버튼은, 점자 돌기 형태로 구현되거나 일반적인 버튼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 버튼이 점자 돌기 형태로 구현될 경우, 복수의 돌기가 조합되어 다양한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승강 버튼부는,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에 표시되는 버튼이나 메뉴를 소프트웨어적으로 변경함으로써, 물리적으로 동일한 버튼을 다른 기능의 버튼으로 작용시킬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승강 버튼부의 각 승강 버튼의 상부에 부착되는 제2 터치스크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터치스크린부에 해당 승강 버튼의 기능을 나타내는 이미지, 정보, 메뉴, 및 버튼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직접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용 제어 패널의 제어 방법은, 제어부가 차량용 제어 패널의 전면에 설치된 제1 터치스크린부에 제어 메인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에 표시된 제어 메인 메뉴 중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메인 메뉴의 대응 위치에 있는 승강 버튼을 올리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올려진 승강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한 승강 버튼에 설정된 기능이나 메뉴에 대한 서브 메뉴나 세부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체크하는 단계; 상기 체크 결과, 서브 메뉴나 세부 기능이 없을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이 감지된 승강 버튼에 대응하는 메뉴나 기능의 공조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승강 버튼에 대응하는 메뉴나 기능의 공조신호를 출력한 후, 상기 제어부가 다시 처음 단계로 복귀하여, 메인 메뉴를 표시하고, 이 메인 메뉴에 대응하여 승강 버튼의 승강 위치를 초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크 결과, 서브 메뉴나 세부 기능이 있을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한 승강 버튼에 설정된 기능이나 메뉴에 대한 제어 서브 메뉴나 제어 세부 기능을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에 표시된 제어 서브 메뉴 중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서브 메뉴의 대응 위치에 있는 승강 버튼을 올리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올려진 승강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이 감지된 승강 버튼에 설정된 세부 기능이나 서브 메뉴에 대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메인 메뉴나 서브 메뉴에 대응하여 제2 터치스크린부가 부가된 승강 버튼을 올리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올려진 승강 버튼의 제2 터치스크린에 해당 메뉴에 대응하는 아이콘이나 명칭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메인 메뉴나 서브 메뉴에 대응하지 않는 승강 버튼은 내리고, 상기 승강 버튼의 제2 터치스크린에 배경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한 승강 버튼에 설정된 기능이나 메뉴에 대한 서브 메뉴나 세부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체크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가 입력이 감지된 승강 버튼에 대응하는 메뉴가 최종 선택된 메뉴인지 체크하는 단계; 상기 입력이 감지된 승강 버튼에 대응하는 메뉴가 최종 선택된 메뉴이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된 승강 버튼을 제외한 나머지 승강 버튼을 모두 내리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입력된 승강 버튼을 누른 손가락을 차량용 제어 패널의 제1 터치스크린부 표면에서 지정된 특정 방향으로 스크롤시키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된 승강 버튼을 누른 손가락의 스크롤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 표면에서 스크롤되는 손가락의 입력이 해지되면, 상기 입력된 승강 버튼의 해당 메뉴를 상기 스크롤 정보에 따라 세부 조정하는 공조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승강 버튼의 해당 메뉴를 상기 스크롤 정보에 따라 세부 조정하는 공조신호를 출력한 후, 상기 제어부 다시 처음 단계로 복귀하여, 메인 메뉴를 표시하고, 이 메인 메뉴에 대응하여 승강 버튼의 승강 위치를 초기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자율 주행 차량에 대응하여 차량용 제어 패널의 자동 제어를 가능하게 하면서 동시에 수동 제어도 가능하게 함으로써, 안전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하드 키 방식 차량용 제어 패널(또는 차량용 공조 제어 패널)의 부착 위치와 형태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 패널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 패널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제어 패널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 패널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상기 도 5에 있어서, 승강 버튼의 상부에 제2 터치스크린부가 부가된 경우에 상기 제2 터치스크린부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흐름도.
도 7은 상기 도 5에 있어서, 서브 메뉴나 세부 기능을 조정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어 패널 및 그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 패널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 패널은, 제1 터치스크린부(110), 승강 버튼부(120), 승강 구동부(130), 제어부(150), 및 공조신호 출력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 패널의 전면에 설치되어, 공조 제어에 관련된, 예를 들면, 좌석별 에어컨 작동 버튼, 풍향 선택 버튼, 풍량 조절 버튼, 온도 조절 버튼, 좌석 발열/냉각 버튼 등의 기능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하는 이미지, 정보, 메뉴, 및 버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110)에 표시되는 버튼이나 메뉴는, 기본적으로 터치 방식에 의해 선택이 가능하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에 의한 메뉴(또는 버튼) 선택 방식은 사용자(즉, 운전자)가 화면을 직접 보면서 메뉴를 선택해야 하기 때문에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의 하드 키 방식은 각 키 별로 기능이 지정되기 때문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고자 할 경우에 이에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응하여 안전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승강 버튼부(120)를 구비한다.
상기 승강 버튼부(120)는 상기 제어부(140)가 자동으로 버튼을 올리거나(즉, 상승시키거나) 내릴 수(즉,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버튼이다.
여기서 상기 승강 버튼부(120)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 버튼(미도시)은, 점자 돌기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일반적인 버튼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버튼이 점자 돌기 형태로 구현될 경우에는 복수의 돌기가 조합되어 다양한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상기 승강 버튼부(120)는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110)에 표시되는 버튼이나 메뉴를 소프트웨어적으로 변경함으로써, 물리적으로 하나의 버튼을 상황에 따라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버튼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상기 승강 구동부(130)는,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승강 버튼부(12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미도시)을 승강시킨다.
상기 승강 구동부(130)는 상기 버튼(미도시)의 승강을 위해서, 모터(미도시)와 래크(rack)(미도시), 압축기(미도시)와 실린더(미도시), 또는 솔레노이드(미도시)와 로드 부재(미도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기술적 요지는, 상기 승강 버튼부(120)의 승강 방식 그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110)에 표시되는 메뉴(또는 공조 제어 메인 메뉴, 공조 제어 서브 메뉴 등)에 따라 승강 버튼부(120)의 해당 버튼을 승강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승시킨 버튼에 대하여 사용자의 입력(예 : 터치, 누름 등)을 감지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예 : 터치)이 감지된 후, 상기 입력(예 : 터치)된 버튼을 누른 손가락의 스크롤(예 : 이동 거리 및 방향)을 감지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버튼의 입력(예 : 터치, 누름 등), 및 상기 입력(예 : 터치)된 버튼을 누른 손가락의 스크롤(예 : 이동 거리 및 방향)에 대응하는 공조신호(또는 공조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공조신호 출력부(160)는 상기 공조신호(또는 공조 제어 신호)에 따라 공조기(미도시)를 구동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 패널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 패널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 패널에 있어서, 제2 터치스크린부(1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터치스크린부(140)는, 상기 승강 버튼부(120)의 각 승강 버튼(미도시)의 상부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도 2에서의 승강 버튼은 표시 기능이 부가되지 않은 버튼을 의미하지만, 도 3에서의 승강 버튼은 표시 기능이 부가된 버튼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 2에서는 제1 터치스크린부(110)에 배경으로 표시되는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승강 버튼부(120)의 각 승강 버튼(미도시)의 주변에 해당 승강 버튼(미도시)의 기능을 표시하지만, 도 3에서는 각 승강 버튼(미도시)의 상부에 부착된 제2 터치스크린부(140)에 해당 승강 버튼(미도시)의 기능을 나타내는 이미지, 정보, 메뉴, 및 버튼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직접적으로 표시한다.
도 4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제어 패널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로서, 복수의 승강 버튼이 포함된 승강 버튼부(120)와 제1 터치스크린부(110)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량용 제어 패널의 좌우 양측 상부에는 노브(knob) 삽입부가 구현되어 익숙한 기존 방식으로 공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상기 노브(knob)도 상기 승강 버튼부(120)의 다른 승강 버튼들과 마찬가지로 승강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으며, 노브(knob) 자체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차실의 인스트루먼트 패널(또는 센터페시아)의 디자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 패널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차량용 제어 패널의 제1 터치스크린부(110)에 공조 제어 메인 메뉴를 표시한다(S101).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110)에 표시된 공조 제어 메인 메뉴 중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메인 메뉴의 대응 위치에 있는 승강 버튼을 올린다(S102).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올려진 승강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예 : 터치, 누름 등)을 감지한다(S103).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한 승강 버튼에 설정된 기능(또는 메뉴)에 대한 서브 메뉴(또는 세부 기능)가 설정되어 있는지 체크한다(S104).
상기 체크(S104) 결과, 서브 메뉴(또는 세부 기능)가 없을 경우(S104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입력(예 : 터치, 누름 등)이 감지된 승강 버튼에 대응하는 메뉴(또는 기능)의 공조신호를 출력한다(S105).
상기 승강 버튼에 대응하는 메뉴(또는 기능)의 공조신호를 출력한 후, 상기 제어부(150)는 다시 처음 단계(S101)로 복귀하여, 메인 메뉴를 표시하고, 이 메인 메뉴에 대응하여 승강 버튼의 위치(즉, 승강)를 초기화시킨다.
한편, 상기 체크(S104) 결과, 서브 메뉴(또는 세부 기능)가 있을 경우(S104의 예),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한 승강 버튼에 설정된 기능(또는 메뉴)에 대한 공조 제어 서브 메뉴(또는 공조 제어 세부 기능)를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110)에 표시한다(S106).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110)에 표시된 공조 제어 서브 메뉴 중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서브 메뉴의 대응 위치에 있는 승강 버튼을 올린다(S107).
이후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올려진 승강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예 : 터치, 누름 등)을 감지하여(S103), 이 감지된 승강 버튼에 설정된 세부 기능(또는 서브 메뉴)에 대한 공조신호를 출력한다(S105).
물론 추가적인 서브 메뉴(또는 세부 기능)가 있을 경우에는 상기 과정(S103 ~ S107)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 도 5에 있어서, 승강 버튼의 상부에 제2 터치스크린부가 부가된 경우에 상기 제2 터치스크린부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메뉴나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승강 버튼(즉, 제2 터치스크린부가 부가된 승강 버튼)을 올리는 경우(S201의 예), 상기 제어부(150)는 올려진 승강 버튼의 터치스크린(즉, 제2 터치스크린)(140)에 해당 메뉴에 대응하는 정보(예 : 아이콘, 명칭 등)를 출력한다(S202).
한편 상기 메인 메뉴나 서브 메뉴에 대응하지 않는 승강 버튼(즉, 제2 터치스크린부가 부가된 승강 버튼)은 내려지고(즉, 하강시키고), 내려진 승강 버튼의 터치스크린(즉, 제2 터치스크린)(140)에 배경 영상(즉, 배경 이미지)을 출력한다(S203).
도 7은 상기 도 5에 있어서, 서브 메뉴나 세부 기능을 조정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입력(예 : 터치)이 감지된 승강 버튼에 대응하는 메뉴(또는 기능)가 최종 선택된 메뉴인지 체크하고(S301), 상기 입력이 감지된 승강 버튼에 대응하는 메뉴(또는 기능)가 최종 선택된 메뉴이면(S301의 예), 상기 입력(예 : 터치)된 승강 버튼을 제외한 나머지 승강 버튼을 모두 내린다(S302).
이때 상기 사용자는 상기 승강 버튼에 대한 입력(예 : 터치)을 유지한 상태이고, 상기 입력(예 : 터치)된 승강 버튼을 제외한 나머지 승강 버튼을 모두 내린 상태이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 패널(즉, 제1 터치스크린부)은 걸림이 없는 평평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입력(예 : 터치)된 승강 버튼을 누른 손가락을 차량용 제어 패널(즉, 제1 터치스크린부)(110) 표면에서 지정된 특정 방향(예 : 좌우측, 또는 상하측)으로 스크롤(또는 이동)시키고,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입력(예 : 터치)된 승강 버튼을 누른 손가락의 스크롤(즉, 이동 거리 및 방향)을 감지한다(S303).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차량용 제어 패널(즉, 제1 터치스크린부)(110) 표면에서 스크롤(또는 이동)되는 손가락의 입력(예 : 터치)이 해지되면(S304의 예), 상기 입력(예 : 터치)된 승강 버튼의 해당 메뉴(즉, 기능)를 상기 스크롤(즉, 이동 거리 및 방향) 정보에 따라 세부 조정하는 공조신호를 출력한다(S305).
상기 승강 버튼의 해당 메뉴(즉, 기능)를 상기 스크롤(즉, 이동 거리 및 방향) 정보에 따라 세부 조정하는 공조신호를 출력한 후, 상기 제어부(150)는 다시 처음 단계(S101)로 복귀하여, 메인 메뉴를 표시하고, 이 메인 메뉴에 대응하여 승강 버튼의 위치(즉, 승강)를 초기화시킨다(S306).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자율 주행 차량에 대응하여 차량용 제어 패널의 자동 제어를 가능하게 하면서 동시에 수동 제어도 가능하게 함으로써, 안전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상기 실시예에서는 차량 공조 제어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공조 제어 관련 정보뿐 아니라 차량 제어 관련 정보, 내비게이션 정보, 멀티미디어 정보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하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적용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 제1 터치스크린부
120 : 승강 버튼부
130 : 승강 구동부
140 : 제2 터치스크린부
150 : 제어부
160 : 공조신호 출력부

Claims (8)

  1. 차량용 제어 패널의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하는 이미지, 정보, 메뉴, 및 버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제1 터치스크린부;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의 일 측에 형성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승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승강 버튼을 포함하는 승강 버튼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승강 버튼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 승강 버튼을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부; 및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에 표시되는 메뉴에 따라 상기 승강 버튼부의 해당 승강 버튼을 승강 제어하고, 상승시킨 승강 버튼에 대하여 사용자의 터치, 누름, 및 스크롤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 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버튼부를 구성하는 각 승강 버튼은,
    점자 돌기 형태로 구현되거나 일반적인 버튼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 버튼이 점자 돌기 형태로 구현될 경우, 복수의 돌기가 조합되어 다양한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 패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버튼부는,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에 표시되는 버튼이나 메뉴를 소프트웨어적으로 변경함으로써, 물리적으로 동일한 버튼을 다른 기능의 버튼으로 작용시킬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 패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버튼부의 각 승강 버튼의 상부에 부착되는 제2 터치스크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터치스크린부에 해당 승강 버튼의 기능을 나타내는 이미지, 정보, 메뉴, 및 버튼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직접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 패널.
  5. 제어부가 차량용 제어 패널의 전면에 설치된 제1 터치스크린부에 제어 메인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에 표시된 제어 메인 메뉴 중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메인 메뉴의 대응 위치에 있는 승강 버튼을 올리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올려진 승강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한 승강 버튼에 설정된 기능이나 메뉴에 대한 서브 메뉴나 세부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체크하는 단계;
    상기 체크 결과, 서브 메뉴나 세부 기능이 없을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이 감지된 승강 버튼에 대응하는 메뉴나 기능의 공조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승강 버튼에 대응하는 메뉴나 기능의 공조신호를 출력한 후, 상기 제어부가 다시 처음 단계로 복귀하여, 메인 메뉴를 표시하고, 이 메인 메뉴에 대응하여 승강 버튼의 승강 위치를 초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 패널의 제어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결과, 서브 메뉴나 세부 기능이 있을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한 승강 버튼에 설정된 기능이나 메뉴에 대한 제어 서브 메뉴나 제어 세부 기능을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에 표시된 제어 서브 메뉴 중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서브 메뉴의 대응 위치에 있는 승강 버튼을 올리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올려진 승강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이 감지된 승강 버튼에 설정된 세부 기능이나 서브 메뉴에 대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 패널의 제어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메인 메뉴나 서브 메뉴에 대응하여 제2 터치스크린부가 부가된 승강 버튼을 올리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올려진 승강 버튼의 제2 터치스크린에 해당 메뉴에 대응하는 아이콘이나 명칭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메인 메뉴나 서브 메뉴에 대응하지 않는 승강 버튼은 내리고, 상기 승강 버튼의 제2 터치스크린에 배경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 패널의 제어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한 승강 버튼에 설정된 기능이나 메뉴에 대한 서브 메뉴나 세부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체크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가 입력이 감지된 승강 버튼에 대응하는 메뉴가 최종 선택된 메뉴인지 체크하는 단계;
    상기 입력이 감지된 승강 버튼에 대응하는 메뉴가 최종 선택된 메뉴이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된 승강 버튼을 제외한 나머지 승강 버튼을 모두 내리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입력된 승강 버튼을 누른 손가락을 차량용 제어 패널의 제1 터치스크린부 표면에서 지정된 특정 방향으로 스크롤시키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된 승강 버튼을 누른 손가락의 스크롤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 표면에서 스크롤되는 손가락의 입력이 해지되면, 상기 입력된 승강 버튼의 해당 메뉴를 상기 스크롤 정보에 따라 세부 조정하는 공조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승강 버튼의 해당 메뉴를 상기 스크롤 정보에 따라 세부 조정하는 공조신호를 출력한 후, 다시 처음 단계로 복귀하여, 메인 메뉴를 표시하고, 이 메인 메뉴에 대응하여 승강 버튼의 승강 위치를 초기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 패널의 제어 방법.

KR1020180014007A 2018-02-05 2018-02-05 차량용 제어 패널 및 그 제어 방법 KR102080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007A KR102080135B1 (ko) 2018-02-05 2018-02-05 차량용 제어 패널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007A KR102080135B1 (ko) 2018-02-05 2018-02-05 차량용 제어 패널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491A true KR20190100491A (ko) 2019-08-29
KR102080135B1 KR102080135B1 (ko) 2020-02-24

Family

ID=67775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007A KR102080135B1 (ko) 2018-02-05 2018-02-05 차량용 제어 패널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01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2561A (ja) * 2004-04-13 2005-10-27 Yazaki Corp 車両用操作スイッチ
KR20110024565A (ko) * 2009-09-02 2011-03-09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hmi용 통합 디스플레이 버튼 모듈의 제어방법
KR101166895B1 (ko) * 2011-01-10 2012-07-18 터치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KR20160004043A (ko) * 2014-07-02 2016-0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를 가지는 차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2561A (ja) * 2004-04-13 2005-10-27 Yazaki Corp 車両用操作スイッチ
KR20110024565A (ko) * 2009-09-02 2011-03-09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hmi용 통합 디스플레이 버튼 모듈의 제어방법
KR101166895B1 (ko) * 2011-01-10 2012-07-18 터치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KR20160004043A (ko) * 2014-07-02 2016-0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를 가지는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0135B1 (ko) 2020-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06432B (zh) 用于工业车辆的用户界面设备
US9529499B2 (en) Morphable pad for tactile control
KR101087479B1 (ko)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723979B2 (ja) 自動モーフィング適応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デバイスおよび方法
US9176634B2 (en) Operation device
EP2460694A1 (en) Operation system for vehicle
JP2014102660A (ja) 操作支援システム、操作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590726B2 (ja)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及びこれを備えるプログラマブルシステム、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の設計装置、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の設計方法、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の操作方法、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の設計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で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並びに記憶した機器
US20200055396A1 (en) Assembly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in a transportation vehicle and method for provid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in a transportation vehicle
JP2019169128A (ja) マンマシンインタフェースを操作する方法並びにマンマシンインタフェース
JP2012243073A (ja) 表示システム
KR10237799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타일을 정의하기 위한 이동 수단,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방법
JP2014102656A (ja) 操作支援システム、操作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50012524A (ko) 터치 입력 처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0049460A (ja) 操作入力装置
KR102080135B1 (ko) 차량용 제어 패널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79516A (ko) 표면 포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터치 제어기
US20190114066A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120068416A (ko) 시촉각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구비한 단말
EP3091428B1 (en) Terminal operating method and terminal
KR101422060B1 (ko) 터치패드를 이용한 차량용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그 정보 입력 모듈
JP2014119917A (ja) 車載情報処理装置
KR20160124460A (ko) 차량용 공조 컨트롤러
KR20050037624A (ko) 자리수 키를 이용한 영상/음성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4102658A (ja) 操作支援システム、操作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