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0118A - 실내지도 작성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실내지도 작성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0118A
KR20190100118A KR1020190098513A KR20190098513A KR20190100118A KR 20190100118 A KR20190100118 A KR 20190100118A KR 1020190098513 A KR1020190098513 A KR 1020190098513A KR 20190098513 A KR20190098513 A KR 20190098513A KR 20190100118 A KR20190100118 A KR 20190100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gon
drawing image
map
indoor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1999B1 (ko
Inventor
임대현
이진권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8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999B1/ko
Publication of KR20190100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0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6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 G09B29/007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using computer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20Drawing from basic elements, e.g. lines or cir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지도 작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도면 이미지를 호출하는 단계; 상기 호출된 도면 이미지로부터 POI(Point of Interest), 폴리곤(polygon) 및 폴리라인(polyline)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POI, 폴리곤 및 폴리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실내지도를 자동으로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내지도 작성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BUILDING AN INDOOR MAP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실내지도 작성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건물의 도면 이미지 파일을 활용하여 실내지도를 자동으로 작성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기술의 빠른 발전과 이동통신을 비롯한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의 확산으로 인해 실외공간에서 이루어지던 다양한 활동들이 점차 실내에서 진행되고 있다. 이로 인해, 일상생활에서 실내공간이 차지하는 비율은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더불어 내비게이션 등과 같이 실외공간을 대상으로 제공되어 오던 위치기반서비스들이 점차 실내공간을 대상으로 확장되어 가고 있다.
실내공간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위치기반서비스들이 성공적으로 구축 및 제공되기 위해서는, 실내공간에 있는 사용자의 위치를 결정하는 실내측위와 실내공간에 대한 지도, 이동경로, POI(Point of Interest) 및 영상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구축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여기서, 실내공간에 대한 지도(즉, 실내지도)는 다양한 종류의 위치기반서비스에서 접근 및 공유될 수 있도록 표준화된 포맷 또는 명세에 따라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실내공간에 대한 지도는 실외공간에 관한 지도와 연계하여 제공될 필요가 있다. 가령, 초고층 복합 쇼핑몰, 대형 지하 상가 등과 같은 복잡한 실내공간이 등장함에 따라,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 사용자들에게 실외공간에 관한 지도 서비스와 연계하여 실내공간에 관한 지도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최근의 지도 작성 툴은 실외공간에 관한 지도 작성 기능과 함께 실내공간에 관한 지도 작성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지도 작성 툴은, 실외지도 상의 건물에 POI(Point of Interest)/폴리곤(polygon)/폴리라인(polyline) 등을 수동으로 그려줌으로써 실내지도를 작성하게 된다. 따라서, 해당 건물이 복수 개의 층으로 구성되는 경우, 층별 실내지도를 일일이 수동으로 그려줘야 하기 때문에, 실내지도 작성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실내지도 작성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실내공간에 대한 정보를 활용하여 실내지도를 작성하는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건축된 건물의 경우 설계 단계로부터 축적되는 실내공간에 대한 정보들이 많지만, 기존 건축물의 경우 건물에 대한 정보가 대부분 설계도면(blueprint) 및 대장 등과 같은 도면 형태로 존재한다. 이러한 도면들로부터 실내공간정보를 구축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처음부터 수작업으로 다시 편집하거나, 도면들을 이미지로 스캔하고, 이미지를 처리하여 벽체, 문, 계단 등과 같은 구조 및 구조 사이의 관계를 추출하는 과정들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과정들을 일부 지원하는 3D 프로그램 및 도구들이 존재하지만, 도면을 스캔한 이미지의 경우 스캐닝의 정확도와 도면에서 사용된 기호, 표기법 등에 따라 부정확한 정보가 추출될 가능성이 높아 대부분 수작업으로 실내공간정보를 편집 및 저작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수작업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도면 이미지 파일을 활용하여 실내공간정보를 좀 더 간편하게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건물의 도면 이미지 업로드 시, 상기 건물의 위치에 대응하는 실외지도 상에 해당 도면 이미지를 자동으로 매칭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건물의 도면 이미지 업로드 시, 상기 도면 이미지에서 추출한 POI(Point Of Interest), 폴리곤(polygon) 및 폴리라인(polyline)을 기반으로 실내지도를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건물의 도면 이미지를 호출하는 단계; 상기 호출된 도면 이미지로부터 POI(Point of Interest), 폴리곤(polygon) 및 폴리라인(polyline)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POI, 폴리곤 및 폴리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건물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관한 실내지도를 작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실내지도 상에 표시된 제1 폴리곤이 제2 폴리곤으로부터 임계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상기 제1 폴리곤을 상기 제2 폴리곤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폴리곤의 경계와 상기 제2 폴리곤의 경계를 일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내지도 작성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건물의 도면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호출하는 도면 이미지 호출부; 상기 도면 이미지 호출부를 통해 불러온 도면 이미지로부터 POI(Point of Interest)를 검출하는 POI 검출부; 상기 도면 이미지 호출부를 통해 불러온 도면 이미지로부터 폴리곤(polygon) 및 폴리라인(polyline)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폴리곤/폴리라인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POI, 폴리곤 및 폴리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건물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관한 실내지도를 자동으로 작성하는 자동 지도 작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 지도 작성부는, 상기 실내지도 상에 표시된 제1 폴리곤이 제2 폴리곤으로부터 임계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상기 제1 폴리곤을 상기 제2 폴리곤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폴리곤의 경계와 상기 제2 폴리곤의 경계를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지도 작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건물의 도면 이미지를 호출하는 과정; 상기 호출된 도면 이미지로부터 POI(Point of Interest), 폴리곤(polygon) 및 폴리라인(polyline)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검출된 POI, 폴리곤 및 폴리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건물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관한 실내지도를 작성하는 과정; 및 상기 실내지도 상에 표시된 제1 폴리곤이 제2 폴리곤으로부터 임계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상기 제1 폴리곤을 상기 제2 폴리곤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폴리곤의 경계와 상기 제2 폴리곤의 경계를 일치시키는 과정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 가능하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실내지도 작성 방법 및 그 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건물의 도면 이미지 업로드 시, 상기 건물의 위치에 대응하는 실외지도 상에 해당 도면 이미지를 자동으로 매칭함으로써, 종래기술과 차별화되는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건물의 도면 이미지 업로드 시, 해당 도면 이미지에서 추출한 POI/폴리곤/폴리라인을 기반으로 실내지도를 자동으로 작성함으로써, 종래기술과 차별화되는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실내지도 작성 방법 및 그 장치가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리정보구축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지도작성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리정보구축 서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지도 작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지도 작성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실내지도 작성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지도 작성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8은 건물 변경 모드 시, 층 문자열 정보를 자동으로 정렬하는 실내지도 작성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9는 폴리곤 추가 모드 시, 폴리곤의 기본 모양을 선택하는 실내지도 작성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10은 폴리곤 변경 모드 시, 폴리곤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는 실내지도 작성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11은 폴리곤 변경 모드 시, 폴리곤의 위치를 자동으로 미리 결정된 각도에 홀딩하는 실내지도 작성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12는 폴리곤 변경 모드 시, 인접 폴리곤으로 접근하는 폴리곤을 자동으로 끌어와서 상기 인접 폴리곤에 결합시키는 실내지도 작성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13은 폴리곤 변경 모드 시, 폴리곤의 일 지점에 노드를 자동으로 추가하는 실내지도 작성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14는 실내지도 상에 겹쳐 그려진 요소들을 선택하기 위한 레이어 선택 기능을 제공하는 실내지도 작성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15a 및 도 15b는 폴리곤/폴리라인 변경 모드 시, 실내지도 상에 표시된 2D 폴리곤/폴리라인을 3D 폴리곤/폴리라인으로 자동 변경하는 실내지도 작성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이하 본 명세서에서, '폴리곤(polygon)'은 실외공간정보 및 실내공간정보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들 중 하나인 다각형을 의미하고, '폴리라인'은 실외공간정보 및 실내공간정보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들 중 하나인 다중 연결 선을 의미하며, 포인트는 실외공간정보 및 실내공간정보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들 중 하나인 점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노드'는 지도 상의 경로 설정을 위해 미리 지정한 특정 장소(또는 지점)을 의미하고, '링크'는 지도 상의 경로 설정을 위해 노드와 노드 사이를 연결하는 선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대 좌표값'은 기준점에 따라 그 위치가 변경되는 위치 정보를 의미하고, '절대 좌표값'은 기준점에 관계없이 그 위치가 고정되는 위치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건물의 도면 이미지 업로드 시, 상기 건물의 위치에 대응하는 실외지도 상에 해당 도면 이미지를 자동으로 매칭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의 도면 이미지 업로드 시, 상기 도면 이미지에서 추출한 POI, 폴리곤 및 폴리라인을 기반으로 실내지도를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리정보구축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리정보구축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10), 지리정보구축 서버(120), 및 통신 네트워크(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10)과 지리정보구축 서버(120)는 통신 네트워크(130)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130)는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근거리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네트워크(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네트워크(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130)는 공지의 월드 와이드 웹(WWW: World Wide Web)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130)는 상기 열거된 네트워크에 국한되지 않고, 공지의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 공지의 전화 네트워크, 공지의 유/무선 텔레비전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특정 지리 영역에 관한 지리정보를 작성하기 위한 지도작성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10)은 특정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해당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거나, 혹은 별도의 저장매체를 통해 해당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기 설치된 지도작성 프로그램 실행 시, 사용자 인증(또는 관리자 인증)을 위한 로그인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로그인 화면은 사용자(또는 관리자)의 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을 요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인증 성공 시, 통신 네트워크(130)를 통해 지리정보구축 서버(120)에 접속하여 특정 지리 영역에 관한 실외지도(outdoor map)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통신 네트워크(130)를 통해 지리정보구축 서버(120)에 접속하여 해당 지리 영역에 존재하는 건물에 관한 실내지도(indoor map)를 작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110)은 실외지도 또는 실내지도를 작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즉, 지도작성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200)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 단말(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도작성 화면(또는 지도작성 툴 화면, 200)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지도작성 화면(2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통해, 사용자 단말(110)은 실외지도 또는 실내지도 작성을 위한 명령 신호들(이하, 설명의 편의상, '지도작성 명령 신호'라 칭함)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에 표시되는 지도작성 화면(200)은, 실외지도 및/또는 실내지도 작성을 위한 복수의 메인 메뉴들(main menus)을 표시하기 위한 제1 디스플레이 영역(210), 특정 지리 영역에 관한 맵 데이터(map data)를 표시하기 위한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0), 특정 메뉴에 관한 상세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3 디스플레이 영역(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210)은, 지도작성 프로그램의 홈 화면(또는 시작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홈 메뉴(21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장소에 대응하는 맵 데이터를 검색하여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0)에 표시하기 위한 검색 메뉴(212), 건물(building)을 지도 상에 추가/변경/삭제하기 위한 빌딩 메뉴(213), 미리 지정된 건물에 층(floor)을 추가/변경/삭제하기 위한 층 메뉴(214), 폴리곤(polygon)을 지도 상에 추가/변경/삭제하기 위한 폴리곤 메뉴(216), 폴리라인(polyline)을 지도 상에 추가/변경/삭제하기 위한 폴리라인 메뉴(216), 포인트(point)를 지도 상에 추가/변경/삭제하기 위한 포인트 메뉴(217), 노드(node)를 지도 상에 추가/변경/삭제하기 위한 노드 메뉴(218), 링크(link)를 지도 상에 추가/변경/삭제하기 위한 링크 메뉴(2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디스플레이 영역(210)은, 지도작성 화면(200)의 좌측 영역 또는 하부 영역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0)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210)의 검색 메뉴(212)를 통해 입력된 장소 또는 위치에 대응하는 맵 데이터 또는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에 대응하는 맵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0)은, 지도작성 화면(200)의 가운데 영역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검색 메뉴(212)를 통해 건물명, 해당 건물의 주소명 또는 해당 건물의 좌표값 등이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110)은 해당 건물에 대응하는 맵 데이터를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10)은 해당 건물의 위치(location), 크기(size), 모양(shape), 경계(boundary) 등에 따라 줌(zoom)을 자동으로 조절하면서 맵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제3 디스플레이 영역(230)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210)에서 선택된 메뉴와 관련된 하위 메뉴 및 상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디스플레이 영역(230)은 지도작성 화면(200)의 우측 영역 또는 상부 영역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디스플레이부 상의 커서(cursor) 또는 포인터(pointer)가 미리 결정된 제1 영역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3 디스플레이 영역(230)이 자동으로 펼쳐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 상의 커서 또는 포인터가 미리 결정된 제2 영역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3 디스플레이 영역(230)이 자동으로 닫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3 디스플레이 영역(230)에 표시된 삭제 아이콘(231)을 선택함에 따라,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230)이 지도작성 화면(200)에서 사라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사용자 단말(110)에는 데스크톱 PC,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지리정보구축 서버(120)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10)과 연동하여 특정 영역에 관한 지리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지리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구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리정보구축 서버(120)는 지도 작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에 관한 정보를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지리정보구축 서버(120)는, 단말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리정보(즉, 실내지도 및 실외지도)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지리정보구축 서버(120)는, 단말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지리정보를 기반으로 다양한 위치기반서비스(가령, 실외/실내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로, 별도의 위치기반서비스 제공 서버가 존재하는 경우, 지리정보구축 서버(12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리정보를 상기 위치기반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리정보구축 서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지리정보구축 서버(120, 300)는 UI 정보 제공부(310), 사용자 정보 수집부(320), 실내지도 작성부(330), 실외지도 작성부(340), 데이터베이스(350), 지도 검색부(360) 및 경로 탐색부(3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지리정보구축 서버(3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상에서 설명되는 지리정보구축 서버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UI 정보 제공부(310)는 지리정보구축 서버(300)와 연동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10)로 지도 작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에 표시되는 UI 화면을 참조하여 실외지도 또는 실내지도 작성을 위한 명령 신호들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수집부(320)는, 사용자 단말(110)로 입력되는 지도작성 명령 신호들을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지도작성 명령 신호들은, 건물 검색 명령, 건물 추가/삭제/변경 명령, 층 추가/삭제/변경 명령, 폴리곤 추가/삭제/변경 명령, 폴리라인 추가/삭제/변경 명령, 포인트 추가/삭제/변경 명령, 노드 추가/삭제/변경 명령, 링크 추가/삭제/변경 명령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내지도 작성부(330)는 사용자 정보 수집부(320)로부터 전송 받은 지도작성 명령 신호들을 기반으로 특정 건물에 관한 실내지도를 작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해당 건물이 복수 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경우, 실내지도 작성부(330)는 사용자 정보 수집부(320)로부터 전송 받은 지도작성 명령 신호들을 기반으로 층별 실내지도를 작성할 수 있다. 즉, 실내지도 작성부(330)는 폴리곤, 폴리라인, 포인트, 노드 및 링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실내에 존재하는 주요 시설물들(가령, 사무실, 화장실, 계단 등)을 특정 건물에 대응하는 지도 상에 그려줌으로써 실내지도를 작성할 수 있다.
실외지도 작성부(340)는 사용자 정보 수집부(320)로부터 전송 받은 지도작성 명령 신호들을 기반으로 특정 영역에 관한 실외지도를 작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실외지도 작성부(340)는 폴리곤, 폴리라인, POI, 노드 및 링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실외에 존재하는 주요 시설물들(가령, 건물, 도로, 지하철 등)을 특정 지리 영역에 대응하는 지도 상에 그려줌으로써 실외지도를 작성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50)는 특정 영역에 존재하는 건물들의 설계 도면 및 대장 등을 저장하는 도면 이미지 저장부(351), 실내지도 작성부(330)에 의해 작성된 실내지도를 저장하는 실내지도 저장부(353), 실외지도 작성부(340)에 의해 작성된 실외지도를 저장하는 실외지도 저장부(355),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서버(미도시)에 의해 제공되는 맵 데이터를 저장하는 맵 데이터 저장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 이미지 저장부(351)에 저장되는 이미지 파일들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업로드 될 수 있다.
지도 검색부(370)는 단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장소 또는 위치에 대응하는 맵 데이터를 실내지도 저장부(353) 및 실외지도 저장부(355)에서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지도 검색부(370)는 별도의 GIS 서버에 접속하여 검색한 맵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경로 탐색부(370)는 단말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출발 지점과 도착 지점 사이의 최적 이동 경로를 탐색하여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경로 탐색부(360)는 실외지도 또는 실내지도에 포함된 노드들, 상기 노드들의 속성, 상기 노드들 간의 링크들을 분석하여 최적 이동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지도 작성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내지도 작성부(또는 실내지도 작성 장치, 330)는 도면 이미지 호출부(331), POI 검출부(332), 도면 이미지 가공부(333), 폴리곤/폴리라인 검출부(334), 좌표 변환부(335), 및 자동 지도 작성부(33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 이미지 호출부(331)는, 단말 사용자의 도면 등록 요청 신호를 기반으로, 건물의 도면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350)에서 불러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면 이미지는 건물의 전체 도면 이미지이거나 혹은 건물의 층별 도면 이미지일 수 있다. 도면 이미지 호출부(331)는 상기 불러온 도면 이미지가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POI 검출부(332)는 도면 이미지 호출부(331)에서 불러온 도면 이미지에서 POI에 대응하는 텍스트 정보와 해당 텍스트 정보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대 좌표값을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POI는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는 지점(point)의 위치 정보로서, 통상 텍스트로 표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 예로, POI는 실내지도 또는 도면 상에 위치하는 주요 시설물들의 명칭이 될 수 있다.
또한, POI 검출부(332)는 후술할 도면 이미지 가공부(333)를 통해 단순화한 도면 이미지로부터 POI에 대응하는 텍스트 정보와 해당 텍스트 정보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대 좌표값을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면 이미지 가공부(333)는, 단말 사용자의 도면 조절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110)에 표시되는 도면 이미지의 위치, 크기, 모양 등을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에 표시되는 도면 이미지는, 단말 사용자의 도면 조절 신호에 따라, 해당 도면 이미지의 외곽과 해당 도면 이미지에 대응하는 건물의 외곽이 서로 일치하도록 그 위치, 크기, 모양 등이 변경될 수 있다.
도면 이미지 가공부(333)는 도면 이미지 호출부(331)에서 불러온 도면 이미지에서 실내지도 작성에 불필요한 요소들을 제거하여 해당 도면 이미지를 단순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실내지도 작성에 불필요한 요소들은, 미리 결정된 크기 이하의 폴리곤/폴리라인, 실내지도 작성에 불필요한 점/선/면, 실내지도 작성에 불필요한 수치/기호/도형, POI 이외의 불필요한 텍스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불필요한 요소들은, 해당 시스템 운영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거나 혹은 변경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면 이미지 호출부(331)를 통해 불러온 도면 이미지가 매우 복잡한 경우, 이러한 도면 이미지 가공부(333)를 통해 해당 도면 이미지를 단순화시킴으로써, 해당 도면 이미지에서 POI/폴리곤/폴리라인 등을 추출하기 위해 소요되는 영상 처리 시간을 단축하거나, 해당 영상 처리를 위한 데이터 연산량 등을 감소할 수 있다.
폴리곤/폴리라인 검출부(334)는 도면 이미지 가공부(333)를 통해 단순화한 도면 이미지에서 임계치 이상의 크기를 갖는 폴리곤/폴리라인과, 해당 폴리곤/폴리라인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대 좌표값을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임계치는 도면 이미지의 전체 크기에 대한 폴리곤/폴리라인의 크기 비율로서, 해당 시스템 운영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거나 혹은 변경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특히, 도면 이미지의 경우, 폴리곤/폴리라인/POI 등의 절대 좌표값(가령, 위도 및 경도 좌표값)을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전체 이미지 상에서 상기 폴리곤/폴리라인/POI 등의 상대적인 좌표 값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표 변환부(335)는 도면 이미지에서 추출한 POI, 폴리곤, 폴리라인의 상대 좌표값을 실내지도 상의 절대 좌표값(가령, 위도 및 경도 좌표값)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면 이미지의 조절을 통해, 상기 도면 이미지의 외곽을 실내지도 상의 건물 외곽에 매칭(matching)시키면, 좌표 변환부(335)는 상기 폴리곤/폴리라인/POI의 상대 좌표값을 실내지도 상의 절대 좌표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자동 지도 작성부(336)는 POI 검출부(332)에서 추출한 POI를 좌표 변환부(335)를 통해 변환된 절대 좌표값에 대응하는 실내지도 상의 위치에 삽입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로, 자동 지도 작성부(336)는 상기 변환된 절대 좌표값에 대응하는 실내지도 상의 위치에서 상기 추출된 POI를 자동으로 그리는(draw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자동 지도 작성부(336)는 폴리곤/폴리라인 검출부(334)에서 추출한 폴리곤/폴리라인을 좌표 변환부(335)를 통해 변환된 절대 좌표값에 대응하는 실내지도 상의 위치에 삽입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로, 자동 지도 작성부(336)는 상기 변환된 절대 좌표값에 대응하는 실내지도 상의 위치에서 상기 추출된 폴리곤/폴리라인을 자동으로 그리는(draw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 500)은 통신부(510), 입력부(520), 출력부(530), 메모리(540) 및 제어부(5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사용자 단말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상에서 설명되는 사용자 단말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통신부(510)는, 유선 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한 유선 통신 모듈과, 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한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유선 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PLC(Power Line Communication), 홈 PNA(Home PNA), IEEE 1394 등)에 따라 구축된 유선 통신망 상에서 외부 서버 및 타 단말 중 적어도 하나와 유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WCDMA(Wideband CDMA),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무선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Access Point 및 중계기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실시 예에서, 통신부(510)는,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지도 작성과 관련된 데이터를 지리정보구축 서버(120, 300)와 교환할 수 있다.
입력부(5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서, 입력부(520)는 지도 작성과 관련된 명령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출력부(53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부, 햅팁 모듈 및 광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 단말(5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 단말(5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는 지도 작성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해당 단말(500)과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해당 단말(500)과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540)는 사용자 단말(5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540)는 사용자 단말(5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사용자 단말(5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서, 메모리(540)는 실외지도 및/또는 실내지도를 작성하기 위한 지도작성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540)는 건물의 층별 도면 이미지 파일과, 현재 작성 중인 실내지도 및 실외지도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5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50)는 메모리(54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사용자 단말(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나아가 제어부(55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5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적어도 하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서, 제어부(550)는 메모리(540)에 저장된 지도작성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실외지도 및/또는 실내지도를 작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또는 도구(tool))를 제공할 수 있다. 단말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실외지도 또는 실내지도를 작성을 위한 명령 신호들을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지리정보구축 서버(120, 300) 내부에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가 설치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상기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가 사용자 단말(110, 500)의 제어부(550) 내에 구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 단말(110)에서 실내지도 작성과 관련된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지리정보구축 서버(120)의 경우,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업로드된 도면 이미지나,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작성된 실내지도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지도 작성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실시 예에서 설명되는 실내지도 작성 방법은, 지리정보구축 서버(120, 300)에 구현된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를 통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사용자 단말(110, 500)로 입력되는 도면 등록 요청 신호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된 건물의 층별 도면 이미지를 호출할 수 있다(S110). 또 다른 실시 예로,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사용자 단말(110)의 메모리(540)에 저장된 건물의 층별 도면 이미지를 호출할 수도 있다.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상기 호출된 도면 이미지가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가령,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같이, 사용자 단말(110)의 지도작성 화면(700)에 표시된 도면 등록 메뉴(710)가 선택되는 경우,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단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도면 이미지(720)를 데이터베이스(350)로부터 호출하고, 상기 호출된 도면 이미지(720)와 관련된 UI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10)은 수신된 UI 정보에 대응하는 도면 이미지(720)를 지도작성 화면(700)에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상기 호출된 도면 이미지에서 POI와 관련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S120). 즉,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해당 도면 이미지에서 POI에 대응하는 텍스트 정보와 해당 텍스트 정보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대 좌표값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로,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후술할 130 단계(즉, 도면 이미지 단순화 단계)를 거친 도면 이미지에서 POI와 관련된 정보를 검출할 수도 있다.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사용자 단말(110)로 입력되는 도면 조절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되는 도면 이미지의 위치, 크기, 모양 등을 변경할 수 있다(S130).
가령, 도 7b 및 7c에 도시된 같이, 단말 사용자는 지도작성 화면(700)에 표시된 도면 이미지(720)의 위치, 크기, 모양 등을 조절하는 도면 조절 신호를 사용자 단말(110)로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로 입력되는 도면 조절 신호에 대응하여,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도면 이미지(720)의 테두리와 해당 도면 이미지(720)에 대응하는 건물(740)의 테두리가 서로 일치하도록 해당 도면 이미지(720)의 위치, 크기, 모양 등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도면 이미지(730)에 관한 UI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수신된 UI 정보에 대응하는 도면 이미지(730)를 지도작성 화면(700)에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상기 호출된 도면 이미지에서 실내지도 작성에 불필요한 요소들을 제거하여 해당 도면 이미지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가령,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호출된 도면 이미지(720)에서 미리 결정된 크기 이하의 폴리곤(721), 미리 결정된 크기 이하의 폴리라인(722), 실내지도 작성에 불필요한 점/선/면(723), 실내지도 작성에 불필요한 수치/기호/도형(724), POI 이외의 텍스트(725) 등을 검출하여 제거할 수 있다.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미리 결정된 방식에 따라 단순화된 도면 이미지에서 임계치 이상의 크기를 갖는 폴리곤/폴리라인과, 해당 폴리곤/폴리라인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대 좌표값을 검출할 수 있다(S140).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도면 이미지에서 검출한 폴리곤/폴리라인/POI의 상대 좌표값을 실내지도 상의 절대 좌표값으로 각각 변환할 수 있다(S150). 즉, 도면 이미지의 조절을 통해, 상기 도면 이미지를 실내지도 상의 건물 외곽에 맞추면,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상기 폴리곤/폴리라인/POI의 상대 좌표값을 실내지도 상의 절대 좌표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상기 변환된 절대 좌표값에 대응하는 실내지도 상의 위치에서 도면 이미지에서 검출한 폴리곤/폴리라인/POI를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다(S160). 또 다른 실시 예로,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도면 이미지에서 검출한 폴리곤/폴리라인/POI를 상기 변환된 절대 좌표값에 대응하는 실내지도 상의 위치에 자동으로 삽입할 수 있다.
가령,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10)의 지도작성 화면(700)에 표시된 자동 작성 메뉴(미도시)가 선택되는 경우,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도면 이미지에서 검출한 폴리곤/폴리라인/POI를 기반으로 실내지도를 자동으로 작성하고, 상기 실내지도와 관련된 UI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수신된 UI 정보에 대응하는 실내지도(750)를 지도작성 화면(70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실내지도 작성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마찬가지로, 본 실시 예에서 설명되는 실내지도 작성 방법은, 지리정보구축 서버(120, 300)에 구현된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를 통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b를 참조하면,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단말 사용자의 명령 등에 따라,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된 실외지도를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S210).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사용자 단말(110, 500)로 입력되는 지도작성 명령 신호를 기반으로, 실외지도 상에 표시된 건물들 중에서 실내지도를 작성할 건물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건물의 외곽을 지정할 수 있다(S220). 또한,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사용자 단말(110, 500)로 입력되는 지도작성 명령 신호를 기반으로, 새로운 건물을 실외지도 상에 추가하고, 상기 추가된 건물의 외곽을 지정할 수도 있다. 이때, 건물의 외곽 지정은, 실외지도 상에 표시된 특정 건물의 모서리 부분을 선택하는 방식, 특정 건물의 테두리 부분을 선택하는 방식, 특정 건물의 중심 지점을 선택하는 방식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사용자 단말(110, 500)로 입력되는 도면 등록 요청 신호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된 건물의 도면 이미지를 호출할 수 있다(S230).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도면 이미지 호출 시(즉, 도면 이미지 업로드 시), 상기 선택 또는 추가된 건물의 위치에 대응하는 실외지도 상의 일 영역에 상기 도면 이미지를 자동으로 매칭할 수 있다(S240). 즉, 상기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상기 도면 이미지의 외곽과 미리 지정된 건물의 외곽이 서로 일치하도록 상기 도면 이미지의 위치, 크기, 모양 등을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상기 자동 변경된 도면 이미지를 상기 선택 또는 추가된 건물의 위치에 대응하는 실외지도 상의 일 영역에 자동으로 삽입할 수 있다.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상기 호출된 도면 이미지에서 POI, 임계치 이상의 크기를 갖는 폴리곤/폴리라인, 해당 POI/폴리곤/폴리라인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대 좌표값 등을 검출할 수 있다(S250).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도면 이미지에서 검출한 POI/폴리곤/폴리라인의 상대 좌표값을 실내지도 상의 절대 좌표값으로 각각 변환할 수 있다.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상기 변환된 절대 좌표값에 대응하는 실내지도 상의 위치에서 상기 도면 이미지에서 검출한 POI/폴리곤/폴리라인을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다(S260).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내지도 작성 장치는, 건물의 도면 이미지 호출 시, 해당 도면 이미지에서 검출한 폴리곤/폴리라인/POI를 기반으로 층별 실내지도를 자동으로 작성함으로써, 종래기술과 차별화되는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실내지도 자동 작성 기능 이외에도,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실내지도 작성과 관련된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먼저,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건물 변경 모드 시, 층 문자열 정보를 자동으로 정렬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가령,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작성 화면(800)에 표시된 빌딩 메뉴(810)가 선택되는 경우,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상기 선택된 빌딩 메뉴(810)와 관련된 하위 메뉴들을 상기 지도작성 화면(800)의 우측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하위 메뉴들 중에서 '층 추가 메뉴'의 입력창(820)에 새로 추가할 층(가령, 2층)을 입력한 후 추가 아이콘(830)이 선택되면,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새로 추가된 층에 대응하는 2층 아이콘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2층 아이콘을 기존의 1층 아이콘(840)과 3층 아이콘(850) 사이에 삽입할 수 있다. 이처럼,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신규 층 추가 시, 새로 추가된 층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층 문자열 상에서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 순으로 자동 정렬할 수 있다.
또한,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건물 변경 모드 시, 해당 건물의 층별 실내지도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가령,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작성 화면(800)의 우측 영역에 표시된 층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상기 선택된 층 아이콘에 대응하는 실내지도를 해당 건물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작성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폴리곤 추가 모드 시, 새로 추가할 폴리곤의 모양을 디폴트로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가령,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작성 화면(900)에 표시된 폴리곤 메뉴(910)가 선택되는 경우,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상기 선택된 폴리곤 메뉴(910)와 관련된 하위 메뉴들을 상기 지도작성 화면(900)의 우측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하위 메뉴들 중에서 '추가 모드 메뉴(920)'가 선택되면,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폴리곤의 기본 도형을 디폴트로 선택할 수 있는 기본 도형 선택 메뉴(930)를 지도작성 화면(90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기본 도형 선택 메뉴(930)는 삼각형 항목, 사각형 항목, 오각형 항목, 육각형 항목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기본 도형 선택 메뉴(930)에서 삼각형 항목을 선택한 후, 폴리곤이 위치할 지점을 지도 상에 지정하면,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상기 지정된 지점에 삼각형 모양의 폴리곤(940)을 추가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단말 사용자는 삼각형 모양의 폴리곤을 그리기 위해 3개의 점을 지도 상에 찍을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폴리곤 변경 모드 시, 실내지도 상에 표시된 폴리곤/폴리라인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하기 위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실내지도 상에 표시된 폴리곤/폴리라인을 용이하게 회전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가령,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작성 화면(1000)에 표시된 폴리곤(1010)이 선택되는 경우,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폴리곤(1010)을 회전하기 위한 인디케이터(1020)를 해당 폴리곤(1010)의 테두리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단말 사용자는 해당 인디케이터(1020)를 이용하여 폴리곤(1010)의 모양을 변경하지 않으면서 해당 폴리곤(1010)을 전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 예로,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회전 또는 이동하고자 하는 폴리곤/폴리라인을 미리 결정된 각도에 자동으로 홀딩(holding)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리 결정된 각도는, 실내지도 상의 방위 또는 인접 폴리곤/폴리라인의 위치 등을 기준으로 0도, 45도, 90도, 180도 등이 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가령,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작성 화면(1100)에 표시된 폴리곤(1110)을 회전 또는 이동하는 경우,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해당 폴리곤(1110)을 자동으로 회전 또는 이동하면서 실내지도 상의 정북 방향을 기준으로 0도 또는 90도에 고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특정 폴리곤이 인접 폴리곤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특정 폴리곤을 자동으로 끌어와서 상기 인접 폴리곤에 자석처럼 붙이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가령,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폴리곤(1220)이 제1 폴리곤(1210)으로부터 임계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상기 제2 폴리곤(1220)의 경계와 상기 제1 폴리곤(1210)의 경계가 서로 만나도록 상기 제2 폴리곤(1220)을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말 사용자들이 특정 폴리곤을 인접 폴리곤에 붙이기 위해 여러 번의 수작업을 반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폴리곤 변경 모드 시, 실내지도 상에 표시된 폴리곤의 일 지점에 노드(node)를 자동으로 추가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가령,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지도 상에 표시된 폴리곤(1310)의 선 중간(1320)을 선택하여 드래그하는 경우,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드래그 입력에 따라 상기 폴리곤(1310)의 모양을 변경하고, 상기 드래그 입력의 종료 지점에 새로운 노드(1330)를 자동으로 추가할 수 있다. 이때, 새로 추가된 노드(1330)는 폴리곤(1310)을 구성하는 포인트들(1340)과 구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가령,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추가 노드(1330)의 색상, 크기 또는 모양 등을 상기 폴리곤(1310)을 구성하는 포인트들(1340)의 색상, 크기 또는 모양 등과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동일한 층 상에서 서로 겹쳐 그려진 요소들(가령, 폴리곤/폴리라인/포인트 등)을 선택하기 위한 레이어 선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가령,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곤/폴리라인/포인트 등이 실내지도 상에 겹쳐있는 상태에서 미리 결정된 키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상기 겹쳐진 요소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레이어 선택 메뉴(1410)를 지도작성 화면(1400)에 표시할 수 있다. 단말 사용자는 레이어 선택 메뉴(1410)를 통해 상기 겹쳐진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요소를 삭제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폴리곤/폴리라인 변경 모드 시, 실내지도 상에 표시된 2D 폴리곤/폴리라인을 3D 폴리곤/폴리라인으로 자동 변경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가령,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작성 화면(1500)에 표시된 2D 폴리곤(1510)을 지정한 후 3D 변경 메뉴(1520)가 선택되는 경우,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상기 지정된 2D 폴리곤(1510)을 3D 폴리곤(1540)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2D 변경 메뉴(1530)의 선택을 통해, 지도작성 화면(1500)에 표시된 3D 폴리곤(1540)을 2D 폴리곤(1510)으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별도의 폴리곤/폴리라인 지정 없이, 3D 변경 메뉴(1520) 또는 2D 변경 메뉴(1530)를 선택하는 경우,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지도작성 화면(1500)에 표시된 모든 폴리곤/폴리라인 등을 2D에서 3D로 또는 3D에서 2D로 일괄 변경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지리정보구축 시스템 110/500: 사용자 단말
120/300: 지리정보구축 서버 130: 통신 네트워크
310: UI 정보 제공부 320: 사용자 정보 수집부
330: 실내지도 작성부 340: 실외지도 작성부
350: 데이터베이스 360: 지도 검색부
370: 경로 탐색부

Claims (19)

  1. 건물의 도면 이미지를 호출하는 단계;
    상기 호출된 도면 이미지로부터 POI(Point of Interest), 폴리곤(polygon) 및 폴리라인(polyline)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POI, 폴리곤 및 폴리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건물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관한 실내지도를 작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실내지도 상에 표시된 제1 폴리곤이 제2 폴리곤으로부터 임계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상기 제1 폴리곤을 상기 제2 폴리곤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폴리곤의 경계와 상기 제2 폴리곤의 경계를 일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내지도 작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된 도면 이미지를 지도작성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지도작성 화면에 표시된 도면 이미지의 테두리와 상기 건물의 테두리가 서로 일치하도록, 상기 도면 이미지의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내지도 작성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된 도면 이미지에서 미리 결정된 요소들을 제거하여 상기 도면 이미지를 단순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내지도 작성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요소들은, 임계치 미만의 폴리곤 또는 폴리라인, 수치, 기호, POI 이외의 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지도 작성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단계는,
    상기 단순화한 도면 이미지로부터 임계치 이상의 크기를 갖는 폴리곤 또는 폴리라인과, 상기 폴리곤 또는 폴리라인의 상대 좌표값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지도 작성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단계는,
    상기 호출된 도면 이미지 또는 상기 단순화한 도면 이미지로부터 POI와, 상기 POI의 상대 좌표값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지도 작성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POI, 폴리곤 및 폴리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상대 좌표값을 상기 실내지도 상의 절대 좌표값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내지도 작성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 단계는,
    상기 검출된 POI, 폴리곤 및 폴리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변환된 절대 좌표값에 대응하는 실내지도 상의 위치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지도 작성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 단계는,
    상기 변환된 절대 좌표값에 대응하는 실내지도 상의 위치에 상기 검출된 POI, 폴리곤 및 폴리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자동으로 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지도 작성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지도 상에 표시된 폴리곤 또는 폴리라인을 회전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내지도 작성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지도 상에서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폴리곤 또는 폴리라인을 미리 결정된 각도에 자동으로 홀딩(hold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내지도 작성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단계는,
    실외지도를 포함하는 지도작성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실외지도에 포함된 건물들 중 실내지도를 작성할 건물을 지정하는 단계;
    상기 지정된 건물의 도면 이미지를 호출하는 단계; 및
    상기 호출된 도면 이미지를 상기 지정된 건물의 위치에 대응하는 실외지도 영역과 매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지도 작성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단계는,
    상기 호출된 도면 이미지의 외곽과 상기 지정된 건물의 외곽이 서로 일치되도록, 상기 호출된 도면 이미지의 위치, 크기 및 모양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도면 이미지를 상기 지정된 건물의 위치에 대응하는 실외지도 상의 일 영역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지도 작성 방법.
  14. 건물의 도면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호출하는 도면 이미지 호출부;
    상기 도면 이미지 호출부를 통해 불러온 도면 이미지로부터 POI(Point of Interest)를 검출하는 POI 검출부;
    상기 도면 이미지 호출부를 통해 불러온 도면 이미지로부터 폴리곤(polygon) 및 폴리라인(polyline)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폴리곤/폴리라인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POI, 폴리곤 및 폴리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건물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관한 실내지도를 자동으로 작성하는 자동 지도 작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 지도 작성부는, 상기 실내지도 상에 표시된 제1 폴리곤이 제2 폴리곤으로부터 임계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상기 제1 폴리곤을 상기 제2 폴리곤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폴리곤의 경계와 상기 제2 폴리곤의 경계를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지도 작성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도면 이미지 호출부를 통해 불러온 도면 이미지에서 미리 결정된 요소들을 제거하여 상기 도면 이미지를 단순화하는 도면 이미지 가공부를 더 포함하는 실내지도 작성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POI, 폴리곤 및 폴리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상대 좌표값을 상기 실내지도 상의 절대 좌표값으로 변환하는 좌표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실내지도 작성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실외지도를 포함하는 지도작성 화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UI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실외지도에 포함된 건물들 중 실내지도를 작성할 건물을 지정하는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사용자 정보 수집부를 더 포함하는 실내지도 작성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도면 이미지 호출부는, 상기 지정된 건물의 도면 이미지를 호출하고, 상기 호출된 도면 이미지를 상기 지정된 건물의 위치에 대응하는 실외지도 영역과 매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지도 작성 장치.
  19.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방법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 가능하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098513A 2019-08-13 2019-08-13 실내지도 작성 방법 및 그 장치 KR102131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513A KR102131999B1 (ko) 2019-08-13 2019-08-13 실내지도 작성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513A KR102131999B1 (ko) 2019-08-13 2019-08-13 실내지도 작성 방법 및 그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9129A Division KR20180109414A (ko) 2017-03-28 2017-03-28 실내지도 작성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118A true KR20190100118A (ko) 2019-08-28
KR102131999B1 KR102131999B1 (ko) 2020-07-08

Family

ID=67775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513A KR102131999B1 (ko) 2019-08-13 2019-08-13 실내지도 작성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9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42065A (zh) * 2021-06-28 2021-11-12 中国地质大学(武汉) 一种基于dxf矢量平面图的室内半自动制图与建模方法
WO2023243834A1 (ko) * 2022-06-14 2023-12-21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로봇 친화형 건물, 로봇 운용을 위한 맵 생성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177B1 (ko) * 2020-07-21 2021-12-03 대한민국 실내대피를 위한 3차원 실내지도 구축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6068A (ko) * 2007-12-18 2009-06-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도면을 이용한 격자지도 생성방법 및 장치
KR101312294B1 (ko) * 2011-06-21 2013-10-1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실내지도 데이터베이스, 지도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개방형 api를 이용한 실내지도 제공장치, 그리고 실내지도 제작장치 및 방법
KR101496317B1 (ko) * 2014-11-25 2015-03-03 (주)그린공간정보 촬영이미지의 지상물 위치변경을 통해 영상이미지를 수정하는 영상처리방법
JP2017500614A (ja) * 2014-09-02 2017-01-05 ネイバー ビジネス プラットフォーム コーポレーション クラウドポイントを利用した屋内地図構築装置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6068A (ko) * 2007-12-18 2009-06-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도면을 이용한 격자지도 생성방법 및 장치
KR101312294B1 (ko) * 2011-06-21 2013-10-1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실내지도 데이터베이스, 지도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개방형 api를 이용한 실내지도 제공장치, 그리고 실내지도 제작장치 및 방법
JP2017500614A (ja) * 2014-09-02 2017-01-05 ネイバー ビジネス プラットフォーム コーポレーション クラウドポイントを利用した屋内地図構築装置および方法
KR101496317B1 (ko) * 2014-11-25 2015-03-03 (주)그린공간정보 촬영이미지의 지상물 위치변경을 통해 영상이미지를 수정하는 영상처리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42065A (zh) * 2021-06-28 2021-11-12 中国地质大学(武汉) 一种基于dxf矢量平面图的室内半自动制图与建模方法
CN113642065B (zh) * 2021-06-28 2024-03-12 中国地质大学(武汉) 一种基于dxf矢量平面图的室内半自动制图与建模方法
WO2023243834A1 (ko) * 2022-06-14 2023-12-21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로봇 친화형 건물, 로봇 운용을 위한 맵 생성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1999B1 (ko)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5699B1 (ko) 실내지도 작성 방법 및 그 장치
US10170084B2 (en) Graphical representation generation for multiple points of interest
RU2559741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ннотирования информации о точках интереса
KR102131999B1 (ko) 실내지도 작성 방법 및 그 장치
JP6312715B2 (ja) モバイルデバイスを用いるナビゲーションのための方向性ビュー及びx線ビュー技法
KR20170046675A (ko) 경로 중단이 감소된 내비게이션 검색 결과의 제공 기법
JP2010287059A (ja) 移動端末、サーバ装置、コミュニティ生成システム、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5241446B (zh) 一种室内导航路线生成方法及用户终端
CN103473227A (zh) 微博动态显示方法和装置
US10094681B2 (en) Controlling a map system to display off-screen points of interest
CN105143917A (zh) 响应于外部产生的区域性候选定位模式选择的移动装置定位
JP4860723B2 (ja) 経路案内システム、経路案内装置及び経路案内方法
KR101615504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저장하고 검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085044A (ko) 검색 내 다중 검색 및 다중 작업 기법
KR20180109414A (ko) 실내지도 작성 방법 및 그 장치
WO2013111654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19215517A (ja) 電子地図の表示方法および装置
CN116204733A (zh) 多目的地的查看方法和装置、用于查看的设备和存储介质
JP2012163738A (ja) 施設情報提供装置、施設情報提供システム、サーバ装置、端末装置、施設情報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038099B2 (ja) 検索サービス提供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該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553567B1 (ko) 실측 기반의 평면도를 사용하는 실내 지도와 그 작성 방법
JP2012163737A (ja) 施設情報提供装置、施設情報提供システム、サーバ装置、端末装置、施設情報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51500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alogical graphing
JP5782142B2 (ja) 位置情報提供システム、サーバ装置、端末装置、位置情報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9523475A (ja) 電子メールシステムへの位置統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