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9911A - 계량기 - Google Patents

계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9911A
KR20190099911A KR1020180019968A KR20180019968A KR20190099911A KR 20190099911 A KR20190099911 A KR 20190099911A KR 1020180019968 A KR1020180019968 A KR 1020180019968A KR 20180019968 A KR20180019968 A KR 20180019968A KR 20190099911 A KR20190099911 A KR 20190099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er
power supply
housing
power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9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4514B1 (ko
Inventor
박진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to KR1020180019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4514B1/ko
Priority to PCT/KR2019/001326 priority patent/WO2019164149A1/ko
Publication of KR20190099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9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6Windows; Cover glasses; Sealing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7Integration to give total flow, e.g. using mechanically-operated integrating mechanism
    • G01F15/075Integration to give total flow, e.g. using mechanically-operated integrating mechanism using electrically-operated integr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4Casings, e.g. of special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계량기는 표시부, 하우징 및 전원 단자부를 포함한다. 표시부는 계량 값을 표시하고, 하우징은 표시부를 수납한다. 전원 단자부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 공급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원 단자부는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다.

Description

계량기{METER}
본 발명은 계량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와 같은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유량을 계량하는 계량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계식으로 동작하는 수도계량기 또는 가스계량기는 유체의 흐름을 기계적으로 계량하고, 계량된 계량 값을 미터기 눈금으로 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기계식 계량기는 검침원에 의한 개별 검침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검침에 소요되는 비용이 발생되며, 실시간으로 검침 정보를 확인할 수 없는 불편함이 발생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기계식 계량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전자식 계량기가 보급되고 있으며, 점차적으로 전자식 계량기는 기계식 계량기를 대체해가고 있다. 전자식 계량기는 계량된 유체의 계량 값을 전자식으로 표시하며, 더 나아가서는 전자식 계량기는 검침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외부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자식 계량기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자식 계량기에는 배터리와 같은 전원 공급원이 필요하다. 그런데, 계량기가 임의로 조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계량기의 본체는 봉인장치가 설치되는 것이 필요한데, 배터리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는 불가피하게 봉인장치를 해체해야 한다. 또한, 배터리 교환이 완료된 이후에는 계량기에 다시 봉인장치를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39501호 한국등록특허 제10-1140815호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와 같은 전원 공급원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계량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계량기는 표시부, 하우징 및 전원 단자부를 포함한다. 표시부는 계량 값을 표시하고, 하우징은 표시부를 수납한다. 전원 단자부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 공급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원 단자부는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원 공급원은 배터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원 단자부는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원 단자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하우징의 일 부분에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 공급원을 수용하는 삽입홈이 정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수납부 및 커버부를 포함한다. 수납부는 표시부를 수납하고, 커버부는 표시부와 중첩된 표시창을 구비하여 수납부와 결합된다. 삽입홈은 수납부 및 커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정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삽입홈에 수용되어 전원 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 공급원은 제1 길이 및 제1 폭을 갖고, 삽입홈은 제2 길이 및 제2 폭을 갖고, 제2 길이는 상기 제1 길이의 이상이고, 제2 폭은 상기 제1 폭의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계량기는 하우징과 결합되어 전원 공급원의 탈착을 잠금하는 잠금장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계량기는 전원 단자부 및 전원 단자부와 접촉된 전원 공급원의 전극을 방수하는 방수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계량기는 표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 전원 단자부는 회로기판을 통해 표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공급원은 계량기의 외부로 개구된 구조를 갖는 삽입홈에 착탈되는 방식으로 계량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전원 공급원을 교체하기 위하여 봉인 장치를 해체하지 않아도 되므로, 계량기의 전원 공급원의 교체가 용이해질 수 있다.
따라서, 봉인 장치로 봉인된 계량기는 전원 공급원의 교체를 위해 해체되거나 수거될 필요가 없으므로, 배관에 설치된 계량기는 전원 공급원의 교체 주기와 상관 없이 지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계량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계량기에 전원 공급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의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효과는 도면과 관련된 실시예들을 통해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응용되어 변형될 수도 있다. 오히려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된 기술 사상을 보다 명확히 하고, 나아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후술될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한편, 하기 실시예와 도면 상에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및 '제2'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계량기(500)는 가스 또는 물과 같은 유체가 흐르는 배관과 결합되어 배관을 따라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계량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계량기(500)는 수도 계량기 또는 가스 계량기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계량기(500)는 유체 외의 다른 형태로 흐르는 양, 예를 들어 흐르는 전력량 또는 흐르는 입자들의 양을 계량하는 계량기일 수 있다.
이하, 이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500)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실시예에서는, 계량기(500)는 하우징(105), 봉인장치(260), 임펠러(130), 영구자석(150), 회전축(131), 커버판(117), 회로기판(210), 표시부(DP) 및 전원 단자부(225)를 포함한다.
하우징(105)은 유입부(111), 유출부(113), 수납부(110) 및 커버부(115)를 포함한다. 유입부(111) 및 유출부(113) 각각은 배관과 결합되고, 수납부(110)는 유입부(111) 및 유출부(113) 사이에서 유입부(111) 및 유출부(113)와 연결된다. 따라서, 유입부(111)와 연결된 배관을 통해 흐르는 유체는 유입부(111)를 통해 수납부(110)의 내부로 유입되고, 수납부(110)의 내부로 유입된 유체는 유출부(113)를 통해 수납부(110)의 외부로 유출된다.
커버부(115)는 수납부(110)와 결합되어 수납부(110)의 내부에 수납된 구성 요소들을 커버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커버부(115)는 표시부(DP)와 중첩되는 표시창(251)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창(251)은 투명한 유리 또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부(DP)는 표시창(251)을 통해 외부에서 시인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05)의 커버부(115)의 일 부분이 제거되어 커버부(115)에 삽입홀(255)이 정의될 수 있다. 계량기(500)에서 삽입홀(255)은 외부에서 제공되는 전원 공급원(도 3의 BT)을 수용하는 부분으로서, 전원 공급원(BT)은 삽입홀(255)에 수용되어 계량기(500)의 전원 단자부(225)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05)의 수납부(110)의 일 부분이 제거되어 수납부(110)에 삽입홀(255)이 정의되거나, 하우징(105)의 수납부(110) 및 커버부(115) 각각의 일 부분이 제거되어 삽입홀(255)이 정의될 수도 있다.
봉인장치(260)는 하우징(105)과 결합되어 하우징(105)의 개폐를 봉인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봉인장치(260)는 제1 봉인공(118), 제2 봉인공(258), 와이어(261) 및 봉인탭(262)을 포함한다. 제1 봉인공(118)은 수납부(110)의 외측에 고정되고, 제2 봉인공(258)은 커버부(115)의 외측에 고정된다. 또한, 와이어(261)는 제1 봉인공(118) 및 제2 봉인공(258)에 정의된 홀들을 통해 제1 봉인공(118) 및 제2 봉인공(258)을 관통하며, 와이어(261)의 양 단부들은 봉인탭(262)과 솔더링 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261)가 봉인탭(262)으로부터 분리된 경우에는, 커버부(115)가 수납부(110)로부터 분리된 이력을 갖는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
임펠러(130)는 수납부(110)의 내부에 수납되고, 수납부(110)의 내부에 위치한 회전축(131)과 결합된다. 임펠러(130)는 유입부(111), 수납부(110) 및 유출부(113)를 순차적으로 흐르는 유체의 흐름에 의해 회전한다.
영구자석(150)은 임펠러(130)의 상측에 배치되고, 영구자석(150)은 임펠러(130)와 함께 유체의 흐름에 의해 회전한다. 또한, 영구자석(150)의 상측에는 영구자석(150)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부(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센서부는 임펠러(130)와 함께 회전하는 영구자석(150)의 회전수를 감지함으로써 임펠러(130)를 회전시키는 유체의 유량이 파악될 수 있다.
커버판(117)은 수납부(110)와 결합되어 임펠러(130)를 커버한다. 커버판(117)은 수납부(110)에서 임펠러(130)가 수납되는 공간과 회로기판(210)이 수납되는 공간을 서로 이격시키는 격벽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판(117)에 의해 수납부(110)의 내부에 유입된 유체가 회로기판(210) 및 표시부(DP) 측으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회로기판(210)은 커버판(117) 위에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회로기판(210)은 절연기판 및 상기 절연기판 위에 형성된 회로패턴(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회로패턴에 의해 회로기판(210) 위에 실장되는 표시부(DP), 전원 단자부(225) 및 전원 단자부(225)에 접촉된 전원 공급원(도 3의 BT)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전원 공급원(도 3의 BT)이 전원 단자부(2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에는, 전원 단자부(225)의 전원은 표시부(DP)를 구동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회로기판(210)은 판 형상을 가지나, 본 발명이 회로기판(210)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예에서는 회로기판(210)은 필름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 경우에 회로기판(210)은 PI(polyimid) 및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와 같은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여 회로기판(210)은 가요성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표시부(DP)는 계량된 유량의 계량 값을 표시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표시부(DP)는 회로기판(210) 위에 실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표시부(DP)는 전원 단자부(225)를 통해 전원 공급원(도 3의 BT)으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으로 구동될 수 있다.
전원 단자부(225)는 회로기판(210)을 통해 표시부(DP)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 공급원(도 3의 BT)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전원 단자부(225)는 회로기판(210)의 삽입홈(255)의 위치에 대응하는 일 측부(220)에 배치된다. 또한, 전원 단자부(225)는 삽입홈(255)을 통해 하우징(105)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원 단자부(225)는 하우징(105)의 외부에 노출된다.
이하 도 3을 더 참조하여 계량기(500) 및 전원 공급원(BT) 간의 체결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더 참조하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 공급원(BT)이 계량기(500)와 체결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전원 공급원(BT)은 배터리일 수 있고, 전원 공급원(BT)은 계량기(500) 측으로 전원을 제공한다.
전원 공급원(BT)은 계량기(500)의 전원 단자부(22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 공급원(BT)은 커버부(115)에 정의된 삽입홀(255)에 삽입되고, 전원 공급원(BT)의 전극 단자들(TN)이 전원 단자부(225)에 접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달리, 계량기의 하우징 내에 전원 공급원이 수납된 경우에는, 계량기의 전원 공급원을 교체를 위하여 계량기의 봉인 장치의 해체가 필요하며, 게다가 전원 공급원의 교체 이후에 봉인 장치의 재 설치가 필요하다.
하지만,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원 공급원(BT)이 계량기(500)의 내부에 수납되는 방식이 아닌 외부로 개구된 구조를 갖는 삽입홈(255)에 전원 공급원(BT)이 착탈되는 방식으로 전원 공급원(BT)이 계량기(500)와 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계량기(500)에서 전원 공급원(BT)을 교체하기 위하여 봉인 장치(260)를 해체하지 않아도 되므로, 전원 공급원(BT)의 교체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501)의 구조가 설명된다. 도 4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는 회로기판(211)은 대략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을 갖고, 회로기판(21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하우징의 커버부(116)는 대략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버부(116)의 일 부분이 제거되어 커버부(116)에 삽입홀(256)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삽입홀(256)을 통해 회로기판(2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 단자부(225)가 커버부(116)의 외부로 돌출되며, 이에 따라 전원 단자부(225)는 외부에 노출된다.
전원 공급원(BT-1)은 삽입홀(256)에 삽입되어 전원 공급원(BT-1)의 전극 단자들이 전원 단자부(225)에 접촉되고, 이에 따라 전원 공급원(BT-1)이 계량기(50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공급원(BT-1)의 전원이 계량기(501)에 제공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전원 공급원(BT-1)이 제1 길이(L1) 및 제1 폭(W1)을 갖고, 삽입홈(256)이 제2 길이(L2) 및 제2 폭(W2)을 가질 때, 제2 길이(L2)는 제1 길이(L1)보다 크고, 제2 폭(W2)은 제1 폭(W1)보다 크다. 즉, 삽입홈(256)의 전체 체적은 전원 공급원(BT-1)의 전체 체적보다 크다.
따라서, 전원 공급원(BT-1)이 전원 단자부(225)와 접촉된 상태에서, 전원 공급원(BT-1)의 전체가 삽입홈(256)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 공급원(BT-1)이 전원 단자부(22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에 노출된 전원 공급원(BT-1)의 부피를 최소화 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전원 공급원(BT-1)이 오염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와 동시에 외부의 수분 또는 이물이 전원 공급원(BT-1)을 통해 계량기(501)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502)의 구조가 설명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계량기(502)와 도 4에 도시된 계량기(도 4의 501)의 구조를 비교하면, 도 5에 도시된 계량기(502)는 구성요소로 잠금 장치(30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도 5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계량기(502)는 잠금 장치(300)를 포함하고, 잠금 장치(300)는 삽입홈(256)에 수용된 전원 공급원(BT-1)의 탈착을 잠금한다. 계량기(502)에 제공된 전원 공급원(BT-1)을 잠금하는 다양한 종류들의 장치가 제공될 수 있고, 이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300)의 하나의 구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실시예에서는, 잠금장치(300)는 삽입홀(256)에 인접하여 하우징의 커버부(116)와 결합될 수 있고, 잠금장치(300)는 개폐부(301), 힌지 결합부(302) 및 자물쇠(303)를 포함한다.
힌지 결합부(302)는 삽입홀(256)의 일 측에 인접하여 커버부(116)에 고정된다. 개폐부(301)는 힌지 결합부(302)의 일 단부와 결합되어 회전 방향(D1)으로 힌지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개폐부(301)의 힌지 이동에 따라 개폐부(301)는 삽입홈(256)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자물쇠(303)는 삽입홀(256)의 타 측에 인접하여 커버부(116)에 고정되고, 자물쇠(303)는 개폐부(301)의 타 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자물쇠(303) 및 개폐부(301)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자물쇠(303)는 개폐부(301)의 힌지 이동을 잠금한다.
따라서, 삽입홀(255)에 전원 공급원(BT-1)이 수용된 상태에서, 자물쇠(303)를 이용하여 개폐부(301)의 힌지 이동을 잠금하는 경우에, 전원 공급원(BT-1)이 삽입홀(256)로부터 임의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계량기(502)로부터 전원 공급원(BT-1)을 탈거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열쇠와 같은 수단을 이용하여 자물쇠(303)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503)의 구조가 설명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계량기(503)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계량기(도 1 및 2의 501)의 구조를 비교하면, 도 6에 도시된 계량기(503)는 구성요소로 방수부재(18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도 6을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에 따르면, 전원 단자부(220)는 외부로 노출되며, 외부로 노출된 전원 단자부(220)에 전원 공급원(BT)의 전극 단자들이 접촉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단자부(220) 및 전원 공급원(BT)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에 방수부재(180)가 제공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방수부재(180)의 재질은 고무와 같이 절연성 및 탄성을 가질 수 있고, 방수부재(180)는 중공형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방수부재(180)는 전원 단자부(220) 및 전원 단자부(220)에 접촉된 전원 공급원(BT)의 전극 단자들을 둘러싸고, 이와 동시에 방수부재(180)는 전원 단자부(220) 및 전원 공급원(BT)의 전극 단자들과 밀착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방수부재(180)가 제공되는 경우에, 방수부재(180)는 전원 단자부(220) 및 전원 공급원(BT)의 전극 단자들을 방수한다. 따라서, 방수부재(180)에 의해 외부의 수분이 전원 단자부(220) 및 전원 공급원(BT)의 전극 단자들 측으로 누수 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계량기(503)는 전원 공급원(BT)으로부터 보다 안정적으로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5: 하우징 130: 임펠러
150: 커버판 210: 회로기판
225: 전원 단자부 255: 삽입홈
260: 봉인장치 300: 잠금장치
DP: 표시부 BT: 전원 공급원

Claims (9)

  1. 계량 값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를 수납하는 하우징; 및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 공급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단자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원은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단자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단자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의 일 부분에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 공급원을 수용하는 삽입홈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표시부를 수납하는 수납부; 및
    상기 표시부와 중첩된 표시창을 구비하여 상기 수납부와 결합된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수납부 및 상기 커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에 수용되어 상기 전원 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 공급원은 제1 길이 및 제1 폭을 갖고, 상기 삽입홈은 제2 길이 및 제2 폭을 갖고, 상기 제2 길이는 상기 제1 길이의 이상이고, 상기 제2 폭은 상기 제1 폭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어 상기 전원 공급원의 탈착을 잠금하는 잠금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단자부 및 상기 전원 단자부와 접촉된 전원 공급원의 전극을 방수하는 방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단자부는 상기 회로기판을 통해 상기 표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
KR1020180019968A 2018-02-20 2018-02-20 계량기 KR102164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968A KR102164514B1 (ko) 2018-02-20 2018-02-20 계량기
PCT/KR2019/001326 WO2019164149A1 (ko) 2018-02-20 2019-01-31 계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968A KR102164514B1 (ko) 2018-02-20 2018-02-20 계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911A true KR20190099911A (ko) 2019-08-28
KR102164514B1 KR102164514B1 (ko) 2020-10-12

Family

ID=67688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968A KR102164514B1 (ko) 2018-02-20 2018-02-20 계량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64514B1 (ko)
WO (1) WO2019164149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0912A (ja) * 1996-04-15 1997-10-31 Oval Corp 渦流量計
KR20020038586A (ko) * 1999-05-28 2002-05-23 퓨전 미터 리미티드 계량기
KR20070082404A (ko) * 2006-02-16 2007-08-21 (주) 한일네트워크엔지니어링 기계식 수도미터 계량기용 비교유량측정 시스템
KR101031075B1 (ko) * 2010-12-30 2011-04-25 (주)자스텍 수도계량기 자동 검침장치
KR101140815B1 (ko) 2011-02-28 2012-05-03 경성제닉스(주) 보호케이스의 상부뚜껑을 이용한 분리형 전자식 수도계량기
KR101312818B1 (ko) * 2012-11-05 2013-09-27 차호준 수도미터기용 적산열량계
KR101439501B1 (ko) 2014-06-11 2014-09-12 (주)엠파이브 전자식 수도계량기의 하우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5684Y1 (ko) * 1985-02-14 1989-08-25 이호용 수도 계량기
US6100816A (en) * 1998-01-16 2000-08-08 Cellnet Data Systems, Inc. Utility meter adapter
US20060010997A1 (en) * 2001-09-21 2006-01-19 M&Fc Holding, Llc Weather resistant automatic meter reading unit
KR100871713B1 (ko) * 2007-02-27 2008-12-05 광일개발(주)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수도계량기
KR101535869B1 (ko) * 2014-03-13 2015-07-24 주식회사 에너틱스 수도 계량기의 동파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0912A (ja) * 1996-04-15 1997-10-31 Oval Corp 渦流量計
KR20020038586A (ko) * 1999-05-28 2002-05-23 퓨전 미터 리미티드 계량기
KR20070082404A (ko) * 2006-02-16 2007-08-21 (주) 한일네트워크엔지니어링 기계식 수도미터 계량기용 비교유량측정 시스템
KR101031075B1 (ko) * 2010-12-30 2011-04-25 (주)자스텍 수도계량기 자동 검침장치
KR101140815B1 (ko) 2011-02-28 2012-05-03 경성제닉스(주) 보호케이스의 상부뚜껑을 이용한 분리형 전자식 수도계량기
KR101312818B1 (ko) * 2012-11-05 2013-09-27 차호준 수도미터기용 적산열량계
KR101439501B1 (ko) 2014-06-11 2014-09-12 (주)엠파이브 전자식 수도계량기의 하우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4514B1 (ko) 2020-10-12
WO2019164149A1 (ko) 2019-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7722B1 (en) Enclosure for a wastewater fluid level sensing and control system
EP2336732A1 (en) Consumption Meter with Flow Part and Housing Formed by a Monolithic Polymer Structure
US7634950B2 (en) Method of construction for a low cost plastic ultrasonic water meter
KR20190099911A (ko) 계량기
US5075182A (en) Battery holder battery handle and battery indicator
KR101439501B1 (ko) 전자식 수도계량기의 하우징
JPS6080730A (ja) 電子体温計
CZ58494A3 (en) Case for heat counter
US4520423A (en) Tamperproof, moisture proof readout enclosure
JP3837904B2 (ja) 火災報知設備の中継器
RU56647U1 (ru) Конструкция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прибора
CN220729366U (zh) 一种智能水表及智能水表的多采集模块结构
EP2966427B1 (en) Battery powered metering device
KR200316104Y1 (ko) 전력선통신모듈의 착탈이 가능한 전자식전력량계
KR100943881B1 (ko) 봉인 장치 및 봉인 장치의 덮개
EP3754307B1 (en) Apparatus for gas measuring
ES2704955T3 (es) Extensión de contador de agua
US10073124B2 (en) Electronic meter seal arrangement and method
BR102022014147A2 (pt) Dispositivo eletrônico para leitura de pulso magnético em medidores de gás e água com conexão universal e sensores antifurto e antifraude
JP3301017B2 (ja) ガスメータの回路部防水構造
CN214667058U (zh) 一种水表电子组件的开盖触发结构
JP2912603B1 (ja) 筐体の封印装置
KR200474393Y1 (ko) 수도 미터기
KR200364971Y1 (ko) 전자식 유량계
KR102044533B1 (ko) 무선 전력 충전 계량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