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9869A - 청소기 - Google Patents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9869A
KR20190099869A KR1020180019883A KR20180019883A KR20190099869A KR 20190099869 A KR20190099869 A KR 20190099869A KR 1020180019883 A KR1020180019883 A KR 1020180019883A KR 20180019883 A KR20180019883 A KR 20180019883A KR 20190099869 A KR20190099869 A KR 20190099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portion
dust
cleaner
horizontal
cycl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9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1856B1 (ko
Inventor
현기탁
이영주
어수한
고정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9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856B1/ko
Priority to US16/279,546 priority patent/US11071426B2/en
Priority to TW108105668A priority patent/TWI709386B/zh
Priority to PCT/KR2019/002063 priority patent/WO2019164258A1/en
Priority to AU2019224777A priority patent/AU2019224777B2/en
Priority to EP19757994.9A priority patent/EP3755193B1/en
Publication of KR20190099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9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6Dust removal
    • A47L9/108Dust compress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6Dust remov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08Cyclonic chamber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25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series flow
    • A47L9/1633Concentric cyclo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91Mounting or coupling means for cyclonic chamber or dus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2Handles for 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는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는 먼지 분리유닛, 상기 먼지 분리유닛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 상기 먼지통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되게 배치되는 청소자 및 상기 청소자를 이동시키는 이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따른 다른 청소기는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는 먼지 분리유닛, 상기 먼지 분리유닛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 상기 먼지통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되게 배치되는 청소자, 상기 청소자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상기 먼지통의 외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손잡이 및 상기 먼지통을 개방하는 개방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개방버튼은 상기 손잡이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청소기는 청소자가 상기 유동 축과 교차되는 면에서 폐루프(Closed loop)를 정의하는 수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부재는 상기 유동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구분된 복수의 부분 중 적어도 일 부분이 원주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청소기 {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먼지를 압축할 수 있어서, 먼지를 비우기 용이하고, 공기의 싸이클론 유동을 방해하지 않는 청소자를 가지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청소기는 청소 대상 영역의 먼지나 이물을 흡입하거나 닦아 청소를 수행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수동 청소기와,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수동 청소기는, 청소기의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 타입의 청소기, 업라이트 타입의 청소기, 핸디형 청소기, 스틱형 청소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선행문헌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27088호(등록일 2012.03.08.)에는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가 개시된다.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는, 흡입관과, 기류 생성기, 원심 분리장치, 원심 분리장치에서 분리된 먼지를 수집하는 먼지통, 전원 및 핸들을 포함한다.
원심 분리 장치는, 핸들과 흡입관의 사이에 위치되고, 핸들의 바로 위에는 기류 생성기가 배치되고, 핸들의 바로 아래에는 전원이 배치된다. 따라서, 기류 생성기 및 전원은 기류 생성기의 후방에 위치된다.
원심 분리 장치의 아래에는 원심 분리 장치에서 수집된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통이 배치된다. 먼지통에는 먼지통에 수집된 먼지를 비우기 위해 사용자는 먼지통을 개방하게 되는 경우 및 먼지통에서 먼지를 버리는 경우에 먼지가 비산되거나, 먼지가 먼지통 외부로 날리게 되어서 사용자의 건강을 해치게 되고, 먼지통 주변에 다시 오염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선행문헌의 먼지통의 내부에는 원심 분리 장치가 구비되는 데, 먼지통에 수집된 먼지가 원심 분리 장치의 외면에 묻어서 잘 수집되지 않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27088호(등록일 2012.03.08.)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청소자의 형상이 먼지를 압축하기 충분한 강성과, 싸이클론 공기 유동을 방해하지 않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청소자가 흡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사용자가 청소 후에 먼지통에 수집된 먼지를 쉽게 버리게 하고, 사용자가 먼지통을 열었을 때 먼지가 비산되는 것을 제한하고, 먼지를 압축된 상태로 하여 사용자가 먼지 덩어리를 쉽게 처리할 수 있게 하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먼지통의 내부의 청소자를 상하로 왕복운동 시키면서도, 청소자를 움직이는 손잡이는 먼지통에서 사용자의 사용에 방해가 되지 않고, 최도한의 경로로 이동하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먼지통의 내부에 위치되는 청소자가 먼지를 압축한 후, 공기의 유동 및 먼지의 수집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위치되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사용자가 먼지를 압축 후에 바로 먼지통의 도어가 하나의 단계로 작동하기 위한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먼지가 먼지통 내부에서 압축되어 비산하지 않기 위해, 먼지가 먼지통 내부의 청소자와 먼지통의 내면 사이 압축되게 하는 수단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먼지통의 내부에 위치되는 청소자가 인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고, 탄성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여서, 먼지통의 상단에 밀착되는 수단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청소자를 움직이는 손잡이를 먼지통의 외면에서 윈주방향으로 이동하게 하고, 청소자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수단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청소자를 움직이는 손잡이의 이동경로에 먼지통의 도어를 개방하는 버튼이 위치되어서, 사용자가 손잡이를 움직이는 것으로 먼지 압축과 먼지통의 개방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수단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청소자의 형상이 먼지를 압축하기 충분한 강성과, 싸이클론 공기 유동을 방해하지 않는 수단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청소자가 흡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가이드 역할을 하는 수단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청소기는 흡입된 공기에서 원심 분리에 의해 먼지를 분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싸이클론을 포함하고, 공기가 상기 싸이클론의 유동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유동 공간을 포함하는 먼지 분리유닛, 상기 먼지 분리유닛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고, 상기 유동 공간과 연통된 먼저 지장부를 포함하는 먼지통 및 상기 유동 공간과 상기 먼지 저장부 사이를 왕복하는 청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청소자는, 상기 유동 축과 교차되는 면에서 폐루프(Closed loop)를 정의하는 수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부재는 상기 유동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구분된 복수의 부분 중 적어도 일 부분이 원주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재는 상기 유동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제1 수평부분, 제2 수평부분 및 제3 수평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평부분의 우측 단은 상기 제2 수평부분의 좌측 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수평부분의 좌측 단은 상기 제3 수평부분의 우측 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2 수평부분의 우측 단은 상기 제3 수평부분의 좌측 단과 연결된다.
상기 제1 수평부분은 원주방향을 따라 제1 원주 경사각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3 수평부분은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원주 경사각 보다 큰 제3 원주 경사각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수평부분은 상기 제1 원주 경사각 및 제3 원주 경사각 보다 작은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수평부분의 좌측 단의 높이는 상기 제1 수평부분의 우측 단 보다 높고, 상기 제3 수평부분의 우측 단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2 수평부분의 좌측 단 및 우측 단의 높이는 상기 제1 수평부분의 우측 단 및 제3 수평부분의 좌측단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먼지 분리유닛으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수평부분은 상기 흡입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수평부분은 상기 유동 축과 상기 흡입부의 중심을 연결한 중심선에서 편심되게 위치되고, 상기 제3 수평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흡입부와 전후 방향에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평부분은 외주면과 상기 외주면 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유동 축에 근접하는 내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평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외주면에서 상기 내주면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중심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수평부분의 좌측 단의 중심 경사각은 상기 제1 수평부분의 우측 단의 중심 경사각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수평부분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유동 축을 중심으로 제1 반지름을 가지는 원주에서 외측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2 수평부분 및 제3 수평부분의 내주면은 상기 제1 반지름을 가지는 원주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평부분과 상기 제3 수평부분의 경계는 상기 유동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에서 0° 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수평부분과 상기 제2 수평부분의 경계는 상기 유동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에서 170° 내지 190°의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2 수평부분과 상기 제3 수평부분의 경계는 상기 유동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에서 330° 내지 350°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청소자는 상기 수평부재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내측 수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수직부재는 상기 제1 수평부분의 일부, 상기 제2 수평부분, 상기 제3 수평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청소자는 상기 수평부재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외측 수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부재는 상기 제1 수평부분의 일부 영역 및 제2 수평부분의 일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청소자는 이동유닛이 연결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3 수평부분과 상기 유동축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먼지통은 상하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통 형상으로 하측이 개방된 집진 바디와, 상기 집진 바디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바디는 상기 먼지 분리유닛을 상하방향과 교차되는 면에서 감싸게 배치되고, 상기 먼지 분리유닛의 외면과 상기 집진 바디의 내면 사이에는 먼지 저장부가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먼지 분리유닛은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서 먼지를 분리하는 제1 싸이클론과, 상기 제1 싸이클론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싸이클론과, 상기 제1 싸이클론의 내주면과 상기 제2 싸이클론의 외주면 사이의 유동 공간 포함하고, 상기 유동 공간은 상기 먼지 저장부의 상부와 연통될 수 있다.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의 청소기는 먼지통에 수집된 먼지를 쉽게 버릴 수 있게 하고, 먼지통의 먼지를 비울 때, 먼지통의 먼지가 비산되는 것을 억제하고, 싸이클론의 외면에 붙은 먼지를 긁어 내릴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소기는 청소자를 움직이는 손잡이가 먼지통의 외면의 하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청소자를 움직이는 데 먼지통의 외면의 손잡이가 먼지통의 외면에서 상하로 움직이지 않아서 사용하기 편리하고, 손잡이의 이동 경로가 먼지통의 높이 보다 길어지게 되므로, 손잡이의 이동으로 먼지에 충분한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소기는 청소자가 사용자의 인력에 의해 하방으로 움직여서 먼지통의 하면 방향으로 먼지를 가압하고, 다시 탄성력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하므로, 흡입부에서 유입된 공기의 싸이클론 유동을 방해하지 않고, 먼지가 먼지통의 하부에 수집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소기는 먼지통의 상단 또는 흡입구에 큰 이물질이 걸릴 경우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소기는 먼지를 흡입하고 먼지통 내에서 계속적으로 먼지를 압축할 수 있으므로, 먼지통의 실 사용량을 확보할 수 있고, 2차 싸이클론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으며, 먼지통을 자주 비우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소기는 먼지통의 도어의 개방버튼은 청소자를 움직이는 손잡이의 이동경로에 배치하여서, 사용자가 개방버튼의 반대쪽과 손잡이를 엄지와 검지로 잡고 하나의 연속된 동작으로,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압축하고, 먼지통의 도어를 개방하여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손목에 부담을 줄이는 이점이 존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 내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디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하측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자와 이동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b는 도 9a 과 다른 방향에서 청소자와 이동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와 체결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3의 청소기의 A-A선을 취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3의 청소기의 B-B선을 취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를 하방에서 바라본 횡단면도이다.
도 14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자의 사시도이다.
도 14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자를 도 14a와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자를 도 14a 및 도 14b와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4d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자의 측면도이다.
도 14e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자의 평면도이다.
도 14f은 도 14e의 14f 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14g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자의 원주 방향에 따른 수평부재의 높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h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자의 원주 방향에 따른 내측 수직부재의 두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i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자의 원주 방향에 따른 외측 수직부재의 두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j은 정면에서 바라본 흡입구와 청소자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k은 정면과 우측 사이에서 바라본 흡입구과 청소자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작동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은 본 발명의 청소기에 흡입 노즐을 연결하여 바닥을 청소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에서 표시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표시장치를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1)는, 본체(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2)는, 흡입부(5)를 통해 내부로 흡입된 먼지를 분리하기 위한 먼지 분리유닛(10)과, 먼지 분리유닛(10)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기 위한 먼지통(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먼지 분리유닛(10)은 일 예로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서 먼지를 분리할 수 있는 제1 싸이클론(1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싸이클론(110)은 흡입부(5)와 연통될 수 있다. 흡입부(5)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와 먼지를 제1 싸이클론(110)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 유동하게 된다. 제1 싸이클론(110)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A2)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먼지 분리유닛(10)은 제1 싸이클론(110)에서 배출된 공기에서 먼지를 재차 분리하는 제2 싸이클론(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먼지 분리유닛(10)의 크기가 최소화되도록 제2 싸이클론(130)는 제1 싸이클론(11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싸이클론(130)는 병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싸이클론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싸이클론(130)의 싸이클론 유동축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잇다.
다른 예로서, 먼지 분리유닛(10)이 단일의 싸이클론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도 싸이클론 유동의 축(A2)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먼지통(50)은, 원통 형상의 집진 바디(510)와, 집진 바디(51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디 커버(5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싸이클론(110)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고, 집진 바디(510)의 상측부가 제1 싸이클론(110) 역할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싸이클론(130)의 적어도 일부는 먼지통(5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집진 바디(510) 내에는 제2 싸이클론(130)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을 가이드하는 먼지 저장 가이드(504)가 배치될 수 있다. 먼지 저장 가이드(504)는 제2 싸이클론(130)의 하측에 결합되며 바디 커버(520)의 상면에 접촉한다.
먼지 저장 가이드(504)는 집진 바디(510) 내부의 공간을 제1 싸이클론(11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 저장부(502)와, 제2 싸이클론(13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내부 먼지 저장부(506)로 구획한다.
먼지 저장 가이드(504)의 내부 공간이 내부 먼지 저장부(506)이고, 먼지 저장 가이드(504)와 집진 바디(510) 사이 공간이 먼지 저장부(502)다.
바디 커버(520)는 먼지 저장부(502)와 내부 먼지 저장부(506)를 함께 개폐할 수 있다.
바디 커버(520)는 먼지 저장부(502) 내에 저장된 먼지가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리브(521)가 구비될 수 있다. 리브(521)는 바디 커버(520)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바디 커버(520)가 제1 및 제2 먼지 저장부(502)(502, 506)를 커버한 상태에서 리브(521)는 집진 바디(510)의 내주면과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싸이클론 유동은 집진 바디(510)의 내주면을 따라서 제1 먼지 저장부(502)(502) 측을 유동하므로, 리브(521)가 집진 바디(510)의 내주면과 인접하게 위치되면, 싸이클론 유동이 리브(521)에 의해서 깨지게 되어 먼지 저장부(502)에 저장된 먼지가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체(2)는, 흡입력을 발생하기 위한 흡입력 발생유닛(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입력 발생유닛(20)은, 모터 하우징(210)과, 모터 하우징(210)의 내부에 수용되는 흡입 모터(230)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모터(230)의 적어도 일부는 먼지 분리유닛(10)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흡입 모터(230)는 먼지통(50)의 상방에 위치된다. 일 예로 흡입 모터(230)의 일부는 제1 싸이클론(11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흡입 모터(230)의 하측은 제2 싸이클론(130)의 상측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먼지 분리유닛(10)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A2)은 흡입 모터(230)를 관통할 수 있다. 그리고, 흡입 모터(230)는 흡입부(5)의 길이 방향 축(A3) 보다 높게 위치된다.
흡입부(5)의 길이 방향 축(A3)은 흡입부(50)의 중앙과 제1 싸이클론(110)의 싸이클론 유동축(A2)와 핸들(30)을 중앙을 관통하는 임의의 선이다.
흡입 모터(230)가 제2 싸이클론(130)의 상측에 위치되면, 제2 싸이클론(130)에서 배출된 공기가 바로 흡입 모터(230)측으로 유동할 수 있어, 먼지 분리유닛(10)과 흡입 모터(230) 간의 유로가 최소화될 수 있다.
흡입 모터(230)는 회전 동작하는 임펠러(232)를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232)는 샤프트(233)에 연결될 수 있다. 샤프트(233)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먼지 분리유닛(1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먼지통(50)과 흡입 모터(230)를 상하로 배치할 때, 청소기(1)의 높이가 줄어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임펠러(232)의 회전축(A1)(흡입 모터의 축이라고도 할 수 있음)의 연장선은 먼지 분리유닛(10) 및 먼지통(50)을 통과할 수 있다. 이때, 임펠러(232)의 회전축(A1)과 먼지 분리유닛(10)의 제1 싸이클론(110)에서 발생되는 싸이클론 유동의 축(A2)은 동일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먼지 분리유닛(10)에서 배출된 공기, 즉, 제2 싸이클론(130)에서 상방으로 배출된 공기는 유동 방향 변화 없이 흡입 모터(230) 측으로 유동할 수 있고, 공기가 흡입 모터(230)를 지나는 과정에서도 공기의 방향 변화가 줄어들 수 있어 공기의 유동 손실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공기의 유동 손실이 줄어드는 경우, 흡입력이 증가될 수 있으며 흡입 모터(23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40)의 사용 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흡입 모터(230)와 제2 싸이클론(130) 사이에는 흡입 모터(230) 제어를 위한 피씨비(250)가 위치될 수 있다.
청소기(1)는 사용자가 잡기 위한 핸들(30)과, 흡입 모터(23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핸들(30)은 흡입 모터(23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흡입 모터(230)의 축은 흡입부(5)와 핸들(3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방향에 대해서 정의하면, 청소기(1)에서 흡입 모터(230)를 기준으로 흡입부(5)가 위치되는 방향이 전방이고, 핸들(30)이 위치하는 방향이 후방이다.
배터리(40)는 핸들(30)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40)는 먼지통(5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즉, 흡입 모터(230)와 배터리(40)는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며, 배치 높이 또한 다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핸들(30)을 기준으로, 무게가 무거운 흡입 모터(230)가 핸들(30)의 전방에 위치되고, 무게가 무거운 배터리(40)가 핸들(30)의 하방에 위치되므로, 청소기(1) 전체적으로 무게가 고르게 분배된다. 사용자가 핸들(30)을 잡고 청소를 할 때, 사용자의 손목에 무리가 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청소기(1)의 앞쪽과 뒤쪽에 무게가 무거운 구성이 분산되어 배치되되,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므로, 청소기(1)의 무게 중심이 어느 일측으로 쏠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배터리(40)가 핸들(30)의 하방에 위치되고 흡입 모터(230)는 핸들(30)의 전방에 위치되므로, 핸들(30)의 상방에는 아무런 구성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즉, 핸들(30)의 상면은 청소기(1)의 상면 일부 외관을 형성한다. 따라서, 핸들(30)을 잡고 사용하는 과정에서 청소기(1)의 일 구성이 사용자의 팔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핸들(3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제1 연장부(310)와, 제1 연장부(310)의 상측에서 흡입 모터(230)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2 연장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장부(314)는 적어도 일부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장부(310)에는 사용자가 제1 연장부(310)를 잡은 상태에서 손이 제1 연장부(310)의 길이 방향(도 2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 제한부(31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동 제한부(312)는 제1 연장부(310)에서 흡입 모터(230)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이동 제한부(312)는 제2 연장부(314)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연장부(3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일부 손가락은 이동 제한부(312)의 상방에 위치되고, 나머지 손가락은 이동 제한부(312)의 하방에 위치된다.
일 예로 검지 손가락과 중지 손가락 사이에 이동 제한부(312)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흡입부(5)의 길이 방향 축(A3)은 제1 연장부(310)를 지난다. 이때, 이동 제한부(312)는 흡입부(5)의 길이 방향 축(A3) 보다 높게 위치된다.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제1 연장부(310)를 파지한 상태에서 흡입부(5)의 길이 방향 축(A3)이 사용자의 손목을 지날 수 있다.
흡입부(5)의 길이 방향 축(A3)이 사용자의 손목을 지나는 경우, 사용자의 팔이 펴진 상태에서 흡입부(5)의 길이 방향 축(A3)은 사용자 의 팔의 연장 방향과 실질적으로 나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핸들(30)을 잡고 청소기(1)를 밀거나 당길 때 필요한 사용자의 힘이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핸들(310)은 조작부(316)가 위치되는 경사면(315)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316)를 통하여 청소기(흡입 모터)의 온 명령 및 오프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경사면(315)은 사용자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경사면(315)은 제2 연장부(314)의 후면에 위치될 수 있다. 핸들(30)을 기준으로 조작부(316)는 이동 제한부(312)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경사면(315)에 위치한 조작부(316)는 이동 제한부(312) 보다 높게 위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 연장부(310)를 잡은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으로 쉽게 조작부(316)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장부(310)에서 벗어난 위치에 조작부(316)가 위치되므로, 제1 연장부(3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청소를 수행할 때, 의도하지 않게 조작부(316)가 조작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2 연장부(314)에는 작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318)가 구비될 수 있다. 표시부(318)는 일 예로 제2 연장부(314)의 상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청소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제2 연장부(314)의 상면에 위치한 표시부(318)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표시부(318)는 일 예로 배터리의 잔량, 흡입 모터의 세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318)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다수의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발광부는 제2 연장부(314)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한편, 핸들(30)의 하측에는 배터리 하우징(410)이 구비되며, 배터리 하우징(410)의 내부에 배터리(40)가 수용된다. 즉, 제1 연장부(310)의 하측에 배터리 하우징(410)이 위치된다.
배터리(40)는 배터리 하우징(4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배터리(40)는 배터리 하우징(410)의 하방에서 배터리 하우징(4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410)에는 배터리(40)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방열홀(412)이 형성될 수 있다. 방열홀(412)에 의해 서 열이 배터리 하우징(410)의 외부로 방출됨에 따라 배터리(40)의 냉각이 원활해지고 이에 따라 배터리(40)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410)의 후면과 제1 연장부(310)의 후면은 연속적인 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배터리 하우징(410)과 제1 연장부(310)가 일체감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모터 하우징(210)은 흡입 모터(230)를 지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212)를 가지는 배출 커버(211)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 커버(211)에는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헤파 필터(246)가 수용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212)는 일 예로 임펠러(232)의 회전축(A1)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공기 배출구(212)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가 임펠러(230)의 회전축(A1)을 기준으로 경사지는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배출 커버(210)에는 유동 가이드(213)가 구비된다.
공기 배출구(212)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사용자 측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도 3을 기준으로 임펠러(230)의 회전축(A1)과 핸들(30) 사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3을 기준으로 임펠러(230)의 회전축(A1)과 핸들(30) 사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공기 배출구(212)에서의 공기 배출을 차단하기 위한 배리어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에서 배출 커버와 필터 들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배출 커버에 헤파 필터가 수용되기위한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청소기(1)는, 흡입 모터(230)로 공기가 흡입되기 전에 공기를 필터링하는 프리 필터(2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리 필터(242)는 흡입 모터(230)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임펠러(232)의 회전축(A1)은 프리 필터(242)를 관통할 수 있다.
프리 필터(242)를 통과한 공기는 흡입 모터(230)의 임펠러(232) 측으로 유동한 후 흡입 모터(230)를 통과하고, 헤파 필터(246)를 통과한 후에 최종적으로 공기 배출구(21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청소기(1)가 프리 필터(242)와 헤파 필터(246)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터의 종류 및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본 명세서에서는 프리 필터(242)를 제1 필터라 하고, 헤파 필터(246)를 제2 필터라 이름할 수 있다.
배출 커버(211)는, 헤파 필터(246)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214)는 하측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배출 커버(211)의 하측에서 헤파 필터(246)가 수용부(214)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 커버(211)에서 헤파 필터(246)와 마주보도록 공기 배출구(212)가 형성된다.
헤파 필터(246)가 수용부(214)에 수용된 상태에서 헤파 필터(246)는 필터 커버(244)에 의해서 커버된다. 필터 커버(244)에는 공기가 관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개구(244a)가 구비된다. 필터 커버(244)는 배출 커버(2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배출 커버(211)는 모터 하우징(2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헤파 필터(246)를 청소하기 위하여 배출 커버(211)를 모터 하우징(210)에서 분리할 수 있다. 모터 하우징(210)과 분리된 배출 커버(211)에서 필터 커버(244)를 배출 커버(211)에서 분리하면, 헤파 필터(246)를 수용부(214)에서 꺼낼 수 있다.
배출 커버(211)가 모터 하우징(21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프리 필터(242)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프리 필터(242)를 모터 하우징(210)에서 분리하여, 프리 필터(242)를 청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기 커버(211)를 모터 하우징(210)에 서 분리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헤파 필터(246) 및 프리 필터(242)에 접근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쉽게 필터(242, 246) 들을 분리하여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 내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청소기(1)에서의 공기 유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흡입 모터(230)의 작동에 의해서 흡입부(5)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와 먼지는 제1 싸이클론(110)의 내주면을 따라 유동하면서 서로 분리된다. 공기와 분리된 먼지는 하방으로 유동하여 먼지 저장부(502)에 저장된다. 먼지와 분리된 공기는 제2 싸이클론(130)로 유동된다. 제2 싸이클론(130)로 유동된 공기는 재차 먼지와 분리된다.
제2 싸이클론(130)에서 공기와 분리된 먼지는, 하방으로 유동하여 내부 먼지 저장부(506)에 저장된다. 반면, 제2 싸이클론(130)에서 먼지와 분리된 공기는 제2 싸이클론(130)(230)에서 배출되어 흡입 모터(230) 측으로 상승한다.
이때, 흡입 모터(230)의 외측에는 제2 싸이클론(130)에 서 배출된 공기를 프리 필터(242)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공기 가이드(215)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기 가이드(215)는 흡입 모터(230)의 외측을 둘러싸며, 공기 가이드(215)의 적어도 일부는 흡입 모터(23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는 흡입 모터(230)의 외측의 공기 가이드(215)를 따라 상승한 후에 프리 필터(242)를 통과한다. 프리 필터(242)를 통과한 공기는 흡입 모터(230)를 통과한다. 공기는 임펠러(232)에 의해서 흡입 모터(230) 내부를 유동한 후에 공기 가이드(215)와 모터 하우징(210) 사이의 배기 유로(216)로 배출된다.
그리고, 배기 유로(216)로 배출된 공기는 헤파 필터(246)를 지난 후에 배출 커버(210)의 공기 배출구(21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싸이클론에서 분리된 먼지는 먼지 저장부(502)에 쌓이게 되는데, 먼지의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사용자가 먼지통(50)을 개방하는 경우, 먼지가 비산하게 되고, 먼지가 뭉쳐 있지 않아 버리기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먼지를 압축하는 청소자(900)와 청소자(900)를 움직이는 이동유닛을 포함한다. 청소자(900)와 이동유닛에 대해서는 도 9 이하에서 상술한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디 커버(520)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하측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바디 커버(520)는 회전 동작에 의해서 집진 바디(510)의 하측을 개폐할 수 있다. 바디 커버(520)는 회전을 위한 힌지(522)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522)는 집진 바디(510)에 결합되거나 집진 바디(510)와 별도로 존재하는 힌지 결합부(420)에 결합될 수 있다. 힌지 결합부(420)가 집진 바디(510)와 별개의 구성인 경우, 힌지 결합부(420)는 집진 바디(510)에 결합될 수 있다.
힌지 결합부(420)는 배터리 하우징(41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바디 커버(520)의 힌지(522)는 집진 바디(510)의 외측에서 집진 바디(510)와 배터리(4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집진 바디(510)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A2)과 배터리(4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바디 커버(520)의 힌지(522)는 핸들(30)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힌지(522)에 의해서 바디 커버(520)가 회전될 때, 바디 커버(520)는 사용자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바디 커버(520)가 사용자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바디 커버(520)가 회전되어 집진 바디(510) 내에 저장된 먼지가 낙하될 때 바디 커버(520)는 먼지가 사용자 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다른 예로서, 힌지 결합부(420)는 배터리 하우징(410)에 결합되거나 배터리 하우징(4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힌지 결합부(420)는 집진 바디(510)의 외측에서 집진 바디(510)와 배터리(4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바디 커버(520)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이동될 수 있으며, 집진 바디(510)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 레버(550)가 구비될 수 있다. 결합 레버(550)는 일 예로 흡입부(5)의 길이 방향 축(A3)과 나란한 방향으로 바디 커버(520)(550)에 결합될 수 있다.
바디 커버(520)는 결합 레버(55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으며, 결합 레버(550)가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레버(550)는 결합 후크(556)를 포함하고, 집진 바디(510)는 결합 후크(556)가 결합되는 후크 결합 슬롯(514)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후크 결합 슬롯(514)는 후술하는 체결유닛(880)에 형성될 수도 있다.
결합 후크(556)는 집진 바디(510)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후크 결합 슬롯(514)에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바디 커버(520)와 결합 레버(550)의 사이에는 결합 후크(556)가 후크결합 슬롯(514)에 끼워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결합 레버(550)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체결유닛(880)은 바디 커버(520)와 집진 바디(510)를 체결한다. 체결유닛(880)은 탄성력에 의해 결합 후크가 결합되고, 외부에서 외력이 가해지면 결합후크의 결합이 해제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체결유닛(880)은 집진 바디(510)의 후크 결합 슬롯에 결합된 결합 후크를 해제하는 개방버튼(881a, 881b)을 가질 수 있다.
개방버튼(881a, 881b)은 바디 커버(520)와 집진 바다의 체결을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대해서는 12에서 후술한다.
한편, 힌지 결합부(420)는 배터리(40)가 배터리 하우징(410)에 장착된 상태에서 배터리(40)를 충전시키기 위한 제1 본체 단자(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1)를 도시되지 않은 충전대에 안착시키면 충전대의 단자가 제1 본체 단자(600)와 접촉할 수 있다.
제1 본체 단자(600)는 힌지 결합부(420)의 하면에 위치되되, 청소기(1)를 바닥에 놓은 상태에서 바닥과 이격될 수 있다. 즉, 힌지 결합부(420)의 하면에는 상방으로 함몰되는 홈(421)이 형성되며, 홈(421)에 제1 본체 단자(600)가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본체 단자(60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홈(421)에 제1 본체 단자(600)가 위치되므로, 청소기(1)를 바닥에 놓는 경우에 물이 제1 본체 단자(600)와 접촉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 먼지통(50)의 먼지를 청소 및 압축하기 위한 청소자(900)와 이동유닛에 대해 상술한다.
도 9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자(900)와 이동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9b는 도 9a 과 다른 방향에서 청소자(900)와 이동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840)와 체결유닛(880)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3의 청소기의 A-A선을 취한 일부 단면도, 도 12는 도 3의 청소기의 B-B선을 취한 일부 단면도,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를 하방에서 바라본 횡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청소기는 먼지통(50)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되게 배치되는 청소자(900) 및 청소자(900)를 이동시켜서, 청소자(900)와 먼지통(50)의 내면 사이의 먼지를 압축하는 이동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싸이클론이 하나의 싸이클론(제2 싸이클론(130))을 포함하고, 먼지통(50)의 집진 바디(510)가 제2 싸이클론(130)을 감싸게 배치되고, 집진 바디(510)의 상부가 하나의 싸이클론 역할을 할 수 있다.
집진 바디(510))는 먼지 분리유닛(10)을 상하방향과 교차되는 면에서 감싸게 배치되고, 바디 커버(520)는 먼지 분리유닛(10)과 교차되게 배치된다. 상하 방향과 직교되는 수평 단면에서 집진 바디(510))는 제2 싸이클론(130)을 감싸는 원형으로 배치된다.
먼지 분리유닛(10)의 외면과 집진 바디(510)의 내면 사이에는 먼지 저장부(502)가 정의된다. 이 때, 넓은 의미의 먼지 저장부(502)는 제2 싸이클론(130)의 외면과, 집진 바디(510) 및 바디 커버(520) 사이의 이격공간을 의미하고, 좁은 의미의 먼지 저장부(502)는 수평 단면에서 제2 싸이클론(130)의 외면과, 집지 바디의 내면 사이의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흡입부는 집진 바디(510))의 상부에 홀 형태에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6,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것처럼, 싸이클론이 제1 싸이클론(110)과 제2 싸이클론(130)을 포함하고, 먼지통(50)의 집진 바디(510)가 제2 싸이클론(130)을 감싸게 배치되고, 집진 바디(510)의 상부는 제1 싸이클론(110)과 연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싸이클론(110)과 제1 싸이클론(110)의 하단에 연결된 집진 바디(510)가 원통 형상의 공간을 정의하고, 제2 싸이클론(130)은 제1 싸이클론(110)의 내부 및 집진 바디(510)의 내부에 배치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 싸이클론(130)의 상부영역은 제1 싸이클론(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2 싸이클론(130)의 하부영역은 집진 바디(5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제1 싸이클론(110)의 내주면과 제2 싸이클론(130)의 외주면 사이의 유동 공간(11)이 정의된다. 즉, 유동공간은 수평 단면에서 제1 싸이클론(110) 및 제2 싸이클론(130)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유동 공간(11)은 먼지 저장부(502)의 상부와 연통되고, 수직적으로 중첩되게 배치된다.
제1 싸이클론(110)과, 제2 싸이클론(130)이 구비되는 경우, 먼지 저장부(502)는 협소한 의미의 먼지 저장부(502)를 의미한다.
청소자(900)는 먼지통(50)의 상부가 싸이클론의 역할을 하는 경우, 먼지통(50)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되게 배치된다. 다른 예로, 청소자(900)는 제1 싸이클론(110)과 제2 사이클론이 구비되는 경우, 유동 공간(11)과 먼지 저장부(502) 사이를 왕복하게 배치된다. 청소자(900)는 유동 공간(11)에서 먼지 저장부(502)로 이동되게 배치된다.
청소자(900)의 초기 위치를 제1 싸이클론(110)의 유동 공간(11)의 상부면에 밀착시키기 위해, 탄성부재 또는 집진 돌기에서 내부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에 의해 억지끼움 방식으로 구속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청소자(900)는 탄성부재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청소자(900)의 상부에서 본 면적은 집진 바디(510)의 면적에서 제2 싸이클론(130)의 면적을 제외한 면적에서 일정한 오차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청소기는 제1 싸이클론(110)과 제2 싸이클론(130)을 포함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청소자(900)의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4에서 후술한다.
이동유닛은 청소자(900)를 이동시킨다. 이동유닛은 전기적 에너지에 의해 청소자(900)를 이동시키거나, 인력에 의해 청소자(9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동유닛은 인력에 의해 청소자(900)를 이동시키는 구조를 가진다.
이동유닛은 청소자(900)를 이동시켜서, 청소자(900)와 먼지통(50)의 내면 사이의 먼지를 압축한다. 구체적으로, 이동유닛은 청소자(90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청소자(900)가 초기에는 제1 싸이클론(110)의 유동 공간(11)의 상부면에 밀착되게 하고, 머지 압축 시에는 청소자(900)가 상부에서 하방으로 이동하여, 바디 커버(520)와 청소자(900) 사이에 먼지를 압축한다.
예를 들면, 이동유닛은 와이어(830), 손잡이(840), 리턴 스프링(850)을 포함할 수 있다.
리턴 스프링(850)은 청소자(900)에 연결되어 청소자(90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리턴 스프링(850)은 청소자(900)가 유동 공간(11)의 상단에 접촉되도록 상부 방향으로 탄성력 제공한다. 리턴 스프링(850)의 탄성력에 의해 하방으로 내려간 청소자(900)가 다시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구체적으로 리턴 스프링(850)은 일단은 청소자(900)에 연결되고, 리턴 스프링(850)의 타단은 청소자(900) 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리턴 스프링(850)은 태엽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어(830)는 일단이 청소자(900)와 연결되고, 타단이 먼지통(50)의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먼지통(50)의 외부에 노출된 와이어(830)를 잡아 당겨서 청소자(900)를 하방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와이어(830)는 청소자(900)와 손잡이(840)를 연결하고 플렉서블하게 변형되므로, 청소자(900)의 이동방향과 손잡이(840)의 이동방향이 다른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동유닛은 와이어(830)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와이어(830)의 이동방향을 상하 방향에서 상하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이하 수평방향)으로 전환하는 전환 가이드(8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830)가 자유롭게 움직이는 경우, 손잡이(840)와 이동유닛의 방향이 교차되는 방향이거나 역 방향 인 경우, 와이어(830)가 움직이는 경우에도 청소자(900)가 움직이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전환 가이드(820)에 의해 와이어(830)가 청소자(900)와 같은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더라도 청소자(900)가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 전환 가이드(8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와이어(830)를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수직 가이드(821)와, 상하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와이어(830)를 상하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을 가이드하는 수평 가이드(82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 가이드(821)는 제1 싸이클론(110)의 유동 공간(11)에서 집진 바디(510)의 하단까지 연장된다. 수직 가이드(821)의 길이는 제한이 없으나, 적어도 집진 바디(510)의 하단에서 집진 바다의 상단 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수직 가이드(821)는 상향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홈(821a)을 포함한다. 수직 홈(821a)에는 와이어(830)가 수용되어 가이드 된다.
수평 가이드(822)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다. 수직 가이드(821)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홈(822b)을 포함한다. 수평 홈(822b)의 일단은 수직 홈(821a)의 하단과 연통된다. 따라서, 수평 홈(822b)에는 와이어(830)가 수용되어 가이드 된다.
수평 홈(822b)과 수직 홈(821a)이 만나는 코너에는 와이어(830)와 가이드 홈의 마찰력을 줄이는 롤러가 배치될 수도 있다.
전환 가이드(820)는 집진 바디(5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전환 가이드(820)의 가이드 홈은 집진 바디(510)의 일면에 의해 커버되도록 전환 가이드(820)는 집진 바디(510)의 내면에 결합될 수도 있다.
손잡이(840)는 와이어(830)의 타단에 연결되고, 와이어(830) 보다 큰 폭, 크기 또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손잡이(840)는 와이어(830)의 작은 직경에 의해 사용자의 손으로 와이어(830)를 당기는 것이 힘들게 되므로, 와이어(830)를 손쉽게 적은 힘으로 당길 수 있게 해준다.
손잡이(840)는 집진 바디(510)의 외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치된다. 손잡이(840)의 슬라이딩 방향은 제한이 없으나, 청소자(900)가 집진 바디(510)의 높이와 비슷한 거리를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손잡이(840)가 상하방향으로 집진 바디(510)의 외면에서 이동하게 되면, 집진 바디(510)의 이동거리가 제한이 되고, 한손으로 핸들을 잡고 손잡이(840)를 당기면서, 바디 커버(520)를 개방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손잡이(840)는 집진 바디(510)의 외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손잡이(840)는 집진 바디(510)의 하부에서 집진 바디(51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한다.
손잡이(840)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해, 먼지통(50)에는 슬라이더(511)가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511)는 손잡이(840)가 집진 바디(510)의 외면에서 움직이면서 집진 바디(510)에 구속될 수 있게 한다. 슬라이더(511)는 집진 바디(510)의 외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T 자형 홈이거나, 집진 바디(510)와 별개로 구성일 수 있다.
슬라이더(511)는 먼지통(50)의 외면에서 상하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더(511)는 집진 바디(510)의 원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된다. 다른 예로, 슬라이더(511)는 청소자(900)의 이동방"?袖* 상하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슬라이더(511)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사용자가 핸들을 한손으로 잡고 다른 한손으로 손잡이(84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개방버튼(881a, 881b)을 손잡이(840)로 눌러서 먼지를 압축하고 바디 커버(520)를 개방할 수 있다.
손잡이(840)는 슬라이더(511)에 슬라이딩되어 개방버튼(881a, 881b)을 가압하도록 배치된다. 개방버튼(881a, 881b)은 손잡이(840)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더(511)는 집진 바디(510)에서 하단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개방버튼(881a, 881b)은 슬라이더(511)의 일부는 슬라이더(511)와 동일 높이에 배치된다. 즉, 개방버튼(881a, 881b)은 수평방향에서 손잡이(840) 및 슬라이더(511)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배치된다.
슬라이더(511)는 일단은 개방버튼(881a, 881b)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전환 가이드(820)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슬라이더(511)의 타단은 개방버튼(881a, 881b)의 초기위치와 상하 방향에서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게 배치된다. 여기서 개방버튼(881a, 881b)은 초기위치는 외력에 의해 개방버튼(881a, 881b)이 눌러지기 전의 상태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체결유닛(880)에 대해 상술한다.
체결유닛(880)은 집진 바디(510)의 원주면의 외면에서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유닛(880)은 체결바디(884)와 바디에 수용되어 개방버튼(881a, 881b)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와 체결바디(884)의 내부로 출입 가능하게 배치되는 개방버튼(881a, 881b)을 포함할 수 있다.
개방버튼(881a, 881b)은 체결바디(884)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1 개방버튼(881a)과 제2 개방버튼(881b)을 포함하거나, 손잡이(840)에 인접한 우측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개방버튼(881a, 881b)은 탄성부재(882a, 882b)에 의해 체결바디(884)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는다. 개방버튼(881a, 881b)은 좌우방향으로 움직인다.
개방버튼(881a, 881b)에는 집진 바디(510)에 결합된 결합레버(550)의 결합을 해제하는 릴리서가 형성될 수 있다. 개방버튼(881a, 881b)이 외력에 의해 움직이면 릴리서는 결합레버(550)와 집진 바디(510) 사이에 내삽되어 결합레버(550)의 결합을 해제하게 된다.
사용자는 먼지통(50)의 바디 커버(520)만을 개방할 경우, 제1 및 제2 개방버튼(881a, 881b)을 엄지와 검지로 잡고 누를 수 있다. 먼지를 압축하고 바디 커버(520)를 개방하는 경우, 체결바디(884)의 좌측과 손잡이(840)를 엄지와 검지로 각각 잡고 손잡이(840)를 제1 개방버튼(881a)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도 14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자(900)의 사시도, 도 14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자(900)를 도 14a와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1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자(900)를 도 14a 및 도 14b와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14d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자(900)의 측면도, 도 14e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자(900)의 평면도, 도 14f은 도 14e의 14f 선을 취한 단면도, 도 14g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자(900)의 원주 방향에 따른 수평부재의 높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a 내지 도 14g를 참조하면, 청소자(900)는 청소자(900)에 의해 공기의 싸이클론 유동을 방해하지 않고, 유동 공간과 먼지 저장부의 먼지를 압축하고 유동 공간과 먼지 저장부에 걸린 이물질 제거하기 위한 형상을 가진다. 즉, 청소자(900)는 유동 축(A1) 방향에서 보아 적어도 유동 공간(11)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청소자(900)는 수평단면에서 보아, 유동 공간(11) 및 먼지 저장부(502)와 동일한 형상, 동일한 크기를 가진다. 즉, 상부에서 보아 청소자(900)는 유동 공간(11)과 완전히 중첩되는 형상과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마찰을 줄이기 위해 청소자(900)는 유동 공간(11)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유동 공간(11) 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청소자(900)는 상하(유동 축(A1))방향과 교차되는 면에서 폐루프(Closed loop)를 정의하는 수평부재(910)를 포함한다. 수평부재(910)는 제1 사이클론의 유동축(A1) 및 제2 싸이클론(130)(130)을 감싸는 링 형상이다.
수평부재(910)는 모든 면이 동일 수평선 상에 배치될 수도 있지만, 청소자(900)에 의해 공기의 싸이클론 유동을 방해하지 않고, 제1 싸이클론(110)의 상부영역의 형상과 대응되는 나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평부재(910)가가 상술한 형상을 가지면, 청소자(900)가 제1 싸이클론(110)의 상부에 밀착될 수 있고, 청소자(900)의 하면에 의해 제1 싸이클론(110)의 싸이클론 유동이 유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평부재(910)는 유동 축(A1)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구분된 복수의 부분 중 적어도 일 부분이 원주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도 14e 및 도 14g참조하면, 수평부재(910)는 유동 축(A1)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제1 수평부분(911), 제2 수평부분(913) 및 제3 수평부분(915)으로 구분된다. 제1 수평부분(911)의 우측 단(911b)은 제2 수평부분(913)의 좌측 단(913a)과 연결되고, 제1 수평부분(911)의 좌측 단(911a)은 제3 수평부분(915)의 우측 단(915b)과 연결되며, 제2 수평부분(913)의 우측 단(913b)은 제3 수평부분(915)의 좌측 단(915a)과 연결된다. 제1 수평부분(911)과, 제2 수평부분(913) 및 제3 수평부분(915)은 함께 링 형상을 정의한다.
여기서, 원주의 각도는 유동 축(A1)과 제1 수평부분(911)과 제3 수평부분(915)의 경계를 연결한 선을 0°로 정의하고, 유동 축(A1)의 상부에서 보아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90°, 270° 및 360°(0°)를 정의한다.
구체적으로, 제1 수평부분(911)과 제3 수평부분(915)의 경계는 유동 축(A1)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에서 0° 에 위치되고, 제1 수평부분(911)과 제2 수평부분(913)의 경계는 유동 축(A1)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에서 170° 내지 190°의 사이에 위치되며, 제2 수평부분(913)과 제3 수평부분(915)의 경계는 유동 축(A1)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에서 330° 내지 350°의 사이에 위치된다.
후술하겠지만, 제1 수평부분(911)과 제3 수평부분(915)의 경계 수평부분의 수평부재(910)는 흡입부(5)에 인접하여 배치되어서, 흡입부(5)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유동 축(A1)을 중심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하방으로 향하는 유동을 만든다.
흡입부(5)를 통해 유동 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초기에 반 시계방향 및 하방으로 방향을 잡아주면 공기의 관성에 의해 이후에는 공기의 방향을 잡아줄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수평부재(910)의 제1 수평부분(911)은 유동 축(A1)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원주방향은 유동 축(A1)을 중심으로 상부에서 볼 때,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제1 수평부분(911)의 경사각을 제1 원주 경사각(ΘA1)으로 정의할 수 있다. 제1 원주 경사각(ΘA1)은 제1 수평부분(911)의 양단을 연결한 가상의 선의 수평면과 이루는 각도를 의미한다.
물론, 제1 수평부분(911)은 점진적으로 또는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고 원주방향에서 하향경사지게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수평부분(911)의 좌측 단(911a)의 높이는 제1 수평부분(911)의 우측 단(911b) 보다 높고, 제3 수평부분(915)의 우측 단(915b)의 높이와 동일 할 수 있다.
흡입부(5)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전방에서 후방반향으로 유입되거나, 흡입부(5)의 가이드에 의해, 전반에서 후방으로 좌향 경사지게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를 유동공간에서 회전하며 하강하는 기류를 더욱 효율적으로 유도하기 위해서, 제1 수평부분(911)의 적어도 일부는 외측에서 유동 축(A1)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수평부분(911)은 외주면(91a)과 외주면 보다 상대적으로 유동 축(A1)에 근접하는 내주면(91b)을 포함하고, 제1 수평부분(911)의 적어도 일부는 외주면에서 내주면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중심 경사각을 가진다. 여기서, 제1 수평부분(911)의 중심 경사각(ΘB1)은 유동 축(A1)을 관통하는 절단면에서 유동축과 수직한 수평면과 부재가 이루는 각도를 의미한다.
제1 수평부분(911) 전체가 중심 경사각을 가질 수도 있지만, 유동 공간의 상면과 접촉 및 청소자(900)의 두께를 고려하여서, 제1 수평부분(911)의 일부만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제1 수평부분(911)의 원주 각도 0° 에서 80° 또는 0° 에서 90° 영역이 중심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제1 수평부분(911)의 좌측 단(911a)의 중심 경사각은 제1 수평부분(911)의 우측 단(911b)의 중심 경사각 보다 클 수 있다. 제1 수평부분(911)의 우측 단(911b)의 중심 경사각은 0° 일 수 있다.
흡입부(5)에서 유동축 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1 수평부분(911)의 중심 경사각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진행되고, 제1 수평부분(911)의 원주 경사각에 의해 반 시계방향을 회전하며 하강된다. 즉, 제1 수평부분(911)은 하방으로 향하면서 회전되는 기류를 만들 수 있다.
또한, 제1 수평부분(911)의 중심 경사각은 흡입부(5)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방해하지 않기 위해서, 수직부재를 배치하는 않는 제1 수평부분(911)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수평부재(910)의 전부가 계속적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기울어져 있으면, 청소자(900)의 수직방향 두께가 두꺼워져서, 먼지통의 용량이 작아지는 문제가 존재하고, 먼지를 압축 시에 제1 수평부분(911)의 높이가 너무 높아서 압축 효율이 저하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2 수평부분(913)은 제1 수평부분(911) 및 제3 수평부분(915) 보다 적은 경사를 가진다. 제2 수평부분(913)의 좌측 단(913a) 및 우측 단의 높이는 제1 수평부분(911)의 우측 단(911b) 및 제3 수평부분(915)의 좌측 단(915a)의 높이와 동일하다.
바람직하게는, 청소자(900)의 높이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제2 수평부분(913)은 원주방향에서 수평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수평부분(913)은 흡입부(5)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에 기여하지 못하므로, 수평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제2 수평부분(913)의 중심 경사각은 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수평부분(915)은 단차를 가지는 제1 수평부분(911)과 제2 수평부분(913)을 연결하고, 흡입부(5)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반 시계방향으로 가이드한다. 제3 수평부분(915)은 흡입부(5)에서 공급된 공기를 제1 사이클론의 유동축(A1)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가이드한다.
제3 수평부분(915)의 길이는 제1 수평부분(911) 및 제2 수평부분(913)의 길이 보다 작다. 바람직하게는 제3 수평부분(915)의 길이는 흡입부(5)의 내경 보다 작다.
제3 수평부분(915)은 원주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제3 수평부분(915)의 경사는 제3 원주 경사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3 원주 경사각(ΘA3)은 제1 원주 경사각(ΘA1) 및 제2 원주 경사각 보다 클 수 있다.
제3 수평부분(915)은 직선 또는 곡선 형태로 경사를 가질 수 있고, 제3 수평부분(915)의 우측 단(915b)의 원주 경사각은 90°에 가까울 수 있다. 제3 수평부분(915)의 제3 원주 경사각은 대략 40° 내지 8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수평부분(915)의 적어도 일부는 외주면에서 내주면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중심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수평부재(910)는 수평단면에서 보아, 유동 공간(11) 또는/및 먼지 저장부(502)와 동일한 형상, 동일한 크기를 가지거나 유동 공간(11) 및 먼지 저장부(502) 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부에서 보아 수평부재(910)는 유동 공간(11)과 완전히 중첩되는 형상과 크기를 가지거나, 마찰을 줄이기 위해 청소자(900)는 유동 공간(11)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유동 공간(11) 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3과 같이, 수평부재(910)의 내주면(91b)과 제2 싸이클론(130)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은 수평부재(910)의 외주면(91a)과 집진 바디(510)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 보다 작을 수 있다. 이는 청소자(900)가 제2 싸이클론(130)의 외주면에 묻은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함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평부재(910)의 내주면(91b)의 적어도 일부는 다른 일부 보다 제2 싸이클론(130)의 외주면에서 더 멀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수평부분(911)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는 유동 축(A1)을 중심으로 제1 반지름을 가지는 원주에서 외측 방향으로 이격되고, 제2 수평부분(913) 및 제3 수평부분(915)의 내주면은 제1 반지름을 가지는 원주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수평부분(911) 중 원주 각도 0° 내지 90°의 영역의 내주면이 유동 축(A1)을 중심으로 제1 반지름을 가지는 원주에서 외측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수평부재(910)의 외주면(91a)의 적어도 일부는 다른 일부 보다 집진바디의 외주면에서 더 멀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수평부분(911)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는 유동 축(A1)을 중심으로 제2 반지름을 가지는 원주에서 내측 방향으로 이격되고, 제2 수평부분(913) 및 제3 수평부분(915)의 외주면은 제2 반지름을 가지는 원주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수평부분(911) 중 원주 각도 0° 내지 90°의 영역의 외주면이 유동 축(A1)을 중심으로 제2 반지름을 가지는 원주에서 내측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수평부분(911)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이 제2 싸이클론(130)의 외주면 또는 집진 바디(510)와 이격되어 있어서, 이들 사이고 흡입부(5)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유입되게 된다.
청소자(900)에는 이동유닛이 연결되는 연결부(95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950)는 와이어가 연결되고, 와이어 인장력에 견딜 수 있는 두께를 가진다. 연결부(950)는 수평부재(910) 및 후술하는 수직부재 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950)는 제2 수평부분(913)에 배치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흡입부(5)에서 유입되는 공기와 간섭을 줄이기 위해, 연결부(950)는 제3 수평부분(915)과 유동축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청소자(900)가 이동유닛에 의해 상하로 이동될 때, 먼지통 내부의 이물질 등이 걸기기 때문에, 청소자(900)의 강성을 보강하고, 제2 싸이클론(130)의 외면과의 접촉 면적을 확장하기 위해, 청소자(900)는 내측 수직부재(9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4h를 참조하면, 내측 수직부재(920)는 수평부재(910)의 내주면(91b)의 적어도 일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내측 수직부재(920)는 청소자(900)의 강성을 보강한다. 내측 수직부재(920)는 수평부재(910)의 내주면(91b)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청소자(900)가 움직일 때, 제2 싸이클론(130)의 외주면과 간섭을 없애기 위해, 내측 수직부재(920)는 제2 싸이클론(130)의 외주면(또는 유동축)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내측 수직부재(920)가 수평부재(910)에 전체 영역이 배치되는 경우, 공기 유동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상부 방향에서 보아 내측 수직부재(920)는 수평부재(910)의 내주면(91b)을 따라 일부 영역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내측 수직부재(920)는 제1 수평부분(911)의 일부, 제2 수평부분(913), 제3 수평부분(915)에 배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내측 수직부재(920)는 수평부재(910)의 전체 영역 중 제1 수평부분(911)에서 제3 수평부분(915)에 인접한 영역만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내측 수직부재(920)는 수평부재(910)의 원주 각도 90 ° 내지 360 ° 및 0 ° 내지 10 °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수평부분(911)의 좌측단에 인접한 내측 수직부재(920)의 두께는 다른 부분 보다 얇을 수 있다.
청소자(900)의 강성을 보강하고, 위해, 청소자(900)는 외측 수직부재(9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4i를 참조하면, 외측 수직부재(930)는 수평부재(910)의 내주면(91b)의 적어도 일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외측 수직부재(930)는 청소자(900)의 강성을 보강한다. 외측 수직부재(930)는 수평부재(910)의 외주면(91a)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청소자(900)가 움직일 때, 집진 바디(510)의 내주면과 간섭을 없애기 위해, 외측 수직부재(930)는 집진 바디(510)의 외주면(또는 유동축)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외측 수직부재(930)가 수평부재(910)에 전체 영역이 배치되는 경우, 흡입부(5)에서 유동 공간으로 공기 유입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상부 방향에서 보아 외측 수직부재(930)는 수평부재(910)의 외주면(91a)을 따라 일부 영역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외측 수직부재(930)는 제1 수평부분(911)의 일부 영역 및 제2 수평부분(913)의 일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외측 수직부재(930)는 수평부재(910)의 전체 영역 중 제1 수평부분(911)에서 제2 수평부분(913)에 인접한 영역과 제2 수평부분(913)에서 제1 수평부분(911)에 인접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외측 수직부재(930)는 수평부재(910)의 원주 각도 90 ° 내지 300 °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외측 수직부재(930)의 두께는 중앙에서 양단 방향으로 진행될 수록 얇아질 수 있다.
청소자(900)의 강성을 보강하고, 위해, 청소자(900)는 중앙 수직부재(9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앙 수직부재(940)는 내측 수직부재(920)와 외측 수직부재(930) 사이에 위치되고, 내측 수직부재(920), 외측 수직부재(930) 및 수평부재(910)와 연결된다.
중앙 수직부재(940)는 수평부재(910)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유동 축(A1)에서 반경반향으로 연장된다. 중앙 수직부재(940)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도 14j은 정면에서 바라본 흡입부(5)와 청소자(900)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14k은 정면과 우측 사이에서 바라본 흡입구과 청소자(900)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j 및 14k 를 참조하면, 제3 수평부분(915)과 흡입부(5)의 위치는 유동 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싸이클론 유동을 하기 위해, 제3 수평부분(915)은 흡입부(5)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수평부분(915)의 적어도 일부는 전후 방향에서 흡입부(5)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3 수평부분(915)은 유동 축(A1)과 흡입부(5)의 중심을 연결한 중심선에서 편심되게 위치될 수 있다. 제3 수평부분(915)의 편심 방향은 싸이클론의 회전방향이다.
도 15 내지 도 1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작동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은 청소자(900)가 초기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도시하고, 도 16은 청소자(900)에 의해 먼지가 압축되는 것을 도시하고, 도 17는 손잡이(840)에 의해 개방버튼(881a, 881b)이 가압되어 바디 커버(520)가 개방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15을 참조하면, 초기에 청소자(900)는 리턴 스프링(850)의 탄성력에 의해 유동 공간(11)의 상부면에 밀착된다. 청소자(900)의 형상이 공기의 싸이클론 유동을 유도하는 형상이고, 유동 공간(11)의 상부면에 밀착되어서, 청소자(900)가 있더라고 효율적으로 먼지통(50)에 먼지가 축적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먼지통(50)에 먼지가 쌓이면, 사용자는 손잡이(840)를 집진 바디(510)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시켜서, 청소자(900)를 하방으로 이동시켜서 먼지통(50) 내부의 먼지를 압축한다.
도 17를 참조하면, 손잡이(840)가 이동되어 개방버튼(881a, 881b)을 가압하면, 바디 커버(520)가 열기게 되고, 사용자는 압축된 먼지 덩어리를 쉽게 처리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유닛(880)을 도시한 도면이다.
다른 실시예의 체결유닛(880)은 도 10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개방버튼(881a, 881b)이 일측에만 설치되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다른 실시예의 제1 개방버튼(881a)은 체결바디(884)에서 손잡이(840) 방향으로 왕복되게 배치된다. 제1 개방버튼(881a)체결바디(884)에서 손잡이(840) 방향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개방버튼(881a, 881b)은 반대방향의 체결바디(884)를 잡고 손잡이(840)를 당길 수 있으므로, 먼지통(50) 내의 먼지가 완전히 압축되기 전에 바디 커버(520)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9은 본 발명의 청소기에 흡입 노즐을 연결하여 바닥을 청소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청소기(1)의 흡입부(5)에 흡입 노즐(710)이 하측에 연결된 연장관(700)이 연결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흡입 노즐(710)을 바닥에 놓은 상태에서 흡입 노즐(710)을 이동시키면서 청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흡입 노즐(710)을 이용하여 청소하는 경우, 연장관(700) 또는 흡입부(5)의 길이 방향 축과 바닥이 이루는 각도가 대략 45인 상태에서 연장관(700)과 바닥의 각도가 증가되거나 감소되면서 청소가 수행될 수 있다.
1: 청소기 2: 본체
10: 먼지 분리유닛 20: 흡입력 발생유닛
210: 모터 하우징 211: 배출 커버
242: 프리 필터 246: 헤파 필터
230: 흡입 모터 820: 와이어
840: 손잡이 850: 리턴 스프링
900: 청소자

Claims (20)

  1. 흡입된 공기에서 원심 분리에 의해 먼지를 분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싸이클론을 포함하고, 공기가 상기 싸이클론의 유동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유동 공간을 포함하는 먼지 분리유닛;
    상기 먼지 분리유닛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고, 상기 유동 공간과 연통된 먼저 지장부를 포함하는 먼지통; 및
    상기 유동 공간과 상기 먼지 저장부 사이를 왕복하는 청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청소자는,
    상기 유동 축과 교차되는 면에서 폐루프(Closed loop)를 정의하는 수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부재는 상기 유동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구분된 복수의 부분 중 적어도 일 부분이 원주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청소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는 상기 유동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제1 수평부분, 제2 수평부분 및 제3 수평부분으로 구분되는 청소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부분의 우측 단은 상기 제2 수평부분의 좌측 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수평부분의 좌측 단은 상기 제3 수평부분의 우측 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2 수평부분의 우측 단은 상기 제3 수평부분의 좌측 단과 연결되는 청소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부분은 원주방향을 따라 제1 원주 경사각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3 수평부분은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원주 경사각 보다 큰 제3 원주 경사각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청소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평부분은 상기 제1 원주 경사각 및 제3 원주 경사각 보다 작은 경사를 가지는 청소기.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부분의 좌측 단의 높이는 상기 제1 수평부분의 우측 단 보다 높고, 상기 제3 수평부분의 우측 단의 높이와 동일한 청소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평부분의 좌측 단 및 우측 단의 높이는 상기 제1 수평부분의 우측 단 및 제3 수평부분의 좌측 단의 높이와 동일한 청소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분리유닛으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수평부분은 상기 흡입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청소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수평부분은 상기 유동 축과 상기 흡입부의 중심을 연결한 중심선에서 편심되게 위치되고,
    상기 제3 수평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흡입부와 전후 방향에서 중첩되게 배치되는 청소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부분은 외주면과 상기 외주면 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유동 축에 근접하는 내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평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외주면에서 상기 내주면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중심 경사각을 가지는 청소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부분의 좌측 단의 중심 경사각은 상기 제1 수평부분의 우측 단의 중심 경사각 보다 큰 청소기.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부분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유동 축을 중심으로 제1 반지름을 가지는 원주에서 외측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2 수평부분 및 제3 수평부분의 내주면은 상기 제1 반지름을 가지는 원주 상에 위치되는 청소기.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부분과 상기 제3 수평부분의 경계는 상기 유동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에서 0° 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수평부분과 상기 제2 수평부분의 경계는 상기 유동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에서 170° 내지 190°의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2 수평부분과 상기 제3 수평부분의 경계는 상기 유동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에서 330° 내지 350°의 사이에 위치되는 청소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자는,
    상기 수평부재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내측 수직부재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는 상기 유동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제1 수평부분, 제2 수평부분 및 제3 수평부분으로 구분되고,
    상기 내측 수직부재는 상기 제1 수평부분의 일부, 상기 제2 수평부분, 상기 제3 수평부분에 배치되는 청소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자는,
    상기 수평부재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외측 수직부재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는 상기 유동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제1 수평부분, 제2 수평부분 및 제3 수평부분으로 구분되고,
    상기 수직부재는 상기 제1 수평부분의 일부 영역 및 제2 수평부분의 일부 영역에 배치되는 청소기.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자는 이동유닛이 연결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3 수평부분과 상기 유동축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청소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통은,
    상하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통 형상으로 하측이 개방된 집진 바디와,
    상기 집진 바디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바디는 상기 먼지 분리유닛을 상하방향과 교차되는 면에서 감싸게 배치되고,
    상기 먼지 분리유닛의 외면과 상기 집진 바디의 내면 사이에는 먼지 저장부가 정의되는 청소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분리유닛은,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서 먼지를 분리하는 제1 싸이클론과,
    상기 제1 싸이클론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싸이클론과,
    상기 제1 싸이클론의 내주면과 상기 제2 싸이클론의 외주면 사이의 유동 공간 포함하고,
    상기 유동 공간은 상기 먼지 저장부의 상부와 연통되는 청소기.
KR1020180019883A 2018-02-20 2018-02-20 청소기 KR102021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883A KR102021856B1 (ko) 2018-02-20 2018-02-20 청소기
US16/279,546 US11071426B2 (en) 2018-02-20 2019-02-19 Vacuum cleaner
TW108105668A TWI709386B (zh) 2018-02-20 2019-02-20 清掃機
PCT/KR2019/002063 WO2019164258A1 (en) 2018-02-20 2019-02-20 Cleaner
AU2019224777A AU2019224777B2 (en) 2018-02-20 2019-02-20 Cleaner
EP19757994.9A EP3755193B1 (en) 2018-02-20 2019-02-20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883A KR102021856B1 (ko) 2018-02-20 2018-02-20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869A true KR20190099869A (ko) 2019-08-28
KR102021856B1 KR102021856B1 (ko) 2019-09-17

Family

ID=67616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883A KR102021856B1 (ko) 2018-02-20 2018-02-20 청소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71426B2 (ko)
EP (1) EP3755193B1 (ko)
KR (1) KR102021856B1 (ko)
AU (1) AU2019224777B2 (ko)
TW (1) TWI709386B (ko)
WO (1) WO20191642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21207A (zh) 2018-09-14 2023-03-03 Lg电子株式会社 清洁器
US11672394B2 (en) 2018-09-14 2023-06-13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1358156B1 (en) * 2019-05-10 2022-06-14 Vacuum Technologies, Llc Dual connection cyclonic overhead separator
TWI748220B (zh) * 2019-08-06 2021-12-01 萬潤科技股份有限公司 連接方法、連接構造以及使用該連接構造之清潔裝置
KR102253662B1 (ko) * 2019-09-30 2021-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CN110881896A (zh) * 2019-12-17 2020-03-17 安徽冠东科技有限公司 一种环形腔式手持吸尘器
CN113229743B (zh) * 2021-05-10 2022-08-19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用于吸尘器的地刷总成和吸尘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5584A (ja) * 2004-09-13 2006-03-23 Samsung Kwangju Electronics Co Ltd サイクロン集塵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掃除機
KR100880492B1 (ko) * 2005-05-12 2009-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KR101127088B1 (ko) 2006-07-18 2012-03-26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
JP5237770B2 (ja) * 2008-11-20 2013-07-17 シャープ株式会社 サイクロン分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7770B2 (ko) 1972-12-29 1977-09-24
JP3699679B2 (ja) * 2001-12-28 2005-09-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
KR100871484B1 (ko) 2004-12-14 2008-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US7854782B2 (en) 2007-04-30 2010-12-21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Vacuum cleaner
CN101965148A (zh) 2008-03-21 2011-02-02 夏普株式会社 旋风分离装置
US8152913B2 (en) 2009-02-16 2012-04-10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compressing dust
KR20100108839A (ko) 2009-03-30 2010-10-0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먼지 압축식 집진장치
JP5184428B2 (ja) 2009-04-15 2013-04-17 シャープ株式会社 サイクロン分離装置
JP4947161B2 (ja) 2010-02-04 2012-06-06 三菱電機株式会社 サイクロン分離装置並びに電気掃除機
WO2012009782A1 (en) * 2010-07-20 2012-01-26 Citywide Machine Wholesale Inc. Refuse holder and vacuum cleaner incorporating a refuse holder
JP2012200385A (ja) 2011-03-25 2012-10-22 Panasonic Corp 電気掃除機
EP2959817A1 (en) 2011-06-02 2015-12-3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ctric vacuum cleaner
JP6054626B2 (ja) 2012-04-16 2016-12-27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掃除機
US10299647B2 (en) 2016-05-03 2019-05-28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5584A (ja) * 2004-09-13 2006-03-23 Samsung Kwangju Electronics Co Ltd サイクロン集塵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掃除機
KR100880492B1 (ko) * 2005-05-12 2009-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KR101127088B1 (ko) 2006-07-18 2012-03-26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
JP5237770B2 (ja) * 2008-11-20 2013-07-17 シャープ株式会社 サイクロン分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34061A (zh) 2019-09-01
AU2019224777B2 (en) 2021-10-21
TWI709386B (zh) 2020-11-11
EP3755193B1 (en) 2023-04-05
US20190254494A1 (en) 2019-08-22
EP3755193A4 (en) 2021-11-10
WO2019164258A1 (en) 2019-08-29
US11071426B2 (en) 2021-07-27
AU2019224777A1 (en) 2020-09-24
EP3755193A1 (en) 2020-12-30
KR102021856B1 (ko) 201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1922B1 (ko) 청소기
KR102021856B1 (ko) 청소기
KR102609722B1 (ko) 청소기
KR102436349B1 (ko) 청소기
KR102429246B1 (ko) 청소기
KR102268464B1 (ko) 전기 청소기
RU2428916C2 (ru) Пылесос
EP4154783A1 (en) Cleaner
KR20090119398A (ko) 진공 청소기
KR102406189B1 (ko) 청소기 시스템
EP4154781A1 (en) Vacuum cleaner
KR102101701B1 (ko) 청소기
KR102101705B1 (ko) 청소기
KR100936067B1 (ko) 진공 청소기
KR100833360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KR20220046312A (ko) 청소기 스테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시스템과, 청소기 시스템을 이용한 잔여 먼지 제거 방법
KR100936066B1 (ko) 진공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