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9695A - 접지 개폐기 - Google Patents

접지 개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9695A
KR20190099695A KR1020180019455A KR20180019455A KR20190099695A KR 20190099695 A KR20190099695 A KR 20190099695A KR 1020180019455 A KR1020180019455 A KR 1020180019455A KR 20180019455 A KR20180019455 A KR 20180019455A KR 20190099695 A KR20190099695 A KR 20190099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terminal
movable
terminal
fix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9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이밍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9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9695A/ko
Publication of KR20190099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96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4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wherein the break is in ga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65Means for detecting or reacting to mechanical or electrical defects
    • H02B13/0655Means for detecting or reacting to mechanical or electrical defects through monitoring changes of gas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 개폐기는, 고정 단자, 고정 단자에 대향하여 이동 가능한 가동 단자, 가동 단자를 수용하며, 가동 단자가 출입하도록 형성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보호부 및 보호부 내에서 가동 단자와 함께 이동 가능하며, 가동 단자가 개구부를 통해 보호부로부터 인출 시, 개구부에 대향하여 보호부 내부의 가스를 밀어내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지 개폐기{EARTHING SWITCH}
본 발명은 차단기에 연결되는 접지 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차단기는 전원과 부하 사이에 설치되어, 회로를 개폐한다. 즉 차단기는 회로에서 이상전류를 검출하고 회로를 차단함으로써, 설비 및 인명을 보호한다. 이 때 차단기가 회로를 차단하더라도, 회로 상에 잔류 전하가 존재한다. 이러한 잔류 전하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차단기의 유지 보수 시에는 이를 제거하여야 한다. 즉, 차단기의 유지보수 시 접지 개폐기를 가동시켜 차단기를 접지시킨다.
접지 개폐기는 차단기에 연결되는 가동부와 접지에 연결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차단기의 유지보수 시, 접지 개폐기는 가동부를 고정부에 접촉시켜 잔류 전하를 제거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접지 개폐기에서 가동부와 고정부 사이에 아크(arc)가 발생될 수 있다. 즉 가동부가 고정부에 접근 시, 가동부와 고정부 사이에 아크가 발생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가동부의 고정부로 접근 속도가 저하되어, 아크의 연소 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나아가, 가동부가 고정부에 접촉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접지 개폐기에 고장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가동부와 고정부 사이에 발생되는 아크를 소호하여 고장이 방지되는 접지 개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 개폐기는, 고정 단자, 상기 고정 단자에 대향하여 이동 가능한 가동 단자, 상기 가동 단자를 수용하며, 상기 가동 단자가 출입하도록 형성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보호부 및 상기 보호부 내에서 상기 가동 단자와 함께 이동 가능하며, 상기 가동 단자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보호부로부터 인출 시,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여 상기 보호부 내부의 가스를 밀어내는 가압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동 단자는, 상기 가압부가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요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는, 상기 가동 단자에 대향하며, 상기 가동 단자로부터 이격된 대향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 단자와 대향면의 간격은 상기 가압부에 근접할수록 멀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 단자와 대향면의 간격은 상기 고정 단자에 근접할수록 멀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보호부의 내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지 개폐기는, 상기 가압부와 상기 보호부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개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재부는, 상기 가압부와 함께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 단자로부터 상기 보호부의 내측면으로 간격이 상기 가동 단자로부터 상기 대향면으로 간격을 초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지 개폐기는, 상기 가동 단자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동 단자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체결되고, 상기 가동 단자에 접촉되어, 외부의 전하를 상기 가동 단자에 전달하는 접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개구부와 지지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지 개폐기가 고정부와 가동부 사이에서 발생되는 아크를 소호할 수 있다. 즉 가압부가 가동 단자에 체결되어 가동 단자와 함께 이동함으로써, 가동 단자와 가압부를 수용하고 있는 보호부에 충전된 가스를 밀어낼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스가 보호부로부터 분출되면서, 가동 단자와 고정 단자 사이의 아크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지 개폐기는 가동 단자를 고정 단자에 접근시키면서, 가압부에 기반하여 고정부와 가동부 사이의 아크를 소호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접지 개폐기의 고장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 개폐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 개폐기를 도시하는 측면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 개폐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A 영역의 내부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B 영역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5에서 C 영역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8,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 개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6의 다른 실시예들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 예컨대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 1”또는 “제 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 개폐기(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 개폐기(100)를 도시하는 측면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 개폐기(100)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A 영역의 내부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B 영역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5에서 C 영역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8,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 개폐기(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 개폐기(100)는, 고정부(110), 가동부(130) 및 조작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10)는 접지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고정부(110)는 미리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고정부(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단자(510)와 보호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110)의 보호부(520)는 제 1 보호부(520)라는 용어와 혼용될 수 있다.
고정 단자(510)는 접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을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 단자(510)로 잔류 전하가 유입되면, 고정 단자(510)가 접지로 잔류 전하를 전달할 수 있다. 고정 단자(510)는 미리 정해진 사이즈의 내부 공간(511)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부 공간(511)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고정 단자(510)는 내부 공간(511)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내부 공간(511)을 에워쌀 수 있다. 이를 통해, 내부 공간(511)의 일 단부가 가동부(130)에 대향하여, 노출될 수 있다.
고정 단자(510)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접점(513)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접점(513)은 내부 공간(511)의 일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고정 접점(513)은 고정 단자(510)에서 내부 공간(511)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고정 접점(513)이 내부 공간(511)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연장되거나, 다수개의 고정 접점(513)들이 내부 공간(511)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분산될 수 있다. 고정 접점(513)은 튤립 컨택트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보호부(520)는 고정 단자(510)를 외부와 절연시켜, 보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보호부(520)는 고정 단자(510)를 수용할 수 있다. 제 1 보호부(520)는 고정 단자(510)를 에워쌀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보호부(520)는 고정 단자(510)에 밀착될 수 있으며, 고정 단자(51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 때 제 1 보호부(520)는 가동부(130)에 대향하여, 내부 공간(511)의 일 단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 1 보호부(520)는 가동부(130)에 대향하여, 고정 단자(510)의 일부 영역을 노출시킬 수 있다.
가동부(130)는 차단기(도시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가동부(130)는 고정부(11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고정부(110)에 대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가동부(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단자(530), 가이드부(540), 보호부(550) 및 가압부(5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동부(130)의 보호부(550)는 제 2 보호부(550)라는 용어와 혼용될 수 있다.
가동 단자(530)는 고정 단자(510)에 대향하여 이동 가능하다. 이 때 가동 단자(530)는 일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가동 단자(530)는 로드(rod)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동 단자(53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동 단자(530)의 일 단부가 고정 단자(510)에 대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동 단자(530)가 고정 단자(510)에 근접하도록 이동하여, 고정 단자(510)의 내부 공간(511)에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가동 단자(530)가 고정 단자(510)에 접촉되어, 고정 단자(5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가동 단자(530)로 잔류 전하가 유입되면, 가동 단자(530)가 고정 단자(510)로 잔류 전하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가동 단자(530)가 고정 단자(510)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여, 고정 단자(510)의 내부 공간(51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가동 단자(530)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 접점(533)을 포함할 수 있다. 가동 접점(533)는 가동 단자(530)의 일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가동 접점(533)은 가동 단자(530)에서 고정 단자(510)의 고정 접점(513)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가동 접점(533)이 가동 단자(530)의 표면을 따라 연장되거나, 다수개의 가동 접점(533)들이 가동 단자(530)이 가동 단자(530)의 표면을 따라 분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동 단자(530)가 고정 단자(510)의 내부 공간(511)에 삽입되면, 가동 접점(533)이 고정 점점(513)에 접촉될 수 있다.
가동 단자(5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요홈부(535)를 포함할 수 있다. 요홈부(535)는 가동 단자(530)의 표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요홈부(535)는 가동 단자(530)의 일 단부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요홈부(535)가 가동 단자(53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거나, 다수개의 요홈부(535)들이 가동 단자(530)의 둘레를 따라 분산될 수 있다.
가이드부(540)는 고정 단자(510)에 대향하여 가동 단자(530)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부(540)는 가동 단자(530)의 타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540)는 지지부(541), 마모부(543), 접속부(545) 및 밀착부(547)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541)는 가동 단자(530)를 지지하여, 가동 단자(530)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부(541)는 가동 단자(530)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541)는 가동 단자(530)에 접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동 단자(530)가 지지부(54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마모부(543)는 가동 단자(530)와 지지부(541) 사이에서 가동 단자(530)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마모부(543)는 가동 단자(530)와 지지부(541) 간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마모부(543)는 가동 단자(530)에 대향하여, 지지부(54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모부(543)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동 단자(530)가 지지부(541)를 따라 이동하는 중에, 마모부(543)가 가동 단자(530)와 지지부(541) 사이에서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마모부(543)는 또한 실링(sealing) 재질로 마련되어, 밀봉 기능을 할 수 있다.
접속부(545)는 가동 단자(5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이 때 접속부(545)는 차단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접속부(545)는 지지부(541)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접속부(545)는 가동 단자(530)에 접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접속부(545)에 잔류 전하가 유입되면, 접속부(545)가 가동 단자(530)로 잔류 전하를 전달할 수 있다. 접속부(545)는 환상(ring shaped)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접속자(contact fingers)로 구성될 수 있다.
밀착부(547)는 가동 단자(530)에 접속부(545)를 밀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밀착부(547)는 접속부(545)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밀착부(547)는 접속부(545)를 경계로, 가동 단자(530)의 맞은 편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밀착부(547)는 탄성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동 단자(530)가 지지부(541)를 따라 이동하는 중에, 접속부(545)가 계속적으로 가동 단자(530)에 접촉될 수 있다. 밀착부(547)는 고리 형태의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보호부(550)는 가동 단자(530)를 외부와 절연시켜, 보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보호부(550)는 가동 단자(530)를 수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보호부(550)는 가동 단자(530)의 일 단부에 인접하여, 가동 단자(53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수용할 수 있다. 제 2 보호부(550)는 가동 단자(530)를 에워쌀 수 있다. 이 때 제 2 보호부(550)는 가동 단자(53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2 보호부(550)가 가동 단자(530)의 주변 영역에 가스로 충전되는 충전 공간(551)을 형성할 수 있다.
제 2 보호부(550)는 개구부(553)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553)는 가동 단자(530)의 출입을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즉 개구부(553)는, 가동 단자(530)가 제 2 보호부(550)로부터 인출되거나 제 2 보호부(550)로 인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개구부(553)는 고정 단자(510)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개구부(553)는 고정 단자(510)에 대향하여, 가동 단자(530)의 일 단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개구부(553)는 가동 단자(53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즉 가동 단자(530)가 개구부(553)를 통해 출입 시, 개구부(553)는 계속해서 가동 단자(53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개구부(553)가 제 2 보호부(550)에서 충전 공간(551)의 내외로 가스의 이동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개구부(55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면(555)을 포함할 수 있다. 대향면(555)은 가동 단자(530)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대향면(555)은 가동 단자(53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가동 단자(530)로부터 제 2 보호부(550)의 내측면으로 간격이 가동 단자(530)로부터 대향면(555)으로 간격을 초과할 수 있다. 그리고, 대향면(555)은 가동 단자(530)에 대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대향면(555)은 곡면 또는 평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동 단자(530)와 대향면(555)의 간격은 대향면(555)의 중심으로부터 충전 공간(551)에 근접할수록 길어지고, 대향면(555)의 중심으로부터 고정 단자(510)에 근접할수록 길어진다. 바꿔 말하면, 가동 단자(530)와 대향면(555)의 간격은, 대향면(555)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중심 영역으로 갈수록, 짧을 수 있다. 이를 통해, 가동 단자(530)와 대향면(555) 사이를 통해 충전 공간(551)의 내외로 가스 이동 시, 대향면(555)의 형상에 따른 가스의 수렴 및 발산에 따라, 가스의 이동 속도가 증가될 수 있다.
가압부(560)는 제 2 보호부(550) 내에서 가동 단자(530)와 함께 이동 가능하다. 즉 가압부(560)는 일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가압부(560)는 개구부(553)와 가이드부(540)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가압부(560)는 제 2 보호부(550)의 충전 공간(551)에서, 개구부(553)에 대향하여 이동 가능하다. 이를 위해, 가압부(560)가 가동 단자(530)에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가압부(560)는 가동 단자(530)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압부(560)는 가동 단자(530)의 일 단부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동 단자(530)가 개구부(553)를 통해 제 2 보호부(550)로부터 인출 시, 가압부(560)가 제 2 보호부(550)의 충전 공간(551)에서 개구부(553)에 근접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압부(560)가 개구부(553)에 대향하여 충전 공간(551)의 가스를 밀어낼 수 있다. 한편, 가동 단자(530)가 개구부(553)를 통해 제 2 보호부(550)로 인입 시, 가압부(560)가 제 2 보호부(550)의 충전 공간(551)에서 개구부(553)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구부(553)를 통해 충전 공간(551)으로 가스가 유입될 수 있다.
가압부(560)는 가동 단자(530)의 요홈부(535)에 체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부(560)의 일 단부가 요홈부(535)에 삽입됨에 따라, 가압부(560)가 가동 단자(530)에 체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부(560)의 타 단부는 제 2 보호부(550)의 내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압부(560)는 고리(ring)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도 11 참조)에 따르면, 가동부(130)는 밀착부(5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밀착부(565)는 제 2 보호부(550)의 내측면에 대향하여 가압부(560)를 밀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밀착(565)부는 가동 단자(530)와 가압부(560)의 일 단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밀착부(565)는 가동 단자(530)의 요홈부(535) 내에서, 가동 단자(530)와 가압부(560)의 일 단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밀착부(565)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밀착부(565)는 제 2 보호부(550) 내에서 가동 단자(530) 및 가압부(560)와 함께 이동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밀착부는 탄성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압부(560)가 제 2 보호부(550)의 충전 공간(551)에서 이동하는 중에, 밀착(565)부가 제 2 보호부(550)의 내측면에 대향하여 가압부(560)를 밀착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도 12 참조)에 따르면, 가동부(130)는 개재부(5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재부(575)는 가압부(560)와 제 2 보호부(550) 사이에서 가압부(560) 또는 제 2 보호부(5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즉 개재부(575)는 가압부(560)와 제 2 보호부(550) 간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개재부(575)는 가압부(560)의 타 단부와 제 2 보호부(550)의 내측면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 때 개재부(575)는 가압부(560)의 타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재부(575)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개재부(575)는 제 2 보호부(550) 내에서 가동 단자(530) 및 가압부(560)와 함께 이동 가능하다. 예를 들면, 개재부(575)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압부(560)가 제 2 보호부(550)의 충전 공간(551)에서 이동하는 중에, 개재부(575)가 가압부(560)와 제 2 보호부(550) 사이에서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조작부(170)는 가동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조작부(170)가 고정 단자(510)에 대향하여, 가동 단자(5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조작부(170)는, 가동 단자(530)가 고정 단자(510)에 근접하도록 이동시키거나, 가동 단자(530)가 고정 단자(510)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고정부(110)와 가동부(130)에 상호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가동부(130)는 차단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고정부(110)는 접지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가동부(130)에서, 가동 단자(5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보호부(550)의 충전 공간(551)에 인입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가압부(560)가 가동 단자(530)의 일 단부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충전 공간(551)에 가스가 충전되어 있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차단기의 유지보수가 시작되면, 가동 단자(5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단자(510)에 대향하여, 개구부(553)를 통해 제 2 보호부(550)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이 때 가압부(560)가 가동 단자(53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압부(560)가 개구부(553)에 대향하여 충전 공간(551)의 가스를 밀어낼 수 있다. 여기서, 가동 단자(530)과 개구부(553)의 대향면(555) 사이로, 가스가 유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동 단자(5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단자(510)에 근접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가압부(560)가 가동 단자(530)와 함께 계속해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압부(560)가 개구부(553)에 대향하여 충전 공간(551)의 가스를 계속해서 밀어낼 수 있다. 여기서, 가동 단자(530)과 개구부(553)의 대향면(555) 사이로, 가스가 계속해서 유출될 수 있다. 그리고 대향면(555)의 형상에 따라, 가스의 이동 속도가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스가 충전 공간(551)으로부터 분출되면서, 가동 단자(530)와 고정 단자(510) 사이에서 발생되는 아크를 냉각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차단기의 유지보수 진행 중, 가동 단자(530)가 고정 단자(510)와 접촉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가동 단자(530)가 고정 단자(510)의 내부 공간(51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동 단자(530)가 가이드부(540)를 통해 유입되는 잔류 전하를 고정 단자(510)로 전달함으로써, 고정 단자(510)가 접지로 잔류 전하를 전달할 수 있다. 이 후 차단기의 유지보수가 완료되면, 가동 단자(530)는 고정 단자(5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가동 단자(530)는 고정 단자(510)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여, 개구부(553)를 통해 제 2 보호부(550)로 인입될 수 있다. 이 때 가압부(560)가 가동 단자(53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스가 개구부(553)를 통해 충전 공간(551)로 유입되어, 충전 공간(551)에 충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접지 개폐기(100)가 고정부(110)와 가동부(130) 사이에서 발생되는 아크를 소호할 수 있다. 즉 가압부(560)가 가동 단자(530)에 체결되어 가동 단자(530)와 함께 이동함으로써, 가동 단자(530)와 가압부(560)를 수용하고 있는 보호부(550)에 충전된 가스를 밀어낼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스가 보호부(550)로부터 분출되면서, 가동 단자(530)와 고정 단자(510) 사이의 아크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지 개폐기(100)는 가동 단자(530)를 고정 단자(510)에 접근시키면서, 가압부(560)에 기반하여 고정부(110)와 가동부(130) 사이의 아크를 소호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접지 개폐기(100)의 고장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100 접지 개폐기 110 고정부
130 가동부 170 조작부
510 고정 단자 513 고정 접점
520 제 1 보호부 530 가동 단자
533 가동 접점 535 요홈부
540 가이드부 541 지지부
543 마모부 545 접속부
547 밀착부 550 제 2 보호부
551 충전 공간 553 개구부
555 대향면 560 가압부

Claims (10)

  1. 고정 단자;
    상기 고정 단자에 대향하여 이동 가능한 가동 단자;
    상기 가동 단자를 수용하며, 상기 가동 단자가 출입하도록 형성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보호부; 및
    상기 보호부 내에서 상기 가동 단자와 함께 이동 가능하며, 상기 가동 단자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보호부로부터 인출 시,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여 상기 보호부 내부의 가스를 밀어내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접지 개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단자는,
    상기 가압부가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요홈부를 포함하는 접지 개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가동 단자에 대향하며, 상기 가동 단자로부터 이격된 대향면을 포함하는 접지 개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단자와 대향면의 간격은 상기 가압부에 근접할수록 긴 접지 개폐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단자와 대향면의 간격은 상기 고정 단자에 근접할수록 긴 접지 개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보호부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접지 개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와 상기 보호부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개재부를 더 포함하는 접지 개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개재부는,
    상기 가압부와 함께 이동 가능한 접지 개폐기.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단자로부터 상기 보호부의 내측면으로 간격이 상기 가동 단자로부터 상기 대향면으로 간격을 초과하는 접지 개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단자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동 단자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체결되고, 상기 가동 단자에 접촉되어, 외부의 전하를 상기 가동 단자에 전달하는 접속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개구부와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접지 개폐기.
KR1020180019455A 2018-02-19 2018-02-19 접지 개폐기 KR201900996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455A KR20190099695A (ko) 2018-02-19 2018-02-19 접지 개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455A KR20190099695A (ko) 2018-02-19 2018-02-19 접지 개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695A true KR20190099695A (ko) 2019-08-28

Family

ID=67775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455A KR20190099695A (ko) 2018-02-19 2018-02-19 접지 개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96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1261A (ko) * 2019-12-06 2021-06-16 일진전기 주식회사 접지개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1261A (ko) * 2019-12-06 2021-06-16 일진전기 주식회사 접지개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7071B1 (en) High-safety surge protective device
US9524837B2 (en) Electrical contact arrangement
US9715979B2 (en) Low voltage switch pole
US20150014279A1 (en) Device For Protection Against Particles Generated By An Electric Switching Arc
KR101703760B1 (ko) 진공차단기용 양방향 개폐조작기
KR20190099695A (ko) 접지 개폐기
KR101919125B1 (ko) 고압 배전기의 가스절연 개폐장치
JP2022504421A (ja) ガス絶縁開閉装置の高速接地スイッチ
KR20190002199U (ko) 차단기
CN108962641B (zh) 可移除电流开关元件和包括其的电气开关设备
US5483210A (en) Mechanical guidance system for switcher interrupte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CN111048349A (zh) 具备高电压母线转换开断能力的隔离开关及其断口结构
US10566155B2 (en) Switch
US10991529B2 (en) Gas-blast circuit breaker
KR101793375B1 (ko) 가스절연 차단기
KR20120034981A (ko) 가스배출안내부를 적용한 가스절연차단기
KR101707229B1 (ko) 수배전반용 부하개폐기용 아크 소호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부하개폐기
CN112912983B (zh) 气体断路器
KR20110130914A (ko) 가스절연개폐장치용 단로기
WO2014175607A1 (ko) 가스 차단기
CN111697478A (zh) 配电箱的电弧排出系统
CN117133587B (zh) 断路器
KR200487751Y1 (ko) 차단기
KR101147867B1 (ko) 아크 소호 진공밸브 구비한 개폐장치를 적용한 패드 마운트 스위치기어
KR102362783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