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751Y1 - 차단기 - Google Patents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751Y1
KR200487751Y1 KR2020170005117U KR20170005117U KR200487751Y1 KR 200487751 Y1 KR200487751 Y1 KR 200487751Y1 KR 2020170005117 U KR2020170005117 U KR 2020170005117U KR 20170005117 U KR20170005117 U KR 20170005117U KR 200487751 Y1 KR200487751 Y1 KR 2004877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ing plate
circuit
enclosure
barri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1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700051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7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7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7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33/08Stationary parts for restricting or subdividing the arc, e.g. barrier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34Stationary parts for restricting or subdividing the arc, e.g. barrier plate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단기는, 회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본체와 본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외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단자부, 본체에서 발생되는 아크를 소호하도록 구성된 소호부 및 외함에 형성되어, 아크를 차폐시키도록 구성된 바디부 및 소호부와 단자부 사이에서 바디부에 체결되어, 아크의 확산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베리어부를 포함하는 차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단기{CIRCUIT BREAKER}
다양한 실시예들은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차단기는 전원과 부하 사이에 설치되어, 회로를 개폐한다. 즉 차단기는 회로에서 이상전류를 검출하고 회로를 차단함으로써, 설비 및 인명을 보호한다. 차단기는 실질적으로 회로를 개폐하는 본체와 본체가 삽입되는 외함을 포함한다. 이 때 차단기가 회로 개폐 시, 차단기의 내부에서 아크(arc)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단기는 아크를 소호하기 위한 소호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차단기는, 아크가 소호부로부터 확산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아크가 차단기의 외부로 확산되거나, 차단기의 내부에서 확산될 수 있다. 이 때 아크가 본체와 외함의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부분으로 확산됨에 따라, 해당 부분에서 지락이 발생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단기는, 차단기의 내부에서 발생된 아크를 차폐시킬 수 있다. 즉 차단기는, 아크가 차단기의 외부로 확산되거나, 차단기의 내부에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단기에서 지락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단기는, 회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외함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차단기는, 상기 본체와 외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단자부, 상기 본체에서 발생되는 아크를 소호하도록 구성된 소호부 및 상기 외함에 형성되어, 상기 아크를 차폐시키도록 구성된 바디부 및 상기 소호부와 상기 단자부 사이에서 상기 바디부에 체결되어, 상기 아크의 확산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베리어부를 포함하는 차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단자부는, 상기 본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제어 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단자부는, 상기 회로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회로 단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베리어부는, 상기 소호부와 제어 단자부 사이에서 상기 바디부에 체결되는 제 1 베리어부 및 상기 소호부와 회로 단자부 사이에서 상기 바디부에 체결되는 제 2 베리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바디부는, 상기 소호부의 상부를 덮는 제 1 차폐 플레이트, 상기 제 1 차폐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소호부와 제어 단자부 사이로 연장되는 제 2 차폐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차폐 플레이트의 맞은 편에서 상기 제 1 차폐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는 제 3 차폐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베리어부는, 상기 제 2 차폐 플레이트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베리어부는, 상기 제 2 차폐 플레이트가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된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베리어부는, 상기 삽입부로부터 상기 소호부와 제어 단자부 사이로 연장되는 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베리어부는, 상기 제 2 차폐 플레이트와 제 3 차폐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제 1 차폐 플레이트에서 상기 소호부에 대향하는 내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소호부와 회로 단자부 사이로 연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베리어부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차폐부가 본체로부터 아크를 차폐시킬 수 있다. 이 때 차폐부는, 소호부가 아크를 소호하는 중에, 아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차폐부는, 아크가 외함의 외부로 확산되거나, 외함의 내부에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차폐부가 본체와 외함의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부분으로, 아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폐부가 차단기에서 지락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단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서 본체를 도시하는 사시도들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서 외함을 도시하는 사시도들이다.
도 4는 도 1에서 A-A’을 따라 절단된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에서 본체와 외함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도 6 및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폐부를 도시하는 사시도들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폐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B-B’을 따라 절단된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 예컨대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 1”또는 “제 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단기(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서 본체(110)의 정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1에서 본체(110)의 배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에서 외함(120)의 정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도, 도 3b는 도 1에서 외함(120)의 배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A-A’을 따라 절단된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에서 본체(110)와 외함(120)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도 1, 도 2a, 도 2b, 도 3a, 도 3b 및 도 4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단기(100)는 본체(110)와 외함(1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외함(120)에 인입될 수 있으며, 외함(120)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이 때 본체(110)가 외함(120)에 인입된 정도에 따라, 차단기(100)에서 분리 위치(disconnection position), 시험 위치(test position) 및 접속 위치(connection position)가 정의될 수 있다.
본체(110)는 실질적으로 회로를 개폐할 수 있다. 본체(110)는 외함(120)에 인입된 상태에서, 회로를 개폐할 수 있다. 이 때 본체(110)는 접속 위치에서, 회로를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10)는 회로에서 이상전류를 검출하고 회로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체(110)는 제 1 단자부(210), 통전부(240), 기구부(250) 및 소호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단자부(210)는 본체(110)에서 외함(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단자부(210)는 제 1 제어 단자부(220)와 제 1 회로 단자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제어 단자부(220)는 시험 위치에서 외함(120)과 접속할 수 있으며, 제 1 회로 단자부(230)는 접속 위치에서 외함(120)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접속 위치에서, 제 1 제어 단자부(220)와 제 1 회로 단자부(230)가 외함(120)에 접속되어 있을 수 있다.
제 1 제어 단자부(220)는 본체(1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제 1 제어 단자부(220)는 본체(110)의 상면부에 배치되며, 본체(110)의 전면부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제어 단자부(220)는 상방으로 개방되어, 외함(120)과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제어 단자부(220)는 제 1 단자 지지부(221)와 제 1 제어 단자(2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단자 지지부(221)는 제 1 제어 단자(223)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단자 지지부(221)는 상방으로 제 1 제어 단자(223)를 노출시킬 수 있다. 제 1 제어 단자(223)는 실질적으로 외함(120)과 접속할 수 있다.
제 1 회로 단자부(230)는 회로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 1 회로 단자부(230)는 회로를 통해 전원과 부하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제 1 회로 단자부(230)는 본체(110)의 배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회로 단자부(230)는 후방으로 노출되어, 외함(120)과 접속할 수 있다.
통전부(240)는 고정 접촉자(241) 및 가동 접촉자(24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접촉자(241)는 제 1 회로 단자부(23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고정 접촉자(241)는 제 1 회로 단자부(230)를 통해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고정 접촉자(241)는 고정 접점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가동 접촉자(243)는 고정 접촉자(241)에 대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가동 접촉자(243)는 고정 접촉자(241)로 접근하거나, 고정 접촉자(241)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 때 가동 접촉자(243)는 가동 접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 접점들과 가동 접점들이 접촉하면, 회로에서 통전이 이루어지며, 고정 접점들과 가동 접점들이 분리되면, 회로에서 통전이 차단될 수 있다.
기구부(250)는 통전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기구부(250)가 가동 접촉자(243)를 제어하여, 가동 접점들을 고정 접점들에 접촉시키거나 고정 접점들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기구부(250)는 제 1 제어 단자부(220)로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가동 접촉자(243)를 제어할 수 있다. 즉 기구부(250)는 이상전류에 대응하여, 가동 접점들을 고정 접점들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소호부(260)는 본체(110)에서 발생되는 아크를 소호할 수 있다. 통전부(240)에서 접촉되어 있는 고정 접점들과 가동 접점들이 상호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고정 접점들과 가동 접점들 사이에 아크가 발생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소호부(260)가 통전부(240)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아크를 소호할 수 있다. 여기서, 소호부(260)는 공기를 매질로 이용하여, 아크를 소호할 수 있다. 이 때 소호부(260)는 본체(110)의 상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 1 제어 단자부(220)에 인접하여, 제 1 제어 단자부(22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외함(120)는 본체(110)를 수용할 수 있다. 외함(120)은 전방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본체(110)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3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체(110)가 외함(12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여, 외함(120)의 내부 공간(300)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함(120)이 본체(110)의 상면, 하면, 측면들 및 배면을 둘러쌀 수 있다. 그리고 외함(120)은 제 2 단자부(310) 및 차폐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단자부(310)는 외함(120)에서 본체(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단자부(310)는 제 2 제어 단자부(320)와 제 2 회로 단자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 2 제어 단자부(320)는 시험 위치에서 본체(110)와 접속할 수 있으며, 제 2 회로 단자부(330)는 접속 위치에서 본체(110)와 접속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접속 위치에서, 제 2 제어 단자부(320)와 제 2 회로 단자부(330)가 본체(110)에 접속되어 있을 수 있다.
제 2 제어 단자부(320)는 본체(1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제 2 제어 단자부(320)는 외함(120)의 상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제어 단자부(320)는 내부 공간(300)에 대향하여 하방으로 개방되어, 본체(110)와 접속할 수 있다. 즉 제 2 제어 단자부(320)는 본체(110)의 제 1 제어 단자부(320)와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제어 단자부(320)는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며,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다. 여기서, 제 2 제어 단자부(320)는 제 2 단자 지지부(321)와 제 2 제어 단자(3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단자 지지부(321)는 제 2 제어 단자(323)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단자 지지부(321)는 하방으로 제 2 제어 단자(323)를 노출시킬 수 있다. 제 2 제어 단자(323)는 실질적으로 본체(110)와 접속할 수 있다. 즉 제 2 제어 단자(323)는 본체(110)의 제 1 제어 단자(223)와 접속할 수 있다.
제 2 회로 단자부(330)는 회로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 2 회로 단자부(330)는 회로를 통해 전원과 부하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제 2 회로 단자부(330)는 외함(120)의 배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회로 단자부(330)는 내부 공간(300)에 대향하여 노출되어, 본체(110)와 접속할 수 있다. 즉 제 2 회로 단자부(330)는 본체(110)의 제 1 회로 단자부(230)와 접속하여, 회로와 본체(110)를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회로 단자부(330)는 외부 단자(331)와 내부 단자(333)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단자(331)와 내부 단자(333)는 상호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외부 단자(331)는 외함(120)의 배면부에서 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외부 단자(331)는 회로와 체결될 수 있다. 즉 회로가 전원과 부하로부터 연장되어, 외부 단자(331)에 체결될 수 있다. 내부 단자(333)는 외함(120)의 배면부에서 내부 공간(300)에 대향하여 노출될 수 있다. 게다가, 내부 단자(333)는 본체(110)의 제 1 회로 단자부(230)와 접속할 수 있다.
차폐부(360)는 외함(120)에 형성되어, 본체(110)로부터 아크를 차폐시킬 수 있다. 이 때 차폐부(360)는, 소호부(260)가 아크를 소호하는 중에, 아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차폐부(360)는, 아크가 외함(120)의 외부로 확산되거나, 외함(120)의 내부에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폐부(360)는 소호부(26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차폐부(360)는 소호부(26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분리 위치로부터 시험 위치로, 본체(110)가 외함(120)에 인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험 위치에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가 외함(120)에 인입되어 있을 수 있다. 시험 위치에서, 외함(120)의 제 2 제어 단자부(320)가 이동하여, 본체(110)의 제 1 제어 단자부(220)와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제어 단자부(320)에서 제 2 제어 단자(323)가 하강하여, 제 1 제어 단자부(22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 제어 단자(223)와 제 2 제어 단자(323)가 접속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시험 위치로부터 접속 위치로, 본체가(110)가 외함(120)에 인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속 위치에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가 외함(120)에 인입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본체(110)가 외함(120)에 인입되면서, 제 1 제어 단자부(220)가 제 2 제어 단자부(320)에 접속된 채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접속 위치에서, 본체(110)의 제 1 회로 단자부(230)가 외함(120)의 제 2 회로 단자부(330)와 접속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 회로 단자부(230)와 제 2 회로 단자부(330)가 접속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접속 위치에서, 단자부가 형성될 수 있다. 단자부는 제어 단자부(220, 320)와 회로 단자부(230, 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단자부(220, 320)는, 제 1 제어 단자부(220)와 제 2 제어 단자부(320)가 접속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회로 단자부(230, 330)는, 제 1 회로 단자부(230)와 제 2 회로 단자부(330)가 접속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접속 위치에서, 소호부(260)가 제어 단자부(220, 320)와 회로 단자부(230, 33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접속 위치에서, 차폐부(360)가 소호부(26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도 6 및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폐부(360)를 도시하는 사시도들이다. 이 때 도 6 및 도 7은 도 1에서 A-A’을 따라 차폐부(360)가 절단된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폐부(36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B-B’을 따라 절단된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 도 6, 도 7,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폐부(360)는 바디부(610), 체결부(620) 및 베리어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610)는 외함(120)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바디부(610)는 외함(120)의 상면부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접속 위치에서, 바디부(610)는 소호부(260)로부터 아크를 차폐시킬 수 있다. 이 때 바디부(610)는, 아크가 외함(120)의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디부(610)는 제 1 차폐 플레이트(611), 제 2 차폐 플레이트(613) 및 제 3 차폐 플레이트(6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차폐 플레이트(611)는 외함(120)의 상부면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접속 위치에서, 제 1 차폐 플레이트(611)는 소호부(26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이 때 제 1 차폐 플레이트(611)는 소호부(26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 차폐 플레이트(611)와 소호부(26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차폐 플레이트(613)는 제 2 제어 단자부(320)에 인접하여, 제 1 차폐 플레이트(61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접속 위치에서, 제 2 차폐 플레이트(613)는 제 1 차폐 플레이트(611)로부터 소호부(260)와 제어 단자부(220, 320) 사이로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제 2 차폐 플레이트(613)의 일 단부가 소호부(260)와 제어 단자부(220, 320), 즉 제 1 제어 단자(223)와 제 2 제어 단자(323)의 사이에서 노출될 수 있다.
제 3 차폐 플레이트(615)는 외함(120)의 배면부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3 차폐 플레이트(615)는 제 2 차폐 플레이트(613)의 맞은 편에서, 제 1 차폐 플레이트(61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접속 위치에서, 제 3 차폐 플레이트(615)는 제 1 차폐 플레이트(611)로부터 소호부(260)와 회로 단자부(230, 330) 사이로 연장될 수 있다.
체결부(620)는 바디부(610)와 함께, 외함(120)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체결부(620)는 외함(120)의 측면부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부(620)는 외함(120)의 측면부에서, 바디부(6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620)는 외함(120)에서, 바디부(610)를 고정할 수 있다.
베리어부(630)는 바디부(610)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접속 위치에서, 베리어부(630)는, 소호부(260)로부터 아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베리어부(630)는, 아크가 외함(120)의 내부에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베리어부(630)는 소호부(260)로부터 제어 단자부(220, 320) 또는 회로 단자부(230, 3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아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리어부(630)는 소호부(260)와 제어 단자부(220, 320) 또는 회로 단자부(230, 3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리어부(630)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베리어부(630)는 제 1 베리어부(64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베리어부(6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베리어부(640)는 제 2 차폐 플레이트(613)의 일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접속 위치에서, 제 1 베리어부(640)는 소호부(260)와 제어 단자부(220, 3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접속 위치에서, 제 1 베리어부(640)는, 소호부(260)로부터 제어 단자부(220, 320)로 아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베리어부(640)는 탄성 부재로 형성되고,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 2 차폐 플레이트(613)의 일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베리어부(640)는 삽입부((641)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641)는 제 2 차폐 플레이트(613)의 일 단부에 대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된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삽입부(641)는 홈부에서 제 2 차폐 플레이트(613)의 일 단부를 수용할 수 있다. 즉 제 2 차폐 플레이트(613)의 일 단부가 삽입부(641)의 홈부에 삽입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베리어부(640)는 삽입부(641)와 적어도 하나의 벽부(643)를 포함할 수 있다. 벽부(643)는 제 1 차폐 플레이트(613)에 나란하게, 삽입부(64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즉 벽부(643)는 삽입부(641)로부터 소호부(260)와 제어 단자부(220, 320) 사이로 연장될 수 있다.
제 2 베리어부(650)는 내부 공간(300)에 대향하여, 제 1 차폐 플레이트(611)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 2 베리어부(650)는 제 2 차폐 플레이트(613)와 제 3 차폐 플레이트(615) 사이에서, 제 1 차폐 플레이트(613)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베리어부(650)는 제 2 차폐 플레이트(613) 및 제 3 차폐 플레이트(615)와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접속 위치에서, 제 2 베리어부(650)는 소호부(260)와 회로 단자부(230, 3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접속 위치에서, 제 2 베리어부(650)는, 소호부(260)로부터 회로 단자부(230, 330)로 아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베리어부(650)는 탄성 부재로 형성되고,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 1 차폐 플레이트(611)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개의 제 2 베리어부(650)들이 내부 공간(300)에 대향하여, 제 1 차폐 플레이트(611)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 2 베리어부(650)들이 제 2 차폐 플레이트(613)와 제 3 차폐 플레이트(615) 사이에서, 제 1 차폐 플레이트(613)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베리어부(650)들이 상호에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베리어부(650)들 중 어느 하나가 제 2 차폐 플레이트(613)와 제 3 차폐 플레이트(615) 사이에 배치되고, 제 2 베리어부(650)들 중 다른 하나가 제 2 차폐 플레이트(613) 또는 제 3 차폐 플레이트(615) 중 어느 하나와 제 2 베리어부(650)들 중 어느 하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차폐부(360)가 본체(110)로부터 아크를 차폐시킬 수 있다. 이 때 차폐부(360)는, 소호부(260)가 아크를 소호하는 중에, 아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차폐부(360)는, 아크가 외함(120)의 외부로 확산되거나, 외함(120)의 내부에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바디부(610)가, 아크가 외함(120)의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베리어부(630)가 바디부(610)에 체결되어, 아크가 외함(120)의 내부에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베리어부(630)가 소호부(260)로부터 제어 단자부(220, 320) 또는 회로 단자부(230, 3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아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폐부(360)가, 제어 단자부(220, 320) 또는 회로 단자부(230, 330)에서 지락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100 차단기
110 본체 120 외함
210 제 1 단자부 300 내부 공간
220 제 1 제어 단자부 310 제 2 단자부
221 제 1 단자 지지부 320 제 2 제어 단자부
223 제 1 제어 단자 321 제 2 단자 지지부
230 제 1 회로 단자부 323 제 2 제어 단자
240 통전부 330 제 2 회로 단자부
241 고정 접촉자 331 외부 단자
243 가동 접촉자 333 내부 단자
250 기구부 360 차폐부
260 소호부 610 바디부
611 제 1 차폐 플레이트 613 제 2 차폐 플레이트
615 제 3 차폐 플레이트 620 체결부
630 베리어부 640 제 1 베리어부
641 삽입부 643 벽부
650 제 2 베리어부

Claims (10)

  1. 회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외함을 포함하는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외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본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제어 단자부 및 상기 회로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회로 단자부를 포함하는 단자부;
    상기 본체에서 발생되는 아크를 소호하도록 구성된 소호부; 및
    상기 외함에 형성되어, 상기 아크를 차폐시키도록 구성된 바디부 및 상기 소호부와 상기 단자부 사이에서 상기 바디부에 체결되어, 상기 아크의 확산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베리어부를 포함하는 차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소호부의 상부를 덮는 제 1 차폐 플레이트;
    상기 제 1 차폐 플레이트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소호부와 제어 단자부 사이로 연장되는 제 2 차폐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차폐 플레이트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소호부와 회로 단자부 사이로 연장되는 제 3 차폐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베리어부는,
    상기 제 2 차폐 플레이트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차폐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소호부와 제어 단자부 사이로 연장되는 벽부 및 상기 제 2 차폐 플레이트가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된 삽입부를 포함하는 제 1 베리어부를 포함하는 차단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부는,
    상기 제 2 차폐 플레이트와 제 3 차폐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제 1 차폐 플레이트에서 상기 소호부에 대향하는 내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소호부와 회로 단자부 사이로 연장되는 제 2 베리어부를 더 포함하는 차단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부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차단기.
KR2020170005117U 2017-09-28 2017-09-28 차단기 KR2004877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117U KR200487751Y1 (ko) 2017-09-28 2017-09-28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117U KR200487751Y1 (ko) 2017-09-28 2017-09-28 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751Y1 true KR200487751Y1 (ko) 2018-10-29

Family

ID=64049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117U KR200487751Y1 (ko) 2017-09-28 2017-09-28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751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5638U (ko) * 1998-08-10 2000-03-25 다쯔타 도키오 전자접촉기
KR100817122B1 (ko) * 2007-03-08 2008-03-2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아크박스를 구비한 기중차단기
KR20170104878A (ko) * 2016-03-08 2017-09-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아크커버가 구비된 기중차단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5638U (ko) * 1998-08-10 2000-03-25 다쯔타 도키오 전자접촉기
KR100817122B1 (ko) * 2007-03-08 2008-03-2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아크박스를 구비한 기중차단기
KR20170104878A (ko) * 2016-03-08 2017-09-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아크커버가 구비된 기중차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7258B2 (en) Circuit breaker
KR101051517B1 (ko) 회로 차단기
KR20180048150A (ko)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소호장치
KR101522268B1 (ko) 배선용 차단기
KR200487751Y1 (ko) 차단기
EP3667690A1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JP2011004530A (ja) スイッチギヤの換気装置
CN111564346A (zh) 小型断路器
US20220368115A1 (en) Arc ventilation system of distributing board
CN108962641A (zh) 可移除电流开关元件和包括其的电气开关设备
US8487721B2 (en) Circuit interruption device and method of assembly
KR102558811B1 (ko) 아크 소호실용 마그넷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아크 소호실
KR20100071844A (ko) 회로차단기의 개폐장치
KR20110130914A (ko) 가스절연개폐장치용 단로기
CZ414597A3 (cs) Jistič elektrického obvodu s ochranným štítem
US20200212657A1 (en) Heat exhaust and dustproof system of multi-stage distributing board
KR20190099695A (ko) 접지 개폐기
KR100728863B1 (ko) 기중 회로 차단기의 소호장치
CN218513341U (zh) 断路器
KR100817122B1 (ko) 아크박스를 구비한 기중차단기
CN217544517U (zh) 断路器的静触头灭弧模块
CN213459623U (zh) 控制与保护开关电器的灭弧室
JP2010015724A (ja) 回路遮断器の消弧装置
KR102362783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CN217881382U (zh) 一种安全型断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