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2783B1 - 가스절연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가스절연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2783B1
KR102362783B1 KR1020200028966A KR20200028966A KR102362783B1 KR 102362783 B1 KR102362783 B1 KR 102362783B1 KR 1020200028966 A KR1020200028966 A KR 1020200028966A KR 20200028966 A KR20200028966 A KR 20200028966A KR 102362783 B1 KR102362783 B1 KR 102362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lange
movable part
guide rib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8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3795A (ko
Inventor
서진원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200028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783B1/ko
Publication of KR20210113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3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33/08Stationary parts for restricting or subdividing the arc, e.g. barrier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rcuit Breakers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정부 주접점과 고정부 아크접점을 포함하는 고정부와, 가동부 주접점과 가동부 아크접점을 포함하여 실린더에 의하여 고정부에 접촉 또는 이격되도록 이동하는 가동부, 외주면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리브와 상기 가동부의 이동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 1플랜지 가스홀을 포함하여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 1플랜지를 포함하여 상기 가동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중공 원통 형상의 제 1하우징, 상기 제 1플랜지 가스홀과 대응되도록 복수 개의 제 2플랜지 가스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 1플랜지와 체결되는 제 2플랜지가 내주면에 형성되는 중공 원통 형상의 제 2하우징 및 상기 고정부와 상기 가동부와 제 1하우징 및 제 2하우징이 내장되는 탱크를 포함하여, 상기 가이드 리브와 상기 제 1플랜지 사이의 형성되는 상기 제 1하우징의 외주면과 상기 제 2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에 상기 가동부에 이동 방향으로 제 1배출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 2하우징의 일단부와 상기 가이드 리브 사이에 반경 방향으로 제 2배출유로가 형성된다.

Description

가스절연 개폐장치{Gas Insulated Switchgear}
본 발명은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절연 개폐장치(Gas Insulated Switchgear, GIS)는 전력계통을 정상 사용 조건하에서 부하전류를 개폐할 뿐만 아니라, 사고, 단락 전류 등의 이상 상태에서도 선로를 안전하게 개폐하여 보호하는 복합 개폐장치이다.
이러한 가스절연 개폐장치는 일반적으로 고압전원으로부터 수전하는 부싱(Bushing Unit), 차단기(Circuit Breaker; CB), 단로기(Disconnecting Switch; DS), 변류기(Current transformer; CT), 접지개폐기(Earthing Switch; ES), 가동부, 제어부 등의 구성을 포함한다.
이 중, 차단기(CB)는 고장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장치로서 고장전류 차단 시에 두 접점 사이에서 발생하는 아크(Arc)를 소호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종래의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차단기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가스절연 개폐장치는 고정부(10)와 가동부(20), 소호부 쉴드(30), 쉴드(40) 및 탱크(5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10)는 고정부 주접점(11)과 고정부 아크접점(12)이 내장되는 고정부 하우징(1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동부(20)는 가동부 주접점(21)과 가동부 아크접점(22)이 내장되며 외주면에 복수 개의 가동부 하우징 가스홀(23a)이 형성되는 가동부 하우징(23)을 포함하며, 실린더(24)에 의하여 상기 가동부 주접점(21)과 가동부 아크접점(22)이 각각 상기 고정부 주접점(11)과 고정부 아크접점(12)에 접촉 이격되도록 이동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 하우징(13)과 상기 가동부 하우징(23) 사이에는 상기 고정부 하우징(13)과 상기 가동부 하우징(23)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소호부 쉴드(3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쉴드(40)는 외주면에 복수 개의 쉴드 가스홀(41)이 형성되어 상기 가동부 하우징(23)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탱크(50)는 상기 고정부(10)와 가동부(20), 소호부 쉴드(30), 쉴드(40)가 내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 주접점(21)과 가동부 아크접점(22)이 각각 상기 고정부 주접점(11)과 고정부 아크접점(12)에 접촉되는 경우 발생하는 열가스가 바로 상기 탱크(50) 측으로 방출되면 지락(grounding)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소호부 쉴드(30) 내에서 발생한 열가스는 상기 가동부 하우징(23)을 거쳐 상기 가동부 하우징 가스홀(23a)을 통하여 상기 가동부 하우징(23)의 외주면과 상기 쉴드(40)의 내주면 사이로 방출된다.
이후, 상기 열가스는 상기 쉴드 가스홀(41)을 통하여 상기 탱크(50) 측으로 방출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소호부 쉴드(30) 내에서 발생한 열가스는 상기 가동부 하우징(23)과 쉴드(40)를 거치면서 온도가 충분히 떨어진 후에 상기 탱크(50)로 방출되어 지락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가스절연 개폐장치는 가동부 하우징(23)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쉴드(40)가 결합되어야 하므로 조립 순서가 비교적 복잡하며, 조립이 난해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호부에서 발생한 열가스의 원활한 배출을 위한 차단기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가스절연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호부에서 발생한 열가스의 원활한 배출을 위한 차단기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가스절연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절연 개폐장치는 고정부와 가동부, 제 1, 2하우징 및 탱크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는 고정부 주접점과 고정부 아크접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동부는 가동부 주접점과 가동부 아크접점을 포함하여 실린더에 의하여 고정부에 접촉 또는 이격되도록 이동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절연 개폐장치는 상기 가동부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가동부 주접점과 가동부 아크접점이 각각 상기 고정부 주접점과 고정부 아크접점에 접촉 또는 이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하우징은 외주면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리브와 상기 가동부의 이동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 1플랜지 가스홀을 포함하여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 1플랜지를 포함하여 상기 가동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하우징은 상기 제 1플랜지 가스홀과 대응되도록 복수 개의 제 2플랜지 가스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 1플랜지와 체결되는 제 2플랜지가 내주면에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중공 원통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텡크에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가동부와 제 1하우징 및 제 2하우징이 내장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절연 개폐장치는 상기 가이드 리브와 상기 제 1플랜지 사이의 형성되는 상기 제 1하우징의 외주면과 상기 제 2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에 상기 가동부에 이동 방향으로 제 1배출유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하우징의 일단부와 상기 가이드 리브 사이에 반경 방향으로 제 2배출유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동부는 외주면이 상기 고정부 주접점에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중심부에 상기 고정부 아크접점이 삽입 가능한 제 1노즐홀을 포함하는 제 1노즐과 중심부에 상기 제 1노즐홀과 연통되는 제 2노즐홀을 포함하여 상기 가동부 아크접점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 2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부 아크접점이 상기 제 1노즐홀과 제 2노즐홀에 각각 삽입되거나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플랜지와 제 2플랜지에는 각각 복수 개의 볼트 체결홀이 형성되어 복수 개의 볼트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제 2하우징 측에 형성되는 가이드 리브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 리브홈에는 열가스가 상기 제 2플랜지 가스홀과 상기 제 1플랜지 가스홀을 통하여 유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언더컷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동부는 상기 가동부의 이동 방향으로 복수 개의 지지 플레이트 가스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 2노즐을 지지하는 환형의 가동부 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고정부 하우징과 상기 고정부 하우징과 상기 제 1하우징 사이에 상기 고정부 하우징과 상기 제 1하우징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소호부 쉴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절연 개폐장치는 소호부에서 발생한 열가스의 원활한 배출을 위한 차단기의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의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차단기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차단기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차단기부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차단기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 예에 따른 가스절연 개폐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와 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차단기부를 나타낸 측단면도와 단면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절연 개폐장치는 고정부(100)와 가동부(200)와 제 1하우징(300), 제 2하우징(400) 및 탱트(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00)는 고정부 주접점(110)과 고정부 아크접점(12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동부(200)는 가동부 주접점(210)과 가동부 아크접점(220)을 포함하여 실린더(230)에 의하여 고정부(100)에 접촉 또는 이격되도록 이동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절연 개폐장치는 상기 가동부(200)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동부 주접점(210)과 가동부 아크접점(220)이 각각 상기 고정부 주접점(110)과 고정부 아크접점(120)과 접촉 또는 이격된다.
즉, 상기 접접 간의 접촉 또는 이격에 따라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차단기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동부는 외주면이 상기 고정부 주접점에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중심부에 상기 고정부 아크접점이 삽입 가능한 제 1노즐홀을 포함하는 제 1노즐과 중심부에 상기 제 1노즐홀과 연통되는 제 2노즐홀을 포함하여 상기 가동부 아크접점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 2노즐을 더 포함하여, 상기 가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부 아크접점이 상기 제 1노즐홀과 제 2노즐홀에 각각 삽입되거나 이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하우징(300)은 외주면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리브(310)와 상기 가동부(200)의 이동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 1플랜지 가스홀(321)을 포함하여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 1플랜지(320)를 포함하여 상기 가동부(200)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하우징(300)은 전체적으로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하우징(400)은 상기 제 1플랜지 가스홀(321)과 대응되도록 복수 개의 제 2플랜지 가스홀(411)이 형성되어 상기 제 1플랜지(320)와 체결되는 제 2플랜지(410)가 내주면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플랜지 가스홀(321)과 제 2플랜지 가스홀(411)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동부(200)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하우징(400)은 전체적으로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탱크(500)는 상기 고정부(100)와 상기 가동부(200)와 제 1하우징(300) 및 제 2하우징(400)이 내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절연 개폐장치는 상기 가이드 리브(310)와 상기 제 1플랜지(320) 사이의 형성되는 상기 제 1하우징(300)의 외주면과 상기 제 2하우징(400)의 내주면 사이에 상기 가동부에 이동 방향으로 제 1배출유로(P1)가 형성되고, 상기 제 2하우징(400)의 일단부와 상기 가이드 리브(310) 사이에 반경 방향으로 제 2배출유로(P2)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배출유로(P1)와 제 2배출유로(P2)의 방향은 직교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플랜지(320)와 제 2플랜지(410)에는 각각 복수 개의 볼트 체결홀이 형성되어 복수 개의 볼트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리브(310)는 상기 제 2하우징(400) 측에 형성되는 가이드 리브홈(311)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동부(200)는 상기 가동부(200)의 이동 방향으로 복수 개의 지지 플레이트 가스홀(261)이 형성되어 상기 제 2노즐(250)을 지지하는 환형의 가동부 지지플레이트(26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절연 개폐장치는 상기 고정부(100)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고정부 하우징(130)과 상기 고정부 하우징(130)과 상기 제 1하우징(300) 사이에 상기 고정부 하우징(130)과 상기 제 1하우징(300)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소호부 쉴드(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호부 쉴드(60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탱크(500)에 내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있어서, 열가스의 흐름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소호부 쉴드(600) 내에서 상기 고정부(100)와 가동부(200)의 접촉 및 이격에 따라 발생하는 열가스는 제 1하우징(30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열가스는 상기 지지플레이트 가스홀(261)을 거쳐 상기 제 1하우징(300) 내부로 유입된다.
이후 상기 열가스는 제 2하우징(400)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 2하우징(400) 내부에서 순환되어 온도가 충분히 낮춰진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절연 개폐장치는 상기 제 1하우징(300)이 체결되는 반대측에 상기 제 2하우징(400)과 체결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여 열가스의 순환 공간을 더욱 확장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온도가 낮춰진 상기 열가스는 상기 제 2플랜지 가스홀(411)과 상기 제 1플렌지 가스홀(321)을 순차적으로 거쳐 상기 제 1배출유로(P1)에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제 1배출유로(P1)는 상기 가이드 리브(310)와 상기 제 1플랜지(320) 사이의 형성되는 상기 제 1하우징(300)의 외주면과 상기 제 2하우징(400)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다.
이후, 상기 열가스는 상기 제 2배출유로(P2)를 통하여 상기 탱크(500) 측으로 방출된다.
이때, 상기 제 2배출유로(P2)는 상기 제 2하우징(400)의 일단부와 상기 가이드 리브(310) 사이에 반경 방향으로 형성되는 공간이다.
또한, 상기 제 2배출유로(P2)에 형성되는 가이드 리브홈(311)은 상기 가이드 리브홈(311)은 상기 제 1하우징(300)에 상기 소호부 쉴드(600)를 체결하기 위한 볼트의 안착부 역할을 하는 동시에 상기 제 2배출유로(P2)를 통하여 상기 탱크(500) 측으로 방출되는 열가스의 범퍼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차단기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리브홈(311)에는 상기 열가스가 상기 제 2플랜지 가스홀(411)과 상기 제 1플랜지 가스홀(321)을 통하여 유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언더컷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 리브홈(311)은 언더컷 형상을 통하여 상기 열가스가 상기 제 2배출유로(P2)로 배출되는 것을 더욱 지연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절연 개폐장치는 종래의 가스절연 개폐장치와 대비하여 열가스 배출을 위한 쉴드를 대신하여 제 1하우징(300)과 제 하우징(400)을 통하여 조립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절연 개폐장치는 차단기의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P1. 제 1배출유로
P2. 제 2배출유로
100. 고정부
110. 고정부 주접점
120. 고정부 아크접점
130. 고정부 하우징
200. 가동부
210. 가동부 주접점
220. 가동부 아크접점
230. 실린더
240. 제 1노즐
241. 제 1노즐홀
250. 제 2노즐
251. 제 2노즐홀
260. 가동부 지지플레이트
261. 지지플레이트 가스홀
300. 제 1하우징
310. 가이드 리브
311. 가이드 리브홈
320. 제 1플랜지
321. 제 1플랜지 가스홀
400. 제 2하우징
410. 제 2플랜지
411. 제 2플랜지 가스홀
500. 탱크
600. 소호부 쉴드

Claims (5)

  1. 고정부 주접점과 고정부 아크접점을 포함하는 고정부;
    가동부 주접점과 가동부 아크접점을 포함하여 실린더에 의하여 고정부에 접촉 또는 이격되도록 이동하는 가동부;
    외주면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리브와 상기 가동부의 이동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 1플랜지 가스홀을 포함하여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 1플랜지를 포함하여 상기 가동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중공 원통 형상의 제 1하우징;
    상기 제 1플랜지 가스홀과 대응되도록 복수 개의 제 2플랜지 가스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 1플랜지와 체결되는 제 2플랜지가 내주면에 형성되는 중공 원통 형상의 제 2하우징; 및
    상기 고정부와 상기 가동부와 제 1하우징 및 제 2하우징이 내장되는 탱크;를 포함하여,
    상기 가이드 리브와 상기 제 1플랜지 사이의 형성되는 상기 제 1하우징의 외주면과 상기 제 2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에 상기 가동부에 이동 방향으로 제 1배출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 2하우징의 일단부와 상기 가이드 리브 사이에 반경 방향으로 제 2배출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제 2하우징 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 1하우징에 소호부 쉴드를 체결하기 위한 볼트의 안착부 역할을 하는 가이드 리브홈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리브홈은 열가스가 상기 제 2플랜지 가스홀과 상기 제 1플랜지 가스홀을 통하여 유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언더컷이 형성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플랜지와 제 2플랜지는 복수 개의 볼트로 체결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고정부 하우징과 상기 고정부 하우징과 상기 제 1하우징 사이에 상기 고정부 하우징과 상기 제 1하우징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상기 소호부 쉴드를 더 포함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KR1020200028966A 2020-03-09 2020-03-09 가스절연 개폐장치 KR102362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966A KR102362783B1 (ko) 2020-03-09 2020-03-09 가스절연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966A KR102362783B1 (ko) 2020-03-09 2020-03-09 가스절연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3795A KR20210113795A (ko) 2021-09-17
KR102362783B1 true KR102362783B1 (ko) 2022-02-11

Family

ID=77924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966A KR102362783B1 (ko) 2020-03-09 2020-03-09 가스절연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278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02098A (ja) * 2004-06-07 2008-01-24 アーベーベー・テヒノロギー・アーゲー サーキット・ブレーカ
JP2009176442A (ja) * 2008-01-22 2009-08-06 Mitsubishi Electric Corp 開閉器
JP2015106513A (ja) * 2013-11-29 2015-06-08 株式会社東芝 ガス遮断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02098A (ja) * 2004-06-07 2008-01-24 アーベーベー・テヒノロギー・アーゲー サーキット・ブレーカ
JP2009176442A (ja) * 2008-01-22 2009-08-06 Mitsubishi Electric Corp 開閉器
JP2015106513A (ja) * 2013-11-29 2015-06-08 株式会社東芝 ガス遮断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3795A (ko) 2021-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7411B2 (en) Plenum assembly
KR100351300B1 (ko) 회로차단기용 복합소호장치
RU2694433C2 (ru) Полюс низковольтного переключателя и низковольтный переключатель с таким полюсом
US9269514B2 (en) Device for protection against particles generated by an electric switching arc
US5298703A (en) Gas circuit breaker
US20150228427A1 (en) Circuit breaker of gas-insulated switchgear with fixed part of decreased length
KR102362783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KR101919125B1 (ko) 고압 배전기의 가스절연 개폐장치
KR101291789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
US3836741A (en) Adjustable contact nozzle and retractable arcing chamber for gas blast circuit breakers
KR101697584B1 (ko) 초고압 차단기의 노즐 구조
KR102525553B1 (ko) 초고압 차단기
KR101793375B1 (ko) 가스절연 차단기
KR101501636B1 (ko) 체크밸브를 가지는 복합소호방식 가스 차단기
US4123636A (en) Double-flow puffer-type single-pressure compressed-gas circuit-interrupter
EP3422381B1 (en) Gas-insulated load break switch and switchgear comprising a gas-insulated load break switch
KR20210047623A (ko) 진공 인터럽터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차단기
KR101508442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차단기
KR20190094696A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보호커버
KR20180082001A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가스 차단기
KR102619244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의 부분 방전 발생 방지용 핀 구조
KR102558813B1 (ko) 투입 저항을 갖는 초고압 차단기
KR102467791B1 (ko) 주회로부 덮개를 갖는 회로 차단기
EP3477675B1 (en) Gas-insulated medium-voltage switch with shield device
KR20200117421A (ko)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