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9013A - 비접촉 수전 장치의 차량 탑재 구조 - Google Patents

비접촉 수전 장치의 차량 탑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9013A
KR20190099013A KR1020197020818A KR20197020818A KR20190099013A KR 20190099013 A KR20190099013 A KR 20190099013A KR 1020197020818 A KR1020197020818 A KR 1020197020818A KR 20197020818 A KR20197020818 A KR 20197020818A KR 20190099013 A KR20190099013 A KR 20190099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receiving
receiving coil
vehicle
power
coi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0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1500B1 (ko
Inventor
아키히로 아사이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99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9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5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without mechanical contact between the collector and the power supply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22Circuits or methods for driving the primary coil, e.g.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c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1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with resilient means for suspension, e.g. of wheels or engine; sub-frames for mounting engine or suspens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6Arrangements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2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converters located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02T90/122

Abstract

비접촉 급전 장치(1)는, 주차 스페이스에 설치된 송전 코일과, 차량(5)의 차체의 하부에 탑재한 수전 코일(83)의 자기적 결합에 의해, 차량(5)에 대하여 비접촉으로 전력 공급을 행한다. 수전 코일(83)은, 직경 방향의 중심부에 중공부(97)가 형성되는 서큘러형 코일이다. 수전 코일(83), 공진 콘덴서(89), 및 차량측 자성 부재(87)와 송전 코일측 자성 부재(85)는, 수전 코일 유닛(17)의 내부에 배치된다. 수전 코일 유닛(17)은, 차체의 골격 부재로서의 멤버 부재인 서스펜션 멤버(55)에 설치된다. 수전 코일 유닛(17)에 있어서의 중공부(97)에 대응하는 중공부 대응 부분(113)을 서스펜션 멤버(55)에 맞닿게 하고 있다.

Description

비접촉 수전 장치의 차량 탑재 구조
본 발명은, 비접촉 수전 장치의 차량 탑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노면에 설치한 비접촉 송전 장치와 차량에 탑재한 비접촉 수전 장치를 구비하는 비접촉 급전 장치가 공지이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비접촉 수전 장치는, 수전 코일 유닛을 갖는다.
이 특허문헌 1에서는, 차량의 플로어 패널에 형성된 터널부의 좌우 한 쌍의 기부끼리에 걸치도록 하여 상기 수전 코일 유닛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터널부 및 기부는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고, 수전 코일 유닛의 좌우 양단부를 좌우 한 쌍의 기부에 볼트로 체결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6-112899호 공보
그러나, 수전 코일 유닛은, 수전 코일을 구비하고 있고, 수전 코일의 직경 방향 중심부가 중공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수전 코일 유닛의 부위 중, 수전 코일의 직경 방향 중심부에 대응하는 부분은 단부보다도 강성이 낮다. 따라서, 좌우 양단부가 지지된 수전 코일 유닛은, 차량이 주행할 때 좌우 방향의 중앙 부분이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여 이음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전 코일 유닛을 차량에 탑재하였을 때의 보유 지지 강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는 비접촉 수전 장치의 차량 탑재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비접촉 수전 장치의 차량 탑재 구조에서는, 차체의 골격 부재로서의 멤버 부재에 수전 코일 유닛이 탑재된다. 수전 코일 유닛은 수전 코일을 갖는다. 수전 코일은, 직경 방향의 중심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서큘러형 코일이다. 수전 코일 유닛의 부위 중, 수전 코일의 중공부에 대응하는 중공부 대응 부분이 멤버 부재에 맞닿아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서는, 수전 코일 유닛의 보유 지지 강성이 향상되어, 차량 주행 시의 수전 코일 유닛의 진동 등이 저감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비접촉 급전 장치를 도시하는 전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수전 코일 유닛의 탑재 부분의 근방을 하측으로부터 본 저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수전 코일 유닛을 조립한 서스펜션 멤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수전 코일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3의 A-A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3의 B-B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6c는 도 3의 C-C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6d는 도 3의 D-D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6e는 도 3의 E-E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수전 코일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a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수전 코일 유닛의 단면도이며,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도 6a에 대응하고 있다.
도 8b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수전 코일 유닛의 단면도이며,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도 6d에 대응하고 있다.
도 9는 도 8a의 주요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에 도시한 비접촉 급전 장치(1)는, 주차 스페이스에 설치된 비접촉 송전 장치(3)와, 차량(5)에 탑재된 비접촉 수전 장치(7)를 구비한다. 차량(5)은,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차 등에 적용 가능하다.
비접촉 송전 장치(3)는, 주차 스페이스의 노면(9)에 설치됨과 함께 송전 코일을 갖는 송전 코일 유닛(11)과, 전원 장치(13)와, 이들 송전 코일 유닛(11) 및 전원 장치(13)를 접속하는 배선(15)을 구비하고 있다. 송전 코일은, 도전선을 포함하는 1차 코일을 주체로 하여 구성된다.
비접촉 수전 장치(7)는, 수전 코일 유닛(17)과, 정류기(19)와, 릴레이 박스(21)와, 배터리(23)와, 인버터(25)와, 모터(27)와, 감속기(2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수전 코일 유닛(17)은 수전 코일(83)을 갖지만, 수전 코일 유닛(17)의 구조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정류기(19)는, 수전 코일 유닛(17)의 정션 박스(31)에 제1 하니스(33)를 통해 접속된다. 정류기(19)는, 수전 코일(83)에서 수전된 교류 전력을 직류로 정류하는 정류 회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하니스(33)는, 통상 상태(충돌 시 등의 이상 시 이외의 상태)에 있어서, 여유 길이를 갖고 이완된 상태에서 배선되어 있다.
릴레이 박스(21)는, 릴레이 스위치를 갖고 있다.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로 함으로써, 배터리(23)를 포함하는 주 회로계와, 충전의 회로부가 되는 수전 코일 및 정류기(19)를 분리할 수 있다.
배터리(23)는 복수의 이차 전지를 접속함으로써 구성된다. 배터리(23)는 차량(5)의 전력원이 된다. 배터리(23)와 릴레이 박스(21)는, 제2 하니스(35)를 통해 접속된다. 제2 하니스(35)는, 통상 상태(충돌 시 등의 이상 시 이외의 상태)에 있어서, 여유 길이를 갖고 이완된 상태에서 배선되어 있다.
인버터(25)는, IGBT 등의 스위칭 소자를 가진 PWM 제어 회로 등의 제어 회로이다. 인버터(25)는, 스위칭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배터리(23)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하여, 모터(27)에 공급한다. 인버터(25)와 배터리(23)는, 제3 하니스(37)를 통해 접속된다. 제3 하니스(37)는, 통상 상태(충돌 시 등의 이상 시 이외의 상태)에 있어서, 여유 길이를 갖고 이완된 상태에서 배선되어 있다.
모터(27)는 예를 들어 삼상의 교류 전동기에 의해 구성된다. 모터(27)는 차량(5)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원이 된다. 감속기(29)는, 모터(27)의 회전 속도를 적절한 값으로 조정한다. 또한, 도 1의 차량(5)에 있어서, 수전 코일 유닛(17)의 전방부는, 측방으로부터 보아, 전륜(39)과 오버랩되어 배치되어 있고, 수전 코일 유닛(17)은 전륜(39)보다도 차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23)의 측방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드실(41)이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되어 있다. 사이드실(41)의 전방에는, 후드 릿지 서포트(43)가 전후 방향을 따라서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되어 있다. 배터리(23)의 전단부(23a)의 근방에는, 대시 패널(45)의 후단(45a)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로어 패널(47)의 전방부의 하측에는, 대시 패널(45)의 후방부가 겹쳐서 접합되어 있다. 대시 패널(45)은, 상하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프론트 컴파트먼트(1F)와 차실(1R)을 격리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을 따라서 좌우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49)가 연장되어 있다. 프론트 사이드 멤버(49)의 후단(49a)은, 배터리(23)의 전단(23a)의 근방에 배치되고, 프론트 사이드 멤버(49)의 전단(49b)은, 차량의 전단에 배치되어 있다. 차량의 전단에는, 좌우 한 쌍의 프론트 크로스 멤버(51)가 배치되어 있다. 연결 멤버(53)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좌우의 연결 멤버(53)의 전방부는,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론트 멤버(54)로 연결되어 있다. 연결 멤버(53)의 후방부(53a)는, 서스펜션 멤버(55)의 전방측 다리부(57)(도 4 참조)에 접합되어 있다.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어 암(59)은, 서스펜션 멤버(55)의 측부와 후드 릿지 서포트(43)에 결합되어 있다.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스펜션 멤버(55)는, 차체의 골격 부재로서의 멤버 부재이며, 높은 강성을 갖는다. 서스펜션 멤버(55)는, 통상 시에는 차체에 결합됨과 함께, 소정의 충돌 하중이 서스펜션 멤버(55)에 입력되었을 때는 차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스펜션 멤버(55)는, 전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전방측 다리부(57)와, 좌우 한 쌍의 전방측 다리부(57)의 기부끼리를 차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전방측 연결부(61)와, 전방측 다리부(57)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본체 측부(63)와, 본체 측부(63)의 후단끼리를 차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후방측 연결부(65)로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 측부(63)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후방측 다리부(67)가 연장되어 있고, 후방측 다리부(67)의 차폭 방향 내측에는, 본체 측부(63)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후방 연장 설치부(69)가 연장되어 있다. 후방측 다리부(67)는, 도시하지 않은 브래킷을 통해 프론트 사이드 멤버(49)에 체결된다. 또한, 후방 연장 설치부(69)는, 각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후단부에 볼트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볼트 구멍에는 용접 너트(71)가 접합되어 있다. 전방측 연결부(61)의 후방부에는, 차폭 방향을 따라서 후방 플랜지(73)가 형성되고, 후방 플랜지(73)에는 볼트 구멍(75)이 형성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 및 도 6a 내지 도 6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전 코일 유닛(17)은, 커버(81)와, 수전 코일(83)과, 송전 코일측 자성 부재(85)와, 차량측 자성 부재(87)와, 공진 콘덴서(89)와, 베이스 플레이트(91)를 구비한다.
커버(81)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평면부(93)와, 평면부(93)의 주연에서 굴곡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95)로 일체 형성되어 있다. 커버(81)는 전자 유도의 방해가 되지 않는 비자성체(예를 들어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수전 코일(83)은, 도전선을 환형으로 권회한 서큘러형 코일이다. 수전 코일(83)은, 도전선을 포함하는 2차 코일을 주체로 하여 구성된다. 수전 코일(83)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중심부에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 직사각형 중공부(97)가 형성되어 있다.
송전 코일측 자성 부재(85)(자성 부재)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 직사각형 평판으로 형성된 자성체이다. 송전 코일측 자성 부재(85)는, 수전 코일(83)의 중공부(97)의 내측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송전 코일측 자성 부재(85)의 두께는 수전 코일(83)의 두께와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들 송전 코일측 자성 부재(85) 및 수전 코일(83)의 상측에는, 차량측 자성 부재(87)(자성 부재)가 배치된다. 차량측 자성 부재(87)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 직사각형 평판으로 형성된 자성체이다. 차량측 자성 부재(87)의 면방향의 크기는, 커버(81)의 평면부(93)와 거의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 차량측 자성 부재(87)는, 차량 전방측에 배치되는 전방부(99)와, 전방부(99)의 후방에 배치되는 중앙부(101)와, 중앙부(101)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부(103)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차량측 자성 부재(87)의 저면은 평탄하며, 상면은 각 부위별로 높이의 차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중앙부(101)의 높이 Hc가 가장 낮고, 전방부(99)의 높이 Hf가 중앙부(101)의 높이 Hc보다도 높고, 후방부(103)의 높이 Hr이 전방부(99)의 높이 Hf보다도 높게 설정되어 있다. 즉, Hc<Hf<Hr의 대소 관계로 설정되어 있다. 송전 코일측 자성 부재(85) 및 차량측 자성 부재(87)는, 예를 들어 페라이트 등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송전 코일측 자성 부재(85)에 있어서의 「송전 코일측」이란, 「차량(5)」보다도 「송전 코일」에 가까운 측이라는 의미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측(노면측)이다. 차량측 자성 부재(87)에 있어서의 「차량측」이란, 「송전 코일」보다도 「차량(5)」에 가까운 측이라는 의미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측이다. 이와 같이, 자성 부재는, 송전 코일측 자성 부재(85) 및 차량측 자성 부재(87)를 포함한다.
공진 콘덴서(89)는, 수전 코일(83)에 직렬로 접속되어, 수전 코일(83)과 공진 회로를 형성하고 있다. 공진 콘덴서(89)는 전자 부품이다. 공진 콘덴서(89)는, 차량측 자성 부재(87)에 있어서의 후방부의 상측에 적재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91)는, 차량측 자성 부재(87)와 마찬가지로, 전방부(105), 중앙부(107) 및 후방부(109)로 일체로 형성된다. 베이스 플레이트(91)는, 전자 유도의 방해가 되지 않는 비자성체(예를 들어 알루미늄)로 형성되어 있다. 중앙부(107)의 높이가 가장 낮고, 전방부(105)의 높이가 중앙부(107)의 높이보다도 높고, 후방부(109)의 높이가 전방부(105)의 높이보다도 높게 설정되어 있다. 후방부(109)의 상면에는 정션 박스(31)가 배치되어 있다.
정션 박스(31)의 전방면에는 커넥터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부(111)에는 제1 하니스(33)가 접속된다. 또한, 중앙부(107)로부터 후방부(109)에 걸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직사각형 중공부 대응 부분(113)이 설정된다. 이 중공부 대응 부분(113)은, 수전 코일(83)의 중공부(97)에 대향하는 부위이다. 후방부(109)의 좌우 양측 및 전방부(105)의 전방측에는, 지지편(115)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들 지지편(115)에는, 각각 볼트 구멍(117)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비접촉 급전 장치는, 송전 코일과 수전 코일(83)에 있어서의 전자 유도 작용(자기적 결합)에 의해, 송전 코일로부터 수전 코일(83)에 비접촉으로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수전 코일(83), 공진 콘덴서(89), 송전 코일측 자성 부재(85) 및 차량측 자성 부재(87)(자성 부재)는, 수전 코일 유닛(17)의 내부에 배치된다.
계속해서, 수전 코일 유닛(17)의 서스펜션 멤버(55)에의 설치 수순을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수전 코일 유닛(17)의 후단부에 대해서는, 수전 코일 유닛(17)의 후방부의 지지편(115)을 서스펜션 멤버(55)의 후방 연장 설치부(69)에 체결한다. 구체적으로는, 수전 코일 유닛(17)의 후방부의 지지편(115)의 볼트 구멍(117)에 하측으로부터 볼트 BL을 삽입하여, 서스펜션 멤버(55)의 후방 연장 설치부(69)에 접합된 용접 너트(71)에 볼트 BL을 체결시킨다.
다음에, 수전 코일 유닛(17)의 전단부에 대해서는, 수전 코일 유닛(17)의 전방부의 지지편(115)을 서스펜션 멤버(55)의 후방 플랜지(73)에 체결한다. 구체적으로는, 수전 코일 유닛(17)의 전방부의 지지편(115)의 볼트 구멍(117)에 하측으로부터 볼트 BL을 삽입하여, 서스펜션 멤버(55)의 후방 플랜지(73)에 형성된 볼트 구멍(75)에 볼트 BL을 체결시킨다.
이와 같이, 수전 코일 유닛(17)은, 차체의 골격 부재로서의 멤버 부재인 서스펜션 멤버(55)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6d 및 도 6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스펜션 멤버(55)에 있어서의 후방측 연결부(65)는, 강성이 높은 폐단면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후방측 연결부(65)를 포함하는 서스펜션 멤버(55)의 전체는, 하측에 배치된 로어재(121)와 상측에 배치된 어퍼재(123)가 접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후방측 연결부(65)에 있어서는, 로어재(121)의 전후 양단부와 어퍼재(123)의 전후 양단부가 서로 접합되어 내측에 중공부(125)가 형성되어 있다. 수전 코일 유닛(17)의 베이스 플레이트(91)의 상면에 설정한 중공부 대응 부분(113)에, 로어재(121)의 저면(121a)이 맞닿아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체적으로는, 로어재(121)의 저면(121a)은 베이스 플레이트(91)의 중앙부(107)의 상면에 맞닿아 있다. 또한, 로어재(121)의 후단은, 베이스 플레이트(91)의 중앙부(107)와 후방부(109)의 경계에 형성된 종벽(127)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6d 및 도 6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91)의 후방부(109)의 내부에는 공진 콘덴서(89)가 수납되어 있다. 공진 콘덴서(89)의 배치 높이는, 서스펜션 멤버(55)에 있어서의 후방측 연결부(65)의 배치 높이와 동등하다. 이와 같이, 공진 콘덴서(89)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은, 후방측 연결부(65)(멤버 부재)의 근방이며, 또한 후방측 연결부(65)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하에,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1)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비접촉 급전 장치(1)는, 주차 스페이스에 설치된 송전 코일과, 차량(5)의 차체의 하부에 탑재한 수전 코일(83)의 자기적 결합에 의해, 차량(5)에 대하여 비접촉으로 전력 공급을 행하는 것이다. 수전 코일(83)은, 직경 방향의 중심부에 중공부(97)가 형성되는 서큘러형 코일이다. 수전 코일(83), 공진 콘덴서(89), 및 차량측 자성 부재(87)와 송전 코일측 자성 부재(85)(자성 부재)는, 수전 코일 유닛(17)의 내부에 배치된다. 수전 코일 유닛(17)은, 차체의 골격 부재로서의 멤버 부재인 서스펜션 멤버(55)에 설치된다. 수전 코일 유닛(17)의 부위 중 수전 코일(83)의 중공부(97)에 대응하는 중공부 대응 부분(113)을, 서스펜션 멤버(55)(멤버 부재)에 맞닿게 하고 있다.
수전 코일 유닛(17)은, 수전 코일(83)을 갖고, 수전 코일(83)의 직경 방향 중앙 부분에는 중공부(97)가 형성된다. 따라서, 수전 코일 유닛(17)의 단부를 차체에 고정하면, 수전 코일 유닛(17)에 있어서의 수전 코일(83)의 중공부(97)에 대응하는 부위의 강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수전 코일 유닛(17)에 있어서의 수전 코일(83)의 중공부(97)에 대응하는 부위는, 서스펜션 멤버(55)(멤버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이 맞닿음으로써, 차체에 보유 지지될 때의 보유 지지 강성이 향상된다. 이에 의해, 차량 주행 시의 수전 코일 유닛(17)의 진동 등이 저감된다.
(2) 서스펜션 멤버(55)(멤버 부재)는, 통상 시에는 차체에 결합됨과 함께, 소정의 충돌 하중이 서스펜션 멤버(55)에 입력되었을 때는 차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수전 코일 유닛(17)이 서스펜션 멤버(55)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소정의 충돌 하중이 서스펜션 멤버(55)에 후방을 향하여 입력되었을 때, 수전 코일 유닛(17) 및 서스펜션 멤버(55)가 일체로 된 상태에서 후방 이동한다. 즉, 수전 코일 유닛(17)과 서스펜션 멤버(55)의 상대 거리가 변화되지 않은 채로, 수전 코일 유닛(17) 및 서스펜션 멤버(55)가 일체로 된 채 그대로 후방 이동한다. 따라서, 수전 코일 유닛(17)이 서스펜션 멤버(55)에 의해 보호되기 때문에, 수전 코일 유닛(17)의 변형이나 손상 등이 억제된다.
(3) 자성 부재는, 차량측에 배치한 차량측 자성 부재(87)와, 송전 코일측에 배치한 송전 코일측 자성 부재(85)를 구비한다. 송전 코일측 자성 부재(85)는, 수전 코일(83)의 중공부(97) 내에 배치되어 있다.
송전 코일측 자성 부재(85)는, 차량측 자성 부재(87)보다도 송전 코일측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송전 코일측 자성 부재(85)는, 차량측 자성 부재(87)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송전 코일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송전 코일로부터 보내지는 자속을 송전 코일측 자성 부재(85)에서 적극적으로 받기 쉽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송전 코일측 자성 부재(85)는, 수전 코일(83)의 중공부(97) 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수전 코일(83)의 중공부(97)의 내부라는 데드 스페이스에 송전 코일측 자성 부재(85)를 수용함으로써, 수전 코일 유닛(17)의 내부에 부품을 배치할 때의 스페이스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4) 공진 콘덴서(89)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은, 서스펜션 멤버(55)(멤버 부재)의 후방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서스펜션 멤버(55)는, 차체의 골격 부재로서의 멤버 부재이다. 따라서, 공진 콘덴서(89)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이 서스펜션 멤버(55)에 의해 보호되어, 전자 부품의 손상 등을 억제할 수 있다.
(5) 정류기(19)는 정션 박스(31)에 제1 하니스(33)를 통해 접속된다. 제1 하니스(33)는, 통상 상태(충돌 시 등의 이상 시 이외의 상태)에 있어서, 여유 길이를 갖고 이완된 상태에서 배선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 충돌 시에 수전 코일 유닛(17)이 이동해도, 제1 하니스(33)에 장력이 작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제1 하니스(33)가 파단되기 어렵다는 효과가 있다.
[제2 실시 형태]
계속해서,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하지만,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구성의 부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서스펜션 멤버(55)의 후방측 연결부(65)의 차폭 방향 중앙부에 수전 코일 유닛(217)을 볼트 BL로 체결하고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수전 코일 유닛(217)에서는, 커버(281)의 평면부(293)의 중앙부에, 상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20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201)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주위 방향으로 권회하는 원통면(203)과, 원통면(203)의 상측 개구를 폐색하는 상면(205)으로 일체 형성된다. 상면(205)의 직경 방향 중심에는, 볼트 구멍(207)이 형성되어 있다. 송전 코일측 자성 부재(285)에는, 볼록부(201)의 외경과 동등한 크기의 원형 구멍(209)이 형성되어 있다. 차량측 자성 부재(287) 및 베이스 플레이트(291)에도 볼트 구멍(211, 213)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8a, 도 8b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스펜션 멤버(55)의 후방측 연결부(65)의 로어재(121)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 중앙부에는, 볼트 구멍 및 용접 너트(215)가 마련되어 있다.
이하에, 수전 코일 유닛(217)을 후방측 연결부(65)에 볼트 체결하는 수순을 설명한다.
먼저, 수전 코일 유닛(217)의 하측으로부터 볼트 BL을 삽입하여, 베이스 플레이트(291)로부터 볼트 BL의 선단 부분을 돌출시킨다. 다음에, 이 볼트 BL의 선단 부분을, 후방측 연결부(65)의 로어재(121)에 있어서의 볼트 구멍에 삽입하여 용접 너트(215)에 체결한다.
이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1) 서스펜션 멤버(55)의 후방측 연결부(65)의 차폭 방향 중앙부에 수전 코일 유닛(217)을 볼트 BL로 체결하고 있다.
따라서, 수전 코일 유닛(217)의 서스펜션 멤버(55)에 대한 보유 지지 강성이 제1 실시 형태보다도 향상되어, 차량 주행 시의 수전 코일 유닛(17)의 진동 등이 더욱 저감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 실시 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형 및 개량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예를 들어, 자성 부재를 구성하는 송전 코일측 자성 부재(85) 및 차량측 자성 부재(87)를 별체 구조로 하였지만, 송전 코일측 자성 부재(85) 및 차량측 자성 부재(87)를 일체로 해도 된다.
5 : 차량
7 : 비접촉 수전 장치
17 : 수전 코일 유닛
55 : 서스펜션 멤버(멤버 부재, 차체 골격 부재)
83 : 수전 코일
85 : 송전 코일측 자성 부재(자성 부재)
87 : 차량측 자성 부재(자성 부재)
89 : 공진 콘덴서
97 : 중공부
113 : 중공부 대응 부분

Claims (4)

  1. 노면측의 송전 코일과의 자기적 결합에 의해 비접촉으로 전력을 받는 수전 코일을 갖는 비접촉 수전 장치를, 차량의 차체의 하부에 탑재하는 비접촉 수전 장치의 차량 탑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전 코일은, 직경 방향의 중심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서큘러형 코일이며, 상기 수전 코일, 공진 콘덴서 및 자성 부재는, 상기 비접촉 수전 장치를 구성하는 수전 코일 유닛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전 코일 유닛은, 상기 차체의 골격 부재로서의 멤버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수전 코일 유닛의 부위 중 상기 수전 코일의 중공부에 대응하는 중공부 대응 부분을, 상기 멤버 부재에 맞닿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수전 장치의 차량 탑재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멤버 부재는, 통상 시에는 상기 차체에 결합됨과 함께, 소정의 충돌 하중이 멤버 부재에 입력되었을 때는 상기 차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서스펜션 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수전 장치의 차량 탑재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부재는, 차량측에 배치한 차량측 자성 부재와, 송전 코일측에 배치한 송전 코일측 자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송전 코일측 자성 부재는, 상기 수전 코일의 중공부 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수전 장치의 차량 탑재 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콘덴서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은, 상기 멤버 부재의 후방 근방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수전 장치의 차량 탑재 구조.
KR1020197020818A 2017-01-30 2017-01-30 비접촉 수전 장치의 차량 탑재 구조 KR1021515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03149 WO2018138908A1 (ja) 2017-01-30 2017-01-30 非接触受電装置の車載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013A true KR20190099013A (ko) 2019-08-23
KR102151500B1 KR102151500B1 (ko) 2020-09-03

Family

ID=62978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0818A KR102151500B1 (ko) 2017-01-30 2017-01-30 비접촉 수전 장치의 차량 탑재 구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870354B2 (ko)
EP (1) EP3575128B1 (ko)
JP (1) JP6709518B2 (ko)
KR (1) KR102151500B1 (ko)
CN (1) CN110234532B (ko)
CA (1) CA3051817C (ko)
MX (1) MX2019008842A (ko)
MY (1) MY183265A (ko)
RU (1) RU2717610C1 (ko)
WO (1) WO20181389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83888B2 (ja) * 2019-03-19 2022-12-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下部構造
DE102019204789B4 (de) * 2019-04-04 2021-11-04 Audi Ag Deformation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mit einer Deformationsvorrichtu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11939A (ja) * 2012-07-03 2014-01-20 Toyota Motor Corp 車両および電力伝送システム
JP2016112899A (ja) 2013-04-12 2016-06-2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非接触給電装置
JP2016119757A (ja) * 2014-12-19 2016-06-30 Tdk株式会社 受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338345B (es) 2009-02-24 2016-04-13 Nissan Motor Estructura de montaje de bateria de vehiculo.
KR101386432B1 (ko) * 2009-07-15 2014-04-18 컨덕틱스-웜프러 게엠베하 전자식 위치결정 보조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유도 충전 시스템
KR20140099276A (ko) * 2011-11-22 2014-08-11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차량 및 전력 전송 시스템
GB2505149A (en) * 2012-05-11 2014-02-26 Bombardier Transp Gmbh Inductive pick-up arrangement for an electric vehicle
JP6115087B2 (ja) * 2012-11-13 2017-04-19 株式会社Ihi 非接触給電システム
JP2014143843A (ja) * 2013-01-24 2014-08-07 Nissan Motor Co Ltd 非接触給電装置
KR20150125991A (ko) * 2013-04-12 2015-11-10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비접촉 급전 장치
US9676285B2 (en) * 2013-05-01 2017-06-13 Qualcomm Incorporated Vehicle charging pad having reduced thickness
JP6131915B2 (ja) * 2014-06-11 2017-05-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送電装置および受電装置
JP6176272B2 (ja) * 2015-02-27 2017-08-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力伝送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11939A (ja) * 2012-07-03 2014-01-20 Toyota Motor Corp 車両および電力伝送システム
JP2016112899A (ja) 2013-04-12 2016-06-2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非接触給電装置
JP2016119757A (ja) * 2014-12-19 2016-06-30 Tdk株式会社 受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234532A (zh) 2019-09-13
CN110234532B (zh) 2021-01-05
MX2019008842A (es) 2019-09-09
CA3051817C (en) 2020-05-26
US20200047633A1 (en) 2020-02-13
CA3051817A1 (en) 2018-08-02
RU2717610C1 (ru) 2020-03-24
WO2018138908A1 (ja) 2018-08-02
EP3575128A1 (en) 2019-12-04
JPWO2018138908A1 (ja) 2020-02-13
EP3575128B1 (en) 2022-09-28
MY183265A (en) 2021-02-18
EP3575128A4 (en) 2020-02-12
KR102151500B1 (ko) 2020-09-03
JP6709518B2 (ja) 2020-06-17
US10870354B2 (en) 202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7393B1 (ko) 비접촉 급전 장치
US9725004B2 (en) Vehicle mounting structure of contactless power reception device
RU2652360C2 (ru) Устройство бесконтактной подачи электрической мощности
JP6135425B2 (ja) 非接触受電装置の車載構造
EP2985162B1 (en) Contactless power supply device
US20140014794A1 (en) Onboard equipment fixing structure
EP3505426B1 (en) Placement of power receiving apparatus on the underside of a vehicle
KR102151500B1 (ko) 비접촉 수전 장치의 차량 탑재 구조
JP2016112899A (ja) 非接触給電装置
JP2014113862A (ja) 車両用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
JP3754053B2 (ja) 高圧電装ボックスの車載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