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8172A - 선루프를 가진 모터 차량 구조체, 루프 프레임 및 대응하는 루프 - Google Patents

선루프를 가진 모터 차량 구조체, 루프 프레임 및 대응하는 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8172A
KR20190098172A KR1020197019972A KR20197019972A KR20190098172A KR 20190098172 A KR20190098172 A KR 20190098172A KR 1020197019972 A KR1020197019972 A KR 1020197019972A KR 20197019972 A KR20197019972 A KR 20197019972A KR 20190098172 A KR20190098172 A KR 20190098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oop
roof frame
support
moto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9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4017B1 (ko
Inventor
루악 브졸
그레고르 으왁
Original Assignee
르노 에스.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 에스.아.에스. filed Critical 르노 에스.아.에스.
Publication of KR20190098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8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22Sliding roof trays o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08Sun roofs;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체를 포함하고, 동체 부분의 상부는 루프 프레임(10)을 지지하는 모터 차량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프레임(10)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형성하고, 개구의 일부를 폐쇄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 루프와 개구의 다른 부분을 폐쇄하는 후방 차창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리를 끼운 부분을 위한 지지부로서 작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루프 프레임(10)의 후방 부분(12)은 동체의 하부 후방 횡단 부재(6)상에 놓인다. 가동 루프를 작동시키는 작동 부재(21)를 위한 지지부(20)는 차량의 후방에서, 후방 선반 구조체(7)와 그것의 라이닝(8) 사이에서, 프레임(10)의 후방 부분(12)에 인접하여 수용된다. 이러한 지지부(20)는 바람직스럽게는 루프 프레임(10)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또한 작동 부재를 위한 지지부 및 프레임이 형성된 루프를 포함하는 루프 프레임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Description

선루프를 가진 모터 차량 구조체, 루프 프레임 및 대응하는 루프
본 발명은 선루프를 가진 모터 차량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모터 차량 동체의 상부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선루프를 포함하는 차량의 동체 상부 구조체에 관한 것이며, 루프의 나머지는 시트 금속, 복합체 또는 (고정된) 유리를 끼운 루프(glazed roof)일 수 있다. 통상적인 방식에서, 선루프 또는 고정된 루프들은 루프 프레임상에 배치될 수 있는데, 루프 프레임 자체는 차량의 동체 상부에 의해 형성되거나 또는 동체 상부에 조립된다.
프레임은 압출된 프로파일 유형의 프로파일 섹션(profiled sections)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압출된 프로파일들은 차량의 "문틀(sill)"로서 알려진 동체의 횡단 비임들 사이에 연장된 길이 방향 지지 스트립들을 형성할 수 있다. 선루프의 유리의 가장자리는 이러한 지지 스트립들과 문틀상에 지지된다.
상기 압출된 넓은 지지부들은 광의 통과 및/또는 선루프에 의해 개방될 수 있는 개구로 이용 가능한 공간을 감소시킨다. 더욱이, 선루프 작동 모터는 프레임의 중앙 또는 후방에 배치되어야 하며, 전체적으로 차량의 후방 윈도우와 프레임 사이의 분리부에 배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분리는 전체적으로 후방 좌석 승객들 뒤에 매우 근접하거나 또는 그 위에 있어서, 승객 공간의 높이가 감소되고, 후방 좌석 승객들의 높은 조망(high view)이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단점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선루프를 가진 모터 차량 구조체는,
측방향 도어 개구들의 상부 가장자리들을 포함하고 동체의 상부 부분에 있는 측방향 문틀(lateral sills), 문틀 전방 횡단 부재 및, 후방 부분에 있는 하부 후방 횡단 부재를 포함하는 동체로서, 상기 하부 후방 횡단 부재는 선반 구조체와 일체이고, 상기 선반 구조체는 차량의 후방 승객 공간 내부에서 연장되고 라이닝으로 덮이는, 동체; 및,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형성하는 루프 프레임으로서, 상기 개구의 일부를 폐쇄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 루프(movable roof)와 상기 개구의 다른 부분을 폐쇄하는 후방 차창(rear windshield)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리가 끼워진(glazed) 후방 부분을 위한 지지부로서 작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길이 방향 비임들에 의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전방 단부 횡단 부재 및 하나의 후방 단부 횡단 부재를 포함하는, 루프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루프 프레임은, 동체의 하부 후방 횡단 부재, 문틀 전방 횡단 부재 및 측방향 문틀의 상부면들상에 장착된 연속적인 프레임을 형성하고, 루프 프레임의 후방 단부 횡단 부재는 동체의 하부 후방 횡단 부재상에 장착된다. 더욱이, 가동 루프의 작동 부재를 위한 지지부는 후방 선반 구조체와 그것의 라이닝 사이에서, 루프 프레임의 후방 단부 횡단 부재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가동 루프 작동 부재는 승객 공간의 후방 영역에 배치될 수 있는데, 이것은 선반 구조체와 그것의 라이닝에 의해 형성된 차량의 후방 윈도우 영역으로서 공지된 것이며, 즉, 차량의 제 2 열 좌석들의 배면의 후방으로 배치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작동 부재를 수용하도록 이전에 사용되었던 공간을 제거함으로써 승객 공간 내부에서 루프 아래의 이용 가능한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더욱이, 루프 프레임은 동체의 하부 후방 횡단 부재까지 연장되는데, 이것은 항상 차창을 형성하는 후방의 유리를 끼운 부분의 하부 가장자리를 형성한다. 즉, 동체에는 승객 공간의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문틀 후방 횡단 부재가 없으며, 이러한 유형의 횡단 부재는 차창을 형성하는 후방의 유리를 끼운 부분의 상부 가장자리를 늘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차량의 구조체는 보다 상세하게는 동체의 하부 후방 횡단 부재의 후방으로 위치하는 개구를 통하여, 즉, 후방 차창을 지지하지 않는 개구를 통하여 접근될 수 있는 좌석들의 후방으로 보관 트렁크를 포함하는 차량을 위하여 설계된다는 점이 주목될 것이다.
특히, 루프 프레임은 오직 2 개의 개구들을 형성할 수 있다; 유리를 끼운 후방 부분은 프레임의 후방 단부 횡단 부재로부터, 프레임을 선루프로부터 분리하는 프레임의 내측 횡단 부재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뒷 좌석의 승객들은 광범위의 시야 및 최적의 승객 공간 높이의 장점을 취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선반 구조체는 작동 부재 지지부를 수용하는 수용부(receptacle)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라이닝을 개조하지 않으면서 작동 부재 및 지지부를 수용할 수 있게 한다.
일 변형예에 따르면, 작동 부재의 지지부는 선반 구조체에 수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작동 유닛의 지지부는 루프 프레임과 일체일 수 있고, 특히 후방 단부 횡단 부재의 일부와 일체일 수 있다. 따라서 루프 프레임을 차량의 동체상에 장착하기 전에 루프 프레임상에 작동 유닛을 장착할 수 있다. 특히, 루프 프레임 및, 그것의 가동 루프 부분과 고정 루프 부분은 루프 프레임을 차량 구조체에 설치하기 전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예에서, 선반 구조체 또는 그것의 수용부는 작동 부재의 지지부의 보유(retention)에 참여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루프 프레임은 예를 들어 2 개의 절반 외피들의 조립에 의해 형성된, 예를 들어 튜브 유형의 중공 단면(hollow cross-section)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은 강한 구조체를 얻을 수 있게 한다.
가동 루프의 작동을 위해 유용한 와이어 요소들은 중공 단면을 가진 루프 프레임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을 위한 추가적인 수용부들을 제공할 필요가 없으며, 이는 루프 프레임 둘레의 이용 가능한 빈 공간을 쉽게 감소시킬 수 있다.
더욱이, 차량 구조체는 라이닝 안에 포함된 조명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특히 작동 부재의 지지부 위에 위치된 조명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 유닛과 작동 부재의 전기 공급부들은 구조체의 단일 위치에 함께 모일 수 있어서,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루프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이것은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구조체를 형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루프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형성하고, 모터 차량 동체의 측방향 문틀의 상부면들과, 동체의 후방 횡단 부재 및 문틀 전방 횡단 부재의 상부면들상에서 조립되도록 구성된다. 루프 프레임은 후방 차창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리를 끼운 후방 부분 및 적어도 하나의 가동 루프를 위한 지지부로서 작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후방 창틀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구를 폐쇄시킨다. 루프 프레임은 길이 방향 비임들에 의해 연결된 하나의 후방 단부 횡단 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전방 단부 횡단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은 연속적인 프레임을 형성한다. 또한, 프레임의 후방 단부 횡단 부재의 일부는 가동 루프의 작동 부재를 지지하도록 설계된 지지부와 일체이고, 상기 지지부는 차량 동체상에 조립되도록 설계된 프레임 측에서, 프레임의 전방 단부 횡단 부재를 향하여 연장된다.
이러한 유형의 지지부는 승객 공간의 내측 체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구조체의 영역을 향하여 작동 부재를 오프셋시킬 수 있게 한다.
유리하게는, 더 큰 강도(strength)를 위하여, 프레임은 예를 들어 튜브 유형의, 중공 단면을 가진 프레임일 수 있다. 특히 튜브 유형의, 중공 단면을 가진 프레임은 하부 절반 외피 및 상부 절반 외피의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스럽게는, 절반 외피들 각각은 조명을 위한 개구 둘레 전체에 연장될 수 있다.
절반 외피들은 (예를 들어 레이저 용접으로) 용접되거나 서로 접합될 수 있거나, 함께 스냅 결합(snapped)되거나, 또는 스크류 체결과 같은 공지의 다른 기술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외피들은 예를 들어, 유리 섬유의 질량으로 20 내지 50 % 로 충전된 폴리이미드 매트릭스 유형, 또는 PET (폴리에틸렌 테트라프탈레이트) 매트릭스 유형, 또는 PBT(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매트릭스 유형의 복합 물질로부터 몰딩될 수 있다.
다른 물질들, 특히 복합 유형의 다른 물질들이 생각될 수 있으며, 이들은 바람직스럽게는 용접될 수 있거나 또는 접합(glued)될 수 있다.
2 개의 절반 외피들은 선택적으로는 서로 다른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유리하게는, 2 개의 절반 외피들 각각은 3 차원 구조체를 형성하며, 그것의 형태는 실질적으로 2 개의 절반 외피들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에서 몰드로부터 회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루프 프레임, 프레임의 전방 단부 횡단 부재에 의해 부분적으로 지지되는 가동 루프, 후방 단부 횡단 부재에 의해 부분적으로 지지되는 유리를 끼운 후방 부분 및, 프레임의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가동 루프의 작동을 위한 부재를 포함하는 모터 차량 루프에 관한 것이다. 유리하게는, 유리를 끼운 후방 부분은 루프 프레임을 가동 루프로부터 분리시키는 루프 프레임의 전방 내측 횡단 부재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루프 프레임은 전방 내측 횡단 부재에 의해 분리되는 2 개의 개구들을 형성하고, 이들은 바람직스럽게는 차량의 전방 열 좌석들과 제 2 열 좌석들 사이의 영역에 위치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루프 프레임은 바람직스럽게는 제 2 열 좌석들에 인접하거나 또는 그 위에 위치된, 후방 내측 횡단 부재 없이 이루어진다.
유리하게는, 루프 프레임은 예를 들어 연속적인 튜브형의 중공 단면을 가진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루프 프레임은 가동 루프의 작동에 유용한 와이어 요소들을 수용한다.
이제 본 발명은 비제한적인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 은 동체, 루프 프레임 및 선반 구조체의 라이닝을 도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구조체의 단순화시켜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동체의 단순화된 사시도이다.
도 3 은 선 A-A 를 따라서 도 1 에 도시된 차량 구조체의 후방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에 도시된 루프 프레임의 단순화된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 는 도 4 의 루프 프레임을 구성하는 하부 절반 외피 및 상부 절반 외피를 각각 도시한다.
도 6 은 도 4 의 루프 프레임의 후방 부분의 아래로부터 도시한 단순화된 사시도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전방, 후방, 상부 및 하부는 루프 프레임(roof frame)이 차량의 동체상에 장착될 때 차량의 전방 방향 및 후방 방향을 지칭한다. 축(X,Y,Z)은 차량의 길이 방향(전방으로부터 후방) 축, 횡방향 축 및 수직 축에 각각 대응한다.
실질적으로 수평, 길이 방향 또는 수직 방향은 수평의 방향/평면, 길이 방향/평면 또는 수직 방향/평면과 많아야 ±20°또는 많아야 10°또는 많아야 5°의 각도를 형성하는 방향/평면을 의미한다.
도 1 은 선루프(sunroof)를 가진 모터 차량(1)의 구조를 나타낸다. 이러한 구조는 동체(2)를 포함한다. 동체는 측방향 도어, 전방 및 후방 차창에 대응하는 유리를 끼운 영역과 같은 개구들을 포함한다. 측방향 개구 및 전방 차창에 대응하는 개구들은 2 개의 측방향 문틀(sill, 3,4) 및 문틀 전방 횡단 부재(sill front crossmember, 5)에 의하여 각각 상부 부분에서 폐쇄된다 (도 2). "문틀(sill)"은 비임을 형성하는 부분들에 대응하며, 이것은 전방 차창(front windshield) 및 측방향 개구들의 개구 위에 브리지를 형성한다.
특히 주목되어야 할 바로서, 차량 구조체의 동체(2)는 후방 차창의 상부 부분을 폐쇄하는 후방 문틀(rear sill)이 없다. 후방 부분에는 오직 하부 후방 횡단 부재(6)만이 있으며, 이것은 후방 선반 구조체(7)와 일체형이다. 이러한 후방 선반 구조체(7)는 차량의 승객 공간내에서 횡방향으로 하부 후방 횡단 부재(6)로 연장되며, 라이닝(8)으로 덮인다. 후방 선반 구조체(7)는 동체 내부에서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고, 라이닝(8)으로 덮이며, 후방 차창 바로 아래에 위치되는 차량의 후방 윈도우 영역을 형성한다. 이러한 선반 구조체(7)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엔크로져(enclosure), 조명 유닛(9)(정지등)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을 지지할 수 있다.
차량 구조체(1)의 동체(2)에는 도 4, 도 5a, 도 5b 에 도시된 루프 프레임(roof frame, 10)이 위에 장착된다. 루프 프레임(10)은 루프 표면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지지 구조체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 구조체는 루프를 지지하는 작용을 한다.
프레임(10)은 그것의 중심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개구(16,17)들을 형성하며, 상기 개구들은 광(light)을 위한 개구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들은 예를 들어 투명 요소들로 덮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하나 또는 복수개의 고정 윈도우 및/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움직일 수 있는 윈도우들로 덮인다. 따라서 프레임(10)은 적어도 하나의 전방 단부 횡단 부재(11) 및 하나의 후방 단부 횡단 부재(12)를 포함하고, 이들은 길이 방향 비임(13,14)들에 의해 연결된다. 이러한 경우에, 프레임(10)은 연속적인 프레임을 형성한다.
도 1 에서, 프레임(10)은 동체(2)상에 조립된 위치에서 도시되어 있으며, 특히 동체의 상부면상에서 도시되어 있다. 전방 단부 횡단 부재(11)는 전방 문틀 횡단 부재(5)상에 배치되고, 좌측 길이 방향 비임(13)은 좌측 측방향 문틀(4)상에 배치되고, 후방 단부 횡단 부재(12)는 동체의 하부 후방 횡단 부재(6)상에 배치되고, 우측 길이 방향 비임(14)은 그것이 배치되는 우측 측방향 문틀(3)을 따라서 프레임을 폐쇄시킨다. 도 4 의 예에서, 프레임(10)은 2 개의 개구(16,17)들을 분리시키는 전방 내측 횡단 부재(15)를 포함한다.
프레임(10)은 개구(16)를 폐쇄시키는 가동 루프(movable roof) 및, 개구(17)를 폐쇄시키는 후방 차창을 형성하는 유리가 끼워진 후방 부분을 위한 지지부로서 작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 에 도시된 예에서, 프레임의 전방 개구(16)는 가동 루프(26)에 의해 폐쇄되고, 유리가 끼워진 후방 부분(27)은 개구(17)를 전체적으로 폐쇄시켜서, 뒷좌석 승객들에게 파노라마 전망을 제공한다.
그러나 개구(17)는 후방의 유리가 끼워진 부분에 의해 폐쇄되는 후방 부분을 포함하며, 개구의 나머지는 시트 금속 또는 복합체 루프(composite roof)에 의해 폐쇄된다. 이러한 경우에, 횡단 지지 스트립은 접합용 에지(gluing edge)로서 작용하는 복합체 루프 또는 시트 금속과 후방의 유리가 끼워진 부분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횡단 지지 스트립은 프레임의 부분을 형성하지 않지만 더해지며, 이것은 작은 공간을 차지하는 작은 단면을 스트립에 제공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스트립은 특히 튜브형이 아니다.
이러한 경우에, 시트 금속이라는 용어는 강철 플레이트로 만들어진 루프를 포함하지만, 또한 그 어떤 다른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어진 불투명 플레이트로 만들어지나, 또는 예를 들어 복합체 재료로 만들어진 반투명 시트 또는 불투명 시트로부터 만들어진 루프도 포함한다.
제시된 실시예에서, 프레임(10)은 튜브형의 중공형 3 차원 구조체를 형성하며, 이것은 프레임의 광을 위한 개구(16,17) 둘레 전체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중공 튜브형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프레임은 이러한 경우에 하부 절반 외피(10a) 및 상부 절반 외피(10b)의 조립에 의해 얻어진다. 상기 절반의 외피들은 바람직스럽게는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조립된다. 각각의 절반 외피(10a, 10b)는 전방 단부 횡단 부재(11)의 부분(11a, 11b), 후방 단부 횡단 부재(12)의 부분(12a, 12b), 좌측 길이 방향 비임(13)의 부분(13a, 13b) 및, 우측 길이 방향 비임(14)의 부분(14a, 14b)을 각각 포함한다.
그렇게 얻어진 3 차원 튜브형 구조체는 이전의 디자인에서 동체가 지탱했던 힘들중 일부를 흡수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가진다. 따라서, 동체의 구조를 경량화시킬 수 있으며, 특히 차량 동체(2)의 문틀(sill)의 상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중공형 비임 유형의 단면에서 경량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주어진 상부 절반의 외피 기하 형상은 구분된 하부 절반의 외피 기하 형상과 조합될 수 있으며, 이것은 차량의 상이한 동체 모델들에 대하여 단일 루프 또는 루프들의 단일 그룹을 적합화시킬 수 있게 한다.
더욱이, 상부 절반 외피의 단일 기하 형상은 루프들의 상이한 유형들의 조립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상부 절반 외피(10b)는 프레임의 전방 내측 횡단 부재(15)를 지지한다.
차량 구조체는 가동 루프의 작동 부재(21)를 위한 지지부(2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20)는 후방 선반 구조체(7)와 그것의 라이닝(8) 사이에서, 프레임(10)의 후방 단부 횡단 부재(12) 및 동체(2)의 하부 후방 횡단 부재(6)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작동 부재(21) 및 그것의 지지부(20)는 승객 공간의 내측으로부터 볼 수 없으며, 왜냐하면 이들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닝(8)에 의하여 감춰지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동 유닛(21)은 라이닝(8)을 통하여 쉽게 접근 가능하게 유지된다.
제시된 예에서, 상기 지지부(20)는 프레임(10)과 일체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그것의 상부 절반 외피(10b)와 일체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지지부가 선반 구조체(7)에 포함될 수 있거나, 또는 그 위에 지지될 수 있거나, 또는 하부 절반 외피(10a)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선반 구조체(7)는 작동 부재의 지지부(20)를 수용하는 수용부(23)를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에, 이것은 조명 유닛(9)의 아래에 위치되며, 이것은 라이닝(8)에 고정됨으로써(도 3), 2 개의 유닛들을 위한 단일의 전기 공급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지지부(20)는 수용부(23)의 베이스상에 지지된다는 점이 주목될 것이다. 이것은 지지부의 그 어떤 피로라도 제한할 수 있게 하고, 지지부에 의해 유지되는 그 어떤 진동이라도 감소될 수 있게 한다.
더욱이, 프레임(10)의 튜브형 구조체는 가동 루프의 작동에 유용한 와이어 요소들을 수용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유닛(21)에 연결된, 가동 루프를 구동하는 케이블(24,25)들은 프레임(10)의 측부(13,14) 내부에서 움직이며, 이러한 경우에 가동 루프가 작동되는 한, 상부 절반 외피(10b)상에 고정된다. 지지부(20)에 바로 인접한 구동 케이블(24,25) 부분들은 선반 구조체(7)상에 지지될 수 있고, 프레임(10)이 동체(2)상에 장착된 이후에 그것에 고정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에서, 작동 부재의 오프셋 위치(offset position)에도 불구하고, 동체(2)상에 프레임(10)을 장착하기 전에, 작동 유닛(21) 및 그것의 와이어를 루프 프레임(10)상에 장착할 수 있고, 특히 그것의 상부 절반 외피(10b)상에 장착할 수 있다. 가동 루프(26) 및 고정된 루프(17)의 상이한 부분들도 동체(2)상에 조립되기 전에 프레임(10)상에 장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것은 동체(2)상에 단일 부재로 장착될 수 있는 루프(30)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수의 변형예들로 나뉘어질 수 있다. 프레임은 폴리머 재료로 만들어진 상부 절반 외피 및 하부 절반 외피의 조립에 의하지 않고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머 프리폼 블로우잉 기술(polymer preform blowing techniques) 또는 튜브형 금속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공지의 기술로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주위 둘레에서 연속적이라면, 튜브형 구조체를 가지지 않을 수도 있다.
1. 모터 차량 2. 동체
3.4. 측방향 문틀 5. 문틀 전방 횡단 부재
6. 하부 후방 횡단 부재 7. 후방 선반 구조체

Claims (10)

  1. 측방향 도어 개구들의 상부 가장자리들을 포함하고 동체의 상부 부분에 있는 측방향 문틀(lateral sills, 3,4), 문틀 전방 횡단 부재(5) 및, 후방 부분에 있는 하부 후방 횡단 부재(6)를 포함하는 동체(2)로서, 상기 하부 후방 횡단 부재(6)는 선반 구조체(7)와 일체이고, 상기 선반 구조체는 차량의 후방 승객 공간 내부에서 연장되고 라이닝(8)으로 덮이는, 동체(2); 및,
    적어도 하나의 개구(16,17)를 형성하는 루프 프레임(10)으로서, 상기 루프 프레임은, 개구(16,17)의 일부를 폐쇄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 루프(movable roof, 26)와 상기 개구(16,17)의 다른 부분을 폐쇄하는 후방 차창(rear windshield)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리가 끼워진(glazed) 후방 부분(27)을 위한 지지부로서 작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길이 방향 비임(13,14)들에 의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전방 단부 횡단 부재(11) 및 하나의 후방 단부 횡단 부재(12)를 포함하는, 루프 프레임(10);을 포함하고,
    루프 프레임(10)은 동체의 하부 후방 횡단 부재(6), 문틀 전방 횡단 부재(5) 및, 측방향 문틀(3,4)의 상부면들상에 장착되고, 루프 프레임의 후방 단부 횡단 부재(12)는 동체의 하부 후방 횡단 부재(6)상에 장착되고;
    가동 루프의 작동 부재(21)를 위한 지지부(20)는 후방 선반 구조체(7)와 그것의 라이닝(8) 사이에서 루프 프레임의 후방 단부 횡단 부재(6)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루프를 가진 모터 차량 구조체(1).
  2. 제 1 항에 있어서, 선반 구조체(7)는 작동 부재의 지지부(20)를 수용하는 수용부(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루프를 가진 모터 차량 구조체(1).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작동 유닛의 지지부(20)는 루프 프레임(10)과 일체형이고, 특히 후방 단부 횡단 부재(12)의 일부와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루프를 가진 모터 차량 구조체(1).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루프 프레임(10)은 예를 들어 튜브 유형의 중공 단면을 가지고, 가동 루프의 작동에 유용한 와이어 요소(24,25)들은 루프 프레임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루프를 가진 모터 차량 구조체(1).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라이닝(8)의 안에 포함된 조명 유닛(9)을 포함하고, 특히 작동 유닛을 위한 지지부(20) 위에 위치된 조명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루프를 가진 모터 차량 구조체(1).
  6. 적어도 하나의 개구(16,17)를 형성하는, 모터 차량 루프 프레임(10)으로서, 상기 루프 프레임은 모터 차량 동체(1)의 측방향 문틀(3,4)들의 상부면들, 동체의 하부 후방 횡단 부재(6) 및 문틀 전방 횡단 부재(5)의 상부면들상에서 조립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루프 프레임은 후방 차창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리를 끼운 후방 부분(27) 및 적어도 하나의 가동 루프(26)를 위한 지지부로서 작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루프 프레임은 길이 방향 비임(13,14)들에 의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방 단부 횡단 부재(11) 및 하나의 후방 단부 횡단 부재(12)를 포함하고,
    상기 루프 프레임(10)은 연속적인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루프 프레임의 후방 단부 횡단 부재(12)의 일부는 가동 루프의 작동 부재를 지지하도록 설계된 지지부(20)와 일체이고, 상기 지지부(20)는 차량 동체상에 조립되도록 설계된 루프 프레임의 측에서 루프 프레임의 전방 단부 횡단 부재(11)를 향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차량 루프 프레임(10).
  7. 제 6 항에 있어서, 예를 들어 튜브 유형의, 중공 단면을 가진 프레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차량 루프 프레임(10).
  8. 제 7 항에 있어서, 튜브형 프레임은 상부 절반 외피(10b)와 하부 절반 외피(10a)의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차량 루프 프레임(10).
  9. 제 6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루프 프레임; 프레임(11)의 전방 단부 횡단 부재에 의해 부분적으로 지지되는 가동 루프(26); 횡단 부재(12)의 후방 단부에 의해 부분적으로 지지되는 유리를 끼운 후방 부분(27); 및, 프레임의 지지부(20)에 의해 지지되는 가동 루프의 작동을 위한 부재(21)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는, 유리를 끼운 후방 부분(27)은 루프 프레임을 가동 루프(26)로부터 분리시키는 루프 프레임의 전방 내측 횡단 부재(15)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차량 루프(30).
  10. 제 9 항에 있어서, 루프 프레임(10)은 예를 들어 연속적인 튜브 유형의 중공 단면을 가진 프레임을 형성하고, 루프 프레임은 가동 루프의 작동에 유용한 와이어 요소(24,25)들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차량 루프(30).
KR1020197019972A 2016-12-15 2017-11-14 선루프를 가진 모터 차량 구조체, 루프 프레임 및 대응하는 루프 KR1022440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662490 2016-12-15
FR1662490A FR3060472B1 (fr) 2016-12-15 2016-12-15 Structure de vehicule automobile a toit ouvrant, cadre de pavillon et pavillon correspondant
PCT/FR2017/053102 WO2018109295A1 (fr) 2016-12-15 2017-11-14 Structure de vehicule automobile à toit ouvrant, cadre de pavillon et pavillon correspond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8172A true KR20190098172A (ko) 2019-08-21
KR102244017B1 KR102244017B1 (ko) 2021-04-23

Family

ID=58401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9972A KR102244017B1 (ko) 2016-12-15 2017-11-14 선루프를 가진 모터 차량 구조체, 루프 프레임 및 대응하는 루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554873B1 (ko)
JP (1) JP7021221B2 (ko)
KR (1) KR102244017B1 (ko)
CN (1) CN110167774B (ko)
FR (1) FR3060472B1 (ko)
WO (1) WO20181092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070B1 (ko) * 2013-10-08 2014-10-31 (주)연우피씨엔지니어링 피씨 구조물용 인버티드 리브 슬래브
KR101920681B1 (ko) * 2018-05-31 2018-11-21 (주)덕산지에스 프리텐션 합성보와 커넥팅 바를 이용하여 거푸집과 동바리의 사용을 생략한 소형 교량 구조 및 상기 소형 교량 구조의 시공방법
DE102019124869A1 (de) * 2019-09-16 2021-03-1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Personenkraftwagen
DE102019006759A1 (de) * 2019-09-27 2021-04-01 Daimler Ag Dachmodul für ein Fahrzeugdach eines Personenkraftwagens
DE102020117549A1 (de) 2020-07-03 2022-01-05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Fahrzeugdach und Personenkraftwagen mit Fahrzeugdach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019U (ja) * 1992-07-16 1994-02-08 株式会社城南製作所 車両用スライディングサンルーフ装置
JPH0620815B2 (ja) * 1988-09-30 1994-03-23 日産車体株式会社 自動車用スライディングサンルーフ装置
US20100038933A1 (en) * 2008-08-15 2010-02-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anoramic vehicle roof module assembli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572Y2 (ko) * 1984-10-09 1991-03-25
DE19502019C1 (de) * 1995-01-24 1996-08-29 Webasto Karosseriesysteme Fahrzeugdach mit wenigstens einer öffnungsfähigen Dachplatte
DE19949468B4 (de) * 1999-10-11 2005-06-16 Webasto Ag Fahrzeugdach mit Dachmodul
GB0622172D0 (en) * 2006-11-07 2006-12-20 Ford Global Tech Llc An actuatin mechanism for a stowable roof panel
US7780228B2 (en) * 2008-09-12 2010-08-24 Specialty Vehicle Acquisition Corp. Automotive vehicle open air system
WO2014011395A1 (en) * 2012-07-13 2014-01-16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Window with shade
DE102010039726A1 (de) 2010-08-25 2012-03-0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chiebehebedach für ein Fahrzeug mit einer von einem Deckel verschließbaren Dachöffnung, in der ein Mittelholm angeordnet ist
JP5638368B2 (ja) * 2010-12-06 2014-12-10 ベバスト ジャパン株式会社 サンルーフ装置
US9340096B2 (en) * 2013-11-01 2016-05-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and a method of attaching a sunroof assembly to the veh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815B2 (ja) * 1988-09-30 1994-03-23 日産車体株式会社 自動車用スライディングサンルーフ装置
JPH0610019U (ja) * 1992-07-16 1994-02-08 株式会社城南製作所 車両用スライディングサンルーフ装置
US20100038933A1 (en) * 2008-08-15 2010-02-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anoramic vehicle roof module assembl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60472B1 (fr) 2019-02-01
JP7021221B2 (ja) 2022-02-16
EP3554873A1 (fr) 2019-10-23
CN110167774A (zh) 2019-08-23
EP3554873B1 (fr) 2021-08-04
CN110167774B (zh) 2023-03-21
FR3060472A1 (fr) 2018-06-22
JP2020514151A (ja) 2020-05-21
WO2018109295A1 (fr) 2018-06-21
KR102244017B1 (ko) 2021-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4017B1 (ko) 선루프를 가진 모터 차량 구조체, 루프 프레임 및 대응하는 루프
US8690220B2 (en) Structure of lift gate for vehicle
US8567841B2 (en) Motor vehicle trunk lid
CN106891707B (zh) 具有天窗和全景玻璃的车辆
CN202345776U (zh) 车辆的车顶模块
JP2006273057A (ja) ピラー構造
RU2499708C2 (ru) Кабина машиниста поезда, содержащая стеклянный потолок
US20150028630A1 (en) Roof construction for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bodyshell
CN109415096A (zh) 机动车
ITTO20010024A1 (it) Autoveicolo a struttura modulare, e procedimento per il suo assemblaggio.
CN107161219A (zh) 使用碳纤增强塑料的车身结构
RU2710417C2 (ru)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 конструкцией кузова и способ монтажа конструкционной крыши на конструкции кузова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RU2668022C1 (ru) Конструкционная крыша и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набженное подобной конструкционной крышей
CN210591332U (zh) 用于车辆的车门
KR100737492B1 (ko) 철도차량의 짐선반 유닛
CN87103220A (zh) 一种用于汽车底盘上的网架结构,特别是适用于机场服务汽车
CN112566806A (zh) 用于轿车车顶的车顶模块
CN210132985U (zh) 车辆尾门
US10272753B1 (en) Sliding panel assembly
CN101983154A (zh) 汽车的加强的a柱
ES2796229T3 (es) Puerta aligerada que comprende una estructura de rigidización
JP2018001858A (ja) 車両の樹脂製ドア
JP2011025796A (ja) 車両用ドア構造
JP2021054149A (ja) 車両のフロアパネル及びフロア構造
JP2008308046A (ja) 車両内部の荷物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