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8044A - 수중 에너지 하베스팅 드론 및 작동을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수중 에너지 하베스팅 드론 및 작동을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8044A
KR20190098044A KR1020190003362A KR20190003362A KR20190098044A KR 20190098044 A KR20190098044 A KR 20190098044A KR 1020190003362 A KR1020190003362 A KR 1020190003362A KR 20190003362 A KR20190003362 A KR 20190003362A KR 20190098044 A KR20190098044 A KR 20190098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thermoelectric modules
main hull
energy harvesting
internal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5462B1 (ko
Inventor
나단 디. 힐러
Original Assignee
더 보잉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보잉 컴파니 filed Critical 더 보잉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90098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8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52Tool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underwa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001Underwater vessel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e.g. unmanned underwater vessel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dock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08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14Control of attitude or depth
    • B63G8/18Control of attitude or depth by hydrof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14Control of attitude or depth
    • B63G8/22Adjustment of buoyancy by water ballasting; Emptying equipment for ballast tanks
    • H01L35/32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 charging set comprising a non-electric prime mover rotating at constant spe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2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specially adapted for operating in liquid or gas
    • H02K5/132Submersible electric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1/00Generators or mo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Alleged perpetua mobilia obtained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H02N11/002Genera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10N10/13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characterised by the heat-exchanging means at the junc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10N10/17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configuration of the cell or thermocouple forming the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66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wate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e.g. from tidal flows, waves or curr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001Underwater vessel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e.g. unmanned underwater vessel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docking stations
    • B63G2008/002Underwater vessel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e.g. unmanned underwater vessel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docking stations unman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001Underwater vessel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e.g. unmanned underwater vessel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docking stations
    • B63G2008/002Underwater vessel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e.g. unmanned underwater vessel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docking stations unmanned
    • B63G2008/004Underwater vessel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e.g. unmanned underwater vessel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docking stations unmanned autonomously oper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using capacitors as storage or buffer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수중 에너지 하베스팅 드론은, 해수에 잠수할 수 있게 수용될 주요 선체; 및 복수의 열전 모듈들을 갖는데, 상기 복수의 열전 모듈들의 각각의 모듈은 주요 선체와 열 접촉하는 제1 작동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열 전달 엘리먼트가 복수의 열전 모듈들 상의 제2 작동 인터페이스와 접촉하고, 전력 저장 디바이스가 복수의 열전 모듈들에 연결된다. 주요 선체와 열 전달 엘리먼트 사이에 열 구배를 생성하기 위한 잠수 가능한 주요 선체의 포지셔닝은 열전 모듈들에 의한 전력 발생을 유도함으로써 전력 저장 디바이스를 충전한다.

Description

수중 에너지 하베스팅 드론 및 작동을 위한 방법{UNDERWATER ENERGY HARVESTING DRONE AND METHOD FOR OPERATION}
본 개시내용에 도시된 구현들은 일반적으로 무인 잠수정(UUV: underwater unmanned vehicle)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UUV가 작동하는 환경에서 온도차를 사용하여 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열전 시스템들을 이용하는 UUV들에 관한 것이다.
UUV들은 해저 탐사, 환경 모니터링 및 보안 운영들의 다양한 작업들에 사용된다. UUV들에 대한 운영 프로파일들은 제한된 재급유(refueling) 요건들을 갖는 확장된 작동 능력을 매력적으로 만든다. 심해는 은밀한 군사 작전들을 위한 이상적인 환경이다. 이러한 작전들은 흔히 전투 및 정찰 임무들을 위해 UUV들에 의존한다.
특정한 종래 기술의 UUV들은 에너지 생성 또는 추진 효과들을 위해 해양 수온약층(thermocline)에서 열 구배들을 이용한다. 그러나 수온약층은 약 1000미터 및 그 미만에서 섭씨 약 3.5도의 온도에 점근적으로 접근한다. 그러므로 수온약층의 구배에 의존하는 UUV들은 심해 환경에서 에너지가 부족하다. 그 결과, UUV들은 재급유를 위해 자주 수면으로 올라와야 해서, 자신들의 가시성을 넓히고, UUV를 수상 선박들과의 잠재적인 충돌 또는 코스 중단 위험에 빠뜨린다.
예시적인 구현들은 해수에 잠수할 수 있게 수용될 주요 선체(primary hull) 및 복수의 열전 모듈들을 구비한 수중 에너지 하베스팅 드론을 제공하며, 상기 복수의 열전 모듈들의 각각의 모듈은 주요 선체와 열 접촉하는 제1 작동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열 전달 엘리먼트가 복수의 열전 모듈들 상의 제2 작동 인터페이스와 접촉하고, 전력 저장 디바이스가 복수의 열전 모듈들에 연결된다. 주요 선체와 열 전달 엘리먼트 사이에 열 구배를 생성하기 위한 잠수 가능한 주요 선체의 포지셔닝은 열전 모듈들에 의한 전력 발생을 유도함으로써 전력 저장 디바이스를 충전한다.
예시적인 구현들은 무인 잠수정(UUV)의 작동을 위한 제1 방법을 가능하게 하는데, 여기서는 냉해수가 제1 위치에서 내부 저장 탱크로 유입(entrain)된다. 그 다음, 내부 저장 탱크는 냉해수를 저장하기 위해 제2 위치에 배치된다. UUV는 주요 선체를 주변 해수와 비교하여 "핫 존(hot zone)"에 배치하는 열수 분출공(hydrothermal vent) 위치로 항해하게 된다. 주요 선체와 내부 저장 탱크 사이의 열 구배를 기반으로 열전 모듈들을 통해 전력이 발생되어 전력 저장소를 충전한다.
예시적인 구현들은 무인 잠수정(UUV)의 작동을 위한 제2 방법을 가능하게 하는데, 여기서는 잠수된 UUV가 수면으로 올라와 방열기(heat dissipater)를 공기에 노출시킨다. 열전 모듈들은 공기와 대류 접촉하는 방열기와 해수에 잠긴 주요 선체 사이의 온도차를 이용하는 전력 저장 디바이스의 충전을 위한 전기 에너지 생성을 제공하도록 작동된다.
논의된 특징들, 기능들 및 이점들은 다양한 구현들에서 독립적으로 달성될 수 있거나 또 다른 구현들에서는 결합될 수 있는데, 이들의 추가 세부사항들은 다음 설명 및 도면들과 관련하여 확인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제1 예시적인 구현을 이용하는 UUV의 도식적 표현이다.
도 1b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제2 예시적인 구현을 이용하는 UUV의 도식적 표현이다.
도 2a는 도 1a의 구현의 정단면도이다.
도 2b는 직사각형 프로파일을 갖는, 제1 구현에 대한 구조적 대안의 정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구현의 개략적인 측면 절단도(cutaway view)이다.
도 4는 "포고(pogo)" 배향의 제1 구현의 측면도이다.
도 5는 항해 및 감지 컴포넌트들을 갖는 예시적인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6은 제2 구현의 개략적인 측면 절단도이다.
도 7a, 도 7b 및 도 7c는 제2 구현에 대한 동작 시퀀스의 도식적 표현들이다.
도 8a는 제2 구현에 대한 구조적 대안의 측면도이다.
도 8b는 제2 구현에 대한 대안의 개략적인 측면 절단도이다.
도 9는 제1 구현에 대한 전력 발생을 위한 제1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제2 구현에 대한 전력 발생을 위한 제2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UUV에 대한 예시적인 구현들은 복수의 열전 모듈들 상의 제1 작동 인터페이스와 열 접촉하는 잠수 가능한 주요 선체 및 복수의 열전 모듈들 상의 제2 작동 인터페이스와 접촉하는 열 전달 엘리먼트를 갖는, 보다 일반적으로는 에너지 하베스팅 잠수정으로 기술되는 수중 에너지 하베스팅 드론(UEHD: underwater energy harvesting drone)을 제공하는데, 이로써 주요 선체와 열 전달 엘리먼트 사이에 열 구배를 생성하기 위한 UEHD의 포지셔닝이 열전 모듈들에 의한 전력 발생을 유도한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도 1a는 UEHD(10)의 제1 구현을 도시한다. UEHD(10)는 주요 선체(12)를 가지며, (예시로 표준 다중날 스크류로서 도시된) 추진기(13) 및 UEHD(10)의 방향 제어를 위해 주요 선체(12)에 피벗식으로 연결된 제어 플레인들(14)(예컨대, 제어 핀들 또는 유체 역학 조종면들)로 해양 환경 사이로 기동(예컨대, 항해)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속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냉해수로 채울 수 있는 내부 저장 탱크(16)가 열 전달 엘리먼트로서 사용된다. 내부 저장 탱크(16)는 도시된 구현을 위해 주요 선체(12) 내에서 실질적으로 동심이며, 복수의 열전 모듈들(18)이 내부 저장 탱크(16)와 주요 선체(12) 사이에 장착되는데, 각각의 열전 모듈(18) 상의 제1 가동면(20)은 주요 선체(12)와 열 접촉하고, 제2 가동면(22)은 내부 저장 탱크(16)와 열 접촉한다. 열전 모듈들은 펠티에(Peltier) 접합 디바이스(Seebeck, Thompson 효과들) 및 스털링(Sterling) 엔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주요 선체(12)와 내부 저장 탱크(16) 사이의 온도차는 열전 모듈들(18)의 작동을 위한 열 구배를 제공할 것이다.
도 2a의 UEHD는 도시된 중앙 단면이 실질적으로 원형이다. 예시적인 대안적인 구현이 도 2b에 도시되는데, 여기서 중앙 단면은 주요 선체(12')와 내부 저장 탱크(16') 모두가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이다. 열전 모듈들(18)은 저장 탱크(16')의 편평한 면들(17)과 주요 선체(12')의 편평한 내부 면들(19) 사이에 장착되어 원하는 열 구배를 달성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요 선체(12)는 추진기(13)용 전기 모터(24) 및 UEHD(10)의 작동 및 항해를 위한 제어 시스템(26)을 수용한다. 특히, 제어 시스템(26)은 UEHD(10)를 추진시키고 물을 거쳐 항해하도록 제어 플레인들(14) 중 하나 이상과 추진기(13) 모두를 작동시킨다. 단일 배터리 엘리먼트, 리튬 이온, 리튬 이온 중합체, 니켈 카드뮴, 니켈 금속 수소화물, 납산과 같은 저장 배터리들의 뱅크를 포함하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 또는 나노 기술 수퍼커패시터와 같은 용량성 저장 시스템일 수 있는 전력 저장 디바이스(28)는 전압 변압기 회로(30)를 통해 열전 모듈들(18) 및 모터(24)에 연결된다. 제어 시스템(26)을 위한 전력은 또한 전력 저장 디바이스(28)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예시적인 구현은 내부 저장 탱크(16)를 주요 선체(12)의 외부에 있는 해수와 연결시키는 입구 스쿠프(inlet scoop)(32) 및 분출공(34)을 갖는다. 입구 스쿠프(32) 및 분출공(34)은 개폐식이거나 개방 및 폐쇄 위치들에 대한 도어 폐쇄들을 통합하여 외부 해수와의 선택적 유체 연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전력 저장 디바이스(28)에 의해 동력을 공급받는 펌프(36)가 입구 스쿠프(32)로부터 내부 저장 탱크(16)로 그리고 분출공(34) 밖으로 물을 펌핑하여 내부 저장 탱크 내의 물을 교환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입구 스쿠프(32) 및 분출공(34)은 UEHD(10)가 항해 중인 동안 외부 해수에 대해 개방되어 물의 동적 압력이 내부 저장 탱크(16)를 통한 흐름을 생성할 수 있게 한다. 폐쇄 위치의 입구 스쿠프(32) 및 분출공(34)에 의해, 내부 저장 탱크(16)로 유입되는 냉해수가 저장된다.
작동 중에, UEHD(10)는 (임무/작전 프로파일의 일부로서 포함된) 항해 프로파일에 따라 제어 시스템(26)에 의해 해저 근처의 열수 분출공들의 위치들로 자율적으로 또는 원격으로 항해하게 된다. 전 세계의 해양들에 걸쳐 열수 분출 장(hydrothermal vent field)들의 전역적 분포가 존재한다. 이러한 열 분출공들은 60℃ 내지 646℃ 범위의 온도에서 온수 플룸들을 생성한다. UEHD(10)가 개빙 구역(open water) 내에 있는 경우, 입구 스쿠프(32) 및 분출공(34)이 내부 저장 탱크(16)의 제1 위치에 배치되거나 개방되고, 냉해수가 내부 저장 탱크(16)에 유입된 다음, 입구 스쿠프(32) 및 분출공(34)을 닫고 내부 저장 탱크(16)를 제2 위치에 배치하여 냉해수를 저장함으로써 냉해수가 유지된다. UEHD가 500미터 및 그 미만의 잠수 깊이들에 있는 경우, 12℃ 내지 4℃ 또는 그 미만의 수온들이 이용 가능하다. 그 후, UEHD(10)는 열수 분출공에 주요 선체(12)를 위치시키도록 제어 시스템(26)에 의해 항해되고, 분출공의 고온 플룸(hot plume)에서 배회하거나 분출공 플룸 흐름을 따라가 주요 선체(12)를 주변 해수 및 내부 저장 탱크(16)에 저장된 물의 초기 온도와 비교하여 "핫 존"에 위치되게 유지한다. 주요 선체(12)와 대류 및 전도성 접촉하는 고온 플룸과 열 커패시터로서 작용하는 내부 저장 탱크(16)에 저장된 냉수의 온도차는 전력 저장 디바이스(28)를 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발생시키는 열전 모듈들(18)의 작동을 위한 열 구배를 제공한다. 열전 모듈들의 작동은 내부 저장 탱크(16) 내의 물의 가온(warming)을 발생시킬 것이다. 외부 분출공 플룸과 내부 저장 탱크 사이의 온도차가 열전 모듈들에 의한 유효 전력 발생이 중단되는 지점으로 감소될 때, UEHD(10)는 제어 시스템(26)에 의해 개빙 구역으로 기동되고, 내부 저장 탱크(16)는 고갈되어 입구 스쿠프(32) 및 분출공(34)의 작동에 의해 재충전된다. 그 후, UEHD(10)는 분출공 플룸 내에서 재위치될 수 있고 또는 전력 저장 디바이스(28)의 재충전을 위해 필요에 따라 다른 분출공 플룸으로 이동될 수 있다. 충전 사이클들 사이에서, UEHD(10)는 자신의 의도된 임무 프로파일에 따라 제어 시스템(26)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대안으로, UEHD(10)를 열 분출공의 플룸 내로 항해시키고 입구 스쿠프(32) 및 분출공(34)을 열어 플룸으로부터 온수를 유입시킴으로써 열 구배가 역전될 수 있다. 그 다음, UEHD(10)는 제어 시스템(26)에 의해 냉해수 개빙 구역(open cold ocean water)으로 항해되고, 주요 선체(12)와 대류 및 전도성 접촉하는 냉해수와 열 커패시터로서 작용하는 내부 저장 탱크(16)에 저장된, 플룸으로부터의 온수의 온도차는 전력 저장 디바이스(28)를 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발생시키는 열전 모듈들(18)의 작동을 위한 역전된 열 구배를 제공한다. 전압 변압기 회로(30)는 역전된 열 구배에 기반하여 열전 모듈들에 의해 생성된 역전류를 감지하고 전력 저장 디바이스(28)의 충전을 위한 정류를 제공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열전 모듈들의 작동은 내부 저장 탱크(16) 내의 물의 냉각을 발생시킬 것이다. 주요 선체(12)와 접촉하는 외부 해수와 내부 저장 탱크 사이의 온도차가 열전 모듈들에 의한 유효 전력 발생이 중단되는 지점으로 감소될 때, UEHD(10)는 제어 시스템(26)에 의해 다시 열 분출공으로 기동되고, 내부 저장 탱크(16)는 고갈되어 입구 스쿠프(32) 및 분출공(34)의 작동에 의해 재충전된다.
UEHD(10)에 제공된 시스템들은 열수 분출공들 사이의 "서핑(surfing)"이 임무 프로파일에서 실질적으로 방해 받지 않는 작동을 위해 전력 저장 디바이스(28)의 재충전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설명한 바와 같이, 임무(예컨대, 작전) 프로파일은 탐사, 환경 모니터링 및 보안 운영들과 같은 활동들을 포함할 수 있다.
UEHD(10)의 크기 및 다른 고려사항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수직 또는 "포고" 배향을 유도하도록 UEHD(10)의 밸러스트를 변경하기 위해 적절한 제어 밸브들(40) 및 펌프 또는 다른 배출 시스템(예시적인 구현에서는 펌프(36)의 사용을 포함함)에 배향 밸러스트 탱크(38)가 이용될 수 있다. UEHD(10)는, 내부 저장 탱크(16)가 냉해수로 채워졌다면, 분출공 플룸에 대한 주요 선체(12)의 더 많은 노출을 제공하도록 밸러스트 탱크(38)를 채움으로써 열수 분출공 플룸(42)으로 기동되어 포고 위치로 재배향될 수 있다. 열전 충전 사이클의 완료 또는 내부 저장 탱크(16)에서의 온도차의 감소시에, 밸러스트 탱크(38)로부터 물이 배출되고 UEHD(10)는 정상적인 순항 능력을 제공하도록 그 종래의 작동 배향으로 재배향된다. 포고 방향은 또한, 주요 선체(12)와 내부 저장 탱크(16) 사이의 음의 온도차가 충전 사이클 동안 이용된다면, 내부 저장 탱크(16)를 플룸으로부터의 물로 채우는 것을 돕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시스템(26)은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504) 또는 GPS 센서들, 관성 항법(예컨대, 유도) 시스템들(506) 또는 유사한 항법 엘리먼트들로부터의 입력을 사용하는 자율 작전을 위한 특정 임무(예컨대, 작전) 프로파일(503)이 사전에 설치될 수 있는, 또는 통신 모듈(508) 및 원격 제어 시스템(509)으로 원격 제어될 수 있는 항법 시스템(502)을 통합한다. 임무 프로파일의 지정된 파라미터들 내에서 기동 또는 배회하기 위해 제어 프로세서(510)에 인공 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이 통합될 수 있다. 제어 시스템(26)에 의한 UEHD(10)의 물리적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들이 모터(24)에 연결된 모터 제어기(512) 및 제어 플레인들(14)에 연결된 제어 플레인 작동 시스템(514)을 통해 제공된다.
도 1b는 UEHD(110)의 제2 구현을 보여준다. 제1 구현에서와 같이, UEHD(110)는 주요 선체(112)를 가지며, (예시로 표준 다중날 스크류로서 도시된) 추진기(113) 및 제어 플레인들(114)로 해양 환경 사이로 기동된다. 제2 구현의 열 전달 엘리먼트는 주요 선체(112)의 최상부 표면(117)에 장착되어 그 최상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방열기(116)이다. 방열기(116)는 증가된 표면적을 위해 신축식으로 연장 가능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요 선체(112)는 추진기(113)용 모터(124) 및 UEHD(110)의 작동을 위한 제어 시스템(126)을 수용한다. 단일 배터리 엘리먼트, 리튬 이온, 리튬 이온 중합체, 니켈 카드뮴, 니켈 금속 수소화물, 납산과 같은 저장 배터리들의 뱅크, 또는 나노 기술 수퍼커패시터와 같은 용량성 저장 시스템일 수 있는 전력 저장 디바이스(128)는 전압 변압기 회로(130)를 통해 열전 모듈들(118) 및 모터(124)에 연결된다. 제어 시스템(126)을 위한 전력은 또한 전력 저장 디바이스(128)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열전 모듈들(118)은 주요 선체(112)와 열 접촉하는, 각각의 열전 모듈(118) 상의 제1 가동면(120) 및 방열기(116)와 열 접촉하는 제2 가동면(122)과 연결된다.
도 7a - 도 7c에 표현된 바와 같은 제2 구현의 동작에서, UEHD(110)는 제어 시스템(126)에 의해 설정된 임무 프로파일에 따라,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수된 상태로 순항한다. 제2 구현에 대한 예상된 작동은 해수 온도가 상대적으로 일정한, 적어도 -2℃ 또는 그보다 더 따뜻한 반면, 기온은 특히 밤에 상당히 더 낮은(약 -20℃이지만 약 -60℃ 내지 10℃에 이르는) 북극해(artic waters)에서 발생한다. 전력 저장 디바이스(128)의 충전이 요구될 때, 제어 시스템(126)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HD(110)를 수면으로 올라오게 하여 방열기(116)를 해수로부터 공기로 선택적으로 노출시킨다. 주변 공기(142)와 대류 접촉하는 방열기(116)와 해수(140)에 잠긴 주요 선체(112) 사이의 온도차는 상당하며 열전 모듈들(118)의 작동이 전력 저장 디바이스의 충전을 위한 전기 에너지 생성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 충전의 완료시 또는 달리 동작상 바람직한 경우, 제어 시스템(126)은 도 7c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UEHD(110)가 동작을 계속하도록 잠수하게 한다.
다이빙, 수면으로 올라오는 것 그리고 원하는 작동 깊이를 위해 UEHD의 개시된 구현들의 깊이 제어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밸러스트 탱크들 및 연관된 작동 시스템들은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되지 않는다.
제2 구현을 위한 다른 구조적 배치가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HD(210)는 절연 배리어(213)에 의해 분리된 상부(212a) 및 하부(212b)를 갖는 주요 선체(212)를 통합한다. 선체 부분들(212a, 212b)은 절연 배리어(213)의 위와 아래에서 대칭으로 도시되지만, 비대칭 배치들이 이용될 수 있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 모듈들(218)은 상부(212a)와 열 접촉하는, 각각의 열전 모듈(218) 상의 제1 가동면(220) 및 하부(212b)와 열 접촉하는 제2 가동면(222)과 맞물린다. 제2 가동면(222)과 하부(212b) 사이의 또는 반대로 제1 가동면(220)과 상부(212a) 사이의 효과적인 접촉을 위해 전달 판(214) 또는 다른 열 전도성 엘리먼트가 이용될 수 있다. 제1 구조적 배치에서와 같이, UEHD(210)는 전력 저장 디바이스(228), 전압 변압기 회로(230), 모터(224) 및 제어 시스템(226)을 통합한다. UEHD(210)는 UEHD(110)와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하여, 주요 선체(212)의 상부(212a)를 공기에 노출시키도록 수면으로 올라오는 것은 방열기이다.
제2 구현의 어느 구조적 배치에서든, 기온이 수온보다 더 따뜻하다면 열전 모듈들(118, 218)을 통한 UEHD(110, 210)의 열 전달이 역전됨으로써 역전 열 구배를 제공할 수 있다. 역전 온도 구배가 발생하면, 열전 모듈들(118, 218)에 의해 생성된 전류가 방향을 반전시킨다. 전압 변압기 회로(130, 230) 내의 다이오드 회로는 역전류를 포착한 다음, 전력 저장 디바이스(128, 228)에 전하를 저장하는 데 사용된다.
개시된 UEHD의 구현들은 UUV의 작동을 위한 방법들을 제공한다. (도 1a 및 도 3을 참조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HD(10)는 제어 시스템(26)에 의해 해저 근처의 열수 분출공들의 위치들 사이에서 자율적으로 또는 원격으로 항해된다(단계(902)).
제1 시퀀스에서, UEHD(10)가 개빙 구역 내에 있는 경우에는, 입구 스쿠프(32) 및 분출공(34)이 개방 위치에 전개 또는 배치되어 냉해수가 펌핑 또는 동적 압력에 의해 제1 위치의 내부 저장 탱크(16)에 유입되고(단계(904)), 그 다음 입구 스쿠프(32) 및 분출공(34)이 닫혀(단계(906), 내부 저장 탱크(16)를 제2 위치에 배치하여 냉해수를 저장한다. UEHD(10)는 제어 시스템(26)에 의해 열수 분출공 위치로 항해되고, 분출공의 고온 플룸에 주요 선체(12)를 둔 채 배회하거나 분출공 플룸 흐름을 따라가 주요 선체(12)를 주변 해수 및 내부 저장 탱크(16) 내의 물의 초기 온도와 비교하여 "핫 존"에 유지한다(단계(908)). 배향 밸러스트 탱크(38)가 채워져(단계(910)), UEHD(10)를 포고 위치로 배향시킨다. 이런 식으로, UEHD를 포고 위치로 배향시키기 위해 배향 밸러스트 탱크(38)가 채워진다. 주요 선체(12)와 대류 및 전도성 접촉하는 고온 플룸과 열 커패시터로서 작용하는 내부 저장 탱크(16)에 저장된 냉수의 온도차는, 전력 저장 디바이스(28)를 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발생시키도록, 주요 선체와 내부 저장 탱크 사이의 열 구배를 기반으로 작동되는 열전 모듈들(18)에 열 구배를 제공한다(단계(912)). UEHD(10)는 제어 시스템(26)에 의해 개빙 구역으로 기동되고(단계(914)), 내부 저장 탱크(16)는 입구 스쿠프(32) 및 분출공(34)의 작동에 의해 고갈되고 재충전되어(단계(904)), 제1 시퀀스의 프로세스를 반복한다.
제2 시퀀스에서, UEHD(10)가 분출공 플룸 내에 있는 경우에는, 배향 밸러스트 탱크(38)가 채워져(단계(911)), UEHD(10)를 포고 위치로 배향시킨다. 입구 스쿠프(32) 및 분출공(34)이 전개 또는 개방되고, 플룸으로부터의 온수가 펌핑 또는 동적 압력에 의해 제1 위치의 내부 저장 탱크(16)에 유입되고(단계(905)), 그 다음 입구 스쿠프(32) 및 분출공(34)이 닫혀(단계(907), 내부 저장 탱크(16)를 (예컨대, 포고 위치에 대해 회전된) 제2 위치에 배치하여 온수를 저장한다. UEHD(10)는 제어 시스템(26)에 의해 분출공 플룸으로부터 개방 해양으로 항해되며, 여기서는 냉수가 내부 저장 탱크(16) 내의 온수의 초기 온도에 대해 음의 온도차를 제공한다(단계(909)). 주요 선체(12)와 대류 및 전도성 접촉하는 개방 냉해수와 열 커패시터로서 작용하는 내부 저장 탱크(16)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차가 열 구배를 제공하며, 열전 모듈들(18)은 전력 저장 디바이스(28)를 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발생시키도록, 주요 선체와 내부 저장 탱크 사이의 열 구배를 기반으로 작동된다(단계(913)). UEHD(10)는 제어 시스템(26)에 의해 다시 열수 분출공 플룸으로 기동되고(단계(915)), 내부 저장 탱크(16)는 입구 스쿠프(32) 및 분출공(34)의 작동에 의해 고갈되고 재충전되어(단계(905)), 제2 시퀀스의 프로세스를 반복한다. 어떤 시퀀스에서든, UEHD는 다음에, 전력 저장 디바이스들(28, 128, 228)을 충전하도록 열전 모듈들(18, 118, 218)을 항해시키고 작동시키는 것과 함께, 원하는 임무 프로파일로 작동될 수 있다(단계(916). UEHD(10)는 분출공 플룸 내에서 재위치될 수 있고 또는 단계(904, 905)에서 시작되는 전력 저장 디바이스(28)의 재충전을 위해 필요에 따라 다른 분출공 플룸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b, 도 6 및 도 8a - 도 8b를 참조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HD(110, 210)는 제어 시스템(126)에 의해 지시된 임무 프로파일에 따라 잠수된 상태로 작동된다(단계(1002)). 전력 저장 디바이스(128)의 충전이 요구될 때, 제어 시스템(126)은 UEHD(110, 210)를 수면으로 올라오게 하여(단계(1004)) 방열기(116, 212a)를 공기에 노출시킨다. 열전 모듈들(118)은 주변 공기(142)와 대류 접촉하는 방열기(116, 212a)와 해수(140)에 잠긴 주요 선체(112)(또는 212b) 사이의 온도차를 이용하는 전력 저장 디바이스의 충전을 위한 전기 에너지 생성을 제공하도록 작동된다(단계(1006)). 충전의 완료시 또는 달리 동작상 바람직한 경우, 제어 시스템(126)은 UEHD(110)가 동작을 계속하도록 잠수하게 한다(단계(1008)).
추가로, 본 개시내용은 다음 조항들에 따른 예들을 포함한다:
조항 1. 수중 에너지 하베스팅 드론은: 해수에 잠수할 수 있게 수용될 주요 선체; 복수의 열전 모듈들 ― 상기 복수의 열전 모듈들의 각각의 모듈은 주요 선체와 열 접촉하는 제1 작동 인터페이스를 가짐 ―; 복수의 열전 모듈들 상의 제2 작동 인터페이스와 접촉하는 열 전달 엘리먼트; 및 복수의 열전 모듈들에 연결된 전력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주요 선체와 열 전달 엘리먼트 사이에 열 구배를 생성하기 위한 주요 선체의 포지셔닝은 열전 모듈들에 의한 전력 발생을 유도함으로써 전력 저장 디바이스를 충전한다.
조항 2. 조항 1에 정의된 수중 에너지 하베스팅 드론에서, 전력 저장 디바이스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 및 커패시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조항 3. 조항 2에 정의된 수중 에너지 하베스팅 드론에서, 배터리는 리튬 이온, 리튬 이온 중합체, 니켈 카드뮴, 니켈 금속 수소화물 또는 납산 배터리 중 하나이다.
조항 4. 조항 2에 정의된 수중 에너지 하베스팅 드론에서, 커패시터는 나노 기술 수퍼커패시터를 포함한다.
조항 5. 조항 1에 정의된 수중 에너지 하베스팅 드론에서, 열전 모듈들은 펠티에 접합 디바이스 및 스털링 엔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조항 6. 조항 1에 정의된 수중 에너지 하베스팅 드론은: 전력 저장 디바이스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도록 연결된 전기 모터; 상기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추진기; 주요 선체에 맞물린 제어 플레인들; 및 항해 프로파일에 따라 전기 모터 및 제어 플레인들에 제어 신호들을 제공하도록 적응된 제어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조항 7. 조항 6에 정의된 수중 에너지 하베스팅 드론에서, 열 전달 엘리먼트는 제1 위치에서 냉해수를 수용하고 제2 위치에서 냉해수를 저장하도록 적응된 내부 저장 탱크를 포함하며, 항해 프로파일은 열수 분출공의 고온 플룸에 주요 선체를 위치시킨다.
조항 8. 조항 7에 정의된 수중 에너지 하베스팅 드론에서, 내부 저장 탱크는 입구 스쿠프 및 분출공을 포함하며, 상기 입구 스쿠프 및 분출공은 내부 저장 탱크의 제1 위치에 대한 개방 위치 및 내부 저장 탱크를 제2 위치에 배치하는 폐쇄 위치를 갖는다.
조항 9. 조항 7에 정의된 수중 에너지 하베스팅 드론은, 주요 선체의 포고 위치를 선택적으로 유도하도록 적응된 밸러스트 탱크를 더 포함한다.
조항 10. 조항 7에 정의된 수중 에너지 하베스팅 드론에서, 내부 저장 탱크는, 항해 프로파일이 고온 플룸에 주요 선체를 위치시킬 때는 제1 위치에서 열수 분출공의 고온 플룸으로부터의 온수를 수용하고, 항해 프로파일이 냉해수에 주요 선체를 위치시킬 때는 제2 위치에서 온수를 저장함으로써, 전력 저장 디바이스를 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발생시킬 열전 모듈들의 작동을 위한 역전된 열 구배를 유도하도록 추가로 적응되며, 변압기 회로는 역전된 열 구배에 기반하여 열전 모듈들에 의해 생성된 역전류를 감지하고 전력 저장 디바이스의 충전을 위한 정류를 제공하도록 적응된다.
조항 11. 조항 6에 정의된 수중 에너지 하베스팅 드론에서, 열 전달 엘리먼트는 주요 선체의 최상부 표면에 장착되어 그 최상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방열기를 포함하고, 항해 프로파일은 해수로부터 방열기를 노출시키기 위해 주요 선체를 선택적으로 수면으로 올라오게 한다.
조항 12. 조항 6에 정의된 수중 에너지 하베스팅 드론에서, 주요 선체는 상부와 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와 하부는 절연 배리어에 의해 분리되며, 상부는 열 전달 엘리먼트를 포함하고, 항해 프로파일은 해수로부터 상부를 노출시키기 위해 주요 선체를 선택적으로 수면으로 올라오게 한다.
조항 13. 무인 잠수정(UUV)의 작동을 위한 방법은: 제1 위치에서 내부 저장 탱크로 냉해수를 유입시키는 단계; 냉해수를 저장하기 위해 내부 저장 탱크를 제2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 주요 선체를 주변 해수와 비교하여 분출공 플룸 "핫 존"에 배치하는 열수 분출공 위치로 UUV를 항해시키는 단계; 및 전력 저장 디바이스를 충전하기 위해 주요 선체와 내부 저장 탱크 사이의 열 구배를 기반으로 열전 모듈들을 통해 전력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조항 14. 조항 13에 정의된 방법은, UUV를 포고 위치로 배향시키도록 배향 밸러스트 탱크를 채우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조항 15. 조항 13에 정의된 방법은: 개빙 구역으로 기동시키는 단계; 내부 저장 탱크를 고갈시키는 단계; 및 입구 스쿠프 및 분출공의 작동에 의해 내부 저장 탱크를 재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조항 16. 조항 13에 정의된 방법은, 원하는 임무 프로파일로 UUV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조항 17. 조항 16에 정의된 방법은: 분출공 플룸 내에서 재위치하는 단계 또는 전력 저장 디바이스의 재충전을 위해 다른 분출공 플룸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조항 18. 무인 잠수정(UUV)의 작동을 위한 방법은: 방열기를 외기(open air)에 노출시키도록 수면으로 올라오는 단계; 및 외기와 대류 접촉하는 방열기와 해수에 잠긴 주요 선체 사이의 온도차를 이용하는 전력 저장 디바이스의 충전을 위한 전기 에너지 생성을 제공하도록 열전 모듈들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조항 19. 조항 18에 정의된 방법은, 충전 완료시 UUV를 잠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조항 20. 조항 18에 정의된 방법은, 제어 시스템에 의해 지시된 임무 프로파일에 따라 잠수된 상태로 작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특허 법령들에 의해 요구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구현들을 이제 상세히 설명했으므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 구현들에 대한 수정들 및 대체들을 인식할 것이다. 이러한 수정들은 다음의 청구항들에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 및 의도 내에 있다.

Claims (15)

  1. 수중 에너지 하베스팅 드론(underwater energy harvesting drone)(10, 110, 210)으로서,
    해수에 잠수할 수 있게 수용될 주요 선체(primary hull)(12, 112, 212);
    복수의 열전 모듈들(18, 118, 218) ― 상기 복수의 열전 모듈들의 각각의 모듈은 상기 주요 선체와 열 접촉하는 제1 작동 인터페이스(20, 120, 220)를 가짐 ―;
    상기 복수의 열전 모듈들 상의 제2 작동 인터페이스(22, 122, 222)와 접촉하는 열 전달 엘리먼트(16, 116, 212a); 및
    상기 복수의 열전 모듈들에 연결된 전력 저장 디바이스(28, 128, 228)를 포함하며;
    상기 주요 선체와 상기 열 전달 엘리먼트 사이에 열 구배를 생성하기 위한 상기 주요 선체의 포지셔닝은 상기 열전 모듈들에 의한 전력 발생을 유도함으로써 상기 전력 저장 디바이스를 충전하는,
    수중 에너지 하베스팅 드론.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저장 디바이스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 및 커패시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중 에너지 하베스팅 드론.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리튬 이온, 리튬 이온 중합체, 니켈 카드뮴, 니켈 금속 수소화물 또는 납산 배터리 중 하나인,
    수중 에너지 하베스팅 드론.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는 나노 기술 수퍼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수중 에너지 하베스팅 드론.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모듈들은 펠티에(Peltier) 접합 디바이스 및 스털링(Sterling) 엔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중 에너지 하베스팅 드론.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저장 디바이스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도록 연결된 전기 모터(24, 124, 224);
    상기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추진기(13, 113);
    상기 주요 선체에 맞물린 제어 플레인들(14, 114); 및
    항해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전기 모터 및 제어 플레인들에 제어 신호들을 제공하도록 적응된 제어 시스템(26, 126, 226)을 더 포함하는,
    수중 에너지 하베스팅 드론.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전달 엘리먼트는 제1 위치에서 냉해수를 수용하고 제2 위치에서 상기 냉해수를 저장하도록 적응된 내부 저장 탱크(16)를 포함하며, 상기 항해 프로파일은 열수 분출공(hydrothermal vent)의 고온 플룸(hot plume)에 상기 주요 선체를 위치시키는,
    수중 에너지 하베스팅 드론.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저장 탱크는 입구 스쿠프(32) 및 분출공(34)을 포함하며,
    상기 입구 스쿠프(inlet scoop) 및 분출공은 상기 내부 저장 탱크의 제1 위치에 대한 개방 위치 및 상기 내부 저장 탱크를 상기 제2 위치에 배치하는 폐쇄 위치를 갖는,
    수중 에너지 하베스팅 드론.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선체의 포고(pogo) 위치를 선택적으로 유도하도록 적응된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38)를 더 포함하는,
    수중 에너지 하베스팅 드론.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저장 탱크는, 상기 항해 프로파일이 상기 고온 플룸에 상기 주요 선체를 위치시킬 때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열수 분출공의 고온 플룸으로부터의 온수를 수용하고, 상기 항해 프로파일이 냉해수에 상기 주요 선체를 위치시킬 때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온수를 저장함으로써, 상기 전력 저장 디바이스를 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발생시킬 상기 열전 모듈들의 작동을 위한 역전된 열 구배를 유도하도록 추가로 적응되며, 상기 변압기 회로(30)는 상기 역전된 열 구배에 기반하여 상기 열전 모듈들에 의해 생성된 역전류를 감지하고 상기 전력 저장 디바이스의 충전을 위한 정류를 제공하도록 적응되는,
    수중 에너지 하베스팅 드론.
  11.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전달 엘리먼트는 상기 주요 선체의 최상부 표면(117)에 장착되어 상기 최상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방열기(heat dissipater)(116)를 포함하고, 상기 항해 프로파일은 상기 해수로부터 상기 방열기를 노출시키기 위해 상기 주요 선체를 선택적으로 수면으로 올라오게 하는,
    수중 에너지 하베스팅 드론.
  12.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선체는 상부(212a)와 하부(212b)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와 하부는 절연 배리어(213)에 의해 분리되며,
    상기 상부는 상기 열 전달 엘리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항해 프로파일은 상기 해수로부터 상기 상부를 노출시키기 위해 상기 주요 선체를 선택적으로 수면으로 올라오게 하는,
    수중 에너지 하베스팅 드론.
  13. 무인 잠수정(UUV: unmanned underwater vehicle)의 작동을 위한 방법으로서,
    제1 위치에서 내부 저장 탱크로 냉해수를 유입(entrain)시키는 단계(904);
    상기 냉해수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내부 저장 탱크를 제2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906);
    주요 선체를 주변 해수와 비교하여 분출공 플룸 "핫 존(hot zone)"에 배치하는 열수 분출공 위치로 상기 UUV를 항해시키는 단계(908); 및
    전력 저장 디바이스를 충전하기 위해 상기 주요 선체와 내부 저장 탱크 사이의 열 구배를 기반으로 열전 모듈들을 통해 전력을 발생시키는 단계(912)를 포함하는,
    무인 잠수정(UUV)의 작동을 위한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UUV를 포고 위치로 배향시키도록 배향 밸러스트 탱크를 채우는 단계(910); 및
    원하는 임무 프로파일로 상기 UUV를 작동시키는 단계(916)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무인 잠수정(UUV)의 작동을 위한 방법.
  15. 제13 항에 있어서,
    개빙 구역(open water)으로 기동시키는 단계(914);
    상기 내부 저장 탱크를 고갈시키는 단계(904); 및
    입구 스쿠프 및 분출공의 작동에 의해 상기 내부 저장 탱크를 재충전하는 단계(904)를 더 포함하는,
    무인 잠수정(UUV)의 작동을 위한 방법.
KR1020190003362A 2018-02-12 2019-01-10 수중 에너지 하베스팅 드론 및 작동을 위한 방법 KR1026054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894,613 2018-02-12
US15/894,613 US11152555B2 (en) 2018-02-12 2018-02-12 Underwater energy harvesting drone and method for oper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8044A true KR20190098044A (ko) 2019-08-21
KR102605462B1 KR102605462B1 (ko) 2023-11-22

Family

ID=64402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362A KR102605462B1 (ko) 2018-02-12 2019-01-10 수중 에너지 하베스팅 드론 및 작동을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152555B2 (ko)
EP (1) EP3524507B1 (ko)
JP (1) JP7305336B2 (ko)
KR (1) KR102605462B1 (ko)
CN (1) CN110165940A (ko)
CA (1) CA3029964C (ko)
RU (1) RU201814008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00702B2 (en) * 2018-06-08 2021-01-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ed storage warehouse
US10987987B2 (en) 2018-11-21 2021-04-27 Polaris Industries Inc. Vehicle having adjustable compression and rebound damping
CN110920818B (zh) * 2019-11-01 2020-11-17 浙江大学 基于海洋温差能驱动的剖面运动平台及其升降控制方法
CN111186543B (zh) * 2020-01-19 2021-01-01 潍坊学院 一种基于5g通讯的水下机器人系统
CN111332435B (zh) * 2020-03-09 2021-01-29 中国船舶科学研究中心(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0二研究所) 一种auv模块化载体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62360B1 (en) * 2003-08-18 2007-08-28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Underwater power generation using underwater thermocline
US20110179988A1 (en) * 2009-03-07 2011-07-28 Lockheed Martin Corporation Underwater Vehicle
JP2016115691A (ja) * 2014-12-11 2016-06-23 学校法人 東洋大学 熱電素子駆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2694A (ja) * 1983-08-19 1985-03-0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水中走行体の動力装置
US7012554B2 (en) 2001-12-12 2006-03-14 Hi-Z Technology, Inc. Thermoelectric vehicle tracking device
US6914343B2 (en) 2001-12-12 2005-07-05 Hi-Z Technology, Inc. Thermoelectric power from environmental temperature cycles
US7649138B2 (en) 2005-05-25 2010-01-19 Hi-Z Technology, Inc. Thermoelectric device with surface conforming heat conductor
GB0521292D0 (en) 2005-10-19 2005-11-30 Go Science Ltd Submersible vehicle
KR20120114454A (ko) 2011-04-07 2012-10-17 최광식 수상 태양열 온도차 발전 시스템
US9382902B1 (en) 2012-04-25 2016-07-05 The Boeing Company Undersea energy harvesting electrical power station
US20170005250A1 (en) * 2015-06-30 2017-01-05 The Boeing Company Powering aircraft sensors using thermal capacitors
CN106452190A (zh) * 2016-12-06 2017-02-22 电子科技大学 一种利用海底热液能量的海底发电系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62360B1 (en) * 2003-08-18 2007-08-28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Underwater power generation using underwater thermocline
US20110179988A1 (en) * 2009-03-07 2011-07-28 Lockheed Martin Corporation Underwater Vehicle
JP2016115691A (ja) * 2014-12-11 2016-06-23 学校法人 東洋大学 熱電素子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24507B1 (en) 2021-09-01
CA3029964C (en) 2023-05-16
US11152555B2 (en) 2021-10-19
JP2019137386A (ja) 2019-08-22
RU2018140081A (ru) 2020-05-14
EP3524507A1 (en) 2019-08-14
CN110165940A (zh) 2019-08-23
CA3029964A1 (en) 2019-08-12
JP7305336B2 (ja) 2023-07-10
US20190252592A1 (en) 2019-08-15
KR102605462B1 (ko) 2023-11-22
RU2018140081A3 (ko) 2022-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5462B1 (ko) 수중 에너지 하베스팅 드론 및 작동을 위한 방법
US10589829B2 (en) Gliding robotic fish navigation and propulsion
Webb et al. SLOCUM: An underwater glider propelled by environmental energy
US20120312221A1 (en) Submersible vehicles and methods for propelling and/or powering the same in an underwater environment
Roper et al. Autosub long range 6000: A multiple-month endurance AUV for deep-ocean monitoring and survey
US10322782B1 (en) Combined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and buoy device
US8065972B2 (en) Underwater vehicle
CN110641637B (zh) 一种基于温差能发电的航迹可控的海洋观测平台
JP2018522782A (ja) 水中ドローン
Tian et al. Research progress and prospects of gliding robots applied in ocean observation
AU2020299129B2 (en) Tactical maneuvering ocean thermal energy conversion buoy for ocean activity surveillance
Shah Design considerations for engineering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s
CA3218354A1 (en) An underwater probe or submersible
Liang et al. Experiment of robofish aided underwater archaeology
RU270051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оставки углеводородов в арктическом бассейне
Alvarez et al. Folaga: a very low cost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for coastal oceanography
US9643700B2 (en) Selectively submersible vessel
Berkenpas et al. The Driftcam: A buoyancy controlled pelagic camera trap
Sze et al. Low Cost Structural Morphing AUV for Long-term Water Column Exploration and Data-harvesting
JP2024066406A (ja) ドローン搭載用カプセ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潜水艦の監視偵察システム
CN117508525A (zh) 一种小型增程混合能源无人水下航行器及其控制方法
Lee et al. Development of a highly-maneuverable unmanned underwater vehicle having an RF communication buoy
Uhle Design of an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to evaluate the blazed array sonar and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algorith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