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7925A -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7925A
KR20190097925A KR1020180017942A KR20180017942A KR20190097925A KR 20190097925 A KR20190097925 A KR 20190097925A KR 1020180017942 A KR1020180017942 A KR 1020180017942A KR 20180017942 A KR20180017942 A KR 20180017942A KR 20190097925 A KR20190097925 A KR 20190097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sulfurous acid
acid gas
enzyme
simultaneous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화
유은지
배병홍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017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7925A/ko
Publication of KR20190097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9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56Removing acid components
    • B01D53/1462Removing mixtures of hydrogen sulfide and carbon di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93Selection of liquid materials for use as ab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4Biological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로서, 외부로부터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가 포함된 배가스가 유입되는 가스 유입부; 외부로부터 흡수액이 유입되는 흡수액 유입부; 유입된 상기 배가스와 상기 흡수액이 혼합되는 챔버; 상기 배가스 중의 이산화탄소를 중탄산 이온으로 전환시키는 이산화탄소 전환 효소 및 상기 배가스 중의 아황산가스를 황산 이온으로 전환시키는 아황산 전환 효소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효소 충진부; 상기 중탄산 이온 및 황산 이온을 포함하는 배출액이 유출되는 배출액 유출부; 및 상기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가 전환되어서 제거된 배가스가 배출되는 가스 배출부;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Simultaneous Processing device of carbon dioxide and sulfurdioxide}
본 발명은 혼합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를 동시에 저감시키기 위한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력발전소등 화석연료를 연소하는 설비에서는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비롯하여 산성비와 미세먼지의 원인이 되는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등의 환경오염물질이 배출되고 있다.
화력발전소 등에서는 배가스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줄이기 위해서 이산화탄소의 포집 및 저장을 위한 기술개발은 물론,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부가가치가 높은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공정이 개발되고 있다. 포집기술에는 연소 전, 순산소, 연소 후 포집기술이 있으며, 저장기술에는 지상 또는 해양저장 방법이 주로 검토되고 있다. 특히, 이산화탄소의 포집 및 저장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이산화탄소를 안정이온인 중탄산이온(HCO3 -)으로 변환 농축하여 해양에 저장하는 전환공정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전환공정은 이산화탄소의 화학적, 생물학적, 전기화학적 또는 열역학적 방법에 의해 부가가치가 높은 새로운 화합물로 전환시켜 자원으로 재활용하고자 하는 기술이다.
한편, 화력발전소 등에서는 배가스에서 배출되는 황산화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탈황설비가 설치 및 운영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습식 배연탈황설비(Wet Flue Gas Desulphurization Systems)가 전체의 약 87%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화력발전소는 대량의 냉각수가 사용되어 바다에 근접한 장소에 건설되기 때문에 해수(Sea water)를 이용한 탈황장치에 대한 연구 및 적용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해수 중에는 안정한 형태로 유지되고 있는 황산이온(SO4 2-)이 2500 - 3000ppm가량 포함되어 있으며, 배가스 중의 SO2가 해수 중에 용해되어 중아황산이온(HSO3 -)과 수소이온(H+)으로 해리되고, 해수 내의 알칼리 성분인 중탄산이온(HCO3 -)의 도움으로 산소(O2)와 반응하여 황산이온(SO4 2-)으로 전환되어, 안정한 이온형태로 해양으로 다시 배출하는 공정이다.
이와 같이 대부분의 발전소에서는 배가스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및 황산화물을 저감시키기 위해 각각 다른 공정과 설비에서 처리하고 있어서, 이를 동시에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막대한 설비 투자비와 운영비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배가스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및 황산화물을 동시에 저감시킬 수 있는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로부터 유출되는 배출액의 다양한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로서, 외부로부터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가 포함된 배가스가 유입되는 가스 유입부; 외부로부터 흡수액이 유입되는 흡수액 유입부; 유입된 상기 배가스와 상기 흡수액이 혼합되는 챔버; 상기 배가스 중의 이산화탄소를 중탄산 이온으로 전환시키는 이산화탄소 전환 효소 및 상기 배가스 중의 아황산가스를 황산 이온으로 전환시키는 아황산 전환 효소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효소 충진부; 상기 중탄산 이온 및 황산 이온을 포함하는 배출액이 유출되는 배출액 유출부; 및 상기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가 전환되어서 제거된 배가스가 배출되는 가스 배출부;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로부터 유출되는 배출액을 해양으로 유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해양 저장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로부터 유출되는 배출액을 조류와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조류 배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로부터 유출되는 배출액을 알칼리 금속 이온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탄산염 광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는 발전소등에서 배출되는 배가스 중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와 아황산가스를 동시에 저감시키기 위해 단일공정으로 두 물질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한 초기 투자비 및 운영비가 절감되므로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와 아황산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를 동시에 저감시키기 위한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1)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1)는 가스 유입부(10), 흡수액 유입부(20), 효소 충진부(30), 가스 배출부(40) 및 배출액 유출부(50)가 구비된 챔버(80)를 포함한다.
상기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1)는 외부로부터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가 포함된 배가스가 상기 챔버(80)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가스 유입부(10)로 유입된다.
상기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가 포함된 배가스는 밀도에 의해 챔버(80) 상부로 이동하여 가스 배출부(40)를 통해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챔버(80)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흡수액이 상기 챔버(80)의 상부에 구비된 흡수액 유입부(20)로 유입되며, 상기 흡수액은 챔버(80)의 하부로 이동하여 배출액 유출부(50)를 통해서 배출된다.
상기 흡수액은 해수, 원수, 염수 또는 기수일 수 있으며, 해수 또는 원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1)는 챔버(80)를 통해 상기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가 포함된 배가스와 상기 흡수액이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챔버(80)는 배가스 중의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를 이온으로 빠르게 전환시키기 위해서 내부에 효소 충진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효소 충진부(30)는 상기 배가스 중의 이산화탄소를 중탄산 이온으로 전환시키는 이산화탄소 전환 효소 및 상기 배가스 중의 아황산가스를 황산 이온으로 전환시키는 아황산 전환 효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산화탄소 전환 효소는 이산화탄소를 빠른 속도로 용해시켜, 챔버(80)로 유입되는 이산화탄소의 이용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흡수액에 이산화탄소가 용해될 때 이산화탄소의 수화반응 속도를 104에서 106배 증가시킬 수 있는 탄산무수화 효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산화탄소 전환 효소가 포함된 흡수액에 이산화탄소를 주입시키면 하기 화학식 1과 같은 반응에 의하여 이산화탄소가 용해되어 중탄산이온 (HCO3 -)과 수소이온(H+)으로 해리되고, 흡수액의 pH 변화에 의하여 탄산이온(CO3 2-)을 생성시킨다.
[화학식 1]
CO2+H2O→ H2CO3↔ H++HCO3 -
H++HCO3 -↔ CO3 2-+2H+(pH변화)
이와 같이 이산화탄소를 흡수액에 빠르게 용해시키기 위한 탄산무수화 효소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소의 혈청, 사람의 혈청 또는 패각류 등 다양한 생명체에서 분리할 수 있는 탄산무수화 효소 또는 대장균 등을 이용하여 대량 배양하여 얻을 수 있는 탄산무수화 효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산무수화 효소는α형 탄산무수화 효소, β형 탄산무수화 효소, γ형 탄산무수화 효소, δ형 탄산무수화 효소, ε형 탄산무수화 효소 및 생체 모방효소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생체 모방효소는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하지 않으나, 예를 들어 Davy (2009, Energy Procedia 1, 885-892)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아연(Zn), 구리(Cu)와 같은 다가성 금속이온에 시클렌(cyclone)과 Tripod L1Tris-(2-benzimidazoylmethyl)-amine 등의 리간드 결합을 이용하여 합성된 물질일 수 있다.
상기 아황산 전환 효소는 아황산가스가 흡수액에 용해되어 생성된 아황산이온(SO3 2-)을 황산이온(SO4 2-)으로 전환되는 전환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SAR(Sulfite acceptor oxidoreductase) 효소, APS(adenosine-5’-phosphosulfate) 환원효소(reductas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하기 반응식 1을 참고하면, 생물학적으로 아황산염(Sulfite)은 생체에너지인 ATP(adenosine triphosphate) 수율이 낮은 SAR(Sulfiteacceptor oxidoreductase)효소에 의해 직접 황산염(Sulfate)으로 산화되는 경로 또는 APS 효소와 ATP 황산 분해 효소(sulfurylase)의 작용을 받아서 APS를 거치는 경로를 통해 황산염으로 산화된다.
[반응식 1]
Figure pat00001
일반적으로 SAR 효소에 의한 산화가 APS 환원효소의 작용을 통한 산화보다 자연계에 더 많이 분포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APS를 거치는 경로에서 더 많은 에너지가 보전되지만 생태계에서 SAR 효소에 의한 산화가 열역학적으로 유리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아황산염을 황산염으로 전환시키는 미생물 유래의 효소(예컨대, SAR 효소 및 APS 환원효소(reductase))를 이용하여 아황산가스가 흡수액에 용해되어 생성된 아황산이온 (SO3 2-)을 황산이온(SO4 2-)으로 빠르게 전환시킬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이유로 SAR 효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SAR 효소는 γ형 프로테오박테리아(Proteobacteria) 유래의 효소일 수 있다.
상기 아황산 전환 효소가 포함된 흡수액에 아황산가스를 주입시키면 하기 화학식 2와 같은 반응에 의하여 아황산가스가 용해되어 중아황산이온(HSO3 -)과 수소이온(H+)으로 해리되고, 흡수액 내의 산소(O2)(예컨대, 용존산소)와 반응하여 황산이온(SO4 2-)으로 전환된다. 이때 흡수액의 pH가 증가하면 중아황산이온(HSO3 -)은 다시 아황산이온(SO3 2-)을 생성시킨다.
[화학식 2]
SO2+H2O→ H2SO3↔ H++HSO3 -
H++HSO3 -↔ SO3 2-+2H+(pH변화)
HSO3 -+1/2O2→ SO4 2-+H+
상기 이산화탄소 또는 상기 아황산가스가 흡수액에 용해되면서 pH가 낮아지고 pH가 낮아지면서 이산화탄소 또는 아황산가스의 흡수 효율이 낮아질 수 있는데, 이산화탄소 또는 아황산가스의 흡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발전소 취수구에서 일부 흡수액을 흡수액 유입부(20)를 통해 추가 공급하여 챔버(80) 내의 낮아진 pH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산화탄소 전환 효소 및 아황산 전환 효소는 조업과정 중에 유실되지 않고 장기간 동안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다공성 지지체의 내부에 담지되어 있는 효소 담지체로 상기 효소 충진부(3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알루미나계, 제올라이트계 및 실리카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효소 담지체는 다공성 지지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이산화탄소 전환 효소 및 상기 아황산 전환 효소를 각각 0.005 내지 0.02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02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산화탄소 전환 효소 또는 상기 아황산 전화 효소가 0.005 중량부 미만이면 전화 효율이 저하될 수 있고, 0.025 중량부 초과이면 과잉 충진되어 운용 비용이 상승할 수 있다.
다시 설명하자면, 상기 이산화탄소 전환 효소 및 상기 아황산 전환 효소를 포함하는 챔버(80)를 통해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가 포함된 배가스와 흡수액이 혼합될 수 있다.
이때, 챔버(80)로 유입된 배가스 중의 이산화탄소는 흡수액에 포함된 이산화탄소 전환 효소에 의해서 중탄산이온(HCO3 -)과 수소이온(H+)이 생성(전환)되고, 아황산가스는 흡수액에 용해되어 생성된 아황산이온(SO3 2-)이 SAR 효소에 의해서 황산이온(SO4 2-)으로 생성(전환)된다. 이와 같이 이산화탄소와 아황산가스가 이온으로 전환되어서 제거된 배가스는 가스 배출부(40)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챔버(80)로 유입된 흡수액은 이산화탄소와 아황산가스가 용해되어 pH가 낮아지게 되며, 배가스의 흡수반응을 지속시키기 위하여 챔버(80) 내에 포함되어 있는 pH 측정부(60)로 pH를 측정하여 흡수액의 pH가 6 미만, 바람직하게는 5.5 미만으로 낮아지면 배출액 유출부(50)의 밸브를 통하여 이산화탄소와 아황산가스가 용해된 배출액을 유출시킨다.
이후, 흡수액 유입부(20)로부터 새로운 흡수액을 동일 양으로 공급하여 챔버(80) 내의 흡수액을 완충시켜 pH를 7.3 내지 8.3 까지 높여 이산화탄소와 아황산가스의 흡수반응이 지속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약품 주입부(70)로부터 가성소다(NaOH)와 같은 알칼리 물질을 주입하여 챔버(80)내 흡수액의 pH를 7.3 내지 8.3 까지 높여 이산화탄소와 아황산가스의 흡수반응이 지속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1)로부터 유출되는 배출액의 다양한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로부터 유출되는 배출액을 해양으로 유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해양 저장 방법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해수 중에는 중탄산이온(HCO3 -)및 황산이온(SO4 2-)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가 흡수액(예컨대, 해수 또는 원수)에 용해되어 전환된 중탄산이온(HCO3 -)및 황산이온(SO4 -)을 포함하는 배출액을 다시 해양으로 유출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1)로부터 유출되는 배출액을 조류와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조류 배양 방법일 수 있다.
상기 조류는 중탄산이온이 포함되어 있는 용액을 사용할 경우, 조류 배양이 향상될 수 있는 미세조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1)로부터 유출되는 배출액의 다양한 처리 방법의 또 다른 예로는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로부터 유출되는 배출액을 알칼리 금속 이온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탄산염 광물의 제조 방법일 수 있다.
상기 알칼리 금속 이온은 칼슘 이온, 마그네슘 이온 등일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알칼리 금속 이온 중 칼슘 이온을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1)로부터 유출되는 배출액과 반응시켜 탄산칼슘(CaCO3,석회석)을 생성시켜 활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이산화탄소 전환 효소로 소의 혈청에서 추출한 탄산무수화 효소를 사용하였고, 아황산 전환 효소로는 γ형 Proteobacteria 유래의 SAR(Sulfite acceptoroxidoreductase)효소를 사용하였다. 각각 0.025mg을 취하여, 니켈(Ni)-알루미나 자성입자 100mg에 담지시켜 효소 담지체를 제조하였다. 이후, 도 1과 같은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3L)에 상기 효소 담지체를 고정시켰다. 이후, 15% 이산화탄소와 1%의 아황산가스 84% 질소가 혼합된 가스를 가스 유입부로 10 ml/min의 속도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해수의 pH 변화를 측정하였다. 해수가 공급된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 내 해수의 초기 pH는 8.2였으며 이산화탄소와 아황산가스가 주입됨에 따라 초기에는 pH가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pH가 5.5까지 도달하여, 이산화탄소의 수화반응과 아황산가스의 전환반응이 진행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pH 측정부를 통하여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 내의 해수 pH가 5.5로 감소할 때, 배출액 유출부를 통하여 이산화탄소와 아황산가스가 용해된 해수를 배출시키면서 배출된 양 만큼의 새로운 해수를 공급하였다. 이때, 가성소다(NaOH)를 주입하여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 내의 pH를 7.3 - 8.3 범위내에서 유지시키고, 이산화탄소와 아황산가스의 전환반응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게 하였다.
실시예 2
탄산무수화 효소 및 아황산 전환 효소 각각을 0.02mg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비교예 1
소의 혈청에서 추출한 탄산무수화 효소 0.025mg을 취하여, 니켈(Ni)-알루미나 자성입자 100mg에 담지시켜 효소 담지체를 제조한 것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2
γ형 Proteobacteria 유래의 SAR(Sulfite acceptoroxidoreductase)효소 0.025mg을 취하여, 니켈(Ni)-알루미나 자성입자 100mg에 담지시켜 효소 담지체를 제조한 것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험예 1- 이산화탄소와 아황산가스의 흡수반응 시험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의 가스 유입부에서의 이산화탄소와 아황산가스의 농도를 측정하고, 가스 배출부에서의 이산화탄소와 아황산가스의 농도를 측정하여 제거된 이산화탄소와 아황산가스의 제거 효율을 평가하였으며, 연속운전을 통하여 이산화탄소와 아황산가스 제거 효율은 각각 95%이상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유입되는 배가스의 농도
(CO2/SO2)
15%/800ppm 15%/800ppm 15%/800ppm 15%/800ppm
배출되는 배가스의 농도
(CO2/SO2)
0.8%/40ppm 1%/56ppm 0.8%/640ppm 13.5%/40ppm
제거 효율 95%/95% 93%/93% 95%/20% 10%/95%
1: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
10: 가스 유입부
20: 흡수액 유입부
30: 효소 충진부
40: 가스 배출부
50: 배출액 유출부
60: pH 측정부
70: 약품 주입부
80: 챔버

Claims (16)

  1.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로서,
    외부로부터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가 포함된 배가스가 유입되는 가스 유입부;
    외부로부터 흡수액이 유입되는 흡수액 유입부;
    유입된 상기 배가스와 상기 흡수액이 혼합되는 챔버;
    상기 배가스 중의 이산화탄소를 중탄산 이온으로 전환시키는 이산화탄소 전환 효소 및 상기 배가스 중의 아황산가스를 황산 이온으로 전환시키는 아황산 전환 효소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효소 충진부;
    상기 중탄산 이온 및 황산 이온을 포함하는 배출액이 유출되는 배출액 유출부; 및
    상기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가 전환되어서 제거된 배가스가 배출되는 가스 배출부;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챔버 내의 흡수액의 pH를 측정하는 pH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챔버 내의 흡수액의 pH를 조절하는 약품을 투입하기 위한 약품 주입부를 더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수액은 해수, 원수, 염수 또는 기수인 것인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효소 충진부는 다공성 지지체의 내부에 이산화탄소 전환 효소 및 아황산 전환 효소가 담지되어 있는 효소 담지체를 포함하는 것인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알루미나계, 제올라이트계 및 실리카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인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전환 효소는 탄산무수화 효소이고, 상기 아황산 전환 효소는 SAR(Sulfite acceptor oxidoreductase) 효소인 것인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탄산무수화 효소는 α형 탄산무수화 효소, β형 탄산무수화 효소, γ형 탄산무수화 효소, δ형 탄산무수화 효소, ε형 탄산무수화 효소 및 생체 모방효소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인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SAR 효소는 γ형 프로테오박테리아(Proteobacteria) 유래의 효소인 것인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
  11.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효소 담지체는 다공성 지지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이산화탄소 전환 효소 및 상기 아황산 전환 효소를 각각 0.005 내지 0.025 중량부 포함하는 것인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로부터 유출되는 배출액을 해양으로 유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해양 저장 방법.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로부터 유출되는 배출액을 조류와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조류 배양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조류는 미세조류인 것인 조류 배양 방법.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로부터 유출되는 배출액을 알칼리 금속 이온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탄산염 광물의 제조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금속 이온은 칼슘 이온 또는 마그네슘 이온을 포함하는 것인 탄산염 광물의 제조 방법.
KR1020180017942A 2018-02-13 2018-02-13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 KR201900979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942A KR20190097925A (ko) 2018-02-13 2018-02-13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942A KR20190097925A (ko) 2018-02-13 2018-02-13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925A true KR20190097925A (ko) 2019-08-21

Family

ID=67808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942A KR20190097925A (ko) 2018-02-13 2018-02-13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792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837B1 (ko) * 2020-08-11 2020-12-01 독일에프에이유에를랑겐유체역학연구소 부산지사 광촉매-가스 하이드레이트 기반 공기정화 시스템
KR102648025B1 (ko) * 2023-02-17 2024-03-18 강동바이오 주식회사 바이오가스 생산량이 개선된 유기성폐기물의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성폐기물의 처리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837B1 (ko) * 2020-08-11 2020-12-01 독일에프에이유에를랑겐유체역학연구소 부산지사 광촉매-가스 하이드레이트 기반 공기정화 시스템
KR102648025B1 (ko) * 2023-02-17 2024-03-18 강동바이오 주식회사 바이오가스 생산량이 개선된 유기성폐기물의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성폐기물의 처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ustafa et al. Simultaneous treatment of reject brine and capture of carbon dioxide: A comprehensive review
Russo et al. Post-combustion carbon capture mediated by carbonic anhydrase
US8617500B2 (en) Process for removal of carbon dioxide from a gas stream
US6890497B2 (en) Method for extracting and sequestering carbon dioxide
US8764964B2 (en) Electrochemical formation of hydroxide for enhancing carbon dioxide and acid gas uptake by a solution
ES2365199T3 (es) Pre-tratamiento de absorbentes basados en cal usando hidratación.
US8435479B2 (en) Process for treating carbon dioxide containing gas
EP0487102B1 (en) Recycling system for the recovery and utilization of CO2 gas
KR101187267B1 (ko) 염기성 고분자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제거 방법
KR101773813B1 (ko)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탄산염의 선택적 제조방법
KR20190097925A (ko)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의 동시 처리 장치
KR20140009871A (ko) 해수 중 마그네슘 이온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농축반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해양격리방법
CN112499651A (zh) 一种电化学捕集二氧化碳制备碳酸氢钠的方法及装置
EP2204227A2 (en) Carbon Oxide and/or Sulfur Oxide Capture in a Liquid Environment
CN105561750A (zh) 一种锰矿浆微生物耦合烟气脱硫脱硝方法
KR102594472B1 (ko) 효소-막-광물화 반응시스템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제거방법 및 장치
CN109045963B (zh) 一种氧化-吸收脱除燃煤烟气中气态二氧化硒的方法
Fatheen et al. Effect of Temperature on Calcium Carbonate Precipitation in Biomimetic Calcium Chloride Solution
KR100983100B1 (ko) Biopolymer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회수 방법
CN101486780B (zh) 一种废气脱硫副产物的利用装置及方法
JPH03164420A (ja) 炭酸ガスの処理装置
US20210354084A1 (en) Method for carbon dioxide capture and sequestration using alkaline industrial wastes
US20240198280A1 (en) Method and absorbent for absorbing carbon dioxide from air
Mourad et al. Evaluation of bovine carbonic anhydrase for promoting CO2 capture via reaction with KOH and high-salinity reject brine
CA2499264C (en) A process and a plant for recycling carbon dioxide emissions from power plants into useful carbonated spe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