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7884A - 뇌 신경 손상 완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뇌 신경 손상 완화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97884A KR20190097884A KR1020180017845A KR20180017845A KR20190097884A KR 20190097884 A KR20190097884 A KR 20190097884A KR 1020180017845 A KR1020180017845 A KR 1020180017845A KR 20180017845 A KR20180017845 A KR 20180017845A KR 20190097884 A KR20190097884 A KR 2019009788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osition
- lipid emulsion
- nerve damage
- brain nerve
- bra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20—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20—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 A61K31/201—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having one or two double bonds, e.g. oleic, linoleic aci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eur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euro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는 지질 유상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 신경 손상 완화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뇌 신경 손상 완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뇌 신경 손상 완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손상된 뇌 신경에 투여되어 손상된 신경을 복구할 수 있는, 뇌 신경 손상 완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뇌는 유전병, 외상, 또는 병리적 요소로 인한 급성 손상 (acute injury), 만성 손상 (chronic injury), 퇴행성 뇌 질환 (neurodegenerative disease) 에 취약하다. 이러한, 뇌 손상 및 퇴행성 뇌질환으로 인해 발생하는 여러 가지 뇌기능 장애는, 인지기능, 운동기능, 항상성 기능, 등의 중요한 신체 기능의 저하를 야기시킨다.
한편, 신체 기능 장애를 유도하는 요인 중 하나로, 뇌 신경 세포의 사멸이 있을 수 있다. 정상적인 성인의 경우, 손상된 뇌 신경 세포가 완전하게 복구되거나 사멸된 뇌 신경 세포가 재생되는 것이 매우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뇌 신경 세포의 손상 및 뇌 신경 세포의 사멸을 방지하는 것은, 뇌 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에 있어서 중요한 치료 목적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 많은 연구들은 신경 손상과 관련된 병리적인 기전의 규명 및 잠재적인 치료 효과를 갖는 약물 스크리닝, 나아가 신경 손상과 연관된 바이오마커 (biomarker) 의 발굴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밝혀진 연구 결과만으로는, 손상된 뇌 신경을 실질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손상된 뇌 신경을 복구하여 근본적인 치료 효과를 제공하고, 뇌 신경 손상에 의해 유발되는 뇌 기능 장애를 실질적으로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는, 새로운 저성물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기재된 사항들이 선행기술로 존재한다고 인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한편, 뇌 손상 및 퇴행성 뇌질환을 비임상적으로 연구하는 방법 중 하나로, 동물 모델에게 카이닌산 (Kainic acid) 을 주입하여 뇌에 인위적인 손상을 유발 시키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뇌 손상, 특히 카이닌산에 의해 유발되는 뇌손상 동물 모델을 이용함으로써, 새로운 약물에 의한 뇌 세포의 생존 기여도를 검증할 수 있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지질 유상액 (lipid emulsion) 이 심장에서 허혈성 재관류에 의한 심근 손상에 뛰어난 보호 효과를 보인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심근에서 생기는 손상의 기전과 신경 세포의 손상 또는 사멸 기전이 유사할 수 있어, 지질 유상액이 손상된 신경 세포의 완화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인지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카이닌산에 의해 뇌 손상이 일어난 동물 모델에 대하여 지질 유상액을 손상된 뇌 신경 부위에 주입하였고, 그 결과, 신경의 손상 완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지질 유상액을 포함하는 뇌 신경 손상 완화용 조성물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손상된 부위에 투여되어 뇌 신경의 손상을 완화할 수 있는 지질 유상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 신경 손상 완화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뇌 신경 손상 완화용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동물의 뇌 손상 부위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뇌 신경 손상 완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뇌 손상 완화용 조성물을 포함함에 따라 뇌 신경 손상에 의해 야기되는 뇌 기능 장애에 대하여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뇌 기능 장애 예방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질 유상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 신경 손상 완화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지질 유상액"은 지방 산을 포함하는 유상 형태의 에멀젼을 의미한다. 이러한, 지질 유상액은 뇌 신경을 보호하고, 손상된 뇌 신경을 회복하는 것에 기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질 유상액은 흥분 독성 (excitotoxicity), 외상, 뇌졸증, 혈관 질환에 의해 손상된 뇌 신경을 완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바람직하게, 지질 유상액을 포함하는 뇌 신경 손상 완화용 조성물은 흥분 독성에 의해 유발되는 뇌 신경 손상을 완화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때, "흥분 독성 (excitotoxicity)"은 손상에 의해 신경세포의 탈분극 (depolarization) 또는 세포막손상으로 흥분성 아미노산 (excitatory amino acids: glutamate, aspartate), 아세틸콜린 (acetylcholine), 모노아민 (monoamine) 등이 유리되고 이러한 물질이 NMDA (N-Methyl-D-aspartic acid) 수용체, 또는 비-NMDA 수용체를 통해 세포 내로 Na+, K+, Ca2 + 유입을 초래함으로써 직·간접 경로를 통해 세포사를 일으키는 현상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지질 유상액은 흥분 독성에 의한 세포 사멸의 메커니즘을 저해 또는 억제하여 뇌 신경을 보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질 유상액은 손상된 뇌 신경에 작용하여, 세포 사멸과 연관된 활성산소를 감소시킴으로써, 손상된 뇌 신경 손상의 진행을 막거나, 손상된 뇌 신경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에, 지질 유상액의 작용에 따라, 활성산소의 마커인 PKC-δ (protein kinase C-δ) 의 발현 수준의 감소가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술한 것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요인에 의한 뇌 신경 손상, 나아가 뇌 신경 손상에 의해 야기되는 다양한 뇌 기능 장애를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것에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지질 유상액은, 장쇄 지방산 (long chain fatty acid) 을 포함하는 3 분자의 지방산과 글리세린으로 구성된, 장쇄 트리글리세라이드 (LCT, long chain triglyceride)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지질 유상액은, 리놀레산 (linoleic acid), 올레산 (oleic acid), α-리놀레산 (α-linoleic acid) 및 팔미트산 (palmitic acid) 의 4 개의 장쇄 지방산으로 구성된, 트리글리세라이드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스테아르산 (stearic acid) 을 구성으로 더 포함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를 본 발명의 지질 유상액으로 이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지질 유상액은 리놀레산, 올레산 및 팔미트산의 지방산을 포함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일 수 있다. 이때, 지질 유상액의 뇌 신경 손상 완화를 위해, 리놀레산은 지질 유상액 또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전체에 대하여 40 질량 % 내지 65 질량 %의 함량을 가질 수 있고, 올레산은 지질 유상액 또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전체에 대하여 15 질량 % 내지 30 질량 %의 함량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팔미트산은 지질 유상액 또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전체에 대하여 10 질량 % 내지 30 질량 %의 함량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지방산 각각의 함량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팔미트산으로부터 유래한 지방산 중간체인 팔미토일카르니틴 (palmitoylcarnitine) 은 신경을 보호하는 것에 직·간접적으로 기인할 수 있다. 이에, 지질 유상액 내의 팔미트산은, 치료 효과 달성을 위해 보다 높은 함량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지질 유상액은 리놀레산, 올레산, α-리놀레산 및 팔미트산의 지방산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질 유상액의 뇌 신경 손상 완화를 위해, 리놀레산은 지질 유상액에 대하여 40 질량 % 내지 65 질량 %의 함량을 갖고, 올레산은 지질 유상액에 대하여 15 질량 % 내지 30 질량 %의 함량을 갖고, α-리놀레산은 지질 유상액에 대하여 5 질량 % 내지 15 질량 %의 함량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팔미트산은 지질 유상액에 대하여 10 질량 % 내지 15 질량 %의 함량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지질 유상액은 인지질 (phospholipids) 또는, 글리세린 (glycerin)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지질 유상액은 300 mOsmol/Kg 내지 400 mOsmol/Kg의 삼투질 농도 (osmolality) 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뇌 손상 완화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뇌 기능 장애 예방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 더 제공된다.
한편, 뇌 신경 손상 완화용 조성물 및 뇌 기능 장애 예방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내의 지질 유상액의 함량은,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0.0001 질량 % 내지 30 질량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뇌 신경 손상 완화용 조성물 및 뇌 기능 장애 예방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 손상된 뇌 신경부위에 미세 주입되는 경우, 지질 유상액의 함량은,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0.001 질량 % 내지 5 질량 %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지질 유상액의 함량은,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0.01 질량 % 내지 1 질량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30 질량 % 이상의 함량으로 지질 유상액이 포함된 조성물이 손상된 뇌 신경 부위에 미세 주입되는 경우, 신경 독성을 나타내어 주입된 부위의 뇌 신경 세포의 사멸을 야기할 수 있다.
한편, 지질 유상액의 함량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뇌 신경 손상 완화용 조성물 및 뇌 기능 장애 예방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투여로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투여 대상이 되는 개체의 종류,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상태, 질병의 증세나 정도, 성별, 식이, 배설, 해당 개체에 동시 또는 다른 시기에 함께 사용되는 약물 기타 조성물의 성분 등을 비롯한 여러 인자 및 의약 분야에서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다. 나아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목적하는 치료에 효과적인, 지질 유상액의 농도를 용이하게 결정하고 처방할 수 있다.
손상된 뇌 신경의 완화, 또는 뇌 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해, 조성물의 1 일 투여량 (daily dose) 은 1.5 ml/kg 내지 4.5 ml/kg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조성물의 투여량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목적 부위의 종류, 환자의 상태, 약물 형태, 투여경로, 목적하는 효과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 사용되는 용어, "1 일 투여량"은 진료, 치료 등을 목적으로 하루에 인체에 투여하는 물질의 양을 의미한다. 이때, 1 일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kg) 에 비례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1 일 투여량으로 뇌 신경 손상 완화용 조성물의 투여는 하루에 1 회 투여될 수 있고, 수회에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신경 조직으로의 미세 주입, 정맥 주사, 근육내 주사, 피하 주사, 피내 주사 및 비강내 투여로 이루어진 그룹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투여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목적하는 해당 부위에 조성물들이 도달할 수 있는 한 임의의 투여 경로 및 투여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이 멸균 주사 용액의 형태로 제형화되는 경우, 현탁제, 용해보조제, 안정화제, 등장화제, 보존제, 흡착방지제, 계면활성제, 희석제, pH 조정제, 무통화제, 완충제, 함황환원제, 산화방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이 비강 투여 형태로 제형화되는 경우, 뇌 신경 손상 완화용 조성물 및 뇌 기능 장애 예방용 및 치료용 조성물은 비강 내 투여를 위해 비강용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담체는 포유동물의 비강 상피의 어느 부분에 투여하기에 적당한 한 종 이상의 적절한 고상 또는 필러 희석제 또는 캡슐화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담체는 액체, 용액, 현탁액, 겔, 연고, 로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나아가, 담체는 전달 강화제를 포함할 수 있는데, 비강내 전달 강화제에는, 응집 저해제, 투여량 변경제, pH 제어제, 분해 효소 저해제, 점액질 용해 또는 점액 제거제, 섬모안정 시약들, 막투과 촉진제 (예를 들면, 계면 활성제, 담즙산염, 인지질 또는 지방산 첨가제, 혼합 미셀 (micelle), 리포솜, 또는 담체, 알콜, 에나민 (enamine), 산화질소 공여체 혼합물, 장쇄 양친매성 분자, 소형 소수성 침투 강화제, 나트륨 또는 살리실산 유도체, 아세토아세트산의 글리세롤 에스테르, 시클로덱스트린 또는 베타-시클로덱스트린 유도체, 중간 사슬 지방산, 킬레이트 시약, 아미노산 또는 그의 염, N-아세틸아미노산 또는 그의 염, 선택된 막 성분에 대한 분해 효소, 지방산 합성 저해제, 콜레스테롤 합성 저해제 또는 산화질소 자극 물질, 키토산, 그리고 키토산 유도체와 같은 상피 접합 생리학의 조절 약제, 혈관 확장제, 선택적 운반 촉진제 그리고 비내 점막 전달을 강화하기 위해, 본원의 조성물이 효과적으로 조합되고, 결합되고, 보관되고, 캡슐화 되거나 활성 약제를 안정시킬 수 있게 해주는, 안정적 운송체, 담체, 지지 물질 또는 착물 생성종 (complex-forming species)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에 있어서 이상의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량 및 도포량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뇌 손상 완화용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동물의 손상된 뇌 신경 부위에 미세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뇌 신경 손상 완화 방법이 제공된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뇌 신경 손상 완화 방법에서 본 발명의 뇌 손상 완화용 조성물의 투여는 정맥 주사, 근육내 주사, 피하 주사, 피내 주사 또는, 비강내 투여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뇌 신경 부위는 해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뇌 신경 부위는, 뇌 손상 완화용 조성물의 미세주입이 진행될 수 있는 한, 뇌의 다양한 부위가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뇌 신경 부위는, 해마, 중뇌, 소뇌, 시상, 대뇌피질, 선조체, 후두엽, 측두엽, 두정엽 및 전두엽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은, 손상된 뇌 신경을 완화할 수 있는 지질 유상액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흥분 독성, 외상, 뇌졸증, 혈관 질환에 의해 유발되는 뇌 신경 손상의 완화에 효과적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뇌 신경 손상 완화용 조성물은 뇌 신경 손상으로 인한 뇌 기능 장애의 치료 또는 예방에 임상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뇌 신경 손상 완화에 효과적인 지질 유상액의 조성 및 함량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임상에서 손상 부위에 주입되었을 때 효과적인 뇌 손상의 완화를 제공할 수 있는, 조성물의 유효함량 및 1 일 투여량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이용되는 지질 유상액 처리에 따른, 수동 회피 행동 검사 결과를 나타낸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이용되는 지질 유상액의 처리 24시간 후, 보호기작과 연관된 바이오마커 및 활성산소와 연관된 바이오마커의 mRNA 발현 수준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이용되는 지질 유상액을 24시간 간격으로 3 번 반복 처리한 72시간 후, 보호기작과 연관된 바이오마커 및 활성산소와 연관된 바이오마커의 mRNA 발현 수준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이용되는 지질 유상액 의 처리 24시간 후, 보호기작과 연관된 바이오마커 및 활성산소와 연관된 바이오마커의 단백질 수준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이용되는 지질 유상액을 24시간 간격으로 3 번 반복 처리한 72시간 후, 보호기작과 연관된 바이오마커 및 활성산소와 연관된 바이오마커의 단백질 수준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이용되는 지질 유상액 농도에 따른 신경독성을 평가한 결과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이용되는 지질 유상액의 처리 24시간 후, 보호기작과 연관된 바이오마커 및 활성산소와 연관된 바이오마커의 mRNA 발현 수준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이용되는 지질 유상액을 24시간 간격으로 3 번 반복 처리한 72시간 후, 보호기작과 연관된 바이오마커 및 활성산소와 연관된 바이오마커의 mRNA 발현 수준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이용되는 지질 유상액 의 처리 24시간 후, 보호기작과 연관된 바이오마커 및 활성산소와 연관된 바이오마커의 단백질 수준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이용되는 지질 유상액을 24시간 간격으로 3 번 반복 처리한 72시간 후, 보호기작과 연관된 바이오마커 및 활성산소와 연관된 바이오마커의 단백질 수준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이용되는 지질 유상액 농도에 따른 신경독성을 평가한 결과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들에 이용되는 지질 유상액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실험에서는 카이닌산 주입에 따른 흥분 독성에 의한 뇌 손상 동물 모델을 이용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효과는 이에 제한되어 나타나지 않고, 다양한 뇌 손상 동물 모델에 적용하였을 때도 동일하게 나타날 수 있다. 나아가, 뇌 손상 동물 모델에 대한 지질 유상액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 방법은, 손상된 신경에 대한 미세 주입 방법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정맥 주사, 근육내 주사, 피하 주사, 피내 주사 및 비강내 투여를 통해 손상된 뇌 신경에 전달되어, 손상된 뇌 신경이 완화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험에서는 뇌 손상 동물 모델로 200 내지 250 g의 수컷 스프라그-도울리 (Sprague Dawley) 랫트 (rat) 를 이용하였다. 먼저, 준비된 랫트는 콜로니 룸 (colony room) 에 7일간 머무르게 한 후 플라스틱 케이지로 옮겼다. 랫트는 12시간 명/암 주기로 유지하였고 펠렛과 물을 자유 식이로 급여하였다.
그 다음, 랫트에 대하여 소디움 페노바비탈 (50 mg/kg i.p.) 을 복강내로 투여하여 마취하고, 23-게이지 (gauge) 가이드 (guide cannula) 를 뇌정위고정장치 상에서 해마의 양쪽으로 이식하였다. 뇌위고정장치의 좌표는 두개골의 브레그마 (bregma) 를 기준으로, AP: -3.3 mm, ML: ±2.6 mm, DV: -3.7 mm로 설정되었다. 랫트는 캐뉼라 이식 후 7일간 회복되었다.
그 다음, 회복된 랫트를 5 %의 이소플로란 (isoflurane) 챔버에 넣어 마취 시켰다. 랫트가 의식을 잃었을 때, 챔버에서 꺼내어 호흡마취기 관에 랫트의 호흡기관에 연결하고 이소플로란용 진공기를 함께 가동켰다. 이때, 랫트의 마취상태에 따라 기화기 (vaporizer) 를 이용하여 주입되는 이소플로란의 농도를 1 % 내지 2 %로 조절해주었다. 그 다음, 랫트의 머리에 심어진 캐뉼라에 주입관 (injection cannula) 를 삽입하여 카이닌산 주사액 (0.4㎍/㎕, saline, 0.9 NaCl) 을 1 ㎕/min의 속도로 투여하였고, 투여완 후 약 1 내지 2 분 가량 주입관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였다.
이상의 절차에 따라, 카이닌산에 의한 뇌 손상 동물 모델이 획득되었다.
실시예 1: 지질 유상액의 기억력 보존 효과
본 실험에서, 뇌 손상 동물 모델에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이용되는 지질 유상액을 주입하기 위해, 뇌 손상 랫트를 5 %의 이소플로란 챔버에 넣어 다시 마취 시켰다. 랫트가 의식을 잃었을 때, 챔버에서 꺼내어 호흡마취기 관에 랫트의 호흡기관에 연결하고 이소플로란용 진공기를 함께 가동켰다. 이때, 랫트의 마취상태에 따라 기화기를 이용하여 주입되는 이소플로란의 농도를 1 % 내지 2 %로 조절해주었다. 그 다음, 랫트의 머리에 심어진 캐뉼라에 주입관을 삽입하여 지질 유상액을 1 ㎕/min의 속도로 투여하였고, 투여완 후 약 1 내지 2 분 가량 주입관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였다.
이때, 담체 (Veh, vehicle) 를 주입한 랫트를 양성 대조군으로 설정하였고, 0.01 %의 지질 유상액, 1 %의 지질 유상액을 각각 주입한 랫트를 실험군으로 설정하였다.
그 다음, 해마와 연관성이 깊은 학습과 기억을 시험해볼 수 있는 수동 회피 반응 실험 (Passive Avoidance Test) 을 실시하여, 3 가지 동물 모델에 대한 행동 분석실험을 실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수동 회피 반응 실험은 하루 동안 연습 기간을 거친 후, 그 다음날 테스트를 하는 실험이다. 이때, 두 개의 챔버가 이용되었는데, 이들 중 하나의 챔버는 랫트가 입장했을 때 10초 후에 조명이 켜지게 설정되었다. 랫트는 밝은 곳보다 어두운 곳을 선호하기 특성을 가지고 있어, 조명이 켜지지 않은 나머지 하나의 챔버로 이동하게 된다. 연습 기간에는, 랫트의 이동 후 두 개의 챔버를 이어주는 통로를 닫고, 어두운 챔버에서 랫트의 발과 닿는 플랫폼 (platform) 에 전기충격이 가해지도록 설정하였다. 그 다음날인 테스트 날, 연습 기간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험이 실행되었으나 전기충격은 가해지지 않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이용되는 지질 유상액 처리에 따른, 수동 회피 행동 검사 결과를 나타낸다.
도 1의 (a)를 참조하면, 연습 기간 동안 대조군 (KA+Veh), 2 개의 실험군 (KA+LE 0.01 %, KA+LE 1 %) 에 대한 기억력 보존 시간 (초) 가 도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습 기간 동안에는 대조군 및 지질 유상액을 투입한 두 개의 실험군간의 기억력 보존 기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
도 1의 (b)를 참조하면, 테스트 기간 동안 3 개의 동물 모델에 대한 기억력 보존 시간 (초) 가 도시된다. 테스트 기간에는 연습 기간의 학습에 따른, 3 개의 동물 모델간 기억력 보존 시간의 차이가 나타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담체를 투입한 대조군 (KA+Veh) 의 기억력 보존 시간은 지질 유상액을 투입한 두 개의 실험군 (KA+LE 0.01 %, KA+LE 1 %)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1 %의 지질 유상액을 주입한 실험군 (KA+LE 1 %) 과 대조군 (KA+Veh) 의 기억 보존 시간은 명확한 차이가 나타난다.
도 1의 (c)를 참조하면, 테스트 기간과 연습 기간의 기억력 보존 시간의 차이가 도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조군 (KA+Veh) 과 0.1 %의 지질 유상액을 주입한 실험군 (KA+LE 0.1 %) 은 학습에 따른 기억력 보존 시간의 증가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1 %의 지질 유상액을 주입한 실험군 (KA+LE 1 %) 은 연습 그간의 학습에 따른 기억력 보존 시간의 증가가 대조군 (KA+Veh) 에 대하여 약 5 배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즉, 이러한 결과는, 1 %의 지질 유상액을 주입에 따라, 학습 및 기억력이 향상되었고, 학습 및 기억을 담당하는 해마가 회복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 1의 결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지질 유상액이 뇌 손상 동물 모델에 대하여 학습 및 기억력을 향상시킴에 따라, 학습 및 기억을 담당하는 해마의 손상을 완화 시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지질 유상액을 포함하는 뇌 신경 손상 완화용 조성물 및 뇌 기능 장애 예방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해마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손상된 뇌 신경, 특히 흥분 독성에 의해 유발되는 뇌 손상을 완화하며, 뇌 손상에 의해 유발되는 뇌 기능 장애를 예방하고 치료하는 것에 이용될 수 있다.
특히, 1 %의 지질 유상액을 주입한 동물 모델에 대하여, 우수한 학습 및 기억력 향상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뇌 신경 손상 완화용 조성물 및 뇌 기능 장애 예방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내의 지질 유상액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1 % 이상인 것이 바람직 할 수 있다.
실시예 2: 지질 유상액의 보호기작 증진 및 활성산소 감소의 효과
본 실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 1의 지질 유상액 주입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뇌 손상 동물 모델에 담체, 및 2 가지 농도의 지질 유상액을 주입하여, 양성 대조군 (KA+Veh), 두 개의 실험군 (KA+LE 0.01 %, KA+LE 1 %) 을 준비하였다. 추가적으로, 본 실험에서는, 음성 대조군으로 뇌 손상을 야기하는 카이닌산 대신 담체를 주입한 랫트에 대하여, 지질 유상액 대신 담체를 재 주입한 랫트를 설정하였다.
이때, 지질 유상액 또는 담체는, 1 회 또는 24 시간 간격으로 3 회 투여되었다. 1 회 투여 시에는, 투여 24 시간 후 4 가지 동물 모델에 대한 뇌 신경 보호 기작과 연관된 마커인 Wnt (Wingless Integration), Wnt3, Wnt5a, BDNF (Brain Derived Neurotrophic Factor), Ki-67와 활성 산소와 연관된 마커인 PKC-δ의 상대적 mRNA의 수준과, 보호 기작과 연관된 마커인 Wnt, β-카테닌 (β-catenin), Akt (protein kinase B), p-Akt (phosphorylated protein kinase B) 의 단백질 수준을 측정하였다. 또한, 3 회 투여 시에는, 마지막 투여 24 시간 후 (1 차 투여 72 시간 후) 4 가지 동물 모델에 대한 뇌 신경 보호 기작과 연관된 마커인 Wnt, Wnt3, Wnt5a, BDN, Ki-67와 활성 산소와 연관된 마커인 PKC-δ의 상대적 mRNA의 수준과, 보호 기작과 연관된 마커인 Wnt1, β-카테닌, Akt, p-Akt의 단백질 수준을 측정하였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이용되는 지질 유상액의 처리 24시간 후, 보호기작과 연관된 바이오마커 및 활성산소와 연관된 바이오마커의 mRNA 발현 수준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이용되는 지질 유상액을 24시간 간격으로 3 번 반복 처리한 72시간 후, 보호기작과 연관된 바이오마커 및 활성산소와 연관된 바이오마커의 mRNA 발현 수준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이용되는 지질 유상액 의 처리 24시간 후, 보호기작과 연관된 바이오마커 및 활성산소와 연관된 바이오마커의 단백질 수준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이용되는 지질 유상액을 24시간 간격으로 3 번 반복 처리한 72시간 후, 보호기작과 연관된 바이오마커 및 활성산소와 연관된 바이오마커의 단백질 수준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도 2a의 (a), (b), (c), (d), (e) 및 (f)를 참조하면 4 개의 동물 모델에 대하여, 담체 또는 지질 유상액의 1회 투여 24시간 후 측정된, Wnt, Wnt3, Wnt5a, BDN, Ki-67, 및 PKC-δ의 mRNA의 상대적 발현 수준이 도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Wnt1, 및 Ki-67의 경우, 음성 대조군과 담체를 투입한 양성 대조군보다 지질 유상액을 주입한 실험군들 (KA+LE 0.01 %, KA+LE 1 %) 에서 이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도 2a의 (a), (f) 참조). Wnt5a는, 음성 대조군과 지질 유상액을 주입한 실험군들 (KA+LE 0.01 %, KA+LE 1 %) 의 발현 수준이 유사한 것으로 타나난다 (도 2a의 (d) 참조). BDNF는, 지질 유상액을 주입한 실험군들 (KA+LE 0.01 %, KA+LE 1 %) 의 발현 수준이 음성 대조군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나지만, 양성 대조군 (KA+Veh) 보다는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1 %의 지질 유상액을 주입한 실험군 (KA+LE 1 %) 에서의 BDNF의 발현 수준은 양성 대조군 (KA+Veh) 보다 약 2 배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도 2a의 (c) 참조). 이러한 뇌 신경 보호 기작과 연관된 바이오 마커의 mRNA 수준의 증가의 결과는, 지질 유상액 주입에 따른 뇌 신경의 보호의 증대 효과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세포의 사멸과 연관된 활성 산소에 대한 바이오 마커인 PKC-δ의 상대적 mRNA의 발현 수준은, 지질 유상액을 주입한 실험군들 (KA+LE 0.01 %, KA+LE 1 %) 에서 음성 대조군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난다 (도 2a의 (e) 참조). 나아가, 지질 유상액을 주입한 실험군들 (KA+LE 0.01 %, KA+LE 1 %) 에서의 PKC-δ의 상대적 mRNA의 발현 수준은 양성 대조군 (KA+Veh) 보다 약 2.5 배 낮은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지질 유상액 주입에 따라 신경 세포의 사멸을 일으키는 활성 산소가 감소 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b의 (a), (b), (c), (d), (e) 및 (f)를 참조하면 4 개의 동물 모델에 대하여, 담체 또는 지질 유상액을 24 시간 간격으로 3회 투여 하고, 마지막 투여 24시간 후 측정된, Wnt, Wnt3, Wnt5a, BDN, Ki-67, 및 PKC-δ의 mRNA의 상대적 발현 수준이 도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Ki-67의 경우, 음성 대조군과 담체를 투입한 양성 대조군보다 지질 유상액을 주입한 실험군들 (KA+LE 0.01 %, KA+LE 1 %) 에서 이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도 2b의 (f) 참조). BDNF는, 음성 대조군과 지질 유상액을 주입한 실험군들 (KA+LE 0.01 %, KA+LE 1 %) 의 발현 수준이 유사한 것으로 타나난다 (도 2b의 (c) 참조). 이러한 뇌 신경 보호 기작과 연관된 바이오 마커의 mRNA 수준의 증가의 결과는, 지질 유상액 주입에 따른 뇌 신경의 보호의 증대 효과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세포의 사멸과 연관된 활성 산소에 대한 바이오 마커인 PKC-δ의 상대적 mRNA의 발현 수준은, 지질 유상액을 주입한 실험군들 (KA+LE 0.01 %, KA+LE 1 %) 에서 음성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
도 3a의 (a), (b), (c) 및 (d)를 참조하면, 4 개의 동물 모델에 대하여, 담체 또는 지질 유상액의 1회 투여 24시간 후 측정된, Wnt1, Wnt1, β-카테닌, Akt, p-Akt의 상대적 단백질 수준이 도시된다. Wnt1 및 Akt의 경우, 음성 대조군과 지질 유상액을 주입한 실험군들 (KA+LE 0.01 %, KA+LE 1 %) 에서 이의 단백질 량이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난다 (도 3a의 (a), (d) 참조). 그러나, β-카테닌 및 p-Akt의 경우, 지질 유상액을 주입한 실험군들 (KA+LE 0.01 %, KA+LE 1 %) 에서 이의 단백질 량이 음성 대조군과 약 2 배 내지 2.5 배 차이나는 것으로 나타난다 (도 3a의 (b), (c) 참조). 특히, 0.01 %의 지질 유상액을 주입한 실험군 (KA+LE 0.01 %) 의 p-Akt의 단백질 량은 음성 대조군에 대하여 약 3 배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뇌 신경 보호 기작과 연관된 바이오 마커의 단백질 수준의 증가의 결과는, 지질 유상액 주입에 따른 뇌 신경의 보호의 증대 효과를 의미할 수 있다.
도 3b의 (a), (b), (c) 및 (d)를 참조하면, 4 개의 동물 모델에 대하여, 담체 또는 지질 유상액을 24 시간 간격으로 3 회 투여한 후, 마지막 투여 24시간 후 측정된, Wnt1, Wnt1, β-카테닌, Akt, p-Akt의 상대적 단백질 수준이 도시된다. 이때, 지질 유상액을 주입한 실험군들 (KA+LE 0.01 %, KA+LE 1 %) 에 대한 Wnt1, Wnt1, β-카테닌, Akt, p-Akt의 모든 바이오 마커의 단백질 량은, 음성 대조군 및 양성 대조군 (KA+Veh)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β-카테닌의 경우, 지질 유상액을 주입한 실험군들 (KA+LE 0.01 %, KA+LE 1 %) 에서 이의 단백질 량은, 음성 대조군보다 약 2 배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도 3b의 (b) 참조). 나아가, p-Akt의 경우, 지질 유상액을 주입한 실험군들 (KA+LE 0.01 %, KA+LE 1 %) 에서 이의 단백질 량이 음성 대조군과 약 2 배 내지 3 배 차이나는 것으로 나타난다 (도 3b의 (c) 참조). 이러한 뇌 신경 보호 기작과 연관된 바이오 마커의 단백질 수준의 증가의 결과는, 지질 유상액 주입에 따른 뇌 신경의 보호의 증대 효과를 의미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 2의 결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지질 유상액이 뇌 신경 보호 기작과 연관된 바이오 마커의 mRNA 수준 또는, 단백질의 수준을 증가시키고, 활성 산소와 연관된 바이오 마커의 mRNA 수준을 감소 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지질 유상액을 포함하는 뇌 신경 손상 완화용 조성물 및 뇌 기능 장애 예방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뇌 신경 세포의 사멸을 막고, 뇌 신경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손상된 뇌 신경, 특히 흥분 독성에 의해 유발되는 뇌 손상을 완화하며, 뇌 손상에 의해 유발되는 뇌 기능 장애를 예방하고 치료하는 것에 이용될 수 있다.
이때, 뇌 신경 보호 기작과 연관된 바이오 마커 수준을 증가시키고, 활성 산소와 연관된 바이오 마커의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 내에서의 지질 유상액의 함량은, 0.01 % 내지 30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지질 유상액의 함량은 투여 대상이 되는 개체의 종류,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상태, 질병의 증세나 정도, 성별, 식이, 배설, 해당 개체에 동시 또는 다른 시기에 함께 사용되는 약물 기타 조성물의 성분 등을 비롯한 여러 인자 및 의약 분야에서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다.
실시예 3:
조성물 내의
지질 유상액의 함량 설정
본 실험에서는, 지질 유상액의 함량의 따른 신경 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OHSC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 culture) 의 분리된 해마 조직이 이용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신경 독성의 평가를 위해 먼저, 해마를 추출하여 3 주 동안 조직 배양하였다. 이후, PI (propidium iodide) 형광 염색법을 이용하여 조직을 염색하고, 5μM의 카인산 (KA, Kainic acid) 을 18시간 처리하였다. 이때, 카인산이 처리된 조직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고, 0.01 %의 지질 유상액, 0.1 %의 지질 유상액, 8 %의 지질 유상액, 16 %의 지질 유상액를 처리한 조직을 실험군으로 설정하였다. 한편, 지질 유상액의 농도는 생리 식염수 (NaCl 0.9%) 로 희석하여 제조하였다. 이후, 대조군 및 4 개의 실험군에 대하여 PI를 이용한 전처리 (Pre, pre treatment) 단계, 카인산의 처리 후 추가 24 시간 후 (실험군의 경우, 지질 유상액 처리 24 시간 후), 카인산의 처리 후 추가 48 시간 후 (실험군의 경우, 지질 유상액 처리 48 시간 후) 에 염색된 세포를 형광 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이때, PI는 건강하거나 살아있는 세포의 세포막은 통과하지 못하고, 사멸 세포 (apoptotic cell), 괴사성 세포 (necrotic cell) 를 염색할 수 있다. 이에, 사멸 세포 및 괴사성 세포는 붉은색으로 발광하여 나타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이용되는 지질 유상액 농도에 따른 신경독성을 평가한 결과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질 유상액 0.1 % 및 지질 유상액 0.01 %의 실험군은 전처리 단계와 지질 유상액 처리 24 시간 후 및 48 시간 후의 발광 정도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지질 유상액 0.01 % 및 지질 유상액 0.1 %의 처리에 의해 세포 손상이 일어나지 않았음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지질 유상액 8 %의 실험군은 처리 48 시간 후, 전처리 단계에서 보다 붉은 빛의 발광 정도가 강해진 것으로 나타난다. 나아가, 지질 유상액 16 %의 실험군은 처리 24 시간 후, 전처리 단계에서 보다 붉은 빛의 발광 정도가 강해진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는, 8 %의 지질 유상액 및 16 %의 지질 유상액의 고농도의 지질 유상액 처리에 따라 해마 조직에서 사멸되거나 괴사한 세포가 증가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8 %의 지질 유상액 및 16 %의 지질 유상액은 신경 독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 3의 결과로, 뇌 신경 손상 완화용 조성물 및 뇌 기능 장애 예방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 손상된 뇌 신경부위에 미세 주입되는 경우, 지질 유상액의 함량은,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0.001 질량 % 내지 8 질량 %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지질 유상액의 함량은,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0.01 질량 % 내지 1 질량 %일 수 있다.
한편, 지질 유상액의 함량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뇌 신경 손상 완화용 조성물 및 뇌 기능 장애 예방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투여로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투여 대상이 되는 개체의 종류,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상태, 질병의 증세나 정도, 성별, 식이, 배설, 해당 개체에 동시 또는 다른 시기에 함께 사용되는 약물 기타 조성물의 성분 등을 비롯한 여러 인자 및 의약 분야에서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다. 나아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목적하는 치료에 효과적인, 지질 유상액의 농도를 용이하게 결정하고 처방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7)
- 지질 유상액 (lipid emulsion) 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 신경 손상 완화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질 유상액은,
장쇄 트리글리세라이드 (LCT, long chain triglyceride) 를 포함하는, 뇌 신경 손상 완화용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쇄 트리글리세리드는,
대두유 (soybean oil) 인, 뇌 신경 손상 완화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질 유상액은,
리놀레산 (linoleic acid), 올레산 (oleic acid), α-리놀레산 (α-linoleic acid) 및 팔미트산 (palmitic acid) 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산을 포함하는, 뇌 신경 손상 완화용 조성물.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질 유상액은,
상기 리놀레산, 상기 올레산, 및 상기 팔미트산을 포함하고,
상기 리놀레산은 상기 지질 유상액에 대하여 40 질량 % 내지 65 질량 %의 함량을 갖고,
상기 올레산은 상기 지질 유상액에 대하여 15 질량 % 내지 30 질량 %의 함량을 갖고,
상기 팔미트산은 상기 지질 유상액에 대하여 10 질량 % 내지 30 질량 %의 함량을 갖는, 뇌 신경 손상 완화용 조성물.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질 유상액은,
상기 리놀레산, 상기 올레산, 상기 α-리놀레산 및 상기 팔미트산을 포함하고,
상기 리놀레산은 상기 지질 유상액에 대하여 40 질량 % 내지 65 질량 %의 함량을 갖고,
상기 올레산은 상기 지질 유상액에 대하여 15 질량 % 내지 30 질량 %의 함량을 갖고,
상기 α-리놀레산은 상기 지질 유상액에 대하여 5 질량 % 내지 15 질량 %의 함량을 갖고,
상기 팔미트산은 상기 지질 유상액에 대하여 10 질량 % 내지 15 질량 %의 함량을 갖는, 뇌 신경 손상 완화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질 유상액의 함량은,
상기 조성물의 전체에 대하여 0.0001 질량 % 내지 30 질량 %인, 뇌 신경 손상 완화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1 일 투여량 (daily dose) 은 1.5 ml/kg 내지 4.5 ml/kg인, 뇌 신경 손상 완화용 조성물.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1 일 투여량으로 단일 투여되거나,
또는,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으로 복수회 투여되는, 뇌 신경 손상 완화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신경 조직으로의 미세 주입, 정맥 주사, 근육내 주사, 피하 주사, 피내 주사 및 비강내 투여로 이루어진 그룹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투여 형태인, 뇌 신경 손상 완화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뇌 신경 손상은 흥분 독성 (excitotoxicity), 외상, 뇌졸증, 혈관 질환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에 의해 유발되는, 뇌 신경 손상 완화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질 유상액은,
인지질 (phospholipids) 또는, 글리세린 (glycerin) 을 더 포함하는, 뇌 신경 손상 완화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질 유상액은,
300 mOsmol/Kg 내지 400 mOsmol/Kg의 삼투질 농도 (osmolality) 를 갖는, 뇌 신경 손상 완화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질 유상액은,
PKC-δ의 mRNA의 발현수준을 감소시키는, 뇌 신경 손상 완화용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항의 뇌 신경 손상 완화용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동물의 손상된 뇌 신경 부위에 미세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뇌 신경 손상 완화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뇌 신경 부위는, 해마, 중뇌, 소뇌, 시상, 대뇌피질, 선조체, 후두엽, 측두엽, 두정엽 및 전두엽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뇌 신경 손상 완화 방법. -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항의 뇌 신경 손상 완화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뇌 기능 장애 예방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7845A KR102017415B1 (ko) | 2018-02-13 | 2018-02-13 | 뇌 신경 손상 완화용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7845A KR102017415B1 (ko) | 2018-02-13 | 2018-02-13 | 뇌 신경 손상 완화용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97884A true KR20190097884A (ko) | 2019-08-21 |
KR102017415B1 KR102017415B1 (ko) | 2019-09-02 |
Family
ID=67808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17845A KR102017415B1 (ko) | 2018-02-13 | 2018-02-13 | 뇌 신경 손상 완화용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1741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21032A (ko) | 2023-02-01 | 2024-08-08 |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 초석잠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 신경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62100A (ko) * | 1999-03-10 | 2000-10-25 | 이인수 | 인식력 및 기억력 증강용 식이 조성물 |
KR20140124490A (ko) * | 2013-04-17 | 2014-10-27 | (주)뉴메드 | 뇌졸중 또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KR20150102117A (ko) * | 2012-12-31 | 2015-09-04 | 세사 알리안스 에스.에이. | 인지성, 신경퇴행성 또는 뉴런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4-히드록시-2-메틸-5-(프로판-2-일리덴)시클로헥스-3-엔카르브알데히드 |
KR20150108036A (ko) * | 2015-09-01 | 2015-09-24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뇌졸중 또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2018
- 2018-02-13 KR KR1020180017845A patent/KR10201741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62100A (ko) * | 1999-03-10 | 2000-10-25 | 이인수 | 인식력 및 기억력 증강용 식이 조성물 |
KR20150102117A (ko) * | 2012-12-31 | 2015-09-04 | 세사 알리안스 에스.에이. | 인지성, 신경퇴행성 또는 뉴런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4-히드록시-2-메틸-5-(프로판-2-일리덴)시클로헥스-3-엔카르브알데히드 |
KR20140124490A (ko) * | 2013-04-17 | 2014-10-27 | (주)뉴메드 | 뇌졸중 또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KR20150108036A (ko) * | 2015-09-01 | 2015-09-24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뇌졸중 또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21032A (ko) | 2023-02-01 | 2024-08-08 |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 초석잠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 신경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17415B1 (ko) | 2019-09-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Hao et al. | Allodynia-like effects in rat after ischaemic spinal cord injury photochemically induced by laser irradiation | |
Feldberg | Present views on the mode of action of acetylcholine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 |
Devor et al. | Reversible analgesia, atonia, and loss of consciousness on bilateral intracerebral microinjection of pentobarbital | |
DE60128899T2 (de) | Verwendung eines botulinumtoxins zur herstellung eines arzneimittels zur peripheren behandlung von schmerzen, die nicht mit muskelspasmen oder kopfschmerzen in verbindung stehen | |
Chaudhary et al. | Lipoic acid decreases inflammation and confers neuroprotection in experimental autoimmune optic neuritis | |
JP6286589B2 (ja) | 外傷性脳損傷を処置する方法 | |
Yu et al. | Extrasynaptic NMDA receptors in acute and chronic excitotoxicity: implications for preventive treatments of ischemic stroke and late-onset Alzheimer’s disease | |
DE602004005617T2 (de) | Mittel zur behandlung von glaukomatöser retinopathie und optischer neuropathie | |
KR20200143407A (ko) | Cgrp를 억제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신경독소 | |
CN104363757B (zh) | 治疗疼痛的方法及组合物 | |
Babai et al. | Degree of damage compensation by various PACAP treatments in monosodium glutamate-induced retinal degeneration | |
KR102017415B1 (ko) | 뇌 신경 손상 완화용 조성물 | |
Akiyama et al. | Edaravone prevents retinal degeneration in adult mice following optic nerve injury | |
Gadhave et al. | Potential biomaterials and experimental animal models for inventing new drug delivery approaches in the neurodegenerative disorder: Multiple sclerosis | |
EP3461479A1 (en) | Nutraceutical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for preserving cognitive functions | |
DE69912304T2 (de) | Verwendung von staurosporine derivaten zur behandlung von okularen neovaskularen erkrankungen | |
Sánchez-Ventura et al. | Aberrant perineuronal nets alter spinal circuits, impair motor function, and increase plasticity | |
JP7144052B2 (ja) | 掻痒性皮膚疾患の予防又は治療薬 | |
US20120245090A1 (en) | Method for screening an agent being useful for the treatment of dry eye and / or corneal and conjunctival les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obtained by the method | |
JP2022088660A (ja) | 化学的除神経から生じる副作用の処置 | |
RU2482867C1 (ru) | Применение l-карнозин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нопрепарата, обладающего антигипоксической и антиоксидантной активностью | |
DE69808270T2 (de) | Verbesserte darreichung von antikrebsmittel an feste tumore mittels primer-verbindungen | |
Rahman et al. | Current insights and therapeutic strategies for targeting TRPV1 in neuropathic pain management | |
DE2432393B2 (de) | Arzneipräparat zur Behandlung von bösartigen Neubildungen | |
RU2347572C1 (ru) | Способ локальной терапии аутоиммунного артрит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