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7645A - 길이가변형 백 케이지가 구비된 여과집진장치 - Google Patents

길이가변형 백 케이지가 구비된 여과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7645A
KR20190097645A KR1020180017316A KR20180017316A KR20190097645A KR 20190097645 A KR20190097645 A KR 20190097645A KR 1020180017316 A KR1020180017316 A KR 1020180017316A KR 20180017316 A KR20180017316 A KR 20180017316A KR 20190097645 A KR20190097645 A KR 20190097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filter
cage
filter bag
bag c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7668B1 (ko
Inventor
김운원
서정민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7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668B1/ko
Publication of KR20190097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01D46/006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4Cleaning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가변형 백 케이지가 구비된 여과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부직포로 이루어진 필터 백과, 상기 필터 백에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지지하는 백 케이지가 구비된 여과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백 케이지는, 일정 피치를 가지는 단일의 스프링과; 상기 단일의 스프링을 길이방향으로 복 수개 배치하고, 그 사이를 연결하는 스프링 형상의 연결구;에 의해 상기 필터 백의 길이에 대응되게 가변가능하도록 하되, 상기 연결구는, 내부가 비어 있는 튜브 형상으로 이루어져 인접하는 상기 단일의 스프링 각 단부가 양단부에 각각 삽입되어 용접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길이가변형 백 케이지가 구비된 여과집진장치{Dust collection apparatus having an Bag cage for adjustable length}
본 발명은 집진기에 사용되는 필터 백을 지지하는 백 케이지가 구비된 여과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필터 백의 길이에도 간편하게 장착이 가능하고, 나아가 필터 백의 탈진 효율도 높은 길이가변형 백 케이지가 구비된 여과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 화력발전소, 소각로나 각종 공장 등에는 각 설비로부터 배출되어 대기오염을 초래하는 분진을 제거하기 위해 통상의 집진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집진장치로서는 세정액을 이용한 스커러버와 고압의 전기를 이용한 전기집진기 등이 있으나, 최근들어 필터 백을 이용하여 분진을 여과하는 여과집진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여과집진장치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필터 백의 외측으로부터 필터 백의 내측으로 분진을 함유한 가스를 통과시켜, 필터 백의 외측 표면에 분진을 퇴적시켜 분진을 집진하고, 분진의 퇴적층이 일정 두께 이상으로 두꺼워져서 집진효율이 저하되는 경우, 플로우 튜브를 통해 순간적으로 필터 백의 내부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에어펄싱, AIr Pulsing)시켜 필터 백 외측 표면에 부착된 분진을 털어내는 과정을 수행하여 집진 처리를 한다.
한편, 종래의 여과집진장치에는 필터 백을 지지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백 케이지를 사용하여 왔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백 케이지(1)는 원형 단면형상의 구조를 갖도록 철사와 같은 금속재로 형성된 복수 개의 환형링(4) 및 수직의 지지골조(3)로 이루어지고, 각 원형링(4) 및 수직의 지지골조(3)는 용접에 의해 결합되며, 외측면에 포집망(5)이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여과집진장치의 백 케이지는 포집망의 길이가 다양한 경우에는 해당 길이에 맞는 백 케이지를 일일이 제작하여 적용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이와 같은 백 케이지의 경우 철사와 같은 금속재로 이루어져 있어, 고온 다습한 상태에서 집진작업이 행해지고 또한 고압의 압축공기에 의하여 포집망에 퇴적된 분진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백 케이지의 각 용접부위가 파손되거나 산화되어서 집진효율이 저하될 염려가 있어 파손된 백 케이지를 빈번하게 교체해야 하므로 유지관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KR 20-1997-60834 U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백 케이지를 스프링 타입으로 하고, 상기 스프링을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 배치하도록 하면서 스프링 상호간을 별도의 연결구로 연결되도록 하여 다양한 필터 백의 길이변화에도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길이가변형 백 케이지가 구비된 여과집진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부직포로 이루어진 필터 백과, 상기 필터 백에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지지하는 백 케이지가 구비된 여과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백 케이지는, 일정 피치를 가지는 단일의 스프링과; 상기 단일의 스프링을 길이방향으로 복 수개 배치하고, 그 사이를 연결하는 스프링 형상의 연결구;에 의해 상기 필터 백의 길이에 대응되게 가변가능하도록 하되, 상기 연결구는, 내부가 비어 있는 튜브 형상으로 이루어져 인접하는 상기 단일의 스프링 각 단부가 양단부에 각각 삽입되어 용접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최하측에 위치하는 단일의 스프링 하부측에는 별도의 막음판이 더 구비되고, 상기 막음판은 상기 필터 백 바닥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먼저, 스프링 타입의 백 케이지로 인해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별도의 연결구를 통하여 단일의 스프링을 복수 개로 연결가능하므로 다양한 길이의 필터 백에도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에어펄싱에 의해 필터 백 탈진 시에도 스프링 타입의 백 케이지에 의해 길이방향으로의 신축이 더욱 촉진되어 탈진 효율이 매우 높다는 효과도 기대된다.
따라서, 백 케이지의 제작, 유지, 보수에 따른 비용 절감이 가능할 뿐 아니라, 필터 백의 파손율도 낮아 여과집진장치의 유지관리 비용이 대폭 절감되는 우수한 효과가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길이가변형 백 케이지가 구비된 여과집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백 케이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 여과집진장치의 백 케이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기초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길이가변형 백 케이지가 구비된 여과집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집진장치(7)는, 상부 및 둘레면 일측에 각각 공기 배출구(11) 및 공기 유입구(13)가 형성된 케이싱(10)과, 케이싱(10)의 내부를 청정 공기실(17)과 함진 공기실(19)로 밀폐하며 구획하는 격판(15)과, 격판(15)에 관통 결합되어 외부공기를 흡입 여과하는 필터 백 어셈블리(21)와, 외부에 설치된 컴프레서(미도시)에 연결되며 청정 공기실(17)에 마련되어 필터 백(23)의 외표면에 적층된 분진을 털어내도록 필터 백(23)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에어펄싱, AIr Pulsing)하는 플로우 튜브(35)와, 함진 공기실(19)의 하부에 마련되어 필터 백(23)으로부터 털어진 분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로터리 밸브(41)를 가진다.
여기서, 필터 백 어셈블리(21)는, 필터 백(23)과, 상기 필터 백(23)이 착탈하며 지지되는 백 케이지(25)를 가지며, 이때 상기 백 케이지(25)는 각각 일정 피치(pitch)를 가지는 단일의 스프링(25-1)(25-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일의 스프링(25-1)(25-2)은 별도의 연결구(26)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상기 필터 백(23)은 통기공이 형성된 부직포로 이루어져 백 케이지(25)의 외표면에 장착되며 일정의 크기 이상의 분진을 여과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여과집진장치의 백 케이지(25)는 각각 단일의 스프링(25-1)(25-2)으로 이루어지며, 필터 백(23)의 다양한 길이에 대응되게 별도의 연결구(26)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가변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서는 전체 장치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단일의 스프링이 단지 2개 설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만약 필터 백(23)의 길이가 길 경우, 단일의 스프링 갯수를 1...N 개로 준비하고, 상호간을 각각 연결구(26)로 체결이 되도록 하여 필터 백(23)의 길이에 대응되게 구비됨은 물론이다.
그 결과, 필터 백(23)의 길이에 따라 단일의 스프링의 갯수만 가변하면 간편하게 백 케이지(25) 제작이 가능하므로 백 케이지(25)의 제작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하측에 위치하는 단일의 스프링(25-2) 하부측은 별도의 막음판(27)이 더 구비되게 된다.
상기 막음판(27)은 필터 백(23)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일정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로, 예를 들어 필터 백(23)의 단면 형상이 원형일 경우, 상기 막음판(27)도 원형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게 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펄싱에 의한 탈진시 백 케이지(25)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되는 현상이 상기 막음판(27)에 의해 더욱 촉진될 것이며, 이때 필터 백(23)의 바닥부에 의해 백 케이지(25)가 신축되는 현상이 억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막음판(27)은 백 케이지(25)의 신축량을 고려하여 필터 백(23)의 바닥부와 일정 거리(d) 이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의 백 케이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백 케이지(25)는, 일정 피치를 가지는 단일의 스프링(25-1)(25-2)과, 상기 단일의 스프링(25-1)(25-2)을 상호 연결하는 일정길이로 이루어진 스프링 형상의 연결구(26)로 구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필터 백(23)의 길이에 따라 상기 단일의 스프링을 길이방향으로 복 수개(N) 배치하고, 그 사이를 연결구(26)에 의해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필터 백의 길이에 대응되게 가변가능하도록 하여 백 케이지(25)를 제작 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구(26)는, 내부가 비어 있는 튜브 형상으로 이루어져 인접하는 상기 단일의 스프링 각 단부가 상기 연결구(26)의 양단부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게 된다,
이때, 통상 끼워맞춤으로 결합되나, 장시간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삽입후 용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에어펄싱에 의한 탈진시 백 케이지(25)가 그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현상이 더욱 촉진될 수 있도록 최하측에 위치하는 단일의 스프링(25-2) 하부측은 별도의 막음판(27)이 구비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펄싱에 의한 탈진시 단일의 스프링이 복수 개로 이루어진 백 케이지 전체가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가능하게 되고, 나아가 최하측에 위치하는 단일의 스프링 하부측에 구비된 막음판(27)에 의해 신축되는 현상이 더욱 촉진될 것이며, 상기 막음판(27)을 필터 백(23) 바닥부와 일정 거리(d)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종래 고정된 백 케이지보다 탈진 효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진행될 수 있다.
그 결과, 스프링 타입으로 이루어진 백 케이지에 의해 종개 복수의 와이어로 이루어진 백 케이지에 비해 여과집진장치 내의 압력손실이 월등히 작으므로 여과집진장치의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아니라, 필터 백의 수명 단축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길이가변형 백 케이지가 구비된 여과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인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있으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7: 여과집진장치 23: 필터 백
25: 백 케이지 26: 연결구
27: 막음판

Claims (2)

  1.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부직포로 이루어진 필터 백과, 상기 필터 백에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지지하는 백 케이지가 구비된 여과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백 케이지는,
    일정 피치를 가지는 단일의 스프링과;
    상기 단일의 스프링을 길이방향으로 복 수개 배치하고, 그 사이를 연결하는 스프링 형상의 연결구;에 의해 상기 필터 백의 길이에 대응되게 가변가능하도록 하되,
    상기 연결구는, 내부가 비어 있는 튜브 형상으로 이루어져 인접하는 상기 단일의 스프링 각 단부가 양단부에 각각 삽입되어 용접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가변형 백 케이지가 구비된 여과집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최하측에 위치하는 단일의 스프링 하부측에는 별도의 막음판이 더 구비되고, 상기 막음판은 상기 필터 백 바닥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가변형 백 케이지가 구비된 여과집진장치.
KR1020180017316A 2018-02-13 2018-02-13 길이가변형 백 케이지가 구비된 여과집진장치 KR102037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316A KR102037668B1 (ko) 2018-02-13 2018-02-13 길이가변형 백 케이지가 구비된 여과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316A KR102037668B1 (ko) 2018-02-13 2018-02-13 길이가변형 백 케이지가 구비된 여과집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645A true KR20190097645A (ko) 2019-08-21
KR102037668B1 KR102037668B1 (ko) 2019-10-29

Family

ID=67808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316A KR102037668B1 (ko) 2018-02-13 2018-02-13 길이가변형 백 케이지가 구비된 여과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6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86529A (zh) * 2020-06-26 2020-09-22 陈辉辉 一种用于锅炉尾气的除尘装置
CN114146504A (zh) * 2022-01-18 2022-03-08 顺矩(上海)科技有限公司 一种样气抽取过滤装置及其抽取过滤方法
CN115518466A (zh) * 2022-09-26 2022-12-27 江苏康隆迪超净科技有限公司 一种ptee除尘滤袋粉料倾斜式搅拌机及其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5265B1 (ko) * 2003-11-25 2006-01-24 서정민 여과집진장치
KR101023138B1 (ko) * 2010-03-02 2011-03-22 하이에나 (주) 여과칼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5265B1 (ko) * 2003-11-25 2006-01-24 서정민 여과집진장치
KR101023138B1 (ko) * 2010-03-02 2011-03-22 하이에나 (주) 여과칼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86529A (zh) * 2020-06-26 2020-09-22 陈辉辉 一种用于锅炉尾气的除尘装置
CN114146504A (zh) * 2022-01-18 2022-03-08 顺矩(上海)科技有限公司 一种样气抽取过滤装置及其抽取过滤方法
CN115518466A (zh) * 2022-09-26 2022-12-27 江苏康隆迪超净科技有限公司 一种ptee除尘滤袋粉料倾斜式搅拌机及其使用方法
CN115518466B (zh) * 2022-09-26 2024-05-10 江苏康隆迪超净科技有限公司 一种ptee除尘滤袋粉料倾斜式搅拌机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7668B1 (ko) 201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70935A (en) Filter assembly for high temperature glass fiber filter media
KR102037668B1 (ko) 길이가변형 백 케이지가 구비된 여과집진장치
US3853509A (en) Bag type filter device
AU2006200463B8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removal of particulate matter in a filtration system
KR830001386B1 (ko) 여과기백 지지장치를 겸한 공기확산기를 가지고 있는 백형여과장치
US20080120949A1 (en) Filter assembly
KR200445381Y1 (ko) 집진기용 필터
EP0090383B1 (en) Filter element assembly replaceable mesh pack
EP1485186B1 (en) Filter bag with support cage
KR101423665B1 (ko) 여과재의 교체가 가능한 주름형 필터
US4157901A (en) Filter bag assembly including a venturi-cage assembly
KR101622081B1 (ko) 카트리지 필터백
CN216537238U (zh) 一种污水中柔性污染物的过滤装置
KR100545265B1 (ko) 여과집진장치
KR20190000650A (ko) 집진기 필터용 하부캡 및 이를 구비한 카트리지 필터
CN210206226U (zh) 袋式除尘器笼骨
CN114100260A (zh) Ptfe除尘布袋
WO2011109908A1 (en) Filter bag and filter cage assembly
KR102047530B1 (ko) 집진기용 백필터 지지 구조체
KR20070118472A (ko) 카트리지 필터 절곡 골 간격 유지 밴드구조
CN215782196U (zh) 烟化炉袋式除尘器
KR101815828B1 (ko) 집진기용 횡형 필터 조립체
JP3199693U (ja) ろ過装置
KR101577338B1 (ko) 집진 장치
JP7222740B2 (ja) 集塵装置のフィルタの交換方法、及び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