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7016A -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 Google Patents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7016A
KR20190097016A KR1020197016993A KR20197016993A KR20190097016A KR 20190097016 A KR20190097016 A KR 20190097016A KR 1020197016993 A KR1020197016993 A KR 1020197016993A KR 20197016993 A KR20197016993 A KR 20197016993A KR 20190097016 A KR20190097016 A KR 20190097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si
reference signal
setting
semi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6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나리 요코마쿠라
쇼헤이 야마다
히데카즈 츠보이
히로키 타카하시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에프쥐 이노베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에프쥐 이노베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97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0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4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with feedback of measurements to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7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04L5/0098Signalling of the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component carriers, subcarriers or frequency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9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기지국 장치와 통신하는 단말 장치이며, 채널 상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세미 퍼시스턴트 채널 상태 정보-참조 신호(CSI-RS)의 설정을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수신하는 상위층 처리부와, 상기 세미 퍼시스턴트 CSI-RS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정보를 수신하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층과,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세미 퍼시스턴트 CSI-RS가 활성화된 경우에, 활성화된 상기 참조 신호에 사용되는 리소스 엘리먼트는,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의 리소스 엘리먼트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Description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본 발명은,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6년 12월 20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6-246462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현재, 제5세대의 셀룰러 시스템에 적합한 무선 액세스 방식 및 무선 네트워크 기술로서, 제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GPP : The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있어서, LTE(Long Term Evolution)-Advanced Pro 및 NR(New Radio technology)의 기술 검토 및 규격 책정이 행해지고 있다(비특허문헌 1).
제5세대의 셀룰러 시스템에서는, 고속·대용량 전송을 실현하는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저지연·고신뢰 통신을 실현하는 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IoT(Internet of Things) 등 머신형 디바이스가 다수 접속되는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의 3개가 서비스의 상정 시나리오로서 요구되고 있다.
NR에서는, 높은 주파수에서 다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를 사용하여 빔 포밍 게인에 의해 커버리지를 확보하는 매시브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의 기술 검토가 행해지고 있다(비특허문헌 2, 비특허문헌 3, 비특허문헌 4).
RP-161214 NTT DOCOMO, "Revision of SI : Study on New Radio Access Technology", 2016년 6월 R1-162883, PDNokia, Alcatel-Lucent Shanghai Bell, "Basic principles for the 5G New Radio access technology", 2016년 4월 R1-162380, Intel Corporation, "Overview of antenna technology for new radio interface", 2016년 4월 R1-163215, Ericsson, "Overview of NR", 2016년 4월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와 단말 장치가, 효율적으로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양태는, 이하와 같은 수단을 강구하였다. 즉,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는, 기지국 장치와 통신하는 단말 장치이며, 채널 상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세미 퍼시스턴트 채널 상태 정보-참조 신호(CSI-RS)의 설정을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수신하는 상위층 처리부와, 상기 세미 퍼시스턴트 CSI-RS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정보를 수신하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층과,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세미 퍼시스턴트 CSI-RS가 활성화된 경우에, 활성화된 상기 참조 신호에 사용되는 리소스 엘리먼트는,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의 리소스 엘리먼트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2)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의 기지국 장치는,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기지국 장치이며, 채널 상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세미 퍼시스턴트 채널 상태 정보-참조 신호(CSI-RS)의 설정을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송신하는 상위층 처리부와, 상기 세미 퍼시스턴트 CSI-RS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정보를 송신하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층과,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세미 퍼시스턴트 CSI-RS가 활성화된 경우에, 활성화된 상기 세미 퍼시스턴트 CSI-RS에 사용되는 리소스 엘리먼트를,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의 리소스 엘리먼트에 사용하지 않는다.
(3)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은, 기지국 장치와 통신하는 단말 장치의 통신 방법이며, 채널 상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세미 퍼시스턴트 채널 상태 정보-참조 신호(CSI-RS)의 설정을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세미 퍼시스턴트 CSI-RS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정보를 수신하고,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수신하고, 상기 세미 퍼시스턴트 CSI-RS가 활성화된 경우에, 활성화된 상기 참조 신호에 사용되는 리소스 엘리먼트는,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의 리소스 엘리먼트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4)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은,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기지국 장치의 통신 방법이며, 채널 상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세미 퍼시스턴트 채널 상태 정보-참조 신호(CSI-RS)의 설정을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세미 퍼시스턴트 CSI-RS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정보를 송신하고,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송신하고, 상기 세미 퍼시스턴트 CSI-RS가 활성화된 경우에, 활성화된 상기 참조 신호에 사용되는 리소스 엘리먼트에,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의 리소스 엘리먼트에 사용하지 않는다.
(5)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의 집적 회로는, 기지국 장치와 통신하는 단말 장치에 실장되는 집적 회로이며, 채널 상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세미 퍼시스턴트 채널 상태 정보-참조 신호(CSI-RS)의 설정을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세미 퍼시스턴트 CSI-RS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정보를 수신하고,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세미 퍼시스턴트 CSI-RS가 활성화된 경우에, 활성화된 상기 참조 신호에 사용되는 리소스 엘리먼트는,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의 리소스 엘리먼트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6)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의 집적 회로는,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기지국 장치에 실장되는 집적 회로이며, 채널 상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세미 퍼시스턴트 채널 상태 정보-참조 신호(CSI-RS)의 설정을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세미 퍼시스턴트 CSI-RS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정보를 송신하고,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세미 퍼시스턴트 CSI-RS가 활성화된 경우에, 활성화된 상기 참조 신호의 리소스 엘리먼트에,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의 리소스 엘리먼트에 사용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기지국 장치와 단말 장치가, 효율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하향 링크 슬롯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서브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의 시간 영역에 있어서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슬롯 또는 서브프레임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빔 포밍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1)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 장치(3)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단말 장치(1A 내지 1C) 및 기지국 장치(3)를 구비한다. 이하, 단말 장치(1A 내지 1C)를 단말 장치(1)라고도 칭한다.
단말 장치(1)는, 유저 단말기, 이동국 장치, 통신 단말기, 이동기, 단말기,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라고도 칭해진다. 기지국 장치(3)는, 무선 기지국 장치, 기지국, 무선 기지국, 고정국, NB(Node B), eNB(evolved Node B), BTS(Base Transceiver Station), BS(Base Station), NR NB(NR Node B), NNB,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gNB라고도 칭해진다.
도 1에 있어서, 단말 장치(1)와 기지국 장치(3) 사이의 무선 통신에서는, 사이클릭 프리픽스(CP : Cyclic Prefix)를 포함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싱글 캐리어 주파수 다중(SC-FDM : 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OFDM(DFT-S-OFDM : Discrete Fourier Transform Spread OFDM), 멀티캐리어 부호 분할 다중(MC-CDM : Multi-Carrier Code Division Multiplexing)이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단말 장치(1)와 기지국 장치(3) 사이의 무선 통신에서는, 유니버설 필터 멀티캐리어(UFMC : Universal-Filtered Multi-Carrier), 필터 OFDM(F-OFDM : Filtered OFDM), 창 함수가 승산된 OFDM(Windowed OFDM), 필터 뱅크 멀티캐리어(FBMC : Filter-Bank Multi-Carrier)가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OFDM을 전송 방식으로 하여 OFDM 심볼로 설명하지만, 상술한 다른 전송 방식의 경우를 사용한 경우도 본 발명의 일 양태에 포함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단말 장치(1)와 기지국 장치(3) 사이의 무선 통신에서는, CP를 사용하지 않거나, 혹은 CP 대신에 제로 패딩을 한 상술한 전송 방식이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CP나 제로 패딩은 전방과 후방의 양쪽에 부가되어도 된다.
도 1에 있어서, 단말 장치(1)와 기지국 장치(3) 사이의 무선 통신에서는, 사이클릭 프리픽스(CP : Cyclic Prefix)를 포함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싱글 캐리어 주파수 다중(SC-FDM : 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OFDM(DFT-S-OFDM : Discrete Fourier Transform Spread OFDM), 멀티캐리어 부호 분할 다중(MC-CDM : Multi-Carrier Code Division Multiplexing)이 사용되어도 된다.
도 1에 있어서, 단말 장치(1)와 기지국 장치(3)의 무선 통신에서는, 이하의 물리 채널이 사용된다.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
·PCCH(Physical Control CHannel)
·PSCH(Physical Shared CHannel)
PBCH는, 단말 장치(1)가 필요한 중요한 시스템 정보를 포함하는 중요 정보 블록(MIB : Master Information Block, EIB : Essential Information Block, BCH : Broadcast Channel)을 통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PCCH는, 상향 링크의 무선 통신(단말 장치(1)로부터 기지국 장치(3)의 무선 통신)의 경우에는, 상향 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 : UCI)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상향 링크 제어 정보에는, 하향 링크의 채널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채널 상태 정보(CSI : Channel State Information)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상향 링크 제어 정보에는, UL-SCH 리소스를 요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케줄링 요구(SR : Scheduling Request)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상향 링크 제어 정보에는, HARQ-ACK(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CKnowledgement)가 포함되어도 된다. HARQ-ACK는, 하향 링크 데이터(Transport block,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Data Unit : MAC PDU, Downlink-Shared Channel : DL-SCH)에 대한 HARQ-ACK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하향 링크의 무선 통신(기지국 장치(3)로부터 단말 장치(1)로의 무선 통신)의 경우에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 DCI)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하향 링크 제어 정보의 송신에 대하여, 1개 또는 복수의 DCI(DCI 포맷이라 칭해도 됨)가 정의된다. 즉, 하향 링크 제어 정보에 대한 필드가 DCI로서 정의되며, 정보 비트에 맵된다.
예를 들어, DCI로서, 스케줄링된 PSCH에 포함되는 신호가 하향 링크의 무선 통신인지 상향 링크의 무선 통신인지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DCI가 정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DCI로서, 스케줄링된 PSCH에 포함되는 하향 링크의 송신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DCI가 정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DCI로서, 스케줄링된 PSCH에 포함되는 상향 링크의 송신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DCI가 정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DCI로서, 스케줄링된 PSCH에 대한 HARQ-ACK를 송신하는 타이밍(예를 들어, PSCH에 포함되는 최후의 심볼로부터 HARQ-ACK 송신까지의 심볼수)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DCI가 정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DCI로서, 스케줄링된 PSCH에 포함되는 하향 링크의 송신 기간, 갭, 및 상향 링크의 송신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DCI가 정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DCI로서, 1개의 셀에 있어서의 1개의 하향 링크의 무선 통신 PSCH(1개의 하향 링크 트랜스포트 블록의 송신)의 스케줄링을 위해 사용되는 DCI가 정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DCI로서, 1개의 셀에 있어서의 1개의 상향 링크의 무선 통신 PSCH(1개의 상향 링크 트랜스포트 블록의 송신)의 스케줄링을 위해 사용되는 DCI가 정의되어도 된다.
여기서, DCI에는, PSCH에 상향 링크 또는 하향 링크가 포함되는 경우에 PSCH의 스케줄링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여기서, 하향 링크에 대한 DCI를, 하향 링크 그랜트(downlink grant), 또는, 하향 링크 어사인먼트(downlink assignment)라고도 칭한다. 여기서, 상향 링크에 대한 DCI를, 상향 링크 그랜트(uplink grant), 또는, 상향 링크 어사인먼트(Uplink assignment)라고도 칭한다.
PSCH는, 매개 액세스(MAC : Medium Access Control)로부터의 상향 링크 데이터(UL-SCH : Uplink Shared CHannel) 또는 하향 링크 데이터(DL-SCH : Downlink Shared CHannel)의 송신에 사용된다. 또한, 하향 링크의 경우에는 시스템 정보(SI : System Information)나 랜덤 액세스 응답(RAR : Random Access Response) 등의 송신에도 사용된다. 상향 링크의 경우에는, 상향 링크 데이터와 함께 HARQ-ACK 및/또는 CSI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CSI만, 또는, HARQ-ACK 및 CSI만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어도 된다. 즉, UCI만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어도 된다.
여기서, 기지국 장치(3)와 단말 장치(1)는, 상위층(higher layer)에 있어서 신호를 교환(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3)와 단말 장치(1)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 Radio Resource Control)층에 있어서, RRC 시그널링(RRC message : Radio Resource Control message, RRC information : Radio Resource Control information이라고도 칭해짐)를 송수신해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3)와 단말 장치(1)는, MAC(Medium Access Control)층에 있어서, MAC 컨트롤 엘리먼트를 송수신해도 된다. 여기서, RRC 시그널링, 및/또는, MAC 컨트롤 엘리먼트를, 상위층의 신호(higher layer signaling)라고도 칭한다.
PSCH는, RRC 시그널링, 및, MAC 컨트롤 엘리먼트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어도 된다. 여기서, 기지국 장치(3)로부터 송신되는 RRC 시그널링은, 셀 내에 있어서의 복수의 단말 장치(1)에 대하여 공통의 시그널링이어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3)로부터 송신되는 RRC 시그널링은, 어떤 단말 장치(1)에 대하여 전용의 시그널링(dedicated signaling이라고도 칭함)이어도 된다. 즉, 단말 장치 고유(UE 스페시픽)의 정보는, 어떤 단말 장치(1)에 대하여 전용의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송신되어도 된다. PSCH는, 상향 링크에 있어서 UE의 능력(UE Capability)의 송신에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PCCH 및 PSCH는 하향 링크와 상향 링크에서 동일한 호칭을 사용하고 있지만, 하향 링크와 상향 링크에서 상이한 채널이 정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하향 링크의 공유 채널은,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PDSCH :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이라 칭해져도 된다. 또한, 상향 링크의 공유 채널은 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PUSCH :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이라 칭해져도 된다. 또한, 하향 링크의 제어 채널은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PDCCH :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이라 칭해져도 된다. 상향 링크의 제어 채널은 물리 상향 링크 제어 채널(PUCCH :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이라 칭해져도 된다.
도 1에 있어서, 하향 링크의 무선 통신에서는, 이하의 하향 링크 물리 신호가 사용된다. 여기서, 하향 링크 물리 신호는, 상위층으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지만, 물리층에 의해 사용된다.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 : SS)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 RS)
동기 신호는, 프라이머리 동기 신호(PSS :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 세컨더리 동기 신호(SSS)를 포함해도 된다. PSS와 SSS를 사용하여 셀 ID가 검출되어도 된다.
동기 신호는, 단말 장치(1)가 하향 링크의 주파수 영역 및 시간 영역의 동기를 취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동기 신호는, 단말 장치(1)가 기지국 장치(3)에 의한 프리코딩 또는 빔 포밍에 있어서의 프리코딩 또는 빔의 선택에 사용되어도 된다.
참조 신호는, 단말 장치(1)가 물리 채널의 전반로 보상을 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참조 신호는, 단말 장치(1)가 하향 링크의 CSI를 산출하기 위해서도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참조 신호는, 무선 파라미터나 서브캐리어 간격 등의 뉴머럴로지나 FFT의 창 동기 등이 가능한 정도의 세밀한 동기(Fine synchronization)에 사용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하의 하향 링크 참조 신호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가 사용된다.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PTRS(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
·MRS(Mobility Reference Signal)
DMRS는, 변조 신호를 복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DMRS에는, PBCH를 복조하기 위한 참조 신호와, PSCH를 복조하기 위한 참조 신호의 2종류가 정의되어도 되고, 양쪽을 DMRS라 칭해도 된다. CSI-RS는, 채널 상태 정보(CSI : Channel State Information)의 측정 및 빔 매니지먼트에 사용된다. PTRS는, 단말기의 이동 등에 의해 위상을 트랙하기 위해 사용된다. MRS는, 핸드 오버를 위한 복수의 기지국 장치로부터의 수신 품질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참조 신호에는, 위상 잡음을 보상하기 위한 참조 신호가 정의되어도 된다.
하향 링크 물리 채널 및/또는 하향 링크 물리 시그널을 총칭하여, 하향 링크 신호라 칭한다. 상향 링크 물리 채널 및/또는 상향 링크 물리 시그널을 총칭하여, 상향 링크 신호라 칭한다. 하향 링크 물리 채널 및/또는 상향 링크 물리 채널을 총칭하여, 물리 채널이라 칭한다. 하향 링크 물리 시그널 및/또는 상향 링크 물리 시그널을 총칭하여, 물리 시그널이라 칭한다.
BCH, UL-SCH 및 DL-SCH는 트랜스포트 채널이다. 매체 액세스 제어(MAC : Medium Access Control)층에서 사용되는 채널을 트랜스포트 채널이라 칭한다. MAC층에서 사용되는 트랜스포트 채널의 단위를, 트랜스포트 블록(TB : transport block) 및/또는 MAC PDU(Protocol Data Unit)라고도 칭한다. MAC층에 있어서 트랜스포트 블록마다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의 제어가 행해진다. 트랜스포트 블록은, MAC층이 물리층에 전달하는(deliver) 데이터의 단위이다. 물리층에 있어서, 트랜스포트 블록은 코드워드에 맵되어, 코드워드마다 부호화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참조 신호는, 무선 리소스 측정(RRM : Radio Resource Measurement)에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참조 신호는, 빔 매니지먼트에 사용되어도 된다.
빔 매니지먼트는, 송신 장치(하향 링크의 경우에는 기지국 장치(3)이며, 상향 링크의 경우에는 단말 장치(1)임)에 있어서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빔과, 수신 장치(하향 링크의 경우에는 단말 장치(1), 상향 링크의 경우에는 기지국 장치(3)임)에 있어서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빔의 지향성을 합하여, 빔 이득을 획득하기 위한 기지국 장치(3) 및/또는 단말 장치(1)의 수속이어도 된다.
또한, 빔 매니지먼트에는, 하기의 수속을 포함해도 된다.
·빔 선택(Beam selection)
·빔 개선(Beam refinement)
·빔 리커버리(Beam recovery)
예를 들어, 빔 선택은, 기지국 장치(3)와 단말 장치(1)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빔을 선택하는 수속이어도 된다. 또한, 빔 개선은, 더 이득이 높은 빔의 선택, 혹은 단말 장치(1)의 이동에 의해 최적의 기지국 장치(3)와 단말 장치(1) 사이의 빔 변경을 행하는 수속이어도 된다. 빔 리커버리는, 기지국 장치(3)와 단말 장치(1)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차폐물이나 사람의 통과 등에 의해 발생하는 블록케이지에 의해 통신 링크의 품질이 저하되었을 때에 빔을 재선택하는 수속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에 있어서의 기지국 장치(3)의 송신 빔을 선택할 때에 CSI-RS를 사용해도 되고, 의사 동위치(QCL : Quasi Co-Location) 상정을 사용해도 된다.
만약 어떤 안테나 포트에 있어서의 어떤 심볼이 반송되는 채널의 장구간 특성(Long Term Property)이 다른 쪽의 안테나 포트에 있어서의 어떤 심볼이 반송되는 채널로부터 추론될 수 있으면, 2개의 안테나 포트는 QCL이라 말해진다. 채널의 장구간 특성은, 지연 스프레드, 도플러 스프레드, 도플러 시프트, 평균 이득 및 평균 지연 중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안테나 포트(1)와 안테나 포트(2)가 평균 지연에 관하여 QCL인 경우, 안테나 포트(1)의 수신 타이밍으로부터 안테나 포트(2)의 수신 타이밍이 추론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QCL은, 빔 매니지먼트로도 확장될 수 있다. 그를 위해, 공간으로 확장된 QCL이 새롭게 정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공간의 QCL 상정에 있어서의 채널의 장구간 특성(Long term property)으로서, 무선 링크 혹은 채널에 있어서의 도래각(AoA(Angle of Arrival), ZoA(Zenith angle of Arrival) 등) 및/또는 각도 확대(Angle Spread, 예를 들어 ASA(Angle Spread of Arrival)나 ZSA(Zenith angle Spread of Arrival)), 송출각(AoD, ZoD 등)이나 그 각도 확대(Angle Spread, 예를 들어 ASD(Angle Spread of Departure)나 ZSS(Zenith angle Spread of Departure)), 공간 상관(Spatial Correlation)이어도 된다.
이 방법에 의해, 빔 매니지먼트로서, 공간의 QCL 상정과 무선 리소스(시간 및/또는 주파수)에 의해 빔 매니지먼트와 등가의 기지국 장치(3), 단말 장치(1)의 동작이 정의되어도 된다.
이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서브프레임이라 칭하지만, 리소스 유닛, 무선 프레임, 시간 구간, 시간 간격 등이라 칭해져도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하향 링크 슬롯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무선 프레임의 각각은, 10㎳ 길이이다. 또한, 무선 프레임의 각각은 10개의 서브프레임 및 X개의 슬롯을 포함한다. 즉, 1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이다. 슬롯의 각각은, 서브캐리어 간격에 의해 시간의 길이가 정의된다. 예를 들어, OFDM 심볼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15㎑, NCP(Normal Cyclic Prefix)의 경우, X=7 혹은 X=14이며, 각각 0.5㎳ 및 1㎳이다. 또한, 서브캐리어 간격이 60㎑인 경우에는, X=7 혹은 X=14이며, 각각 0.125㎳ 및 0.25㎳이다. 도 2는 X=7의 경우를 일례로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X=14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상향 링크 슬롯도 마찬가지로 정의되며, 하향 링크 슬롯과 상향 링크 슬롯은 각각 정의되어도 된다.
슬롯의 각각에 있어서 송신되는 신호 또는 물리 채널은, 리소스 그리드에 의해 표현되어도 된다. 리소스 그리드는, 복수의 서브캐리어와 복수의 OFDM 심볼에 의해 정의된다. 1개의 슬롯을 구성하는 서브캐리어의 수는, 셀의 하향 링크 및 상향 링크의 대역폭에 각각 의존한다. 리소스 그리드 내의 엘리먼트의 각각을 리소스 엘리먼트라 칭한다. 리소스 엘리먼트는, 서브캐리어의 번호와 OFDM 심볼의 번호를 사용하여 식별되어도 된다.
리소스 블록은, 어떤 물리 하향 링크 채널(PDSCH 등) 혹은 상향 링크 채널(PUSCH 등)의 리소스 엘리먼트의 맵핑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리소스 블록은, 가상 리소스 블록과 물리 리소스 블록이 정의된다. 어떤 물리 상향 링크 채널은, 먼저 가상 리소스 블록에 맵된다. 그 후, 가상 리소스 블록은, 물리 리소스 블록에 맵된다.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수 X=7이고, NCP의 경우에는, 1개의 물리 리소스 블록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7개의 연속하는 OFDM 심볼과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12개의 연속하는 서브캐리어로부터 정의된다. 즉, 1개의 물리 리소스 블록은, (7×12)개의 리소스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ECP(Extended CP)의 경우, 1개의 물리 리소스 블록은, 예를 들어 시간 영역에 있어서 6개의 연속하는 OFDM 심볼과,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12개의 연속하는 서브캐리어에 의해 정의된다. 즉, 1개의 물리 리소스 블록은, (6×12)개의 리소스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이때, 1개의 물리 리소스 블록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1개의 슬롯에 대응하고, 15㎑의 서브캐리어 간격의 경우,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180㎑(60㎑의 경우에는 720㎑)에 대응한다. 물리 리소스 블록은,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0부터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다음에, 서브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서브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의 시간 영역에 있어서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과 같이, 3종류의 시간 유닛이 정의된다. 서브프레임은, 서브캐리어 간격에 상관없이 1㎳이며,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수는 7 또는 14이고, 슬롯 길이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상이하다. 여기서, 서브캐리어 간격이 15㎑인 경우, 1서브프레임에는 14OFDM 심볼이 포함된다. 그 때문에, 슬롯 길이는, 서브캐리어 간격을 Δf(㎑)라 하면, 1슬롯을 구성하는 OFDM 심볼수가 7인 경우, 슬롯 길이는 0.5/(Δf/15)㎳로 정의되어도 된다. 여기서, Δf는 서브캐리어 간격(㎑)으로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1슬롯을 구성하는 OFDM 심볼수가 7인 경우, 슬롯 길이는 1/(Δf/15)㎳로 정의되어도 된다. 여기서, Δf는 서브캐리어 간격(㎑)으로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수를 X라 하였을 때에, 슬롯 길이는 X/14/(Δf/15)㎳로 정의되어도 된다.
미니 슬롯(서브 슬롯이라 칭해져도 됨)은,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수보다도 적은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시간 유닛이다. 도 3은 미니 슬롯이 2OFDM 심볼을 포함하는 경우를 일례로서 도시하고 있다. 미니 슬롯 내의 OFDM 심볼은, 슬롯을 구성하는 OFDM 심볼 타이밍에 일치해도 된다. 또한, 스케줄링의 최소 단위는 슬롯 또는 미니 슬롯이어도 된다.
또한, 도 4는 슬롯 또는 서브프레임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서브캐리어 간격 15㎑에 있어서 슬롯 길이가 0.5㎳인 경우를 예로 들어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있어서, D는 하향 링크, U는 상향 링크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떤 시간 구간 내(예를 들어, 시스템에 있어서 1개의 UE에 대하여 할당해야만 하는 최소의 시간 구간)에 있어서는,
·하향 링크 파트(듀레이션)
·갭
·상향 링크 파트(듀레이션) 중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해도 된다.
도 4의 (a)는 어떤 시간 구간(예를 들어, 1UE에 할당 가능한 시간 리소스의 최소 단위, 또는 타임 유닛 등이라고도 칭해져도 된다. 또한, 시간 리소스의 최소 단위를 복수 묶어 타임 유닛이라 칭해져도 됨)에서, 모두 하향 링크 송신에 사용되고 있는 예이며, 도 4의 (b)는 최초의 시간 리소스에서 예를 들어 PCCH를 통해 상향 링크의 스케줄링을 행하고, PCCH의 처리 지연 및 하향으로부터 상향의 전환 시간, 송신 신호의 생성을 위한 갭을 두고 상향 링크 신호를 송신한다. 도 4의 (c)는 최초의 시간 리소스에서 하향 링크의 PCCH 및/또는 하향 링크의 PSCH의 송신에 사용되며, 처리 지연 및 하향으로부터 상향의 전환 시간, 송신 신호의 생성을 위한 갭을 두고 PSCH 또는 PCCH의 송신에 사용된다. 여기서, 일례로서는, 상향 링크 신호는 HARQ-ACK 및/또는 CSI, 즉 UCI의 송신에 사용되어도 된다. 도 4의 (d)는 최초의 시간 리소스에서 하향 링크의 PCCH 및/또는 하향 링크의 PSCH의 송신에 사용되며, 처리 지연 및 하향으로부터 상향의 전환 시간, 송신 신호의 생성을 위한 갭을 두고 상향 링크의 PSCH 및/또는 PCCH의 송신에 사용된다. 여기서, 일례로서는, 상향 링크 신호는 상향 링크 데이터, 즉 UL-SCH의 송신에 사용되어도 된다. 도 4의 (e)는 모두 상향 링크 송신(상향 링크의 PSCH 또는 PCCH)에 사용되고 있는 예이다.
상술한 하향 링크 파트, 상향 링크 파트는, LTE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해도 된다.
도 5는 빔 포밍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복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는 1개의 송신 유닛(TXRU : Transceiver unit)(10)에 접속되고, 안테나 엘리먼트마다의 위상 시프터(11)에 의해 위상을 제어하고, 안테나 엘리먼트(12)로부터 송신함으로써 송신 신호에 대하여 임의의 방향으로 빔을 향하게 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TXRU가 안테나 포트로서 정의되어도 되고, 단말 장치(1)에 있어서는 안테나 포트만이 정의되어도 된다. 위상 시프터(11)를 제어함으로써 임의의 방향으로 지향성을 향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기지국 장치(3)는 단말 장치(1)에 대하여 이득이 높은 빔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단말 장치(3)는, 무선 링크의 품질을 측정하기 위해 RRC층에 있어서의 측정(예를 들어, RRM 측정)을 행한다. 또한, 단말 장치(3)는 물리층에 있어서의 CSI 측정을 행한다. 단말 장치(3)는 RRC층에 있어서의 측정 보고를 RRC층에서 송신하고, 물리층에 있어서의 CSI 보고를 물리층에서 송신한다.
CSI 보고는 하향 링크의 경우, 단말 장치(1)가 측정한 CSI를 기지국 장치(3)에 보고한다. 그를 위해, 기지국 장치(3)는, 단말 장치(1)에 대하여, 1개 또는 복수의 CSI 보고 설정(CSI reporting setting(s))을 설정한다. CSI 보고 설정에는 하기의 설정을 포함해도 된다.
·시간 방향의 동작(송신 방법)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입도
·CSI의 타입
시간 방향의 동작은, 비주기(Aperiodic, one-shot이라 불려도 됨), 세미 퍼시스턴트, 주기적(Periodic) 등의 참조 신호의 송신 방법을 나타내도 된다.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입도는, 예를 들어 PMI나 CQI를 계산할 때의 입도여도 된다. 예를 들어, 측정하는 대역폭에 포함되는 모든 리소스 블록에 대하여 1개의 와이드 밴드 PMI나 와이드 밴드 CQI인 것을 나타내도 된다. 예를 들어, 측정하는 대역 내보다도 좁은 서브 밴드 및/또는 부분 대역 PMI나 서브 밴드 및/또는 부분 대역 CQI를 측정하는 리소스 블록수(부분 대역 및/또는 리소스 블록 그룹 내의 리소스 블록수)를 나타내도 된다.
CSI의 타입은, 예를 들어 보고하는 CSI로서 CQI/PMI/RI/CRI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어느 CSI를 보고할지 등의 CSI의 타입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CSI의 타입으로서, 코드북으로 표현되는 PMI를 포함하는 CSI(타입 1)를 피드백하는 것인지, 아날로그 피드백이나 보다 입도가 높은 코드북 및/또는 채널 행렬 및/또는 채널의 공분산 행렬과 같은 확장된 CSI(타입 2) 등의 CSI 타입을 나타내도 된다.
RS(예를 들어, CSI-RS)는, CSI를 측정하기 위한 참조 신호의 상정에 사용된다. 그를 위해, 기지국 장치(3)는, 단말 장치(1)에 대하여 1개 또는 복수의 RS 설정(RS setting(s))을 설정한다. RS 설정에는 하기의 설정을 포함해도 된다.
·시간 방향의 동작(송신 방법)
·리소스
·참조 신호의 타입
시간 방향의 동작은, 비주기(Aperiodic), 세미 퍼시스턴트, 주기적(Periodic) 등의 참조 신호의 송신 방법을 나타내도 된다.
리소스는, 시간 및/또는 주파수에 있어서 맵되는 리소스 엘리먼트 및/또는 OFDM 심볼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세미 퍼시스턴트나 주기적인 송신의 경우에는, 주기나 CSI-RS의 송신 간격(예를 들어, 밀리초 단위나 슬롯 단위, OFDM 심볼 단위 등)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CSI-RS의 리소스는, 이들 정보가 맵된 인덱스(또는 아이덴티티)에 의해 나타내어져도 된다.
또한, 주기적, 세미 퍼시스턴트, 비주기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잠재적으로 송신하는 참조 신호의 주기나 서브프레임 오프셋 및/또는 슬롯 오프셋이 상기 어느 것의 RS 설정 내의 설정에 포함되어도 된다.
참조 신호의 타입은, 예를 들어 CSI-RS 이외의 참조 신호(예를 들어, DMRS)를 CSI 측정용의 참조 신호로 할지 여부를 나타내도 된다. 물론, CSI-RS만이 CSI 측정용의 참조 신호가 되는 경우에는, 이 설정은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CSI의 측정에 관해서는, 단말 장치(1)가 CSI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를 위해, 기지국 장치(3)는, 단말 장치(1)에 대하여 1개 또는 복수의 CSI 측정 설정(CSI measurement setting(s))을 설정한다. CSI 측정 설정에는 하기의 설정을 포함해도 된다.
·1개의 CSI 보고의 설정(1개 또는 복수의 CSI 보고 설정 중 1개의 설정 또는 그것을 나타내는 인덱스)
·1개의 RS 설정(1개 또는 복수의 RS 설정 중 1개의 설정 또는 그것을 나타내는 인덱스)
·참조하는 전송 방식(transmission mode)
1개의 CSI 보고의 설정은, 어떤 CSI 측정 설정에 있어서, 해당 CSI 측정 설정에 의해 측정된 CSI를 보고하기 위한 설정 또는 그 CSI 보고 설정을 나타내는 인덱스를 나타내도 된다.
1개의 RS 설정은, 어떤 CSI 설정에 있어서, 해당 CSI 측정 설정을 위해 사용되는 참조 신호의 설정 또는 그것을 나타내는 인덱스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CSI 보고 설정은, 1개의 CSI 보고 설정의 인덱스에, 해당 CSI 보고 설정에 포함되는 CSI 보고 설정 및 RS 설정의 인덱스를 관련짓는 설정이어도 된다.
참조하는 전송 방식은, 어떤 CSI 측정 설정에 있어서, 해당 CSI 측정 시에 상정하는 전송 방식 및/또는 MIMO 방식을 나타내도 된다. 예를 들어, 전송 방식은 OFDM 방식 및/또는 DFT-S-OFDM 방식과 같은 무선 전송 방식이어도 된다. 또한, MIMO 방식은, 예를 들어 송신 다이버시티, 폐루프 MIMO, 개루프 MIMO, 준개루프 MIMO 등의 멀티 안테나 전송 방식이어도 된다. 또한, 이들 중 어느 한쪽만을 참조하는 전송 방식으로 해도 된다. 또한, 이들을 조합하여 1개의 참조하는 전송 방식으로 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CSI를 측정하는 CSI 프로세스가 설정되어도 된다. 여기서, 1개의 CSI 프로세스는, 1개의 RS 설정에 관련지어져도 된다. 또한, 1개의 CSI 프로세스는 1개의 CSI 보고 설정에 관련지어져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어떤 RS 설정에 대하여, MAC층에서 참조 신호가 활성화된 경우에는, 기지국 장치(3)는 해당 RS 설정에 기초하여 참조 신호를 송신하고, 단말 장치(1)는 활성화된 해당 RS 설정에 기초한 참조 신호가 송신되고 있음을 인식(상정)한다. 참조 신호가 활성화되어 있는 기간에 있어서, 단말 장치(1)는, 해당 RS 설정에 의해 설정된 참조 신호의 시간·주파수 리소스의 참조 신호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RS 설정에 포함되는 CSI-RS 리소스에 관하여, 주기 5㎳, 서브프레임 오프셋(또는 슬롯 오프셋이어도 됨)이 0이고, 각 서브프레임의 6번째의 OFDM 심볼의 리소스 블록 내의 4번째의 서브캐리어에 CSI-RS가 배치되는 시간·주파수 리소스가 설정된 것으로 한다.
이 경우, 무선 프레임 번호에 기초하여 CSI-RS가 배치되는 잠재적인 리소스는, 서브프레임 {0, 5, 10, …}이다. 여기서, 서브프레임 3에 있어서 MAC층에서 CSI-RS가 활성화된 경우, 서브프레임 3 이후에 비활성화될 때까지는 RS 설정에 의해 설정된 무선 리소스에 CSI-RS가 있음을 인식한다. 단말 장치는, 참조 신호가 활성화된 후의 서브프레임 5, 10, …에 있어서의 4번째의 OFDM 심볼의 리소스 블록 내의 4번째의 서브캐리어에 배치된 CSI-RS를 수신한다.
여기서, RS 설정에 의해 설정된 참조 신호가 활성화된 경우, 단말 장치(1)는 해당 RS 설정에 의해 설정된 참조 신호가 활성화되었다고 상정한다. 예를 들어, 참조 신호가 CSI-RS이며, 서브프레임 n에서 CSI-RS가 활성화된 경우, 서브프레임 n 이후에 참조 신호가 비활성화될 때까지, 해당 RS 설정에 기초하는 CSI-RS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단말 장치(1)에 의해 상정되는 리소스 엘리먼트에는, PDSCH는 맵되지 않는다. 한편, 단말 장치(1)에 의해 서브프레임 n보다 전 또는 비활성화 후의 잠재적인 해당 RS 설정에 기초하는 CSI-RS를 위해 사용되는 상정되는 리소스 엘리먼트에는, PDSCH는 맵된다.
또한, 복수의 기지국 장치(3) 또는 TRP와 협조 통신을 행하는 경우, 무선 링크마다 참조 신호 설정이 개별로 설정된다(단말 장치(1)에 대해서는 복수의 CSI 프로세스 또는 복수의 CSI 측정 설정 또는 복수의 RS 설정이 설정된다). PDSCH가 맵되는 리소스 엘리먼트가 각각 시그널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DCI에서 PDSCH의 리소스 엘리먼트 맵핑에 관한 정보에 CSI-RS 설정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RS 설정의 참조 신호가 활성화되어 있을 때에 해당 CSI-RS의 송신이 상정되는 리소스 엘리먼트에는 PDSCH는 맵되지 않는다. 물론, 협조 통신은 예이며, 협조 통신에 한정되지 않는다.
활성화는, RRC 설정에 기초하여, RRC 설정 시, 및/또는, MAC의 커맨드를 수신하였을 때에 행해져도 된다. 예를 들어, RRC의 RS 설정이 "주기적"을 포함하는 경우, RRC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에 대응하는 CSI-RS가 활성화되어도 된다.
또한, RS 설정에 의해 설정된 참조 신호가 DCI에 의해 트리거된 경우, 해당 RS 설정에 의해 설정된 참조 신호의 송신이 상정되는 리소스 엘리먼트에는, PDSCH는 맵되지 않는다.
단말 장치(1)가, 기지국 장치(3)로부터, CSI 보고용의 RS를 설정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어떤 CSI 측정 설정에 포함되는 RS 설정의 인덱스로부터 대응하는 RS 설정을 특정하고, 해당 RS 설정에 기초하여 채널 측정(channel measurement)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해당 RS 설정에 의해 설정된 해당 RS 설정에 있어서의 송신 방법이 "주기적"이면, 해당 RS 설정이 설정되었을 때에 해당 RS 설정에 기초하여 채널 측정을 생성한다.
해당 RS 설정에 있어서의 송신 방법이 "세미 퍼시스턴트"이면, 단말 장치(1)는 해당 RS 설정이 설정되고, 참조 신호가 활성화되었을 때부터 비활성화될 때까지 단말 장치(1)는 해당 RS 설정에 의해 설정된 참조 신호를 해당 RS 설정에 기초하여 수신해도 된다.
여기서, 참조 신호를 활성화한다란, 단말 장치(1)가, 해당 RS 설정에 기초한 리소스 엘리먼트에 참조 신호가 배치되어 있음을 인식하는 것을 의미해도 된다. 또한, 활성화하기 위해, 기지국 장치(3)는 단말 장치(1)에 대하여 MAC층에서 참조 신호를 활성화하고, 참조 신호를 활성화하는 정보는 MAC 컨트롤 엘리먼트 혹은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포함되어도 된다. 단말 장치(3)는, MAC층에서 수신하고, T(㎳) 후부터 해당 RS 설정에 기초하는 참조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비활성화하는 경우에는, MAC층에서 지시해도 된다. 또한, 비활성화의 다른 예로서, 비활성화의 시그널링을 MAC층에서 지시하는 대신에, 미리 결정된, 또는 설정된 시간만큼 해당 RS 설정에 기초한 리소스 엘리먼트의 참조 신호를 수신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T는 RS 설정에 포함되어도 되고, 미리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MAC층에서 참조 신호가 비활성화될 때까지의 시간이 미리 설정되는 경우에는, RS 설정에 포함되어도 된다.
이때, 참조 신호를 활성화 및/또는 비활성화하기 위한 MAC층의 정보로서, 활성화하는 참조 신호와 관련지어진 RS 설정의 1개 또는 복수의 인덱스를 포함해도 된다. 예를 들어, 1개 또는 복수의 RS 설정을 MAC층에서 트리거하는 경우에, 어느 RS 설정에 있어서의 참조 신호를 활성화할지는, 비트맵으로 나타내도 되고, 일괄 부호화해도 된다. 각 필드의 비트가 각 RS 설정의 인덱스에 대응하고, 1이 세트되어 있는 필드에 대응하는 참조 신호가 활성화된다. 또한, 0이 세트되어 있는 필드에 대응하는 참조 신호가 비활성화된다.
또한, 참조 신호를 활성화 및/또는 비활성화하기 위한 MAC층의 정보로서, 1개 또는 복수의 CSI 측정의 인덱스를 포함해도 된다. 예를 들어, 1개 또는 복수의 CSI 측정 설정을 MAC층에서 트리거하는 경우에, 어느 CSI 측정 설정에 있어서의 CSI 측정을 활성화할지는, 비트맵으로 나타내도 되고, 일괄 부호화해도 된다. 각 필드의 비트가 각 CSI 측정의 인덱스에 대응하고, 1이 세트되어 있는 필드에 대응하는 CSI 측정이 활성화된다. 또한, 0이 세트되어 있는 필드에 대응하는 CSI 측정이 비활성화된다.
또한, 해당 RS 설정에 있어서의 송신 방법이 "세미 퍼시스턴트"이면, 단말 장치(1)는, DCI에 의해 참조 신호의 수신이 트리거되어도 된다. 이때, DCI에 의해 지시된 서브프레임 이후에, 해당 RS 설정에 의해 설정된 참조 신호를 해당 RS 설정에 기초하여 수신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1)는, DCI에 의해 참조 신호의 수신을 종료하는 것이 지시되어도 된다. 또한, DCI는 CSI 측정 설정에 의해 설정된 1개 또는 복수의 CSI 측정의 인덱스를 포함해도 된다. 이에 의해, 효율적으로 참조 신호의 수신 및 CSI 측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해당 RS 설정에 있어서의 송신 방법이 "비주기"이면, 단말 장치(1)는, DCI에 의해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트리거를 수신해도 된다. 이때, DCI에 의해 지시된 서브프레임 또는 지시된 서브프레임 이후의 최초의 참조 신호 리소스로, 해당 RS 설정에 의해 설정된 참조 신호를 해당 RS 설정에 기초하여 1회 또는 복수회 수신해도 된다. 또한, DCI는 설정된 1개 또는 복수의 CSI 측정의 인덱스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DCI에 포함되는 정보로서, 어느 CSI 측정 설정에 관하여 트리거할지는, 비트맵으로 나타내도 되고, 일괄 부호화해도 된다.
기지국 장치(3)가 CSI 보고를 단말 장치(1)에 요구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1개 또는 CSI 보고 설정에 포함되는 CSI 보고 설정의 인덱스에 대응하는 CSI 보고 설정을 특정하고, 해당 CSI 보고 설정에 기초하여 CSI를 보고한다.
해당 CSI 보고 설정에 있어서의 보고 방법이 "주기적"이면, 단말 장치(1)는 해당 CSI 보고 설정이 설정되었을 때에 해당 CSI 설정에 기초하여 주기적으로 CSI를 보고해도 된다.
해당 CSI 보고 설정에 있어서의 보고 방법이 "세미 퍼시스턴트"이면, 단말 장치(1)는 해당 CSI 보고 설정이 설정되고, CSI 보고가 활성화되었을 때부터 비활성화될 때까지 해당 CSI 보고 설정에 기초하여 CSI를 보고해도 된다.
여기서, CSI 보고를 활성화한다란, 단말 장치(1)가, 해당 CSI 보고 설정에 기초하여 CSI를 보고해도 된다고 인식하는 것을 의미해도 된다. 또한, 활성화하기 위해, 기지국 장치(3)는 단말 장치(1)에 대하여 MAC층에서 활성화하고, 그 활성화하는 정보는 MAC 컨트롤 엘리먼트 혹은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포함되어도 된다. 단말 장치(3)는 MAC층에서 수신하고, T(㎳) 후부터 해당 CSI 보고 설정에 기초하여 CSI를 보고한다. 또한, CSI 보고를 비활성화하는 경우에는, MAC층에서 지시해도 된다. 또한, 비활성화에 관해서는, CSI 보고를 활성화한 후, 미리 결정된 또는 설정된 시간만큼 해당 CSI 보고 설정에 기초하여 CSI를 보고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T는 CSI 보고 설정에 포함되어도 되고, 미리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MAC층에서 비활성화까지의 시간이 미리 설정되는 경우에는, CSI 보고 설정에 포함되어도 된다.
이때, CSI 보고를 활성화 및/또는 비활성화하기 위한 MAC층의 정보로서, 활성화하는 CSI 보고와 관련지어진 CSI 보고 설정의 1개 또는 복수의 인덱스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CSI 보고를 활성화 및/또는 비활성화하기 위한 MAC층의 정보로서, 1개 또는 복수의 CSI 측정의 인덱스를 포함해도 된다. 예를 들어, 1개 또는 복수의 CSI 측정 설정을 MAC층에서 트리거하는 경우에, 어느 CSI 측정 설정에 관하여 활성화할지는, 비트맵으로 나타내도 되고, 일괄 부호화해도 된다. 각 필드의 비트가 각 CSI 보고의 인덱스에 대응하고, 1이 세트되어 있는 필드에 대응하는 CSI 보고가 활성화된다. 또한, 0이 세트되어 있는 필드에 대응하는 CSI 보고가 비활성화된다.
또한, 해당 CSI 보고 설정에 있어서의 송신 방법이 "세미 퍼시스턴트"이면, 단말 장치(1)는, DCI에 의해 CSI의 보고가 요구(트리거)되어도 된다. 이때, DCI에 의해 지시된 서브프레임 이후에, 해당 CSI 보고 설정에 기초하여 CSI를 보고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1)는, DCI에 의해 CSI의 보고를 종료하는 것이 지시되어도 된다. 또한, DCI에는 CSI 측정 설정에 의해 설정된 1개 또는 복수의 CSI 측정의 인덱스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해당 CSI 보고 설정에 있어서의 송신 방법이 "비주기"이면, 단말 장치(1)는, DCI에 의해 CSI의 요구가 보고되어도 된다. 이때, DCI에 의해 지시된 서브프레임 또는 DCI에 의해 지시된 서브프레임 이후의 최초의 CSI 보고를 위한 PUSCH 또는 PUCCH 리소스로, CSI 보고 설정에 기초하여 1회 또는 복수회 CSI를 보고해도 된다. 또한, DCI는 설정된 1개 또는 복수의 CSI 측정의 인덱스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DCI에 포함되는 정보로서, 어느 CSI 측정 설정에 관하여 트리거할지는, 비트맵으로 나타내도 되고, 일괄 부호화해도 된다. 이에 의해, 효율적으로 CSI 측정 및 CSI 보고를 행할 수 있다.
다음에, CSI 프로세스와의 관계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CSI 프로세스는, 단말 장치(3)에 대하여 1개 또는 복수 설정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3)와 협조 통신(CoMP : Coordinated Multi-Point)하는 경우에 각각의 기지국 장치(3)와의 사이의 무선 링크에 관한 CSI 측정 및 CSI 보고를 위한 아이덴티티로서 CSI 프로세스 ID가 사용되어도 된다. 단, 복수의 기지국 장치(3)와의 협조 통신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CSI 프로세스는, 1개의 CSI 측정 설정에 관련지어져도 된다. 또한, 1개의 CSI 프로세스에 복수의 CSI 측정 설정이 관련지어져도 된다. 또한, CSI-RS 리소스 설정과 CSI 프로세스가 관련지어져도 된다. 또한, IM 설정과 CSI 프로세스가 관련지어져도 된다. 또는, "CSI 측정 설정"을 "CSI 프로세스"로 바꿔 말해도 된다.
이하에서는, 상술의 일례를 나타낸다. CSI 보고 설정으로서, 3개의 CSI 보고 설정(CSI 보고 설정 C1, C2, C3)이 설정되고, 2개의 RS 설정(RS 설정 R1, R2)이 설정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CSI 보고 설정 C1, C2, C3 및 RS 설정 R1, R2가 하기와 같이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CSI 보고 설정 C1 :
·시간 방향의 동작 : 세미 퍼시스턴트
·주파수 영역의 입도 : 와이드 밴드
·CSI의 타입 : CQI
·CSI 보고 설정 C2 :
·시간 방향의 동작 : 비주기
·주파수 영역의 입도 : 와이드 밴드
·CSI의 타입 : RI, CQI
·CSI 보고 설정 C3 :
·시간 방향의 동작 : 비주기
·주파수 영역의 입도 : 서브 밴드(4리소스 블록)
·CSI의 타입 : RI, CQI, PMI, CRI
·RS 설정 R1 :
·시간 방향의 동작 : 세미 퍼시스턴트
·리소스 : CSI-RS 설정#1
·참조 신호의 타입 : CSI-RS
·RS 설정 R2 :
·시간 방향의 동작 : 비주기
·리소스 : CSI-RS 설정#2
·참조 신호의 타입 : CSI-RS
여기서, 3개의 CSI 측정 설정(M1, M2, M3)이 설정되고, 각각의 CSI 측정 설정에는 하기의 CSI 보고 설정, RS 설정, 및 참조하는 전송 방식이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CSI 측정 설정 M1 :
·CSI 보고 설정 C1
·RS 설정 R1
·참조하는 전송 방식 : 송신 다이버시티
·CSI 측정 설정 M2 :
·CSI 보고 설정 C2
·RS 설정 R1
·참조하는 전송 방식 : 개루프 MIMO
·CSI 측정 설정 M3 :
·CSI 보고 설정 C3
·RS 설정 R2
·참조하는 전송 방식 : 폐루프 MIMO
여기서, CSI 측정 설정 M1과 M2에 대응하는 CSI 보고를 행하는 경우, 기지국 장치(3)는 MAC층의 MAC CE 또는 MAC PDU, 혹은 물리층에 있어서의 DCI를 사용하여 CSI 측정 설정 M1과 M2에 대응하는 CSI의 측정 및 보고를 요구하고, 단말 장치(1)는 CSI 측정 설정 M1 및 M2에 대응하는 CSI 측정을 행하여, CSI 보고를 행한다.
예를 들어, CSI 측정 설정 M1의 RS 설정 R1은 세미 퍼시스턴트 송신을 MAC층에 있어서 활성화한다. 이때, 기지국 장치(3)는, 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에 R1 및/또는 M1이라는 설정에 관련지어진 인덱스를 포함한다. 단말 장치(1)는, 인덱스에 기초하여 CSI-RS 설정#1의 시간 및/또는 주파수 및/또는 부호(직교 부호나 M 계열, 사이클릭 시프트 등)에 기초하여 CSI-RS의 리소스를 인식하고, 비활성화될 때까지 CSI를 측정한다.
또한, 기지국 장치(3)는, CSI 측정, CSI 측정 설정 M1에 대응하는 CSI 보고를 행하기 위해, 단말 장치(1)에 대하여 CSI 보고 설정 C1의 보고를 요구하다. CSI 보고 설정 C1의 시간 영역의 동작은 세미 퍼시스턴트이기 때문에, CSI 보고가 기지국 장치(3)의 MAC층에 의해 활성화된다. 단말 장치(1)는, 비활성화될 때까지 CSI 보고를 위한 리소스를 사용하여 CSI를 보고한다.
단말 장치(1)는, CSI 보고 시에, CSI와 CSI 측정 설정 M1 및/또는 CSI 보고 설정 C1에 관련지어진 인덱스를 CSI와 함께 보고해도 된다. 이 인덱스는, CSI의 하나로서 정의되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CSI 측정 설정 M2에 관해서도, 기지국 장치(3)는 RS 설정 R1의 참조 신호를 활성화하여 CSI 측정을 행해도 된다. CSI 보고에 관해서는, CSI 보고 설정 C2가 관련된다. 이때, CSI 보고 설정 C2의 시간 방향의 동작이 비주기이기 때문에, DCI에 의해 CSI 보고를 요구(리퀘스트)하고, 단말 장치(1)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DCI에 의해 CSI 보고의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CSI 보고용의 리소스로 CSI를 보고한다. 이때, CSI 보고용의 리소스는, 기지국 장치(3)에 의해 스케쥴된 PUSCH 리소스여도 된다.
단말 장치(1)는, CSI 보고 시에, CSI와 CSI 측정 설정 M2 또는 CSI 보고 설정 C2에 관련지어진 인덱스를 CSI와 함께 보고해도 된다. 이 인덱스는, CSI의 하나로서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1)에 복수의 CSI 측정 설정이 설정된 경우, MAC층에 있어서 활성화 및/또는 비활성화하는 RS 설정에 기초하는 참조 신호에 관하여, 1개의 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에 의해 1개 또는 복수의 참조 신호가 활성화 및/또는 비활성화되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1)에 복수의 CSI 측정 설정이 설정된 경우, MAC층에 있어서 활성화 및/또는 비활성화하는 CSI 보고 설정에 기초하는 CSI 보고에 관하여, 1개의 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에 의해 1개 또는 복수의 CSI 보고가 활성화 및/또는 비활성화되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1)에 복수의 CSI 측정 설정이 설정된 경우, 물리층에 있어서 트리거되는 참조 신호의 송신에 관하여, 1개의 DCI에 의해 1개 또는 복수의 RS 설정에 관련지어진 참조 신호가 송신되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1)에 복수의 CSI 측정 설정이 설정된 경우, 물리층에 있어서 트리거되는 CSI 보고에 관하여, 1개의 DCI에 의해 1개 또는 복수의 CSI 보고 설정에 관한 CSI 보고가 요구되어도 된다.
간섭 측정 리소스(IM : Interference Measurement)는 하향 링크의 경우, 간섭을 측정하는 리소스를 나타낸다. 그를 위해, 기지국 장치(3)는, 단말 장치(1)에 대하여, 1개 또는 복수의 IM 설정(IM setting(s))을 설정한다. 간섭 리소스 설정에는 하기의 설정을 포함해도 된다.
·시간 방향의 동작(송신 방법)
·참조 신호의 타입
시간 방향의 동작은, 비주기(Aperiodic), 세미 퍼시스턴트, 주기적(Periodic) 등의 참조 신호의 송신 방법을 나타내도 된다.
리소스는, 시간 및/또는 주파수에 있어서 간섭 측정용 리소스로 되는 리소스 엘리먼트 및/또는 OFDM 심볼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세미 퍼시스턴트나 주기적인 송신의 경우에는, 주기나 CSI-IM의 송신 간격(예를 들어, 밀리초 단위나 슬롯 단위, OFDM 심볼 단위 등)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CSI-IM의 리소스는, 이들 정보가 맵된 인덱스(또는 아이덴티티)에 의해 나타내어져도 된다.
또한, 주기적, 세미 퍼시스턴트, 비주기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잠재적으로 송신하는 참조 신호의 주기나 서브프레임 오프셋 및/또는 슬롯 오프셋이 상기 어느 것의 IM 설정 내의 설정에 포함되어도 된다.
참조 신호의 타입은, 예를 들어 CSI-IM 이외의 간섭 측정용 리소스(예를 들어, NZP CI-RS 리소스)를 CSI 측정용의 참조 신호로 할지 여부를 나타내도 된다. 물론, CSI-IM만이 간섭 측정용의 리소스가 되는 경우에는, 이 설정은 포함되지 않아도 된다.
IM 설정은, RS 설정 중에 포함되어도 되고, RS 설정과 각각 정의되어도 된다. 간섭 리소스 설정은, CSI 측정 설정 중에 하기와 같이 포함되어도 된다.
·1개의 CSI 보고의 설정(1개 또는 복수의 CSI 보고 설정 중 1개의 설정 또는 그것을 나타내는 인덱스)
·1개의 RS 설정(1개 또는 복수의 RS 설정 중 1개의 설정 또는 그것을 나타내는 인덱스)
·1개의 IM 설정(1개 또는 복수의 IM 설정 중 1개의 설정 또는 그것을 나타내는 인덱스)
·참조하는 전송 방식
이 경우, RS 설정에 기초하는 참조 신호의 수신의 활성화 및/또는 IM 설정에 기초하는 간섭 리소스의 활성화는 상이한 서브프레임 또는 슬롯에서 행해져도 되고, 1개의 정보에 의해 동일한 서브프레임 또는 슬롯에서 행해져도 된다.
또한, CSI 보고 설정 및 RS 설정은, RRC(상위 레이어)에서 설정되어도 되고, 사양에서 미리 정의된 설정이어도 된다.
상술한 예에 더하여, 이하에 복수의 실시예를 더 설명한다.
2개의 CSI 보고 설정 C1, C2 및 1개의 RS 설정 R1이 설정되고, CSI 측정 설정 M1 및 M2에, 각각 (C1, R1) 및 (C2, R1)의 조합으로 관련지어져 있는 것으로 한다.
서브프레임 n에 있어서, RS 설정 R1의 참조 신호가 활성화된 경우, 단말 장치(1)는, RS 설정 R1에 기초하여 참조 신호가 송신되고 있다고 인식한다. 이때, 아직 CSI 보고 설정에 의한 CSI 보고가 활성화 또는 트리거되어 있지 않다. 서브프레임 n+X(X는 0 이상의 양의 정수)에서 CSI 보고 설정 C1이 DCI에 의해 트리거된 경우에는, RS 설정 R1 및 CSI 보고 설정 C1의 조합으로부터 CSI 측정 설정 M1로 상정하여 CSI 측정 설정 M1 및 CSI 보고 설정 C1 기초하여 CSI 측정 및 CSI 보고를 행한다. 이 경우, CSI 측정의 활성화는 정의되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이, 단말 장치(1)는, RS 설정에 관련지어진 참조 신호가 활성화 및 트리거되고, 또한 CSI 설정이 활성화 또는 트리거되었을 때에 관련지어진 채널 측정 설정에 기초하는 채널 측정 및 CSI 보고를 행해도 된다.
다른 예로서, 서브프레임 n에 있어서, CSI 보고 설정 M1에 관련지어진 CSI 보고가 활성화된 경우, 단말 장치(1)는, CSI 보고 설정 C1에 기초한 CSI 보고를 할 수 있는 상태에 있다고 인식한다. 이때, 아직 RS 설정에 의한 RS가 활성화 또는 트리거되어 있지 않다. 서브프레임 n+X(X는 0 이상의 양의 정수)에서 RS 설정 R1에 관련지어진 참조 신호가 활성화된 경우에는, RS 설정 R1 및 CSI 보고 설정 C1의 조합으로부터 CSI 측정 설정 M1로 상정하여 CSI 측정 설정 M1 및 CSI 보고 설정 C1에 기초하여 CSI 측정 및 CSI 보고를 행한다. 이 경우, CSI 측정의 활성화는 정의되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이, 단말 장치(1)는, RS 설정에 관련지어진 참조 신호가 활성화 및 트리거되고, 또한 CSI 설정이 활성화 또는 트리거되었을 때에 관련지어진 채널 측정 설정에 기초하는 채널 측정 및 CSI 보고를 행해도 된다.
다른 예로서, 서브프레임 n에 있어서, CSI 보고 설정 M1에 관련지어진 CSI 보고가 활성화된 경우, 단말 장치(1)는, CSI 측정 설정 M1에 기초한 CSI 측정을 할 수 있는 상태에 있다고 인식한다. 이때, CSI 측정 설정 M1에 관련지어진 CSI 보고 설정 C1에 기초하는 CSI 보고 및 RS 설정 R1에 기초하는 참조 신호가 활성화된다. 단말 장치(1)는, 이들 설정에 기초하여 CSI 측정 및 CSI 보고를 행한다. 이 경우, RS 설정 R1에 기초하는 참조 신호의 활성화 및 CSI 보고 설정 C1에 기초하는 CSI 보고의 활성화는 정의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이 예에서, RS 설정 R1의 시간 영역의 동작이 "세미 퍼시스턴트"이고, CSI 보고 설정이 "비주기"인 경우, CSI 측정 설정 M1에 기초한 CSI 측정이 활성화된 경우에는, RS 설정 R1에 기초하는 참조 신호가 활성화되고, 이 활성화되어 있는 동안에 단말 장치(1)가 DCI에 의해 CSI 보고를 요구하는 트리거를 수신하는 등의 방법이 적용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일 양태는, LTE나 LTE-A/LTE-A Pro와 같은 무선 액세스 기술(RAT : Radio Access Technology)과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 또는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 오퍼레이션되어도 된다. 이때, 일부 또는 모든 셀 또는 셀 그룹, 캐리어 또는 캐리어 그룹(예를 들어, 프라이머리 셀(PCell : Primary Cell), 세컨더리 셀(SCell : Secondary Cell), 프라이머리 세컨더리 셀(PSCell), MCG(Master Cell Group), SCG(Secondary Cell Group) 등)에서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단독으로 오퍼레이션하는 스탠드 얼론으로 사용되어도 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하향 링크의 무선 전송 방식으로서, CP-OFDM, 상향 링크의 무선 전송 방식으로서 CP DFTS-OFDM(SC-FDM)을 적용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의 단말 장치(1)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1)는, 상위층 처리부(101), 제어부(103), 수신부(105), 송신부(107)와 송수신 안테나(10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위층 처리부(101)는, 무선 리소스 제어부(1011), 스케줄링 정보 해석부(1013), 및, 채널 상태 정보(CSI) 보고 제어부(10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수신부(105)는 복호화부(1051), 복조부(1053), 다중 분리부(1055), 무선 수신부(1057)와 측정부(105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송신부(107)는 부호화부(1071), 변조부(1073), 다중부(1075), 무선 송신부(1077)와 상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107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위층 처리부(101)는, 유저의 조작 등에 의해 생성된 상향 링크 데이터(트랜스포트 블록)를, 송신부(107)에 출력한다. 또한, 상위층 처리부(101)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 Medium Access Control)층, 패킷 데이터 통합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 PDCP)층,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 RLC)층,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 RRC)층의 처리를 행한다.
상위층 처리부(101)가 구비하는 무선 리소스 제어부(1011)는, 자장치의 각종 설정 정보의 관리를 한다. 또한, 무선 리소스 제어부(1011)는, 상향 링크의 각 채널에 배치되는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부(107)에 출력한다.
상위층 처리부(101)가 구비하는 스케줄링 정보 해석부(1013)는, 수신부(105)를 통해 수신한 DCI(스케줄링 정보)의 해석을 행하고, 상기 DCI를 해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수신부(105) 및 송신부(107)의 제어를 행하기 위해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103)에 출력한다.
CSI 보고 제어부(1015)는, 측정부(1059)에, CSI 참조 리소스에 관련되는 채널 상태 정보(RI/PMI/CQI/CRI)를 도출하도록 지시한다. CSI 보고 제어부(1015)는, 송신부(107)에, RI/PMI/CQI/CRI를 송신하도록 지시를 한다. CSI 보고 제어부(1015)는, 측정부(1059)가 CQI를 산출할 때에 사용하는 설정을 세트한다.
제어부(103)는, 상위층 처리부(101)로부터의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부(105), 및 송신부(107)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103)는, 생성한 제어 신호를 수신부(105) 및 송신부(107)에 출력하여 수신부(105), 및 송신부(107)의 제어를 행한다.
수신부(105)는, 제어부(103)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서, 송수신 안테나(109)를 통해 기지국 장치(3)로부터 수신한 수신 신호를, 분리, 복조, 복호하고, 복호한 정보를 상위층 처리부(101)에 출력한다.
무선 수신부(1057)는, 송수신 안테나(109)를 통해 수신한 하향 링크의 신호를, 중간 주파수로 변환하고(다운 컨버트 : down covert), 불필요한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고, 신호 레벨이 적절하게 유지되도록 증폭 레벨을 제어하고, 수신한 신호의 동상 성분 및 직교 성분에 기초하여, 직교 복조하고, 직교 복조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무선 수신부(1057)는, 변환한 디지털 신호로부터 가드 인터벌(Guard Interval : GI)에 상당하는 부분을 제거하고, 가드 인터벌을 제거한 신호에 대하여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 FFT)을 행하여,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추출한다.
다중 분리부(1055)는, 추출한 신호를 하향 링크의 PCCH, PSCH 및 하향 링크 참조 신호로, 각각 분리된다. 또한, 다중 분리부(1055)는, 측정부(1059)로부터 입력된 전반로의 추정값으로부터, PCCH 및 PSCH의 전반로의 보상을 행한다. 또한, 다중 분리부(1055)는, 분리한 하향 링크 참조 신호를 측정부(1059)에 출력한다.
복조부(1053)는, 하향 링크의 PCCH에 대하여, 복조를 행하여, 복호화부(1051)에 출력한다. 복호화부(1051)는, PCCH의 복호를 시도하고, 복호에 성공한 경우, 복호한 하향 링크 제어 정보와 하향 링크 제어 정보가 대응하는 RNTI를 상위층 처리부(101)에 출력한다.
복조부(1053)는, PSCH에 대하여,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64QAM, 256QAM 등의 하향 링크 그랜트로 통지된 변조 방식의 복조를 행하여, 복호화부(1051)로 출력한다. 복호화부(1051)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에 의해 통지된 전송 또는 원(原)부호화율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호를 행하고, 복호한 하향 링크 데이터(트랜스포트 블록)를 상위층 처리부(101)로 출력한다.
측정부(1059)는, 다중 분리부(1055)로부터 입력된 하향 링크 참조 신호로부터, 하향 링크의 패스 로스의 측정, 채널 측정, 및/또는, 간섭 측정을 행한다. 측정부(1059)는,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산출한 CSI, 및, 측정 결과를 상위층 처리부(101)로 출력한다. 또한, 측정부(1059)는, 하향 링크 참조 신호로부터 하향 링크의 전반로의 추정값을 산출하여, 다중 분리부(1055)로 출력한다.
송신부(107)는, 제어부(103)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서, 상향 링크 참조 신호를 생성하고, 상위층 처리부(101)로부터 입력된 상향 링크 데이터(트랜스포트 블록)를 부호화 및 변조하고, PUCCH, PUSCH, 및 생성된 상향 링크 참조 신호를 다중하고, 송수신 안테나(109)를 통해 기지국 장치(3)에 송신한다.
부호화부(1071)는, 상위층 처리부(101)로부터 입력된 상향 링크 제어 정보, 및, 상향 링크 데이터를 부호화한다. 변조부(1073)는, 부호화부(1071)로부터 입력된 부호화 비트를 BPSK, QPSK, 16QAM, 64QAM, 256QAM 등의 변조 방식으로 변조한다.
상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1079)는, 기지국 장치(3)를 식별하기 위한 물리 셀 식별자(physical cell identity : PCI, Cell ID 등이라 칭함), 상향 링크 참조 신호를 배치하는 대역폭, 상향 링크 그랜트로 통지된 사이클릭 시프트, DMRS 시퀀스의 생성에 대한 파라미터의 값 등을 기초로, 미리 정해진 규칙(식)에 의해 구해지는 계열을 생성한다.
다중부(1075)는, PUSCH의 스케줄링에 사용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공간 다중되는 PUSCH의 레이어의 수를 결정하고, MIMO 공간 다중(MIMO SM :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Spatial Multiplexing)을 사용함으로써 동일한 PUSCH에서 송신되는 복수의 상향 링크 데이터를, 복수의 레이어에 맵핑하고, 이 레이어에 대하여 프리코딩(precoding)을 행한다.
다중부(1075)는, 제어부(103)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서, PSCH의 변조 심볼을 이산 푸리에 변환(Discrete Fourier Transform : DFT)한다. 또한, 다중부(1075)는, PCCH와 PSCH의 신호와 생성된 상향 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 안테나 포트마다 다중한다. 즉, 다중부(1075)는, PCCH와 PSCH의 신호와 생성된 상향 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 안테나 포트마다 리소스 엘리먼트에 배치한다.
무선 송신부(1077)는, 다중된 신호를 역고속 푸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 IFFT)하여, SC-FDM 방식의 변조를 행하고, SC-FDM 변조된 SC-FDM 심볼에 가드 인터벌을 부가하고, 베이스 밴드의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고, 베이스 밴드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중간 주파수의 동상 성분 및 직교 성분을 생성하고, 중간 주파수 대역에 대한 여분의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고, 중간 주파수의 신호를 고주파수의 신호로 변환(업 컨버트 : up convert)하고, 여분의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고, 전력 증폭하고, 송수신 안테나(109)에 출력하여 송신한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의 기지국 장치(3)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기지국 장치(3)는, 상위층 처리부(301), 제어부(303), 수신부(305), 송신부(307), 및 송수신 안테나(30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위층 처리부(301)는, 무선 리소스 제어부(3011), 스케줄링부(3013), 및 CSI 보고 제어부(30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수신부(305)는, 복호화부(3051), 복조부(3053), 다중 분리부(3055), 무선 수신부(3057)와 측정부(305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송신부(307)는, 부호화부(3071), 변조부(3073), 다중부(3075), 무선 송신부(3077)와 하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307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위층 처리부(301)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 Medium Access Control)층, 패킷 데이터 통합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 PDCP)층,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 RLC)층,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 RRC)층의 처리를 행한다. 또한, 상위층 처리부(301)는, 수신부(305) 및 송신부(307)의 제어를 행하기 위해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303)에 출력한다.
상위층 처리부(301)가 구비하는 무선 리소스 제어부(3011)는, 하향 링크의 PSCH에 배치되는 하향 링크 데이터(트랜스포트 블록), 시스템 인포메이션, RRC 메시지, MAC CE(Control Element) 등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위 노드로부터 취득하여, 송신부(307)에 출력한다. 또한, 무선 리소스 제어부(3011)는, 단말 장치(1) 각각의 각종 설정 정보의 관리를 행한다.
상위층 처리부(301)가 구비하는 스케줄링부(3013)는, 수신한 CSI 및 측정부(3059)로부터 입력된 전반로의 추정값이나 채널의 품질 등으로부터, 물리 채널(PSCH)을 할당하는 주파수 및 서브프레임, 물리 채널(PSCH)의 전송 부호화율 및 변조 방식 및 송신 전력 등을 결정한다. 스케줄링부(3013)는, 스케줄링 결과에 기초하여, 수신부(305) 및 송신부(307)의 제어를 행하기 위해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303)에 출력한다. 스케줄링부(3013)는, 스케줄링 결과에 기초하여, 물리 채널(PSCH)의 스케줄링에 사용되는 정보(예를 들어, DCI(포맷))를 생성한다.
상위층 처리부(301)가 구비하는 CSI 보고 제어부(3015)는, 단말 장치(1)의 CSI 보고를 제어한다. CSI 보고 제어부(3015)는, 단말 장치(1)가 CSI 참조 리소스에 있어서 RI/PMI/CQI를 도출하기 위해 상정하는, 각종 설정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부(307)를 통해, 단말 장치(1)에 송신한다.
제어부(303)는, 상위층 처리부(301)로부터의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부(305) 및 송신부(307)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303)는, 생성한 제어 신호를 수신부(305) 및 송신부(307)에 출력하여 수신부(305) 및 송신부(307)의 제어를 행한다.
수신부(305)는, 제어부(303)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서, 송수신 안테나(309)를 통해 단말 장치(1)로부터 수신한 수신 신호를 분리, 복조, 복호하고, 복호한 정보를 상위층 처리부(301)에 출력한다. 무선 수신부(3057)는, 송수신 안테나(309)를 통해 수신된 상향 링크의 신호를, 중간 주파수로 변환하고(다운 컨버트 : down covert), 불필요한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고, 신호 레벨이 적절하게 유지되도록 증폭 레벨을 제어하고, 수신된 신호의 동상 성분 및 직교 성분에 기초하여, 직교 복조하고, 직교 복조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무선 수신부(3057)는, 변환한 디지털 신호로부터 가드 인터벌(Guard Interval : GI)에 상당하는 부분을 제거한다. 무선 수신부(3057)는, 가드 인터벌을 제거한 신호에 대하여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 FFT)을 행하고,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추출하여 다중 분리부(3055)에 출력한다.
다중 분리부(3055)는, 무선 수신부(3057)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PCCH, PSCH, 상향 링크 참조 신호 등의 신호로 분리한다. 또한, 이 분리는, 미리 기지국 장치(3)가 무선 리소스 제어부(3011)에서 결정하고, 각 단말 장치(1)에 통지한 상향 링크 그랜트에 포함되는 무선 리소스의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또한, 다중 분리부(3055)는, 측정부(3059)로부터 입력된 전반로의 추정값으로부터, PCCH와 PSCH의 전반로의 보상을 행한다. 또한, 다중 분리부(3055)는, 분리한 상향 링크 참조 신호를 측정부(3059)에 출력한다.
복조부(3053)는, PSCH를 역이산 푸리에 변환(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 IDFT)하여, 변조 심볼을 취득하고, PCCH와 PSCH의 변조 심볼의 각각에 대하여,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QPSK, 16QAM, 64QAM, 256QAM 등의 미리 정해진, 또는 자장치가 단말 장치(1) 각각에 상향 링크 그랜트로 미리 통지한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수신 신호의 복조를 행한다. 복조부(3053)는, 단말 장치(1) 각각에 상향 링크 그랜트로 미리 통지한 공간 다중되는 계열의 수와, 이 계열에 대하여 행하는 프리코딩을 지시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MIMO SM을 사용함으로써 동일한 PSCH에서 송신된 복수의 상향 링크 데이터의 변조 심볼을 분리한다.
복호화부(3051)는, 복조된 PCCH와 PSCH의 부호화 비트를, 미리 정해진 부호화 방식의, 미리 정해진, 또는 자장치가 단말 장치(1)에 상향 링크 그랜트로 미리 통지한 전송 또는 원부호화율로 복호를 행하고, 복호한 상향 링크 데이터와, 상향 링크 제어 정보를 상위층 처리부(301)로 출력한다. PSCH가 재송신인 경우에는, 복호화부(3051)는, 상위층 처리부(301)로부터 입력되는 HARQ 버퍼에 유지하고 있는 부호화 비트와, 복조된 부호화 비트를 사용하여 복호를 행한다. 측정부(309)는, 다중 분리부(3055)로부터 입력된 상향 링크 참조 신호로부터 전반로의 추정값, 채널의 품질 등을 측정하고, 다중 분리부(3055) 및 상위층 처리부(301)에 출력한다.
송신부(307)는, 제어부(303)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서, 하향 링크 참조 신호를 생성하고, 상위층 처리부(301)로부터 입력된 하향 링크 제어 정보, 하향 링크 데이터를 부호화 및 변조하고, PCCH, PSCH 및 하향 링크 참조 신호를 다중 또는 각각의 무선 리소스로, 송수신 안테나(309)를 통해 단말 장치(1)에 신호를 송신한다.
부호화부(3071)는, 상위층 처리부(301)로부터 입력된 하향 링크 제어 정보, 및 하향 링크 데이터를 부호화한다. 변조부(3073)는, 부호화부(3071)로부터 입력된 부호화 비트를 BPSK, QPSK, 16QAM, 64QAM, 256QAM 등의 변조 방식으로 변조한다.
하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3079)는, 기지국 장치(3)를 식별하기 위한 물리 셀 식별자(PCI) 등을 기초로 미리 정해진 규칙에 의해 구해지는, 단말 장치(1)가 기지인 계열을 하향 링크 참조 신호로서 생성한다.
다중부(3075)는, 공간 다중되는 PSCH의 레이어의 수에 따라서, 1개의 PSCH로 송신되는 1개 또는 복수의 하향 링크 데이터를, 1개 또는 복수의 레이어에 맵핑하고, 해당 1개 또는 복수의 레이어에 대하여 프리코딩(precoding)을 행한다. 다중부(3075)는, 하향 링크 물리 채널의 신호와 하향 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 안테나 포트마다 다중한다. 다중부(3075)는, 송신 안테나 포트마다, 하향 링크 물리 채널의 신호와 하향 링크 참조 신호를 리소스 엘리먼트에 배치한다.
무선 송신부(3077)는, 다중된 변조 심볼 등을 역고속 푸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 IFFT)하여, OFDM 방식의 변조를 행하고, OFDM 변조된 OFDM 심볼에 가드 인터벌을 부가하고, 베이스 밴드의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고, 베이스 밴드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중간 주파수의 동상 성분 및 직교 성분을 생성하고, 중간 주파수 대역에 대한 여분의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고, 중간 주파수의 신호를 고주파수의 신호로 변환(업 컨버트 : up convert)하고, 여분의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고, 전력 증폭하고, 송수신 안테나(309)에 출력하여 송신한다.
(1)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1)는, 기지국 장치와 통신하는 단말 장치이며, 채널 상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참조 신호의 설정을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수신하고, 참조 신호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정보를 수신하고,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참조 신호가 활성화된 경우에, 활성화된 상기 참조 신호의 리소스 엘리먼트에, 상기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은 맵되지 않고, 상기 참조 신호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참조 신호의 리소스 엘리먼트에, 상기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은 맵된다.
(2)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있어서의 기지국 장치(3)는,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기지국 장치이며, 채널 상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참조 신호의 설정을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송신하고, 참조 신호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정보를 송신하고,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을 송신하는 송신부와, 채널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참조 신호가 활성화된 경우에, 활성화된 상기 참조 신호의 리소스 엘리먼트에, 상기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을 맵하지 않고, 상기 참조 신호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참조 신호의 리소스 엘리먼트에, 상기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을 맵한다.
(3)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은, 기지국 장치와 통신하는 단말 장치의 통신 방법이며, 채널 상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참조 신호의 설정을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수신하고, 참조 신호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정보를 수신하고,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을 수신하고,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고, 상기 참조 신호가 활성화된 경우에, 활성화된 상기 참조 신호의 리소스 엘리먼트에, 상기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은 맵되지 않고, 상기 참조 신호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참조 신호의 리소스 엘리먼트에, 상기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은 맵된다.
(4)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은,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기지국 장치의 통신 방법이며, 채널 상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참조 신호의 설정을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송신하고, 참조 신호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정보를 송신하고,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을 송신하고, 채널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참조 신호가 활성화된 경우에, 활성화된 상기 참조 신호의 리소스 엘리먼트에, 상기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을 맵하지 않고, 상기 참조 신호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참조 신호의 리소스 엘리먼트에, 상기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을 맵한다.
(5) 본 발명의 제5 양태에 있어서의 집적 회로는, 기지국 장치와 통신하는 단말 장치에 실장되는 집적 회로이며, 채널 상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참조 신호의 설정을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수신하고, 참조 신호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정보를 수신하고,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참조 신호가 활성화된 경우에, 활성화된 상기 참조 신호의 리소스 엘리먼트에, 상기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은 맵되지 않고, 상기 참조 신호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참조 신호의 리소스 엘리먼트에, 상기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은 맵된다.
(6) 본 발명의 제6 양태에 있어서의 집적 회로는,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기지국 장치에 실장되는 집적 회로이며, 채널 상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참조 신호의 설정을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송신하고, 참조 신호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정보를 송신하고,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을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채널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참조 신호가 상기 제2 정보에 의해 활성화된 경우에, 활성화된 상기 참조 신호의 리소스 엘리먼트에, 상기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을 맵하지 않고, 상기 참조 신호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참조 신호의 리소스 엘리먼트에, 상기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을 맵한다.
(A1)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는, 기지국 장치와 통신하는 단말 장치이며, 채널 상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세미 퍼시스턴트 채널 상태 정보-참조 신호(CSI-RS)의 설정을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수신하는 상위층 처리부와, 상기 세미 퍼시스턴트 CSI-RS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정보를 수신하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층과,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세미 퍼시스턴트 CSI-RS가 활성화된 경우에, 활성화된 상기 참조 신호에 사용되는 리소스 엘리먼트는,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의 리소스 엘리먼트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A2)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의 기지국 장치는,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기지국 장치이며, 채널 상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세미 퍼시스턴트 채널 상태 정보-참조 신호(CSI-RS)의 설정을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송신하는 상위층 처리부와, 상기 세미 퍼시스턴트 CSI-RS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정보를 송신하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층과,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세미 퍼시스턴트 CSI-RS가 활성화된 경우에, 활성화된 상기 세미 퍼시스턴트 CSI-RS에 사용되는 리소스 엘리먼트를,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의 리소스 엘리먼트에 사용하지 않는다.
(A3)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은, 기지국 장치와 통신하는 단말 장치의 통신 방법이며, 채널 상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세미 퍼시스턴트 채널 상태 정보-참조 신호(CSI-RS)의 설정을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세미 퍼시스턴트 CSI-RS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정보를 수신하고,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수신하고, 상기 세미 퍼시스턴트 CSI-RS가 활성화된 경우에, 활성화된 상기 참조 신호에 사용되는 리소스 엘리먼트는,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의 리소스 엘리먼트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A4)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은,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기지국 장치의 통신 방법이며, 채널 상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세미 퍼시스턴트 채널 상태 정보-참조 신호(CSI-RS)의 설정을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세미 퍼시스턴트 CSI-RS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정보를 송신하고,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송신하고, 상기 세미 퍼시스턴트 CSI-RS가 활성화된 경우에, 활성화된 상기 참조 신호에 사용되는 리소스 엘리먼트에,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의 리소스 엘리먼트에 사용하지 않는다.
(A5)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의 집적 회로는, 기지국 장치와 통신하는 단말 장치에 실장되는 집적 회로이며, 채널 상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세미 퍼시스턴트 채널 상태 정보-참조 신호(CSI-RS)의 설정을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세미 퍼시스턴트 CSI-RS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정보를 수신하고,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세미 퍼시스턴트 CSI-RS가 활성화된 경우에, 활성화된 상기 참조 신호에 사용되는 리소스 엘리먼트는,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의 리소스 엘리먼트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A6)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의 집적 회로는,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기지국 장치에 실장되는 집적 회로이며, 채널 상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세미 퍼시스턴트 채널 상태 정보-참조 신호(CSI-RS)의 설정을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세미 퍼시스턴트 CSI-RS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정보를 송신하고,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세미 퍼시스턴트 CSI-RS가 활성화된 경우에, 활성화된 상기 참조 신호의 리소스 엘리먼트에,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의 리소스 엘리먼트에 사용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장치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실시 형태의 기능을 실현하도록, Central Processing Unit(CPU) 등을 제어하여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이어도 된다. 프로그램 혹은 프로그램에 의해 취급되는 정보는, 일시적으로 Random Access Memory(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 혹은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나 Hard Disk Drive(HDD), 혹은 그 밖의 기억 장치 시스템에 저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실시 형태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해도 된다. 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에 읽어들이게 하여, 실행함으로써 실현해도 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란, 장치에 내장된 컴퓨터 시스템이며, 오퍼레이팅 시스템이나 주변기기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반도체 기록 매체, 광기록 매체, 자기 기록 매체, 단시간 동적으로 프로그램을 유지하는 매체, 혹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그 밖의 기록 매체여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사용한 장치의 각 기능 블록 또는 여러 특징은, 전기 회로, 예를 들어 집적 회로 혹은 복수의 집적 회로에 실장 또는 실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을 실행하도록 설계된 전기 회로는, 범용 용도 프로세서,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SP), 특정 용도용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그 밖의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 디스크리트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디스크리트 하드웨어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을 포함해도 된다. 범용 용도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여도 되고, 종래 형의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스테이트 머신이어도 된다. 전술한 전기 회로는, 디지털 회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아날로그 회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반도체 기술의 진보에 의해 현재의 집적 회로를 대체할 집적 회로화의 기술이 출현할 경우, 본 발명의 일 또는 복수의 양태는 당해 기술에 의한 새로운 집적 회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에서는, 장치의 일례를 기재하였지만, 본원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옥내외에 설치되는 거치형, 또는 비가동형의 전자 기기, 예를 들어 AV 기기, 주방 기기, 청소·세탁 기기, 공조 기기, 오피스 기기, 자동 판매기, 그 밖의 생활 기기 등의 단말 장치 혹은 통신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도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상이한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기재된 요소이며,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하는 요소끼리를 치환한 구성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 통신 기기(예를 들어, 휴대 전화 장치, 기지국 장치, 무선 LAN 장치, 혹은 센서 디바이스), 집적 회로(예를 들어, 통신 칩), 또는 프로그램 등에 있어서, 이용할 수 있다.
1(1A, 1B, 1C) : 단말 장치
3 : 기지국 장치
10 : TXRU
11 : 위상 시프터
12 : 안테나
101 : 상위층 처리부
103 : 제어부
105 : 수신부
107 : 송신부
109 : 안테나
301 : 상위층 처리부
303 : 제어부
305 : 수신부
307 : 송신부
1013 : 스케줄링 정보 해석부
1015 : 채널 상태 정보 보고 제어부
1051 : 복호화부
1053 : 복조부
1055 : 다중 분리부
1057 : 무선 수신부
1059 : 측정부
1071 : 부호화부
1073 : 변조부
1075 : 다중부
1077 : 무선 송신부
1079 : 상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
3011 : 무선 리소스 제어부
3013 : 스케줄링부
3015 : 채널 상태 정보 보고 제어부
3051 : 복호화부
3053 : 복조부
3055 : 다중 분리부
3057 : 무선 수신부
3059 : 측정부
3071 : 부호화부
3073 : 변조부
3075 : 다중부
3077 : 무선 송신부
3079 : 하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

Claims (6)

  1. 기지국 장치와 통신하는 단말 장치이며,
    채널 상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세미 퍼시스턴트 채널 상태 정보-참조 신호(CSI-RS)의 설정을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수신하는 상위층 처리부와,
    상기 세미 퍼시스턴트 CSI-RS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정보를 수신하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층과,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세미 퍼시스턴트 CSI-RS가 활성화된 경우에, 활성화된 상기 참조 신호에 사용되는 리소스 엘리먼트는,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의 리소스 엘리먼트에는 사용되지 않는 단말 장치.
  2.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기지국 장치이며,
    채널 상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세미 퍼시스턴트 채널 상태 정보-참조 신호(CSI-RS)의 설정을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송신하는 상위층 처리부와,
    상기 세미 퍼시스턴트 CSI-RS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정보를 송신하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층과,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세미 퍼시스턴트 CSI-RS가 활성화된 경우에, 활성화된 상기 세미 퍼시스턴트 CSI-RS에 사용되는 리소스 엘리먼트를,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의 리소스 엘리먼트에 사용하지 않는 기지국 장치.
  3. 기지국 장치와 통신하는 단말 장치의 통신 방법이며,
    채널 상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세미 퍼시스턴트 채널 상태 정보-참조 신호(CSI-RS)의 설정을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세미 퍼시스턴트 CSI-RS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정보를 수신하고,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수신하고,
    상기 세미 퍼시스턴트 CSI-RS가 활성화된 경우에, 활성화된 상기 참조 신호에 사용되는 리소스 엘리먼트는,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의 리소스 엘리먼트에는 사용되지 않는 통신 방법.
  4.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기지국 장치의 통신 방법이며,
    채널 상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세미 퍼시스턴트 채널 상태 정보-참조 신호(CSI-RS)의 설정을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세미 퍼시스턴트 CSI-RS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정보를 송신하고,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송신하고,
    상기 세미 퍼시스턴트 CSI-RS가 활성화된 경우에, 활성화된 상기 참조 신호에 사용되는 리소스 엘리먼트에,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의 리소스 엘리먼트에 사용하지 않는 통신 방법.
  5. 기지국 장치와 통신하는 단말 장치에 실장되는 집적 회로이며,
    채널 상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세미 퍼시스턴트 채널 상태 정보-참조 신호(CSI-RS)의 설정을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세미 퍼시스턴트 CSI-RS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정보를 수신하고,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세미 퍼시스턴트 CSI-RS가 활성화된 경우에, 활성화된 상기 참조 신호에 사용되는 리소스 엘리먼트는,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의 리소스 엘리먼트에는 사용되지 않는 집적 회로.
  6.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기지국 장치에 실장되는 집적 회로이며,
    채널 상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세미 퍼시스턴트 채널 상태 정보-참조 신호(CSI-RS)의 설정을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세미 퍼시스턴트 CSI-RS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정보를 송신하고,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세미 퍼시스턴트 CSI-RS가 활성화된 경우에, 활성화된 상기 참조 신호의 리소스 엘리먼트에,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의 리소스 엘리먼트에 사용하지 않는 집적 회로.
KR1020197016993A 2016-12-20 2017-12-01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KR201900970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46462A JP2020031248A (ja) 2016-12-20 2016-12-20 基地局装置、端末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JPJP-P-2016-246462 2016-12-20
PCT/JP2017/043283 WO2018116788A1 (ja) 2016-12-20 2017-12-01 基地局装置、端末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016A true KR20190097016A (ko) 2019-08-20

Family

ID=62626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6993A KR20190097016A (ko) 2016-12-20 2017-12-01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51290B2 (ko)
EP (1) EP3562230A4 (ko)
JP (1) JP2020031248A (ko)
KR (1) KR20190097016A (ko)
CN (1) CN110073704B (ko)
WO (1) WO20181167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85597B1 (en) * 2017-01-09 2020-03-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s and methods for reliable dynamic indication for semi-persistent csi-rs
CN113472500B (zh) * 2017-01-09 2022-11-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令发送、接收方法及装置
CN115622674A (zh) * 2017-02-07 2023-01-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相位噪声导频的配置、确定方法及装置
EP3619878A1 (en) * 2017-05-04 2020-03-11 Ntt Docomo, Inc. Method of acquir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user equipment (ue), 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trp)
US10945171B2 (en) * 2017-08-07 2021-03-09 Apple Inc. Handover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WO2019103580A1 (ko) * 2017-11-27 2019-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csi 보고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3866376B1 (en) 2018-01-09 2022-09-07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Physical and mac layer processes in a wireless device
US10582489B2 (en) 2018-01-12 2020-03-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ignaling in RRC and MAC for PDSCH resource mapping for periodic and semipersistent reference signal assumptions
CN108833061B (zh) * 2018-04-12 2022-02-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信道状态信息报告方法、装置、接收方法和装置
US11228931B2 (en) * 2018-08-10 2022-01-18 Qualcomm Incorporated On-demand physical layer reporting by a UE
EP3840316A4 (en) * 2018-08-17 2022-03-23 NTT DoCoMo, Inc. USER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CN112913201B (zh) * 2018-08-17 2024-04-02 株式会社Ntt都科摩 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US11277247B2 (en) * 2019-04-10 2022-03-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to enable CSI report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11582784B2 (en) * 2019-08-12 2023-02-14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DCCH monitoring adaptation
EP4068831A4 (en) * 2019-11-28 2023-08-02 Ntt Docomo, Inc.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N110972152B (zh) * 2019-12-18 2021-04-27 武汉大学 一种考虑信号阻隔效应的城市空间5g基站选址优化方法
US11638169B2 (en) 2020-08-13 2023-04-25 Qualcomm Incorporated First radio access technology (RAT) channel state feedback (CSF) to increase accuracy of interference estimates from second RAT neighbor cells with dynamic spectrum sharing (DS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5421A2 (en) 2010-03-17 2011-09-2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csi-rs) configuration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antennas
US9456358B2 (en) * 2012-08-13 2016-09-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active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 configurations
CN105191392B (zh) * 2013-03-11 2018-12-21 Lg 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报告信道状态信息的方法和装置
CN106063315A (zh) * 2014-04-28 2016-10-26 夏普株式会社 终端装置以及集成电路
US20160105817A1 (en) * 2014-10-10 2016-04-1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for csi feedback
WO2016163843A1 (ko) * 2015-04-10 2016-10-13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991942B2 (en) * 2015-12-30 2018-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
WO2017128175A1 (en) * 2016-01-28 2017-08-03 Qualcomm Incorporated Energy efficient csi measurement for fd-mimo
US10716020B2 (en) * 2016-02-23 2020-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ement reference signal
WO2017190273A1 (en) * 2016-05-03 2017-11-09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csi-rs transmission for enhanced fd-mimo
KR102160007B1 (ko) 2016-07-05 2020-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세대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액세스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 및 사용자 장치
WO2018034924A1 (en) 2016-08-16 2018-02-22 Idac Holdings, Inc. Network slice reselection
BR112019006068A2 (pt) * 2016-09-30 2019-06-18 Ericsson Telefon Ab L M métodos em um nó de rede, em um dispositivo sem fio, em uma estação base e em um equipamento de usuário, nó de rede, dispositivo sem fio, estação base, e, equipamento de usuário.
JP6961729B2 (ja) 2017-06-17 2021-11-05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Lg Electronics Inc.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端末の登録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装置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1-162380, Intel Corporation, "Overview of antenna technology for new radio interface", 2016년 4월
R1-162883, PDNokia, Alcatel-Lucent Shanghai Bell, "Basic principles for the 5G New Radio access technology", 2016년 4월
R1-163215, Ericsson, "Overview of NR", 2016년 4월
RP-161214 NTT DOCOMO, "Revision of SI : Study on New Radio Access Technology", 2016년 6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62230A1 (en) 2019-10-30
JP2020031248A (ja) 2020-02-27
US11051290B2 (en) 2021-06-29
US20190380114A1 (en) 2019-12-12
WO2018116788A1 (ja) 2018-06-28
CN110073704A (zh) 2019-07-30
CN110073704B (zh) 2023-04-11
EP3562230A4 (en) 202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73704B (zh) 基站装置、终端装置、通信方法以及集成电路
CN110214466B (zh) 基站装置、终端装置、通信方法和集成电路
CN110249599B (zh) 基站装置、终端装置、通信方法以及集成电路
JP6923558B2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CN110050452B (zh) 基站装置、终端装置、通信方法及集成电路
CN111670591B (zh) 基站装置、终端装置以及通信方法
WO2019130847A1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KR102383685B1 (ko)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및 통신 방법
WO2017169467A1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WO2020054607A1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CN116318587A (zh) 多个无线电接入技术共存场景中的共享信道重映射
JP6933785B2 (ja) 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WO2019139139A1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WO2017169366A1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CN110178400B (zh) 基站装置、终端装置和通信方法
JP2019062344A (ja) 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JP2020047982A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WO2018116806A1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WO2017130966A1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