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6715A -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접착 필름 - Google Patents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접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6715A
KR20190096715A KR1020180016481A KR20180016481A KR20190096715A KR 20190096715 A KR20190096715 A KR 20190096715A KR 1020180016481 A KR1020180016481 A KR 1020180016481A KR 20180016481 A KR20180016481 A KR 20180016481A KR 20190096715 A KR20190096715 A KR 20190096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acrylate
group
imidazole
adhesiv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6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6521B1 (ko
Inventor
김정학
김희정
김세라
이광주
남승희
김주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016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521B1/ko
Publication of KR20190096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1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without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2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ond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wafers, chips or semiconduc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접착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제 조성물은 열압착 본딩시 고온 하에서 단시간 내에 경화 가능하면서도 상온 하에서의 우수한 보관 안정성을 나타낸다.

Description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접착 필름{ADHESIVE COMPOSITION FOR SEMICONDUCTOR CIRCUIT CONNECTION AND ADHESIVE FILM,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접착 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도체 패키지의 고밀도화, 고집적화에 대한 필요성이 급격히 커짐에 따라, 반도체 칩 크기가 점점 커지고 있으며 집적도 측면에서도 개선하기 위하여 칩을 다단으로 적층하는 스택 패키지 방법이 점차로 증가하고 있다.
반도체 패키지 개발 동향에 있어서는 상술한 반도체 칩들의 소형 박형화 및 고성능화가 급격히 진행되고 있으며, 더불어 패키지 대용량화를 목적으로 동일한 패키지 내에 더 많은 칩을 적층할 수 있도록 반도체 웨이퍼의 두께가 모두 20 ㎛ 이하로 점차 극박화되고 있다.
한편, 반도체용 칩 본딩을 위하여 열압착 본딩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열압착 본딩 기술에서 접착제가 갖는 열에 대한 경화 특성은 패키지 제조 공정성 및 패키지 신뢰도에 영향을 미친다.
열압착 본딩 시 접착제는 고온에서 경화가 급격하게 진행되어야 하며, 상온에서는 경화가 억제되어 보관 안정성이 좋아야 한다. 이러한 접착제에는 경화도의 조절을 위하여 열 잠재성 촉매(a thermally-latent catalyst)가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열 잠재성 촉매는 일반적으로 용매 및 베이스 수지에 대한 상용성이 좋지 않아, 이를 포함하는 접착 필름의 표면 상태를 불량하게 하고, 종국적으로 반도체 회로 접속 공정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열압착 본딩 시 고온 하에서 단시간 내에 경화 가능하면서도 상온 하에서의 우수한 보관 안정성을 갖는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한 접착 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
본 발명에 따르면, 방향족 다관능 카르복실산 그룹으로 치환된 이미다졸 그룹을 갖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한 접착 필름이 제공된다.
이하, 발명의 구현 예들에 따른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접착 필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인 언급이 없는 한,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자들의 계속적인 연구 결과, 방향족 다관능 카르복실산 그룹으로 치환된 이미다졸 그룹을 갖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는, 상기 방향족 다관능 카르복실산 그룹으로 치환된 이미다졸 그룹이 (메트)아크릴계 주쇄에 의해 둘러싸이는 코어-쉘 형태의 분자 구조를 나타낼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특히,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내에 존재하는 상기 방향족 다관능 카르복실산 그룹들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코어-쉘 형태의 분자 구조가 보다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고, 상기 이미다졸 그룹이 보다 안정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
이러한 유변학적 특성을 갖는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는, 상기 코어-쉘 형태의 분자 구조의 내부에서 상기 이미다졸 그룹이 보호됨에 따라 상온 하에서 우수한 보관 안정성을 나타내면서도, 열압착 본딩시에는 고온 하에서 단시간 내에 경화 가능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는 열 잠재성 촉매로써 상기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제 조성물에 포함되어, 향상된 열압착 본딩 특성의 발현을 가능하게 한다.
I.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제 조성물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르면, 방향족 다관능 카르복실산 그룹으로 치환된 이미다졸 그룹을 갖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는, 주쇄에 결합된 상기 방향족 다관능 카르복실산 그룹으로 치환된 이미다졸 그룹의 분자 내 상호 작용에 의해, 코어-쉘 형태의 분자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는, 상기 방향족 다관능 카르복실산 그룹으로 치환된 이미다졸 그룹의 분자 내 상호 작용에 의해 형성된 코어가 (메트)아크릴계 주쇄에 의해 둘러싸인 코어-쉘 형태의 분자 구조를 나타낸다.
특히, 상기 방향족 다관능 카르복실산 그룹은 상기 이미다졸 그룹의 일 말단에 결합되어, 상기 코어-쉘 형태의 분자 구조 형성을 촉진하고, 상기 이미다졸 그룹이 갖는 열에 대한 안정성의 향상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제 조성물은, 상온 하에서는 경화가 억제되어 우수한 보관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으면서도, 열압착 본딩시의 고온 하에서는 상기 코어-쉘 형태의 분자 구조가 해리되면서 단시간 내에 경화 가능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발명의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는,
(i) a)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와 b) 분자 내에 상기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불포화 이중 결합 및 이미다졸 그룹을 갖는 화합물의 공중합체; 및
(ii) 상기 공중합체 (i)의 상기 이미다졸 그룹의 일 말단에 결합된 방향족 다관능 카르복실산 그룹
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a)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이하 "화합물 a)"라 함)로는,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tert-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 (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화합물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b) 분자 내에 상기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불포화 이중 결합 및 이미다졸 그룹을 갖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b)"라 함)로는, 1-비닐이미다졸(1-vinylimidazole), 1-비닐-2-메틸이미다졸(1-vinyl-2-methylimidazole), 1-비닐-2,4-디메틸이미다졸(1-vinyl-2,4-dimethylimidazole), 2-비닐이미다졸(2-vinylimidazole), 1-메틸-2-비닐이미다졸(1-methyl-2-vinylimidazole), 1-메틸-5-비닐이미다졸(1-methyl-5-vinylimidazole), 1-비닐-2-니트로-5-메틸이미다졸(1-vinyl-2-nitro-5-methylimidazole), 1-에틸-5-비닐이미다졸(1-ethyl-5-vinylimidazole), 1-프로필-5-비닐이미다졸(1-propyl-5-vinylimidazole), 1-부틸-5-비닐이미다졸(1-butyl-5-vinylimidazole), 1-(4-비닐벤질)-1H-이미다졸(1-(4-vinylbenzyl)-1H-imidazole), 1-(4-비닐벤질)-2-에틸-1H-이미다졸(1-(4-vinylbenzyl)-2-ethyl-1H-imidazole), 및 4-(4-비닐페닐)-1H-이미다졸(4-(4-vinylphenyl)-1H-imidazol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화합물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의 상기 이미다졸 그룹의 일 말단에 결합된 방향족 다관능 카르복실산 그룹은 2 이상의 카르복실산 관능기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로부터 유래된 그룹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 이상의 카르복실산 관능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로는,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벤젠-1,3,5-트리카르복실산(benzene-1,3,5-tricarboxylic acid), 벤젠-1,2,4-트리카르복실산(benzene-1,2,4-tricarboxylic acid), 및 [1,1'-비페닐]-4,4'-디카르복실산([1,1'-biphenyl]-4,4'-dicarboxyl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화합물이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는 (i)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의 중합체, (ii) 상기 중합체 (i)에 결합 가능한 관능기를 매개로 결합된 이미다졸 그룹, 및 (iii) 상기 이미다졸 그룹의 일 말단에 결합된 방향족 다관능 카르복실산 그룹을 포함하는 폴리머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는 카르복실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등의 관능기를 가지는 (메트)아크릴계 중합체에, 이와 반응 가능한 관능기(예를 들어 수산기 등)를 가지는 이미다졸 화합물을 반응시킨 후, 상기 반응에 따른 이미아졸 그룹의 일 말단에 방향족 다관능 카르복실산 그룹을 도입한 폴리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는 이미다졸 그룹을 갖는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를 중합한 후, 상기 이미다졸 그룹의 일 말단에 방향족 다관능 카르복실산 그룹을 도입한 폴리머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제조시 부반응이 적고 보다 효율적으로 이미다졸기를 도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기 (i) 화합물 a)와 화합물 b)를 공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폴리머에 상기 (ii) 방향족 다관능 카르복실산 그룹이 결합된 중합체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제조를 위한 공중합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벌크 중합, 용액 중합, 현탁 중합, 에멀젼 중합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미다졸 그룹의 일 말단에 상기 방향족 다관능 카르복실산 그룹을 결합시키는 것은 각각의 용액을 사용하여 산-염기 반응시키는 등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 밖에, 상기 공중합 방법은 자유 라디칼 중합 반응, 리빙 라디칼 중합 반응, 리빙 음이온 중합 반응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공중합 반응은 열, 자외선, 전자선 등의 에너지를 부여함으로써 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중합 반응에는 반응 개시제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는 300 내지 500000 g/mol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은 GPC를 이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측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는 300 내지 500000 g/mol, 혹은 500 내지 450000 g/mol, 혹은 600 내지 400000 g/mol, 혹은 800 내지 350000 g/mol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제 조성물은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0.1 내지 3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제 조성물은, 상술한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이외에, 열경화성 수지 및 무기 충전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제 조성물은 상술한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이외에, 열경화성 수지, 열가소성 수지, 경화제, 및 무기 충전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는 상기 열경화성 수지 및 열가소성 수지의 총 합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경화제, 및 무기 충전재로는,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제 조성물 분야에서 알려진 통상적으로 성분들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로는 에폭시 수지가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계 에폭시 수지, 바이페닐계 에폭시 수지, 나프탈렌계 에폭시 수지, 플로렌계 에폭시 수지, 페놀노볼락계 에폭시 수지, 크레졸노볼락계 에폭시 수지, 트리스하이드록실페닐메탄계 에폭시 수지, 테트라페닐메탄계 에폭시 수지, 디시클로펜타디엔형 에폭시 수지, 및 디시클로펜타디엔 변성 페놀형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스페놀계 에폭시 수지로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S형 에폭시 수지, 수소첨가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AF형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열경화성 수지로 2 종의 에폭시 수지가 적용되는 경우, 10 내지 35 ℃ 하에서 액상인 에폭시 수지와 10 내지 35 ℃ 하에서 고상인 에폭시 수지를 1: 0.1 내지 1: 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상인 에폭시 수지의 함량이 상기 액상인 에폭시 수지에 대해 0.1 중량비 미만이면, 다이 어태치 공정시 수지가 과다하게 흘러나와 오염을 유발할 수 있고, 접착층의 끈적임이 강하여 픽업 특성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고상인 에폭시 수지의 함량이 상기 액상인 에폭시 수지에 대해 5.0 중량비를 초과하면 열가소성 수지와의 상용성, 반응성 측면에서 불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폭시 수지는 50℃ 내지 100℃의 연화점을 갖는 바이페닐계 에폭시 수지와 함께 50℃ 내지 100℃의 연화점을 갖는 크레졸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및 50℃ 내지 100℃의 연화점을 갖는 비스페놀A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에폭시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에폭시 수지는 50℃ 내지 100℃의 연화점을 갖는 바이페닐계 에폭시 수지 대비 상기 50℃ 내지 100℃의 연화점을 갖는 크레졸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및 50℃ 내지 100℃의 연화점을 갖는 비스페놀A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에폭시 수지를 0.25 내지 1.25, 또는 0.3 내지 1.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는 100 내지 1,000의 평균 에폭시 당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평균 에폭시 당량은 상기 에폭시 수지에 포함되는 각각의 에폭시 수지의 중량 비율 및 에폭시 당량을 바탕으로 구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와 상이한 종류의 고분자 수지,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 이미드, 폴리에스테르 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 술폰, 폴리에테르 케톤, 폴리올레핀, 폴리염화비닐, 페녹시, 반응성 부타디엔 아크릴로 니트릴 공중합 고무, 및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 -10 내지 30 ℃의 유리전이온도 및 200,000 내지 1,000,000 g/mol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에폭시기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로서, 전체 중량 중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또는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를 1 내지 25 중량%, 혹은 2 내지 20 중량%, 혹은 2.5 내지 1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내 에폭시기 함량이 1 중량% 미만일 경우 에폭시 수지와의 상용성과 접착력이 충분하지 않고, 25 중량%를 초과하면 경화에 의한 점도 상승 속도가 너무 빨라 반도체 소자의 열압착 공정에서 솔더 범프의 접합 및 매립이 충분히 이루어 지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접착 필름 제조시 조성물의 흐름성 제어 등을 고려하여, 상기 열경화성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1,50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아민계 경화제, 및 산무수물계 경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로는 노볼락계 페놀 수지가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노볼락계 페놀 수지는 반응성 작용기 사이에 고리가 위치하는 화학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적 특성으로 인하여, 상기 노볼락계 페놀 수지는 상기 접착제 조성물의 흡습성을 보다 낮출 수 있으며, 고온의 IR 리플로우 공정에서 안정성을 보다 높일 수 있어서, 접착 필름의 박리 현상이나 리플로우 균열 등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노볼락계 페놀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는 노볼락 페놀 수지, 자일록 노볼락 페놀 수지, 크레졸 노볼락 페놀 수지, 바이페닐 노볼락 페놀 수지, 비스페놀A 노볼락 페놀 수지, 및 비스페놀F 노볼락 페놀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상기 노볼락계 페놀 수지는 60℃ 이상, 또는 60℃ 내지 150℃, 또는 105℃ 내지 150℃, 또는 70℃ 내지 120 ℃의 연화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60℃ 이상의 연화점을 갖는 노볼락계 페놀 수지는 접착제 조성물의 경화 후 충분한 내열성, 강도 및 접착성을 가질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 노볼락계 페놀 수지의 연화점이 너무 높으면 상기 접착제 조성물의 유동성이 낮아져서 실제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접착제 내부에 빈 공간(void)가 생성되어 최종 제품의 신뢰성이나 품질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노볼락계 페놀 수지는 80 g/eq 내지 300 g/eq의 수산기 당량 및 60℃ 내지 150℃의 연화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제의 함량은 최종 제조되는 접착 필름의 물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경화제는 상기 열경화성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700 중량부 또는 30 내지 300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접착용 수지 조성물은 경화 촉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 촉매는 상기 경화제의 작용이나 상기 반도체 접착용 수지 조성물의 경화를 촉진 시키는 역할을 하며, 반도체 접착 필름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진 경화 촉매를 큰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경화 촉매로는 인계 화합물, 붕소계 화합물, 인-붕소계 화합물, 및 이미다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화 촉매의 사용량은 최종 제조되는 접착 필름의 물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충전재로는 알루미나, 실리카, 황산바륨, 수산화 마그네슘, 탄산 마그네슘, 규산 마그네슘, 산화 마그네슘, 규산 칼슘, 탄산 칼슘, 산화 칼슘, 수산화 알루미늄, 질화 알루미늄, 및 붕산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무기 입자가 적용될 수 있다.
이온성 불순물을 흡착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온 흡착제를 무기 충진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이온 흡착제로는 수산화 마그네슘, 탄산마그네슘, 규산 마그네슘, 산화 마그네슘 같은 마그네슘계, 규산 칼슘, 탄산칼슘, 산화칼슘, 알루미나, 수산화 알루미늄, 질화 알루미늄, 붕산알루미늄 위스커, 지르코늄계 무기물, 및 안티몬 비스무트계 무기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무기 입자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무기 충전재는 0.01 내지 10 ㎛, 혹은 0.02 내지 5.0 ㎛, 혹은 0.03 내지 2.0 ㎛의 평균 입경(최장 외경 기준)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무기 충전재의 입경이 너무 작을 경우 상기 접착제 조성물 내에서 쉽게 응집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무기 충전재의 입경이 너무 클 경우 상기 무기 충전재에 의한 반도체 회로의 손상 및 접착 필름의 접착성 저하가 유발될 수 있다.
상기 무기 충전재의 함량은 상기 열경화성 수지 및 열가소성 수지의 총 합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300 중량부 또는 15 내지 250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제 조성물은 상기 열경화성 수지 및 열가소성 수지, 그리고 무기 충전재의 총 합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90 중량부의 유기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의 함량은 상기 접착제 조성물 및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접착 필름의 물성이나 제조 공정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에스터류, 에터류, 케톤류, 방향족 탄화수소류, 및 설폭사이드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의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에스터류 용매는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n-뷰틸, 아세트산 아이소뷰틸, 폼산 아밀, 아세트산 아이소아밀, 아세트산 아이소뷰틸, 프로피온산 뷰틸, 뷰티르산 아이소프로필, 뷰티르산 에틸, 뷰티르산 뷰틸, 락트산 메틸, 락트산 에틸, 감마-뷰티로락톤, 엡실론-카프로락톤, 델타-발레로락톤, 옥시아세트산 알킬(예: 옥시아세트산 메틸, 옥시아세트산 에틸, 옥시아세트산 뷰틸(예를 들면, 메톡시아세트산 메틸, 메톡시아세트산 에틸, 메톡시아세트산 뷰틸, 에톡시아세트산 메틸, 에톡시아세트산 에틸 등)), 3-옥시프로피온산 알킬에스터류(예: 3-옥시프로피온산 메틸, 3-옥시프로피온산 에틸 등(예를 들면, 3-메톡시프로피온산 메틸, 3-메톡시프로피온산 에틸, 3-에톡시프로피온산 메틸, 3-에톡시프로피온산 에틸 등)), 2-옥시프로피온산 알킬에스터류(예: 2-옥시프로피온산 메틸, 2-옥시프로피온산 에틸, 2-옥시프로피온산 프로필 등(예를 들면, 2-메톡시프로피온산 메틸, 2-메톡시프로피온산 에틸, 2-메톡시프로피온산 프로필, 2-에톡시프로피온산 메틸, 2-에톡시프로피온산 에틸)), 2-옥시-2-메틸프로피온산 메틸 및 2-옥시-2-메틸프로피온산 에틸(예를 들면, 2-메톡시-2-메틸프로피온산 메틸, 2-에톡시-2-메틸프로피온산 에틸 등), 피루브산 메틸, 피루브산 에틸, 피루브산 프로필, 아세토아세트산 메틸, 아세토아세트산 에틸, 2-옥소뷰탄산 메틸, 2-옥소뷰탄산 에틸 등일 수 있다.
상기 에터류 용매는 다이에틸렌글라이콜다이메틸에터,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에틸렌글라이콜모노메틸에터, 에틸렌글라이콜모노에틸에터, 메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에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다이에틸렌글라이콜모노메틸에터, 다이에틸렌글라이콜모노에틸에터, 다이에틸렌글라이콜모노뷰틸에터, 프로필렌글라이콜모노메틸에터, 프로필렌글라이콜모노메틸에터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라이콜모노에틸에터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라이콜모노프로필에터아세테이트 등일 수 있다.
상기 케톤류 용매는 메틸에틸케톤, 사이클로헥산온, 사이클로펜탄온, 2-헵탄온, 3-헵탄온, N-메틸-2-피롤리돈 등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류 용매는 톨루엔, 자일렌, 아니솔, 리모넨 등일 수 있다.
상기 설폭사이드류 용매는 다이메틸설폭사이드 등일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제 조성물은 커플링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플링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2-(3,4 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트리에톡실리-N-(1,3 디메틸-부틸리덴)프로필아민, N-페닐-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머캅토가 함유된 3-머캅토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이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II.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 필름
발명의 다른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상술한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 필름이 제공된다.
상기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 필름은 상술한 구현 예의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함에 따라, 상온 하에서 우수한 보관 안정성을 나타내면서도, 열압착 본딩시에는 고온 하에서 단시간 내에 경화 가능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발명의 구현 예들에 따른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 필름의 적층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의 (a)를 참고하면, 상기 접착 필름은 지지 기재(1) 및 접착층(2)이 순차로 적층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의 (b)를 참고하면, 상기 접착 필름은 지지 기재(1), 접착층(2) 및 보호 필름(3)이 순차로 적층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의 (c)를 참고하면, 상기 접착 필름은 지지 기재(1), 점착층(4), 접착층(2), 및 보호 필름(3)이 순차로 적층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 기재로는, 내열성이나 내약품성이 우수한 수지 필름; 상기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를 가교 처리한 가교 필름; 또는 상기 수지 필름의 표면에 실리콘 수지 등을 도포하여 박리 처리한 필름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폴리부타디엔과 같은 폴리올레핀, 염화비닐,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 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3 내지 400 ㎛, 혹은 5 내지 200 ㎛, 혹은 10 내지 150 ㎛일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상술한 접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다.
필요에 따라, 상기 지지 기재와 상기 접착층 사이에는 상기 점착층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으로는 이 분야에 공지된 것이 특별한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 분야에 공지된 플라스틱 필름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 필름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의 랜덤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의 블록 공중합체, 호모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polymethylpentene),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아이오노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폴리부텐, 스틸렌의 공중합체 등의 수지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필름일 수 있다.
상기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 필름은, 상기 접착제 조성물의 구성 성분을 혼합한 후, 이를 지지 기재 상에 소정의 두께로 코팅하여 접착층을 형성하고, 상기 접착층을 건조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 필름은 상기 지지 기재 상에 접착층을 형성한 후 상기 접착층 상에 보호 필름을 적층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 필름은 상기 지지 기재 상에 점착층을 형성한 후 상기 점착층 상에 접착층 및 보호 필름을 순차로 적층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지지 기재 상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그대로 혹은 적절한 유기 용매에 희석하여 콤마 코터, 그라비아 코터, 다이 코터, 리버스 코터 등 공지의 수단으로 상기 지지 기재 또는 이형 필름 상에 도포한 후, 60 ℃ 내지 200 ℃의 온도에서 10 초 내지 30 분 동안 건조시키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접착층의 충분한 가교 반응을 진행시키기 위한 에이징 공정이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1 내지 500 ㎛, 혹은 5 내지 100 ㎛, 혹은 5 내지 50 ㎛의 범위에서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제 조성물은 열압착 본딩시 고온 하에서 단시간에 경화 가능하면서도 상온 하에서의 우수한 보관 안정성을 나타낸다.
도 1은 발명의 구현 예들에 따른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 필름의 적층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들은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발명을 이들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아크릴계 폴리머의 제조)
톨루엔 100g에 부틸 아크릴레이트 30g, 에틸 아크릴레이트 40g, 아크릴로니트릴 15g,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10g, 및 1-비닐이미다졸 10g을 열개시제와 함께 혼합하여 80에서 약 12시간 동안 반응하여 이미다졸 그룹이 분지쇄로 도입된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합성하였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2-메톡시에탄올에 녹여 10% 용액(A)을 제조하였다.
이와 별도로, 벤젠-1,3,5-트리카르복실산을 2-메톡시에탄올에 녹여 10% 용액(B)을 제조하였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내의 이미다졸기와 벤젠-1,3,5-트리카르복실산의 몰비가 1:1이 되도록 상기 용액(A)와 용액(B)를 혼합하였고, 1 시간 동안 강하게 저어주었다. 그 후 메탄올에 침전시켜 카르복실산 그룹으로 치환된 이미다졸 그룹을 갖는 고상의 아크릴계 폴리머(중량평균분자량 50,000 g/mol)를 얻었다.
제조예 2
*(아크릴계 폴리머의 제조)
1-비닐이미다졸 대신 1-(4-비닐벤질)-1H-이미다졸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카르복실산 그룹으로 치환된 이미다졸 그룹을 갖는 아크릴계 폴리머(중량평균분자량 60,000 g/mol)를 얻었다.
제조예 3
(아크릴계 폴리머의 제조)
톨루엔 100g에 부틸 아크릴레이트 30g, 에틸 아크릴레이트 40g, 아크릴로니트릴 15g,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10g, 및 아크릴산 10g을 열개시제와 함께 혼합하여 80에서 약 12시간 동안 반응하여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합성하였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N,N-dimethylformamide에 녹인 후,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에 포함된 아크릴산의 몰 수 만큼 2-페닐이미다졸을 넣고, 반응 보조제인 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를 1.5 배의 몰수로 첨가하여 60℃에서 12시간 동안 저어주면서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으로 상기 2-페닐이미다졸과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 내의 카르복실산을 결합시켜, 이미다졸을 포함한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얻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2-메톡시에탄올에 녹여 10% 용액(A)을 제조하였다.
이와 별도로, 벤젠-1,3,5-트리카르복실산을 2-메톡시에탄올에 녹여 10% 용액(B)을 제조하였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내의 이미다졸기와 벤젠-1,3,5-트리카르복실산의 몰비가 1:1이 되도록 상기 용액(A)와 용액(B)를 혼합하였고, 1 시간 동안 강하게 저어주었다. 그 후 메탄올에 침전시켜 카르복실산 그룹으로 치환된 이미다졸 그룹을 갖는 고상의 아크릴계 폴리머(중량평균분자량 80,000 g/mol)를 얻었다.
제조예 4
(아크릴계 폴리머의 제조)
톨루엔 100g에 부틸 아크릴레이트 30g, 에틸 아크릴레이트 40g, 아크릴로니트릴 15g,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10g, 및 1-비닐이미다졸 10g을 열개시제와 함께 혼합하여 80에서 약 12시간 동안 반응하여 이미다졸 그룹이 분지쇄로 도입된 아크릴레이트계 수지(중량평균분자량 50,000 g/mol)를 합성하였다.
제조예 5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
톨루엔 100g에 부틸 아크릴레이트 40g, 에틸 아크릴레이트 60g, 아크릴로니트릴 15g,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10g을 혼합하여 80℃에서 약 12시간 동안 반응하여 글리시딜기가 분지쇄로 도입된 아크릴레이트계 수지(중량평균분자량 700,000 g/mol, 유리전이온도 10 ℃)를 합성하였다.
실시예 1
(1)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
에폭시 수지의 경화제인 페놀 수지 (KH-6021, DIC사 제품, 비스페놀A 노볼락 수지, 수산기 당량 121 g/eq, 연화점: 133 ℃) 40g; 고점도 액상 에폭시 수지 (RE-310S, 일본 화약 제품, 비스페놀 A 에폭시 수지, 에폭시 당량 180 g/eq) 40g; 상기 제조예 5에서 얻어진 열가소성 아크릴레이트 수지 20g;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계 폴리머 1.5g; 및 무기 충전재 (SC-2050, 아드마텍, 구상 실리카, 평균 입경 약 400㎚) 80g을 메틸에틸케톤에 혼합하여,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제 조성물(고형분 40중량% 농도)을 얻었다.
(2) 접착 필름의 제조
콤마 코터를 이용하여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이형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 38㎛) 상에 도포한 후 110℃에서 3분간 건조하여 약 20㎛ 두께의 접착층이 형성된 접착 필름을 얻었다.
(3) 반도체 장치의 제조
높이 15㎛ 및 피치 50㎛의 구리 필러에 무연 솔더가 3㎛ 높이로 형성되어 있는 반도체 소자인 범프칩(4.5mm X 4.5mm)을 포함하는 웨이퍼를 준비하였다.
상기 웨이퍼의 범프 면에 상기 접착 필름의 접착층이 위치하도록 하여 50℃에서 진공라미네이션을 진행한 후, 각의 칩으로 개별화 하였다.
개별화된 범프칩은 열압착 본더를 이용하여 50㎛ 피치 접속 패드를 가지고 있는 6mm x 8mm 기재 칩에 열압착 본딩을 진행하였다. 그 때의 조건은, 헤드온도 100℃에서 5초간 100N으로 가접하고 100℃에서 10분간 방치한 후, 헤드 온도를 순간 260℃로 올려 5초간 100N으로 열압착 본딩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2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4
하기 표 1에 나타낸 성분과 함량을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접착 필름을 제조하였고, 이를 사용하여 반도체 장치를 제조하였다.
중량 (g)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페놀
수지
KH-6021 40 - - - -
KPH-3075 - 40 - - 40
GPH-65 - - 40 - -
KA-1160 - - - 40 -
에폭시
수지
RE-310S 40 30 - 30 30
EOCN-104S - 20 20 - 20
HP-7200 - - - 20 -
KDS-8170 - - 30 - -
아크릴 수지 제조예 5 20 20 20 20 20
열 잠재성 촉매 제조예 1 1.5 1.5 - - -
제조예 2 - - 1.5 1.5 -
제조예 3 - - - - 1.5
제조예 4 - - - - -
2MZ-H - - - - -
2PZ - - - - -
커플링제 KBM-403 1 1 1 1 1
충전재 SC-2050 80 80 80 80 80
중량 (g)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페놀
수지
KH-6021 - - - -
KPH-F3075 40 - 40 40
GPH-65 - 40 - -
KA-1160 - - - -
에폭시
수지
RE-310S 30 - 30 30
EOCN-104S 20 20 20 20
HP-7200 - - - -
KDS-8170 - 30 - -
아크릴 수지 제조예 5 20 20 20 20
열 잠재성 촉매 제조예 1 - - - -
제조예 2 - - - -
제조예 3 - - - -
제조예 4 1.5 1.5 - -
2MZ-H - - 1.5 -
2PZ - - - 1.5
커플링제 KBM-403 1 1 1 1
충전재 SC-2050 80 80 80 80
*KH-6021: 페놀 수지 (DIC, 수산기 당량: 121 g/eq, 연화점 133 ℃)
*KPH-F3075: 페놀 수지 (코오롱유화, 수산기당량: 175 g/eq, 연화점 75 ℃)
*GPH-65: 페놀 수지 (일본화약, 수산기 당량 198 g/eq, 연화점: 65 ℃)
*KA-1160: 페놀 수지 (DIC, 수산기 당량: 117 g/eq, 연화점 86 ℃)
*RE-310S: 에폭시 수지 (일본화약, 에폭시 당량 180 g/eq)
*EOCN-104S: 크레졸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일본 화약 제품, 에폭시 당량 214 g/eq, 연화점: 92 ℃)
*HP-7200: 에폭시 수지 (DIC, 에폭시 당량 257 g/eq, 연화점: 61℃)
*KDS-8170: 액상 에폭시 수지 (국도화학, 비스페놀 F 에폭시 수지, 에폭시 당량 157 g/eq, 점도[25℃]: 1,500 mPa·s)
*2MZ-H: 이미다졸 경화 촉진제 (Curezol 2MZ-H, SHIKOKU)
*2PZ: 이미다졸 경화 촉진제 (Curezol 2PZ, SHIKOKU)
*KBM-403: 커플링제 (에폭시계, 3-glycidoxypropyl trimethoxysilane, Shin-Etsu Chemical Co., Ltd.)
*SC-2050: 충전재 (아드마텍, 구상 실리카, 평균 입경 약 400㎚)
시험예
(1) 용융 점도 측정
: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각각 얻어진 접착층을 두께 320㎛가 될 때까지 중첩하여 적층한 후 60℃의 롤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라미네이트하였다. 이후, 각 시편을 지름 8 ㎜의 원형으로 성형한 이후, TA사의 advanced rheometric expansion system(ARES)를 이용하여 5 rad/s의 전단속에서 10℃/분의 승온 속도를 적용하여 측정값의 가장 낮은 수치의 점도값을 용융점도로 판단하였다.
(2) DSC onset 평가
: 시차열분석기(DSC)를 이용하여 30~300℃범위에서 10℃/min 속도로 측정 진행하였으며, 초기 반응 peak이 형성되기 시작하는 부분과 baseline을 외삽하여 만나는 지점의 온도를 onset로 지정하였다.
(3) 보이드 평가
: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각각 얻어진 반도체 장치에 대해 Scanning Acousitic Tomography(SAT)를 통하여 범프칩과 기재칩 사이에 보이드가 차지하는 면적이 1% 이하가 되는 것을 합격(O)으로, 그리고 1% 초과하는 것을 불합격(X)으로 평가하였다.
(4) 도통 평가
: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각각 얻어진 반도체 장치에 대해 데이지 체인 접속을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을 합격(O)으로, 그리고 데이지 체인 접속을 확인할 수 없었던 것을 불합격(X)으로 평가하였다.
(5) 접속 상태 평가
: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각각 얻어진 반도체 장치에 대해 접속부를 단면 연마하여 노출시키고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접속부에 접착 조성물 트랩핑이 보이지 않고 땜납이 배선에 충분히 젖어 있는 것을 합격(O)으로, 그리고 그 이외의 것을 불합격(X)으로 평가하였다.
(6) 상온 경시성 평가
: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각각 얻어진 접착 필름을 25℃에서 방치 후, 일별로 시차열분석기(DSC)를 이용하여 △H peak 변화량을 계산하였으며, 상기 최저 용융점도 측정방법을 통해 최저용융점도의 변화량을 계산하였다. △H peak의 경우 변화율이 20% 이상, 최저 용융점도의 경우 변화율이 50% 이상 변화 시 경시변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4주가 넘어서 경시변화가 있으면 합격(O)으로, 그리고 4주 이내에 경시변화가 있으면 불합격(X)으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용융점도 (Pa.s) 5300 4500 3900 4100 4400
DSC onset (℃) 155 157 160 168 157
보이드 O O O O O
도통 O O O O O
접속 상태 O O O O O
상온 경시성 O O O O O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용융점도 (Pa.s) 11000 9600 12500 11500
DSC onset (℃) 110 112 105 107
보이드 X O X X
도통 X X X X
접속 상태 X X X X
상온 경시성 X X X X
상기 표 3 및 4를 참고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접착 필름은, 비교예들에 따른 접착 필름에 비하여 용융 점도가 낮게 형성되었다. 이는 비교예들의 접착 조성물의 onset이 낮아 코팅시 건조 공정의 온도에서 미세 반응이 진행되어 높은 점도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교예들의 접착 필름을 적용한 반도체 장치는 보이드가 잔존하기 쉽고, 100℃에서 가접 후 10분간 방치하는 시간 동안 경시가 발생하여 도통 불량 및 접속 상태 불량이 발생하였다. 또한, 비교예들의 접착 필름은 상온에서 보관 시에도 반응이 빠르게 진행되어 4주 이내에 경시 변화가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 지지 기재
2: 접착층
3: 보호 필름
4: 점착층

Claims (10)

  1. 방향족 다관능 카르복실산 그룹으로 치환된 이미다졸 그룹을 갖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는,
    (i) a)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와 b) 분자 내에 상기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불포화 이중 결합 및 이미다졸 그룹을 갖는 화합물의 공중합체; 및
    (ii) 상기 공중합체 (i)의 상기 이미다졸 그룹의 일 말단에 결합된 방향족 다관능 카르복실산 그룹
    을 포함하는 폴리머인,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제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는,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tert-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 (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화합물인,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제 조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b) 분자 내에 상기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불포화 이중 결합 및 이미다졸 그룹을 갖는 화합물은, 1-비닐이미다졸(1-vinylimidazole), 1-비닐-2-메틸이미다졸(1-vinyl-2-methylimidazole), 1-비닐-2,4-디메틸이미다졸(1-vinyl-2,4-dimethylimidazole), 2-비닐이미다졸(2-vinylimidazole), 1-메틸-2-비닐이미다졸(1-methyl-2-vinylimidazole), 1-메틸-5-비닐이미다졸(1-methyl-5-vinylimidazole), 1-비닐-2-니트로-5-메틸이미다졸(1-vinyl-2-nitro-5-methylimidazole), 1-에틸-5-비닐이미다졸(1-ethyl-5-vinylimidazole), 1-프로필-5-비닐이미다졸(1-propyl-5-vinylimidazole), 1-부틸-5-비닐이미다졸(1-butyl-5-vinylimidazole), 1-(4-비닐벤질)-1H-이미다졸(1-(4-vinylbenzyl)-1H-imidazole), 1-(4-비닐벤질)-2-에틸-1H-이미다졸(1-(4-vinylbenzyl)-2-ethyl-1H-imidazole), 및 4-(4-비닐페닐)-1H-이미다졸(4-(4-vinylphenyl)-1H-imidazol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화합물인,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제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다관능 카르복실산 그룹은 2 이상의 카르복실산 관능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로부터 유래된 그룹으로서,
    상기 2 이상의 카르복실산 관능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은,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벤젠-1,3,5-트리카르복실산(benzene-1,3,5-tricarboxylic acid), 벤젠-1,2,4-트리카르복실산(benzene-1,2,4-tricarboxylic acid), 및 [1,1'-비페닐]-4,4'-디카르복실산([1,1'-biphenyl]-4,4'-dicarboxyl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화합물인,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제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는 (i)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의 중합체, (ii) 상기 중합체 (i)에 결합 가능한 관능기를 매개로 결합된 이미다졸 그룹, 및 (iii) 상기 이미다졸 그룹의 일 말단에 결합된 방향족 다관능 카르복실산 그룹을 포함하는 폴리머인,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제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는 300 내지 500,000 g/mol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제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열경화성 수지 및 경화제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제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제 조성물은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0.1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제 조성물.
  10. 제 1 항에 따른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한 접착 필름.
KR1020180016481A 2018-02-09 2018-02-09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접착 필름 KR102186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481A KR102186521B1 (ko) 2018-02-09 2018-02-09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접착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481A KR102186521B1 (ko) 2018-02-09 2018-02-09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접착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715A true KR20190096715A (ko) 2019-08-20
KR102186521B1 KR102186521B1 (ko) 2020-12-03

Family

ID=67807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481A KR102186521B1 (ko) 2018-02-09 2018-02-09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접착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652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2577A (ko) * 2007-04-12 2008-10-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미다졸 어덕트형 잠재성 고분자 경화제, 그 제조방법,이를 포함하는 일액형 에폭시 수지 조성물 및 이방 도전성접착재료
JP2010001465A (ja) * 2008-05-22 2010-01-07 Sekisui Chem Co Ltd 電子部品接合用接着剤
KR20130041304A (ko) * 2010-09-15 2013-04-24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액상의 경화성 에폭시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함유하는 접착제
KR20150046884A (ko) * 2013-10-23 2015-05-0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
KR20170005787A (ko) * 2014-05-08 2017-01-16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경화성 조성물, 도전 재료 및 접속 구조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2577A (ko) * 2007-04-12 2008-10-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미다졸 어덕트형 잠재성 고분자 경화제, 그 제조방법,이를 포함하는 일액형 에폭시 수지 조성물 및 이방 도전성접착재료
JP2010001465A (ja) * 2008-05-22 2010-01-07 Sekisui Chem Co Ltd 電子部品接合用接着剤
KR20130041304A (ko) * 2010-09-15 2013-04-24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액상의 경화성 에폭시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함유하는 접착제
KR20150046884A (ko) * 2013-10-23 2015-05-0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
KR20170005787A (ko) * 2014-05-08 2017-01-16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경화성 조성물, 도전 재료 및 접속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6521B1 (ko) 2020-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1493B1 (ko) 반도체소자 접착필름 형성용 수지 바니시, 반도체소자 접착필름, 및 반도체장치
JP5428423B2 (ja) 半導体装置及びフィルム状接着剤
KR101136599B1 (ko) 접착제 조성물, 회로 부재 접속용 접착제 시트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WO2010137443A1 (ja) 回路部材接続用接着剤シート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WO2008105169A1 (ja) 半導体用接着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
JP5544927B2 (ja) 接着剤組成物、回路部材接続用接着剤シート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2228539B1 (ko)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접착 필름
KR102186521B1 (ko)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접착 필름
KR102584266B1 (ko)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반도체용 접착 필름, 반도체 패키지 제조방법 및 반도체 패키지
US11834415B2 (en) Adhesive composition for semiconductor circuit connection and adhesive film including the same
JP5375351B2 (ja) 半導体回路部材の製造方法
US12006308B2 (en) Adhesive composition for semiconductor circuit connection and adhesive film containing the same
US10991678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KR20210046177A (ko)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 필름
WO2019203572A1 (ko)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접착 필름
KR20220011938A (ko)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 필름
KR20220015197A (ko)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반도체 회로 접속용 접착 필름
JP2020145227A (ja) 接着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