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6433A - 트리거 스위치 - Google Patents

트리거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6433A
KR20190096433A KR1020197022559A KR20197022559A KR20190096433A KR 20190096433 A KR20190096433 A KR 20190096433A KR 1020197022559 A KR1020197022559 A KR 1020197022559A KR 20197022559 A KR20197022559 A KR 20197022559A KR 20190096433 A KR20190096433 A KR 20190096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using
electric wire
wire connection
trigge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2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7144B1 (ko
Inventor
가즈후미 오사키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96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01H1/5844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making use of wire-gripping clips or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23Insulating enclosures for termi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01H1/5866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lug and socket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0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6Casing of switch constituted by a handle serving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by the handle of a vacuum clea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91Coupling devices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or self alig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01R13/43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by stamped-out resilient tongue snapping behind shoulder in base or c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16Fastening of connecting parts to base or case; Insulating connecting parts from base or c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8Casing of switch constituted by a handle serving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6Casing of switch constituted by a handle serving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by the handle of a vacuum cleaner
    • H01H2009/065Battery operated hand tools in which the battery and the switch are directly connec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7/00Connections
    • H01H2207/026Pressure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01R4/34Conductive members located under head of scre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Portable Power Tools In General (AREA)

Abstract

수용부를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대하여 접근 및 개방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트리거와, 수용부 내에 마련된 접점 기구부와, 하우징의 외부에서 수용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판상의 제1 단자와, 하우징의 외부에서 수용부까지 연장되어 있음과 함께 제1 단자와 판면끼리가 대향하도록 병렬로 배치된 판상의 제2 단자를 구비한다.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1 단자의 단부에, 제1 전선의 도체부를 접속 가능한 제1 전선 접속부가 마련되고,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2 단자의 단부에, 제2 전선의 도체부를 접속 가능한 제2 전선 접속부가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트리거 스위치
본 개시는, 트리거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트리거 스위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외부에 마련되고 또한 하우징에 대하여 접근 및 개방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트리거와,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어, 하우징에 대한 트리거의 접근 동작 및 개방 분리 동작에 연동하여 작동하는 접점 기구부와, 접점 기구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한 쌍의 나사식의 전원 접속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트리거 스위치에서는, 각 전원 접속 단자는, 하우징에 마련되어 있음과 함께, 하우징의 외면 상에 고정되어서 전선이 접속되는 접속부와,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서 접점 기구부에 접속된 단자부로 구성되어 있다.
특허4941048호 공보
근년, 전동 드라이버 등의 전동구의 소형 경량화에 수반하여, 특히 전동구에 사용되는 트리거 스위치의 하우징 수용 스페이스가 제한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트리거 스위치에서는, 한 쌍의 전원 접속 단자가 하우징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하우징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어렵고, 전동구의 소형 경량화에 대응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개시는, 하우징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트리거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개시의 일 형태의 트리거 스위치는,
내부에 수용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접근 및 개방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트리거와,
상기 수용부 내에 마련된 고정 접점과, 상기 수용부 내에서 상기 고정 접점에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트리거의 접근 동작 및 개방 분리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 및 개방 분리되는 가동 접점을 갖는 접점 기구부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수용부까지 연장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접점 기구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판상의 제1 단자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수용부까지 연장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1 단자와 판면끼리가 대향하도록 병렬로 배치되어, 상기 접점 기구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판상의 제2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단자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1 단자의 단부에, 제1 전선의 도체부를 접속 가능한 제1 전선 접속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 단자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2 단자의 단부에, 제2 전선의 도체부를 접속 가능한 제2 전선 접속부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양태의 트리거 스위치에 의하면, 제1 단자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1 단자의 단부에, 제1 전선의 도체부를 접속 가능한 제1 전선 접속부가 마련되고, 제2 단자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2 단자의 단부에, 제2 전선의 도체부를 접속 가능한 제2 전선 접속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하우징에 전선 접속부가 마련되어 있는 트리거 스위치와 비교하여, 하우징에서 전선 접속부가 차지하는 스페이스를 생략하여 하우징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전동구의 소형 경량화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의 트리거 스위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트리거 스위치의 제1 전선 접속부 및 제2 전선 접속부에 압착 단자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트리거 스위치의 복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4는, 도 1의 트리거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5는, 도 1의 트리거 스위치의 단자 커버 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도 1의 트리거 스위치의 단자 커버 부재의 도 5와는 상이한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도 1의 트리거 스위치의 단자 커버 부재의 주변에 있어서의 도 1과는 상이한 방향에서 본 부분 확대 사시도.
이하,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을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따라서 특정한 방향 또는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예를 들어, 「상」, 「하」, 「우」, 「좌」를 포함하는 용어)을 사용하는데, 그것들의 용어의 사용은 도면을 참조한 개시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며, 그것들의 용어의 의미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개시, 그 적용물, 혹은, 그 용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고,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반드시 합치하고 있지는 않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의 트리거 스위치(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성의 하우징(10), 절연성의 트리거(20), 도전성의 제1 단자(30), 및 도전성의 제2 단자(40)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단자(30) 및 제2 단자(40)는, 각각, 하우징(10)의 하단부(즉, 도 1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즉, 도 1의 하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단자(30)가 연장되는 방향(즉,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하우징(10)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1 단자(30)의 선단부에 제1 전선 접속부(31)가 마련되고, 제2 단자(40)가 연장되는 방향에 있어서의 하우징(10)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2 단자(40)의 선단부에 제2 전선 접속부(41)가 마련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제1 전선 접속부(31) 및 제2 전선 접속부(41)는, 상자 형상을 갖는 절연성의 단자 커버 부재(50)에 수용되어 있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착 단자(61)가 나사(62)로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제1 전선 접속부(31) 및 제2 전선 접속부(41)는, 각각, 압착 단자(61)를 통해 제1 전선의 도체부(64) 및 제2 전선의 도체부(65)에 접속된다.
또한,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11)가 설치되어 있고, 이 수용부(11) 내에는, 제1 단자(30) 및 제2 단자(4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접점 기구부(2)가 마련되어 있다.
하우징(1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의 상자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외부에는, 하우징(10)에 대하여 접근 및 개방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트리거(20)가 배치되어 있다.
접점 기구부(2)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접점(12)과 가동 접점(13)을 갖고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는, 하우징(10)의 일부를 제거한 상태의 트리거 스위치(1)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은, 고정 접점(12)과 가동 접점(13)이 개방 분리된 복귀 상태의 트리거 스위치(1)를 도시하고, 도 4는, 고정 접점(12)과 가동 접점(13)이 접촉한 동작 상태의 트리거 스위치(1)를 도시하고 있다.
고정 접점(12)은, 수용부(11)의 내부에서 도전성의 제1 단자(30)에 고정되어, 제1 단자(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1 단자(30)는, 하우징(10)의 외부에서 수용부(11)까지 연장되어 있는 판상의 제1 단자 본체(301)와, 이 제1 단자 본체(301)에 마련된 제1 전선 접속부(31)를 갖고, 제1 단자 본체(301)가, 트리거(20)가 하우징(10)에 대하여 접근 및 개방 분리되는 접촉 분리 방향(즉, 도 3 및 도 4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하우징(10)의 하측(즉, 도 3 및 도 4의 Z 방향 하측)의 벽부(101)의 트리거(20)로부터 먼 쪽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제1 전선 접속부(3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단자 본체(301)의 판 폭 방향(즉, 도 1의 Y 방향)을 따라 평면에서 보아, 대략 정사각 형상을 갖고, 그 중앙에 도 2에 도시하는 나사(62)를 삽입 가능한 원 형상의 관통 구멍(32)이 마련되어 있다. 이 제1 전선 접속부(31)는, 제1 단자 본체(301)의 하우징(10)의 외부에 위치하는 단부(302)의 판 폭 방향에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측면(303) 및 제2 측면(304) 중 한쪽의 제1 측면(303)(즉, 도 1의 Y 방향 좌측의 면)에 배치되고, 제1 단자 본체(301)의 판면에 대하여 교차(예를 들어 대략 직교)하고 또한 제2 단자(4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가동 접점(13)은, 수용부(11)의 내부에서 가동 접촉편(14)에 고정되어, 가동 접촉편(14)을 통해 도전성의 제2 단자(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가동 접점(13)은, 고정 접점(12)에 대향하고 또한 고정 접점(12)에 대하여 접촉 및 개방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가동 접촉편(14)은, 트리거(20)의 접촉 분리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박판 형상을 갖고, 그 긴 쪽 방향의 중간부에서 지지부(15)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부(15)는, 트리거(20)의 접촉 분리 방향에 있어서의 하우징(10)의 벽부(101)의 대략 중앙에 마련되어 있다. 가동 접촉편(14)의 긴 쪽 방향의 일단부(즉, 도 3 및 도 4의 좌측 단부)에는, 가동 접점(13)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가동 접촉편(14)의 긴 쪽 방향의 타단부(즉, 도 3 및 도 4의 우측 단부)는 제2 단자(40)와 접촉하고 있다.
제2 단자(40)는, 하우징(10)의 외부에서 수용부(11)까지 연장되어 있는 판상의 제2 단자 본체(401)와, 이 제2 단자 본체(401)에 마련된 제2 전선 접속부(41)를 갖고, 제2 단자 본체(401)가, 트리거(20)의 접촉 분리 방향에 있어서, 하우징(10)의 하측 벽부(101)의 트리거(20)에 가까운 쪽의 단부에 고정되어, 제1 단자(30)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독립하고 있다. 또한, 제2 단자 본체(401)는, 제1 단자 본체(301)와 판면끼리가 대향하도록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제2 전선 접속부(4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단자 본체(401)의 판 폭 방향(즉, 도 1의 Y 방향)을 따라 평면에서 보아, 대략 정사각 형상을 갖고, 그 중앙에 도 2에 도시하는 나사(62)를 삽입 가능한 원 형상의 관통 구멍(42)이 마련되어 있다. 이 제2 전선 접속부(41)는, 제2 단자 본체(401)의 하우징(10)의 외부에 위치하는 단부(402)의 판 폭 방향에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측면(403) 및 제2 측면(404) 중 한쪽의 제1 측면(403)(즉, 도 1의 Y 방향 좌측의 면)에 배치되고, 제2 단자 본체(401)의 판면에 대하여 교차(예를 들어 대략 직교)하고 또한 제1 단자(3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트리거(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짧은 쪽 방향(즉, 도 3 및 도 4의 좌우 방향)의 일측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조작하는 조작체(21)와, 이 조작체(21)의 하우징(10)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하우징(10)을 향하여 하우징(10)의 내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조작 축(22)을 갖고 있다.
조작체(21)는, 트리거(20)의 접촉 분리 방향에 있어서의 하우징(10)으로부터 먼 쪽의 면에 만곡면(211)(도 1에 도시함)을 갖고 있고,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조작체(21)를 조작하기 쉽게 하고 있다.
조작 축(22)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연장 방향(즉, 도 3 및 도 4의 좌우 방향)의 일단부가 하우징(10)의 외부에서 조작체(21)에 연결되어 있는 한편, 그 연장 방향의 타단부가 하우징(10)의 수용부(11)의 내부에서 하우징(10)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조작 축(22)의 연장 방향의 타단부에는, 트리거(20)를 하우징(10)으로부터 개방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조작 축(22)을 가압하는 복귀 스프링(23)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조작 축(22)에는, 수용부(11)의 내부에서 조작 축(22)으로부터 하우징(10)의 벽부(101)를 향하여 연장되는 플런저(24)가 마련되어 있다. 이 플런저(24)는, 트리거(20)의 이동에 연동하여, 그 선단(즉, 도 3 및 도 4의 하단)이 가동 접촉편(14)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즉, 가동 접점(13)은, 트리거(20)의 접근 동작 및 개방 분리 동작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연동하여, 고정 접점(12)에 대하여 접촉 및 개방 분리된다.
도 3에 도시하는 복귀 상태의 트리거 스위치(1)의 트리거(20)의 조작체(21)를 조작하여, 트리거(20)를 하우징(10)에 접근시키면, 트리거(20)의 하우징(10)에 대한 접근 방향으로의 이동(즉, 접근 동작)에 연동하여, 플런저(24)가, 지지부(15)보다도 제1 단자(30)측으로 가동 접촉편(14)에 접촉하여, 가동 접촉편(14)을 가동 접촉편(14)의 회전축 방향(즉, 도 3 및 도 4의 지면 관통 방향)을 따른 평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의해, 가동 접점(13)이, 하우징(10)의 하측 벽부(101)에 접근하여 고정 접점(12)에 접촉하고, 도 4에 도시하는 동작 상태로 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동작 상태의 트리거 스위치(1)의 트리거(20)의 조작체(21)로부터 손가락을 이격하면, 복귀 스프링(23)에 의해 조작 축(22)이, 트리거(20)를 하우징(10)으로부터 개방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트리거(20)가 하우징(10)으로부터 개방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트리거(20)의 하우징(10)에 대한 개방 분리 방향으로의 이동(즉, 개방 분리 동작)에 연동하여, 플런저(24)가, 지지부(15)에 대한 제2 단자(40)측으로 가동 접촉편(14)에 접촉하여, 가동 접촉편(14)을 가동 접촉편(14)의 회전축 방향을 따른 평면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의해, 가동 접점(13)이, 하우징(10)의 하측 벽부(101)로부터 이격되어서 가동 접점(13)이 고정 접점(12)으로부터 개방 분리되고, 도 3에 도시하는 복귀 상태로 된다.
단자 커버 부재(5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형으로, 그 내부에, 제1 전선 접속부(31)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51)와, 제2 전선 접속부(41)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52)를 갖고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제1 수용부(51) 및 제2 수용부(52)의 내부에 각각 수용되어서, 도 2에 도시하는 나사(62)와 함께 제1 전선 접속부(31) 및 제2 전선 접속부(41)에 압착 단자(61)를 고정하는 너트(63)를 도시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단자 커버 부재(50)는, 제1 수용부(51) 및 제2 수용부(52)를 구획함으로써 제1 수용부(51)와 제2 수용부(52)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구획 벽부(53)와, 이 구획 벽부(53)에 교차(예를 들어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자 삽입면(54) 및 전선 접속면(55)과, 구획 벽부(53)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제1 측벽부(56) 및 제2 측벽부(57)를 갖고 있다. 제2 측벽부(57)는, 구획 벽부(53)에 대하여 제1 측벽부(56)와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구획 벽부(53)는, 제1 단자 본체(301) 및 제2 단자 본체(401)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이 구획 벽부(53)의 연장 방향(즉, 도 5 및 도 6의 상하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에, 단자 커버 부재(50)의 긴 쪽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마련되어 있다.
단자 삽입면(54)은, 구획 벽부(53)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하우징(10)에 가까운 쪽의 단부(즉, 도 5의 상측)에 접속되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 형상을 갖고 있다. 이 단자 삽입면(54)은, 제1 전선 접속부(31)를 삽입 가능한 제1 단자 삽입 개구부(541)와, 제2 전선 접속부(41)를 삽입 가능한 제2 단자 삽입 개구부(542)를 갖고 있다.
제1 단자 삽입 개구부(541) 및 제2 단자 삽입 개구부(542)의 각각은, 단자 삽입면(54)의 긴 쪽 방향 및 짧은 쪽 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되는 대략 L자 형상을 갖고 있고, 구획 벽부(53)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단자 삽입 개구부(541)의 단자 삽입면(54)의 긴 쪽 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에는, 제1 단자 본체(301)가 삽입가능하게 되어 있어, 제1 단자 삽입 개구부(541)의 단자 삽입면(54)의 짧은 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에는, 제1 전선 접속부(31)가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단자 삽입 개구부(542)의 단자 삽입면(54)의 긴 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에는, 제2 단자 본체(401)가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고, 제2 단자 삽입 개구부(542)의 단자 삽입면(54)의 짧은 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에는, 제2 전선 접속부(41)가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단자 삽입면(54)은, 구획 벽부(53)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전선 접속부(31)가 제1 수용부(51)에 삽입 가능 또한 제2 전선 접속부(41)가 제2 수용부(52)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전선 접속면(55)은, 구획 벽부(53)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하우징(10)으로부터 먼 쪽의 단부(즉, 도 5의 하측)에 접속되고,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사각 형상을 갖고 있다. 이 전선 접속면(55)은, 제1 전선의 도체부(64)를 삽입 가능한 제1 전선 접속 개구부(551)와, 제2 전선의 도체부(65)를 삽입 가능한 제2 전선 접속 개구부(552)를 갖고 있다. 즉, 전선 접속면(55)은, 구획 벽부(53)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단자 삽입면(54)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제1 전선의 도체부(64)를 제1 전선 접속부(31)에 접속 가능 또한 제2 전선의 도체부(65)를 제2 전선 접속부(41)에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1 전선 접속 개구부(551) 및 제2 전선 접속 개구부(552)의 각각은, 단자 삽입면(54)의 긴 쪽 방향 및 짧은 쪽 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되는 L자 형상을 갖고 있고, 구획 벽부(53)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전선 접속 개구부(551)는, 그 일부가 후술하는 제1 지지 벽부(58)로 구성되어 있고, 제1 단자 삽입 개구부(541)로부터 제1 수용부(51)의 내부에 삽입된 제1 단자 본체(301) 및 제1 전선 접속부(31)가, 전선 접속면(55)을 꿰뚫고 나가서 단자 커버 부재(50)의 외부에까지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전선 접속 개구부(552)는, 그 일부가 후술하는 제2 지지 벽부(59)로 구성되어 있고, 제2 단자 삽입 개구부(542)로부터 제2 수용부(52)의 내부에 삽입된 제2 단자 본체(401) 및 제2 전선 접속부(41)가, 전선 접속면(55)을 관통해서 단자 커버 부재(50)의 외부에까지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측벽부(56)는, 단자 삽입면(54)의 제1 단자 삽입 개구부(541)로부터 제1 수용부(51)에 삽입된 제1 단자 본체(301)의 한 쌍의 판면 중, 제2 단자 본체(401)에 대향하고 있지 않은 외측의 판면을 지지하면서 단자 삽입면(54)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안내한다.
제2 측벽부(57)는, 단자 삽입면(54)의 제2 단자 삽입 개구부(542)로부터 제2 수용부(52)에 삽입된 제2 단자 본체(401)의 한 쌍의 판면 중, 제1 단자 본체(301)에 대향하고 있지 않은 외측의 판면을 지지하면서 단자 삽입면(54)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안내한다.
또한, 전선 접속면(55)에는, 각각이 전선 접속면(55)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1 지지 벽부(58) 및 제2 지지 벽부(59)가 마련되어 있다. 제2 지지 벽부(59)는, 구획 벽부(53)에 대하여 제1 지지 벽부(58)와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지지 벽부(58)는, 제1 전선 접속 개구부(551)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음과 함께, 단자 삽입면(54)의 제1 단자 삽입 개구부(541)로부터 제1 수용부(51)에 삽입된 제1 단자 본체(301)의 선단부 및 제1 전선 접속부(31)의 선단부와, 제1 수용부(51)의 내부에서 접촉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즉, 제1 단자 삽입 개구부(541)로부터 삽입된 제1 단자 본체(301) 및 제1 전선 접속부(31)는, 제1 수용부(51)의 내부에서 제1 지지 벽부(58)에 의해 지지됨과 함께 위치 결정된다.
제2 지지 벽부(59)는, 제2 전선 접속 개구부(552)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음과 함께, 단자 삽입면(54)의 제2 단자 삽입 개구부(542)로부터 제2 수용부(52)에 삽입된 제2 단자 본체(401)의 선단부 및 제2 전선 접속부(41)의 선단부와, 제2 수용부(52)의 내부에서 접촉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즉, 제2 단자 삽입 개구부(542)로부터 삽입된 제2 단자 본체(401) 및 제2 전선 접속부(41)는, 제2 수용부(52)의 내부에서 제2 지지 벽부(59)에 의해 지지됨과 함께 위치 결정된다.
상기 트리거 스위치(1)에서는, 제1 단자(30)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하우징(10)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1 단자(30)의 단부(302)에, 제1 전선의 도체부(64)를 접속 가능한 제1 전선 접속부(31)가 마련되고, 제2 단자(40)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2 단자(40)의 단부(402)에, 제2 전선의 도체부(65)를 접속 가능한 제2 전선 접속부(41)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하우징에 전선 접속부가 마련되어 있는 트리거 스위치와 비교하여, 하우징에서 전선 접속부가 차지하는 스페이스를 생략하여 하우징(1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전동구의 소형 경량화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선 접속부(31)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51)와 제2 전선 접속부(41)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52)를 갖는 절연성의 단자 커버 부재(50)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간단한 구성으로, 제1 전선 접속부(31) 및 제2 전선 접속부(41)를 하우징(10)의 외부에 배치해도, 제1 전선 접속부(31) 및 제2 전선 접속부(41)를 확실하고 또한 신뢰성 높게 절연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 커버 부재(50)는, 단자 삽입면(54)으로부터 제1 단자 본체(301)의 판면을 따라서 하우징(10)을 향하여 연장되고, 제1 단자 본체(301)를 지지하는 한 쌍의 제1 단자 지지벽(543)과, 단자 삽입면(54)으로부터 제2 단자 본체(401)의 판면을 따라서 하우징(10)을 향하여 연장되고, 제2 단자 본체(401)를 지지하는 한 쌍의 제2 단자 지지벽(545)을 갖고 있다. 한 쌍의 제1 단자 지지벽(543)은, 제1 단자 본체(301)의 제2 측면(304)(즉, 도 1의 Y 방향 우측의 면)에 대향하여 지지하는 제1 접속 벽부(544)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제2 단자 지지벽(545)은, 제2 단자 본체(401)의 제2 측면(404)(즉, 도 1의 Y 방향 우측의 면)에 대향하여 지지하는 제2 접속 벽부(546)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단자 지지벽(543)은, 제1 단자 본체(301)의 판 두께 방향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하우징(10)의 외부 또한 단자 커버 부재(50)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1 단자 본체(301)에 있어서의 단자 커버 부재(50)측의 기부(305)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한 쌍의 제2 단자 지지벽(545)은, 제2 단자 본체(401)의 판 두께 방향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하우징(10)의 외부 또한 단자 커버 부재(50)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2 단자 본체(401)에 있어서의 단자 커버 부재(50)측의 기부(405)를 지지하고 있다. 각 기부(305, 405)는, 응력이 집중하기 쉽고, 이와 같이 한 쌍의 제1 단자 지지벽(543) 및 한 쌍의 제2 단자 지지벽(545)으로 지지함으로써, 각 기부(305, 405)가 보강되어, 트리거 스위치(1)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리거 스위치(1)는, 제1 단자(30) 및 제2 단자(40)에 대하여, 단자 커버 부재(50)를 위치 결정하면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 가능한 스냅 피트부(7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스냅 피트부(70)는, 한 쌍의 걸림 결합 갈고리부(71)(도 7에서는 한쪽만 나타냄)와, 단자 커버 부재(50)의 제1 측벽부(56) 및 제2 측벽부(57)에 각각 마련되고 또한 대응하는 걸림 결합 갈고리부(71)를 걸림 가능한 한 쌍의 걸림 결합 구멍(72)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걸림 결합 갈고리부(71)는, 제1 단자 본체(301) 및 제2 단자 본체(401)의 하우징(10)의 외부에 위치하는 단부(302, 402)에 있어서의 외측의 판면(즉, 제1 단자 본체(301)의 제1 측벽부(56)에 대향하는 면 및 제2 단자 본체(401)의 제2 측벽부(57)에 대향하는 면)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제1 단자 본체(301)의 걸림 결합 갈고리부(71)는, 제1 전선 접속부(31)가 제1 수용부(51)에 수용된 상태에서, 대향하는 제1 측벽부(56)의 걸림 결합 구멍(72)에 걸림 결합 가능하게 배치되고, 제2 단자 본체(401)의 걸림 결합 갈고리부(71)는, 제2 전선 접속부(41)가 제2 수용부(52)에 수용된 상태에서, 대향하는 제2 측벽부(57)의 걸림 결합 구멍(72)에 걸림 결합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냅 피트부(70)에 의해, 제1 단자(30) 및 제2 단자(40)에 대하여, 단자 커버 부재(50)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트리거 스위치(1)의 조립이 용이해지고, 트리거 스위치(1)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단자 커버 부재(50)는, 가능하면, 생략해도 상관없다.
또한, 한 쌍의 제1 단자 지지벽(543)은 및 한 쌍의 제2 단자 지지벽(545)은, 어느 한쪽만 마련해도 된다.
또한, 단자 커버 부재(50)는, 스냅 피트부(70)에 의해 제1 단자(30) 및 제2 단자(40)에 설치되는 경우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자 커버 부재(50)의 제1 단자(30) 및 제2 단자(40)로의 설치 구조는, 착탈 가능한지의 여부를 포함하여, 트리거 스위치의 설계 등에 따라서 임의의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있어서의 여러가지의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마지막으로, 본 개시의 다양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일례로서, 참조 부호도 붙여서 기재한다.
본 개시의 제1 양태의 트리거 스위치(1)는,
내부에 수용부(11)를 갖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에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10)에 대하여 접근 및 개방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트리거(20)와,
상기 수용부(11) 내에 마련된 고정 접점(12)과, 상기 수용부(11) 내에서 상기 고정 접점(12)에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하우징(10)에 대한 상기 트리거(20)의 접근 동작 및 개방 분리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고정 접점(12)에 접촉 및 개방 분리되는 가동 접점(13)을 갖는 접점 기구부(2)와,
상기 하우징(10)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에서 상기 수용부(11)까지 연장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접점 기구부(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판상의 제1 단자(30)와,
상기 하우징(10)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에서 상기 수용부(11)까지 연장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1 단자(30)와 판면끼리가 대향하도록 병렬로 배치되어, 상기 접점 기구부(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판상의 제2 단자(40)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단자(30)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에 위치 하는 상기 제1 단자(30)의 단부(302)에, 제1 전선의 도체부(64)를 접속 가능한 제1 전선 접속부(31)가 마련되고, 상기 제2 단자(40)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2 단자(40)의 단부(402)에, 제2 전선의 도체부(65)를 접속 가능한 제2 전선 접속부(41)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양태의 트리거 스위치(1)에 의하면, 예를 들어 하우징에 전선 접속부가 마련되어 있는 트리거 스위치와 비교하여, 하우징(1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전동구의 소형 경량화에 대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2 양태의 트리거 스위치(1)는,
상기 제1 전선 접속부(31)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51)와 상기 제2 전선 접속부(41)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52)를 갖는 절연성의 단자 커버 부재(50)를 하우징(10)의 외부에 더 구비하고,
상기 단자 커버 부재(50)가,
상기 제1 단자(30) 및 상기 제2 단자(40)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제1 수용부(51) 및 상기 제2 수용부(52)를 구획함으로써 상기 제1 수용부(51)와 상기 제2 수용부(52)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구획 벽부(53)와,
상기 구획 벽부(53)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전선 접속부(31) 및 상기 제2 전선 접속부(41)를 각각 삽입 가능한 단자 삽입면(54)과,
상기 단자 삽입면(54)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1 전선의 도체부(64) 및 상기 제2 전선의 도체부(65)를 각각 접속 가능한 전선 접속면(55)과,
상기 구획 벽부(53)에 대향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단자 삽입면(54)으로부터 삽입된 상기 제1 단자(30)를 지지하는 제1 측벽부(56)와,
상기 전선 접속면(55)을 따라 연장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단자 삽입면(54)으로부터 삽입된 상기 제1 전선 접속부(31)를 지지함과 함께 위치 결정하는 제1 지지 벽부(58)와,
상기 구획 벽부(53)에 대향하고 또한 상기 구획 벽부(53)에 대하여 상기 제1 측벽부(56)와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단자 삽입면(54)으로부터 삽입된 상기 제2 단자(40)를 지지하는 제2 측벽부(57)와,
상기 전선 접속면(55)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상기 구획 벽부(53)에 대하여 상기 제1 지지 벽부(58)와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단자 삽입면(54)으로부터 삽입된 상기 제2 전선 접속부(41)를 지지함과 함께 위치 결정하는 제2 지지 벽부(59)를
갖는다.
제2 양태의 트리거 스위치(1)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제1 전선 접속부(31) 및 제2 전선 접속부(41)를 절연할 수 있고, 제1 전선 접속부(31)를 제1 전선의 도체부(64)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고, 제2 전선 접속부(41)를 제2 전선의 도체부(65)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3 양태의 트리거 스위치(1)는,
상기 단자 커버 부재(50)가,
상기 전선 접속면(55)으로부터 상기 제1 단자(30)의 판면을 따라서 상기 하우징(10)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제1 단자(30)를 지지하는 제1 단자 지지벽(543)과,
상기 전선 접속면(55)으로부터 상기 제2 단자(40)의 판면을 따라서 상기 하우징(10)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제2 단자(40)를 지지하는 제2 단자 지지벽(545)을
갖는다.
제3 양태의 트리거 스위치(1)에 의하면, 제1 단자(30) 및 제2 단자(40)의 응력이 집중하기 쉬운 부분을 지지할 수 있으므로, 트리거 스위치(1)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제4 양태의 트리거 스위치(1)는,
상기 제1 단자 지지벽(543)이, 상기 제1 단자(30)의 판 두께 방향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2 단자 지지벽(545)이, 상기 제2 단자(40)의 판 두께 방향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제4 양태의 트리거 스위치(1)에 의하면, 제1 단자(30) 및 제2 단자(40)의 응력이 집중하기 쉬운 부분을 보다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으므로, 트리거 스위치(1)의 수명을 보다 확실하게 연장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제5 양태의 트리거 스위치(1)는,
상기 제1 단자(30) 및 상기 제2 단자(40)에 대하여, 상기 단자 커버 부재(50)를 위치 결정하면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 가능한 스냅 피트부(70)를 구비하고,
상기 스냅 피트부(70)가, 상기 제1 단자(30) 및 상기 제2 단자(40)의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에 위치하는 단부에 각각 마련된 한 쌍의 걸림 결합 갈고리부(71)와, 상기 단자 커버 부재(50)에 마련되고 또한 상기 한 쌍의 걸림 결합 갈고리부(71)의 각각을 제각기 걸림 가능한 한 쌍의 걸림 결합 구멍(72)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5 양태의 트리거 스위치(1)에 의하면, 트리거 스위치(1)의 조립이 용이해지고, 트리거 스위치(1)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여러가지 실시 형태 또는 변형예 중의 임의의 실시 형태 또는 변형예를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각각이 갖는 효과를 발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끼리의 조합 또는 실시예끼리의 조합 또는 실시 형태와 실시예의 조합이 가능함과 함께, 다른 실시 형태 또는 실시예 중의 특징끼리의 조합도 가능하다.
본 개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관련하여 충분히 기재되어 있지만, 이 기술의 숙련된 사람들에 있어서는 다양한 변형이나 수정은 명백하다. 그러한 변형이나 수정은,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한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에 있어서, 그 중에 포함된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트리거 스위치는, 예를 들어 전동 드라이버 등의 전동 공구에 적용할 수 있다.
1: 트리거 스위치
2: 접점 기구부
10: 하우징
101: 벽부
11: 수용부
12: 고정 접점
13: 가동 접점
14: 가동 접촉편
15: 지지부
20: 트리거
21: 조작체
211: 만곡면
22: 조작 축
23: 복귀 스프링
24: 플런저
30: 제1 단자
31: 제1 전선 접속부
32: 관통 구멍
301: 제1 단자 본체
302: 단부
303: 제1 측면
304: 제2 측면
305: 기부
40: 제2 단자
41: 제2 전선 접속부
42: 관통 구멍
401: 제2 단자 본체
402: 단부
403: 제1 측면
404: 제2 측면
405: 기부
50: 단자 커버 부재
51: 제1 수용부
52 제2 수용부
53: 구획 벽부
54: 단자 삽입면
541: 제1 단자 삽입 개구부
542: 제2 단자 삽입 개구부
543: 제1 단자 지지벽
544: 제1 접속 벽부
545: 제2 단자 지지벽
546: 제2 접속 벽부
55: 전선 접속면
551: 제1 전선 접속 개구부
552: 제2 전선 접속 개구부
56: 제1 측벽부
57: 제2 측벽부
58: 제1 지지 벽부
59: 제2 지지 벽부
61: 압착 단자
62: 나사
63: 너트
64, 65: 도체부
70: 스냅 피트부
71: 걸림 결합 갈고리부
72: 걸림 결합 구멍

Claims (5)

  1. 내부에 수용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접근 및 개방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트리거와,
    상기 수용부 내에 마련된 고정 접점과, 상기 수용부 내에서 상기 고정 접점에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트리거의 접근 동작 및 개방 분리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 및 개방 분리되는 가동 접점을 갖는 접점 기구부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수용부까지 연장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접점 기구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판상의 제1 단자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수용부까지 연장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1 단자와 판면끼리가 대향하도록 병렬로 배치되어, 상기 접점 기구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판상의 제2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단자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1 단자의 단부에, 제1 전선의 도체부를 접속 가능한 제1 전선 접속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 단자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2 단자의 단부에, 제2 전선의 도체부를 접속 가능한 제2 전선 접속부가 마련되어 있는, 트리거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선 접속부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전선 접속부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를 갖는 절연성의 단자 커버 부재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더 구비하고,
    상기 단자 커버 부재가,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를 구획함으로써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구획 벽부와,
    상기 구획 벽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전선 접속부 및 상기 제2 전선 접속부를 각각 삽입 가능한 단자 삽입면과,
    상기 단자 삽입면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1 전선의 도체부 및 상기 제2 전선의 도체부를 각각 접속 가능한 전선 접속면과,
    상기 구획 벽부에 대향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단자 삽입면으로부터 삽입된 상기 제1 단자를 지지하는 제1 측벽부와,
    상기 전선 접속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단자 삽입면으로부터 삽입된 상기 제1 전선 접속부를 지지함과 함께 위치 결정하는 제1 지지 벽부와,
    상기 구획 벽부에 대향하고 또한 상기 구획 벽부에 대하여 상기 제1 측벽부와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단자 삽입면으로부터 삽입된 상기 제2 단자를 지지하는 제2 측벽부와,
    상기 전선 접속면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상기 구획 벽부에 대하여 상기 제1 지지 벽부와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단자 삽입면으로부터 삽입된 상기 제2 전선 접속부를 지지함과 함께 위치 결정하는 제2 지지 벽부를
    갖는, 트리거 스위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커버 부재가,
    상기 단자 삽입면으로부터 상기 제1 단자의 판면을 따라서 상기 하우징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제1 단자를 지지하는 제1 단자 지지벽과,
    상기 단자 삽입면으로부터 상기 제2 단자의 판면을 따라서 상기 하우징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제2 단자를 지지하는 제2 단자 지지벽을
    갖는, 트리거 스위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 지지벽이, 상기 제1 단자의 판 두께 방향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2 단자 지지벽이, 상기 제2 단자의 판 두께 방향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있는, 트리거 스위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에 대하여, 상기 단자 커버 부재를 위치 결정하면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 가능한 스냅 피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냅 피트부가,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의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하는 단부에 각각 마련된 한 쌍의 걸림 결합 갈고리부와, 상기 단자 커버 부재에 마련되고 또한 상기 한 쌍의 걸림 결합 갈고리부의 각각을 제각기 걸림 가능한 한 쌍의 걸림 결합 구멍으로 구성되어 있는, 트리거 스위치.
KR1020197022559A 2017-03-14 2017-12-13 트리거 스위치 KR1021771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49049 2017-03-14
JP2017049049A JP6720901B2 (ja) 2017-03-14 2017-03-14 トリガースイッチ
PCT/JP2017/044734 WO2018168131A1 (ja) 2017-03-14 2017-12-13 トリガー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433A true KR20190096433A (ko) 2019-08-19
KR102177144B1 KR102177144B1 (ko) 2020-11-10

Family

ID=63522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2559A KR102177144B1 (ko) 2017-03-14 2017-12-13 트리거 스위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62230B2 (ko)
JP (1) JP6720901B2 (ko)
KR (1) KR102177144B1 (ko)
CN (1) CN110249404B (ko)
DE (1) DE112017007260T5 (ko)
WO (1) WO201816813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41048B1 (ko) 1968-07-05 1974-11-07
US4553005A (en) * 1984-03-08 1985-11-12 Eaton Corporation Trigger operated electric switch
JP2012206248A (ja) * 2011-03-15 2012-10-25 Makita Corp 電動工具用トリガースイッチ
US20130037398A1 (en) * 2011-08-12 2013-02-14 Omron Corporation Switch
JP2016171031A (ja) * 2015-03-13 2016-09-23 オムロン株式会社 接点機構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9483A (en) * 1986-10-22 1989-06-13 Conair Corporation Modular watertight switch for use in personal care appliances
CN2758959Y (zh) * 2004-12-15 2006-02-15 倪圣珑 扳机开关
US7211758B2 (en) * 2005-07-12 2007-05-01 Defond Components Limited Circuit interrupter that produces snap-action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between electrical contacts
US7198526B1 (en) * 2005-11-21 2007-04-03 Etco, Inc. Low-profile flag electrical terminal connector assembly
EP1936645B1 (en) 2006-12-21 2013-07-03 Defond Components Limited Circuit interrupter that produces snap-action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between electrical contacts
JP4941048B2 (ja) 2007-03-28 2012-05-30 オムロン株式会社 トリガスイッチ
JP6160303B2 (ja) * 2013-06-27 2017-07-12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41048B1 (ko) 1968-07-05 1974-11-07
US4553005A (en) * 1984-03-08 1985-11-12 Eaton Corporation Trigger operated electric switch
JP2012206248A (ja) * 2011-03-15 2012-10-25 Makita Corp 電動工具用トリガースイッチ
US20130037398A1 (en) * 2011-08-12 2013-02-14 Omron Corporation Switch
JP2016171031A (ja) * 2015-03-13 2016-09-23 オムロン株式会社 接点機構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68131A1 (ja) 2018-09-20
KR102177144B1 (ko) 2020-11-10
US20190356066A1 (en) 2019-11-21
US10862230B2 (en) 2020-12-08
CN110249404A (zh) 2019-09-17
DE112017007260T5 (de) 2019-12-24
CN110249404B (zh) 2021-06-22
JP6720901B2 (ja) 2020-07-08
JP2018152295A (ja) 2018-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47217B1 (en) Universal mount contact block with reversible protected wiring terminals
US10136539B2 (en) Electronic component assembly structure and electronic component
US9984842B2 (en) Electronic component assembly structure and electronic component
US9640342B2 (en) System comprising electronics housing and grounding contact assembly
US9509079B2 (en) Assembling structure of electronic component, electrical junction box, and electronic component
JP2015109182A (ja) カードコネクタ
US9805892B2 (en) Electronic component and electronic component assembly structure
JP4808805B2 (ja) 電気機械式接触器
EP2557580B1 (en) Switch
KR101733532B1 (ko) 전기 커넥터, 접속 대상물 유닛, 접속 대상물 유닛 집합체
JP3886667B2 (ja) 回路遮断器
KR20190096433A (ko) 트리거 스위치
KR102204698B1 (ko) 트리거 스위치
CN113555731A (zh) 母排结构及导电装置
JPH1092535A (ja) サービスプラグのレバー保持機構
JP2014059995A (ja) コンセント
CN113257637A (zh) 电路断路器
JP4803136B2 (ja) 配線器具
JPH0896688A (ja) 端子部を有した電気機器及びそれに用いる連結用端子カバー
CN215989457U (zh) 母排结构及导电装置
KR200397590Y1 (ko) 안전 콘센트
JP2017199471A (ja) プラグ
JP4859604B2 (ja) 端子台接続用装置
JP4330655B1 (ja) コンセント
CN110931990A (zh) 电气设备的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