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5037A -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device - Google Patents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5037A
KR20190095037A KR1020180014825A KR20180014825A KR20190095037A KR 20190095037 A KR20190095037 A KR 20190095037A KR 1020180014825 A KR1020180014825 A KR 1020180014825A KR 20180014825 A KR20180014825 A KR 20180014825A KR 20190095037 A KR20190095037 A KR 20190095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lament
linear
waste
e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8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42913B1 (en
Inventor
홍종훈
한재원
장채은
김용운
Original Assignee
홍종훈
장채은
김용운
한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훈, 장채은, 김용운, 한재원 filed Critical 홍종훈
Priority to KR1020180014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913B1/en
Publication of KR20190095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50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9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29D99/0078Producing filamentar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17/04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to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57Recyc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6Scrap or recycled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device, which comprises: an inlet unit through which waste filaments are introduced; a pulverizing unit disposed under the inlet unit and pulverizing the waste filament introduced into the inlet unit; a moving unit disposed under the pulverizing unit to move filament powder pulverized by the pulverizing unit; an elution unit for receiving and melting the filament powder moved by the moving unit to output linear filaments; and a commercialization unit winding the linear filament output by the elution unit.

Description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DEVICE}Integral waste filament recycling device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DEVICE}

폐 필라멘트 재활용 기기가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3D프린터의 폐 필라멘트 재료들을 재활용할 수 있는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가 개시된다.  Disclosed is a waste filament recycling machine. Specifically, an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is disclosed that can be integrally formed to recycle waste filament materials of a 3D printer.

3D 프린터는 2D프린터가 활자나 그림을 인쇄하듯이, 사용자가 입력한 도면을 바탕으로 3차원의 입체 물품을 만들어 내는 장치이다.A 3D printer is a device that produces a three-dimensional object based on a drawing input by a user, as a 2D printer prints a letter or a picture.

구체적으로, 3D 프린터의 인쇄 원리는, 잉크젯 프린터에서 디지털화 된 파일이 프린터로 전송되면 잉크를 종이 표면에 분사하여 2D이미지를 형성하는 원리와 유사하다. 2D 프린터의 잉크 노즐은 x축과 y축으로 운동하며 활자나 출력하지만, 3D 프린터의 노즐은 x축, y축에 더불어 z축 운동을 하여 입체 물품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Specifically, the printing principle of the 3D printer is similar to the principle of forming a 2D image by spraying ink onto a paper surface when a digitized file is transferred to the printer in an inkjet printer. The ink nozzle of the 2D printer moves in the x- and y-axis, and prints the type. However, the nozzle of the 3D printer can make a three-dimensional article by moving the z-axis along with the x and y axes.

3D 프린팅의 입체형태 구성 방식은 크게 적층형과 절삭형이 있으며, 적층형은 재료의 층을 쌓아 형태를 형성하는 방식이며, 절삭형은 큰 덩어리를 컴퓨터 수치제어 조각 방법으로 조각하는 방식이다. The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of 3D printing is largely stacked and cut. The stacked type is a method of stacking layers of materials to form a shape. The cutting type is a method of carving large chunks by computer numerically controlled engraving.

이중 적층형 3D 프린팅은 석고나 나일론과 같은 가루 파우너나 플라스틱 액체 또는 플라스틱 실을 층층이 쌓아 입체형상을 만들 수 있다. Dual-layer 3D printing can be three-dimensional by layering powdered powders such as gypsum or nylon, plastic liquids or plastic seals.

이러한 3D 프린트 산업이 성장하면서 3D 프린팅의 재료에 대한 수요도 점점 늘고 있다. 그러나, 3D 프린터 전문기업들에 따르면 3D 프린팅에 사용되는 필라멘트의 양 중 상당 수가 외부온도 요인, 설계 오류, 열 수축, 치수 오류, 재료 부족 등의 문제로 버려진다고 한다. As the 3D printing industry grows, the demand for materials for 3D printing is increasing. However, according to 3D printer specialists, many of the filaments used in 3D printing are abandoned due to external temperature factors, design errors, heat shrinkage, dimensional errors, and material shortages.

이에 따라, 최근에는 이러한 폐 필라멘트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Accordingly, in recent years, various methods for reducing such waste filaments have been developed.

이러한 폐 필라멘트를 줄이기 위한 방법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 10??1573923호 '해양산업용 필라멘트 폐기물을 재활용한 폴리머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개시되어 있다.A method for reducing such waste filaments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 ?? 1573923, 'Method for Producing Polymer Composition Recycling Filament Waste for Marine Industry'.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의 목적은 산업현장에서의 잘못된 설계나 열수축 현상에 의해 버려지는 폐 필라멘트를 재활용할 수 있는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to provide an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capable of recycling waste filaments discarded due to a faulty design or heat shrinkage phenomenon in an industrial site.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의 목적은 분쇄, 가열, 용출, 상품화를 한 번에 수행할 수 있는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to provide an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that can perform grinding, heating, dissolution, and commercialization at once.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의 다른 목적은 진동저감 구조를 통해 진동과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to provide an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vibration and noise through a vibration reducing structure.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의 다른 목적은 새로 생성되는 필라멘트의 출력 여부와 속도에 따라서 자동으로 상품화 될 수 있는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to provide a waste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that can be commercialized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output and speed of the newly generated filamen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는 폐 필라멘트가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부로 유입되는 폐 필라멘트를 분쇄하는 분쇄부, 상기 분쇄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분쇄부에 의해 분쇄된 필라멘트 가루를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의해 이동되는 필라멘트 가루를 수용하고 용융시켜서 선형필라멘트를 출력하는 용출부, 및 상기 용출부에 의해 출력되는 선형 필라멘트를 감는 상품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disposed in the inlet portion, the lower part of the inlet portion is introduced into the waste filament, the crushing unit for pulverizing the waste filament introduced into the inlet, the lower portion of the crushing unit A moving part arranged to move the filament powder pulverized by the grinding part, an elution part for receiving and melting the filament powder moved by the moving part to output a linear filament, and a linear filament output by the elution part The winding may include a commercialization unit.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는 필라멘트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용출부에서 출력된 선형 필라멘트가 상기 센서부의 감지 영역을 통과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으며, 선형 필라멘트가 상기 상품화부에 접촉되는 시간을 연산할 수 있고, 연산된 시간 후에 선형 필라멘트가 상기 상품화부에 접촉되면, 상기 상품화부는 회전되어 선형 필라멘트를 감을 수 있고 상기 센서부의 감지 영역에서 선형 필라멘트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상품화부의 회전이 정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unit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filament, the sensor unit to detect that the linear filament output from the elution unit passes through the sensing area of the sensor unit The linear filament may calculate a time for contacting the commercialization unit, and if the linear filament contacts the commercialization unit after the calculated time, the commercialization unit may be rotated to wind the linear filament and in the sensing area of the sensor unit. If the linear filament is not detected, the rotation of the commercialization unit may be stopped.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의 상기 이동부의 일측에는 상기 용출부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이동부는 파이프, 상기 파이프 내부에 배치되는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이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류는 상기 이동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분쇄부로부터 전달 받은 폐 필라멘트 가루를 상기 용출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uting portion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oving part of the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the moving part may include a pipe, a screw disposed inside the pipe, and a moving motor for rotating the screw. The screw may be rotated by the moving motor to move the waste filament powder received from the grinding unit to the elution unit.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는 상기 용출부에서 출력되는 선형 필라멘트를 상기 상품화부로 전달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용출부에서 출력되는 선형 필라멘트를 냉각시키는 냉각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guide unit for transmitting the linear filament output from the elution unit and a cooling fan for cooling the linear filament output from the elution unit.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의 상기 분쇄부의 하부에는 상기 분쇄부와 상기 이동부가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분쇄부를 지지하며 상기 분쇄부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동저감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part of the crushing unit of the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provided with a vibration reducing member for supporting the crushing unit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o reduce the vibration of the crushing unit.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에 의하면, 산업현장에서의 잘못된 설계나 열수축 현상에 의해 버려지는 폐 필라멘트를 재활용할 수 있는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capable of recycling waste filaments discarded due to an incorrect design or heat shrinkage phenomenon in an industrial site may be provided.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에 의하면, 분쇄, 가열, 용출, 상품화를 한 번에 수행할 수 있는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grinding, heating, dissolution, and commercialization at a time may be provided.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에 의하면, 진동저감 구조를 통해 진동과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vibration and noise through a vibration reducing structure may be provided.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에 의하면, 새로 생성되는 필라멘트의 출력 여부와 속도에 따라서 자동으로 상품화 될 수 있는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aste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that can be commercialized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output and speed of the newly generated filament.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예 따른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의 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에서 폐 필라멘트가 재활용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3 is an enlarged view of an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waste filaments are recycled in an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If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between compon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Components included in any one embodiment and components including common functions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names in other embodiments. Unless stated to the contrary, the description in any one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overlapping range.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100)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100)는 스위치 몸체부(190), 유입부(110), 분쇄부(120), 이동부(130), 용출부(140), 가이드부(150), 냉각팬(160), 센서부(170) 및 상품화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switch body 190, an inlet 110, a crusher 120, a moving unit 130, and an elution unit 140. The guide unit 150 may include a cooling fan 160, a sensor unit 170, and a commercialization unit 180.

스위치는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switch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100.

몸체부(190)는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100)가 산업현장에서 안정적으로 작업 및 유지될 수 있도록 작업공간에 고정되거나 하면에 고무 파킹을 구비하여 작업도중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90) 상에는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100)의 구성들이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Body portion 190 is fixed to the work space so that the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100 can be stably worked and maintained in the industrial site can be provided with a rubber parking on the bottom to maintain the position during work. In addition, the components of the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100 may be firmly fixed on the body 190.

유입부(110)는 상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유입부(110)의 상부는 유입부(110)의 하부 보다 개구의 넓이가 넓어서 보다 대용량의 작업을 처리할 수 있다. The inlet 110 may have an open top. Preferably, the upper portion of the inlet 110 has a wider opening than the lower portion of the inlet 110 so that a larger amount of work can be processed.

분쇄부(120)는 유입부(11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유입부(110)와 연통될 수 있다. 분쇄부(120)의 내부에는 유입되는 필라멘트(F)를 분쇄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분쇄기어가 맞물리게 설치될 수 있다. 분쇄기어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면 유입부(110)를 통해 유입되는 필라멘트(F)는 분쇄기어의 이에 의해 분쇄기어와 분쇄기어 사이로 인입될 수 있으며, 이 단계에서 필라멘트(F)는 분쇄될 수 있다.The crushing unit 120 may be disposed below the inlet 110 and may communicate with the inlet 110. A plurality of grinding gears may be engaged with the grinding unit 120 so as to grind the introduced filament F. When the grinding gear is rotated in different directions, the filament F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10 may be introduced between the grinding gear and the grinding gear by the grinding gear, and the filament F may be crushed in this step.

분쇄부(120)는 진동저감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고, 진동저감부재(122)를 통해 몸체부(19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진동저감부재(122)는 고무관, 쇼바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분쇄부(120)와 분쇄부(120) 아래의 이동부(130)가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분쇄부(120)의 위치를 지지할 수 있다. 진동저감부재(122)는 분쇄부(120)의 하부에 배치되어서 분쇄부(120)의 분쇄에 따른 진동이 몸체부(190)나 다른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10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rushing unit 120 may include a vibration reducing member 122, it may be fixed on the body portion 190 through the vibration reducing member 122. Vibration reducing member 122 may be composed of a rubber tube, a shobar, etc., the location of the crushing unit 120 so that the crushing unit 120 and the moving unit 130 below the crushing unit 120 is kep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Can support The vibration reducing member 122 may be disposed under the pulverization unit 120 to prevent the vibration caused by the pulverization of the pulverization unit 120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body unit 190 or other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100. have.

이동부(130)는 분쇄부(12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일면이 개방되어 분쇄부(120)를 지나서 분쇄된 필라멘트(F)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부(130)는 스크류 펌프일 수 있으며, 이동부(130)에 수용된 분쇄 필라멘트(F)는 이동부(130)에 의해, 이동부(130)의 일 측에 연결되어 연통되는 용출부(14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부(130)의 상세한 구성은 아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The moving unit 130 may be disposed below the crushing unit 120, and one surface of the moving unit 130 may be opened to receive the crushed filament F past the crushing unit 120. For example, the moving part 130 may be a screw pump, and the crushed filament F accommodated in the moving part 130 is eluted connected to and communicated with one side of the moving part 130 by the moving part 130. It may be delivered to the unit 140.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oving unit 1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below.

용출부(140)의 내부는 비어있을 수 있으며, 용출부(140) 내부 비어있는 공간에 분쇄된 필라멘트(F)가 유입될 수 있고, 용출부(140)는 필라멘트(F)를 용융시키기 위하여 가열될 수 있다. 또한, 용출부(140)는 용융된 필라멘트(F)가 선형으로 출력되도록 일 면에 배출구(142)를 구비할 수 있다. 용융된 필라멘트(F)는 이러한 배출구(142)를 통해 용출부(140)의 밖 가이드부(150)로 배출될 수 있으며, 배출구(142)는 사용자가 원하는 필라멘트(F)의 직경이나 모양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The inside of the elution unit 140 may be empty, the pulverized filament (F) may be introduced into the empty space inside the elution unit 140, the elution unit 140 is heated to melt the filament (F) Can be. In addition, the elution unit 140 may be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142 on one surface so that the molten filament (F) is output linearly. The molten filament (F) can be discharged to the outer guide portion 150 of the elution portion 140 through the outlet 142, the outlet 142 according to the diameter or shape of the filament (F) desired by the user can be changed.

가이드부(150)는 용출부(140)의 단부 부분에 배치될 수 있고, 배출구(142)를 통해 출력되는 선형 필라멘트(F)가 상품화부(180)를 향하도록 선형 필라멘트(F)를 이동시킬 수 있다. The guide part 150 may be disposed at an end portion of the elution part 140 and may move the linear filament F so that the linear filament F output through the outlet 142 faces the merchandising part 180. Can be.

이러한 가이드부(150)에 대한 자세한 구성은 아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guide unit 1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below.

냉각팬(160)은 가이드부(150)의 근처에 배치되며, 용출부(140)에 의해 출력된 뜨거운 용융된 필라멘트(F)를 냉각시켜 필라멘트(F)가 선형 형상을 가지도록 경화시킬 수 있다.The cooling fan 160 is disposed near the guide part 150, and may cool the hot melted filament F output by the elution part 140 to cure the filament F to have a linear shape. .

상품화부(180)는 용출부(140)에서 출력되며 가이드부(150)에 의해 상품화부(180)로 전달되는 선형 필라멘트(F)를 감을 수 있다. 상품화부(180)는 탈착 가능한 롤이 구비될 수 있으며, 롤에는 선형필라멘트(F)가 고정될 수 있는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선형 필라멘트(F)가 슬릿에 도달하면 상품화부(180)는 회전될 수 있다. The commercialization unit 180 may wind the linear filament F output from the elution unit 140 and transmitted to the commercialization unit 180 by the guide unit 150. Commercialization unit 180 may be provided with a detachable roll, the roll may be formed with a slit in which the linear filament (F) can be fixed. When the linear filament F reaches the slit, the commercialization unit 180 may be rotated.

따라서, 선형 필라멘트(F)는 롤의 슬릿으로 인입될 수 있고, 롤에 인입된 선형 필라멘트(F)는 롤의 회전에 의해 꺾여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계속되는 상품화부(180)의 회전에 의해 선형 필라멘트(F)는 롤에 감길 수 있다.Therefore, the linear filament F can be drawn into the slit of the roll, and the linear filament F drawn into the roll can be bent and fixed by the rotation of the roll. In addition, the linear filament F may be wound on a roll by the subsequent rotation of the commercialization unit 180.

사용자는 이러한 롤을 상품화부(180)로부터 제거하여 상품화 시킬 수 있다. The user may commercialize the roll by removing it from the merchandising unit 180.

센서부(170)는 상품화부(180)를 향해 진행하는 선형 필라멘트(F)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170 may detect the movement of the linear filament F traveling toward the merchandising unit 180.

구체적으로, 센서부(170)는 예를 들어 포토센서(PM??R24)일 수 있으며, 가이드부(150)를 통해 진행하는 선형 필라멘트(F)의 형상을 감지하여 선형 필라멘트(F)가 상품화부(180) 도달하는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ensor unit 170 may be, for example, a photosensor (PM ?? R24), the linear filament (F) is a product by detecting the shape of the linear filament (F) running through the guide unit 150 The time to reach the fire unit 180 may be predicted.

또한, 선형 필라멘트(F)의 재가공(재활용)이 끝나는 경우, 센서부(170)는 가이드부(150)를 통해 진행하는 선형 필라멘트(F)의 형상을 감지하여 선형 필라멘트(F)가 상품화부(180)에 완전히 감기는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reprocessing (recycling) of the linear filament (F) is finished, the sensor unit 170 detects the shape of the linear filament (F) proceeding through the guide unit 150, the linear filament (F) is a commercialization unit ( 180)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time to fully winding.

센서부(170)에 의해 상품화부(180)는 롤과 선형 필라멘트(F)와의 접촉을 인지할 수 있고, 접촉이 인지된 후 상품화부(180)가 회전되어 롤에 선형 필라멘트(F)를 감을 수 있다. 또한, 센서부(170)에 의해 상품화부(180)는 분쇄 및 용출 종료를 인지할 수 있고, 분쇄와 용출이 종료된 후 상품화부(180)의 회전은 정지될 수 있다.By the sensor unit 170, the commercialization unit 180 can recognize the contact between the roll and the linear filament (F), and after the contact is recognized, the commercialization unit 180 is rotated to wind the linear filament (F) on the roll Can be. In addition, by the sensor unit 170, the commercialization unit 180 may recognize the end of the grinding and dissolution, the rotation of the commercialization unit 180 may be stopped after the grinding and dissolution is finished.

또한, 상품화부(180)의 정지와 함께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100)의 모든 구성은 작동이 정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all the components of the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100 with the stop of the commercialization unit 180 can be stopped.

도 2는 일 실시예예 따른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100)의 투시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여, 이동부(130)는 파이프(132), 스크류(134), 이동모터(136) 및 받침대(138)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moving unit 130 may include a pipe 132, a screw 134, a moving motor 136, and a pedestal 138.

스크류(134)는 파이프(132)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고, 이동모터(136)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The screw 134 may be located inside the pipe 132 and may be rotated by the moving motor 136.

파이프(132)는 받침대(138)에 의해 몸체부(190)에서 이격될 수 있다. Pipe 132 may be spaced apart from body portion 190 by pedestal 138.

구체적으로, 이동부(130)의 위에 배치된 분쇄부(120)에서 분쇄된 필라멘트(F)가 떨어지면, 분쇄부(120) 아래에서 부분적으로 윗 부분이 개방되는 파이프(132)로 분쇄된 필라멘트(F)가 안착될 수 있다. 즉, 파이프 내에 배치되는 스크류(134) 상에 안착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filament F crushed in the crushing unit 120 disposed on the moving unit 130 falls, the filament crushed into the pipe 132 partially open under the crushing unit 120 ( F) can be seated. That is, it can be seated on the screw 134 disposed in the pipe.

이동모터(136)는 스크류(134)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동모터(136)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134)는 분쇄된 필라멘트(F)를 이동모터(136)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용출부(140)로 이동시킬 수 있다. The moving motor 136 may provide a rotational force to the screw 134, and the screw 134 rotated by the moving motor 136 elutes the crushed filament F to the opposite side of the moving motor 136. It may move to the unit 140.

이동부(130)는 용출부(140)의 열에 의해 이동부(130) 내부에서 이동되는 필라멘트(F)들이 용출부(140)에 도달하기 전에 미리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방열 처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부(130)의 파이프(132)는 내열 실리콘으로 방열 처리되어 용출부(140)에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할 수 있다.The moving part 130 may be heat-dissipated to prevent the filaments F, which are moved inside the moving part 130, from being heated before reaching the elution part 140 by the heat of the elution part 140. Specifically, the pipe 132 of the moving unit 130 may be heat treated with heat-resistant silicon to block heat transmitted from the elution unit 140.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100)의 확대도이다.3 is an enlarged view of the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여, 가이드부(150)는 컨베이어(152), 롤러(154), 가이드관(156) 및 지지부재(158)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guide part 150 may include a conveyor 152, a roller 154, a guide tube 156, and a support member 158.

컨베이어(152)는 용출부(140)의 배출구(142) 전방에 배치되며, 배출구(142)로부터 출력되는 선형 필라멘트(F)를 안착시킨다. 컨베이어(152)는 컨베이어(152) 상에 안착되는 선형 필라멘트(F)를 컨베이어(152)의 일 측에 배치되는 롤러(154)로 전달한다. The conveyor 152 is disposed in front of the outlet 142 of the elution unit 140 and seats the linear filament F output from the outlet 142. The conveyor 152 transfers the linear filament F seated on the conveyor 152 to the roller 154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onveyor 152.

롤러(154)는 선형 필라멘트(F)가 가이드관(156)으로 무사히 이동되도록 선형 필라멘트(F)를 안내한다. The roller 154 guides the linear filament F so that the linear filament F moves safely to the guide tube 156.

롤러(154)를 지나는 선형 필라멘트(F)는 가이드 관(156)을 통해 진행할 수 있으며, 센서부(170)의 감지 영역을 지나갈 수 있다. The linear filament F passing through the roller 154 may proceed through the guide tube 156, and may pass through the sensing region of the sensor unit 170.

센서부를 지나는 선형 필라멘트(F)는 지지부재(158)에 의해 지지되어 상품화부(180)로 진행될 수 있다. The linear filament F passing through the sensor unit may be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158 and proceed to the commercialization unit 180.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100)에서 폐 필라멘트(F)가 재활용되는 상태를 도시한다.4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waste filament F is recycled in the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100)에서 폐 필라멘트(F)가 재활용되는 방법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recycling the waste filament F in the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를 참조하여,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100)의 동작이 스위치에 의해 시작되면, 유입부(110)에 인입되는 폐 필라멘트 덩어리(F)가 분쇄부(120)에 의해 분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when an operation of the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100 is started by a switch, the waste filament mass F introduced into the inlet 110 may be crushed by the crusher 120.

분쇄된 필라멘트 가루(F)는 이동부(130)의 스크류(134) 상에 떨어질 수 있으며, 이동모터(136)가 스크류(134)를 회전 시킴으로써, 필라멘트 가루(F)는 파이프(132)를 통과하여 용출부(140)에 인입될 수 있다.The crushed filament powder (F) may fall on the screw 134 of the moving unit 130, the moving motor 136 by rotating the screw 134, the filament powder (F) passes through the pipe 132 To be introduced into the elution unit 140.

용출부(140)에 인입된 필라멘트 가루(F)는 가열되어 용융될 수 있고, 용융된 액체 필라멘트(F)는 용출부(140)의 배출구(142)로 방출될 수 있다. The filament powder F introduced into the elution unit 140 may be heated and melted, and the molten liquid filament F may be discharged to the outlet 142 of the elution unit 140.

용출부(140)의 배출구(142)로부터 배출되는 액체 필라멘트(F)는 배출구(142)의 전방 아래에 위치되는 컨베이어(152) 상에 안착될 수 있으며, 안착된 액체 필라멘트(F)는 컨베이어 주변에 배치되는 냉각팬(160)에 의해 냉각되어 선형 필라멘트(F)가 될 수 있다. The liquid filament F discharged from the outlet 142 of the elution unit 140 may be seated on the conveyor 152 positioned below the front of the outlet 142, and the seated liquid filament F may be around the conveyor. Cooled by the cooling fan 160 disposed in the may be a linear filament (F).

냉각팬(160)에 의해 경화된 선형 필라멘트(F)는 컨베이어(152)에 의해 롤러(154)로 진행될 수 있으며, 롤러(154)에 의해 가이드관(156)으로 인입될 수 있다. The linear filament F cured by the cooling fan 160 may be advanced to the roller 154 by the conveyor 152, and may be drawn into the guide tube 156 by the roller 154.

가이드 관(156)을 통과한 선형 필라멘트(F)는 센서부(170)의 감지 영역을 지날 수 있으며, 선형 필라멘트(F)의 출력을 확인한 센서부(170)는 선형 필라멘트(F)가 상품화부(180)에 장착되는 롤의 슬릿에 도달하는 시간을 계산하여 상품화부(180)의 회전을 작동시킬 수 있다. The linear filament F passing through the guide tube 156 may pass through the sensing region of the sensor unit 170. The sensor unit 170 confirming the output of the linear filament F may have a linear filament F. The rotation of the merchandising unit 180 may be operated by calculating the time to reach the slit of the roll mounted on the 180.

센서부(170)의 감지 영역을 지난 선형 필라멘트(F)는 지지부재(158)에 의해 롤의 슬릿에 도달할 수 있고, 선형 필라멘트(F)가 롤의 슬릿 내로 인입된 후 상품화부(180)는 회전될 수 있다.The linear filament F passing through the sensing area of the sensor unit 170 may reach the slit of the roll by the support member 158, and the linear filament F may be introduced into the slit of the roll, and then the commercialization unit 180 may be used. Can be rotated.

폐 필라멘트(F)의 공급이 끝나고 용출부(140)에서 선형 필라멘트(F)의 출력이 끝나게 되면 마지막 선형 필라멘트(F)의 끝 단이 센서부(170)의 감지 영역을 지나게 된다. When the supply of the waste filament (F) is finished and the output of the linear filament (F) in the elution unit 140 is finished, the end of the last linear filament (F) passes through the sensing area of the sensor unit 170.

센서부(170)는 이러한 선형 필라멘트(F)의 끝 단을 감지하여 일정 시간 뒤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100)의 구동을 종료시킬 수 있다.The sensor unit 170 may detect the end of the linear filament F to terminate the driving of the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100 after a predetermined time.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에 따르면,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는 산업현장에서의 잘못된 설계나 열수축 현상에 의해 버려지는 폐 필라멘트를 재활용할 수 있고, 간편하게 분쇄, 가열, 용출, 상품화를 한 번에 수행할 수 있으며, 진동저감 구조를 통해 진동과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can recycle the waste filaments discarded due to a faulty design or heat shrinkage phenomenon in an industrial site, and is easily crushed, heated, eluted, and commercialized. It can be performed at once, and vibration and noise can be reduced through the vibration reduction structure.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에 따르면,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는 새로 생성되는 필라멘트의 출력 여부와 속도에 따라서 필라멘트를 자동으로 상품화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may automatically commercialize the filament according to the output and speed of the newly generated filamen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y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se are provided only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 / 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tructure, apparatus, etc.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may be combined with other components or equivalents.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even if they are replaced or substituted. 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of the equivalent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
110 : 유입부
120 : 분쇄부
122 : 진동저감부재
130 : 이동부
132 : 파이프
134 : 스크류
136 : 이동모터
138 : 받침대
140 : 용출부
142 : 개구
150 : 가이드부
152 : 컨베이어
154 : 롤러
156 : 가이드관
158 : 지지부재
160 : 냉각팬
170 : 센서부
180 : 상품화부
190 : 몸체부
F : 필라멘트
100: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device
110: inlet
120: crushing unit
122: vibration reducing member
130: moving part
132: pipe
134: screw
136: moving motor
138: pedestal
140: eluting part
142 opening
150: guide part
152: Conveyor
154: roller
156: guide tube
158: support member
160: cooling fan
170: sensor unit
180: commercialization department
190: body portion
F: filament

Claims (5)

폐 필라멘트가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부로 유입되는 폐 필라멘트를 분쇄하는 분쇄부;
상기 분쇄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분쇄부에 의해 분쇄된 필라멘트 가루를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의해 이동되는 필라멘트 가루를 수용하고 용융시켜서 선형필라멘트를 출력하는 용출부; 및
상기 용출부에 의해 출력되는 선형 필라멘트를 감는 상품화부;
를 포함하는,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
An inlet through which waste filament is introduced;
A pulverizing unit disposed under the inlet and pulverizing the waste filaments introduced into the inlet;
A moving unit disposed under the crushing unit to move the filament powder pulverized by the crushing unit;
An elution part for receiving and melting the filament powder moved by the moving part to output a linear filament; And
A commercialization unit winding a linear filament output by the elution unit;
Including,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제 1항에 있어서,
필라멘트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용출부에서 출력된 선형 필라멘트가 상기 센서부의 감지 영역을 통과하는 것을 감지하고, 선형 필라멘트가 상기 상품화부에 접촉되는 시간을 연산하며,
연산된 시간 후에 선형 필라멘트가 상기 상품화부에 접촉되면, 상기 상품화부는 회전되어 선형 필라멘트를 감고,
상기 센서부의 감지 영역에서 선형 필라멘트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상품화부의 회전이 정지되는,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nsor unit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filament,
The sensor unit detects that the linear filament outputted from the elution unit passes through the sensing area of the sensor unit, and calculates a time for the linear filament to contact the commercialization unit,
If the linear filament is in contact with the merchandising unit after the calculated time, the merchandising unit is rotated to wind the linear filament,
If the linear filament is not detected in the sensing area of the sensor unit, the rotation of the commercialization unit is stopped,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의 일측에는 상기 용출부가 배치되고,
상기 이동부는,
파이프;
상기 파이프 내부에 배치되는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이동모터;
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는 상기 이동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분쇄부로부터 전달 받은 폐 필라멘트 가루를 상기 용출부로 이동시키는,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elution par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oving part,
The moving unit,
pipe;
A screw disposed inside the pipe; And
A moving motor for rotating the screw;
Including;
The screw is rotated by the moving motor, to move the waste filament powder received from the grinding unit to the elution unit, integral waste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출부에서 출력되는 선형 필라멘트를 상기 상품화부로 전달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용출부에서 출력되는 선형 필라멘트를 냉각시키는 냉각팬을 더 포함하는,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cooling fan for cooling the linear filament output from the eluting unit and a guide unit for transmitting the linear filament output from the eluting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의 하부에는 상기 분쇄부와 상기 이동부가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분쇄부를 지지하며 상기 분쇄부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동저감부재가 구비되는,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ower part of the crushing unit is provided with a vibration reducing member for supporting the crushing unit so that the crushing unit and the moving unit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o reduce the vibration of the crushing unit, integral waste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KR1020180014825A 2018-02-06 2018-02-06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device KR1020429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825A KR102042913B1 (en) 2018-02-06 2018-02-06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825A KR102042913B1 (en) 2018-02-06 2018-02-06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037A true KR20190095037A (en) 2019-08-14
KR102042913B1 KR102042913B1 (en) 2019-11-08

Family

ID=67622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825A KR102042913B1 (en) 2018-02-06 2018-02-06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913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21171A (en) * 2020-12-09 2021-04-30 徐州工程学院 A roll up silk all-in-one for regeneration of plastic waste
CN114211752A (en) * 2021-11-11 2022-03-22 康硕(德阳)智能制造有限公司 Recovery unit of 3D printing consumables
CN114393834A (en) * 2020-10-07 2022-04-26 乔伊斯有限公司 Material silk regenerating uni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322B1 (en) * 2013-10-21 2015-04-22 주식회사 해나라 Filament manufacturing apparatus of wasted-rope
KR101582609B1 (en) * 2015-06-12 2016-01-05 주식회사 리뉴캔 Recycling apparatus for materials of 3-d printer
KR20180009832A (en) * 2016-07-19 2018-01-30 진광식 filament winding device, 3D printer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using thereof and control system for 3D printer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322B1 (en) * 2013-10-21 2015-04-22 주식회사 해나라 Filament manufacturing apparatus of wasted-rope
KR101582609B1 (en) * 2015-06-12 2016-01-05 주식회사 리뉴캔 Recycling apparatus for materials of 3-d printer
KR20180009832A (en) * 2016-07-19 2018-01-30 진광식 filament winding device, 3D printer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using thereof and control system for 3D printer filament recycling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93834A (en) * 2020-10-07 2022-04-26 乔伊斯有限公司 Material silk regenerating unit
CN112721171A (en) * 2020-12-09 2021-04-30 徐州工程学院 A roll up silk all-in-one for regeneration of plastic waste
CN114211752A (en) * 2021-11-11 2022-03-22 康硕(德阳)智能制造有限公司 Recovery unit of 3D printing consumab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2913B1 (en) 2019-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2913B1 (en) Integrated waste filament recycling device
US11014287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dditively manufacturing rubber
Günaydın et al. Common FDM 3D printing defects
CN103038012B (en) The machine of processing block or tabular material and the processing method implemented by this machine
CN102754039A (en) A predictive control and virtual display system for a numerically controlled machine tool
CN104226996A (en) Device and method for use of impeller of laser 3D (three dimensional) -printing pump
CN103909268A (en) Large-size solid-state free forming printer for metal powder slurry and printing method
ITVR20100136A1 (en) POLISHED MACHINE
CN206426464U (en) Smooth component and 3D printing device
KR20150098340A (en) Nozzle unit with auto-leveller and material cooling unit
EP3684594A1 (en) Emptying vessels in a build device
JP4507318B2 (en) Cutting machine
KR101582609B1 (en) Recycling apparatus for materials of 3-d printer
EP3479992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cycling plastic materials
KR102197675B1 (en) Manufacturing apparatus for knife roller
KR20170000223A (en) Three-dimensional Printer with a sensor for detecting the normal operation of the printing nozzle unit
JP5330555B2 (en) Grinder
CN107953546B (en) A method of improving stock utilization
KR101838884B1 (en) Automatic cutting device of surface grinding machine
KR200256312Y1 (en) Materials supply device of rolling machine
WO2019022761A1 (en) Three-dimensional printer with conveyance
US3151422A (en) Apparatus for positioning grinding disks
KR20190036838A (en) Three-dimensional object
KR101709850B1 (en) Injector for bag filters
JP6098976B2 (en) Portal grin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grinding workpieces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