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4861A - 표층수의 통수로를 구비한 수상 구조물 - Google Patents

표층수의 통수로를 구비한 수상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4861A
KR20190094861A KR1020180014503A KR20180014503A KR20190094861A KR 20190094861 A KR20190094861 A KR 20190094861A KR 1020180014503 A KR1020180014503 A KR 1020180014503A KR 20180014503 A KR20180014503 A KR 20180014503A KR 20190094861 A KR20190094861 A KR 20190094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water
pipe
pipe assembly
buoyanc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5767B1 (ko
Inventor
이현상
Original Assignee
이현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상 filed Critical 이현상
Priority to KR1020180014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767B1/ko
Publication of KR20190094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14Fishing vessels
    • B63B35/24Fish ho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83/00Rebuilding or retrofitting vessels, e.g. retrofitting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s
    • B63B83/40Rebuilding or retrofitting vessels, e.g. retrofitting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s for reducing risks of pollution or contamination; for improving safety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상 가두리 양식장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상에 부상하여 내측 영역(F)을 구획하는 가두리 프레임(20)을 구비하고, 가두리 프레임(20)은 별개의 부력체의 도움없이 자체의 부력으로 수면(W)에 부상하도록, 각각 밀폐된 내부 공간을 가진 복수의 PE 부력관 유닛(21A,21B)들이 내측 영역(F)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렬로 연속배치되고, 인접하는 부력관 유닛(21A,21B)들의 선단면들끼리 접합되어 일체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부력관 조립체(20A,20B)를 포함하고,
상기 부력관 조립체(20A,20B)는 양 선단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2개의 부력관 유닛(21A,21B) 사이에 부력관 조립체의 내외측 표층수를 통과시키는 통수관(22A,22B)이 연결된 것이다.

Description

표층수의 통수로를 구비한 수상 구조물{ an off-shore floating structure having a passage for surface water flow}
본 발명은 표층수의 통수로를 구비한 수상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두리 양식장, 부잔교, 부유식 소파제, 수상 펜션 구조물과 같이, 내부에 밀폐된 공간을 가지는 부력체를 일렬로 연속적으로 또는 폐곡형으로 연결하여 만든 수상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소파제, 가두리 양식장, 수상 펜션 등과 같은 수상 구조물은 그 구조물을 수상에 부상시켜 주는 부력체를 가진다. 이러한 수상 구조물의 부력체는 통상 아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밀폐되어 폴리에틸렌(PolyEthylene) 관을 일렬로 연결한 것을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수상 가두리 양식장의 경우, 아래 특허문헌 1의 공보, 도 3에 개시된 바와 같이, 폐곡형으로 연결된 지지파이프(2)에, 복수개의 원기둥 형상의 부력체(1)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로프(3)로 결박하여 구성한 가두리 프레임상에 다수개의 발판(10)을 얹고 그 발판(10)들을 각각 지지파이프(2)에 보울트로 체결하여 고정한 것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수상 가두리 양식장은 지지파이프(2)와 부력체(1)를 각각 별도로 제작하여 부력체(1)와 지지파이프(2)의 결박작업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하여야 하므로, 제작이 불편할 뿐아니라 제작에 긴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이 종래의 수상 가두리 양식장은 수상(특히, 해수면)에 설치한 상태에서 지지파이프(2)에 파도, 및 조류에 의한 횡력이 장기간 반복적으로 작용하므로, 시간이 경과하면, 부력체(1)를 지지파이프(2)에 결박한 로프가 횡력에 의해 느슨하게 풀어지거나 완전히 풀어져 부력체(1)가 지지파이프(2)에서 분리됨으로써 양식장 구조물 전체가 손상되고, 또한 분리된 부력체(1)는 조류나 파도에 떠밀려 해양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된다.
상기 종래의 가두리 양식장의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두리 양식장 프레임을, 프레임 기능과 부력체 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중공형 부력관을 일렬로 연결하여 폐곡형 형태로 구성한 것이 제안되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가두리 양식장용 프레임은 내외측 영역을 차단하는 폐곡형 형태를 이루는 구조상, 가두리 양식장의 운용 과정에서 프레임 내측 영역의 수면에 부유물(죽은 고기, 양식 사료 등에서 발생하는 거품 등)이 발생하는 경우, 그 부유물을 일일이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수거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폐곡형 구조의 가두리 프레임의 경우, 기 설치한 그물을 교체할 경우, 기 설치한 그물을 프레임 위쪽으로 들어올려 교체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그물 교체작업이 매우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폐곡형 구조를 가진 가두리 프레임이 가진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두리 프레임을, 길이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분리된 복수개의 부력관을 지지 브라켓에 얹혀져 고정되는 발판부재로써 결합하여 구성하는 경우, 파도 또는 조류에 의한 횡압(횡력)이 프레임에 전체적으로 분산되지 못하고, 부분적으로 편중되어 프레임을 파손시키는 문제가 있다.
KR 20-0450479 B
본 발명은 종래의 수상 가두리 양식장과 같은 수상 구조물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조류나 파도 등에 의한 외력에 대한 강도와 부력을 유지하고, 가두리 내측 영역의 표층의 부유물을 가두리 외측으로 배출할 수 있어 가두리 내측의 표층 오염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수상 구조물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상에 부상하여 내측 영역을 구획하는 프레임을 구비한 수상 구조물이고,
상기 프레임은, 별개의 부력체의 도움없이 자체의 부력으로 수면에 부상하도록, 각각 밀폐된 내부 공간을 가진 복수의 PE(폴리에틸렌) 부력관 유닛들이 내측 영역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렬로 연속배치되고, 인접하는 부력관 유닛들의 선단면들끼리 접합되어 일체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부력관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부력관 조립체는 양 선단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1쌍의 부력관 유닛 사이에 부력관 조립체의 내외측 표층수를 통과시키는 통수관이 연결된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통수관이, 서로 이격된 1쌍의 부력관 유닛의 각 선단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중심축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형성된 통수로를 가진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부력관 조립체가, 내측 부력관 조립체와, 상기 내측 부력관 조립체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내측 부력관 조립체에 평행하게 배치된 외측 부력관 조립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수관은 외측 부력관 조립체에 연결된 외측 통수관과, 상기 내측 부력관 조립체에 연결된 내측 통수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측 통수관과 내측 통수관은 각각의 통수로가 동일 중심축상에 배치되어 내측 영역의 표층수가 내측 영역 외측으로 유동할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부력관 조립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설치되고, 각각은 상면에 발판 부재가 얹혀 고정설치되고, 상면의 한쪽 또는 양쪽 가장자리에 가드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포스트가 직립 설치되는 지지 브라켓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측 영역의 표층수가 조류에 따라 내측 영역 에서 외측 영역으로 자연적으로 유동하므로, 프레임 내측 영역 내의 부유물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가두리 양식장의 평면이고,
도 3은 도 2의 'X-X'선 방향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가두리 양식장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부력관 유닛과 통수관의 결합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도 2의 "A"부 확대도이고,
도 5는 부력관 유닛과 통수관의 결합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도 3의 "B"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1의 부력관 조립체의 상측에 발판부재를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로서, 일부 발판부재는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부력관 유닛과 통수관의 결합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상 가두리 양식장에 대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면부호 100은 본 발명의 수상 구조물의 일예로서 수상 가두리 양식장 전체를 지칭하고, 도면부호 20A는 가두리 영역(내측 영역)을 구획하는 가두리 프레임중 내측 부력관 조립체를 지칭하고, 도면부호 20B는 내측 부력관 조립체의 외측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둘러싸게 배치된 외측 부력관 조립체를 지칭한다. 그리고 도면부호 20은 내측 부력관 조립체(20A)와 외측 부력관 조립체(20B)의 1조로 이루어진 가두리 프레임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상 가두리 양식장(100)은, 가두리 프레임(20)이 내측 부력관 조립체(20A)와 외측 부력관 조립체(20B)의 1조로 이루어진 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두리 프레임이 하나의 부력관 조립체로 이루어진 것도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가두리 프레임(20)이 폐(閉) 다각형 또는 원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각형 형태로 이루어진 것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두리 프레임(20)은 별도의 부력체의 도움없이 자체의 부력으로 수면에 부상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력관 조립체(20A, 20B)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수상 가두리 양식장(100)은 가두리 그물(N)이 상기 가두리 프레임(20)이 형성하는 가두리 영역(F)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면 아래로 침하되게 설치된다.
상기 가두리 프레임(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두리 영역(F)을 구획하는 내측 부력관 조립체(20A)와, 상기 내측 부력관 조립체(20A)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내측 부력관 조립체(20A)의 외측을 둘러싸게 배치된 외측 부력관 조립체(20B)와, 상기 내/외측 부력관 조립체(20A, 20B)들을 일체로 고정하는 복수개의 지지 브라켓(30)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부력관 조립체(20A)는, 각각이 밀폐된 내부공간을 가지고 가두리 영역(F)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렬로 배치되어 인접하는 선단끼리 서로 결합되는 복수개의 부력관 유닛(21A)과,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2개의 부력관 유닛(21A)들의 인접하는 양단 사이에 연결된 내측 통수관(22A)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외측 부력관 조립체(20B)도, 각각 밀폐된 내부공간을 가지고 상기 내측 부력관 조립체(20A)의 외측에 내측 부력관 조립체(20A)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고 인접하는 선단끼리 서로 결합되는 복수개의 부력관 유닛(21B)과,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2개의 부력관 유닛(21B)들의 인접하는 양단 사이에 연결된 외측 통수관(22B)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내/외측 부력관 조립체(20A, 20B)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조립되는 복수개의 지지 브라켓(30)에 의해 일체로 지지되어 고정된다.
각 지지 브라켓(30)은 하부에 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둔 2개의 관통구멍을 구비하여, 이들 관통구멍에 내/외측 부력관 조립체(20A, 20B)의 각 부력관 유닛(21A, 21B)들을 끼워서 내/외측 부력관 조립체(20A, 20B)가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일체로 유지되게 고정한다.
상기 부력관 유닛(21A, 21B)은 자체의 부력을 가지고 수면에 부상하도록,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으로 압출성형하여 제조된 원형 관의 양단을 캡으로 밀폐한 구조로 된다. 또한, 지지 브라켓(30)도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으로 사출성형하여 만들어진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부력관 조립체(20A)에서 내측 통수관(22A)은 서로 인접하면서 이격된 2개의 부력관 유닛(21A)의 양 선단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부(23A)를 가지고, 상기 결합부(23A)의 중심선을 가로질러 가두리 영역과 가두리 영역의 외측을 서로 연통시키는 내측 통수로(24A)가 구비된다. 마찬가지로, 외측 부력관 조립체(20B)의 외측 통수관(22A)은 서로 인접하면서 이격된 2개의 부력관 유닛(21B)의 양 선단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부(23B)를 가지고, 상기 결합부(23B)의 중심축 방향을 가로질러 가두리 영역(F)과 가두리 영역의 외측 영역(O)을 서로 연통시키는 외측 통수로(24B)가 구비된다. 그리고, 내측 통수관(22A)과 외측 통수관(22B)은 각각의 통수로(24A, 24B)가 서로 중심축이 일렬로 정렬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내외측 통수관(22A, 22B)의 통수로(24A, 24B)는 부력관 유닛의 하중과 부력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면(W) 아래로 일부 잠긴 상태로 되어, 가두리 영역(F)의 표층수는 가두리 양식장(100)을 통과하여 흐르는 조류의 흐름을 따라 통수로(24A, 24B)를 통하여 가두리 외측 영역(O)으로 유출되면서, 가두리 영역(F)의 표층에 부유하는 부유 물질을 가두리 양식장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100)은, 가두리 프레임(20)를 따라 작업자가 안전하게 이동하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발판부재(40)와 가드레일(34)이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가두리 양식장(100)의 4변마다 일렬로 복수개가 설치된 각 지지 브라켓(30)의 상면에는 발판 설치부(32)가 구비되고, 발판 설치부(32)는 발판 부재(40)를 얹어 고정한다. 또, 각 지지 브라켓(30)은 상면의 폭방향 한쪽 또는 양쪽 가장자리에 포스트(33)가 직립 설치되고, 각 포스트(33)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봉상의 가드레일(34)이 관통설치된다.
그리고, 서로 마주보는 변에 배치되는 1쌍의 내/외측 부력관 조립체 사이에 보조 발판(50)이 설치되어 저면에 연결된 부력체(60)에 의해 수면위에 지지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가두리 양식장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가두리 양식장, 부잔교, 부유식 소파제, 수상 펜션과 같이, 내부에 밀폐된 공간을 가지는 부력관을 일렬로 연속적으로 또는 폐곡형으로 연결하여 부력체를 가진 수상 구조물을 포함한다.
100: 본 발명의 수상구조물의 일실시예로서, 수상 가두리 양식장
20: 프레임(가두리 프레임) 20A: 내측 부력관 조립체
20B: 외측 부력관 조립체 21A, 21B: 부력관 유닛
22A: 내측 통수관 22B: 외측 통수관
23A, 23B: 결합부 24A: 내측 통수로
24B: 외측 통수로 30: 지지 브라켓
32: 발판 설치부 33: 포스트
34: 가드레일 40: 발판부재
50: 보조 발판 60: 부력체
F: 내측 영역(가두리 영역) O: 외측 영역(가두리 외측 영역)
W: 수면

Claims (5)

  1. 수상에 부상하여 내측 영역(F)을 외측 영역(O)에 대하여 구획하는 프레임(20)을 구비한 수상 구조물(100)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은, 별개의 부력체의 도움없이 자체의 부력으로 수면(W)에 부상하도록, 각각 밀폐된 내부 공간을 가진 복수의 PE 부력관 유닛(21A, 21B)들이 가두리 영역(F)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렬로 연속배치되고, 인접하는 부력관 유닛들의 선단면들끼리 접합되어 일체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부력관 조립체(20A,20B)를 포함하고,
    상기 부력관 조립체(20A,20B)는 양 선단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2개의 부력관 유닛 사이에 부력관 조립체의 내외측 표층수를 통과시키는 통수관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수관은, 상기 이격된 1쌍의 부력관 유닛의 각 선단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중심축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형성된 통수로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관 조립체는, 내측 부력관 조립체(20A)와, 상기 내측 부력관 조립체(20A)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내측 부력관 조립체(20A)에 평행하게 배치된 외측 부력관 조립체(20B)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수관은 외측 부력관 조립체(20B)에 연결된 외측 통수관(22B)과, 상기 내측 부력관 조립체(20A)에 연결된 내측 통수관(22A)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측 통수관(22B)과 내측 통수관(22A)은 각각의 통수로(24B, 24A)가 동일 중심축상에 배치되어 내측 영역(F)의 표층수가 가두리 외측 영역(O)으로 유동할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관 조립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설치되고, 각각은 상면에 발판 부재(40)가 얹혀 고정설치되고, 상면의 한쪽 또는 양쪽 가장자리에 가드레일(34)을 지지하기 위한 포스트(33)가 직립 설치되는 지지 브라켓(3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 구조물(100)은, 가두리 양식장, 부잔교, 수상 펜션 및 부유식 소파제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구조물.
KR1020180014503A 2018-02-06 2018-02-06 표층수의 통수로를 구비한 수상 구조물 KR102085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503A KR102085767B1 (ko) 2018-02-06 2018-02-06 표층수의 통수로를 구비한 수상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503A KR102085767B1 (ko) 2018-02-06 2018-02-06 표층수의 통수로를 구비한 수상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861A true KR20190094861A (ko) 2019-08-14
KR102085767B1 KR102085767B1 (ko) 2020-03-06

Family

ID=67622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503A KR102085767B1 (ko) 2018-02-06 2018-02-06 표층수의 통수로를 구비한 수상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76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988Y1 (ko) * 2001-09-03 2001-12-24 주식회사동원프라스틱 내파성 가두리의 부력 조절용 부이관
KR200403270Y1 (ko) * 2005-09-22 2005-12-08 (주)창일 가두리 양식장용 부양구조체
KR200450479Y1 (ko) 2010-03-31 2010-10-11 박남수 가두리양식장용 발판
KR101083025B1 (ko) * 2010-11-29 2011-11-16 주식회사 지주 외력에 대한 휨강도가 강화된 폰툰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988Y1 (ko) * 2001-09-03 2001-12-24 주식회사동원프라스틱 내파성 가두리의 부력 조절용 부이관
KR200403270Y1 (ko) * 2005-09-22 2005-12-08 (주)창일 가두리 양식장용 부양구조체
KR200450479Y1 (ko) 2010-03-31 2010-10-11 박남수 가두리양식장용 발판
KR101083025B1 (ko) * 2010-11-29 2011-11-16 주식회사 지주 외력에 대한 휨강도가 강화된 폰툰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5767B1 (ko) 202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511239A (ja) 浮遊式魚養殖プラントおよびプラントのアセンブリ
SE440973B (sv) Anleggning for fiskodling i oppen sjo med flytkroppar ledbart forbundna med varandra och stabiliserade med en tyngdbelastad kjol anleggning for fiskodling i oppen sjo med flytkroppar ledbart forbundna med varandra och stabiliserade med en tyngdbelastad kjol
KR101448948B1 (ko) 부력체 연결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부잔교
US20200015460A1 (en) A floating plant
CN104996340A (zh) 一种平稳升降的浮沉式养殖网箱浮架
JP2022542995A (ja) 外洋水産養殖用魚囲い
KR102085767B1 (ko) 표층수의 통수로를 구비한 수상 구조물
CN108967288A (zh) 一种鱼类养殖升降网箱
JP5076145B2 (ja) 地上に設置されるマグロの養殖池
CN208908876U (zh) 一种鱼类养殖升降网箱
WO2016164957A1 (en) Artificial reef module
KR102016458B1 (ko) 조립식 해충의 우화 및 산란 억제 장치
KR101240871B1 (ko) 조립식 부잔교
CH709864A2 (de) Solarenergiegewinnungssystem.
KR200471954Y1 (ko) 부유물의 하부에 설치되어 흔들림을 감소시키는 웨이트
KR101193622B1 (ko) 롤링-피칭 감쇠수단을 가진 수상 부유체의 부력관 지지대
KR101170647B1 (ko) 조립식 다기능성 부교
RU2115310C1 (ru) Садок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ыбы
KR102615900B1 (ko) 해양생물 차단 구조물이 설치된 수중 침하식 부교
KR200470853Y1 (ko) 수산물의 양식장치
KR20200063853A (ko) 가두리 양식장
KR102201350B1 (ko) 간이식 조류차단시설 조립장치
CN212014129U (zh) 一种圆形鱼塘水槽循环养殖系统
KR101329486B1 (ko) 조립식 파이프형 부체
KR101607855B1 (ko) 메쉬망을 이용한 유속 저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