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4589A -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4589A
KR20190094589A KR1020180013904A KR20180013904A KR20190094589A KR 20190094589 A KR20190094589 A KR 20190094589A KR 1020180013904 A KR1020180013904 A KR 1020180013904A KR 20180013904 A KR20180013904 A KR 20180013904A KR 20190094589 A KR20190094589 A KR 20190094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or
state
electronic device
power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0786B1 (ko
Inventor
이광호
함철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3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786B1/ko
Priority to US16/960,747 priority patent/US11500441B2/en
Priority to CN201980010682.5A priority patent/CN111656734B/zh
Priority to PCT/KR2019/000547 priority patent/WO2019151677A1/ko
Priority to EP19748206.0A priority patent/EP3723324B1/en
Publication of KR20190094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589A/ko
Priority to US17/965,751 priority patent/US1169346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09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appliance service is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8Timers or timing mechanisms used i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switching on or off only a part of the equipment circuit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장치는, 통신부;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제1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서버에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제1상태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않거나 상기 제1전원보다 작은 제2전원을 공급받는 제2상태를 가지는 제1프로세서와; 상기 제1프로세서가 상기 제2상태인 상황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의 범위 이내에 반복적으로 상태전환신호를 출력하는 제2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프로세서는, 상기 상태전환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서버로 연결유지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2상태로 전환한다.
이에 의하여, 인터넷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전력 소모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DISPLAY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저전력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개념은 각 사물, 즉 각 기기들이 네트워크에 상시 연결되어 있을 것을 요구한다. 사물인터넷 기술의 발달에 따라 연결 기기들의 범위가 늘어나고 제공되는 서비스가 고도화되면서, 각 기기들은 사설 네트워크 망을 넘어 인터넷 망에 연결되어 있을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의 경우, 연결이 끊어진 상태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그 연결 정보가 삭제됨에 따라 연결이 유지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댁내 사설 네트워크 망 및 인터넷을 통해 댁내의 TV와 외부 서버가 연결된 경우,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사설 네트워크 망 내부의 연결 정보가 갱신ㆍ삭제되어, 사설 네트워크 망 외부에 존재하는 서버가 사설 네트워크 망 내부의 TV와 연결을 지속할 수 없게 된다.
그렇다고 인터넷 연결 유지를 위해 각 기기를 계속 켜두고 지속적으로 연결 유지 처리를 하는 것은 전력 소비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이에 본 발명은, 인터넷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전력 소모도 절감할 수 있는 전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통신부;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제1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서버에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제1상태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않거나 상기 제1전원보다 작은 제2전원을 공급받는 제2상태를 가지는 제1프로세서와; 상기 제1프로세서가 상기 제2상태인 상황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의 범위 이내에 반복적으로 상태전환신호를 출력하는 제2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프로세서는, 상기 상태전환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서버로 연결유지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2상태로 전환한다.
이에 의하면, 전자장치는 서버와의 통신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전력 소모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연결유지정보는 연결유지 희망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유지정보는 상기 통신부와 상기 서버 사이에 배치된 라우터가 상기 전자장치에 대한 주소정보를 유지하도록 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라우터에서의 주소정보가 삭제됨으로 인해 서버와 전자장치 사이의 연결상태가 해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프로세서는 타이머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상태전환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전자장치는 간단한 방법으로 소정 시간 간격의 범위 이내에 반복적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하는 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는 전원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제2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상태전환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프로세서에 상기 제1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프로세서는, 상기 제1프로세서가 상기 제2상태인 상황에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통신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상태전환신호를 더 출력하고, 상기 제1프로세서는, 상기 상태전환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통신신호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전자장치는 저전력으로 서버와의 연결을 유지함과 동시에, 서버로부터의 요청을 감지하여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제1프로세서는,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통신신호의 내용에 따라 상기 전자장치의 전원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전자장치가 대기모드에서도 서버로부터의 요청을 감지하여 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요청의 내용에 따라 단계적으로 전력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전력 절감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상기 제1프로세서는, 로컬 네트워크 내의 다른 전자장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형태의 통신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전자장치가 일반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는 사용자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프로세서는, 상기 제1프로세서가 상기 제2상태인 상황에서,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상태전환신호를 더 출력하고, 상기 제1프로세서는 상기 상태전환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사용자입력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전자장치는 대기모드에서도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은, 제1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서버에 정보를 송수신하는 제1상태와, 전원을 공급받지 않거나 상기 제1전원보다 작은 제2전원을 공급받는 제2상태를 가지는 제1프로세서를 포함한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세서가 상기 제2상태인 상황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의 범위 이내에 반복적으로 상태전환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전환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서버로 연결유지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2상태로 전환하도록 상기 제1프로세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전자장치는 서버와의 통신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전력 소모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연결유지정보는 연결유지 희망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유지정보는 상기 통신부와 상기 서버 사이에 배치된 라우터가 상기 전자장치에 대한 주소정보를 유지하도록 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라우터에서의 주소정보가 삭제됨으로 인해 서버와 전자장치 사이의 연결상태가 해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타이머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상태전환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전자장치는 간단한 방법으로 소정 시간 간격의 범위 이내에 반복적으로 네트워크 및 서버 연결을 유지하는 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는 전원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전원제어부를 통해, 상기 출력되는 상기 상태전환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프로세서에 상기 제1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1프로세서가 상기 제2상태인 상황에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통신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상태전환신호를 더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전환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통신신호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하도록 상기 제1프로세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전자장치는 저전력으로 서버와의 연결을 유지함과 동시에, 서버로부터의 요청을 감지하여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통신신호의 내용에 따라 상기 전자장치의 전원모드를 제어하도록 상기 제1프로세서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전자장치가 대기모드에서도 서버로부터의 요청을 감지하여 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요청의 내용에 따라 단계적으로 전력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전력 절감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로컬 네트워크 내의 다른 전자장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형태의 통신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전자장치가 일반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제1프로세서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는 사용자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1프로세서가 상기 제2상태인 상황에서,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상태전환신호를 더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전환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사용자입력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하도록 상기 제1프로세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전자장치는 대기모드에서도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프로그램은, 전자장치와 결합되어 위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이다.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서버 내의 매체에 저장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전자장치에 다운로드 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인터넷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전력 소모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포함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유지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유지정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프로세서의 제2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프로세서가 서버로 연결유지정보를 전송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프로세서가 서버로 연결유지정보를 전송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프로세서가 제1상태로 전환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프로세서 세부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프로세서가 절전모드로 전환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세부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전원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이하의 실시예에 설명된 구성 또는 작용으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성되다', '포함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요소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는, 복수의 요소 전부뿐만 아니라, 복수의 요소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 또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예컨대, 스마트 가전기기, 보안기기, 조명기기, 에너지기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 가전기기는 TV, 에어컨, 냉장고, 세탁기, 로봇 청소기, 가습기, 네트워크 오디오, 인공지능 가전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보안기기는 도어락, 보안 카메라, CCTV, 접촉, 소리, 움직임 등을 감지하는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조명기구는 LED, 램프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에너지기기는 난방기기, 전력측정기, 전력 소켓, 전기 콘센트, 멀티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컴퓨터, IP 카메라, 인터넷 전화, 유/무선 전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커튼, 블라인드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물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는 기기라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서버(200)와 통신한다. 전자장치(100)는 공유기(110)(이하 '라우터' 또는 '게이트웨이'라고도 함)를 통해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자장치(100)와 서버(200)가 인터넷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를 전제한다. 그러나 전자장치(100)와 서버(200)가 통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의 사용자단말기기(1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단말기기(120)도 본 발명의 전자장치(100)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통신부(101), 전원부(102), 제1프로세서(103), 제2프로세서(104)를 포함한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본 전자장치(100)의 구성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100)는 다른 구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구성 외에 다른 구성이 추가되거나, 혹은 도 2에 도시된 구성 중 일부가 배제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 구성은,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회로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01)는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101)는 서버(200) 또는 다른 전자장치(100, 12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01)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부(101)는 유선 접속을 위한 커넥터 또는 단자를 포함하는 접속부 이외에도 다양한 다른 통신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101)는 Wi-Fi, WiFi Direct, 블루투스, BLE(Bluetooth Low Energy), SPP(Serial Port Profile), 지그비(Zigbee), 적외선 통신, Radio Control, UWM(Ultra-Wide Band), Wireless USB,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하나 이상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원부(102)는 전자장치(100)의 다른 구성요소, 예를 들어 통신부(101), 제1프로세서(103), 제2프로세서(104)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부(102)는 다른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전원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전원부(102)는 해당 구성요소에 공급할 전원의 정도에 있어서 차등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제1프로세서(103)는 전자장치(100)의 종류에 따라, 그 전자장치(100)가 제공하는 주요 기능에 관한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100)가 TV인 경우, 제1프로세서(103)는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1프로세서(103)는 전자장치(100)의 제반 구성들이 동작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100)는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통신부(101)를 제어할 수 있다. 제1프로세서(103)는 이러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프로그램(혹은 인스트럭션)과, 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비휘발성의 메모리, 설치된 제어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로드되는 휘발성의 메모리 및 로드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혹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제어프로그램은, 전자장치(100) 이외의 다른 전자기기에도 저장될 수 있다.
제어프로그램은 BIOS, 디바이스드라이버, 운영체계, 펌웨어, 플랫폼 및 응용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응용프로그램은, 전자장치(100)의 제조 시에 전자장치(100)에 미리 설치 또는 저장되거나, 혹은 추후 사용 시에 외부로부터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자장치(100)에 설치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는,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마켓과 같은 외부 서버로부터 전자장치(100)로 다운로드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1프로세서(103)는 device, S/W module, circuit, chip 등의 형태 또는 그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전자장치(100)는 하나의 제1프로세서(103)에서 처리와 제어를 함께 수행하는 구성을 나타내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100)는 제1프로세서(103)와 별도로 제어부를 추가 구비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2프로세서(104)는 소정 이벤트의 발생에 대응하여 제1프로세서(103)에 대해 상태전환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한편, 앞서 제1프로세서(103)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 내용은 제2프로세서(104)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다만, 제2프로세서(104)는 제1프로세서(103)에 비해 규모나 성능면에서 경량화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전원 공급 측면에 있어서도 제2프로세서(104)는 제1프로세서(103)보다 적은 전원을 공급받거나 적은 전력을 소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의 제어방법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의 제1프로세서(103)는, 전원부(102)로부터 제1전원을 공급받는 제1상태와, 전원부(10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않거나 제1전원보다 작은 제2전원을 공급받는 제2상태를 갖는다. 즉, 제2상태는 제1프로세서(103)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도 포함한다.
제1상태에서, 제1프로세서(103)는 서버(200)에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제1프로세서(103)는 서버(200)와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통신부(101)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2상태에서, 제1프로세서(103)는 전원부(10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않거나 제1전원보다 작은 전원을 공급받는다. 따라서 제1프로세서(103)가 제1상태에 있을 때에 비해 소비전력이 절감된다. 그러나, 제1상태에 비해 공급되는 전원이 적으므로, 제1프로세서(103)가 제2상태에서 수행할 수 있는 처리는 제1프로세서(103)가 제1상태에 있을 때에 비해 제한적일 수 있다.
제1프로세서(103)는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또는 제2상태에서 제1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프로세서(104)의 제어에 따라 전원부(102)로부터 제1프로세서(103)로 공급되는 전원을 변경하는 방식으로 제1프로세서(103)의 상태가 전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프로세서(103)가 직접 전원부(102)에 대해 자신의 상태 변경을 요청하는 신호를 보내고 전원부(102)는 그에 대응하여 제1프로세서(103)로 공급되는 전원을 변경하는 방식으로 제1프로세서(103)의 상태가 전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제1프로세서(103)의 상태를 전환하는 방법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제2상태인 상황에서, 소정 시간 간격의 범위 이내에 반복적으로, 제2상태에서 제1상태로 전환되어 서버(200)로 네트워크 연결유지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제1프로세서(103)가 제2상태로 전환되어 있는 상황에서(S301), 제2프로세서(104)는 상태전환신호를 출력한다(S302). 상태전환신호는 소정 이벤트의 발생에 대응하여 출력될 수 있다. 상태전환신호의 출력을 촉발시킬 수 있는 이벤트의 예로는, 타이머의 타임 아웃, 통신신호의 수신, 사용자입력의 수신, 제어신호의 수신 등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벤트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태전환신호는 제1프로세서(103) 및/또는 전원부(102)로 출력되어, 제1프로세서(103)가 제1상태로 전환되도록 한다. 즉, 제1프로세서(103)는 상태전환신호에 기초하여 제1상태로 전환된다(S303). 제1상태로 전환된 제1프로세서(104)는 통신부(100)를 통하여 서버(200)로 연결유지정보를 전송한다(S304). 연결유지정보가 서버(200)로 전송되도록 제어를 마친 제1프로세서(103)는 다시 제2상태로 전환된다.
여기서 연결유지정보란, 전자장치(100)와 서버(200)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정보로서, 전자장치(100)와 서버(200) 사이의 연결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정보라면 그 형태와 내용에 제한없이 무엇이든 해당 가능하다.
일 예로, 전자장치(100)와 서버(200)가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스펙에 따라 구현되고 상호 통신하는 경우, 연결유지정보는 OCF 스펙 상의 KeepAlive 메커니즘에 기초한 정보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이를 설명한다.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스펙에 따라 상호 통신하는 전자장치(100)와 서버(200)는 KeepAlive 매커니즘에 따라 상호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장치(100)는 CoAP(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상의 ping 명령어를 이용하여 소정 시간 동안 서버(200)와의 연결 유지를 요청할 수 있고, 그에 대해 서버(200)는 해당 요청을 승인할 수 있다. 즉, 전자장치(100)는 서버(200)에 대해,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POST/oic/ping {interval: 2}" 메시지(401)를 전송함으로써 2분동안 서버(200)와의 연결 유지를 요청할 수 있다. 위 메시지(401) 중 "{interval: 2}는 연결유지 희망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2분'동안 서버(200)와의 연결 유지를 요청한다는 의미이다. 여기서 2분은 하나의 예시이므로, 얼마든지 다른 값으로 변경 가능하다. 해당 요청을 수신한 서버(200)는,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2.03 valid" 메시지(402)를 전송함으로써 해당 요청을 승인하고 전자장치(100)와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의 예에서 연결유지정보는 CoAP 상의 ping 명령어를 이용한 메시지일 수 있다. 이 경우 연결유지정보는, 도 4와 같이, 연결유지 희망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연결유지정보는 통신부(101)와 서버(200) 사이에 배치된 라우터(110)가 전자장치(100)에 대한 주소정보를 유지하도록 하는 정보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이를 설명한다.
서버(200)와 전자장치(100) 사이의 인터넷 통신을 매개하는 라우터(110)가 존재하는 경우, 라우터(110)는 각 전자장치(100)에 대한 네트워크 주소정보, 예를 들어 주소변환테이블을 저장하여, 이를 통해 서버(200)의 요청을 그에 대응하는 전자장치(100)에 정확히 전달되도록 한다. 한편, 라우터(110)는 주기적으로 네트워크 주소변환테이블을 갱신한다. 라우터(110)에서 저장하는 주소변환테이블의 총 레코드 수에 한계가 있으므로, 일정 시간 이상 서버(200)와의 통신이 없던 전자장치(100)에 대응하는 주소를 삭제하여 그 주소가 다른 전자장치(100)에 할당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자장치(100)에 대응하는 주소변환 테이블의 레코드가 삭제된 경우, 그 전자장치(100)로서는 서버(200)와의 연결이 끊어지는 결과가 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의 일 예는, 라우터(110)의 네트워크 주소변환 테이블이 갱신되기 이전에, 전자장치(100)에서 라우터(110)를 거쳐 서버(200)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함으로써, 해당 전자장치(100)와 서버(200)가 최근까지도 통신을 수행하는 관계에 있음을 알려, 해당 전자장치(100)에 대응하는 라우터(100)의 주소변환 테이블 레코드가 갱신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전자장치(100)의 제1프로세서(103)는 라우터(110)를 거쳐 서버(200)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도록 통신부(101)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200)로 전송할 데이터 패킷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데이터 패킷의 내용보다는 데이터 패킷이 전송되었다는 사실 자체가 중요하므로, 제1프로세서(103)는,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널 패킷(Null packet)(501, 502)이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전송할 패킷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상의 예에서 연결유지정보는 데이터 패킷이 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라우터에서의 주소정보가 삭제됨으로 인해 서버(200)와 전자장치(100) 사이의 연결상태가 해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유지정보의 또 다른 예로, 연결유지정보는 서버에 대하여, 서버에 연결된 클라이언트 장치의 정보를 희망 시간 동안 유지하도록 요청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서버는 효과적으로 클라이언트 장치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의 과정은 소정 시간 간격의 범위 이내에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기본적으로는 제2상태로 작동하여 제1상태보다 적은 전력을 소비하다가, 소정 시간 간격의 범위 이내에 반복적으로, 제2상태에서 제1상태로 전환되어 서버(200)로 연결유지정보를 전송한 후, 다시 제2상태로 복귀한다.
여기서 소정 시간 간격은 미리 정해진 값이다. 시간 간격은 전자장치(100) 또는 전자장치(100)가 속한 네트워크의 특성에 따라 미리 정해질 수도 있고,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미리 정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정 시간 간격은 라우터(110)의 주소정보의 갱신 시간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라우터(110) 주소정보의 갱신 시간이, 예를 들어 라우터(110)의 펌웨어 업데이트 등에 의해 변경되는 경우, 전자장치(100)는 이를 감지하여 적응적으로 소정 시간 간격을 조정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연결유지정보가 도 4의 메시지(401)일 경우, 소정 시간 간격은 도 4의 메시지(401) 내의 interval에 대응하는 값일 수 있고, 이 경우 위 값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미리 정해질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전자장치는 서버와의 통신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전력 소모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따른 전자장치(100)의 작동을,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프로세서(103)의 제2상태를 도시한다. 제2상태에서의 제1프로세서(103)는 전원부(102)로부터 제1전원보다 작은 전원을 공급받는다. 예를 들어, 전원부(102)는 다른 구성요소인 통신부(101)와 제2프로세서(104)에, 제1상태의 제1프로세서(103)에 공급하는 전원과 동일한 전원인 제1전원을 공급하는 한편, 제1프로세서(103)에는 제1전원보다 작은 제2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는, 전원부(102)는 제1프로세서(103)에 전원을 전혀 공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1프로세서(103)가 제2상태에 있을 경우 전자장치(100)의 전력 소모량은, 제1프로세서(103)가 제1상태에 있을 경우의 전력 소모량보다 적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제2프로세서(104)에 제1상태의 제1프로세서(103)에 공급하는 전원과 동일한 전원인 제1전원을 공급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제2프로세서(104)에 공급되는 전원의 양은 제1전원보다 작을 수 있다. 제1상태의 제1프로세서(103)에 비해 제2프로세서(104)가 수행하는 처리의 종류가 제한적일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2상태의 제1프로세서(103)에 비해서도 제한적일 수 있으므로, 제2프로세서(104)에 공급되는 전원의 양이 제1전원보다 작은 실시예가 일반적일 수도 있다.
제1프로세서(103)가 도 6과 같이 제2상태인 상황에서, 제2프로세서(104)는 소정 시간 간격의 범위 이내에 반복적으로 상태전환신호를 출력한다. 일 예로, 제2프로세서(104)는 소정 시간 간격 t를 주기로 하여 주기적이고 반복적으로 상태전환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제1프로세서(103)는, 도 7과 같이, 소정 시간 간격 t마다 제1상태로 전환되어 서버(200)에 연결유지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제2프로세서(104)가 위와 같이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상태전환신호를 출력하는 실시예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프로세서(104)가 상태전환신호를 출력하는 시간 간격은 소정 시간 간격 t 이내이기만 하면 충분하고, 각 시간간격이 일정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제2프로세서(104)는 각각 (t보다 작은) t1, t2, t3의 시간 간격으로 상태전환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 경우, 제1프로세서(103)는 위 각 상태전환신호에 대응하여, 도 8과 같이, 각각 t1, t2, t3의 시간 간격으로 제1상태로 전환되어 서버(200)에 연결유지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1프로세서(103)는 제2프로세서(104)가 출력한 상태전환신호에 기초하여 제1상태로 전환된다. 제2프로세서(104)는, 전원부(102)로 상태전환신호를 출력하여 이를 수신한 전원부(102)가 제1프로세서(103)에 대해 제1전원을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제1프로세서(103)가 제1상태로 전환되도록 할 수도 있고, 또는 제1프로세서(103)로 직접 상태전환신호를 출력하여 이를 수신한 제1프로세서(103)가 제1상태로 전환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9는 전자의 예를 도시한다. 즉, 도 9의 제2프로세서(104)는 전원부(102)로 상태전환신호를 출력하고, 이를 수신한 전원부(102)가 제1프로세서(103)에 대해 제1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제1프로세서(103)가 제1상태로 전환되도록 한다.
제1상태로 전환된 제1프로세서(103)는 통신부(101)를 통해 서버(200)로 연결유지정보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제1프로세서(103)는 도 4 또는 도 5에서와 같은 연결유지정보가 서버(200)로 전송되도록 통신부(101)를 제어할 수 있다.
연결유지정보가 서버(200)로 전송되도록 제어를 마친 제1프로세서(103)는 다시 제2상태로 전환된다. 제1프로세서(103)가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전환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일 예로, 제1프로세서(103)는 전원부(102)로 신호를 보내어 그 신호를 수신한 전원부(102)가 제1프로세서(103)에 대해 제2전원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프로세서(103)는 제2프로세서(104)로 신호를 보내어, 그 신호를 수신한 제2프로세서(104)가 전원부(102)를 제어하여, 제1프로세서(103)에 대해 제2전원을 공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제1프로세서(103)는, 제2프로세서(104)에서 상태전환신호가 출력되었을 경우에만 간헐적으로 제1상태가 되어 연결유지정보를 서버(200)로 송신하고, 그 외에는 제1상태보다 전력 소모가 적거나 아예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제2상태에 있음에 따라, 저전력으로 전자장치의 인터넷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프로세서(104) 세부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프로세서(104)는 타이머(1001)를 포함할 수 있다. 그 경우, 제2프로세서(104)는 타이머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태전환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이머(1001)에 대해 소정 시간 t가 경과할 때마다 타임 아웃(time out) 이벤트를 발생하도록 설정한 경우, 제2프로세서(104)는 타이머(1001)의 타임 아웃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여 상태전환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제1프로세서(103)가 소정 시간 t마다 연결유지정보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타이머(1001)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전자장치는 간단한 방법으로 소정 시간 간격의 범위 이내에 반복적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하는 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프로세서(104)는 전원제어부(1002)를 더 포함하여, 전원제어부(1002)를 통해 전원부(102)를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전원제어부(1002)는, 제2프로세서(104)로부터 출력되는 상태전환신호에 대응하여, 제1프로세서(103)에 제1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부(102)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전원제어부(1002)는 제2프로세서(104)와는 별도의 구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전원제어부(1002)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전자장치(100)의 구성 중 제1프로세서(103)에 대해서만 전원 공급을 달리하여 제1상태 또는 제2상태로 동작하도록 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전자장치(100)는, 제1프로세서(103)의 상태에 따라, 다른 구성요소들에 대한 전원 공급 여부 및/또는 정도를 다르게 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전자장치(100)는, 제1프로세서(103)의 상태에 기초하여, 전체적인 동작 모드 또는 전원 모드가 달라질 수 있다. 동작 모드는, 예를 들어, 초절전모드, 절전모드, 일반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제1프로세서(103)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고(즉, 제1프로세서는 제2상태임), 제2프로세서(104)에 전원이 공급되어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의 범위 이내에 반복적으로 상태전환신호를 출력하는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이하 '초절전모드'라고 함). 제2프로세서(104)가 도 10과 같이 타이머(1001)를 포함하는 경우, 초절전모드에서는 타이머(1001)의 타임 아웃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여 제2프로세서(104)가 상태전환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나아가 초절전모드에서는 통신부(101)에도 전원을 공급하여 통신신호 수신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다른 예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제1프로세서(103)에 전원이 공급되어 제1프로세서(103)가 제1상태로 동작하고, 제2프로세서(104) 및 통신부(101)에도 전원이 공급되어 서버(200)와의 통신은 가능하나, 전자장치(100)의 구성요소 전체에 전원이 공급되지는 않는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이하 '절전 모드'라고 함). 절전모드에서 전자장치(100)의 구체적인 동작은 후술한다.
또 다른 예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제1프로세서(103)에 전원이 공급되어 제1프로세서(103)가 제1상태로 동작함은 물론, 전자장치(100)의 구성요소 전체에 전원이 공급되는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이하 '일반모드'라고 함). 일반모드에서는 전자장치(100)의 모든 기능이 실행 가능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모드에 따른 전자장치(100)의 동작 예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초절전모드를 기본 모드로 하여 동작할 수 있다. 그러나 기본 모드가 초절전모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자장치(100)는 다른 모드를 기본 모드로 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초절전모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제1프로세서(103)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고, 제2프로세서(104)에 전원이 공급되어 제2프로세서(104)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의 범위 이내에 반복적으로 상태전환신호가 출력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101)에도 전원이 더 공급되어, 초절전모드에서 서버(200)로부터의 통신 요청을 감지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한 구성의 일 예로서, 전자장치(100)의 통신부(101)는 통신감지부(110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이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의 통신부(101)는 통신감지부(1101)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감지부(1101)는 통신부(101)를 통해 통신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감지부(1101)는, 통신신호 수신이 감지된 경우, 해당 통신신호가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통신신호인지를 판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감지부(1101)는 통신신호의 IP 주소와 서버(200)의 IP 주소를 비교함으로써 수신된 통신신호가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것인지를 판별하고, 수신된 통신신호가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만 통신신호의 수신 사실을 제2프로세서(104)로 전송하여 그에 따른 처리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잇다.
제1프로세서(103)가 제1상태에 있는지 아니면 제2상태에 있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통신감지부(1101)는 이상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전력 소비 감소를 위해서 제1프로세서(103)는 제2상태에 있는 경우가 많을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프로세서(103)가 제2상태에 있는 경우를 전제로 설명한다.
제1프로세서(103)가 제2상태인 상황에서, 통신감지부(1101)가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통신신호를 감지한 경우, 제2프로세서는(104)는 그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태전환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제2프로세서(104)는 통신부(101)를 통해 수신되는 통신신호에 대응하여 상태전환신호를 출력하여 제1프로세서(103)가 제1상태로 전환되도록, 즉 절전모드 또는 일반모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제1상태로 전환된 제1프로세서(103)는 수신된 통신신호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초절전모드에서 통신부(101)의 역할은 위와 같이 통신신호를 감지하는 것으로 충분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통신부(101)는 일반적으로 통신부(101)의 기능 전체가 작동 가능하도록 하는 데 필요한 전원보다 적은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도 있다.이에 의하면, 초절전모드의 전자장치는 저전력으로 서버와의 연결을 유지함과 동시에, 서버로부터의 요청을 감지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하 절전모드에서의 전자장치(10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절전모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제1프로세서(103)에 전원이 공급되어 제1상태로 동작하고, 제2프로세서(104) 및 통신부(101)에도 전원이 공급되어 서버(200)와의 통신이 가능하다.
나아가, 절전모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서버(200)의 통신 요청의 내용에 따라 차등적 또는 단계적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한 구성의 일 예로서, 제1프로세서(103)는, 도 11과 같이, 통신분석부(11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프로세서(103)는, 수신된 통신신호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함에 있어서, 통신신호의 내용을 분석하여 그 처리에 필요한 최소한의 전력만으로 처리가 가능하도록 전자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프로세서(103)의 통신분석부(1102)는 통신부(101)를 통해 수신된 통신신호에 내용을 분석하고, 제1프로세서(103)는 그 분석 내용에 기초하여 전자장치(100)가 수행할 처리의 종류에 따라 전자장치(100)의 전원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전자장치(100)가 TV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일 예로, 서버(200)는 TV에 대하여 TV의 현재 상태, 예를 들어 TV의 전원이 현재 켜져있는지 꺼져있는지를 질의하는 요청을 통신신호로 전송할 수 있다. 그 경우 그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TV의 모든 구성에 전원을 공급할 필요는 없다. 반면, 서버(200)가 TV에 대하여 TV의 전원을 켤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통신신호로 전송할 경우, TV의 모든 구성에 전원이 공급될 필요가 있다.
도 12는 절전모드로 동작하는 전자장치(100)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2의 전자장치(100)는 TV로서, 제1프로세서(103)와 RAM(1201), Flash 메모리(1202), HDMI(1203)이 포함된 프로세싱부(1200)가 SoC(System on Chip) 형태로 하나의 칩으로 마련되고, 그 외의 구성요소인 튜너, 패널 등은 별도의 구성(1204)으로 이루어진 예를 나타낸다. 그러한 전자장치(100)에 대하여 서버(200)로부터, 예를 들어 TV의 전원이 현재 켜져있는지 꺼져있는지를 질의하는 통신신호가 수신된 경우, 통신신호의 수신에 대응하여 출력된 상태전환신호에 의해 제1상태로 전환된 제1프로세서(103)는, 통신분석부(1102)를 통해 수신된 통신신호가 TV 전원의 ON/OFF 여부를 질의하는 요청임을 파악한 후, 전자장치(100)가 절전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그 요청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프로세서(103)는 해당 요청이 프로세싱부(1200) 중에서 제1프로세서(103)와 RAM(1201)에만 전원이 공급되어도 처리가 가능하다고 판단한 뒤,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제1프로세서(103)와 RAM(1201)에만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프로세싱부(1200)의 나머지 구성이나 프로세싱부(1200) 이외의 다른 구성(1204)에 대해서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전원부(102)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전자장치가 절전모드에서 서버로부터의 요청을 감지하여 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요청의 내용에 따라 단계적으로 전력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전력 절감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도 13을 참조하여 서버(200)의 통신 요청의 내용에 따라 차등적 또는 단계적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기본모드인 초절전모드로 동작하는 전자장치(100)의 통신부(101)는 통신신호를 감지한다(S1301). 통신신호가 감지된 경우, 통신부(101)는 수신한 통신신호를 제2프로세서(104)로 전송하고, 제2프로세서(104)는 통신부(101)가 전송한 통신신호를 수신한다(S1302). 다른 예로, 통신부(101)는 감지된 통신신호가 서버(200)에서 수신된 신호로 확인된 경우에만 통신신호를 제2프로세서(104)로 전송할 수도 있다.
통신부(101)로부터 통신신호를 수신한 제2프로세서(104)는, 상태전환신호를 출력하여 제1프로세서(103)를 제1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S1303). 여기서 제2프로세서(104)는 제1프로세서(103)가 제1상태가 되도록 직접 전환할 수도 있고, 전원부(102)를 통해 제1프로세서(103)에 제1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제1프로세서(103)가 제1상태가 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전원제어부(1002)를 통해 제1프로세서(103)가 제1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나아가 제2프로세서(104)는 전자장치(100)가 초절전모드에서 절전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프로세서(103)의 상태 전환 또는 전자장치(100)의 모드 전환 시 구체적인 과정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절전모드로 전환된 전자장치(100)는, 구체적으로 제1상태로 전환된 제1프로세서(103)는, 제2프로세서(104) 또는 통신부(101)로부터 통신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분석한다(S1304). 제1프로세서(103)는 그 분석 결과에 따라 그 통신신호에 대응하는 요청이 전자장치(100)의 절전모드에서 처리가 가능할지 여부를 판단한다(S1305). 판단 결과 절전모드에서 처리가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즉 일반모드로 처리할 상황으로 판단된 경우, 제1프로세서(103)는 전자장치(100)가 일반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한다. 그 제어방법의 일 예로, 제1프로세서(103)는 제2프로세서(104)로 일반모드 진입 요청에 관한 신호를 전송하고(S1306), 이를 수신한 제2프로세서(104)가 그에 따라 전원부(102)를 제어하여(S1307) 전자장치(100)가 일반모드에 대응하는 전원을 공급받도록 제어할 수 있다(S1308).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일반모드 진입 과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일반모드에 진입한 전자장치(100)의 제1프로세서(103)는, 수신된 통신신호에 대응하는 요청을 처리한다(S1309).
한편, 통신신호에 대응하는 요청이 전자장치(100)의 절전모드에서 처리가 가능할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S1305) 절전모드에서 처리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1프로세서(103)는, 일반모드로 전환될 필요 없이, 절전모드에서 수신된 통신신호에 대응하는 요청을 처리한다(S1309).
수신된 통신신호에 대응하는 요청을 처리한 제1프로세서(103)는 다시 제2상태로 전환된다. 일 예로, 제1프로세서(103)는 제2프로세서(104)로 처리를 완료했다는 정보를 전송하고(S1310), 이를 수신한 제2프로세서(104)는 제1프로세서(103)에 제2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제1프로세서(103)를 다시 제2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러나 제2상태로의 전환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에서는 전원모드의 관리 및 전환 등이 제1프로세서(103)에 의해 주로 처리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원모드의 관리는 제2프로세서(103)에 의해 처리될 수도 있고, 전원모드 제어를 위한 별도의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서버(200) 외에도, 로컬 네트워크 내의 다른 전자장치와도 통신할 수 있다. 도 14가 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도 14와 같이 공유기(105)를 통하여 통신신호를 수신함에 있어서, 서버(200) 외에도, 다른 전자장치로부터도 통신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전자장치(100)가 속한 로컬 네트워크 내의 다른 전자장치로부터도 통신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 경우, 전자장치(100)의 제1프로세서(103)는, 로컬 네트워크 내의 다른 전자장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형태의 통신신호가 수신되면, 전자장치(100)가 일반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100)가 초절전모드 또는 절전모드에 있는 경우, 즉 전자장치(100)의 제1프로세서(103)가 제2상태에 있는 경우, 전자장치(100)는 로컬 네트워크 내의 다른 전자장치로부터, WoL(Wake on Lan) 또는 WoW(Wake on Wireless) 기술에 따라 전자장치(100)를 각각 절전모드 또는 일반모드로 깨울 수 있는 신호, 이른바 매직 패킷(magic packet)을 수신할 수 있다. 매직 패킷의 내용, 특히 패킷 헤더 부분의 내용은 다른 데이터 패킷과 다르므로, 통신부(101)의 통신감지부(1101)는 수신된 통신신호가 매직 패킷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수신된 통신신호가 매직 패킷으로 판별된 경우, 이는 전자장치(100)를 초절전모드 또는 절전모드로부터 깨우는 신호이므로, 제1프로세서(103)는 그에 대응하여 전자장치(100)가 절전모드 또는 일반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전자장치(100)가 초절전모드 또는 절전모드에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입력을 수신하여 그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할 수도 있다. 도 15를 참조하여 이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사용자입력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06)는 사용자의 터치입력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 이하 '리모컨'이라 함)를 이용한 사용자의 원격입력을 수신하여 해당 입력을 제2프로세서(104)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부(106)는 사용자가 발화하는 음성입력을 수신하는 마이크(Mic)로 구현되어 수신한 음성신호를 제2프로세서(104)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자입력이 리모컨을 통한 원격입력의 형태로 수신되는 실시예를 설명하나, 그것이 터치입력이나 음성입력 등 다른 입력 형태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제2프로세서(104)는, 예를 들어 제1프로세서(103)가 제2상태인 상황에서, 사용자입력부(106)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입력에 대응하여 상태전환신호를 더 출력하고, 제1프로세서(103)는 상태전환신호에 기초하여 제1상태로 전환되어, 사용자입력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100)가 초절전모드에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컨을 통해 전자장치(100)를 제어하는 명령, 예를 들어 'TV 전원 ON' 명령을 입력한 경우, 사용자입력부(106)는 입력된 TV 전원 ON 명령을 수신한다. 제2프로세서(104)는 위 명령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태전환신호를 출력하여, 제1프로세서(103)가 제1상태로 전환되도록 한다. 제1상태로 전환된 제1프로세서(103)는 사용자입력인 TV 전원 ON 명령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제1프로세서(103)는 수신된 사용자입력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함에 있어서, 앞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수신된 사용자입력의 내용을 분석하고, 그 분석 내용에 기초하여 전자장치(100)가 수행할 처리의 종류에 따라 전자장치(100)가 일반모드 또는 절전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2 및 도 13에서의 동작이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의하면, 전자장치는 초절전모드 또는 절전모드에서도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처리할 수 있다. 나아가 전자장치는 그 입력의 내용에 따라 단계적으로 전력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전력 절감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살펴본 각 동작 모드 또는 전원 모드에서의 전자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전원 공급 여부 및/또는 정도를 표로 정리하면 도 17과 같다. 도 17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초절전모드, 절전모드, 일반모드의 세 가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각 모드에 따라 전자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가 다르고, 그에 따라 전자장치(100)에 공급되는 전력 또는 전자장치가 소모하는 전력의 총량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초절전모드(1701)에서는 전자장치(100)의 구성요소 중 제2프로세서(104)와 통신부(101), 그리고 메모리 중 RAM(1201)에만 전원이 공급되고, 나머지 구성요소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제1프로세서(103)에도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제1프로세서는 제2상태에 있게 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초절전모드(1701)에서 RAM(1201)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수도 있다. 나아가 초절전모드에서는 통신부(101)에 전원을 공급하더라도, 통신부(101)가 저전력 사양으로 동작하도록, 일반적으로 통신부(101)에 공급되는 전원보다 작은 전원이 공급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초절전모드에서는 전자장치(100)에 전체적으로 0.3w의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절전모드(1702)와 일반모드(1703)에서는, 초절전모드(1701)와 달리, 제1프로세서(103)에 전원이 공급되므로, 제1프로세서는 제1상태로 동작한다. 또한, 초절전모드(1701)와 달리, 메모리인 RAM(1201)과 Flash 메모리(1202)에도 전원이 공급된다는 점에서도 절전모드(1702)와 일반모드(1703)는 공통된다(단, 절전모드(1702)에서는 Flash(1202)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만, 절전모드(1702)와 일반모드(1703)의 차이점은, 예를 들어 전자장치(100)가 TV인 경우, 일반모드(1703)에서는 디스플레이부 등의 기타 구성요소(1204)에 대해서도 전원이 공급되나, 절전모드(1702)에서는 그렇지 않다는 점이다. 그 차이로 인해 일반모드(1703)에서는, 전자장치(100)가 TV인 경우, 전체적으로 140w의 전력 공급이 필요한 반면, 절전모드(1702)에서는 5w의 전력 공급만으로도 TV가 동작할 수 있다. 다만, 각 모드의 종류 및 개수, 각 모드에서의 전원 공급 내용 및 공급전력의 양 등이 도 17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앞서 살펴본 실시예들이 서로 배타적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도 16과 같이, 타이머(1001)를 구비하여 타이머 이벤트에 기초해 상태전환신호를 출력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원제어부(1002)를 구비하여 전원부(102)를 제어할 수도 있고, 통신감지부(1101)와 통신분석부(1102)를 더 구비하여 초절전모드에서도 서버로부터의 요청을 감지하여 처리하고 그 요청의 내용에 따라 단계적으로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입력부(106)를 더 구비하여 초절전모드에서 사용자의 입력도 감지하여 처리할 수 있다.
101: 통신부
102: 전원부
103: 제1프로세서
104: 제2프로세서
200: 서버

Claims (20)

  1. 전자장치에 있어서,
    통신부;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제1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서버에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제1상태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않거나 상기 제1전원보다 작은 제2전원을 공급받는 제2상태를 가지는 제1프로세서와;
    상기 제1프로세서가 상기 제2상태인 상황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의 범위 이내에 반복적으로 상태전환신호를 출력하는 제2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프로세서는, 상기 상태전환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서버로 연결유지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2상태로 전환하는 전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지정보는 연결유지 희망시간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지정보는 상기 통신부와 상기 서버 사이에 배치된 라우터가 상기 전자장치에 대한 주소정보를 유지하도록 하는 정보인 전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로세서는 타이머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상태전환신호를 출력하는 전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전원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제2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상태전환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프로세서에 상기 제1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전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로세서는, 상기 제1프로세서가 상기 제2상태인 상황에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통신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상태전환신호를 더 출력하고,
    상기 제1프로세서는, 상기 상태전환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통신신호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전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세서는,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통신신호의 내용에 따라 상기 전자장치의 전원모드를 제어하는 전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세서는, 로컬 네트워크 내의 다른 전자장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형태의 통신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전자장치가 일반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전자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사용자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프로세서는, 상기 제1프로세서가 상기 제2상태인 상황에서,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상태전환신호를 더 출력하고,
    상기 제1프로세서는 상기 상태전환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사용자입력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전자장치.
  10. 제1전원을 공급받아 통신부를 통하여 서버에 정보를 송수신하는 제1상태와, 전원을 공급받지 않거나 상기 제1전원보다 작은 제2전원을 공급받는 제2상태를 가지는 제1프로세서를 포함한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세서가 상기 제2상태인 상황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의 범위 이내에 반복적으로 상태전환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전환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서버로 연결유지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2상태로 전환하도록 상기 제1프로세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지정보는 연결유지 희망시간을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지정보는 상기 통신부와 상기 서버 사이에 배치된 라우터가 상기 전자장치에 대한 주소정보를 유지하도록 하는 정보인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타이머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상태전환신호를 출력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전원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제어부를 통해, 상기 출력되는 상기 상태전환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프로세서에 상기 제1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세서가 상기 제2상태인 상황에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통신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상태전환신호를 더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전환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통신신호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하도록 상기 제1프로세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통신신호의 내용에 따라 상기 전자장치의 전원모드를 제어하도록 상기 제1프로세서를 제어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로컬 네트워크 내의 다른 전자장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형태의 통신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전자장치가 일반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제1프로세서를 제어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사용자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프로세서가 상기 제2상태인 상황에서,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상태전환신호를 더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전환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사용자입력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하도록 상기 제1프로세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9. 전자장치와 결합되어 제10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서버 내의 매체에 저장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전자장치에 다운로드 될 수 있는 컴퓨터프로그램.
KR1020180013904A 2018-02-05 2018-02-05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580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904A KR102580786B1 (ko) 2018-02-05 2018-02-05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6/960,747 US11500441B2 (en) 2018-02-05 2019-01-14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201980010682.5A CN111656734B (zh) 2018-02-05 2019-01-14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PCT/KR2019/000547 WO2019151677A1 (ko) 2018-02-05 2019-01-14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19748206.0A EP3723324B1 (en) 2018-02-05 2019-01-14 Maintaining network connectivity between an apparatus and a network while reducing power consumption
US17/965,751 US11693469B2 (en) 2018-02-05 2022-10-13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904A KR102580786B1 (ko) 2018-02-05 2018-02-05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589A true KR20190094589A (ko) 2019-08-14
KR102580786B1 KR102580786B1 (ko) 2023-09-20

Family

ID=67478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904A KR102580786B1 (ko) 2018-02-05 2018-02-05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500441B2 (ko)
EP (1) EP3723324B1 (ko)
KR (1) KR102580786B1 (ko)
CN (1) CN111656734B (ko)
WO (1) WO20191516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31737A (zh) * 2021-03-12 2021-06-2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3878A (ko) * 2002-06-05 2003-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절전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070058599A1 (en) * 1997-04-22 2007-03-15 Telxon Corporation Method to sustain TCP connection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8860A (en) 1977-08-04 1979-03-03 Kyupi Kk Production of edible cream
JPS6119226U (ja) 1984-07-09 1986-02-04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インスタント写真撮影装置
KR100959015B1 (ko) * 2003-06-30 2010-05-24 주식회사 케이티 모바일 네트워크의 이동에 따른 라우팅 시스템 및 방법
JP2006245764A (ja) 2005-03-01 2006-09-14 Canon Inc 画像処理装置
US8755848B2 (en) 2005-09-30 2014-06-17 Qualcomm Incorporated Mobile device power management
US7725093B2 (en) 2006-03-29 2010-05-25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power-efficient framework to maintain data synchronization of a mobile personal computer to simulate a connected scenario
US8908581B2 (en) 2007-05-01 2014-12-09 Qualcomm Incorporated Extended microsleep for communications
US8305958B2 (en) 2007-07-16 2012-11-06 Broadcom Corporation Delegated network connection management and power management in a wireless device
US8068433B2 (en) 2007-11-26 2011-11-29 Microsoft Corporation Low power operation of networked devices
US9104406B2 (en) 2009-01-07 2015-08-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Network presence offloads to network interface
JP5439941B2 (ja) * 2009-05-14 2014-03-1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信号送信装置
US8830073B2 (en) 2009-12-01 2014-09-09 Apple Inc. Power converter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when toggling between sleep and normal modes during device charging
US8286011B2 (en) 2010-02-28 2012-10-09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ethod of waking processor from sleep mode
JP2012066396A (ja) 2010-09-21 2012-04-05 Ricoh Co Ltd 電力状態制御装置及び電力状態制御方法
JP5808129B2 (ja) 2011-04-06 2015-11-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US8566625B2 (en) * 2011-07-01 2013-10-22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tting frequency to maintain remote application server connectivity
US9277500B1 (en) 2012-09-10 2016-03-01 Amazon Technologies, Inc. Power efficient wireless connectivity
US9832035B2 (en) 2012-11-19 2017-11-28 Arris Enterprises Llc Power saving mode for network devices
US9584411B2 (en) 2012-12-06 2017-02-28 Qualcomm Incorporated Power save mechanism for low-power network devices
JP6119226B2 (ja) 2012-12-12 2017-04-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20140088436A (ko) * 2013-01-02 2014-07-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력 절감 기능을 갖는 광망 종단장치 및 그 전력 절감 방법
JP6075197B2 (ja) 2013-05-10 2017-02-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力管理システム、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50011737A (ko) 2013-07-22 2015-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원격 제어 장치, 구동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9448614B2 (en) 2014-05-13 2016-09-20 Netapp, Inc. Low power archival data storage enclosure
US10251130B2 (en) 2014-06-30 2019-04-02 Lenovo (Singapore) Pte. Ltd. Adaptive and static keep alive message detection and simulation
KR102246945B1 (ko) * 2014-08-25 2021-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전력으로 원격 제어 가능한 전자 장치와 그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원격 제어 방법
KR101612270B1 (ko) 2014-09-16 2016-04-15 주식회사 키위플러스 원격 기능 제한이 가능한 커넥티드 디바이스 및 커넥티드 디바이스의 원격 기능 제한 방법
JP2016131312A (ja) * 2015-01-14 2016-07-21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通信制御方法、及び、通信装置
KR20160097623A (ko) * 2015-02-09 2016-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31577A (ko) * 2015-09-11 2017-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Usb 장치, 그것을 구비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5429904A (zh) * 2015-12-22 2016-03-23 宋志新 一种具有休眠模式的网络交换机及其控制方法
JP6472546B2 (ja) * 2016-02-17 2019-02-20 株式会社音力発電 情報提示システム
US10080193B1 (en) * 2016-03-24 2018-09-18 Amazon Technologies, Inc. Power efficient wireless connectivit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58599A1 (en) * 1997-04-22 2007-03-15 Telxon Corporation Method to sustain TCP connection
KR20030093878A (ko) * 2002-06-05 2003-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절전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51677A1 (ko) 2019-08-08
EP3723324B1 (en) 2022-08-31
US11693469B2 (en) 2023-07-04
CN111656734B (zh) 2022-09-30
US11500441B2 (en) 2022-11-15
US20200341532A1 (en) 2020-10-29
KR102580786B1 (ko) 2023-09-20
EP3723324A1 (en) 2020-10-14
EP3723324A4 (en) 2021-01-20
CN111656734A (zh) 2020-09-11
US20230034510A1 (en) 2023-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3352B2 (en) System and method for light socket adaptation
US9654564B2 (en) Controlling an IoT device using a remote control device via a remote control proxy device
US9749420B2 (en) Controlling an IoT device using a remote control device via an infrastructure device
US10080193B1 (en) Power efficient wireless connectivity
US20160323826A1 (en) Multimode and power-saving method of multimedia transmission and system thereof
CN109151782B (zh) 基于智能家居设备的wifi信号中继方法及系统
CN106717074A (zh) 设备到设备通信中的功率管理
US11693469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40277591A1 (en) Electrical Equipment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10719330B2 (en) Communication devic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display device
US11943710B2 (en) Electronic device, method, medium and apparatus for managing extender nodes
CN110377256A (zh) 多媒体文件的投放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装置
KR20190129219A (ko) 무선랜 ap에 따른 전력 절감 최적화 방법 및 장치
US10488909B2 (en) Communicating commands to an embedded controller of a system
US9494988B2 (en) Remotely awakening an electronic device
US202002213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by using bluetooth low energy technology
WO2019024173A1 (zh) 一种批量管理物联网终端设备省电的方法、及中继设备
CN108141396B (zh) 家庭自动化系统设备功率优化
CN106410529B (zh) 智能插座控制方法及装置
TWI470966B (zh) 網際網路無線式電器控制系統
CN109428238B (zh) 电源插座装置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