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4111A - 규제 블레이드의 고정 방법, 현상 장치, 현상제 담지체 및 마그네트 - Google Patents

규제 블레이드의 고정 방법, 현상 장치, 현상제 담지체 및 마그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4111A
KR20190094111A KR1020190012690A KR20190012690A KR20190094111A KR 20190094111 A KR20190094111 A KR 20190094111A KR 1020190012690 A KR1020190012690 A KR 1020190012690A KR 20190012690 A KR20190012690 A KR 20190012690A KR 20190094111 A KR20190094111 A KR 20190094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gap
flux density
maximum peak
develo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2184B1 (ko
Inventor
마사후미 다카하시
도모히로 시오미
데루아키 츠루사키
?이치 고가
오사무 아리이즈미
히데아키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94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111A/ko
Priority to KR1020220016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8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regulating means, e.g. structure of doctor blad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using magnetic brush
    • G03G15/0921Details concerning the magnetic brush roller structure, e.g. magnet configu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gnetic Brush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현상 프레임체에 의해 지지되는 현상제 담지체와 현상 프레임체에 고정된 규제 블레이드간의 갭에 대한 타겟값은 현상제 담지체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배치된 마그네트에 포함되고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현상제가 담지되도록 하기 위한 자계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자극 중에서 현상 프레임체에 규제 블레이드가 고정될 때 규제 블레이드에 가장 근접하여 배치되는 미리결정된 자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에 관한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Description

규제 블레이드의 고정 방법, 현상 장치, 현상제 담지체 및 마그네트{METHOD FOR FIXING REGULATING BLADE, DEVELOPING DEVICE, DEVELOPER BEARING MEMBER, AND MAGNET}
본 발명의 양태들은 일반적으로 규제 블레이드의 고정 방법, 현상 장치, 현상제 담지체 및 마그네트에 관한 것이다.
현상 장치는 상 담지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토너와 캐리어를 포함하는 현상제를 담지하는 현상제 담지체의 표면에 담지되는 현상제의 양(현상제 코팅량)을 규제하는 현상제 규제 부재로서의 규제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규제 블레이드는 현상제 담지체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규제 블레이드와 현상제 담지체 사이에 미리결정된 갭(이하, "SB 갭"이라고 칭함)을 개재하여 현상제 담지체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SB 갭이란 현상 프레임체에 지지된 현상제 담지체와 현상 프레임체에 고정된 규제 블레이드 사이의 최단 거리를 칭한다. 이 SB 갭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상 담지체에 현상제 담지체가 대향하는 현상 영역에 반송되는 현상제가 조정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2-145937호에 기재된 현상 장치에서는, 복수의 자극을 갖는 마그네트가 현상제 담지체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배치되고, 규제 블레이드의 근방에는, 서로 이극인 S2-극(규제극)과 N1-극이 배치된다. 이 규제극은 현상제 담지체의 회전 방향에 대해 규제 블레이드의 상류이며 규제 블레이드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를 갖는다.
각각의 마그네트에 포함된 규제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는 개개의 마그네트마다 변동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규제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가 큰 경우, 현상제 담지체의 회전 방향에 대해 규제 블레이드의 상류 측에 접하는 현상제에 포함된 캐리어에 작용하는 자기력의 크기가 커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규제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가 미리결정된 값보다도 큰 경우, 규제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가 미리결정된 값인 경우에 비해 SB 갭의 크기를 같은 값으로 설정했을 때의 현상제 코팅량이 많아진다. 한편, 규제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가 작은 경우에는, 현상제 담지체의 회전 방향에 대해 규제 블레이드의 상류 측에 접하는 현상제에 포함된 캐리어에 작용하는 자기력의 크기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규제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가 미리결정된 값보다도 작은 경우, 규제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가 미리결정된 값인 경우에 비해 SB 갭의 크기를 같은 값으로 설정했을 때의 현상제 코팅량이 적어진다.
이와 같이, 규제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를 고려하지 않고 SB 갭의 크기를 동일 값으로 설정한 경우, 개개의 마그네트마다의 규제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의 변동에 기인하여 개개의 현상 장치마다 현상제 코팅량의 변동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마그네트에 포함된 규제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local maximum peak) 위치는 개개의 마그네트마다 변동을 가질 수 있다. 유사하게, 규제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를 고려하지 않고 SB 갭의 크기를 동일 값으로 설정한 경우, 개개의 마그네트마다의 규제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의 변동에 기인하여 개개의 현상 장치마다 현상제 코팅량의 변동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마그네트에 포함된 규제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를 고려하여 SB 갭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개개의 현상 장치마다의 현상제 코팅량의 변동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현상 프레임체에 규제 블레이드를 고정하기 위한 방법 -규제 블레이드는 현상제 담지체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담지된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도록 구성되고, 현상제 담지체는 현상 프레임체에 의해 지지되고, 상 담지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현상제를 담지하도록 구성됨- 으로서, 현상제 담지체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배치된 마그네트에 포함되고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현상제가 담지되도록 하기 위한 자계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자극 중에서 현상 프레임체에 규제 블레이드가 고정될 때 규제 블레이드에 가장 근접하여 배치되는 미리결정된 자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에 관한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현상 프레임체에 의해 지지된 현상제 담지체와 현상 프레임체에 고정된 규제 블레이드간의 갭에 대한 타겟값을 결정하는 결정 단계, 및 현상제 담지체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갭에 대한 타겟값으로 갭이 설정되도록 규제 블레이드를 현상 프레임체에 고정시키는 고정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현상 프레임체에 규제 블레이드를 고정하기 위한 방법 -규제 블레이드는 현상제 담지체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담지된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도록 구성되고, 현상제 담지체는 현상 프레임체에 의해 지지되고, 상 담지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현상제를 담지하도록 구성됨- 으로서, 현상제 담지체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배치된 마그네트에 포함되고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현상제가 담지되도록 하기 위한 자계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자극 중에서 현상 프레임체에 규제 블레이드가 고정될 때 규제 블레이드에 가장 근접하여 배치되는 미리결정된 자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에 관한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현상 프레임체에 의해 지지된 현상제 담지체와 현상 프레임체에 고정된 규제 블레이드간의 갭에 대한 상한값 및 하한값을 결정하는 결정 단계, 및 현상제 담지체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갭에 대한 상한값과 하한값 사이에서 갭이 설정되도록 규제 블레이드를 현상 프레임체에 고정시키는 고정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현상 프레임체, 현상 프레임체에 의해 지지되고, 상 담지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현상제를 담지하도록 구성된 현상제 담지체, 현상제 담지체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배치되고, 복수의 자극을 구비하며,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현상제를 담지시키기 위한 자계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마그네트, 현상 프레임체에 고정되고, 현상제 담지체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담지된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규제 블레이드, 및 복수의 자극 중에서 현상 프레임체에 규제 블레이드가 고정되었을 때 규제 블레이드에 가장 근접하여 배치되는 미리결정된 자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 2차원 바코드를 포함하고, 현상 프레임체에 의해 지지된 현상제 담지체와 현상 프레임체에 고정되는 규제 블레이드간의 갭이 현상제 담지체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미리결정된 자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에 상응하는 갭에 대한 타겟값으로 설정되도록 규제 블레이드를 현상 프레임체에 고정시키는 현상 장치를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현상 프레임체에 의해 지지되고, 상 담지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제를 담지하도록 구성된 현상제 담지체로서, 현상제 담지체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배치되고, 복수의 자극을 구비하며,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현상제를 담지시키기 위한 자계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마그네트, 및 현상 프레임체에 고정된 규제 블레이드에 가장 근접하여 배치된 미리결정된 자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고, 현상제 담지체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복수의 자극 중에서 현상 프레임체에 규제 블레이드가 고정되었을 때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담지된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2차원 바코드를 포함하는 현상제 담지체를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현상제 담지체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배치되고,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현상제를 담지시키기 위한 자계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마그네트 -현상제 담지체는 현상 프레임체에 의해 지지되고, 상 담지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제를 담지하도록 구성됨- 로서, 복수의 자극, 및 현상 프레임체에 고정된 규제 블레이드에 가장 근접하여 배치된 미리결정된 자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고, 현상제 담지체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복수의 자극 중에서 현상 프레임체에 규제 블레이드가 고정되었을 때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담지된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2차원 바코드를 포함하는 마그네트를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마그네트에 포함된 규제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를 고려하여 SB 갭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개개의 현상 장치마다의 현상제 코팅량의 변동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현상 프레임체에 규제 블레이드를 고정하기 위한 방법 -규제 블레이드는 현상제 담지체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담지된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도록 구성되고, 현상제 담지체는 현상 프레임체에 의해 지지되고, 상 담지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현상제를 담지하도록 구성됨- 으로서, 현상제 담지체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배치된 마그네트에 포함되고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현상제가 담지되도록 하기 위한 자계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자극 중에서 현상 프레임체에 규제 블레이드가 고정될 때 규제 블레이드에 가장 근접하여 배치되는 미리결정된 자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에 관한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현상 프레임체에 의해 지지된 현상제 담지체와 현상 프레임체에 고정된 규제 블레이드간의 갭에 대한 타겟값을 결정하는 결정 단계, 및 현상제 담지체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갭에 대한 타겟값으로 갭이 설정되도록 규제 블레이드를 현상 프레임체에 고정시키는 고정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현상 프레임체에 규제 블레이드를 고정하기 위한 방법 -규제 블레이드는 현상제 담지체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담지된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도록 구성되고, 현상제 담지체는 현상 프레임체에 의해 지지되고 상 담지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현상제를 담지하도록 구성됨- 으로서, 현상제 담지체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배치된 마그네트에 포함되고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현상제가 담지되도록 하기 위한 자계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자극 중에서 현상 프레임체에 규제 블레이드가 고정될 때 규제 블레이드에 가장 근접하여 배치되는 미리결정된 자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에 관한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현상 프레임체에 의해 지지된 현상제 담지체와 현상 프레임체에 고정된 규제 블레이드간의 갭에 대한 상한값 및 하한값을 결정하는 결정 단계, 및 현상제 담지체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갭에 대한 상한값과 하한값 사이에서 갭이 설정되도록 규제 블레이드를 현상 프레임체에 고정시키는 고정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현상 프레임체, 현상 프레임체에 의해 지지되고, 상 담지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현상제를 담지하도록 구성된 현상제 담지체, 현상제 담지체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배치되고, 복수의 자극을 구비하며,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현상제를 담지시키기 위한 자계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마그네트, 현상 프레임체에 고정되고, 현상제 담지체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담지된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규제 블레이드, 및 복수의 자극 중에서 현상 프레임체에 규제 블레이드가 고정되었을 때 규제 블레이드에 가장 근접하여 배치되는 미리결정된 자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 2차원 바코드를 포함하고, 현상 프레임체에 의해 지지된 현상제 담지체와 현상 프레임체에 고정되는 규제 블레이드간의 갭이 현상제 담지체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미리결정된 자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에 상응하는 갭에 대한 타겟값으로 설정되도록 규제 블레이드를 현상 프레임체에 고정시키는 현상 장치를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현상 프레임체에 의해 지지되고, 상 담지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제를 담지하도록 구성된 현상제 담지체로서, 현상제 담지체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배치되고, 복수의 자극을 구비하며,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현상제를 담지시키기 위한 자계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마그네트, 및 현상 프레임체에 고정된 규제 블레이드에 가장 근접하여 배치된 미리결정된 자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고, 현상제 담지체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복수의 자극 중에서 현상 프레임체에 규제 블레이드가 고정되었을 때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담지된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2차원 바코드를 포함하는 현상제 담지체를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현상제 담지체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배치되고,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현상제를 담지시키기 위한 자계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마그네트 -현상제 담지체는 현상 프레임체에 의해 지지되고, 상 담지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제를 담지하도록 구성됨- 로서, 복수의 자극, 및 현상 프레임체에 고정된 규제 블레이드에 가장 근접하여 배치된 미리결정된 자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고, 현상제 담지체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복수의 자극 중에서 현상 프레임체에 규제 블레이드가 고정되었을 때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담지된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2차원 바코드를 포함하는 마그네트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현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현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현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현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규제 블레이드의 근방에서의 현상제의 거동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SB 갭과 현상제 코팅량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SB 갭의 조정 범위와 현상제 코팅량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규제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와 현상제 코팅량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규제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와 현상제 코팅량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 도 11b 및 도 11c는 SB 갭의 조정 범위와 현상제 코팅량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 도 12b 및 도 12c는 SB 갭의 조정 범위와 현상제 코팅량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 도 13b 및 도 13c는 SB 갭의 조정 범위와 현상제 코팅량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현상 슬리브의 2차원 바코드가 제공되는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현상 슬리브를 현상 프레임체에 부착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현상 슬리브로부터 마그네트의 특성을 취득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규제 블레이드를 현상 프레임체에 고정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SB 갭의 조정 범위와 현상제 코팅량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a, 도 19b 및 도 19c는 현상 슬리브의 외경의 편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현상 슬리브의 위상 인식부가 제공되는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 특징 및 양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또한,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또한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되고 있는 특징의 조합 모두가 본 발명의 해결책을 위해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프린터, 각종 인쇄기, 복사기, 팩시밀리 장치 및 다기능 주변장치와 같은 다양한 이용 적용예에서 구현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
먼저, 본 발명의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도 1의 단면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60)는 중간 전사체로서의 무단상(endless shape)의 중간 전사 벨트(ITB)(61) 및 중간 전사 벨트(61)의 회전 방향(도 1의 화살표 C의 방향)을 따라 상류 측에서 하류 측으로 배열된 4개의 화상 형성 유닛(600)을 포함한다. 화상 형성 유닛(600)은 각각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Bk)의 토너상을 형성한다.
화상 형성 유닛(600)은 상 담지체로서의 회전 가능한 감광체 드럼(1)을 포함한다. 또한, 화상 형성 유닛(600)은 감광체 드럼(1)의 회전 방향(도 1의 화살표 E의 방향)을 따라 배열된 대전 유닛으로서의 대전 롤러(2), 현상 유닛으로서의 현상 장치(3), 1차 전사 유닛으로서의 1차 전사 롤러(4), 및 감광체 클리닝 유닛으로서의 감광체 클리너(5)를 더 포함한다.
현상 장치(3) 각각은 화상 형성 장치(60)에 탈부착할 수 있다. 현상 장치(3) 각각은 비자성 토너(이하, 간단히 "토너"라고 칭함)와 자성 캐리어를 포함하는 2-성분 현상제(이하, 간단히 "현상제"라고 칭함)를 함유하는 현상 용기를 포함한다. 또한, Y, M, C 및 Bk의 각 색의 토너가 각기 포함되어 있는 토너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 장치(60)에 탈부착할 수 있다. Y, M, C 및 Bk의 각 색의 토너는 토너 반송 경로를 통해 각각의 현상 용기에 공급된다. 또한, 현상 장치(3)의 상세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중간 전사 벨트(61)는 텐션 롤러(6), 피동 롤러(7a), 1차 전사 롤러(4), 피동 롤러(7b) 및 2차 전사내 롤러(66)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지지되고 도 1의 화살표 C의 방향으로 반송되도록 구동된다. 2차 전사내 롤러(66)는 또한 중간 전사 벨트(61)를 구동하는 구동 롤러로서 기능하기도 한다. 2차 전사내 롤러(66)의 회전에 수반하여, 중간 전사 벨트(61)는 도 1의 화살표 C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중간 전사 벨트(61)는 중간 전사 벨트(61)의 이면 측으로부터 1차 전사 롤러(4)에 의해 압박을 받는다. 또한, 감광체 드럼(1)에 중간 전사 벨트(61)를 접촉시킴으로써, 감광체 드럼(1)과 중간 전사 벨트(61) 사이에 1차 전사부로서의 1차 전사 닙부가 형성된다.
벨트 클리닝 유닛으로서의 중간 전사체 클리너(8)는 중간 전사 벨트(61)를 거쳐 텐션 롤러(6)와 접하는 위치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61)를 거쳐 2차 전사내 롤러(66)와 접하는 위치에는, 2차 전사 유닛으로서의 2차 전사외 롤러(67)가 배열되어 있다. 중간 전사 벨트(61)는 2차 전사내 롤러(66)와 2차 전사외 롤러(67)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이에 의해, 2차 전사외 롤러(67)와 중간 전사 벨트(61) 사이에는, 2차 전사부로서의 2차 전사 닙부가 형성된다. 2차 전사 닙부에서는, 미리결정된 가압력과 전사 바이어스(정전 부하 바이어스)를 부여함으로써, 시트 S(예를 들어, 종이 또는 필름)의 표면에 토너상을 흡착시킨다.
시트 S는 시트 수납 유닛(62)(예를 들어, 급송 카세트 또는 급송 데크)에 적재된 상태로 수납되어 있다. 급송 유닛(63)은 예를 들어, 급송 롤러를 사용하는 마찰 분리 방법을 사용하여, 화상 형성 타이밍에 맞춰서 시트 S를 급송한다. 급송 유닛(63)에 의해 송출된 시트 S는 반송 패스(64)의 도중에 배치된 레지스트 롤러(65)에 반송된다. 레지스트 롤러(65)에 의해 스큐(skew) 보정이나 타이밍 보정을 행한 후, 시트 S는 2차 전사 닙부에 반송된다. 2차 전사 닙부에서, 시트 S와 토너상의 타이밍이 일치하게 되어, 2차 전사가 행하여진다.
2차 전사 닙부보다도 시트 S의 반송 방향의 하류 측에는, 정착 장치(9)가 배열된다. 정착 장치(9)에 반송된 시트 S에 대하여, 미리결정된 압력과 미리결정된 열량이 정착 장치(9)에 의해 가해짐으로써, 시트 S의 표면 상에 토너상이 용융되어 고착된다. 이와 같이 하여 화상이 정착된 시트 S는 배출 롤러(69)의 순방향 회전에 의해 직접적으로 배출 트레이(601)에 배출된다.
양면 화상 형성을 행하는 경우에는, 배출 롤러(69)의 순방향 회전에 의해 시트 S의 후단부가 전환기(602)를 관통할 때까지 반송된 후, 배출 롤러(69)를 역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시트 S는 선후단이 교체되고, 양면 반송 패스(603)에 시트 S가 반송된다. 그 후, 다음 화상 형성 타이밍에 맞게, 시트 S는 재급송 롤러(604)에 의해 다시 반송 패스(64)에 반송된다.
<화상 형성 프로세스>
화상 형성시에, 감광체 드럼(1)은 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동된다. 대전 롤러(2)는 회전 구동되는 감광체 드럼(1)의 표면을 미리 대전시킨다. 노광 장치(68)는 화상 형성 장치(60)에 입력되는 화상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에 기초하여, 대전 롤러(2)에 의해 대전된 감광체 드럼(1)의 표면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감광체 드럼(1)은 복수의 크기의 정전 잠상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현상 장치(3)는 현상제를 담지하는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회전 가능한 현상 슬리브(70)를 포함한다. 현상 장치(3)는 현상 슬리브(70)의 표면에 담지되어 있는 현상제를 사용하여 감광체 드럼(1)의 표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한다. 이에 의해, 감광체 드럼(1)의 표면에 토너가 부착되어, 가시상(visible image)이 형성된다. 1차 전사 롤러(4)에 전사 바이어스(정전 부하 바이어스)가 인가되어, 감광체 드럼(1)의 표면 상에 형성된 토너상이 중간 전사 벨트(61) 상에 전사된다. 1차 전사 후의 감광체 드럼(1)의 표면 상에 약간 남겨진 토너(전사 잔류 토너)는 감광체 클리너(5)에 의해 회수되어, 다시 다음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위해 준비된다.
Y, M, C 및 Bk의 각 색의 화상 형성 유닛(600)에 의해 병렬 처리되는 각 색의 화상 형성 프로세스는 중간 전사 벨트(61) 상에 1차 전사된 상류측 색의 토너상 위에 순차적으로 중첩하는 타이밍에 수행된다. 그 결과, 중간 전사 벨트(61) 상에는 풀컬러의 토너상이 형성되고나서, 토너상이 2차 전사 닙부에 반송된다. 2차 전사외 롤러(67)에는 전사 바이어스가 인가되어, 중간 전사 벨트(61) 상에 형성된 토너상이 2차 전사 닙부에 반송된 시트 S 상에 전사된다. 시트 S가 2차 전사 닙부를 통과한 후의 중간 전사 벨트(61) 위에 약간 남겨진 토너(전사 잔류 토너)는 중간 전사체 클리너(8)에 의해 회수된다. 정착 장치(9)는 시트 S 상에 전사된 토너상을 정착시킨다. 정착 장치(9)에 의해 정착 처리된 시트 S는 배출 트레이(601)에 배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일련의 화상 형성 프로세스가 종료한 후에 다음 화상 형성 동작을 위한 준비가 이루어진다.
<현상 장치의 구성>
다음으로, 현상 장치(3)의 구성에 대해서, 도 2의 사시도, 도 3의 사시도, 도 4의 단면도, 도 5의 단면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단면 H에서의 현상 장치(3)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단면도에서 현상 슬리브(70)와 그 주변을 확대한 도면이다.
현상 장치(3)는 토너와 캐리어를 포함하는 현상제를 함유하는 현상 용기를 포함한다. 현상 용기는 수지에 의해 성형된 수지로 이루어진 현상 프레임체(30)와 수지에 의해 성형된 수지로 이루어진 커버 프레임체(37)로 구성된다.
현상 프레임체(30)에는 현상 슬리브(70)이 감광체 드럼(1)에 접하는 현상 영역에 상당하는 위치에 개구가 제공된다. 현상 프레임체(30)의 개구에 현상 슬리브(70)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현상 프레임체(30)에 대해 현상 슬리브(70)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현상 슬리브(70)의 길이 방향(현상 슬리브(70)의 회전 축선 방향)의 양 단부 각각에는, 베어링 부재인 베어링(73)이 제공된다. 현상 슬리브(70)의 길이 방향(현상 슬리브(70)의 회전 축선 방향)의 양 단부는 베어링(7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된다.
커버 프레임체(37)는 현상 슬리브(70)의 길이 방향(현상 슬리브(70)의 회전 축선 방향)에 걸쳐서 현상 슬리브(70)의 외주면의 일부가 커버되도록 현상 프레임체(30)의 개구의 일부를 커버한다. 또한, 커버 프레임체(37)는 현상 프레임체(30)와 일체로 성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현상 프레임체(30)와는 별개로 성형되어 현상 프레임체(30)에 별체로서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 도 4 및 도 5는 현상 프레임체(30)에 커버 프레임체(37)가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도 3은 현상 프레임체(30)에 커버 프레임체(37)가 아직 부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현상 프레임체(30)의 내부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격벽(38)에 의해, 제1 챔버로서의 현상 챔버(31)와 제2 챔버로서의 교반 챔버(32)로 구획되어 있다. 즉, 격벽(38)은 현상 챔버(31)와 교반 챔버(32)를 분리하기 위한 구획부로서의 역할을 한다. 또한, 격벽(38)은 현상 프레임체(30)와 일체로 성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현상 프레임체(30)와는 별개로 성형되어 현상 프레임체(30)에 별체로서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현상 장치(3)는 현상 챔버(31) 내의 현상제가 현상 챔버(31)로부터 교반 챔버(32)로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1 연통부(39a)와 교반 챔버(32) 내의 현상제가 교반 챔버(32)로부터 현상 챔버(31)로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2 연통부(39b)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하여, 현상 챔버(31)와 교반 챔버(32)는 제1 연통부(39a) 및 제2 연통부(39b)를 통해 길이 방향의 양단으로 서로 연결된다.
현상 슬리브(70)의 내부에는, 현상 슬리브(70)의 표면에 현상제를 담지시키기 위한 자계를 생성하는 자계 발생 유닛으로서의 마그네트(71)가 고정적으로 배치된다. 마그네트(71)는 원기둥 마그네트 롤이며, 복수의 자극을 갖고, 회전할 수 없도록 지지되고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그네트(71)는 현상 영역에서의 감광체 드럼(1)에 대향하여 배치된 현상극인 N2-극과, 이 N2-극으로부터 현상 슬리브(70)의 회전 방향(도 5의 화살표 D의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S2-극, N3-극, N1-극, S1-극을 갖는다. 또한, 마그네트(71)는 현상 슬리브(70)의 내부에 마그네트(71)를 고정하기 위한 금속 축(metal shaft)에 대하여 복수의 마그네트의 피스가 함께 접합되는 것에 의해 구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마그네트(71)는 현상 슬리브(70)의 내부에 마그네트(71)를 고정하기 위한 마그네트용 축부도 포함하여 1개의 마그네트로 일체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현상 챔버(31) 내의 현상제는 마그네트(71)의 자극에 의한 자장의 영향하에서 퍼 올려서, 현상 슬리브(70)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하여 현상 챔버(31)로부터 현상 슬리브(70)에 현상제가 공급되기 때문에, 현상 챔버(31)를 "공급 챔버"라고도 칭한다.
현상 챔버(31)에는, 현상 챔버(31) 내의 현상제를 교반하고 반송하는 반송 유닛으로서의 제1 반송 스크루(33)가 현상 슬리브(70)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제1 반송 스크루(33)는 회전 가능한 축부로서의 회전축과, 회전축의 외주를 따라 제공된 현상제 반송부로서의 나선형 블레이드부를 포함하고, 현상 프레임체(3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제1 반송 스크루(33)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 각각에는, 베어링 부재가 제공된다.
또한, 교반 챔버(32)에는, 교반 챔버(32) 내의 현상제를 교반하고 그 현상제를 제1 반송 스크루(33)의 방향과 역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 유닛으로서의 제2 반송 스크루(34)가 배치된다. 제2 반송 스크루(34)는 회전 가능한 축부로서의 회전축과, 회전축의 외주를 따라 제공된 현상제 반송부로서의 나선형 블레이드부를 포함하고, 현상 프레임체(3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제2 반송 스크루(34)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 각각에는, 베어링 부재가 제공된다. 다음으로, 제1 반송 스크루(33)와 제2 반송 스크루(34)가 회전 구동될 때, 제1 연통부(39a) 및 제2 연통부(39b)를 통해 현상 챔버(31)와 교반 챔버(32) 사이에서 현상제가 순환하는 순환 경로가 형성된다.
현상 프레임체(30)에는, 현상 슬리브(70)의 표면에 담지되는 현상제의 양(이하, "현상제 코팅량"이라고 칭함)을 규제하는 현상제 규제 부재로서의 규제 블레이드(36)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규제 블레이드(36)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규제 블레이드일 수 있거나 수지로 성형된 수지로 이루어진 규제 블레이드일 수 있다.
규제 블레이드(36)는 현상 슬리브(70)에 접하도록 현상 슬리브(70)와 비접촉되어 배치된다. 또한, 규제 블레이드(36)는 현상 슬리브(70)의 길이 방향(현상 슬리브(70)의 회전 축선 방향)에 걸쳐서 규제 블레이드(36)와 현상 슬리브(70) 사이에 미리결정된 갭(이하, "SB 갭 G"라고 칭함)을 통해 현상 슬리브(70)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SB 갭 G는 현상 슬리브(70)의 최대 화상 영역과 규제 블레이드(36)의 최대 화상 영역 사이의 최단 거리라고 가정된다.
또한, 현상 슬리브(70)의 최대 화상 영역이란, 현상 슬리브(70)의 회전 축선 방향에 대해 감광체 드럼(1)의 표면 상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화상 영역 중의 최대 화상 영역에 대응하는 현상 슬리브(70)의 영역이다. 또한, 규제 블레이드(36)의 최대 화상 영역이란, 현상 슬리브(70)의 회전 축선 방향에 대해 감광체 드럼(1)의 표면 상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화상 영역 중의 최대 화상 영역에 대응하는 규제 블레이드(36)의 영역이다.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감광체 드럼(1)이 복수의 크기의 정전 잠상을 형성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최대 화상 영역은 감광체 드럼(1)의 표면 상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복수의 크기의 화상 영역 중 가장 큰 크기(예를 들어, A3 크기)에 대응하는 화상 영역을 지칭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한편, 감광체 드럼(1)이 1개의 크기만의 정전 잠상을 형성할 수 있는 변형예에서, 최대 화상 영역은 감광체 드럼(1)의 표면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1개의 크기의 화상 영역을 지칭하는 것으로 대체되도록 가정된다.
다음으로, 규제 블레이드(36)의 근방에서의 현상제의 거동에 대하여 도 6의 개략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그네트(71)에 포함된 복수의 자극(N2-극, S2-극, N3-극, N1-극, S1-극) 중 규제 블레이드(36)에 가장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자극인 S1-극을, 이하 "규제극 S1"이라고 칭한다.
규제 블레이드(36)는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에 대략 대향하여 배치된다. 즉, 규제 블레이드(36)는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를 중심으로 한 현상 슬리브(70)의 회전 방향에 ±10도의 범위 내에서, 현상 슬리브(70)의 표면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현상 챔버(31)로부터 현상 슬리브(70)에 공급된 현상제는 마그네트(71)에 포함된 복수의 자극에 의한 자장의 영향을 받는다. 또한, 규제 블레이드(36)에 의해 규제되어 벗겨진 현상제는 SB 갭 G의 상류부에서 체류하기 쉽다. 그 결과, 규제 블레이드(36) 보다도 현상 슬리브(70)의 회전 방향에서의 상류 측에는 현상제 누적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현상제 누적의 일부인 현상제는 현상 슬리브(70)의 회전과 연계하여 SB 갭 G를 통과하도록 반송된다. 이때, SB 갭 G를 통과하는 현상제의 층 두께는 규제 블레이드(36)에 의해 규제된다. 이와 같이 하여, 현상 슬리브(70)의 표면에는 현상제의 박층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현상 슬리브(70)의 표면에 담지된 미리결정된 양의 현상제는 현상 슬리브(70)의 회전과 연계하여 현상 영역에 반송된다. 따라서, SB 갭 G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현상 영역에 반송되는 현상제의 양이 조정되게 된다.
현상 영역에 반송된 현상제는 현상 영역에서 자기적으로 상승되기 때문에, 자기 브러시(magnetic brush)를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자기 브러시는 감광체 드럼(1)과 접촉함으로써, 현상제에 포함된 토너가 감광체 드럼(1)에 공급되게 된다. 다음으로, 감광체 드럼(1)의 표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이 토너상으로서 현상된다. 현상 영역을 통과하여 감광체 드럼(1)에 토너를 공급한 후에 현상 슬리브(70)의 표면 상에 잔류된 현상제(이하, "현상 프로세스 후의 현상제"라고 칭함)는, 마그네트(71)의 동일한 극의 자극들간에 형성된 반발 자계에 의해 현상 슬리브(70)의 표면으로부터 벗겨진다. 현상 슬리브(70)의 표면으로부터 벗겨진 현상 프로세스 후의 현상제는 현상 챔버(31)에 낙하됨에 따라, 현상 챔버(31)에 회수된다.
<현상제 코팅량>
다음으로, SB 갭 G의 크기와 현상제 코팅량간의 관계에 대해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SB 갭 G의 크기와 현상제 코팅량간의 관계는 일반적으로, SB 갭 G의 크기가 커질수록, 현상제 코팅량이 많아지는 관계에 있다.
감광체 드럼(1)의 표면 상에 형성되는 화상의 품질 레벨을 보장하기 위해, 허용가능한 현상제 코팅량의 범위가 미리 결정된다. 허용가능한 현상제 코팅량의 범위는 이하 "현상제 코팅량의 변동량(ΔM)"이라고 칭한다.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SB 갭 G의 크기와 현상제 코팅량간의 상관관계는 ΔM의 변동의 폭을 갖는다. ΔM의 변동의 요인의 예로는 환경 변동, 경시 변화, 부품 공차 및 조정 공차가 포함된다. 따라서, 이러한 ΔM의 변동의 폭을 고려하여, 본 예시적인 실시예는 현상제 코팅량이 ΔM을 충족하도록 SB 갭 G의 조정 범위(즉, SB 갭 G의 상한값과 하한값)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본 예시적인 실시예는 현상제 코팅량이 ΔM의 중심값이 되는 것에 따른 SB 갭 G의 크기를, SB 갭 G의 조정 범위의 중심값(SB 갭 G의 타겟값)으로서 결정한다.
다음으로, SB 갭 G의 조정 범위와 현상제 코팅량간의 관계에 대하여 도 8a, 도 8b 및 도 8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ΔM의 변동이 큰 경우,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허용가능한 SB 갭 G의 크기의 범위(SB 갭 G의 조정 범위)가 좁아진다. 한편, ΔM의 변동이 작은 경우,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허용가능한 SB 갭 G의 크기의 범위(SB 갭 G의 조정 범위)가 넓어진다. 또한,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ΔM의 변동이 작고, 또한 SB 갭 G의 조정 범위를 좁게 설정한 경우, 현상제 코팅량의 변동량(ΔMall)이 작아진다. 따라서, 현상 슬리브(70)의 길이 방향(현상 슬리브(70)의 회전 축선 방향)에 걸쳐서 현상제 코팅량이 균일하게 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ΔM의 변동을 더 작게 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개개의 마그네트(71)마다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의 변동과 현상제 코팅량간의 관계에 대해서,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a는 규제극 S1의 근방에서의 자력의 크기 분포(자력선)를 나타내고 있다.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는 개개의 마그네트(71)마다 변동을 가질 수 있다. 그 이유는, 복수의 자극을 갖는 마그네트 롤을 제조할 경우, 마그네트(71)를 예를 들어, 현상극 N2, 현상제를 벗겨내기 위한 자극(박취극(scraping-up pole)) N3, 규제극 S1의 순서대로 자화시킴으로써, 각각의 자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를 조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는 현상극 N2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 또는 박취극 N3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와의 상대 관계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개개의 마그네트(71)마다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의 변동에 의해,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규제극 S1의 근방에서의 자력의 크기 분포가 변동하여, 규제 블레이드(36)의 근방에서의 현상제의 거동이나 현상제의 밀도가 변화한다. 그 결과, SB 갭 G를 관통하는 현상제의 양(현상제 코팅량)이 변동하여, 개개의 현상 장치(3)마다 현상제 코팅량의 변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마그네트(71)의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의 개별적인 차에 관계없이, SB 갭 G의 크기를 동일한 값으로 설정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개의 마그네트(71)마다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의 변동에 의해, 현상제 코팅량은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의 개별적인 차에 상응하는 분("ΔMx"라고 칭함)만큼 변동할 것이다.
다음으로, 개개의 마그네트(71)마다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의 변동과 현상제 코팅량간의 관계에 대해서,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a는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의 상한값과 하한값을 나타내고 있다.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는 개개의 마그네트(71)마다 변동을 가질 수 있다. 그 이유는, 복수의 자극을 갖는 마그네트 롤을 제조할 경우, 마그네트(71)를 예를 들어, 현상극 N2, 현상제를 벗겨내기 위한 자극(박취극) N3, 규제극 S1의 순서대로 자화시킴으로써, 각각의 자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를 조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는 현상극 N2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 또는 박취극 N3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와의 상대 관계에 따라 변동할 수 있다.
개개의 마그네트(71)마다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의 변동에 의해, 규제극 S1의 근방에서의 자력의 크기 분포가 변동하여, 규제 블레이드(36)의 근방에서의 현상제의 거동이나 현상제의 밀도가 변화한다. 그 결과, SB 갭 G를 관통하는 현상제의 양(현상제 코팅량)이 변동하여, 개개의 현상 장치(3)마다 현상제 코팅량의 변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마그네트(71)의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의 개별적인 차에 관계없이, SB 갭 G의 크기를 동일한 값으로 설정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개의 마그네트(71)마다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의 변동에 의해, 현상제 코팅량이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의 개별적인 차에 상응하는 분("ΔMy"라고 칭함)만큼 변동할 것이다.
이와 같이,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 또는 "극대 피크 위치"와 같은 개개의 마그네트(71)마다의 특성 변동이, 규제극 S1의 근방에서의 자력의 크기 분포 변동을 초래한다.
예를 들어,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가 큰 경우, 현상 슬리브(70)의 회전 방향에 대해 규제 블레이드(36)의 상류 측에 접하는 현상제에 포함된 캐리어에 작용하는 자기력의 크기가 커진다. 따라서,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가 미리결정된 값보다 큰 경우,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가 미리결정된 값인 경우에 비하여, SB 갭 G의 크기를 동일한 값으로 설정했을 때의 현상제 코팅량이 많아진다.
한편,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가 작은 경우, 현상 슬리브(70)의 회전 방향에 대해 규제 블레이드(36)의 상류 측에 접하는 현상제에 포함된 캐리어에 작용하는 자기력의 크기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가 미리결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가 미리결정된 값인 경우에 비하여, SB 갭 G의 크기를 동일한 값으로 설정했을 때의 현상제 코팅량이 적어진다.
이와 같이,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를 고려하지 않고 SB 갭 G의 크기를 동일한 값으로 설정한 경우, 개개의 마그네트(71)마다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의 변동에 기인하여 개개의 현상 장치(3)마다 현상제 코팅량의 변동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개개의 현상 장치(3)마다 현상제 코팅량의 변동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개개의 마그네트(71)마다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를 고려하고, 개개의 현상 장치(3)마다 SB 갭 G의 크기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마그네트(71)에 포함된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를 고려하여 SB 갭 G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개개의 현상 장치(3)마다 현상제 코팅량의 변동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유사하게,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를 고려하지 않고 SB 갭 G의 크기를 동일한 값으로 설정한 경우, 개개의 마그네트(71)마다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의 변동에 기인하여 개개의 현상 장치(3)마다 현상제 코팅량의 변동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개개의 현상 장치(3)마다 현상제 코팅량의 변동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개개의 마그네트(71)마다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를 고려하여 개개의 현상 장치(3)마다 SB 갭 G의 크기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마그네트(71)에 포함된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를 고려하여 SB 갭 G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개개의 현상 장치(3)마다 현상제 코팅량의 변동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 및 제2 양태 각각에 대한 상세는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SB 갭 G의 조정 범위와 현상제 코팅량간의 관계에 대하여 도 11a, 도 11b, 도 11c, 도 12a, 도 12b, 도 12c, 도 13a, 도 13b 및 도 13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a는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가 중심값이며, 또한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가 중심값일 경우에서의 SB 갭 G의 조정 범위와 현상제 코팅량간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a에 도시된 예에서는, 마그네트(71)의 특성으로서, SB 갭 G의 크기와 현상제 코팅량간의 관계(즉, ΔM의 변동의 현상제 코팅량에 대한 감도)가 "특성선 L1"으로 나타나 있다.
마그네트(71)의 특성이 "특성선 L1"일 경우, 현상제 코팅량에 대하여,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의 개별적인 차에 상응하는 현상제 코팅량의 분과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의 개별적인 차에 상응하는 현상제 코팅량의 분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도 12a 참조). 또한, 도 11a에서는,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의 개별적인 차에 상응하는 현상제 코팅량의 분의 변동은 "ΔMx"로 표시되어 있고,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의 개별적인 차에 상응하는 현상제 코팅량의 분의 변동은 "ΔMy"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마그네트(71)의 특성이 "특성선 L1"일 경우, "특성선 L1"이 ΔM의 상한값과 하한값의 각각의 선과 교차하는 범위까지 SB 갭 G의 조정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도 13a 참조).
도 11b는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가 하한값이며, 또한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가 하한값일 경우에서의 SB 갭 G의 조정 범위와 현상제 코팅량간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b에 도시된 예에서는, 마그네트(71)의 특성으로서, SB 갭 G의 크기와 현상제 코팅량간의 관계(즉, ΔM의 변동의 현상제 코팅량에 대한 감도)가 "특성선 L2"로 나타나 있다.
마그네트(71)의 특성이 "특성선 L2"일 경우,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가 하한값 측에 시프트하고, 또한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가 하한값 측으로 시프트한다(도 12b 참조). 또한, 마그네트(71)의 특성이 "특성선 L2"일 경우, "특성선 L2"이 ΔM의 상한값과 하한값의 각각의 선과 교차하는 범위까지 SB 갭 G의 조정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도 13b 참조). 이 경우, 도 13b의 그래프를 사용하여, "특성선 L2" 상의 현상제 코팅량의 타겟값에 대응하는 SB 갭 G의 크기를, SB 갭 G의 타겟값으로서 결정할 수 있다.
도 11c는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가 상한값이며, 또한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가 상한값일 경우에서의, SB 갭 G의 조정 범위와 현상제 코팅량간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c에 도시된 예에서는, 마그네트(71)의 특성으로서, SB 갭 G의 크기와 현상제 코팅량간의 관계(즉, ΔM의 변동의 현상제 코팅량에 대한 감도)가 "특성선 L3"으로 나타나 있다.
마그네트(71)의 특성이 "특성선 L3"일 경우,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가 상한값 측으로 시프트하고, 또한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가 상한값 측으로 시프트한다(도 12c 참조). 또한, 마그네트(71)의 특성이 "특성선 L3"일 경우, "특성선 L3"이 ΔM의 상한값과 하한값의 각각의 선과 교차하는 범위까지 SB 갭 G의 조정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도 13c 참조). 이 경우, 도 13c의 그래프를 사용하여, "특성선 L3" 상의 현상제 코팅량의 타겟값에 상응하는 SB 갭 G의 크기를, SB 갭 G의 타겟값으로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가 중심값, 하한값, 상한값인 것은, 각각, 개개의 마그네트(71)마다 취할 수 있는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의 범위 중 중심값, 최솟값, 최댓값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가 중심값, 하한값, 상한값인 것은 각각, 개개의 마그네트(71)마다 취할 수 있는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의 범위 중 중심값, 최솟값, 최댓값인 것을 의미한다.
마그네트(71)의 특성이 "특성선 L2" 또는 "특성선 L3"일 경우, 마그네트(71)의 특성이 "특성선 L1"인 경우에 비하여, ΔM의 중심값이 어긋나 있다(도 11a 내지 도 11c 참조). 따라서, 개개의 마그네트(71)마다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SB 갭 G의 크기를 동일한 값으로 설정한 경우, 개개의 현상 장치(3)마다 현상제 코팅량의 변동이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개개의 현상 장치(3)마다 발생하는 현상제 코팅량의 변동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마그네트(71)의 특성을 고려하여 개개의 현상 장치(3)마다 SB 갭 G의 크기의 범위를 변위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특성선 L1"의 경우의 ΔM의 중심값으로부터 마그네트(71)의 특성이 어긋나 있는 경우, 본 예시적인 실시예는 "특성선 L1" 상의 현상제 코팅량이 타겟으로 하는 현상제 코팅량이 되도록 SB 갭 G의 조정 범위를 결정한다.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그네트(71)의 특성이 "특성선 L2"일 경우, 본 예시적인 실시예는 SB 갭 G의 조정 범위의 중심값(SB 갭 G의 타겟값)이 커지도록 SB 갭 G의 조정 범위를 변위시킨다. 한편, 도 1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그네트(71)의 특성이 "특성선 L3"일 경우, 본 예시적인 실시예는 SB 갭 G의 조정 범위의 중심값(SB 갭 G의 타겟값)이 작아지도록 SB 갭 G의 조정 범위를 변위시킨다.
상술한 도 11a 내지 도 11c, 도 12a 내지 도 12c, 및 도 13a 내지 도 13c에 따르면, 개개의 마그네트(71)마다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 또는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를 고려하여 SB 갭 G의 조정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SB 갭 G의 조정 범위를 결정하는 방법은 도 11a 내지 도 11c, 도 12a 내지 도 12c, 및 도 13a 내지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특성선 L1, 특성선 L2, 특성선 L3을 사용해서 결정하는 것 이외에, SB 갭 G의 조정 범위로 변환가능한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규제 블레이드의 고정 방법>
전술한 바와 같이, 현상제 코팅량의 변동(ΔM)의 요인은, 개개의 마그네트(71)마다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 또는 "극대 피크 위치"에 발생하는 변동이 규제극 S1의 근방에서의 자력의 크기 분포에 변동을 초래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방법은 개개의 마그네트(71)마다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 또는 "극대 피크 위치"의 실측값을 산출하고,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 또는 "극대 피크 위치"에 관한 정보를 2차원 바코드를 사용하여 현상 슬리브(70)에 기록한다. 다음으로, 규제 블레이드(36)을 현상 프레임체(30)에 고정할 때, 장치가 현상 슬리브(70)에 제공된 2차원 바코드를 판독하여, 현상 슬리브(70)에 기록된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 또는 "극대 피크 위치"에 관한 정보를 취득(입력)한다. 다음으로, 장치는 현상 슬리브(70)에 기록된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 또는 "극대 피크 위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SB 갭 G의 조정 범위를 결정한다. 다음으로, 장치는 SB 갭 G의 크기가 현상 슬리브(70)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결정된 SB 갭 G의 조정 범위(즉, SB 갭 G의 상한값과 하한값 사이)내에 부합되도록 규제 블레이드(36)를 현상 프레임체(30)에 고정한다. 이하에 그 상세를 설명한다.
먼저, 2차원 바코드가 제공되는 현상 슬리브(70)의 부분에 대해서,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현상 슬리브(70)의 길이 방향에서의 단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 또는 "극대 피크 위치"에 관한 정보를 현상 슬리브(70)에 기록하는 방법으로서, 2차원 바코드를 사용하고 있다. 2차원 바코드가 제공되는 현상 슬리브(70)의 부분은 현상 프레임체(30)에 의해 현상 슬리브(70)가 지지된 상태에서, 장치가 2차원 바코드를 판독할 수 있는 부분이면 된다. 예를 들어, 2차원 바코드가 제공되는 현상 슬리브(70)의 부분(70d)은 현상 슬리브(70)의 내부에 마그네트(71)를 고정하기 위한 마그네트용 축부(마그네트 축)의 길이 방향의 단부이다. 또한, 마그네트 축은 현상 슬리브(70)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들 중 하나이다. 또한, 예를 들어, 2차원 바코드가 제공되는 현상 슬리브(70)의 부분(70d)은 현상 슬리브(70)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배치되며 또한 현상 슬리브(70)와 일체로 회전 가능한 플랜지부일 수 있다.
또한, 개개의 마그네트(71)마다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 또는 극대 피크 위치의 실측값을 산출하고,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 또는 극대 피크 위치에 관한 정보를 2차원 바코드를 사용하여 마그네트(71)에 기록하는 변형예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변형예에서는, 예를 들어, 현상 슬리브(70)의 내부에 마그네트(71)가 고정적으로 배치되고, 또한 현상 슬리브(70)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플랜지부가 부착된 상태에서, 장치가 마그네트(71)의 2차원 바코드를 판독한다. 다음으로, 장치가 마그네트(71)의 2차원 바코드를 판독한 후에, 현상 슬리브(70)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에 플랜지부를 부착시키고, 그 후, 현상 프레임체(30)에 의해 현상 슬리브(70)를 지지시킬 수 있다. 2차원 바코드가 제공되는 마그네트(71)의 부분은 현상 슬리브(70)의 내부에 마그네트(71)가 고정적으로 배치되고 또한 현상 슬리브(70)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플랜지부가 부착된 상태에서, 장치가 2차원 바코드를 판독할 수 있는 부분이면 된다.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의 실측값, 또는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의 실측값을 2차원 바코드를 사용하여 현상 슬리브(70)에 기록한다. 또한,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는 마그네트(71)의 위상을 결정하기 위한 위상 결정부로부터의 각도를 측정함으로써 산출될 수 있다. 이 위상 결정부는 현상 슬리브(70)의 내부에 마그네트(71)을 고정하기 위한 마그네트용 축부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제공된다.
장치는 현상 슬리브(70)에 제공된 2차원 바코드를 판독하여 현상 슬리브(70)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배치된 마그네트(71)에 포함된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 또는 "극대 피크 위치"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다음으로, 장치는 현상 슬리브(70)로부터 취득한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 또는 "극대 피크 위치"에 관한 정보를 현상 프레임체(30)에 의해 현상 슬리브(70)가 지지된 유닛과 연관시킨다.
또한, 현상 슬리브(70)에 제공된 2차원 바코드의 장치에 의한 판독은 현상 프레임체(30)에 의해 현상 슬리브(70)가 지지된 유닛의 상태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현상 프레임체(30)에 의해 현상 슬리브(70)가 지지된 유닛과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 또는 "극대 피크 위치"에 관한 정보간의 연관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현상 슬리브(70)의 최대 화상 영역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와 중앙부 각각에서 SB 갭 G의 크기를 조정하는 경우에 대해서 생각한다. 이 경우에는, 마그네트(71)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와 중앙부 각각에서의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 또는 "극대 피크 위치"에 관한 정보를, 2차원 바코드를 사용하여 현상 슬리브(70)에 기록할 수 있다. 즉, SB 갭 G의 조정시에 사용하는 조건에 부합되게, 마그네트(71)의 길이 방향의 복수의 부분 각각에서의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 또는 "극대 피크 위치"에 관한 정보를, 2차원 바코드를 사용하여 현상 슬리브(70)에 기록할 수 있다.
다음으로, 현상 슬리브(70)를 현상 프레임체(30)에 부착하는 프로세스에 대해서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규제 블레이드(36)를 현상 프레임체(30)에 고정시키기 전에, 2차원 바코드가 제공된 현상 슬리브(70)를 현상 프레임체(30)에 미리 부착시킨다. 이에 의해, 현상 프레임체(30)에 의해 현상 슬리브(70)가 지지된 상태에서, SB 갭 G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현상 슬리브(70)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배치된 마그네트(71)의 특성을 현상 슬리브(70)로부터 취득하는 프로세스에 대해서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 프레임체(30)에 현상 슬리브(70)가 부착된 상태에서, 장치(100)는 현상 슬리브(70)에 제공된 2차원 바코드를 판독하여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 또는 "극대 피크 위치"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다음으로, 장치(100)는 현상 슬리브(70)로부터 취득한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 또는 "극대 피크 위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SB 갭 G의 크기를 조정할 때에 타겟으로 하는 SB 갭 G의 크기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장치(100)는 현상 슬리브(70)로부터 취득한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 또는 "극대 피크 위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마그네트(71)의 특성(도 11a 내지 도 11c를 참조하여 전술한 특성선 L1, 특성선 L2, 특성선 L3)을 특정한다. 다음으로, 장치(100)는 마그네트(71)의 특성(특성선 L1, 특성선 L2, 특성선 L3)에 기초하여, 특성선 상의 현상제 코팅량의 타겟값에 대응하는 SB 갭 G의 크기를, SB 갭 G의 크기의 타겟값으로서 결정한다. 다음으로, 장치(100)는 SB 갭 G의 조정 범위로 하는 상한값과 하한값을 조정함으로써, 개개의 현상 장치(3)마다 현상제 코팅량(ΔM)의 변동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킨다.
다음으로, 규제 블레이드(36)를 현상 프레임체(30)에 고정시키는 고정 프로세스에 대하여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는 SB 갭 G의 크기가, 결정된 SB 갭 G의 조정 범위내에 부합되도록, 규제 블레이드(36)를 현상 프레임체(30)에 고정하는 위치를 조정한다. 예를 들어, 장치는, 현상 슬리브(70)의 최대 화상 영역의 길이 방향의 단부와, 규제 블레이드(36)의 길이 방향의 단부를, 예를 들어 센서(카메라 또는 레이저 장치)를 통해 관찰하면서, SB 갭 G의 크기가 SB 갭 G의 조정 범위내에 부합되도록 규제 블레이드(36)를 이동시킨다. 또한, SB 갭 G의 크기를, 예를 들어 센서를 통해 측정하는 예 이외에, SB 갭 G에 갭퍼(gapper)가 부딪치게 함으로써 SB 갭 G의 크기를 측정하는 방법이 채택될 수 있다. 다음으로, SB 갭 G의 크기가 미리결정된 범위내에 부합되면, 장치는 규제 블레이드(36)를 현상 프레임체(30)에 고정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규제 블레이드(36)를 현상 프레임체(30)에 착지시킨 초기 위치에서 산출한 SB 갭 G가 350㎛라고 가정한다. 한편, SB 갭 G의 조정 범위는 300㎛±30㎛이고 SB 갭 G의 공차(즉, SB 갭 G의 타겟값에 대한 공차)로서 최대로 60㎛까지 허용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규제 블레이드(36)를 현상 프레임체(30)에 착지시킨 초기 위치에서는, SB 갭 G의 조정 범위는 SB 갭 G의 공칭값인 300㎛보다 50㎛ 더 크게 된다. 따라서, 장치는, 규제 블레이드(36)를 손가락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현상 슬리브(70)의 표면에 대하여 규제 블레이드(36)를 50㎛만큼 접근시킨 방향으로 규제 블레이드(36)를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카메라는 손가락으로 이동시킨 규제 블레이드(36)에 가장 근접하는 위치와 손가락으로 이동시킨 규제 블레이드(36)의 선단부를 판독한다. 다음으로, 장치는 손가락으로 이동시킨 규제 블레이드(36)에 대해서 SB 갭 G를 재산출한다.
장치는, 산출된 SB 갭 G의 크기가 SB 갭 G의 조정치의 범위(300㎛±30㎛)내에 부합된다고 판정했을 경우, SB 갭 G의 조정을 종료한다. 한편, 장치는, 산출된 SB 갭 G의 크기가 SB 갭 G의 조정 범위(300㎛±30㎛)내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판정했을 경우, 산출된 SB 갭 G의 크기가 SB 갭 G의 조정 범위(300㎛±30㎛)내에 부합될 때까지, 전술한 SB 갭 G의 조정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SB 갭 G의 크기가 미리결정된 범위(SB 갭 G의 조정치의 범위)에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장치는 규제 블레이드(36)를 현상 프레임체(30)에 고정시킨다.
또한,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SB 갭 G의 크기를 조정할 때,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와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 양쪽 모두를 고려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다. 한편, 마그네트(71)의 위상은 현상 슬리브(70)의 길이 방향의 단부(마그네트용 축부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제공된 위상 고정부에 위상 고정 부재를 부착함으로써 결정된다. 따라서, 규제 블레이드(36)에 대한 마그네트(71)의 위상 어긋남(각도 어긋남)은 마그네트(71)의 위상 고정부로부터 규제극 S1의 각도 어긋남 성분, 위상 고정 부재의 부품 공차, 및 규제 블레이드(36)를 현상 프레임체(30)에 고정하는 고정부의 공차로 인해 발생한다.
따라서,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는 특정 위치라고 간주될 수 있고, 개개의 마그네트(71)마다 특성의 변동으로서,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는 고려하지 않고,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만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현상 슬리브(70)의 내부에 고정된 마그네트(71)의 특성으로서 현상 슬리브(70)에 기록될 정보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현상 슬리브(70)에 기록될 정보의 양을 저감시킬 수 있으면, 현상 슬리브(70)에 마그네트(71)의 특성을 기록하는 방법은 2차원 바코드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숫자, 문자, 기호를, 예를 들어 각인, 인쇄, 타이핑에 의해 현상 슬리브(70)에 직접 기록될 수 있다. 또한,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에 관한 정보가, 예를 들어, 숫자, 문자, 기호를, 예를 들어 각인, 인쇄, 타이핑에 의해 현상 슬리브(70) 또는 마그네트(71) 등에 직접 기록되는 변형예에서,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를 유저가 시각적으로 인식가능한 경우에 대해서 생각한다. 이 경우, 유저는 시각적으로 인식가능한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를, 장치의 조작 유닛에 직접적으로 입력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2차원 바코드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 유닛을 장치에 제공할 필요가 없게 되어, 장치의 구성이 간소화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는 특정값이라고 간주될 수 있으며, 개개의 마그네트(71)마다 특성의 변동으로서,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는 고려하지 않고,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만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현상 슬리브(70)의 내부에 고정된 마그네트(71)의 특성으로서 현상 슬리브(70)에 기록될 정보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현상 슬리브(70)에 기록될 정보의 양을 저감시킬 수 있으면, 현상 슬리브(70)에 마그네트(71)의 특성을 기록하는 방법은 2차원 바코드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숫자, 문자, 기호를, 예를 들어 각인, 인쇄, 타이핑에 의해 현상 슬리브(70)에 직접적으로 기록될 수 있다. 또한,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에 관한 정보가, 예를 들어, 숫자, 문자, 기호를, 예를 들어 각인, 인쇄, 타이핑에 의해 현상 슬리브(70) 또는 마그네트(71)에 직접적으로 기록되는 변형예에서,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를 유저가 시각적으로 인식가능한 경우에 대해서 생각한다. 이 경우, 유저는 시각적으로 인식가능한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를, 장치의 조작 유닛에 직접적으로 입력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2차원 바코드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 유닛을 장치에 제공할 필요가 없게 되어, 장치의 구성이 간소화될 수 있다.
그러나, 타겟으로 하는 SB 갭 G의 크기를 조정할 때,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와 "극대 피크 위치"의 양쪽 모두를 고려한 경우쪽이 그들 중 하나만을 고려할 경우보다 ΔM의 변동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는 효과가 크다. 따라서, 현상 슬리브(70)에 기록될 정보의 양을 적게 하는 것보다도, 현상제 코팅량(ΔM)의 변동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는 효과를 우선하는 것이라면,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와 "극대 피크 위치"의 양쪽 모두를 고려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서는, 현상 슬리브(70)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배치된 마그네트(71)의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에 관한 정보를 현상 슬리브(70)에 기록했다. 다음으로, 규제 블레이드(36)를 현상 프레임체(30)에 고정할 때, 현상 슬리브(70)에 제공된 2차원 바코드를 판독함으로써, 현상 슬리브(70)에 기록된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에 관한 정보를 취득했다. 다음으로, SB 갭 G의 크기가 현상 슬리브(70)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현상 슬리브(70)에 기록된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에 상응하는 미리결정된 범위내에 부합되도록 규제 블레이드(36)를 현상 프레임체(30)에 고정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마그네트(71)에 포함된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를 고려하여 SB 갭 G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개개의 현상 장치(3)마다 현상제 코팅량의 변동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제2 양태에서는, 현상 슬리브(70)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배치된 마그네트(71)의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에 관한 정보를 현상 슬리브(70)에 기록했다. 다음으로, 규제 블레이드(36)를 현상 프레임체(30)에 고정시킬 때, 현상 슬리브(70)에 제공된 2차원 바코드를 판독함으로써, 현상 슬리브(70)에 기록된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에 관한 정보를 취득했다. 다음으로, SB 갭 G의 크기가 현상 슬리브(70)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현상 슬리브(70)에 기록된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에 상응하는 미리결정된 범위내에 부합되도록 규제 블레이드(36)를 현상 프레임체(30)에 고정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마그네트(71)에 포함된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를 고려하여 SB 갭 G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개개의 현상 장치(3)마다 현상제 코팅량의 변동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서는, 현상 슬리브(70)에 기록될 정보가 현상 슬리브(70)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배치된 마그네트(71)의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에 관한 정보인 예에 대해서 설명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제2 양태에서는, 현상 슬리브(70)에 기록될 정보가 현상 슬리브(70)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배치된 마그네트(71)의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에 관한 정보인 예에 대해서 설명했다. 한편,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현상 슬리브(70)에 기록될 정보가 SB 갭 G의 크기를 조정할 때에 타겟으로 하는 SB 갭 G의 크기에 관한 정보인 예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개개의 마그네트(71)마다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의 실측값을 산출한다. 다음으로, 산출한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에 기초하여, SB 갭 G의 크기를 조정할 때에 타겟으로 하는 SB 갭 G의 크기를 미리 결정한다. 다음으로,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에 상응하는 SB 갭 G의 조정 범위(SB 갭 G의 타겟값)는 현상 슬리브(70)에 기록된다.
마찬가지로, 개개의 마그네트(71)마다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의 실측값을 산출한다. 다음으로, 산출한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에 기초하여, SB 갭 G의 크기를 조정할 때에 타겟으로 하는 SB 갭 G의 크기를 미리 결정한다. 다음으로,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에 대응하는 SB 갭 G의 조정 범위(SB 갭 G의 타겟값)를 현상 슬리브(70)에 기록한다.
그러나, 타겟으로 하는 SB 갭 G의 크기를 조정할 때,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와 "극대 피크 위치"의 양쪽 모두를 고려한 경우쪽이, 이들 중 어느 한쪽만을 고려할 경우보다 ΔM의 변동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는 효과가 크다. 따라서, 보다 바람직한 예는 이하와 같다. 구체적으로, 개개의 마그네트(71)마다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 및 "극대 피크 위치"의 각각의 실측값을 산출한다. 다음으로, 산출한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 및 "극대 피크 위치"에 기초하여, SB 갭 G의 크기를 조정할 때에 타겟으로 하는 SB 갭 G의 크기를 미리 결정한다. 다음으로,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 및 "극대 피크 위치"에 대응하는 SB 갭 G의 조정 범위(SB 갭 G의 타겟값)를 현상 슬리브(70)에 기록한다.
여기서, 현상 슬리브(70)의 최대 화상 영역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와 중앙부 각각에서 SB 갭 G의 크기를 조정하는 경우에 대해서 생각한다. 이 경우에는, 현상 슬리브(70)의 최대 화상 영역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와 중앙부 각각에서의 SB 갭 G의 조정 범위(SB 갭 G의 타겟값)에 관한 정보를 현상 슬리브(70)에 기록할 수 있다. 즉, SB 갭 G의 조정을 행할 때에 사용하는 조건에 부합하여, 현상 슬리브(70)의 최대 화상 영역의 길이 방향의 복수의 부분 각각에서의 SB 갭 G의 조정 범위(SB 갭 G의 타겟값)에 관한 정보를 현상 슬리브(70)에 기록할 수 있다.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SB 갭 G의 조정 범위(SB 갭 G의 타겟값)가 기록된 현상 슬리브(70)는 현상 프레임체(30)에 부착된다. 다음으로, 장치(100)는 현상 프레임체(30)에 의해 지지된 현상 슬리브(70)에 기록된 SB 갭 G의 조정 범위(SB 갭 G의 타겟값)를 취득한다. 다음으로, 장치(100)는 SB 갭 G의 크기가 취득한 SB 갭 G의 조정 범위내에 부합되도록 규제 블레이드(36)를 현상 프레임체(30)에 고정하는 위치를 조정하고, 규제 블레이드(36)를 현상 프레임체(30)에 고정시킨다.
전술한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 또는 "극대 피크 위치"에 관한 정보를 현상 슬리브(70)에 기록하는 것 대신에, SB 갭 G의 조정 범위(SB 갭 G의 타겟값)를 현상 슬리브(70)에 기록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비하여, 현상 슬리브(70)에 기록될 정보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현상 슬리브(70)에 기록될 정보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으면, 현상 슬리브(70)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은 2차원 바코드에 국한되지 않고, SB 갭 G의 조정 범위(SB 갭 G의 타겟값)를 예를 들어, 각인, 인쇄, 타이핑에 의해 현상 슬리브(70)에 직접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현상 슬리브(70)에 기록될 정보가 SB 갭 G의 조정 범위(SB 갭 G의 타겟값)인 예에 대해서 설명했다. 한편, 제3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현상 슬리브(70)에 기록될 정보가 SB 갭 G의 크기를 조정할 때에 타겟으로 하는 SB 갭 G의 크기의 랭크에 관한 정보인 예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표 1은 SB 갭 G의 크기를 조정할 때에 타겟으로 하는 SB 갭 G의 크기의 랭크를 2개의 레벨의 랭크로 나타낸 것이다. 이 2개의 레벨의 랭크는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 또는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표 2는 SB 갭 G의 크기를 조정할 때에 타겟으로 하는 SB 갭 G의 크기의 랭크를 4개의 레벨의 랭크로 나타낸 것이다. 이 4개의 레벨의 랭크는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 또는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랭크 A 랭크 B
SB A SB B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
랭크 A 랭크 B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 랭크 A SB AA SB AB
랭크 B SB BAS SB BB
개개의 마그네트(71)마다 특성의 변동에 관련하여,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와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 중 어느 한 쪽을 고려하여 SB 갭 G의 크기를 조정하는 경우에는, 표 1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개개의 마그네트(71)마다 특성의 변동에 관련하여,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와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 양쪽 모두를 고려하여 SB 갭 G의 크기를 조정하는 경우에는, 표 2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SB 갭 G의 조정 범위와 현상제 코팅량간의 관계에 대해서 도 18a 및 도 18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a 및 도 18b는 SB 갭 G의 크기를 조정할 때에 타겟으로 하는 SB 갭 G의 크기의 랭크로서, 표 1에 나타낸 2개의 레벨의 랭크를 사용한 것을 나타낸다.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SB 갭 G의 조정 범위의 하한값은 "랭크 A"라고 가정하고 SB 갭 G의 조정 범위의 상한값은 "랭크 B"라고 가정한다.
도 18a는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가 "랭크 A"이고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가 "랭크 A"일 경우에서의 SB 갭 G의 조정 범위와 현상제 코팅량간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8b는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가 "랭크 B"이고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가 "랭크 B"일 경우에서의, SB 갭 G의 조정 범위와 현상제 코팅량간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제3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개개의 마그네트(71)마다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 또는 "극대 피크 위치"의 실측값을 산출한다. 다음으로, 산출한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와 "극대 피크 위치"에 기초하여 SB 갭의 크기를 조정할 때에 타겟으로 하는 SB 갭 G의 크기의 랭크를 미리 결정한다. 다음으로, 결정한 SB 갭 G의 크기의 랭크를 현상 슬리브(70)에 기록한다.
또한, 제3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SB 갭 G의 크기의 랭크가 기록된 현상 슬리브(70)를 현상 프레임체(30)에 부착한다. 다음으로, 장치(100)는 현상 프레임체(30)에 의해 지지된 현상 슬리브(70)에 기록된 SB 갭 G의 크기의 랭크를 취득한다. 다음으로, 장치(100)는 SB 갭 G의 크기가 취득한 SB 갭 G의 크기의 랭크에 대응하는 SB 갭 G의 조정 범위내에 부합되도록 규제 블레이드(36)를 현상 프레임체(30)에 고정하는 위치를 조정하고, 규제 블레이드(36)를 현상 프레임체(30)에 고정시킨다.
전술한 제3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 또는 "극대 피크 위치"에 관한 정보를 현상 슬리브(70)에 기록하는 것 대신에, SB 갭 G의 크기의 랭크를 현상 슬리브(70)에 기록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제3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비하여, 현상 슬리브(70)에 기록될 정보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현상 슬리브(70)에 기록될 정보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으면, 현상 슬리브(70)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은 2차원 바코드에 국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SB 갭 G의 크기의 랭크를 나타내는 숫자, 문자, 기호는 예를 들어, 각인, 인쇄 또는 타이핑에 의해 현상 슬리브(70)에 직접적으로 기록될 수 있다.
그러나, 제3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규제극 S1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 또는 "극대 피크 위치"의 실측값을 고려하여 SB 갭 G의 크기의 범위를 결정하는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비하여, 랭크마다 ΔM의 변동이 잔류하기 쉽다. 따라서, 제3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비하여, 마그네트(71)의 특성 변동을, SB 갭 G의 크기 범위로 하여 피드백 효과의 정도가 작아진다. 따라서, 현상 슬리브(70)에 기록될 정보의 양을 적게 하는 것보다도, 현상제 코팅량의 변동(ΔM)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는 효과를 크게 하는 것을 우선하는 것이라면, SB 갭 G의 크기의 랭크 레벨을 보다 미세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제4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SB 갭 G의 조정을 보다 고정밀도로 행하기 위한 보다 바람직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현상 장치(3)의 구동시의 현상제 코팅량의 변동 요인은 현상 슬리브(70)의 외경의 편향(deflection)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4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개개의 마그네트(71)마다 특성의 변동을 고려하는 것 이외에, 현상 슬리브(70)의 표면의 진직도(straightness)(즉, 현상 슬리브(70)의 외경의 편향)를 고려함으로써, SB 갭 G의 조정을 보다 고정밀도로 수행한다.
현상 슬리브(70)의 외각을 구성하는 슬리브 관은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슬리브 관을 2차 절삭 작업함으로써, 현상 슬리브(70)의 표면의 진직도를 예를 들어, ±15㎛ 이하의 고정밀도로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상 슬리브(70)의 ±15㎛의 진직도는, 실사용에서의 현상 슬리브(70)의 회전 상태의 경우, 현상 슬리브(70)의 외경이 외관상 ±15㎛만큼 변동하고 있는 것처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현상 슬리브(70)의 회전 상태에서, 현상 슬리브(70)의 표면의 진직도에 기인하는 SB 갭 G에 대한 영향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서는, 현상 슬리브(70)를 회전시키면서 SB 갭 G를 측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여기서, 현상 슬리브(70)의 외경의 편향에 대해서 도 19a, 도 19b 및 도 19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9a 및 도 19b는 현상 슬리브(70)의 외경의 편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c는 현상 슬리브(70)의 외경의 편향과 SB 갭 G의 크기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a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현상 슬리브(70)의 외경의 편향을 갖는 현상 슬리브(70)를 회전시키는 것을 생각한다. 도 1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SB 갭 G의 크기를 조정할 때에 타겟으로 하는 SB 갭 G의 크기는 현상 슬리브(70)의 1회전의 주기로, 현상 슬리브(70)의 외경의 편향에 상응하는 분만큼 변동될 것이다. 따라서, 현상 슬리브(70)의 외경의 편향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현상 슬리브(70)의 외경의 중심값에 대하여, SB 갭 G의 크기가 미리결정된 범위내에 부합되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 19c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현상 슬리브(70)의 외경의 편향과 SB 갭 G의 크기간의 관계를 고려할 수 있다.
다음으로, 현상 슬리브(70)의 위상 인식부가 제공되는 부분에 대해서,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위상 인식부는 현상 슬리브(70)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배치된 마그네트(71)의 위상(현상 슬리브(70)의 위상)을 인식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상 인식부는 현상 슬리브(70)의 길이 방향의 단부(마그네트용 축부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상응하는 부분(70F)에 제공된다. 위상 인식부와 규제 블레이드(36)간의 최근접 위치의 편향값인 편향의 중심값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상 슬리브(70)의 위상 편차량을 산출한다. 다음으로, SB 갭 G의 크기를 조정할 때에 타겟으로 하는 SB 갭 G의 크기의 범위는, 산출된 현상 슬리브(70)의 위상 편차량에 상응하는 값만큼 SB 갭 G의 조정 범위를 변위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현상 슬리브(70)의 외경의 편향의 중심값을 사용하면서, SB 갭 G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현상 슬리브(70)의 외경의 편향의 영향을 절반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SB 갭 G의 크기를 조정할 때, 현상 슬리브(70)의 위상을 예를 들어, 센서(카메라 또는 레이저 장치)를 통해 인식하기만 할 경우에는, 현상 프레임체(30)에 대한 현상 슬리브(70)의 부착 상태에 따라, 현상 슬리브(70)의 위상에 변동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현상 슬리브(70)의 외경의 편향에 관한 모든 위상 데이터의 피스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현상 슬리브(70)의 외경의 편향에 관한 모든 위상 데이터의 피스를 2차원 바코드를 사용하여 현상 슬리브(70)에 기록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장치(100)는 2차원 바코드를 판독하여 현상 슬리브(70)의 외경의 편향에 관한 모든 위상 데이터의 피스를 현상 슬리브(70)로부터 취득하고, 중심값으로부터의 변위량을 산출한다. 다음으로, 장치(100)는 변위량을 SB 갭 G의 크기를 조정할 때에 타겟으로 하는 SB 갭 G의 크기의 중심값으로 피드백시킬 수 있다. 한편, SB 갭 G의 크기를 조정할 때, 현상 슬리브(70)의 위상을 미리결정된 위치에 고정할 경우에는, SB 갭 G의 크기를 조정할 때에 규제 블레이드(36)에 가장 근접하는 현상 슬리브(70)의 위치가 미리결정된 위치에 고정된다. 따라서, 현상 슬리브(70)의 외경의 편향을 측정할 때, SB 갭 G의 크기로서 조정해야 할 SB 갭 G의 변위량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기초하여 다양한 방식(실시예들의 유기적인 조합을 포함함)으로 수정될 수 있으며, 그러한 수정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배제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규제극 S1과, 현상 슬리브(70)의 표면에 현상제가 담지되도록 현상 챔버(31) 내의 현상제를 퍼 올리기 위한 자계를 생성하기 위한 자극(스쿠핑극(scooping pole) N1)이, 상이한 자극인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예를 설명했지만, 본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이러한 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규제극 S1의 역할과 스쿠핑극 N1의 역할 양쪽 모두를 1개의 자극이 겸하는 구성이 채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1개의 자극에 의해 현상 챔버(31) 내의 현상제를 퍼 올리면서, SB 갭 G를 관통하는 현상제의 양이 규제되도록 자력을 생성한다.
또한,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전사 벨트(61)를 중간 전사체로서 사용하는 구성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60)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이것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감광체 드럼(1)에 순서대로 기록재를 직접적으로 접촉시킴으로써 전사를 행하는 구성의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현상 장치(3)를 1개의 유닛으로서 설명했지만, 현상 장치(3)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유닛(600)(도 1 참조)을 일체적으로 유닛화하고, 화상 형성 장치(60)에 탈부착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형태에 의해서도 획득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현상 장치(3) 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60)라면, 단색 기기 또는 컬러 기기와 무관하게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하의 청구 범위에는 변형 및 동등한 구조 및 기능 모두를 포함하도록 가장 넓은 해석이 주어진다.

Claims (20)

  1. 현상 프레임체에 규제 블레이드를 고정하기 위한 방법이며, 상기 규제 블레이드는 현상제 담지체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담지된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는 현상 프레임체에 의해 지지되고, 상 담지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현상제를 담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배치된 마그네트에 포함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상기 현상제가 담지되도록 하기 위한 자계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자극 중에서 상기 현상 프레임체에 상기 규제 블레이드가 고정될 때 상기 규제 블레이드에 가장 근접하여 배치되는 미리결정된 자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에 관한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현상 프레임체에 의해 지지된 상기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현상 프레임체에 고정된 상기 규제 블레이드간의 갭에 대한 타겟값을 결정하는 결정 단계; 및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상기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상기 갭에 대한 타겟값으로 상기 갭이 설정되도록 상기 규제 블레이드를 상기 현상 프레임체에 고정시키는 고정 단계
    를 포함하는, 규제 블레이드의 고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미리결정된 자극의 자속 밀도의 입력된 극대 피크치가 제1 피크치보다 큰 제2 피크치일 때 결정된 상기 갭에 대한 타겟값이 상기 미리결정된 자극의 자속 밀도의 상기 입력된 극대 피크치가 상기 제1 피크치일 때 결정된 상기 갭에 대한 타겟값보다 작게 되도록 상기 갭에 대한 타겟값을 결정하고;
    상기 미리결정된 자극의 자속 밀도의 상기 입력된 극대 피크치가 상기 제1 피크치보다 작은 제3 피크치일 때 결정된 상기 갭에 대한 타겟값이 상기 미리결정된 자극의 자속 밀도의 상기 입력된 극대 피크치가 상기 제1 피크치일 때 결정된 상기 갭에 대한 타겟값보다 크게 되도록 상기 갭에 대한 타겟값을 결정하는, 규제 블레이드의 고정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결정된 자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에 관한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판독 단계에서 판독함으로써 입력된 상기 미리결정된 자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갭에 대한 타겟값을 결정하는, 규제 블레이드의 고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미리결정된 자극의 자속 밀도의 상기 극대 피크치에 관한 입력 정보와 상기 미리결정된 자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에 관한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갭에 대한 타겟값을 결정하는, 규제 블레이드의 고정 방법.
  5. 현상 프레임체에 규제 블레이드를 고정하기 위한 방법이며, 상기 규제 블레이드는 현상제 담지체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담지된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는 현상 프레임체에 의해 지지되고, 상 담지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현상제를 담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배치된 마그네트에 포함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상기 현상제가 담지되도록 하기 위한 자계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자극 중에서 상기 현상 프레임체에 상기 규제 블레이드가 고정될 때 상기 규제 블레이드에 가장 근접하여 배치되는 미리결정된 자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에 관한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현상 프레임체에 의해 지지된 상기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현상 프레임체에 고정된 상기 규제 블레이드간의 갭에 대한 상한값 및 하한값을 결정하는 결정 단계; 및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상기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상기 갭에 대한 상한값과 하한값 사이에서 상기 갭이 설정되도록 상기 규제 블레이드를 상기 현상 프레임체에 고정시키는 고정 단계
    를 포함하는, 규제 블레이드의 고정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결정된 자극의 자속 밀도의 상기 극대 피크치에 관한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판독 단계에서 판독함으로써 입력된 상기 미리결정된 자극의 자속 밀도의 상기 극대 피크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갭에 대한 상한값 및 하한값을 결정하는, 규제 블레이드의 고정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미리결정된 자극의 자속 밀도의 상기 극대 피크치에 관한 입력 정보와 상기 미리결정된 자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에 관한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갭에 대한 상한값 및 하한값을 결정하는, 규제 블레이드의 고정 방법.
  8. 현상 프레임체에 규제 블레이드를 고정하기 위한 방법이며, 상기 규제 블레이드는 현상제 담지체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담지된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는 현상 프레임체에 의해 지지되고, 상 담지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현상제를 담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배치된 마그네트에 포함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상기 현상제가 담지되도록 하기 위한 자계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자극 중에서 상기 현상 프레임체에 상기 규제 블레이드가 고정될 때 상기 규제 블레이드에 가장 근접하여 배치되는 미리결정된 자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에 관한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현상 프레임체에 의해 지지된 상기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현상 프레임체에 고정된 상기 규제 블레이드간의 갭에 대한 타겟값을 결정하는 결정 단계; 및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상기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상기 갭에 대한 타겟값으로 상기 갭이 설정되도록 상기 규제 블레이드를 상기 현상 프레임체에 고정시키는 고정 단계
    를 포함하는, 규제 블레이드의 고정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결정된 자극의 자속 밀도의 상기 극대 피크 위치에 관한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판독 단계에서 판독함으로써 입력된 상기 미리결정된 자극의 자속 밀도의 상기 극대 피크 위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갭에 대한 타겟값을 결정하는, 규제 블레이드의 고정 방법.
  10. 현상 프레임체에 규제 블레이드를 고정하기 위한 방법이며, 상기 규제 블레이드는 현상제 담지체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담지된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는 현상 프레임체에 의해 지지되고 상 담지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현상제를 담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배치된 마그네트에 포함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상기 현상제가 담지되도록 하기 위한 자계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자극 중에서 상기 현상 프레임체에 상기 규제 블레이드가 고정될 때 상기 규제 블레이드에 가장 근접하여 배치되는 미리결정된 자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에 관한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현상 프레임체에 의해 지지된 상기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현상 프레임체에 고정된 상기 규제 블레이드간의 갭에 대한 상한값 및 하한값을 결정하는 결정 단계; 및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상기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상기 갭에 대한 상한값과 하한값 사이에서 상기 갭이 설정되도록 상기 규제 블레이드를 상기 현상 프레임체에 고정시키는 고정 단계
    를 포함하는, 규제 블레이드의 고정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결정된 자극의 자속 밀도의 상기 극대 피크 위치에 관한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판독 단계에서 판독함으로써 입력된 상기 미리결정된 자극의 자속 밀도의 상기 극대 피크 위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갭에 대한 상한값 및 하한값을 결정하는, 규제 블레이드의 고정 방법.
  12. 현상 장치로서,
    현상 프레임체;
    상기 현상 프레임체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상 담지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현상제를 담지하도록 구성된 현상제 담지체;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배치되고, 복수의 자극을 구비하며,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상기 현상제를 담지시키기 위한 자계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마그네트;
    상기 현상 프레임체에 고정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담지된 상기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규제 블레이드; 및
    복수의 자극 중에서 상기 현상 프레임체에 상기 규제 블레이드가 고정되었을 때 상기 규제 블레이드에 가장 근접하여 배치되는 미리결정된 자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 2차원 바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 프레임체에 의해 지지된 상기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현상 프레임체에 고정되는 상기 규제 블레이드간의 갭이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상기 미리결정된 자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에 상응하는 갭에 대한 타겟값으로 설정되도록 상기 규제 블레이드를 상기 현상 프레임체에 고정시키는, 현상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바코드에는 상기 미리결정된 자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에 관한 정보가 추가로 기록되어 있고,
    상기 갭이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상기 미리결정된 자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와 상기 미리결정된 자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에 상응하는 갭에 대한 타겟값으로 설정되도록 상기 규제 블레이드를 상기 현상 프레임체에 고정시키는, 현상 장치.
  14. 현상 장치로서,
    현상 프레임체;
    상기 현상 프레임체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상 담지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현상제를 담지하도록 구성된 현상제 담지체;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배치되고, 복수의 자극을 구비하며,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상기 현상제를 담지시키기 위한 자계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마그네트;
    상기 현상 프레임체에 고정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담지된 상기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규제 블레이드; 및
    복수의 자극 중에서 상기 현상 프레임체에 상기 규제 블레이드가 고정되었을 때 상기 규제 블레이드에 가장 근접하여 배치되는 미리결정된 자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 2차원 바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 프레임체에 의해 지지된 상기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현상 프레임체에 고정되는 상기 규제 블레이드간의 갭이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상기 미리결정된 자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에 상응하는 갭에 대한 타겟값으로 설정되도록 상기 규제 블레이드를 상기 현상 프레임체에 고정시키는, 현상 장치.
  15. 현상 프레임체에 의해 지지되고, 상 담지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제를 담지하도록 구성된 현상제 담지체로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배치되고, 복수의 자극을 구비하며,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상기 현상제를 담지시키기 위한 자계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마그네트; 및
    상기 현상 프레임체에 고정된 규제 블레이드에 가장 근접하여 배치된 미리결정된 자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복수의 자극 중에서 상기 현상 프레임체에 상기 규제 블레이드가 고정되었을 때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담지된 상기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2차원 바코드를 포함하는, 현상제 담지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바코드에는 상기 미리결정된 자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에 관한 정보가 추가로 기록되어 있는, 현상제 담지체.
  17. 현상 프레임체에 의해 지지되고, 상 담지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제를 담지하도록 구성된 현상제 담지체로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배치되고, 복수의 자극을 구비하며,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상기 현상제를 담지시키기 위한 자계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마그네트; 및
    상기 현상 프레임체에 고정된 규제 블레이드에 가장 근접하여 배치된 미리결정된 자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복수의 자극 중에서 상기 현상 프레임체에 상기 규제 블레이드가 고정되었을 때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담지된 상기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2차원 바코드를 포함하는, 현상제 담지체.
  18. 현상제 담지체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현상제를 담지시키기 위한 자계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마그네트이며, 상기 현상제 담지체는 현상 프레임체에 의해 지지되고, 상 담지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제를 담지하도록 구성되고,
    복수의 자극; 및
    상기 현상 프레임체에 고정된 규제 블레이드에 가장 근접하여 배치된 미리결정된 자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치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복수의 자극 중에서 상기 현상 프레임체에 상기 규제 블레이드가 고정되었을 때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담지된 상기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2차원 바코드를 포함하는, 마그네트.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바코드에는 상기 미리결정된 자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에 관한 정보가 추가로 기록되어 있는, 마그네트.
  20. 현상제 담지체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현상제를 담지시키기 위한 자계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마그네트이며, 상기 현상제 담지체는 현상 프레임체에 의해 지지되고, 상 담지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제를 담지하도록 구성되고,
    복수의 자극; 및
    상기 현상 프레임체에 고정된 규제 블레이드에 가장 근접하여 배치된 미리결정된 자극의 자속 밀도의 극대 피크 위치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복수의 자극 중에서 상기 현상 프레임체에 상기 규제 블레이드가 고정되었을 때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담지된 상기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2차원 바코드를 포함하는, 마그네트.
KR1020190012690A 2018-02-02 2019-01-31 규제 블레이드의 고정 방법, 현상 장치, 현상제 담지체 및 마그네트 KR102362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312A KR102491895B1 (ko) 2018-02-02 2022-02-08 규제 블레이드의 고정 방법, 현상 장치, 현상제 담지체 및 마그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17375 2018-02-02
JPJP-P-2018-017375 2018-02-02
JPJP-P-2018-230244 2018-12-07
JP2018230244A JP7433761B2 (ja) 2018-02-02 2018-12-07 マグネットロール、現像剤担持体、及び現像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6312A Division KR102491895B1 (ko) 2018-02-02 2022-02-08 규제 블레이드의 고정 방법, 현상 장치, 현상제 담지체 및 마그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111A true KR20190094111A (ko) 2019-08-12
KR102362184B1 KR102362184B1 (ko) 2022-02-11

Family

ID=67547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690A KR102362184B1 (ko) 2018-02-02 2019-01-31 규제 블레이드의 고정 방법, 현상 장치, 현상제 담지체 및 마그네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433761B2 (ko)
KR (1) KR1023621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73439B2 (ja) * 2019-07-18 2021-05-19 株式会社齋藤創造研究所 マニピュレーターおよびロボッ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3019A (ja) * 2002-10-08 2004-04-30 Konica Minolta Holdings Inc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302250A (ja) * 2003-03-31 2004-10-2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KR20120073141A (ko) * 2010-12-24 2012-07-0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현상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5430A (ja) * 1994-06-06 1995-12-22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マグネットロールの製造方法
JP2005352414A (ja) * 2004-06-14 2005-12-22 Kaneka Corp マグネットローラ
JP4888757B2 (ja) * 2005-10-14 2012-02-29 Tdk株式会社 マグネットロールの製造方法
JP2014178498A (ja) * 2013-03-14 2014-09-25 Canon Inc 角度位置調整方法、現像装置の製造方法及び現像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3019A (ja) * 2002-10-08 2004-04-30 Konica Minolta Holdings Inc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302250A (ja) * 2003-03-31 2004-10-2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KR20120073141A (ko) * 2010-12-24 2012-07-0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현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2184B1 (ko) 2022-02-11
JP2019133136A (ja) 2019-08-08
JP7433761B2 (ja) 202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27952A1 (en) Development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995851B2 (en) Developing device having agitation conveyance member with scraper for wiping toner senso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developing device
US6925277B2 (en) Developing device using a developer carrier formed with groove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P2639649A2 (en) Developing apparatus
US941126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developing bias and supply bias application units
US8014705B2 (en) Developing device, image supporter unit, and image formation apparatus
US777391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n image bearing member and a transparent toner developer bearing member that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US820010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90094111A (ko) 규제 블레이드의 고정 방법, 현상 장치, 현상제 담지체 및 마그네트
US11782362B2 (en) Developing device
US20110142500A1 (en) Developing device, developing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2491895B1 (ko) 규제 블레이드의 고정 방법, 현상 장치, 현상제 담지체 및 마그네트
US20190187589A1 (en) Magnet roller, developing roller,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488930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148089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returning scattered toner at a portion where a developing roller and a supply roller face each other to a circulation path during an image forming operation
JP2016090734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9001187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23062274A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114706283A (zh) 制造显影装置的方法
JP2017146470A (ja) 画像形成装置
JP2010039134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9031454A (ja) 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