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3901A - Cosmetic ingredients using plum distillation extract - Google Patents

Cosmetic ingredients using plum distillation extra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3901A
KR20190093901A KR1020180013276A KR20180013276A KR20190093901A KR 20190093901 A KR20190093901 A KR 20190093901A KR 1020180013276 A KR1020180013276 A KR 1020180013276A KR 20180013276 A KR20180013276 A KR 20180013276A KR 20190093901 A KR20190093901 A KR 20190093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m
distillation
skin
fragrance
cosmetic r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2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27681B1 (en
Inventor
조경숙
정옥자
서영근
Original Assignee
광양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양시 filed Critical 광양시
Priority to KR1020180013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681B1/en
Publication of KR20190093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39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6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Cosmetic ingredients using a plum distillation ex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pared by the following steps: a first step of extracting the plum distillate by putting purified water and fresh raw plum including seeds in a distillation extractor; a second step of producing a plum distillate concentrate in an inner pot of the distillation extractor when the plum distillate is cooled to produce 30 liters of plum hydrosol; and a third step of diluting the acidic plum distillation concentrate. In the first step, the mixing ratio of the fresh raw plum and purified water is 10 kg : 35 L.

Description

매실증류추출액을 이용한 화장품 원료{Cosmetic ingredients using plum distillation extract}Cosmetic ingredients using plum distillation extract {Cosmetic ingredients using plum distillation extract}

본 발명은 매실증류추출액을 이용한 화장품 원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raw material using a plum distillation extract.

매실은 매실주, 장아찌, 주스 등을 생산하는 원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매실의 약리적 특성은 항균작용, 항알레르기 작용, 정혈작용에 의한 약알칼리성으로 체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고, 고혈압, 정제당뇨, 설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식이 섬유가 많아 변비 등에 효과가 탁월하고 숙취 제거 효과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Plum is widely used as a raw material for producing plum wine, pickles and juices. The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plum are known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constitution by anti-alkali, anti-allergic and anti-allergic effects, and are known to be effective in hypertension, tablet diabetes, diarrhea, and high in dietary fiber. It is known to be excellent and good for hangover removal effect.

그러나 매실은 상술한 바와 같은 유용한 이점에도, 좀 더 쉽게 접할 기회가 많지 않다.However, plums do not have many opportunities to be more easily accessible, despite the above-mentioned useful advantages.

또한, 매실이 고농도 농축액 상태로 시판되고 있지만, 새로운 형태의 부가가치 상품 개발은 시도는 미흡한 실정이고, 이로써 매실 농가에서는 수익 창출에 어려움이 있다.In addition, although plums are commercially available in high concentration, the development of new types of value-added products is insufficient.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generate profits in plum farm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5539호(2012.01.05.)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105539 (2012.01.0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59653호(2010.05.17.)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959653 (2010.05.1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10548호(2012.01.19.)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110548 (2012.01.1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41892호(2015.07.29.)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541892 (2015.07.29.)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매실의 고 기능성을 이용하여 매실 재배농가의 소득증대를 위한 고부가 가치형 상품 개발을 위한 매실증류추출액을 이용한 화장품 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smetic raw material using a plum distillation extract for the development of high value-added products for increasing the income of plum farmers by using the high functionality of plum.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능성 향상을 위하여 최적비율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매실증류추출액을 이용한 화장품 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smetic raw material using a plum distillation extract to be produced at an optimum ratio for improving the functionality.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장품 원료로 많이 쓰이는 방향수의 유효성분 함량을 높인 매실증류추출액을 이용한 화장품 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smetic raw material using a plum distillation extract with an increase in the content of the active ingredient of aroma water commonly used as a cosmetic raw material.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실증류추출액을 이용한 화장품 원료는, 증류 추출기에 씨앗을 포함한 매실 생과 및 정제수를 넣어 매실증류액을 추출하는 제1단계; 상기 매실증류액이 냉각되어 매실 하이드로졸 30ℓ가 생산될 때 상기 증류 추출기의 내부 솥에서 매실증류농축액을 생산하는 제2단계; 및 상기 매실증류농축액의 산도를 희석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하고,Cosmetic raw material using a plum distillation ex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first step of extracting the plum distillate by putting the fruit pastry and purified water including seeds in a distillation extractor; A second step of producing a plum distillate concentrate in an inner pot of the distillation extractor when the plum distillate is cooled to produce 30 l of plum hydrosol; And a third step of diluting the acidity of the plum distillation concentrate.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매실 생과 및 상기 정제수의 혼합 비율은 10㎏ : 35ℓ인 것을 포함한다.In the first step, the mixing ratio of the fresh raw plum and purified water includes 10 kg: 35 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실증류추출액을 이용한 화장품 원료는, 상기 매실증류농축액에 강황 추출물 0.2중량%를 혼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smetic raw material using plum distillation ex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0.2% by weight of turmeric extract may be mixed with the plum distillation concentrat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실증류추출액을 이용한 화장품 원료는, 히알루론 나트륨 0.5중량%를 더 첨가하여 혼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smetic raw material using a plum distillation ex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ded by mixing 0.5% by weight of hyaluronic sodium.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실증류추출액을 이용한 화장품 원료는, HACE-200 0.5중량%를 더 첨가하여 혼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smetic raw material using a plum distillation ex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CE-200 may be further added by mixing 0.5% by weigh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실증류추출액을 이용한 화장품 원료에서, 상기 매실 생과, 상기 정제수, 상기 강황 추출물, 상기 히알루론 나트륨 및 상기 HACE-200은 제시된 수치 값에 대하여 3% 이하 값 내지 3% 이상 값의 오차범위로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smetic raw material using a plum distillation ex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m fresh fruit, the purified water, the turmeric extract, the hyaluronic acid sodium and the HACE-200 is 3% or less to the numerical value presented to 3 It can be applied to the error range of more than% value.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실증류추출액을 이용한 화장품 원료는, 매실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상품을 제공할 수 있고, 특히 대중적으로 거부감이 없는 매실 관련 상품을 제조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Cosmetic raw material using a plum distillation ex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can provide a high value-added products using plum, in particular can be used to manufacture a plum-related products that are not popularly rejected .

아울러, 매실을 이용한 부가상품을 개발하도록 함으로써 매실 농가의 수익을 증가시키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In addition, by developing additional products using plum can contribute to increase the profit of the plum farmer.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실증류추출액을 이용한 화장품 원료는, 매실과 꽃을 이용한 수증기 증류 추출에 의한 방향성 화장수로서의 개발 가치를 평가할 때 상기의 화장품 원료에 대한 기능성 유효성분 함량 조사에 대한 결과를 종합하여 검토하면 방향수의 향기성분 중에는 방향제로서의 우수한 향기성분과 함께 건강에 유익한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기능성을 나타내는 항산화 함량이 높고 보습성이 우수하여 화장품 원료서 스킨, 미스트, 샴푸, 보디 용품, 섬유 린스 등 화장품과 생활용품의 주원료 또는 첨가제로 사용될 수 있어 화장품 소재로서 개발 적정성이 매우 높을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osmetic raw material using a plum distillation ex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evaluating the development value of the aromatic lotion by steam distillation extraction using plum and flowers,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of functional content of the active ingredient for the cosmetic raw material In summary, the fragrance component of fragrance water contains the excellent fragrance component as a fragrance, and it contains many beneficial ingredients for health, high antioxidant content and excellent moisturizing properties. It can be used as a main raw material or additive of cosmetics and household goods such as textile rinse, so the adequacy of development as a cosmetic material can be very high.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실증류추출액을 이용한 화장품 원료에서 침전물을 확인하기 위한 도면대용 사진이다.1 is a drawing substitute photograph for confirming the precipitate in the cosmetic raw material using a plum distillation ex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order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modifications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Howev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mponent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Meanwhile,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set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producer, and the definitions thereof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매실을 이용하여 매실증류추출액을 제공하고, 그 매실증류추출액을 이용한 화장품 원료와 그 조성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um distillation extract using the plum, to provide a cosmetic raw material and the composition using the plum distillation extract.

<매실증류추출액으로 생산된 화장품 원료의 당도, 염도 및 산도><Saturation, Salinity and Acidity of Cosmetic Ingredients Produced by Plum Distillation Extracts>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매실을 증류 추출 방식으로 매실증류 추출하여 매실증류 추출액을 생산한 것이다. 이는 [표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표 1]은 매실을 증류 추출할 때 추출한 화장품 원료의 당도, 염도 및 산도를 나타낸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duce a distillation extract of plum by distilling the plum in distilled extraction method. This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able 1]. Table 1 shows the sugar content, salinity and acidity of the cosmetic raw material extracted when the plum was distilled off.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화장품 원료를 위한 증류 추출할 때, 시료별로 정제수를 25ℓ와 35ℓ 각각 투입하고, 정제수 투입량에 따른 증류 추출액의 당도, 염도를 조사한 결과, 매화의 방향수를 제외한 나머지 방향수 모두 당도와 염도 모두 측정되지 않을 수 있다.When distillate extraction for cosmetic raw materials, 25 liters and 35 liters of purified water were added for each sample, and the sugar and salinity of distilled extracts according to the input amount of purified water were examined. You may not.

매화 방향수는 증류 추출 정제수 투입량 25ℓ에서만 당도가 0.2(Brix%)로서 약간의 단맛이 나는 방향수가 생산될 수 있다.Plum aroma water has a sweetness of 0.2 (Brix%) with only 25 liters of distilled purified water input.

청매실과 황매실의 당도는 증류농축액은, 증류 추출 정제수 투입량이 25ℓ는 6.6(Brix%) 내지 6.7(Brix%), 류 추출 정제수 투입량이 35ℓ는 5.6(Brix%) 내지 8.4(Brix%)를 나타낸다.The sweetness of the fresh plum and the yellow plum was the distilled concentrate, the amount of distilled extract purified water was 25 to 6.6 (Brix%) to 6.7 (Brix%), and the amount of purified water to be extracted was 35 to 5.6 (Brix%) to 8.4 (Brix%). .

청매실과 황매실의 씨앗을 제거하여 증류농축액을 추출했을 경우, 당도가 3.7(Brix%) 내지 6.7(Brix%)을 보이고, 청매실과 황매실의 씨앗을 포함하여 증류농축액을 추출할 경우 6.0(Brix%) 내지 8.4(Brix%)를 보인다.Extraction of the distillate concentrate by removing the seeds of the blue plum and the yellow plum showed a sugar content of 3.7 (Brix%) to 6.7 (Brix%), and 6.0 (Brix) when extracting the distillate concentrate including the seeds of the blue and yellow plum. %) To 8.4 (Brix%).

또한, 당도는 증류 추출 정제수 투입량이 적거나 씨앗을 포함하여 추출하였을 때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In addition, the sugar content appears to be high when the amount of distilled extract purified water input or extract including the seed.

염도는 청매실 및 황매실 및 매화의 방향수에서 모두 측정되지 않고, 증류농축액에서만 측정되었는데 씨앗을 제거하여 추출한 증류농축액은 1.9(Salt%) 내지 2.7(Salt%), 씨앗을 포함하여 추출한 증류농축액은 3(Salt%) 내지 3.5(Salt%)로 나타나 씨앗을 포함하여 추출한 증류농축액의 염도가 더 높게 나타나 매실증류 추출액의 당도 측정치와 유사한 경향을 보인다.Salinity was not measured in the aromatic water of fresh plum and yellow plum and plum, but only in distilled concentrate. Distilled concentrate extracted by removing seeds ranged from 1.9 (Salt%) to 2.7 (Salt%). 3 (Salt%) to 3.5 (Salt%) showed a higher salinity of the distillate concentrate extracted from the seed including the seed tends to be similar to the measured sugar content of the plum distillation extract.

씨앗을 포함하여 추출할 경우, 씨앗의 자체의 당도나 염도가 매실 과육보다 높고, 증류 추출 정제수 투입량이 많을수록 추출시간이 길어져 종자 내부의 당이나 염분 등의 추출이 많아져 당도 및 염도가 높아진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In case of extracting including seeds, the sugar or salinity of seeds is higher than plum flesh, and the more distilled and purified water is added, the longer the extraction time and the more sugar and salt in the seed is extracted, resulting in higher sugar and salinity. Can be.

방향수에 대한 산도(pH)는 청매실 및 황매실은 증류 추출 정제수 투입량이 많은 35ℓ에서 높게 측정되고, 정제수 투입량이 많으면 증류 추출할 때 매실의 농도가 묽어져 산도가 조금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The acidity (pH) for the aromatic water was measured at 35 L where the amount of purified plum and yellow plum was high in the amount of distilled extract purified water, and when the amount of purified water was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the plum was diminished during distillation, indicating that the acidity slightly decreased.

매화의 방향수의 산도(pH) 값은 증류 추출 정제수를 25ℓ 투입하는 것보다 35ℓ를 투입하는 것이 낮게 측정되어 매실증류 추출의 방향수와는 달리 정제수 투입량이 많을수록 산도가 강한 것으로 나타날 수 있다.The acidity (pH) value of the aroma of plum water is measured to be lower than 35 liters of distilled distilled purified water, so that the acidity is higher as the amount of purified water is increased.

증류 추출 후, 증류 추출기에 남은 농축액은 당도, 염도를 조사한 결과, 청매실 및 황매실 모두 씨앗을 뺀 과육에서 정제수 투입량이 적은 25ℓ가 당도, 염도가 높게 나타나고, 씨앗이 있는 과육에서는 정제수 투입량이 많은 35ℓ에서 당도, 염도가 높게 측정되어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인다.After distillation and extraction, the concentrated liquid remaining in the distillation extract was examined for sugar and salinity, and as a result, the sugar content and salinity of 25 liters of which the amount of purified water was decreased in the flesh without seeds was high. At high sugar content and salinity are measured differently.

씨앗이 제거된 매실을 증류 추출할 때, 정제수 투입량을 달리하여 증류 추출할 경우, 증류 종료할 때 증류농축액의 잔량이 동일한 상태에서는 정제수 투입량이 적을수록 증류농축액이 농도가 증가하여 당도와 염도가 증가할 수 있다.When distilling the plums from which seeds were removed, if distillation was performed by varying the input amount of purified water, when the amount of distilled concentrate was the same when distillation was finished, the distilled concentrate increased in concentration as the amount of distilled concentrate decreased and the sugar and salinity increased. can do.

씨앗이 있는 매실을 정제수 투입량을 달리하여 증류 추출할 경우, 증류 후 최종 내 솥의 증류농축액이 동일한 상태에서 증류 추출액의 양이 많은 쪽이 당도, 염도가 높게 나타났던 것은, 매실의 씨앗이 물이 많은 상태에서 가열 증류되어 당과 염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When distilled extracts of plums with seeds with different amounts of purified water were added, the higher the sugar content and the higher the salt content of the distillate extract in the same state of distillate concentrate in the pot after the distillation. It can be presumed that the heat distillation in many conditions played a role in raising the sugar and salinity.

매화 방향수는 증류 추출 정제수 투입량 25ℓ에서만 당도가 0.2(Brix%)로서 미약한 당도가 측정되었을 뿐, 그 외의 방향수는 당도, 염도는 측정되지 않았다.Plum fragrance water was measured only at 25 liters of distilled distilled purified water and had a weak sugar content of 0.2 (Brix%). Other fragrance water was not measured for sugar and salinity.

수증기 증류장치로 추출한 화장품 방향수의 산도(pH) 값은 청매실 및 황매실 및 매화 모두 pH 3.27 내지 pH 4.46으로 피부에 좋은 약산성을 보이고, 증류농축액은 pH 2.64 내지 pH 3.91로서 강산성을 띠어 화장품 원료로 사용하기에는 산이 강하여 희석할 필요가 있다.The pH value of cosmetic fragrance water extracted by steam distillation was pH 3.27 to pH 4.46 for both blue and yellow plum and plum, and the distillate was pH 2.64 to pH 3.91. To be used, the acid is strong and needs to be diluted.

청매실 및 황매실의 방향수의 산도(pH) 값은 증류 추출할 때 정제수 투입량이 적은 정제수 투입량 25ℓ가 정제수 투입량이 많은 정제수 투입량 35ℓ에 비해 모두 낮은 산도(pH) 값을 보이고, 정제수 투입량 25ℓ의 방향수가 더 높은 산도를 보인다.The acidity (pH) values of the aromatic waters of the fresh and yellow plums showed a lower acidity (pH) value compared to the 35 liters of purified water input with less purified water input and the lower acidity (pH) value of distilled extraction. Higher pH.

매화의 방향수는 증류 추출할 때 정제수 투입량 35ℓ를 투입한 쪽이 정제수 투입량 25ℓ를 투입한 쪽이 산도가 조금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난다.The amount of aromatic water of the plum was found to be slightly higher in acidity when the input of 35 liters of purified water was added to the distilled extract.

씨앗을 포함한 방향수가 씨앗을 제거한 방향수보다 산도가 더 높은 경향을 보인다.Fragrance containing seeds tended to have higher acidity than fragrances without seeds.

증류농축액은 씨앗을 제거하여 증류 추출하거나 증류 추출할 때 정제수 투입량이 많을수록 산도(pH) 값이 낮게 나타나 나고, 산도가 좀 더 강한 것으로 보인다.Distilled concentrate is distilled by removing the seed or distilled extraction, the higher the purified water input, the lower the acidity (pH) value appears, the acidity seems to be a little stronger.

청매실 및 황매실은 동일한 증류 추출액에서 매실의 증류농축액의 산도가 감소하면 방향수의 산도는 증가를 하고, 매실의 증류농축액의 산도가 증가하면 방향수의 산도는 감소하며, 증류 추출할 때 신맛을 나타내는 성분도 함께 증류되는 것을 알 수 있고, 이들 성분들이 많이 증류될수록 방향수의 산도는 증가하지만 증류 추출 후 남은 증류농축액의 산도는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In the same distilled extract, the acidity of the aromatic water increased when the acidity of the distillate concentrated in the plum decreased, and the acidity of the aromatic water decreased when the acidity of the distilled concentrate in the plum increased. It can be seen that the components are also distilled together, and as the components are distilled more, the acidity of the aromatic water increases, but the acidity of the distillate concentrate remaining after the distillation extraction decreases.

<매실증류추출액으로 생산된 화장품 원료의 유기산 함량><Organic Acid Content of Cosmetic Ingredients Produced by Plum Distillation Ex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매실을 증류 추출 방식으로 매실증류 추출하여 매실증류 추출액을 생산한 것이다. 증류된 추출액에 대한 유기산 함량을 조사한 결과는 [표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표 2]는 매실을 증류 추출할 때 추출한 화장품 원료의 유기산 함량을 나타낸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duce a distillation extract of plum by distilling the plum in distilled extraction method. The result of examining the organic acid content of the distilled extract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able 2]. [Table 2] shows the organic acid content of the cosmetic raw material extracted when distilled plum.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증류 추출 후, 유기산은 증류 추출기 내 솥에 남은 증류농축에서만 검출될 수 있다. 옥살산(Oxalic acid), 말산(Malic acid), 구연산(Citric acid)의 함량은 처리 별 모두 씨앗을 제거한 것보다 씨앗을 포함하여 증류 추출한 매실의 증류농축액에서 함량이 높고, 증류 추출할 때 정제수 투입량인 많은 35ℓ에서 이들 성분 함량들이 증가를 할 수 있다.After distillation extraction, the organic acid can only be detected in the distillation concentrate remaining in the pot in the distillation extractor. Oxalic acid, malic acid, and citric acid are higher in distilled concentrates of distilled plums, including seeds, than the seed removed in each treatment. At many 35 liters these component contents can increase.

씨앗을 제거하여 증류 추출할 경우, 청매실은 정제수 투입량이 적은 25ℓ에서 그리고 황매실은 정제수 투입량이 많은 35ℓ에서 유기산 전체적인 함량이 높을 수 있다.When the seed is removed and distilled, the total amount of organic acid may be high in 25 l of the purified plum water and 35 l of the purified plum oil.

즉, 증류 추출할 때 청매실 및 황매실은 씨앗을 포함하여 증류 추출하는 것이 유기산함량을 높이고, 증류 추출할 때 매실 10㎏당 정제수 35ℓ 이상 투입하여 증류 추출하는 것이 증류농축액의 유기산 함량을 높이는 데 유리할 수 있다.That is, when distilled extraction, distillation of blue plum and yellow plum containing seeds may increase the organic acid content, and distillation may be advantageous to increase the organic acid content of the distillation concentrate by distillation by adding more than 35 liters of purified water per 10 kg of plum during distillation extraction. have.

유기산 함량별로는 구연산 함량이 가장 높고, 그 다음은 말산 함량이며 이어서 옥살산 함량 순으로 함량이 높을 수 있다. 그리고 잘 성숙한 황매실보다 미성숙 청매실에서 유기산 종류별 함량이 모두 증가를 하여 총 유기산 함량은 청매실이 가장 높고, 매실이 성숙될수록 전체적인 유기산 함량은 감소할 수 있다.By organic acid content, citric acid content may be the highest, followed by malic acid content, followed by oxalic acid content. In addition, the contents of organic acids are increased in the immature fresh plums rather than the mature yellow plums, so the total organic acid content is the highest in the fresh plums, and as the plums mature, the total organic acid content may decrease.

매실 성숙 정도 및 시료처리 별로 유기산 총 함량이 가장 높은 실시예는 씨앗을 포함한 청매실을 정제수 투입량 35ℓ에서 증류 추출한 증류농축액으로서 유기산 총 함량 1,793(㎎/100g)이고, 그 다음은 씨앗을 제거한 청매실을 정제수 투입량 25ℓ에서 증류 추출한 증류농축액으로서 1,311(㎎/100g)이며, 이어서 정제수 투입량 35ℓ에서 증류 추출한 씨앗을 제거한 청매실증류농축액이 1,211(㎎/100g)의 순으로 높았다.The highest organic acid content by maturity and sample processing was the distilled concentrate distilled from the fresh water containing 35% of the purified water in 35 liters of purified water, followed by the total organic acid content of 1,793 (mg / 100g). The distillation concentrate distilled at 25 L of the charged amount was 1,311 (mg / 100g), and the fresh plum distillate concentrated after removing the seed distilled at 35 L of the purified water was increased in the order of 1,211 (mg / 100g).

전체적으로 매실증류농축액의 유기산함량을 높이는 방법은, 씨앗을 포함한 매실 10㎏에 증류 추출할 때 정제수 35ℓ를 투입하여 추출하는 것이 가장 양호할 수 있다. 즉, 매실을 이용하여 증류 추출할 때, 당도, 염도 등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보이므로 화장품 원료를 생산할 때 매실의 씨앗을 제거하지 않고 증류 추출하면 다양한 성분의 함량을 높이고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좋은 방법일 수 있다.In general, the method of increasing the organic acid content of the plum distillate concentrate may be best extracted by adding 35 liters of purified water when distilled extraction in 10 kg of plum containing seeds. In other words, when distilled by using plum, the sugar, salinity, etc. shows a similar tendency, so when distilling extract without removing the seeds of plum when producing cosmetic raw materials can increase the content of various components and improve the work efficiency It can be a good way.

<매실증류추출액으로 생산된 화장품 원료의 항산화>Antioxidant of Cosmetic Ingredients Produced by Plum Distillation Ex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매실을 증류 추출 방식으로 매실증류 추출하여 매실증류 추출액을 생산한 것이다. 증류 추출 후 증류된 추출액에 대한 항산화 값을 조사한 결과는 [표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표 3]은 매실을 증류 추출할 때 추출한 화장품 원료의 항산화를 나타낸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duce a distillation extract of plum by distilling the plum in distilled extraction method. The result of examining the antioxidant value of the distilled extract after distillation extrac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able 3]. Table 3 shows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the cosmetic raw material extracted when the plum was distilled off.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항산화 값은, 증류 추출 후 증류 추출기 내 솥에 남은 증류농축의 항산화 값이 높고, 씨앗을 제거한 과육보다 씨앗을 제거하지 않고 열매를 추출한 청매실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며, 상기 유기산 함량 변화에서와 동일한 경향을 보인다.The antioxidant value was higher in the distillation concentration remaining in the pot after distillation extraction, the highest in the fresh fruit room without extracting the fruit than the flesh from which the seed was removed, and showed the same tendency as the organic acid content change. .

화장수나 화장품 원료로 가장 많이 쓰이는 방향수는 항산화 값이 측정될 수 있다. 매화의 방향수는 증류기에 정제수 투입량을 25ℓ와 35ℓ씩 각각 투입하고 증류 추출할 경우 각각 항산화 값이 0.030(㎎/㎖) 및 0.027(㎎/㎖)의 함량을 보여 다른 처리별 방향수보다 훨씬 높은 항산화 함량 값을 보인다.Perfume, the most commonly used lotion or cosmetic ingredient, can be measured for antioxidant value. The amount of aromatic water of plum was 25 liters and 35 liters of distilled water, respectively, and the distillation and extraction showed anti-oxidation values of 0.030 (mg / ml) and 0.027 (mg / ml), respectively. The antioxidant content value is shown.

매실의 방향수의 항산화 함량은, 특히 씨앗을 제거하지 않은 청매실에서 함량이 가장 높을 수 있다. 그리고 매실의 증류 추출할 때 정제수 투입량이 적은 25ℓ에서 항산화 함량이 대체로 높게 나타나고, 이러한 결과는 청매실 및 황매실 및 매화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보이며, 증류 추출할 때 정제수 투입량이 적을수록 매실이나 매화 자체에 함유한 유효성분의 희석률이 낮아 증류 추출액의 기능성 성분의 함량이 높아진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The antioxidant content of the aromatic water of the plum may be the highest, especially in fresh plums without seed removal. In the distillation of the plum, the antioxidant content was generally high in 25 liters of small amount of purified water input.These results were the same in fresh plum, yellow plum, and plum. The dilution rate of one active ingredient may be evaluated to increase the content of functional components of the distillate ex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화장품 원료로 많이 쓰이는 방향수의 유효성분 함량을 높이는 것으로써,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증류 추출할 때 정제수 투입량 조절에 따른 기능성 성분의 함량조절이 가능하여 화장품 원료 생산 개발에 응용될 수 있다.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content of the active ingredient of aroma water commonly used as a cosmetic raw material, and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content of the functional ingredient according to the amount of purified water input when distilled extraction is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cosmetic raw material production Can be.

향장용 원료 중 높은 항산화 값은 항노화, 주름개선용으로 많이 활용되는 고가의 원료로 고부가가치 향장소재로 많이 활용되며 전 세계적으로 향장용 소재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번 연구 용역을 통해 개발된 매화 향장수는 일반적으로 증류 추출액에서 나타나기 어려운 높은 항산화 값을 보여 고부가가치의 향장용 원료소재로 개발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The high antioxidant value among fragrance raw materials is an expensive raw material that is widely used for anti-aging and wrinkle improvement, and it is widely used as a high value-added fragrance material. Plum fragrance water developed through this research service has high antioxidant value which is hard to appear in distillate extract, and can be developed as a high value-added fragrance raw material.

<매실증류추출액으로 생산된 화장품 원료의 향강도><Scent Strength of Cosmetic Ingredients Produced by Plum Distillation Extract>

매화 성숙 정도와 과실처리 방법별 향강도는, [표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표 4]는 수증기증류 추출기로 추출한 화장품 원료의 항강도를 나타낸다.The degree of plum maturity and the fruit strength by fruit processing metho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able 4]. [Table 4] shows the strength of the cosmetic raw material extracted with a steam distillation extractor.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청매실 및 황매실 및 매화는 모두 과실처리 방법을 달리하여 추출하여도 동일 시료이면 향질 값이 거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값으로 나타나고, 같은 원료에서 추출하였다는 것이 입증을 입증할 수 있고, 이로써 추출물을 검증할 때에 특정한 원료 적용 여부에 대한 판정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All of the fresh plum, yellow plum, and plum blossoms were found to be almost the same or similar in the same sample, even if they were extracted by different fruit processing methods, and it could be proved that they were extracted from the same raw material, thereby verifying the extract. In this case, it can be used as a judgment data about the application of specific raw materials.

증류 추출한 방향수의 향강도는 씨앗을 포함하여 추출한 실시예가 씨앗을 제거하여 추출한 실시예보다 높다. 동일한 실시예에서 씨앗을 제거한 황매실 제외한 모든 실시예가 증류 추출할 때 정제수 투입량이 많은 35ℓ에서 향강도가 높게 나타난다.The fragrance intensity of the aromatic water distilled and extracted is higher than the embodiment extracted from the seed including the seed removed. In the same example, all the examples except the yellow plum with the seed removed showed high fragrance intensity at 35 L having a large amount of purified water input when distilled extraction.

증류농축액은 씨앗을 포함하여 추출한 실시예의 향강도가 높게 나타나고, 동일한 실시예에서는 증류 추출할 정제수 투입량이 적은 실시예의 향강도가 매우 높게 나타나 향기가 강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Distilled concentrate is shown to have a high strength of the embodiment extracted from the seed, including the seed, in the same embodiment it can be seen that the fragrance is very strong because of a very high intensity of the embodiment with a small amount of purified water to be distilled extraction.

한편, 씨앗을 포함한 황매실은, 25ℓ 정제수 투입량에서 향강도 4814(A.I.)로 가장 높아 향기가 강하고, 반대로 방향수의 향강도는 1443(A.I.)로 향기가 가장 약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yellow plum containing seeds, the highest fragrance strength 4814 (A.I.) at 25 liters of purified water input, the strong fragrance, on the contrary, the fragrance of fragrance water is 1443 (A.I.) may be the weakest fragrance.

황매실처럼 잘 익은 과실의 열매는 씨앗을 포함하여 정제수 투입량이 적은 25ℓ로 추출할 경우, 방향수의 향강도는 매실 전체 실시예에서 가장 낮은 향강도를 보이고, 증류농축액은 가장 높은 향강도를 보인다.When the fruit of ripe fruit, such as yellow plum, is extracted with 25 ℓ of small amount of purified water including seeds, the fragrance of fragrance water shows the lowest fragrance intensity in all the examples, and the distillate concentrate shows the highest fragrance intensity. .

씨앗을 제거한 황매실의 방향수의 향강도는 정제수 투입량이 적은 25ℓ로 추출한 쪽의 향강도는 2439(A.I.)로 향이 강하고, 반면 이와 동시에 추출된 증류농축액의 향강도는 1012(A.I.)로 가장 낮게 나타나 방향수와 증류농축액의 향강도가 서로 상반된 결과를 보인다.The aroma intensity of the aroma water of the yellow plum with the seed removed was 25ℓ with less input of purified water, and the aroma intensity of the extracted side was 2439 (AI), while the fragrance intensity of the extracted distilled concentrate was the lowest as 1012 (AI). It shows that the fragrance strengths of the aromatic water and the distillate concentrate are opposite.

전체적으로 청매실과 매화는 증류 추출할 때 정제수 투입량이 많을수록 방향수의 향강도가 증가하고, 증류농축액의 향강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In general, the fresh plum and plum were distilled extract, the more the amount of purified water added, the fragrance intensity of the aromatic water increased, and the fragrance intensity of the distillate concentrate tended to decrease.

반면에 씨앗을 제거한 황매실은 증류 추출 정제수 투입량과는 상관없이 방향수의 향강도가 높게 나타나 향이 강한 방향수를 생산할 수 있어 화장품 주원료인 방향수 생산에 씨앗을 제거하여 추출하는 것이 유리한 것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yellow plums from which the seeds were removed have a high fragrance of fragrance water regardless of the distilled distilled water input amount, so that the fragrance water can be produced with strong fragrance. .

즉, 숙성된 과실이 잘 으깨어질수록 그리고 정제수 투입량이 많을수록 증류 추출할 때 수용성 물질이나 향기성분이 더 잘 증류되어 추출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매화는 정제수 투입량이 많은 실시예의 향강도가 높게 증가하여 향이 강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In other words, as the ripened fruit is crushed well and the amount of purified water is added, the water-soluble substance or fragrance component is better distilled when distilled extraction, so that the extraction is performed efficiently. Plum blossoms can be seen that the fragrance becomes stronger by increasing the fragrance strength of the embodiment with a large amount of purified water input.

<매실증류추출액으로 생산된 화장품 원료의 항기특성><Anti-air Characteristics of Cosmetic Ingredients Produced by Plum Distillation Extract>

증류 추출 후 증류된 방향수의 증류 추출액에 대한 향기성분을 샘플로 추출한 후, 질량 분석기(GC/MASS)로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를 [표 5] 내지 [표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표 5] 및 [표 6]은 화장품 원료인 매실 하이드로졸의 향기 성분을 나타내고, [표 7]은 화장품 원료인 매실 하이드로졸의 주요 향기성분의 효능을 나타낸다.After extracting the fragrance component of the distilled extract of the distilled aromatic water after distillation extraction as a sample,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fragrance component by mass spectrometry (GC / Ma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able 5] to [Table 7]. Tables 5 and 6 show the fragrance components of plum hydrosol, which is a cosmetic raw material, and Table 7 shows the efficacy of the main fragrance components of plum hydrosol, a cosmetic raw material.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7

청매실 및 황매실의 방향수로부터 매실 고유의 향기특성을 보인 대표적인 주요 성분은 유제놀(Eugenol), 테르피네올(Terpineol), 안식향산 벤질(Benzyl Benzoate), 데칼린(Decalin), 올레산(oleic acid) 등으로 이들 성분에 대한 향기특성과 효능은 [표 7]에 나타낸다. 이들 대부분 성분은 생활용품이나 연고, 크림 등 의약용으로 쓰일 수 있는 성분들이거나 향료, 화장품, 향신료 등에 많이 사용되는 향기성분들로서 매실 방향수는 화장품, 생활용품, 식품향료용 첨가제, 향신료 등의 원료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Representative major ingredients showing the unique aroma characteristics of aroma from the aromatic waters of ume and plum plum are Eugenol, Terpineol, Benzyl Benzoate, Decalin, and oleic acid. The fragrance characteristics and efficacy for these components are shown in [Table 7]. Most of these ingredients are ingredients that can be used for medical purposes such as daily necessities, ointments, creams, or fragrances that are frequently used in fragrances, cosmetics, spices, etc. The plum aroma is a raw material for cosmetics, household goods, food flavoring additives, spices, etc. It can be seen that it can be used as.

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는 유제놀(Eugenol) 성분은 특유의 향신료와 같은 향취로 화장품보다는 치약, 비누, 세정제 등의 생활용품과 연고, 크림 등의 의약품에 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써 씨앗을 포함한 청매실 방향수에서 확인될 수 있다.Eugenol, which can be used as a food, is a scent like a special spice and can be mainly used in daily necessities such as toothpaste, soap, detergent, and medicines such as ointments and creams, rather than cosmetics. Can be identified at

1-테트라코산올(1-Tetracosanol) 성분은 나쁜 콜레스테롤(LDL) 수치는 내리고 좋은 콜레스테롤(HDL)의 수치는 올려주는 기능성 성분으로 혈중 지방과 콜레스테롤을 제거하고, 혈액순환 개선에 도움을 주는 지표성분이며 폴리코사놀의 주요성분으로 알려진 기능성 성분으로 씨앗을 포함한 황매실의 방향수를 제외한 다른 모든 방향수에서 확인되어 기능성 음료로 개발하기 좋은 원료임이 알 수 있다.1-Tetracosanol (1-Tetracosanol) is a functional ingredient that lowers bad cholesterol (LDL) levels and raises good cholesterol (HDL) levels. It is an indicator that helps remove blood fat and cholesterol and improves blood circulation. It is a functional ingredient known as the main ingredient of policosanol, and it can be seen that it is a good raw material to be developed as a functional drink as it is confirmed in all other fragrance water except the fragrance water of the yellow plum.

팔미토레산(9-Hexadecenoic acid, palmitoleic acid)은 동식물계에 널리 분포하며 생선기름, 고래유 등 많은 수산유지에 대량으로 함유되어 있지만 식물유에는 소량 함유되어 있는 성분으로 콜레스테롤 감소에 효과적이고, 지방이 체내에 축적되는 것을 막아주어 건강한 체중 관리에 도움을 주어 심혈관 건강 및 위장 건강에 도움을 주는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Palmitoleic acid (9-Hexadecenoic acid, palmitoleic acid) is widely distributed in animal and plant systems and is contained in many fish oils such as fish oil and whale oil, but it is contained in small amounts in vegetable oil. It is known as an ingredient that helps prevent cardiovascular health and gastrointestinal health by preventing the body from accumulating and helping healthy weight management.

팔미트산(n-Hexadecanoic acid, Palmitic acid)은 피부 관련 효능으로 피부 염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트러블 및 문제성 피부를 완화하고 진정시킴으로써 건강한 피부 관리에 도움을 주는 성분으로 알려져 있어 매실의 방향수에는 이들 성분들을 다향 함유하고 있어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 매우 적합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Palmitic acid (n-Hexadecanoic acid, Palmitic acid) is a skin-related effect that inhibits skin inflammation, and is known as an ingredient that helps healthy skin care by alleviating troubles and problem skin. Since it contains many flavors of these ingredients, it can be evaluated as being very suitable as a functional cosmetic raw material.

증류 추출 후, 부산물인 가열농축액에 대한 대표적 향기성분 및 효능을 [표 8] 및 [표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표 8]은 화장품 원료인 매실 가열농축액의 향기성분을 나타낸다. [표 9]는 화장품 원료인 매실 가열농축액의 주요 향기성분의 효능과 이용을 나타낸다.After distillation extraction, the representative flavor components and efficacy of the by-product heating concentrat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able 8] and [Table 8]. Table 8 shows the fragrance components of the plum heating concentrate as a cosmetic raw material. [Table 9] shows the efficacy and use of the main fragrance components of plum heating concentrate as a cosmetic raw material.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09

아세토페논(Acetophenone), 1,2,4-triazolo[4,3-a] pyrazine, 벤질알코올(Benzyl alcohol), 벤즈알데히드(Benzaldehyde), 벤조산(Benzoic acid), 올레산(oleic acid), n-Hexadecanoic acid 등이 주요 성분으로 확인된다.Acetophenone, 1,2,4-triazolo [4,3-a] pyrazine, benzyl alcohol, benzaldehyde, benzoic acid, oleic acid, n-Hexadecanoic acid And the like are identified as main ingredients.

아세토페논(Acetophenone)은 오렌지 꽃 향, 1,2,4-triazolo[4,3-a]pyrazine의 녹차와 레몬에서 발견되는 향기물질로 녹차, 꿀, 과일 향기 조향할 때에 자주 이용되는 향기물질이다. 신선한 과일향과 재스민, 치자 꽃, 라일락 등에서 느껴지는 부드러운 꽃향기를 연상시키는 벤질알코올(Benzyl alcohol)의 향과 아몬드의 달콤한 향기와 복숭아, 살구, 체리 등에서 느껴지는 벤즈알데히드(Benzaldehyde) 향, 안식향의 주요 성분으로 식품향료로 쓰이는 벤조산(Benzoic acid)과 스파이시한 올레산(oleic acid) 등이 많이 검출되어 향장 및 식품향료로 쓰일 수 있으며 향장향이나 향수원 등에 쓰일 수 있는 고급향이 많이 검출되어 화장품, 생활용품, 식품향료용 첨가제, 향신료 등의 원료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Acetophenone is an aromatic substance found in the green tea and lemon of orange flower, 1,2,4-triazolo [4,3-a] pyrazine, and is often used to steer green tea, honey, and fruit aromas. . Benzyl alcohol, which is reminiscent of fresh fruit and soft floral scents of jasmine, gardenia, and lilac, sweet scent of almonds, and benzaldehyde, benzoic, benzoic, cherries. Benzoic acid and spicy oleic acid, which are used as food fragrances, can be detected and used as fragrances and food fragrances, and high quality fragrances that can be used in fragrances and perfumes are detected. It can be variously used as a raw material for flavoring additives and spices.

식물성의 페놀(Phenol) 향은 씨앗을 제거한 청매실과 씨앗을 포함한 황매실의 가열농축에서 확인된 주요 성분으로 폴리페놀(polyphenol)류로 우리 몸에 있는 활성 산소(유해 산소) 제거로 항산화 효과가 있어 노화를 방지하며 활성 산소에 노출되어 손상되는 DNA 보호, 세포구성 단백질 및 효소를 보호하는 기능이 뛰어나 다양한 질병 예방작용. 항암 작용과 함께 심장 질환을 막아주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유용한 성분이다.Vegetable phenol (Phenol) fragrance is the main ingredient found in the heating concentration of the yellow plum room containing seeds, and the phenolic polyphenols (polyphenols) have an antioxidant effect by removing the active oxygen (harmful oxygen) in our body. It protects DNA from damage by exposure to free radicals, protects cellular proteins and enzymes, and prevents various diseases. Along with anticancer activity, it is a useful ingredient known to prevent heart disease.

매실 가열농축액에 함유한 올레산(oleic acid)은 청매실과 황매실 모든 가열농축액에서 발견된 다량의 향기물질로 확인되었으며 주요 효능으로는 오메가-9 지방산의 일종으로 단가불포화지방산의 장점인 LDL 수치를 낮추고 간을 보호하는 HDL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높인다. 심혈관 계통 질환과 노화방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고, 또한, 올레산은 허셉틴 등 유방암 치료제의 약화를 강화시키는 효능이 있다. 주요 용도로는 비누의 유화제 성분으로 사용, 대장 연동운동을 강화시켜 장벽을 매끄럽게 해 변비개선 효과와 대장암 예방효과가 있으며 화장품, 의약품 첨가제, 섬유유연제로 사용되고 있다.Oleic acid contained in plum heating concentrate was found to be a large amount of aromatic substance found in all heating concentrates of Cheongmaesil and Hwangmaesil. The main effect is a type of omega-9 fatty acid, which lowers the LDL level, which is the advantage of monounsaturated fatty acid. Increases the level of HDL cholesterol that protects the liver. It is known to be effective in preventing cardiovascular system diseases and aging, and oleic acid is also effective in strengthening the weakening of breast cancer drugs such as Herceptin. Its main use is as an emulsifier of soap, and it strengthens colon peristalsis movement to smooth the barrier, improving constipation and preventing colon cancer, and it is used as cosmetics, pharmaceutical additives, and fabric softeners.

n-Hexadecanoic acid는 팔미트산(Palmitic acid)으로서, 매실의 하이드로졸에서 확인된 주성분으로 매실의 가열농축액에서도 다량 함유한 것이 확인되고, 피부의 보습력과 침투력을 좋게 하며 항암작용, 강한 항산화 작용 항염작용으로 피부의 항아토피, 포도상구균 억제효능이 있어 클렌징 폼의 검화작용에 사용하는 지방산, 점도, 경도상승제로 사용되며 피부를 청결하게 하는 비누, 클렌징 폼의 세정효과를 나타내는 직용이 있어 증류 추출 후 생산된 가열농축액도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n-Hexadecanoic acid is palmitic acid, which is the main ingredient identified in plum hydrosol, and it has been found to contain a large amount in plum heating concentrate, improves skin's moisturizing and penetrating ability. It has anti-atopic and staphylococcal inhibitory effect on the skin and is used as fatty acid, viscosity, and hardness increasing agent used in the saponification of cleansing foam, and it has direct use which shows the cleaning effect of soap and cleansing foam that cleans the skin. The produced heating concentrate can also be used in various ways as a functional cosmetic raw material.

<증류 추출된 매화 하이드로졸의 향기특성과 효능><Aroma Characteristics and Efficacy of Distilled Plum Hydrosol>

증류 추출 후 생산된 매화의 방향수에 대한 대표적 향기성분과 효능은 [표 10] 및 [표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표 10]은 화장품 원료인 매화 하이드로졸의 향기성분을 나타낸다. [표 11]은 화장품 원료인 매화 하이드로졸의 주요 향기성분의 효능과 이용을 나타낸다.Representative fragrance components and efficacy of the aromatic water of the plum produced after distillation extrac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able 10] and [Table 11]. Table 10 shows the fragrance components of plum hydrosol which is a cosmetic raw material. Table 11 shows the efficacy and use of the main fragrance ingredients of plum hydrosol, a cosmetic raw material.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1

증류 추출 후 생산된 매화의 방향수에 대한 대표적 향기성분은, 벤조산(Benzoic acid), 아세트산(Acetic acid), 벤질 알코올(Benzyl alcohol), 유제놀(Eugenol), 페놀(Phenol), 안식향산 벤질(Benzyl Benzoate), 올레산(oleic acid), n-Hexadecanoic acid 등으로 대표적 매화 향기에 발견되는 대부분 성분이 주요 성분으로 확인 될 수 있다.Typical fragrance components for aromatic water of plum produced after distillation extraction are benzoic acid, acetic acid, benzyl alcohol, eugenol, phenol and benzoic acid benzyl. Benzoate), oleic acid (oleic acid), n-Hexadecanoic acid, etc. Most of the components found in the main plum fragrance can be identified as the main component.

특히, 매화 방향수에서 60% 이상 차지하는 주성분인 안식향산 벤질(Benzyl Benzoate)은 발삼페루의 주성분으로, 많은 꽃의 콘크리트, 앱솔루트에 함유되어 있으며 약한 발삼향과 플로럴 향이 섞인 향조로서 여러 조합향료의 보류제로 많이 사용되는 성분으로 중요한 원료 성분이다.In particular, Benzyl Benzoate, the main ingredient that accounts for more than 60% of plum blossom water, is the main ingredient of Balsam Peru, which is contained in many flowers of concrete and absolut, and is a fragrance mixed with weak balsam and floral scents. It is an important raw material as it is used a lot

벤질 알코올(Benzyl alcohol) 성분은 재스민, 치자꽃, 라일락 등에서 느껴지는 부드러운 꽃향기를 연상시키는 물질로 여러 가지 천연향료에 폭넓게 존재하며 상업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유용한 향기성분이며 벤조산(Benzoic acid), 아세트산(Acetic acid), 유제놀(Eugenol), 안식향산 벤질(Benzyl Benzoate) 성분과 어우러져 달콤한 꽃향기가 강한 복숭아 향이 섞인 향조로써 우아한 향과 상큼한 향이 어우러져 매우 우수한 향장 향료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Benzyl alcohol is reminiscent of the soft floral scent found in jasmine, gardenia, lilac, etc. It is widely used in various natural flavors and is a useful fragrance that is widely used commercially. It also contains benzoic acid and acetic acid. acid), Eugenol, and Benzyl Benzoate, which is a blend of peach flavors with a strong floral sweetness, can be found to be an excellent fragrance.

또한, 올레산(Oleic Acid)과 n-Hexadecanoic acid는 심혈관 계통 질환과 노화방지에 효과적이며 항암작용, 강한 항산화 작용 항염작용 등이 있어 피부의 항아토피, 포도상 구균 억제효능과 함께 피부의 보습력과 침투력이 좋고 클렌징 효과가 있어 화장품, 의약품 첨가제, 섬유유연제로 많이 사용되는 성분들로 매화 방향수와 아르간 매화 오일에 다량 함유하여 피부용 화장품 원료로 우수성이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oleic acid and n-Hexadecanoic acid are effective for preventing cardiovascular disease and aging, and have anti-cancer effect and strong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effect. It has a good cleansing effect, and it is widely used in cosmetics, pharmaceutical additives, and fabric softeners. It can be confirmed as an excellent cosmetic raw material for skin by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plum in aromatic water and argan plum oil.

매화 방향수와 아르간 매화오일에서 식물성 폴리페놀류인 페놀(phenol) 성분이 다량 함유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페놀(phenol) 성분은 활성 산소(유해 산소) 제거로 항산화 효과가 있어 피부노화 방지. 활성 산소에 노출되어 손상된 DNA 보호, 세포구성 단백질 및 효소를 보호하는 기능이 뛰어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들 원료에 대한 항산화 측정에서도 높은 항산화 함량을 보여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데, 매화 방향수는 매화 특유의 우아한 향기성분을 함유하면서 아르간 매화 오일과 더불어 항노화, 주름개선용 화장품 원료 또는 향수, 화장수 등 보존성이 높고 방향성이 우수한 기능성 향장 원료로써 활용될 수 있어 매우 우수한 화장품 원료로 개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It can be confirmed that abundant phenol components, which are vegetable polyphenols, are contained in plum fragrance water and argan plum oil, and phenol component has antioxidant effect by removing active oxygen (harmful oxygen) to prevent skin aging. Exposure to free radicals has been reported to provide excellent protection against damaged DNA, cellular proteins and enzyme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n the antioxidant measurement of these raw materials showed a high antioxidant content, the same result can be obtained, while the plum fragrance contains an elegant fragrance unique to the plum, while anti-aging, wrinkle improvement cosmetics with argan plum oil It can be used as a functional cosmetic raw material with high preservation and fragrance such as raw materials or perfume and lotion, and thus can be evaluated as a very good cosmetic raw material.

<화장품 원료의 피부 보습 효능><Skin moisturizing effect of cosmetic ingredients>

증류 추출액에 대한 피부 보습 효능을 측정하기 위해 피부 측정 전 세정 직후를 대조구로 하고 남녀 전박부위에 면봉을 이용하여 0.5㎝ 크기로 찍어 1시간 간격으로 총 6시간 동안 시간경과에 따른 피부반응을 측정하고 이는 [표 12] 내지 [표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표 12]는 화장품 원료별 남자 피부 보습 효능을 나타내고, [표 13]은 화장품 원료별 여자 피부 보습 효능을 나타낸다. [표 14]는 남녀 피부 보습성 효과에 대한 평균 증가율이다.In order to measure the skin moisturizing effect on the distilled extract, as a control, immediately after washing the skin, take a 0.5cm size with a cotton swab on the fore and axe, measure skin reactions over time for 6 hours at an interval of 1 hour.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able 12] to [Table 14]. Table 12 shows the male skin moisturizing effect of each cosmetic raw material, Table 13 shows the female skin moisturizing effect of each cosmetic raw material. Table 14 shows the average growth rate for the skin moisturizing effect of men and women.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4

피부 보습성이 가장 우수한 원료는 남녀 모두 프린지드 라벤더 방향수가 7.25(A.U.)로 증가율 19.9%로 가장 높고, 그 다음은 황매실 방향수가 5.1(A.U.)로 15.1% 증가, 이어서 매화수액이 5.6(A.U.)으로 15% 증가, 프린지드 라벤더 정유가 5.45(A.U.)로 14.3%, 청매실 방향수는 4.25(A.U.)로 13.6%, 아르간 매화 오일이 4.35(A.U.)로 12.3%, 매화 방향수는 4.25(A.U.)로 10.9% 순으로 증가를 하여 방향수 증류 추출액 대부분이 높은 보습성을 가지고 있다.The best ingredients for skin moisturizing were fringed lavender aroma of 7.25 (AU), the highest rate of increase of 19.9%, followed by yellow plum aroma of 5.1 (AU) of 15.1%, followed by plum sap of 5.6 (AU). Increased 15%, fringed lavender essential oil to 5.45 (AU) 14.3%, fresh plum fragrance to 4.25 (AU) to 13.6%, argan plum oil to 4.35 (AU) to 12.3%, plum fragrance to 4.25 (AU) Most of the aromatic distillate extracts are highly moisturized, increasing by 10.9%.

남녀 별 보습성 효과는 남성보다는 여성이 전박 좌우에서 높은 보습 효과를 보이고, 특히 매화 수액, 청매실 방향수, 황매실 방향수, 프린지드 라벤더 오일 등에서 세정직후 맨 피부에 비해 보습성이 23.2% 내지 26.3%의 높은 증가율을 보인다.Moisturizing effect by men and women showed higher moisturizing effect on the left and right side of the forehead than men, especially in plum sap, fresh plum aroma water, yellow plum aroma water, and fringed lavender oil, after moisturizing, 23.2% to 26.3% Shows a high rate of increase.

본 발명의 실시예의 주요 원료인 매실과 매화의 방향수 대부분이 남녀 모두 피부에 대한 보습성이 우수하고, 특히 남성보다는 여성이 효과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매화 방향수와 매화의 수액은 좋은 향기를 가지면서 우수한 보습 효과와 함께 항노화, 주름개선과 관련이 높은 항산화 효능도 가지고 있어 피부에 매우 유용한 화장품 원료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Most of the aromatic water of plum and plum, which are the main raw material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cellent in moisturizing properties for both men and women, and especially women are more effective than men. In addition, plum aroma and sap of plum have good fragrance and excellent moisturizing effect, and also have anti-aging and anti-aging effects related to anti-wrinkle, which can be a very useful cosmetic ingredient for skin.

따라서 매실과 꽃을 이용한 수증기 증류 추출에 의한 방향성 화장수로서의 개발 가치를 평가할 때 상기의 화장품 원료에 대한 기능성 유효성분 함량 조사에 대한 결과를 종합하여 검토하면 방향수의 향기성분 중에는 방향제로서의 우수한 향기성분과 함께 건강에 유익한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기능성을 나타내는 항산화 함량이 높고 보습성이 우수하여 화장품 원료서 스킨, 미스트, 샴푸, 보디 용품, 섬유 린스 등 화장품과 생활용품의 주원료 또는 첨가제로 사용될 수 있어 화장품 소재로서 개발 적정성이 매우 높게 평가될 수 있다.Therefore, when evaluating the development value of aromatic lotion by steam distillation extraction using plums and flowers,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of functional content of functional ingredients for cosmetic raw materials were reviewed. Among the fragrance components of aromatic water, In addition, it contains a lot of ingredients that are beneficial for health, has high antioxidant content and excellent moisturizing properties, so it can be used as a main ingredient or additive for cosmetics and daily necessities such as skin, mist, shampoo, body products, and textile rinses. The development adequacy can be evaluated as very high.

<화장품 원료의 피부 탄력도 효능><Efficacy of skin elasticity of cosmetic raw materials>

화장품 원료별 탄력도는 [표 15] 내지 [표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표 15]는 화장품 원료별 남자피부의 탄력도 효능을 나타낸다. [표 16]은 화장품 원료별 여자피부의 탄력도 효능을 나타낸다. [표 17]은 남녀 피부의 탄력도 효과에 따른 평균 증가율을 나타낸다.Elasticity of each cosmetic raw materi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able 15] to [Table 17]. Table 15 shows the elasticity efficacy of male skin by cosmetic raw materials. Table 16 shows the efficacy of the elasticity of women skin by cosmetic raw materials. [Table 17] shows the average increase rate according to the elasticity effect of the male and female skin.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17

남자는 우전박 프린지드 라벤더 방향수를 제외한 모든 화장품 원료에서 탄력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고, 여자는 좌전박 매화 수액을 제외한 모든 화장품 원료에서 탄력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For men, elasticity was increased in all cosmetic ingredients except right fringed fringed lavender fragrance, and in women, elasticity was increased in all cosmetic ingredients except for left sap plum sap.

남녀 각각에 대한 화장품 원료별 피부 탄력도에 대한 효능을 측정한 결과 남자는 프린지드 라벤더 정유가 전박 클렌징 직후인 무처리에 비해 6.0 내지 10.6%의 증가율을 보이고, 그 다음은 프린지드 라벤더 방향수가 좌전박에서 7.6%가 증가했지만 우전박에서는 -1.5% 감소를 보인다. 이어서 청매실 방향수가 좌우 전박에서 3.0% 내지 7.3%의 증가율을 보이고, 이어서 매화 수액이 3.5% 내지 5.8%. 황매실과 매화의 방향수가 1.4% 내지 3.3%의 증가율을 보여 매실과 매화의 증류추출액이 남자의 피부에 대한 탄력강화 효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As a result of measuring the efficacy of skin elasticity by cosmetic raw materials for men and women, the increase rate of fringed lavender essential oil was 6.0 to 10.6% compared to the untreated right after cleansing of jeon, and then the fringed lavender fragrance was 7.6 The percentage increased, but decreased -1.5% in the right night. The fresh plum aroma water showed an increase rate of 3.0% to 7.3% in the left and right forearms, followed by a plum sap of 3.5% to 5.8%. Aromas of yellow plum and plum showed an increase rate of 1.4% to 3.3%, indicating that distilled extracts of plum and plum have a firming effect on the skin of men.

여자 피부는 좌전박에서 -1.1%의 탄력도를 감소시킨 매화 수액을 제외한 모든 화장품 원료가 피부의 탄력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난다. 피부의 탄력도가 가장 많이 증가한 원료는 매화아르간 오일로 0.3% 내지 5.5%의 증가율을 보이고, 매화의 방향수는 1.4% 내지 4.0%의 증가율, 청매실과 황매실의 방향수는 2.9% 내지 3.9%의 증가율을 보이지만 남자에 비해 화장품 원료 대부분이 탄력도 증가율은 낮다.In women's skin, all cosmetic ingredients increase the skin's elasticity, except for plum sap, which decreased the elasticity by -1.1%. The raw material with the greatest increase in elasticity of the skin is plum argan oil, showing 0.3% to 5.5% increase in the aroma of plum, 1.4% to 4.0% of the aroma of plum, and 2.9% to 3.9% of the aroma of plum and yellow plum. Although the rate of increase is higher, the elasticity growth rate of most cosmetic raw materials is lower than that of men.

남녀 모두에 대한 화장품 원료별 평균 탄력도 증가는 프린지드 라벤더 정유가 5.8%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청매실 방향수가 4.2%로 높았으며 이어서 프린지드 방향수가 3.4%, 황매실 방향수가 3.2%의 순으로 탄력도가 증가를 하였다. 아르간 오일과 아르간 매화오일의 탄력도는 1.8% 내지 2.8%로 가장 낮은 증가율을 보이는데, 이는 베이스 오일인 아르간 오일이 피부에 대한 탄력 효능이 낮아 매화를 추출한 아르간 매화오일의 탄력도가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The average increase in elasticity of cosmetic raw materials for both men and women was the highest with fringed lavender essential oil (5.8%), followed by fresh plums (4.2%), followed by fringes of 3.4% and yellow plums (3.2%). Was done. The elasticity of the argan oil and the argan plum oil is the lowest increase rate of 1.8% to 2.8%, indicating that the base oil argan oil has a low elasticity effect on the skin, and thus the elasticity of the argan plum oil extracted plum is inferior.

피부 탄력도 증가에 대한 화장품 원료별 효능은 청매실, 황매실 및 매화의 방향수에서 높은 탄력도를 보여 향장품 개발할 때, 항노화 또는 주름 개선용으로 활용될 수 있음이 알 수 있고, 증류 추출용 방향수가 부가가치가 높은 화장품 원료소재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Efficacy of each cosmetic raw material for increasing skin elasticity shows high elasticity in the aromatic water of fresh plum, yellow plum and plum, and it can be seen that it can be used for anti-aging or wrinkle improvement when developing cosmetics. It can be seen that it can be usefully used as a high cosmetic raw material.

<화장품 원료의 피부 멜라닌(미백) 효능><Skin melanin (whitening) effect of cosmetic raw materials>

증류 추출액에 대한 멜라닌을 측정한 결과는 [표 18] 내지 [표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표 18]은 화장품 원료별 남자피부의 멜라닌 억제 효능을 나타낸다. [표 19]는 화장품 원료별 여자피부의 멜라닌 억제 효능을 나타낸다. [표 20]은 남녀 피부의 멜라닌 억제 효과에 대한 평균 증가율을 나타낸다. The result of measuring melanin with respect to a distillate extract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Table 18]-[Table 20]. Table 18 shows the melanin inhibitory effect of male skin by cosmetic raw materials. Table 19 shows the melanin inhibitory effect of women's skin by cosmetic raw materials. Table 20 shows the average rate of increase for melanin inhibitory effect on the skin of men and women.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9
Figure pat00019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0

남성은 좌전박 매화 수액과 우전박 매화 방향수에서 멜라닌 억제효과가 세정직후인 맨 피부에 비해 각각 -7.8%와 -1.4%의 감소율을 보이고, 모두 매화의 화장품 원료에서만 미백효과가 나타나며, 그 외의 화장품 원료에서는 모두 효과가 없었다.In males, the melanin-inhibiting effect in the left sap and right plum plum aromas was -7.8% and -1.4%,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bare skin immediately after washing, and all of them showed a whitening effect only in the cosmetic raw materials of plum. All were ineffective in the cosmetic raw materials.

여성은 우전박의 경우 꽃 오일의 베이스 오일인 아르간 오일과 프린지드 라벤더의 방향수와 천연정유에서 멜라닌억제효과가 -0.4 내지 -2.2%의 감소율을 보여 미백효과를 보이고, 반면에 죄전박에서는 아르간 매화오일을 제외한 모든 화장품 원료에서 -1.0 내지 -6.7%의 멜라닌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미백효과 있는 것으로 보이며, 좌전박과 우전박의 피부에 대한 미백효과의 차이가 다를 수 있다. 좌전박에서 미백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난 화장품 원료는 프린지드 라벤더의 방향수와 천연정유로써 -5.4% 내지 -6.7%의 높은 감소율을 보여 멜라닌 억제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In the case of jeonjeonbak, the melanin inhibitory effect was reduced from -0.4 to -2.2% in Argan oil and fringed lavender oil and the essential oils of flower oil. All cosmetic ingredients except oil show melanin inhibitory effect of -1.0 to -6.7%, which may be whitening effect, and the difference of whitening effect on skin of left and right jeonjeonbak. The cosmetic ingredient that showed the highest whitening effect in the left jeonbak is the fragrance of fringed lavender and natural essential oils, showing a high reduction rate of -5.4% to -6.7%, which shows the best melanin inhibitory effect.

매화 방향수와 청매실 방향수도 멜라닌억제효과가 각각 -5%와 -4.1%의 높은 감소율을 보여 미백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나고, 청매실과 매화가 미백 효능을 가진 화장품 원료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Plum aroma and fresh plum aroma also showed a high reduction rate of -5% and -4.1%,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the whitening effect was good, and that plum plum and plum could be a cosmetic raw material with whitening effect.

남녀를 종합적으로 평균한 피부 멜라닌 억제 효과에 따른 평균 증가율은 프린지드 라벤더의 천연정유가 -2.7%로 가장 높게 감소하고, 이어서 청매실 방향수가 -1.4%, 매화 수액이 -1.1%의 감소율 보이며, 여성이 남성보다 멜라닌억제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나 남성과 여성에 대한 피부의 효능 차이가 있을 수 있다.The average increase rate according to the skin melanin suppression effect, which is the average of men and women, was the highest decrease of -2.7% in natural essential oil of fringed lavender, followed by the decrease of -1.4% in aromatic plum fragrance and -1.1% in plum sap. There is a greater melanin inhibitory effect than men, so there may be a difference in the efficacy of the skin on men and women.

전체적으로 멜라닌 억제효과는 프린지드 라벤더의 천연정유가 가장 높고, 매화 방향수와 청매실 방향수도 높은 멜라닌 억제효과를 보이며 이들 화장품 원료 모두가 미백효과가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청매실과 매화가 식품용 가공식품의 원료로만 국한되지 않고 화장품 산업의 원료로까지 확대 이용할 수 있음을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Overall, the melanin inhibitory effect is the highest in the natural essential oil of fringed lavender, plum aroma and fresh plum aroma also shows a high melanin inhibitory effect and all of these cosmetic raw materials have a good whitening effect. In addition, it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plum and plum are not limited to the raw material of the processed food for food, but can be extended to the raw material of the cosmetic industry.

따라서 매실 농가의 지역은 매실을 이용하여 화장품 원료산업으로 육성할 수 있다. 한편, 매실에만 국한되지 않고 라벤더를 함께 경작함으로써 지역 경관을 향상시킬 수 있고, 매실과 라벤더의 피부에 따른 유용한 기능성을 함께 홍보함으로써 지역 자원을 확보할 수 있으며, 매실 농가의 지역에 허브 자원을 도입하여 화장품 원료 산업으로 확대 육성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Therefore, the area of plum farms can be fostered as a cosmetic raw material industry using plum. On the other hand, not only the plums but also the cultivation of lavender together to improve the local landscape, promote the useful functionality of the plum and lavender skin together to secure local resources, and introduce the herb resources to the plum farmer's area It can contribute to the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the cosmetic raw material industry.

<화장품 원료의 피부 홍반 억제 효능><Effect of inhibiting skin erythema of cosmetic raw materials>

염증완화 또는 진정효과를 나타내는 홍반검사는 [표 21] 내지 [표 2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표 21]은 화장품 원료별 남자피부의 홍반 억제 효능을 나타낸다. [표 22]는 화장품 원료별 여자피부의 홍반 억제 효능을 나타낸다. [표 23]은 남녀 피부의 홍반억제 효능에 대한 평균 증가율을 나타낸다.The erythema test showing inflammation relief or sedative effect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able 21] to [Table 23]. Table 21 shows the erythema suppression efficacy of male skin by cosmetic raw materials. Table 22 shows the erythema suppression efficacy of women's skin by cosmetic raw materials. Table 23 shows the average rate of increase in erythema suppression efficacy of men and women skin.

Figure pat00021
Figure pat00021

Figure pat00022
Figure pat00022

Figure pat00023
Figure pat00023

염증완화 또는 진정효과를 나타내는 홍반검사에서 남, 여 모두 청매실 방향수와 황매실 방향수 등에서 뚜렷한 홍반 효능보다는 부분적인 홍반 효능을 보인다.In the erythema test showing inflammation relief or sedative effect, both males and females show partial erythema efficacy rather than distinct erythema efficacy in fresh plum fragrance and yellow plum fragrance.

화장품 원료에 대한 남자의 홍반억제 효능은 매화 방향수가 좌우 전박의 피부에서 -2.71% 내지 -8.69%의 높은 감소율을 보이고, 이어서 황매실 방향수가 -1.39% 내지 -8.86%, 프린지드의 방향수가 -3.90% 내지 -4.38%의 순으로 홍반억제 효능을 보여 매화 방향수 > 황매실 방향수 > 프린지드 방향수의 순으로 홍반억제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난다.Men's erythema suppression effect on the cosmetic raw material showed a high decrease rate of -2.71% to -8.69% in the left and right skin of the plum aroma, followed by -1.39% to -8.86% of the yellow plum and -3.90 It shows the effect of erythema suppression in the order of% to -4.38%, and the effect of erythema suppression is excellent in the order of plum fragrance> yellow plum fragrance> fringed fragrance.

한편, 홍반 억제효능은 미약하지만 아르간 매화 오일이 -0.27% 내지 -2.14%로 감소하여 남자는 화장품 원료 대부분이 홍반억제 효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난다.On the other hand, the erythema inhibitory effect is weak, but the argan plum oil is reduced from -0.27% to -2.14%, males appear to have the most effective erythema suppression effect.

여자의 홍반억제 효능은 프린지드 라벤더 방향수가 좌우 전박의 피부에서 -4.01% 내지 -8.58%의 높은 감소율을 보여 홍반억제 효능이 가장 우수하다.Efficacy of erythema suppression in women is the most excellent in the effect of fringed lavender fragrance water -4.01% to -8.58% in the skin of left and right forearms.

매화 수액이 -5.4% 내지 -6.57%의 높은 감소율을 보여 프린지드 라벤더 방향수와 매화 수액 모두 뚜렷한 홍반억제 효능을 보인다.Plum sap shows a high reduction rate of -5.4% to -6.57%, and both fringed lavender fragrant water and plum sap have distinct erythema suppressing effect.

여자의 우전박 피부에서 홍반억제 효능을 보인 화장품 원료는 청매실 방향수와 아르간 매화오일로 각각 -4.67%, -3.96%의 감소율을 보이고, 좌전박에서 억제효능을 보인 화장품 원료는 황매실의 방향수와 프린지드의 천연정유로 각각 -0.34%와 -0.94%의 약한 감소율을 보여 화장품 원료 전체로 볼 때 여자는 프린지드 라벤더의 방향수와 매화 수액에서 홍반억제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난다.Cosmetic ingredients that showed erythema suppression effect on women's right chestnut skin were reduced by -4.67% and -3.96% by fresh plum oil and argan plum oil, respectively. Natural oils of fringed and fringed oil showed a weak reduction rate of -0.34% and -0.94%, respectively. In the whole cosmetic raw materials, women have a clear effect of erythema in fringed lavender and plum sap.

남녀 피부 홍반억제 효과에 따른 평균 증가율은 프린지드 라벤더 방향수가 -5.2%로 가장 낮고, 이어서 황매실 방향수가 -2.1%, 매화 수액이 -0.6%, 매화 방향수가 -0.55%의 순으로 감소하여 홍반억제 효능이 우수한 화장품 원료의 순서로 나열하면 프린지드 라벤더 방향수 > 황매실 방향수 > 매화 수액 > 매화 방향수 순으로 나타난다.The average increase rate according to the effect of skin erythema suppression of male and female was the lowest with fringed lavender fragrance -5.2%, followed by yellow plum aroma -2.1%, plum sap -0.6%, plum aroma -0.55%. The most effective cosmetic ingredients are listed in order of fringed lavender fragrance> yellow plum fragrance> plum sap> plum fragrance.

전체적으로 화장품 원료에 대한 남녀 모두의 피부에서 프린지드 라벤더 방향수, 황매실 방향수, 매화 수액, 매화 방향수 등이 홍반억제 효능을 보여 화장품 원료 대부분이 염증완화 효능이 우수하거나 일반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염증 완화제로서 화장품 원료로서 가치가 있을 수 있다.In general, fringed lavender fragrance, yellow plum fragrance, plum sap, plum fragrance fragrance in the skin of both men and women with cosmetic raw materials showed erythema suppression effect, and most cosmetic raw materials were found to have excellent inflammation-relieving effects or general effects. It may be valuable as a cosmetic ingredient as an emollient.

<화장품 원료의 피부 산도(pH) 측정><Measurement of skin acidity (pH) of cosmetic raw materials>

화장품 원료별 피부의 산도는 [표 24] 내지 [표 2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표 24]는 화장품 원료별 남자피부의 산도를 나타낸다. [표 25]는 화장품 원료별 여자피부의 산도(pH)를 나타낸다. [표 26]은 남녀 피부의 산도(pH)에 따른 평균 증가율을 나타낸다.The acidity of skin by cosmetic raw material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able 24] to [Table 26]. Table 24 shows the acidity of male skin by cosmetic raw material. Table 25 shows the acidity (pH) of female skin by cosmetic raw material. Table 26 shows the average increase rate according to the acidity (pH) of the skin of men and women.

Figure pat00024
Figure pat00024

Figure pat00025
Figure pat00025

Figure pat00026
Figure pat00026

화장품 원료별 피부의 산도를 측정하기 위해 대조구로 측정 전 남녀 모두 무처리인 세안 직후의 산도는 남자는 pH 4.16 내지 pH 4.48의 범위로 사람의 정상 피부의 산도가 pH 4.5 내지 pH 5.5의 범위보다 낮다. 여자는 pH 4.83 내지 pH 5.33의 범위로 사람의 정상의 피부 산도 범위 내에 포함되어 최적의 피부상태를 보이는데 이는 여성이 남성보다 화장품을 많이 사용하여 피부 관리가 잘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In order to measure the acidity of skin by cosmetic raw materials, the acidity immediately after cleansing, which is untreated by both men and women before measurement, is in the range of pH 4.16 to pH 4.48 in men, and the acidity of normal skin in humans is lower than in the range of pH 4.5 to pH 5.5. . Women range from pH 4.83 to pH 5.33 and fall within the normal range of skin acidity of humans to show optimal skin conditions, which can be assessed by women using more cosmetics than men.

남녀 모두 화장품 원료별로 좌우 전박에 도포한 후 6시간 동안 매 시간별 피부 산도를 측정한 결과, 남자는 대조구인 측정전 세안 직후보다 도포 후 원료별로 평균 -4.82% 내지 3.18%까지 증감을 보인다. 여자는 세안 직후에 비해 원료별 모두 도포 후 pH -10.22 내지 -2.33%까지 감소하여 남녀 간의 원료별 도포 후 피부 산도 변화에 대한 차이가 있다. 여자는 측정전 세안 직후의 산도가 화장품 원료보다 높아 피부 도포 후 화장품 원료에 의해 낮아지고, 남자는 측정 전의 피부 산도가 화장품 원료보다 낮아 원료별 도포 후 산도가 증가한 것으로 보이며, 남녀 간의 피부조직 차이와 피부 관리 여하에 따른 차이로 이해할 수 있다.Both men and women measured skin acidity every hour for 6 hours after applying it to the left and right forearms by cosmetic ingredients, and men showed an increase and decrease by an average of -4.82% to 3.18% for each raw material after application, immediately after washing, before control. In women, the pH was decreased from -10.22 to -2.33% after application of all raw materials compared to just after washing,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skin acidity after application of raw materials between men and women. In women, the acidity just after washing the face is lower than that of the cosmetics because the acidity is higher than that of the cosmetics, and in men, the acidity of the skin is higher than that of the cosmetics. It can be understood as a difference in skin care.

화장품 원료별 피부 산도의 변화는, 남자는 청매실, 황매실 및 매화의 방향수와 수액 등에서 세안 직후보다 산도가 -1.71% 내지 -4.82%까지 감소하고, 황매실의 방향수는 -1.88% 내지 -4.82%까지 높은 감소를 보인다. 이와는 대조로 베이스 오일인 아르간과 아르간 매화오일, 프린지드 라벤더의 방향수와 천연정유 등은 세안 직후보다 도포 후 피부 산도가 모두 0.47% 내지 3.18%로 상승하여 동일계열 원료에 대한 피부 산도변화는 유사할 수 있다.Changes in skin acidity by cosmetic raw materials showed that the acidity decreased from -1.71% to -4.82% in men's aroma and sap, and sap in sap and plum, and -1.88% to-. The decrease is as high as 4.82%. In contrast, the base oils of argan, argan plum oil, fringed lavender, fragrance water, and natural essential oils increased the skin acidity from 0.47% to 3.18% after application, rather than immediately after washing. Can be.

남녀를 종합한 각 화장품 원료별 산도의 증감률은 측정전 세안 직후보다 도포 후 화장품 원료 전체가 -2.65% 내지 -5.10%까지 감소한다. 원료별로는 매화의 방향수와 수액이 평균 -5.1%로 가장 많이 감소하고, 다음은 황매실의 방향수가 -4.08% 순으로 많이 감소할 수 있다.The acidity increase / decrease rate of each cosmetic raw material of both sexes decreases from -2.65% to -5.10% after application, rather than immediately after washing. By raw material, the aroma and sap of plum blossoms decreased most to an average of -5.1%, and then the plum water of yellow plums decreased to -4.08% in order.

피부의 최적상태는 적정 산도와 보습을 유지시켜 주는 것이 피부 노화를 억제하는 가장 첫 번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청매실과 황매실, 매화 등의 방향수의 산도가 약 pH 3.3 내지 pH 4.5의 범위로 정상피부 산도보다는 약간 낮으나 증류 추출할 때 피부에 적합한 산도로 조절할 수 있으며 원료별 대부분 보습성이 우수하고 탄력도 증가, 멜라닌과 홍반의 억제효능 등이 원료별로 고르게 나타내어 화장품 원료로서 매우 적합하다고 평가될 수 있고, 피부의 기능성과 효능을 겸하는 우수한 화장품 소재일 수 있다.The optimal condition of skin is to maintain proper acidity and moisturizing may be the first to inhibit skin aging. The acidity of the aromatic water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blue plum, yellow plum, plum, is slightly lower than normal skin acidity in the range of about pH 3.3 to pH 4.5, but can be adjusted to an acidity suitable for skin when distilled and mostly moisturizing by raw material This excellent and increased elasticity, the inhibitory effect of melanin and erythema are evenly represented by each raw material can be evaluated as very suitable as a cosmetic raw material, it can be an excellent cosmetic material that combines the functionality and efficacy of the skin.

<화장품 원료의 피부 안정성 조사><Skin Stability Study of Cosmetic Ingredients>

화장품 원료별 피부 안정성은 [표 2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표 27]은 화장품 원료별 안정성 평가를 나타낸다.Skin stability by cosmetic raw material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able 27]. Table 27 shows the stability evaluation for each cosmetic raw material.

Figure pat00027
Figure pat00027

전박을 중심으로 9시간 이상 안정성을 검사한 결과 수증기 증류 추출된 원료 대부분이 알레르기, 피부자극, 염증 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나 화장품 원료로서 안전성이 양호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stability test for 9 hours or more, the most of the steam distilled extracted raw materials showed no allergy, skin irritation, inflammation, etc., and thus the safety of cosmetics can be evaluated as good.

<항염증이 강화된 향장원료 제1차 제형 방법><The first formulation method of cosmetic raw materials with enhanced anti-inflammatory>

향염증이 강화된 향장원료의 제1차 제형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한다.Step-by-step description of the first formulation method of anti-inflammatory enhanced cosmetic raw materials.

제1단계: 제1단계는 강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강황 천연정유 2%와 강황 증류농축액 98%를 혼합한다.First step: The first step is to prepare a turmeric extract, a mixture of 2% turmeric essential oil and 98% turmeric distillate concentrate.

제2단계: 제2단계는 기능성 원료 적정 농도 첨가량을 결정하는 단계이다. 기능성 원료는 강황추출물, 2차 히아루론산 및 세라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Second step: The second step is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concentration of functional raw material addition amount. Functional raw materials may include turmeric extract, secondary hyaluronic acid and ceramide.

강황추출물은 혼합된 향장원료의 중량%에 대하여 0.2%, 0.5%, 1%, 10%, 20% 및 30%로 각각 첨가할 수 있다.Turmeric extract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0.2%, 0.5%, 1%, 10%, 20% and 30%, respectively, based on the weight percentage of the mixed cosmetic raw material.

2차 히아루론산은 혼합된 향장원료의 중량%에 대하여 0%, 0.01%, 3% 및 5%로 각각 첨가할 수 있다.Secondary hyaluronic acid may be added in amounts of 0%, 0.01%, 3% and 5%, respectively, relative to the weight percent of the mixed cosmetic raw material.

3차 세라마이드는 혼합된 향장원료의 중량%에 대하여 0%, 0.01%, 1%, 2% 및 3%로 각각 첨가할 수 있다.Tertiary ceramides may be added in amounts of 0%, 0.01%, 1%, 2% and 3%, respectively, relative to the weight percent of the mixed cosmetic raw material.

제3단계: 제3단계는 향장원료를 완제품으로 적용할 때에 적합한 비율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성 원료의 첨가량 중에 특정한 첨가량을 선택할 수 있다.Step 3: In step 3, a suitable ratio can be selected when applying the cosmetic raw material as a finished product. That is, a specific addition amount can be selected from the addition amount of the functional raw material described in the second step.

상기 제1차 제형을 살펴보면, 강황 추출물을 중량비율로 0.5% 내지 30%를 첨가한 강황농축액은 모두 침전물이 확인되고, 강황 농축액 함량을 좀 더 줄여야 하는 것을 알 수 있다.Looking at the first formulation, it can be seen that all of the turmeric concentrate added 0.5% to 30% by weight of turmeric extract, the precipitate is confirmed, the turmeric concentrate content should be further reduced.

강황 추출물을 중량비율로 0.2% 첨가한 강황농축액은 침전물이 형성되지 않아 기능성 원료인 강황농축액은 0.2%이하 첨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수 있다.Turmeric concentrate added 0.2% by weight of turmeric extract in the weight ratio is not formed because it is most preferable to add less than 0.2% turmeric concentrate as a functional raw material.

한편으로, 화장수 공정단계에서 강항추출물을 함량별로 화장수에 첨가하여 서로 유화가 잘 되어 기름성분 층과 수분층이 분리되지 않는 시점을 찾고 이를 [표 2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표 28]은 강황추출물 첨가량에 대한 향장원료 제1차 제형 제조에 대한 유화성 정도를 나타낸다.On the other hand, by adding the strong extracts to the lotion by the content in the lotion process step to find the time when the oil component layer and the water layer is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well emulsified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able 28]. Table 28 shows the degree of emulsification for the preparation of cosmetic raw material primary formulations for the amount of turmeric extract added.

Figure pat00028
Figure pat00028

강황추출물을 0.5% 내지 30%까지 첨가할 경우 화장수 모두에서 침전물이 확인되어 적정 농도가 부적합할 수 있지만, 강황추출물 0.2%를 첨가한 강황농축액은 유화가 되지 않아 적정 기능성 농축액 첨가량으로 설정할 수 있다.When turmeric extract is added up to 0.5% to 30%, sediment is confirmed in all of the lotion, so that the proper concentration may be inadequate, but turmeric concentrate containing 0.2% turmeric extract may not be emulsified and may be set to an appropriate amount of functional concentrate.

따라서 제1차 기능성 첨가물인 강황추출물의 적정 첨가량은 향장수 제형의 중량%에 대하여 0.2%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refore, the appropriate amount of turmeric extract, which is a primary functional additive, may be preferably added in an amount of 0.2% based on the weight% of the perfumed water formulation.

<보습성 및 노화예방 강화를 위한 2차 기능성 원료를 첨가한 제2차 제형 방법><Second Formulation Method Added Second Functional Ingredients for Strengthening Moisturizing and Aging Prevention>

먼저, 기능성 보습원료인 히알루론산 나트륨(Na Hyaluronate) 적정 첨가량 선택한다. 히알루론산 나트륨의 첨가량의 선택은 이하에서 설명한다.First, an appropriate amount of sodium hyaluronate (functional hyaluronate) is selected. The selection of the amount of sodium hyaluronate added is described below.

히알루론산 나트륨은 진피 내에 망상 구조로 존재하는 콜라겐 섬유상 사이에 다량의 물을 함유하게 하여 격자 형태의 콜라겐층에 탄력을 부여하고, 이를 통해 콜라겐층이 붕괴하여 생기는 주름 방지효과로 표피 내에서 혈관을 대신에 산소와 영양 공급 등의 신진대사 작용(각질 예방/아토피 예방)을 하며 피부 내에 충분한 수분 유지를 통한 노화 방지 작용을 하는 기능성 원료이다. 히알루론산 나트륨은 주로 화장품의 크림, 세럼, 로션, 미용 팩, 샴푸 등에 첨가되며 피부의 잔주름 방지와 보습제로 사용되고 있다.Sodium hyaluronate contains a large amount of water between the collagen fibers present in the reticular structure in the dermis to give elasticity to the lattice-like collagen layer.This prevents wrinkles caused by the collapse of the collagen layer, thereby creating blood vessels in the epidermis. Instead, it is a functional ingredient that acts as a metabolism (prevents keratin / atopy) such as oxygen and nutrient supply and prevents aging by maintaining sufficient moisture in the skin. Sodium hyaluronate is mainly used in cosmetics, serums, lotions, cosmetic packs, shampoos, etc. It is used as an anti-wrinkle and moisturizer for ski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탄력강화, 주름예방 및 보습강화 효과가 우수한 히알루론산 나트륨을 보강하여 향장수에 탄력 및 보습강화, 주름예방의 효능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increase the efficacy of elasticity and moisturizing, wrinkle prevention in perfumed water by reinforcing sodium hyaluronate excellent in elasticity, wrinkle prevention and moisturizing enhancement effect.

향장수 제형을 중심으로 강황추출물을 0.5% 내지 30% 첨가한 실시예에 히알루론산 나트륨을 첨가시켜 조사한 결과 침전물이 모두 확인되었으며 색상이 진해서 화장수 제형에 부적합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반면에, 강황추출물 0.02%를 첨가하고 히알루론산 나트륨을 0.5% 첨가하면 침전이 생기지 않아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고, 이 성분 조합을 제2차 향장제형 개발을 위한 기본 재료로 선택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addition of sodium hyaluronate to the example in which the turmeric extract, based on the perfumed water formulation, was added in an amount of 0.5% to 30%, all the precipitates were confirmed, and the color was dark, which may be inappropriate for the cosmetic preparation. On the other hand, addition of 0.02% of turmeric extract and 0.5% of sodium hyaluronate does not cause precipitation and is considered suitable, and this component combination can be selected as a basic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the second cosmetic formulation.

<제2차 향장제형 기본 재료에 대한 적정 히알루론산 첨가량 선정><Selection of the appropriate amount of hyaluronic acid addition to the secondary cosmetic base material>

상기 기본 재료로 선정된 향장원료 기본 재료를 토대로 히아루론산 나트륨(Na Hyaluronate) 함량별로 첨가하여 사용감 테스트를 거쳐 제형의 적합성을 살펴보고 이는 [표 2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표 29]는 히아루론산 나트륨을 첨가한 2차 향장수 베이스제형 안정화 정도를 나타낸다.Based on the cosmetic raw material selected as the base material, sodium hyaluronate (Na Hyaluronate) is added for each content to examine the suitability of the formulation through a feeling test,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able 29]. Table 29 shows the degree of stabilization of the secondary perfumed water base formulation with sodium hyaluronate added.

Figure pat00029
Figure pat00029

[표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차 제형의 히알루론산 나트륨 3% 내지 5%를 첨가한 A-1 내지 A-2(3% 내지 5% Na Hyaluronate)에 사용된 Sodium Hyaluronate의 분자량이 10,000 내지 18,000 정도로 소듐 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함량이 높아질수록 사용할 때 미끈거림이 심하여 피부 흡수 속도를 방해하여 화장수로 적합하지 않아 제외될 수 있다.As shown in Table 29, the molecular weight of Sodium Hyaluronate used in A-1 to A-2 (3% to 5% Na Hyaluronate) to which 3% to 5% sodium hyaluronate was added in the second formulation was 10,000. The higher the sodium hyaluronate content of about 18,000 to 18,000, the more slippery the skin is, so it may be excluded as it is not suitable as a lotion by interfering with the skin absorption rate.

제외된 나머지 실시예인 A-3의 0.5% 히아루론산 나트륨(Na Hyaluronate)을 첨가한 제형을 피부에 도포하여 피부의 흡수성과 발림성을 조사한 결과 미끈거리지 않고 피부의 흡수성이 좋아 소듐 하이알루로네이트 첨가량을 0.5%로 선정할 수 있다.As a result of applying the formulation containing 0.5% sodium hyaluronate of A-3, which is the remaining example excluded, to the skin and examining the absorbency and application of the skin, the absorbency of the skin is good without being slippery and the amount of sodium hyaluronate added is 0.5 Can be selected in%.

<기능성 원료인 HACE-200을 첨가한 제3차 제형 향장수><Third formulation fragrance added with HACE-200, a functional ingredient>

[표 29]의 A-3 실시예를 토대로 제형 안정성이 높은 세라마이드를 함유한 기능성 물질인 HACE-200을 함량별로 첨가하여 제형 발명의 실시예를 [표 30] 및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표 30]은 제2차 기초 재료의 제형에 HACE-200 첨가량별 제3차 제형 제조안정화 정도를 보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실증류추출액을 이용한 화장품 원료에서 침전물을 확인하기 위한 도면대용 사진이다.An embodiment of the formulation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able 30 and FIG. 1 by adding HACE-200, a functional substance containing ceramide having high formulation stability, by content, based on Example A-3 of Table 29. Table 30 shows the degree of stabilization of the third formulation formulation by the amount of HACE-200 added to the formulation of the second base material. 1 is a drawing substitute photograph for confirming the precipitate in the cosmetic raw material using a plum distillation ex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pat00030
Figure pat00030

HACE-200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사용감이 무거워지며 약간의 현탁도가 생겨 투명한 제형을 이룬 최종 G-4 실시예를 최적의 실시예로 선택할 수 있다.The higher the HACE-200 content, the heavier the feeling and the slighter the suspension, resulting in a transparent formulation of the final G-4 embodiment can be selected as the optimal embodiment.

상기 HACE-200은 한국 등록특허 제10-1175193호 "세라미드 함유 히알루론산 복합체를 포함하는 피부질환용 조성물"에 의해 알 수 있고, 좀 더 상세하게는 Water, Glycerin, Butylene Glycol, Acrylates/Stearyl Methacrylate Copolymer, Tremella Fuciformis Extract, Phenoxyethanol, Hyaluronic Acid, Xanthan Gum, Ethylhexylglycerin, 및 Ceramide 3(0.025%)일 수 있다.The HACE-200 can be known by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75193 "composition for skin diseases comprising a ceramide-containing hyaluronic acid complex", and more specifically Water, Glycerin, Butylene Glycol, Acrylates / Stearyl Methacrylate Copolymer , Tremella Fuciformis Extract, Phenoxyethanol, Hyaluronic Acid, Xanthan Gum, Ethylhexylglycerin, and Ceramide 3 (0.025%).

<제3차 제형 향장수 G-4에 대한 피부사용감 평가><Evaluation of Skin Feeling for the Third Formulation Perfume G-4>

제3차 제형인 향장수의 피부 사용감 평가를 위해 제1차 선정된 기초 재료 제형에서 기능성 물질로 히알루론 나트륨 0.01% 및 HACE-200 0.1%를 첨가하고, 수상층을 순수한 정제수로 제조한 제형을 A 제형이라 한다. A 제형은 [표 31]에 나타낸다. [표 31]은 제2차 기본 재료에 HACE-200의 첨가량별 제3차 제형 제조안정화 정도를 나타낸다.For the evaluation of skin feel of the third formulation, perfume water, 0.01% of hyaluronic acid sodium and 0.1% of HACE-200 were added as functional substances in the first selected basic material formulation, and the aqueous layer was prepared with pure purified water. It is called A formulation. A formulations are shown in Table 31. Table 31 shows the preparation stability of the third formulation according to the amount of HACE-200 added to the secondary base material.

Figure pat00031
Figure pat00031

[표 31]에 나타낸 상기 A 제형은 무처리로 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상층의 증류수 대신 순도 100%의 매실 하이드로졸을 첨가하고, 기능성 원료로 강황추출물 35중량 %, 히알루론 나트륨 0.5중량 %, 및 HACE-200 0.5중량 %를 각각 첨가하여 제조한 제형을 G-4실시예로 하여 피부 사용감을 살펴본다. [표 32]는 매실 하이드로졸 및 기능성 물질을 첨가한 향장품 제형의 사용감 평가를 나타낸다.The formulation A shown in [Table 31] was treated untreated, and 100% pure plum hydrosol was added instead of distilled water of the aqueous phas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35 wt% of turmeric extract and 0.5 hyaluronic sodium as a functional raw material. A formulation prepared by adding 0.5% by weight and 0.5% by weight of HACE-200, respectively, will be used as a G-4 example to examine skin feel. Table 32 shows the usability evaluation of cosmetic formulations added with plum hydrosol and functional substances.

Figure pat00032
Figure pat00032

[표 32]에 기재된 A 제형의 실시예는, 제품 원료인 비닐 같은 냄새가 약간 섞여 제형의 냄새를 머스킹하기 위하여 향료사용이 필요할 수 있다. 또한, A 제형 실시예는 피부 사용감 평가에서 일반 화장품과 큰 차이가 없다는 반응을 보여 천연원료를 사용하였다는 것을 사용자는 거의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Formulation A described in Table 32, the use of perfume may be necessary to mush the smell of the formulation due to the slight mixing of the odor, such as vinyl, which is a raw material of the product. In addition, the formulation A embodiment shows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general cosmetics in the skin feeling evaluation, and the user may hardly recognize that the natural raw material is used.

[표 32]에 기재된 G-4실시예는, 강황의 천연정유와 증류농축액을 혼합한 증류 추출물을 첨가하고 수상층의 증류수 대신 매실 하이드로졸을 첨가하여 향장수를 제조한 것일 수 있다.Example G-4 described in Table 32 may be prepared by adding a distillation extract of a mixture of natural essential oil and turmeric concentrate of turmeric and adding plum hydrosol instead of distilled water of the aqueous phase.

상기 G-4실시예의 향장수는, 천연향이 혼합된 한방 향이 강하여 천연의 원료를 사용한 이미지 부각에는 좋은 반응이 있고, 한방 향이 심신의 편안함을 준다는 평가를 얻어 아로마치료 효과가 있는 것을 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젊은 층과 남성층에서 한방 향을 싫어하는 반응도 있을 수 있으므로 아로마 향에 따른 다양한 기호성에 대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The fragrance water of the G-4 embodiment has a good response to the image incidence using natural ingredients because the herbal flavor mixed with natural fragrance is strong, and it is confirmed through the examination that the aroma treatment effect is obtained by obtaining the evaluation that the herbal flavor gives comfort of mind and body. Can be. However, some young people and males may also have a reaction to dislike herbal, so there are differences in various palatability according to aroma.

본 발명의 실시예인 G-4실시예 향장수의 사용감 평가에서 피부에 부드럽게 퍼지면서 유분감 없이 촉촉하게 흡수되면서 피부 유연성과 탄력감이 증가하는 효과를 느껴 무처리 대비 우수함을 알 수 있다.In the evaluation of the feeling of use of the perfume of G-4 of Example G-4,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skin is softly absorbed without being oily and absorbed without moisture, thereby increasing the skin flexibility and elasticity, and having excellent contrast with no treatment.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청구범위에서는 제시된 수치 값은 재현 실시할 때에 소량의 범위에서 변형할 수 있을 수 있고, 좀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시된 상기 매실 생과, 상기 정제수, 상기 강황 추출물, 상기 히알루론 나트륨 및 상기 HACE-200은 제시된 수치 값에 대하여 3% 이하 값 내지 3% 이상 값의 오차범위로 적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examples and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erical values presented may be modified in a small amount when reproduced, and more specifically, in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m raw and the purified water presented. , The turmeric extract, the hyaluronic acid sodium and the HACE-200 can be applied in the error range of 3% or less to 3% or more with respect to the numerical values presented.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정제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 또는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laims, which are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실증류추출액을 이용한 화장품 원료는 매실을 이용한 부가 상품을 제조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Cosmetic raw material using a plum distillation ex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prepare an additional product using plum.

Claims (5)

증류 추출기에 씨앗을 포함한 매실 생과 및 정제수를 넣어 매실증류액을 추출하는 제1단계;
상기 매실증류액이 냉각되어 매실 하이드로졸 30ℓ가 생산될 때 상기 증류 추출기의 내부 솥에서 매실증류농축액을 생산하는 제2단계; 및
상기 매실증류농축액의 산도를 희석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매실 생과 및 상기 정제수의 혼합 비율은 10㎏ : 35ℓ인 것
을 포함하는 매실증류추출액을 이용한 화장품 원료.
A first step of extracting a plum distillate by adding fresh fruit and purified water including seeds to a distillation extractor;
A second step of producing a plum distillate concentrate in an inner pot of the distillation extractor when the plum distillate is cooled to produce 30 l of plum hydrosol; And
And diluting the acidity of the plum distillation concentrate;
In the first step, the mixing ratio of the fresh raw plum and purified water is 10 kg: 35 L
Cosmetic raw materials using plum distillation extract contai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실증류농축액에 강황 추출물 0.2중량 %를 혼합한 것
을 포함하는 매실증류추출액을 이용한 화장품 원료.
The method of claim 1,
0.2% by weight of turmeric extract in the plum distillate concentrate
Cosmetic raw materials using plum distillation extract containing.
제2항에 있어서,
히알루론 나트륨 0.5중량 %를 더 첨가하여 혼합한 것
을 포함하는 매실증류추출액을 이용한 화장품 원료.
The method of claim 2,
Added by adding 0.5% by weight of hyaluronic sodium
Cosmetic raw materials using plum distillation extract containing.
제3항에 있어서,
HACE-200 0.5중량 %를 더 첨가하여 혼합한 것
을 포함하는 매실증류추출액을 이용한 화장품 원료.
The method of claim 3,
0.5% by weight of HACE-200 is added and mixed.
Cosmetic raw materials using plum distillation extract contain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매실 생과, 상기 정제수, 상기 강황 추출물, 상기 히알루론 나트륨 및 상기 HACE-200은 제시된 수치 값에 대하여 3% 이하 값 내지 3% 이상 값의 오차범위로 적용하는 것
을 포함하는 매실증류추출액을 이용한 화장품 원료.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lum raw fruit, the purified water, the turmeric extract, the hyaluronic acid sodium and the HACE-200 is applied to an error range of 3% or less to 3% or more with respect to the numerical values given.
Cosmetic raw materials using plum distillation extract containing.
KR1020180013276A 2018-02-02 2018-02-02 Cosmetic ingredients using plum distillation extrac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20276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276A KR102027681B1 (en) 2018-02-02 2018-02-02 Cosmetic ingredients using plum distillation extrac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276A KR102027681B1 (en) 2018-02-02 2018-02-02 Cosmetic ingredients using plum distillation extrac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901A true KR20190093901A (en) 2019-08-12
KR102027681B1 KR102027681B1 (en) 2019-10-01

Family

ID=67624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276A KR102027681B1 (en) 2018-02-02 2018-02-02 Cosmetic ingredients using plum distillation extrac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68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645U (en) 2022-10-10 2024-04-17 김채원 Phytoncide soap containing cypress water vapor distilled water and essential oil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1558A (en) * 2002-04-11 2003-10-22 김민수 Moisture Cosmetics comprising Maesil Water
KR100959653B1 (en) 2007-11-12 2010-05-26 백성준 Manufacture device of puree
KR20100059428A (en) * 2008-11-26 2010-06-04 (주)아모레퍼시픽 Method for preparing lip make-up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herb medicines
KR101105539B1 (en) 2009-03-27 2012-01-13 전라남도 Water and Steam distillation extraction apparatus
KR101110548B1 (en) 2009-09-21 2012-03-05 김장수 fruit puree juice manufactuing system
KR101541892B1 (en) 2014-05-28 2015-08-11 김덕규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lum puree produc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1558A (en) * 2002-04-11 2003-10-22 김민수 Moisture Cosmetics comprising Maesil Water
KR100959653B1 (en) 2007-11-12 2010-05-26 백성준 Manufacture device of puree
KR20100059428A (en) * 2008-11-26 2010-06-04 (주)아모레퍼시픽 Method for preparing lip make-up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herb medicines
KR101105539B1 (en) 2009-03-27 2012-01-13 전라남도 Water and Steam distillation extraction apparatus
KR101110548B1 (en) 2009-09-21 2012-03-05 김장수 fruit puree juice manufactuing system
KR101541892B1 (en) 2014-05-28 2015-08-11 김덕규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lum puree pro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7681B1 (en)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61633B (en) Cosmetic composition
US6485711B1 (en) Organic toothpaste containing saponin
WO2002051428A1 (en) Sympathetic-activating perfume composition
EP1915982A1 (en) Use of 1,2-decanediol for reducing sebum concentration and/or for enhancing penetration of actives into skin areas, and cosmetic and/or dermatological compositions comprising 1,2-decanediol
KR102652363B1 (en) composition
WO2013033087A2 (en) Person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squash or pumpkin extract
JP2014076957A (en) Desaccharification agent and skin external preparation
EP2404987B1 (en) Fragrance compositions
KR20190081558A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liposome for enhancing skin barrier function
TWI554287B (en) A deodorant containing a polyol
US8075901B1 (en) Cosmetic formulation
KR102027681B1 (en) Cosmetic ingredients using plum distillation extrac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02265977A (en) Perfume composition capable of activating sympathetic nerve
KR101490114B1 (en) Perfume Composition Using an Essential Oil Extract of Acorus gramineus and an Essential Oil Extract of Torreya nucifera
KR20170029132A (en) Composition for cosmetics comprising cypress essential oil and cosmetics using the same
KR101830947B1 (en) Aroma-therapeutic body shampoo formulation containing natural essential oils and hydrosols of Artemisia
CN105796408B (en) Composition of plant extracts and its application in cosmetics and fluid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of removing ornaments and formal dress
WO2022233441A1 (en) Novel bacterial ferment of lactobacillus species
KR20220168214A (en) Cosmetic composition for body cleanser containing turmeric
KR102114646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extract from elsholtzia splendens for cosmetic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extract from elsholtzia splendens
KR20110029873A (en) Perfume composition made of cheju nature citrus and cosmetic composition using the same
KR20160043698A (en) Composition for treating hair or scalp to prevent hair loss
JP5154768B2 (en) Tsubakiceramide extraction method and skin / hair cosmetics
JP2004346006A (en) Skin lo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EP3284521A1 (en) Compositions for long-lasting moisturizing cosmetic formulation comprising ucuuba butter with high concentration of myristic acid, as well as the use of said formulation for the preparation of a highly moisturizing cosmetic product and k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